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4-08)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2012-04-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자동차 공학에서 사용되는 배기량 표현 단위로 틀린 것은?

  1. cc
  2. L
  3. kΩ
  4. cm3
(정답률: 82%)
  • "kΩ"는 전기공학에서 사용되는 저항값의 단위이며, 자동차 공학에서는 배기량을 표현하는 단위가 아닙니다. 따라서 "kΩ"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아래의 그림의 부품 중 엔진 시동 시에 사용하는 기동 전동기는?

(정답률: 93%)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엔진 시동 시에는 엔진을 돌리기 위한 충분한 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기동 전동기입니다. 기동 전동기는 충전된 배터리에서 전기를 받아 엔진을 돌리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차량의 전기 시스템과 관련된 부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자동차의 차체 모양에 따른 분류로 차의 지붕을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만든 자동차는?

  1. 세단 (sedan)
  2. 쿠페 (coupe)
  3. 컨버터블(convertible)
  4. 웨건 (wagon)
(정답률: 90%)
  • 컨버터블은 차의 지붕을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 자동차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분류인 세단, 쿠페, 웨건은 모두 차의 지붕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얇은 강판제의 많은 패널의 결합체이기 때문에 어느 한계를 넘지 않는 충격을 받았을 경우에 그 충격이 바디 전체까지 미치지 않는 바디는?

  1. X형 바디
  2. H 형 바디
  3. 트러스형 바디
  4. 모노코크 바디
(정답률: 79%)
  • 모노코크 바디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충격을 받았을 때 바디 전체에 흡수되어 안전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어느 한계를 넘지 않는 충격을 받았을 경우에도 바디 전체에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전성이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자동차 냉각장치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수온조절기는 기관 내부의 냉각수의 양이 부족할 때만 기관의 보호를 임시적으로 밸브를 자동으로 개폐시킨다.
  2. 수온조절기의 고장이 발생될 경우에는 엔진의 과열이나 과냉이 일어난다.
  3. 입구제어 방식은 에너지 효율화 측면에서 사용이 늘어나며 기관내의 냉각수 온도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으나 냉각수 주입이 어렵다.
  4. 출구제어 방식은 물 펌프의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할수 있고 수온조절기의 점검과 교환이 쉽고 냉각수 주입이 편리한 것이 장점이다.
(정답률: 73%)
  • 정답은 "수온조절기는 기관 내부의 냉각수의 양이 부족할 때만 기관의 보호를 임시적으로 밸브를 자동으로 개폐시킨다."가 아닌 "입구제어 방식은 에너지 효율화 측면에서 사용이 늘어나며 기관내의 냉각수 온도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으나 냉각수 주입이 어렵다."이다.

    수온조절기는 기관 내부의 냉각수의 양과는 관계없이 엔진 내부의 냉각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수온조절기는 냉각수의 양이 부족할 때만 밸브를 개폐하여 기관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냉각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작동한다.

    입구제어 방식은 냉각수가 엔진으로 들어가기 전에 제어되는 방식으로, 냉각수의 유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냉각수 주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냉각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화 측면에서 사용이 늘어나고, 냉각수의 유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물 펌프의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출구제어 방식은 냉각수가 엔진에서 나온 후에 제어되는 방식으로, 냉각수의 유동성이 높기 때문에 냉각수 주입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냉각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물 펌프의 캐비테이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일정한 압력하에서 1kg의 액체를 같은 온도의 증기로 만드는데 필요한 열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융해 잠열
  2. 현열
  3. 감열
  4. 증발 잠열
(정답률: 84%)
  • 액체에서 증기로 상태 변화가 일어날 때, 액체 분자들은 분리되어 증기 분자로 변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합니다. 이때 액체의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 과정에서 흡수된 열량을 증발 잠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일정한 압력하에서 1kg의 액체를 같은 온도의 증기로 만드는데 필요한 열량을 증발 잠열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차체(body) 측면부에서 가장 큰 강성이 요구되는 부분은?

  1. 후드(hood)
  2. 패널(panel)
  3. 필러(pillar)
  4. 트렁크(trunk)
(정답률: 73%)
  • 필러는 차량의 구조물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차체의 강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필러는 차량의 지붕과 바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차량의 충격을 분산시켜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차체 측면부에서 가장 큰 강성이 요구되는 부분은 필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쇽업소버의 기능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스프링의 진동을 흡수한다.
  2. 바퀴와 프레임을 연결한다.
  3. 소음을 감소시킨다.
  4. 타이어 마모를 감소시킨다.
(정답률: 86%)
  • 쇽업소버는 바퀴와 프레임을 연결하여 소음을 감소시키고 타이어 마모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스프링의 진동을 흡수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힘과 운동의 관계로 나타나는 현상 중에 관성의 법칙과 거리가 먼 것은?

  1. 삽으로 흙을 떠서 버린다.
  2. 달리던 버스가 갑자기 정지하면 승객이 앞으로 쏠린다.
  3. 망치 자루를 단단한 바닥에 쳐서 헐거워진 망치를 단단히 조인다.
  4. 포탄을 발사하면 포신이 뒤로 밀린다.
(정답률: 65%)
  • 포탄을 발사할 때, 발사체와 함께 포신도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아 움직입니다. 이는 뉴턴의 제3법칙에 따라 발사체가 포신에 가하는 힘과 반대 방향으로 포신이 발사체에게 가하는 힘이 같은 크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포탄을 발사하면 포신이 뒤로 밀리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휠 얼라인먼트 항목 중 고속 시 차량의 안정성과 직진성을 향상 시키는 것은?

  1. 토(toe)
  2. 캠버(camber)
  3. 캐스터(caster)
  4. 휠 (wheel)
(정답률: 52%)
  • 캐스터는 전방으로 향하는 휠의 기울기 각도를 말합니다. 캐스터를 조절하여 전방으로 향하는 휠의 기울기를 늘리면 고속 주행 시에도 안정적으로 직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캐스터는 고속 시 차량의 안정성과 직진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가장 많은 빛을 흡수하는 안료는?

  1. 블랙 안료
  2. 유색 안료
  3. 백색 안료
  4. 메탈릭 안료
(정답률: 86%)
  • 가장 많은 빛을 흡수하는 안료는 블랙 안료입니다. 이는 블랙 안료가 모든 색상의 빛을 모두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빛이 흡수되어 반사되는 빛이 없어져서 물체가 검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반면에 유색 안료나 백색 안료는 특정한 색상의 빛을 흡수하지 않고 반사하기 때문에 빛을 흡수하는 양이 적습니다. 메탈릭 안료는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빛을 흡수하는 양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반경 10mm의 강구로 시험편을 도막면의 반대쪽에서 서서히 압출시켜 도막의 박리나 균열을 조사하고 압출거리로 부착성을 평가하는 시험법은?

  1. 묘화 시험
  2. 바둑판 시험
  3. 스워드 로커 시험
  4. 에리센 시험
(정답률: 64%)
  • 반경 10mm의 강구로 시험편을 도막면의 반대쪽에서 서서히 압출시켜 도막의 박리나 균열을 조사하고 압출거리로 부착성을 평가하는 시험법은 에리센 시험입니다. 이는 압출거리로 부착성을 평가하기 때문에 압출 시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폴리싱 전 오렌지필 현상이 있는 도막을 평활하게 하기 위하여 어떤 연마지로 마무리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P200 ~ P300
  2. P400 ~ P500
  3. P600 ~ P700
  4. P1000 ~ P1500
(정답률: 67%)
  • 오렌지필 현상은 폴리싱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폴리싱 전 도막의 표면을 평활하게 만들어주는 연마지로 마무리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때, P1000 ~ P1500의 연마지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이유는 이 범위의 연마지는 고급 자동차나 튜닝카 등에서 사용되는 고급스러운 마감을 위해 사용되는 연마지로, 평활한 마무리를 위한 적절한 연마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1000 ~ P1500의 연마지를 사용하여 폴리싱 전 도막의 표면을 평활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플라스틱 도장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장식효과
  2. 외관 보호효과
  3. 대전 방지로 인한 먼지부착 방지효과
  4. 표면경도나 충격능력 완화효과
(정답률: 55%)
  • 플라스틱 도장의 목적은 대전 방지로 인한 먼지부착 방지효과, 외관 보호효과, 장식효과입니다. 하지만 표면경도나 충격능력 완화효과는 플라스틱 도장의 목적이 아닙니다. 이는 다른 방법으로 처리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도막표면에 분화구와 같은 구멍이 생성되는 현상은?

  1. 크레터링(cratering)
  2. 핀홀(pin hole)
  3. 오렌지 필(orange peel)
  4. 주름(wrinkle)
(정답률: 60%)
  • 도막표면에 분화구와 같은 구멍이 생성되는 현상은 크레터링(cratering)입니다. 이는 표면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서 표면이 부식되어 생기는 구멍으로, 분화구와 비슷한 모양을 가지기 때문에 이렇게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자동차도장 색상 차이의 원인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자동차 생산업체의 원인
  2. 도료 제조업체의 원인
  3. 현장 조색 시스템의 운송업체의 원인
  4. 도장기술자에 의한 원인
(정답률: 72%)
  • 자동차 도장 색상 차이는 현장에서 조색하는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운송업체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운송 중에 도료가 흔들리거나 섞이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색상이 일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송업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자동차 소지철판에 도장하기 전 행하는 전처리로 적당한 것은?

  1. 쇼트 블라스팅
  2. 크로메이트 처리
  3. 인산아연 피막처리
  4. 프라즈마 화염 처리
(정답률: 83%)
  • 자동차 소지철판에 도장하기 전에는 인산아연 피막처리를 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이는 철판 표면에 인산아연 용액을 뿌려서 철판 표면에 미세한 용액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용액층은 철판 표면을 보호하고 부식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도장 작업 시에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인산아연 피막처리는 자동차 소지철판에 도장하기 전 필수적인 전처리 과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메탈릭 색상의 조색에서 차체색상보다 도료색상이 어두울 때 적합한 조색제는?

  1. 회색
  2. 알루미늄 실버
  3. 백색
  4. 노랑색
(정답률: 79%)
  • 메탈릭 색상은 광택이 있어서 빛의 반사와 굴절로 인해 색상이 변화합니다. 따라서 도료색상이 차체색상보다 어두울 때는 광택이 더해져 차체색상과 도료색상의 색상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게 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알루미늄 실버와 같은 밝은 색상을 사용하여 광택을 강조하고 차체색상과 도료색상의 색상 차이를 완화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알루미늄 실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마스킹 페이퍼 디스펜서의 설명이 아닌 것은?

  1. 마스킹 테이프에 롤 페이퍼가 부착될 수 있게 세트화 되었다.
  2. 고정식과 이동식이 있다.
  3. 너비가 다른 롤 페이퍼를 여러 종류 세트 시킬 수 있다.
  4. 10cm이하 및 100cm이상은 사용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73%)
  • 10cm 이하의 롤 페이퍼는 너무 작아서 사용하기 어렵고, 100cm 이상의 롤 페이퍼는 디스펜서에 맞지 않아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래커계 프라이머서페이서의 특성을 설명하였다. 틀린 것은?

  1. 건조가 빠르고 연마 작업성이 좋다.
  2. 우레탄 프라이머-서페이서에 비하면 내수성과 실(Seal) 효과가 떨어진다.
  3. 우레탄 프라이머-서페이서보다 가격이 비싸다.
  4. 작업성이 좋으므로 작은 면적의 보수 등에 적합하다.
(정답률: 60%)
  • "우레탄 프라이머-서페이서보다 가격이 비싸다."의 이유는 래커계 프라이머-서페이서가 우레탄보다 높은 품질의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래커계 제품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더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보수도장에서 전처리 작업에 대한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피도물에 대한 산화물 제거로 소지면을 안정화하여 금속의 내식성 증대에 그 목적이 있다.
  2. 피도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분이나 이물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도료와의 밀착력을 좋게 한다.
  3. 피도물의 요철을 제거하여 도장면의 평활성을 향상시킨다.
  4. 도막내부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해 도료와의 내수성을 향상시킨다.
(정답률: 74%)
  • 보수도장에서 전처리 작업에 대한 목적으로 "도막내부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해 도료와의 내수성을 향상시킨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전처리 작업의 목적은 금속의 내식성 증대, 도료와의 밀착력 향상, 도장면의 평활성 향상 등이 있습니다. 도막내부에 포함된 수분은 오히려 도막의 내수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처리 작업에서는 도막내부의 수분을 제거하고, 도막의 내부를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스프레이 부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도장할 면을 항상 깨끗이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2. 용제나 다른 오염물이 축적되어야 한다.
  3. 화재로부터 안전해야 한다.
  4. 작업자를 보호하고 대기오염을 시키지 말아야 한다.
(정답률: 90%)
  • "용제나 다른 오염물이 축적되어야 한다."는 스프레이 부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입니다. 스프레이 부스는 작업자와 주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오염물이 축적되지 않도록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스프레이 부스 내부와 외부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오염물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도료 저장 중 침전결함의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

  1. 수지와 안료와 비율 중 안료의 양이 많은 경우
  2. 저장시 주변온도가 높은 경우
  3. 도료의 저장 기간이 오래되었을 경우
  4. 구도막의 열화 및 산화가 일어난 경우
(정답률: 56%)
  • 구도막은 도료의 표면에 생성되는 보호막으로, 도료 내부의 화학 반응을 방지하고 산화나 열화를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구도막의 열화 및 산화가 일어난 경우에는 도료 내부의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쉬워져 침전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도료 저장 중 침전결함의 발생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퍼티도포작업에서 제 2단계 나누기 작업(살붙이기 작업)시 주걱과 피도면의 일반적인 각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0°
  2. 15°
  3. 45°
  4. 60°
(정답률: 74%)
  • 주걱과 피도면이 45도 각도로 나누어져 있으면, 살붙이기 작업을 할 때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걱과 피도면이 서로 수직이거나 수평한 경우보다 더 많은 힘을 가하지 않고도 살을 붙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45도 각도는 일반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각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45도 각도가 가장 적합한 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도막의 결함 중 건조 직후에 발생하는 결함은?

  1. 칩핑(chipping)
  2. 핀홀(pin hole)
  3. 황변(yellowing)
  4. 크레터링(cratering)
(정답률: 64%)
  • 건조 직후에 발생하는 결함 중 핀홀은 코팅재 내부에 공기나 기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거나, 코팅재의 표면이 부드러워서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포집되어 생기는 작은 구멍 형태의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솔리드 색상 조색 시 주의할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솔리드 색상을 도장하고 건조 후에 색상을 비교하면 연한 색상을 띈다.
  2. 솔리드 색상을 도장하고 건조 전에 색상을 비교하면 색상이 진하다.
  3. 솔리드 베이스의 경우 클리어를 도장하기 전과 후의 색상 변화가 없다.
  4. 2액형 우레탄의 경우 경화제를 혼합하기 전과 후의 색상에 변화가 있다.
(정답률: 50%)
  • 2액형 우레탄의 경우 경화제를 혼합하기 전과 후의 색상에 변화가 있는 이유는, 경화제가 혼합되면 우레탄의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면서 색상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레탄을 혼합하기 전과 후의 색상을 비교해보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내약품성, 부착성, 연마성, 내스크래치성, 선명성 들이 우수하여 자동차보수도장 상도용으로 사용되는 수지는?

  1. 아크릴 멜라닌 수지
  2. 아크릴 우레탄 수지
  3. 에폭시 수지
  4. 알키드 수지
(정답률: 62%)
  • 자동차보수도장 상에서 사용되는 수지는 내약품성, 부착성, 연마성, 내스크래치성, 선명성이 우수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 아크릴 우레탄 수지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특히 내스크래치성과 선명성이 우수하여 자동차보수도장 상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크릴 우레탄 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3코트 펄 조색 및 도장시 옳지 않은 것은?

  1. 펄 베이스에 솔리드 조색제사용
  2. 칼라 베이스에 솔리드 조색제사용
  3. 펄 베이스 도장횟수 조절
  4. 컬러 베이스의 충분한 건조
(정답률: 49%)
  • 펄 베이스에 솔리드 조색제를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펄의 광택과 반짝임을 상쇄시키고, 색상의 일관성을 해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펄 베이스에는 펄 조색제를 사용해야 하며, 솔리드 조색제는 칼라 베이스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또한, 도장 전에는 펄 베이스의 도장횟수를 조절하고, 컬러 베이스가 충분히 건조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흡상식 건의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도료 컵은 건 아래 부분에 장착된다.
  2. 공기 캡의 전방에 진공을 만들어서 도료를 흡상한다.
  3. 가압된 압축으로 도료를 밀어서 분출한다.
  4. 노즐은 캡 안쪽에 위치한다.
(정답률: 54%)
  • 흡상식은 공기 캡의 전방에 진공을 만들어서 도료를 흡상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가압된 압축으로 도료를 밀어서 분출한다."는 흡상식 건의 설명으로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워시 프라이머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워시 프라이머 건조 시 수분이 침투되면 부착력이 급속히 상승하기 때문에 바닥에 물을 뿌려 양호한 상태로 만든 다음 도장한다.
  2. 건조도막은 내후성 및 내수성이 약하므로 도장 후 8시간 이내에 후속도장을 해야 한다.
  3. 2액형 도료의 경우 혼합된 도료는 가사 시간이 지나면 점도가 낮아져 부착력이 향상된다.
  4. 경화제와 시너는 프라이머-서페이서 도료의 경화제와 혼용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정답률: 61%)
  • 건조도막은 내후성 및 내수성이 약하므로 도장 후 8시간 이내에 후속도장을 해야 한다. - 이유는 건조도막이 약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부착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8시간 이내에 후속도장을 하여 부착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내용제성이 상한 플라스틱 수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PP
  2. ABS
  3. PUR
  4. PVC
(정답률: 73%)
  • ABS는 상한 플라스틱 수지의 종류가 아닙니다. ABS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의 약자로, 고강도, 경도, 내열성, 내화학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어 자동차 부품, 가전제품,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자기 반응형(2액 중합건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함으로써 수지가 반응한다.
  2. 아미노알키드수지도료와 같이 신차 도장에서 주로 사용된다.
  3. 5℃이하에서는 거의 반응이 없다가 40~ 80℃에서는 건조시간이 단축된다.
  4. 도막은 그물(망상)구조를 형성한다.
(정답률: 45%)
  • "아미노알키드수지도료와 같이 신차 도장에서 주로 사용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자기 반응형은 주로 건축물의 외벽 도장재나 산업용 도장재 등에서 사용되며, 자동차 도장재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자동차 도장재에서는 빠른 건조시간과 높은 광택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도료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용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진용제 - 단독으로 수지를 용해시키고, 용해력이 크다.
  2. 희석재 - 수지에 대한 용해력은 없고, 점도만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
  3. 조용제 - 단독으로 수지류를 용해시키고, 다른 성분과 병용하면 용해력이 극대화된다.
  4. 저비점 용제 - 비점이 100℃이하로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등이 포함된다.
(정답률: 58%)
  • 틀린 것은 없습니다.

    조용제는 단독으로 수지류를 용해시키는 능력이 있으며, 다른 성분과 병용하면 용해력이 극대화됩니다. 이는 조용제가 수지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수지 분자 간 거리를 줄이고, 분자 간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조용제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갈색이며 연마제가 단단하며 날카롭고 연마력이 강해서 금속면의 수정 녹제거, 구도막 제거용에 주로 적합한 연마입자는?

  1. 실리콘 카바이드
  2. 산화알루미늄
  3. 산화티탄
  4. 규조토
(정답률: 66%)
  • 산화알루미늄은 강한 연마력과 날카로운 입자로 구성되어 있어 금속면의 수정과 녹제거, 구도막 제거에 적합합니다. 또한 갈색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산화알루미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설명 중 조색을 하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같은 색상이라도 자동차의 운행상태에 따라 색상차이가 생긴다.
  2. 도료를 만드는 시점 및 제조공장의 차이로 색상차이가 생긴다.
  3. 정확하게 맞는 도료를 공급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4. 도료의 물성을 향상시켜 상품의 가치를 높인다.
(정답률: 73%)
  • 도료의 물성을 향상시켜 상품의 가치를 높인다. - 이유는 도료가 제품의 외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도료의 물성을 개선하여 제품의 내구성, 표면감 등을 향상시키면 제품의 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상도도장 베이스 코트도장 후 클리어 코트 도장을 하여 광택과 경도 및 내구성을 부여한 도장 시스템은?

  1. 1Coat 1Bake 시스템
  2. 2Coat 1Bake 시스템
  3. 3Coat 1Bake 시스템
  4. 3Coat 2Bake 시스템
(정답률: 62%)
  • 상도도장 베이스 코트 도장 후 클리어 코트 도장을 하여 광택과 경도 및 내구성을 부여한 도장 시스템은 2개의 코팅과 1회의 베이크 공정으로 이루어진 2Coat 1Bake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베이스 코트 숨김(블랜딩)도장 전 최종 연마지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P320
  2. P400
  3. P1200
  4. P3000이상
(정답률: 70%)
  • 베이스 코트 숨김(블랜딩)도장 전 최종 연마지로 가장 적합한 것은 P1200입니다. 이는 P320, P400보다 연마력이 높아서 더욱 부드러운 마무리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P3000 이상은 너무 연마력이 높아서 베이스 코트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P1200이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색상 비교용 시편 상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일한 광택을 가져야 한다.
  2. 오염되고 표면상태가 좋아야 한다.
  3. 표면에 스크래치가 많아야 한다.
  4. 표면상태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82%)
  • 색상 비교를 위해서는 시편들이 동일한 광택을 가져야 합니다. 이는 시편의 표면상태가 균일하게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광택이 다르다면, 빛의 반사가 다르게 되어 색상 비교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일한 광택을 가져야만 정확한 색상 비교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도료의 보관 장소에서 우선하여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1. 상온유지
  2. 환기
  3. 습도
  4. 청소
(정답률: 79%)
  • 도료는 휘발성이 있기 때문에 보관 장소에서 환기가 필요합니다. 환기가 충분하지 않으면 도료에서 발생하는 기체가 쌓여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보관 장소에서는 적절한 환기 시스템을 갖추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작업장 내부의 색채 중 틀린 것은?

  1. 녹색- 안내표지
  2. 황색-주의표지
  3. 청색- 통로표지
  4. 적색-금지표지
(정답률: 72%)
  • 청색은 통로표지가 아닌 안전표지를 나타내는 색상입니다. 따라서 작업장 내부의 색채 중 틀린 것은 "청색- 통로표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유류화재시 소화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분말소화기를 사용한다.
  2. 물을 부어 끈다.
  3. 모래를 뿌린다.
  4. ABS 소화기를 사용한다.
(정답률: 89%)
  • 유류화재는 물과 함께 불을 더 크게 일으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물을 부어 끄는 것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화재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을 부어 끄는 것은 유류화재시 소화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산업 재해는 직접 원인과 간접 원인으로 구분되는데 다음 직접 원인 중에서 인적 불안전 요인이 아닌 것은?

  1. 작업 태도 불안전
  2. 위험한 장소의 출입
  3. 기계공구의 결함
  4. 부적당한 작업복 착용
(정답률: 75%)
  • 기계공구의 결함은 기계나 도구의 설계, 제조, 유지보수 등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 인적 불안전 요인이 아닙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 인적 불안전 요인이 아닌 것은 기계공구의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에서 그림이 나타내는 것은?

  1. 출입금지
  2. 사용금지
  3. 이동금지
  4. 보행금지
(정답률: 66%)
  • 그림에서 인도 위에 걷는 사람이 그려져 있지 않고, 대신에 걷는 사람 위에 대각선으로 선이 그어져 있기 때문에 보행금지를 나타냅니다. 이는 보행자가 이 지역에서 안전하지 않은 환경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국내 VOC 배출량을 비교할 때 가장 배출량이 많은 곳은?

  1. 도로 포장
  2. 도장 시설 및 작업
  3. 자동차 운행
  4. 주유소
(정답률: 88%)
  • 도장 시설 및 작업은 VOC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 중 하나로, 차량 등의 표면에 도장을 칠 때 사용되는 페인트 등에서 VOC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더 많은 양의 VOC가 배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기용제에서 제2석유류의 종류로 틀린 것은?

  1. 등유
  2. 중유
  3. 크실렌
  4. 셀로솔브
(정답률: 55%)
  • 유기용제에서 제2석유류의 종류로 틀린 것은 "중유"입니다. 중유는 제1석유류에 속하며, 등유와 크실렌, 셀로솔브는 제2석유류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공기 압축기의 점검 사항 중 틀린 것은?

  1. 매일 공기탱크의 수분을 배출시킨다.
  2. 월1회 안전밸브의 작동을 확인 점검한다.
  3. 년1회에 공기 여과기를 점검하고 세정한다.
  4. 매일 윤활유의 양을 점검한다.
(정답률: 73%)
  • 정답은 "매일 공기탱크의 수분을 배출시킨다."입니다.

    공기 압축기의 점검 사항 중 매일 공기탱크의 수분을 배출시키는 것은 올바른 점검 사항입니다. 공기탱크 내부에 쌓이는 수분은 부식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매일 배출시켜야 합니다.

    반면에 "년1회에 공기 여과기를 점검하고 세정한다."는 틀린 점검 사항입니다. 공기 여과기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세정해야 하며, 이때의 주기는 사용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년1회"라는 고정된 주기로 점검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폴리싱 작업 중 마스크를 착용해야 할 이유는?

  1. 먼지가 많이 나기 때문에
  2. 광택이 잘 나기 때문에
  3. 손작업보다 쉽기 때문에
  4. 소음 때문에
(정답률: 86%)
  • 폴리싱 작업 중에는 먼지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장 부스에서의 작업으로 적합한 것은?

  1. 샌딩 작업
  2. 그라인딩 작업
  3. 용접 작업
  4. 스프레이 작업
(정답률: 84%)
  • 도장 부스에서는 환경과 안전을 고려하여 작업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스프레이 작업은 도장 부스에서 적합한 작업으로, 미세한 분말을 분사하여 도장 내부에 뿌리기 때문에 먼지와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프레이 작업은 균일한 색상과 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그림은 색상환에서 주요 5색이다. 빈칸의 색은?

  1. 다홍색
  2. 초록색
  3. 남색
  4. 귤색
(정답률: 87%)
  • 주요 5색 중에서 빨간색과 파란색의 중간에 위치한 색은 보라색이고, 보라색과 노란색의 중간에 위치한 색은 초록색입니다. 따라서 빈칸의 색은 초록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중간 혼합에 해당되는 것은?

  1. 감산혼합
  2. 색광혼합
  3. 가산혼합
  4. 회전혼합
(정답률: 66%)
  • 중간 혼합 중 회전혼합이 해당됩니다. 회전혼합은 빛의 파장이 서로 다른 두 가지 색이 빠르게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혼합으로, 눈이 이를 인지하여 하나의 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는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등에서 사용되는 RGB 혼합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명도가 높은 색으로만 이루어진 배색은?

  1. 노랑, 연두, 녹색, 노랑연두
  2. 노랑, 연두, 귤색, 노랑연두
  3. 파랑, 연두, 귤색, 노랑연두
  4. 파랑, 연두, 녹색, 노랑연두
(정답률: 71%)
  • 정답은 "노랑, 연두, 귤색, 노랑연두"입니다. 이유는 이 배색은 모두 명도가 높은 색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명도가 높은 색은 밝고 화사한 느낌을 주며, 시선을 끌기도 쉽습니다. 따라서 이 배색은 화려하면서도 균형잡힌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배색 중 색상 차이가 가장 적은 것은?

  1. 초록과 청록
  2. 파랑과 보라
  3. 빨강과 연두
  4. 주황과 파랑
(정답률: 69%)
  • 초록과 청록은 모두 녹색 계열의 색상으로, 색상 차이가 가장 적습니다. 파랑과 보라, 빨강과 연두, 주황과 파랑은 각각 다른 색 계열의 색상이므로 색상 차이가 더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물리적인 정보를 인간이 알 수 있는 신경정보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알맞은 용어는?

  1. 공감각(Synesthesia)
  2. 지각(Perception)
  3. 감각(Sensation)
  4. 색채지각(Color Perception)
(정답률: 66%)
  • 감각은 물리적인 자극이 감각기관을 통해 받아들여진 후, 신경계를 통해 인간의 뇌로 전달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물리적인 정보를 인간이 알 수 있는 신경정보로 전환하는 과정은 감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색광의 3원색은?

  1. 빨강, 자주, 노랑
  2. 빨강, 초록, 파랑
  3. 노랑, 청록, 자주
  4. 청록, 초록, 파랑
(정답률: 78%)
  • 색광의 3원색은 빨강, 초록, 파랑입니다. 이는 RGB 색 모델에서 사용되는 색으로, 이 세 가지 색을 혼합하면 모든 색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빨강, 초록, 파랑은 각각 적색, 녹색, 청색의 기본 색으로, 이들을 혼합하면 다양한 색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세 가지 색을 색광의 3원색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빛의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간섭
  2. 회절
  3. 편광
  4. 반사
(정답률: 85%)
  • 그림에서 보이는 빛의 현상은 빛이 표면에 닿아 반사되어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오스트발트의 표색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오스트발트의 기호와 혼합비는 a~p까지 21 단계이다.
  2. 헤링의 4원색인 노랑, 파랑, 빨강, 녹색의 4색을 기본색으로 한다.
  3. 기본 4색의 중간에 주황, 청록, 보라, 연두를 넣어 8색으로 나눈다.
  4. 8색을 다시 3등분하여 24색을 기본 색상환으로 하고 있다.
(정답률: 54%)
  • "오스트발트의 기호와 혼합비는 a~p까지 21 단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오스트발트의 기호와 혼합비는 a~z까지 26 단계입니다. 이는 알파벳의 각 글자를 사용하여 표현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먼저 본 색과 나중에 본 색이 시간적으로 계속해서 생기는 대비는?

  1. 보색대비
  2. 면적대비
  3. 연변대비
  4. 계시대비
(정답률: 62%)
  • 먼저 본 색과 나중에 본 색이 시간적으로 계속해서 생기는 대비는 "계시대비"입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는 색의 대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일출과 일몰 시간대에서 하늘의 색상이 변화하면서 먼저 본 색과 나중에 본 색의 대비가 계속해서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대비를 계시대비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에서 수축, 후퇴성을 가장 많이 띠는 것은?

  1. 한색계
  2. 난색계
  3. 중성색계
  4. 보색계
(정답률: 62%)
  • 정답은 "한색계"입니다.

    한색계는 한 가지 색상의 조화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축, 후퇴성이 가장 많이 나타납니다. 즉, 한색계에서는 색상의 진한 정도나 밝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효과를 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한 가지 색상으로만 표현되어 수축, 후퇴성이 높아집니다.

    반면에 난색계나 보색계는 여러 가지 색상이 섞여 있기 때문에 색상의 조절이 용이하고 다양한 효과를 내기 쉽습니다. 따라서 수축, 후퇴성이 낮아집니다.

    중성색계는 한색계와 난색계, 보색계의 중간 정도로 수축, 후퇴성이 보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단색조화인 것은?

  1. 유채색과 유채색
  2. 유채색과 무채색
  3. 순색과 탁색
  4. 순색과 청색
(정답률: 62%)
  • 정답은 "유채색과 무채색"입니다.

    유채색은 색상의 다양성과 선명도가 높은 색상을 말하며, 무채색은 검정, 흰색, 회색 등 채도가 없는 색상을 말합니다.

    단색조화란 하나의 색조에서 다양한 채도와 밝기를 이용하여 조화를 이루는 것을 말하는데, 유채색과 무채색을 조합하면 색상의 대비와 균형을 이루어 단색조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채색과 무채색"이 단색조화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먼셀 색체계에서 색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빨강의 보색은 청록이다.
  2. 채도 14는 가장 맑은 색이다.
  3. 명도 0은 백색을 말한다.
  4. 채도는 낮을수록 탁한 색이다.
(정답률: 64%)
  • 명도 0은 백색이 아니라 검은색을 말합니다.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요소이며, 0에 가까울수록 어두운 색이 됩니다. 따라서 명도 0은 색이 아닌 검은색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