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5-25)

실내건축산업기사
(2003-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건물을 세로로 절단한 후 수평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실내 공간의 바닥, 천정등의 내부구조를 나타내주는 도면은?

  1. 입면도
  2. 측면도
  3. 전개도
  4. 단면도
(정답률: 57%)
  • 건물을 세로로 절단하여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기 때문에 "단면도"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건물의 외형이나 특정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지만, 단면도는 건물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실내디자이너와 고객(client)과의 관계를 잘못 설명한 것은?

  1. 고객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2. 고객에게 결과 이외의 업무진행 상황을 알려 줄 필요는 없다.
  3. 고객에게 신뢰성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4. 고객과 접촉시 질문사항을 미리 정리한다.
(정답률: 91%)
  • "고객에게 결과 이외의 업무진행 상황을 알려 줄 필요는 없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고객은 자신이 의뢰한 일의 진행 상황을 알고 싶어합니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고객에게 업무진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알려주어야 합니다. 이는 고객과의 신뢰성을 높이고, 고객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반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소비자 구매심리 5단계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주의(A)-흥미(I)-욕망(D)-확신(C)-구매(A)
  2. 흥미(I)-주의(A)-욕망(D)-확신(C)-구매(A)
  3. 확신(C)-욕망(D)-흥미(I)-주의(A)-구매(A)
  4. 욕망(D)-흥미(I)-주의(A)-확신(C)-구매(A)
(정답률: 75%)
  • 소비자 구매심리 5단계는 주의, 흥미, 욕망, 확신, 구매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는 먼저 제품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 제품에 흥미를 느끼게 되면 욕망이 생기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되며, 마지막으로 구매를 결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주의(A)-흥미(I)-욕망(D)-확신(C)-구매(A)"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중 실내디자인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실내디자인은 기능보다 미가 우선되어야 한다.
  2. 실내디자인은 우리가 살고, 일하고, 즐기는 공간을 더욱 매력있고 유용하게 해준다.
  3. 실내디자인은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고려되어져야 한다.
  4. 실내디자인은 주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성을 갖는다.
(정답률: 85%)
  • "실내디자인은 우리가 살고, 일하고, 즐기는 공간을 더욱 매력있고 유용하게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미의 구성원리중 구성체의 각 요소들간에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고 전체로서 하나와 같은 이미지를 주는 것은?

  1. 통일성
  2. 대칭성
  3. 리듬
  4. 균형
(정답률: 72%)
  • 통일성은 구성체의 각 요소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하나와 같은 이미지를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고 일관성 있는 디자인이 구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통일성은 미의 구성원리 중에서 구성체가 가지고 있어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벽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공기의 움직임, 소리의 전파, 열의 이동을 제어한다.
  2. 인간의 시선이나 동선을 차단한다.
  3. 수평적 요소로서 생활을 지탱하는 기본적 요소이다.
  4. 공간과 공간을 구분한다.
(정답률: 82%)
  • "공기의 움직임, 소리의 전파, 열의 이동을 제어한다."는 벽의 기능 중 하나이지만, "수평적 요소로서 생활을 지탱하는 기본적 요소이다."는 벽의 기능이 아니라 벽의 형태와 위치에 따라서 생활을 지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벽은 건물의 구조적 요소 중 하나로, 건물의 안정성과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실내계획에 있어 모듈(Module)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재료절감과 경제적 시공
  2. 시공기간의 연장
  3. 대량생산의 가능
  4. 설계작업의 단순화
(정답률: 79%)
  • 모듈 시스템은 재료절감과 경제적 시공, 대량생산의 가능, 설계작업의 단순화 등의 장점이 있지만, 시공기간의 연장은 적합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모듈 시스템은 사전에 제작된 모듈을 현장에 운반하여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시공 방식보다는 빠르고 효율적이지만, 모듈 제작과 운반 등의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어 시공기간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공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주요 목표인 프로젝트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물리적으로는 불균형이지만 시각적으로 힘의 정도에 의해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흥미로움을 주며 율동감, 약진감이 있는 것은?

  1. 비정형균형
  2. 정형균형
  3. 방사대칭균형
  4. 대칭균형
(정답률: 72%)
  • 정답은 "비정형균형"입니다.

    비정형균형은 물리적으로는 불균형하지만 시각적으로 힘의 정도에 의해 균형을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형태는 율동감과 약진감이 있어서 흥미로움을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균형한 무게를 가진 물체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지만, 그 무게의 중심이 지지점 위에 위치하면 시각적으로는 균형을 이루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형태는 예술 작품이나 건축물 등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좋은 디자인을 판단하는 척도 중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것은?

  1. 기능성
  2. 심미성
  3. 경제성
  4. 유행성
(정답률: 82%)
  •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것은 "유행성"입니다. 이는 디자인이 유행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기능성과 심미성을 충족하면서 경제적인 측면도 고려하여 디자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행성은 일시적인 것이기 때문에 오래 지속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디자인의 핵심적인 가치를 대표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주요 기본 구성요소로 인간의 감각 중 촉각적 요소와 관계가 가장 밀접한 것은?

  1. 바닥
  2. 천장
(정답률: 77%)
  • 바닥은 인간이 직접 밟고 걷는 공간으로, 촉각적 요소와 가장 밀접한 구성요소입니다. 인간은 바닥의 텍스처, 온도, 경도 등을 느끼며 안정감과 안락함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닥은 실내공간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선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수직선은 구조적인 높이와 존엄성을 느끼게 한다.
  2. 수평선은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준다.
  3. 선은 점이 이동한 궤적이며 면의 한계, 교차에서 나타난다.
  4. 선은 폭과 길이는 있으나 방향성은 없다.
(정답률: 79%)
  • "선은 폭과 길이는 있으나 방향성은 없다."가 적당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선은 방향성이 있기 때문이다. 선은 양 끝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 끝점을 연결하는 방향이 선의 방향성을 결정한다. 따라서 선은 방향성이 있으며, 방향성은 끝점의 연결 순서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쇼윈도우 전면의 눈부심에 의해 상품 전시효과가 적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부에 차양을 설치한다.
  2. 쇼윈도우의 내부조도를 높게한다.
  3. 쇼윈도우의 유리가 수직이 되도록 한다.
  4. 곡면유리를 사용한다.
(정답률: 55%)
  • 쇼윈도우의 유리가 수직이 되도록 한다는 것은 빛이 반사되는 각도를 최소화하여 눈부심을 줄이는 것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무소 건축의 거대화는 상대적으로 공적공간의 확대를 도모하게 되고 이로 인해 특별한 공간적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거대한 공간적 인상에 자연을 도입하여 여러 환경적 이점을 갖게 하는 공간구성은?

  1. 포티코(Portico)
  2. 콜로네이드(Colonnade)
  3. 아케이드(Arcade)
  4. 아트리움(Atrium)
(정답률: 83%)
  • 아트리움은 건물 내부에 자연을 도입하여 공간적 표현을 강화하고, 동시에 자연 채광과 환기를 통해 에너지 절약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공간 구성이다. 따라서 사무소 건축의 거대화와 함께 공적공간의 확대를 도모하면서도 환경적 이점을 갖게 되는 아트리움이 선택되었다. 포티코, 콜로네이드, 아케이드는 모두 건물 외부의 구조물로, 내부 공간의 확대나 자연 도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시공간에서 천장의 처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조명기구, 공조설비, 화재경보기 등 제반 설비물을 설치한다.
  2. 천장 마감재는 흡음 성능이 높은 것이 요구된다.
  3.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해 강한 색채를 사용한다.
  4. 이동스크린이나 전시물을 매달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한다.
(정답률: 81%)
  •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해 강한 색채를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천장의 색상은 전시물의 주제나 분위기에 맞게 조절되어야 하며, 강한 색채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너무 강한 색상은 전시물과 경쟁하거나 방해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디자인 원리 중 시각적인 힘의 강약에 단계를 주어 디자인의 일부분에 주어지는 초점이나 흥미를 중심으로 변화를 의도적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규칙성이 갖는 단조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통일
  2. 질서
  3. 조화
  4. 강조
(정답률: 75%)
  • 디자인에서 강조는 규칙성이 갖는 단조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며, 시각적인 힘의 강약에 단계를 주어 디자인의 일부분에 주어지는 초점이나 흥미를 중심으로 변화를 의도적으로 조성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강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실내디자인 계획에 있어 고려해야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난방 및 조명설비
  2. 대상건물의 구조적 안전성
  3. 건물기초 및 지내력
  4. 소방시설 기준
(정답률: 63%)
  • 실내디자인 계획에 있어 고려해야할 사항은 다양하다. 그러나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건물기초 및 지내력"이다. 이는 디자인 단계에서는 건물의 기초와 지내력은 이미 결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자인 단계에서는 이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디자인 단계에서는 난방 및 조명설비, 대상건물의 구조적 안전성, 소방시설 기준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사항들은 디자인의 성격과 관련이 있으며, 디자인의 완성도와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실내디자인 프로세스가 기획, 설계, 시공, 사용 후 평가의 4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진행한다고 했을 때, 디자인 의도와 고객이 추구하는 방향에 맞추어 대상 공간에 대한 디자인을 도면으로 제시하는 단계는?

  1. 기획단계
  2. 설계단계
  3. 시공단계
  4. 사용 후 평가단계
(정답률: 59%)
  • 설계단계는 디자인 의도와 고객이 추구하는 방향에 맞추어 대상 공간에 대한 디자인을 도면으로 제시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기획단계에서 수집한 정보와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디자인을 계획하고, 그에 따른 도면을 작성합니다. 따라서 설계단계는 디자인의 핵심이 되는 단계로, 디자인의 퀄리티와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호텔 객실중 보통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침실에 거실을 연결시켜 놓은 것을 일컫는 것으로 일반 객실보다 규모가 크고 보다 안락하게 구성되어 있는 특별 객실의 이름은?

  1. 트윈룸(twin room)
  2. 스튜디오(studio)
  3. 스위트룸(suite room)
  4. 더블룸(double room)
(정답률: 69%)
  • 스위트룸은 일반 객실보다 규모가 크고, 하나 이상의 침실과 거실이 연결되어 있어 보다 안락하게 구성되어 있는 특별 객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내용은 어떤 가구에 관한 설명인가?

  1. 카우치(couch)
  2. 오토만(otto man)
  3. 라운지체어(lounge chair)
  4. 풀업체어(pull-up chair)
(정답률: 48%)
  • 이 가구는 등받이와 팔걸이가 있는 의자로, 등받이를 잡고 일어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 때문에 이 가구는 "풀업체어(pull-up chair)"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실내계획에 있어서 가장 중심이 되는 치수 개념은?

  1. 가구치수
  2. 인체치수
  3. 구조치수
  4. 마감재치수
(정답률: 85%)
  • 실내계획은 주로 인간이 사용하는 공간이므로, 인체치수가 가장 중심이 되는 치수 개념이다. 인체치수는 인간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공간을 설계하는 것으로, 인간의 편안한 활동과 이동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공간을 보장하기 위해 고려된다. 따라서 인체치수를 기반으로 한 실내계획은 인간의 생활 편의성과 안락함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 및 인간공학

21. 다음 중 게스탈트(Gestalt)의 법칙이 아닌 것은?

  1. 근접한 자극들이 합쳐져 지각을 체계화한다.
  2. 근접한 자극 중 유사한 것끼리 지각된다.
  3. 특정한 형식의 자극은 그 형식이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인지된다.
  4. 불완전한 형태는 불완전한 상태 그대로 체계화된다.
(정답률: 67%)
  • "불완전한 형태는 불완전한 상태 그대로 체계화된다."는 게스탈트의 법칙이 아닙니다.

    이유: 게스탈트의 법칙은 인간의 지각과 인지에 대한 법칙으로, 인간은 자극들을 일정한 패턴이나 형태로 체계화하여 인지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불완전한 형태는 불완전한 상태 그대로 체계화된다."는 게스탈트의 법칙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딱딱하고, 찬 느낌의 색은?

  1. 중성색 계열의 중명도색
  2. 난색계열의 저채도색
  3. 한색계열의 저채도색
  4. 중성색계열의 고명도색
(정답률: 88%)
  • 한색계열의 저채도색은 색의 진한 정도가 낮고, 한 가지 색조로 이루어져 있어 딱딱하고 차가운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딱딱하고 찬 느낌의 색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색채 중 무채색이 아닌 것은?

  1. 연두색
  2. 흰색
  3. 회색
  4. 검정색
(정답률: 90%)
  • 연두색은 녹색과 노란색이 섞인 색으로, 무채색이 아닌 색상입니다. 무채색은 검정색, 흰색, 회색과 같이 색상이 없거나 적은 색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짐을 나르는 방법 중 산소 소비량이 가장 많은 것은?

  1. 손에 들고 나른다.
  2. 카트(Cart)를 이용하여 밀고 나른다.
  3. 어깨에 메고 나른다.
  4. 머리에 이고 간다.
(정답률: 84%)
  • "손에 들고 나른다"가 산소 소비량이 가장 많은 이유는, 다른 방법들과 달리 손에 무게를 직접 들고 나르기 때문에 상체 근육을 많이 사용하게 되어 호흡과 혈액순환에 더 많은 산소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카트나 어깨에 메고 나르는 방법은 중력에 의해 무게가 분산되어 상체 근육을 덜 사용하게 되어 산소 소비량이 적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혀의 양측면에서 느끼는 맛은?

  1. 단맛, 신맛
  2. 신맛, 짠맛
  3. 짠맛, 쓴맛
  4. 쓴맛, 단맛
(정답률: 37%)
  • 혀의 양측면에서는 각각 다른 맛을 느끼는데, 신맛은 양쪽 모두에서 느껴지고, 짠맛은 양쪽 모두에서 느껴지기 때문에 정답은 "신맛, 짠맛" 입니다. 단맛은 혀의 앞쪽에서, 쓴맛은 혀의 뒷쪽에서 느껴지기 때문에 이 보기는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인근색 조화에 해당하는 것은?

  1. 5Y와 10YR
  2. 5P와 5BG
  3. 5P와 5GY
  4. 5BG와 10P
(정답률: 61%)
  • 인근색 조화란 색상환에서 서로 인접한 두 색상이 조화롭게 느껴지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5Y와 10YR"이 인근색 조화에 해당합니다. "5Y"는 노란색 계열이고 "10YR"은 주황색 계열이며, 두 색상은 색상환에서 서로 인접해 있습니다. 반면에 "5P와 5BG", "5P와 5GY", "5BG와 10P"는 서로 다른 색상 계열에 속하거나 색상환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인근색 조화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제품의 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제품의 색이 난색계이면 실제보다 작게 보일 우려가 있다.
  2. 제품의 색은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제품에 대한 구매자의 선호도에는 색의 후광 효과가 작용한다.
  4. 포장색이 저명도이면 열을 흡수해서 내부 제품의 부패와 손상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정답률: 54%)
  • "제품에 대한 구매자의 선호도에는 색의 후광 효과가 작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제품의 색이 난색계이면 실제보다 작게 보일 우려가 있는 이유는, 난색계는 색의 밝기와 채도가 높아서 인근 색상과의 대비가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같은 크기의 제품이라도 난색계의 색상을 사용하면 작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제품의 색은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제품의 색상은 브랜드의 이미지와 연관되어 있으며, 소비자들은 브랜드의 색상을 보고 제품의 품질, 가격, 디자인 등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포장색이 저명도이면 열을 흡수해서 내부 제품의 부패와 손상을 촉진시킬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제품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포장색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기온이 너무 낮을 경우 일어나는 반응 중 잘못된 것은?

  1. 떤다.
  2. 관절과 근육이 딱딱해진다.
  3. 인체의 열을 주위의 공기에 방산하지 못한다.
  4. 저속도의 기류에도 바람의 느낌을 호소한다.
(정답률: 64%)
  • 인체의 열은 주위의 공기에 방산되는 것이 중요한데, 기온이 너무 낮을 경우 인체는 열을 빠르게 잃어버리게 되어 주위의 공기에 방산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인체의 열을 주위의 공기에 방산하지 못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HV/C의 먼셀 기호가 올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색상.채도/명도
  2. 명도.채도/색상
  3. 채도.명도/색상
  4. 색상.명도/채도
(정답률: 54%)
  • HV/C의 먼셀 기호에서 "H"는 색상(Hue)을 나타내고, "V/C"는 명도(Value/Brightness)와 채도(Chroma/Saturation)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올바른 기호는 "색상.명도/채도"입니다. 이는 색상이 먼저 나오고, 그 다음에 명도와 채도가 순서대로 나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흰색 도화지는 밝은 곳에서나 어두운 곳에서나 모두 흰색으로 인지하게 되는 현상은?

  1. 주관성
  2. 항상성
  3. 시인성
  4. 잔상
(정답률: 75%)
  • 이는 "항상성" 현상으로, 인간의 시각 체계는 빛의 세기나 조도에 따라 색상을 인지하지만, 흰색 도화지는 어떤 조도에서도 일정한 색상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즉, 흰색 도화지는 빛의 세기나 조도에 관계없이 항상 밝은 흰색으로 인식되는 것이 "항상성"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작업내용에 따른 작업대의 높이가 높은 순에서 낮은 순서로 배치된 것이 맞는 것은?

  1. 타이핑 - 쓰고 읽기 - 정밀작업
  2. 정밀작업 - 쓰고 읽기 - 타이핑
  3. 쓰고 읽기 - 정밀작업 - 타이핑
  4. 정밀작업 - 타이핑 - 쓰고 읽기
(정답률: 65%)
  • 정밀작업은 작업 내용이 세밀하고 정확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높은 작업대에서 작업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쓰고 읽기는 일반적으로 편안한 자세에서 작업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중간 정도의 높이의 작업대에서 작업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타이핑은 손목과 손가락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낮은 작업대에서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작업대의 높이가 높은 순서로는 "정밀작업 - 쓰고 읽기 - 타이핑" 이 되며, 이는 문제에서 제시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색은 연상과 경험에서 유발되는 감정에 의하여 더운 색과 찬 색으로 구분되는데, 다음 중 중성색은?

  1. 귤색
  2. 연두
  3. 청록
  4. 감청
(정답률: 48%)
  • 연두는 더운 색이나 찬 색으로 분류되지 않는 중성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인간의 운동기능에서 진전(振顫:떨림)이 증가되는 경우는?

  1. 움직이는 것과 마찰이 있을 때
  2. 몸의 움직이는 부분이 지지대에 의해 받쳐져 있을 때
  3. 몸의 움직이는 부분이 일하고 있을때, 몸이 단단히 받쳐져 있을 경우
  4. 떨지 않도록 노력할 때
(정답률: 60%)
  • 떨림은 근육의 긴장과 이완이 불균형을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몸이 떨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근육을 최대한 이완시키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떨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인체의 각 부분에서 통각이 가장 예민한 곳은?

  1. 가슴
  2. 복부
  3. 발바닥
  4. 손가락
(정답률: 45%)
  • 손가락은 인체에서 가장 많은 민감한 신경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통각이 가장 예민한 부위입니다. 이는 손가락이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많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발달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음원과 관측자가 상대속도를 가질 때 음원의 소리보다 더 높거나 낮은 소리를 듣게 되는 현상은?

  1. 도플러효과
  2. 가현운동
  3. 은폐작용
  4. 여파작용
(정답률: 47%)
  • 음원과 관측자가 상대속도를 가질 때 음파의 주파수가 변화하게 되어, 듣는 소리의 높낮이가 달라지는 현상을 도플러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음파의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음파가 이동하는 매질의 속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선천성 전색맹은 눈 속의 무엇이 이상이 생겨서 되는 것인가?

  1. 수정체
  2. 현상체
  3. 간상체
  4. 추상체
(정답률: 42%)
  • 선천성 전색맹은 망막에 존재하는 적색감지 세포와 녹색감지 세포, 청색감지 세포 중 적어도 하나가 제대로 발달하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빨간색과 초록색, 파란색을 구분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 중에서도 빨간색과 초록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이러한 색맹자들은 추상적인 개념인 색깔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추상체"라는 용어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음원으로부터의 직접음과 벽체 등에서 반사된 소리가 그 시간차 때문에 한 소리가 둘이상으로 들리는 현상은?

  1. 회절
  2. 공명
  3. 반향
  4. 잔향
(정답률: 14%)
  • 음원으로부터 발생한 소리가 벽체 등에서 반사되어 다시 들어오면서, 원래 소리와 반사된 소리가 시간차를 두고 겹쳐져 들리는 현상을 반향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명시도가 가장 높은 경우는?

  1. 백색 배경의 청색(2.5B 4/10)
  2. 흑색 배경의 자주색(2.5RP 3.5/11)
  3. 백색 배경의 주황색(5YR 8/12)
  4. 흑색배경의 녹색(2.5G 3/5)
(정답률: 33%)
  • 명시도란 색상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정도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백색 배경의 청색(2.5B 4/10)"이 명시도가 가장 높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백색 배경"이라는 명확한 배경색이 주어졌기 때문에 색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둘째, "2.5B"라는 색상 코드는 청색 계열의 색상을 나타내며, "4/10"이라는 밝기 코드는 색상의 밝기를 정확하게 표현합니다.

    따라서, "백색 배경의 청색(2.5B 4/10)"은 명확한 배경색과 정확한 색상 코드, 밝기 코드를 가지고 있어 명시도가 가장 높은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시(視)식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조도
  2. 대비
  3. 움직임
  4. 반응시간
(정답률: 56%)
  • 시식별은 시각적 자극을 받아 인지하는 과정이므로, 조도와 대비는 시식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움직임도 시식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빠르게 움직이는 대상은 시선이 따라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응시간은 시각적 자극을 받은 후 반응하는 시간으로, 시식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반응시간은 시식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무지개색의 순서대로 색을 배치하였을 때, 다음 어떤 사항과 관련이 가장 큰가?

  1. 채도조화
  2. 색상조화
  3. 보색대비
  4. 명도대비
(정답률: 48%)
  • 무지개색의 순서대로 색을 배치하면 색상조화가 이루어진다. 이는 색상이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져 눈에 쾌적한 느낌을 주며, 디자인에서도 조화로운 느낌을 연출할 수 있다. 채도조화는 색의 세기나 진한 정도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것을 말하며, 보색대비는 서로 반대되는 색상을 사용하여 대비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명도대비는 밝기나 어둡기의 대비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재료

41. 목재의 건조에 관한 다음 기술중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목재는 사용전에 될 수 있는 한 건조시킬 필요가 있다.
  2. 건조되지 않은 목재는 건조한 목재에 비해 부패하기 쉬우나 강도나 탄성계수는 높다.
  3. 건조는 목재에 도장이나 약재 처리를 용이하게 한다.
  4. 수액을 제거한 목재는 건조가 빠르다.
(정답률: 62%)
  • "건조되지 않은 목재는 건조한 목재에 비해 부패하기 쉬우나 강도나 탄성계수는 높다."가 옳지 않은 기술이다. 건조되지 않은 목재는 수분 함량이 높아 부패하기 쉬우며, 강도나 탄성계수도 낮아진다. 따라서 목재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건조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프탈산과 글리세린수지를 변성시킨 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로 내후성, 접착성이 우수하며 페인트, 바니쉬, 래커 등의 도료로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1. 알키드수지
  2. A.B.S수지
  3. 스티롤수지
  4. 에폭시수지
(정답률: 47%)
  • 프탈산과 글리세린수지를 변성시켜 만든 알키드수지는 내후성과 접착성이 우수하며, 페인트, 바니쉬, 래커 등의 도료로 널리 사용됩니다. 이는 알키드수지가 빠른 건조성과 우수한 접착력, 내구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키드수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모르타르(mortar)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멘트, 모래와 함께 수축균열방지, 접착력 증가, 작업성의 향상 등을 위해 혼화재를 첨가하여 배합한다.
  2. 배합재료는 백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용성 염류가 함유된 것을 사용한다.
  3. 목조주택을 방화구조로 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4. 다른 마감재의 접착제로도 사용된다.
(정답률: 37%)
  • "배합재료는 백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용성 염류가 함유된 것을 사용한다."이 틀린 설명입니다.

    모르타르는 시멘트, 모래, 물 등을 혼합하여 만든 건축재료로, 주로 벽돌, 돌 등을 접착하거나 보수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배합재료는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 물의 양 등을 조절하여 제조하며, 이 때 가용성 염류를 함유시켜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다른 방법으로도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실내의 라디에이터 커버, 환기구멍 등에 사용되는 금속가공 제품은?

  1. 펀칭 메탈(punching metal)
  2. 벤틸레이터(ventilator)
  3. 리브 라아드(rib lath)
  4. 솔라 스크리인(solar screen)
(정답률: 63%)
  • 펀칭 메탈은 금속 시트를 펀칭 기계로 구멍을 뚫어 만든 제품으로, 환기구나 라디에이터 커버 등에 사용됩니다. 구멍의 크기와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만들 수 있으며, 공기나 물이 통과할 수 있어 환기나 배수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실내의 라디에이터 커버, 환기구멍 등에 사용되는 금속가공 제품으로 펀칭 메탈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합성수지 제품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량이다.
  2. 마모가 적고 탄력성이 크다.
  3. 탄성계수가 철보다 크다.
  4. 내수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43%)
  • 탄성계수가 철보다 크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탄성계수가 크다는 것은 물체가 변형될 때 발생하는 응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합성수지 제품의 장점은 경량이며, 마모가 적고 탄력성이 크며, 내수성이 우수하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클로로프렌고무 접착제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도자기질 내장 타일의 접착제로 주로 사용된다.
  2. 합성고무계 접착제로서 내수성,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3. 제품명 네오프렌(Neoprene)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4. 석유계 용제에 녹지 않는다.
(정답률: 26%)
  • 석유계 용제에 녹지 않는다는 것은 옳은 기술이지만, 도자기질 내장 타일의 접착제로 주로 사용된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클로로프렌고무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금속, 나무, 고무, 가죽 등 다양한 재질의 접착에 사용되며, 도자기질 내장 타일의 접착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골재의 구비조건으로 부적당한 것은?

  1. 골재의 입형은 납작하고 가늘고 긴 것이어야 한다.
  2. 골재의 크기는 크고 작은 알이 고루 섞여 있는 것이 좋다.
  3. 골재에는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4. 골재의 강도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보다 커야 한다.
(정답률: 43%)
  • 정답: "골재의 입형은 납작하고 가늘고 긴 것이어야 한다."

    이유: 골재의 입형이 납작하고 가늘고 길면 시멘트와 더 잘 결합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크고 작은 알이 고루 섞여 있는 것이 좋은 이유도 이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현상의 설명과 관계가 먼 것은?

  1. 재하개시의 재령이 짧은 만큼 크리프는 커진다.
  2. 부재치수가 작을수록 크다.
  3. 보양이 불량할수록 크다.
  4. W/C가 작을수록 크다.
(정답률: 34%)
  • 콘크리트의 크리프 현상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변형되는 현상으로,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과 알칼리성 물질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합니다. 이 때, W/C는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 함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W/C가 작을수록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 함량이 적어지므로, 크리프 현상이 더욱 심해집니다. 따라서, W/C가 작을수록 크리프 현상이 커진다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백시멘트와 종석, 안료를 혼합하여 만든 것으로 천연석과 유사한 외관을 가진 인조석은?

  1. 라프코트(rough coat)
  2. 트래버틴
  3. 의석
  4. 석면
(정답률: 12%)
  • 백시멘트와 종석, 안료를 혼합하여 만든 것으로 천연석과 유사한 외관을 가진 인조석은 "의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점토의 종류와 제품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부적절한 것은?

  1. 토기질점토 - 벽돌
  2. 도기질점토 - 테라코타
  3. 석기질타일 - 외장타일
  4. 자기질타일 - 기와
(정답률: 48%)
  • "자기질타일 - 기와"가 부적절한 것이다. 자기질타일은 실리카 함량이 높아 내화성이 우수하며, 기와는 주로 천연석재나 인조석재로 만들어진 지붕재료이다. 따라서 자기질타일은 기와와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중 목재의 길이에 따른 규격의 분류상 정척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1.8m
  2. 4.5m
  3. 3.6m
  4. 2.7m
(정답률: 34%)
  • 정척물은 길이가 2.4m 이상 4.8m 이하인 목재를 말합니다. 따라서 4.5m는 이 범위에 속하지 않으므로 정척물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점토소성제품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테라코타는 속이 빈 대형점토 소성제품으로 난간벽, 주두 등에 사용된다.
  2. 내부벽용 타일은 외부벽용에 비하여 내마모성이 강하고 흡수율이 적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3. 점토소성제품의 흡수성은 토기, 자기, 석기, 도기 순으로 크다.
  4. 내화벽돌로 벽체를 시공하는 경우 벽돌의 부착강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물축임을 실시한다.
(정답률: 24%)
  • 정답은 "테라코타는 속이 빈 대형점토 소성제품으로 난간벽, 주두 등에 사용된다." 이다. 이유는 테라코타는 대형점토 소성제품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속이 빈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속이 빈 테라코타는 난간벽, 주두 등의 장식용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도료의 사용목적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내화학성
  2. 단면증가
  3. 광택효과
  4. 방수, 방습
(정답률: 56%)
  • 도료의 사용목적은 주로 표면을 보호하고 꾸미기 위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단면증가"는 다른 보기들과는 다르게 표면의 두께나 크기를 늘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도료를 바르면서 표면의 불균일성을 보완하고, 보호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창호와 창호철물에 대한 연결이다. 관련없는 항목은?

  1. 돌쩌귀 : 여닫이문
  2. 플로어힌지 : 자재여닫이문
  3. 지도리 : 회전창
  4. 도어클로우저 : 미서기창
(정답률: 54%)
  • 도어클로우저는 창호나 창호철물과 관련이 없는 항목이다. 도어클로우저는 문에 설치되는 장치로, 문을 닫을 때 자동으로 문을 잠그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서기창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마루판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플로링 보드(flooring board)
  2. 파키트리 패널(parquetry panel)
  3. 파키트리 블록(parquetry block)
  4. 코펜하겐 리브(copenhagen rib)
(정답률: 64%)
  • 코펜하겐 리브는 마루판으로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이 마루판이 아니라 목재 장식 요소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마루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목재 제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현장에서 가공할 수 있는 유리는?

  1. 강화유리
  2. 복층유리
  3. 형판유리
  4. 유리블록
(정답률: 45%)
  • 형판유리는 현장에서 가공이 가능한 유리 종류 중 하나입니다. 이는 유리가 뜨거운 상태에서 특정한 형태로 가공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장에서 필요한 크기나 모양으로 쉽게 가공할 수 있습니다. 반면 강화유리나 복층유리는 제조과정에서 이미 강화나 적층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가공이 어렵습니다. 유리블록은 이미 정해진 크기와 모양으로 제조되어 현장에서 가공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슬럼프 시험(slump test)은 콘크리트의 무엇을 측정하기위한 것인가?

  1. 강도
  2. 시공연도
  3. 공기량
  4. 물, 시멘트의 중량비
(정답률: 31%)
  • 슬럼프 시험은 콘크리트의 시공연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시공연도란 콘크리트가 얼마나 유동성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콘크리트의 특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시공 방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슬럼프 시험은 콘크리트 시공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시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석재중 변성암이 아닌 것은?

  1. 안산암
  2. 대리석
  3. 사문암
  4. 트레버틴
(정답률: 32%)
  • 안산암은 화성암으로 분류되며, 변성암이 아닌 것입니다. 대리석, 사문암, 트레버틴은 모두 변성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미장재료에 관한 기술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회반죽벽은 습기가 많은 장소에서 시공이 곤란하다.
  2. 시멘트 모르타르는 물과 화학반응하여 경화되는 수경성 재료이다.
  3.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마그네시아 석회에 모래, 여물을 섞어 반죽한 바름벽 재료를 말한다.
  4. 석고 플라스터는 공기 중의 탄산 가스를 흡수하여 경화한다.
(정답률: 60%)
  • 석고 플라스터는 공기 중의 탄산 가스를 흡수하여 경화하지 않는다. 옳은 설명은 "석고 플라스터는 물을 첨가하면 반응하여 결정화되는 수경성 재료이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강의 열처리 방법중 강을 연화하거나 내부응력을 제거할 목적으로 800℃ ∼ 1000℃로 가열하여 소정의 시간까지 유지한 후, 로(爐)속에서 서서히 냉각하는 열처리법은?

  1. 뜨임질
  2. 담금질
  3. 풀림
  4. 불림
(정답률: 26%)
  • 주어진 보기 중에서 800℃ ∼ 1000℃로 가열하여 소정의 시간까지 유지한 후, 로(爐)속에서 서서히 냉각하는 열처리법은 "풀림"이다. 이유는 이 방법은 강의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연화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의 성질을 개선하고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일반

61. 돌구조의 표면 마무리 상태를 거친 정도에서 덜 거친 정도로 옳게 배열한 것은?

  1. 메다듬-정다듬-도드락다듬-잔다듬
  2. 메다듬-물갈기-잔다듬-정다듬
  3. 도드락다듬-정다듬-잔다듬-물갈기
  4. 메다듬-잔다듬-도드락다듬-정다듬
(정답률: 34%)
  • 돌구조의 표면 마무리는 메다듬(가장 매끄러운 표면)부터 시작하여 점점 거친 표면으로 마무리되는데, 이를 정다듬, 도드락다듬, 잔다듬 순서로 진행된다. 따라서 "메다듬-정다듬-도드락다듬-잔다듬"이 옳은 배열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예술공예(arts and crafts)운동의 특성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수공예의 중요성
  2. 양식의 역사주의를 표명
  3. 혼란한 미학적 가치에 대한 도덕적 반응
  4. 전통적인 지역적 재료의 사용
(정답률: 17%)
  • 예술공예 운동은 혼란한 미학적 가치에 대한 도덕적 반응, 전통적인 지역적 재료의 사용, 그리고 수공예의 중요성 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예술과 공예를 결합하여 새로운 예술 형태를 창조하고자 하는 운동입니다. 그러나 양식의 역사주의를 표명하는 것은 예술공예 운동의 특성이 아니라, 양식의 역사적인 변천과 발전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을 창작하는 예술적인 방법론입니다. 따라서 이는 예술공예 운동의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목재 접합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접합은 응력이 적은 곳에서 만들 것.
  2. 목재는 될 수 있는 한 적게 깍아내어 약하게 되지 않게 할 것.
  3. 접합의 단면은 응력 방향과 평행으로 할 것.
  4.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고 모양에 치중하지 말 것.
(정답률: 28%)
  • 정답: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고 모양에 치중하지 말 것."

    목재 접합시 주의사항 중 "접합의 단면은 응력 방향과 평행으로 할 것"은 목재의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입니다. 목재는 섬유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응력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단면에서는 쉽게 깨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접합시에는 가능한 응력 방향과 평행한 단면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각층별 바닥면적이 1,000m2이고 각층별 거실면적이 700m2인 15층 집회장에 설치하는 승용승강기는 몇 대인가? (단, 8인승)

  1. 3대
  2. 4대
  3. 5대
  4. 6대
(정답률: 49%)
  • 각 층마다 거실 면적이 700m2 이므로, 한 대의 승강기로는 모든 사람들을 운송하기 어렵다. 따라서, 최소한 거실 면적이 700m2인 각 층마다 한 대의 승강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15층 집회장에는 적어도 15대의 승강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각 층마다 바닥 면적이 1,000m2 이므로, 한 대의 승강기로는 충분히 운송할 수 있는 인원이 있다. 따라서, 15층 집회장에는 15대 이상의 승강기가 필요하지 않다. 8인승 승강기를 사용하므로, 15층 집회장에 설치하는 승강기는 4대가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색채에서 색이름과 먼셀기호가 잘못 연결된 것은 어느 것인가?

  1. 빨강-R
  2. 주황-YR
  3. 자주-PB
  4. 연두-GY
(정답률: 68%)
  • 정답은 "자주-PB"이다. "자주"는 보통 빨강과 파랑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색으로, 따라서 먼셀기호는 "RP"가 맞다. "PB"는 보통 파란색과 보라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그림과 같은 건축물의 건축면적은?

  1. 32m2
  2. 40m2
  3. 54m2
  4. 72m2
(정답률: 25%)
  • 주어진 건축물의 바닥면적은 8m x 9m = 72m2 이다. 하지만 건축물의 일부분은 계단으로 인해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 가능한 면적인 건축면적은 더 작아진다. 계단 부분의 면적은 2m x 3m = 6m2 이므로, 사용 가능한 면적은 72m2 - 6m2 = 66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m2" 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반자구조중 제물반자에 속하는 것은?

  1. 널반자
  2. 넓은판반자
  3. 바름반자
  4. 구성반자
(정답률: 28%)
  • 제물반자는 제사나 의식에서 사용되는 반자구조 중 하나로, 제사용품이나 음식 등을 올리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바름반자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물반자로, 바름반자의 형태는 원형이며 중앙에 돌기가 있습니다. 이 돌기는 제사용품이나 음식을 올릴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바름반자가 제물반자 중 제물을 올리는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벽돌조 창문의 나비가 2.4m인 경우 어느 인방구조가 가장 합리적인가?

  1. 벽돌조 평아치를 쌓는다.
  2. 석재 인방보를 설치한다.
  3. 철근콘크리트 인방보를 설치한다.
  4. 외부는 벽돌을 세워 놓고 내부는 평아치를 쌓는다.
(정답률: 36%)
  • 철근콘크리트 인방보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이유는 벽돌조 창문의 나비가 2.4m이므로, 인방보의 강도와 내구성이 중요한데, 철근콘크리트 인방보는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는 벽돌을 세워 놓고 내부는 평아치를 쌓는 것은 인방보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장하지 못하며, 석재 인방보는 비용이 높고 시공이 어렵기 때문에 철근콘크리트 인방보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콘크리트용 골재에 대한 일반적인 조건 중 알맞지 않은 것은?

  1. 불순물이 없어야 한다.
  2. 표면이 거칠고 구형에 가까운 것이어야 한다.
  3. 강도가 커야 한다.
  4. 알칼리-골재 반응성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31%)
  • 알칼리-골재 반응성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알칼리성 환경과 골재의 화학적 성질이 상호작용하여 골재의 물성이 변화하고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용 골재에 대한 일반적인 조건 중 알맞지 않은 것은 "알칼리-골재 반응성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방염대상물품을 방염성능이 있는 것으로 하여야 하는 특수장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아파트의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
  2. 안마시술소
  3. 헬스클럽장
  4. 일반숙박시설
(정답률: 34%)
  • 아파트의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은 특수장소가 아니며, 방염대상물품을 방염성능이 있는 것으로 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한국 전통주거의 가구에서 수납용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문갑
  2. 소반
  3. 반닫이
(정답률: 59%)
  • 소반은 음식을 담는 그릇으로, 수납용으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분류할 수 없는 것입니다. 반면, 문갑은 문을 닫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수납용으로 분류할 수 있고, 농은 음식을 저장하는 그릇이며, 반닫이는 옷이나 소품 등을 보관하는 것으로 모두 수납용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완공된 후 건축물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사용해 보고 난 후에 반응을 평가하는 거주 후 평가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AIDAS
  2. VMD
  3. PSALI
  4. POE
(정답률: 29%)
  • 정답은 "POE"이다. POE는 Post-Occupancy Evaluation의 약자로, 건축물이 사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거주자들의 반응을 조사하여 건축물의 기능성과 만족도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완공 이후에 이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를 수행한다. AIDAS는 마케팅에서 사용되는 모델, VMD는 시각디자인에서 사용되는 모델, PSALI는 교육에서 사용되는 모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서양 고전건축에서 엔타블레이처(Entablature)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페디먼트(Pediment)
  2. 아키트레이브(Architrave)
  3. 프리즈(Frieze)
  4. 코니스(Cornice)
(정답률: 26%)
  • 엔타블레이처(Entablature)의 구성요소는 아키트레이브(Architrave), 프리즈(Frieze), 코니스(Cornice)이며, 페디먼트(Pediment)는 엔타블레이처의 상단을 장식하는 요소로 붙이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요소로 취급됩니다. 따라서 페디먼트는 엔타블레이처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콘크리트 이어붓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 및 바닥판은 간사이의 단부에서 이어붓는다.
  2. 레이턴스를 제거한 후 이어붓는다.
  3. 이음면은 거칠게 하고 청소후 시멘트 페이스트를 바른다.
  4. 전단력이 가장 적은 곳에서 이어붓는다.
(정답률: 22%)
  • 전단력이 가장 적은 곳에서 이어붓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어붓는 위치는 구조물의 설계 및 상황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보 및 바닥판은 간사이의 단부에서 이어붓습니다. 이어붓기 전에는 레이턴스를 제거하고 이음면을 거칠게 하고 청소한 후 시멘트 페이스트를 바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비상조명등을 설치해야 할 소방대상 건축물의 규모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층수 4층 이상으로서 연면적 3300m2이상
  2. 층수 4층 이상으로서 연면적 3000m2이상
  3. 층수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 3300m2이상
  4. 층수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 3000m2이상
(정답률: 52%)
  • 비상조명등은 대형 건물에서 화재 발생 시 대피를 돕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규모가 큰 건물일수록 필요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연면적이 3000m2 이상이고 층수가 5층 이상인 건물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층수가 4층 이하인 건물은 비교적 작은 규모이므로 비상조명등 설치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연면적이 3300m2 이상인 건물은 층수가 5층 이하일 경우에도 비상조명등 설치가 필요할 수 있지만, 연면적이 3000m2 이상인 건물은 층수가 5층 이상이어야 비상조명등 설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건축법규상 거실에 대하여 바르게 규정한 것은? (단, 숙박시설의 객실의 경우)

  1. 채광을 위한 창문면적은 그 거실 바닥면적의 1/20 이상
  2. 환기를 위한 창문등의 면적은 그 거실 바닥면적의 1/10 이상
  3. 거실의 반자높이는 2.4m이상, 노대 아래부분 높이는 2.1m이상
  4. 수시로 개방할 수 있는 미닫이로 구획된 2개의 거실은 채광 및 환기의 규정 적용시 1개의 거실로 본다.
(정답률: 51%)
  • 정답은 "수시로 개방할 수 있는 미닫이로 구획된 2개의 거실은 채광 및 환기의 규정 적용시 1개의 거실로 본다." 이다. 이유는 건축법규에서 거실의 채광 및 환기 규정은 거실 하나에 대해서만 적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닫이로 구획된 2개의 거실은 하나의 거실로 간주하여 채광 및 환기 규정을 적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거실 각 부분으로부터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까지의 보행 거리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1. 2층 목조공장: 35m 이하
  2.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인 5층 사무소 : 50m 이하
  3.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인 10층 아파트 : 50m 이하
  4.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인 16층 아파트 : 40m 이하
(정답률: 28%)
  • "2층 목조공장: 35m 이하"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과 비교해보면,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인 5층 사무소 : 50m 이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인 10층 아파트 : 50m 이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인 16층 아파트 : 40m 이하"는 모두 50m 이하 또는 40m 이하로 기술되어 있지만, "2층 목조공장"은 35m 이하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이유는 목조건물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강철구조물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높이가 높아질수록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층 목조공장은 다른 건물들에 비해 높이 제한이 더 낮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최소 단면치수는 20㎝ 이상으로 한다.
  2. 최소단면적은 600cm2 이상으로 한다.
  3. 주근의 좌굴방지를 위하여 띠철근을 사용한다.
  4. 다각형 기둥에는 주근을 4개 이상 배근한다.
(정답률: 21%)
  • 다각형 기둥에는 주근을 4개 이상 배근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다각형 기둥의 경우, 주근을 3개만 배근해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각형의 각 꼭지점에서의 응력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각형 기둥의 경우에는 주근을 3개만 배근하고, 원형 기둥의 경우에는 주근을 4개 이상 배근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집회실 바닥면적이 165m2인 교회의 최소 반자 높이는?

  1. 2.1m
  2. 2.7m
  3. 3.0m
  4. 4.0m
(정답률: 19%)
  • 교회의 최소 반자 높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최소 반자 높이 = (집회실 바닥면적 / 반지름2) × 2

    반지름은 직경의 절반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반지름 = √(집회실 바닥면적 / π) = √(165 / π) ≈ 7.23m

    따라서, 최소 반자 높이 = (165 / 7.232) × 2 ≈ 2.1m

    따라서, 정답은 "2.1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고대 기둥의 양식중 그리이스의 3대 양식이 아닌 것은?

  1. 이오니아식
  2. 도리아식
  3. 터스칸식
  4. 코린트식
(정답률: 56%)
  • 이오니아식, 도리아식, 코린트식은 모두 그리이스의 3대 양식 중 하나로 인정받는 양식이지만, 터스칸식은 이탈리아의 고대 로마에서 발전한 양식으로 그리이스의 3대 양식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