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실내건축산업기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실내공간 구성요소 중 수직적 요소로 수평방향을 차단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1. 바닥
  2. 천장
  3. 계단
(정답률: 81%)
  • 수직적 요소 중 수평방향을 차단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벽입니다. 벽은 방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공간을 분리하거나 차단하여 개별적인 공간을 형성하거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벽은 건물의 구조적인 요소 중 하나로, 건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유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실내공간의 구성기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개방공간구성은 필수적인 공간을 제외하고는 가능한 한 폐쇄공간을 두지 않는 구성방법으로 에너지 절약에도 유리하다.
  2. 폐쇄공간구성은 독립된 여러 실을 두는 것으로 프라이버시 확보에 유리하지만 융통성이 부족하다.
  3. 격자형공간구성은 조직화를 통해 시각적인 애매함을 제거하여 보다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4. 다목적공간구성은 장래의 공간활용에 있어 양적, 질적 변화와 사회적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가변성이 높다.
(정답률: 67%)
  • "개방공간구성은 필수적인 공간을 제외하고는 가능한 한 폐쇄공간을 두지 않는 구성방법으로 에너지 절약에도 유리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개방공간구성은 폐쇄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 내부의 자연적인 채광과 환기를 유지하며, 이로 인해 에너지 절약에도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실내디자인을 평가하는 기준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기능성
  2. 경제성
  3. 주관성
  4. 심미성
(정답률: 73%)
  • 실내디자인을 평가하는 기준 중에서 "주관성"은 개인의 취향과 감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다른 기준들과는 다르게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주관성은 다른 기준들과는 관계가 덜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게슈탈트 이론 중 반전도형의 그림이 아닌 것은?

(정답률: 49%)
  • 정답은 ""이다.

    반전도형은 주어진 도형을 뒤집어서 새로운 도형을 만드는 것이다. ""과 ""는 각각 원과 삼각형을 뒤집어서 새로운 도형을 만들 수 있으므로 반전도형이다. ""은 원과 삼각형이 겹쳐져 있어서 뒤집을 수 없으므로 반전도형이 아니다. ""는 반전도형이 아니며, 주어진 도형을 뒤집어도 새로운 도형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실내 치수 계획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주택 침실의 반자높이 2.3m
  2. 상점내의 계단 단높이 25㎝
  3. 주택 출입문의 폭 90㎝
  4. 부엌 조리대의 높이 85㎝
(정답률: 48%)
  • 상점내의 계단 단높이 25㎝은 국내 건축법상 최소 단차 높이인 30㎝보다 낮기 때문에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계단을 오르내릴 때 발을 놓는 높이가 너무 낮아 발을 다치거나 실수로 넘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점내의 계단 단높이 25㎝은 실내 치수 계획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부엌의 작업삼각대를 이루는 가구의 배치 순서는?

  1. 준비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
  2. 준비대-조리대-개수대-가열대-배선대
  3. 준비대-가열대-개수대-조리대-배선대
  4. 준비대-개수대-가열대-조리대-배선대
(정답률: 79%)
  • 부엌에서 작업삼각대는 요리를 할 때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사용하는 가구들의 배치 순서를 말합니다. 이 작업삼각대는 준비대, 조리대, 가열대, 배선대, 개수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먼저 준비대는 식재료를 손질하고 조리하기 전에 필요한 공간으로, 식재료를 씻고 자르는 등의 작업을 합니다. 따라서 준비대는 조리하기 전에 위치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개수대는 식재료를 보관하는 공간으로, 식재료를 꺼내서 사용하거나 버리는 등의 작업을 합니다. 따라서 개수대는 준비대와 조리대 사이에 위치해야 합니다.

    조리대는 요리를 하는 공간으로, 식재료를 조리하고 음식을 만드는 등의 작업을 합니다. 따라서 조리대는 개수대와 가열대 사이에 위치해야 합니다.

    가열대는 요리를 할 때 필요한 가스레인지나 전기레인지 등의 가열기구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요리를 할 때 필수적인 가구입니다. 따라서 가열대는 조리대와 배선대 사이에 위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배선대는 전기나 가스 등의 배관이나 전선이 위치하는 공간으로, 부엌에서는 안전상 중요한 가구입니다. 따라서 배선대는 가열대와 개수대 사이에 위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준비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가 부엌의 작업삼각대를 이루는 가구의 배치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실내공간의 사용 목적에 의한 분류 중 틀린 것은?

  1. 숙박공간 - 호텔, 유스호스텔, 오피스텔
  2. 전시공간 - 박물관, 미술관
  3. 판매공간 - 백화점, 쇼핑센타, 전문점
  4. 주거공간 - 단독주택, 공동주택
(정답률: 72%)
  • "숙박공간 - 호텔, 유스호스텔, 오피스텔"은 실내공간의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중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오피스텔은 주거용이며, 숙박을 위한 공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상점내 동선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종업원 동선의 폭은 최소 75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2. 종업원 동선은 판매 종업원의 주업무인 판매 행위와 그밖에 관련된 출납ㆍ사무업무 등을 위한 작업동선을 말한다.
  3. 고객의 동선은 짧고 간단하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4. 고객 동선은 흐름의 연속성이 상징적ㆍ지각적으로 분활되지 않는 수평적 바닥이 되도록 한다.
(정답률: 78%)
  • "고객의 동선은 짧고 간단하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고객의 동선이 짧고 간단하다고 해서 항상 이상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고객이 상품을 찾기 어려워하거나, 상품의 종류가 많아서 여러 곳을 돌아다녀야 하는 경우에는 고객의 동선이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고객의 편의성과 상품의 진열 방식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동선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주택의 개인공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개인의 기호, 취미나 개성이 나타나도록 계획한다.
  2. 침실, 주방, 서재, 공부방 등을 말한다.
  3. 프라이버시(privacy)가 존중되어져야 한다.
  4. 욕실, 화장실, 세면실 등의 생리위생공간도 개인공간에 해당된다.
(정답률: 60%)
  •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주택의 개인공간은 개인의 기호와 취향을 반영하며, 침실, 주방, 서재, 공부방 등을 포함합니다. 또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며, 욕실, 화장실, 세면실 등의 생리위생공간도 개인공간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방풍 및 열손실을 최소로 줄여주는 반면 통행의 흐름을 완만히 해주는데 가장 유리한 출입문 방식은?

  1. 미닫이문
  2. 회전문
  3. 여닫이문
  4. 미서기문
(정답률: 73%)
  • 회전문은 방풍 및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출입문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는 회전문이 여러 개의 패널로 구성되어 있어, 출입문을 통과할 때 한 번에 하나의 패널만 열리기 때문입니다. 또한, 회전문은 통행의 흐름을 완만하게 해주는데, 이는 회전문이 회전하면서 출입문을 통과하는 사람들의 방향을 자연스럽게 조정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풍 및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통행의 흐름을 완만하게 해주는 출입문 방식으로 회전문이 가장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황금비례의 비율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1:1.628
  2. 1:1.428
  3. 1:1.618
  4. 1:1.518
(정답률: 83%)
  • 황금비례는 대략적으로 1:1.618의 비율을 가지며, 이는 자연계에서 많이 나타나는 비율입니다. 이 비율은 사람의 신체 비율부터 시작하여 식물의 성장, 건축물의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1.61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디자인 프로세스 중 기획단계에서 진행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고객조사
  2. 부지조사
  3. 이미지 개념 도출
  4. 법규 등 건축규제 조사
(정답률: 49%)
  • 이미지 개념 도출은 디자인 프로세스의 기획단계에서 진행되는 내용이 아닙니다. 이미지 개념 도출은 디자인의 초기 단계에서 진행되며, 디자인 프로세스의 기획단계에서는 고객조사, 부지조사, 법규 등 건축규제 조사 등이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디자인의 기본요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점은 선의 양끝, 선의 교차, 선의 굴절, 면과 선의 교차에서 나타난다.
  2. 점은 어떤 형상을 규정하거나 한정하고, 면적을 분할 한다.
  3. 2차원적 형상에 깊이나 볼륨을 더하면 3차원적 형태가 창조된다.
  4. 평면이란 완전히 평평한 면을 말하는데 이는 선들이 교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정답률: 66%)
  • 정답은 "점은 어떤 형상을 규정하거나 한정하고, 면적을 분할 한다."이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점은 디자인의 기본 요소 중 하나로, 선이 교차하거나 굴절하거나 양 끝점을 가지고 있을 때 나타난다. 이 점은 어떤 형상을 규정하거나 한정하고, 면적을 분할하는 역할을 한다.

    2차원적 형상에 깊이나 볼륨을 더하면 3차원적 형태가 창조되며, 평면은 완전히 평평한 면을 말하는데 이는 선들이 교차함으로써 이루어진다는 것도 디자인의 기본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실내디자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실내디자인은 대상 공간의 기능보다 장식을 더 고려한다.
  2. 실내디자인은 인간 공학적인 내용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
  3. 실내디자인은 실내공간만을 다루는 것으로 건축적인 내용은 고려하지 않는다.
  4. 실내디자인은 기능과 아름다움, 쾌적함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83%)
  • 실내디자인은 사용자의 편의와 기능성을 고려하면서도 아름다움과 쾌적함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실내디자인은 기능과 아름다움, 쾌적함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가 가장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의 각 선이 가지는 느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직선 - 생동감 넘치는 에너지
  2. 수평선 - 무한으로 펼쳐지는 지평선
  3. 사선 - 상승·하강에서 오는 약동감
  4. 곡선 - 유연, 우아, 경쾌, 풍요
(정답률: 64%)
  • "곡선 - 유연, 우아, 경쾌, 풍요"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곡선은 유연하고 우아하며 풍요로운 느낌을 줄 수 있지만, 경쾌한 느낌은 주지 않습니다.

    수직선은 세로 방향으로 끝이 없이 뻗어나가는 모습으로 생동감 넘치는 에너지를 상징합니다. 이는 높이, 권위, 힘 등의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디자인 원리인 통일과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변화는 적절한 절제가 되지 않으면 공간의 통일성을 깨트린다.
  2. 조형에 대한 부수적 요소가 된다.
  3. 디자인에서 통일은 다양한 변화를 의미한다.
  4. 통일과 변화는 상호 대립된 관계로 서로 공존할 수 없다.
(정답률: 68%)
  • 디자인에서 통일과 변화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이다. 통일은 디자인의 일관성과 조화를 유지하며, 변화는 디자인에 활기와 창의성을 더해준다. 그러나 변화가 지나치게 많거나 과도하게 적용되면 디자인의 일관성을 깨트리고 혼란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변화는 적절한 절제가 필요하다. 이것이 "변화는 적절한 절제가 되지 않으면 공간의 통일성을 깨트린다."라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상징적 경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경계를 만들지 않는 것이다.
  2. 담을 쌓은 후 상징물을 설치하는 것이다.
  3. 물리적 성격이 약화된 시각적 영역표시를 말한다.
  4. 슈퍼그래픽을 말한다.
(정답률: 58%)
  • 상징적 경계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경계가 아니라 시각적으로 표시된 경계를 말하는데, 이 때 물리적 성격이 약화된 시각적 영역표시를 사용한다. 즉, 경계를 만들지 않고도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실내디자인의 계획조건 중 외부적 조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계획대상에 대한 교통수단
  2. 기둥, 보, 벽 등의 위치와 간격치수
  3. 소화설비의 위치와 방화구획
  4. 실의 규모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
(정답률: 70%)
  • 외부적 조건은 건물의 위치, 주변환경, 건축법규 등과 같이 건축물 외부에서 주어지는 조건을 말합니다. 하지만 "실의 규모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은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요구사항으로, 따라서 외부적 조건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건축물 내부에서 필요로 하는 공간의 크기, 배치 등을 고려하여 실내디자인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천장에 매달려 조명하는 방식으로 조명기구 자체가 빛을 발하는 악세사리 역할을 하는 조명방식은?

  1. 다운라이트(down light)
  2. 스포트라이트(spot light)
  3. 펜던트(pendant)
  4. 브라켓(bracket)
(정답률: 70%)
  • 펜던트 조명은 천장에 매달려 있는 조명기구 자체가 빛을 발하는 방식으로, 악세사리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천장에서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조명을 제공하며, 다운라이트나 스포트라이트와는 달리 집중적인 조명이 아닌 일반적인 조명을 제공합니다. 브라켓은 벽에 부착되는 조명기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그리스 신전건축에서 사용된 착시교정 수법이 아닌 것은?

  1. 모서리쪽의 기둥 간격을 보다 좁혀지게 만들었다.
  2. 기둥을 옆에서 볼 때 중앙부가 약간 부풀어 오르도록 만들었다.
  3. 기둥과 같은 수직 부재를 위쪽으로 갈수록 약간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만들었다.
  4. 아키트레이브, 코니스 등에 의해 형성되는 긴 수평선을 아래쪽으로 약간 불룩하게 만들었다.
(정답률: 30%)
  • "아키트레이브, 코니스 등에 의해 형성되는 긴 수평선을 아래쪽으로 약간 불룩하게 만들었다."가 아닌 것은 "모서리쪽의 기둥 간격을 보다 좁혀지게 만들었다."입니다. 이유는 그리스 신전 건축에서는 기둥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원칙 중 하나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 및 인간공학

21. 시각과 관계되는 잔상(殘像)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양잔상에서는 흑색은 흑색, 백색은 백색으로 보인다.
  2. 음잔상에서는 흑백이 뒤바뀐다.
  3. 유채색일 경우는 실제 본 색의 보색이 잔상으로 남는다.
  4. 각막의 자극 후 시신경에 흥분이 사라진 상태를 말한다.
(정답률: 57%)
  • 각막의 자극 후 시신경에 흥분이 사라진 상태를 말한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잔상은 시각 정보가 뇌에서 처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시신경에 흥분이 사라진 상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인간의 피부면에 가장 넓게 포진되어 있으며 가장 빨리 대뇌에 전달되는 감각은?

  1. 통각
  2. 온각
  3. 압각
  4. 미각
(정답률: 71%)
  • 통각은 인체의 피부면에 가장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 온도, 진동 등의 자극을 빠르게 감지하여 대뇌에 전달합니다. 따라서 통각은 가장 빠르게 대뇌에 전달되는 감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청각과 관계된 음의 측정단위를 나타낸 것 중 음의 측정단위와 관계 없는 것은?

  1. watt/cm2
  2. dyne/cm2
  3. decibel(dB)
  4. cm/sec2
(정답률: 35%)
  • 음의 측정단위는 소리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cm/sec2"는 소리의 강도와는 관련이 없는 단위이다. "watt/cm2"는 소리의 에너지 밀도를, "dyne/cm2"는 소리의 압력을, "decibel(dB)"는 소리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인간의 오류(human error)와 관련된 설명이다. 거리 가장 먼 것은?

  1. 인간이 오류를 범하여도 시스템이 안전하도록 설계하는 fail safe, fool proof개념을 도입하여 작업장을 설계한다.
  2. 오류의 근원적인 원인을 찾아내서 제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3. 교육, 훈련의 효과가 가장 직접적이므로, 적절한 보상과 함께 실시한다.
  4.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하여 사전에 작업내용을 숙지시키면 큰 효과가 있다.
(정답률: 38%)
  • "교육, 훈련의 효과가 가장 직접적이므로, 적절한 보상과 함께 실시한다." 인 이유는 인간의 오류는 대부분 인간의 부주의, 경험 부족,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교육과 훈련을 통해 인간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오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적절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교육과 훈련에 대한 참여와 노력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추천반사율이 가장 낮은 것은?

  1. 가구
  2. 바닥
  3. 천장
(정답률: 54%)
  • 바닥은 추천반사율이 가장 낮은 것이다. 이는 바닥이 빛을 반사하기보다는 대부분 흡수하기 때문이다. 벽과 천장은 일반적으로 밝은 색상으로 칠해져 있어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추천반사율이 높다. 가구는 표면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나무나 금속 등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져 있어 추천반사율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인간의 청각을 고려한 신호 표현을 구상할 때 틀린 것은?

  1. 지나치게 고강도의 신호를 피한다.
  2. 주변 소음 수준에 상대적인 세기로 설정한다.
  3. 청각으로 과부하 되지 않게 한다.
  4. 지속적인 신호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정답률: 62%)
  • "지나치게 고강도의 신호를 피한다."가 틀린 것이다. 인간의 청각은 일정한 강도 이상의 소리에 대해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고강도의 신호를 완전히 피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절한 강도로 조절하여 청각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지나치게 고강도의 신호를 피한다."는 올바르지 않은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인체 측정치 중 앉은 눈높이의 올바른 설명은?

  1. 앉은 의자면에서 눈섭까지의 수직거리
  2. 앉은 의자의 다리 끝에서 눈섭까지의 수직거리
  3. 앉은 의자면에서 눈까지의 수직거리
  4. 앉은 의자의 다리 끝에서 눈까지의 수직거리
(정답률: 36%)
  • 앉은 눈높이는 사람이 앉은 의자에서 눈까지의 수직거리를 의미합니다. 다리 끝에서 눈까지의 거리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앉은 의자면에서 눈까지의 수직거리"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반적인 경우 강당에 설치하는 스피커의 가장 이상적인 위치는?

  1. 관객의 머리 높이 정도
  2. 무대 높이 정도
  3. 관객의 머리위, 20∼25˚정도
  4. 무대보다 높은 위치, 10∼15˚정도
(정답률: 48%)
  • 강당에서 스피커를 무대보다 높은 위치, 10∼15˚정도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위치인 이유는, 이 위치에서 스피커가 발하는 소리가 관객에게 최대한 균일하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스피커가 무대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면, 스피커에서 발하는 소리가 무대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혼합되지 않아서 음질이 더욱 개선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감성공학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인간의 심상을 구체적인 물리적인 요소로 번역하는 기술을 말한다.
  2. 감성공학은 구미에서 주로 개발된 기법이다.
  3. 자동차나 전자제품 등을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개발할 때 적용할 수 있다.
  4. 감성공학과 기존 기술체계와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정서적 충족과 물리적 편리성의 확보라는 목표에 있다.
(정답률: 70%)
  • "감성공학은 구미에서 주로 개발된 기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감성공학은 일본의 기술로 개발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무색의 광선을 착색하려면 희망하는 색을 반사면에 칠하는 데 이는 색채의 어느 기능 때문인가?

  1. 색채조절 기능
  2. 광색(光色)조절 기능
  3. 휘도(輝度)조절 기능
  4. 명시도(明視度)조절 기능
(정답률: 60%)
  • 광선이 물체에 닿으면 그 물체는 일부 색깔의 빛을 흡수하고 일부 색깔의 빛을 반사합니다. 이때, 우리가 보는 색깔은 반사된 빛의 색깔입니다. 따라서, 무색의 광선을 착색하려면 희망하는 색을 반사면에 칠하는 것입니다. 이는 광색(光色)조절 기능으로, 색깔을 조절하여 원하는 색깔을 만들어내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오스트발트 색상분할의 기본이 되었던 이론은?

  1. 색료의 3원색 이론
  2. 헤링의 4원색 이론
  3. 먼셀의 색상환 이론
  4. 빛의 3원색 이론
(정답률: 32%)
  • 헤링의 4원색 이론은 인간의 눈이 인식하는 색상을 빨강, 녹색, 파랑, 밝기(흰색) 4가지 원색으로 분해하여 이를 조합하여 모든 색상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오스트발트 색상분할의 기본이 되었으며, 현대 컴퓨터 그래픽스에서도 RGB 색상 모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난색과 한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파랑, 남색, 청록색은 한색에 속한다.
  2. 연두와 보라는 난색과 한색의 중간으로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3. 빨강, 주황, 노랑은 난색에 속한다.
  4. 한색은 일반적으로 난색보다 사람에게 친근감을 준다.
(정답률: 56%)
  • "연두와 보라는 난색과 한색의 중간으로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한색은 일반적으로 난색보다 사람에게 친근감을 준다는 이유는, 한색은 보통 자연에서 자주 나타나는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초록색은 자연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나무, 식물, 잔디 등의 색상이기 때문에 우리에게 친숙하고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반면에, 난색은 보통 자연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색상이기 때문에 우리에게 덜 친숙하고 생소해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가장 연하고 부드러운 느낌의 색은?

  1. 채도가 높고 명도가 낮은 색
  2. 채도가 낮고 명도가 높은 색
  3. 채도, 명도 모두 낮은 색
  4. 채도, 명도 모두 높은 색
(정답률: 44%)
  • 채도가 낮고 명도가 높은 색은 색상의 선명도가 낮고 밝은 느낌을 주기 때문에 연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습니다. 채도가 높은 색은 색상의 선명도가 높아서 강렬하고 화려한 느낌을 주고, 명도가 낮은 색은 어두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연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표현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색광의 3원색이 아닌 것은?

  1. yellow
  2. red
  3. green
  4. blue
(정답률: 58%)
  • 색광의 3원색은 빨강, 초록, 파랑입니다. 따라서, "yellow"는 색광의 3원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편안함, 안정감을 상징하는 색은?

  1. 녹색
  2. 파랑
  3. 보라
  4. 주황
(정답률: 64%)
  • 녹색은 자연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색으로, 식물이나 나무 등과 연관되어 있어서 안정감과 편안함을 상징하는 색으로 인식됩니다. 또한, 녹색은 눈에 자극을 주지 않아서 시력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편안한 느낌을 주는 색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린아이 옷의 흰색과 노랑 배색이 주는 느낌은?

  1. 경쾌하다.
  2. 중후하다.
  3. 침착하다.
  4. 균형적이다.
(정답률: 75%)
  • 어린아이 옷의 흰색과 노랑 배색은 밝고 화사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경쾌하다"라는 답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색의 진출, 후퇴의 일반성으로 틀린 것은?

  1. 난색계는 한색계보다 진출성이 있다.
  2. 배경색의 채도가 낮은 것에 대한 높은 색은 진출한다.
  3. 배경색과의 명도차가 큰 밝은 색은 진출한다.
  4. 배경색의 채도가 높은 것에 대한 낮은 색은 진출한다.
(정답률: 51%)
  • 정답은 "배경색의 채도가 높은 것에 대한 낮은 색은 진출한다." 이다.

    이유는 배경색의 채도가 높을수록 눈에 더욱 강한 자극을 주기 때문에, 이에 대비하여 색의 진출이 일어난다. 따라서 배경색의 채도가 높은 것에 대한 낮은 색은 진출한다는 것은 오히려 반대의 개념이므로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한 번 분광(分光)된 빛은 다시 프리즘을 통과시켜도 그 이상 분광되지 않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가시광선(可視光線)
  2. X 선
  3. 스펙트럼(Spectrum)
  4. 단색광(單色光)
(정답률: 38%)
  • 단색광은 한 번 분광된 빛이 특정한 파장(또는 주파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시 프리즘을 통과시켜도 그 이상 분광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해당 빛이 하나의 파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파장의 빛과 혼합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따라서 단색광은 분광분석 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색채계획 과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색채환경분석 : 경합업계의 사용색을 분석
  2. 색채심리분석 : 색채구성능력과 심리조사
  3. 색채전달계획 : 아트 디렉션의 능력이 요구되는 단계
  4. 디자인에 적용 : 색채규격과 컬러메뉴얼을 작성하는 단계
(정답률: 34%)
  •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색채전달계획 : 아트 디렉션의 능력이 요구되는 단계"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색채전달계획은 색채환경분석과 색채심리분석을 바탕으로 디자인에 적용할 색채를 선정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계획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아트 디렉터나 그래픽 디자이너 등의 전문가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색채의 여러 지각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중성색과 난색을 대비시키면 중성색이 따뜻하게 느껴진다.
  2. 두 색이 붙어있는 경계 언저리에서는 대비현상이 약하게 일어난다.
  3. 섬세한 줄무늬처럼 주위를 둘러싼 면적이 작을 때는 주위색과 가깝게 느껴진다.
  4. 보색끼리 대비시키면 두 색의 선명도가 떨어져 보인다.
(정답률: 35%)
  • 섬세한 줄무늬처럼 주위를 둘러싼 면적이 작을 때는 주위색과 가깝게 느껴진다. 이는 작은 면적에서는 색의 대비가 더욱 강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재료

41. 다음의 각종 석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안산암은 강도, 경도, 비중이 크고 내화력도 우수하다.
  2. 화강암은 질이 단단하고 내구성 및 강도가 크고 외관이 수려하며, 절리의 거리가 비교적 커서 대재를 얻을 수 있다.
  3. 대리석은 강도가 높고 산에 강하기 때문에 실외용으로 사용이 적합하다.
  4. 점판암은 석질이 치밀하고 박판으로 채취할 수 있으므로 슬레이트로서 지붕 등에 사용된다.
(정답률: 63%)
  • "대리석은 강도가 높고 산에 강하기 때문에 실외용으로 사용이 적합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점토제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과소벽돌은 형태와 색채가 고르지 못하고, 균열이 많아 견고하지 못하다.
  2. 타일의 착색재료에는 주로 금속산화물을 이용한다.
  3. 테라코타는 건축물의 패러핏, 주두 등의 장식에 사용되는 공동의 대형 점토제품을 말한다.
  4. 내화벽돌의 내화도는 S.K.번호로 나타내며 No.26부터 내화벽돌로 본다.
(정답률: 26%)
  • "과소벽돌은 형태와 색채가 고르지 못하고, 균열이 많아 견고하지 못하다."가 틀린 것이다. 과소벽돌은 형태와 색채가 다양하며, 균열이 적어 견고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골재의 함수량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1. 흡수량 = 표면건조 내부포수상태 함수량
  2. 표면수량 = 습윤상태 함수량 - 기건상태 함수량
  3. 유효 흡수량 = 표면건조 내부포수상태 함수량 - 기건상태 함수량
  4. 기건상태 함수량 = 습윤상태 함수량 - 유효흡수량 - 표면수량
(정답률: 26%)
  • "기건상태 함수량 = 습윤상태 함수량 - 유효흡수량 - 표면수량"이 틀린 것입니다.

    표면수량은 골재 표면에 존재하는 물의 양을 의미하며, 습윤상태 함수량은 골재 내부와 표면에 존재하는 물의 양을 모두 포함한 값입니다. 따라서 표면수량을 빼면 골재 내부에 있는 물의 양인 기건상태 함수량이 됩니다.

    흡수량은 골재가 물을 흡수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표면건조 내부포수상태 함수량은 골재 내부의 포수에 있는 물의 양을 의미합니다. 유효 흡수량은 골재가 흡수할 수 있는 최대 물의 양을 의미하며, 이 값은 표면건조 내부포수상태 함수량에서 기건상태 함수량을 뺀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미장재료의 종류와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멘트 모르타르는 시멘트를 결합재로 하고 모래를 골재로 하여 이를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수경성 미장재료이다.
  2. 테라조 현장바름은 주로 바닥에 쓰이고 벽에는 공장제품 테라조판을 붙인다.
  3. 소석회는 돌로마이트 플라스터에 비해 점성이 높고, 작업성이 좋기 때문에 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4. 석고플라스터는 경화ㆍ건조시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며 내화성이 높다.
(정답률: 60%)
  • "소석회는 돌로마이트 플라스터에 비해 점성이 높고, 작업성이 좋기 때문에 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이다. 소석회는 작업성이 좋고 풀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보다는 점성이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목재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열전도율이 커서 보온 효과가 떨어진다.
  2. 비중이 작은데 비해 강도가 크다.
  3. 수액을 제거하고 건조하면 건조속도가 빨라진다.
  4. 가공이 용이하고 재질이 부드럽다.
(정답률: 63%)
  • "열전도율이 커서 보온 효과가 떨어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열전도율이 낮을수록 보온 효과가 높아진다. 이유는 열전도율이 낮을수록 열이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재는 보온재로 많이 사용되며,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등과는 달리 보온성이 뛰어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철강의 부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토양속에서의 강재부식은 전기전도도가 낮을수록, pH값이 높을수록 빠르다.
  2. 철강의 표면은 대기중의 습기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수산화제이철, 수산화제일철 및 탄산철 등으로 구성되는 녹을 발생시킨다.
  3. 물 특히 바닷물 속에서 부식되기 쉬우며, 물과 공기에 번갈아 접촉시키면 더욱 부식되기 쉽다.
  4. 철근콘크리트 중의 철근 부식은 콘크리트의 성질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정답률: 30%)
  • "토양속에서의 강재부식은 전기전도도가 낮을수록, pH값이 높을수록 빠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전기전도도가 높을수록, pH값이 낮을수록 강재부식이 더 빠르게 일어납니다. 이는 전기전도도가 높을수록 전해질 수 있는 전하의 양이 많아져 부식 반응이 촉진되기 때문이며, pH값이 낮을수록 산성 환경에서 철의 부식이 더욱 촉진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돌로마이트에 화강석부스러기, 색모래, 안료 등을 섞어 정벌바름하고 충분히 굳지 않은 때에 표면을 거친 솔 등으로 긁어 거칠게 마무리 하는 미장바름은?

  1. 리신바름
  2. 라프코트
  3. 흙벽바름
  4. 섬유벽바름
(정답률: 57%)
  • 리신바름은 돌로마이트에 다양한 물질을 섞어 바른 후 거칠게 마무리하는 미장바름 기술이다. 이 때 사용되는 솔 등으로 표면을 긁어 거칠게 마무리하므로,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리신바름"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광선에 대한 굴절율이 크나 열(熱),산(酸)에는 약하고 쉽게 용융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광학렌즈, 고급식기, 모조보석용으로 쓰이는 유리는?

  1. 소다석회유리
  2. 고규산유리
  3. 칼륨석회유리
  4. 칼륨연유리
(정답률: 15%)
  • 칼륨연유리는 광선의 굴절율이 크고 열과 산에 약하며 쉽게 용융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광학렌즈, 고급식기, 모조보석 등에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굴절율이 작거나 열과 산에 강하거나 용융이 어려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칼륨연유리와는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투명도가 극히 높고 항공기의 방풍유리나 조명기구, 도료, 접착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유기(有機)유리로 불리어지는 것은?

  1. 염화비닐 수지
  2. 에폭시 수지
  3. 실리콘 수지
  4. 메타크릴 수지
(정답률: 33%)
  • 유기유리는 투명하고 경도가 높으며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항공기의 방풍유리나 조명기구, 도료, 접착제 등에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메타크릴 수지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광택이 우수하여 항공기의 유리창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타크릴 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목재 및 기타 식물의 섬유질소편에 합성수지접착제를 도포하여 가열압착성형한 판상제품은?

  1. 합판
  2. 파티클보드
  3. 집성목재
  4. 파키트리보드
(정답률: 66%)
  • 목재 및 기타 식물의 섬유질소편에 합성수지접착제를 도포하여 가열압착성형한 판상제품은 파티클보드입니다. 이는 합판과는 달리 작은 파티클이 모여서 만들어지는 제품으로, 원목을 잘게 분쇄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자원활용도가 높고 생산성이 높아 경제적입니다. 또한 파티클보드는 합판보다 더욱 안정적이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도료의 사용 용도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아스팔트 페인트 : 방수, 방청, 전기절연용으로 사용
  2. 유성 바니쉬 : 내후성이 우수하여 외부용으로 사용
  3. 징크로메이트 : 알루미늄판이나 아연철판의 초벌용으로 사용
  4. 합성수지페인트 : 콘크리트나 플라스터면에 사용
(정답률: 26%)
  • 유성 바니쉬는 내후성이 우수하여 외부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점토제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외장타일은 건식으로 제조한 것이 많이 쓰인다.
  2. 보통벽돌이 적색 또는 적갈색을 띠고 있는 것은 원료점토 중에 포함되어 있는 산화철에 기인한다.
  3. 오지벽돌은 점토에 톱밥, 겨, 탄가루 등을 혼합, 소성한 것으로 방음, 흡음성이 좋다.
  4. 테라코타는 흡수성이 높아 구조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35%)
  • 보통벽돌이 적색 또는 적갈색을 띠고 있는 것은 원료점토 중에 포함되어 있는 산화철에 기인한다. 이는 원료점토가 산화철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며, 소성 과정에서 산화철이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벽돌의 색상을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제품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원료는 백색포틀랜드 시멘트이다.
  2.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다공질이고 열전도율이 낮다.
  3. 물에 노출되지 않는 곳에서 사용하도록 한다.
  4. 보통콘크리트에 비하여 중성화의 우려가 높다.
(정답률: 34%)
  • "주원료는 백색포틀랜드 시멘트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ALC의 주원료는 시멘트, 실리카, 석고 등이 혼합된 혼합재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창호 철물 중 오르내리창을 잠그는데 사용되는 것은?

  1. 도어스톱
  2. 피봇힌지
  3. 도어체크
  4. 크레센트
(정답률: 41%)
  • 크레센트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렌치로, 오르내리창을 잠그는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문과 관련된 부품이지만, 크레센트는 철물점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유성페인트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저온다습할 경우 특히 건조시간이 길다.
  2. 붓바름 작업성 및 내후성이 뛰어나다.
  3. 보일유와 안료를 혼합한 것을 말한다.
  4.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58%)
  •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유성페인트는 보일유와 안료를 혼합한 것으로, 붓바름 작업성 및 내후성이 뛰어나며, 저온다습할 경우 건조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해당 제품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기경성 미장재료로 묶어 놓은 것은?

  1.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테라조바름
  2. 테라조바름, 회반죽
  3.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회반죽
  4. 석고 플라스터,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정답률: 38%)
  • 기경성은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재료로 사용되는데, 이 중에서도 돌로마이트 플라스터와 회반죽은 둘 다 석회를 주 원료로 하여 만들어지는 미장재료이기 때문에 함께 묶어 놓은 것입니다.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석회와 천연석재 분말 등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미장재료이며, 회반죽은 석회와 모래, 물 등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미장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급경성으로 내알칼리성 등의 내화학성이나 접착력이 크고 내수성이 우수하며 금속, 석재, 도자기, 유리, 콘크리트, 플라스틱재 등의 접착에 모두 사용되는 접착제는?

  1. 페놀수지 접착제
  2. 요소수지 접착제
  3. 멜라민수지 접착제
  4. 에폭시수지 접착제
(정답률: 61%)
  •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내화학성이나 내알칼리성이 뛰어나며, 접착력과 내수성이 우수합니다. 또한 금속, 석재, 도자기, 유리, 콘크리트, 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재질에 모두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에폭시수지 접착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의 목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전단강도를 제외하고 응력의 방향이 섬유방향에 평행한 경우 강도가 최대가 된다.
  2. 함수율이 30% 이하에서는 함수율의 감소에 따라 강도가 저하된다.
  3. 일반적으로 동일 수종에서는 변재의 강도가 심재보다 크다.
  4. 압축력과 인장력의 변형률은 섬유방향에 관계없이 인장 시의 변형률이 더 크다.
(정답률: 38%)
  • "일반적으로 전단강도를 제외하고 응력의 방향이 섬유방향에 평행한 경우 강도가 최대가 된다."라는 설명은 목재의 섬유구조 때문입니다. 목재는 수직 방향으로는 약하고 수평 방향으로는 강한 섬유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섬유 방향에 평행한 응력이 가해질 때 가장 강한 강도를 나타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의 비철금속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알루미늄은 융점이 높기 때문에 용해주조도는 좋지 않으나 내화성이 우수하다.
  2. 황동은 동과 주석 또는 기타의 원소를 가하여 합금한 것으로 청동과 비교하여 주조성이 우수하다.
  3. 니켈은 아황산 가스가 있는 공기에서는 부식되지 않지만 수중에서는 색이 변한다.
  4. 납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방사선의 투과도가 낮아 건축에서 방사선 차폐용 벽체에 이용된다.
(정답률: 41%)
  • 납은 방사선의 투과도가 낮기 때문에 방사선 차폐용 벽체에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골재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골재의 강도는 콘크리트 중의 경화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보다 작아야 한다.
  2. 잔골재의 염분허용한도는 0.4%(NaCl)이하이어야 한다.
  3. 실적률이 큰 골재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마모저항과 내구성이 감소된다.
  4. 입도란 골재의 대소립이 혼합하여 있는 정도를 말하며 입도시험은 체분석시험이 사용된다.
(정답률: 29%)
  • 입도란 골재의 대소립이 혼합하여 있는 정도를 말하며 입도시험은 체분석시험이 사용된다. 이는 골재의 입도 분포를 파악하여 적절한 크기의 골재를 선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적절한 입도 분포를 가진 골재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되며, 반대로 실적률이 큰 골재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마모저항과 내구성이 감소된다. 따라서 입도 분포를 파악하는 입도시험은 콘크리트 제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일반

61. PC(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구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골조를 구성하는 대개의 부재가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품질의 향상, 공기단축 등의 이점이 있다.
  2. 사전에 창호, 설비용의 파이프 등을 설치해 둘 수가 있다.
  3. 중층의 공동 주택에 많이 쓰인다.
  4. PC 부재의 접합(이음)부가 크면 클수록 좋다.
(정답률: 47%)
  • PC 구조의 특징은 "PC 부재의 접합(이음)부가 크면 클수록 좋다." 가 아니다. PC 구조의 특징으로는 골조를 구성하는 대개의 부재가 공장에서 제작되어 품질의 향상과 공기단축 등의 이점이 있다는 것, 사전에 창호나 설비용 파이프 등을 설치해 둘 수 있다는 것, 중층의 공동 주택에 많이 사용된다는 것 등이 있다.

    PC 부재의 접합(이음)부가 크면 클수록 좋은 이유는, 부재의 접합부가 작을수록 강도가 약해지고 변형이 쉬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큰 접합부를 가지는 PC 부재는 더욱 강하고 안정적인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그리스 신전 건축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엔타블레쳐(Entablature)
  2. 버트레스(Buttress)
  3. 페디먼트(Pediment)
  4. 캐피탈(Capital)
(정답률: 14%)
  • 그리스 신전 건축에서 버트레스는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버트레스는 중세 유럽 건축에서 사용되는 구조물로, 벽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리스 신전 건축에서는 엔타블레쳐, 페디먼트, 캐피탈 등이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건축물에 설치하는 방화벽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라야 한다.
  2.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너비 및 높이는 각각 2.5m 이하로 한다.
  3. 방화벽의 양쪽 끝과 위쪽 끝을 건축물의 외벽 및 지붕면으로부터 0.5m 이상 튀어 나오게 한다.
  4.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17%)
  •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너비 및 높이는 각각 2.5m 이하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너비 및 높이는 규정이 없으며, 건축법 시행규칙에서는 출입문의 크기와 위치에 대한 일정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따라서 출입문의 크기는 건축물의 용도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라야 한다."는 방화벽의 구조에 대한 필수적인 조건이다. 방화벽은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확산을 막고,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방화벽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여야 하며,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방화벽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다.

    "방화벽의 양쪽 끝과 위쪽 끝을 건축물의 외벽 및 지붕면으로부터 0.5m 이상 튀어 나오게 한다."는 방화벽의 구조에 대한 규정 중 하나이다. 이는 방화벽이 화재가 발생했을 때 외벽이나 지붕면으로부터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화재의 확산을 막기 위한 것이다.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는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에 대한 규정 중 하나이다. 갑종방화문은 화재가 발생했을 때 출입문을 막아 화재의 확산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일체식 구조에 해당하는 것은?

  1. 목구조
  2. 블록구조
  3. 철골구조
  4. 철근콘크리트구조
(정답률: 74%)
  • 일체식 구조란 건물의 구조체가 하나의 단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말한다. 이 중에서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결합하여 하나의 단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일체식 구조에 해당한다. 목구조는 나무를 이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체식 구조가 아니며, 블록구조와 철골구조는 각각 벽돌과 철골로 이루어져 있지만, 구조체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일체식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거실의 용도에 따른 조도기준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식사 - 150 룩스
  2. 회의 - 300 룩스
  3. 계산 - 300 룩스
  4. 관람 - 70 룩스
(정답률: 27%)
  • 계산을 할 때는 충분한 조명이 필요하므로 300 룩스가 적절하지만, 식사나 관람을 할 때는 너무 밝은 조명은 불편하므로 150 룩스나 70 룩스가 더 적절합니다. 따라서 "계산 - 300 룩스"가 아닌 "식사 - 150 룩스"나 "관람 - 70 룩스"가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르 꼬르뷔제(Le Corbusier)가 주창한 근대건축의 5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유기적 공간
  2. 필로티
  3. 옥상정원
  4. 자유로운 평면
(정답률: 43%)
  • 정답: "유기적 공간"

    설명: 르 꼬르뷔제가 주창한 근대건축의 5원칙은 다음과 같다.

    1. 필로티 (Pilotis) : 건물을 지탱하는 기둥
    2. 자유로운 평면 (Free Plan) : 벽체 없이 공간을 자유롭게 배치
    3. 옥상정원 (Roof Garden) : 지붕을 정원으로 활용
    4. 수직창 (Ribbon Window) : 수평적인 창문 대신 세로로 긴 창문 사용
    5. 유기적 공간 (Free Façade) : 건물의 외벽을 자유롭게 디자인

    따라서 "유기적 공간"은 르 꼬르뷔제가 주창한 근대건축의 5원칙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방염대상물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전시용 합판
  2. 종이벽지
  3. 카페트
  4. 창문에 설치하는 브라인드
(정답률: 69%)
  • 종이벽지는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불이 번지기 때문에 방염대상물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벽돌쌓기 방식 중 한 켜는 마구리 쌓기, 다음 켜는 길이 쌓기를 교대로 쌓고 모서리에는 이오토막을 사용하는 쌓기법은?

  1. 미식 쌓기
  2. 영식 쌓기
  3. 불식 쌓기
  4. 화란식 쌓기
(정답률: 49%)
  • 이 쌓기 방식은 영국에서 발전한 방식으로, 마구리 쌓기와 길이 쌓기를 교대로 사용하여 벽돌을 쌓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쌓은 벽은 안정성이 뛰어나며, 모서리에는 이오토막을 사용하여 더욱 견고하게 만듭니다. 따라서 이 쌓기 방식은 영식 쌓기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구조기준 및 구조계산에 의하여 그 구조의 안전을 확인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은?

  1. 층수가 2층인 건축물
  2. 연면적이 800m2인 건축물
  3. 처마높이가 9m인 건축물
  4. 기둥과 기둥사이의 거리가 7m인 건축물
(정답률: 52%)
  • 건설교통부령에서 정하는 구조기준 및 구조계산에 의해 그 구조의 안전을 확인해야 하는 대상 건축물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높이가 15m 이상이거나 층수가 5층 이상인 건축물"과 "처마높이가 9m 이상인 건축물"은 반드시 안전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처마높이가 9m인 건축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1897년 오스트리아 비인에서 오토바그너의 영향하에 조셉 호프만이 시작한 운동으로 과거양식에서 분리와 해방을 지향하는 건축운동은?

  1. 쎄제션
  2. 아르누보
  3. 낭만주의
  4. 절충주의
(정답률: 3%)
  • 쎄제션은 과거양식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건축양식을 추구하는 운동으로, 이는 오토바그너와 영향을 받은 조셉 호프만이 시작한 것입니다. 이 운동은 기능성과 현대성을 중시하며, 건축물의 형태와 구조를 분리하여 새로운 건축양식을 창출하고자 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목구조의 각 부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층도리는 2층 마루 바닥이 있는 부분에 수평으로 대는 가로재이다.
  2. 샛기둥은 가새의 옆휨을 막는데 유효하다.
  3. 양식 구조에서는 처마도리 위에 지붕틀을 걸고 지붕틀의 평보 위에 처마도리와 같은 방향으로 깔도리를 걸쳐댄다.
  4. 토대는 기초 위에 가로놓아 상부에서 오는 짐을 기초에 전달하며, 기둥 밑을 고정하고 벽을 치는 뼈대가 되는 것이다.
(정답률: 28%)
  • "양식 구조에서는 처마도리 위에 지붕틀을 걸고 지붕틀의 평보 위에 처마도리와 같은 방향으로 깔도리를 걸쳐댄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양식 구조에서는 지붕틀 위에 깔도리를 먼저 놓고 그 위에 처마도리를 놓습니다. 이는 깔도리가 지붕틀과 수직으로 만나는 부분에서 지붕틀의 하중을 균등하게 전달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깔도리와 처마도리의 방향은 서로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연결송수관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닌것은?

  1. 층수가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 6,000m2 이상인 것
  2. 지하층을 포함하는 층수가 7층 이상인 것
  3. 지하층의 층수가 3개층 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것
  4.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1,000m 이상인 것
(정답률: 42%)
  • 연결송수관설비는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1,000m 이상인 것이 아닌 것에 설치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연결송수관설비는 주로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기 위한 시설로, 긴 거리를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지하에 설치됩니다. 따라서 길이가 1,000m 이상인 중 터널은 연결송수관설비를 설치해야 할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건축물과 건축양식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아크로폴리스(Acropolis)-그리스건축
  2. 오벨리스크(obelisk)-메소포타미아건축
  3. 판테온(Pantheon) 신전-로마건축
  4. 아미앵(Amiens)성당-고딕건축
(정답률: 44%)
  • 오벨리스크는 메소포타미아 건축과 연결되지 않습니다. 오벨리스크는 이집트에서 유래한 돌 기둥으로, 이집트 건축과 연관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한국의 목조건축에서 기둥에 사용된 의장기법이 아닌 것은?

  1. 민도리
  2. 귀솟음
  3. 안쏠림
  4. 배흘림
(정답률: 35%)
  • 민도리는 한국의 목조건축에서 사용되는 의장기법이 아닙니다. 민도리는 일본의 목조건축에서 사용되는 기법으로, 기둥의 윗부분을 둥글게 깎아서 귀를 만들어내는 기법입니다. 한국의 목조건축에서는 귀솟음, 안쏠림, 배흘림 등의 의장기법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연약한 지반에서 부동침하를 방지하는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실을 강성체로 설치한다.
  2. 지지말뚝과 마찰말뚝을 혼용한다.
  3. 건물을 경량화한다.
  4. 이웃건물과의 거리를 멀게 한다.
(정답률: 28%)
  • "지지말뚝과 마찰말뚝을 혼용한다"는 옳은 대책입니다. 지반의 상태에 따라 지지말뚝과 마찰말뚝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지지말뚝은 지반의 강도가 약한 경우에 사용하며, 마찰말뚝은 지반의 강도가 강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따라서, 지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말뚝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미장이 안된 표준형 점토벽돌 2.0B 벽두께 치수로 옳은 것은? (공간쌓기 아님)

  1. 390mm
  2. 420mm
  3. 430mm
  4. 450mm
(정답률: 71%)
  • 미장이 안된 표준형 점토벽돌 2.0B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벽돌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벽두께는 390mm이다. 이는 벽돌의 치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2.0B 벽돌의 치수는 가로 200mm, 세로 100mm, 높이 60mm이다. 벽돌을 쌓을 때는 일반적으로 10mm의 모래를 두고 쌓는데, 이를 고려하면 벽돌 2개와 모래 1층을 쌓으면 220mm가 된다. 이를 2층 쌓으면 벽두께는 440mm가 되지만, 벽돌을 쌓을 때 벽돌과 벽돌 사이에는 10mm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440mm에서 10mm를 빼면 최종적으로 벽두께는 430mm가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벽돌을 쌓을 때 벽돌과 벽돌 사이에 10mm가 아닌 5mm의 공간을 두기 때문에, 벽두께는 430mm에서 40mm를 더한 390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9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철골구조와 직접 관계가 없는 용어는?

  1. 스티프너(Stiffner)
  2. 거싯 플레이트(Gusset plate)
  3. 플랜지(Flange)
  4. 스터럽(Stirrup)
(정답률: 39%)
  • 철골구조에서 스타터너, 거싯 플레이트, 플랜지는 모두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속품이다. 하지만 스터럽은 철근이나 강철바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속품으로, 철골구조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스터럽(Stirru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보강콘크리트블록구조의 내력벽의 벽량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0㎝/m2
  2. 15㎝/m2
  3. 20㎝/m2
  4. 25㎝/m2
(정답률: 28%)
  • 보강콘크리트블록구조의 내력벽은 건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물이다. 벽량은 벽의 두께를 의미하며, 내력벽의 벽량은 건물의 높이와 사용용도 등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내력벽의 벽량은 15㎝/m2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이유는 내력벽이 건물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와 두께를 갖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소한 15㎝/m2 이상의 벽량을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8,000m2인 백화점에 설치해야 할 8인승 승용승강기의 최소 대수는?

  1. 2대
  2. 3대
  3. 4대
  4. 5대
(정답률: 20%)
  • 승용승강기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층수와 거실면적에 따라 설치 대수가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거실면적의 합계가 8,000m2이므로, 이를 8인승 승용승강기의 최대 용량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최소 필요 대수를 구할 수 있다.

    8인승 승용승강기의 최대 용량은 보통 630kg이며, 이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1층부터 6층까지의 거실면적 합계: 8,000m2
    - 8인승 승용승강기 1대가 운반할 수 있는 최대 적재물량: 630kg
    - 1대당 운반 가능한 인원 수: 약 8명 (인원 수는 적재물량과 관련이 있으므로 정확한 수치는 다를 수 있음)

    따라서, 1층부터 6층까지의 거실면적 합계를 8인승 승용승강기의 최대 용량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8,000m2 ÷ 630kg ≈ 12.7

    즉, 최소 13대의 8인승 승용승강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최소 대수"를 구하는 것이므로,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13을 대수로 산정하면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정답이 "5대"인 이유를 묻고 있으므로, 5대가 정답인 이유를 설명해보자.

    만약 13대의 승용승강기를 설치한다면, 각 승강기의 이용률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즉, 건물 내부의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최소한의 대수로 건물 내부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수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건물의 층수와 거실면적에 따라 승용승강기의 대수를 결정하는 기준이 있다. 이 기준에 따르면, 6층 이상의 거실면적 합계가 8,000m2인 건물에는 보통 5대의 8인승 승용승강기를 설치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건물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적절한 승용승강기의 대수를 결정하는 기준을 알고 있어야 정확한 답을 도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건축물 중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당해 건축물로부터 바깥으로 나가는 출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판매 및 영업시설중 상점
  2. 의료시설중 장례식장
  3. 업무시설 중 지방자치단체의 청사
  4. 문화 및 집회시설중 전시장
(정답률: 39%)
  • 건설교통부령에 따르면, 출입구가 50m 이내에 있는 경우나 인원수가 적은 경우에는 출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지만,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은 대규모 인원이 모일 수 있으므로 출구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