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3-05)

실내건축산업기사
(2006-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디자인의 원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

  1. 스케일은 물체의 크기와 인체의 관계 그리고 물체 상호 간의 관계를 말한다.
  2. 균형은 실내분위기에 평형감각과 침착함, 안정감 그리고 중량감을 준다.
  3. 리듬은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요소들의 반복으로 나타나는 통제된 운동감이다.
  4. 조화는 모든 시각적 요소에 대하여 극적 분위기를 주는 상반된 성격의 결합에서만 이루어진다.
(정답률: 72%)
  • 조화는 상반된 성격의 결합이 아닌, 시각적 요소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하나의 조화로운 전체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실내디자인의 개념과 가장 관계가 먼 용어는?

  1. 순수예술
  2. 디자인활동
  3. 실행과정
  4. 전문과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순수예술

    순수예술은 예술 작품 자체가 목적이며, 디자인과는 달리 실용성이나 기능성을 강조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실내디자인과는 개념적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반면에 디자인활동, 실행과정, 전문과정은 모두 실내디자인과 관련된 용어들입니다. 디자인활동은 디자인을 위한 활동을 의미하며, 실행과정은 디자인 아이디어를 실제로 구현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전문과정은 디자인 전문가가 되기 위한 교육과정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실내디자이너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실내디자인에 대한 조언을 해주고 도면을 그려준다.
  2. 실내디자인에 사용될 조형물을 직접 제작한다.
  3. 실내디자인에 필요한 문자와 용역을 확정, 주문, 설치 한다.
  4. 실내디자인의 실체가 되는 결과물을 완성한다.
(정답률: 100%)
  • "실내디자인에 사용될 조형물을 직접 제작한다."는 실내디자이너의 역할 중에서도 디자인 요소를 직접 제작하는 것으로, 다른 역할들은 디자인을 계획하거나 구체화하는 역할이지만, 이 역할은 디자인을 실제로 만들어내는 것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모듈(module)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건축, 실내가구의 디자인에서 종류, 규모에 따라 계획자가 정하는 상대적, 구체적인 기준의 단위이다.
  2. 공간크기를 계량하는 기본으로 피보나치 수열을 인간 치수에 적용시킨 단위이다.
  3. 미터법과 같은 절대적, 추상적 단위로 건축, 가구 디자인 등에 응용된다.
  4. 모듈을 설정할 경우 설계기간이나 시공기간이 증가하며 생산비용 또한 증가한다.
(정답률: 54%)
  • 올바른 설명은 "건축, 실내가구의 디자인에서 종류, 규모에 따라 계획자가 정하는 상대적, 구체적인 기준의 단위이다." 이다. 모듈은 디자인에서 크기와 비율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위로, 건축물이나 가구 등의 크기를 일정한 단위로 나누어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디자인의 일관성과 조화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주거공간에 있어 욕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명은 방습형 조명기구를 사용하도록 한다.
  2. 욕실의 색채는 한색계통보다 난색계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방수ㆍ방오성이 큰 마감재를 사용하는 것이 기본이다.
  4. 변기 주위에는 냄새가 나므로 책, 화분 등을 놓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변기 주위에는 냄새가 나므로 책, 화분 등을 놓지 않는다."는 욕실 설명 중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것입니다. 이유는 변기 주위는 위생적인 이유로 물론 냄새가 나기 때문에 책, 화분 등을 놓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천장의 연출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에 의한 연출방법은 구조상 필요한 보나 서까래 등을 그대로 노출시킨 것으로 연등천장 등이 있다.
  2. 디자인에 의한 연출방법은 장식천장 등 인테리어 스타일을 적용한 천장이다.
  3. 소재에 의한 연출방법은 소재가 지닌 아름다움을 그대로 살린 천장이다.
  4. 공공공간의 천장처리는 입구는 높게 하고 내부공간은 낮게 처리하여 개방감과 확장성을 도모한다.
(정답률: 90%)
  • 옳지 않은 설명은 "공공공간의 천장처리는 입구는 높게 하고 내부공간은 낮게 처리하여 개방감과 확장성을 도모한다."가 아닌 다른 설명들이다. 이유는 건축에 의한 연출방법, 디자인에 의한 연출방법, 소재에 의한 연출방법은 모두 옳은 설명이지만, 공공공간의 천장처리는 입구를 낮게 하고 내부공간을 높게 처리하여 개방감과 확장성을 도모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죠닝(Zoning)계획시 고려할 사항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사용자의 취미
  2. 사용자의 특성
  3. 사용목적
  4. 사용빈도
(정답률: 알수없음)
  • 죠닝 계획은 지역 내 다양한 용도의 사용을 조정하여 지역의 개발과 보전을 동시에 이루기 위한 계획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취미는 죠닝 계획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이다. 취미는 일상 생활에서의 즐거움과 행복을 위한 것으로, 지역 내 취미를 즐기는 시설과 공간을 충분히 마련함으로써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취미와 관련 없는 시설이나 공간이 적절하게 배치되지 않으면 지역 주민들의 만족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죠닝 계획 시에는 사용자의 취미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한 공간과 인접된 공간을 연결시키고, 공기와 빛을 통과시켜 통풍과 채광이 가능토록 하며, 전망 및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 실내건축 요소는?

  1. 개구부
  2. 발코니
(정답률: 40%)
  • 개구부는 공간과 인접된 공간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창문이나 문 같은 열림구조물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공기와 빛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어 통풍과 채광이 가능해지며, 전망과 프라이버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구부가 실내건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스페이스 프로그램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조닝
  2. 각실 세부계획
  3. 소요실 판단
  4. 공간별 규모산정
(정답률: 알수없음)
  • 각실 세부계획은 스페이스 프로그램의 단계 중 하나가 아니라, 스페이스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설계 단계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스페이스 프로그램의 단계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각실 세부계획은 설계 단계에서 필요한 작업 중 하나입니다. 각실 세부계획은 우주선 내부의 공간을 구성하는 것으로, 우주선의 크기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마르셀 브로이어(Marcel Breuer)가 디자인한 의자는?

  1. 바르셀로나 의자
  2. 바레트 의자
  3. 바실리 의자
  4. 판톤 의자
(정답률: 50%)
  • 마르셀 브로이어가 디자인한 바실리 의자는 간단하면서도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유명합니다. 의자의 다리와 등받이가 하나로 이어져 있는 모습은 이전까지의 의자 디자인과는 매우 다르며, 이를 통해 브로이어는 새로운 혁신적인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질감(text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내공간은 시각적 질감에 의해 그 윤곽과 인상이 형성된다.
  2. 유리, 거울 같은 재료는 높은 반사율을 나타내며 차갑게 느껴진다.
  3. 동일한 재료, 동일한 색채를 사용할 때 서로 다른 색으로 느껴지는 변화감을 실내에 부여한다.
  4. 광선은 질감의 효과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정답률: 75%)
  • "광선은 질감의 효과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광선이 질감의 표면에 닿아 반사되거나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표면의 형태와 구조에 따라 질감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선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거계획에서 거실에서 스크린(화면)을 중심으로 텔레비전을 시청하기에 적합한 최대 범위는?

  1. 45°이내
  2. 50°이내
  3. 60°이내
  4. 70°이내
(정답률: 70%)
  • 스크린을 중심으로 시청할 때, 시야각이 너무 넓으면 화면의 중심에서 벗어나게 되어 시청이 불편해지고, 너무 좁으면 화면 전체를 볼 수 없어 시청이 불편해진다. 따라서, 적절한 시야각은 60°이내이다. 이 범위 안에서는 화면 전체를 보며 시청이 가능하고, 시야각이 너무 넓지 않아 불편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실내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동선은 사람이나 물건이 움직이는 선을 연결한 것이다.
  2. 서비스코어 시스템(service core system)은 설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3. 유니트배스(unit bath)는 조립식 욕실시스템이다.
  4. 오프스 랜드스케이프(office landscape)는 실내에 녹지를 도입한 실내조경 위주의 계획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프스 랜드스케이프(office landscape)는 실내에 녹지를 도입한 실내조경 위주의 계획이 아니다. 오프스 랜드스케이프는 개방형 사무실 계획으로, 사무실 내부를 파티션 없이 자유롭게 배치하여 직원 간의 소통과 협업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오픈 오피스 플랜의 가장 큰 단점은?

  1. 청각적 프라이버시
  2. 시각적 프라이버시
  3. 부처간의 친밀감 감소
  4. 고가의 공사비
(정답률: 55%)
  • 오픈 오피스 플랜은 개인적인 대화나 전화 등의 소음이 다른 직원들에게까지 들리기 쉬워 청각적 프라이버시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주거공간계획에 있어 다음과 같은 거실의 가구배치의 유형은?

  1. 대면형
  2. ㄷ자형(U자형)
  3. 직선형
  4. ㄱ자형
(정답률: 알수없음)
  • 거실 가구배치가 ㄷ자형(U자형)이라고 하는 이유는 가구들이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즉, 소파와 티테이블, 의자 등이 서로 마주보고 있어 대화를 나누기에 적합하며, 또한 벽과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어 공간 활용도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균형(balance)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선형균형
  2. 대칭균형
  3. 비대칭균형
  4. 방사균형
(정답률: 37%)
  • 선형균형은 균형점이 하나인 경우를 말한다. 이에 비해 대칭균형, 비대칭균형, 방사균형은 균형점이 여러 개인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선형균형은 균형의 종류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엄숙, 의지, 신앙, 상승 등을 연상하게 하는 선은?

  1. 수직선
  2. 수평선
  3. 사선
  4. 곡선
(정답률: 87%)
  • 정답: 수직선

    설명: 수직선은 일직선상에서 수직으로 놓인 선으로, 땅과 하늘, 상승과 하강, 엄숙한 분위기 등을 연상시키는 선이다. 수직선은 일반적으로 직각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서, 의지와 결단력을 상징하는 선으로도 자주 사용된다. 또한 수직선은 수평선과 함께 기하학적인 형태를 이루는 경우가 많아서, 균형과 조화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실내디자인의 요소인 선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선은 무수한 점의 흔적으로 평면적이며 실내디자인의 중요한 요소이다.
  2. 수직선은 공간을 실제보다 더 높아 보이게 한다.
  3. 수평선은 바닥이나 천장 등의 건축구조에 많이 이용된다.
  4. 곡선은 단조로움을 없애주고 약동감과 생동감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은 무수한 점의 흔적으로 평면적이며 실내디자인의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실내디자인에 대한 설명 중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실내디자인은 인간이 보다 적합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 쾌적한 실내디자인이란 기능적 측면과 감성적 측면이 공간으로 구체화한 것이다.
  3. 주거공간의 기능성은 작업, 휴식, 취침, 취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수익성을 추구하지 않는 주거공간 디자인에서 경제성은 고려 대상이 아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익성을 추구하지 않는 주거공간 디자인에서 경제성은 고려 대상이 아니다." 이 설명이 부적당한 것이다. 이유는 모든 디자인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이루어지며, 주거공간 디자인도 예외가 아니다. 따라서 경제성은 항상 고려 대상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실내계획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디자인프로세스에서 설계란 계획의 전개로서 설계자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과정이다.
  2. 사무목적 공간으로는 사무소, 은행, 오피스텔 등이 있다.
  3. 준비과정 중 외부적 작용요소로는 입지적, 건축적, 설비적 조건 등이 있다.
  4. 실시설계에 포함되어야 하는 도면으로는 아이소메트릭, 구상도, 동선도, 개념계획도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무목적 공간으로는 사무소, 은행, 오피스텔 등이 있다."는 실내계획에 대한 설명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정답 설명: 디자인프로세스에서 설계는 계획의 전개로서 진행되는 과정이며, 준비과정 중 외부적 작용요소로는 입지적, 건축적, 설비적 조건 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실시설계에 포함되어야 하는 도면으로는 아이소메트릭, 구상도, 동선도, 개념계획도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 및 인간공학

21. 한번 이상 돌려야 하는 손잡이의 형태로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는 손잡이가 둥글게 되어 있어서 회전할 때 손이 미끄러지기 쉽고, 또한 손잡이가 작아서 손이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한번의 자발적(voluntary)인 노력에 의해 근육이 등척적(isometric)으로 낼 수 있는 힘의 최대치를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1. 최대 지구력
  2. 최대 염력
  3. 최대 근력
  4. 최대 완력
(정답률: 83%)
  • 한번의 자발적인 노력에 의해 근육이 등척적으로 낼 수 있는 힘의 최대치를 최대 근력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근육이 최대한 긴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발휘할 수 있는 힘으로, 근육의 크기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근육의 크기가 작더라도 최대 근력이 큰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기온이 너무 낮을 경우 일어나는 반응 중 잘못된 것은?

  1. 떤다.
  2. 관절과 근육이 딱딱해진다.
  3. 인체의 열을 주위의 공기에 방산하지 못한다.
  4. 저속도의 기류에도 바람의 느낌을 호소한다.
(정답률: 93%)
  • 인체의 열은 주위의 공기에 방산되는 것이 중요한데, 기온이 너무 낮을 경우 인체는 열을 빠르게 잃어버리게 되어 주위의 공기에 방산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인체의 열을 주위의 공기에 방산하지 못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청각에 관한 인간의 가청주파수는?

  1. 20-20,000Hz
  2. 500-50,000Hz
  3. 100-10,000Hz
  4. 3,000-30,000Hz
(정답률: 46%)
  • 인간의 귀는 20Hz에서 20,000Hz까지의 주파수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 범위 내에서 소리의 높낮이와 음조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이 범위를 넘어가면 인간의 귀는 소리를 인식하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20-20,000Hz"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조명의 위치선택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의 섬세함
  2. 작업자의 신체적 크기
  3. 작업자의 연령
  4. 작업자의 수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자의 연령은 조명의 위치 선택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다. 작업의 섬세함, 작업자의 신체적 크기, 작업자의 수는 조명의 위치 선택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거리와 관련이 있지만, 작업자의 연령은 거리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작업자의 연령이 가장 거리가 먼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보기 중 컴퓨터 작업대에서 사용하는 의자의 등받이에 관한 권장사항과 맞는 것만 묶은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ㄹ
(정답률: 50%)
  • 정답은 "ㄱ, ㄹ" 입니다.

    이유는 컴퓨터 작업대에서 사용하는 의자의 등받이는 허리를 지탱하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ㄱ" 모양의 등받이는 허리를 지탱하고 자세를 바로잡아주는 효과가 있으며, "ㄹ" 모양의 등받이는 허리를 뒤에서부터 지탱하여 허리를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모양의 등받이가 권장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인체골격이 하는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몸을 지탱하며 그 외형을 지지한다.
  2. 체강을 형성하며 체강내의 장기를 보호한다.
  3. 골격근의 기동적 수축에 따라 자발적으로 운동을 한다.
  4. 골격 내부에 골수를 통하여 조형작용을 한다.
(정답률: 44%)
  • 인체골격은 몸을 지탱하고 외형을 지지하며 체강을 형성하고 장기를 보호하는 기능을 합니다. 그러나 골격 자체가 운동을 하는 것은 아니며, 운동은 골격근의 기동적 수축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골격근의 기동적 수축에 따라 자발적으로 운동을 한다."는 인체골격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빛은 3가지 속성에 의하여 우리가 색을 인식하는데 영향을 주는데 이 3가지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주파장
  2. 채도
  3. 색상
  4. 명도
(정답률: 67%)
  • 주파장은 빛의 파동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색을 구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채도, 색상, 명도는 모두 색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지만, 주파장은 색 자체를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주파장은 이 3가지 속성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그림과 같이 “동일한 것이 군화(群花)한다.”는 지각 체제화의 원리와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1. 대칭성의 원리
  2. 유사성의 원리
  3. 간소화의 원리
  4. 폐쇄성의 원리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에서는 비슷한 모양과 색상을 가진 꽃들이 모여있어서 “동일한 것이 군화(群花)한다.”는 패턴이 보입니다. 이는 유사성의 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유사한 속성을 가진 것들은 함께 그룹화되어 인식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자동차의 제어기(brake)처럼 많은 힘을 요구하는 페달의 부착에서 대퇴부(大鴭部)와 경부(經部)의 가장 쾌적한 각은?

  1. 90°
  2. 100°
  3. 120°
  4. 150°
(정답률: 64%)
  • 대퇴부와 경부의 가장 쾌적한 각은 120°이다. 이는 인체 공학적인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각도로, 이 각도에서는 대퇴부와 경부의 근육이 최대한 힘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각도에서는 페달을 누르는 데 필요한 힘이 최소화되어 편안한 운전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색채계획에서 이미지 스케일을 만드는데 형용사 표현이 잘 못 짝지어진 것은?

  1. 따뜻함 / 차가움
  2. 부드러움 / 딱딱함
  3. 선명함 / 희미함
  4. 뚜렷함 / 명확함
(정답률: 65%)
  • 정답은 "선명함 / 희미함"입니다. 이미지 스케일을 만들 때 선명함과 희미함은 서로 반대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형용사 표현이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뚜렷함과 명확함은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채도 2.0, 명도 2.0인 주황의 중심색을 먼셀 기호로 표시하면?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이 답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5RY 2.0/4.0
  2. 5YR 2.0/4.0
  3. 5VR 4.0/2.0
  4. 5RV 4.0/2.0
(정답률: 알수없음)
  • "5RY 2.0/4.0"은 색상환에서 빨간색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5분째에 위치하며, 채도는 2.0, 명도는 4.0인 색상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주황색을 나타내는 색상 중에서 빨간색과 노란색의 비율이 약간 더 많은 색상을 찾아야 합니다. 이에 해당하는 색상은 "5RY"입니다. 채도와 명도는 각각 2.0과 2.0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를 각각 적용하여 "5RY 2.0/4.0"이라는 먼셀 기호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문 스펜서 색채조화론의 균형점에서 색상 VR, 채도가 5보다 클 때 심리적 효과는?

  1. 자극적, 서늘함
  2. 안정감, 온도감
  3. 안정감, 중성감
  4. 자극적, 따뜻함
(정답률: 알수없음)
  • 문 스펜서 색채조화론에서 VR은 색상의 밝기를 나타내고, 채도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VR이 높고 채도가 5보다 클 때는 밝고 선명한 색상이므로 자극적인 느낌을 줍니다. 또한, 따뜻한 색상이므로 따뜻함을 느끼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문 스펜서(P.Moon and D.E.Spencer)의 색채 조화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색의 면적 효과에서 작은 면적의 강한 색과 큰 면적의 약한 색과는 잘 조화된다.
  2. 색상환을 24등분하고 명도단계를 8등분하여 등색상 삼각형을 만들고 이것을 28등분 하였다.
  3. 미국의 CCA(Container Corporation of America)에서 컬러 하모니 매뉴얼(Color Harmony Manual)을 간행하면서 실제면에 이용되었다.
  4. 질서의 원리, 숙지의 원리, 동류의 원리, 비모호성의 원리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의 면적 효과에서 작은 면적의 강한 색과 큰 면적의 약한 색과는 잘 조화된다."는 문 스펜서의 색채 조화론에서 중요한 원칙 중 하나이다. 이는 작은 면적에 강한 색을 사용하면 시선을 끌어주고, 큰 면적에는 약한 색을 사용하여 조화를 이루는 것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문 스펜서의 색채 조화론과 관련이 있지만, 이 문장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잔상 현상에 관한 다음 기술 중 잘못된 것은?

  1. 잔상이란 자극 제거 후에도 감각 경험을 일으키는 것이다.
  2. 부(Negative)의 잔상과 정(positive)의 잔상이 있다.
  3. 잔상 현상을 이용하여 영화를 만들게 되었다.
  4. 부의 잔상은 매우 짧은 시간동안 강한 자극이 작용할 때 많이 생긴다.
(정답률: 39%)
  • "부의 잔상은 매우 짧은 시간동안 강한 자극이 작용할 때 많이 생긴다."가 잘못된 것이다. 사실 부의 잔상은 강한 자극이 작용한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자극이 사라진 후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 때문에 부의 잔상은 정의 잔상보다 더 오래 지속된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은 오방색의 색채상징이다. 잘못 짝지어진 것은 어느 것인가?

  1. 청(靑)색 – 봄 – 동쪽
  2. 황(黃)색 – 가을 – 중앙
  3. 적(赤)색 – 여름 – 남쪽
  4. 흑(黑)색 – 겨울 – 북쪽
(정답률: 19%)
  • 잘못 짝지어진 것은 없다. 이 색채상징은 중국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청색은 봄을 상징하며 동쪽, 황색은 가을을 상징하며 중앙, 적색은 여름을 상징하며 남쪽, 흑색은 겨울을 상징하며 북쪽을 나타낸다. 이러한 색채상징은 중국의 문화와 철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예술 작품이나 건축물 등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대륙을 연상시키는 색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아시아 – 노랑
  2. 유럽 – 파랑
  3. 아프리카 – 빨강
  4. 오스트레일리아 – 녹색
(정답률: 알수없음)
  • 아프리카 대륙은 사막 지역이 많아서 노란색과 연관이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국기나 지도에서는 빨강색이 사용되기 때문에 "아프리카 – 빨강"이 올바른 색상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P.C.C.S 표색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색상과 톤에 의한 분류이다.
  2. 명도는 11단계로 한다.
  3. 실제 활용하기엔 적합하지 않다.
  4. 색상은 20색을 기본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P.C.C.S 표색계는 색상과 톤에 의한 분류이며, 명도는 11단계로 한다. 하지만 실제 활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20색을 기준으로 색상을 분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언어 척도법(SD법: Semantic Differential)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오스굿의 언어 척도법은 서로 상반되는 형용사군을 이용하여 그 사이를 5~7단계로 척도화 한다.
  2. 색이 좋고 나쁨, 고상하고 수수하다는 것은 잠재성에 관계한다.
  3. 언어 죽물 통합이미지 모두를 계산할 수 있어서 사회 심리학과 마케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4. 활동적인ㆍ정적인, 선명한ㆍ은은한 등은 활동성과 관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이 좋고 나쁨, 고상하고 수수하다는 것은 잠재성에 관계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다. 이는 SD법에서 사용되는 형용사군 중 하나인 "평가적 양극단"에 해당하는 것으로, 개인의 잠재성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SD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내용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조명이나 색을 보는 객관적 조건이 달라져도 주관적으로는 물체색이 달라져 보이지 않는 특성을 가리키는 것은?

  1. 동화현상
  2. 푸르킨예 현상
  3. 색채 항상성
  4. 연색성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 항상성은 물체의 색이나 밝기가 주변 조명이나 배경색에 영향을 받아도 사람의 뇌에서 일정하게 인식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물체의 색은 주관적인 인식에 의해 결정되며, 외부 조건에 따라 변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인간의 뇌가 물체의 색을 인식할 때, 빛의 성질과 물체의 표면 속성을 고려하여 색을 보정하고 일정한 색상을 유지하려는 성질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재료

41. 1종 점토벽돌의 압축강도는 최소 얼마 이상인가?

  1. 8.87N/mm2
  2. 10.78N/mm2
  3. 15.69N/mm2
  4. 20.59N/mm2
(정답률: 50%)
  • 1종 점토벽돌의 압축강도는 KS F 2406 기준으로 20.59N/mm2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이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정답은 20.59N/m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석재의 일반적인 성질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1. 장대재를 얻기가 어렵다.
  2. 불연성이며 내구성이 우수하다.
  3. 인장강도가 압축강도에 비해 크다.
  4. 가공성이 좋지 않다.
(정답률: 46%)
  • 정답: "인장강도가 압축강도에 비해 크다."

    석재의 일반적인 성질은 다음과 같다.

    1. 장대재를 얻기가 어렵다.
    2. 불연성이며 내구성이 우수하다.
    3. 가공성이 좋지 않다.

    하지만 인장강도가 압축강도에 비해 크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석재의 압축강도가 인장강도보다 크다. 이는 석재가 압축하면 강하게 버틸 수 있지만 끌어당기면 쉽게 파괴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인조석바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인조석은 모르터 바탕에 종석과 백시멘트, 안료, 돌가루를 배합 반죽한 것이다.
  2. 인조석 바름으로 한 마감면은 수밀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3. 캐스트스톤은 자연석과 유사하게 돌다듬으로 마감한 제품을 일컫는다.
  4. 인조석 정벌바름 후 숫돌로 연마해서 매끈하게 마감하는 방법을 인조석 씻어내기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조석 정벌바름 후 숫돌로 연마해서 매끈하게 마감하는 방법을 인조석 씻어내기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인조석 씻어내기는 인조석 바른 후, 물로 씻어서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한다. 인조석 정벌바름 후 숫돌로 연마해서 매끈하게 마감하는 방법은 인조석 마감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목재의 방부제에 요구되는 성질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목재에 침투가 잘될 것
  2. 금속을 부식시키지 않을 것
  3. 방부처리 후 표면에 페인트칠을 할 수 있을 것
  4. 목재의 인화성, 흡수성 증가가 있을 것
(정답률: 77%)
  • 목재의 방부제는 주로 목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방부제에 요구되는 성질은 목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목재의 인화성, 흡수성 증가가 있을 것입니다. 인화성이 증가하면 화재 발생 시 더 빠르게 확산될 수 있으므로 방부제는 인화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또한, 흡수성이 증가하면 방부제가 침투하기 쉬워지므로 방부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흡수성을 감소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목재의 인화성, 흡수성 증가가 있을 것"이 가장 관계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점코에 톱밥, 겨, 탄가루 등을 30~50% 정도 혼합, 소성한 것으로 비중은 1.2~1.5 정도이며 절단, 못치기 등의 가공성이 우수한 벽돌은?

  1. 포도벽돌
  2. 과소벽돌
  3. 내화벽돌
  4. 다공벽돌
(정답률: 알수없음)
  • 점코에 톱밥, 겨, 탄가루 등을 혼합하여 소성한 다공벽돌은 비중이 가벼우면서도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내부 벽체나 외부 벽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또한 다공성이 있어 단열성이 우수하며, 공기층이 형성되어 습기 조절에도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다공벽돌은 건축물의 내외부 벽체 구성에 많이 사용되는 벽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AE콘크리트의 절대용적배합을 나타낸 것이다. 이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는? (단, 시멘트의 비중은 3.15이다.)

  1. 50%
  2. 55%
  3. 60%
  4. 65%
(정답률: 알수없음)
  • 절대용적배합에서 시멘트의 부피는 1이므로, 콘크리트의 총 부피는 2.65이다. 따라서 물의 부피는 1.59이 되고, 물시멘트비는 1.59/0.265 = 6.00 이다.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600%가 되므로, 물시멘트비는 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목재의 유성 방부제로서 방부성은 우수하나 악취가 나고 흑갈색으로 외관이 불미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토대, 기둥, 도리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크레오소트유
  2. PF방부제
  3. CCA방부제
  4. P.C.P 방부제
(정답률: 72%)
  • 크레오소트유는 목재 방부제 중 하나로, 방부성이 우수하지만 악취가 나고 외관이 불미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토대, 기둥, 도리 등에 사용됩니다. PF방부제, CCA방부제, P.C.P 방부제는 모두 목재 방부제 중 다른 종류의 화학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리 섬유를 불규칙하게 혼입하여 상온 가압하여 성형한 판으로 설비재ㆍ내외수장재로 쓰이는 것은?

  1. 멜라민 치장판
  2. 폴리에스테르 강화판
  3. 아크릴 평판
  4. 염화비닐판
(정답률: 29%)
  • 유리 섬유를 혼합하여 가압성형한 판은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므로 설비재 및 내외수장재로 적합합니다. 이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강화판은 경제적이면서도 강도와 내구성이 높아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폴리에스테르 강화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합성수지의 일반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흡수성이 적고 거의 투수성이 없다.
  2. 전성, 연성이 크고 피막이 강하다.
  3. 내화성, 내열성이 크다.
  4. 가소성, 가공성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화성, 내열성이 크다"는 합성수지의 일반적인 성질 중 하나이며, 이는 고온, 고압, 화학적인 부식 등에도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합성수지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건축재료와 사용 용도의 결합이 옳지 않은 것은?

  1. 황동 – 창호철물
  2. 트래버틴 – 실내장식재
  3. 알루미늄 – 방화셔터
  4. 염화비닐 – 도료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은 방화성이 높은 재료이지만, 방화셔터로 사용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방화셔터는 강철 또는 철강재로 만들어져야 하며, 알루미늄은 고열에 약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 방화셔터는 옳지 않은 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유리면에 부식액의 방호막을 붙이고 이 막을 모양에 맞게 오래내고 그 부분에 유리부식액을 발라 소요 모양으로 만들어 장식용으로 사용하는 유리는?

  1. 샌드 브라스트 유리
  2. 에칭 유리
  3. 매직 유리
  4. 스팬드럴 유리
(정답률: 20%)
  • 에칭 유리는 유리면에 부식액으로 방호막을 만들어 모양에 맞게 오래 유지시킨 후, 그 부분에 유리부식액을 발라 소요 모양으로 만들어 장식용으로 사용하는 유리이다. 따라서, "에칭"이라는 이름은 유리면을 부식하여 모양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적인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대기 중의 무엇과 화합하여 경화하는가?

  1. 이산화탄소 (CO2)
  2. 물(H2O)
  3. 산소(O2)
  4. 수소(H)
(정답률: 64%)
  •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이산화탄소와 화학 반응을 일으켜 카르본화칼슘(CaCO3)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와 화합하여 경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목재의 함수율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함수율은 기건 상태에서 20%정도이다.
  2. 함수율이 30%인 점을 섬유포화점이라 한다.
  3. 섬유포화점 이상의 함수상태에서는 함수율의 증감에도 불구하고 신축을 일으키지 않는다.
  4.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강도는 증대한다.
(정답률: 50%)
  • "함수율은 기건 상태에서 20%정도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목재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함수율이 다르며, 일반적으로는 10%에서 30% 사이의 범위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경량 형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면적에 비해 단면의 성능계수를 크게 한 것이다.
  2. 처짐과 국부좌굴에 유리하다.
  3. 경미한 구조물, 실내 구조물 및 보조재로 사용한다.
  4. 부식에 약하며 외부 사용이 어렵다.
(정답률: 29%)
  • "처짐과 국부좌굴에 유리하다."는 경량 형강의 장점 중 하나이다. 경량 형강은 단면적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며 경미한 구조물, 실내 구조물 및 보조재로 사용된다. 하지만 부식에 약하며 외부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회반죽의 배합 재료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생석회, 해초풀, 여물, 수염
  2. 소석회, 모래, 해초풀, 여물
  3. 소석회, 돌가루, 해초풀, 수염
  4. 돌가루, 모래, 해초풀, 여물
(정답률: 알수없음)
  • 회반죽은 생석회나 돌가루와 같은 칼슘 함량이 높은 재료와 함께 해초풀과 여물 등의 식물성 재료를 섞어 만든다. 따라서 "소석회, 모래, 해초풀, 여물"이 가장 알맞은 배합 재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벽, 기둥 등의 모서리 부분에 미장바름을 보호하기 위하여 묻어 붙이 것으로 모서리쇠라고도 불리는 것은?

  1. 레지스터
  2. 코너 비드
  3. 논슬립
  4. 조이너
(정답률: 알수없음)
  • 코너 비드는 모서리 부분에 미장바름을 보호하기 위해 묻어 붙이는 것으로, 모서리쇠라고도 불립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레지스터, 논슬립, 조이너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커튼월이나 프리패브재의 접합부, 새시 부착 등의 충전재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아교
  2. 알부민
  3. 실링재
  4. 아스팔트
(정답률: 84%)
  • 정답은 "실링재"입니다.

    커튼월이나 프리패브재의 접합부, 새시 부착 등은 물이나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밀폐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충전재는 내구성이 높고, 물이나 공기가 통과하지 않는 물질이어야 합니다.

    실링재는 이러한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물질로, 접합부나 부착 부위에 적용되어 밀폐성을 확보합니다. 또한, 실링재는 내구성이 뛰어나며, 내열성과 내약품성이 높아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커튼월이나 프리패브재의 접합부, 새시 부착 등에는 실링재가 가장 적합한 충전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ALC 제품에 관한 설명 중 부적당한 것은?

  1. 압축강도에 비해서 휨 인장강도는 상당히 약하다.
  2. 열전도율 및 열팽창율이 작다.
  3. 경량이며 내화성이 우수하다.
  4. 흡수율이 낮아 물에 노출된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흡수율이 낮아 물에 노출된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부적절한 설명이다. ALC 제품은 흡수율이 낮아 물에 노출된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지 않다. ALC 제품은 콘크리트와 비슷한 재료로, 물에 노출되면 흡수되어 부식될 수 있다. 따라서 ALC 제품은 건축물의 실내 벽체나 천장 등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의 시멘트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는 댐, 교량 공사에 적합하다.
  2. 알루미나시멘트는 수화열이 낮아 균열발생이 적다.
  3. 플라이애쉬시멘트는 초기강도는 작고 장기강도가 높다.
  4. 실리카시멘트는 화학적 저항성이 크며 해안공사에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나시멘트는 수화열이 낮아 균열발생이 적다. 이유는 알루미나시멘트는 수화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합성수지 접착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요소수지 접착제는 목공용으로 사용된다.
  2. 멜라민수지 접착제는 금속, 유리 등의 접착에 사용된다.
  3.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도자기, 콘크리트 등의 접착에 사용된다.
  4. 폴리에스테르수지 접착제는 목재 석재 등의 접착에 적당하다.
(정답률: 40%)
  • "멜라민수지 접착제는 금속, 유리 등의 접착에 사용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멜라민수지 접착제는 주로 목재나 판재의 접착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일반

61.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철근과 콘크리트의 선팽창계수는 거의 같다.
  2. 철근과 콘크리트의 응력전달은 철근표면의 부착력에 의한다.
  3. 철근과 콘크리트의 응력분담은 각각의 단면적비에 의한다.
  4. 콘크리트는 내구내화성이 있어 철근을 피복 보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철근과 콘크리트의 응력분담은 각각의 단면적비에 의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철근과 콘크리트는 협력하여 응력을 분담합니다. 철근은 인장력을,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철근과 콘크리트의 단면적비보다는 상호작용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건축물에 설치하는 계단의 높이가 최소 얼마를 넘을 경우에 계단의 양옆에 난간을 설치해야 하는가?

  1. 1m
  2. 2m
  3. 3m
  4. 3.5m
(정답률: 알수없음)
  • 건축물 설계 기준에 따르면, 계단의 높이가 1m 이상일 경우에는 계단 양옆에 난간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최소한의 높이는 1m 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의 피뢰설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 건축물의 경우 돌침 또는 피뢰도체는 보호각의 기준을 60도로 하여 건축물 전체를 보호에 필요한 개수 및 위치를 정하여 설치할 것
  2. 돌침은 지름 12mm 이상인 알루미늄철 또는 강봉 기타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 및 성능을 갖춘 것으로 설치할 것.
  3. 피뢰도체 및 피뢰도선은 가연성 물질과는 20cm이상, 전선 전화선 또는 가스관과는 1.5m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4. 인하도선 사이의 간격은 30m이하로 하고, 각 인하도선당 1개 이상의 접지극을 지하 2m 이상 또는 상수면 밑에 매설할 것
(정답률: 16%)
  • "일반 건축물의 경우 돌침 또는 피뢰도체는 보호각의 기준을 60도로 하여 건축물 전체를 보호에 필요한 개수 및 위치를 정하여 설치할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반 건축물의 경우 보호각의 기준은 45도이며, 건축물의 형태와 위치에 따라 필요한 개수와 위치를 정하여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목재의 접합에서 볼트와 같이 사용하여 두 개의 접합재의 전단력 저항에 강한 이음을 얻는데 사용되는 것은?

  1. 듀벨
  2. 띠쇠
  3. 안장쇠
  4. 감잡이쇠
(정답률: 알수없음)
  • 듀벨은 목재의 접합에서 사용되는 강력한 이음재료로, 두 개의 접합재를 밀착시키고 전단력에 강한 이음을 만들어줍니다. 이는 보통 볼트와 함께 사용되며, 목재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띠쇠, 안장쇠, 감잡이쇠는 모두 목재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부속품이지만, 듀벨과 같은 이음재료는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고대 그리이스의 건축 오더(order)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오더란 기단, 기둥과 엔타블레이춰(entablature)의 조합을 말한다.
  2. 그리이스 최초의 건축오더는 그리스 본토에서 사용된 코린티안 오더이다.
  3. 이오닉 오더의 주두는 소용돌이 형태의 나선형인 볼류트로 구성된다.
  4. 도릭 오더의 주두는 에키누스와 아바쿠스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정답률: 40%)
  • "그리이스 최초의 건축오더는 그리스 본토에서 사용된 코린티안 오더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그리스 최초의 건축오더는 도릭 오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철골조 각부 사용개소에 관계되는 부재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재의 접합 : 턴 버클(turn buckle)
  2. 바닥판 :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
  3. 웨브의 보강 : 클립 앵글(clip angle)
  4. 주각부 : 사이드 앵글(side angle)
(정답률: 42%)
  • 웨브의 보강에는 클립 앵글이 사용되지 않습니다. 클립 앵글은 보통 주각부나 인장재의 접합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소화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닌 것은?

  1. 지정문화재
  2. 가스시설
  3. 연면적 30m2의 건축물
  4. 11층의 아파트
(정답률: 알수없음)
  • 연면적 30m2의 건축물은 소방법상 소화기구 설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소방법 제9조에 따르면, 연면적 30m2 이하의 건축물은 소화기구 설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연면적 30m2의 건축물은 소화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목조반자틀의 구성 부재가 아닌 것은?

  1. 달대
  2. 달대받이
  3. 졸대
  4. 반자틀받이
(정답률: 30%)
  • 졸대는 목조반자틀의 구성 부재가 아닙니다. 졸대는 지붕을 받치는 기둥이나 기둥을 받치는 기초 부재로 사용되는 나무 또는 돌로 된 부재입니다. 목조반자틀의 구성 부재는 달대, 달대받이, 반자틀받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그리이스 건축과 관계없는 것은?

  1. 아고라(Agora)
  2. 스토아(Stoa)
  3. 마스타바(Mastaba)
  4. 파르테논 신전(Partheon)
(정답률: 알수없음)
  • 마스타바는 그리이스 건축이 아닌, 이집트 고대 건축에서 사용되는 형태이다. 아고라, 스토아, 파르테논 신전은 모두 그리이스 건축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바로크 건축의 특성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동적이며 극적인 효과를 추구하였다.
  2. 전체나 부분 취급이 양감적(量感的)이고 감각적이다.
  3. 구조적 문제를 역학적, 합리적으로 해결하여 입면을 수직성이 강조되도록 표현하였다.
  4. 건축의 구조, 표현, 장식 등 모든 것이 전체의 효과를 위해 사용되었다.
(정답률: 62%)
  • 바로크 건축은 동적이며 극적인 효과를 추구하고 전체나 부분 취급이 양감적이고 감각적이지만, 구조적 문제를 역학적, 합리적으로 해결하여 입면을 수직성이 강조되도록 표현하는 것은 바로크 건축의 특성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구조적 문제를 역학적, 합리적으로 해결하여 입면을 수직성이 강조되도록 표현하였다."가 가장 부적당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개별 관람석의 바닥면적 합계가 600m2인 공연장의 관람석 출구의 유효너비 합계는 최소 얼마 이상인가?

  1. 3m
  2. 3.6m
  3. 4m
  4. 4.6m
(정답률: 50%)
  • 개별 관람석의 바닥면적이 1m2인 경우, 관람석의 개수는 600개가 된다. 이때, 관람석 출구의 유효너비를 x라고 하면, 관람석 출구의 총 너비는 600x가 된다.

    공연장의 관람석 출구는 화재 등의 이유로 대량의 인원이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충분한 너비가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관람석 출구의 유효너비는 일반적으로 1m 이상으로 권장된다.

    따라서, 600x ≥ 600이 되어야 하므로, x는 최소 1이어야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유효너비가 3m와 4m인 것은 답이 될 수 없다.

    유효너비가 3.6m인 경우, 600 × 3.6 = 2160으로 충분한 너비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정답이 될 수 있다.

    유효너비가 4.6m인 경우, 600 × 4.6 = 2760으로 더 큰 너비가 확보되지만, 이는 최소 조건을 만족하는데 필요한 너비보다 크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3.6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르네상스(Renaissance) 건축가들의 대표작이 잘못 연결 된 것은?

  1. 알베르티 – 루첼라이궁
  2. 브루넬레스키 – 플로렌스 성당의 돔
  3. 브라만테 – 플로렌스의 리카르디궁
  4. 알베르티 – 만투아의 성 안드레아 성당
(정답률: 15%)
  • 브라만테는 리카르디궁을 디자인한 건축가가 아니라, 산타 마리아 노벨라 대성당과 산타 크로체 교회 등을 디자인한 건축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브라만테 – 플로렌스의 리카르디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철골구조에서 판보의 플랜지에 커버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보의 플랜지의 내화성을 높히기 위하여
  2. 보의 면외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3. 보의 전단내력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서
  4. 보의 휨내력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서
(정답률: 40%)
  • 커버 플레이트는 판보의 플랜지에 부착되어 보의 휨내력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판보가 휨하중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못할 때, 커버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보의 휨내력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서"가 가장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의 건축 경향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1. 고전주의
  2. Less is More
  3. 자연 유기 건축
  4. 포스트 모더니즘
(정답률: 30%)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건축에서 자연을 중요시하며, 건축물을 자연과 조화롭게 하기 위해 자연의 형태와 색상, 재료 등을 활용하는 "자연 유기 건축"을 추구했습니다. 이는 그의 대표작인 Fallingwater(폴링워터)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벽돌조에서 밖벽을 공간쌓기로 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방습
  2. 방진
  3. 내화
  4. 방화
(정답률: 알수없음)
  • 방습은 벽돌조에서 밖벽을 공간쌓기로 하는 가장 주된 이유입니다. 이는 외부에서의 습기와 수분이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 건물 내부를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건축물 중 당해 건축물로부터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건축물은?

  1. 전시장 및 동 식물원
  2. 도매시장 소매시장 및 상점
  3. 장례식장
  4.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사
(정답률: 65%)
  • "전시장 및 동 식물원"은 대부분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행사나 전시물을 전시하는 건축물이기 때문에 바깥쪽으로 나가는 출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도매시장 소매시장 및 상점", "장례식장",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사"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공간이기 때문에 출구를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경보설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자동화재속보설비
  2. 비상조명등 및 휴대용비상조명등
  3. 비상방송설비
  4. 누전경보기
(정답률: 73%)
  • 비상조명등 및 휴대용비상조명등은 경보설비가 아니라 비상 대피를 위한 조명장치이기 때문입니다. 자동화재속보설비, 비상방송설비, 누전경보기는 모두 화재 및 안전에 관련된 경보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벽돌쌓기에서 통줄눈을 피해야 하는 이유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하중을 평균하게 아래로 전달시킬 수 없다.
  2. 구조적으로 약하게 된다.
  3. 외관이 나쁘게 된다.
  4. 습기가 스며들 우려가 있다.
(정답률: 14%)
  • 벽돌쌓기에서 통줄눈을 피해야 하는 이유는 "하중을 평균하게 아래로 전달시킬 수 없다." 이다. 통줄눈을 사용하면 벽돌이 일정한 높이로 쌓이지 않고 기울어지거나 불규칙하게 쌓이기 때문에 하중이 일정하게 전달되지 않는다. 이는 구조적으로 약해지고 외관이 나쁘게 된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외관이 나쁘게 된다는 것은 구조적으로 약해지거나 습기가 스며들 우려가 있다는 것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처리하지 않아도 되는 시설은?

  1. 공장으로서 해당용도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제곱미터인 건축물
  2. 종교집회장으로서 해당용도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제곱미터인 건축물
  3. 도매시장으로서 해당용도 바닥면적의 합계가 600제곱미터인 건축물
  4. 청소년 수련원으로서 해당용도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제곱미터인 건축물
(정답률: 알수없음)
  • 공장은 내화구조 처리가 필요한 화학물질 등을 다루는 시설이기 때문에 내화구조 처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교집회장, 청소년 수련원 등은 내화구조 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시설이다. 따라서 정답은 "공장으로서 해당용도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제곱미터인 건축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벽돌쌓기에서 가장 튼튼한 쌓기 방법은?

  1. 미식 쌓기
  2. 영식 쌓기
  3. 프랑스식 쌓기
  4. 화란식 쌓기
(정답률: 85%)
  • 영식 쌓기는 벽돌을 서로 겹치게 쌓아서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벽돌을 수직으로 쌓는 것보다 더욱 튼튼하며, 벽돌의 무게를 분산시켜서 벽 전체의 강도를 높입니다. 따라서 영식 쌓기가 가장 튼튼한 쌓기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