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8-05)

식품산업기사(구)
(2007-08-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품위생학

1. 경구 전염병의 예방대책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1. 식품을 냉동, 냉장한다.
  2. 보균자의 식품취급을 막는다.
  3. 가축 사이의 질병을 예방한다.
  4. 식품취급장소의 공기 정화를 철저히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균자는 병원체를 몸속에 가지고 있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사람을 말합니다. 이러한 사람들이 식품을 다루면 식품에 병원체가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보균자의 식품취급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polyvinyl chloride(PVC)를 사용한 식품용 기구, 용기 및 포장과 관련하여 위생상 문제되는 단량체는?

  1. vinylidene chloride
  2. styrene
  3. vinyl chloride
  4. butadien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vinyl chloride"입니다. PVC는 vinyl chloride 단량체를 주 원료로 사용합니다. 이 단량체는 고온이나 고압에서 분해되어 치명적인 신경독성 물질인 벤젠과 유사한 화합물인 벤조산과 페놀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VC를 사용한 식품용 기구, 용기 및 포장은 위생상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식물성 식품에서 유래하는 독소는?

  1. venerupin
  2. saxitoxin
  3. tetrodotoxin
  4. solanin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solanine

    설명: Solanine은 감자, 토마토, 가지 등의 식물에서 발견되는 독소입니다. 이 독소는 식물의 녹색 부위에 농축되어 있으며, 소화기계를 자극하여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농도로 섭취하면 중독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식물성 식품을 섭취할 때는 적절한 조리와 손씻기 등의 예방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유기인제는 다음 중 어느 효소와 작용하여 중독을 일으키는가?

  1. cytochrome oxidase
  2. hemoglobin oxidase
  3. aconirtase
  4. choline esterase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인제는 choline esterase와 작용하여 중독을 일으킨다. choline esterase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효소인데, 유기인제는 이 효소를 억제하여 아세틸콜린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로 인해 중독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식품 제조 공정 중 거품이 많이 날 때 소포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첨가물은?

  1. 규소수지
  2. n - 핵산
  3. 규조토
  4. 유동파라핀
(정답률: 알수없음)
  • 규소수지는 거품을 제거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로,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어 물과 잘 혼합되며 거품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미숙한 매실이나 살구씨에 함유되어 있는 유독성분은?

  1. sepsin
  2. amygdalin
  3. cicutoxin
  4. muscarlin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우유 또는 크림의 세균 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시험법으로써 methylene blue를 기질로 사용하는 것은?

  1. coagulase test
  2. Reductase test
  3. Phosphatase test
  4. Babcock test
(정답률: 알수없음)
  • Methylene blue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세균의 산화능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Reductase test는 이러한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세균이 methylene blue를 환원시키는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법이다. 따라서 우유나 크림의 세균 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식품에 직접 포장하여 식품과 함께 먹을 수 있는 포장 재료는?

  1. Amylos film
  2. Aluminium foil
  3. Cellophane
  4. Polyethylene
(정답률: 알수없음)
  • "Amylos film"은 전분을 원료로 만든 생분해성 필름으로, 식품에 직접 포장하여 함께 먹을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식품에 직접 포장하여 먹을 수 없는 포장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살모넬라 식중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균은 60℃에서 20분 정도 가열하면 사멸된다.
  2. 잠복시간은 8~48시간 정도이다.
  3. 발열, 복통, 설사 증상을 일으킨다.
  4. 독소를 생성하는 독소형 식중독을 유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독소를 생성하는 독소형 식중독을 유발한다."가 틀린 것은, 살모넬라는 독소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세균 자체가 식중독을 유발하는 것이다. 살모넬라는 잠복기간 후에 발열,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이는 세균이 소화관에 침입하여 염증을 일으키고 독소를 분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독소를 생성하는 독소형 식중독을 유발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복어의 독성이 가장 강한 부위는?

  1. 난소
  2. 위장
  3. 피부
  4. 껍질
(정답률: 알수없음)
  • 복어의 독성은 주로 티트로독신이라는 신경독소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신경독소는 복어의 난소와 간 등 내장기관에 높은 농도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복어의 독성이 가장 강한 부위는 난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식품보관시 진드기류의 방제법으로 부적합한 것은?

  1. 포장에 의한 방법
  2. 습도를 줄이는 방법
  3. 냉장하는 방법
  4. 상온에서 보관하는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진드기류는 온도와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번식하므로, 상온에서 보관하는 방법은 부적합하다. 이는 진드기류의 번식을 촉진시키고 식품의 오염과 부패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드기류의 방제에는 포장에 의한 방법, 습도를 줄이는 방법, 냉장하는 방법 등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합성착색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식용색소녹색 제3호
  2. 카르민
  3. 삼이산화철
  4. 스르빈산
(정답률: 알수없음)
  • 스르빈산은 산화방지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며, 합성착색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식품에 사용되는 합성착색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식품 중에 존재하는 색소단백질을 겹합시켜 그 색을 안정시키거나 선명하게 하는 첨가물과 관계없는 것은?

  1. 아질산나트륨
  2. 질산칼륨
  3. 차아염소산나트륨
  4. 질산나트륨
(정답률: 알수없음)
  •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식품첨가물이 아니라 소독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식품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식품첨가물이지만 차아염소산나트륨은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Gram 음성의 무아포간균으로서 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생산하며, 식품위생검사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대장균군
  2. 젖산균
  3. 초산균
  4. 발효균
(정답률: 알수없음)
  • Gram 음성의 무아포간균은 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생산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은 식품의 pH를 낮추어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가스는 식품 내부 압력을 높여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무아포간균은 식품위생검사에서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을 가진 미생물 중에서 대장균군이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대장균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단백질 식품이 불에 탈 때 생성되어 발암물질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은?

  1. THM
  2. KCN
  3. benzopyrene
  4. choline
(정답률: 알수없음)
  • 단백질이 불에 타면서 생성되는 화합물 중에서 benzopyrene은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일본에서 발생한 미나마타병의 유래는?

  1. 공장폐수 오염
  2. 대기 오염
  3. 방사능 오염
  4. 세균 오염
(정답률: 알수없음)
  • 미나마타병의 유래는 공장에서 배출되는 수은이 포함된 폐수가 바다로 유출되어 생태계에 침투하고, 작은 생물들이 수은을 먹어 다른 동물들에게 전파되어 발생한 것입니다. 따라서 "공장폐수 오염"이 미나마타병의 유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3ppm에 해당되는 것은?

  1. 100g 중 3g
  2. 1000g 중 3g
  3. 100g 중 3mg
  4. 1000g 중 3mg
(정답률: 알수없음)
  • 3ppm은 100만 분의 3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00만 그램 중 3그램이 아니라, 100만 그램 중 3밀리그램이 되어야 합니다.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1000g 중 3m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carbonyl valu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트랜스지방의 함량을 측정하는 값이다.
  2.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측정하는 값이다.
  3. 가열 유지의 산화 정도를 판정하는 값이다.
  4. 단백질의 부패 정도를 판정하는 값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carbonyl value는 가열 유지의 산화 정도를 판정하는 값입니다. 이는 지방이나 단백질이 산화되어 생성된 카보닐화합물의 양을 측정하여, 식품의 신선도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열 유지의 산화 정도를 판정하는 값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식품을 매개로 감염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바이러스성 질환은?

  1. A형 간염
  2. B형 간염
  3.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4. 유행성출혈열
(정답률: 알수없음)
  • A형 간염은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통해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을 매개로 감염될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B형 간염은 주로 혈액을 통해 전파되며,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와 유행성출혈열은 성적 접촉이나 혈액을 통해 전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독성시험은?

  1. 아급성독성시험
  2. 급성독성시험
  3. 만성독성시험
  4. 유전독성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시험은 동물에게 짧은 기간 동안 높은 노출 농도의 물질을 투여하여 독성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해 동물들은 급성독성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 시험은 "급성독성시험"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품화학

21. 전분분자의 비환원성 말단에서부터 차례로 포도당 2분자씩 분해하는 효소는?

  1. α - amylase
  2. β - amylase
  3. glucoamylase
  4. Isoamylase
(정답률: 알수없음)
  • 전분은 α-글루코시드 결합으로 이루어진 긴 분자이며, β-amylase는 이러한 결합 중 비환원성 말단에서부터 차례로 포도당 2분자씩 분해하는 효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β-amylase가 전분을 분해하는 효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이당류가 아닌 것은?

  1. 맥아당(maltose)
  2. 자당(sucrose)
  3. 젖당(lactose)
  4. 과당(ftuctose)
(정답률: 알수없음)
  • 과당은 이당류 중 하나이지만, 다른 이당류와는 구성이 다릅니다. 맥아당, 자당, 젖당은 각각 두 개의 당 분자로 이루어져 있지만, 과당은 한 개의 당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과당은 이당류 중 하나이지만, 다른 이당류와는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당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이중결합 수가 가장 많아 산패(rancidity)가 빠른 지방산은?

  1. oleic acid
  2. linoleic acid
  3. linolenic acid
  4. arachidonic aci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rachidonic acid"입니다. 이는 이중결합 수가 4개로 가장 많기 때문입니다. 이중결합 수가 많을수록 산화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산패가 빠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마이야르(Maillard)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elanoidin을 생성하는 반응이다.
  2. melanin을 생성하는 반응이다.
  3. amino기와 carbonyl기에 의한 갈색화 반응이다.
  4. caramelization과는 달리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melanin을 생성하는 반응이다."이다. 마이야르 반응은 amino기와 carbonyl기에 의한 갈색화 반응으로, 단백질과 탄수화물 등이 열처리되면서 일어난다. 이 반응은 melanoidin을 생성하는데, 이것은 갈색의 화합물로서 음식의 맛과 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반응에서 생성되는 것은 melanin이 아니라 melanoidin이다. Melanin은 태닝작용을 하는 역할을 하며, 피부색을 결정하는 역할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짠맛을 가장 강하게 나타내는 화합물은?

  1. KCl
  2. MgCl2
  3. MgSO4
  4. CaCl2
(정답률: 알수없음)
  • KCl은 짠맛을 가장 강하게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이는 KCl이 이온결합을 이루는 화합물이기 때문이다. 이온결합은 이온들 간의 전기적인 인력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 때 이온들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어 짠맛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이온결합을 이루는 KCl이 짠맛을 가장 강하게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유화제(emulsifying agent)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구조내친수기와 소수기가 있다.
  2. 천연유화제는 복합지질들이 많다.
  3. 유화액의 형태에 영향을 준다.
  4. 가공식품의 산화를 방지하는 식품첨가물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공식품의 산화를 방지하는 것은 항산화제(antioxidant)이며, 유화제는 구조내친수기와 소수기가 있다, 천연유화제는 복합지질들이 많고, 유화액의 형태에 영향을 준다는 설명이 맞다. 따라서 정답은 "가공식품의 산화를 방지하는 식품첨가물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버터의 분산질(상)과 분산매를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액체 – 액체
  2. 고체 - 액체
  3. 액체 – 고체
  4. 고체 - 고체
(정답률: 알수없음)
  • 버터는 고체 상태이지만, 그것을 바르기 위해서는 액체 상태로 변해야 합니다. 따라서, 분산질(상)은 액체 상태이며, 분산매는 고체 상태입니다. 따라서, "액체 – 고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인체에서 전분질은 소화되어 어떤 상태로 흡수되는가?

  1. 갈락토오스(galactose)
  2. 글루코오소(glucose)
  3. 수크로오소(sucrose)
  4. 말토오스(maltose)
(정답률: 알수없음)
  • 전분질은 소화되어 글루코오소로 분해되어 흡수됩니다. 글루코오소는 인체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중요한 영양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감자를 자른 단면의 효소적 갈변 시 생기는 화합물은?

  1. 캐러멜(caramel)
  2. 베타시아닌(betacyanin)
  3. 멜라닌(melanin)
  4. 탄닌(tannin)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를 자른 단면의 효소적 갈변 시 멜라닌이 생기는 이유는 감자에는 멜라닌 전구체가 존재하고, 이 전구체가 효소적 갈변에 의해 멜라닌으로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멜라닌(melani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등온흡습곡선에서 식품의 산화 안정성이 가장 좋은 영역은?

  1. 단분자층 영역
  2. 다분자층 영역
  3. 모세관응고 영역
  4. 대기수분 영역
(정답률: 알수없음)
  • 등온흡습곡선에서 식품의 산화 안정성이 가장 좋은 영역은 다분자층 영역입니다. 이는 다분자층 영역에서는 물분자와 식품 성분 간의 상호작용이 적절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 영역에서는 물분자가 식품 성분을 둘러싸고 있어 산화 반응을 일으키는 산소와의 접촉이 줄어들어 식품의 산화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질소균형(nitrogen balanc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섭취한 질소량에서 배설된 질소량을 뺀 값이다.
  2. 질소균형 값이 (-)이면 체단백질은 감소한다.
  3. 질소균형 값이 (+)이면 질소평형 상태이다.
  4. 질소평형상태랑 섭취질소와 배설된 질소량이 같을 때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질소균형 값이 (+)이면 질소평형 상태이다."가 아니다.

    질소균형 값이 (+)이면 체내의 섭취한 질소량이 배설된 질소량보다 많은 상태를 말하며, 이는 체내 단백질 합성이 증가하고 체중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질소균형 값이 (+)이면 질소평형 상태가 아니라 질소평형을 초과한 상태이다.

    따라서 정답은 "질소균형 값이 (+)이면 질소평형 상태이다."가 아니라 "질소균형 값이 (+)이면 체내 단백질 합성이 증가하고 체중이 증가하는 상태를 말한다."이다.

    또한,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Fehling`s solution에 환원되지 않는 당은?

  1. fructose
  2. sucrose
  3. glucose
  4. maltose
(정답률: 알수없음)
  • Fehling's solution은 환원제로 구리 이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온은 환원되어 적갈색 침전물을 생성한다. 그러나, sucrose는 환원되지 않는다. 이는 sucrose가 glucose와 fructose의 결합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Fehling's solution은 glucose와 fructose와 같은 단당류를 감지할 수 있지만, sucrose는 감지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육류나 어류의 선도가 저하되었을 때 발생하는 냄새성분이 아닌 것은?

  1. 암모니아(ammonia)
  2. 메틸머캅탄(methyl mercaptan)
  3. 아크롤레인(acrolein)
  4.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정답률: 알수없음)
  • 아크롤레인은 육류나 어류의 선도가 저하되었을 때 발생하는 냄새성분이 아닙니다. 아크롤레인은 주로 플라스틱 연소, 화학물질 제조 등에서 발생하는 유독한 가스입니다. 따라서 육류나 어류의 선도가 저하되었을 때 발생하는 냄새성분은 아크롤레인이 아닌 암모니아, 메틸머캅탄, 트리메틸아민 등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탄수화물 대사 이상 시 발생하는 당뇨병과 가장 관련 있는 호르몬은?

  1. secretin
  2. cholecystokinin
  3. oxytocin
  4. insulin
(정답률: 알수없음)
  • 탄수화물 대사 이상 시 발생하는 당뇨병과 가장 관련 있는 호르몬은 인슐린입니다. 인슐린은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당뇨병 환자들은 인슐린 분비가 부족하거나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하여 혈당 조절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인슐린 주사나 약물 치료 등을 통해 혈당을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중추신경에 독성을 나타내는 솔라닌(solanin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솔라닌은 쓴맛을 내는 당알카로이드이다.
  2. 솔라닌은 신선한 감자에는 소량 존재하지만, 빛을 받아 녹색을 띠거나 발아하면 함량이 10배 이상 증가한다.
  3. 솔라닌은 열에 불안정하므로 보통의 가열조리나 마이크로파 조리에 의하여 쉽게 파괴된다.
  4. 솔라닌은 장에서 흡수된 후, 독성이 낮은 솔라니딘으로 분해되고 배설도 빠르므로 독성은 낮은 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솔라닌은 장에서 흡수된 후, 독성이 낮은 솔라니딘으로 분해되고 배설도 빠르므로 독성은 낮은 편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솔라닌은 소량 섭취 시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과다 섭취 시에는 중독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독 증상으로는 구토, 설사, 복통, 두통, 발열 등이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경련, 혼수 상태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솔라닌이 포함된 음식물을 섭취할 때에는 적절한 양을 섭취하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솔라닌은 열에 불안정하므로 보통의 가열조리나 마이크로파 조리에 의하여 쉽게 파괴된다."라는 설명은 맞는 설명입니다. 솔라닌은 열에 민감하므로, 음식물을 적절한 온도에서 조리하면 솔라닌의 독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포유 동물의 유즙 중에 존재하는 당은?

  1. 락토오스(lactose)
  2. 말토오스(maltose)
  3. 라피노오스(raffinose)
  4. 글리코겐(glycogen)
(정답률: 알수없음)
  • 락토오스는 포유 동물의 유즙 중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당으로, 우유에도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는 우유를 생산하는 유전자가 포유류에게 유전적으로 전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락토오스는 글루코스와 갈락토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화효소 락테이스에 의해 분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아래의 ①, ② 반응에서 나타나는 색은?

  1. ① : 적색, ② : 적색
  2. ① : 적색, ② : 청색
  3. ① : 청색, ② : 청색
  4. ① : 청색, ② : 적색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는 빨간색과 파란색 빛이 혼합되어 있으며, 이를 혼합된 빛이라고 한다. ①번 반응에서는 빨간색 빛이 강하게 반응하여 적색으로 보이고, ②번 반응에서는 파란색 빛이 강하게 반응하여 청색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답은 "① : 적색, ② : 청색"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식품의 조리ㆍ가공 시 맛 성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김치의 신맛은 숙성시 탄수화물이 분해하여 생긴 젖산과 초산 때문이다
  2. 간장과 된장의 감칠맛은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이 분해하여 생긴 아미노산, 당분, 유기산 등이 혼합된 맛이다.
  3. 무, 양마를 삶으면 단맛이 나는 것은 매운맛 성분인 allylsulfide류가 alkylmercaptan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4. 감귤과즙을 저장하거나 가공처리를 하면 쓴맛이 나는 것은 비타민 E 성분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귤과즙을 저장하거나 가공처리를 하면 쓴맛이 나는 것은 비타민 E 성분 때문이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비타민 E는 맛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식품의 조직감(texture)특성에서 견고성(hardness) 이란?

  1. 반고체식품을 삼킬 수 있는 정도까지 씹는데 필요한 힘
  2. 식품을 파쇄하는데 필요한 힘
  3. 식품의 형태를 구성하는 내부적 결합에 필요한 힘
  4. 식품의 형태를 변형하는데 필요한 힘
(정답률: 알수없음)
  • 식품의 조직감(texture)특성에서 견고성(hardness)은 "식품의 형태를 변형하는데 필요한 힘"입니다. 이는 반고체식품을 삼킬 수 있는 정도까지 씹는데 필요한 힘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견고성은 식품을 파쇄하는데 필요한 힘과도 다른 개념으로, 식품의 형태를 구성하는 내부적 결합에 필요한 힘과도 구분됩니다. 따라서 견고성은 식품의 형태를 변형하는데 필요한 힘으로 정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근육 색소는?

  1. 안토시아닌(anthocyanin)
  2. 플라보노이드(flavonoid)
  3. 미오글로빈(myoglobin)
  4. 클로로필(chlorophyll)
(정답률: 알수없음)
  • 근육 색소는 미오글로빈(myoglobin)입니다. 미오글로빈은 근육 섬유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로서 산소를 저장하고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근육의 색깔은 미오글로빈의 양과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식품가공학

41. 식육의 근원섬유 단백질 중 근육의 수축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1. 트로포미오신(tropomyosin), 옥시미오글로빈(oxymyoglobin)
  2. 트로포닌(troponin), 메트미오글로빈(metmyoglobin)
  3. 액틴(actin), 미오신(myosin)
  4. 알파 액틴(α-actin), 베타 액틴(β-actin)
(정답률: 알수없음)
  • 근육 수축은 액틴과 미오신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일어납니다. 액틴은 근육 섬유 내에서 가장 흔한 단백질로, 근육 수축 시에는 미오신과 결합하여 근육을 단축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따라서 액틴과 미오신이 식육의 근원섬유 단백질 중 근육의 수축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각 전분의 특성이 잘못 설명된 것은?

  1. 감자전분 - 전분의 입자크기가 크다.
  2. 찰옥수수전분 - 아밀로펙틴의 함량이 높다.
  3. 밀전분 -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비율이 25:75 정도이다
  4. 타피오카전분 - 아밀로오스가 100%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타피오카전분은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이 모두 없는 순수한 전분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타피오카전분은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이 모두 존재하지만, 아밀로오스의 함량이 높아서 찰기가 좋고 끓이면 투명한 젤리 상태가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원료크림의 지방량이 80kg이고 생산된 버터의 양이 100kg이라면, 버터의 증량률(overrun)은?

  1. 5%
  2. 15%
  3. 25%
  4. 80%
(정답률: 알수없음)
  • 원료크림의 지방량이 80kg이고 생산된 버터의 양이 100kg이므로, 버터의 증량량은 100kg - 80kg = 20kg입니다.
    증량률(overrun)은 증량량을 원료크림의 양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입니다.
    즉, (20kg / 80kg) x 100 = 2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잼의 수분 분리현상(synersis)을 일으키는 주 요인은?

  1. 메톡실기 함량 과다
  2. 당 과다
  3. 산 과다
  4. Ca 이온 과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잼에서 수분 분리현상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은 산 과다입니다. 산 과다는 잼의 pH 값을 낮추어서 당분과 수분이 분리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메톡실기 함량 과다, 당 과다, Ca 이온 과다는 잼의 특성과는 관련이 있지만, 수분 분리현상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효소 당화법에 의한 포도당 제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말액은 식용이 가능하다.
  2. 산당화법에 비해 당화시간이 길다.
  3. 원료는 완전히 정제할 필요가 없다.
  4. 당화액은 고미가 강하고 착색물질이 많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당화액은 고미가 강하고 착색물질이 많다."가 틀린 것이다. 효소 당화법은 고미가 약하고 착색물질이 적은 순수한 포도당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산당화법에 비해 당화시간이 짧고, 원료를 완전히 정제할 필요가 없으며, 분말액으로 만들어 식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쇼트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품 100g 중 20mL 이하의 공기 또는 질소가스를 함유한다.
  2. 마가린과 같은 에멀션 상태이다.
  3. 빵 반죽이나 버터크림 제조 시 공기를 잘 부착시키는 크림성의 기능을 한다.
  4. 비스킷, 쿠키 등을 제조할 때 쇼트닝성을 부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가린과 같은 에멀션 상태이다."가 틀린 것이다. 쇼트닝은 마가린과는 다른 혼합물로, 식물성 오일과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 또는 동물성 오일을 혼합한 것이다. 이 혼합물은 고체 상태이며, 높은 유체성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찹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찹쌀은 아밀로펙틴(amylopectin) 100%로 구성된다.
  2. 멥쌀보다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
  3. 호화된 후 높은 수분함량을 가지며 찰기와 끈기가 있어 인절미, 경단류 등의 가공에 사용된다.
  4. 요오드 용액에 의한 착색반응에서 적갈색을 띤다.
(정답률: 알수없음)
  • "멥쌀보다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찹쌀은 멥쌀과 마찬가지로 탄수화물의 주성분인 전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화 흡수에는 차이가 없다. 다만 찹쌀은 멥쌀보다 아밀로펙틴(amylopectin) 함량이 높아서 더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을 가지고 있으며, 인절미, 경단류 등의 가공에 더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콜라겐(collage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섬유상 구조단백질이다.
  2. 인장 강도가 강하다.
  3. 변성되면 젤라틴(gelatin)이 된다.
  4. 펩신(pepsin) 등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콜라겐은 펩신 등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되지 않습니다. 이외의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입니다. 콜라겐은 섬유상 구조단백질로, 인장 강도가 강하며 변성되면 젤라틴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마요네즈 제조 시 난황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1. 단백질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2. 유화력에 의한 유화액을 형성한다.
  3. 마요네즈의 황색을 내는 기능을 갖는다.
  4. 포립성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요네즈 제조 시 난황은 유화력에 의해 유화액을 형성하여 마요네즈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마요네즈의 재료들이 잘 섞이고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된장을 만들 때 사용하는 코지(koji)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쌀, 보리, 콩 등의 곡류 및 두류에 코지균인 Saccharomyces cerevisiae 을 번식시킨 것이다.
  2. 코지균은 혐기성균으로 발육할 때 공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3. 코지균의 발육 최적온도는 20~25℃ 이다.
  4. 코지균은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등 여러 가지 효소를 생성시켜 전분 또는 단백질을 분해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코지는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등 여러 가지 효소를 생성시켜 전분 또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균으로, 쌀, 보리, 콩 등의 곡류 및 두류에 코지균인 Saccharomyces cerevisiae을 번식시킨 것이다. 따라서, "코지균은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등 여러 가지 효소를 생성시켜 전분 또는 단백질을 분해한다."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두부 응고제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염화칼슘의 장점은 응고시간이 빠르고, 보존성이 양호하다.
  2. 황산캄슘의 장점은 사용이 편리하고, 수율이 높다
  3. 염화캄슘의 단점은 신맛이 약간 있는 것이다.
  4. 글루코노델타락톤의 단점은 수율이 낮고, 두부가 거칠고 견고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염화칼슘의 장점은 응고시간이 빠르고, 보존성이 양호하다. 이는 염화칼슘이 두부의 응고를 빠르게 하고, 응고 후에도 두부를 신선하게 보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요구르트 제조에 적합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탈지분유 120g, 설탕 240g, 물 1.6L를 잘 혼합하여 발효할 원액으로 준비한다.
  2. 접종할 스타터(starter)는 주로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lactis 등이다.
  3. 발효온도는 20~25℃ 정도가 가장 적합하다.
  4. 발효 시 생성된 유기산은 주로 젖산이며 커드(curd)상으로 되면 균질화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탈지분유 120g, 설탕 240g, 물 1.6L를 잘 혼합하여 발효할 원액으로 준비한다."와 "접종할 스타터(starter)는 주로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lactis 등이다."는 요구르트 제조에 적합한 조건이다. 그러나 "발효온도는 20~25℃ 정도가 가장 적합하다."는 잘못된 정보이다. 실제로 요구르트 제조에 적합한 발효온도는 40~45℃ 정도이다. 20~25℃는 너무 낮은 온도로,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매우 느리게 진행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트랜스지방 저감화의 방안이 아닌것은?

  1. 육종개발을 통한 새로운 유(油) 자원 개발
  2. 니켈 등의 금속 이온 촉매 이용
  3. 효소를 이용한 에스테르 교환반응
  4. 분획 및 물리적 혼합
(정답률: 알수없음)
  • 니켈 등의 금속 이온 촉매 이용은 트랜스지방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랜스지방 저감화의 방안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트랜스지방 저감화를 위한 방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젖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pH를 올려 잡균 오염을 방지하는 산미료로 사용 된다.
  2. 우유를 젖산 발효할 때 젖당에서 생성된다.
  3.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며 많은 식물에 유리 상태로 존재한다.
  4. 피로한 근육 중에 축적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pH를 올려 잡균 오염을 방지하는 산미료로 사용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젖산은 pH를 낮추는 산성 물질로, 잡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오히려 알칼리성 물질인 석회나 소다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육류가공 시 아질산염을 사용하는 목적은?

  1. 감미료로 이용된다.
  2. 조미료의 일종으로 이용된다.
  3. 향신료로써 사용한다.
  4. 육색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아질산염은 육색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육류가 가공되면서 살아있는 세포가 파괴되면서 산화되어 갈색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아질산염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펙틴(pectin)이 비교적 적게 들어 있는 것은?

  1. 사과
  2. 포도
  3. 오렌지
(정답률: 알수없음)
  • 배는 다른 과일에 비해 펙틴 함량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아미노산 간장을 만들 때 단백질 원료를 염산으로 분해 시 생성될 수 있는 식품성 가수분해 단백질은?

  1.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monochloropropandiol)
  2. 글리실리진산삼나트륨(trisodium glycyrrhizinatre)
  3. 게라니올(geraniol)
  4. 벤조페린(benzopyrene)
(정답률: 알수없음)
  • 염산으로 단백질을 분해하면 아미노산이 생성되는데, 이 아미노산들이 가열되면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아미노산 분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과일주스의 제조공정 중 탈기의 목정이 아닌 것은?

  1. 호기성 미생물의 번식촉진
  2. 갈변 억제
  3. 향미성분 및 지질성분의 산화 억제
  4. 관 내부 부식 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과일주스의 제조공정 중 탈기의 목적은 갈변 억제, 향미성분 및 지질성분의 산화 억제, 관 내부 부식 방지입니다. 따라서 "호기성 미생물의 번식촉진"은 탈기의 목적이 아닙니다. 호기성 미생물은 유익한 성분이지만, 과일주스 제조과정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알루미늄 포장재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기체투과 방지성이 우수하다.
  2. 내열성이 약하다.
  3. 방습성이 뛰어나다.
  4. 가공성이 양호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은 내열성이 약하기 때문에 고온에서 변형되거나 녹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열성이 약하다는 것은 알루미늄 포장재가 고온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식품의 건조방법 중 대류에 의한 건조는?

  1. 접촉건조
  2. 열풍건조
  3. 복사건조
  4. 동결건조
(정답률: 알수없음)
  • 대류에 의한 건조는 공기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열풍건조는 공기를 가열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대류에 의한 건조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열풍건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품미생물학

61. 맥아즙 제조의 주 목적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효모의 증식
  2. 효소의 생산
  3. 발효
  4. 당화
(정답률: 알수없음)
  • 맥아즙은 주로 발효를 통해 당화를 일으키는 것이 주 목적입니다. 이는 맥아를 이용하여 알코올, 식초, 빵 등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당화"가 가장 알맞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1mole의 glucose를 Saccharomyces cereviciae로 발효 하였을 때 몇 mole의 ethanol이 생기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1 mole의 glucose를 Saccharomyces cereviciae로 발효시키면 2 mole의 ethanol이 생긴다. 이는 glucose 분자 하나당 ethanol 분자 두 개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곰팡이의 분생포자병(conidiophore)의 끝이 빗자루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은?

  1. Aspergillus 속
  2. Mucor 속
  3. Rhizopus 속
  4. Penicillium 속
(정답률: 알수없음)
  • 곰팡이의 분생포자병(conidiophore)의 끝이 빗자루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은 Penicillium 속에 속하는 곰팡이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다. 다른 보기인 Aspergillus 속, Mucor 속, Rhizopus 속의 곰팡이들은 분생포자병의 끝이 빗자루 모양이 아닌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내생포자(endospore)를 형성하지 않는 세균은?

  1. Pseudomonas
  2. Bacillus
  3. Sporosacina
  4. Clostridium
(정답률: 알수없음)
  • "Pseudomonas"는 내생포자(endospore)를 형성하지 않는 세균 중 하나입니다. 이는 "Pseudomonas"가 환경적으로 극히 다양한 생태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생포자를 형성하지 않아도 생존에 문제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생육에 요구되는 수분활성도가 높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곰팡이 > 세균 > 효모
  2. 효모 > 세균 > 곰팡이
  3. 효모 > 곰팡이 > 세균
  4. 세균 > 효모 > 곰팡이
(정답률: 알수없음)
  • 생육에 요구되는 수분활성도가 높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효모, 곰팡이, 세균 순이다. 이는 효모와 곰팡이가 물에 더 많이 의존하며, 세균은 상대적으로 덜 의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균 > 효모 > 곰팡이가 아닌, 효모 > 곰팡이 > 세균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포자를 생성하지 못하는 효모는?

  1. Saccharomyces cerevisiae
  2. Saccharomyces sake
  3. Debaryomyces hansenii
  4. Torulopsis utilis
(정답률: 알수없음)
  • Torulopsis utilis는 포자를 생성하지 못하는 효모입니다. 이는 Torulopsis utilis가 asexual reproduction만 가능하며, sexual reproduction을 위한 필요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식용효모로 사용되는 SCP 생산균주로서, 병원성을 나타내기도 하는 효모는?

  1. Candida 속
  2. Hansenula 속
  3. Devaryomyces 속
  4. Rhodotorula 속
(정답률: 알수없음)
  • "Candida 속"은 식용효모로 사용되는 생산균주 중에서도 병원성을 나타내는 종류가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속들은 일반적으로 식용효모로 사용되며 병원성을 나타내는 종류는 거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젖산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요구르트 제조에는 이형발효(heterofermentative)의 젖산균만 사용하여 초산 발색을 억제시킨다.
  2. 대부분이 catalase 음성이다.
  3. 김치, 침채류의 발효에 관여한다.
  4. 장내에서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요구르트 제조에는 이형발효(heterofermentative)의 젖산균만 사용하여 초산 발색을 억제시킨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요구르트 제조에는 이형발효뿐만 아니라 동형발효(homofermentative)의 젖산균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동형발효의 경우 초산 발생이 적기 때문에 요구르트 제조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Bacteriophage의 숙주는?

  1. 조류
  2. 곰팡이
  3. 효모
  4. 세균
(정답률: 알수없음)
  • Bacteriophage는 세균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숙주는 세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증류주에 해당하는 것은?

  1. 맥주
  2. 포도주
  3. 일본청주
  4. 위스키
(정답률: 알수없음)
  • 위스키는 증류주에 해당한다. 증류주란 발효주를 증류기로 증류하여 만든 주류로, 알코올 도수가 높고 강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다. 반면 맥주와 포도주는 발효주에 해당하며, 일본청주는 쌀을 발효시켜 만든 주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버섯은 미생물학상 주로 어느 분류에 속하는가?

  1. 자낭균류
  2. 담자균류
  3. 편모균류
  4. 접합균류
(정답률: 알수없음)
  • 버섯은 담자균류에 속합니다. 이는 버섯의 세포벽이 키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담자균류는 키틴으로 이루어진 세포벽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다른 균류와 구별되는 중요한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청국장의 발효균은?

  1. Aspergillus oryzae
  2. Bacillus natto
  3. Rhizopus delemar
  4. Zygosaccharomyces rouxii
(정답률: 알수없음)
  • 청국장의 발효균은 Bacillus natto이다. 이는 청국장의 특징적인 맛과 향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균주이다. Bacillus natto는 대사 활동을 통해 청국장의 단맛과 쓴맛을 조절하며, 또한 청국장의 특유의 향을 형성하는 아미노산을 생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α-amylase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α-1.4 , α-1.6 겹합을 모두 분해한다.
  2. 분해물은 모두 포도당이 된다.
  3. 미생물만 분해한다.
  4. 녹말의 요오드 반응을 청색에서 무색으로 변화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α-amylase는 녹말을 분해하는 효소로, α-1.4와 α-1.6 결합을 모두 분해하여 녹말을 포도당으로 분해합니다. 이 과정에서 녹말의 요오드 반응을 청색에서 무색으로 변화시키는데, 이는 녹말이 분해되어 요오드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녹말의 요오드 반응을 청색에서 무색으로 변화시킨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주로 제빵에 사용하는 균주는?

  1. Acetobacter aceti
  2. Saccharomyces oleaceus
  3. Saccharomyces cerevisiae
  4. Acetobacter xylinum
(정답률: 알수없음)
  • 제빵에서는 주로 발효를 이용하여 반죽을 부풀리고, 맛과 향을 부여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사용되는 균주는 발효능력이 뛰어나고 맛과 향을 좋게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Saccharomyces cerevisiae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발효능력이 뛰어나고 맛과 향을 좋게 만들어주는 효모균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n-paraffin에서 구연산을 생성하는 균은?

  1. Candida lipolytica
  2. Aspergillus niger
  3. Acetobacter aceti
  4. Lactobacillus casei
(정답률: 알수없음)
  • "Candida lipolytica"는 지방분해 효소를 가지고 있어 n-파라핀과 같은 지방성 화합물을 분해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구연산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Candida lipolytica"는 n-파라핀에서 구연산을 생성하는 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한쪽 방향으로만 분열하여 길게 연결된 형태의 구균의 형태는?

  1. 쌍구균(diplococcus)
  2. 단구균(monococcus)
  3.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4.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정답률: 알수없음)
  • 연쇄상구균은 한쪽 방향으로만 분열하여 길게 연결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쌍구균은 두 개의 구균이 서로 붙어있는 형태, 단구균은 하나의 구균으로 이루어진 형태, 포도상구균은 여러 개의 구균이 모여 포도처럼 생긴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높은 식염농도에서도 생육되는 내염성 효모로 간장의 주발효에 작용하는 효모는?

  1. Saccharomyces cerevisiae
  2. Saccharomyces sake
  3. Zygosaccharomyces rouxii
  4. Saccharomyces ellipsoideus
(정답률: 알수없음)
  • 간장 주발효는 높은 식염농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염성 효모인 Zygosaccharomyces rouxii가 선택된다. 이 효모는 고염분 환경에서도 잘 생육하며, 간장의 맛과 향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른 보기인 Saccharomyces cerevisiae, Saccharomyces sake, Saccharomyces ellipsoideus는 내염성 효모가 아니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겉보리의 외피에 존재하는 섬유질 다당류를 분해하는 효소는?

  1. lipase
  2. hemicellulase
  3. invertase
  4. melibiase
(정답률: 알수없음)
  • 겉보리의 외피는 섬유질 다당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섬유질 다당류를 분해하는 효소는 hemicellulase입니다. 다른 보기인 lipase는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 invertase는 사탕수수에서 나오는 당을 분해하는 효소, melibiase는 메리사이클로스를 분해하는 효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김치 발효에 관련된 균이 아닌 것은?

  1. Leuconostoc mesenteroides
  2. Lactobacillus brevis
  3. Lactobacillus plantarum
  4. Staphyiococcus aureus
(정답률: 알수없음)
  • Staphyiococcus aureus는 김치 발효에 관여하지 않는 균으로, 김치 발효에 필수적인 유산균인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plantarum과는 다른 균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Gram 염색의 목적은?

  1. 세균의 세포벽 차이에 의한 분류를 위해서
  2. 세균의 편모, 방선균의 포자 관찰을 위해서
  3. 유포자 곰팡이와 무포자 곰팡이의 분류를 위해서
  4. 유포자 효모와 무포자 효모의 분류를 위해서
(정답률: 알수없음)
  • Gram 염색은 세균의 세포벽 구조에 따라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분류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그람 양성균은 세포벽이 두껍고 페피독사가 있어서 보라색으로 염색이 되고, 그람 음성균은 세포벽이 얇고 페피독사가 없어서 붉은색으로 염색이 됩니다. 이를 통해 세균의 분류와 동시에 약물 감수성 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