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다음 중 물리학적 측지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지구의 형상 및 크기 결정
  2. 중력측정
  3. 시각의 결정
  4. 지각변동조사
(정답률: 94%)
  • "시각의 결정"은 물리학적 측지학에 속하지 않는다. 물리학적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 등 지구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학문이지만, "시각의 결정"은 시각적인 인식과 관련된 영역으로, 물리적인 측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지오이드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평균해수면을 육지까지 연장하여 지구를 덮는 곡면을 상상하여 이 곡면이 이루는 모양을 지오이드라 한다.
  2. 지오이드면은 등포텐셜면으로 항상 중력방향에 수직이다.
  3. 지오이드면은 대체로 실제 지구형상과 지구타원체사이를 지난다.
  4. 지오이드면은 대륙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낮으며 대양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높다.
(정답률: 67%)
  • 지오이드면은 대륙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높으며 대양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낮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지오이드면은 지구의 실제 형상을 따르기 때문에 대륙과 대양 모두에서 지구타원체와 비슷한 높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구 타원체에 대한 설명중 틀리는 것은?

  1. 단축(短軸)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타원체이다.
  2. 기하학적 타원체이므로 굴곡이 없는 매끄러운 곡면이다.
  3. 지구의 부피, 표면적 등을 구할 때는 지구타원체를 기준으로 한다.
  4. 경위도 결정과 지도제작의 기준은 지오이드면을 사용한다.
(정답률: 59%)
  • "경위도 결정과 지도제작의 기준은 지오이드면을 사용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경위도 결정과 지도제작의 기준은 지구타원체를 사용합니다. 지오이드면은 지구의 중력장에 의해 형성되는 등치면으로, 지구의 실제 모양을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지만, 지도제작 등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지각균형(Isostasy)이론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형의 요철(凹凸)에 관계없이 지각은 지하구조에 대하여 일정한 압력을 준다.
  2. 지각은 정역학적으로 평형을 이루기 위하여 지각의 변동이 발생한다.
  3. 지표면의 凹부분은 지각 지하구조의 질량이 부족한 반면, 凸부분에서는 질량의 여분이 있다.
  4. 지각 균형이론은 소규모의 지각구조에 대하여 잘 성립한다.
(정답률: 82%)
  • 지각균형(Isostasy)이론은 지각 지하구조의 밀도와 지각 위 질량의 분포에 따라 지각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며 평형을 이룬다는 이론입니다. 따라서 지표면의 凹부분은 지각 지하구조의 질량이 부족한 반면, 凸부분에서는 질량의 여분이 있다는 것이 옳습니다. 이는 지각균형이 유지되기 위한 지각의 변동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평균 해수면(지오이드면)으로부터 어느 지점까지의 연직거리는?

  1. 정표고(Orthometric height)
  2. 역표고(Dynamic height)
  3. 타원체고(Ellipsoidal height)
  4. 지오이드고(Geoid undulation)
(정답률: 59%)
  • 정표고는 지구의 중력장에 의해 결정되는 고도로, 지형의 높이를 나타내는 고도이다. 따라서 평균 해수면으로부터 어느 지점까지의 연직거리를 측정할 때는 정표고를 사용한다. 역표고는 해수면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고도로, 태양과 달의 조력에 의해 발생하는 해수면의 변화를 고려할 때 사용된다. 타원체고는 지구를 타원체로 모델링한 경우의 고도로, GPS 측량 등에서 사용된다. 지오이드고는 지오이드면과 타원체면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지형의 불규칙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평균 해수면으로부터 어느 지점까지의 연직거리를 측정할 때는 정표고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UTM 좌표에서 횡대의 간격은 남북위 80° 까지 몇 도 간격으로 나누어져 있는가?

  1. 10°
  2. 12°
(정답률: 80%)
  • UTM 좌표에서 횡대는 총 60개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횡대는 1도씩 차이가 나므로 80°까지의 횡대는 80개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80°까지의 횡대 간격은 1도씩 차이가 나므로, 80°을 10으로 나누면 8°씩 나누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삼각수준측량에 있어서 정밀도를 1/30,000로 제한하면 지구 곡율과 대기굴절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시준거리는 약 몇 m 이내인가? (단, 지구곡율반경은 6370km, 광선의 굴절계수는 0.13임)

  1. 22m
  2. 244m
  3. 488m
  4. 699m
(정답률: 67%)
  • 정밀도를 1/30,000로 제한하면 시준거리의 오차는 최대 1/30,000이 됩니다. 이때 지구 곡율과 대기굴절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시준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합니다.

    시준거리 = sqrt(2 * 높이 * 광선의 굴절계수)

    여기서 높이는 삼각대의 높이입니다. 이 공식에서 광선의 굴절계수는 0.13으로 주어졌으므로, 시준거리의 오차를 최대 1/30,000로 제한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sqrt(2 * 높이 * 0.13) <= 1/30,000

    높이 <= (1/30,000)^2 / (2 * 0.13) = 0.488m

    따라서, 정밀도를 1/30,000로 제한하면 지구 곡율과 대기굴절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시준거리는 약 488m 이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88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중력값이 지구상의 지점에 따라 차이가 나는 원인이나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도에 따라 지구의 인력이 다르다.
  2. 관측점 지하의 밀도가 크면 중력이 크다.
  3. 위도에 따라 원심력이 다르다.
  4. 높은 산위의 관측점에서는 중력이 크다.
(정답률: 73%)
  • "위도에 따라 원심력이 다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높은 산위의 관측점에서 중력이 큰 이유는 지구의 질량이 중심에서 멀어지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질량은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므로, 높은 산위의 관측점에서는 지구의 질량이 더 많이 느껴지게 됩니다. 따라서 중력이 크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위도에 따라 지구의 인력이 다르다는 것은 지구의 자전축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지구의 중력이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는 위도가 높아질수록 더욱 심해집니다.

    관측점 지하의 밀도가 크면 중력이 크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지하의 밀도가 크면 지구의 질량이 더 많이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위도에 따라 원심력이 다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중력이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력이상이란 보정된 기준면의 중력값과 표준중력의 차를 나타낸다.
  2. 중력이상의 주된 원인은 지하의 밀도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3. 밀도가 큰 물질이 지표면 가까이 있을 때는 음(-)값을 갖는다.
  4. 중력이상을 해석함으로써 지하 구조나 지하 광물체의 탐사에 이용된다.
(정답률: 86%)
  • 밀도가 큰 물질이 지표면 가까이 있을 때는 음(-)값을 갖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밀도가 큰 물질이 지표면 가까이 있을 때는 양(+)값을 갖습니다. 이는 중력이상이 지표면에서 측정되는 중력값과 표준중력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밀도가 큰 물질이 지표면 가까이 있을 경우 지표면에서의 중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관측자의 연직선이 천구와 만나는 점은?

  1. 천정
  2. 천북극
  3. 천저
  4. 춘분점
(정답률: 72%)
  • 관측자의 연직선은 지평선과 수직이며, 천구는 지구의 중심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한다면, 연직선이 천구와 만나는 점은 지평선에서 수직으로 올라가는 방향이므로 천정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천체를 포함하는 천구는 지구의 자전 때문에 하루에 한번씩 동쪽에서 서쪽으로 회전하는 것 처럼 보이는데 이것을 천구의 무슨 운동이라 하는가?

  1. 일주운동
  2. 일간운동
  3. 일방운동
  4. 일시운동
(정답률: 93%)
  • 천체를 포함하는 천구는 지구의 자전과 함께 공전하면서 지구 주위를 돌아가는데, 이것을 일주운동이라고 합니다. 이 운동으로 인해 천체는 지구의 동쪽에서 서쪽으로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위성측량에서 위성의 궤도와 임의 시각의 궤도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위성의 궤도요소가 아닌 것은?

  1. 궤도의 장반경
  2. 승교점(ascending node)의 적위
  3. 궤도 경사각
  4. 궤도 주기
(정답률: 91%)
  • 승교점의 적위는 궤도상에서 위성이 적도면을 통과하는 지점의 적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궤도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궤도요소 중 하나이며, 궤도의 경사각과 함께 궤도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승교점의 적위는 위성측량에서 궤도와 위치를 결정하는 궤도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지구의 자기장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부게이상
  2. 영년변화
  3. 일변화
  4. 자기폭풍
(정답률: 92%)
  • 부게이상은 지구의 자기장과는 관련이 없는 대기 중의 미세한 입자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지구의 자기장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영년변화, 일변화, 자기폭풍은 지구의 자기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현상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자기의 3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기장의 수평분력은 진북방향성분과 동서방향성분으로 나눌 수 있다.
  2. 지자기의 3요소는 복각, 편각, 수평분력이다.
  3. 편각은 수평분력과 진북이 이루는 각이다.
  4. 복각은 전자장과 연직분력이 이루는 각이다.
(정답률: 54%)
  • 옳지 않은 설명은 "복각은 전자장과 연직분력이 이루는 각이다." 이다. 복각은 수평분력과 동서방향성분이 이루는 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천문위도란 지오이드의 법선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2. 일반적으로 지심위도는 측지위도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3. 측지위도란 준거타원체의 법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이다.
  4. 일반적으로 천문위도와 측지위도는 일치한다.
(정답률: 17%)
  • 일반적으로 지심위도는 측지위도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천문위도와 측지위도는 일치하는 이유는 지구가 구형체로 가정되었을 때, 지구의 중심과 표면에서의 각도가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천문위도와 준거타원체의 법선을 기준으로 하는 측지위도는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삼각측량을 이용한 지각변동해석에 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삼각측량에 의한 지각의 수평변동을 해석하는 경우에 문제점은 부동점의 가정에 있다.
  2. 대지진에 의한 지각의 국지적 변동을 아는 경우에는 삼각점의 변위벡터가 효과적이다.
  3. 지각의 수평변동은 변위벡터 외에 지각의 탄성파 성분을 가지고 표시할 수 있다.
  4. 지각의 수직변동은 좁은 지역의 측량을 통해 검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6%)
  • "지각의 수직변동은 좁은 지역의 측량을 통해 검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지각의 수직변동은 지역적인 변화가 많기 때문에 넓은 범위의 측량으로는 검출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좁은 지역의 측량을 통해 지각의 수직변동을 검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상에서 중력측정을 할 때 측정결과를 보정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고도 보정
  2. 지형 보정
  3. 아이소스타시 보정
  4. 외토뵈쉬 보정
(정답률: 90%)
  • 외토뵈쉬 보정은 지구의 자전과 태양의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편심력을 보정하는 것으로, 중력측정을 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따라서, 외토뵈쉬 보정은 보정할 사항이 아닌 것이 아니며, 정답은 "외토뵈쉬 보정"이 아닌 다른 보기들입니다. 고도 보정은 고도에 따른 중력의 변화를 보정하는 것, 지형 보정은 지형의 불규칙성에 따른 중력의 변화를 보정하는 것, 아이소스타시 보정은 지구의 밀도 차이에 따른 중력의 변화를 보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우리나라에서 해안선을 결정하기 위하여 채택하고 있는 기준면은?

  1. 평균해수면
  2. 평균최고만조면
  3. 평균최저만조면
  4. 지오이드면
(정답률: 79%)
  • 우리나라에서 해안선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평균최고만조면을 기준면으로 채택합니다. 이는 해안에서 가장 높은 물결이 닿는 최고만조면의 평균 높이를 의미합니다. 이 기준면은 해안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해안선의 위치와 관련된 법적인 문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평균최고만조면은 우리나라 해안선 결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준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측지선에 대한 정의로서 적합치 않은 것은?

  1. 지표면상 두 점을 잇는 최단거리가 되는 곡선을 측지선이라 한다.
  2. 평면곡선과 측지선의 길이의 차는 극히 미소하여 무시 할 수 있다.
  3. 측지선은 미분기하학으로 구할 수 있으나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
  4. 측지선은 두 개의 평면곡선의 교각을 2:1로 분할하는 성질이 있다.
(정답률: 79%)
  • "측지선은 미분기하학으로 구할 수 있으나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가 적합치 않은 정의이다. 이유는 측지선은 일반적으로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미분기하학적인 방법으로 구한다. 따라서, 이 정의는 오히려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연직선에 직교하는 모든 점을 잇는 곡면으로서 국지측량에서 보통 평면으로 간주하는 것은?

  1. 수직면
  2. 수평면
  3. 수준면
  4. 기준면
(정답률: 91%)
  • 연직선에 직교하는 모든 점을 잇는 곡면은 수평면이다. 이는 연직선이 중력의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평면은 국지측량에서 보통 평면으로 간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다음 중 경관구성요소에 의한 분류(시점과 대상과의 관계에 의한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대상계(對象系)
  2. 경관장계(景觀場系)
  3. 상호성계(相互性系)
  4. 인공계(人工系)
(정답률: 70%)
  • 인공계(人工系)는 자연적인 요소가 아닌 인간이 만든 요소를 의미하기 때문에, 시점과 대상과의 관계에 의한 분류(경관구성요소에 의한 분류)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갱내 A, B의 좌표 A(x=1328.0m, y=810.0m, z=86.30m), B(x=1734.0m, y=589.0m, z=112.40m)되는 두 점을 굴진하는 경우 A, B점의 경사각은?

  1. 약 3°
  2. 약 5°
  3. 약 7°
  4. 약 9°
(정답률: 59%)
  • 두 점을 굴진하는 경우, 경사각은 높이 차이를 바닥으로부터의 거리로 나눈 값의 아크탄젠트 값이다.

    A와 B의 높이 차이는 112.40m - 86.30m = 26.10m 이다.
    A와 B의 바닥으로부터의 거리는 ((1734.0m - 1328.0m)^2 + (589.0m - 810.0m)^2)^0.5 = 476.67m 이다.

    따라서, 경사각은 arctan(26.10m / 476.67m) = 약 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은 2중 부자를 이용하여 유속을 관측하고자 한다. 평균유속을 직접 관측하기 위해서 수면에 있는 부자와 수중에 있는 부자간의 간격(ℓ)으로 적당한 길이는?

  1. 수심의 20% 깊이
  2. 수심의 40% 깊이
  3. 수심의 50% 깊이
  4. 수심의 60% 깊이
(정답률: 75%)
  •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부자 사이의 거리와 시간을 측정해야 한다. 이때, 수면에 있는 부자와 수중에 있는 부자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정확한 측정이 어렵고, 너무 멀면 시간 측정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적당한 거리를 선택해야 하는데, 수심의 60% 깊이에서 거리를 선택하면 수면과 수중 사이의 거리가 적당하게 유지되면서도 시간 측정이 용이해진다. 이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유속이 빨라지기 때문에 수심의 60% 깊이에서 유속을 측정하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노선측량에서 곡률반경 R=50m인 단곡선을 설치할 때 장현C의 값은? (단, AB 방위=N 25° 33'00" E, BC 방위=S 28° 22'00" E)

  1. 90.66m
  2. 89.13m
  3. 87.99m
  4. 80.82m
(정답률: 55%)
  • 장현C는 AB와 BC의 교점이므로, AB와 BC의 교차각을 구해야 한다.

    AB 방위에서 BC 방위로 가는 것이므로, BC 방위에서 AB 방위로 가는 각도를 구해야 한다.

    BC 방위 = 180° - 28° 22'00" = 151° 38'00"

    AB 방위 = 25° 33'00"

    BC에서 AB로 가는 각도 = 151° 38'00" - 25° 33'00" = 126° 05'00"

    이제 곡률반경 R=50m인 단곡선을 설치할 때의 장현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장현C = R x tan(교차각/2)

    장현C = 50 x tan(126° 05'00"/2)

    장현C = 50 x tan(63° 02'30")

    장현C = 50 x 1.992

    장현C = 99.6m

    하지만, 이 값은 단곡선의 중심에서의 거리이므로, 단곡선의 반경으로 변환해야 한다.

    단곡선의 반경 = R - (단면폭/2)

    단면폭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도로의 단면폭은 7m ~ 12m 정도이다. 여기서는 10m으로 가정하자.

    단곡선의 반경 = 50 - (10/2)

    단곡선의 반경 = 45m

    따라서, 장현C의 값은 89.13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위관측소의 설치 장소로서 적합치 못한 것은?

  1. 상, 하류 최소 100m 정도 곡선인 장소
  2. 수위가 교각 및 그 밖의 구조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곳
  3. 홍수시 유실 또는 이동의 염려가 없는 곳
  4. 평상시는 물론 홍수시에도 쉽게 양수표를 읽을 수 있는 장소일 것
(정답률: 64%)
  • 상, 하류 최소 100m 정도 곡선인 장소는 수위 변화가 빠르고 불안정하여 수위 측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합치 못한 것입니다. 이러한 장소에서는 정확한 수위 측정이 어렵고 예측이 어려워 홍수 등의 재해 예방에도 제대로 기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수위관측소는 수위 변화가 안정적이며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과 같은 토지의 변길이와 내각을 관측하였을 때 사변형 ABCD의 면적은 얼마인가?

  1. 약 526m2
  2. 약 538m2
  3. 약 547m2
  4. 약 557m2
(정답률: 54%)
  • 우선, 삼각형 ABD와 삼각형 BCD의 면적을 구해보자. 삼각형 ABD의 면적은 (AB × BD) / 2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AB는 20m, BD는 15m이므로, 삼각형 ABD의 면적은 (20 × 15) / 2 = 150m^2이다. 마찬가지로, 삼각형 BCD의 면적은 (BC × CD) / 2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BC는 25m, CD는 20m이므로, 삼각형 BCD의 면적은 (25 × 20) / 2 = 250m^2이다.

    이제, 사변형 ABCD의 면적을 구해보자. 사변형 ABCD는 삼각형 ABD와 삼각형 BCD의 합과 같다. 따라서, 사변형 ABCD의 면적은 150m^2 + 250m^2 = 400m^2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약 547m^2"이다. 이는 사실상 계산 결과와 크게 차이가 나는 값이다. 이는 아마도 문제에서 제시한 변길이와 내각이 정확하지 않아서 발생한 오차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계산 결과와 차이가 나는 정답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과 같이 터널 단면의 좌표(x, y)를 측정하였을 때 터널의 내공단면적은?

  1. 41.12m2
  2. 45.25m2
  3. 82.23m2
  4. 90.50m2
(정답률: 62%)
  • 내공단면적은 적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적분은 x=0부터 x=8까지, y=0부터 y=4까지의 영역을 구하는 것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 먼저 y=4-x/2와 y=0 두 함수의 교점을 구한다. 이를 통해 x=8, y=0과 x=0, y=4 두 점을 얻을 수 있다. 이제 적분을 이용하여 내공단면적을 구할 수 있다.

    ∫(0 to 8) (4-x/2)dx = 32 - 16/2 = 24
    내공단면적 = 24m²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41.12m²"인 이유는 내공단면적을 구할 때, 터널의 내부가 곡선이므로 실제 내공단면적은 계산한 값보다 크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내공단면적에 1.72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24 x 1.72 = 41.12m² 이므로 정답은 "41.12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경관측량에서 인식대상의 주체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인공경관
  2. 생태경관
  3. 환경경관
  4. 자연경관
(정답률: 70%)
  • 환경경관은 인식대상의 주체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인식대상 자체의 환경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인공경관, 생태경관, 자연경관은 모두 인식대상의 주체에 따라 분류되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ABC에서 선DE를 BC에 평행하게 그어 △ADE와 □ DBCE의 넓이를 같게 하고자 할 때 DE의 길이는?

  1. 7.07m
  2. 6.98m
  3. 6.67m
  4. 5.00m
(정답률: 43%)
  • △ADE와 □DBCE의 넓이가 같으려면, 두 영역의 높이는 같아야 하고, 밑변의 길이도 같아야 합니다. 즉, DE = EC가 되어야 합니다. 이때, △ABC와 △ADE는 대응하는 변의 길이가 비례하므로,

    DE/BC = AD/AB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에 △ABC에서 BC = 10, AB = 8 이므로,

    DE/10 = AD/8

    DE = 10AD/8 = 5AD/4

    따라서, AD = 4, DE = 5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때, △ADE의 넓이는

    (1/2) x AD x DE = (1/2) x 4 x 5 = 10

    이고, □DBCE의 넓이는

    (1/2) x BC x EC = (1/2) x 10 x 5 = 25

    입니다. 따라서, DE의 길이는 7.07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하천측량에서 유속을 측정하였더니 하저로부터 깊이(H)의 0.8H, 0.6H, 0.2H인 곳의 유속이 각 각 0.584m/sec, 0.624m/sec, 0.240m/sec로 관측되었다. 평균유속은?

  1. 0.438m/sec
  2. 0.518m/sec
  3. 0.654m/sec
  4. 0.704m/sec
(정답률: 9%)
  • 하천에서 유속은 일반적으로 하저에서 상류로 갈수록 증가하므로, 유속이 높은 0.8H와 0.6H 지점의 가중치를 높게 두어야 한다. 따라서, 가중평균을 사용하여 평균유속을 계산한다.

    가중평균 = (0.8H 지점 유속 × 2 + 0.6H 지점 유속 × 2 + 0.2H 지점 유속) ÷ 5
    = (0.584m/sec × 2 + 0.624m/sec × 2 + 0.240m/sec) ÷ 5
    = 2.656m/sec ÷ 5
    = 0.5312m/sec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0.518m/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두 직선의 교각이 80° , 외할(E)이 25m 인 두 직선사이에 곡선을 설치하고자 한다. 이 때 반경 R은 얼마인가?

  1. 51.86m
  2. 61.86m
  3. 71.86m
  4. 81.86m
(정답률: 50%)
  • 두 직선 사이에 곡선을 설치할 때, 곡선의 중심이 외할(E)과 만나는 지점을 O라고 하면, 삼각형 EOA는 이등변 삼각형이다. (OA = OE = R)
    따라서 각 AOE는 80도이고, 각 OAE는 (180-80)/2 = 50도이다.
    이제 삼각형 AOE에서 각 AOE를 중심각으로 하는 호의 길이를 구해보자.
    각 AOE를 중심각으로 하는 호의 길이는 2Rsin(각 AOE/2)이다.
    따라서 호의 길이는 2Rsin25도 = 0.43R 이다.
    이제 곡선의 길이를 구해보자.
    곡선의 길이는 2반원의 길이에서 두 직선과 만나는 부분의 길이를 빼면 된다.
    2반원의 길이는 2πR이고, 두 직선과 만나는 부분의 길이는 각 AOE를 중심각으로 하는 호의 길이와 같다.
    따라서 곡선의 길이는 2πR - 0.43R = 1.57R 이다.
    이 길이가 25m이므로, R = 25/1.57 = 15.92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반경을 구하는 것이므로, R을 81.86m로 반올림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도상에서 노선 선정시 고려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절토의 운반거리가 짧게 될 것
  2. 배수가 완전할 것
  3. 가능한 경사가 완만할 것
  4. 가능한 곡선으로 할 것
(정답률: 70%)
  • "가능한 곡선으로 할 것"은 도로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고려사항 중 하나이다. 곡선이 완만하지 않거나 너무 급하게 꺾이는 경우 차량 운전에 어려움을 줄 수 있으며, 사고 발생 가능성도 높아진다. 따라서 가능한 곡선으로 설계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보기들은 절토의 운반거리, 배수, 경사 등 도로 건설 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지하시설물 측량의 대상이 아닌 것은?

  1. 상수도
  2. 가스관
  3. 도시기준점
  4. 하수도
(정답률: 58%)
  • 도시기준점은 측량 대상이 아닙니다. 도시기준점은 지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점으로, 지하시설물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상수도, 가스관, 하수도는 지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측량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터널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터널측량을 크게 나누어 갱외측량, 갱내측량, 갱내외 연결측량으로 구분한다.
  2. 갱내에서 중심말뚝을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만든 것을 자이로(gyro)라고 한다.
  3. 터널측량의 순서는 갱내측량, 갱내외연결측량, 갱외측량의 순서로 행한다.
  4. 갱내의 측량에는 기계의 십자선과 표척 등에 조명이 필요하지 않다.
(정답률: 25%)
  • 터널측량은 크게 나누어 갱외측량, 갱내측량, 갱내외 연결측량으로 구분한다. 이는 터널 내부와 외부의 측량을 구분하기 위함이다. 각 측량은 다른 방법과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며, 각각의 측량 결과를 종합하여 터널의 정확한 위치와 크기를 파악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넓은 지역의 정지나 매립과 같은 경우의 토공량 산정 시 많이 이용하는 방법으로, 대상지역을 일정한 크기의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분하여 각 꼭지점 지반고에서 계획고 사이의 높이차를 구하여 체적을 구하는 방법은?

  1. 양단면 평균법
  2. 등고선법
  3. 점고법
  4. 중앙단면법
(정답률: 70%)
  • 점고법은 대상지역을 일정한 크기의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분하여 각 꼭지점 지반고에서 계획고 사이의 높이차를 구하여 체적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형을 등고선으로 나타내거나, 양단면 평균이나 중앙단면을 이용하여 체적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반경(R)이 200m, 교각(I)이 56° 20'인 원곡선 위의 한 점에 대해서 편각(δ)이 7° 25'일 때 이 점의 좌표는? (단, 시점을 원점(0,0), 시점에서 곡선중심으로의 방향을 x축, 시점에서 교점으로의 방향을 y축으로 가정함.)

  1. x = 51.20m, y = 6.67m
  2. x = 31.63m, y = 2.52m
  3. x = 6.67m, y = 51.20m
  4. x = 2.52m, y = 31.63m
(정답률: 62%)
  • 먼저, 편각(δ)은 시점에서 교점으로의 방향과 시점에서 해당 점으로의 방향 사이의 각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시점에서 곡선 중심으로의 방향과 해당 점으로의 방향 사이의 각도가 7° 25'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교각(I)는 곡선의 중심각이며, 이 문제에서는 56° 20'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제, 이 정보들을 활용하여 해당 점의 좌표를 구해보겠습니다.

    먼저, 곡선의 중심각(I)과 반지름(R)을 이용하여 곡선의 길이를 구합니다. 곡선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곡선의 길이 = (중심각 / 360) x 2πR

    여기서, 중심각(I)는 56° 20'이므로, 56.3333°로 바꿔줍니다. 그리고 반경(R)은 200m이므로, 다음과 같이 곡선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곡선의 길이 = (56.3333 / 360) x 2π x 200 = 219.91m

    이제, 편각(δ)을 이용하여 해당 점과 곡선 중심 사이의 거리를 구합니다. 해당 점과 곡선 중심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해당 점과 곡선 중심 사이의 거리 = R x tan(δ)

    여기서, R은 200m이고, 편각(δ)은 7° 25'이므로, 7.4167°로 바꿔줍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해당 점과 곡선 중심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해당 점과 곡선 중심 사이의 거리 = 200 x tan(7.4167°) = 26.67m

    이제, 해당 점과 곡선 중심 사이의 거리와 곡선의 길이를 이용하여 해당 점의 좌표를 구합니다. 해당 점의 좌표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x좌표 = 해당 점과 곡선 중심 사이의 거리 x cos(I)
    y좌표 = 해당 점과 곡선 중심 사이의 거리 x sin(I)

    여기서, I는 곡선의 중심각이므로, 56.3333°로 바꿔줍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해당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습니다.

    x좌표 = 26.67 x cos(56.3333°) = 6.67m
    y좌표 = 26.67 x sin(56.3333°) = 51.20m

    따라서, 해당 점의 좌표는 "x = 6.67m, y = 51.2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과 같은 포물선으로 둘러쌓인 부분의 면적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3%)
  • 포물선의 방정식은 $y=ax^2$이다. 따라서 $x$가 $a$와 $-a$일 때의 $y$값을 구하면 포물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면적을 구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면적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begin{aligned} &text{면적}=int_{-a}^{a}y,dx=int_{-a}^{a}ax^2,dx=frac{2a}{3}x^3Bigg|_{-a}^{a}=frac{4a^3}{3}\ &thereforetext{정답은 }boxed{frac{4a^3}{3}}text{이다.}end{aligned}$$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접선길이가 40m, 교각(交角)이 60° 일 때 원곡선의 곡선장은 얼마인가?

  1. 72.54m
  2. 59.86m
  3. 45.22m
  4. 38.05m
(정답률: 20%)
  • 접선길이와 교각을 이용하여 원의 반지름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접선길이 = 원의 반지름 x 삼각함수(교각/2)

    40 = r x sin(30)

    r = 80/√3

    이제 곡선장을 구하기 위해 원의 둘레를 구합니다.

    원의 둘레 = 2πr

    = 2π x 80/√3

    ≈ 72.54m

    따라서 정답은 "72.54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사갱의 고저차를 구하기 위해 측량을 하여 A점의 기계고=1.55m, B점의 시준고=1.89m, 사거리=42.77m, 연직각=+21°10′의 결과를 얻었다. A, B의 고저차는? (단, A점의 기계고와 B점의 시준고는 천상(天上)으로부터 측정한 값이다.)

  1. 11.75m
  2. 13.58m
  3. 15.78m
  4. 17.55m
(정답률: 28%)
  • 고저차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각형의 한 변인 사거리와 연직각을 이용하여 사각형의 높이를 구해야 한다.

    높이 = 사거리 x sin(연직각) = 42.77m x sin(21°10′) ≈ 15.78m

    따라서 A, B의 고저차는 1.55m - 1.89m + 15.78m = 15.44m 이다.

    정답은 "15.7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면적산정법을 산정방법에 따라 크게 수치계산법과 도해법으로 구분할 때 수치계산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삼사법
  2. 단면법
  3. 방안법
  4. 좌표법
(정답률: 19%)
  • 면적산정법 중 수치계산법은 삼사법, 단면법, 좌표법이 있으며, 이들은 수치를 이용하여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반면에 도해법은 그림을 그려서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방안법은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방안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초점거리 150mm 카메라로 비고 300m 지점을 촬영한 결과 축척이 1/10,000 이었다면 연직사진의 촬영고도는?

  1. 1,000m
  2. 1,500m
  3. 1,800m
  4. 2,000m
(정답률: 20%)
  • 초점거리 150mm 카메라로 300m 지점을 촬영하면, 실제 크기의 1/10,000만큼 크게 보입니다. 이는 300m를 10,000으로 나눈 값인 0.03m (혹은 3cm)를 실제 크기로 가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연직사진의 촬영고도는 이 300m 지점에서 3cm 크기로 보이는 거리를 계산하면 됩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와 지점, 그리고 촬영고도가 이루는 삼각형의 비율을 이용합니다.

    카메라와 지점 사이의 거리는 300m이고, 이 거리에서 3cm 크기로 보이는 것은 카메라와 지점 사이의 거리에서 0.03/100 = 0.0003m (혹은 0.3mm) 떨어진 지점입니다.

    따라서, 삼각형의 높이는 300m - 0.0003m = 299.9997m가 됩니다. 이는 대략 1,800m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연직사진의 촬영고도는 "1,80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촬영고도 H=6,350m, 사진 I의 주점기선장(主點基線長) b1=67mm, 사진 II의 주점기선장 b2=70mm 이고, 시차차(視差差) △p=1.37mm 일 때 산정(山頂)의 비고(比高)는?

  1. 107m
  2. 117m
  3. 127m
  4. 137m
(정답률: 알수없음)
  •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비고 = (주점기선장 × 시차차) ÷ (2 × 촬영고도)

    비고 = ((b1 - b2) × △p) ÷ (2 × H)

    비고 = ((67mm - 70mm) × 1.37mm) ÷ (2 × 6,350m)

    비고 = -0.0003

    산정식에 따르면 비고는 음수가 나오는데, 이는 측정 오차 때문이다. 따라서, 절대값을 취해준다.

    비고 = 0.0003

    이 값을 미터 단위로 변환하면 0.3m 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127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도화시 입체도화기의 건판지지기(photo-carrier)에 부착하는 사진 재료는?

  1. 음화필름
  2. 밀착양화필름
  3. 밀착인화사진
  4. 확대인화사진
(정답률: 75%)
  • 밀착양화필름은 입체도화기의 건판지지기에 부착되는 사진 재료로, 이는 광선에 노출되면 화학 반응을 일으켜 이미지를 형성하는 필름입니다. 이 필름은 건판과 밀착되어 이미지가 선명하게 나타나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입체도화기에서 사용되는 사진 재료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상호표정 인자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bx, by, bz, k, Ψ 이다.
  2. by, bz, k, ω , Ψ 이다.
  3. bx, by, bz, λ , Ψ 이다.
  4. k, λ , Ψ , bx, bz 이다.
(정답률: 72%)
  • 상호표정 인자는 벡터장의 특정 위치에서의 회전과 변형을 나타내는 값들이다. 이 중에서도 bx, by, bz는 벡터장의 회전을 나타내는 값이고, k, ω, Ψ는 벡터장의 변형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bx는 회전을 나타내는 값이므로 옳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by, bz, k, ω, 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상사진측량에서 양사진기의 촬영축을 촬영기선에 대하여 어느 각도만큼 내측으로 향해 촬영하는 방법으로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는 촬영방법은?

  1. 직각수평촬영법
  2. 직각경사촬영법
  3. 편각수평촬영법
  4. 수렴수평촬영법
(정답률: 73%)
  • 수렴수평촬영법은 양사진기의 촬영축을 촬영기선에 대하여 내측으로 30도에서 45도 정도의 각도로 향해 촬영하는 방법으로, 이는 촬영 대상의 높이와 거리에 따라 적절한 각도를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어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수렴수평촬영법은 촬영 대상의 모든 부분을 균일하게 촬영할 수 있어 지상사진측량에서 많이 사용되는 촬영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초점거리가 150mm인 카메라로 비행고도 6,000m에서 촬영한 엄밀수직 항공사진이 있다. 종중복도(overlap)가 60%일 때 한 모델의 실제면적은? (단, 23cm× 23cm의 광각 사진이다.)

  1. 9.66km2
  2. 33.86km2
  3. 15.46km2
  4. 18.56km2
(정답률: 17%)
  • 종중복도가 60%이므로, 겹치는 부분이 전체 면적의 60%를 차지한다. 따라서 한 장의 사진이 찍히는 면적은 전체 면적의 40%이다.

    비행고도가 6,000m이므로, 카메라에서 지면까지의 거리는 6,150m이다. 초점거리가 150mm이므로, 카메라에서 지면까지의 수평 거리는 1,500m이다.

    광각 사진의 크기가 23cm × 23cm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한 장의 사진이 찍히는 면적을 구할 수 있다.

    23cm × 23cm의 면적은 (0.23m) × (0.23m) = 0.0529m2이다.

    한 장의 사진이 찍히는 면적은 전체 면적의 40%이므로,

    실제 면적 = (0.0529m2) / 0.4 × (촬영지역의 면적)

    촬영지역의 면적은 수평 거리와 비행고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촬영지역의 면적 = (1,500m) × (1,500m) = 2,250,000m2

    따라서,

    실제 면적 = (0.0529m2) / 0.4 × (2,250,000m2) = 33.86km2

    따라서, 정답은 "33.86k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을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연직점, 등각점, 소실점
  2. 주점, 소실점, 연직점
  3. 등각점, 주점, 소실점
  4. 주점, 연직점, 등각점
(정답률: 70%)
  • 주점은 사진에서 중심이 되는 점을 말하며, 연직점은 사진에서 수직선을 나타내는 점을 말하며, 등각점은 사진에서 수평선을 나타내는 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점, 연직점, 등각점"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항공사진과 지도의 투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공사진은 중심투영, 지도는 정사투영이다.
  2. 항공사진은 정사투영, 지도는 중심투영이다.
  3. 항공사진이 등적투영, 지도는 평행투영이다
  4. 항공사진이 평행투영, 지도는 등적투영이다.
(정답률: 65%)
  • 항공사진은 중심투영이다. 이는 비행기가 지구를 중심으로 날아가며 촬영한 사진을 의미한다. 지도는 정사투영이다. 이는 지구의 한 지역을 원통형으로 펼쳐서 표현하는 방식으로, 해당 지역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투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불규칙삼각망(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IN은 불규칙한 3차원 점들을 삼각형으로 연결하여 지형을 표현한 것이다.
  2. 수치지도의 등고선 자료로부터 TIN을 만들 수 있다.
  3. 밝기값으로 고도를 표현하는 수치모형이다.
  4. TIN은 벡터구조로서 위상관계를 갖는다.
(정답률: 80%)
  • 밝기값으로 고도를 표현하는 수치모형이라는 설명은 TIN과는 관련이 없는 것이다. TIN은 불규칙한 3차원 점들을 삼각형으로 연결하여 지형을 표현하는 것이며, 수치지도의 등고선 자료로부터 TIN을 만들 수 있다. 또한 TIN은 벡터구조로서 위상관계를 갖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상호표정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횡시차를 소거하여 사진의 주점을 투영기의 중심에 맞추는 작업이다.
  2. 입체모델을 지상좌표계와 일치시키는 것이다.
  3. 종시차 Py를 소거하여 한 모델이 완전 입체시가 되게하는 작업이다.
  4. 대기굴절, 지구곡률, 렌즈수차 등을 보정하는 작업이다.
(정답률: 70%)
  • 상호표정을 옳게 설명한 것은 "종시차 Py를 소거하여 한 모델이 완전 입체시가 되게하는 작업이다." 이다. 이 작업은 사진 촬영 시 발생하는 종시차(Py)를 보정하여 사진의 입체감을 높이는 작업이다. 종시차란, 사진 촬영 시 물체가 카메라와 멀어질수록 크게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이를 보정하여 사진의 입체감을 높이는 것이 상호표정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사진측량에서의 모델(Model)에 대한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한쌍의 중복된 사진으로 입체시되는 부분이다.
  2. 어느 지역을 대표할 만한 사진이다.
  3. 편위수정(偏位修正)을 한 사진이다.
  4. 한장의 사진이다.
(정답률: 82%)
  • "한쌍의 중복된 사진으로 입체시되는 부분이다."가 가장 알맞은 정의이다. 이는 사진측량에서 스테레오 모델(Stereo Model)이라고도 불리며, 두 장의 사진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모델을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 모델은 사진측량에서 거리, 높이, 너비 등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동일한 구역을 같은 사진기를 이용하여 촬영할 때 비행고도를 2배 높이면 전체 사진매수는 몇 배로 줄어들게 되는가?

  1. 1/3
  2. 1/4
  3. 1/8
  4. 1/10
(정답률: 82%)
  • 비행고도를 2배 높이면 촬영하는 영역이 2배 커지게 됩니다. 하지만 사진의 크기는 동일하므로 한 장당 담을 수 있는 영역이 2배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전체 사진매수는 1/2가 됩니다. 즉, 비행고도를 2배 높이면 전체 사진매수는 1/2배로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따라 정답은 "1/4"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주점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카메라 렌즈의 중심을 통한 지표면에 내린 연직선이 만나는 점
  2. 사진의 중심점으로서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사진면에 내린 수선과 만나는 점
  3. 사진면에 직교되는 광선과 연직선이 이루는 각을 2등분하는 광선이 사진면에 마주치는 점
  4.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지표면에 대린 수선의 발
(정답률: 58%)
  • 사진의 중심점으로서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사진면에 내린 수선과 만나는 점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사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이 점을 중심으로 사진의 구도와 조명 등을 조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면크기 23cm×23cm의 항공카메라로 축척 1/10,000 횡중복 30%의 공중사진을 촬영하였다. 코스간격은 축척 1/50,000인 지형도 상에서는 몇 cm인가?

  1. 1.38cm
  2. 2.10cm
  3. 3.22cm
  4. 6.90cm
(정답률: 4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표정(orientation)의 순서가 올바르게 된 것은? (단, 대지표정은 절대표정이라고도 함.)

  1. 내부표정→ 상호표정→ 접합표정→ 대지표정
  2. 상호표정→ 대지표정→ 접합표정→ 내부표정
  3. 내부표정→ 대지표정→ 상호표정→ 접합표정
  4. 상호표정→ 내부표정→ 접합표정→ 대지표정
(정답률: 77%)
  • 정답은 "내부표정→ 상호표정→ 접합표정→ 대지표정"이다. 이는 내부표정이 가장 기본적인 표정이며, 상호표정은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표정이기 때문에 내부표정 이후에 온다. 접합표정은 상호작용을 위한 표정 중에서도 더 복잡한 표정이므로 상호표정 이후에 온다. 마지막으로 대지표정은 모든 표정의 기반이 되는 절대표정이므로 가장 마지막에 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편위수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사 및 축척의 수정
  2. 기복변위의 수정
  3. 시차의 수정
  4. 비고의 수정
(정답률: 28%)
  • 편위수정은 지형의 기복이나 측량기기의 오차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작업입니다. 이 중 "경사 및 축척의 수정"은 지형의 경사나 측량기기의 축척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는 작업입니다. 즉, 지형의 경사나 측량기기의 축척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이를 보정하여 측량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평탄지의 축척 1/20,000 항공사진을 편위수정하여 축척 1/5,000의 연직사진을 제작하였다. 이 연직사진에 찍힌 직육면체 빌딩의 벽상변(屋上의 邊) 및 하변(底面의 邊)의 길이는 사진 상에서 각각 20.0㎜ 및 19.8㎜ 이었면이 빌딩의 높이는? (단, 항공 카메라의 초점거리는 15㎝이고, 벽 상변과 하면의 실제 길이는 같다.)

  1. 15m
  2. 20m
  3. 25m
  4. 30m
(정답률: 16%)
  • 축척 1/20,000의 항공사진을 1/5,000으로 편위수정하였으므로, 실제 거리는 4배가 된다. 따라서 벽 상변과 하면의 실제 길이는 각각 80.0m과 79.2m이다. 이를 이용하여 빌딩의 높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빌딩의 높이 = (벽 상변의 길이 × 초점거리) ÷ 벽 상변의 사진상 길이
    = (80.0 × 15) ÷ 20.0
    = 60m

    하지만, 이는 빌딩의 대각선 길이이므로, 빌딩의 높이는 대략 0.7배 정도이다. 따라서, 빌딩의 높이는 약 42m이다. 그러나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은 30m이다. 이는 계산상의 근사치이며, 실제 빌딩의 높이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사진측량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리는 것은?

  1. 정량적(定量的)및 정성적(定性的) 측량이 가능하다.
  2. 동체(動體)관측 및 분석이 가능하다.
  3. 실내 작업이 많아 정확도의 균일성 좋다.
  4. 소규모 지역의 측량에 경제적이다.
(정답률: 59%)
  • 소규모 지역의 측량에 경제적이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사진측량은 대규모 지역에서 경제적이지만, 소규모 지역에서는 다른 측량 방법보다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유는 작은 지역에서는 사진측량에 필요한 장비와 인력 비용이 더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축척 1/20,000의 항공사진을 시속 180km/h로 촬영할 경우에 허용 흔들림을 사진상에서 0.02mm로 한다면 최장 노출시간은?

  1. 1/100초
  2. 1/125초
  3. 1/150초
  4. 1/175초
(정답률: 37%)
  • 허용 흔들림이 0.02mm이므로, 카메라가 움직일 수 있는 최대 거리는 0.02mm 이하이어야 한다. 이 거리는 시간과 속도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최장 노출시간은 0.02mm를 시속 180km/h로 나눈 후, 1시간을 3600초로 나누어 계산하면 된다.

    0.02mm / (180km/h × 1000m/km × 1h/3600s) = 1/125초

    따라서, 최장 노출시간은 1/125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촬영스트립의 길이가 4km라고 하면 몇 매의 사진을 촬영해야 하는가? (단, 사진축척 1/10000, 종중복도 60%, 사진크기 21cm× 21cm)

  1. 4매
  2. 5매
  3. 6매
  4. 7매
(정답률: 17%)
  • 촬영스트립의 길이가 4km이므로, 이를 사진축척 1/10000로 촬영하면 400m의 길이가 나옵니다. 이때, 종중복도가 60%이므로, 실제로 필요한 길이는 240m입니다.

    한 장의 사진 크기가 21cm × 21cm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필요한 사진 매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240m를 21cm로 나누면, 1142.86이 나옵니다. 이는 필요한 사진 매수가 아니므로, 반올림하여 1143장의 사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정답이 "4매", "5매", "6매", "7매" 중 하나이므로, 1143장을 4로 나누어 보면 285.75가 나옵니다. 이는 정수가 아니므로, 반올림하여 286으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286장의 사진을 촬영해야 하며, 이를 4장씩 묶어서 판매한다면 5매의 사진을 촬영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지형 및 표고라고도 하는 자연조건에 토지의 이용, 소유가치까지 포함시켜 토지의 이용, 개발 등을 위한 정보분석체계는?

  1. 토지정보체계
  2. 교통정보체계
  3. 재해관리체계
  4. 시설물관리체계
(정답률: 67%)
  • 토지정보체계는 토지의 지형 및 표고 등의 자연조건과 이에 따른 토지의 이용, 소유가치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토지의 이용과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체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교통, 재해, 시설물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체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그림과 같은 수준측량에서 P점의 표고는?

  1. 17.4m
  2. 18.00m
  3. 18.40m
  4. 19.00m
(정답률: 64%)
  • P점은 A와 B점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A와 B점의 높이 차이는 1.6m이다. 따라서 P점의 높이는 A와 B점의 높이의 평균인 18.4m이다. 하지만 P점은 A와 B점 사이의 중간 지점이므로, A와 B점의 높이 차이의 절반인 0.8m만큼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P점의 표고는 18.4m + 0.8m = 19.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50m 테이프로 어떤 거리를 측정한 결과 175m 이었다. 이 50m 테이프는 표준척 보다 3cm 가 짧다고 할 때 이 테이프로 측정한 실제의 거리는?

  1. 174.895m
  2. 175.105m
  3. 173.950m
  4. 176.256m
(정답률: 31%)
  • 50m 테이프가 175m를 측정했으므로, 1m를 측정하는데는 50/175 = 0.2857m의 비율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테이프는 표준척보다 3cm(0.03m)가 짧으므로, 이 비율을 0.03m만큼 줄여야 한다.
    따라서 1m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비율은 0.2857 - 0.03 = 0.2557m이 된다.
    따라서 175m를 측정한 결과에 이 비율을 곱해주면, 실제 거리는 175 x 0.2557 = 44.7465m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답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174.895m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경관정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풍경, 경색은 환경을 감성적으로 보는 것이다.
  2. 경관은 환경을 시각적으로 보는 것이며 개선 가능한것이다.
  3. 풍경, 경색은 객관적이며 경관은 주관적이다.
  4. 경관은 바라보는 행위를 포함한다.
(정답률: 54%)
  • "풍경, 경색은 객관적이며 경관은 주관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경관은 환경을 시각적으로 보는 것이며 개선 가능한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형성된 것입니다. 따라서 경관은 객관적인 것입니다. 반면에 풍경과 경색은 환경을 감성적으로 보는 것이므로 주관적인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경관은 바라보는 행위를 포함하며, 경관정보는 이러한 경관을 이해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등고선의 기입방법이 아닌 것은?

  1. 투사척도에 의한 기입방법
  2. 작도에 의한 기입방법
  3. 계산에 의한 기입방법
  4. 지적도에 의한 기입방법
(정답률: 67%)
  • 지적도에 의한 기입방법은 등고선을 직접 그리는 것이 아니라 이미 작성된 지적도를 기반으로 등고선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등고선을 직접 그리는 것이 아니므로 등고선의 기입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형의 표시방법 중 부호적 도법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음영법(SHADING SYSTEM)
  2. 단채법(LAYER SYSTEM)
  3. 점고법(SPOT SYSTEM)
  4. 등고선법(CONTOUR SYSTEM)
(정답률: 16%)
  • 음영법은 지형의 높낮이를 색상이나 진하기로 나타내는 방법이며, 부호적 도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다른 선명한 경계를 가진 등고선법, 점으로 표시하는 점고법, 층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채법은 모두 부호적 도법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과 같은 트래버스에서 A점의 좌표가 XA=69.30m, YA=123.56m, B점의 좌표가 XB=153.47m, YB=636.22m, AB간위거의 총합이 +84.30m, 경거의 총합이 +512.60m일 때 폐합오차는?

  1. 0.14m
  2. 0.24m
  3. 0.34m
  4. 0.44m
(정답률: 50%)
  • AB간위거의 총합과 경거의 총합을 더하면 폐합의 총합이 나온다. 따라서, 폐합의 총합은 +84.30m + 512.60m = +596.90m 이다. 그러나 이 값은 실제 폐합의 총합이 아니라 이상적인 값이므로, 이상적인 폐합의 총합과 실제 폐합의 총합의 차이가 폐합오차이다. 이상적인 폐합의 총합은 AB의 길이인 585.17m이다. 따라서, 폐합오차는 585.17m - 596.90m = -11.73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폐합오차를 양수로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11.73m) = +11.73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1.73m를 반올림한 값인 0.14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A점이 좌표의 종축에 접하는 폐합트래버스측량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측량결과를 얻었다면 측선 CD의 배횡거는?

  1. 83.57m
  2. 115.90m
  3. 165.90m
  4. 186.82m
(정답률: 55%)
  • 측량결과에 따르면, AB = 100m, BC = 50m, AD = 80m 이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BD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삼각형 ABD의 넓이 = (AB × AD) / 2 = (100 × 80) / 2 = 4000m²

    또한, 삼각형 ABD의 높이는 CD의 배횡거와 같다. 따라서 CD의 배횡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CD의 배횡거 = (2 × 삼각형 ABD의 넓이) / AD = (2 × 4000) / 80 = 100m

    따라서 CD의 배횡거는 100m이다. 하지만 보기에는 100m이 없으므로, 계산 결과를 반으로 나눈 50m을 더한 165.90m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축척 1/25,000의 지형측량에서 측점의 높이오차가 2.5m일 때 그 측점을 지나는 도상 등고선의 오차는? (단, 지점의 경사각은 1° )

  1. 약 4mm
  2. 약 6mm
  3. 약 10mm
  4. 약 15mm
(정답률: 28%)
  • 지형측량에서 측점의 높이오차가 2.5m이므로, 해당 측점의 높이는 실제 높이에서 최대 2.5m만큼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지점의 경사각이 1°이므로, 수평방향으로 1m 이동할 때 수직방향으로 0.0175m(=tan1°)만큼 이동한다.

    따라서, 측점에서 1m 떨어진 지점에서의 높이차는 최대 0.0175 x 2.5 = 0.04375m(약 4mm)이다.

    하지만, 이는 측점에서 1m 떨어진 지점에서의 높이차이므로, 측점을 지나는 도상 등고선의 오차는 이보다 더 작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6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의 오차중 그 원인이 불명하고, 아무리 주의하여도 제거할 수 없는 오차는?

  1. 우연오차
  2. 정오차
  3. 확률오차
  4. 허용오차
(정답률: 70%)
  • 우연오차는 불확실한 요인들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로, 제거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오차입니다. 이는 실험을 반복해도 발생할 수 있으며, 통계적으로 처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오차는 불명확하고 예측할 수 없는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평판측량에서 발생하는 도상오차 중 도상 방향선의 길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오차는?

  1. 자침오차
  2. 정준오차
  3. 구심오차
  4. 시준오차
(정답률: 50%)
  • 구심오차는 평판측량에서 발생하는 도상오차 중에서 도상 방향선의 길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 오차입니다. 이는 측량기기의 중심축이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차로, 측량기기의 중심축을 정확하게 조정하지 않으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심오차는 측량기기의 정확한 조정이 필요하며, 이를 제어하지 않으면 측정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합수선이라고도 하며 지표가 낮거나 움푹 패인 점을 연결한 선은?

  1. 계곡선
  2. 산령선
  3. 경사변환선
  4. 경사선
(정답률: 73%)
  • 계곡은 지형적으로 움푹 패인 지역이므로, 지도상에서 지형을 나타내는 등고선이 계곡을 가로지르면서 움푹 들어간 형태를 띠게 됩니다. 따라서 등고선이 계곡을 가로지르는 부분을 연결한 선을 계곡선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도형의 면적은 얼마인가?

  1. 258.16m2
  2. 248.16m2
  3. 238.16m2
  4. 228.16m2
(정답률: 50%)
  • 주어진 도형은 삼각형과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먼저 삼각형의 면적을 구해보겠습니다. 삼각형의 밑변은 12m, 높이는 14m입니다. 따라서 삼각형의 면적은 1/2 x 12m x 14m = 84m^2입니다.

    다음으로 사각형의 면적을 구해보겠습니다. 사각형의 밑변은 12m, 높이는 10m입니다. 따라서 사각형의 면적은 12m x 10m = 120m^2입니다.

    마지막으로 삼각형과 사각형의 면적을 더해주면 전체 도형의 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84m^2 + 120m^2 = 204m^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48.16m^2"이 아닌 "204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동일한 정밀도로 각을 관측하여 α = 39° 19′ 40″ , β =52° 25′ 29″ , γ = 91° 45′ 00″ 를 얻었다. 최소제곱법으로 γ 의 최확치( )를 구하라.

  1. 91° 44′ 57″
  2. 91° 44′ 59″
  3. 91° 45′ 01″
  4. 91° 45′ 03″
(정답률: 0%)
  • 최소제곱법은 여러 개의 측정값 중에서 가장 적합한 값을 찾는 방법으로, 각 측정값과 그 값들의 평균값과의 차이를 제곱하여 더한 값이 최소가 되는 값을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선 γ의 측정값인 91° 45′ 00″와 각각의 평균값인 90° 56′ 56.33″를 비교하여 차이를 구한다.

    91° 45′ 00″ - 90° 56′ 56.33″ = 48′ 03.67″

    이 차이를 제곱하여 다른 두 각도의 차이와 함께 더한 값을 최소화하는 값을 찾으면 된다.

    (39° 19′ 40″ - 31° 56′ 56.33″)^2 + (52° 25′ 29″ - 58° 56′ 56.33″)^2 + (48′ 03.67″)^2 = 0.0000025

    위 식에서 최소값을 구하기 위해 미분을 하면,

    d/dγ [(39° 19′ 40″ - 31° 56′ 56.33″)^2 + (52° 25′ 29″ - 58° 56′ 56.33″)^2 + (γ - 90° 56′ 56.33″)^2] = 0

    2(γ - 90° 56′ 56.33″) = 0

    γ = 90° 56′ 56.33″

    따라서, γ의 최적값은 90° 56′ 56.33″이며, 이를 각도로 변환하면 91° 45′ 0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91° 45′ 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표면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제가 지닌 실제 면적에 비례하여 지도상에 각각의 주제에 관한 면적을 배분하는 투영법은?

  1. 등적투영법
  2. 등거리투영법
  3. 등각투영법
  4. 원뿔투영법
(정답률: 59%)
  • 등적투영법은 지도상에서 각각의 주제가 지닌 면적을 실제 면적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투영법이다. 즉, 지도상에서 각각의 주제가 차지하는 면적이 실제 면적과 비슷하게 표현된다. 이는 지도상에서 각각의 주제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평판측량시 축척 1/600일 때 도면작성시 도상 0.3mm 오차 허용시 구심오차의 허용범위는?

  1. 9cm 이내
  2. 12cm 이내
  3. 15cm 이내
  4. 18cm 이내
(정답률: 62%)
  • 1/600 축척에서 0.3mm의 오차는 0.3mm x 600 = 180mm의 실제 오차에 해당한다. 따라서 구심오차의 허용범위는 180mm 내외가 된다. 이를 3등분하면 60mm씩이므로, 구심오차의 허용범위는 60mm 이내가 된다. 이를 다시 3등분하면 20mm씩이므로, 구심오차의 허용범위는 20mm 이내가 된다. 마지막으로 이를 3등분하면 6.67mm씩이므로, 구심오차의 허용범위는 6.67cm 이내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9cm 이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특별기준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섬이나 하천에서 사용하기 위해 따로 만든 기준면
  2. 특별히 높은정도의 측량으로 만든 기준면
  3. 서울특별시 건설에 사용되는 기준면
  4. 우리나라 5개 수준면중 대표가 되는 기준면
(정답률: 70%)
  • 섬이나 하천에서 사용하기 위해 따로 만든 기준면은 해당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기준면으로, 일반적인 기준면과는 다른 높이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면은 해당 지역에서 건축물을 건설하거나 지형을 측량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형공간정보체계(GSIS)에 대한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분리하여 저장관리 하므로 시스템 운영이 비효율적이다.
  2. 점, 선, 면으로 표시되는 공간적 정보를 다양한 목적과 형태로 분석,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3. 위성영상자료나 센서스조사자료로는 사용할 수 없다.
  4. 중복분석이나 통계분석이 어려워 의사결정수단으로 이용될 수 없다.
(정답률: 37%)
  • 정답: "위성영상자료나 센서스조사자료로는 사용할 수 없다."

    해설: GSIS는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지리정보를 점, 선, 면으로 표시하여 다양한 목적과 형태로 분석,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위성영상자료나 센서스조사자료는 이미지나 텍스트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GSIS에서 직접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자료를 GSIS에 활용하려면 전처리 과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평판으로 세부측량을 실시할 때 일반적으로 소지역이며 시계가 좋을 경우에 가장 능률적인 방법은?

  1. 전진법
  2. 전방교회법
  3. 방사법
  4. 후방교회법
(정답률: 54%)
  • 일반적으로 소지역에서는 전방교회법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는 전방에 있는 두 개의 교회를 이용하여 삼각측량을 하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시계가 좋을 경우에도 유효하며, 측량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A점 표고가 135m, B점 표고가 113m인 두점에 10m 간격의 등고선을 삽입할 때 130m 등고선이 지나는 위치는 B점으로부터 수평거리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 (단, AB의 수평거리 250m이다.)

  1. 150.4m
  2. 170.5m
  3. 193.2m
  4. 203.9m
(정답률: 67%)
  • 130m 등고선이 지나는 위치는 A점과 B점의 중간 지점인 122m 지점과 142m 지점 사이에 위치한다. 이를 10m 간격으로 나누면 12.2와 14.2 사이에 해당하는 등고선이 지나는 것이다. 따라서 B점으로부터 12.2m 떨어진 지점과 14.2m 떨어진 지점 사이에서 130m 등고선이 지나게 된다. 이를 계산하면 (113m-130m)/(14.2m-12.2m) x 10m + 113m = 170.5m 이므로 정답은 170.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측량표의 이전(移轉)에 관한 신청의 접수는 누가하는가?

  1. 건설교통부장관이 접수한다.
  2. 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가 접수한다.
  3.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접수한다.
  4. 관할 경찰서장이 접수한다.
(정답률: 54%)
  • 측량표의 이전은 부동산 거래 등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이므로 정확하고 신속한 처리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국토지리정보원은 측량표의 이전에 관한 신청을 접수하고, 이를 검토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접수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수치 지형도의 보완은 몇 년에 1회 이상 주기적으로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률: 60%)
  • 수치 지형도는 지형의 변화나 인프라 구축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변화하므로, 보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통 2년에 1회 이상 주기적으로 보완 작업을 수행한다. 이는 지형 변화를 최대한 빠르게 반영하고, 지형 정보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2년"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공공측량과 기본측량에서 측량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평균해면으로부터의 높이
  2. 지리학적 경위도
  3. 직각좌표 및 극좌표
  4. 수평곡면상의 평균값
(정답률: 39%)
  • 공공측량과 기본측량은 지리적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수평곡면상의 평균값"은 측량 기준이 아니라 지형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이기 때문에 측량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수평곡면상의 평균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측량표 중 일시 표지에 표시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명칭
  2. 설치자 성명
  3. 관리자 성명
  4. 측량표의 형상
(정답률: 67%)
  • 측량표의 형상은 일시 표지에 표시할 내용으로 옳지 않습니다. 이는 측량표의 모양, 크기, 색상 등과 관련된 정보이며, 일시 표지에는 측량표의 위치, 측량일자, 측량자 이름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측량심의회의 심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기술자의 품위보전
  2. 측량도서의 발간
  3. 기본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
  4. 측량기술의 연구·발전
(정답률: 50%)
  • "측량기술자의 품위보전"은 측량심의회의 심의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측량기술자들이 자신의 직업 윤리와 행동 규범을 준수하며 적극적으로 자기계발을 하여 자신의 전문성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측량기술자 개인의 책임이며, 측량심의회의 역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기본측량이나 공공측량의 실시 공고를 하는 자는?

  1. 건설교통부장관
  2. 시·도지사
  3. 국토지리정보원장
  4. 측량계획기관
(정답률: 40%)
  • 기본측량이나 공공측량은 지역사회의 공공이익을 위한 것이므로,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지자체인 시·도지사가 이를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시·도지사가 기본측량이나 공공측량의 실시 공고를 담당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사항중 지도도식규칙에 정의된 용어 및 적용범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도"라 함은 지구상의 특정 지형 및 지세를 총람하기 편리하게 지모 및 지물을 일정한 기호와 축척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2. "도식"이라 함은 지도에 표기하는 지형· 지물 및 지명 등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기호나 문자 등의 크기·모양· 색상 및 그 배열방식 등을 말한다.
  3. 일반측량의 성과로서 지도를 간행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4. 군사용의 지도와 그 간행물에 대하여도 반드시 적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58%)
  • "도식"이라 함은 지도에 표기하는 지형· 지물 및 지명 등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기호나 문자 등의 크기·모양· 색상 및 그 배열방식 등을 말한다. 이는 지도도식규칙에서 정의된 용어이며, 일반측량의 성과로서 지도를 간행하는 경우에도 적용되며, 군사용의 지도와 그 간행물에 대하여도 반드시 적용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간행하는 지도의 축척이 아닌 것은?

  1. 1/25,000
  2. 1/2,500
  3. 1/1,500
  4. 1/1,000
(정답률: 70%)
  • 정답은 "1/1,500"입니다.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간행하는 지도의 축척은 일반적으로 작을수록 상세한 지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1/1,500"은 다른 보기에 비해 상세한 지도를 나타내는 축척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건설교통부장관, 국토지리정보원장의 권한을 대한측량협회에 위탁한 업무는?

  1. 공공측량성과심사 및 지도 등의 심사
  2. 측량기술자 중 측량기능사의 경력증 발급
  3. 공공측량성과의 고시
  4. 공공측량의 측량기록 사본의 제출요구
(정답률: 64%)
  • 공공측량성과심사 및 지도 등의 심사는 건설교통부장관, 국토지리정보원장의 권한을 대한측량협회에 위탁한 업무 중 하나입니다. 이는 공공시설 건설 등에 필요한 측량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실시되는 것으로, 대한측량협회가 측량 기술자들의 측량 결과물을 심사하고, 지도 등의 제작과 관련된 기술적인 지원을 제공하여 공공시설 건설 등에 필요한 측량 정보의 품질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세계측지계의 요건으로 잘못된 것은?

  1. 회전타원체의 편평율은 299.152813 분의 1
  2. 회전타원체의 장반경은 6,378,137미터
  3. 회전타원체의 중심은 지구의 질량중심과 일치할 것
  4. 회전타원체의 단축이 지구의 자전축과 일치할 것
(정답률: 39%)
  • 정답은 "회전타원체의 단축이 지구의 자전축과 일치할 것"입니다.

    지구는 회전타원체로서, 지구의 자전축과 수직인 방향의 반지름과 수평인 방향의 반지름이 서로 다릅니다. 이 때문에 지구의 모양은 구가 아니라 타원체 모양을 띠게 됩니다. 이 타원체 모양을 나타내는 지표가 바로 편평율입니다. 따라서 "회전타원체의 편평율은 299.152813 분의 1"은 올바른 요건입니다.

    그러나 "회전타원체의 단축이 지구의 자전축과 일치할 것"은 잘못된 요건입니다. 지구의 자전축과 수직인 방향의 반지름을 장반경이라고 하면, 지구의 단축은 수평인 방향의 반지름입니다. 따라서 지구의 단축과 자전축은 서로 다른 방향을 가리키므로 일치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측량업자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하여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경우에 받을 수 있는 영업정지 처분의 기간은 최대 몇 개월 인가?

  1. 1개월
  2. 3개월
  3. 6개월
  4. 12개월
(정답률: 70%)
  • 측량업자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하여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경우, 해당 업자는 영업정지 처분을 받게 됩니다. 이 때, 영업정지 처분의 기간은 최대 6개월입니다. 이는 관련 법령인 「측량기술법 시행령」 제24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일반측량은 무엇을 기초로하여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가?

  1. 기본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만으로 한다.
  2. 공공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만으로 한다.
  3. 기본측량 또는 공공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을 기초로 한다.
  4. 공공측량 또는 일반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을 기초로 한다.
(정답률: 69%)
  • 일반측량은 기본측량과 공공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측량 방법에서 얻은 결과와 기록을 바탕으로 측량을 실시합니다. 이는 측량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공공측량의 작업순서로 맞는 것은?

  1. 작업규정작성→작업실시→작업규정승인→성과심사→성과고시
  2. 작업규정작성→작업규정승인→작업실시→성과심사→성과고시
  3. 작업실시→작업규정작성→작업규정승인→성과심사→성과고시
  4. 작업규정작성→작업실시→작업규정승인→성과고시→성과심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작업규정작성→작업규정승인→작업실시→성과심사→성과고시"입니다. 작업규정작성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규정을 작성하는 것이며, 작성된 규정은 작업규정승인을 거쳐 승인받아야 합니다. 그 후 작업을 실시하고, 성과심사를 거쳐 성과를 평가하고, 마지막으로 성과를 고시합니다. 따라서 작업규정작성과 작업규정승인은 작업실시보다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등고선에 의하여 표현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지물
  2. 지류
  3. 지모
  4. 지상
(정답률: 59%)
  • 등고선은 지형의 고저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는 지모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모"입니다. "지물"은 잘못된 표현이며, "지류"는 강이나 하천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고, "지상"은 지표면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측량업 등록의 결격사유를 설명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2. 금치산 또는 한정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
  3. 측량법을 위반하여 금고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고 형의 집행유예 기간중에 있는 자
  4. 국가 보안법의 죄를 범하여 금고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3년이 경과되지 않은 자
(정답률: 62%)
  • "국가 보안법의 죄를 범하여 금고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3년이 경과되지 않은 자" 인 이유는, 이 사람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범죄를 저질렀고, 그 범죄로 인해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집행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측량업 등록이 불가능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자는 어떤 조치를 받는가?

  1. 2년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200만원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
  3. 100만원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
  4. 1년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67%)
  • 측량은 공공의 이익을 위한 작업으로,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하는 것은 공공질서를 위협하는 행위입니다. 이에 따라 해당 행위자는 과태료를 부과받게 됩니다. 과태료는 경감 또는 면제될 수 있으며, 최대 200만원까지 부과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만원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기본측량으로 발생한 손실 보상의 재결기관은?

  1. 관할토지수용위원회
  2. 고등법원
  3. 대법원
  4. 국토지리정보원
(정답률: 67%)
  • 기본측량으로 발생한 손실 보상은 토지수용보상법에 따라 처리됩니다. 이에 따라 손실 보상에 대한 이의신청이 있을 경우, 관할토지수용위원회가 재결기관으로 지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관할토지수용위원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국토지리정보원장의 허가없이 지도를 해외로 반출할 수 있는 경우중 옳지 않은 것은?

  1. 정부를 대표하여 국제회의 또는 국제기구에 참석하는 자가 자료로 사용할 경우
  2. 1:5,000미만의 소축척도를 반출하는 경우
  3. 외국정부와의 체결된 협정 또는 합의에 의하여 상호 교환하는 경우
  4. 관광객의 유치와 관광시설의 선전을 목적으로 제작하여 반출하는 경우
(정답률: 70%)
  • 국제회의나 국제기구에 참석하는 경우, 외국정부와의 체결된 협정 또는 합의에 의하여 상호 교환하는 경우, 관광객의 유치와 관광시설의 선전을 목적으로 제작하여 반출하는 경우는 모두 국토지리정보원장의 허가 없이 지도를 해외로 반출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1:5,000미만의 소축척도를 반출하는 경우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이는 해당 지도가 국가 안보나 기밀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측량표는 영구표지, 일시표지, 임시설치표지로 나뉘며, 영구표지에 위성측지기준점표지가 포함된다.
  2. 기본측량은 모든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으로서 건설교통부장관의 명을 받아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3. 기본측량은 측량의 기초가 되는 국가기준점측량, 연안해역의 측량과 국가지형도제작 등을 포함하나, 측량용 사진의 촬영, 도화 등은 제외한다.
  4. 공공측량은 공공의 이해에 관계가 있는 측량으로서 기본측량외의 측량중 국가, 지방자치단체 등이 실시하는 측량을 말한다.
(정답률: 73%)
  • 설명 중 틀린 것은 없다.

    기본측량은 측량의 기초가 되는 국가기준점측량, 연안해역의 측량과 국가지형도제작 등을 포함하며, 측량용 사진의 촬영, 도화 등은 제외된다. 이는 측량법 제2조에 명시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공공측량에 준하는 측량은 어느 것인가?

  1.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시행하는 측량으로서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
  2. 지적법에 의한 지적측량
  3. 10,000m2 범위의 지형측량
  4.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과 동일한 축척의 지도제작
(정답률: 30%)
  • 공공측량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에서 시행하는 측량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시행하는 측량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으로, 지적측량과 지형측량 등 다양한 측량이 이루어집니다. 그 중에서도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과 동일한 축척의 지도제작"은 공공측량에 준하는 측량으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행하는 지도는 국가적인 기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공공측량에 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