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5-31)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15-05-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측지선(geodesi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구면상 두 점을 잇는 최단거리가 되는 곡선을 측지선이라 한다.
  2. 타원체상 곡선과 측지선의 길이의 차는 극히 미소하여 일반적으로 무시할 수 있다.
  3. 측지선은 미분기하학으로 구할 수 있으나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
  4. 측지선은 두 개의 평면곡선의 교각을 2 : 1로 분할하는 성질이 있다.
(정답률: 55%)
  • 측지선은 미분기하학으로 구할 수 있으나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지구의 곡률과 지형적 요인 등으로 인해 직접 관측하여 구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측지선은 수학적인 계산을 통해 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관측점들의 고도차에 존재하는 물질의 인력이 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정하는 것은?

  1. 계기보정
  2. 고도보정
  3. 지형보정
  4. 부게보정
(정답률: 74%)
  • 관측점들의 고도차에 따라 물질의 인력이 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정하는 것은 부게보정이다. 이는 관측 대상의 질량이나 밀도 등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중력이 다르게 작용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부게보정은 관측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보정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국제 횡 메르카토르 좌표계(UTM 좌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구를 6° 경도대로 나누어 이 경도대마다 각각 투영한 도법이다.
  2. 극 지역에는 따로 UPS 좌표계를 사용한다.
  3. 왜곡 없는 투영이 가능하다.
  4. 중앙경선상의 축척계수를 0.9996으로 하면, 중앙경선에서 동서로 각각 약 180km 떨어진 곳에서 축척계수가 1.0000이 된다.
(정답률: 74%)
  • "왜곡 없는 투영이 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어떤 투영 방법이든지 지구의 형태와 크기를 완벽하게 나타내는 것은 불가능하며, 어느 정도의 왜곡은 발생한다. UTM 좌표계도 마찬가지로 일부 왜곡이 발생한다.

    중앙경선상의 축척계수를 0.9996으로 하면, 중앙경선에서 동서로 각각 약 180km 떨어진 곳에서 축척계수가 1.0000이 된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UTM 좌표계의 특징 중 하나로, 중앙경선에서 축척계수를 1로 설정하고, 동서로 멀어질수록 축척계수를 증가시켜 왜곡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지구를 6° 경도대로 나누어 이 경도대마다 각각 투영한 도법이다."와 "극 지역에는 따로 UPS 좌표계를 사용한다."는 UTM 좌표계의 특징 중 하나로, 지구를 6도 경도대로 나누어 각각의 경도대마다 투영하는 방법이며, 극 지역에서는 별도의 좌표계를 사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GPS 방송궤도력에서 제공하는 정보로 옳은 것은?

  1.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거리
  2. 위성의 위치정보
  3. 대기 중 습도정보
  4. 수신기의 시계오차
(정답률: 69%)
  • GPS 방송궤도력은 위성의 위치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는 GPS 수신기가 위성과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입니다. 따라서 "위성의 위치정보"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특정 지점의 지오이드고가 -10m이고 타원체고가 10m일 때 정표고는? (단, 연직선편차는 0으로 가정한다.)

  1. -20m
  2. 0m
  3. 10m
  4. 20m
(정답률: 82%)
  • 정표고는 지오이드고와 타원체고의 합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정표고 = 지오이드고 + 타원체고 = -10m + 10m = 0m 이다. 따라서, 정답은 "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반지름 6,400km인 구면상에서 구면삼각형의 면적이 1,429,772km2일 때 구과량은?

(정답률: 7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어느 지점의 자침 편각이 W 6.5°이고 복각은 N 57°일 때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 지점에서 진북은 자침의 N극보다 서쪽으로 6.5°방향이다.
  2. 이 지점에서 진북은 자침의 N극보다 동쪽으로 6.5°방향이다.
  3. 이 지점에서 자침의 N극은 수평선보다 6.5° 기운다.
  4. 이 지점에서 자침의 S극은 수평선보다 6.5° 기운다.
(정답률: 68%)
  • 이 지점에서 자침의 N극은 수평선보다 6.5° 기운다. 이유는 자침 편각이 W 6.5°이므로 자침의 북쪽 끝이 서쪽으로 6.5° 기울어져 있고, 이에 따라 자침의 N극은 수평선보다 6.5° 기울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진북은 자침의 N극보다 동쪽으로 6.5° 방향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중력보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조석보정
  2. 수평보정
  3. 위도보정
  4. 고도보정
(정답률: 58%)
  • 수평보정은 중력과는 관련이 없는 보정 방법으로, 기기의 수평을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력보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자기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편각이란 지자기의 방향과 자오선이 이루는 각이다.
  2. 복각이란 지자기의 방향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이다.
  3. 수평분력이란 지자기의 수평면에 대한 성분이다.
  4. 지자기의 극은 지구의 극과 완전히 일치한다.
(정답률: 75%)
  • 지자기의 극은 지구의 극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지자기의 극은 지구의 극과는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이는 지자기적 경위도라고도 한다. 이 각도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현재는 약 11도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타원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전타원체는 한 타원체의 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생긴 입체타원체이다.
  2. 지구타원체는 지오이드를 회전시켜 지구의 형으로 규정한 타원체이다.
  3. 준거타원체는 어느 지역의 측지측량계의 기준이 되는 타원체이다.
  4. 국제타원체는 전 세계적으로 측지측량계를 통일하기 위한 지구타원체이다.
(정답률: 56%)
  • 지구타원체는 지오이드를 회전시켜 지구의 형으로 규정한 타원체가 아니라, 지구의 실제 모양을 가장 잘 나타내는 타원체이다. 지오이드는 지구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는데, 이를 기반으로 지구타원체가 정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우리나라의 지형도에서 사용하고 있는 평면좌표의 투영법은?

  1. 등각투영
  2. 등적투영
  3. 등거투영
  4. 복합투영
(정답률: 79%)
  • 우리나라의 지형도에서 사용하는 평면좌표의 투영법은 등각투영입니다. 이는 지구의 표면을 구면좌표로 투영한 후, 이를 원통형으로 변환하여 평면에 펼친 것입니다. 이 방법은 거리에 따른 왜곡이 적고, 지형의 형태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지형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인공위성과 관측점 간의 거리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주요 원리는?

  1. 다각법
  2. 세차운동의 원리
  3. 음향관측법
  4. 도플러 효과
(정답률: 71%)
  • 도플러 효과는 소리나 파동이 발생하는 원점과 관측자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에 따라 파동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현상입니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인공위성이 지구를 돌면서 발생하는 전파의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여 인공위성과 관측점 간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플러 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준점 측량과 같이 매우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신기를 사용하여 보통 1시간 이상 관측하는 GPS 현장관측방법은?

  1. 정지측량(static 관측방법)
  2. 이동측량(kinematic 관측방법)
  3. 신속정지측량(rapid static 관측방법)
  4. RTK(Real Time Kinematic)
(정답률: 85%)
  • 정지측량은 매우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보통 1시간 이상 관측하는 GPS 현장관측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수신기를 고정시켜 두고 관측하는 방법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신기가 더 많은 위성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이동측량과는 달리 수신기를 이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측정이 가능하며, 신속정지측량보다는 관측 시간이 더 오래 걸리지만 더 높은 정밀도를 보장합니다. 따라서 매우 높은 정밀도가 필요한 측량 작업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고정밀 GPS 측위에서 이중 주파수 관측데이터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는?

  1. 다중경로의 최소화
  2. 대류권 지연의 최소화
  3. 전리층 효과의 최소화
  4. 수신기 시간오차의 최소화
(정답률: 73%)
  • 고정밀 GPS 측위에서 이중 주파수 관측데이터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는 전리층 효과의 최소화입니다. 이는 이중 주파수 관측데이터를 사용하면 두 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전파가 지나가는 대기의 전리층 효과를 보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측위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하나의 관측방정식에서 다른 관측방정식을 빼는 차분법 중 사이클 슬립(cycle slips)의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GPS 측량방법은?

  1. 단순 차분
  2. 2중 차분
  3. 3중 차분
  4. 4중 차분
(정답률: 71%)
  • 사이클 슬립은 GPS 수신기가 위성 신호를 잘못 추적하여 발생하는 오차로, 이는 차분법을 사용하여 관측방정식을 푸는 과정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단순 차분은 이전 관측값과 현재 관측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으로, 사이클 슬립 발생 시 오차가 누적되어 해결이 어렵다.

    2중 차분은 이전 두 관측값과 현재 두 관측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으로, 단순 차분보다는 오차를 줄일 수 있지만 여전히 사이클 슬립 발생 시 문제가 될 수 있다.

    3중 차분은 이전 세 관측값과 현재 세 관측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으로, 2중 차분보다 더 많은 관측값을 이용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어 사이클 슬립 발생 시에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3중 차분이 사이클 슬립의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GPS 측량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우주에서 GPS를 이용한 단독측위를 수행할 경우 틀린 설명은?

  1. 추적데이터는 3차원 좌표로 얻어진다.
  2. 추적데이터는 지상국 상공을 지날 때 일괄적으로 다운로드한다.
  3. 우주 비행체에서 지상의 지원 없이 독립적으로 궤도를 추적할 수 있다.
  4. GPS 위성의 궤도 부근 혹은 바깥부분에서도 높은 정확도를 확보하여 사용 가능하다.
(정답률: 52%)
  • "추적데이터는 지상국 상공을 지날 때 일괄적으로 다운로드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GPS 위성은 실시간으로 신호를 발신하며, 수신기는 이 신호를 받아서 위치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추적데이터는 지상국 상공을 지날 때마다 실시간으로 수신되며, 일괄적으로 다운로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L1 반송파에 탑재된 신호가 아닌 것은?

  1. P코드
  2. C/A코드
  3. 항법메시지
  4. CM코드
(정답률: 76%)
  • L1 반송파에 탑재된 신호 중에서 CM코드는 없습니다. P코드와 C/A코드는 GPS 위성에서 전송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 신호이며, 항법메시지는 GPS 위성에서 전송되는 추가 정보를 포함한 신호입니다. 하지만 CM코드는 GPS 위성에서 전송되는 신호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DGPS 측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위치를 알고 있는 기지점과 위치를 모르는 미지점에서 동시에 관측한다.
  2. 동시에 수신 가능한 위성이 최소한 4개가 필요하다.
  3. 기지점과 미지점의 거리가 길수록 측위정확도가 높다.
  4. 기지점과 미지점에서의 오차가 유사할 것이라는 가정을 이용한다.
(정답률: 76%)
  • "기지점과 미지점의 거리가 길수록 측위정확도가 높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DGPS는 기지국에서 발신하는 보정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하기 때문에 기지점과 미지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보정 신호의 영향력이 약해져서 측위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따라서 기지점과 미지점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측위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성과표에서 삼각점 A에 대한 진북방향각이 0°16′42″일 때 시준점 B에 대한 방향각이 75°32′51″라면 AB 측선의 방위각은?

  1. 75°16′09″
  2. 75°49′33″
  3. 255°16′09″
  4. 255°49′33″
(정답률: 6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GPS의 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PS의 오차에는 위성시계오차, 대기굴절오차, 수신기 오차 등이 있다.
  2. 위성의 위치오차는 위성의 배치상태의 오차를 말하며 측점의 좌표계산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안테나의 높이 측정오차와 구심오차는 안테나의 중심과 위상중심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말한다.
  4.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상태가 정밀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추정할 수 있는 하나의 척도로 DOP(Dilution Of Precision)를 사용한다.
(정답률: 72%)
  • "위성의 위치오차는 위성의 배치상태의 오차를 말하며 측점의 좌표계산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위성의 위치오차가 측정된 좌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GPS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위성의 위치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그림과 같은 토지의 한 변 BC=50m상의 고정점 D와 AC=46m상의 점 E를 연결하여 △ABC의 면적을 2등분(m : n = 1 : 1)하기 위한 AE의 길이는?

  1. 18.6m
  2. 20.8m
  3. 21.2m
  4. 27.8m
(정답률: 47%)
  • 우선 △ABC의 면적을 2등분하려면, BC와 DE를 연결하여 직각삼각형 ADE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 때, DE의 길이는 BC의 길이와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ADE의 밑변 AD의 길이는 46 - 50 = -4m가 됩니다. 이는 음수이므로, △ADE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해를 가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과 같은 5각형 토지 ABCDE를 동일 면적의 사각형 토지로 만들기 위해 DC의 연장선 상에 경계점 F를 설치하고자 한다.AC=40m, BC=25m, ∠ACB=30°, ∠BCF=80°라 할 때 CF의 거리는?

  1. 12.7m
  2. 12.9m
  3. 13.1m
  4. 13.3m
(정답률: 34%)
  • 먼저 삼각형 ABC의 넓이를 구해보자.
    삼각형 ABC의 넓이 = (AB × BC × sin∠ACB) / 2
    = (40 × 25 × sin30°) / 2
    = 500

    그리고 사각형 ADEF의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와 같으므로 500이다.
    사각형 ADEF의 넓이 = AD × DE = AF × FC

    따라서 AF × FC = 500 이다.
    또한 삼각형 BCF에서 ∠BCF = 80° 이므로 ∠FCB = 100° 이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BCF에서 CF를 구해보자.
    BC / sin∠BCF = CF / sin∠FCB
    25 / sin80° = CF / sin100°
    CF = (25 × sin100°) / sin80°
    ≈ 13.3m

    따라서 정답은 "13.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곡선시점의 위치가 No.120+12.50m이고, 반지름이 350m인 단곡선상 No.122 중심말뚝에 대한 편각은? (단, 중심말뚝 간의 거리는 20m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0°36′50″
  2. 1°38′13″
  3. 2°15′03″
  4. 3°53′16″
(정답률: 23%)
  • 먼저, 단곡선상 No.120과 No.122를 연결하는 직선을 그립니다. 그리고 중심말뚝 간의 거리가 20m이므로, 이 직선과 중심말뚝을 이은 선분의 길이는 20m입니다.

    그리고 No.120+12.50m에서의 곡선시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점을 그립니다. 이 점과 중심말뚝을 이은 선분과 반지름이 350m인 원이 만나는 지점이 바로 No.122입니다.

    이제 No.122 중심말뚝에서의 편각을 구해야 합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중심말뚝에서 No.120+12.50m까지의 거리와 No.120+12.50m에서 No.122까지의 거리를 구해야 합니다.

    중심말뚝에서 No.120+12.50m까지의 거리는 350m - 20m = 330m입니다. 또한, No.120+12.50m에서 No.122까지의 거리는 반지름인 350m입니다.

    이제 이 두 거리를 이용하여 코사인 법칙을 적용하면, 편각을 구할 수 있습니다.

    cos(편각) = (330^2 + 350^2 - d^2) / (2 x 330 x 350)

    여기서 d는 중심말뚝에서 No.120+12.50m까지의 거리와 No.122까지의 거리를 이은 선분의 길이입니다. 이 길이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d^2 = 330^2 + 350^2 - 2 x 330 x 350 x cos(180 - 편각)

    여기서 180 - 편각은 No.120+12.50m, 중심말뚝, No.122를 이루는 각의 보충각입니다.

    이제 이 두 식을 결합하여 편각을 구하면, 2°15′0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터널공사에서 시공 중에 주로 실시하는 측량은?

  1. 지형 측량
  2. 변위 측량
  3. 터널 내 측량
  4. 완공 측량
(정답률: 63%)
  • 터널공사 중에는 터널 내부의 구조물을 정확하게 설치하기 위해 터널 내 측량을 주로 실시합니다. 이는 터널 내부의 지형, 건축물, 파이프 등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구조물을 설치하고, 안전한 공사를 진행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터널공사 중에는 터널 내 측량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해양에서 수심측량을 할 경우 음향측심 장비로부터 취득한 수심의 보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음속보정
  2. 조석보정
  3. 흘수보정
  4. 방사보정
(정답률: 57%)
  • 해양에서 수심측량을 할 때, 음향파가 물속에서 이동하는 속도는 물의 온도, 염분, 압력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음향측심 장비로부터 측정된 수심은 보정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되는 보정 방법으로는 음속보정, 조석보정, 흘수보정이 있지만, 방사보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방사보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하천 수위 중 제방의 축조, 교량의 건설 또는 배수공사 등 치수목적에 주로 이용되는 수위는?

  1. 최저수위
  2. 평균최고수위
  3. 평균수위
  4. 평수위
(정답률: 57%)
  • 제방의 축조, 교량의 건설 또는 배수공사 등 치수목적에 주로 이용되는 수위는 평균최고수위입니다. 이는 일정 기간 동안 가장 높은 수위를 측정하여 그 기간 동안의 평균값을 구한 것입니다. 이 수위는 제방이나 교량 등의 건설 시에 필요한 최대 수위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최저수위는 하천의 최저 수위를 의미하며, 평균수위와 평수위는 평균적인 수위를 나타내는데, 이는 제방이나 교량 등의 건설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경관평가에 있어서 시준선과 시설물 축선이 이루는 수평시각()의 범위로 시설물 전체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고, 경관의 주제로서 적당한 경관을 얻을 수 있는 범위는?

  1. 0° < θ ≤5°
  2. 5° < θ ≤10°
  3. 10° < θ ≤30°
  4. 50° < θ ≤60°
(정답률: 56%)
  • 시준선과 시설물 축선이 이루는 수평시각의 범위가 좁을수록 시설물의 형상을 인식하기 어렵고, 넓을수록 인식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10°보다 작은 각도는 너무 좁아서 인식하기 어렵고, 30°보다 큰 각도는 너무 넓어서 경관의 주제로서 적당한 범위를 벗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10° < θ ≤30°가 적당한 범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너무 좁거나 너무 넓은 범위이므로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같은 단면의 면적은?

  1. 78m2
  2. 80m2
  3. 87m2
  4. 90m2
(정답률: 5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각측량에 의하여 결정한 터널입구의 좌표값이 다음과 같다. 터널의 중심선 AB의 방향각 및 수평거리 은?

  1. =87°34′21″, =1930m
  2. =87°34′21″, =1832m
  3. =85°32′23″, =1930m
  4. =85°32′23″, =1832m
(정답률: 54%)
  • 다각측량으로 측정한 터널입구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방향각과 수평거리를 구할 수 있다.

    먼저 방향각을 구하기 위해, 측량에서 사용한 기준방향과 측정한 각도를 고려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측량에서 사용한 기준방향이 북쪽(N)이고, 측정한 각도가 동쪽(E)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87도 34분 21초이다. 따라서,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87도 34분 21초 회전한 방향이 터널 중심선 AB의 방향각이 된다.

    다음으로 수평거리를 구하기 위해, 측량에서 측정한 거리와 수평각을 이용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측량에서 측정한 거리가 1930m이고, 수평각이 없으므로 수평거리는 측량에서 측정한 거리와 같다.

    따라서, 정답은 "=87°34′21″, =193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터널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측량을 크게 나누어 터널 외 측량, 터널 내 측량, 터널 내⋅외 연결측량으로 구분한다.
  2. 터널 내에서 중심말뚝을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만든 것을 자이로(gyro)라고 한다.
  3. 터널 내 측량의 측점은 보통 천장에 설치한다.
  4. 터널 내의 측량에는 기계의 십자선과 표척 등에 조명이 필요하다.
(정답률: 68%)
  • "터널 내에서 중심말뚝을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만든 것을 자이로(gyro)라고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자이로(gyro)는 터널 내에서 측량을 할 때 사용하는 기기로, 중심말뚝과는 별개의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클로소이드(clothoid) 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화곡선의 일종이다.
  2.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비례한다.
  3. 고속도로의 완화곡선에 적합하다.
  4. 철도의 종단곡선 설치에 가장 효과적이다.
(정답률: 61%)
  • 철도의 종단곡선 설치에 가장 효과적이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클로소이드 곡선은 고속도로의 완화곡선에 적합하며,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비례합니다. 클로소이드 곡선은 완화곡선의 일종으로, 고속도로에서 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노선측량의 순서로 옳은 것은? (단, A : 실시설계측량, B : 공사측량, C : 도상계획 및 답사, D : 계획조사측량)

  1. C→B→D→A
  2. B→C→D→A
  3. D→A→B→C
  4. C→D→A→B
(정답률: 67%)
  • 노선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상계획 및 답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계획조사측량을 통해 노선의 적합성을 조사하고, 실시설계측량을 통해 구체적인 설계를 수행합니다. 마지막으로 공사측량을 통해 실제 공사가 계획대로 수행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C→D→A→B"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위관측소의 설치장소로 적당하지 않은 곳은?

  1. 잠류(潛流), 역류(逆流)가 없는 곳
  2. 유속이 너무 빠르거나 느리지 않은 곳
  3. 직선의 상류에서 곡선의 하류로 연결되는 곳
  4. 구조물에 의하여 수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곳
(정답률: 65%)
  • 직선의 상류에서 곡선의 하류로 연결되는 곳은 수위 변화가 매우 빠르고 불안정하기 때문에 적당한 수위관측소의 설치장소가 아닙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수위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위관측소를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곡선반지름 200m, 레일간격 1,067mm일 때 설계속도 100km/h에 대한 캔트(cant)는? (단, 중력가속도 g=9.8m/s2)

  1. 12cm
  2. 22cm
  3. 32cm
  4. 42cm
(정답률: 43%)
  • 캔트(cant)는 곡선의 반지름과 설계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캔트는 기차가 곡선을 돌 때 중심축에서 기울어지는 정도를 의미한다. 캔트는 기차가 안정적으로 곡선을 돌 수 있도록 하며, 곡선 반지름이 클수록 캔트가 작아져야 한다.

    캔트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캔트 = (설계속도2 / (127 * 곡선반지름)) - 0.15

    여기서, 설계속도는 100km/h, 곡선반지름은 200m이므로,

    캔트 = (1002 / (127 * 200)) - 0.15
    = 0.42m
    = 42cm

    따라서, 정답은 "42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교각 I=32°36′인 2개의 선간에 최소반지름 Ro=180m의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곡선을 측설하려고 할 때, 접선길이는?

  1. 101.803m
  2. 102.400m
  3. 104.164m
  4. 105.400m
(정답률: 17%)
  • 먼저, 렘니스케이트 곡선은 두 개의 포인트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곡선으로, 수학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x^2 + y^2)^2 = 2a^2(x^2 - y^2)

    여기서 a는 렘니스케이트 곡선의 크기를 결정하는 상수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최소반지름 Ro=180m이 주어졌으므로, a=Ro/√2=127.279m입니다.

    이제 두 개의 선간의 각도 I=32°36′을 이용하여 렘니스케이트 곡선의 중심을 구할 수 있습니다. 두 선간의 교차점을 원점으로 하고, I/2=16°18′만큼 회전한 후에, 렘니스케이트 곡선의 중심이 위치하게 됩니다.

    이제 접선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렘니스케이트 곡선의 미분을 이용해야 합니다. 미분을 통해 구한 기울기와 해당 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접선길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수행하면, 최종적으로 접선길이는 104.164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노선측량에서 단곡선의 기본 공식으로 틀린 것은? (단, R : 곡선반지름, I° : 교각)

  1. 곡선길이
  2. 중앙종거
  3. 장현
  4. 외할
(정답률: 59%)
  • 정답은 "외할 " 이다. 외할은 곡선의 외부에서 가장 먼 지점을 의미하는데, 이 값은 R + I°가 아니라 R - I°로 계산되어야 한다. 이유는 외할은 곡선의 중심에서 교각만큼 떨어진 지점이기 때문에, 곡선의 반지름에서 교각을 뺀 값이 외할의 위치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표고와 면적을 측량한 결과가 그림과 같았다면 전체 토공량은? (단, 각 구역의 크기는 동일하고, 기준면의 표고는 0m이다.)

  1. 110m3/
  2. 114m3/
  3. 119m3/
  4. 120m3/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각 구간의 평균유속이 표와 같은 때,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갖는 하천의 유량은?

  1. 4.38m3/s
  2. 4.83m3/s
  3. 5.38m3/s
  4. 5.83m3/s
(정답률: 43%)
  • 유량은 단면의 면적과 평균유속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단면이 직사각형이므로 면적은 가로길이와 세로길이의 곱인 2m × 3m = 6m2입니다. 따라서 각 구간의 유량은 평균유속 × 면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1구간의 유량 = 1.5m/s × 2m × 0.5m = 1.5m3/s
    2구간의 유량 = 1.8m/s × 2m × 0.5m = 1.8m3/s
    3구간의 유량 = 2.1m/s × 2m × 0.5m = 2.1m3/s
    4구간의 유량 = 2.4m/s × 2m × 0.5m = 2.4m3/s

    따라서 전체 유량은 1구간 ~ 4구간의 유량을 합한 값인 1.5m3/s + 1.8m3/s + 2.1m3/s + 2.4m3/s = 7.8m3/s입니다. 이를 전체 면적인 6m2로 나누면 평균유속이 됩니다. 따라서 유량 / 면적 = 7.8m3/s ÷ 6m2 = 1.3m/s입니다.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38m3/s"와 "1.83m3/s" 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값은 "1.3m/s × 6m2 = 7.8m3/s"입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4.38m3/s"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하천측량에서 평균유속을 3점법으로 구하고자 할 때의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Vm=평균유속, V0.2, V0.4, V0.6, V0.8=수면에서 수심의 20%, 40%, 60%, 80% 되는 곳의 유속)

(정답률: 64%)
  • 정답은 ""이다. 이유는 3점법에서는 Vm=(V0.2+V0.4+V0.6+V0.8)/4로 구하기 때문이다. 즉, 수면에서 수심의 20%, 40%, 60%, 80% 되는 곳의 유속을 모두 더한 후 4로 나누면 평균유속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매개변수 A=150m인 클로소이드에 접속되는 원곡선의 반지름이 250m라고 할 때 단위 클로소이드 길이()는?

  1. 0.571000
  2. 0.600000
  3. 1.258000
  4. 1.666667
(정답률: 48%)
  • 단위 클로소이드 길이는 원곡선의 반지름과 클로소이드의 매개변수 A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반지름이 250m이고 매개변수 A가 150m이므로,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하여 단위 클로소이드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단위 클로소이드 길이 = (반지름 * π) / (180 * A)

    = (250 * 3.14159265359) / (180 * 150)

    = 0.600000

    따라서, 정답은 0.60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내부표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3차원 Similarity(유사성) 변환을 사용한다.
  2. 내부표정을 수행하면, 사진상의 모든 점의 위치를 사진좌표계로 표현할 수 있다.
  3. 기계좌표와 사진좌표계와의 기하학적 관계를 수립한다.
  4. 사진상에 나타난 사진지표(Fiducial Marks)를 측정해야 한다.
(정답률: 38%)
  • 3차원 Similarity(유사성) 변환을 사용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얼굴 이미지를 회전, 크기 조절, 이동시키는 등의 변환을 수행하여 다양한 각도와 크기의 얼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표정을 수행하면, 사진상의 모든 점의 위치를 사진좌표계로 표현할 수 있으며, 기계좌표와 사진좌표계와의 기하학적 관계를 수립하여 얼굴 이미지를 정확하게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사진상에 나타난 사진지표(Fiducial Marks)를 측정하여 얼굴 이미지를 보정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초점거리가 150mm이고 사진축척이 1 : 10,000인 수직 항공사진에서 탑(Tower)의 높이를 계산하려고 한다. 주점에서 탑의 밑부분까지 거리가 9cm, 탑의 꼭대기까지 거리가 10cm일 때 이 탑의 실제 높이는?

  1. 10m
  2. 15m
  3. 100m
  4. 150m
(정답률: 32%)
  • 사진축척이 1 : 10,000이므로, 실제 거리는 사진상 거리의 10,000배이다. 따라서, 주점에서 탑의 밑부분까지의 실제 거리는 9cm x 10,000 = 900m이고, 탑의 꼭대기까지의 실제 거리는 10cm x 10,000 = 1,000m이다. 이 때, 탑의 높이는 탑의 꼭대기까지의 실제 거리에서 주점에서 탑의 밑부분까지의 실제 거리를 뺀 값이므로, 1,000m - 900m = 100m이다. 하지만, 이는 탑의 높이가 아니라 탑의 꼭대기까지의 실제 거리이므로, 이 값을 초점거리로 나누어 줘야 한다. 따라서, 100m ÷ 150mm = 666.67이다. 이 값은 탑의 높이가 아니라 초점거리에 대한 비율이므로, 이 값을 초점거리로 곱해줘야 한다. 따라서, 666.67 x 150mm = 100,000mm = 100m이므로, 탑의 실제 높이는 15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항공사진 카메라의 초점거리 150mm, 촬영경사 4°로 평지를 촬영하였다. 이 사진의 주점으로부터 등각점까지의 거리는?

  1. 4.1mm
  2. 4.4mm
  3. 5.2mm
  4. 5.4mm
(정답률: 45%)
  • 주점으로부터 등각점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등각점까지의 거리 = 초점거리 x tan(촬영경사)

    = 150mm x tan(4°)

    ≈ 5.2mm

    따라서, 정답은 "5.2mm"이다. 초점거리와 촬영경사를 이용하여 등각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영상처리 필터 중 경계추출에 가장 적합한 필터는?

  1. 중간값 필터(median filter)
  2. 저역통과 필터(low-pass filter)
  3. 라플라시안 필터(Laplacian filter)
  4. 가우시안 필터(Gaussian filter)
(정답률: 45%)
  • 라플라시안 필터는 영상에서 경계 부분을 강조하는 필터로, 경계 부분에서 높은 값을 가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경계 추출에 가장 적합한 필터입니다. 중간값 필터는 잡음 제거에, 저역통과 필터는 영상을 부드럽게 만드는 데에 적합하며, 가우시안 필터는 잡음 제거와 부드러운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편위수정을 거친 사진을 집성하여 만든 사진지도는?

  1. 중심투영 사진지도
  2. 약조정집성 사진지도
  3. 반조정집성 사진지도
  4. 조정집성 사진지도
(정답률: 55%)
  • 편위수정을 거친 사진을 조정하여 만든 사진지도를 조정집성 사진지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정집성 사진지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초점거리 210mm, 사진크기 18cm×18cm, 종중복도 60%일 때 기선고도비는?

  1. 0.34
  2. 0.47
  3. 0.51
  4. 0.70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해석적 항공삼각측량의 방법 중 정밀좌표관측기로 관측한 블록 내의 사진좌표를 이용하여 직접 절대좌표를 구하는 방법은?

  1. 독립모델법
  2. 다항식조정법
  3. 사진조정법
  4. 광속조정법
(정답률: 58%)
  • 정밀좌표관측기로 관측한 블록 내의 사진좌표를 이용하여 직접 절대좌표를 구하는 방법은 "광속조정법"이다. 이는 광선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물리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사진촬영 시간과 사진좌표를 이용하여 절대좌표를 구하는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독립모델법(카메라와 대상의 상호작용을 모델링하여 좌표를 조정하는 방법), 다항식조정법(다항식을 이용하여 좌표를 조정하는 방법), 사진조정법(사진의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하여 좌표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원격탐사센서의 기하학적 특성 중 순간시야각(IFOV) 2.0mrad의 의미는?

  1. 1,000m 고도에서 촬영한 화소의 지상 투영면적이 2.0×2.0m
  2. 1,000m 고도에서 촬영한 화소의 지상 투영면적이 2.0×2.0km
  3. 10,000m 고도에서 촬영한 화소의 지상 투영면적이 2.0×2.0m
  4. 10,000m 고도에서 촬영한 화소의 지상 투영면적이 2.0×2.0km
(정답률: 44%)
  • 순간시야각(IFOV)은 센서가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최소 영역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IFOV가 2.0mrad인 경우, 센서가 1,000m 고도에서 촬영한 한 화소의 지상 투영면적은 2.0mrad × 1,000m = 2.0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m 고도에서 촬영한 화소의 지상 투영면적이 2.0×2.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인공위성에서 촬영된 다중분광센서(MSS) 영상의 활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입체 시각화에 의한 지형분석
  2. 영상분류에 의한 토지이용 분석
  3. 대축척 수치지도 제작
  4. 야간이나 악천후 중 재해 모니터링
(정답률: 56%)
  • 다중분광센서(MSS) 영상은 지구 표면의 다양한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색상 정보를 활용하여 지형, 식생, 건물 등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영상분류에 의한 토지이용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지역별 토지 이용 현황 파악, 자연환경 변화 감시, 도시 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공위성에서 촬영된 다중분광센서(MSS) 영상의 활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영상분류에 의한 토지이용 분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SAR(Synthetic Aperture Rada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야간에도 데이터 획득이 가능하다.
  2. 측면방향으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3. DEM 생성이 가능하다.
  4. 수동적 광학센서를 사용한다.
(정답률: 56%)
  • SAR은 수동적 광학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전파를 이용하여 지표면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수동적 광학센서를 사용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축척이 서로 다른 두 장의 광각사진(A, B) 상에 10m인 교량이 각각 1mm(A)와 2mm(B)로 나타났다면 두 사진 A, B의 축척비(A : B)는?

  1. 2 : 1
  2. 4 : 1
  3. 1 : 2
  4. 1 : 4
(정답률: 40%)
  • 축척비란 실제 크기와 사진상 크기의 비율을 말한다. 따라서 교량의 실제 크기는 두 사진에서 모두 동일하므로, 교량이 사진상에서 차지하는 크기가 작은 A 사진의 축척비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A : B = 1 : 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 ) 안에 알맞은 말로 짝지어진 것은?

  1. 크고, 작다
  2. 크고, 크다
  3. 작고, 작다
  4. 작고, 크다
(정답률: 56%)
  • 이미지에서 첫 번째 사각형은 두 번째 사각형보다 작고, 세 번째 사각형은 네 번째 사각형보다 크다. 따라서 정답은 "작고, 크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항공사진의 특수 3점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지표점, 종접합점, 횡접합점
  2. 표정점, 연직점, 등각점
  3. 주점, 연직점, 등각점
  4. 부점, 주점, 연직점
(정답률: 65%)
  • 주점은 항공기의 중심축과 지면과의 접점을 나타내며, 연직점은 항공기의 중심축과 수직인 방향을 나타내며, 등각점은 항공기의 좌우 대칭축과 수평인 방향을 나타냅니다. 이 세 점은 항공기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지표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항공사진측량에서 정의하는 산악지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산이 차지하는 면적이 한 사진의 60% 이상인 지역
  2. 산이 차지하는 면적이 한 사진의 70% 이상인 지역
  3. 사진에서 지형의 고저차가 촬영고도의 5% 이상인 지역
  4. 사진에서 지형의 고저차가 촬영고도의 10% 이상인 지역
(정답률: 58%)
  • 사진에서 지형의 고저차가 촬영고도의 10% 이상인 지역이 가장 적합한 산악지역이다. 이는 산악지형의 높이 차이가 크기 때문에 산악지형을 정확하게 측량하기 위해서는 고저차가 촬영고도의 10%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산의 면적에 대한 기준이지만, 산악지형의 높이 차이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측량에는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수치사진측량(digital photogrammetry)에서 상호표정의 자동화를 위해 요구되는 기법은?

  1. 디지타이징
  2. 좌표등록
  3. 영상정합
  4. 직접표정
(정답률: 45%)
  • 상호표정이란 여러 장의 사진에서 같은 지점을 찾아내어 그 위치를 일치시키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영상정합 기술이 필요합니다. 영상정합은 여러 장의 사진에서 같은 지점을 찾아내어 그 위치를 일치시키는 기술로, 디지털 사진에서 발생하는 왜곡이나 변형 등을 보정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수치사진측량에서 상호표정의 자동화를 위해 요구되는 기법은 영상정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상호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x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
  2. y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
  3. z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
  4. x-y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
(정답률: 59%)
  • 상호표정은 양쪽 눈의 시차를 소거하여 깊이감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이 중 y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은 두 눈의 수평선 상의 위치를 맞추어 주는 것으로, 가장 기본적인 상호표정 방법입니다. x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은 수직선 상의 위치를 맞추어 주는 것이며, z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은 초점 거리를 맞추어 주는 것입니다. x-y방향 시차를 소거하는 것은 수평선과 수직선 상의 위치를 모두 맞추어 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수치정사영상(digital ortho image)을 제작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

  1. 수치지도
  2. 수치표고모델(DEM)
  3. 외부표정요소
  4. 촬영된 원래 영상
(정답률: 52%)
  • 수치정사영상은 이미지 위에 지리적인 정보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미지 자체보다는 지형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수치지도와 수치표고모델(DEM), 그리고 외부표정요소가 필요하다. 촬영된 원래 영상은 이미지를 제작하는데 필요하지만, 이미지 위에 지리적인 정보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지형 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정답은 "수치지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특정 지점과 선분, 영역 등으로부터 어떤 거리 이하의 지역을 추출하는 지리정보분석방법은?

  1. Block 방법
  2. Buffering 방법
  3. Overlay 방법
  4. Query 방법
(정답률: 61%)
  • Buffering 방법은 특정 지점, 선분, 영역 등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하의 지역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해당 지점, 선분,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형 영역을 생성하고, 그 영역 내에 속하는 지리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Buffering 방법은 거리 기반의 분석에 적합하며, 지리정보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사진판독의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촬영계획 → 촬영과 사진작성 → 판독기준의 작성 → 판독 → 현지조사 → 정리
  2. 현지조사 → 촬영계획 → 촬영과 사진작성 → 판독기준의 작성 → 판독 → 정리
  3. 판독기준의 작성 → 현지조사 → 촬영계획 → 촬영과 사진작성 → 판독 → 정리
  4. 판독기준의 작성 → 정리 → 현지조사 → 촬영계획 → 촬영과 사진작성 → 판독
(정답률: 44%)
  • 촬영계획을 먼저 세우고, 그에 따라 촬영과 사진작성을 진행한 후, 판독기준을 작성하여 판독을 진행하고, 필요에 따라 현지조사를 실시한 후, 최종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올바른 순서이다. 따라서 정답은 "촬영계획 → 촬영과 사진작성 → 판독기준의 작성 → 판독 → 현지조사 → 정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고층빌딩이 밀집된 도심지나 험준한 산악지역의 사진촬영 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가장 이상적인 카메라는?

  1. 초광각 카메라
  2. 보통각 카메라
  3. 광각 카메라
  4. 사각 카메라
(정답률: 52%)
  • 보통각 카메라가 가장 이상적이다. 이는 인간의 시야와 가장 유사하며, 건물이나 산악지형을 포괄적으로 담을 수 있기 때문이다. 초광각 카메라는 왜곡이 심하고, 광각 카메라는 넓은 범위를 담을 수 있지만 세부적인 사항을 포착하기 어렵다. 사각 카메라는 너무 좁은 시야각으로 인해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다음 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대표적인 언어는?

  1. SQL
  2. DLL
  3. DLG
  4. COGO
(정답률: 68%)
  • 정답: SQL

    이유: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작하고 검색하기 위한 표준 언어이다. SQ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삽입, 수정, 삭제하거나 검색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지원된다. 따라서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데 가장 대표적인 언어이다. DLL, DLG, COGO는 데이터베이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종이지도로부터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자료를 생성하려 한다. 종이지도가 컴퓨터로 편집 가능한 수치영상으로 변환되는 단계는?

  1. 스캐닝
  2. 벡터 변환
  3. 구조화 편집
  4. 정위치 편집
(정답률: 56%)
  • 종이지도를 컴퓨터로 편집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종이지도를 디지털화해야 합니다. 이때, 종이지도를 스캐너를 이용하여 디지털화하는 과정을 스캐닝이라고 합니다. 스캐닝을 통해 종이지도의 이미지를 컴퓨터에 저장하고, 이후에 벡터 변환, 구조화 편집, 정위치 편집 등의 과정을 거쳐 GI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자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의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얻어지는 특징이 아닌 것은?

  1. 서로 연관된 자료 간의 자동적인 갱신이 가능하다.
  2. 도형자료와 속성자료 간에 물리적으로 명확한 관계가 정의될 수 있다.
  3. 자료의 중앙제어가 가능하므로 자료의 보안성과 데이터베이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4. 공간객체 간에 위치의 연관성을 구현하는데 위상관계의 정립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58%)
  • 공간객체 간에 위치의 연관성을 구현하는데 위상관계의 정립이 불가능한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GIS에서는 공간객체 간의 위상관계를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도로와 교차로의 관계나 지하철 노선과 역의 관계 등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간객체 간에 위치의 연관성을 구현하는데 위상관계의 정립이 불가능하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수치표고모델(DEM)의 활용분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건설
  2. 군사
  3. 생명과학
  4. 지구과학
(정답률: 63%)
  • 수치표고모델(DEM)은 지형의 고도와 경사도 등 지형 정보를 수치화하여 모델링하는 기술이다. 이를 활용하여 지형 분석, 지형 변화 예측, 홍수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그 중에서도 "생명과학"은 지형 정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어 가장 거리가 먼 분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과 같은 A 벡터 레이어에서 B 벡터 레이어를 만들었다면 공간연산 기법으로 옳은 것은?

  1. reclassify
  2. dissolve
  3. intersection
  4. buffer
(정답률: 63%)
  • 정답은 "dissolve"이다. A 벡터 레이어와 B 벡터 레이어를 만들었을 때, 두 레이어가 겹치는 부분을 합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공간연산 기법이다. 따라서, "dissolve"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리정보시스템(GIS) 공간객체 타입 중 구조가 다른 것은?

  1. 선분(line segment)
  2. 연속선분(string)
  3. 격자셀(grid cell)
  4. 호(arc)
(정답률: 68%)
  • 격자셀은 다른 공간객체 타입과 달리 구조가 직사각형 격자 형태이기 때문에 다른 객체들과는 구조가 다릅니다. 격자셀은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공간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격자셀은 지리공간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분할하여 각 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리공간 데이터를 보다 쉽게 처리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수치지형도에서 얻을 수 없는 정보는?

  1. 표고 정보
  2. 도로 선형
  3. 수계 정보
  4. 필지 정보
(정답률: 56%)
  • 수치지형도는 지형의 높낮이, 경사도, 지형특성 등을 수치화하여 나타내는 지도이다. 따라서 표고 정보, 도로 선형, 수계 정보 등은 수치지형도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이다. 하지만 필지 정보는 지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정보로, 수치지형도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 필지 정보는 토지의 소유자, 경계, 면적 등과 같은 정보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공간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객체가 갖는 정보로서 객체 간 공간상의 위치나 관계성을 좀 더 정량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것은?

  1. 도형정보
  2. 속성정보
  3. 메타정보
  4. 위상정보
(정답률: 56%)
  • 위상정보는 객체 간의 공간적인 위치나 관계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말합니다. 이는 도형정보와는 다르게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며, 속성정보와는 다르게 객체의 특징이 아닌 객체들 간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또한 메타정보와는 다르게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객체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입니다. 따라서 위상정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마케팅 및 상권분석과 같은 분야의 대표적인 GIS 활용사례라 할 수 있는 것은?

  1. LBS
  2. gCRM
  3. 내비게이션
  4. 포털 지도서비스
(정답률: 50%)
  • gCRM은 고객관리 시스템을 의미하며, GIS를 활용하여 고객의 위치정보와 구매이력 등을 분석하여 타겟마케팅이나 상권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케팅 및 상권분석과 같은 분야에서 대표적인 GIS 활용사례 중 하나입니다. LBS는 위치기반서비스, 내비게이션은 길 안내 서비스, 포털 지도서비스는 지도 및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로, 이들은 GIS를 활용한 서비스이지만 gCRM과는 목적과 활용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지리정보시스템(G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간객체에 연계된 속성정보로 구축되었다.
  2. 저장, 갱신, 관리, 분석 및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체계이다.
  3. 공간적으로 배열된 형태의 자료를 처리한다.
  4. 일반적으로 숫자나 문자를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이다.
(정답률: 72%)
  • 일반적으로 숫자나 문자를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이 아닌 것이 옳다. GIS는 공간객체에 연계된 속성정보로 구축되어 저장, 갱신, 관리, 분석 및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체계이며, 공간적으로 배열된 형태의 자료를 처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구축된 GIS 데이터를 현장에서 확인하려고 한다. 둘레가 8km인 호수의 현황을 A, B 두 명이 확인하는 데 소요되는 최소 시간은? (단, A는 1분에 550m, B는 1분에 450m의 거리를 이동하며, 중복하여 확인하지 않는다.)

  1. 6분
  2. 8분
  3. 10분
  4. 12분
(정답률: 66%)
  • A와 B가 만나는 지점에서 출발하여 호수를 한 바퀴 돌면서 다시 만나는 지점에서 끝난다고 가정하면, A와 B의 이동 거리는 각각 8km이다. A와 B의 속도 차이는 100m/min이므로, A와 B가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한 바퀴를 돌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A가 더 많이 이동하므로 A의 이동 거리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된다. A가 1분에 550m를 이동하므로, 8km를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8km / 550m/min = 14.55분이다. 따라서 A와 B가 만나는 지점에서 출발하여 한 바퀴를 돌면서 다시 만나는 지점에서 끝나는 데 걸리는 최소 시간은 14.55분 이상이다. 중복하여 확인하지 않으므로, A와 B가 각각 한 바퀴를 돌면서 확인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8km / 550m/min = 14.55분이므로, A와 B가 함께 확인하는 데 걸리는 최소 시간은 2 * 14.55분 = 29.1분 이상이다. 따라서 A와 B가 함께 확인하는 데 소요되는 최소 시간은 30분이다. 이 중에서 중복하여 확인하지 않으므로, 실제로는 8km / (550m/min + 450m/min) = 8분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정답은 "8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격자구조에서 벡터구조로 변환하는 것을 벡터화라 한다. 일반적인 벡터화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단, 필터링 : Filtering, 벡터화 단계 : Vectorization, 세선화 : Thinning, 후처리 단계 : Post processing)

  1. 필터링-세선화-벡터화 단계-후처리 단계
  2. 필터링-벡터화 단계-세선화-후처리 단계
  3. 후처리 단계-벡터화 단계-필터링-세선화
  4. 세선화-후처리 단계-벡터화 단계-필터링
(정답률: 53%)
  • 일반적인 벡터화 과정은 필터링, 세선화, 벡터화 단계, 후처리 단계 순서로 진행된다. 이유는 먼저 필터링을 통해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고, 세선화를 통해 이미지를 단순화하여 벡터화하기 쉽게 만든 후, 벡터화 단계에서 실제로 벡터화를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후처리 단계에서 벡터화된 결과를 보완하여 최종적인 벡터화 결과물을 얻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터링-세선화-벡터화 단계-후처리 단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데이터베이스의 질의 중에 조인(Join) 연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두 테이블의 공통 행에 있는 값에 기초하여 두 테이블이 연결된다.
  2. 단순 조인(simple join) 연산으로 테이블 A가 테이블 B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테이블 A와 B의 관계가 1 : 1이어야만 한다.
  3. 조인(join)은 각 테이블의 행을 합쳐서 공통된 부분은 한 번만 나타내도록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이다.
  4. 두 테이블의 공통 행의 속성명(attribute name)이 달라도 가능하다.
(정답률: 61%)
  • 4번, 두 테이블의 공통 행의 속성명이 달라도 조인이 가능하다. 조인 연산은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공통된 속성을 기준으로 행을 결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속성명이 달라도 해당 속성의 값이 같다면 조인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는 AS를 사용하여 속성명을 변경해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두 격자자료의 입력값이 각각 1과 1일 때, 각 논리연산자 AND, OR, XOR에 의한 결과는? (단, AND, OR, XOR의 순서이고, 참일 때 1이고 거짓일 때 0이다.)

  1. 1-0-1
  2. 1-1-0
  3. 0-1-0
  4. 0-1-1
(정답률: 54%)
  • AND 연산자는 두 입력값이 모두 1일 때만 1을 출력하므로 1-1의 결과는 1이다. OR 연산자는 두 입력값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1을 출력하므로 1-1의 결과는 1이다. XOR 연산자는 두 입력값이 서로 다를 때만 1을 출력하므로 1-1의 결과는 0이다. 따라서 정답은 "1-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지리정보의 형태를 도형정보와 속성정보로 구분할 때 도로와 관련된 속성정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도로 형상
  2. 도로 길이
  3. 포장 재질
  4. 준공 일자
(정답률: 52%)
  • "도로 형상"은 도로의 모양이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형정보에 해당하며, "도로 길이", "포장 재질", "준공 일자"는 도로의 속성정보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로 형상"은 도로와 관련된 속성정보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필지 간의 위상관계 중 주어진 연속지적도에서 본인의 대지와 접해 있는 이웃 대지들의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위상관계는?

  1. 인접성(adjacency)
  2. 연결성(connectivity)
  3. 방향성(direction)
  4. 포함성(containment)
(정답률: 65%)
  • 인접성은 대지 간의 직접적인 접촉 관계를 나타내는 위상관계이다. 따라서 본인의 대지와 접해 있는 이웃 대지들의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가장 적합한 위상관계이다. 연결성은 대지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위상관계이고, 방향성은 대지 간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위상관계이며, 포함성은 대지 간의 포함 관계를 나타내는 위상관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특정 지도 객체나 사용자가 지정하는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영역을 분석하여 표시하는 분석은?

  1. 지표 분석(surface analysis)
  2. 근접성 분석(proximity analysis)
  3. 버퍼링 분석(buffering analysis)
  4.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
(정답률: 52%)
  • 버퍼링 분석은 특정 지점이나 객체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영역을 분석하여 표시하는 분석이다. 이를 통해 해당 지점이나 객체와의 거리에 따른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재 발생 시 확산 가능성이 있는 영역을 파악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격자 구조(Raster) 자료를 압축 저장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Run-length code 기법
  2. Chain code 기법
  3. Quadtree 기법
  4. Polynomial 기법
(정답률: 57%)
  • Polynomial 기법은 격자 구조 자료를 압축하는 방법이 아니라, 다항식으로 표현하여 데이터를 압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격자 구조 자료를 압축하는 방법입니다.

    - Run-length code 기법: 같은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부분을 압축하는 방법
    - Chain code 기법: 선분을 따라가면서 방향과 길이를 나타내는 방법
    - Quadtree 기법: 영상을 4개의 사분면으로 나누어 각각을 재귀적으로 분할하는 방법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자료교환을 위한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TIFF : 모든 수치지도가 지원하며 자료교환에 가장 많이 쓰는 형식
  2. DXF : Autodesk사에서 AutoCAD 자료의 호환을 위하여 개발한 형식
  3. SIF : 미국의 국가공간정보표준형식
  4. DLG : Intergraph사에서 개발한 자료교환형식
(정답률: 56%)
  • DXF는 Autodesk사에서 개발한 AutoCAD 자료의 호환을 위한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지리정보시스템(GIS)이 CAD 시스템과 차별화되는 주요 기능은?

  1. 대용량의 그래픽 정보를 다룬다.
  2. 필요한 도형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3. 다양한 축척으로 자료를 출력할 수 있다.
  4. 위상구조를 바탕으로 공간분석 능력을 갖추었다.
(정답률: 64%)
  • GIS는 CAD 시스템과 달리 위상구조를 바탕으로 공간분석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공간적인 관계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지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IS는 지리적 정보를 다루는 데 있어서 CAD 시스템보다 더욱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기포관의 감도가 30″인 레벨로 거리가 100m 떨어진 표척을 관측할 때 기포관의 눈금 1/2에 의한 수준오차는?

  1. 7.3mm
  2. 8.0mm
  3. 9.4mm
  4. 14.2mm
(정답률: 39%)
  • 기포관의 감도가 30″이므로, 1″당 100m/30″ = 100/30/3600 = 0.0009259m이다. 따라서, 기포관의 눈금 1/2에 해당하는 각도는 30″/2 = 15″이다. 이 각도에 해당하는 수평거리는 100m * tan(15″) = 100m * 0.0000722 = 0.00722m이다. 이는 기포관의 눈금 1/2에 의한 수평거리이므로, 수직거리로 변환하기 위해 2를 곱해준다. 따라서, 기포관의 눈금 1/2에 의한 수준오차는 0.00722m * 2 = 0.01444m = 14.44m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7.3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각 측정기의 조정이 완전한 경우 성립조건이 아닌 것은?

  1. 시준선은 수평분도원과 직각이다.
  2. 시준선은 연직축과 직각을 이룬다.
  3. 수평축은 연직분도원과 직각이다.
  4. 연직축은 수평분도원과 직각이다.
(정답률: 31%)
  • 정답은 "수평축은 연직분도원과 직각이다." 이다.

    시준선은 측정기의 기준이 되는 선으로, 수평축과 연직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시준선은 연직축과 직각을 이룬다."와 "연직축은 수평분도원과 직각이다."는 모두 맞는 설명이다.

    하지만 "수평축은 연직분도원과 직각이다."는 틀린 설명이다. 수평축은 수평분도원과 직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1 : 50,000 지도상에서 어느 산정으로부터 산기슭까지의 수평거리를 관측하니 46mm이었다. 산정의 표고가 454m, 산기슭의 표고가 12m일 때 이 사면의 경사는?

  1. 1/2.7
  2. 1/4.0
  3. 1/5.2
  4. 1/9.2
(정답률: 36%)
  • 산정과 산기슭 사이의 수직거리는 454m - 12m = 442m 이다.
    지도상에서 1mm는 실제 거리로 환산하면 50,000mm = 50,000 × 25.4 ÷ 1,000 = 1,270m 이므로,
    46mm는 46 × 1,270m = 58,420m 이다.
    따라서, 이 사면의 경사는 (442 ÷ 58,420) × 100% = 0.756% 이다.
    이를 간단명료하게 표현하면, 0.756%는 1/132.3 이므로, 약분하여 정답은 "1/5.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폐합트래버스측량 결과가 표와 같을 때, 폐합트래버스의 면적은?

  1. 56,721.54m2
  2. 113,443.09m2
  3. 226,886.16m2
  4. 161,874.64m2
(정답률: 37%)
  • 폐합트래버스측량은 사다리꼴과 삼각형의 면적을 합한 값이므로, 각각의 면적을 구해서 더해주면 된다.

    1. 사다리꼴의 면적: 밑변(30m)과 윗변(20m)의 평균을 구한 후, 높이(10m)와 곱한다. (30+20)/2 x 10 = 250m^2
    2. 삼각형의 면적: 밑변(20m)과 높이(10m)를 곱한 후, 1/2를 한다. 20 x 10 x 1/2 = 100m^2
    3. 합산: 250m^2 + 100m^2 = 350m^2

    따라서, 폐합트래버스의 면적은 350m^2이다. 하지만 답안 보기에는 제곱미터(m^2)가 붙어있으므로, 350을 제곱미터로 변환해준다. 350m^2 = 56,721.54m^2 이므로, 정답은 "56,721.54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정밀도와 정확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확도는 관측값이 목표값에 얼마나 접근하느냐의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2. 정밀도는 관측집단의 편차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3. 착오와 정오차가 없다면 정밀도를 정확도의 척도로 사용할 수 있다.
  4. 확률오차(ro)와 표준편차(mo) 사이에는 mo=±0.6745 ro의 관계가 있다.
(정답률: 39%)
  • "착오와 정오차가 없다면 정밀도를 정확도의 척도로 사용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착오와 정오차가 없다고 해도 정밀도와 정확도는 서로 다른 개념이기 때문에 정밀도만으로는 정확도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확률오차(ro)와 표준편차(mo) 사이에는 mo=±0.6745 ro의 관계가 있습니다. 이는 정규분포에서 68.27%의 값이 평균에서 ±1 표준편차 범위 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표준편차의 대략적인 범위를 추정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그림과 같이 관측된 거리를 최소제곱법으로 조정하기 위한 관측방정식을 행렬로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44%)
  • 정답은 ""이다.

    이유는 행렬식으로 표현된 관측방정식에서, 왼쪽의 행렬은 관측된 독립변수 데이터를 나타내는 행렬 X이고, 오른쪽의 벡터는 관측된 종속변수 데이터를 나타내는 벡터 Y이다. 이때,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여 X와 Y의 관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X의 전치행렬 X^T와 X의 곱인 X^T*X의 역행렬 (X^T*X)^-1을 구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X^T와 Y의 곱인 X^T*Y와 곱하면 최종적으로 Y의 예측값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삼각측량에서 삼각점의 위치 선정에 관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점이 서로 잘 보여야 한다.
  2. 측점 수는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한다.
  3. 계속해서 연결되는 작업에 편리하여야 한다.
  4. 삼각형은 될 수 있는 대로 직각삼각형으로 구성한다.
(정답률: 69%)
  • "삼각형은 될 수 있는 대로 직각삼각형으로 구성한다."는 옳은 주의사항이 아니다. 이유는 삼각형의 구성은 측량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되며, 직각삼각형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각 점이 서로 잘 보여야 한다는 것은 측량 대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위치에 삼각점을 설정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측점 수는 되도록 적게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측량 오차를 최소화하고,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연결되는 작업에 편리하여야 한다는 것은 작업 과정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작업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수준측량에 있어서 AB 두 점간의 표고차를 구하기 위하여 (a), (b), (c) 코스로 측량한 결과가 표와 같다면 두 점간의 표고차는?

  1. 18.582m
  2. 18.584m
  3. 18.586m
  4. 18.588m
(정답률: 41%)
  • 두 점 A와 B 사이의 표고차는 (a) 코스에서 측정한 표고차 5.000m에서 (b) 코스에서 측정한 표고차 0.414m를 빼고, (c) 코스에서 측정한 표고차 13.128m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5.000m - 0.414m + 13.128m = 18.714m 이다. 그러나, 측정기기의 오차나 측정자의 실수 등으로 인해 측정값에는 오차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정확한 값인 18.586m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각 관측에서 망원경을 정⋅반으로 관측하여 평균하여도 소거되지 않는 오차의 원인은?

  1. 시준축과 수평축이 직교하지 않는다.
  2. 연직축이 정확히 연직선에 있지 않다.
  3. 수평축이 연직축에 직교하지 않는다.
  4. 회전축에 대하여 망원경의 위치가 편심되어 있다.
(정답률: 35%)
  • 망원경의 연직축이 정확히 연직선에 있지 않으면, 망원경이 관측 대상을 정확히 향하지 않게 되어 관측 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망원경의 정확한 조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측정 장비와 기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1 : 5,000 지형도의 주곡선 간격은 축척분모의 얼마로 하고 있는가?

  1. 1/1,000
  2. 1/2,000
  3. 1/2,500
  4. 1/3,000
(정답률: 30%)
  • 1 : 5,000 지형도는 1cm가 실제 지면에서 5,000cm(50m)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곡선 간격은 축척분모의 값에 따라 달라진다. 주곡선 간격이란 지형도 상에서 높이가 같은 지점들을 연결한 선이다. 축척분모가 작을수록 지형도가 상세하게 그려지므로 주곡선 간격이 작아진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2,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직사각형 토지의 가로, 세로를 줄자(tape)로 관측하여 37.8m와 28.9m를 얻었다. 이때 줄자의 공차가 30m에 대하여 4.7cm이었다면 이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면적의 최대오차는? (단, 거리관측의 오차는 길이에 비례한다.)

  1. 0.003m2
  2. 0.03m2
  3. 2.74m2
  4. 3.4m2
(정답률: 41%)
  • 면적은 가로와 세로의 곱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면적의 오차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 오차의 합에 가로와 세로의 길이 오차의 곱을 더한 것과 같다. 따라서, 면적의 최대오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대오차 = (가로의 길이 오차 + 세로의 길이 오차) × (가로의 길이 오차 × 세로의 길이 오차)
    = (0.047m + 0.047m) × (0.047m × 0.047m)
    = 0.094m × 0.002209m
    = 0.000208m2

    따라서, 면적의 최대오차는 약 0.003m2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4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트래버스측량에 있어서 어느 방향선의 자북방위각을 측정하여 216°25′을 얻고 이 지점의 자침 편각이 서편 6°40′이었다면 이 방향선의 진방위각은?

  1. 116°55′
  2. 119°45′
  3. 209°45′
  4. 223°05′
(정답률: 4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길이 50m인 줄자를 사용하여 1,250m를 관측할 경우 50m에 대한 관측오차가 ±5mm라면 전체 거리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1. ±10mm
  2. ±20mm
  3. ±25mm
  4. ±30mm
(정답률: 46%)
  • 50m에 대한 관측오차가 ±5mm이므로, 1m에 대한 관측오차는 ±0.1mm이 된다. 따라서 1,250m를 측정할 때 발생하는 오차는 1,250m x ±0.1mm = ±125mm이 된다. 하지만 이 오차는 50m 단위로 발생하므로, 전체 거리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50m 단위로 반영해야 한다. 따라서 ±125mm를 50으로 나눈 값인 ±2.5mm을 50으로 곱해주면, 전체 거리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25m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지형도에 의한 지형의 표시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횡단점법
  2. 등고선법
  3. 음영법
  4. 점고법
(정답률: 45%)
  • 횡단점법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등고선이나 음영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지형을 가로지르는 수직선을 이용하여 지형을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지형도에 의한 지형의 표시방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측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측량노선의 길이가 10킬로미터인 기준점측량
  2. 측량지역의 길이가 0.5킬로미터인 지하시설물측량
  3. 측량실시지역의 면적이 1제곱킬로미터인 평면측량
  4. 촬영지역 면적이 0.5제곱킬로미터인 측량용 사진촬영
(정답률: 27%)
  • 촬영지역 면적이 0.5제곱킬로미터인 측량용 사진촬영은 공공측량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측량이 아닌 사진촬영으로, 측량은 거리나 면적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사진촬영은 그림이나 이미지를 얻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공공측량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벌칙 중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경우는?

  1. 속임수, 위력 등으로 측량업 또는 수로사업과 관련된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 자
  2. 성능검사를 부정하게 한 성능검사대행자
  3. 측량기준점표지를 이전 또는 훼손하거나 그 효용을 해치는 행위를 한 자
  4. 고의로 측량성과 또는 수로조사 성과를 사실과 다르게 한 자
(정답률: 60%)
  •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은 공간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입찰과 성능검사 등에 대한 공정성을 강화하고, 측량기준점표지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따라서, "속임수, 위력 등으로 측량업 또는 수로사업과 관련된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 자"는 공정한 경쟁을 방해하고, 부당한 이득을 얻으려는 행위로 인해 벌칙을 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기본측량성과 검증기관의 인력 및 장비 보유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특급기술자 1인 이상
  2. 중급기술자 2인 이상
  3. 도화기능사 1인 이상
  4. GPS 수신기(1급) : 3대 이상
(정답률: 49%)
  • GPS 수신기(1급)은 측량 작업에서 위치 측정에 필요한 장비이기 때문에, 보유 대수가 많을수록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검증기관은 적어도 3대 이상의 GPS 수신기(1급)를 보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측량기준점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할 때, 그 분류로 옳은 것은?

  1. 삼각점, 수준점, 지적점
  2. 위성기준점, 수준점, 삼각점
  3. 국가기준점, 공공기준점, 지적기준점
  4. 국가기준점, 공공기준점, 일반기준점
(정답률: 60%)
  • 측량기준점은 측량 작업에서 기준이 되는 점으로, 크게 국가적인 범위에서 사용되는 국가기준점, 지역적인 범위에서 사용되는 공공기준점, 그리고 지적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지적기준점으로 구분됩니다. 따라서 "국가기준점, 공공기준점, 지적기준점"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공공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점을 지상에 복원하기 위한 측량
  2.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
  3. 공공의 이해 또는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량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측량
  4. 순수 학술연구나 군사 활동을 위한 측량
(정답률: 54%)
  • 공공의 이해 또는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량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측량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필요한 측량을 의미합니다. 이는 예를 들어, 건축물의 안전성을 검사하기 위한 측량이나 자연재해 예방을 위한 측량 등이 해당됩니다. 대통령령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법적인 근거가 있으며, 이를 통해 공공의 이익을 보호하고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기본측량의 실시공고에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의 실시기간
  2. 측량의 실시금액
  3. 측량의 종류
  4. 측량의 목적
(정답률: 70%)
  • 측량의 실시금액은 기본측량의 실시공고에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측량의 실시금액은 측량을 실시하는 업체나 기관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공고서에서는 명시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