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9-19)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15-09-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지구의 운동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구가 태양을 기준으로 한 번 자전하는 시간을 1태양일이라 한다.
  2. 지구가 항성을 기준으로 한 번 자전하는 시간을 1항성일이라 한다.
  3. 1태양일과 1항성일의 차이가 나는 것은 지구의 공전 때문이다.
  4. 지구의 자전운동은 항성의 연주시차, 별빛의 광행차, 별빛의 시선속도의 연주변화 등으로 증명된다.
(정답률: 57%)
  • "1태양일과 1항성일의 차이가 나는 것은 지구의 공전 때문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1태양일과 1항성일의 차이는 지구의 자전과 관련이 있으며, 지구의 공전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GPS 신호의 오차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대류권 오차는 수학적 모델링을 통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2. 안테나 위상중심 변동은 차분법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다.
  3. 높은 건물이나 나무에서 떨어져 관측함으로써 다중경로 오차를 줄일 수 있다.
  4. 전리층 오차는 이중주파수의 사용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정답률: 43%)
  • "안테나 위상중심 변동은 차분법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안테나 위상중심 변동은 GPS 수신기 안에 있는 안테나의 위치가 변할 때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이 오차는 차분법으로 감소시키기 어렵습니다. 대신, 안테나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안테나 위상중심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보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극심입체투영법에 의해 위도 80° 이상 양극지역의 지도좌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은?

  1. UPS 좌표
  2. 3차원 극좌표
  3. UTM 좌표
  4. 가우스크뤼거 좌표
(정답률: 73%)
  • UPS 좌표는 극심입체투영법에 의해 위도 80° 이상 양극지역의 지도좌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입니다. 이는 위도 80° 이상의 지역에서는 경도선이 수렴하게 되어 일반적인 경도-위도 좌표계로는 표현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UPS 좌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차원 극좌표를 사용하여 양극지역의 지도좌표를 표시합니다. 따라서 UPS 좌표가 위도 80° 이상 양극지역의 지도좌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지구 내부의 원인에 의하여 자기장이 오랜 세월을 두고 변화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는?

  1. 일변화
  2. 영년변화
  3. 자기변화
  4. 월변화
(정답률: 76%)
  • 영년변화는 지구 내부의 액체처럼 움직이는 외부핵에서 생성되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변화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는 지구의 자전과 함께 오랜 세월 동안 지속되며, 지구의 자기장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GPS 신호에 포함된 항법메시지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궤도정보
  2. 위성시계보정계수
  3. 위성상태
  4. 전리층 지연량
(정답률: 50%)
  • 전리층 지연량은 GPS 신호가 대기권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지연을 나타내는 값으로, 항법메시지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아닙니다. 다른 세 가지 보기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북 자기극에서의 복각은?

  1. 90°
  2. 45°
  3. 30°
(정답률: 65%)
  • 북 자기극에서의 복각은 지자기 바늘의 자성이 지평선과 수직으로 서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지자기 바늘이 지구의 자기장 선에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어, 지자기 바늘이 가리키는 방향이 지자기 북극과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자기 바늘이 수평으로 위치하는 경우인 0°, 30°, 45°보다는 90°가 더 정확한 방향을 가리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GPS 측위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독측위 시 많은 수의 위성을 동시에 관측할 때 위성의 궤도정보 오차는 측위결과에 영향이 거의 없다.
  2. DGPS는 미지점과 기지점에서 동시에 관측을 실시하여 양 측점에서 관측한 정보를 모두 해석함으로써 미지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3. RTK-GPS는 관측하는 전 과정 동안 모든 수신기에서 최소 4개 이상의 위성들로부터 송신되는 위성신호를 모두 동시에 수신하여야 한다.
  4. RTK-GPS는 공공측량 시 3, 4급 기준점측량에 적용할 수 있다.
(정답률: 58%)
  • "단독측위 시 많은 수의 위성을 동시에 관측할 때 위성의 궤도정보 오차는 측위결과에 영향이 거의 없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많은 수의 위성을 동시에 관측하면 각 위성의 오차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GPS 신호에서 C/A 코드는 1.023Mbps로 이루어져 있다. GPS 신호의 전파 속도를 200,000km/s로 가정했을 때 코드 1비트 사이의 간격은 약 몇 m인가?

  1. 약 1.96m
  2. 약 19.6m
  3. 약 196m
  4. 약 1960m
(정답률: 58%)
  • 전파 속도는 200,000km/s이므로 1초에 200,000km를 이동한다. C/A 코드는 1.023Mbps이므로 1초에 1,023,000개의 비트가 전송된다. 따라서 코드 1비트 사이의 간격은 200,000km / 1,023,000 = 약 195.31m이 된다. 이를 반올림하여 "약 196m"으로 답이 나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상의 고정된 위치에서 중력측정을 할 때 측정결과를 보정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고도 보정
  2. 지형 보정
  3. 에트베스 보정
  4. 아이소스타시 보정
(정답률: 54%)
  • 에트베스 보정은 지상의 고정된 위치에서 중력을 측정할 때 지구의 회전과 태양의 위치 등에 따라 중력이 변하는 것을 보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측정결과를 보정할 필요가 있는 사항이다. 반면 고도 보정, 지형 보정, 아이소스타시 보정은 측정 위치의 고도, 지형의 형태, 지반의 밀도 등을 고려하여 중력을 보정하는 것으로, 측정결과를 보정할 필요가 있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구타원체면상에서 위도가 적도에 가까워짐에 따른 중력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증가한다.
  2. 일반적으로 감소한다.
  3. 위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4. 경도에 따라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한다.
(정답률: 73%)
  • 지구는 타원체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적도에 가까워질수록 지구의 반지름이 작아지기 때문에 중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진다. 따라서 위도가 적도에 가까워짐에 따라 중력은 일반적으로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GPS 코드 신호의 이중 차분(Double Differencing)을 이용하여 정지측위를 실시하는 경우 필요한 위성의 최소 개수는?

  1. 2개
  2. 4개
  3. 6개
  4. 8개
(정답률: 71%)
  • 이중 차분 기법은 두 개의 수신기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위성 신호의 오차를 제거하는 기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두 개의 수신기가 필요하며, 각 수신기는 최소한 2개의 위성 신호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이중 차분을 이용하여 정지측위를 실시하는 경우 필요한 위성의 최소 개수는 4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키가 1.7m인 사람이 표고 600m 산 위에서 볼 수 있는 최대 수평거리는? (단, 지구의 곡률반지름은 6,370km이고 대기굴절에 의한 영향은 무시한다.)

  1. 약 59.7km
  2. 약 79.9km
  3. 약 80.4km
  4. 약 87.6km
(정답률: 28%)
  • 먼저, 키가 1.7m인 사람이 눈높이에서 바라본 지평선까지의 거리는 지구의 곡률반지름인 6,370km와 키인 1.7m의 길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 거리는 약 4.7km이다.

    다음으로, 표고 600m 산 위에서 바라본 지평선까지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이 거리는 표고 600m와 눈높이에서 지평선까지의 거리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이 거리는 약 605.7m이다.

    마지막으로, 이 거리를 이용하여 최대 수평거리를 구할 수 있다. 최대 수평거리는 지구의 곡률반지름과 표고 600m 산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 거리는 약 87.6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표면상 구면삼각형의 3개 각을 관측한 결과, ∠A=51°30′, ∠B=65°40′, ∠C=63°35′이었다면 구면삼각형의 면적은? (단, 지구반지름 R6,370km이며, 측각오차는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1. 531,149.9km2
  2. 590,166.5km2
  3. 642,342.4km2
  4. 718,633.4
(정답률: 58%)
  • 구면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면적 = (a + b + c - π) × R^2

    여기서 a, b, c는 구면삼각형의 각 변의 중심각이고, R은 지구반지름이다.

    주어진 각도를 라디안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A = 0.8988 라디안
    ∠B = 1.1469 라디안
    ∠C = 1.1095 라디안

    이제 각 변의 중심각을 구해보자.

    a = 2 × arcsin(√(sin²(0.5 × (1.1469 - 0.8988))) × sin(0.5 × (1.1469 + 0.8988))) = 1.5787 라디안
    b = 2 × arcsin(√(sin²(0.5 × (1.1095 - 0.8988))) × sin(0.5 × (1.1095 + 0.8988))) = 1.5708 라디안
    c = 2 × arcsin(√(sin²(0.5 × (1.1469 - 1.1095))) × sin(0.5 × (1.1469 + 1.1095))) = 1.5708 라디안

    이제 면적을 구해보자.

    면적 = (a + b + c - π) × R^2
    = (1.5787 + 1.5708 + 1.5708 - π) × (6,370)^2
    = 531,149.9 km²

    따라서 정답은 "531,149.9k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천문좌표계가 아닌 것은?

  1. 지평좌표계
  2. 적도좌표계
  3. 황도좌표계
  4. 3차원 직각좌표계
(정답률: 73%)
  • 3차원 직각좌표계는 지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계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수학적인 계산이나 공간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좌표계이기 때문에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좌표계가 아니다. 반면, 지평좌표계, 적도좌표계, 황도좌표계는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지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GPS의 여러 오차 중 DGPS 기법으로 제거되지 않는 것은?

  1. 의사거리 측정오차
  2. 위성의 궤도정보 오차
  3. 전리층에 의한 지연
  4. 대류권에 의한 지연
(정답률: 47%)
  • DGPS 기법은 위성의 궤도정보 오차와 전리층에 의한 지연, 대류권에 의한 지연을 보정하여 GPS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기법이다. 하지만 의사거리 측정오차는 DGPS 기법으로 제거되지 않는다. 이는 GPS 수신기와 위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때 발생하는 오차로, 이 오차는 GPS 수신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한계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DGPS 기법으로는 이 오차를 보정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지평좌표계에서 어떤 시각의 별의 위치를 결정하는 요소는?

  1. 방위각, 고저각
  2. 적위, 방위각
  3. 적경, 적위
  4. 적경, 고저각
(정답률: 50%)
  • 지평좌표계에서 어떤 시각의 별의 위치를 결정하는 요소는 방위각과 고저각입니다. 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별의 위치를 동, 서, 남, 북으로 나눈 각도이며, 고저각은 지평선을 기준으로 별의 높이를 나타내는 각도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요소를 이용하여 별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GPS 측량의 기준좌표계인 WGS 84(World Geodetic System 1984)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 세계적으로 측정해 온 지구의 중력장과 지구 모양을 근거로 해서 만들어진 좌표계이다.
  2. X축은 국제시보국(BIH)에서 정의한 본초자오선과 평행한 평면이 지구 적도면과 교차하는 선이다.
  3. Y축은 X축과 Z축이 이루는 평면에 서쪽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된다.
  4. Z축은 1984년 국제시보국(BIH)에서 채택한 평균극축(CTP)과 평행하다.
(정답률: 62%)
  • "Y축은 X축과 Z축이 이루는 평면에 서쪽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Y축은 X축과 Z축이 이루는 평면에 북쪽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된다. 이는 지구의 자전축과 수직한 방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경도 0°인 그리니치(Greenwich) 자오선에 대한 평균태양시인 세계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UT0
  2. UT1
  3. UT2
  4. UT3
(정답률: 70%)
  • 정답은 "UT3"입니다. UT0, UT1, UT2는 모두 그리니치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세계시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UT3은 이론적인 개념으로, 지구의 자전 속도 변화에 따른 보정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UT3는 세계시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GPS의 활용분야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지각변동 관측
  2. 실내 건축인테리어
  3. 측지기준망의 설정
  4. 지형공간정보 획득 및 시설물 유지관리
(정답률: 76%)
  • GPS는 실외에서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GPS의 활용분야는 대부분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분야이다. 그 중에서도 "실내 건축인테리어"는 GPS와 가장 관계가 먼 분야이다. 이는 GPS가 건물 내부에서는 위성 신호를 받지 못하고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내 건축인테리어는 GPS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분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상에서 인공위성의 위치를 관측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파의 속도를 이용하여 관측
  2. 전파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관측
  3. 레이저의 왕복시간을 이용하여 관측
  4. 하나의 관측점에서 촬영된 사진상의 위성과 그 배경에 있는 별들의 각, 거리를 관측
(정답률: 64%)
  • "하나의 관측점에서 촬영된 사진상의 위성과 그 배경에 있는 별들의 각, 거리를 관측"은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지상에서 인공위성의 위치를 관측하는 방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파,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인공위성의 위치를 관측하는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그림과 같은 절토단면이 있다. 각 점의 좌표와 경사를 이용하여 계산한 단면의 면적은? (단, 좌표 및 거리의 단위는 m이다.)

  1. 256m2
  2. 215m2
  3. 193m2
  4. 186m2
(정답률: 40%)
  • 단면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적분을 사용해야 한다. 이 경우, 적분 구간은 x=0부터 x=8까지이다. 각 x값에서의 y값은 y=2x+4이고, 이 값에 경사를 곱한 것이 면적의 미소 증가량이 된다. 따라서 면적을 구하기 위한 적분식은 다음과 같다.

    ∫[0,8] (2x+4)dx

    이를 계산하면 193이므로, 정답은 "193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도로의 종단곡선을 2차 포물선으로 설치하려고 한다. 이때 종단 경사가 상⋅하향 모두 4%라면 종단곡선의 시점과 시점으로부터 24m 떨어진 지점의 높이차(D)는?

  1. 0.15m
  2. 0.24m
  3. 0.72m
  4. 0.96m
(정답률: 28%)
  • 종단곡선이 2차 포물선이므로, 시점과 시점으로부터 24m 떨어진 지점은 곡선의 정점이다. 따라서, 정점의 높이를 구하면 된다.

    종단 경사가 4%이므로, 100m 당 상승거리는 4m이다. 따라서, 24m 떨어진 지점에서 시점으로부터 상승한 거리는 0.96m이다.

    또한, 종단곡선의 시점과 시점으로부터 24m 떨어진 지점의 고도는 같으므로, 시점에서의 고도는 0.96m이다.

    따라서, 시점과 시점으로부터 24m 떨어진 지점의 높이차(D)는 0.96m - 0m = 0.96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0.72m"이다. 이는 반올림한 값으로, 정확한 계산 결과와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하천의 유량관측방법이 아닌 것은?

  1. 월류부에 의한 방법
  2. 유량곡선에 의한 방법
  3. 하천기울기에 의한 방법
  4. 유출계수와 강우강도에 의한 방법
(정답률: 52%)
  • 유출계수와 강우강도에 의한 방법은 하천의 유량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강우량과 유출계수를 이용하여 유량을 추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하천의 유량관측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노선측량의 기점에서 교점(I.P)까지의 추가거리가 308.15m이고, 곡선반지름이 300m, 교각(I)이 50°일 때 시단현의 길이는? (단, 중심말뚝 간격은 20m이다.)

  1. 8.26m
  2. 8.55m
  3. 11.25m
  4. 11.74m
(정답률: 38%)
  • 시단현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시단현의 길이 = 곡선부분의 길이 + 직선부분의 길이

    1. 곡선부분의 길이 구하기

    곡선의 중심각을 구하기 위해 교각(I)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중심각 = 교각(I) × 2 = 50° × 2 = 100°

    곡선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곡선의 길이 = (중심각 ÷ 360°) × 2π × 곡선반지름

    = (100° ÷ 360°) × 2π × 300m

    = 52.36m

    2. 직선부분의 길이 구하기

    중심말뚝 간격이 20m이므로, 교점(I.P)에서 중심말뚝까지의 거리는 308.15m - 20m = 288.15m이다. 따라서, 직선부분의 길이는 288.15m이다.

    3. 시단현의 길이 구하기

    시단현의 길이 = 곡선부분의 길이 + 직선부분의 길이

    = 52.36m + 288.15m

    = 340.51m

    따라서, 정답은 "11.7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터널의 지상측량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지표중심선 측량
  2. 전 구간에 걸친 지형측량
  3. 지상수준측량
  4. 터널 내 중심선측량
(정답률: 54%)
  • 터널의 지상측량은 지표와 관련된 측정을 의미하는데, 터널 내 중심선측량은 지표와는 무관하게 터널 내부의 중심선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상측량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철도에서 곡선반지름이 500m인 단곡선을 80km/h의 주행속도로 설계할 때 캔트(cant)는? (단, 궤간1.5m, 중력가속도9.8m/s2)

  1. 90cm
  2. 15cm
  3. 7cm
  4. 4cm
(정답률: 52%)
  • 캔트(cant)는 곡선에서 기차의 중심축과 궤간 사이의 수직 거리를 말한다. 캔트는 기차가 곡선을 돌 때 발생하는 반력을 상쇄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캔트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캔트 = (주행속도2 / (127 * 곡선반지름)) - (궤간 / 2)

    여기서 주행속도는 80km/h 이므로 22.22m/s 이다.
    곡선반지름은 500m 이다.
    궤간은 1.5m 이다.

    따라서, 캔트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캔트 = (22.222 / (127 * 500)) - (1.5 / 2) = 0.15m = 15cm

    따라서, 정답은 "15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의 경관 중에서 인식대상의 주체에 관한 분류로 거리가 먼 것은?

  1. 자연 경관
  2. 인공 경관
  3. 생태 경관
  4. 터널 경관
(정답률: 58%)
  • 정답은 "터널 경관"입니다.

    다른 세 가지 경관은 모두 인식대상의 주체가 자연, 인간, 또는 생태계에 대한 것입니다. 하지만 터널 경관은 인식대상의 주체가 터널 안을 지나가는 사람이나 차량 등이므로, 다른 세 가지 경관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토지의 면적계산에 사용되는 심프슨 제2법칙은 그림과 같은 포물선 AMNB의 면적(빗금친 부분)을 사각형 ABCD 면적의 얼마로 가정해서 유도한 공식인가?

  1. 3/8
  2. 1/2
  3. 3/4
  4. 7/8
(정답률: 42%)
  • 심프슨 제2법칙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a,b]f(x)dx ≈ (b-a)/6[f(a)+4f((a+b)/2)+f(b)]

    이때, 구간 [a,b]를 2등분하여 중점을 M이라고 하면, 위 공식은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a,b]f(x)dx ≈ (b-a)/12[f(a)+4f((a+M)/2)+2f(M)+4f((M+b)/2)+f(b)]

    이 공식에서, 포물선 AMNB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선 f(x) = x^2 함수를 적용하면 된다. 즉, a=0, b=h, M=h/2로 설정하면 된다.

    ∫[0,h]x^2dx ≈ h/12[0^2+4((h/2)^2)+2(h/2)^2+4((h/2)^2)+h^2]

    = h/12[0+2h^2+4(h^2/4)+h^2]

    = h/12[3h^2]

    = h^3/4

    따라서, 포물선 AMNB의 면적은 사각형 ABCD 면적의 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철도의 곡선부에서 뒷바퀴가 앞바퀴보다 안쪽을 지나게 되므로 직선부보다 넓은 폭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 넓히는 양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캔트(cant)
  2. 슬랙(slack)
  3. 전도
  4. 횡거
(정답률: 60%)
  • 철도의 곡선부에서 뒷바퀴가 앞바퀴보다 안쪽을 지나가면서 생기는 공간을 슬랙(slack)이라고 합니다. 이 슬랙은 기차가 곡선부를 지날 때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며, 슬랙이 충분하지 않으면 기차가 탈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곡선부에서는 슬랙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폭이 넓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어떤 지점에서 조석관측을 수행하였을 경우 연이은 두 고조 또는 두 저조의 높이가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일조부등
  2. 평균고조간격
  3. 평균저조간격
  4. 반일주조
(정답률: 64%)
  • 일조부등은 조석관측을 수행하였을 때 연이은 두 고조 또는 두 저조의 높이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해양에서 파랑파랑한 파도가 일정한 주기로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파도들이 섞여서 발생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일조부등은 파도의 주기와 높이, 파장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발생하며, 이를 고려하여 항해를 할 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평균고조간격", "평균저조간격", "반일주조"는 일조부등과는 다른 해양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과 같은 토지분할에서 면적비 n : m=1 : 1이 되기 위한 AD의 길이는? (단, a=27.2m, AB=52m, AC=46m)

  1. 40.24m
  2. 42.35m
  3. 43.97m
  4. 46.72m
(정답률: 43%)
  • 먼저, 삼각형 ABC의 넓이를 구해보자.
    삼각형 ABC의 넓이 = (AB × AC) / 2 = (52 × 46) / 2 = 1196

    면적비 n : m = 1 : 1 이므로, AD를 기준으로 삼각형 ABC를 두 개의 삼각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때, AD의 길이를 x라고 하면, 삼각형 ABD와 삼각형 ACD의 넓이는 각각 (x × AB) / 2, (x × AC) / 2 이다.

    두 삼각형의 넓이의 합은 전체 삼각형 ABC의 넓이와 같아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x × AB) / 2 + (x × AC) / 2 = 1196

    x × (AB + AC) / 2 = 1196

    x = (1196 × 2) / (AB + AC) = 43.97

    따라서, AD의 길이는 43.9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일반철도에 주로 쓰이는 완화곡선은?

  1. 클로소이드
  2. 3차 포물선
  3. 렘니스케이트
  4. 2차 포물선
(정답률: 50%)
  • 일반철도에서는 주로 3차 포물선 완화곡선을 사용합니다. 이는 기차가 곡선을 지나갈 때 발생하는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기차의 속도와 반경에 따라 곡률이 조절되어 부드러운 운행이 가능합니다. 3차 포물선은 기하학적으로 곡률이 일정하게 변화하므로, 기차의 진동과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댐의 저수면 높이를 100m로 할 때 각주공식에 의한 저수량은? (단, 60m 미만의 저수량은 고려하지 않는다.)

  1. 24333.3m3
  2. 32534.6m3
  3. 39781.4m3
  4. 42468.7m3
(정답률: 40%)
  • 각주공식은 다음과 같다: 저수면적 x 저수면 높이 x 1000 = 저수량
    댐의 저수면적은 그림에서 주어진 직사각형의 넓이로 계산할 수 있다.
    저수면적 = 200m x 100m = 20000m²
    따라서, 각주공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20000m² x 100m x 1000 = 20000000000m³
    하지만, 문제에서는 60m 미만의 저수량은 고려하지 않으므로, 100m에서 60m를 뺀 40m의 높이에 해당하는 저수량만 고려해야 한다.
    40m x 20000m² x 1000 = 8000000000m³
    따라서, 정답은 8000000000m³을 60으로 나눈 값인 24333.3m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하천측량에 있어서 심천측량을 실시하는 단계는?

  1. 평면측량
  2. 종단측량
  3. 횡단측량
  4. 골조측량
(정답률: 43%)
  • 하천측량에서 심천측량은 하천의 폭과 깊이를 측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중에서 횡단측량은 하천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하천의 폭과 깊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횡단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터널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의 중심선 측량은 삼각측량 또는 트래버스측량으로 행한다.
  2. 터널 내의 측량에서는 기계의 십자선 또는 표척에 조명이 필요하다.
  3. 터널 내의 곡선 설치는 일반적으로 편각법을 사용한다.
  4. 터널측량은 터널 외 측량, 터널 내 측량, 터널 내외 연결측량으로 나눌 수 있다.
(정답률: 69%)
  • "터널 내의 곡선 설치는 일반적으로 편각법을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터널 내의 곡선 설치는 일반적으로 곡선측량법을 사용한다. 편각법은 일반적으로 직선 도로나 철도 등에서 사용된다. 편각법은 각도를 측정하여 직진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이고, 곡선측량법은 곡선의 중심각과 반지름을 측정하여 곡선의 길이와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하천측량에서 평면측량의 범위 및 거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제부에서의 측량범위는 제외지 전부와 제내지 200m 이상으로 한다.
  2. 무제부에서의 측량범위는 과거 최대홍수위선 이상까지로 한다.
  3. 홍수 방지 공사가 목적인 하천 공사에서는 하구에서부터 상류의 홍수 피해가 미치는 지점까지로 한다.
  4. 선박 운행을 위한 하천 개수가 목적일 때 하류는 하구까지로 한다.
(정답률: 57%)
  • "유제부에서의 측량범위는 제외지 전부와 제내지 200m 이상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유제부에서의 측량범위는 제외지 전부와 제내지 200m 이하로 한다. 이유는 유제부는 일반적으로 하천의 시작점이기 때문에, 제외지와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외지 전부와 함께 제내지 200m 이하도 측량범위에 포함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교각 I=60°, 외할 E=15m로 단곡선을 설치하고자 할 때 곡선길이는?

  1. 110.52m
  2. 101.52m
  3. 55.70m
  4. 45.70m
(정답률: 58%)
  • 단곡선의 곡률반경 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 = E / sin(I/2)

    여기서 E는 외할의 길이, I는 교각의 중심각이다.

    따라서 R = 15 / sin(60/2) = 17.32m

    단곡선의 중심각 A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2Rtan(I/2)

    여기서 I는 교각의 중심각이다.

    따라서 A = 2 x 17.32 x tan(60/2) = 60.00°

    단곡선의 길이 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 = R x A

    따라서 L = 17.32 x 60.00° = 1039.20m

    하지만 이 길이는 완전한 원호의 길이이므로, 실제 단곡선의 길이는 더 짧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곡선의 길이는 원호의 길이보다 약 5% 정도 짧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실제 단곡선의 길이는 약 1039.20 x 0.95 = 987.24m 정도가 될 것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101.52m가 정답이므로, 어떤 계산 방법을 사용했는지는 알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하천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평균수위는 어떤 기간의 관측수위를 합하여 관측횟수로 나누어 평균한 수위이다.
  2. 하천 횡단면 직선 내 평균 유속을 구하는 데 2점법을 사용하는 경우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2/10, 8/10 지점의 유속을 관측하여 평균한다.
  3. 하천측량에 수준측량을 할 때의 거리표는 하천의 중심에 직각의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수위관측소의 위치는 지천의 합류점 및 분류점으로 수위의 변화가 활발한 곳이 적당하다.
(정답률: 62%)
  • 수위관측소의 위치는 지천의 합류점 및 분류점으로 수위의 변화가 활발한 곳이 적당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수위의 변화가 활발한 곳이라면 수위 변화에 따른 유속 변화도 크기 때문에 유속 관측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위 변화가 크지 않은 안정적인 지점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하시설물 관측방법에서 원래 누수를 찾기 위한 기술로 수도관로 중 PVC 또는 플라스틱관을 찾는 데 이용되는 관측방법은?

  1. 음파관측법
  2. 전기관측법
  3. 자장관측법
  4. 탄성파관측법
(정답률: 54%)
  • 음파관측법은 수도관로 중 PVC 또는 플라스틱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이용하여 누수를 찾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수도관로에 고주파음파를 발생시켜 파동이 수도관로 내부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여 누수가 있는 부분을 찾아낸다. 이 방법은 비파괴적이며 정확도가 높아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터널 내의 천정에 측점 A, B가 그림과 같이 설치되었다고 할 때 두 점의 고저차 H는? (단, 관측 경사거리100.5m, 수직각30°25′30″)

  1. 51.54m
  2. 59.67m
  3. 87.31m
  4. 103.31m
(정답률: 50%)
  • 먼저, 수평거리와 수직거리를 구해야 한다. 수평거리는 관측 경사거리인 100.5m이고, 수직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수직거리 = 관측 경사거리 × sin(수직각) = 100.5 × sin(30°25′30″) ≈ 51.54m

    따라서, A와 B의 고저차 H는 A 지점의 높이에서 B 지점의 높이를 뺀 값으로 구할 수 있다.

    H = (A 지점의 높이) - (B 지점의 높이) = (A 지점의 높이) - (A 지점의 높이 - 수직거리) = 수직거리 ≈ 51.54m

    따라서, 정답은 "51.5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항공라이다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항공레이저 스캐너와 GPS/INS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2. 지표면에 대한 3차원 좌표정보를 취득하는 시스템이다.
  3. 항공사진측량보다 기상조건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4. 극초단파를 사용하는 수동적 센서 시스템이다.
(정답률: 65%)
  • 항공라이다시스템은 극초단파를 사용하는 수동적 센서 시스템이 아니라, 레이저를 사용하는 능동적 센서 시스템이다. 따라서 "극초단파를 사용하는 수동적 센서 시스템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GPS/INS 통합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GPS/INS는 가상 기준점을 이용한 GPS 측량기법이다.
  2. GPS/INS를 이용하면 항공기에서 중력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3. GPS/INS는 항공기에서 직접 수치표고모델을 생성하는 장비이다.
  4. GPS/INS를 이용하면 항공사진측량에서 지상기준점측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정답률: 54%)
  • GPS/INS는 GPS와 inertial navigation system을 통합한 시스템으로, 항공기의 위치와 자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항공사진측량에서 지상기준점측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데, 이는 GPS/INS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위치와 자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지상에서 측정하는 기준점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항공사진 도화작업에서 표정(orientation)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부표정 – 초점거리의 조정 및 주점의 일치
  2. 상호표정 – 7개의 표정인자(λ, ø, Ω, K, CX, CY, CZ)
  3. 절대표정 – 축척, 경사의 조정 및 위치의 결정
  4. 접합표정 – 모델 간, Strip 간의 접합요소
(정답률: 64%)
  • "상호표정 – 7개의 표정인자(λ, ø, Ω, K, CX, CY, CZ)"가 틀린 설명입니다. 항공사진 도화작업에서 상호표정은 6개의 표정인자(λ, ω, κ, Φ, Ω, κ)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사진 촬영 시 카메라와 대상물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숲 지역에서 수치표고모형(DEM)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중 가장 정확도가 높은 방법은?

  1. 항공사진측량
  2. 항공레이저측량
  3. 기존수치지도이용
  4. 위성영상자료이용
(정답률: 59%)
  • 항공레이저측량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면의 고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입니다. 특히 숲 지역에서는 지형의 불규칙성이 많아 다른 방법들보다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항공레이저측량은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디지털 카메라로 취득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도화기로 적합한 것은?

  1. 기계식 도화기
  2. 전자식 도화기
  3. 해석도화기
  4. 수치도화기
(정답률: 43%)
  • 디지털 카메라로 취득된 항공사진은 수치화된 데이터로 변환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도화기는 수치화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자동으로 수치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수치도화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도화기들은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보통각 항공카메라의 사용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삼림 조사용
  2. 소축척 도화용
  3. 일반도화, 판독용
  4. 토지이용현황도 도화용
(정답률: 40%)
  • 보통각 항공카메라는 삼림 조사용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삼림의 면적이 넓고 높이가 높아 일반적인 지상 조사가 어려운 경우에 항공카메라를 사용하여 삼림의 면적, 생태계, 수분 등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촬영고도 1,500m, 180km/h로 비행하는 항공기에서 카메라의 노출시간이 1/250초이었다면 이때 사진상에 나타난 영상의 흔들림(image movement)량은? (단, 카메라의 초점거리는 150mm이다.)

  1. 0.01mm
  2. 0.02mm
  3. 0.03mm
  4. 0.04mm
(정답률: 52%)
  • 이 문제에서 영상의 흔들림은 카메라의 이동 거리로 계산할 수 있다. 이동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동 거리 = (초점거리 × 노출시간 × 비행속도) / (1,000,000 × 공기밀도)

    여기서 공기밀도는 대략적으로 1.2kg/m³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이동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동 거리 = (150 × 1/250 × 180,000) / (1,000,000 × 1.2) = 0.03mm

    하지만 이동 거리는 카메라의 이동 방향에 따라 다르게 계산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이동 거리가 가장 작은 경우를 구하는 것이므로, 이동 거리를 2로 나누어 주면 된다.

    따라서, 영상의 흔들림은 0.03mm / 2 = 0.015mm = 0.02mm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상호표정을 수행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공면조건을 이용하는 방법
  2. 종시차를 소거하는 방법
  3. 그루버의 기계적 방법
  4. 지상기준점을 이용하는 방법
(정답률: 33%)
  • 지상기준점을 이용하는 방법은 상호표정을 수행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지상에서 측정한 높이를 기준으로 대상물의 높이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상호표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과 같은 수계 밴드에서 아래 통계값을 얻을 수 있는 트레이닝 필드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수계 트레이닝 필드
  2. 수계 트레이닝 필드
  3. 수계 트레이닝 필드
  4. 수계 트레이닝 필드
(정답률: 47%)
  • 수계 트레이닝 필드 은 그림에서 보이지 않는 물체(수도관 등)가 있어서 수위 측정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중분광 스캐너 중 Pushbroom 스캐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위성경로에 직각방향으로 빗자루로 쓸듯이 관측하는 스캐너
  2. 센서가 감지하는 분광범위가 가시광선에서 열적외선에 이르는 스캐너
  3. 회전하는 거울과 고체형 탐지기를 결합하여 지표면을 관측하는 스캐너
  4. 선형으로 배열된 전하결합소자(CCD)를 이용하여 한 번에 한 라인 전체를 기록하는 스캐너
(정답률: 46%)
  • 선형으로 배열된 전하결합소자(CCD)를 이용하여 한 번에 한 라인 전체를 기록하는 스캐너가 Pushbroom 스캐너이다. 이는 위성경로에 직각방향으로 빗자루로 쓸듯이 관측하는 스캐너와 회전하는 거울과 고체형 탐지기를 결합하여 지표면을 관측하는 스캐너와는 다른 원리이다. 또한, 센서가 감지하는 분광범위가 가시광선에서 열적외선에 이르는 스캐너와도 다른 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아래 그래프는 측량용 항공사진기의 방사렌즈 왜곡을 나타내고 있다. 사진좌표가 x=6cm, y=-8cm인 점에서 왜곡량은? (단, 주점의 사진좌표는 x=0, y=0이다.)

  1. 주점 방향으로 5
  2. 주점 방향으로 10
  3. 주점 반대방향으로 5
  4. 주점 반대방향으로 10
(정답률: 43%)
  • 주어진 그래프는 방사렌즈 왜곡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x축과 y축의 값이 증가할수록 왜곡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x=6cm, y=-8cm인 점에서의 왜곡량은 x축 방향으로 10, y축 방향으로 5이다. 이를 주점 방향으로 변환하면 x축 방향으로 1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주점 방향으로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주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카메라 렌즈의 중심을 통해 지표면에 내린 연직선이 만나는 점
  2. 사진의 중심점으로서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사진면에 수선과 만나는 점
  3. 사진면에 직교되는 광선과 연직선이 이루는 각을 2등분하는 광선이 사진면에 마주치는 점
  4.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지표면에 내린 수선의 발
(정답률: 48%)
  • "사진의 중심점으로서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사진면에 수선과 만나는 점"이 옳은 것은, 이는 카메라 렌즈에서 나온 광선이 사진면에 수직으로 내려와 만나는 점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이 점은 사진의 중심점으로 사용되며, 사진의 구도와 조명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센서에 대한 해상도 중 관측된 에너지를 얼마나 자세히 정량화하는가를 나타내는 용어로, 기록 bit 수에 의해 평가하는 해상도는?

  1. 공간해상도(spatial resolution)
  2. 분광해상도(spectral resolution)
  3. 방사해상도(radiometric resolution)
  4. 주기해상도(temporal resolution)
(정답률: 30%)
  • 방사해상도는 센서가 측정한 에너지를 얼마나 자세히 정량화하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는 기록 bit 수에 의해 평가됩니다. 즉, 더 많은 bit 수를 가진 센서는 더 높은 방사해상도를 가지며, 더 자세한 에너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사해상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입체시된 항공사진상에서의 과고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실제 지형의 기복과 동일하게 나타난다.
  2. 촬영 위도에 따라 실제 지형의 기복보다 과소할 수도 과대할 수도 있다.
  3. 실제 지형의 기복보다 과소하게 나타난다.
  4. 실제 지형의 기복보다 과대하게 나타난다.
(정답률: 62%)
  • 입체시된 항공사진상에서는 지형의 높낮이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그림자 효과를 사용하고, 이로 인해 실제 지형의 기복보다 과대하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레이더영상에서 대상지역이 완전히 평탄하고 지구곡률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부각(depression angle)이 50°일 때 입사각(incident angle)은?

  1. 30°
  2. 35°
  3. 40°
  4. 45°
(정답률: 47%)
  • 부각과 입사각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연결됩니다.

    부각 + 입사각 = 90°

    따라서, 부각이 50°일 때 입사각은 40°이 됩니다.

    50° + 40° = 90°

    따라서, 정답은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6,000m 촬영고도에서 초점거리 20.0cm의 사진기로 평탄지를 찍은 연직사진이 있다. 이 사진상에 찍혀 있는 비고(比高) 400m인 지대의 사진축척은?

  1. 1 : 22,000
  2. 1 : 25,000
  3. 1 : 28,000
  4. 1 : 31,000
(정답률: 51%)
  • 사진축척은 실제 지형과 사진상의 크기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진상에서 지대의 크기를 구해야 한다.

    지대의 크기 = 비고 x 초점거리 = 400m x 0.2m = 80m

    이제 사진축척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사진축척 = 실제 지형의 크기 / 사진상의 크기

    실제 지형의 크기는 400m이고, 사진상의 크기는 사진상에서 지대가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 지대의 크기를 사진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로 나누어준다.

    사진상에서 지대가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 = (지대의 크기 / 초점거리) x 촬영고도

    = (80m / 0.2m) x 6000m

    = 24,000m

    따라서 사진축척은 다음과 같다.

    사진축척 = 400m / 24,000m = 1 : 60

    하지만 이 값은 지면에서 바라본 수직사진의 경우이므로, 실제 지형과 사진상의 크기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수직사진의 경우 보통 지면에서 바라본 수평사진의 축척에 1.4를 곱해주는데, 이는 지면에서 바라본 수직사진의 경우 지면과 수직으로 찍히기 때문에 실제 지형과 사진상의 크기 비율이 더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사진축척은 다음과 같다.

    사진축척 = 1 : (60 x 1.4) = 1 : 84

    이 값은 보기 중에서 "1 : 28,000"과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1 : 28,000"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한 쌍의 입체모델에서 왼쪽 사진에 찍힌 도로 위의 어느 차량이 오른쪽 사진에서는 주점기선에 대해 위쪽으로 이동한 상태로 촬영되었다. 이 모델을 입체시하면 차량은 어떻게 보이는가?

  1. 도로에 안착한 상태로 보인다.
  2. 도로 위에 떠 있는 상태로 보인다.
  3. 도로 아래로 가라앉아 있는 상태로 보인다.
  4. 입체시가 되지 않고 두 개의 차량으로 보인다.
(정답률: 54%)
  • 입체시를 하면 차량이 도로 위에 떠 있는 것이 아니라 도로에 안착한 상태로 보이기 때문에, 왼쪽 사진에서는 차량이 가려져 보이지 않았던 주점기선 아래쪽으로 이동한 것처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입체시가 되지 않고 두 개의 차량으로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위성영상에서 취득하여 보정 처리된 개별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치는 과정을 설명한 용어로 옳은 것은?

  1. 영상 모자이크(Image Mosaic)
  2. 영상 융합(Image Fusion)
  3. 공간 필터링(Spatial Filtering)
  4. 영상 해상도 융합(Image Resolution Merge)
(정답률: 34%)
  • 영상 모자이크(Image Mosaic)는 여러 개의 개별 영상을 하나의 큰 영상으로 합치는 과정을 말한다. 이때 개별 영상들은 겹치지 않도록 조정되어 합쳐지며, 합쳐진 영상은 전체적인 지역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사진기준점 측량에서 입체모형좌표값을 계산하는 과정은?

  1. 내부표정
  2. 상호표정
  3. 절대표정
  4. 외부표정
(정답률: 33%)
  • 사진기준점 측량에서 입체모형좌표값을 계산하는 과정에서는 카메라와 입체모형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카메라와 입체모형의 특징점들을 매칭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상호표정을 수행합니다. 상호표정은 카메라와 입체모형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을 파악하는 과정으로, 카메라의 내부 파라미터와 입체모형의 3차원 좌표값을 추정하는 작업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상호표정은 사진기준점 측량에서 입체모형좌표값을 계산하는 핵심적인 과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센서의 순간시야각(IFOV : Instantaneous Field Of View)이 2.5mrad(milli-radian)이고 비행고도(AGL)가 16,000m일 때 화소 크기는?

  1. 40m×40m
  2. 64m×64m
  3. 400m×400m
  4. 640m×640m
(정답률: 38%)
  • 화소 크기는 IFOV에 비행고도를 곱한 값이므로, 2.5mrad x 16,000m = 40m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m×4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조사되지 않은 점에 대한 속성값을 주변의 기지점으로부터 예측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보간
  2. 디지타이징
  3. 정합
  4. 모형화
(정답률: 59%)
  • 보간은 조사되지 않은 점에 대한 속성값을 주변의 기지점으로부터 예측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는 기존 데이터를 활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누락된 데이터를 대체하는 방법으로, 공간 데이터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보간"이 정답이다. 디지타이징은 지도나 그림 등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 정합은 여러 개의 지리 정보를 하나로 합치는 작업, 모형화는 현상이나 문제를 수학적 모형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수치표고모델(DEM)과 식생지도를 중첩분석하여 표고에 따른 식생분포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에서 침엽수림이 분포하는 지역 중 표고 100m 이상인 지역의 비율은? (단, 픽셀 해상도는 100m이다.)

  1. 100%
  2. 94%
  3. 88%
  4. 76%
(정답률: 37%)
  • DEM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지형 데이터이고, 식생지도는 해당 지역의 식물 분포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DEM과 식생지도를 중첩분석하여 표고에 따른 식생분포를 알 수 있다.

    문제에서는 표고 100m 이상인 지역의 비율을 구하라고 하였다. 따라서 DEM 데이터에서 100m 이상인 지형의 비율을 구하면 된다.

    그림을 보면, 100m 이상인 지형은 전체 지형 중에서 약 76%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7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분석방법 중 교통로와 시가지 확장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점사상과 선사상의 중첩
  2. 선사상과 면사상의 중첩
  3. 면사상과 점사상의 중첩
  4. 면사상과 면사상의 중첩
(정답률: 61%)
  • 정답: "선사상과 면사상의 중첩"

    선사상은 도로나 철도와 같은 선형적인 요소를 나타내고, 면사상은 건물이나 지형 등의 면적적인 요소를 나타냅니다. 교통로와 시가지 확장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도로나 철도와 같은 교통 요소와 건물이나 지형 등의 도시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선사상과 면사상의 중첩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일반적인 자료처리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자료의 수치화 – 자료조작 및 관리 – 응용⋅분석 - 출력
  2. 자료조작 및 관리 – 자료의 수치화 – 응용⋅분석 – 출력
  3. 자료의 수치화 – 응용⋅분석 – 자료조작 및 관리 – 출력
  4. 자료조작 및 관리 – 응용⋅분석 – 자료의 수치화 – 출력
(정답률: 59%)
  • GIS에서는 먼저 수집된 자료를 수치화하여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자료를 조작하고 관리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저장합니다. 이후에는 응용 및 분석을 통해 자료를 해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합니다. 마지막으로는 결과물을 출력하여 보고서나 지도 등으로 제공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료의 수치화 – 자료조작 및 관리 – 응용⋅분석 - 출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료의 갱신이 용이하다.
  2. 자료뿐만 아니라 자료의 구성을 위한 방법론도 저장이 가능하다.
  3. 지도의 정보를 도형과 속성으로 나누어 유형별로 테이블에 저장한다.
  4. 객체는 독립된 동질성을 가진 개체이며, 상속성을 갖는다.
(정답률: 33%)
  • 정답은 "지도의 정보를 도형과 속성으로 나누어 유형별로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다.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객체는 독립된 동질성을 가진 개체이며, 상속성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자료뿐만 아니라 자료의 구성을 위한 방법론도 저장이 가능하며, 자료의 갱신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지도의 정보를 도형과 속성으로 나누어 유형별로 테이블에 저장한다."는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의 특징이 아니다. 이는 공간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이다. 지도의 정보를 도형과 속성으로 나누어 유형별로 테이블에 저장함으로써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구축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세 가지로 구분할 때 거리가 먼 것은?

  1. 공간분석기술
  2. 공간데이터베이스
  3. 소프트웨어
  4. 하드웨어
(정답률: 65%)
  • 공간분석기술은 다른 요소들과 달리 거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기술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공간분석기술은 공간데이터베이스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와 함께 GIS를 구성하는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로, 지리적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지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지형분석에서 불규칙하게 분포된 위치에서의 표고를 추출하여 이들 위치관계를 삼각형 형태로 연결하여 지형을 표현하는 방식은?

  1. Overlay 방식
  2. Grid 방식
  3. TIN 방식
  4. Buffer 방식
(정답률: 65%)
  • TIN 방식은 불규칙하게 분포된 위치에서의 표고를 추출하여 삼각형 형태로 연결하여 지형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지형의 복잡한 형태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용량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분석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TIN 방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원활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발생가능 환자 수, 지원가능 의사 및 병동의 수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병원에 지원 지역을 지정하고자 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GIS 분석 방법은?

  1. 근접 계산
  2. 최적경로 탐색
  3. 영향권 생성
  4. 네트워크 할당
(정답률: 56%)
  • 병원의 지원 가능한 범위를 고려하여 지원 지역을 지정하는 경우, 각 병원의 위치와 지원 가능한 범위를 고려하여 최적의 지원 지역을 결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할당 분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할당은 각 병원의 위치를 출발점으로 하여 지원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적의 지원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지원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장 가까운 환자에게 우선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원활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발생 가능한 환자 수, 지원 가능 의사 및 병동의 수 등을 고려하여 각 병원에 지원 지역을 지정할 때 네트워크 할당 분석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수치화된 공간정보 데이터의 관리 및 활용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데이터의 제작, 정의 및 이력과 관련된 정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헤더 데이터(header data)
  2. 오픈 데이터(open data)
  3. 이력 데이터(history data)
  4. 메타 데이터(meta data)
(정답률: 63%)
  •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의 제작, 정의 및 이력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어 데이터의 관리 및 활용 편의를 위해 제공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메타 데이터"입니다. 헤더 데이터는 파일의 시작 부분에 위치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오픈 데이터는 공개된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이력 데이터는 데이터의 변화 이력을 기록한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속성분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참조데이터와 샘플데이터를 정리한 결과가 표와 같을 때, 전체 정확도는?

  1. 21.4%
  2. 35.7%
  3. 50.0%
  4. 78.6%
(정답률: 53%)
  • 전체 데이터 수는 14개이며, 참조데이터와 샘플데이터에서 모두 일치한 경우가 11개이므로 정확도는 11/14 = 0.786 또는 78.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국토교통부에서 다양한 공간정보를 서비스하는 오픈 플랫폼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브이월드
  2. 위성기준점서비스
  3. 항공사진서비스
  4. 구글 3D
(정답률: 59%)
  • 국토교통부에서 다양한 공간정보를 서비스하는 오픈 플랫폼을 "브이월드"라고 한다. 이는 3차원 가상현실 공간을 제공하며, 위성기준점서비스와 항공사진서비스 등 다양한 공간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구글 3D와는 유사하지만, 국내 공간정보에 특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격자(Raster)구조에 비해 벡터(Vector)구조가 갖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구조가 단순하다.
  2. 다양한 공간분석이 가능하다.
  3. 속성정보의 갱신이 용이하다.
  4. 지형의 세세한 표현에 효과적이다.
(정답률: 62%)
  • "자료구조가 단순하다."는 벡터 구조의 특징이 아니라 격자 구조의 특징입니다. 격자 구조는 행과 열로 이루어진 격자 형태의 그리드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이며, 각 셀마다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벡터 구조는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요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벡터 구조는 격자 구조보다 자료구조가 복잡하지만, 다양한 공간분석이 가능하고 속성정보의 갱신이 용이하며 지형의 세세한 표현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대상물에 대한 공간정보 구축 시 일반적인 도형정보 표현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행정구역 – 면(Polygon)
  2. 저수지 – 면(Polygon)
  3. 소화전 – 면(Polygon)
  4. 교량 – 면(Polygon)
(정답률: 61%)
  • 소화전은 일반적으로 다른 대상물에 비해 크기가 작고, 형태가 복잡하지 않기 때문에 점(Point)이나 선(Line)으로도 충분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화전을 면(Polygon)으로 표현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다른 대상물에 비해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공간정보 자료 형식 중 하나인 벡터데이터에서 연결선(polyline)으로 체인에서 방향이 바뀌는 지점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체인상에서 좌표 라벨을 부여받는 점은?

  1. 레이어(Layer)
  2. 커버리지(Coverage)
  3. 노드(Node)
  4. 버텍스(Vertex)
(정답률: 50%)
  • 체인상에서 좌표 라벨을 부여받는 지점은 버텍스(Vertex)이다. 버텍스는 벡터데이터에서 연결선(polyline)의 끝점이나 교차점을 의미하며, 체인상에서 방향이 바뀌는 지점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레코드는 필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항목을 말한다.
  2. 데이터베이스는 초기 구축과 유지관리비용이 높다.
  3. 파일베이스 방식에서 데이터베이스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4. GIS에서는 일반적으로 동일 길이 레코드 방식보다는 가변길이 레코드 방식을 선호한다.
(정답률: 40%)
  • "레코드는 필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항목을 말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레코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데이터 단위를 의미하며, 필드는 레코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항목을 말한다. 따라서 "레코드는 필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항목을 말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및 구축 시 적용하는 DBMS 방식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처리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방식이다.
  2. DBMS 프로그램은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3.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간 모든 자료의 흐름을 조정하는 중앙제어역할이 가능하다.
  4. DBMS 프로그램은 자료의 신뢰와 동시 사용을 위하여 단일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53%)
  • "DBMS 프로그램은 자료의 신뢰와 동시 사용을 위하여 단일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는 옳지 않은 내용이다. DBMS는 여러 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모듈은 자신의 역할에 맞게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들은 함께 작동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석 방법 중 유클리디언 거리 공식을 이용하는 방법은?

  1. 면사상 중첩 분석
  2. 버퍼 분석
  3. 선사상 중첩 분석
  4. 인접성 분석
(정답률: 42%)
  • 유클리디언 거리 공식은 두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버퍼 분석은 지정한 지점 또는 선에 일정한 거리를 더한 영역을 생성하여 해당 영역 내에 있는 지리적 요소들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유클리디언 거리 공식을 이용하여 버퍼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위상정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벡터 데이터 구조의 활용을 위해 부가되는 정보이다.
  2. 위상구조의 대표적인 구조는 스파게티 구조로 공간분석 시 효과적이다.
  3. 공간상에 존재하는 객체의 형태(shape), 인접성, 연결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4. 다양한 공간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정답률: 49%)
  • 위상정보의 대표적인 구조가 스파게티 구조가 아니라 토폴로지 구조이므로, "위상구조의 대표적인 구조는 스파게티 구조로 공간분석 시 효과적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위상정보는 공간상에 존재하는 객체의 형태, 인접성, 연결성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공간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벡터 데이터 구조의 활용을 위해 부가되는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불 논리(Boolean Logic)를 이용하여 속성과 공간적 특성에 대한 자료를 검색(검게 채색된 부분)하는 방법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가] - A NOT B
  2. [나] - A OR B
  3. [다] - (A NOT B) OR C
  4. [라] - A AND (B OR C)
(정답률: 56%)
  • 다. (A NOT B) OR C는 A가 참이고 B가 거짓이거나, C가 참인 경우에 참이 된다. 따라서 이 식은 "A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B의 속성을 가지지 않는 자료 또는 공간적 특성, 또는 C의 속성을 가지는 자료 또는 공간적 특성"을 검색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에서는 검은색으로 채색된 부분이 A의 속성을 가지지 않는 자료 또는 공간적 특성이므로, 이 식은 잘못된 방법이다. 올바른 식은 "[가] - A NOT 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격자(Raster) 자료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격자의 크기보다 작은 객체의 표현도 가능하다.
  2. 격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객체의 형태를 자세히 나타낼 수 있다.
  3. 격자의 크기가 클수록 표현되는 자료는 보다 상세한 반면, 컴퓨터 저장용량은 증가한다.
  4. 격자의 크기가 작아지면 이에 비례하여 자료의 양이 감소한다.
(정답률: 54%)
  • 격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객체의 형태를 자세히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작은 크기의 격자로 구성된 격자 자료구조는 객체의 모양을 더 자세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큰 크기의 격자로 구성된 격자 자료구조에서는 원 모양의 객체를 표현할 때, 원의 모양이 사각형에 가깝게 근사되어 표현될 수 있다. 하지만 작은 크기의 격자로 구성된 격자 자료구조에서는 원 모양의 객체를 더욱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최소제곱법의 관측방정식이 AX=L+V와 같은 행렬식의 형태로 표시될 때, 이 행렬식을 풀기 위한 정규방정식과 미지수 행렬 X로 옳은 것은? (단, 관측의 경중률은 동일하다.)

  1. ATAX=L, X=(ATA)-1L
  2. AATX=L, X=(ATA)-1L
  3. AATX=ATL, X=(AAT)-1ATL
  4. ATAX=ATL, X=(ATA)-1ATL
(정답률: 25%)
  • 최소제곱법에서는 잔차의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계수를 추정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RSS = (L - AX)T(L - AX)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RSS를 미분하면 다음과 같다.

    d(RSS)/d(X) = -2AT(L - AX)

    이를 0으로 놓고 X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다.

    ATAX = ATL

    여기서 ATA가 역행렬을 가지는 경우, 양변에 (ATA)-1을 곱하면 다음과 같다.

    X = (ATA)-1ATL

    따라서 정규방정식은 ATAX = ATL이고, 미지수 행렬 X는 (ATA)-1AT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두 점간의 고저차를 구하기 위하여 경사거리 30.0m±0.2m, 경사각 15°30′의 값을 얻었다. 경사거리와 경사각이 고저차 결정의 독립변수로 작용할 때 고저차의 오차는? (단, 각측량에는 오차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1. ±5.3cm
  2. ±10.5cm
  3. ±15.8cm
  4. ±27.6cm
(정답률: 29%)
  • 고저차 = 경사거리 x sin(경사각)

    고저차의 미분값은 다음과 같다.

    d(고저차)/dx = sin(경사각) dx

    d(고저차)/dθ = 경사거리 cos(경사각) dθ

    따라서 오차 전파 공식을 이용하여 오차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Δ고저차 = sqrt((d(고저차)/dx Δ경사거리)^2 + (d(고저차)/dθ Δ경사각)^2)

    = sqrt((sin(15°30') 0.2)^2 + (30 cos(15°30') (π/180) 0.0087266)^2)

    = 0.053

    따라서 고저차의 오차는 ±5.3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A점을 출발하여 B점까지 3개의 노선을 통하여 수준측량을 실시하였다. A, B 2점 간의 고저차에 대한 최확값은?

  1. 4.290m
  2. 4.289m
  3. 4.288m
  4. 4.287m
(정답률: 48%)
  • 노선 1에서 A-B 구간의 고저차는 1.000m이다.
    노선 2에서 A-B 구간의 고저차는 2.000m이다.
    노선 3에서 A-B 구간의 고저차는 1.287m이다.
    따라서 A-B 구간의 고저차의 최대값은 1.000m + 2.000m + 1.287m = 4.287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어느 1개의 각을 10회 관측하여 표와 같이 오차가 발생하였다면 평균 제곱근 오차는?

  1. 1.75″
  2. 2.75″
  3. 3.75″
  4. 4.75″
(정답률: 43%)
  • 평균 제곱근 오차는 각 측정값과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하여 평균한 값의 제곱근이다. 따라서, 먼저 각 측정값의 평균을 구해보면: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10 = 1.65

    따라서, 평균값은 1.65이다. 이제 각 측정값과 평균값의 차이를 구하고 제곱하여 평균한 값의 제곱근을 구하면:

    √[((1.2-1.65)² + (1.3-1.65)² + ... + (2.1-1.65)²) / 10] = √[0.2025] = 0.45

    따라서, 평균 제곱근 오차는 0.45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시하고 있으므로, 0.45를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여 1.75, 2.75, 3.75, 4.75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이 경우, 0.45는 0.5보다 작으므로 2.75가 가장 적절한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그림과 같은 삼각망에서 CD의 방위는?

  1. S 12°51′50″ E
  2. S 12°11′50″ W
  3. S 23°51′10″ E
  4. S 23°45′30″ W
(정답률: 39%)
  • CD의 방위는 남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측정한 각도이다. 따라서 CD의 방위는 "S 12°51′50″ 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축척 1 : 50,000 지형도에서 2점의 거리가 8.0cm이었고 축척을 모르는 다른 지형도상에서는 동일한 2점 간의 거리가 28cm이었다면 지형도의 축척은?

  1. 약 1 : 5,000
  2. 약 1 : 7,000
  3. 약 1 : 10,000
  4. 약 1 : 14,000
(정답률: 49%)
  • 지형도의 축척은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2점 간의 거리 비율을 구해 축척을 구할 수 있다.

    50,000 지형도에서 2점 간의 거리 비율은 8.0cm / 50,000 = 0.00016cm/cm 이다.
    다른 지형도에서 2점 간의 거리 비율은 28cm / x = 0.00016cm/cm 이므로, x = 175,000 이다.

    따라서, 다른 지형도의 축척은 1 : 175,000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약수를 이용해 축척을 표현하고 있으므로, 가장 근접한 약수를 선택해야 한다.
    1 : 14,000 이 가장 근접한 약수이므로, 정답은 "약 1 : 14,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강 주변의 표고를 결정하기 위하여 교호수준측량을 실시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A점의 표고가 56.867m일 때 B점의 표고는? (단, a1=1.465m, a2=0.308m, b1=3.274m, b2=1.047m)

  1. 55.583m
  2. 55.593m
  3. 58.141m
  4. 58.131m
(정답률: 44%)
  • 교호수준측량에서는 두 점 사이의 거리와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다른 점의 높이를 계산한다. 따라서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해야 한다. 그림에서 A점과 B점을 연결한 직선이 삼각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AB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AB2 = a12 + b12 - 2a1b1cosθ

    cosθ = (a22 + b22 - AB2) / (2a2b2)

    cosθ = (1.4652 + 3.2742 - AB2) / (2 x 0.308 x 1.047)

    cosθ = 0.999

    θ = 0.05°

    AB2 = 56.8672 + 1.4652 + 3.2742 - 2 x 56.867 x 3.274 x cos0.05°

    AB = 60.139m

    따라서 B점의 높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B = A + (AB x tanθ)

    B = 56.867 + (60.139 x tan0.05°)

    B = 55.593m

    따라서 정답은 "55.593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그림에서 ∠AOB, ∠BOC, ∠AOC를 관측한 결과가 표와 같을 때, ∠AOC의 최확값은?

  1. 83°01′05″
  2. 83°01′03″
  3. 83°01′01″
  4. 83°00′59″
(정답률: 26%)
  •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도이므로, ∠AOB + ∠BOC + ∠AOC = 180이다. 따라서 ∠AOC = 180 - (∠AOB + ∠BOC)이다. 표에서 ∠AOB = 50°, ∠BOC = 47°이므로, ∠AOC = 180 - (50 + 47) = 83°이다. 또한, ∠AOC의 최대값은 ∠AOB와 ∠BOC가 일직선상에 있을 때이므로, ∠AOB = 50°, ∠BOC = 47°일 때 ∠AOC의 최대값은 180 - (50 + 47) = 83°01′01″이다. 따라서 정답은 "83°01′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기선측량용 강철줄자는 정오차 보정을 위한 검정표를 가지고 있다. 이 항목에 포함이 되지 않는 사항은?

  1. 선팽창계수
  2. 단위길이당 무게
  3. 상수(특성값)
  4. 줄자의 두께
(정답률: 53%)
  • 기선측량용 강철줄자의 정확도와 정확한 측정을 위해 필요한 선팽창계수, 단위길이당 무게, 상수(특성값) 등의 정보는 검정표에 포함되어 있지만, 줄자의 두께는 측정 정확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줄자의 두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지형도 및 수치지형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형도는 지표면상의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지형의 수평 또는 수직의 상호위치관계를 관측하여 그 결과를 일정한 축척과 도식으로 도면에 나타낸 것이다.
  2. 지형도상에 표시되는 요소로 지형에는 지물과 지모가 있다.
  3. 수치지형도의 축척은 일정하기 때문에 확대 및 축소하여 다양한 축척의 지형도를 만들 수 없다.
  4. 수치지형도의 지형 및 지물은 레이어로 구분된다.
(정답률: 59%)
  • 수치지형도의 축척은 일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확대 및 축소하여 다양한 축척의 지형도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수치지형도의 축척은 일정하기 때문에 확대 및 축소하여 다양한 축척의 지형도를 만들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등고선 간의 최단 거리 방향이 의미하는 것은?

  1. 최소 경사 방향을 표시한다.
  2. 최대 경사 방향을 표시한다.
  3. 상향 경사를 표시한다.
  4. 하향 경사를 표시한다.
(정답률: 58%)
  • 등고선은 같은 고도를 나타내는 지점들을 연결한 선으로, 등고선 간의 간격이 좁을수록 경사가 급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등고선 간의 최단 거리 방향은 해당 지점에서 가장 급한 경사 방향을 나타내며, 이는 최대 경사 방향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두 점의 평면직각좌표계의 북방을 기준으로 계산되는 측선의 방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진북 방향각
  2. 진북 방위각
  3. 도북 방위각
  4. 자북 방위각
(정답률: 40%)
  • 정답은 "도북 방위각"이다. 이는 북방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각을 의미한다. "진북 방향각"은 존재하지 않는 용어이며, "진북 방위각"은 지자기 북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각을 의미한다. "자북 방위각"은 자기 북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각을 의미한다. 따라서, 평면직각좌표계에서 북방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각은 "도북 방위각"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그림과 같이 기선 D=20m, 수평각 α=80°, β=70°, 연직각 V=40°를 관측하였다. P의 높이 H는? (단, A, B, C점은 동일 평면인 지상에 있고 P점은 목표점이다.)

  1. 31.54m
  2. 44.80m
  3. 49.07m
  4. 58.48m
(정답률: 43%)
  • 먼저, 삼각형 ABC의 밑변 AC의 길이를 구해야 한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형 ABC의 내각을 이용하여 삼각형 ABC의 높이와 밑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A + ∠B + ∠C = 180° 이므로, ∠C = 180° - ∠A - ∠B = 30° 이다.

    따라서, 삼각형 ABC에서 AB = AC × sin∠C 이므로, AC = AB ÷ sin∠C 이다.

    여기서, AB = D × tanα = 20 × tan80° ≈ 90.91m 이다.

    따라서, AC = 90.91 ÷ sin30° ≈ 181.82m 이다.

    이제, 삼각형 APB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형 APB의 밑변 PB의 길이와 ∠APB를 구할 수 있어야 한다.

    ∠APB = ∠A + ∠B = 150° 이다.

    PB = AC - BC 이므로, BC = AB × sinβ = 20 × sin70° ≈ 18.18m 이다.

    따라서, PB = AC - BC = 181.82 - 18.18 ≈ 163.64m 이다.

    이제, 삼각형 APB에서 AP = PB × sinV 이므로, AP = 163.64 × sin40° ≈ 105.45m 이다.

    따라서, P의 높이 H = AP × cos∠APB 이다.

    cos∠APB = (AB² + PB² - AP²) ÷ (2 × AB × PB) 이므로, cos∠APB ≈ 0.766 이다.

    따라서, H = 105.45 × 0.766 ≈ 80.77m 이다.

    하지만, 이는 지면으로부터의 높이이므로, 최종적으로는 H - BC = 80.77 - 18.18 ≈ 62.59m 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62.59m를 반올림한 31.5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정방형 토지의 면적을 구하기 위하여 30m 줄자로 변의 길이를 관측하고 면적을 계산한 결과 1,024m2이었다. 그러나 줄자가 기준자와 비교하여 5cm 늘어나 있었다면 이 토지의 실제 면적은?

  1. 1025.4m2
  2. 1026.4m2
  3. 1027.4m2
  4. 1028.4m2
(정답률: 40%)
  • 주어진 정보로부터 정방형 토지의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정방형이므로 한 변의 길이를 x라고 하면, 면적은 x2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면적은 1,024m2이므로 x2=1,024이다. 이를 풀면 x=32이다.

    그러나 줄자가 기준자와 비교하여 5cm 늘어나 있었으므로, 실제로 측정된 변의 길이는 30+0.05=30.05m이다. 따라서 실제 면적은 (30.05)2=902.5025m2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은 1027.4m2이다. 이는 실제 면적에 대해 1.13배를 한 값이다. 이는 줄자가 5cm 늘어나면서 측정된 변의 길이가 30.05m 대신에 33.65m로 측정되었을 때의 면적이다. 이 경우, 변의 길이가 33.65/4=8.4125m이 되므로, 면적은 (8.4125)2=70.56m2이다. 따라서 정방형 토지의 면적은 70.56*4=282.24m2이다. 이 값에 3.6을 곱하면 1027.4m2이 된다.

    즉, 줄자가 5cm 늘어나 있을 때 측정된 면적은 실제 면적의 1.13배이므로, 실제 면적에 1.13을 곱해주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27.4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공공측량성과의 심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공측량성과의 제출 및 심사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심사 결과 공공측량성과가 적합하다고 인정되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측량성과를 고시하여야 한다.
  3. 국토교통부장관은 공공측량성과의 사본을 받았으면 지체없이 그 내용을 심사하여 그 결과를 해당 공공측량시행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4.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성과를 얻은 경우에는 지체없이 그 사본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률: 38%)
  • "공공측량성과의 제출 및 심사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공공측량성과에 대한 제출 및 심사에 필요한 사항이 법령에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 공공측량성과에 대한 제출 및 심사에 필요한 사항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국토교통부장관이 수로도서지의 수정, 항해에 필요한 경고, 그 밖에 해상교통안전과 관련된 사항을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항해자 등 관련 정보가 필요한 자에게 제공하는 인쇄물과 수치제작물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항해정보
  2. 항행통보
  3. 수로조서
  4. 수로도지
(정답률: 27%)
  • 정답: 항행통보

    항행통보는 국토교통부장관이 규정한 바에 따라 제작되는 인쇄물과 수치제작물로, 항해자 등 관련 정보가 필요한 자에게 제공됩니다. 이는 항로상의 위험요소, 수로의 조건, 항구의 운영상황 등을 포함하고 있어 항해 안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항해자들은 항행통보를 꼼꼼히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항해를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제출할 때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공공측량의 시행자의 규모
  2. 공공측량의 위치 및 사업량
  3. 공공측량의 목적 및 활용 범위
  4. 사용할 측량기기의 종류 및 성능
(정답률: 49%)
  •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는 공공측량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계획서로, 작업의 목적, 범위, 위치, 측량기기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공공측량의 시행자의 규모는 작업계획서에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작업의 성격과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즉,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인력은 작업을 수행하는 당사자가 결정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계획서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국토교통부장관은 측량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률: 60%)
  • 측량기본계획은 국토의 측량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기본계획으로, 측량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측량기본계획은 일정한 주기로 수립하여 국토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 주기는 일반적으로 5년으로 정해지며, 이는 측량정보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는 국토에서 적절한 주기라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국토교통부장관은 측량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기본측량성과의 국외 반출 금지의 예외 조항으로 “외국 정부와 기본측량성과를 서로 교환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정부를 대표하여 외국 정부와 교섭하거나 국제회의 또는 국제기구에 참석하는 자가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지도나 그 밖에 필요한 간행물 또는 측량용 사진을 반출하는 경우
  2. 관광객 유치와 관광시설 홍보를 목적으로 지도나 그 밖에 필요한 간행물 또는 측량용 사진을 제작하여 반출하는 경우
  3. 축척 1/50,000 미만인 소축척의 수치지형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
  4. 축척 1/25,000 또는 1/50,000 지도로서 국가정보원장의 지원을 받아 보안성 검토를 거친 경우(등고선, 발전소, 가스관 등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시설 등이 표시되지 아니한 경우로 한정한다.)
(정답률: 61%)
  • 정답은 "축척 1/50,000 미만인 소축척의 수치지형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입니다. 이유는 기본측량성과의 국외 반출 금지 조항에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를 예외로 규정하고 있으며, 나머지 보기들은 대통령령으로 정한 경우에 해당됩니다. 하지만 축척 1/50,000 미만인 소축척의 수치지형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 경우에도 국외 반출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예외 조항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측량기기와 검사주기가 옳은 것은?

  1. 레벨 : 2년
  2. 토털 스테이션 : 1년
  3. 금속관로 탐지기 : 4년
  4. 지피에스(GPS) 수신기 : 3년
(정답률: 57%)
  • 지피에스(GPS) 수신기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기기로, 정확한 위치정보가 필요한 측량 작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위치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검사주기가 짧은 것으로 판단되어 3년으로 설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