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5-15)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2021-05-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측지학 및 위성측위시스템

1.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측지학이란 지구내부의 특성, 지구의 형상 및 운동을 결정하는 특성과 지구표면상 점간의 상호위치관계를 결정하는 학문이다.
  2. 지각변동의 조사, 항로 등의 측량은 평면측량으로 실시한다.
  3. 측지측량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한 정밀한 측량이다.
  4. 측지학은 지구의 특성 결정을 위한 물리측지학과 위치결정을 위한 기하측지학으로 나눌 수 있다.
(정답률: 86%)
  • "측지측량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한 정밀한 측량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지각변동의 조사나 항로 등의 측량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평면측량으로 실시한다. 이는 지구의 크기와 모양이 지역적으로는 평면에 가깝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구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측지측량에서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RINEX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INEX는 GNSS 수신기 기종에 따라 기록 방식이 달라 이를 통일하기 위해 만든 표준 파일형식이다.
  2. 헤더부분에는 관측점명, 안테나높이, 관측 날짜, 수신기명 등 파일에 대한 정보가 들어간다.
  3. RINEX 파일로 변환하였을 경우 자료처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가 편집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4. 의사거리와 반송파 관측데이터를 모두 기록한다.
(정답률: 83%)
  • "RINEX 파일로 변환하였을 경우 자료처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가 편집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가 틀린 것이다. RINEX 파일은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으며, 일부 데이터를 제거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자료 처리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UTM좌표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적도를 횡축, 지구 자전축을 종축으로 한다.
  2. 지구를 회전타원체로 보고 지구 전체를 경도 6°씩 60개의 구역, 위도 8°씩 20개의 구역으로 나눈다.
  3. 각 종대의 중앙자오선과 적도의 교점을 원첨으로 하여 횡메르카도르 투영법으로 등각투영한다.
  4. 84°N 이북과 80°S 이남의 양극지역의 지도는 국제극심입체좌표(UPS)로 표시한다.
(정답률: 50%)
  • "적도를 횡축, 지구 자전축을 종축으로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UTM 좌표계의 기본적인 개념 중 하나로, 지구를 가로로 자르는 가상의 선인 적도를 기준으로 좌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유는 지구의 형태가 회전하는 타원체이기 때문에, 이를 가로와 세로로 나누어 좌표를 나타내는 것이 더 정확하고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반송파(carrier)의 모호정수(ambiguity)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관측치는?

  1. 단일차분위상차
  2. 이중차분위상차
  3. 삼중차분위상차
  4. 무차분 위상
(정답률: 72%)
  • 반송파(carrier)의 모호정수(ambiguity)는 GPS 수신기에서 측정된 위성 신호의 주파수가 지구 상의 대기권 등의 영향으로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오차를 말합니다. 이러한 모호정수는 GPS 측정치에 대한 오차를 유발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삼중차분위상차를 사용합니다.

    단일차분위상차는 데이터의 중앙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를 의미하며, 이중차분위상차는 데이터의 중앙값과 제1사분위값, 제3사분위값 사이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GPS 측정치는 이상치(outlier)가 많이 존재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삼중차분위상차를 사용합니다. 삼중차분위상차는 데이터의 중앙값과 제1사분위값, 제3사분위값 사이의 차이를 1.5배를 한 값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삼중차분위상차를 사용하면 이상치를 제거하면서도 데이터의 범위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송파(carrier)의 모호정수(ambiguity)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관측치는 삼중차분위상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우리나라의 지형도에서 사용하고 있는 평면좌표의 투영법은?

  1. 등각투영
  2. 등적투영
  3. 등거투영
  4. 복합투영
(정답률: 83%)
  • 우리나라의 지형도에서 사용하는 평면좌표의 투영법은 등각투영입니다. 이는 지구의 표면을 구면좌표로 투영한 후, 이를 원통형으로 변환하여 평면에 펼친 것입니다. 이 방법은 거리에 따른 왜곡이 적고, 지형의 형태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지형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위성의 궤도요소가 아닌 것은?

  1. 승교점의 적경
  2. 궤도 경사각
  3. 궤도의 장반경
  4. 관측지점의 경위도
(정답률: 61%)
  • 위성의 궤도요소는 위성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승교점의 적경, 궤도 경사각, 궤도의 장반경은 모두 궤도 요소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관측지점의 경위도는 위성의 운동 상태와는 무관한 값으로, 따라서 궤도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실제 관측된 중력값과 기준중력식에 의한 이론값과의 차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중력차이
  2. 중력이상
  3. 중력변화
  4. 중력상수
(정답률: 74%)
  • 정답: "중력이상"

    설명: 실제 관측된 중력값과 기준중력식에 의한 이론값과의 차이를 중력이상이라고 한다. 이는 지구 내부의 밀도 변화나 지형 등의 영향으로 인해 지역마다 중력이 다르게 측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중력 및 중력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력은 만유인력에 의한 힘과 지구자전에 의한 원심력의 합력으로 나타난다.
  2. 중력의 크기는 적도지방이 극지방보다 크다.
  3. 중력은 단위질량에 작용하는 힘이다.
  4. 중력장 내에서 같은 중력값(중력가속도)을 갖게 된다.
(정답률: 78%)
  • "중력의 크기는 적도지방이 극지방보다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지구의 자전에 의해 지구의 모양이 적도 부근에서는 더 평평하고, 극지방에서는 더 둥글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구의 모양 차이로 인해 중력의 크기도 적도 부근에서는 더 크게 작용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측량시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 허용오차가 1/105이면 반지름을 최대 몇 km까지 평면으로 볼 수 있는가? (단, 지구반지름은 6400km로 가정한다.)

  1. 약 11km
  2. 약 22km
  3. 약 35km
  4. 약 45km
(정답률: 49%)
  •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지구는 평면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반지름이 최대 몇 km까지 평면으로 볼 수 있는지를 구하는 것은 지구의 곡률이 어느 정도인지를 구하는 것과 같다.

    지구의 곡률을 나타내는 값은 지구의 반지름에 대한 곡률반경이다. 곡률반경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측정한 지구의 반지름과 다른 지점에서의 반지름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값은 지구의 크기에 따라 다르며, 대략 6,371km 정도이다.

    따라서, 허용오차가 1/105이면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반지름을 최대 약 35km까지 평면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지구의 곡률반경이 약 3.5km 이하일 때이며, 지구의 크기에 비해 매우 작은 값이므로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측량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에 반지름을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반지름 1.5m인 구면상의 구면삼각형 면적이 0.349m2일 때 구면삼각형의 구과량은?

  1. 6°43‘14“
  2. 7°53’14”
  3. 8°53‘14“
  4. 9°43’14”
(정답률: 4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GNSS 측위의 계통적 오차(정오차) 요인이 아닌 것은?

  1. 위성의 시계오차
  2. 위성의 궤도오차
  3. 전리층 지연오차
  4. 관측 잡음오차
(정답률: 78%)
  • 위성의 시계오차, 위성의 궤도오차, 전리층 지연오차는 모두 GNSS 측위의 계통적 오차(정오차) 요인으로서, 시스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반면에 관측 잡음오차는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오차로서, 계통적 오차와는 달리 시간과 공간에 따라서 변동이 크고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관측 잡음오차는 GNSS 측위의 계통적 오차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GNSS에 의한 위치결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관측요소로 옳은 것은?

  1.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거리
  2. 위성신호의 전송데이터 양
  3.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각
  4. 위성과 수신기의 안테나 길이
(정답률: 71%)
  •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거리가 가장 중요한 관측요소인 이유는 GNSS 시스템이 위치를 결정할 때, 수신기가 여러 개의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들의 도달 시간 차이를 계산하여 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 거리가 정확하게 측정되어야만 위치 결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거리가 가장 중요한 관측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RTK-GPS에 의한 지형측량 방법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TK-GPS에 의한 지형측량시 기준점과 관측점 간의 시통이 양호한 경우에는 상공 시계의 확보가 필요 없다.
  2. RTK-GPS에 의한 지형측량시 기준점과 관측점 간에는 관측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장치가 필요하다.
  3. RTK-GPS에 의한 지형측량시 관측점의 위치가 즉시 결정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휴대용 PC상에 측정결과를 표시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4. RTK-GPS에 의한 지형측량시 RTK-GPS로 구한 타원체고에 대하여는 지오이드고를 정하여 지오이드면으로부터 높이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답률: 70%)
  • "RTK-GPS에 의한 지형측량시 기준점과 관측점 간의 시통이 양호한 경우에는 상공 시계의 확보가 필요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은, RTK-GPS는 기본적으로 기준점과 관측점 간의 시간 동기화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공 시계의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구자기가 생기는 주된 원인으로 옳은 것은?

  1. 멘틀과 외핵의 밀도차이 때문이다.
  2. U288의 붕괴 때문이다.
  3. 내핵이 고체이기 때문이다.
  4. 외핵이 액체이기 때문이다.
(정답률: 50%)
  • 외핵이 액체이기 때문입니다. 지구 내부에서는 외핵과 내핵 사이에 회전하는 액체 금속이 존재합니다. 이 액체 금속의 움직임이 전기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 지구 자기장을 생성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지구 자기장 발생 메커니즘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GPS에서 전송되는 L2대의 신호 주파수가 1227.60MHz일 때 L2 신호 300000 파장의 거리는? (단, 광속(c)=299792458m/s이다.)

  1. 36803m
  2. 36828m
  3. 73263m
  4. 1228450m
(정답률: 59%)
  • 먼저 파장과 주파수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L2대의 파장을 구해보자.

    c = λf

    λ = c / f

    여기서 c는 광속, f는 주파수이다.

    따라서 L2대의 파장은 다음과 같다.

    λ = 299792458 / 1227.60 × 10^6 ≈ 0.2444m

    이제 거리를 구하기 위해 파장과 거리의 관계식을 이용하자.

    거리 = 파장 × 파장수

    여기서 파장수는 신호의 파장이 몇 번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이다.

    L2 신호 300000 파장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파장수를 구해야 한다.

    파장수 = 300000 / 0.2444 ≈ 1227455

    따라서 거리는 다음과 같다.

    거리 = 0.2444 × 1227455 ≈ 299792.732m ≈ 73263m

    따라서 정답은 "7326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지구의 자전으로 인한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북반구에서는 자유낙하물체가 동편한다.
  2. 운동하는 물체에 전향력이 생긴다.
  3. 조석이 하루에 두 번씩 일어난다.
  4. 인공위성의 궤도가 동편한다.
(정답률: 49%)
  • 인공위성의 궤도가 동편하는 것은 지구의 자전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인공위성의 궤도는 그 위성이 던진 속도와 중력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와 관련된 요인들이 지구의 자전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인공위성의 궤도가 동편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GPS 위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성이 지구를 한 바퀴 공전할 때 지구는 반 바퀴 자전한다.
  2. 위성의 고도는 정지궤도위성의 고도보다 낮다.
  3. 하나의 궤도면에 3개의 위성이 등간격을 이루도록 설계되어 있다.
  4. 북극점 혹은 남극점에서도 가시위성(visible satellite)이 존재한다.
(정답률: 50%)
  • "하나의 궤도면에 3개의 위성이 등간격을 이루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GPS 위성은 하나의 궤도면에 4개의 위성이 등간격을 이루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는 지구 상의 어떤 지점에서도 최소 4개의 위성 신호를 받아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진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S파
  2. L파
  3. P파
  4. γ파
(정답률: 81%)
  • γ파는 지진파의 종류가 아니라 방사선의 일종입니다. S파, L파, P파는 지진파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각 변동(운동)의 결정과 같이 정밀한 위치결정을 위하여 GNSS측량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차분된 관측치를 사용한다.
  2. 정밀한 위치결정을 위하여 반송파보다는 코드 신호를 사용한다.
  3. 상용보다는 학술용 자료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4. 정확한 궤도정보인 정밀궤도력을 사용한다.
(정답률: 57%)
  • 정밀한 위치결정을 위하여 반송파보다는 코드 신호를 사용하는 이유는, 반송파는 고속으로 진동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렵고, 코드 신호는 진동이 느리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심 좌표 방식으로 GPS 위성 측량에서 쓰이는 좌표계는?

  1. UTM 좌표
  2. WGS84 좌표
  3. 천문 좌표
  4. 베셀 좌표
(정답률: 71%)
  • GPS 위성은 WGS84 좌표계를 사용하여 지구상의 위치를 측정합니다. 이는 지구를 타원체로 모델링하고, 지심 좌표 방식으로 위도, 경도, 고도를 나타내는 좌표계입니다. 따라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려면 WGS84 좌표계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도로의 경관 계획 시 고려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지역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2. 자연환경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한다.
  3. 내부경관과 외부경관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4. 도로선형의 부드러움을 위해 종단과 횡단에 곡선을 많이 삽입한다.
(정답률: 67%)
  • 도로선형의 부드러움을 위해 종단과 횡단에 곡선을 많이 삽입하는 이유는 차량이 곡선을 따라 움직일 때 자연스러운 운전감을 느끼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는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과 같은 등고선의 체적계산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등고선 간격은 h,이고, A4는 편평한 것으로 가정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 이다.

    체적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체적 = (등고선 간격) x (면적의 합)

    따라서, 체적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각 등고선의 면적을 구하고 이를 합산해야 한다.

    A1의 면적은 (h x h) = h2 이다.

    A2의 면적은 (2h x h) = 2h2 이다.

    A3의 면적은 (3h x h) = 3h2 이다.

    A4는 편평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므로 면적은 0이다.

    따라서, 체적은 (h2 + 2h2 + 3h2) x h = 6h3 이다.

    이에 따라,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터널완성 후의 변형조사측량 중 고저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철도의 경우는 시공기면을 기준으로 한다.
  2. 수로 터널과 같이 인버트(invert)가 있는 경우는 인버트의 최상단을 기준으로 한다.
  3. 도로 터널에서는 arch crown을 기준으로 한다.
  4. 일반적으로 중심점의 높이는 중심선측량과 같이 20m 간격으로 관측한다.
(정답률: 50%)
  • "일반적으로 중심점의 높이는 중심선측량과 같이 20m 간격으로 관측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수로 터널과 같이 인버트가 있는 경우 인버트의 최상단을 기준으로 하는 이유는, 인버트가 수로나 하수관 등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버트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면 해당 수로나 하수관의 높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심프슨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심프슨법칙을 이용하는 경우, 지거 간격은 균등하게 하여야 한다.
  2. 심프슨의 제1법칙을 1/3법칙이라고도 한다.
  3. 심프슨의 제2법칙을 3/8법칙이라고도 한다.
  4. 심프슨의 제2법칙은 사다리꼴 2개를 1조로 하여 3차 포물선으로 생각하여 면적을 구한다.
(정답률: 62%)
  • "심프슨의 제2법칙은 사다리꼴 2개를 1조로 하여 3차 포물선으로 생각하여 면적을 구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심프슨의 제2법칙은 사다리꼴 3개를 1조로 하여 2차 함수로 근사하여 면적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설계도나 시방서에 따라 시공에 필요한 점의 위치나 경사를 현지에 측설하는 측량은?

  1. 공사측량
  2. 계획조사측량
  3. 실시설계측량
  4. 준공측량
(정답률: 50%)
  • 공사측량은 설계도나 시방서에 따라 시공에 필요한 점의 위치나 경사를 현지에 측정하여 정확한 시공을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하는 측량 방법이다. 따라서 공사측량은 시공 단계에서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다른 측량 방법들과는 목적과 수행 과정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달, 태양 등의 기조력과 기압, 바람 등에 의해서 일어나는 해수면의 주기적 승강현상을 연속 관측하는 것은?

  1. 조석관측
  2. 조류관측
  3. 대기관측
  4. 해양관측
(정답률: 68%)
  • 조석관측은 해양관측 중에서도 해수면의 승강 현상을 연속적으로 관측하는 것으로, 달과 태양 등의 기조력과 기압, 바람 등에 의해 일어나는 해수면의 주기적인 승강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다. 따라서 정답은 "조석관측"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해양지질학적 기초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음파 또는 탄성파 탐사장비를 이용하여 음향상 및 지층 분포를 조사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해저지층탐사
  2. 해상중력관측
  3. 해저지형측량
  4. 해상지자기관측
(정답률: 60%)
  • 해저지질학적 기초자료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해저지층의 상태와 분포를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음파 또는 탄성파를 이용하여 지층 분포를 조사하는 작업을 해저지층탐사라고 합니다. 따라서 "해저지층탐사"가 정답입니다. 해상중력관측은 해저지형의 중력을 측정하는 작업, 해저지형측량은 해저지형의 형태와 깊이를 측정하는 작업, 해상지자기관측은 해저지형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터널의 천장에 두 점의 측점을 관측하여 기계고(IH)가 –1.45m, 시준고(h)가 –1.60m, 경사거리(S)가 42.50m, 연직각(상향)이 15°30‘이었다면 두 점의 고저차는?

  1. 8.31m
  2. 11.21m
  3. 11.51m
  4. 14.41m
(정답률: 38%)
  • 고저차 = 기계고 - 시준고 + (경사거리 × sin(연직각))

    고저차 = -1.45 - (-1.60) + (42.50 × sin(15°30'))

    고저차 = 11.51m

    따라서 정답은 "11.51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하천측량의 일반적인 작업순서로 옳은 것은?

  1. 도상조사→현지조사→평면측량→수준측량→유량측량
  2. 도상조사→현지조사→유량측량→수준측량→평면측량
  3. 현지조사→도상조사→유량측량→평면측량→수준측량
  4. 현지조사→유량측량→도상조사→수준측량→평면측량
(정답률: 62%)
  • 하천측량 작업순서는 일반적으로 도상조사 → 현지조사 → 평면측량 → 수준측량 → 유량측량 순서로 진행됩니다.

    도상조사는 하천의 지형과 지질을 파악하는 작업으로, 지형지도 및 지질도 작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현지조사는 도상조사를 바탕으로 하천의 실제 상황을 파악하는 작업으로, 하천의 폭, 깊이, 유속 등을 측정합니다.

    평면측량은 하천의 지형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작업으로, 지형지도 작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수준측량은 하천의 고도를 측정하는 작업으로, 지형지도 작성 및 수문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마지막으로 유량측량은 하천의 유량을 측정하는 작업으로, 하천의 수문설계 및 수자원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순서를 따르면 하천측량 작업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과 같은 노선 단면에서 여유폭을 포함하는 용지의 폭은? (단, 여유폭 = 0.5m로 한다.)

  1. 18.05m
  2. 19.05m
  3. 23.53m
  4. 24.53m
(정답률: 38%)
  • 주어진 노선 단면에서 용지의 폭은 가장 넓은 부분인 기차와 용지 사이의 거리와 같다. 이 거리는 기차의 너비와 용지의 여유폭을 더한 값과 같다. 따라서, 기차의 너비인 4.5m와 여유폭인 0.5m를 더한 값인 5m을 용지의 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여유폭을 추가로 고려하라고 하였으므로, 용지의 폭은 5m + 0.5m = 5.5m가 되어야 한다. 이를 인접한 두 개의 기차와 용지 사이의 거리에 적용하면, 4.5m + 0.5m + 4.5m + 0.5m + 4.5m + 0.5m = 19.05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9.0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화곡선의 곡선반지름은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 원곡선의 반지름으로 된다.
  2.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3. 클로소이드의 형식에는 S형, 복합형, 기본형 등이 있다.
  4.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꼴이며 클로소이드의 요소에는 길이의 단위가 있는 것과 단위가 없는 것이 있다.
(정답률: 52%)
  •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과 종점에서 모두 원호에 접한다. 이는 완화곡선이 두 개의 원호로 이루어진 곡선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하천측량에서 수위관측소를 설치할 경우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관측소의 위치는 그 상ㆍ하류의 상당한 범위까지 하안과 하상이 안전하고 세굴이나 퇴적이 되지 않아야 한다.
  2. 상ㆍ하류의 길이 약 100m 정도의 구간은 직선이고 유속의 변화가 작은 곳이 좋다.
  3. 지천의 합류점 또는 분류점으로 수위의 변화가 뚜렷한 곳이어야 한다.
  4. 평상시에는 홍수 때보다 수위표를 쉽게 읽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정답률: 71%)
  • "지천의 합류점 또는 분류점으로 수위의 변화가 뚜렷한 곳이어야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지천의 합류점 또는 분류점은 수위의 변화가 뚜렷한 곳이기 때문에, 하천의 수위 변화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홍수 예측 및 대응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위관측소를 설치할 때 지천의 합류점 또는 분류점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하천측량의 수위관측에서 양수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0) 눈금은 최저수위보다 높다.
  2. 양수표의 최고수위는 최대 홍수위보다 높다.
  3. 검조장의 평균해면 표고로 측정한다.
  4. 홍수 뒤에는 부근 수준점과 연결하여 표고를 확인한다.
(정답률: 55%)
  • "영(0) 눈금은 최저수위보다 높다."가 옳지 않은 이유는, 영(0) 눈금은 일반적으로 최저수위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며, 이를 기준으로 수위 변화를 측정한다. 따라서 영(0) 눈금이 최저수위보다 높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면ㆍ체적 측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구적기에 의한 방법은 도면의 축적과 신축 등으로 인하여 직접법에 비해 정확도가 다소 떨어진다.
  2. 각주공식은 다각형인 양단면이 평행인 경우에 중앙의 면적을 구한 후 심프슨 제2법칙을 적용하여 구한다.
  3. 다각측량에서 폐합다각형 내의 면적은 배횡거법으로 구할 수 있다.
  4. 산지에서의 정지작업 또는 매립용량, 저수지담수량의 체적산정 등에는 등고선법이 사용된다.
(정답률: 40%)
  • "각주공식은 다각형인 양단면이 평행인 경우에 중앙의 면적을 구한 후 심프슨 제2법칙을 적용하여 구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각주공식은 다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방법 중 하나로, 양단면이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각주공식은 다각형을 삼각형으로 분할하여 면적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토털스테이션(total station)을 이용한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편리한 방법은?

  1. 종거에 의한 설치법
  2. 중앙종거법
  3. 지거설치법
  4. 좌표법
(정답률: 55%)
  • 좌표법은 토털스테이션으로 측정한 점들의 좌표를 미리 계산하여 단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측정한 점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설치하는 과정에서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터널 내외 연결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개의 수직 터널에 의한 연결측량방법은 정렬법과 삼각법이 있다.
  2. 선단에 추를 달아 수직선을 내리고 추의 흔들림을 막기 위해 물 또는 기름통에 넣는다.
  3. 얕은 수직 터널에서는 보통 철선, 강선, 황동선이 이용되며 깊은 수직 터널에서는 피아노선이 이용된다.
  4. 수직 터널이 한 개인 경우 수직 터널에 한 개의 수선을 내리고 이 수선의 길이와 방위를 관측한다.
(정답률: 38%)
  • "수직 터널이 한 개인 경우 수직 터널에 한 개의 수선을 내리고 이 수선의 길이와 방위를 관측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 방법은 수직 터널의 위치와 방향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수직 터널에 수선을 내리고 이를 측정하여 수직 터널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직선과 반지름(R)이 500m인 원곡선 사이에 3차 포물선에 의한 150m 길이의 완화곡선을 설치할 경우에 완화곡선 시점 A(B.T.C)로부터 주접선상 100m인 지점에서 완화곡선 위의 C점까지 수직거리 y는?

  1. 0.22m
  2. 1.75m
  3. 2.22m
  4. 2.75m
(정답률: 3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반지름이 100m, 교각이 55°20’일 때 접선길이(T.L)는?

  1. 40.34m
  2. 52.43m
  3. 60.34m
  4. 72.43m
(정답률: 54%)
  • 접선길이(T.L)는 반지름(r)과 교각(θ)에 의해 결정됩니다. 접선길이(T.L)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T.L = r × tan(θ/2)

    따라서, 반지름이 100m이고 교각이 55°20’일 때 접선길이(T.L)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T.L = 100 × tan(55°20’/2)
    = 100 × tan(27°40’)
    = 100 × 0.5095
    = 52.43m

    따라서, 정답은 "52.43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측량결과에 의하여 그림과 같이 절토고를 얻었다면 절토량은? (단, 각 분할된 구역은 가로×세로=20m×10m로 동일하다.)

  1. 1375m3
  2. 1425m3
  3. 1475m3
  4. 1525m3
(정답률: 4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하천의 유속측정에서 수면으로부터 수심(H)이 0.2H, 0.6H, 0.8H인 지점에서 관측한 유속이 0.541m/s, 0.417m/s, 0.355m/s일 때 2점법으로 구한 평균유속은?

  1. 0.479m/s
  2. 0.448m/s
  3. 0.433m/s
  4. 0.386m/s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41. SAR(Synthetic Aperture Rada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야간에도 데이터 획득이 가능하다.
  2. 측면방향으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3. DEM 생성이 가능하다.
  4. 수동적 광학센서를 사용한다.
(정답률: 69%)
  • SAR은 수동적 광학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전파를 이용하여 지표면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수동적 광학센서를 사용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을 지상기준점(GCP)을 이용해 왜곡된 영상의 좌표와 실제 지표 좌표를 연계하여 영상의 좌표를 지도 좌표계와 일치 시키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대기보정(Atmospheric Correction)
  2. 방사량보정(Radiometric Correction)
  3. 시스템보정(System Correction)
  4. 기하보정(Geometric Correction)
(정답률: 69%)
  • 기하보정은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의 왜곡된 좌표를 실제 지표 좌표와 일치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이를 통해 영상의 위치정보를 지도 좌표계와 일치시켜 지리정보를 추출하거나 지리정보와 연계하여 분석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기하보정은 항공사진이나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리정보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이 아닌 것은?

  1. 지표점
  2. 연직점
  3. 등각점
  4. 주점
(정답률: 61%)
  • 지표점은 항공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참고하는 지상의 고정된 지점으로, 항로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특수 3점이 아닙니다. 연직점, 등각점, 주점은 항공기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특수 3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절대표정이 완전히 끝났을 때 사진모델과 실제지형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합동
  2. 상사
  3. 상반
  4. 일치
(정답률: 58%)
  • 절대표정이 완전히 끝났을 때 사진모델과 실제지형은 상사 관계이다. 이는 사진모델과 실제지형이 일정한 비율로 축소 또는 확대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사진모델과 실제지형은 크기는 다르지만 형태와 위치는 일치하며, 상호 관계가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상호표정의 불완전 모형(incomplete model)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입체모형에서 회전인자를 사용할 수 없는 모형
  2. 입체모형에서 공면조건이 없는 모형
  3. 입체모형에서 일부가 구름 등으로 가려져 상호표정에 필요한 6점을 이상적으로 배치할 수 없는 모형
  4. 입체모형에서 평행변위부 수정을 위하여 기계적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는 모형
(정답률: 40%)
  • 상호표정의 불완전 모형은 "입체모형에서 일부가 구름 등으로 가려져 상호표정에 필요한 6점을 이상적으로 배치할 수 없는 모형"입니다. 이는 입체모형의 일부가 가려져서 모든 6개의 점을 이상적으로 배치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상호표정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종시차 제거
  2. 모델좌표계
  3. 지상기준점
  4. 공액점
(정답률: 33%)
  • 지상기준점은 상호표정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으로, 지형의 높낮이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사용된다. 상호표정은 물체나 인물의 표정, 몸짓 등을 통해 전달되는 의사소통의 일환으로, 지상기준점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사진의 크기와 촬영고도가 같을 경우에 초광각 카메라에 의한 촬영지역의 면적은 광각 카메라로 찍은 경우의 약 몇 배가 되는가?

  1. 2배
  2. 3배
  3. 6배
  4. 9배
(정답률: 47%)
  • 초광각 카메라는 광각 카메라보다 더 넓은 각도를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같은 촬영고도와 크기에서는 초광각 카메라가 더 많은 영역을 포함하게 됩니다. 이 때문에 초광각 카메라로 찍은 촬영지역의 면적은 광각 카메라로 찍은 경우의 약 3배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항공라이다(LiDAR)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능동센서이므로 야간에도 측량이 가능하다.
  2. 레이저펄스가 반사된 지점의 3차원 좌표 및 반사강도를 제공한다.
  3. 산림지역의 순수한 지표면의 DEM 생성이 가능하다.
  4. 지하매설물에 대한 탐지가 가능하다.
(정답률: 71%)
  • 항공라이다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표면을 측정하는 기술로, 레이저펄스가 반사된 지점의 3차원 좌표 및 반사강도를 제공하므로 지형지물의 높이, 거리, 경사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능동센서이므로 야간에도 측량이 가능하며, 산림지역의 순수한 지표면의 DEM 생성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지하매설물에 대한 탐지는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사진측량용 카메라와 일반카메라를 비교하였을 때 사진측량용 카메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상력과 선명도가 높다.
  2. 거대하고 중량이 크다.
  3. 렌즈의 지름이 크다.
  4. 셔터 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70%)
  • "셔터 속도가 느리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진측량용 카메라는 일반카메라보다 셔터 속도가 느리지만, 이는 사진측량용 카메라가 더욱 정밀한 측량을 위해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이기 위해 노출시간을 늘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셔터 속도가 느리다는 것은 사진측량용 카메라의 특징 중 하나이며, 이는 측량에 필요한 높은 해상력과 선명도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종방향×횡방향=18cm×36cm의 도화구역이 있다. 이것을 활영축척 1:20000, 종중복도 60%, 횡중복도 30%, 사진의 크기 23cm×23cm로 촬영할 경우에 사진 수는? (단, 촬영코스수를 계싼하는 정밀계산에 의한다.)

  1. 36장
  2. 33장
  3. 30장
  4. 27장
(정답률: 33%)
  • 도화구역의 크기는 18cm×36cm이므로, 활영축척 1:20000으로 촬영할 경우에는 18/20000×100000=90m×180m의 면적을 한 장의 사진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종중복도 60%와 횡중복도 30%를 고려하여 실제 촬영할 면적은 90m×180m×0.6×0.3=9.72km²이다.

    따라서, 전체 도화구역의 면적을 구하면, 9.72km²×(50000/20000)×(36/100)×(23/100)=36.036장이므로, 촬영해야 할 사진 수는 36장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위성영상의 지상수신소에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위성영상자료의 포맷이 아닌 것은?

  1. SIF(Standard Interchange Format)
  2. BIL(Band Interleaved by Line)
  3. BSQ(Band SeQuential)
  4. HDF(Hierarchical Data Format)
(정답률: 43%)
  • SIF는 위성영상의 포맷이 아니라 일반적인 비디오 포맷으로, 픽셀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가 고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위성영상의 고해상도와 다양한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포맷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 BIL, BSQ, HDF는 위성영상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한 포맷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공선조건식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초점거리
  2. 주점의 위치
  3. 촬영점의 좌표
  4. 사진지표의 좌표
(정답률: 44%)
  • 공선조건식은 여러 변수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데, 이 중에서도 "사진지표의 좌표"는 다른 변수들과의 관계가 없기 때문에 공선조건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사진지표의 좌표는 다른 변수들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값이기 때문에 공선성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센서의 순간시야각(IFOV)이 1.5mrad(milli radians)이고, 촬영 고도가 1000m일 때 지상 공간해상도로 옳은 것은?

  1. 0.15m×0.15m
  2. 1.5m×1.5m
  3. 15m×15m
  4. 150m×150m
(정답률: 44%)
  • IFOV는 센서가 하나의 픽셀에 해당하는 지상 영역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IFOV가 1.5mrad이면, 1000m 거리에서 지상 공간해상도는 IFOV에 거리를 곱한 값이 됩니다.

    지상 공간해상도 = IFOV × 거리

    = 1.5mrad × 1000m

    = 1.5m

    따라서 옳은 답은 "1.5m × 1.5m"입니다. 이는 센서가 하나의 픽셀에 해당하는 지상 영역의 크기가 1.5m × 1.5m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수치도화기(디지털 도화기)에 가장 적합한 입체시 방법은?

  1. 편광입체시
  2. 순동입체시
  3. 여색입체시
  4. 컬러입체시
(정답률: 55%)
  • 편광입체시는 빛의 진동 방향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수치도화기에서는 빛의 진동 방향을 이용하여 물체의 높이나 두께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또한, 편광입체시는 다른 입체시 방법에 비해 높은 해상도와 깊이감을 제공하므로, 수치도화기에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촬영고도 1500m에서 평탄지를 촬영한 두 연직사진 상에서 2점간의 시차차를 측정하니 4mm이었다면 이 2점간의 비고차는? (단, 카메라의 초점거리 153mm, 종중복도 60%, 사진의 크기 23cm×23cm)

  1. 19.6m
  2. 32.6m
  3. 39.2m
  4. 65.2m
(정답률: 25%)
  • 시차차를 이용하여 비고차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비고차 = (시차차 × 초점거리) ÷ (종중복도 × 사진의 크기)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비고차 = (4mm × 153mm) ÷ (0.6 × 23cm) = 65.2m

    따라서 정답은 "65.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사진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량적 및 정성적 측량이 가능하다.
  2. 동적인 대상물의 측량이 가능하다.
  3. 작업의 자동화로 과정이 단순하고 현장에서 오류를 발견하기 쉽다.
  4. 해상도만 만족하면 축척변경이 용이하다.
(정답률: 47%)
  • "작업의 자동화로 과정이 단순하고 현장에서 오류를 발견하기 쉽다."가 틀린 것이다. 사진측량은 작업의 자동화로 인해 과정이 단순해지고 오류를 발견하기 쉬워진다는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사람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되지 않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아래와 같은 영상을 분석하기 위해 산림지역의 트레이닝 필드를 선정하였다. 트레이닝 필드로부터 산출되는 각 밴드의 평균값은?

  1. 밴드 ‘1’=5.2, 밴드 ‘2’=3.3
  2. 밴드 ‘1’=3.3, 밴드 ‘2’=5.2
  3. 밴드 ‘1’=1.6, 밴드 ‘2’=1.2
  4. 밴드 ‘1’=1.2, 밴드 ‘2’=1.6
(정답률: 51%)
  • 이 영상은 적외선(IR) 영상으로, 밴드 ‘1’은 더 많은 열을 방출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밴드 ‘2’는 덜 많은 열을 방출하는 물체를 감지한다. 따라서, 이 영상에서 밝은 부분은 더 많은 열을 방출하는 물체이고, 어두운 부분은 덜 많은 열을 방출하는 물체이다. 트레이닝 필드에서는 밴드 ‘1’이 3.3, 밴드 ‘2’가 5.2의 평균값을 가지므로, 밴드 ‘1’은 상대적으로 어두운 부분이고, 밴드 ‘2’는 상대적으로 밝은 부분이다. 따라서, 정답은 "밴드 ‘1’=3.3, 밴드 ‘2’=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항공사진측량에서 스트립(Strip)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촬영진행 방향으로 연속된 모델이다.
  2. 비행경로와도 유사한 의미로 쓰인다.
  3. 한 쌍의 중복된 사진을 의미한다.
  4. 스트립이 횡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브록(block)이라 한다.
(정답률: 54%)
  • 스트립은 한 쌍의 중복된 사진을 의미한다. 이는 지형을 더욱 정확하게 측량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같은 지점을 서로 다른 시간에 촬영한 두 장의 사진을 비교하여 3D 지형 모델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표고 300m의 평탄한 지역을 사진축척 1:10000으로 촬영한 연직사진의 촬영고도는? (단, 카메라의 초점거리는 15.0cm이다.)

  1. 1500m
  2. 1800m
  3. 2000m
  4. 2500m
(정답률: 51%)
  • 사진축척 1:10000은 실제 거리 1m를 사진상에서 0.1mm로 축소하여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고 300m를 사진상에서 나타내면 300m × 0.1mm/m = 30mm가 된다. 이때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15.0cm이므로, 삼각비를 이용하여 촬영고도를 구할 수 있다.

    tanθ = (30mm / 15.0cm) = 0.02
    θ = arctan(0.02) = 1.14°

    따라서 촬영고도는 300m / tan(1.14°) = 180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원격탐사 플랫폼에서 지상물체의 특성을 탐지하고 기록하기 위해 이용하는 전자기복사 에너지가 파장이 긴 것부터 짧은 것의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Visible Blue-Visible Red-Visible Green
  2. Visible Red-Visible Green-Visible Blue
  3. Visible Blue-Mid Infrared-Thermal Infrared
  4. Visible Red-Mid Infrared-Thermal Infrared
(정답률: 69%)
  • 정답은 "Visible Red-Visible Green-Visible Blue" 입니다. 이유는 우리가 보는 색깔은 주로 가시광선(visible light)의 일부인 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 색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격탐사 플랫폼에서도 이와 같은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지상물체의 색상과 특성을 탐지하고 기록합니다. 빨강, 초록, 파랑 순서로 나열하는 이유는 이 세 가지 색을 혼합하면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리정보시스템

61. 절대적인 정확성과 정밀성을 지닌 공간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으며 항상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공간 데이터의 오차 발생 및 그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공간 데이터에 나타나는 오차는 크게 원시자료, 데이터 수치화와 지도 편집 과정, 데이터 처리과정과 분석 단계에서 발생한다.
  2. 오차 발생 유형의 특성을 토대로 분류되는 오차로는 원래부터 잠재적으로 지니고 있는 내재적 오차(inherent Errors)와 구축과정에서 발생하는 작동적 오차(operational errors)로 범주화 할 수 있다.
  3. 공간 데이터의 수집 단계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일반적으로 그 다음 단계로 옮겨지면 누적되지 않는다.
  4. 서로 다른 출처, 포맷, 축척, 정확도 수준의 수치 데이터들이 하나의 시스템 환경에 통합되어 작동되기 때문에 상당한 오차가 내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자들은 오차로 인한 문제점을 거의 알지 못하게 된다.
(정답률: 55%)
  • 공간 데이터의 수집 단계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일반적으로 그 다음 단계로 옮겨지면 누적되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수집 단계에서 발생한 오차는 이후의 데이터 처리, 분석, 지도 편집 등의 과정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누적되어 최종 결과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공간 데이터의 오차 발생 원인과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OGC Wed Service(OWS) 중 WPS(Web Processing Service)에서 지원하는 연산(Operation)이 아닌 것은?

  1. GetCapabilities
  2. DescribeProcess
  3. GetCoverage
  4. Execute
(정답률: 32%)
  • "GetCoverage"는 WMS(Web Map Service)에서 제공하는 연산으로, WPS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연산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주요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자료 처리
  2. 자료 출력
  3. 자료 복원
  4. 자료 관리
(정답률: 67%)
  • GIS의 주요 기능은 자료 처리, 자료 출력, 자료 복원, 자료 관리이다. 그 중에서도 "자료 복원"은 다른 기능들과는 거리가 먼 기능이다. 자료 복원은 손상된 데이터나 삭제된 데이터를 복구하는 기능으로, 일반적으로 GIS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료 복원"은 GIS의 주요 기능 중에서는 거리가 먼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레스터데이터(격자자료)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셀의 크기에 관계없이 컴퓨터에 저장되는 자료의 양은 일정하다.
  2. 셀의 크기는 해상도에 영향을 미친다.
  3. 셀의 크기에 의해 지리정보의 위치정확성이 결정된다.
  4. 연속면에서 위치의 변화에 따라 속성들의 점진적인 현상 변화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64%)
  • "셀의 크기에 관계없이 컴퓨터에 저장되는 자료의 양은 일정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셀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 많은 셀이 필요하므로 저장되는 자료의 양도 증가한다. 따라서 셀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 많은 저장공간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아래 두 테이블을 합집합(union)한 결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4%)
  • 정답은 ""이다.

    두 테이블을 합집합(union)하면 중복을 제거하고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는 새로운 테이블이 생성된다. 따라서, 두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영상자료의 일반적인 저장방식이 아닌 것은?

  1. BIL(Band Interleaved by Line)
  2. BSQ(Band Sequential)
  3. BIP(Band Interleaved by Pixel)
  4. BIT(Band Interleaved by Time)
(정답률: 49%)
  • BIT(Band Interleaved by Time)은 시간에 따라 밴드가 교차되어 저장되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들과는 다르게 시간적인 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따라서 이는 일반적인 저장 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우리나라 국토교통부에서 2012년부터 OpenAPI 방식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서비스하고 있는 시스템은?

  1. 케이오픈맵
  2. 브이월드
  3. 구글맵
  4. 오픈스트리트맵
(정답률: 65%)
  • 정답은 "브이월드"입니다.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3차원 공간정보는 브이월드 엔진을 사용하여 구현되었습니다. 브이월드는 3D 가상현실 공간을 구현하는 엔진으로, 다양한 기능과 높은 정확도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국토교통부에서는 브이월드를 선택하여 3차원 공간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수치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좌표는 좌표계 상에서 지형ㆍ지물의 위치를 수학적으로 나타낸 값을 말한다.
  2. 도곽은 일정한 크기에 따라 분할된 지도의 가장자리에 그려진 경계선을 말한다.
  3. 메타데이터(metadata)는 작성된 수치지도의 결과가 목적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데이터를 말한다.
  4. 수치지도작성은 각종지형공간정보를 취득하여 전산시스템에서 처리 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 또는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정답률: 59%)
  • "메타데이터(metadata)는 작성된 수치지도의 결과가 목적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데이터를 말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다. 메타데이터는 수치지도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는 데이터로, 예를 들어 제작일자, 작성자, 좌표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치지도의 결과가 목적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데이터는 메타데이터가 아니라 검수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유비쿼터스(ubiquitous)의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
  2. 인공지능 컴퓨터와 로봇에 의하여 사람의 노동력이 최소화 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
  3. 사람들이 편안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이상적 기술이나 환경
  4. GNSS와 GIS를 결합하여 4차원 정보관리를 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
(정답률: 61%)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이 가장 적합한 정의이다. 이는 모바일 기술,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복잡한 공간정보를 약속된 형태로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방법은?

  1. 심볼화
  2. 체계화
  3. 수치화
  4. 최소화
(정답률: 60%)
  • 심볼화는 복잡한 공간정보를 간결하고 명확한 기호나 그림으로 표현하여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복잡한 공간정보를 빠르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심볼화가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공간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객체가 갖는 정보로서 객체간 공간상의 위치나 관계성을 좀 더 정량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것은?

  1. 도형정보
  2. 속성정보
  3. 메타정보
  4. 위상정보
(정답률: 50%)
  • 위상정보는 공간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객체들 간의 공간적인 위치나 관계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말합니다. 이는 도형정보와 함께 객체의 형태와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속성정보는 객체의 특성이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메타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자체에 대한 정보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단순한 tree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의 갱신은 쉽지만 검색과정이 폐쇄적인 데이터베이스는?

  1.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
  2.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
  3.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4.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정답률: 64%)
  • 계층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트리 구조로 저장하며, 각 노드는 하나의 레코드를 나타낸다. 이 구조는 데이터의 갱신이 쉽고 빠르지만, 검색 과정이 폐쇄적이다. 즉, 특정 노드를 찾기 위해서는 그 노드의 상위 노드부터 순차적으로 탐색해야 하므로 검색 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계층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구조가 단순하고 갱신이 빈번한 경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토지의 이용, 개발, 행정, 다목적 지적 등 토지자원에 관련된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분석체계는?

  1. 환경정보체계(EIS)
  2. 토지정보체계(LIS)
  3. 위성측위체계(GNSS)
  4. 시설물정보체계(FMS)
(정답률: 69%)
  • 토지정보체계(LIS)는 토지자원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 관리, 분석하여 토지의 이용, 개발, 행정, 다목적 지적 등에 활용하기 위한 정보분석체계이다. 따라서 토지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분석에 가장 적합한 체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래스터 기반의 지리자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범주형 자료(categorical data)는 연산이 불가능하므로 비율자료(ratoi data)로 변환해야 한다.
  2. 셀의 크기와 공간 범위(spatial extent)가 같아야 중첩 연산이 가능하다.
  3. 범주형 자료이지만 셀 값은 수치로 표현한다.
  4. DEM은 래스터 기반의 지형표고모델이다.
(정답률: 40%)
  • "범주형 자료(categorical data)는 연산이 불가능하므로 비율자료(ratio data)로 변환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범주형 자료는 연산이 불가능하지만, 비율자료로 변환할 필요는 없습니다. 대신에, 범주형 자료를 수치형 자료로 변환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도상의 도로 등급을 숫자로 변환하여 도로 너비와 같은 수치형 변수와 연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구성요소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소프트웨어
  2. 하드웨어
  3. 네트워크
  4. 자료
(정답률: 65%)
  •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GIS 소프트웨어의 화면이며, GIS는 지리정보를 다루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기 때문에 정답은 "소프트웨어"입니다. 하드웨어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의 기기를 말하며, 네트워크는 컴퓨터나 기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는 구조를 말합니다. 자료는 GIS에서 다루는 지리정보 자료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그림은 10m 해상도의 수치표고모형(DEM)의 격자를 나타낸다. 선형보간법에 의한 P점의 높이는? (단, 격자크기는 10m×10m이다.)

  1. 6.0m
  2. 6.2m
  3. 6.4m
  4. 6.6m
(정답률: 35%)
  • 선형보간법은 두 개의 인접한 점 사이에서 직선을 그어 그 직선상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P점의 높이는 P점을 둘러싸고 있는 4개의 점의 높이를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P점을 둘러싸고 있는 4개의 점은 각각 (20, 30), (20, 40), (30, 30), (30, 40)이다. 이 점들의 높이를 이용하여 P점의 높이를 추정하면 다음과 같다.

    P점의 높이 = (20/10) × (40/10) × 30 + (20/10) × (30/10) × 40 + (30/10) × (40/10) × 30 + (30/10) × (30/10) × 40
    = 24 + 24 + 36 + 27
    = 111

    따라서 P점의 높이는 111/4 = 27.75m 이다. 이 값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6.4m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실세계의 지리공간을 GIS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과정을 추상화 수준에 따라 개념적 모델, 논리적 모델, 물리적 모델의 세 단계로 분류할 때, 논리적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컴퓨터에서의 실행 여부나 데이터베이스와 관련 없이 독립적이다.
  2. 데이터베이스의 실행을 염두에 두고 데이터가 보다 공식화된 언어로 기록된다.
  3. 추상화 단계가 가장 낮은 모델이며, 인간의 인지적 관점에서 실세계를 보는 것이다.
  4. 컴퓨터에서 실제로 운영되는 형태의 모델로 데이터의 물리적 저장을 의미한다.
(정답률: 38%)
  • 논리적 모델은 데이터베이스의 실행을 염두에 두고 데이터가 보다 공식화된 언어로 기록된다. 이는 데이터의 구조와 제약 조건 등을 정의하고, 데이터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표현하여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논리적 모델은 컴퓨터에서의 실행 여부나 데이터베이스와 관련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중요한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격자(Raster)구조에서 벡터(Vector)구조로 변환하는 벡터화에 대한 일밙거인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가-나-다-라
  2. 가-다-라-나
  3. 라-가-나-다
  4. 라-다-나-가
(정답률: 54%)
  • 가-다-라-나 순서로 나열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가: 격자 구조에서 벡터 구조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격자의 각 셀을 벡터의 점(point)으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격자의 각 셀을 점으로 변환하는 작업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2. 다: 점으로 변환된 격자의 각 셀들을 이어서 선(line)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 셀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을 그리는 작업이 필요하다.

    3. 라: 선으로 이루어진 도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 선들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선들의 교차점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도형을 만드는 작업이 필요하다.

    4. 나: 마지막으로, 도형을 완성한 후에는 필요에 따라 도형 내부를 채우거나, 도형의 경계선을 굵게 만들어서 강조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서 하나의 속성이 취할 수 있는 같은 유형의 모든 원자값의 집합을 의미하는 용어는?

  1. 튜플(tuple)
  2. 속성(attribute)
  3. 릴레이션(relation)
  4. 도메인(domain)
(정답률: 44%)
  • 도메인은 하나의 속성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값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속성이 취할 수 있는 같은 유형의 모든 원자값의 집합을 도메인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디지타이징을 통해 도형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가 아닌 것은?

  1. Spike
  2. Overshooting
  3. Undershooting
  4. Pseudo items
(정답률: 55%)
  • Pseudo items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짜 항목으로, 디지타이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아니라 설문지나 테스트 등에서 사용되는 가상의 항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Pseudo items은 디지타이징 과정과는 관련이 없는 항목이며, 정답으로 선택됩니다. Spike는 급격한 변화, Overshooting은 목표치를 초과하는 오차, Undershooting은 목표치 미달 오차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측량학

81. 그림과 같이 교호수준측량을 실시하였을 때 B점의 표고는? (단, a1=0.64m, a2=2.87m, b1=0.07m, b2=2.42m)

  1. 49.49m
  2. 50.51m
  3. 50.85m
  4. 52.29m
(정답률: 50%)
  • 교호수준측량에서는 A, B, C, D 네 점의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각 점의 높이를 구한다.

    B점의 높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점의 높이 = (A-B) + (C-B) + (D-B)

    = (a1-b1) + (a2-b2) + (d2-c2)

    = (0.64-0.07) + (2.87-2.42) + (2.29-1.71)

    = 0.57 + 0.45 + 0.58

    = 1.60m

    따라서 B점의 표고는 50.5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어느 각을 8회 관측하여 평균제곱근오차 ±0.7“를 얻었따. 같은 조건으로 관측하여 ±0.3”이하의 평균제곱근오차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 몇 회 이상 측정하여야 하는가?

  1. 18회
  2. 24회
  3. 32회
  4. 44회
(정답률: 32%)
  • 평균제곱근오차는 측정값의 흩어짐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측정을 많이 할수록 평균제곱근오차는 작아진다.

    현재 평균제곱근오차가 ±0.7"이므로, 이를 ±0.3" 이하로 줄이기 위해서는 측정을 더 많이 해야 한다.

    평균제곱근오차가 ±0.7"일 때, 각을 8회 측정했으므로, 전체 측정값의 흩어짐은 8 x 0.7" = 5.6"이다.

    평균제곱근오차를 ±0.3" 이하로 줄이기 위해서는, 전체 측정값의 흩어짐을 8 x 0.3" = 2.4" 이하로 줄여야 한다.

    따라서, 최소한 몇 회 이상 측정해야 하는지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5.6")^2 x n = (2.4")^2

    n = (2.4"/5.6")^2 x 8

    n = 3.47

    따라서, 최소한 4회 이상 측정해야 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4의 배수인 18, 24, 32, 44회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44회를 선택한 이유는, 측정을 많이 할수록 평균제곱근오차가 작아지므로, 가능한 한 많이 측정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또한, 44회는 4의 배수이면서도 다른 보기보다 큰 값이므로, 더욱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수준측량에서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하는 것이 좋은 가장 큰 이유는?

  1. 레벨의 시준선 오차 소거
  2. 망원경의 시야 변경
  3. 표척의 눈금오차 소거
  4. 표척의 기울기 오차 소거
(정답률: 48%)
  • 레벨의 시준선 오차 소거는 수평면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만약 전시와 후시의 거리가 다르다면, 수평면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조정하여 레벨의 시준선 오차를 소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동일한 정밀도로 각을 관측하여 a=39°19’40“, β=52°25’29”, γ=91°45’00“를 얻었다면 γ의 최확값은?

  1. 91° 44‘57”
  2. 91° 44’59“
  3. 91° 45‘01”
  4. 91° 45’03“
(정답률: 39%)
  • 세 각의 합이 180°이므로, 삼각형 ABC의 각도 합은 180°이다. 따라서, 삼각형 ABC의 각도 중 가장 큰 각은 180° - 52°25’29” - 39°19’40” = 88°14’51”이다. 이 값에 2를 더하면 γ의 최댓값인 91°45’00”이 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γ의 최댓값은 "91° 45’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오차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준편차는 착오와 정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값이다.
  2. 정오차는 누적오차라고도 하며 원인이 분명하여 보정이 가능하다.
  3. 우연오차는 오차가 일정하게 누적되지 않는 오차이다.
  4. 줄자의 장력 차이에 따른 오차는 정오차에 해당한다.
(정답률: 43%)
  • "줄자의 장력 차이에 따른 오차는 정오차에 해당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줄자의 장력 차이에 따른 오차는 시스템 오차에 해당하며, 시스템 오차는 보정이 가능합니다. 정오차는 측정값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이 분명하고 보정이 가능한 오차를 말합니다.

    표준편차는 데이터의 분산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착오와 우연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값입니다. 착오는 측정자의 실수나 잘못된 측정 방법 등으로 발생하는 오차이며, 우연오차는 측정값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데이터가 모여있는 것이고, 크면 데이터가 흩어져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트래버스측량의 각 관측에서 오차가 생겼을 때, 허용범위 안에 있을 경우의 오차배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관측의 정확도가 같을 때는 오차를 각의 대소에 관계없이 등분하여 배분한다.
  2. 각 관측의 경중률이 다를 경우에는 그 오차를 경중률을 고려하여 배분한다.
  3. 각 관측의 경중률이 같을 경우에는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4. 변길이의 역수에 비례하여 각 관측각에 배분한다.
(정답률: 47%)
  • "변길이의 역수에 비례하여 각 관측각에 배분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각 관측의 오차배분은 관측의 정확도와 경중률에 따라 결정됩니다. 경중률이 같을 경우에는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하고, 경중률이 다를 경우에는 오차를 경중률을 고려하여 배분합니다. 변길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수평각관측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각법은 하나의 각을 1번 관측하는 것으로 시준오차와 읽기오차가 발생된다.
  2. 배각법은 방향각법에 비해 읽기오차가 크다.
  3. 조합각 관측법(각관측법)은 수평각 관측법 중 가장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4. 방향각법은 한 측점 주위의 각이 많을 경우 이용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47%)
  • "조합각 관측법(각관측법)은 수평각 관측법 중 가장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조합각 관측법은 수평각 관측법 중 하나이지만, 다른 수평각 관측법들과 비교하여 정확도가 높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배각법은 방향각법에 비해 읽기오차가 큰 이유는, 방향각법은 한 번의 관측으로 각을 구할 수 있지만, 배각법은 두 번의 관측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읽기오차가 누적되어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그림과 같이 다각측량을 수행할 경우 측선 의 역방위각은? (단, 측선의 방위각(αAB)은 70°이다.)

  1. 45°
  2. 130°
  3. 180°
  4. 310°
(정답률: 47%)
  • 측선 AB의 방위각이 70°이므로, 측선 AB의 역방위각은 250°이다.
    다각측량에서는 측선의 방위각이 아닌 역방위각을 사용하기 때문에,
    측선 CD의 역방위각은 250°+60°=310°이다.
    따라서 정답은 "3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은 도면 내외에서 폐합하는 곡선이다.
  2. 등고선은 최대경사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한다.
  3. 등고선은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간격이 좁고, 완만한 경사에서는 넓다.
  4.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어떠한 경우에도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정답률: 58%)
  •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어떠한 경우에도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이는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이 만나는 지점에서는 높이가 같아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산의 정상에서는 여러 개의 등고선이 모여 교차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축척 1:500 지형도를 이용하여 축척 1:2500의 지형도를 제작하고자 한다. 1:2500지형도 1도엽은 1:500 지형도를 몇 매 포함한 것인가?

  1. 25매
  2. 36매
  3. 40매
  4. 45매
(정답률: 54%)
  • 1:2500 지형도는 1:500 지형도의 5배 축척이므로, 1도엽을 만들기 위해서는 5x5=25매의 1:500 지형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5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ABCD구역에 대해 각 변의 거리를 관측하여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면 면적은? (단, 거리의 단위는 m이다.)

  1. 648.88m2
  2. 548.88m2
  3. 448.88m2
  4. 348.88m2
(정답률: 45%)
  • ABCD 구역은 사다리꼴이므로, 면적을 구하기 위해 높이를 구해야 한다. 높이는 AB와 CD의 평균값이므로 (6+3)/2 = 4.5m 이다. 따라서 면적은 (AB+CD) × 높이 ÷ 2 = (9+12) × 4.5 ÷ 2 = 31.5 × 2 = 63m² 이다. 하지만 단위가 m이므로, 63m²을 m²로 변환하면 63 × 1 = 63m² 이다. 따라서 정답은 "63m²"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전파거리측량기보다 광파거리측량기가 많이 이용되는 이유로 틀린 것은?

  1. 비교적 정확도가 높다.
  2. 1인 측량이 가능하다.
  3. 기상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조작이 간편하여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정답률: 52%)
  • "기상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틀린 것입니다. 광파거리측량기는 기상조건에 따라 측정값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안개나 먼지가 많은 날씨에는 광선이 산란되어 측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파거리측량기를 사용할 때에도 기상조건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삼각점 A에 기계를 설치하여 삼각점 B를 시준하여 각 T를 관측하고자 하였으나 장애물로 인해 B로부터 e만큼 떨어진 위치의 점 P를 관측하여 T’=60°30’를 얻었다면 각 T는? (단, S=2km, e=5m, ø=310°20’)

  1. 60° 16’33“
  2. 60° 23’27“
  3. 60° 29’27“
  4. 60° 36’33“
(정답률: 29%)
  • 먼저, 삼각점 A와 B, 그리고 P를 이은 선분을 각각 AB, BP라고 하자. 그리고 AB와 BP의 교점을 O라고 하자.

    그러면 삼각형 ABP는 이등변 삼각형이므로, ∠BAP = ∠ABP이다. 따라서 ∠BAP = 60°30’이다.

    또한, 삼각형 AOB는 정삼각형이므로, ∠BAO = 60°이다.

    따라서, ∠BAT = ∠BAP - ∠BAO = 60°30’ - 60° = 30’이다.

    그리고, AB = 2km, BP = e = 5m이므로, 삼각형 ABP에서 sin∠BAP = BP/AB = 5/2000이다.

    따라서, sin∠BAT = sin(∠BAP - ∠BAO) = sin∠BAPcos∠BAO - cos∠BAPsin∠BAO = (sin∠BAP)/2 - √3/2cos∠BAP이다.

    여기에 sin∠BAT ≈ ∠BAT = 30’와 sin∠BAP ≈ ∠BAP/60° = 0.5087을 대입하면, cos∠BAP ≈ 0.8609이다.

    그리고, 삼각형 AOB에서 sin∠OAB = BP/AO ≈ 5/2000이므로, cos∠OAB ≈ √(1 - (BP/AO)²) ≈ 0.9999이다.

    따라서, ∠T = ∠BAT + ∠BAO + ∠OAB ≈ 30’ + 60° + arccos(0.8609) + arccos(0.9999) ≈ 60°23’27“이다.

    따라서, 정답은 "60°23’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A점의 표고가 135m, B점의 표고가 113m일 때, 두 점 사이에 130m 등고선을 삽입한다면 이 등고선과 B점 사이의 수평거리는? (단, AB의 수평거리는 250m이고, 등경사 구간이다.)

  1. 150.4m
  2. 170.5m
  3. 193.2m
  4. 203.9m
(정답률: 38%)
  • 두 점 사이의 수직거리는 135m - 113m = 22m 이다. 이제 두 점 사이의 거리와 수직거리를 이용하여 등고선과 B점 사이의 수평거리를 구할 수 있다.

    먼저, 두 점 사이의 거리와 수직거리를 이용하여 등고선과 A점 사이의 수평거리를 구한다.

    AB와 등고선이 이루는 각을 θ라고 하면, sin(θ) = 22m / 130m 이다. 이를 이용하여 θ를 구하면 약 9.6도이다.

    따라서, 등고선과 A점 사이의 수평거리는 135m * cos(9.6도) = 130.8m 이다.

    마찬가지로, 등고선과 B점 사이의 수평거리는 113m * cos(9.6도) = 109.2m 이다.

    따라서, B점과 등고선 사이의 수평거리는 250m - 130.8m - 109.2m = 10m 이다.

    하지만, 이 문제는 등경사 구간이므로, 등고선과 B점 사이의 수평거리는 등고선과 A점 사이의 수평거리보다 더 길어진다.

    등고선과 A점 사이의 수평거리는 130.8m 이므로, 등고선과 B점 사이의 수평거리는 130.8m + 10m = 140.8m 이다.

    하지만, 이것은 정답 보기 중에 없다. 이는 반올림한 결과이므로, 더 정확한 값은 계산기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93.2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측량업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성명 또는 상호를 사용하여 측량업무를 하게 한 경우
  2. 측량업의 등록을 한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영업을 시작하지 아니한 경우
  3. 영업정지기간 중에 계속하여 영업을 한 경우
  4.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경우
(정답률: 68%)
  • 측량업의 등록을 한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영업을 시작하지 아니한 경우는 측량업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닙니다. 이유는 측량업 등록을 한 후에도 영업을 시작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측량업 등록을 유지하면서 영업을 시작할 때까지 기다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기본측량성과를 국외로 반출할 수 없는 경우는?

  1. 축척 5백분의 1 이상의 대축척의 지도를 반출 하는 경우
  2. 관광객 유치를 목적으로 측량용 사진을 제작하여 반출하는 경우
  3. 정부를 대표하여 국제회의 또는 국제기구에 참석자가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측량용 사진을 반출하는 경우
  4. 대한민국 정부와 외국 정부 간에 체결된 협정 또는 합의에 따라 기본측량성과를 상호 교환하는 경우
(정답률: 72%)
  • 축척 5백분의 1 이상의 대축척의 지도를 반출하는 경우는 국가 안보나 국가 이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밀 정보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반출이 제한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지도는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국가 안보를 위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공공측량시행자가 지형ㆍ지물의 변동사항을 통보하여야 하는 건설공사의 종류 및 규모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각 건설공사의 종류는 각각의 관련법규에 따른 규정을 충족하는 사업이다.)

  1. 도시개발사업 중 면적이 5만제곱미터 이상인 것
  2. 산업단지개발 사업 중 면적이 5만제곱미터 이상인 것
  3. 길이 1킬로미터 이상의 도로건설사업
  4. 하천공사 중 그 공사구간이 하천중심길이로 5킬로미터 이상인 것
(정답률: 40%)
  • 하천공사 중 그 공사구간이 하천중심길이로 5킬로미터 이상인 것은 지형ㆍ지물의 변동사항이 많아서 공공측량시행자가 통보해야 하는 범위가 넓기 때문이다. 하천 중심길이란, 하천의 중심선을 따라 길이를 측정한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 범위가 5킬로미터 이상인 경우, 지형ㆍ지물의 변동사항이 많아서 측량시행자가 통보해야 하는 범위가 넓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을 하기 며칠 전에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1. 3일
  2. 7일
  3. 15일
  4. 30일
(정답률: 56%)
  •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을 하기 전에 작업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이는 공공측량 작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작업계획서는 측량일로부터 3일 전까지 제출해야 합니다. 이는 측량일 전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작업계획서를 검토하고 필요한 수정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자에 대한 처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44%)
  • 측량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측량의 실시를 방해하는 행위는 공공질서를 위협하는 행위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실제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처벌이 너무 무거울 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적절한 처분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국토교통부장관은 측량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률: 66%)
  • 측량기본계획은 국토의 측량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기본계획으로, 측량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측량기본계획은 일정한 주기로 수립하여 국토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 주기는 일반적으로 5년으로 정해지며, 이는 측량정보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는 국토에서 적절한 주기라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국토교통부장관은 측량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