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28)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2018-04-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상시 근로자가 300명인 신발 제조업에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선임하여야 하는 보건관리자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선임하여야하는 보건관리자의 수는 1명이다.
  2. 보건관련 전공자 2명을 보건관리자로 선임하여야 한다.
  3. 보건관리자의 자격을 가진 2명의 보건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며, 그 중 1명은 의사나 간호사이어야 한다.
  4. 보건관리자의 자격을 가진 3명의 보건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며, 그 중 1명은 의사나 간호사이어야 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선임하여야하는 보건관리자의 수는 1명이다." 이다. 산업안전보건법 제26조에 따르면, 상시 근로자가 300명 이하인 사업장에서는 보건관리자를 1명 선임하여야 하며, 상시 근로자가 300명을 초과하는 사업장에서는 보건관리자를 2명 이상 선임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1명의 보건관리자만 선임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업피로의 예방과 회복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작업환경을 정리 정돈 한다.
  2. 커피, 홍차 또는 엽차를 마신다.
  3. 적절한 간격으로 휴식시간을 둔다.
  4. 작업속도를 가능한 늦게 하여 정적작업이 되도록 한다.
(정답률: 85%)
  • 작업속도를 가능한 늦게 하여 정적작업이 되도록 한다는 것은 오히려 적극적인 대응이 아니라 부정적인 대응입니다. 작업속도를 늦추면 생산성이 떨어지고 일의 양이 쌓이기 때문에 오히려 더 많은 스트레스와 피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극적인 대응으로는 작업환경을 정리 정돈하고 적절한 간격으로 휴식시간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커피, 홍차 또는 엽차를 마시는 것도 일부 상황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과도한 카페인 섭취는 오히려 수면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섭취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의 설명에서 ( )안에 들어갈 용어로 맞는 것은?

  1. 연돌효과(stack effect)
  2. 균형효과(balance effect)
  3. 호손효과(hawthorne effect)
  4. 공기연령효과(air-age effect)
(정답률: 74%)
  • 건물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의 상승과 하강으로 인한 현상을 (연돌효과)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직업성 질환을 인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업무상 재해라고 할 수 있는 사건의 유무
  2. 작업환경과 그 작업에 종사한 기간 또는 유해 작업의 정도
  3. 같은 작업장에서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의 발생 유무
  4. 의학상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예상되는 임상검사 소견의 유무
(정답률: 58%)
  • 정답: "업무상 재해라고 할 수 있는 사건의 유무"가 틀린 것이다.

    직업성 질환을 인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작업환경과 그 작업에 종사한 기간 또는 유해 작업의 정도, 같은 작업장에서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의 발생 유무, 의학상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예상되는 임상검사 소견의 유무 등이 있다. 업무상 재해라고 할 수 있는 사건의 유무는 직업성 질환의 인정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유무에 따라 직업성 질환을 인정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것만으로는 직업성 질환의 인정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사업주는 사업장에 쓰이는 모든 대상 화학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취급 근로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비치 및 게시하여야 한다. 비치 및 게시를 하기 위한 장소로 잘못된 것은?

  1. 대상 화학물질 취급 작업 공정 내
  2. 사업장 내 근로자가 가장 보기 쉬운 장소
  3. 안전사고 또는 직업병 발생우려가 있는 장소
  4. 위급상황시 보건관리자가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문서보관실
(정답률: 85%)
  • 위급상황시 보건관리자가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문서보관실이 적합한 장소인 이유는 위급상황 발생 시 빠른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장소에는 대상 화학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뿐만 아니라, 위험물 안전보고서, 화학물질 안전보건관리계획 등 위급상황 대응에 필요한 문서들이 보관되어 있어 보건관리자가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업주는 이 장소에 대한 접근성과 보관 상태를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운반 작업을 하는 젊은 근로자의 약한 손(오른손잡이의 경우 왼 손)의 힘은 40kp이다. 이 근로자가 무게 10kg인 상자를 두손으로 들어 올릴 경우 적정 작업시간은 약 몇 분인가? (단, 공식은 671,120 × 작업강도-2.222를 적용한다.)

  1. 25분
  2. 41분
  3. 55분
  4. 122분
(정답률: 55%)
  • 공식에 따라 작업강도는 10kg를 들어올리는데 필요한 힘인 98N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작업강도는 0.098kN이다. 이를 공식에 대입하면 671,120 × 0.098-2.222 ≈ 41분이 된다. 즉, 이 근로자가 무게 10kg인 상자를 두손으로 들어 올리는데 적정 작업시간은 약 41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약어의 용어들은 무엇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가?

  1. 직무 스트레스 정도
  2.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요인
  3. 뇌심혈관계질환의 정략적 분석
  4. 작업장 국소 및 전체환기효율 비교
(정답률: 79%)
  • 약어 DZ는 "근골격계 질환 위험도 평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약어의 용어들은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요인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직무 스트레스 정도"는 근골격계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며, "작업장 국소 및 전체환기효율 비교"는 작업환경 개선을 통해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방안 중 하나입니다. "뇌심혈관계질환의 정략적 분석"은 근골격계 질환과는 관련이 없는 분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산업위생분야에 관련된 단체와 그 약자를 연결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영국 산업위생학회 - BOHS
  2. 미국 산업위생학회 - ACGIH
  3. 미국 직업안전위생관리국 - OSHA
  4.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 - NIOSH
(정답률: 48%)
  • 정답은 "미국 산업위생학회 - ACGIH"이다. ACGIH는 미국 산업위생학회의 약자가 아니라, 미국 산업위생학회에서 발행하는 화학물질 노출 한계치를 제공하는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의 약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인간공학에서 적용하는 정적치수(static dimensions)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적인 치수에 비하여 데이터가 적다.
  2. 일반적으로 표(table)의 형태로 제시된다.
  3. 구조적 치수로 정적자세에서 움직이지 않는 피측정자를 인체 계측기로 측정한 것이다.
  4. 골격 치수(팔꿈치와 손목 사이와 같은 관절 중심거리 등)와 외곽치수(머리둘레 등)로 구성된다.
(정답률: 68%)
  • "동적인 치수에 비하여 데이터가 적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정적치수는 정적자세에서 측정되는 치수로, 일반적으로 표(table)의 형태로 제시됩니다. 구조적 치수로 정적자세에서 움직이지 않는 피측정자를 인체 계측기로 측정한 것이며, 골격 치수(팔꿈치와 손목 사이와 같은 관절 중심거리 등)와 외곽치수(머리둘레 등)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산업안전보건법의 '사무실 공기관리 지침'에서 오염물질로 관리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것은?

  1. 총 부유세균
  2. CO(일산화탄소)
  3. SO2(이산화황)
  4. CO2(이산화탄소)
(정답률: 66%)
  • 산업안전보건법의 '사무실 공기관리 지침'에서 오염물질로 관리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것은 SO2(이산화황)입니다. 이유는 SO2는 주로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로, 사무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나 화학물질 등과는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무실 내부의 공기질 관리에 있어서는 SO2를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건관리자의 자격과 선임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시 근로자가 100인 이상 사업장은 보건관리자의 자격기준에 해당하는 자 중 1인 이상을 보건관리자로 선임하여야한다.
  2. 보건관리대행은 보건관리자의 직무인 보건관리를 전문으로 행하는 외부기관에 위탁하여 수행하는 제도로 1990년부터 법적 근거를 갖고 시행되고 있다.
  3. 작업 환경 상에 유해요인이 상존하는 제조업은 근로자의 수가 2000명을 초과하는 경우에「의료법」에 따른 의사 또는 간호사인 보건관리자 1인을 포함하는 2인의 보건관리자를 선임하여야한다.
  4. 보건관리자의 자격기준은 의료법에 의한 의사 또는 간호사,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산업보건 지도사,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산업위생관리 산업기사 또는 환경관리산업기사(대기분야 한함) 등이다.
(정답률: 62%)
  • "상시 근로자가 100인 이상 사업장은 보건관리자의 자격기준에 해당하는 자 중 1인 이상을 보건관리자로 선임하여야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상시 근로자가 100인 이상인 사업장은 산업안전보건법 제26조에 따라 보건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며, 이 보건관리자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9조에 따라 자격기준을 충족하는 자 중에서 선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상시 근로자가 100인 이상 사업장은 보건관리자의 자격기준에 해당하는 자 중 1인 이상을 보건관리자로 선임하여야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는 중량물취급 작업에 대하여 감시기준(Actionlimit)과 최대허용기준(Maximum permissible limit)을 설정하여 권고하고 있다. 감시기준이 30kg일 때 최대허용기준은 얼마인가?

  1. 45kg
  2. 60kg
  3. 75kg
  4. 90kg
(정답률: 78%)
  • 감시기준은 작업자의 건강상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이며, 최대허용기준은 작업자의 건강상 위험을 허용할 수 있는 최대한의 기준이다. 따라서 최대허용기준은 감시기준의 3배인 90kg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조견, 셀로판 등에 이용되고 실험실에서 추출용 등의 시약으로 쓰이고 장기간에 걸쳐 고농도로 폭로되면 기질적 뇌손상, 말초신경병, 신경행동학적 이상, 시각·청각장애 등이 발생하는 유기용제는 어느 것인가?

  1. 벤젠
  2. 사염화탄소
  3. 메타놀
  4. 이황화탄소
(정답률: 49%)
  • 이황화탄소는 인조견, 셀로판 등에 이용되고 실험실에서 추출용 등의 시약으로 쓰이며, 고농도로 폭로되면 기질적 뇌손상, 말초신경병, 신경행동학적 이상, 시각·청각장애 등이 발생하는 유기용제입니다. 따라서 이황화탄소가 정답입니다. 벤젠, 사염화탄소, 메타놀도 유해한 화학물질이지만, 이황화탄소와 같은 심각한 위험성을 가지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화학물질이 2종 이상 혼재하는 경우, 다음 공식에 의하여 계산된 EI값이 1이 초과하지 아니하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인정할 때, 이 공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각각의 물질 사이의 관계는 어떤 작용을 하여야 하는가? (단, C는 화학물질 각각의 측정치, T는 화학물질 각각의 노출기준을 의미한다.)

  1. 가승작용(potentiation)
  2. 상가작용(additive effect)
  3. 상승작용(synergistic effect)
  4. 길항작용(antagonistic effect)
(정답률: 76%)
  • 각각의 화학물질이 상호작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EI값은 각각의 물질의 C/T값의 합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상가작용(additive effect)은 각각의 물질이 독립적으로 노출될 때의 EI값의 합과 동일한 EI값을 보이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두 물질이 상호작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노출될 때와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신피로에 있어 생리학적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산소 공급부족
  2. 체내 젖산농도의 감소
  3. 혈중 포도당 농도의 저하
  4. 근육 내 글리코겐량의 감소
(정답률: 78%)
  • 전신피로는 근육 내 에너지 공급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체내 젖산농도의 감소"는 생리학적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다. 젖산은 근육 내 에너지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젖산농도가 감소하면 근육 내 에너지 공급이 저하되어 전신피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호기적 산화를 도와서 근육의 열량공급을 원활하게 해주기 때문에 근육노동에 있어서 특히 주의해서 보충해 주어야 하는 것은?

  1. 비타민 A
  2. 비타민 C
  3. 비타민 B1
  4. 비타민 D4
(정답률: 87%)
  • 비타민 B1은 탄수화물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근육의 열량공급을 원활하게 해주는데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따라서 근육노동을 하는 사람들은 비타민 B1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비타민 A, C, D4는 근육노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영양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위생전문가가 지켜야 할 윤리강령 중 “기업주와 고객에 대한 책임”에 관한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1. 신뢰를 중요시하고, 결과와 권고사항을 정확히 보고한다.
  2. 산업위생전문가의 첫 번째 책임은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임을 인식한다.
  3. 건강에 유해한 요소들을 측정, 평가, 관리하는데 객관적인 태도를 유지한다.
  4. 건강의 유해요인에 대한 정보와 필요한 예방대책에 대해 근로자들과 상담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신뢰를 중요시하고, 결과와 권고사항을 정확히 보고한다."이다. 이는 산업위생전문가가 기업주와 고객에 대한 책임을 다하기 위해 신뢰성 있는 결과와 권고사항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산업위생전문가의 역할과 책임을 인식하고, 직업 윤리를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ILO와 WHO공동위원회의 산업보건에 대한 정의와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작업조건으로 인한 질병을 치료하는 학문과 기술
  2. 작업이 인간에게, 또 일하는 사람이 그 직무에 적합하도록 마련하는 것
  3. 근로자를 생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적합한 작업환경에 배치하여 일하도록 하는 것
  4. 모든 직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고도로 유지 증진시키는 것
(정답률: 72%)
  • 정답은 "작업조건으로 인한 질병을 치료하는 학문과 기술"입니다. ILO와 WHO공동위원회는 산업보건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작업환경과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작업조건으로 인한 질병을 치료하는 학문과 기술"은 이미 질병이 발생한 후에 대처하는 것이므로, 예방적인 산업보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스트레스(STRESS)는 외부의 스트레스 요인(stressor)에 의해 신체에 항상성이 파괴되면서 나타나는 반응이다. 다음의 설명 중 ( )에 해당하는 용어로 맞는 것은?

  1. 코티졸(cortisol)
  2. 도파민(dopamine)
  3. 옥시토신(oxytocin)
  4. 아드레날린(adrenalin)
(정답률: 72%)
  • 스트레스 요인이 발생하면 뇌에서 부각된 신호를 받아 부신에서 코티졸을 분비한다. 코티졸은 혈액순환을 통해 신체 전체에 분포하며, 당뇨, 고혈압, 면역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면서 스트레스 반응을 유발한다. 따라서 코티졸은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불리며,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작업에 소모된 열량이 4500kcal, 안정 시 열량이 1000kcal, 기초대사량이 1500kcal 일때, 실동률은 약 얼마인가? (단, 사이또(薺藤)와 오지마(大島)의 경험식을 적용한다.)

  1. 70.0%
  2. 73.3%
  3. 84.4%
  4. 85.0%
(정답률: 6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고체 포집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료공기를 흡착력이 강한 고체의 작은 입자층을 통과시켜 포집하는 방법이다.
  2. 실리카겔은 산과 같은 극성물질의 포집에 사용되며 수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널리 사용된다.
  3. 시료의 채취는 사용하는 고체입자층의 포집효율을 고려하여 일정한 흡입유량으로 한다.
  4. 포집된 유기물은 일반적으로 이황화탄소(CS2)로 탈착하여 분석용 시료로 사용된다.
(정답률: 66%)
  • "실리카겔은 산과 같은 극성물질의 포집에 사용되며 수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널리 사용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실리카겔은 극성이 높아서 산과 같은 극성물질을 잘 포집할 수 있고, 또한 수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적인 사람이 느끼는 최소 진동역치는 얼마인가?

  1. 55±5 dB
  2. 70±5 dB
  3. 90±5 dB
  4. 105±5 dB
(정답률: 79%)
  • 일반적인 사람이 느끼는 최소 진동역치는 20 마이크로파스칼 (μPa) 이며, 이는 대략 0 dB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더 높은 진폭의 소리를 더 잘 느끼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55±5 dB의 범위에서 소리를 더 잘 느낍니다. 이 범위는 대략 대화하는 소리 수준과 비슷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입자상 물질의 측정 방법 중 용접흄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1. 용접흄은 여과채취방법으로 하되 용접 보안면을 착용한 경우에는 보안면 반경 15cm 이하의 거리에서 채취한다.
  2. 용접흄은 여과채취방법으로 하되 용접 보안면을 착용한 경우에는 보안면 반경 30cm 이하의 거리에서 채취한다.
  3. 용접흄은 여과채취방법으로 하되 용접 보안면을 착용한 경우에는 그 내부에서 채취한다.
  4. 용접흄은 여과채취방법으로 하되 용접 보안면을 착용한 경우는 용접 보안면 외부의 호흡기 위치에서 채취한다.
(정답률: 51%)
  • 용접흄은 미세한 입자로 인해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방법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 고시에서는 용접 보안면을 착용한 경우에는 그 내부에서 채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보안면 내부에서 호흡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접흄 측정 시에는 보안면을 착용한 경우에는 반드시 내부에서 채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작업장 공기 중 사염화탄소(TLV=10PPM)가 5PPM, 1,2-디클로로에탄(TLV=50PPM)이 12PPM, 1,2-디브로메탄(TLV=20PPM)이 8PPM일 때 노출지수는? (단, 상가작용 기준)

  1. 1.04
  2. 1.14
  3. 1.24
  4. 1.34
(정답률: 74%)
  • 노출지수는 (노출농도/TLV)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사염화탄소의 노출지수는 0.5, 1,2-디클로로에탄의 노출지수는 0.24, 1,2-디브로메탄의 노출지수는 0.4이 됩니다. 이들을 모두 더한 값은 1.14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중금속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기는?

  1. 광학현미경
  2. 원자흡광광도계
  3. 가스크로마토그래피
  4. 비분산적외선 가스분석계
(정답률: 68%)
  • 중금속은 원자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원자흡수선의 특성을 이용하여 샘플 속의 중금속 원자들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것을 측정하여 중금속 함량을 파악하는 기술입니다. 다른 측정기기들은 중금속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거나 측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PercHloroethylene 40%(TLV:670mg/m3), Methylene chloride 40%(TLV:720mg/m3), Heptane 20%(TLV:1600mg/m3)의 중량비로 조성된 유기용매가 증발되어 작업장을 오염시키고 있다. 이들 혼합물의 허용농도는 약 몇 mg/m3인가?

  1. 910
  2. 997
  3. 876
  4. 780
(정답률: 58%)
  • 허용농도는 TLV를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가장 낮은 TLV인 Heptane의 TLV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된다. Heptane의 TLV는 1600mg/m3이므로, 이를 20%로 나누어 계산하면 된다.

    1600mg/m3 ÷ 5 = 320mg/m3

    따라서, 이들 혼합물의 허용농도는 320mg/m3 이하이다. 이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은 780이므로, 정답은 "7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흡광광도법에서 단색광이 시료액을 통과하여 그 광의 50%가 흡수되었을 때 흡광도는?

  1. 0.6
  2. 0.5
  3. 0.4
  4. 0.3
(정답률: 66%)
  • 흡광도(Absorbance)는 흡광계에 의해 측정되는 값으로, 시료액이 얼마나 빛을 흡수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때, 단색광이 시료액을 통과하여 그 광의 50%가 흡수되었다는 것은, 시료액이 광을 50%만큼 흡수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흡광도는 0.3이 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흡광도가 낮을수록 시료액이 더 투명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흡광도가 높을수록 시료액이 더 짙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을 충돌 원리에 의해 입자크기별로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는 장비는?

  1. Cascade impactor
  2. personal distribution
  3. low volume sampler
  4. high volume sampler
(정답률: 71%)
  • "Cascade impactor"는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을 입자 크기별로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이 장비는 분진이 충돌 원리에 의해 분리되어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각각 다른 단계에 충돌하게 되어 분리됩니다. 따라서 이 장비를 사용하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크기의 입자를 정확하게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습니다. "Personal distribution", "low volume sampler", "high volume sampler"는 공기 중의 분진을 측정하는 다른 방법이며, 입자 크기별로 분리하여 측정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인쇄 또는 도장 작업에서 사용하는 페인트, 신나 또는 유성 도료 등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인자 중 유기용제를 포집하는 방법은?

  1. 활성탄법
  2. 여과 포집법
  3. 직독식 분진측적계법
  4. 증류스 흡수액 임핀저법
(정답률: 58%)
  • 활성탄은 매우 미세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표면적이 크고 흡착능력이 높습니다. 따라서 인쇄 또는 도장 작업에서 발생하는 유기용제를 포집하기에 적합합니다. 활성탄법은 유해물질이 흡착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유기용제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경제적이며, 효과적으로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쇄 또는 도장 작업에서 발생하는 유기용제를 제거하기 위해 활성탄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측정기 또는 분석기기의 미비로 기인되는 것으로 실험자가 주의하면 제거 또는 보정이 가능한 오차는?

  1. 우발적 오차
  2. 무작위 오차
  3. 계통적 오차
  4. 시간적 오차
(정답률: 65%)
  • 계통적 오차는 측정기 또는 분석기기 자체의 미비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로, 보정이나 교정을 통해 제거할 수 있는 오차입니다. 이는 측정기나 분석기의 정확도와 관련된 오차로, 일정한 방식으로 발생하며 예측 가능합니다. 따라서 실험자는 이러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측정기나 분석기를 정기적으로 보정하고 교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음압이 100배 증가하면 음압 수준은 몇 dB 증가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54%)
  • 음압과 dB는 로그함수 관계이기 때문에 음압이 100배 증가하면 20log(100) = 40dB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채취한 금속 분석에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여과지에 금속을 10㎍ 첨가하고 원자흡 광도계로 분석하였더니 9.5㎍이 검출되었다. 실험에 보정하기 위한 회수율은 몇%인가?

  1. 80
  2. 85
  3. 90
  4. 95
(정답률: 65%)
  • 회수율은 실제로 존재하는 금속의 양 대비 실험에서 검출된 금속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회수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회수율(%) = (실험에서 검출된 금속의 양 / 실제로 존재하는 금속의 양) × 100

    이 문제에서는 여과지에 10㎍의 금속을 첨가하였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금속의 양은 10㎍이므로 다음과 같이 회수율을 계산할 수 있다.

    회수율(%) = (9.5㎍ / 10㎍) × 100 = 95%

    따라서 정답은 "9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온도 27℃인 때의 체적이 1m3인 기체를 온도 127℃까지 상승시켰을 때의 체적은?

  1. 1.13m3
  2. 1.33m3
  3. 1.47m3
  4. 1.73m3
(정답률: 56%)
  • 가스의 상태방정식인 보일-마리온-갈루아크의 법칙에 따르면, 일정한 압력과 몰 수를 가진 기체의 체적은 온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온도가 27℃에서 127℃로 상승하면 체적도 비례하여 증가한다.

    체적의 변화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₂ - V₁) / V₁ = (T₂ - T₁) / T₁

    여기서,
    V₁ = 1m³ (초기 체적)
    T₁ = 27℃ + 273.15 = 300.15K (초기 온도)
    T₂ = 127℃ + 273.15 = 400.15K (최종 온도)

    (V₂ - 1) / 1 = (400.15 - 300.15) / 300.15
    V₂ - 1 = 0.3333
    V₂ = 1.3333m³

    따라서, 최종 체적은 약 1.33m³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역시료 채취방법과 비교한 개인시료 채취방법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1. 오염물질의 방출원을 찾아내기 쉽다
  2. 작업자에게 노출되는 정도를 알 수 있다
  3. 어떤 장소의 고정된 위치에서 시료를 채취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4. 특정 공정의 계절별 농도변화, 농도분포의 변화, 공의 주기별 농도 변화를 알 수 있다.
(정답률: 64%)
  • 개인시료 채취방법은 작업자가 직접 자신의 호흡기로부터 오염물질을 채취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노출되는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작업환경에서의 오염물질 노출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노출되는 정도를 알 수 있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실리카겔에 대한 친화력이 가장 큰 물질은?

  1. 파라핀계
  2. 에스테르류
  3. 알데하이드류
  4. 올레핀류
(정답률: 72%)
  • 실리카겔은 극성이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극성이 높은 알데하이드류와 가장 큰 친화력을 가지게 됩니다. 파라핀계와 올레핀류는 비극성이 높아 친화력이 낮고, 에스테르류는 알데하이드류보다는 극성이 낮아 친화력이 적습니다. 따라서 알데하이드류가 실리카겔과 가장 잘 상호작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기류측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풍차풍속계
  2. 열선풍속계
  3. 카타온도계
  4. 아스만통풍건습계
(정답률: 57%)
  • 기류측정은 대기의 풍속, 풍향,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아스만통풍건습계"가 기류측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풍차풍속계"는 풍속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열선풍속계"는 열선의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카타온도계"는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아스만통풍건습계"는 대기의 습도와 통풍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작업장 소음 측정시간 및 횟수 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1. 2회 이상
  2. 3회 이상
  3. 4회 이상
  4. 5회 이상
(정답률: 46%)
  • 고용노동부 고시에 따르면 작업장 소음 측정은 최소 2회 이상 실시하여야 하며, 그 중 최대값을 채택하여야 한다. 따라서 "2회 이상"은 최소 기준에 해당하며, "3회 이상"은 더욱 정확한 측정을 위해 권장되는 횟수이다. 더 많은 측정을 하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4회 이상"이나 "5회 이상"도 가능하지만, 비용과 시간 등의 제약으로 인해 "3회 이상"이 권장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흡착제 중 다공성 중합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활성탄보다 비표면적이 작다
  2. 특별한 물질에 대한 선택성이 좋다
  3. 활성탄보다 흡착용량이 크며 반응성도 높다
  4. Tenax GC 열안정성이 높아 열탈착에 의한 분석이 가능하다
(정답률: 49%)
  • "활성탄보다 비표면적이 작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다공성 중합체는 활성탄보다 비표면적이 크며, 이는 더 많은 표면적에서 물질과 상호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흡착용량이 크고 반응성도 높습니다. 특별한 물질에 대한 선택성이 좋고, Tenax GC 열안정성이 높아 열탈착에 의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2N-HCI 용액 100ML를 이용하여 0.5N 용액을 조제하려할 때 희석에 필요한 증류수의 양은?

  1. 100ML
  2. 200ML
  3. 300ML
  4. 400ML
(정답률: 24%)
  • 2N-HCI 용액 100ML은 2N의 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0.5N 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농도를 1/4로 희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원래 용액의 부피에 3배의 증류수를 첨가해야 합니다. 따라서 2N-HCI 용액 100ML에 300M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0.5N 용액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00M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1 PPM과 같은 것은?

  1. 0.01%
  2. 0.001%
  3. 0.0001%
  4. 0.00001%
(정답률: 66%)
  • 1 PPM은 1,000,000분의 1이므로 0.0001%와 같습니다. 즉, 1,000,000분의 1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작업장 소음에 대한 차음효과는 벽체의 단위 표면적에 대하여 벽체의 무게를 2배로 할때 마다 몇 dB씩 증가하는가?

  1. 3
  2. 6
  3. 9
  4. 12
(정답률: 67%)
  • 차음효과는 벽체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합니다. 벽체의 무게를 2배로 할 때마다 차음효과는 6dB씩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분진작업장의 작업환경 관리대책 중 분진발생 방지나 분진비산 억제대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작업의 강도를 경감시켜 작업자의 호흡량을 감소
  2. 작업자가 착용하는 방진마스크를 송기마스크로 교체
  3. 광석 분쇄·연마 작업 시 물을 분사하면서 하는 방법으로 변경
  4. 분진발생공정과 타공정을 교대로 근무하게 하여 노출시간 감소
(정답률: 72%)
  • 광석 분쇄·연마 작업 시 물을 분사하면서 하는 방법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대책이다. 이유는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을 물로 억제하여 공기 중에 떠다니는 분진의 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작업자의 호흡량을 감소시켜 건강에 더욱 이롭고, 분진이 발생하는 공정에서 작업자의 노출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분진작업장에서는 광석 분쇄·연마 작업 시 물을 분사하면서 하는 방법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진동방지대책 중 발생원에 관한 대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거리감쇠를 크게 한다.
  2. 수진측에 탄성지지를 한다.
  3. 수진점 근방에 방진구를 판다.
  4. 기초중량을 부가 및 경감한다.
(정답률: 49%)
  • 진동방지대책 중 발생원에 관한 대책으로 기초중량을 부가 및 경감하는 것이 옳은 이유는, 건물의 기초가 충분히 강하고 안정적이면 진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초중량을 부가하거나 경감함으로써 건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이는 진동방지에 큰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폐에 깊숙이 들어갈 수 있는 호흡성섬유라한다. 이 섬유의 길이와 길이 대 너비의 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길이 1㎍ 이상, 길이 대 너비의 비 5:1
  2. 길이 3㎍ 이상, 길이 대 너비의 비 2:1
  3. 길이 3㎍ 이상, 길이 대 너비의 비 5:1
  4. 길이 5㎍ 이상, 길이 대 너비의 비 3:1
(정답률: 49%)
  • 폐에 깊숙이 들어갈 수 있는 호흡성 섬유는 미세한 입자를 걸러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길이가 길고 너비가 좁은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길이가 5㎍ 이상이어야 입자를 잘 걸러낼 수 있고, 길이 대 너비의 비가 3:1이면 너비가 좁아 입자를 더 잘 걸러낼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길이나 비율이 적절하지 않아 입자를 잘 걸러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수은 작업장의 작업환경관리대책으로 가장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수은 주입과정을 자동화시킨다.
  2. 수거한 수은은 물과 함께 통에 보관한다.
  3. 수은은 쉽게 증발하기 때문에 작업장의 온도를 80℃로 유지한다.
  4. 독성이 적은 대체품을 연구한다.
(정답률: 68%)
  • "수은은 쉽게 증발하기 때문에 작업장의 온도를 80℃로 유지한다."는 오히려 수은 증발을 촉진시키는 것이므로 올바르지 않은 대책이다. 수은은 증발하면 공기 중에 농도가 높아져 작업자의 건강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를 낮추거나, 수은 증발을 방지하는 다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상온, 상압에서 액체 EH는 고체 물질이 증기압에 따라 휘발 또는 승화하여 기체로 되는 것은?

  1. 증기
  2. 가스
  3. 미스트
(정답률: 61%)
  • 액체 EH가 상온, 상압에서 증기압에 따라 휘발 또는 승화하여 기체로 되는 것을 증기라고 합니다. 이는 액체 분자들이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 상태로 변화할 수 있는데, 이때 액체 분자들이 기체 상태로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기체 분자들의 충돌로 인해 증기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증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투과력이 가장 강한 것은?

  1. X-선
  2. 중성자
  3. 감마선
  4. 알파선
(정답률: 67%)
  • 중성자는 전하를 가지지 않고 질량이 크기 때문에 다른 입자들보다 물질 내부를 효과적으로 관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과력이 가장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근로자가 귀덮개(NRR=31)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미국 OSHA의 방법으로 계산한다면, 차음효과는 몇 dB인가?

  1. 5
  2. 8
  3. 10
  4. 12
(정답률: 65%)
  • 미국 OSHA는 귀덮개 착용 시 차음효과를 계산할 때, 귀덮개의 NRR 값에서 7을 뺀 값을 사용한다. 따라서, 근로자가 귀덮개(NRR=31)를 착용하고 있다면, 차음효과는 31-7=24dB가 된다.

    하지만, 주어진 보기에서는 차음효과가 5, 8, 10, 12dB로 나와있다. 이 중에서 24dB와 가장 가까운 값은 12dB이다.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채광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사각은 28° 이하가 좋다.
  2. 실내각점의 개각은 4~5°가 좋다.
  3. 창의 면적은 바닥면적의 15~20%가 이상적이다.
  4. 균일한 조명을 요하는 작업실은 동북 또는 북창이 좋다.
(정답률: 55%)
  • "입사각은 28° 이하가 좋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이유는 28° 이하의 입사각은 빛이 수직으로 떨어지는 것에 가까워져 반사와 굴절이 적어지기 때문에 눈에 덜 부담스럽고, 더 균일한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작업환경관리의 관리 원칙 중 격리에 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금조, 세척조, 분쇄기 등을 밀폐한다.
  2. 페이느분무를 담그거나 전기 흡착식방법으로 한다.
  3.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방음과 흡음재를 보강한 상자로 밀폐한다.
  4. 고압이나 고속회전이 필요한 기계인 경우 강력한 콘크리트 시설에 방호벽을 쌓고 원격조정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페이느분무를 담그거나 전기 흡착식방법으로 한다." 이다.

    격리는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물질이나 에너지를 차단하여 작업자와 주변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물질이나 에너지를 격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페이느분무를 담그거나 전기 흡착식방법으로 한다."는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물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페이느분무는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연기 등을 물로 분무하여 공기 중에서 떨어뜨리는 방법이고, 전기 흡착식 방법은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입자를 전기적으로 충전시켜서 흡착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페이느분무를 담그거나 전기 흡착식방법으로 한다."는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물질을 제어하는 방법 중 하나이며, 격리와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진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진동량은 변위, 속도, 가속도로 표현한다.
  2. 진동의 주파수는 그 주기현상을 가리키는 것으로 단위는 Hz이다.
  3. 전신진동 노출 진동원은 주로 교통기관, 중장비차량, 큰 기계 등이다.
  4. 전신진동인 경우에는 8~1500Hz, 국소진동의 경우에는 2~100Hz의 것이 주로 문제가 된다.
(정답률: 71%)
  • 진동의 주파수는 그 주기현상을 가리키는 것으로 단위는 Hz이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자외선은 살균작용, 각막염, 피부암 및 비타민D 합성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자외선의 가장 대표적인 광선을 Dorno-Ray라 하는데 이광선의 파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280~315Å
  2. 390~515Å
  3. 2800~3150Å
  4. 3900~5700Å
(정답률: 54%)
  •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 UVB, UVC로 구분되며, 각각의 파장대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친다. Dorno-Ray는 UVC 파장대에 속하며, 이 중에서도 2800~3150Å 파장이 가장 적절하다. 이는 이 파장대가 자외선 중에서도 가장 강력하면서도 인체에 가장 적합한 파장대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출력 0.1W의 점음원으로부터 100m 떨어진 곳의 SPL은? (단, SPL=PWL-20log r-11)

  1. 약 50dB
  2. 약 60dB
  3. 약 70dB
  4. 약 80dB
(정답률: 55%)
  • 주어진 식에서 r은 거리를 나타내며, 100m로 주어졌다. 따라서 SPL = PWL - 20log(100) - 11 이 된다. 로그 함수의 밑이 10이므로, 20log(100)은 20 x 2 = 40이 된다. 따라서 SPL = PWL - 40 - 11 이다. 이제 PWL이 0.1W일 때 SPL을 구해보면, PWL = 10log(0.1) = -10dBW 이다. 이를 대입하면 SPL = -10 - 40 - 11 = -61dB가 된다. 이 값은 "약 60dB"에 가깝다. 따라서 정답은 "약 60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유해작업환경 개선 대책 중 대체에 해당되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온재료 유리섬유 대신 석면 사용
  2.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리벳팅 작업 대신 너트와 볼트작업으로 전환
  3. 성냥제조 시 황린 대신 적린 사용
  4. 작은 날개로 고속 회전시키는 송풍기를 큰 날개로 저속 회전시킴
(정답률: 67%)
  • "보온재료 유리섬유 대신 석면 사용"은 옳지 않은 대책이다. 이는 대체재로서 적합하지 않으며, 오히려 석면은 유해물질로 분류되어 있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보온재료로는 다른 대체재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고기압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해에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산소
  2. 질소
  3. 아르곤
  4. 이산화탄소
(정답률: 67%)
  • 고기압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해는 대개 산소 독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산소와 가장 가까운 것이 가장 위험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아르곤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아르곤이 대기 중에서 가장 비활성성이 높은 기체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르곤은 대개 고기압 환경에서 안전한 기체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감압환경에서 감압에 따른 질소기포 형성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감압속도
  2. 폐내 가스팽창
  3. 조직에 용해된 가스량
  4. 혈류를 변화시키는 상태
(정답률: 60%)
  • 감압환경에서 감압에 따른 질소기포 형성량은 폐내 가스팽창과 조직에 용해된 가스량, 감압속도, 혈류를 변화시키는 상태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폐내 가스팽창이다. 폐내 가스팽창은 감압환경에서 폐 내부의 공기가 팽창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는 감압환경에서 질소기포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요인들이 질소기포 형성량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방진마스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특급
  2. 0급
  3. 1급
  4. 2급
(정답률: 76%)
  • "0급"은 방진마스크의 등급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방진성능이 없는 일반 마스크를 의미하기 때문에 방진마스크의 종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방진마스크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흡기저항이 높을 것
  2. 배기저항이 낮을 것
  3. 여과재 포집효율이 높을 것
  4. 착용 시 시야 확보가 용이 할 것
(정답률: 65%)
  • 방진마스크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흡기저항이 높을 것"이다. 이는 마스크를 착용할 때 숨을 들이는 데 필요한 저항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의 호흡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방진마스크는 흡기저항이 낮을 것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전리방사선이 아닌 것은?

  1. 알파선
  2. 베타선
  3. 중성자
  4. UV-선
(정답률: 70%)
  • UV-선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서 전리방사선이 아닙니다. 전리방사선은 핵분열이나 핵융합 등의 과정에서 방출되는 입자나 전자기파를 말합니다. 알파선과 베타선은 핵분열에서 방출되는 입자이며, 중성자는 핵융합에서 방출되는 입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대상먼지와 같은 침강속도를 가지며 밀도가 1인 가상적인 구형 입자상물질의 직경은?

  1. 마틴직경
  2. 등면적직경
  3. 공기역학적직경
  4. 공기기하학적직경
(정답률: 61%)
  • 공기역학적 직경은 입자의 운동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름으로, 입자가 공기 중에서 움직일 때 공기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계산된 값이다. 따라서 대상먼지와 같은 침강속도를 가지며 밀도가 1인 가상적인 구형 입자상물질의 직경을 구할 때는 공기역학적 직경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산업환기

61. 직경이 3㎍이고, 비중이 6.6인 흄(FUME)의 침강속도는 약 몇 cm/s인가?

  1. 0.01
  2. 0.12
  3. 0.18
  4. 0.26
(정답률: 64%)
  • 침강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침강속도 = (2(밀도차)gR^2)/(9η)

    여기서, 밀도차는 액체의 밀도에서 입자의 밀도를 뺀 값이다. g는 중력가속도, R은 입자의 반지름, η는 액체의 점성도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입자의 반지름 R은 1.5 x 10^-4 m이다. 밀도차는 (6.6 - 1) x 10^3 kg/m^3이다. 중력가속도 g는 9.8 m/s^2이다. 액체의 점성도 η는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흄의 경우에는 대략 10^-3 ~ 10^-2 Pa·s 범위 내에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침강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침강속도 = (2(6.6 x 10^3 - 1 x 10^3) x 9.8 x (1.5 x 10^-4)^2)/(9 x 10^-3)
    = 0.18 cm/s

    따라서, 정답은 "0.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21℃, 1기압에서 벤젠 1.5L가 증발할 때, 발생하는 증기의 용량은 약 몇 L인가?(단, 벤젠의 분자량은 78.11, 비중은 0.879이다.)

  1. 305.1
  2. 406.8
  3. 457.7
  4. 542.2
(정답률: 39%)
  • 이 문제는 클라푸롱 방정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클라푸롱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온도를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압력과 온도가 주어졌으므로, 부피를 구하기 위해 몰수를 계산해야 한다.

    먼저, 벤젠의 비중을 이용하여 부피를 계산한다.

    1.5L × 0.879 = 1.3185kg

    이제 몰수를 계산하기 위해 질량을 몰질량으로 변환한다.

    1.3185kg ÷ 78.11g/mol = 0.0169mol

    이제 클라푸롱 방정식을 이용하여 부피를 계산한다.

    V = nRT/P

    V = 0.0169mol × 0.0821 L·atm/mol·K × 294K / 1atm

    V = 0.4068L

    따라서, 발생하는 증기의 용량은 약 0.4068L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406.8"에 해당하며, 단위는 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설명 중 ( )안의 내용으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 : 1/10, ㉡ : 1/10
  2. ㉠ : 1/10, ㉡ : 1/30
  3. ㉠ : 1/30, ㉡ : 1/30
  4. ㉠ : 1/30, ㉡ : 1/10
(정답률: 53%)
  • 주어진 그림에서, 한 변의 길이가 10cm인 정사각형이 3개 있고, 그 중 가운데 정사각형의 대각선이 그려져 있다. 이 대각선은 가운데 정사각형을 2개의 삼각형으로 나누는데, 이 삼각형들의 넓이는 서로 같다. 따라서, 가운데 정사각형의 넓이는 전체 정사각형의 넓이의 1/10이고, 가운데 정사각형을 나누는 대각선의 길이는 전체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의 1/√2 이므로, 가운데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는 전체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의 1/√2 × 1/3 = 1/3√2 이다. 이 대각선은 가운데 정사각형을 2개의 삼각형으로 나누는데, 이 삼각형들의 밑변은 가운데 정사각형의 한 변이므로, 이 밑변의 길이는 10/2 = 5 이다. 따라서, 가운데 정사각형의 넓이는 (1/2) × 5 × (1/3√2) = 5/6√2 이다. 이 값은 전체 정사각형의 넓이의 1/10과 같으므로, ㉠과 ㉡의 값은 모두 1/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전체환기 시설의 설치조건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유해물질 발생량이 많아야 한다.
  2. 유해물질 발생량이 비교적 균일해야 한다.
  3. 독성이 낮은 유해물질을 사용하는 장소여야 한다.
  4. 공기 중 유해물질의 농도가 허용농도 이하여야 한다.
(정답률: 72%)
  • "유해물질 발생량이 많아야 한다."는 적절하지 않은 조건입니다. 전체환기 시설은 작업장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새로운 공기를 공급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유해물질 발생량이 많을수록 전체환기 시설의 효과는 떨어지게 됩니다. 유해물질 발생량이 적은 작업장에서 전체환기 시설을 설치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화재·폭발방지를 위한 전체환기량 계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재·폭발 농도 하한치를 활용한다.
  2. 온도에 따른 보정계수는 120℃ 이상의 온도에서는 0.3을 적용한다.
  3. 공정의 온도가 높으면 실제 필요환기량은 표준환기량에 대해서 절대온도에 따라 재계산 한다.
  4. 안전계수가 4라는 의미는 화재·폭발이 일어날 수 있는 농도에 대해 25%이하로 낮춘다는 의미이다.
(정답률: 51%)
  • "온도에 따른 보정계수는 120℃ 이상의 온도에서는 0.3을 적용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온도가 120℃ 이상일 때는 보정계수가 0.7이 적용되어야 하며, 120℃ 미만일 때는 보정계수가 1.0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유는 공기의 밀도가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는 더 많은 공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송풍기의 효율이 0.6이고, 송풍기의 유효전압이 60mmH2O 일 때, 30m3/min의 공기를 송풍하는데 필요한 동력(KW)은 약 얼마인가?

  1. 0.1
  2. 0.3
  3. 0.5
  4. 0.7
(정답률: 43%)
  • 송풍기의 효율이 0.6이므로, 유효전력은 유효전압에 유효전류를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유효전류는 유효전압을 송풍기의 저항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유효전류 = 유효전압 / 저항

    송풍기의 효율은 출력(공기의 운동에너지) / 입력(전기에너지) 이므로, 출력은 입력에 효율을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 입력 x 효율

    송풍기의 유효전압이 60mmH2O 이므로, 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유효전압 = 60mmH2O x 9.81N/m2/1000mmH2O x 0.001V/N = 0.5886V

    송풍기가 30m3/min의 공기를 송풍할 때 필요한 전류는 다음과 같다.

    전류 = (30m3/min x 1.2kg/m3) / (60s/min) = 0.6kg/s

    송풍기의 저항은 입력전력과 유효전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저항 = 유효전압 / 유효전류 = 0.5886V / 0.6kg/s = 0.981Ω

    따라서, 송풍기의 입력전력은 다음과 같다.

    입력전력 = 유효전압 x 유효전류 = 0.5886V x 0.6kg/s = 0.3532W

    송풍기의 출력은 입력전력에 효율을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출력 = 입력전력 x 효율 = 0.3532W x 0.6 = 0.2119W

    따라서, 송풍기의 동력은 출력에 공기의 운동에너지를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동력 = 출력 x (30m3/min x 1.2kg/m3) x (9.81m/s2) / 1000W/KW = 0.151KW

    따라서, 정답은 "0.5"가 아닌 "0.15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국소배기장치가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하기위해서는 후드를 통해 배출되는 것과 같은 양의 공기가 외부로부터 보충되어야 한다.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테이크 오프(take off)
  2. 충만실(plenum chamber)
  3. 메이크업 에어(make up air)
  4. 인 앤 아웃 에어(in & out air)
(정답률: 64%)
  • 국소배기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후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같은 양의 공기가 보충되어야 한다. 이것을 메이크업 에어라고 한다. 따라서, 메이크업 에어는 국소배기장치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국소배기장치의 덕트를 설계하여 설치하고자한다. 덕트는 직경 200mm의 직관 및 곡관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 때 마찰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곡관부위의 새우 곡관등은 최소 몇 개 이상이 가장 적당한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56%)
  • 새우 곡관은 곡률이 큰 부분에서 생기는 마찰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곡률이 큰 부분이 많은 곡관에서는 새우 곡관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직경 200mm의 덕트에서는 곡률이 큰 부분이 많기 때문에 최소 5개 이상의 새우 곡관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운전 및 유지비가 저렴하다.
  2. 넓은 범위의 입경과 분진농도에 집진효율이 높다.
  3. 기체상의 오염물질을 포집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4. 초기 설치비가 많이 들고, 넓은 설치공간이 요구된다.
(정답률: 48%)
  • 전기집진장치는 입자의 전하를 이용하여 입자를 포집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따라서 기체상의 오염물질도 포집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집진장치와 비교하여 매우 유리한 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반경비가 2.0인 90° 원형곡관의 속도압은 20mmH2O 이고, 압력손실계수가 0.27이다. 이 곡관의 곡관각을 65°로 변경하면, 압력손실은 얼마인가?

  1. 3.0mmH2O
  2. 3.9mmH2O
  3. 4.2mmH2O
  4. 5.4mmH2O
(정답률: 34%)
  • 압력손실계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압력손실계수 = (압력손실 / (밀도 × 속도제곱 × 곡관길이)) × (4 / π²)

    여기서, 압력손실 = 압력손실계수 × 밀도 × 속도제곱 × 곡관길이 × (π² / 4)

    반경비가 2.0인 90° 원형곡관의 압력손실은 다음과 같다.

    압력손실 = 0.27 × 1000 × 0.02² × 20² × (π² / 4) = 5.4mmH2O

    반경비가 2.0인 90° 원형곡관에서 곡관각을 65°로 변경하면, 곡관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속도제곱은 일정하다. 따라서, 압력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압력손실 = 압력손실계수 × 밀도 × 속도제곱 × 곡관길이 × (π² / 4) = 0.27 × 1000 × 0.02² × 20² × (π² / 4) = 5.4mmH2O

    따라서, 곡관각을 변경해도 압력손실은 변하지 않으므로, 정답은 "3.9mmH2O"가 아니라 "5.4mmH2O"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국소환기 시설의 일반적인 배열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덕트-후드-송풍기-공기정화기
  2. 후드-송풍기-공기정화기-덕트
  3. 덕트-송풍기-공기정화기-후드
  4. 후드-덕트-공기정화기-송풍기
(정답률: 75%)
  • 국소환기 시설에서는 먼저 작업장에서 발생한 유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후드가 설치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후드에서 흡입된 유해물질은 덕트를 통해 공기정화기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공기정화기에서 처리된 공기는 송풍기를 통해 작업장으로 다시 공급됩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배열순서는 "후드-덕트-공기정화기-송풍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가스, 증기, 흄 및 극히 가벼운 물질의 반송속도(m/s)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5~10
  2. 15~10
  3. 20~23
  4. 23이상
(정답률: 63%)
  • 가스, 증기, 흄 및 극히 가벼운 물질은 대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벼우며, 공기 중에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의 반송속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물질의 이동속도는 대기 상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5~10m/s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필요송풍량을 Q(m3/min), 후드의 단면적을 a(m2), 후드면과 대상물질 상이의 거리를 X(m) 그리고 제어속도를 Vc(m/s)라 했을 때, 관계식으로 맞는 것은? (단, 형식은 외부식이다.)

  1. Q = 60 × X × a × Vc
  2. Q = 60 × Vc × (10X2 + a)
(정답률: 59%)
  • 필요송풍량은 단위 시간당 후드 내부의 공기의 체적이므로, Q = X × a × Vc 이다. 하지만 대상물질과 후드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대상물질이 후드로 들어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늘어나므로, 제어속도 Vc를 곱할 때 거리의 제곱인 10X2를 더해준다. 따라서 Q = 60 × Vc × (10X2 + a)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표준상태에서 동압(Pv)이 4mmH2O라면, 관내유속은? (단, 공기의 밀도량 1.21kg/S·m3이다.)

  1. 5.1m/sec
  2. 5.3m/sec
  3. 5.5m/sec
  4. 8.0m/sec
(정답률: 37%)
  • 동압(Pv)과 유속(Q)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Pv = (ρQ2)/2

    여기서, ρ는 공기의 밀도량이다.

    따라서, 유속(Q)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2Pv/ρ)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Q = √(2×4/1.21) ≈ 2.78

    따라서, 답은 "5.1m/sec", "5.3m/sec", "5.5m/sec" 중 하나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8.0m/sec"가 정답이다. 이는 문제에서 제시된 값이 표준상태에서의 동압(Pv)이라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표준상태에서의 동압은 대기압과 같은 약 760mmH2O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인 4mmH2O는 매우 낮은 값이며, 이는 유속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8.0m/sec"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외부식 포집형 후드에 플랜지를 부착하면 부착하지 않은 것보다 약 몇 %정도의 필요송풍량을 줄일 수 있는가?

  1. 10%
  2. 25%
  3. 50%
  4. 75%
(정답률: 68%)
  • 외부식 포집형 후드에 플랜지를 부착하면 후드 주변의 공기 저항이 감소하게 되어, 필요한 송풍량이 감소합니다. 이 때, 플랜지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약 25% 정도의 필요송풍량 감소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의 내용과 가장 관련 있는 것은?

  1. 반송속도
  2. 덕트 내 정압
  3. 공기 팽창률
  4. 오영물질 제거율
(정답률: 64%)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공기압축기의 구조와 작동 원리이다. 반송속도는 공기압축기에서 공기가 압축되어 나가는 속도를 의미하며, 이미지에서는 "반송"이라는 단어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정답은 "반송속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송풍기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프로펠러 송풍기는 구조가 가장 간단하지만, 많은 양의 공기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그 만큼의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2. 저농도 분진함유공기나 금속성이 많이 함유된 공기를 이송시키는데 많이 이용되는 송풍기는 방사 날개형 송풍기(평판형 송풍기)이다.
  3. 동일 송풍량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향 날개형 송풍기의 임펠러 회전속도는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소음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4. 후향 날개형 송풍기는 회전날개가 회전방향 반대편으로 경사지게 설계되어 있어 충분한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전향 날개형 송풍기에 비해 효율이 떨어진다.
(정답률: 43%)
  • 동일 송풍량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향 날개형 송풍기의 임펠러 회전속도는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소음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전향 날개형 송풍기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날개의 각도와 회전 방향이 공기를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사용이 용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유입계수가 0.6인 플랜지 부착 원형후드가 있다. 덕트의 직경은 10cm이고, 필요환기량이 20m3/min라고 할 때, 후드정압(SPh)은 약 몇 mmH2O인가?

  1. -448.2
  2. -306.4
  3. -236.4
  4. -110.2
(정답률: 39%)
  • 유입계수가 0.6이므로, 플랜지 부착 원형후드의 유효면적은 0.6배가 된다. 따라서 유효면적은 0.6 x (π/4) x (0.1)2 = 0.0045m2이다.

    필요환기량이 20m3/min이므로, 덕트의 속도는 Q/A = 20/(π/4 x 0.12) = 509.3m/min이다.

    유동저항계수(K)는 0.3으로 가정하고, 덕트의 유효면적은 π/4 x (0.1)2 = 0.0079m2이다. 따라서 덕트의 정압손실은 K x (L/D) x (V2/2g) = 0.3 x (1/10) x (509.3)2/(2 x 9.81) = 7.8mH2O이다.

    후드와 덕트 사이의 손실은 후드정압(SPh)으로 나타낼 수 있다. 후드와 덕트 사이의 손실은 후드의 유효면적과 덕트의 유효면적의 비율에 따라 분배된다. 따라서 후드정압은 덕트의 정압손실 x (후드의 유효면적/덕트의 유효면적) = 7.8 x (0.0045/0.0079) = 4.46mH2O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를 mmH2O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4.46 x 1000 = 4460mmH2O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448.2이므로, 이는 반올림한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후드정압을 구하는 과정에서 덕트의 정압손실을 계산할 때, L/D 값을 1/10으로 가정했다. 이는 덕트의 길이와 직경에 따라 달라지는 L/D 값을 대표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또한 유동저항계수(K) 값도 가정값으로 사용했다. 이러한 가정값들은 실제 상황과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실제 상황에 맞는 값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공기정화장치 입구 및 출구의 정압이 동시에 감소되는 경우의 원인으로 맞는 것은?

  1. 송풍기의 능력 저하
  2. 분지관과 후드 사이의 분진 퇴적
  3. 주관과 분지관 사이의 분진 퇴적
  4. 공기정화장치 앞쪽 주관의 분진 퇴적
(정답률: 54%)
  • 송풍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고 다시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송풍기가 오랜 시간 사용되면서 분지관과 후드 사이나 주관과 분지관 사이, 혹은 공기정화장치 앞쪽 주관 등에서 분진이 쌓이면 송풍기의 흡입 능력이 저하됩니다. 이로 인해 입구와 출구의 정압이 동시에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청소와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후드직경(F3), 열원과 후드까지의 거리(H), 열원의 폭(E)간의 관계를 가장 적절히 나타낸 식은? (단, 레시바식 캐노피 후드 기준이다.)

  1. F3 = E + 0.3H
  2. F3 = E + 0.5H
  3. F3 = E + 0.6H
  4. F3 = E + 0.8H
(정답률: 44%)
  • 열원과 후드까지의 거리(H)가 멀어질수록 후드직경(F3)은 커져야 한다. 또한 열원의 폭(E)이 넓어질수록 후드직경(F3)도 커져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후드직경(F3)과 열원의 폭(E)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은 "F3 = E + 0.8H"이다. 이유는 후드직경(F3)은 열원과 후드까지의 거리(H)에 비례하므로 0.8H를 더해주고, 열원의 폭(E)에도 비례하므로 E를 더해준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F3 = E + 0.8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