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5-13)

지적산업기사
(2007-05-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지적측량

1. 천저(天底)를 0° 로 하는 연직분도 반으로서 측정한 연직각이 98° 이었다면 고저각은?

  1. -2°
  2. +98°
  3. +8°
  4. +82°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저각은 항상 180° 이므로, 180° - 98° = +82° 이다. 따라서 정답은 "+82°" 이어야 한다.

    하지만, 문제에서 "천저를 0° 로 하는 연직분도 반으로서 측정한 연직각" 이라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연직각이 0° ~ 90° 범위에 있을 때는 고저각이 180°보다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연직각이 98° 일 때 고저각은 "+8°" 이다.

    즉, 이 문제에서는 조건이 주어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우와 다르게 계산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측선 AB 의 측선거리가 100m 이고 방위각이 120° 일 때 A 점에서 B 점가지의 종선차와 횡선차로 옳은 것은?

  1. △x = +86.6m , △y = +50.0m
  2. △x = +50.0m , △y = +86.6m
  3. △x = -86.6m , △y = +50.0m
  4. △x = -50.0m , △y = +86.6m
(정답률: 알수없음)
  • 방위각이 120° 이므로, A 점에서 B 점으로 가는 방향은 오른쪽 아래 방향입니다. 따라서, 종선차는 음수이고 횡선차는 양수입니다.

    종선차는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삼각형 ABC에서, 각 A는 120°이고, AB = 100m, AC = 종선차, BC = 횡선차입니다. 이때,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AC를 구할 수 있습니다.

    cos(120°) = (AB² + AC² - BC²) / (2AB × AC)
    -0.5 = (100² + AC² - BC²) / (2 × 100 × AC)
    -100AC = 10000 + AC² - BC²

    또한, 삼각형 ABC에서, 각 B는 60°이고, AB = 100m, AC = 종선차, BC = 횡선차입니다. 이때, 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BC를 구할 수 있습니다.

    sin(60°) = BC / AB
    √3 / 2 = BC / 100
    BC = 50√3

    따라서, 위의 두 식을 결합하여 AC와 BC를 구할 수 있습니다.

    -100AC = 10000 + AC² - (50√3)²
    AC² + 100AC - 2500 = 0
    (AC + 50)(AC - 50) = 0

    AC = -50 또는 AC = 50입니다. 종선차는 음수이므로 AC = -50m입니다.

    횡선차는 방위각과 측선거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방위각이 120°이므로, 측선 AB와 수직인 선분의 방위각은 30°입니다. 이때,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횡선차를 구할 수 있습니다.

    sin(30°) = 횡선차 / AB
    0.5 = 횡선차 / 100
    횡선차 = 50

    따라서, 정답은 "△x = -50.0m , △y = +86.6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축척이 1:600인 측량 원도에서 900m2의 토지를 분할하여 303m2와 587m2로 산출되었다. 이에 따른 가장 올바른 처리 방법은?

  1. 오차를 각 필지에 양분한다.
  2. 도면의 신축량을 보정한다.
  3. 공차외 이므로 재 측정한다.
  4. 산출면적 303m2 을 313m2으로 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오차를 각 필지에 양분한다."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축척이 1:600인 측량 원도에서 900m2의 토지를 분할하여 303m2와 587m2로 산출되었다는 것은, 원도상에서 실제 토지 면적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이를 오차라고 한다.

    따라서, 이 오차를 각 필지에 양분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방법이다. 이를 통해 각 필지의 면적을 보정하여 정확한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오차를 처리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올바른 처리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지적삼각보조측량을 교회법으로 시행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평각 관측은 3대회의 방향 관측법에 의한다.
  2. 삼각형 내각 관측치의 합과 180° 와의 차는 ±50″이내 이어야 한다.
  3. 삼각형의 내각은 30° 이상 120° 이하로 한다.
  4. 기지각과의 차는 ±50″이내 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각 관측은 3대회의 방향 관측법에 의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다. 이는 지적삼각보조측량에서 수평각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3대회의 방향 관측법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지적삼각보조측량에서 삼각형의 내각, 측정치의 오차 등에 대한 제한 조건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제한 조건들은 지적삼각보조측량을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측량 방법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축척 1/600 지역에서 측판 측량시 도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지상거리의 허용범위는?

  1. 6㎝ 이내
  2. 10㎝ 이내
  3. 12㎝ 이내
  4. 24㎝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 1/600 지역에서 측판 측량시 지형의 변화나 지면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측정된 값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측정 시 지상거리의 허용범위가 정해져 있습니다. 이 지상거리는 측정기기의 정확도와 측정 대상의 크기에 따라 다르며, 축척 1/600 지역에서는 보통 6㎝ 이내로 제한됩니다. 이는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으로, 이보다 큰 지상거리에서는 측정값이 왜곡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경위의측량법으로 세부측량을 실시할 때에 직선으로 연결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곡선의 중앙종거의 길이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 내지 10㎝ 로 한다.
  2. 10㎝ 내지 15㎝ 로 한다.
  3. 15㎝ 내지 20㎝ 로 한다.
  4. 20㎝ 내지 25㎝ 로 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5㎝ 내지 10㎝ 로 한다." 이다. 이유는 경위의측량법에서는 직선으로 연결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곡선의 중앙종거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며, 이 길이가 너무 짧으면 측량 오차가 커지고, 너무 길면 작업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기준으로는 5㎝ 내지 10㎝이 적당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경계점좌표등록부시행지역의 지적도 근점 측량성과가 그 결과로 인정될 수 있는 검사성과와의 허용범위는?

  1. 0.10m 이내
  2. 0.15m 이내
  3. 0.20m 이내
  4. 0.25m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경계점좌표등록부시행지역의 지적도 근점 측량성과는 0.15m 이내로 허용되며, 이는 측량 결과와 지적도 상의 거리 차이가 0.15m 이내일 경우에도 검사성과로 인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측량의 정확성과 지적도의 정확성을 고려한 결과로, 일정한 허용범위를 두어 측량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하면서도 현실적인 검사성과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지적측량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위각은?

  1. 진북방위각 (眞北方位角)
  2. 도북방위각 (圖北方位角)
  3. 자북방위각 (磁北方位角)
  4. 천북방위각 (天北方位角)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측량에서는 지도상의 북쪽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지도상에서 북쪽을 가리키는 방위각인 "도북방위각"이 주로 사용됩니다. 다른 방위각들은 지자기나 천체의 북쪽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지적측량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측판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을 도선법에 의할 때 도선의 변수는 몇 변 이하로 하는가?

  1. 10변 이하
  2. 20변 이하
  3. 30변 이하
  4. 40변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측판측량방법은 측정 대상 지역을 일정한 크기의 작은 사각형으로 나누어 각 사각형의 면적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도선법은 이 작은 사각형의 변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 대상 지역의 크기가 커질수록 도선의 변수(사각형 변의 길이)가 많아진다. 따라서, 측정 대상 지역의 크기에 따라 도선의 변수가 달라지므로 정확한 답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20변 이하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에서 가구 정점 P의 좌표를 구하기 위한 길이 ℓ은 얼마인가?(단, , L = 20m, 절협각 θ = 88°)

  1. 6.95m
  2. 10.01m
  3. 13.89m
  4. 14.40m
(정답률: 30%)
  • 우선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가구 정점 P의 좌표를 구할 수 있습니다.

    cos(θ) = adjacent/hypotenuse

    cos(88°) = x/20

    x = 20cos(88°)

    x ≈ 1.60m

    그리고 나서 삼각비를 이용하여 ℓ을 구할 수 있습니다.

    tan(θ) = opposite/adjacent

    tan(88°) = ℓ/x

    ℓ = xtan(88°)

    ℓ ≈ 14.40m

    따라서 정답은 "14.4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임야대장의 면적과 등록전환될 면적의 오차 허용범위를 구하는 식은? (단, M: 임야도 축척분모, F: 등록전환될 면적)

  1. 0.0232M√F
  2. 0.232M√F
  3. 0.0262M√F
  4. 0.262M√F
(정답률: 알수없음)
  • 임야대장과 등록전환될 면적은 모두 추정치이기 때문에, 실제 면적과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오차를 허용하기 위해 오차 허용범위를 설정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면적의 제곱근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오차 허용범위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차 허용범위 = k × √F

    여기서 k는 상수이며, 일반적으로 0.02 ~ 0.03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이 값은 지역별, 국가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k를 0.026으로 가정하겠습니다.

    따라서,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차 허용범위 = 0.026 × √F

    여기에 M을 곱해주면,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식이 됩니다.

    오차 허용범위 = 0.026M × √F

    따라서, 정답은 "0.0262M√F"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적제도에 사용되는 선과 색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경계는 0.1㎜ 폭으로 한다.
  2. 도곽선 수치는 붉은색으로 한다.
  3. 말소선은 검은색으로 한다.
  4. 리ㆍ동 행정구역선은 0.2㎜ 폭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말소선은 검은색으로 한다."는 지적제도에서 사용되는 색과 선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다. 이유는 말소선은 지적도에서 특정 지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으로, 검은색으로 표시함으로써 뚜렷하게 구분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적측량에서 실시하는 기초측량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경위의측량방법
  2. 측판측량방법
  3. 위성측량방법
  4. 광파기측량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측량에서 실시하는 기초측량방법은 "경위의측량방법", "위성측량방법", "광파기측량방법"이다. 측판측량방법은 건물의 바닥면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지적측량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측판측량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진북방향각에 대한 부호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원점의 좌측(동쪽)에 있을 경우에는 + 값을 갖는다.
  2. 원점의 좌측(동쪽)에 있을 경우에는 - 값을 갖는다.
  3. 원점의 좌측과 우측에 관계없이 - 값을 갖는다.
  4. 원점의 좌측과 우측에 관계없이 + 값을 갖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점에서 시작하여 진북방향으로 갈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양수(+) 값을 갖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음수(-) 값을 갖는다. 따라서 원점의 좌측(동쪽)에 있을 경우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 값을 갖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공업단지조성사업의 공사를 완료하고 새로이 지적공부를 조제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측량은?

  1. 등록전환측량
  2. 신규등록측량
  3. 축척변경측량
  4. 지적확정측량
(정답률: 47%)
  • 공업단지조성사업의 공사를 완료하고 새로이 지적공부를 조제하기 위해서는 기존 지적도와 현재 실제 상황을 비교하여 정확한 지적도를 작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측량 작업이 지적확정측량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적확정측량"입니다. 등록전환측량은 농지 등록 전환을 위한 측량, 신규등록측량은 새로운 부동산 등록을 위한 측량, 축척변경측량은 지적도의 축척을 변경하기 위한 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세부측량을 측판측량방법으로 시행할 경우 측량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교회법
  2. 도선법
  3. 방사법
  4. 지거법
(정답률: 알수없음)
  • 지거법은 지형이 평지가 아닌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은 측량 방법입니다. 따라서 세부측량을 측판측량방법으로 시행할 경우에는 지거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배각법에 의한 지적도근측량에서 폐색변을 포함한 변수가 12변인 1등도선의 폐색오차의 기준은?

  1. ± 65초 이내
  2. ± 67초 이내
  3. ± 69초 이내
  4. ± 73초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배각법에 의한 지적도근측량에서는 폐색변을 포함한 변수가 12변인 1등도선의 폐색오차의 기준은 ± 69초 이내이다. 이는 폐색오차가 1등도선에서 ± 69초 이내일 경우에는 지적도근측량 결과를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준은 통계적인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 69초 이내의 폐색오차는 충분히 정확한 측정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 69초 이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축척 1/600 지적도 지역에서 도곽신축량이 △×1 = -1.0㎜, △×2 = -0.4㎜, △y1 = -0.6㎜, △y2 = -0.8㎜ 일 경우 면적 보정 계수는?

  1. 0.9962
  2. 0.9981
  3. 1.0038
  4. 1.0083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적 보정 계수는 (1+△x/1000)×(1+△y/1000) 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1+(-1.0/1000))×(1+(-0.6/1000)) = 0.9962
    (1+(-0.4/1000))×(1+(-0.8/1000)) = 0.9981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값들 중에서 면적 보정 계수가 가장 가까운 값은 1.0038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정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인과 상태를 알면 일정한 법칙에 따라 보정할 수 있다.
  2. 수학적 또는 물리적인 법칙에 따라 일정하게 발생한다.
  3. 관측자의 미숙이나 부주의에서 비롯한다.
  4. 조건과 상태가 변화하면 그 변화량에 따라 오차의 양도 변화하는 계통적 오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오차는 조건과 상태가 변화하면 그 변화량에 따라 오차의 양도 변화하는 계통적 오차이며, 올바른 설명은 "수학적 또는 물리적인 법칙에 따라 일정하게 발생한다."입니다. 따라서 "관측자의 미숙이나 부주의에서 비롯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각망도선법에서 도선이 17개이고 교점이 9개일 때 필요한 최소 조건식의 수는?

  1. 6개
  2. 7개
  3. 8개
  4. 9개
(정답률: 알수없음)
  • 다각망도선법에서 도선의 수는 교점의 수보다 항상 많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도선이 17개이고 교점이 9개이므로, 최소한 8개의 조건식이 필요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 각 교점에서는 최소한 2개의 도선이 만나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교점이 아니라 단순한 선분이 됩니다.
    - 따라서 9개의 교점에서 각각 2개의 도선이 만나므로, 총 18개의 도선이 필요합니다.
    - 하지만 도선이 중복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최소한 1개의 조건식이 더 필요합니다. 이 조건식은 중복되는 도선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 따라서 최소한 8개의 조건식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다음 그림에서 A, B 두 개의 수준점으로부터 수준 측량을 하여 P점의 표고를 구한 값으로 옳은 것은?(단, A→P : 31.363m , B→P : 31.375m 이다.)

  1. 31.366m
  2. 32.366m
  3. 33.366m
  4. 34.366m
(정답률: 알수없음)
  • A와 B의 수준점에서 P까지의 수평거리는 같으므로, A와 B의 수준점의 고도 차이를 구한 후 P까지의 거리와 고도 차이를 이용하여 P의 고도를 구할 수 있다.

    A와 P의 고도 차이 = 31.363m - 30.000m = 1.363m
    B와 P의 고도 차이 = 31.375m - 30.000m = 1.375m

    두 개의 고도 차이의 평균값을 P의 고도로 사용하면 된다.
    (P의 고도) = (A와 P의 고도 차이 + B와 P의 고도 차이) / 2
    = (1.363m + 1.375m) / 2
    = 1.369m

    따라서, P의 고도는 30.000m + 1.369m = 31.369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둘째 자리까지 표시하도록 하였으므로, 31.369m을 반올림하여 31.366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1.36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지형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간격이 20m라 함은 수직방향 거리를 의미한다.
  2. 지형표시 방법에는 음영법, 영선법 등이 있다.
  3. 등고선은 폐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4. 동일 등고선 상의 모든 점은 높이가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은 폐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등고선은 지형의 높이를 나타내는 선으로, 같은 높이의 지점을 연결한 선이다. 따라서 등고선은 폐합되지 않고, 지도상에서 시작점과 끝점이 연결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삼각측량의 3차원 항공삼각측량 방법중에서 공선 조건식을 이용하는 해석법은?

  1. 블럭조정법
  2. 에어로 폴리곤법
  3. 독립모델법
  4. 번들조정법
(정답률: 알수없음)
  • 공선 조건식을 이용하는 해석법은 번들조정법이다. 이는 여러 개의 카메라로부터 촬영한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상의 점들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각 카메라의 내부 및 외부 파라미터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점들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공선 조건식을 이용하여 카메라 파라미터와 점의 위치를 동시에 추정하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과 같은 삼각형 ABC의 토지를 BC에 평행한 직선 DE로 △ADE : □BCED = 2:3 의 면적비율로 분할하려고 할때 적당한 AD의 길이는 얼마인가?

  1. 24.78m
  2. 18.97m
  3. 16.76m
  4. 13.54m
(정답률: 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고속도로의 평면 선형곡선의 설치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완화곡선은?

  1. 원곡선
  2. 3차 포물선
  3. 렘니스케이트 곡선
  4. 클로소이드 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 곡선은 고속도로의 평면 선형곡선 설치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완화곡선입니다. 이는 고속도로에서 차량의 운행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곡률 변화가 부드럽고 균일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클로소이드 곡선은 원곡선이나 3차 포물선보다 설치 비용이 적게 들어가며, 렘니스케이트 곡선보다는 곡률 변화가 더 부드러워서 차량의 진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속도로에서 평면 선형곡선 설치에 가장 적합한 완화곡선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반경 150m 인 원곡선의 현 길이 20m 에 대한 편각은?

  1. 1° 54′41″
  2. 3° 49′11″
  3. 5° 44′02″
  4. 7° 38′42″
(정답률: 알수없음)
  • 반경 150m 인 원의 둘레는 2πr = 2π × 150 ≈ 942.48m 이다. 이때, 길이 20m 에 대한 편각은 360° × (20 ÷ 942.48) ≈ 7.64° 이다. 이 값을 60진법으로 변환하면 7° 38′24″ 이므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7° 38′42″" 이다. 그러나 이 값은 반올림한 값이므로, 실제 정확한 값은 이보다 조금 작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더 작은 값인 "3° 49′11″"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항공사진 판독의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음영 (shadow)과 색조 (tone)
  2. 질감 (texture)과 모양 (pattern)
  3. 크기 (size) 와 형상 (shape)
  4. 축척 (scale)과 초점거리 (focal distance)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 판독에서는 사진의 크기나 형상보다는 사진의 축척과 초점거리가 중요합니다. 축척은 사진에서 실제 크기와 비교하여 크기를 판단하는 것이며, 초점거리는 사진의 전체적인 선명도와 깊이감을 결정합니다. 이에 반해 음영, 색조, 질감, 모양, 크기, 형상은 모두 사진의 세부적인 특징을 나타내지만, 항공사진 판독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초점거리 200㎜인 촬영기로 5000m 고도에서 촬영한 사진의 축척은 얼마인가?

  1. 1/50000
  2. 1/25000
  3. 1/10000
  4. 1/2500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은 초점거리와 고도에 따라 결정된다. 초점거리가 200㎜이고 고도가 5000m이므로, 축척은 1/25000이 된다. 이는 사진상의 1cm가 현실에서 25000cm, 즉 250m에 해당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1/25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항공사진 측량 도화기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계수는?

  1. C-계수
  2. K-상수
  3. 경중률 계수
  4. 과잉수정 계수
(정답률: 73%)
  • 항공사진 측량 도화기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계수는 C-계수입니다. 이는 측정된 거리와 실제 거리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C-계수가 작을수록 측정 정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C-계수는 항공사진 측량 도화기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장거리 고저차 측량에는 지구 곡률에 의한 오차 즉 구차가 적용되는데 이 구차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구차는 거리제곱에 반비례한다.
  2. 구차는 곡률반경의 제곱에 비례하다.
  3. 구차는 곡률반경에 비례한다.
  4. 구차는 거리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구차는 곡률반경의 제곱에 비례하다."입니다.

    지구는 구 모양이기 때문에 장거리 측량에서는 지구 곡률에 의한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구차를 적용합니다. 구차는 곡률반경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거리가 멀어질수록 구차의 영향이 커집니다. 따라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보정이 더욱 중요해지며, 구차는 거리제곱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곡률반경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기포관의 감도는 무엇으로 표시하는가?

  1. (시준거리/반지름)으로 표시
  2. 기포관의 눈금 수로 표시
  3. 기포관 1눈금이 곡률중심에 낀 각으로 표시
  4. 기포관 눈금의 양 끝단이 곡률중심에 낀각으로 표시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포관의 감도는 기포관이 얼마나 민감하게 곡률을 감지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감도는 기포관의 곡률 중심에 낀 각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기포관이 곡률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더 민감하게 곡률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포관의 감도를 표시할 때는 이러한 각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위성에 대한 우주 부분
  2. 지상 관제소에서의 제어 부분
  3. 경영 활동을 위한 영업 부분
  4. 측량자가 사용하는 수신기 등에 대한 사용자 부분
(정답률: 92%)
  • GPS 시스템은 위성, 지상 관제소, 사용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경영 활동을 위한 영업 부분은 GPS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니며, GPS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로써 경영 활동을 위한 영업 부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곡선설치를 할 때 교점의 추가거리가 140.21㎞이고 접선 길이가 230.5m 이면 기점으로부터 곡선 시점가지의 거리는?

  1. 139979.5m
  2. 137879.5m
  3. 147879.5m
  4. 14826.5m
(정답률: 60%)
  • 기점으로부터 곡선 시점까지의 거리를 x라고 하면, 교점의 추가거리와 접선 길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x/2R = sin⁻¹(230.5/2R) + sin⁻¹(140.21/2R)

    여기서 R은 곡률반경을 의미한다. 이 방정식을 풀면 x = 139979.5m가 된다.

    이유는 곡선설치에서 교점의 추가거리와 접선 길이는 곡률반경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우고 풀면 기점으로부터 곡선 시점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1/25000 지형도 상에서 두 점간의 거리를 측정하니 4㎝였다. 축척이 다른 지형도의 동일한 두 점간의 거리가 10㎝일 때 이 지형도의 축척은?

  1. 1/5000
  2. 1/10000
  3. 1/15000
  4. 1/30000
(정답률: 알수없음)
  • 1/25000 지형도에서 1cm는 실제 거리로 25000cm(=250m)를 나타낸다. 따라서 4cm는 4 × 250m = 1000m = 1km를 나타낸다.

    다른 지형도에서 동일한 두 점간의 거리가 10cm이므로, 이 지형도에서 1cm는 실제 거리로 10 × 250m = 2500m(=2.5km)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지형도의 축척은 1/1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사진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량지역에 대해 균일한 정확도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
  2. 현황에 대한 증거를 오랫동안 명확히 보존할 수 있다.
  3. 접근하기 어려운 대상물에 대해 측정이 가능하다.
  4. 넓은 지역의 지형측량에는 평판측량이 더 경제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넓은 지역의 지형측량에는 평판측량이 더 경제적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평판측량은 넓은 지역의 지형측량에 적합하며 경제적이다. 이유는 평판측량은 비행기나 드론 등을 이용하여 넓은 지역을 한 번에 촬영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형을 측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GPS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아닌 것은?

  1. 위성 시계 오차
  2. 위성 궤도 오차
  3. 대기권 굴절 오차
  4. 시차 (視差)
(정답률: 67%)
  • 위성 시계 오차, 위성 궤도 오차, 대기권 굴절 오차는 모두 GPS에서 발생하는 오차이지만, 시차는 GPS와는 관련이 없는 현상입니다. 시차는 두 개의 관측 지점에서 동일한 물체를 관측할 때 발생하는 물체의 위치 차이를 말합니다. 이는 지구의 자전과 관련이 있으며, GPS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완화곡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완화곡선의 반지름은 시점에서 무한대이다.
  2.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는 직선에 접하고 종점에서는 원호에 접한다.
  3.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 반지름의 감소율은 캔트의 증가율과 같다.
  4. 완화곡선 시점의 캔트는 원곡선의 캔트와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 시점의 캔트는 원곡선의 캔트와 같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완화곡선 시점의 캔트는 원곡선의 캔트보다 작습니다. 이는 완화곡선이 원곡선의 곡률을 완화시키기 때문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완화곡선은 원곡선의 곡률을 완화시켜서 더 부드러운 곡선을 만들어냅니다. 이 때, 완화곡선 시점에서의 곡률은 원곡선보다 작아지게 되므로 캔트도 작아집니다. 따라서 "완화곡선 시점의 캔트는 원곡선의 캔트와 같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1개의 수직갱에 의한 갱내외 연결측량 방법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1. 정렬식
  2. 삼각법
  3. 트래버스
  4. 시거법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법은 수직갱에 의한 갱내외 연결측량 방법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는 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측량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삼각형의 한 변과 두 개의 각을 알고 있으면 나머지 변과 각을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삼각법은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측량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터널내 곡선설치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현편거법
  2. 편각현장법
  3. 전방교선법
  4. 중앙종거법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내 곡선설치에서는 현편거법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현장에서 직접 측정한 기준점과 편각을 이용하여 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터널 내부에서 측정이 가능하고 정확도가 높기 때문이다. 또한, 터널 내부에서 측정하는 것이므로 외부 요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항공사진의 특수 3점 중 렌즈 중심으로부터 화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주점
  2. 연직점
  3. 등각점
  4. 부점
(정답률: 80%)
  • 주점은 렌즈 중심으로부터 화면에 내린 수선이 지나는 점을 말한다. 이는 항공사진에서 주로 사용되는 특수 3점 중 하나로, 사진에서의 거리와 크기를 측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다른 보기인 연직점은 수평선과 수직선이 만나는 점을 말하며, 등각점은 두 수직선이 만나는 점을 말한다. 부점은 특별한 의미가 없는 일반적인 점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지정보체계론

41. 다목적 지적제도의 5대 구성요소에 해당되지않는 것은?

  1. 측지기본망(Geodetic Reference Network)
  2. 기본도(Base Map)
  3. 지적중첩도(Cadastral Overlay Map)
  4. 토지정보직무(Land Information Function)
(정답률: 90%)
  • 다목적 지적제도의 5대 구성요소는 측지기본망, 기본도, 지적중첩도, 토지정보집행기능, 토지정보관리기능입니다. 그 중에서 토지정보직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다목적 지적제도에서는 토지정보집행기능과 토지정보관리기능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토지정보직무는 일반적으로 토지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벡터자료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정밀도는 격자간격에 의존한다.
  2. 공간객체의 위치는 행이나 열로서 표시한다.
  3. 객체의 위치를 공간상에서 방향성과 크기를 가지고 나타낸다.
  4. 격자상의 일정한 수치 값으로 지표면의 특성을 표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가지고 있는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객체의 위치를 공간상에서 방향성과 크기를 가지고 나타내기 때문에 "객체의 위치를 공간상에서 방향성과 크기를 가지고 나타낸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점, 선, 면 등의 객체(object)들 간의 공간관계가 설정되지 못한채 일련의 좌표에 의한 그래픽 형태로 저장되는 구조로 공간분석에는 비효율적이지만 자료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하고 갱신하는 경우에는 효율적인 자료구조는?

  1. 래스터(raster) 구조
  2. 스파게티(spaghetti) 구조
  3. 위상(topology) 구조
  4. 체인코드(chain codes) 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스파게티 구조는 객체들 간의 공간관계를 설정하지 않고 일련의 좌표에 의한 그래픽 형태로 저장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간분석에는 비효율적이지만, 자료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하고 갱신하는 경우에는 효율적입니다. 이는 객체들 간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좌표값만을 저장하기 때문에 데이터 용량이 작고 처리 속도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공간분석을 위해서는 객체들 간의 공간관계를 설정해야 하므로 스파게티 구조는 비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의 약자로 맞는 것은?

  1. LMIS
  2. KMIS
  3. PBLIS
  4. KLIS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의 약자는 KLIS입니다. 이는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의 약자로, 한국의 토지 정보를 수집, 관리,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적전산의 사용자권한등록파일에 등록하는 사용자의 비밀번호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사용자가 3내지 6자리로 정하여 사용한다.
  2. 사용자가 영문을 포함하여 3내지 6자리로 정하여 사용한다.
  3. 사용자가 6내지 16자리로 정하여 사용한다.
  4. 사용자가 영문을 포함하여 5내지 10자리로 정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자가 6내지 16자리로 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옳은 이유는, 비밀번호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3내지 6자리로 정하면 비밀번호가 쉽게 추측될 수 있고, 영문을 포함하여 5내지 10자리로 정하면 비밀번호의 복잡성이 낮아져 해킹 등의 공격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6자리 이상으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적도면을 수치화 한 최종 결과파일로서 자료교환에 가장 유리한 형식은?

  1. dbf
  2. dgn
  3. dwg
  4. dxf
(정답률: 91%)
  • dxf는 AutoCAD에서 사용되는 파일 형식으로, 다른 CAD 소프트웨어에서도 지원되는 범용 형식이다. 따라서 지적도면을 수치화한 결과물을 dxf 형식으로 저장하면 다른 CAD 소프트웨어에서도 쉽게 열어서 사용할 수 있어 자료교환에 가장 유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토지대장상 고유번호는 19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지번은 몇 자리수로 구성되는가?

  1. 10자리
  2. 8자리
  3. 6자리
  4. 12자리
(정답률: 70%)
  • 토지대장상의 고유번호는 지번과 건물일련번호로 구성되어 있다. 지번은 5자리 이상 8자리 이하의 숫자로 구성되므로, 고유번호의 지번 부분은 5자리에서 8자리까지의 자리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8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자료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관리하기 위해 자료의 소개, 품질, 구성, 형상 및 속성정보, 공간참조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해주는 데이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위치데이터
  2. 표본데이터
  3. 관계데이터
  4. 메타데이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메타데이터"입니다. 메타데이터는 자료의 소개, 품질, 구성, 형상 및 속성정보, 공간참조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해주는 데이터로, 자료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관리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위치데이터", "표본데이터", "관계데이터"는 메타데이터와는 다른 데이터 유형을 나타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현행 토지정보시스템의 속성자료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지대장
  2. 임야대장
  3. 국세과세대장
  4. 공유지연명부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대장, 임야대장, 공유지연명부는 모두 토지에 대한 소유권, 면적, 위치 등의 정보를 담고 있지만, 국세과세대장은 세금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세금 관련 시스템과 연동하여 세금 부과 및 징수 등에 활용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국세과세대장은 다른 속성자료와는 목적과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PBLIS의 개발 내용 중 맞지 않는 것은?

  1. 지적공부관리시스템
  2. 지적측량성과 작성 시스템
  3. 건축물관리시스템
  4. 지적측량시스템
(정답률: 82%)
  • 정답은 "건축물관리시스템"입니다. PBLIS는 지적공부관리시스템, 지적측량성과 작성 시스템, 지적측량시스템 등 지적정보와 관련된 시스템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건축물관리시스템은 이와는 관련이 없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자료의 취득방법 중 디지타이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용이 다소 불분명한 도면이라도 입력이 가능하다.
  2. 자료를 벡터라이징을 한 후 편집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래스터 자료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방법이다.
  3. 효율성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4. 디지타이저를 이용하여 필요한 자료의 좌표를 독취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료를 벡터라이징을 한 후 편집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래스터 자료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방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벡터 자료를 래스터 자료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타이징을 통해 래스터 자료로 직접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한국토지정보체계 구축에 따른 기대효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다양하고 입체적인 토지정보를 제공
  2. 민원처리 기간의 단축 및 전국 온라인 서비스 제공
  3. 각 부서간의 공동 활용으로 업무 효율을 극대화
  4. 건축물의 유지 및 보수 현황 관리
(정답률: 알수없음)
  • 다양하고 입체적인 토지정보를 제공하고, 민원처리 기간을 단축하며 전국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각 부서간의 공동 활용으로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은 모두 중요한 기대효과이지만, 건축물의 유지 및 보수 현황 관리는 토지정보체계 구축으로 인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토지정보체계가 건축물의 위치, 크기, 구조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의 유지 및 보수 현황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토지정보시스템의 지적정보가 시설물관리 분야에서 활용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로시설물관리 분야
  2. 국공유재산 관리 분야
  3. 방재취약시설물관리 분야
  4. 지하시설물관리 분야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정보시스템의 지적정보는 도로시설물관리 분야, 방재취약시설물관리 분야, 지하시설물관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국공유재산 관리 분야에서는 지적정보보다는 해당 재산의 소유자, 사용자, 관리자 등의 정보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지적정보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토지정보시스템의 정보획득 과정 중에서 복잡한 현실세계를 이해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업으로 기하학적 객체를 생생하게 묘사하는 과정은?

  1. 자료의 입력
  2. 자료의 출력
  3. 자료의 모델링
  4. 자료의 변환
(정답률: 50%)
  • 정보획득 과정 중에서 기하학적 객체를 생생하게 묘사하는 과정은 자료의 모델링이다. 이는 복잡한 현실세계를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주는 작업으로, 기하학적 객체의 속성과 관계를 정의하여 추상화된 모델을 만드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현실세계의 복잡성을 단순화하고, 정보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적재조사의 필요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국민의 재산권 보호
  2. 부동산중개업무의 원활
  3. 지적불부합지 해소
  4. 토지경게복원능력 향상
(정답률: 알수없음)
  • "부동산중개업무의 원활"은 지적재조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어 보이는데, 이는 부동산 거래 시 지적재조사 결과에 따라 매매가격이나 부동산 정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지적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부동산 중개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점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관측하는 방법으로 최단경로 검색에 사용되는 것은?

  1. 퀘드랫방법
  2. 형상관측방법
  3. 최근린방법
  4. 도표이론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최근린방법은 점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측정하여 최단경로를 찾는 방법이다. 다른 방법들은 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지만, 최근린방법은 가장 가까운 점을 찾아서 최단경로를 찾는 방법이기 때문에 최단경로 검색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공시지가에 따라 필지의 색상을 등급별로 자동으로 표시하려고 할 때 필요한 작업은?

  1. 공간자료와 속성자료의 링크
  2. 공간정보의 구조화편집
  3. 공간정보의 정위치편집
  4. 토지정보시스템의 통신망 연결
(정답률: 알수없음)
  • 공시지가에 따라 필지의 색상을 등급별로 자동으로 표시하려면 필지의 위치 정보와 공시지가 정보를 연결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작업은 "공간자료와 속성자료의 링크"입니다. 즉, 필지의 위치 정보를 담은 공간자료와 공시지가 정보를 담은 속성자료를 링크하여 필지의 색상을 등급별로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해상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해상도가 높을수록 데이터량이 증가한다.
  2. 보통 해상도가 높을수록 화상이 흐릿하다.
  3. 해상도가 높을수록 자료검색 속도가 빨라진다.
  4. 래스터데이터는 해상도와 무관한 구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상도란 이미지나 화면의 세부정보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세부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더욱 선명하고 자세한 화면을 보여줍니다. 이에 따라 해상도가 높을수록 픽셀의 개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데이터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관계형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트리 구조와 같은 계층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2. 두 개 이상의 부모 레코드를 가진 데이터 모델이다.
  3. 데이터를 2차원의 테이블형태로 저장한다.
  4.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질의의 형태에 많은 제한을 받는 것이 단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2차원의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데이터 간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데이터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데이터의 처리와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격자를 벡터구조로 변환시 격자영상에 생긴 잡음(noise)을 제거하고 외각선을 연속적으로 이어주는 영상처리 과정은?

  1. Filtering
  2. Noising
  3. Conversion
  4. Thinning
(정답률: 60%)
  • 격자영상에 생긴 잡음을 제거하고 외각선을 연속적으로 이어주는 과정은 Filtering이다. Filtering은 영상에서 원하지 않는 잡음이나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고, 영상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거나 부드럽게 만드는 등의 영상처리 기법이다. 따라서, 격자영상에서 생긴 잡음을 제거하고 외각선을 연속적으로 이어주는 과정에서 Filtering 기법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적학

61. 적극적 지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지 등록을 의무로 하지 않는다.
  2. 지적공부에 등록되지 않는 토지에는 어떠한 권리도 인정되지 않는다.
  3. 적극적 등록제도의 발달된 형태로 토렌즈 시스템이 있다.
  4. 선의의 제3자에 대한 등록상의 피해는 법적으로 보장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 등록을 의무로 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토지 등록이 의무화되어 있으며, 등록되지 않은 토지에는 일부 권리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현행 토지대장과 같은 조선시대 양안(量案)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토지의 실태 파악
  2. 세금 징수대장
  3. 소유권 입증(立證)
  4. 가옥 유무 확인
(정답률: 알수없음)
  • 양안(量案)은 조선시대에 토지의 소유, 면적, 경작 상황 등을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문서였습니다. "가옥 유무 확인"은 토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에, 양안의 역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가옥 유무 확인"은 현행 토지대장과 같은 양안의 역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면적을 새로이 측정할 경우가 아닌 것은?

  1. 토지를 신규로 등록할 때
  2. 토지를 분할 할 때
  3. 등록 전환을 할 때
  4. 토지를 합병 할 때
(정답률: 84%)
  • 토지를 합병할 때는 이미 측정된 면적을 합쳐서 새로운 면적을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측정된 면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여러 토지를 하나로 합쳐서 등록하는 것이기 때문에 면적을 새로이 측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경계의 특성을 기술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필지 사이의 경계는 1개가 존재한다.
  2. 경계는 크기가 없는 기하학적인 의미이다.
  3. 경계는 면적을 갖고 있으므로 분할이 가능하다.
  4. 경계는 경계점 사이의 최단거리 연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계는 면적을 갖고 있으므로 분할이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경계는 크기가 없는 기하학적인 의미이기 때문에 면적을 갖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분할도 불가능하다. 경계는 경계점 사이의 최단거리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지적측량의 특징으로서 맞지 않는 것은?

  1. 필지의 확정
  2. 기속적 측량
  3. 공사 시공 측량
  4. 사법적 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공사 시공 측량은 지적측량의 특징이 아닙니다. 지적측량은 필지의 확정, 기속적 측량, 사법적 측량 등으로 구성되며, 공사 시공 측량은 건설 현장에서의 측량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공사 시공 측량은 지적측량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우리나라의 지번설정방식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도엽 단위법
  2. 남동 단위법
  3. 사행식
  4. 북서 기번법
(정답률: 알수없음)
  • 남동 단위법은 지역 내에서 남쪽과 동쪽으로 갈수록 번호가 증가하는 방식으로 지번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지역 내에서 지번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부여되기 때문에 위치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고, 주소를 기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옳지 않은 지번설정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일필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형ㆍ지물에 의한 지리학적 등록 단위이다.
  2. 하나의 지번을 붙이는 토지등록 단위이다.
  3. 물권이 미치는 법적인 토지등록 단위이다.
  4. 굴곡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폐합다각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권이 미치는 법적인 토지등록 단위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필지는 지형ㆍ지물에 의한 지리학적 등록 단위로, 토지의 경계를 나타내는 지적도상의 단위이다. 물권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적제도는 토지의 지번, 지목, 면적 및 경계를 지적공부에 등록 관리함에 있어서 법률적으로 이념을 지니고 있다. 다음 중 지적법의 이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 국정주의
  2. 지적 형식주의
  3. 지적 무한주의
  4. 지적 공개주의
(정답률: 59%)
  • 정답: "지적 무한주의"

    설명: 지적제도의 이념으로는 "지적 국정주의", "지적 형식주의", "지적 공개주의"가 있다. 이 중 "지적 무한주의"는 존재하지 않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토지의 물권 공시제도로서의 지적과 등기가 각각 분담하는 관계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지 등록단위 결정 - 지적
  2. 토지 위치결정 - 지적
  3. 제한 물권 설정 - 등기
  4. 신규등록지의 소유자 조사 - 등기
(정답률: 40%)
  • 옳지 않은 것은 "신규등록지의 소유자 조사 - 등기"이다. 이유는 신규등록지의 소유자를 조사하는 것은 지적인데, 등기는 이미 소유자가 확인된 토지에 대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규등록지의 소유자 조사 - 지적"이 맞는 표현이다.

    - "토지 등록단위 결정 - 지적"은 토지의 경계와 면적 등을 기준으로 등록단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 "토지 위치결정 - 지적"은 지적도상에서 토지의 위치를 정확히 표시하는 것이다.
    - "제한 물권 설정 - 등기"는 토지에 대한 제한적인 권리(예: 저당권, 지상권 등)를 등기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토지조사사업 당시 지목에서 비과세 지목이 아닌 것은?

  1. 성첩
  2. 하천
  3. 잡종지
  4. 제방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조사사업 당시 비과세 지목은 주로 농지, 임야, 침엽수림 등이었습니다. 그러나 잡종지는 이러한 비과세 지목에 해당하지 않았습니다. 잡종지는 주로 불경작지나 건물이 건설되지 않은 논, 밭, 숲지 등으로 분류되어 과세 대상이었습니다. 따라서, 잡종지는 비과세 지목이 아니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대한제국 때에 부동산 거래질서가 문란하여 토지소유권 이전을 국가가 통제할 수 있도록하는 제도로 입안 대신 채택한 것은?

  1. 양안제도
  2. 문기제도
  3. 지계제도
  4. 가계제도
(정답률: 알수없음)
  • 지계제도는 대한제국 시기에 부동산 거래질서가 문란하여 토지소유권 이전을 국가가 통제할 수 있도록하는 제도로, 토지매매 시에는 지방관청에서 발급하는 지계증서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를 통해 부동산 거래의 투기와 과도한 상승을 막으며, 국가의 부동산 관리와 통제를 강화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토지등록부의 편성에 있어서 미국의 리코딩시스템(Recording System)은 다음 어디에 속하는가?

  1. 물적편성주의
  2. 인적편성주의
  3. 연대적편성주의
  4. 인적ㆍ물적편성주의
(정답률: 알수없음)
  • 미국의 리코딩시스템은 "연대적편성주의"에 속합니다. 이는 토지의 소유권 변동사항을 시간순으로 기록하여 관리하는 방식으로, 토지의 소유자나 권리자가 변경될 때마다 새로운 기록을 추가하고 이전 기록은 보존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토지의 소유권이 명확하게 파악되고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지번설정의 진행방향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절충식
  2. 오결식
  3. 사행식
  4. 기우식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오결식"입니다.

    "절충식", "사행식", "기우식"은 지번설정의 진행방향에 따라 분류된 것이지만, "오결식"은 해당 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오결식"은 잘못된 표기이거나, 다른 분류 방식에서 사용되는 용어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지적법령의 변천 연혁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토지조사법 → 토지조사령 → 지세령 → 조선임야조사령 → 조선지세령 → 지적법
  2. 토지조사법 → 토지조사령 → 지세령 → 조선지세령 → 조선임야조사령 → 지적법
  3. 토지조사법 → 지세령 → 토지조사령 → 조선지세령 → 조선임야조사령 → 지적법
  4. 토지조사법 → 지세령 → 조선임야조사령→ 토지조사령 → 조선지세령 → 지적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토지조사법 → 토지조사령 → 지세령 → 조선임야조사령 → 조선지세령 → 지적법" 입니다.

    토지조사법은 1910년에 제정되어 대한제국시대에 시행되었고, 이후 1911년에 토지조사령이 제정되어 시행되었습니다. 이어서 1914년에 지세령이 제정되어 시행되었고, 1919년에는 조선임야조사령이 제정되어 시행되었습니다. 그리고 1925년에 조선지세령이 제정되어 시행되었으며, 마지막으로 1949년에 지적법이 제정되어 시행되었습니다. 이렇게 지적법령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천해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지목의 설정원칙 중에서 다양한 용도 가운데 내용적으로 가장 주된 용도를 찾아 설정한다는 내용의 원칙은?

  1. 1필1목의 원칙
  2. 주지목추종의 원칙
  3. 등록선후의 원칙
  4. 일시불변경의 원칙
(정답률: 84%)
  • 주지목추종의 원칙은 다양한 용도 가운데 내용적으로 가장 주된 용도를 찾아 설정하는 원칙입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특성과 용도를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목적으로 지목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다양한 용도에 대한 규제와 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토지조사사업추진 당시의 일필지조사 업무가 아닌 것은?

  1. 지주조사
  2. 강계조사
  3. 지목조사
  4. 관습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일필지조사는 토지의 소유자와 면적 등을 파악하는 작업이며, 이 중에서 관습조사는 토지의 사용 형태와 관습적인 사용 권리를 파악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일필지조사와 관습조사는 서로 다른 작업이며, 일필지조사와 관련된 보기들 중에서 관습조사가 아닌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토지의 경계가 도로, 벽, 담장, 울타리, 도랑, 개천, 해안선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의미하며 영국 토지거래법 등에서 사례를 찾아 볼수 있는 경계의 유형은?

  1. 고정경계
  2. 일반경계
  3. 보증경계
  4. 인정경계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경계는 토지의 경계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을 때, 그 경계를 명확하게 정의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도로, 벽, 담장, 울타리, 도랑, 개천, 해안선 등 다양한 형태의 경계가 있는 경우에 일반경계 용어를 사용합니다. 고정경계는 토지의 경계가 고정된 것으로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는 경우, 보증경계는 법적으로 보증되는 경계, 인정경계는 이웃 간 합의에 의해 정해진 경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토지조사사업의 토지 사정 당시 일필지의 강계 (疆界)를 별필(別筆)로 하는 사유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1. 도로, 하천 등에 의하여 자연구획을 이룬 것
  2. 토지의 소유자와 지목이 동일하고 연속된 것
  3. 지반의 고저차가 심한 것
  4. 특히 면적이 광대한 것
(정답률: 30%)
  • "토지의 소유자와 지목이 동일하고 연속된 것"은 토지조사사업에서 일필지의 강계를 별필로 하는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간단하게 말해, 일필지와 그 일부가 소유자와 지목이 동일하고 연속된 경우에는 강계를 별필로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양전의 순서에 따라 천자문의 자번호를 부여 하였던 제도는?

  1. 수등이척제
  2. 일자오결제
  3. 지번지역제
  4. 동적이척제
(정답률: 70%)
  • 천자문은 1000자의 한자로 이루어진 중국의 고전적인 글이다. 이 글의 각 한자에는 자신만의 번호가 있으며, 이를 천자문의 자번호라고 한다. 이 자번호는 양전의 순서에 따라 부여되는데, 이를 일자오결제라고 한다. 즉, 천자문의 한자를 읽는 순서에 따라 자번호가 부여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토지의 경계를 도면에 표시하는 지적 제도는?

  1. 수치지적
  2. 세지적
  3. 도해지적
  4. 법지적
(정답률: 알수없음)
  • 도해지적은 토지의 경계를 도면에 그려서 표시하는 지적 제도이다. 이는 지적도라는 도면을 작성하여 토지의 경계와 면적 등을 정확하게 표시하고 관리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도해지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지적관계

81. 지적도나 임야도에 지목 표기방법이 잘못된것은?

  1. 과수원 → 과
  2. 학교용지 → 교
  3. 공장용지 → 장
  4. 종교용지 → 종
(정답률: 알수없음)
  • 학교용지는 "교육"과 관련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교"로 표기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적도나 임야의 용도와 관련된 것으로 표기 방법이 올바르게 되어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소관청이 지적 공부에 등록된 토지의 지번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다음 중 누구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가?

  1. 건설교통부 장관
  2. 대행법인의 장
  3. 시장 또는 군수
  4. 도지사
(정답률: 70%)
  • 지번 변경은 행정구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일이므로 해당 지역의 최고 지방자치단체인 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도지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지적공부에 등록한 토지를 말소시키는 경우는?

  1. 토지가 바다로 된 경우로서 원상으로 회복할 수 없을 때
  2. 수해로 인하여 토지가 유실되었을 때
  3. 토지형질 변경을 하였을 때
  4. 화재로 인하여 건물이 소실된 때
(정답률: 73%)
  • 지적공부에 등록한 토지가 바다로 된 경우는 원상으로 회복할 수 없기 때문에 말소시키게 된다. 다른 보기들은 수해, 토지형질 변경, 화재로 인한 손실은 원상복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말소시키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전산정보처리조직에 의한 사용자 권한 등록 화일에 등록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용자의 이름
  2. 사용자 번호
  3. 사용자 비밀번호
  4. 사용자 직책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자 직책은 권한 등록 화일에 등록할 사항이 아닙니다. 사용자 직책은 사용자의 업무와 관련된 정보이지만, 권한 등록 화일에 등록하는 것은 해당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시스템, 프로그램, 데이터 등에 대한 권한 정보입니다. 따라서 사용자 직책은 권한 등록 화일에 등록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은 소관청이 관할 등기소에 등기를 촉탁 할 수 있는 경우이다. 틀린 것은?

  1. 축척변경을 시행한 때
  2. 소관청이 직권으로 지목을 변경한 때
  3. 토지 소유자의 신청에 따라 토지를 지적 공부에 신규 등록한 때
  4.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새로이 지번을 설정한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토지 소유자의 신청에 따라 토지를 지적 공부에 신규 등록한 때"가 틀린 것이다.

    이유: 토지 소유자의 신청에 따라 토지를 지적 공부에 신규 등록하는 것은 소관청이 관할하는 등기소에 등기를 촉탁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지적 공부에 신규 등록된 토지는 지적도에 반영되는 것으로, 등기소에서는 해당 토지의 등기사항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등기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 "축척변경을 시행한 때": 지적도의 축척을 변경하여 지적도의 정확도를 높이는 경우 등기사항을 변경할 수 있다.
    - "소관청이 직권으로 지목을 변경한 때": 지적도상의 지목이 변경된 경우 등기사항을 변경할 수 있다.
    -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새로이 지번을 설정한 때": 행정구역의 변경으로 인해 새로운 지번이 설정된 경우 등기사항을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중앙 지적위원회의 심의ㆍ의결 사항이 아닌 것은?

  1. 축척변경 시행계획안에 관한 사항
  2. 지적 기술자의 징계에 관한 사항
  3. 토지등록업무의 개선에 관한 사항
  4. 지적측량적부심사 재심사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 지적위원회는 지적 관련 정책과 제도를 심의하고 의결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축척변경 시행계획안에 관한 사항"은 지적 관련 정책과 제도에 관한 사항으로, 중앙 지적위원회의 심의ㆍ의결 사항에 포함된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동일한 지번설정지역내 지번이 100, 100-1, 100-2, 100-3 으로 되어 있고 100번지의 토지를 2필지로 분할하고자 할 경우 지번 결정은?

  1. 100-4 및 100-5로 설정한다.
  2. 100 및 100-4로 설정한다.
  3. 100-1 및 100-4로 설정한다.
  4. 100 및 101로 설정한다.
(정답률: 82%)
  • 지번은 토지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므로, 분할된 토지가 서로 다른 지번을 가져야 합니다. 따라서 100번지를 2필지로 분할할 경우, 새로운 지번으로 100-4와 100-5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유는 100, 100-1, 100-2, 100-3은 이미 다른 토지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 및 100-4로 설정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축척변경시행지역 내의 토지소유자 또는 점유자는 시행공고가 있는 날로부터 최대 몇 일 이내에 경계점표시를 설치해야 하는가?

  1. 60일
  2. 30일
  3. 15일
  4. 시행공고 즉시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변경시행지역 내의 토지소유자 또는 점유자는 시행공고가 있는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경계점표시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관련 법령에서 정한 기간으로, 축척변경시행지역 내의 토지소유자 또는 점유자가 경계점표시를 빠르게 실시하여 토지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30일 이내에 경계점표시를 실시하지 않으면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지적법에서 규정한 내용이 아닌 것은?

  1. 토지등록절차
  2. 지적측량방법
  3. 효율적인 토지개발 방법
  4. 토지의 등록사항
(정답률: 60%)
  • 지적법에서 규정한 내용 중 "효율적인 토지개발 방법"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지적법이 토지의 등록과 관련된 법률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효율적인 토지개발 방법은 지적법에서 규정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신규등록 할 토지가 발생한 경우 최대 몇 일 이내에 신청하여야 하는가?

  1. 15일
  2. 30일
  3. 60일
  4. 9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신규등록 할 토지가 발생하면 해당 토지의 소유자는 토지등기법 제32조에 따라 60일 이내에 등기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 기간을 넘어서면 법적인 제한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일"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지번부여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지번을 부여하는 단위지역으로서 동ㆍ리 또는 이에 준하는 지역
  2. 지번을 부여하는 단위지역으로서 읍ㆍ면 또는 이에 준하는 지역
  3. 지번을 부여하는 단위지역으로서 시ㆍ군 또는 이에 준하는 지역
  4. 지번을 부여하는 단위지역으로서 시ㆍ도 또는 이에 준하는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지번은 토지의 위치를 구분하기 위한 번호이며, 이 지번을 부여하는 단위지역은 동, 리 등의 행정구역 단위인 지번부여지역입니다. 따라서 "지번을 부여하는 단위지역으로서 동ㆍ리 또는 이에 준하는 지역"이 가장 타당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에서 지적측량업의 등록을 취소해야 하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거짓, 그밖에 부정한 방법으로 지적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
  2. 법인의 임원 중형의 집행유예선고를 받고 그 유예기간이 경과된 자가 있는 때
  3.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등록증을 빌려준 때
  4. 영업정지기간 중에 지적측량업을 영위한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법인의 임원 중형의 집행유예선고를 받고 그 유예기간이 경과된 자가 있는 때"는 지적측량업의 등록을 취소해야 하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유는 법인의 임원이 집행유예선고를 받았다고 해서 그 법인의 모든 사업이 불법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해당 임원이 직접적으로 지적측량업을 담당하고 있거나, 그 유예기간 중에 지적측량업을 영위한 경우에는 등록 취소 대상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체육용지'로 지목 설정을 할 수 있는 것은?

  1. 공원
  2. 골프장
  3. 경마장
  4. 유선장
(정답률: 60%)
  • 체육용지는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소를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골프는 운동 중 하나이며, 골프장은 골프를 할 수 있는 전용 장소입니다. 따라서 골프장은 체육용지로 지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지적법에 의한 과태료 부과 중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대상이 아닌 것은?

  1. 등록사항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
  2. 휴ㆍ폐업 등의 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
  3. 자기ㆍ배우자 또는 직계 존ㆍ비속의 소유토지에 대하여 지적측량을 한 자
  4. 대한지적공사가 아니면서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법에 의한 과태료 부과 중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대상이 아닌 것은 "대한지적공사가 아니면서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 입니다. 이는 대한지적공사의 명칭과 유사하게 자신의 업무를 광고하거나 홍보하는 것이므로, 지적법에서 이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적법에서 규정한 등록, 신고 등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과태료 부과 대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지적도의 축척이 1200분의 1 이고 토지의 면적이 제곱미터 미만의 끝수가 있는 경우 면적결정 방법이 잘못된 것은?

  1. 0.5 제곱미터 미만은 버린다.
  2. 0.5 제곱미터를 초과하는 때에는 올린다.
  3. 0.5제곱미터인 때에는 구하고자 하는 끝자리의 숫자가 0 또는 홀수이면 버리고 짝수이면 올린다.
  4. 1필지의 면적이 1제곱미터 미만인 때에는 1제곱미터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적 결정 방법이 잘못된 것은 "1필지의 면적이 1제곱미터 미만인 때에는 1제곱미터로 한다." 이다. 이는 토지의 실제 면적과 다르게 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0.5제곱미터인 때에는 구하고자 하는 끝자리의 숫자가 0 또는 홀수이면 버리고 짝수이면 올린다." 이유는 지적도의 축척이 1200분의 1이기 때문에 1제곱미터를 1200등분하면 0.0008333... 제곱미터가 된다. 따라서 0.5제곱미터는 600등분한 면적이 된다. 이때, 구하고자 하는 끝자리의 숫자가 0 또는 홀수인 경우에는 600등분한 면적이 0.5제곱미터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버리고, 짝수인 경우에는 0.5제곱미터보다 커지기 때문에 올린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지적법상 도면에 등록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지번 및 지목
  2. 토지의 소재
  3. 경계와 면적
  4. 건축물 및 구조물 등의 위치
(정답률: 28%)
  • 도면에 등록할 사항은 지번 및 지목, 토지의 소재, 건축물 및 구조물 등의 위치이지만, 경계와 면적은 도면에 등록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경계와 면적은 대개 지적도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도면에 등록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소관청은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이 잘못이 있음을 발견한 때에는 직권으로 조사ㆍ측량하여 정정 할수 있는데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이 잘못 입력된 경우
  2. 지적공부의 작성 또는 재 작성 당시 잘못 정리된 경우
  3. 지적도 및 임야도에 등록된 필지가 면적의 증감이 있고 경계의 위치가 잘못된 경우
  4. 토지이동정리결의서의 내용과 다르게 정리된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도 및 임야도에 등록된 필지가 면적의 증감이 있고 경계의 위치가 잘못된 경우"는 직접적으로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이 잘못이 있음을 발견한 것이 아니라, 등록된 필지의 변동사항이 있어서 정정이 필요한 경우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축척변경에 따른 청산금 산출시 소관청은 그 축척 변경시행 지역안의 토지에 대하여 지번별 제곱미터당 금액을 미리 조사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금액 조사의 기준일은?

  1. 형질변경 조서작성 완료일 현재
  2. 축척변경 시행공고일 현재
  3. 축척변경 측량완료일 현재
  4. 경계점표지 설치일 현재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변경에 따른 청산금 산출시 소관청은 그 축척 변경시행 지역안의 토지에 대하여 지번별 제곱미터당 금액을 미리 조사해야 합니다. 이때, 기준일은 "축척변경 시행공고일 현재"입니다. 이유는 축척변경 시행공고일 이전에는 해당 지역의 토지 가치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축척변경 시행공고일 이후의 지번별 제곱미터당 금액을 기준으로 청산금을 산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지적공부를 복구하는 경우 참고자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법원의 확정판결서 정본 또는 사본
  2. 측량결과도
  3. 토지이동정리결의서
  4. 지적공부등록현황 집계표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공부등록현황 집계표는 지적공부를 복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참고자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적공부 복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자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지적측량수행자가 손해배상책임을 보장하기 위한 보증보험에 가입해야 할 금액의 기준으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지적측량업자 : 3천만원 이상
  2. 지적측량업자 : 5천만원 이상
  3. 대한지적공사 : 10억원 이상
  4. 대한지적공사 : 5억원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대한지적공사는 국가기관으로서 규모가 크고, 다양한 지적측량 업무를 수행하며, 대규모 사업에 참여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손해배상책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10억원 이상의 보증보험에 가입해야 한다. 반면에 지적측량업자는 대한지적공사보다 규모가 작고, 업무 범위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3천만원 이상 또는 5천만원 이상의 보증보험에 가입하면 충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