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07)

지적산업기사
(2010-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지적측량

1. 경위의 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거리측정단위는 1cm로 한다.
  2. 연직각의 관측은 정반으로 1회 관측한다.
  3. 1방향각의 측각공차는 60초 이내다.
  4.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측량결과도는 1/1000 으로 작성한다.
(정답률: 45%)
  •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측량결과도는 1/1000 으로 작성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측량결과도는 1/500으로 작성해야 한다. 이는 축척변경 시 지형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더 자세한 측량결과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경계점좌표등록부를 갖춰 두는 지역에 있는 각 필지의 경계점을 측정할 때에 좌표를 산출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필지의 경계점이 지형지물에 가로막혀 경위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1. 도선법
  2. 방사법
  3. 교회법
  4. 현형법
(정답률: 80%)
  • 정답은 "교회법"입니다.

    도선법은 삼각측량을 이용하여 필지 경계점의 좌표를 산출하는 방법이며, 방사법은 한 점에서부터 일정한 각도나 거리로 선을 그어 필지 경계점을 찾는 방법입니다.

    현형법은 필지 경계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경계점을 놓고, 그 경계점들의 좌표를 측정하여 필지의 지도를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형지물에 가로막혀 경위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교회법은 필지 경계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들의 높이를 측정하여 필지의 지도를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경사지나 높이차가 큰 지형에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번 및 지목을 제도하는 때에 지번과 지목의 글자간격은 글자크기의 어느 정도를 띄어서 제도하는가?

  1. 글자크기의 1/2
  2. 글자크기의 1/3
  3. 글자크기의 1/4
  4. 글자크기의 1/1
(정답률: 79%)
  • 지번과 지목은 글자 크기가 작아서 글자간격을 넓게 띄어주어야 더욱 명확하게 읽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글자크기의 1/2 정도를 띄어주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글자간 간격이 넓어지면서 글자가 더욱 독립적으로 보이게 되어 가독성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을 하기 위한 기지점의 좌표가 아래와 같을 때 서영1에서 서영2로의 방위각과 두 점 간의 거리가 모두 옳은 것은?

  1. 82˚ 35′ 08″, 231.93m
  2. 277˚ 24′ 52″, 229.99m
  3. 277˚ 24′ 52″, 231.93m
  4. 82˚ 36′ 08″, 229.99m
(정답률: 44%)
  • 서영1에서 서영2로의 방위각은 서영1을 기준으로 서영2까지의 각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서영1에서 서영2까지의 방위각은 북쪽을 0˚으로 하여 서쪽으로 82˚ 35′ 08″ 만큼 회전한 각도가 된다. 이를 다시 북쪽을 기준으로 서쪽으로 회전한 각도로 변환하면 277˚ 24′ 52″가 된다.

    두 점 간의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즉, 서영1과 서영2 사이의 거리는 √((x2-x1)²+(y2-y1)²)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좌표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면 231.93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77˚ 24′ 52″, 231.9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우연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차의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2. 확률에 근거하여 통계적으로 오차를 처리한다.
  3. 우연오차는 부정오차(random error)라고도 한다.
  4. 같은 크기의 (+)오차가 (-)오차보다 자주 발생한다.
(정답률: 70%)
  • 같은 크기의 (+)오차가 (-)오차보다 자주 발생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우연오차는 무작위적으로 발생하는 오차이기 때문에 양수와 음수의 발생 빈도는 동일하다.

    우연오차는 실험 조건이나 측정 도구 등의 불완전한 요소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말한다. 이러한 오차는 일정한 패턴이 없이 무작위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처리된다. 이를 위해 대개 여러 번의 측정을 통해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기준으로 오차의 크기와 분포를 파악한다.

    따라서, 같은 크기의 (+)오차가 (-)오차보다 자주 발생한다는 설명은 통계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적절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직각좌표의 기준이 되는 직각좌표계 원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동부좌표계 원점 : 북위 38˚ 선과 동경 129˚ 선의 교점
  2. 중부좌표계 원점 : 북위 38˚ 선과 동경 127˚ 선의 교점
  3. 서부좌표계 원점 : 북위 38˚ 선과 동경 125˚ 선의 교점
  4. 남부좌표계 원점 : 북위 38˚ 선과 동경 123˚ 선의 교점
(정답률: 73%)
  • 정답은 "동부좌표계 원점 : 북위 38˚ 선과 동경 129˚ 선의 교점"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북위 38˚ 선과 교차하는 동경 선의 값을 기준으로 원점을 설정하고 있지만, 동부좌표계는 동경 129˚ 선을 기준으로 원점을 설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지적측량의 구분이 옳은 것은?

  1. 기초측량, 세부측량
  2. 확정측량, 세부측량
  3. 기초측량, 삼각측량
  4. 세부측량, 삼각측량
(정답률: 88%)
  • 지적측량은 크게 기초측량과 세부측량으로 구분됩니다. 기초측량은 지적대상 지역의 경계선을 결정하는 작업으로, 대략적인 지형과 지리적 특성을 파악하여 지적선을 그리는 것입니다. 세부측량은 기초측량을 바탕으로 지적대상 지역 내부의 구역을 나누고, 각 구역의 면적과 경계선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초측량, 세부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지적도근점을 구성하여야 하는 도선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결합도선
  2. 폐합도선
  3. 개방도선
  4. 왕복도선
(정답률: 85%)
  • 개방도선은 지적도근점을 구성하지 않는 도선으로, 정답입니다. 개방도선은 전기적으로 닫혀있지 않으며, 외부에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도선입니다. 따라서 지적도근점을 구성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도선법에 따른 지적도근점의 각도관측을 할 때에 오차의 배분 방법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측선장에 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
  2. 측선장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
  3. 변의 수에 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
  4. 변의 수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
(정답률: 52%)
  • 도선법에서는 지적도근점의 각도관측을 위해 삼각형을 구성하고, 각 변의 길이와 각도를 측정하여 계산합니다. 이때, 각도의 오차는 각 변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며, 측선장이 긴 변일수록 오차가 작아지고, 짧을수록 오차가 커집니다. 따라서, 측선장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하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차를 공정하게 분배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두 변의 길이가 각각 65.26m, 57.45m이고 끼인각의 크기가 62˚ 36′ 40″ 인 삼각형의 면적은 얼마인가?

  1. 1445.5 m2
  2. 1554.5 m2
  3. 1664.5 m2
  4. 1775.5 m2
(정답률: 61%)
  •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은 "밑변 × 높이 ÷ 2"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높이를 직접 구할 수 없으므로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먼저, 끼인각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코사인 법칙을 사용하여 나머지 한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코사인 법칙은 다음과 같다.

    c² = a² + b² - 2ab cos C

    여기서 c는 끼인각의 맞은편에 있는 변의 길이이고, a와 b는 끼인각을 제외한 다른 두 변의 길이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² = 65.26² + 57.45² - 2 × 65.26 × 57.45 × cos 62˚ 36′ 40″
    c ≈ 49.98

    이제 삼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넓이 = 밑변 × 높이 ÷ 2
    = 65.26 × 49.98 × sin 62˚ 36′ 40″ ÷ 2
    ≈ 1664.5 m²

    따라서 정답은 "1664.5 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 외의 지역에서 경계점에 대한 지적측량성과와 검사성과의 연결교차 허용범위는 얼마인가? (단, 축척이 1/3000인 지역이다.)

  1. 0.30m 이내
  2. 0.60m 이내
  3. 0.90m 이내
  4. 1.20m 이내
(정답률: 35%)
  •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에서는 경계점의 지적측량성과와 검사성과가 일치해야 하므로 연결교차 허용범위는 0m이다. 그러나 시행지역 외의 지역에서는 축척이 1/3000이므로 지적측량성과와 검사성과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교차 허용범위는 일반적으로 0.90m 이내로 설정된다. 이 범위 내에서는 경계점의 지적측량성과와 검사성과가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각망도선법에 따른 지적삼각보조점의 관측 및 계산에서 도선별 평균 방위각과 관측방위각과의 폐색오차는 얼마 이내로 하여야 하는가? (단, n은 폐색변을 포함한 변의 수를 말한다.)

  1. ±10√n초 이내
  2. ±20√n초 이내
  3. ±30√n초 이내
  4. ±40√n초 이내
(정답률: 75%)
  • 다각망도선법에서는 지적삼각보조점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도선별로 방위각을 측정하고 이를 계산에 이용한다. 따라서 도선별로 측정된 방위각과 계산된 평균 방위각이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측정에서는 여러 가지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평가하기 위해 폐색오차를 계산한다.

    폐색오차는 도선별로 측정된 방위각과 평균 방위각과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 오차는 도선의 수가 많아질수록 작아지므로, n이 클수록 폐색오차의 허용범위도 넓어진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n이 클수록 허용범위를 좁게 설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폐색오차를 ±10√n초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n이 증가함에 따라 허용범위가 좁아지므로, 정확한 측정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0√n초 이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두 점 간의 실거리 300m를 도상에 6mm로 표시한 도면의 축척은 얼마인가?

  1. 1/20000
  2. 1/25000
  3. 1/50000
  4. 1/100000
(정답률: 75%)
  • 도상에 6mm로 표시된 거리는 실제 거리의 1/50000이다. 따라서 축척은 1/50000이다. 이는 도면 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 상의 거리를 실제 거리로 환산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축척 1/1200 지역에서 전자면적측정기에 따른 면적을 도상에서 2회 측정한 결과가 654.8m2 , 655.2m2 이었을 때 평균치를 측정 면적으로 하기 위하여 교차는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1. 16m2
  2. 17m2
  3. 18m2
  4. 19m2
(정답률: 62%)
  • 두 번의 측정 결과의 평균값은 (654.8m2 + 655.2m2) / 2 = 655m2 이다. 따라서, 두 번의 측정 결과의 차이는 655.2m2 - 654.8m2 = 0.4m2 이다.

    하지만, 이는 축척 1/1200 지역에서의 측정 결과이므로, 실제 면적에서의 차이는 0.4m2 × 1200 × 1200 = 576m2 이다.

    따라서, 교차는 576m2 이하이어야 한다. 이를 보기로 변환하면, 576m2 ÷ 1200 × 1200 = 16m2 이므로, 정답은 "16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경위의측량방법과 교회법에 따른 지적삼각보조점의 관측 및 계산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측은 2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한다.
  2. 점간거리의 측정은 3회 실시한다.
  3. 수평각 관측은 3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른다.
  4. 수평각의 1방향각 측각공차는 50초 이내이다.
(정답률: 66%)
  • "관측은 2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한다."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경위의를 최소 20초 이상으로 설정하여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경위의는 측량에서 사용되는 기기로, 수평을 유지하고 측정 대상물과 측정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경위의의 정확도가 높을수록 측정 결과의 정확도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20초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하여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지적도근점측량의 방법 및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다각망도선법으로 지적도근점측량을 하는 경우 1도선의 거리는 평균 10km 이하로 한다.
  2.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라 도선법으로 지적도근점측량을 하는 경우 1도선의 점의 수는 20점 이하로 한다.
  3. 지적도근점의 번호는 영구표지를 설치하는 경우 시행지역별로 아라비아숫자로 구성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4. 전파기측량방법에 따라 다각망도선법으로 지적도근점측량을 하는 경우 3점 이상의 기지점을 포함한 결합다각방식에 따른다.
(정답률: 42%)
  • 전파기측량방법에 따라 다각망도선법으로 지적도근점측량을 하는 경우 3점 이상의 기지점을 포함한 결합다각방식에 따른다. 이는 측량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3개 이상의 기지점을 이용하여 다각형을 만들고 그 안에서 지적도근점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오차를 최소화하고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토지의 이동에 따른 도면의 제도 방법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말소된 경계를 다시 등록하는 경우에는 말소표시의 교차선 중심점을 기준으로 직경2 내지 3밀리미터의 붉은 색 원으로 제도한다.
  2. 신규등록ㆍ등록전환 및 등록사항정정으로 도면에 경계ㆍ지번 및 지목을 새로이 등록하는 경우에는 이미 비치된 도면에 제도한다.
  3. 등록전환하는 경우에는 임야도의 그 지번 및 지목을 말소하고, 그 내부를 붉은색으로 엷게 채색한다.
  4. 도곽선에 걸쳐있는 필지가 분할되어 도곽선 밖에 분할 경계가 제도된 경우에는 도곽선 내에 제도된 필지의 경계를 말소하고, 해당 도곽선 밖에 경계ㆍ지번 및 지목을 제도한다.
(정답률: 28%)
  • "도곽선에 걸쳐있는 필지가 분할되어 도곽선 밖에 분할 경계가 제도된 경우에는 도곽선 내에 제도된 필지의 경계를 말소하고, 해당 도곽선 밖에 경계ㆍ지번 및 지목을 제도한다."가 옳지 않다. 이유는 도곽선 내에 제도된 필지의 경계를 말소하면 해당 필지의 경계가 사라지기 때문에 분할된 경계를 나타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곽선 내에 제도된 필지의 경계는 유지하고, 분할된 경계를 추가로 제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지적측량을 하여야 하는 경우와 거리가 먼 것은?

  1. 지적측량성과를 검사하는 경우
  2. 지적기준점을 정하는 경우
  3. 분할된 도로의 필지를 합병하는 경우
  4. 경계점을 지상에 복원하는 경우
(정답률: 81%)
  • 분할된 도로의 필지를 합병하는 경우가 지적측량과는 거리가 먼 이유는, 이 경우에는 이미 측량된 필지들을 합쳐서 새로운 필지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지적측량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경우들은 새로운 지적측량이 필요한 경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교회법으로 하는 경우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방향 이상의 교회에 따른다.
  2. 방향각의 교각은 30˚ 이상 150˚ 이하로 한다.
  3. 전방교회법 또는 후방교회법에 의한다.
  4. 광파조준의를 사용하는 경우 방향선의 도상길이는 30cm이하로 할 수 있다.
(정답률: 62%)
  • "3방향 이상의 교회에 따른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평판측량방법에서 교회법을 사용하는 경우, 교회의 형태에 따라 전방교회법 또는 후방교회법을 사용한다. 이는 교회의 형태에 따라 측량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회의 방향이 3방향 이상인지 여부는 기준이 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축적이 1/3,000인 지역의 토지를 등록전환 하는 경우 임야대장의 면적과 등록전환될 면적의 오차 허용범위를 계산하기 위한 축척분모는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1000
  2. 1200
  3. 3000
  4. 6000
(정답률: 47%)
  • 축적이 1/3,000이라는 것은 1cm의 지도상 거리가 실제 세계에서 3,000cm(30m)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cm²의 지도상 면적은 실제 세계에서 3,000cm × 3,000cm = 9,000,000cm²(900m²)이 됩니다.

    만약, 토지의 면적이 1,000m²이라면, 이를 1/3,000 축척으로 표현하면 1,000m² ÷ 9,000,000cm²/m² × 3,000 = 0.3333cm²가 됩니다. 이는 지도상으로는 0.0183cm × 0.0183cm 정도의 크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토지의 면적을 등록전환할 때 오차 허용범위를 1cm²로 설정한다면, 이는 지도상으로는 55.02cm²(약 0.3cm × 0.3cm)까지 허용되는 것입니다. 이는 너무 작은 오차 범위이므로, 보통은 10cm² ~ 100cm² 정도의 오차 범위를 허용합니다.

    이를 계산해보면, 오차 허용범위를 10cm²로 설정한다면, 지도상으로는 1.83cm × 1.83cm 정도의 크기에 해당하며, 이를 1/3,000 축척으로 표현하면 18,300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오차 허용범위를 100cm²로 설정한다면, 지도상으로는 5.46cm × 5.46cm 정도의 크기에 해당하며, 이를 1/3,000 축척으로 표현하면 54,600이 됩니다.

    따라서, 오차 허용범위를 10cm² ~ 100cm² 정도로 설정한다면, 축척분모는 6,000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다음 노선측량의 작업과정 중 몇 개의 후보노선 가운데서 가장 좋은 1개의 노선을 결정하고 공사비를 개산(槪算)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것은?

  1. 답사
  2. 예측
  3. 실측
  4. 공사측량
(정답률: 67%)
  • 노선측량 작업은 지형과 건축물 등의 장애물을 고려하여 가능한 후보노선을 선정하는 작업이다. 이 작업에서는 실제로 건설되기 전에 노선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예측하기 위해 여러 후보노선을 고려하고, 그 중에서 가장 적합한 노선을 선택하기 위해 예측 작업을 실시한다. 따라서 정답은 "예측"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높이가 250m인 어떤 굴뚝이 사진축척 1:10000인 수직사진상에서 연직점으로부터 거리가 60mm 일 때, 비고에 의한 변위량은? (단, 초점거리=150mm)

  1. 1mm
  2. 6mm
  3. 10mm
  4. 60mm
(정답률: 45%)
  • 사진축척 1:10000이므로, 현실 세계에서의 거리 1m은 사진상에서 0.1mm로 나타난다. 따라서, 굴뚝과 연직점 사이의 거리는 현실 세계에서 250m이지만, 사진상에서는 25mm로 나타난다.

    초점거리가 150mm이므로, 굴뚝과 연직점 사이의 실제 거리는 (150/25)배인 6배가 된다. 따라서, 굴뚝과 연직점 사이의 실제 거리는 250m x 6 = 1500m이다.

    비고에 의한 변위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비고 = (실제 거리 - 초점거리) x (초점거리 / 실제 거리)

    = (1500 - 150) x (150 / 1500)

    = 1350 x 0.1

    = 135mm

    하지만, 문제에서는 비고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비고에 의한 변위량을 구하는 것이므로, 비고에서 초점거리를 빼준다.

    변위량 = 비고 - 초점거리

    = 135 - 150

    = -15mm

    따라서, 굴뚝과 연직점 사이의 거리가 60mm일 때, 비고에 의한 변위량은 -15m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변위량을 양수로 표현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15mm를 절댓값으로 취한 후 답을 구한다.

    답 = 15mm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10mm인데,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정확한 답은 1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준측량에서 시준거리를 일정하게 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측량하면 그 오차는 이론적으로 무엇에 비례하게 되는가?

  1. 관측횟수의 역수
  2. 관측점수의 제곱
  3. 관측값의 2배수
  4. 관측거리의 제곱근
(정답률: 68%)
  • 시준거리를 일정하게 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측량할 때, 오차는 관측거리의 변화에 비례하게 됩니다. 이는 측량할 때 거리 측정 장비의 정확도와 관측자의 능력 등에 따라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관측거리의 제곱근이 오차에 비례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m의 거리를 10번 측정했을 때, 오차는 10번의 관측거리의 제곱근에 비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철도, 도로 등의 단곡선 설치에서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이용하여 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은?

  1. 편각법
  2. 중앙종거법
  3. 접선편거법
  4. 접선지거법
(정답률: 66%)
  • 편각법은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이용하여 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단순하고 쉽게 적용할 수 있어서 철도, 도로 등의 단곡선 설치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중앙종거법은 중앙점과 종점을 이용하여 곡선을 설치하는 방법, 접선편거법은 접선과 거리를 이용하여 곡선을 설치하는 방법, 접선지거법은 접선과 지점을 이용하여 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이 직접 수준측량을 시행한 경우에 A점의 표고가 245.67m 이라면 C점의 표고는 얼마인가?

  1. 246.65m
  2. 247.28m
  3. 247.91m
  4. 248.51m
(정답률: 52%)
  • A점과 C점 사이의 거리는 100m이므로, 기울기는 (247.28-245.67)/100 = 0.0161 이다. 따라서 C점의 표고는 A점의 표고에 기울기를 곱한 값인 245.67 + (0.0161 x 200) = 246.6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완화 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는 ( A )에, 종점에서는 ( B )에 접한다.”에서 (A, B)로 알맞은 것은?

  1. (원호, 직선)
  2. (원호, 원호)
  3. (직선, 원호)
  4. (직선, 직선)
(정답률: 75%)
  • (A, B)는 (직선, 원호)이다.

    완화 곡선은 처음과 끝이 직선으로 이어진 후에 원호로 곡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점에서는 직선에, 종점에서는 원호에 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출발점에 세운 표척과 도착점에 세운 표척을 갈게 하는 이유는?

  1. 표적의 상태(마모 등) 로 인한 오차를 소거 한다.
  2. 정중의 불량으로 인한 오차를 소거한다.
  3. 수직축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오차를 제거한다.
  4. 기포관의 강도불량으로 인한 오차를 제거한다.
(정답률: 52%)
  • 출발점과 도착점에 세운 표적은 측정을 시작하기 전과 후의 표적의 상태를 비교하여 마모 등으로 인한 오차를 소거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경사사진을 엄밀 수직사진으로 변환 시키는 작업은?

  1. 상호표정
  2. 편위수정
  3. 기복변위
  4. 대지표정
(정답률: 39%)
  • 경사사진을 엄밀 수직사진으로 변환 시키는 작업은 "편위수정"이다. 이는 카메라의 위치나 각도 등으로 인해 생기는 왜곡을 보정하여 수직으로 보이도록 하는 작업이다. 다른 보기들은 관련이 없는 용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깊이 50m, 직경 5m인 수직 터널에 의해 터널 내외를 연결하는 측량방법으로 가장 효율적인 것은?

  1. 삼각 구분법
  2. 폴과 지거법에 의한 방법
  3. 데오도라이트와 추선에 의한 방법
  4. 레벨과 함척에 의한 방법
(정답률: 71%)
  • 깊이가 깊고 직경이 큰 수직 터널에서는 데오도라이트와 추선에 의한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다. 이는 데오도라이트를 사용하여 터널 내부와 외부의 수평각을 측정하고, 추선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에 비해 정확도가 높고 측정 시간이 짧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과 같이 에 직각인 직선 를 관측하기 위해 O점에 Transit을 세우고 ∠AOB′를 반복법으로 관측하여 수평각 89° 58′ 43″ 를 관측하였다면 B'점에서 에 직각 방향으로 약 얼마만큼 이동하면 ∠AOB 가 직각이 되는가? (단, = 80m)

  1. 2cm
  2. 3cm
  3. 4cm
  4. 5cm
(정답률: 44%)
  • Transit을 세운 O점에서 B'점까지의 거리를 x라고 하면, 삼각형 AOB'에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tan(89° 58′ 43″) = AB' / x

    하지만, tan(89° 58′ 43″)은 매우 큰 값이므로, 대신 다음과 같은 근사값을 사용할 수 있다.

    tan(89° 58′ 43″) ≈ 90° - 89° 58′ 43″ = 0° 01′ 17″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0° 01′ 17″ = AB' / x

    AB' = x × tan(0° 01′ 17″)

    AB' = x × 0.0002967

    AB' = 80m

    x = 80m ÷ 0.0002967

    x ≈ 269428.5m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cm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x를 cm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x ≈ 269428.5m × 100cm/m

    x ≈ 26942850cm

    따라서, B'점에서 에 직각 방향으로 약 3cm만큼 이동하면 ∠AOB 가 직각이 된다. 이는 AB'의 길이가 80m이고, 1cm당 약 269428.5cm이라는 것을 고려하여 계산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답은 "3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항공삼각측량의 표정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공면조건식
  2. 부등각사상(Aine) 변환식
  3. 동선조건식
  4. 뉴튼(Newton) 변환식
(정답률: 55%)
  • 항공삼각측량에서 사용되는 변환식은 공면조건식, 부등각사상(Aine) 변환식, 동선조건식이 있습니다. 그러나 뉴튼(Newton) 변환식은 항공삼각측량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뉴튼 변환식은 지구의 중력장이 일정하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지구의 중력장이 불규칙하거나 지형이 복잡한 지역에서는 적용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항공삼각측량에서는 다른 변환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삼각측량방법 중에서 해석적으로 종횡접합모형(block) 조정을 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다항식조정법
  2. 사선조정법
  3. 독립모델조정법
  4. 광속조정법
(정답률: 67%)
  • 사선조정법은 해석적으로 종횡접합모형(block) 조정을 하지 않는다. 대신에, 삼각측량에서 측정된 삼각형의 각도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크기와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사선조정법은 해석적으로 종횡접합모형(block) 조정을 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지상의 A점의 표고가 300m, B점의 표고가 800m이며, AB의 경사가 25%일 때 두 지점의 1:50000 지형도상 거리는?

  1. 2cm
  2. 4cm
  3. 6cm
  4. 8cm
(정답률: 5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사진을 편위수정시 정밀을 요하거나 해석적 편위수정에 필요한 표정점의 최소 수는 몇 개인가?

  1. 3개
  2. 4개
  3. 5개
  4. 6개
(정답률: 39%)
  • 항공사진을 편위수정시에는 최소 4개의 표정점이 필요합니다. 이는 3차원 공간에서 2차원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3개의 표정점만 사용하면 이미지의 회전과 크기 조정은 가능하지만, 이미지의 왜곡 보정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최소 4개의 표정점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삼각점의 신설을 위한 가장 적합한 GPS 측량방법은?

  1. 정지측량방식(static)
  2. DGPS(Differential GPS)
  3. Stop & Go 방식
  4. RTK(Real Time Kinematic)
(정답률: 78%)
  • 정지측량방식(static)은 측량 대상 지점에서 일정 시간 동안 GPS 수신기를 고정시켜 측량하는 방식으로, 정확도가 높고 오차가 적어 삼각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DGPS(Differential GPS)는 정확도가 높지만 정지측량방식보다는 측량 시간이 짧아 삼각점의 위치 파악에는 적합하지 않다. Stop & Go 방식은 이동하면서 측량하는 방식으로 정확도가 낮아 삼각점의 위치 파악에는 적합하지 않다. RTK(Real Time Kinematic)는 실시간으로 측량하는 방식으로 정확도는 높지만 삼각점의 위치 파악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항공사진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략적 및 정성적 측정이 가능하다.
  2. 대상물이 움직이더라도 그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3. 축척이 작을수록, 광역일수록 경제적이다.
  4. 기상조건에 지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60%)
  • 항공사진측량은 기상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항공사진측량은 대기 상태에 따라 이미지 품질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날씨가 안 좋은 경우에는 촬영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촬영 시점과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조건에서 촬영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원곡선에서 곡선길이가 150.39m이고 곡선방경이 200m일 때 교각은?

  1. 30° 12′
  2. 43° 05′
  3. 45° 25′
  4. 53° 35′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위성측량에서 GPS의 의사거리(Pseudo rang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간 오차 등 각종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계산된 거리이다.
  2. 모든 오차가 제거된 최종 확정된 거리이다.
  3. 수신기와 가상의 기준국 간에 실제 거리이다.
  4. 측정된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에서 시간 오차가 보정된 거리이다.
(정답률: 58%)
  • GPS의 의사거리는 측정된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에서 시간 오차가 보정된 거리이다. 이 거리는 시간 오차 등 각종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계산된 거리이다. 따라서 의사거리는 최종 확정된 거리가 아니며, 모든 오차가 제거된 최종 확정된 거리는 아니다. 또한, 수신기와 가상의 기준국 간에 실제 거리도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터널 내가 넓은 경우 세부측량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1. 형각법
  2. 방사법
  3. 지거법
  4. 삼각법
(정답률: 52%)
  • 터널 내부는 곡선 형태이기 때문에 삼각법이나 지거법은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형각법은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터널 내부의 거리를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터널 내부의 넓이를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은 방사법입니다. 방사법은 중심점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방사선을 쏘아 벽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터널 내부의 곡선 형태에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경지정리 확정 측량을 위한 항공사지측량을 실시할 때 수직사진은 일반적으로 화면의 경사각을 몇 도 까지 허용하는가?

(정답률: 63%)
  • 수직사진은 지형의 고도차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화면의 경사각이 너무 크면 지형의 고도차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직사진의 화면의 경사각은 3° 이하로 허용된다. 이는 지형의 고도차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정밀도 요구사항에 따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지정보체계론

41. 다음 중 위상모형(topology)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접성(neighborhood)
  2. 연결성(connectivity)
  3. 표준선(generalization)
  4. 계급성(hierarchy)
(정답률: 61%)
  • 위상모형은 공간 데이터의 구조와 관계를 나타내는 모형으로, 인접성, 연결성, 계급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표준선은 위상모형의 특징이 아니며, 표준선은 공간 데이터의 정확도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종의 데이터 축소 기법이다. 따라서, 표준선은 위상모형의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토지정보를 공간자료와 속성자료로 분류할 때 다음 중 공간자료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지적도, 임야도
  2. 지적도, 토지대장
  3. 토지대장, 임야대장
  4. 토지대장, 공유지연명부
(정답률: 63%)
  • 지적도와 임야도는 모두 지리적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공간자료에 해당한다. 지적도는 토지의 경계와 면적 등을 나타내는 지도이며, 임야도는 산림자원의 위치와 면적 등을 나타내는 지도이다. 반면에 토지대장, 임야대장, 공유지연명부는 모두 속성자료에 해당하는데, 각각 토지의 소유자, 면적, 공유자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지적도, 임야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과거 건설교통부가 운영하였던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의 약호로 옳은 것은?

  1. LMIS
  2. KMIS
  3. PBLIS
  4. KLIS
(정답률: 68%)
  • 정답은 "PBLIS"입니다.

    과거 건설교통부가 운영하였던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은 "Public Building Land Information System"의 약자로, 한글로는 "공공건축물지적도정보시스템"이라고 번역됩니다. 이 시스템은 공공건축물의 위치, 면적, 용도 등을 포함한 지적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부동산 거래나 도시계획 등에 활용되었습니다. 따라서 "PBLIS"가 옳은 약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이 파일시스템에 비하여 갖는 단점에 해당하는 것은?

  1. 자료의 일관성이 확보되지 않는다.
  2. 자료의 중복성을 피할 수 없다.
  3. 사용자별 자료접근에 대한 권한 부여를 할 수 없다.
  4. 일반적으로 시스템 도입비용이 비싸다.
(정답률: 83%)
  •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은 파일시스템에 비해 시스템 도입비용이 비싸다. 이는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이 보다 복잡하고 고도화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비용은 데이터의 일관성, 중복성 방지, 권한 부여 등의 장점을 제공하므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비용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토지정보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법률적, 행정적, 경제적, 기초 하에 토지에 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한 시스템이다.
  2. 혐의의 개념은 지적을 중심으로 지적공부에 표시된 사항을 근거로 하는 시스템이다.
  3. 지상 및 지하의 공급시설에 대한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4. 토지 관련 문제의 해결과 토지정책의 의사결정을 보조 하는 시스템이다.
(정답률: 65%)
  • "혐의의 개념은 지적을 중심으로 지적공부에 표시된 사항을 근거로 하는 시스템이다."는 토지정보시스템과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토지정보시스템은 "지상 및 지하의 공급시설에 대한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라고 설명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토지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토지 관련 문제의 해결과 토지정책의 의사결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지적 전산용으로 사용하는 하드웨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개인용 컴퓨터(PC)
  2. 플로터
  3. COGO
  4. 프린터
(정답률: 57%)
  • COGO는 하드웨어가 아니라 소프트웨어이다. COGO는 측량 및 지형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로, 지적 전산용으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중 하나이다. 따라서, COGO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지적 전산용으로 사용하는 하드웨어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의 구축에 따른 기대 효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다양하고 입체적인 토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2. 민원처리 기간을 단축하고 온라인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3. 각 부서 간의 다양한 토지 관련 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하여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4. 건축물의 유지 및 보수 현황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정답률: 79%)
  • "다양하고 입체적인 토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민원처리 기간을 단축하고 온라인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각 부서 간의 다양한 토지 관련 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하여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모두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의 구축에 따른 기대 효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건축물의 유지 및 보수 현황의 관리가 용이해진다."는 구축에 따른 기대 효과로 보기 어렵습니다. 이유는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은 토지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건축물의 유지 및 보수 현황은 건축물 관리 시스템과 같은 다른 시스템에서 관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다목적 지적제도의 3대 구성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측지기준망
  2. 기본도
  3. 중첩도
  4. 토지소유자
(정답률: 79%)
  • 다목적 지적제도의 3대 구성 요소는 측지기준망, 기본도, 중첩도입니다. 이 중 토지소유자는 구성 요소가 아니며, 지적도상에서 토지의 소유자를 나타내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지도를 스캐닝하여 얻어지는 도형자료의 유형은?

  1. 지적데이터
  2. 소성데이터
  3. 래스터데이터
  4. 벡터데이터
(정답률: 77%)
  • 지도를 스캐닝하여 얻어지는 도형자료의 유형은 "래스터데이터"이다. 이는 지도를 그리는 데 사용되는 픽셀(pixel) 단위의 그리드 형태의 데이터로, 각 픽셀은 색상 정보를 가지고 있어 지도의 모든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도로, 전력, 상하수도 등과 같이 연결성을 기반으로 하는 분야에서 최적 경로, 효율적인 자원의 이동과 배치 등을 산출하는 분석기법은?

  1. 표면 분석
  2. 네트워크 분석
  3. 중첩 분석
  4. 인접성 분석
(정답률: 54%)
  • 네트워크 분석은 도로, 전력, 상하수도 등과 같이 연결성을 기반으로 하는 분야에서 최적 경로, 효율적인 자원의 이동과 배치 등을 산출하는 분석기법이다. 이는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여 최적 경로나 자원의 이동 경로를 찾아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로망에서 최단 경로를 찾거나 전력망에서 전기의 흐름을 최적화하는 등의 분석에 활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네트워크 분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공간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간자료는 일반적으로 도형자료와 속성자료로 구분한다.
  2. 도형자료는 점, 선, 면의 형태로 구성된다.
  3. 도형자료에는 통계자료, 보고서, 범례 등이 포함된다.
  4. 속성자료는 일반적으로 문자나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74%)
  • "도형자료에는 통계자료, 보고서, 범례 등이 포함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도형자료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점, 선, 면 등의 도형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도형들은 통계자료, 보고서, 범례 등과 함께 사용되어 데이터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디지타이징 방식과 비교하여 스캐닝 방식이 갖는 장점에 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작업의 속도가 빠르다.
  2. 작업자의 숙련도가 작업에 미치는 영향이 덜한 편이다.
  3.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구입 비용이 덜 소요된다.
  4. 다량의 지도를 입력하는 작업에 유리하다.
(정답률: 69%)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구입 비용이 덜 소요된다."는 스캐닝 방식의 장점이 아니라 디지타이징 방식의 장점이다. 스캐닝 방식은 스캐너와 컴퓨터가 있으면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지타이징 방식보다 비용이 적게 들어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래스터데이터의 압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체인코드(Chain code)기법
  2. 스틸코드(Steel code)기법
  3. 블록코드(Block code)기법
  4. 사자수형(Quadtree)
(정답률: 65%)
  • 스틸코드(Steel code)기법은 래스터데이터의 압축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스틸코드는 이미지를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의 픽셀값을 일정한 기준값과 비교하여 차이값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압축합니다. 이 방식은 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압축률이 크게 달라지며, 압축된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기준값과 차이값을 모두 알아야 합니다. 따라서 스틸코드는 래스터데이터의 압축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적측량시스템
  2. 부동산행정시스템
  3. 지적공부관리시스템
  4. 지적측량성과작성시스템
(정답률: 77%)
  • 부동산행정시스템은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과는 관련이 있지만, 주로 부동산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지적측량이나 지적공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따라서, 정답은 "부동산행정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자료 간의 공통 필드에 의해 논리적인 연계를 구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자료를 관리할 수 있게 하며 관련된 데이터 필드가 존재하는 한 정보검색을 위한 질의 형태에 제한이 없는 장점을 지닌 데이터 모델은?

  1. 계층형 데이터 모델
  2. 관계형 데이터 모델
  3.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
  4. 객체지향형 데이터 모델
(정답률: 56%)
  • 관계형 데이터 모델은 자료 간의 공통 필드를 이용하여 논리적인 연계를 구축하고, 관련된 데이터 필드가 존재하는 한 정보검색을 위한 질의 형태에 제한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모델은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각 테이블은 고유한 식별자를 가지고 있어 다른 테이블과의 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자료구조의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셀(Cell)
  2. 픽셀(Pixel)
  3. 노드(Node)
  4. 그리드(Grid)
(정답률: 50%)
  • 노드(Node)는 다른 자료구조와 달리 연결리스트, 트리, 그래프 등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데이터와 다른 노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 요소이다. 다른 자료구조들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지만, 노드는 데이터와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지적전산정보시스템의 사용자권한 등록파일에 등록하는 사용자의 권한 구분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의 신규등록
  2. 법인의 등록번호 업무관리
  3. 개별공시지가 변동의 관리
  4. 토지등급 및 기준 수확량등급 변동의 관리
(정답률: 48%)
  • 정답은 "법인의 등록번호 업무관리"입니다.

    사용자의 신규등록, 개별공시지가 변동의 관리, 토지등급 및 기준 수확량등급 변동의 관리는 지적전산정보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권한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법인의 등록번호 업무관리는 사용자의 권한 구분이 아니라 법인의 등록번호를 관리하는 업무 자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사용자의 권한 구분으로 등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LIS에서 사용하는 공간자료의 중첩 유형인 UNION과 INTERSEC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UNION - 두 개 이상의 레이어들에 대하여 OR 연산자를 적용하여 합병하는 방법이다.
  2. UNION - 기준이 되는 레이어의 모든 특징은 결과 레이어에 포함된다.
  3. INTERSECT - 불린(BOOLEAN)의 AND 연산자를 적용한다.
  4. INTERSECT - 입력 레이어의 모든 정보는 결과 레이어에 포함된다.
(정답률: 48%)
  • 정답: "INTERSECT - 입력 레이어의 모든 정보는 결과 레이어에 포함된다."

    INTERSECT는 입력 레이어와 기준 레이어의 공통된 부분만을 결과 레이어로 생성하는 공간자료의 중첩 유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입력 레이어의 모든 정보가 결과 레이어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레이어와 기준 레이어의 공통된 부분만이 결과 레이어에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지적전산화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지소유자의 현황 파악
  2. 토지관련 정책 자료의 다목적 활용
  3. 지적 관련 민원의 신속한 처리
  4. 전산화를 통한 중앙 통제권 강화
(정답률: 87%)
  • 지적전산화의 목적은 토지와 관련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관리, 제공하여 토지의 효율적인 관리와 이용을 돕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산화를 통한 중앙 통제권 강화"는 지적전산화의 목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는 지적정보를 중앙에서 통제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지적전산화의 목적과는 상반되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디지타이징 및 벡터자료의 편집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pike –
  2. undershoot –
  3. overshoot –
  4. sliver polygon –
(정답률: 73%)
  • 정답: spike –

    해설: spike는 벡터자료에서 하나의 점이나 선이 급격하게 뾰족하게 솟아나오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러나 해당 이미지에서는 spike가 아니라 누락된 부분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spike가 아닌 누락된 부분을 나타내는 오류 유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적학

61. 다음 중 지적제도의 분류 방법이 다른 하나는?

  1. 세지적
  2. 법지적
  3. 수치지적
  4. 다목적지적
(정답률: 78%)
  • 수치지적은 숫자나 수치를 이용하여 지적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다른 세 지적, 법지적, 다목적지적은 각각 지적의 성격, 법적인 규제, 다목적인 용도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수치지적은 다른 지적과 분류 방법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일반적으로 지번을 부여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분수식
  2. 기번식
  3. 자유부번식
  4. 문장식
(정답률: 66%)
  • 정답은 "문장식"입니다.

    "분수식"은 지역을 분할하여 분수로 표현하는 방식이며, "기번식"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자유부번식"은 지역 내에서 자유롭게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문장식"은 지역의 특징이나 위치 등을 문장으로 표현하여 지번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경계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필지 사이에는 1개의 경계가 존재한다.
  2. 경계는 크기가 없는 기하학적인 의미를 갖는다.
  3. 경계는 면적을 갖고 있으므로 분할이 가능하다.
  4. 경계는 경계점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한 것이다.
(정답률: 59%)
  • "경계는 면적을 갖고 있으므로 분할이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경계는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개념 중 하나로, 크기가 없는 것이 맞다. 그러나 경계는 면적을 갖고 있지 않으며, 분할이 가능한 것은 경계가 갖고 있는 선분이나 면이 아니라, 경계를 구성하는 점들이 분할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필지 사이에 경계가 하나만 존재한다면, 그 경계는 두 필지를 나누는 선분이 될 수 있고, 이 선분을 분할하여 두 필지를 더 작은 조각으로 나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토지등록의 유형은?

  1. 적극적 등록제도
  2. 실질적 심사제도
  3. 권원등록제도
  4. 날인증서등록제도
(정답률: 82%)
  • 이 유형은 "적극적 등록제도"이다. 이는 토지소유자가 자발적으로 토지를 등록하고 등기부등본을 발급받는 제도로, 등기부등본이 발급되면 해당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 인정된다. 이에 따라 토지의 거래가 원활해지고, 토지의 가치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지적을 과세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부동산의 규모, 가치 및 소유권을 등록한 공부라고 정의한 학자 또는 기관으로 옳은 것은?

  1. U. S. NATIONAL RESEARCH COUNCIL
  2. S. R. SIMPSON
  3. A. TOFFLER
  4. BRITISH ORDINANCE SURVEY
(정답률: 56%)
  • 정답은 "S. R. SIMPSON"입니다. 부동산 등기는 부동산의 규모, 가치 및 소유권을 등록하여 과세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공부입니다. S. R. Simpson은 이러한 등기 시스템을 연구하고 개발한 학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토지조사사업의 주된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토지의 소유권 조사
  2. 토지의 행정구역 조사
  3. 토지의 외모 조사
  4. 토지의 가격 조사
(정답률: 59%)
  • 토지조사사업의 주된 내용은 "토지의 행정구역 조사"입니다. 이는 지역 내 토지의 행정구역을 파악하여 토지의 소유자나 사용자, 토지의 용도 등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토지의 소유권 조사, 외모 조사, 가격 조사는 이와 관련된 부가적인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토지과세 및 토지거래의 안전을 도모하여 토지 소유권의 보호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지적제도는?

  1. 법지적
  2. 경제지적
  3. 과세지적
  4. 유사지적
(정답률: 88%)
  • 정답: 법지적

    설명: 법지적 지적제도는 법적인 규제와 제도를 통해 토지의 소유권을 보호하고, 토지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토지의 소유자와 사용자, 토지거래의 당사자들은 법적인 규제와 절차를 따라야 하며, 이를 위해 법적인 지적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법지적 지적제도는 법적인 측면에서의 지적제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토지등록부의 편성방법 중 연대적 편성주의에 대한 성명으로 옳은 것은?

  1. 토지의 등록에 있어 개개의 토지를 중심으로 토지등록부를 편성하는 것으로 우리나라도 이 제도를 따르고 있다.
  2. 토지소유자별로 토지를 등록하여 동일 소유자에 속하는 모든 토지는 당해 소유권자의 대장에 기록하는 방식이다.
  3. 어떠한 특별한 기준을 두지 않고 당사자의 신청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록해 가는 것으로 레코딩 시스템이 이에 속한다.
  4. 토지대장에 있어서 소유자별 토지등록카드와 지번별 목록, 성명별 목록을 동시에 등록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64%)
  • "어떠한 특별한 기준을 두지 않고 당사자의 신청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록해 가는 것으로 레코딩 시스템이 이에 속한다."는 연대적 편성주의에 대한 성명이다. 이는 토지등록부를 등록하는 순서가 당사자의 신청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먼저 신청한 사람이 먼저 등록되는 것이 원칙이며, 어떠한 특별한 기준을 두지 않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근대적 세지적의 완성과 소유권제도의 확립을 위한 지적제도 성립의 전환점으로 평가되는 역사적인 사건은?

  1. 윌리암 1세의 영국 둠스데이 측량 시행
  2. 나폴레옹 1세의 프랑스 토지관리법 시핼
  3. 솔리만 1세의 오스만제국 토지법 시핼
  4. 디오클레시안 황제의 로마제국 토지 측량 시행
(정답률: 84%)
  • 나폴레옹 1세의 프랑스 토지관리법 시핼은 1804년에 제정되어 프랑스의 토지소유권제도를 개혁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인의 소유권을 보호하고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등 근대적 세지적의 완성과 소유권제도의 확립을 위한 지적제도 성립의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이 법은 농지의 소유자를 명확히 하고, 농지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히 측량하여 지도에 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농지의 매매와 상속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근대적인 토지관리법의 모델이 되었으며, 다른 국가들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지번의 역할에 해당하는 것은?

  1. 토지의 크기파악
  2. 토지의 위치추측
  3. 토지개발계획의 기초
  4. 토지이용현황 파악
(정답률: 54%)
  • 지번은 토지의 위치를 추측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번은 토지를 구분하기 위해 지역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번호를 부여하는데, 이 번호를 통해 해당 토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번은 토지의 위치를 추측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고려시대의 지적관리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호부
  2. 급전도감
  3. 정치도감
  4. 식목도감
(정답률: 47%)
  • 식목도감은 고려시대의 지적관리기구에 해당하지 않는다. 식목도감은 조선시대에 설립된 기관으로, 나무와 관련된 지식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19세기 전후로 양전개정론을 주장한 사람이 아닌 자는?

  1. 김정호
  2. 정약용
  3. 서유구
  4. 이기
(정답률: 66%)
  • 19세기 전후에 양전개정론을 주장한 사람은 정약용, 서유구, 이기입니다. 김정호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양전개정론을 주장한 적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양안에 토지를 표시함에 있어 양전의 순서에 따라 1필지마다 천자문(千字文)의 자(字)번호를 부여하였던 제도는?

  1. 수등이척제
  2. 결부법
  3. 일자오결제
  4. 집결제
(정답률: 78%)
  • 일자오결제는 양안에 토지를 표시할 때, 각 필지마다 천자문의 자(字)번호를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각 필지를 구분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 양전의 순서에 따라 번호를 매기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인 수등이척제, 결부법, 집결제는 모두 다른 제도와 관련된 용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토지조사사업에서 사정(査定)하였던 사항은?

  1. 소유자
  2. 지번
  3. 지목
  4. 면적
(정답률: 50%)
  • 토지조사사업에서 사정(査定)하였던 사항 중 "소유자"가 포함된 이유는, 토지의 소유자는 해당 토지에 대한 권리와 책임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지의 소유자 정보는 토지의 사용, 관리, 거래 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경국대전의 호전(戶典)에 따르면 조새의 정확성을 유지하기위하여 양안을 개편하도록 매 몇 년마다 한 번씩 양전을 실시하도록 하였는가?

  1. 5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률: 75%)
  • 경국대전의 호전에 따르면 조새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 몇 년마다 한 번씩 양전을 실시하도록 했다고 합니다. 이때, 양전은 양안을 개편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양안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주기로 양전을 실시해야 합니다. 보기에서 "5년", "10년", "15년"은 주기가 너무 짧아 양안의 정확성을 유지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따라서, "20년"이 적절한 주기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토지조사사업 당시 불복신립 및 재결을 행하는 토지소유권의 확정에 관한 최고의 심의기관은?

  1. 도지사
  2. 임시토지조사국장
  3. 고등토지조사위원회
  4. 임야조사위원회
(정답률: 82%)
  • 토지조사사업 당시 불복신립 및 재결을 행하는 토지소유권의 확정에 관한 최고의 심의기관은 고등토지조사위원회입니다. 이는 고등토지조사위원회가 토지조사사업의 최종결과를 검토하고 승인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지소유권의 확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토지조사사업 당시 일반적으로 지번을 부여하지 않았던 지목에 해당되는 것은?

  1. 성첩
  2. 공원지
  3. 지소
  4. 분묘지
(정답률: 57%)
  • 토지조사사업 당시에는 일반적으로 농경지나 주거지 등에만 지번이 부여되었기 때문에, "성첩", "공원지", "지소", "분묘지" 중에서는 "성첩"이 해당된다. "성첩"은 주로 산, 계곡, 강 등의 자연지형을 나타내는 용어로, 지번이 부여되지 않았던 지형지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지적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정성
  2. 간편성
  3. 정확성
  4. 추정성
(정답률: 81%)
  • 지적의 특성 중에서 추정성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추정성은 주관적인 판단이나 추측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과학적이거나 객관적인 근거가 없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지적 작업에서는 추정성을 최대한 배제하고, 정확성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분석과 판단을 중요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임야조사사업에서 사정한 임야의 구획선을 무엇이라고 하였는가?

  1. 지세선
  2. 사정선
  3. 임야선
  4. 경계선
(정답률: 59%)
  • 임야조사사업에서 사정한 임야의 구획선을 "경계선"이라고 하였다. 이는 임야의 경계를 나누는 선으로, 각각의 임야를 구분하기 위해 그려진 선이다. 이 선을 기준으로 각각의 임야의 면적과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임야의 소유권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1720년부터 1723년 사이에 이탈리아 밀라노의 지적도 제작 사업에서 전 영토를 측량하기 위해 사용한 지적도의 축척으로 옳은 것은?

  1. 1/1200
  2. 1/2000
  3. 1/2400
  4. 1/3000
(정답률: 50%)
  • 정답은 "1/2000"입니다.

    1720년부터 1723년 사이에 이탈리아 밀라노의 지적도 제작 사업에서는 전 영토를 측량하기 위해 사용한 지적도의 축척이 "1/2000"이었습니다. 이는 지도상의 1cm가 실제 세계에서 2000cm(20m)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지도는 상대적으로 작은 지역을 상세하게 보여주기에 적합하며, 큰 지역을 보여주기에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지적관계

81. 현행 우리나라의 지목은 총 몇 개의 종류로 구분하여 정하는가?

  1. 24개
  2. 26개
  3. 28개
  4. 30개
(정답률: 88%)
  • 현행 우리나라의 지목은 총 28개의 종류로 구분하여 정해진다. 이는 1962년에 제정된 '지목 및 토지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이 법률에서는 농지, 임야, 주거지, 상업지 등 다양한 용도에 따라 지목을 구분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28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지적소관청이 토지의 표시 변경에 관한 등기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관할 등기관서에 그 등기를 촉탁하여야 하는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분할
  2. 신규등록
  3. 바다로 된 토지의 말소
  4. 행정구영 개편에 따른 지번변경
(정답률: 54%)
  • 지적소관청이 토지의 표시 변경에 관한 등기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신규등록"은 촉탁 대상이 아니다. 이는 이미 등록된 토지가 아닌 새로운 토지를 등록하는 경우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미 등록된 토지의 변경이나 말소에 관한 경우이므로 촉탁 대상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지적측량수행자의 성실의무로 옳은 것은? (단, 지적측량수행자는 소속 측량기술자를 포함한다.)

  1. 지적측량수행자는 배우자가 소유한 토지에 대하여 지적측량을 할 수 있다.
  2. 지적측량수행자는 정당한 사유없이 지적측량 신청을 거부할 수 없다.
  3. 지적측량수행자는 지적측량수수료 외에 그 업무와 관련된 대가를 받으면 아니된다.
  4. 지적측량수행자는 둘 이상의 측량업자에게 소속될 수 있다.
(정답률: 49%)
  • "지적측량수행자는 지적측량수수료 외에 그 업무와 관련된 대가를 받으면 아니된다." 이유는 지적측량수행자가 대가를 받으면 그 대가에 영향을 받아 업무를 수행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지적측량수행자의 성실의무에 위배된다. 따라서 지적측량수행자는 지적측량수수료 외에 어떠한 대가도 받으면 안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지적소관청이 복구자료의 조사 또는 복구측량 등이 완료되어 지적공부를 복구하려는 경우에 복구하려는 토지의 표시 등을 게시하는 장소와 기간 기준이 모두 옳은 것은?

  1. 일간신문, 1일간
  2. 소관청과 등기소, 30일간
  3. 시・군・구 게시판, 10일 이상
  4. 시・군・구 게시판, 15일 이상
(정답률: 80%)
  • 지적소관청이 복구자료의 조사 또는 복구측량 등이 완료되어 지적공부를 복구하려는 경우에는 해당 토지의 소유자나 이용자들이 알 수 있도록 게시를 해야 합니다. 이때, 시·군·구 게시판에 게시하는 기간은 최소 15일 이상이어야 하며, 이는 충분한 시간 동안 관련 이해관계자들이 게시물을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군·구 게시판, 15일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과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1000m2 면적의 토지에 지목이 대(岱)인 30m2 면적의 토지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필지의 결정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토지의 소유자는 동일하다.)

  1. 종된 용도의 토지 면적이 주된 용도의 토지면적의 10%미만이므로 전체를 1필지로 한다.
  2. 종된 용도의 토지의 지목이 대(岱)이므로 1필지로 할 수 없다.
  3. 지목이 대(岱)인 토지의 지가가 더 높으므로 전체를 1필지로 한다.
  4. 1필지로 하거나 필지를 달리하여도 무방하다.
(정답률: 64%)
  • 답은 "종된 용도의 토지의 지목이 대(岱)이므로 1필지로 할 수 없다." 이다.

    필지 결정 방법 중 하나는 "주된 용도의 토지면적의 10% 이상인 경우에는 전체를 1필지로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필지를 달리하여도 무방하다"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대(岱)이라는 지목이 있는 종된 용도의 토지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은 1필지로 할 수 없다. 대(岱)는 산지나 높은 곳에 위치한 토지를 가리키는데, 이러한 토지는 경작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산림이나 수목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토지는 필지 결정에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새로 조성된 토지와 지저거공부에 등록되어 있지 아니한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등록전환
  2. 지목변경
  3. 신규등록
  4. 축척변경
(정답률: 84%)
  • 신규등록은 새로 조성된 토지나 지적공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토지를 처음으로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다른 보기들은 이미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정보를 수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토지대장에 등록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지목
  2. 면적
  3. 토지의 고유번호
  4. 소유권 지분
(정답률: 70%)
  • 토지대장에 등록해야 하는 사항은 해당 토지의 정보를 명확하게 기록하기 위한 것입니다. 지목은 토지의 용도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면적은 토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토지의 고유번호는 해당 토지를 식별하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소유권 지분은 토지의 소유자가 얼마나 많은 지분을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토지의 정보를 명확하게 기록하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토지대장에 등록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지목을 도로로 분류할 수 없는 것은?

  1. 공장 안에 설치된 통로
  2. 2필지 이상에 진입하는 통로로 이용되는 토지.
  3. 고속도로의 휴게소 부지
  4. 도로법에 따라 도로로 개설된 토지
(정답률: 73%)
  • "공장 안에 설치된 통로"는 도로법에 따라 개설된 토지가 아니기 때문에 도로로 분류할 수 없습니다. 이는 공장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통로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현생 지적도의 축척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1/500
  2. 1/1000
  3. 1/2000
  4. 1/3000
(정답률: 66%)
  • 정답은 "1/3000"입니다.

    현생 지적도의 축척은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500 축척은 지도상의 1cm가 실제 세계에서 500cm(5m)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축척이 작을수록 지도상에서는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1/2000 축척은 1/500, 1/1000 축척보다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1/3000 축척은 다른 세 축척보다 더 큰 비율로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가 차이나기 때문에 현생 지적도의 축척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지상 경계의 구획을 형성하는 구조물 등의 소유자가 다른 경우 지상 경계를 새로이 결정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연접되는 토지 간에 높낮이 차이가 없는 경우 구조물의 중아에 지상 경계를 결정한다.
  2. 도로에 절토된 부분이 있는 경우 그 경사면의 상단부를 지상 경계로 결정한다.
  3. 연접되는 토지 간에 높낮이 차이가 있는 경우 구조물의 하단부를 지상 경계로 결정한다.
  4. 소유권에 따라 지상 경계로 결정한다.
(정답률: 45%)
  • 소유권에 따라 지상 경계로 결정한다. 이는 각 토지의 소유자가 자신의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소유자가 소유하는 구조물 등이 그 토지의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는 원칙에 기반한다. 따라서, 각 소유자가 소유하는 구조물 등이 경계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유자 간 협의를 통해 지상 경계를 결정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지적측량을 하여야 하는 토지이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신규등록
  2. 등록전환
  3. 분할
  4. 지목변경
(정답률: 74%)
  • 지적측량은 토지의 위치, 면적, 형상 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이다. 그 중에서도 "지목변경"은 토지의 위치나 면적이 변경되지 않고, 단지 사용목적이나 용도가 변경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지적측량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이다. 반면에 "신규등록", "등록전환", "분할"은 토지의 위치나 면적이 변경되는 경우이므로 지적측량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합병 신청을 할 수 없는 토지가 아닌 것은?

  1. 합병하려는 토지의 지적도 및 임야도의 축척이 서로 다른 경우
  2. 합병하려는 각 필지의 지반이 연속되지 아니한 경우
  3. 합병하려는 토지가 등기된 토지와 등기되지 아니한 토지인 경우
  4. 합병하려는 토지의 지번부여지역이 동일하고 토지소유자가 동일한 토지인 경우
(정답률: 81%)
  • 합병하려는 토지의 지번부여지역이 동일하고 토지소유자가 동일한 토지인 경우는 합병 신청이 가능하다. 이는 지번부여지역과 소유자가 동일하므로 합병 후에도 토지의 소유자나 지적상황에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합병 신청이 불가능한 경우이다. 축척이 다른 경우는 지적도의 정확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합병이 불가능하며, 지반이 연속되지 않은 경우는 토지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아 합병이 어렵다. 등기되지 않은 토지는 소유자나 지적상황이 불명확하여 합병이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중앙지적위원회는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포함하여 몇 명으로 구성하는가?

  1. 3명 이상 7명 이하
  2. 5명 이상 10명 이하
  3. 7명 이상 12명 이하
  4. 15명 이상 20명 이하
(정답률: 81%)
  • 중앙지적위원회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 중 하나로, 지적재산권 등에 관한 중요한 정책을 결정하고 이를 추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를 위해 위원회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야 하며, 그 수는 너무 적으면 전문성이 부족하고, 너무 많으면 의사결정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적절한 범위 내에서 구성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5명 이상 10명 이하"가 적절한 인원 구성 범위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지번의 결번 사유 중, 지적소관청이 결번대장에 그 사유를 적어 영구히 보존해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구계 분할
  2. 도시개발사업의 시행
  3. 축척변경
  4. 행정구역의 변경
(정답률: 46%)
  • 정답: "지구계 분할"

    설명: 지적소관청이 결번대장에 사유를 적어 영구히 보존해야 하는 경우는 지적도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지구계 분할은 지적도의 정확성과 일관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결번대장에 그 사유를 적어 영구히 보존할 필요가 없습니다. 반면에 도시개발사업의 시행, 축척변경, 행정구역의 변경은 지적도의 정확성과 일관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결번대장에 그 사유를 적어 영구히 보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지적전산자료의 이용 또는 활용신청에 대한 심사 신청을 받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심사하여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신청내용의 타당성, 적합성 및 공익성
  2. 자료의 목적 외 사용 방지 몇 안전관리대책
  3. 토지정보의 공신력 확보를 위한 정보제공 제한의 적정성
  4. 개인의 사생활 침해 여부
(정답률: 43%)
  • "토지정보의 공신력 확보를 위한 정보제공 제한의 적정성"은 지적전산자료를 이용 또는 활용하는 경우, 해당 자료가 공공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제한적인 정보제공을 적절하게 시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토지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고, 개인정보 보호와 같은 공익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토지소유자가 신규등록을 신청할 때에 신규등록 사유를 적은 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할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법원의 확정판결서 정본 또는 사본
  2. 공유수면매립법에 따른 준공검사확인증 사본
  3.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의 사본
  4. 사업인가서와 지번별조서
(정답률: 62%)
  • 신규등록을 신청할 때에는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의 사본을 첨부해야 합니다. 그러나 사업인가서와 지번별조서는 신규등록 사유를 적은 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할 서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신규등록과는 관련이 없는 서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축척변경에 따른 청산금 산정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소관청은 축척병경에 관한 측량변경에 관한 측량을 한 결과 측량 전에 비하여 면적의 증감이 있는 경우에는 그 증감면적에 대하여 청산을 하여야 한다.
  2. 토지소유자 전원이 청산하지 아니하기로 합의하여 서면을 제출한 경우에도 지적소관청은 축척변경에 따른 중감면적에 대하여 청산을 하여야 한다.
  3. 지적소관청이 축척변경에 따른 증감면적에 대하여 청산을 하는 경우 축척변경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지번별 제곱미터당 금액을 정하여야 한다.
  4. 지적소관청은 청산금을 산정하였을 때에는 청산금조서를 작성하고, 청산금이 결정되었다는 뜻을 15일 이상 공고하여 일반인이 열람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정답률: 65%)
  • "토지소유자 전원이 청산하지 아니하기로 합의하여 서면을 제출한 경우에도 지적소관청은 축척변경에 따른 중감면적에 대하여 청산을 하여야 한다."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토지소유자 전원이 청산하지 아니하기로 합의하여 서면을 제출한 경우에는 지적소관청이 청산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되었습니다.

    축척변경에 따른 청산금 산정은 지적소관청이 책임지고, 증감면적에 따라 지번별 제곱미터당 금액을 정하고 청산금조서를 작성하여 공고하는 절차를 따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공유지연명부의 등록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토지의 고유번호
  2. 전유부분의 건물표시
  3. 지번
  4. 소유자의 명칭
(정답률: 55%)
  • 공유지연명부의 등록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전유부분의 건물표시"입니다. 이는 공유지연명부에 등록되는 것이 아니라 부동산 등기부에 등록되는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공유지연명부는 공유자들 간의 지분비율, 공유지의 위치, 면적 등 공유지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도시개발사업과 관련한 토지의 이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는 시기 기준은?

  1. 토지개발완료 신고서가 도착한 때
  2. 도시개발사업 공사에 착수하였을 때
  3. 도지개발사업의 설계가 완료된 때
  4. 토지의 형질변경 등의 공사가 준공된 때
(정답률: 62%)
  • 토지의 이동은 도시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토지의 이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는 시기 기준은 "토지의 형질변경 등의 공사가 준공된 때"입니다. 이는 토지의 소유자가 변경되고, 새로운 건물이 건설되어 사용이 가능해진 시점으로, 이전 소유자와 새로운 소유자 간의 계약이 체결되는 시점입니다. 따라서 이 시점을 기준으로 토지의 이전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경계점좌표등록부를 갖춰두는 지역의 지적도에 등록하는 사항은?

  1. 편장에서 실측에 의한 경계점 간의 거리
  2. 좌표에 의하여 계산된 경계점 간의 거리
  3. 도상에서 실측한 거리
  4. 면적측정에 의하여 산정한 거리
(정답률: 63%)
  • 경계점좌표등록부는 지적도에 등록되는 지역의 경계점들의 좌표를 등록하는 문서이다. 이 때 등록되는 사항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경계점 간의 거리이다. 이는 지적도에서 지적선이나 경계면을 그리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며, 좌표에 의하여 계산된 거리가 등록되어야 정확한 지적도를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좌표에 의하여 계산된 경계점 간의 거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