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9-28)

축산기사
(2013-09-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가축육종학

1. 한 개체가 우성동협접합체인지 이형접합체인지 구분이 되지 않을 때 이 개체와 검정교배하는 개체들의 유전자형은?

  1. aa
  2. AA
  3. Aa
  4. 어떤 형태도 가능
(정답률: 76%)
  • 만약 개체가 우성동협접합체인지 이형접합체인지 구분이 되지 않는다면, 이 개체는 순수한 우성형 또는 이성형 유전자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정교배하는 개체들과 교배하면 모든 후손은 이 개체의 유전자형을 알 수 없으며, 모두가 이성형 유전자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모든 후손은 이성형 유전자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 개체의 유전자형은 "aa"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령 RNA(mRNA)에 내장된 유전정보를 받아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세포내 소기관은?

  1. 리보솜
  2. 미토콘드리아
  3. 골지체
  4. 중심체
(정답률: 86%)
  • 전령 RNA(mRNA)에 내장된 유전정보를 받아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세포내 소기관은 리보솜입니다. 이는 mRNA가 리보솜으로 이동하여, 리보솜 내에서 mRNA와 함께 리보솜 RNA(rRNA)과 전이 RNA(tRNA) 등의 다른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분자들이 상호작용하여 단백질 합성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반형매(半兄妹)의 관계가 있는 두 개체를 교배시켰을 때 근교계수는 얼마인가?

  1. 6.25%
  2. 12.5%.
  3. 25%
  4. 50%
(정답률: 79%)
  • 반형매 관계는 한 부모만 공유하는 형제나 자매 관계를 말한다. 따라서 교배시키면 부모의 유전자가 중복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근교계수는 12.5%가 된다. 이는 부모의 유전자 중 1/4가 동일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개량 대상형질에 대하여 일정한 값을 기준으로 그 이상의 개체는 선발하고 그 이하의 개체는 모두 도태시키는 방법은?

  1. 절단형선발(truncation selection)
  2. 가계선발(family selection)
  3. 간접선발(indirect selection)
  4. 당대검정에 의한 선발
(정답률: 77%)
  • 절단형선발은 개체의 특정한 형질 값에 대해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고, 그 기준 이상의 개체만을 선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개체의 형질 값이 높을수록 우수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를 유전자 선택의 기준으로 삼는 것입니다. 따라서 개체의 형질 값이 낮은 경우에는 도태시키고, 형질 값이 높은 경우에는 선발하여 개체 집단의 형질 값을 개선시키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단위기간 당 유전적 개량량을 증대시키는 함수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세대간격을 최소화 한다.
  2. 유전적 변이를 최소화 한다.
  3. 선발강도를 최대화 한다.
  4. 신뢰도를 최대화 한다.
(정답률: 79%)
  • "유전적 변이를 최소화 한다."가 틀린 것이다. 단위기간 당 유전적 개량량을 증대시키는 함수는 유전적 변이를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면서도 선발강도를 최대화하고 세대간격을 최소화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유전적 변이를 최소화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한 유전자좌위(Locus)에 두 가지 형태의 대립 유전자 A와 a가 존재할 때 한 집단에서 A의 빈도가 0.5이고 이 집단이 유전적 평형 상태를 이루면 유전자형 Aa의 빈도는?

  1. 0.75
  2. 0.5
  3. 0.25
  4. 0.1
(정답률: 72%)
  • 유전적 평형 상태에서 대립 유전자 A와 a의 빈도는 각각 0.5이므로, Aa 유전자형은 A와 a가 각각 한 번씩 결합할 확률이 0.5 x 0.5 = 0.25이다. 따라서 Aa 유전자형의 빈도는 0.25 x 2 =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산란계 농장의 검정성적이 다음 표와 같을 때 이 농장의 평균 난중은?

  1. 65.1g
  2. 61.9g
  3. 53.9g
  4. 46.9g
(정답률: 75%)
  • 산란계 농장의 평균 난중은 검정성적의 평균과 같다. 따라서 검정성적의 평균을 구하면 된다.

    검정성적의 총합은 130.2g 이고, 샘플의 개수는 2개이므로 평균은 130.2g / 2 = 65.1g 이다.

    따라서 정답은 "65.1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양성교잡에서 3개 유전자 좌위의 대립인자간에 어떠한 간섭이 없이 각 대립인자의 유전자들이 독립적으로 유전되는 유전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분리의 법칙
  2. 독립의 법칙
  3. 대립의 법칙
  4. 우열의 법칙
(정답률: 85%)
  • 독립의 법칙은 양성교잡에서 3개 유전자 좌위의 대립인자간에 어떠한 간섭이 없이 각 대립인자의 유전자들이 독립적으로 유전되는 유전현상을 말한다. 이는 각 대립인자가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유전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메이어-메이어 법칙이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정답은 "독립의 법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윤환교배방법과 종료교배방법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일정비율의 암컷은 대체종빈축의 생산을 위해 윤환교배를 실시하고 나머지 일정비율의 교잡종 암컷은 종료종모축과 교배하여 실용축을 생산하도록 하는 교배 방법은?

  1. 3품종 종료교배
  2. 종료윤환교배
  3. 윤환교배
  4. 2품종 교배
(정답률: 72%)
  • 종료윤환교배는 윤환교배와 종료교배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일정비율의 암컷은 대체종빈축의 생산을 위해 윤환교배를 실시하고, 나머지 일정비율의 교잡종 암컷은 종료종모축과 교배하여 실용축을 생산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체종빈축과 실용축을 모두 생산할 수 있으며, 생산성과 유전적 다양성을 모두 고려한 교배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종료윤환교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소의 무각은 유각에 대하여 우성이다. 무각(PP)인 소와 유각(pp)인 소를 교배하였을 때 그 F1의 표현형과 유전자형이 모두 옳게 표시된 것은?

  1. 무각(PP)
  2. 무각(Pp)
  3. 유각(Pp)
  4. 유각(pp)
(정답률: 87%)
  • 무각은 유각에 대해 우성이므로, 무각(PP)와 유각(pp)를 교배하면 모든 자손은 무각(Pp)일 것입니다. 이는 유전자형으로는 Pp, 표현형으로는 무각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각(P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부모의 추정 육종가가 각각 100과 80일 때 이 둘에서 태어날 자손의 예상 육종가는?

  1. 180
  2. 100
  3. 90
  4. 80
(정답률: 88%)
  • 자손의 예상 육종가는 부모의 추정 육종가의 평균인 90이 됩니다. 이는 두 부모의 육종가를 더한 후 2로 나눈 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육돈 생산에 적합한 3월 교배법은?

  1. [다산계A품종(♀) × 다산계 B품종(♂)](♀) × 육질좋은 C품종(♂)
  2. [다산계A품종(♀) × 육질좋은 B 품종(♂)](♀) × 육질좋은 C품종(♂)
  3. [육질좋은A품종(♀) × 다산계 B품종(♂)](♀) × 육질좋은 C품종(♂)
  4. [육질좋은A품종(♀) × 육질좋은 B품종(♂)](♀) × 육질좋은 C품종(♂)
(정답률: 52%)
  • 다산계A품종과 B품종은 상호보완적인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교배시 육질이 우수한 후손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육성하기 위해 육질이 좋은 C품종과 교배하는 것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한우의 후대검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검정소 후대검정우의 선정기준은 후보씨수소 1두당 교배암소 40두 이상을 교배시켜 생산되고 유전자검사 결과 친자가 확인된 수송아지가 10두 이상이어야 한다.
  2. 후대검정우에 대한 검정기간은 예비검정과 본검정으로 구분하며, 예비검정은 생후 270~300일령에 시작하여 500일간 검정한다.
  3. 후대검정을 개시한 후보씨수소에 대하여는 보증씨 수소로 선발되기 이전까지는 냉동정액을 생산, 보관하여야 한다.
  4. 후대검정우의 체중 측정 시기는 개시시, 축군 평균 일령이 360일령, 540일령 및 종료시로 4회 측정한다.
(정답률: 5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검정된 12마리 수퇘지 중 4마리만을 종돈으로 이용하고 나머지는 도태하고자 한다. 가계선발에 의하여 선발되는 개체의 번호는?

  1. A-3, A-4, B-1, B-3
  2. A-4, B-1, B-3, C-2
  3. B-1, B-2, B-3, B-4
  4. A-4, B-1, B-3, B-4
(정답률: 56%)
  • 가계선발은 종돈으로 이용할 개체를 무작위로 선택하는 것이므로, 종돈으로 이용할 개체가 포함된 보기를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B-1, B-2, B-3, B-4"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산란계의 산란능력을 개량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선발 방법은?

  1. 개체선발
  2. 가계선발
  3. 개체와 가계 결합선발
  4. 가계내선발
(정답률: 57%)
  • 산란능력은 유전적인 특성이기 때문에 개체와 가계 결합선발이 가장 효과적이다. 개체선발은 개체의 유전적 특성만 고려하기 때문에 가계 내에서 발생하는 유전적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못하고, 가계선발은 가계 내에서 발생하는 유전적 상호작용을 고려하지만 개체의 유전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체와 가계 결합선발은 개체의 유전적 특성과 가계 내에서 발생하는 유전적 상호작용을 모두 고려할 수 있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AABB와 aabb 교배시 가능한 F1 자손의 유전자형(genotype)은 총 몇 가지인가?

  1. 1가지
  2. 2가지
  3. 3가지
  4. 9가지
(정답률: 65%)
  • AABB와 aabb는 서로 다른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배시 F1 자손은 모두 AaBb 유전자형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가능한 유전자형은 1가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한우의 어느 형질에 있어 상가적 유전분산은 0.6, 우성분산은 0.2, 상위성 분산은 0.1, 환경분산은 1.1 이었다. 이형질에 대한 좁은 의미의 유전력은?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67%)
  • 좁은 의미의 유전력은 상가적 유전분산과 우성분산의 합이므로 0.6 + 0.2 = 0.8 이다. 그러나 상위성 분산과 환경분산도 유전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들을 제외한 상속 가능한 유전력은 0.8 - 0.1 - 1.1 = -0.4 이다. 따라서 이 형질의 좁은 의미의 유전력은 0.3이 아니라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선발지수를 산출할 때 이용되는 통계량으로서 이용가치가 적은 것은?

  1. 각 형질간의 표현형공분산
  2. 각 형질간의 표현형 상관계수
  3. 각 형질의 상대적 경제가치
  4. 각 형질의 추정 생산 능력
(정답률: 48%)
  • 선발지수를 산출할 때 이용되는 통계량은 각 형질의 상대적 경제가치와 각 형질의 추정 생산 능력입니다. 각 형질간의 표현형공분산과 각 형질간의 표현형 상관계수는 형질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지만, 선발지수를 산출하는 데 직접적으로 이용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이 두 통계량은 이용가치가 적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100마리의 앵거스(Angus) 소에 대한 모색을 조사한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붉은 색에 대한 유전자 빈도는? (단, 유전적 평형상태를 가정한다)

  1. 0.4
  2. 0.6
  3. 0.8
  4. 1.0
(정답률: 75%)
  • 유전적 평형상태에서, 붉은 색 유전자의 빈도는 해당 유전자가 나타나는 모든 유전자의 빈도의 합과 같다. 따라서, 붉은 색 유전자의 빈도는 (20 + 10 + 10 + 60) / (200) = 0.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체세포 분열의 중기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핵인(Nucleus)이 없어짐
  2. 염색체가 세포의 적도판에 배열
  3. 세포질의 분할
  4. 염색분체의 양극으로의 이동
(정답률: 72%)
  • 체세포 분열의 중기에는 염색체가 세포의 적도판에 배열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염색체가 정확하게 분배되어 딸세포들이 동일한 유전자 정보를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핵인이 없어지는 것은 분열의 후기 단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세포질의 분할과 염색분체의 양극으로의 이동은 분열의 전기와 후기 단계에서 모두 일어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가축번식생리학

21. 유선의 발달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유관과 유관분자가 유방내에서 형성되는 시기는 임신중기이다.
  2. 유관주위에 유선포의 발달이 왕성하게 일어나는 시기는 임신말기이다.
  3. 유선상피세포가 모여 유두를 형성하는 시기는 출생이후이다.
  4. 유선상피세포의 증식이 왕성하게 일어나는 시기는 성성숙기에서 임신직전까지이다.
(정답률: 52%)
  • 정답은 "유관주위에 유선포의 발달이 왕성하게 일어나는 시기는 임신말기이다." 이다. 이유는 임신 말기에는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유방 내부의 유관 주위에 많은 양의 유선 조직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선 조직은 출산 후 수유를 위해 유방에서 우유를 분비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젖소의 정상적인 생리적 공태 기간은?

  1. 10~20일
  2. 40~60일
  3. 80~100일
  4. 120~140일
(정답률: 75%)
  • 젖소의 정상적인 임신 기간은 약 280일(9개월)이며, 이를 4로 나누면 약 70일이 됩니다. 이 중 배아가 자라는 초기 10일 정도는 거의 증식만 일어나기 때문에 제외하면, 60일 정도가 정상적인 생리적 공태 기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6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융모막융모의 형태에 따라 산재성 태반을 가진 가축은?

  1. 돼지
  2. 면양
(정답률: 80%)
  • 융모막융모의 형태에 따라 산재성 태반을 가진 가축은 돼지입니다. 돼지는 융모막융모가 발달하여 태아가 태반을 뚫고 나오는 과정에서 태반 조각이 산재성으로 분리되어 발생하는 태아성 낭종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돼지에서 수정시 다정자 침입을 방지하는 생리적 작용들만 묶은 것은?

  1. 투명대반응, 첨체반응, 난백차단
  2. 첨체반응, 난황막차단. 정자수의 제한
  3. 난백차단, 정자수의 제한, 첨체반응
  4. 정자수의 제한, 투명대 반응, 난황막 차단
(정답률: 62%)
  • 돼지에서 수정시 다정자 침입을 방지하는 생리적 작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자수의 제한: 돼지의 자궁에는 정자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작아서, 정자의 수가 제한됩니다. 이는 다수의 정자가 동시에 난자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2. 투명대 반응: 난자 주위에 있는 투명한 물질이 정자의 침입을 방해합니다. 이는 난자가 이미 다른 정자와 결합한 경우에도 추가적인 정자의 침입을 막아줍니다.

    3. 난황막 차단: 난자 주위에 있는 난황막은 정자의 침입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난자가 이미 다른 정자와 결합한 경우에도 추가적인 정자의 침입을 막아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자수의 제한, 투명대 반응, 난황막 차단"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분만이 개시될때 그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호르몬은?

  1. PGF2α
  2. Progesterone
  3. Oxytocin
  4. Growth hormone
(정답률: 78%)
  • 분만이 개시될 때 자궁수축을 유발하는 호르몬인 Oxytocin의 분비량은 증가하지만, Progesterone의 분비량은 상대적으로 감소합니다. Progesterone은 임신 초기에는 자궁을 안정시키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분만 직전에는 자궁수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만이 개시될 때 Progesterone의 농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가축의 번식을 위한 생리적 작용이 유사한 호르몬끼리 연결된 것은?

  1. LH - hCG, FSH - Prolactin
  2. LH - hCG, FSH - PMSG
  3. LH - PMSG, FSH - Prolactin
  4. LH - PMSG, FSH - hCG
(정답률: 69%)
  • LH와 hCG는 모두 난소에서 생성되며, 난자의 성숙과 배란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FSH와 PMSG는 모두 난소에서 생성되며, 난자의 성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LH와 hCG, FSH와 PMSG는 가축의 번식을 위한 생리적 작용이 유사한 호르몬끼리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가축의 발정을 동기화 하였을 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체별 발정의 관찰이 필요하다
  2. 배이식을 효과적으로 시술할 수 있다.
  3. 가축의 개량과 능력검정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4. 호르몬제의 처리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날 위험성이 있다.
(정답률: 61%)
  • 발정 동기화는 가축의 발정을 동시에 일어나도록 조절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각 개체의 발정 주기나 상태는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개체별 발정의 관찰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발정 동기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가축의 개량과 능력검정사업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호르몬제의 처리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날 위험성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가축인공수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가축개량의 촉진
  2. 종모축의 유전력 조기판정
  3. 전염성 생식기병의 미연방지
  4. 수태율의 저하
(정답률: 81%)
  • 수태율의 저하는 가축인공수정의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인공수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중 하나로, 수태율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공수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가축의 건강 상태나 환경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수정란이 태아로 발달하는 것은?

  1. 영양막
  2. 내부세포괴(inner cell mass)
  3. 태막
  4. 투명대
(정답률: 79%)
  • 내부세포괴(inner cell mass)가 수정란으로 발달하여 태아가 형성됩니다. 내부세포괴는 수정란 내부에 위치한 세포집합으로, 태아의 신체 및 장기를 형성하는 줄기세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세포괴는 태아 발달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소에서 비외과적인 방법으로 수정란을 채취하는 시기는 배란 후 언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1. 배란직후
  2. 배란 후 2일 이전
  3. 배란 후 3일 이전
  4. 배란 후 4일 이후
(정답률: 63%)
  • 배란 후 4일 이후에 수정란을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수정란이 난소에서 출발하여 자궁포경을 통해 자궁으로 이동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란 후 4일 이후에 채취하면 수정란이 자궁에 도착한 후에 채취하므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배란 후 2일 이전이나 3일 이전에 채취하면 수정란이 아직 자궁에 도착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어 정확한 결과를 얻기 어렵습니다. 배란직후에 채취하면 수정란이 아직 출발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어 채취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컷에서 부생식기관을 유지시키고 제2차 성징을 발현시킬 뿐만 아니라 정자의 형성에도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호르몬은?

  1. LH
  2. hCG
  3. Testosterone
  4. Progesterone
(정답률: 76%)
  • Testosterone은 수컷에서 부생식기관을 유지시키고 제2차 성징을 발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또한 정자의 형성에도 직접적으로 관여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Testosterone입니다. LH와 hCG는 호르몬이지만, Testosterone과는 다른 역할을 합니다. Progesterone은 여성 호르몬으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젖소의 유방에서 유즙이 생성 운반되는 경로가 바르게 연결된것은?

  1. 유선포-유선관-유선소엽-유선조-유두관
  2. 유선포-유선소엽-유선관-유선조-유두관
  3. 유선포-유선조-유선관-유선소엽-유두관
  4. 유선포-유선소엽-유선조-유선관-유두관
(정답률: 62%)
  • 젖소의 유방에서 유즙이 생성되면, 유선포에서 시작하여 유선소엽을 거쳐 유선관으로 이동하고, 유선조를 거쳐 유두관으로 운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선포-유선소엽-유선관-유선조-유두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소에서 가장 조기에 임신진단이 가능한 방법은?

  1. 직장검사법
  2. 유즙 중 호르몬 측정법
  3. 초음파 진단법
  4. 방사선 진단법
(정답률: 58%)
  • 유즙 중 호르몬 측정법은 여성의 체내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여 임신 여부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임신 초기에도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조기에 임신진단이 가능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포유가축의 교배적기를 결정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발정지속시산
  2. 정자의 성숙도
  3. 정자의 수송시간
  4. 정자의 수정능력 보유시간
(정답률: 56%)
  • 포유가축의 교배적기는 발정지속시산, 정자의 수송시간, 정자의 수정능력 보유시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러나 정자의 성숙도는 교배적기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정자의 성숙도는 정자가 완전히 형성되어 성숙한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교배적기와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자의 성숙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모축의 자궁에 착상되는 수정란의 단계는?

  1. 8세포기
  2. 16세포기
  3. 상실배
  4. 배반포
(정답률: 76%)
  • 모축의 자궁에 착상된 수정란은 분열을 거쳐 16개의 세포로 나누어지는데, 이 중에서 외부와 접촉하는 면이 되는 세포들이 모여 상실배를 형성하고, 그 안에 있는 세포들이 다시 분열하여 배반포를 형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반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정자가 생산되는 부위는?

  1. 세정관
  2. 정소상체
  3. 정소망
  4. 정관
(정답률: 60%)
  • 정자는 세포분열과정에서 생산되는데, 이때 세포분열이 일어나는 부위인 세정관에서 생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세정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난자와 정자의 수정이 일어나는 장소는?

  1. 난관자궁 접합부
  2. 난관 누두부
  3. 난관 협부
  4. 난관 팽대부
(정답률: 73%)
  • 난자와 정자의 수정이 일어나는 장소는 "난관 팽대부"입니다. 이는 난관과 자궁이 만나는 부분으로, 여기서 난자와 정자가 만나서 수정이 일어납니다. 다른 보기들은 난관의 다른 부분을 나타내는데, 수정이 일어나는 곳은 난관 팽대부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성숙한 포유가축의 자궁이 수행하는 생리적 기능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난자와 정자의 수송
  2. 황체기능의 조절
  3. 교미
  4. 임신유지 및 분만개시
(정답률: 68%)
  • 성숙한 포유가축의 자궁이 수행하는 생리적 기능 중에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교미"이다. 자궁은 난자와 정자의 수송, 황체기능의 조절, 임신유지 및 분만개시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교미는 생식기관의 역할이며 자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성숙한 암컷의 포유가축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의 결핍, 난소이상 및 황체퇴행 장해 등에 의해서 난포의 발육이 되지 않는 경우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가?

  1. 난소낭종
  2. 위임신
  3. 사모광증
  4. 무발정
(정답률: 62%)
  • 성숙한 암컷의 포유가축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의 결핍, 난소이상 및 황체퇴행 장해 등에 의해서 난포의 발육이 되지 않으면, 발정기가 오지 않고 발정행동을 보이지 않는 "무발정" 상태가 나타납니다. 이는 즉, 발정기가 없어서 새끼를 낳을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상태는 번식능력을 상실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돼지에 있어서 기구를 사용하여 임신을 가장 쉽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은?

  1. 초음파 진단법
  2. 호르몬 분석법
  3. 질생체조직 검사법
  4. 직장 촉진법
(정답률: 79%)
  • 초음파 진단법은 기계를 사용하여 소리파장을 발생시켜서 돼지의 배 속에 있는 태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침습적이며, 정확도가 높아서 임신을 가장 쉽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음파 진단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가축사양학

41. 우유 생산을 위한 영양소 공급에 있어서 이상적인 조사료 : 농후사료 급여비율은?

  1. 90 : 10
  2. 60 : 40
  3. 30 : 70
  4. 20 : 80
(정답률: 72%)
  • 우유 생산을 위해서는 단백질과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를 고려하여 농후사료를 급여할 때는 단백질과 에너지 비율이 적절해야 합니다. 60 : 40 비율은 단백질과 에너지 비율이 적절하게 공급될 수 있는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비율이 우유 생산을 위한 영양소 공급에 이상적인 조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보기]의 설명 중 ( )안에 맞는 것은?

  1. 초산월령
  2. 최고비유기
  3. 건유기
  4. 사료증급기
(정답률: 69%)
  • 이미지는 달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며, "초산월령"은 달의 상태 중 하나로, 새로운 달이 시작되는 첫 번째 날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이미지에서는 달이 새로운 달 상태인 것으로 보이므로 정답은 "초산월령"이다. "최고비유기", "건유기", "사료증급기"는 달의 상태와는 관련이 없는 단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활성흡수에 의해 흡수되는 영양소는?

  1. 프락토스(fructose)
  2. 만노스(mannose)
  3. 포도당(glucose)
  4. 리보스(ribose)
(정답률: 69%)
  • 활성흡수는 산성성분이나 전해질 등의 화학물질이 세포막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화학물질을 흡수하는 과정입니다. 이 중에서 포도당은 세포 내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당류이며, 활성흡수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됩니다. 따라서 포도당이 활성흡수에 의해 흡수되는 영양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갑상선 종양을 일으 킬 수 있는 물질(goitrogenic)을 갖고 있는 사료는?

  1. 대두박
  2. 호마박
  3. 채종박
  4. 임자박
(정답률: 70%)
  • 채종박은 갑상선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함유하고 있어 갑상선 종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대두박과 호마박도 갑상선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지만, 채종박에 비해 함량이 적습니다. 임자박은 갑상선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을 함유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산란계의 경우 난황이 배란되어 난관을 통과하여 산란하기까지의 평균 소요시간은?

  1. 12~14시간
  2. 15~20시간
  3. 24~25시간
  4. 30~31시간
(정답률: 60%)
  • 산란계의 경우 난관을 통과하는데 약 6-8시간이 소요되며, 이후 난관에서의 이동속도는 느리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16-17시간이 추가로 소요됩니다. 따라서 산란하기까지의 평균 소요시간은 약 24-25시간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산란계 농장의 경영에서 손익분기점 분석시 산란일량 파악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1일 1수당 사료섭취량
  2. 생산비중 성계사료비의 비율
  3. 계란과 사료의 가격비율
  4. 계사 및 시설의 감가상각비
(정답률: 67%)
  • 산란일량은 생산량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생산비중 성계사료비의 비율과 계란과 사료의 가격비율은 생산비와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계사 및 시설의 감가상각비는 생산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고정비로 분류되기 때문에 손익분기점 분석에서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산란계 사양에서 사료내 단백질 함량을 증가시켜 주지 않아도 될 경우는?

  1. 다산시(多産時)
  2. 체중이 표준치 보다 적을 때
  3. 식용이 부진할 때
  4. 기온이 적정 사육온도 보다 낮았을 때
(정답률: 54%)
  • 기온이 적정 사육온도 보다 낮을 때는 동물의 대사율이 떨어져서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단백질 대사율이 증가하여 단백질의 소비가 늘어나기 때문에 사료내 단백질 함량을 증가시켜 주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반추위내에서 생성되는 휘발성 지방산 중 유지방 합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구연산(Citric acid)
  2. 초산(Acetic acid)
  3.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4. 젖산(Lactic acid)
(정답률: 71%)
  • 반추위에서 생성되는 휘발성 지방산 중에서 초산은 가장 많은 양으로 생성되며, 이는 유지방 합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초산은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방산 합성과 단백질 대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초산은 유지방 합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우리나라 축산에서 사용하지 않는 사료의 에너지 단위는?

  1. TDN
  2. kcal
  3. 덤(Therm)
  4. Mcal
(정답률: 82%)
  • 덤(Therm)은 동물이 소화 및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이는 사료의 영양가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우리나라 축산에서는 이를 주로 사용합니다. 다른 보기들인 TDN, kcal, Mcal은 모두 사료의 열량을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덤(Therm)은 이와 함께 소화 및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의 양까지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축산에서는 덤(Therm)을 사용하지 않는 사료는 거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NRC 사양표준(1994)이 규정한 갈색 산란계 단백질 요구량은 약 얼마인가?

  1. 4%
  2. 11%
  3. 13%
  4. 16%
(정답률: 48%)
  • NRC 사양표준(1994)에서 규정한 갈색 산란계 단백질 요구량은 16%이다. 이는 갈색 산란계의 영양 요구량을 고려하여 산출된 값으로, 단백질이 충분하지 않으면 생산성이 떨어지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따라서 축산업에서는 이러한 영양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적절한 사료를 제공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닭의 에너지 요구량 표현 기호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1. DE
  2. ME
  3. NE
  4. TDN
(정답률: 60%)
  • ME는 대사 에너지(Metabolizable Energy)를 나타내는 기호로, 닭이 소화 및 대사를 통해 실제로 이용 가능한 에너지 양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ME는 닭의 영양소 섭취와 관련된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DE는 소화 에너지(Digestible Energy), NE는 순 에너지(Net Energy), TDN은 총 소화성 탄수화물(Total Digestible Nutrients)을 나타내는 기호로, 이들은 ME와 다른 계산 방식을 사용하며, 닭의 에너지 요구량을 나타내는 데에는 ME가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산란용 닭의 성성숙 시기와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산란율 및 난중
  2. 폐사율
  3. 사료 섭취량
  4. 질병
(정답률: 74%)
  • 산란용 닭의 성숙 시기와 가장 관계 깊은 것은 산란율 및 난중입니다. 산란율은 닭이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알을 낳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난중은 알의 품질과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산란율과 난중은 산란용 닭의 생산성과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폐사율, 사료 섭취량, 질병 등은 모두 산란용 닭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성숙 시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육계체중 1~2kg 사이에 사료요구율이 2.2라면 체중 1kg인 육계 100마리가 체중 2kg까지 자라는데 소요되는 사료는 몇 kg인가?

  1. 100kg
  2. 150kg
  3. 200kg
  4. 220kg
(정답률: 80%)
  • 육계 1마리의 체중이 1kg이므로, 육계 100마리의 총 체중은 100kg이다.
    사료요구율이 2.2이므로, 1kg의 육계가 하루에 먹는 사료의 양은 2.2kg이다.
    따라서, 육계 100마리가 하루에 먹는 사료의 양은 100kg × 2.2 = 220kg이다.
    따라서, 정답은 "220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배합사료의 저장시 사료가치나 풍미 저하를 가장 적게 할 수 있는 수분함량은?

  1. 11~13%
  2. 20~22%
  3. 28~30%
  4. 31~33%
(정답률: 63%)
  • 배합사료의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저장 중에 미생물의 번식이 증가하여 사료의 풍미나 영양가가 저하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사료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분함량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수분함량이 너무 낮으면 사료가 너무 건조해져서 먹이를 거부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범위 내에서 조절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배합사료의 저장시 가장 적절한 수분함량은 11~1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축사료에서 탄수화물의 가장 중요한 영양적 기능은?

  1. 에너지를 공급한다.
  2. 섬유소를 공급한다.
  3. 포도당을 공급한다.
  4. 사료에 부피를 제공한다.
(정답률: 77%)
  • 탄수화물은 가축의 신체활동과 생체작용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축사료에서 탄수화물의 가장 중요한 영양적 기능은 "에너지를 공급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포도당 1분자가 체내에서 완전히 산화될 때 ATP 생성량은 얼마인가?

  1. 28 ATP
  2. 38 ATP
  3. 48 ATP
  4. 58 ATP
(정답률: 76%)
  • 포도당 분자가 체내에서 완전히 산화될 때, 총 3개의 단계인 글리코시스, 산성산염회로, 호흡사슬을 거쳐 ATP를 생성합니다. 이 중 호흡사슬에서는 총 34개의 ATP가 생성되며, 글리코시스와 산성산염회로에서는 각각 2개와 2개의 ATP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총 ATP 생성량은 34 + 2 + 2 = 38 ATP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소화에 대한 각종 영양소의 최종 생산물을 나타낸 것 중 옳지 못한 것은?

  1. 전분(starch) → 포도당(Glucose)
  2. 유당(lactose) → 포도당 + Maltose
  3. Cellulose → 유기산
  4. 지방(Lipid) → 지방산 +Glycerol
(정답률: 60%)
  • 유당(lactose)은 포도당(glucose)과 갈락토스(galactose)로 분해되는데, 보기에서는 갈락토스가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옳지 못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유당(lactose) → 포도당 + Maltose"이다.

    간단한 설명: 유당은 락토오스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화과정에서 락토오스 분자는 락토오스 분해효소에 의해 포도당과 갈락토스로 분해된다. 따라서 유당은 포도당과 갈락토스로 분해되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단위동물에서 사료단백질의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동물의 나이
  2. 단백질의 섭취량
  3. 소화기관의 길이
  4. 대두박의 trypsin inhibitor
(정답률: 57%)
  • 소화기관의 길이는 사료단백질의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사료단백질은 소화기관에서 소화되는 과정에서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고 흡수되는데, 소화기관의 길이가 짧아도 충분한 소화효소가 분비되면 사료단백질의 소화율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소화기관의 길이는 사료단백질의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송아지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초유 급여 시기는?

  1. 출산직후 12시간 이내
  2. 출산후 13~24시간
  3. 출산후 1~2일
  4. 출산후 만 48시간 이후
(정답률: 84%)
  • 송아지는 출생 후 첫 12시간 동안 콜로스트럼이라는 초유를 흡수해야 합니다. 콜로스트럼은 항체와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있어 송아지의 면역력을 강화시키고 성장을 촉진시킵니다. 따라서 출산직후 12시간 이내에 초유를 급여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체내 흡수된 영양소는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이때 소비된 O2와 생성된 CO2양과의 비율을 호흡상이라 하는데, 일반적으로 탄수화물과 지방의 호흡상은 각각 약 얼마인가?

  1. 1.0과 1.2
  2. 1.0과 1.0
  3. 1.0과 0.7
  4. 1.0과 0.9
(정답률: 60%)
  • 일반적으로 탄수화물의 분해는 호흡상이 1.0에 가깝고, 지방의 분해는 호흡상이 0.7에 가깝다. 이는 지방 분해 시 생성되는 아세틸코엔자임 A가 탄수화물 분해 시 생성되는 아세틸코엔자임 A보다 산소를 덜 소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방을 분해할 때는 탄수화물에 비해 더 적은 산소가 필요하므로 호흡상이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61. 건초와 비교할 때 사일리지의 유리한 점이 아닌 것은?

  1. 다즙질 사료를 공급할 수 있다.
  2. 제조시 일기의 영향을 덜 받는다.
  3. 동일한 면적에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다.
  4. 비타민 D의 공급력이 높다.
(정답률: 76%)
  • 사일리지는 건초와 비교하여 비타민 D의 공급력이 높지 않다. 사일리지는 건초와 비교하여 다즙질 사료를 공급할 수 있고, 제조시 일기의 영향을 덜 받으며, 동일한 면적에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목초가 자라는데 필요한 미량원소에 해당되지 않는것은?

  1. Cu
  2. Mo
  3. Mn
  4. Mg
(정답률: 41%)
  • 정답은 "Mg"입니다.

    목초가 자라는데 필요한 미량원소는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Cu", "Mo", "Mn"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Cu: 엽록소 합성에 필요한 효소의 활성화에 관여
    - Mo: 질소 고정에 필요한 효소의 활성화에 관여
    - Mn: 광합성과 호흡에 필요한 효소의 활성화에 관여

    반면에 "Mg"는 목초가 자라는데 필수적인 원소이지만, 미량원소는 아닙니다. "Mg"는 엽록소의 합성과 광합성에 필요한 원소로, 목초가 생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Mg"는 대부분의 토양에서 충분히 함유되어 있어서, 미량원소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사일리지의 2차 발효(호기적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일리지를 급여하기 위해 개봉 후 혐기성 조건이 깨지면서 호기성 세균에 의해 각종 성분이 분해 되는 것
  2. 사일리지 조제 과정 중 식물체의 호흡등에 의해 협기조건이 조성되어 유산균의 활동이 가장 활발해지는 단계
  3. 충진 직후 효모, 곰팡이 등 호기성 세균에 의해 수용성 당분이 분해되는 것
  4. 잉여 수분이 배출되어 고수분 상태에서 발생하는 변패
(정답률: 50%)
  • 사일리지의 2차 발효(호기적 변화)는 사일리지를 개봉 후 혐기성 조건이 깨지면서 호기성 세균에 의해 각종 성분이 분해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유산균의 활동이 가장 활발해지며, 수용성 당분이 분해되고 잉여 수분이 배출되어 고수분 상태에서 변패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사일리지를 급여하기 전에 2차 발효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알팔파의 사료가치 중 틀린 것은?

  1. 가축의 기호성이 좋다
  2. Ca의 함량이 낮다
  3. 소화율이 높다
  4. 단백질의 공급량이 많다.
(정답률: 74%)
  • 알팔파의 사료가치 중 "Ca의 함량이 낮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알팔파는 칼슘 함량이 높아서 소의 뼈 건강에 좋은 영양소입니다. 따라서, "Ca의 함량이 높다"가 맞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생초의 자연 건조율을 증진하기 위하여 압착을 가하는 기계로 포장에서의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건초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작업 기계는?

  1. 모우어
  2. 레이크
  3. 베일러
  4. 컨디셔너
(정답률: 69%)
  • 컨디셔너는 건초를 압착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건조율을 증진시키는 기계입니다. 이를 통해 포장에서의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건초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컨디셔너가 생초의 자연 건조율을 증진하기 위해 압착을 가하는 기계로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옥수수 사일리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일로를 개봉하고 깊숙한 곳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손으로 꽉 쥐었더니 즙액이 한 두 방울 떨어지고 손에는 톡 쏘는 듯한 산취가 오래 동안 가시지 않았다. 이 사일리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너무 늦게 수확하여 재료의 건물률이 너무 높고 아마도 곰팡이나 효모가 많이 있을 것이다.
  2. 수분함량에 비하여 재료의 절단 길이가 길고 곡분과 같은 첨가제를 과도하게 이용하였을 것이다.
  3. 조기수확으로 수분함량이 너무 높고 과발효 또는 젖산 발효보다 낙산발효가 더 많이 일어났을 것이다.
  4. 충분한 예건과 유산균 첨가제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삼출액에 의한 손실은 거의 없을 것이다.
(정답률: 70%)
  • 조기수확으로 수분함량이 너무 높고 과발효 또는 젖산 발효보다 낙산발효가 더 많이 일어났을 것이다. 이유는 옥수수 사일리지를 제조할 때, 조기수확하면 수분함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발효과정에서 과발효 또는 젖산 발효보다 낙산발효가 더 많이 일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산취가 강하게 나타나고, 손실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옥수수 사일리지를 제조할 때는 적절한 수확시기와 발효조건을 유지하여 산취를 최소화하고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임간초지 조성은 친환경적 방법으로 우리나라와 같이 산지나 경사지가 많은 지형에 유리한데 다음 설명하는 임간 초지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북방형 목초의 광포화점은 2500~300Lux 이므로 임간 초지조성에 따른 목초생육에 지장이 없다.
  2. 임간초지에서는 수목에 의하여 광선이 차단되므로 토양수분의 증발이 억제되어 목초정착에 유리하다.
  3. 임간초지조성은 경운을 하지 않으므로 화입(火入)을 통하여 선점식생을 제거한다.
  4. 임간초지는 목초는 물론 기존의 야초류(초본식물) 등이 같이 성장하고 있으므로 보파가 필요없다.
(정답률: 56%)
  • 임간초지에서는 수목에 의하여 광선이 차단되므로 토양수분의 증발이 억제되어 목초정착에 유리하다. 이는 수분 보존에 도움이 되어 목초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어떤 방목지(10a)에서 4500kg의 생초를 생산할 때 이방목지의 방목일(放牧日, cow-day)수는?

  1. 25 ~ 45일
  2. 50 ~ 75일
  3. 80 ~ 115일
  4. 120 ~ 155일
(정답률: 44%)
  • 방목지에서 생초 1kg당 소가 먹는 양은 일반적으로 1.5kg이다. 따라서 4500kg의 생초를 생산하려면 소가 총 4500/1.5 = 3000kg을 먹어야 한다.

    이 방목지에서는 1마리의 소가 하루에 15kg의 생초를 먹을 수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3000kg을 먹으려면 3000/15 = 200일이 걸린다. 따라서 이 방목지에서는 최소 200일의 방목일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방목지에서는 여러 마리의 소를 기르고 있을 것이므로, 방목일은 소의 수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10마리의 소를 기르고 있다면, 200일 동안 10마리의 소가 방목되면 방목일은 2000 cow-day가 된다.

    따라서 이 방목지에서 생초 4500kg을 생산하려면 최소 200일의 방목일이 필요하고, 소의 수에 따라 방목일은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0 ~ 75일" 인 이유는, 이 방목지에서는 약 20마리의 소를 기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 경우 50 ~ 75일 정도의 방목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사료작물 중 내한성(耐寒性)이 가장 강한 초종만으로 구성된 것은?

  1. 크림손 클로버, 스위트 클로버
  2. 죤슨 그래스, 화이트 클로버
  3. 버뮤다 그래스, 레드 클로버
  4. 티머시, 레드클로버
(정답률: 68%)
  • 티머시와 레드클로버는 모두 내한성이 강한 초종이기 때문에, 이 두 작물로만 구성된 것이 가장 내한성이 강한 초종으로 구성된 것이다. 다른 작물들은 내한성이 상대적으로 약하거나 보통 수준이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의 사일리지 첨가제와 용도를 잘못 연결한 것은?

  1. 영양소 첨가제 : 곡류, 당밀
  2. 수분조절제 : 밀기울, 비트펄프, 볏짚
  3. 단백질 첨가제 : 요소, 암모니아
  4. 발효촉진제 : 개미산, 프로피온산
(정답률: 56%)
  • 정답은 "단백질 첨가제 : 요소, 암모니아"이다. 요소와 암모니아는 단백질 첨가제가 아니라 질소원으로 사용된다.

    발효촉진제는 사일리지의 발효과정을 촉진시켜서 사일리지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개미산과 프로피온산은 이러한 발효촉진제 중 일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비출수형(영양생장형)수수류가 재배되는 가장 큰 이유는?

  1. 이용기간이 길어 작부체계 설정과 농가 인력 배분상 유리하다.
  2. 수확시기가 명확하여 이용이 편리하다.
  3. 양분수량 특히 탄수화물의 함량이 증가한다.
  4. 2회 예취하여 곡실과 경엽의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정답률: 42%)
  • 비출수형(영양생장형)수수류는 이용기간이 길어 작부체계 설정과 농가 인력 배분상 유리합니다. 이는 수확시기가 명확하여 이용이 편리하고, 양분수량 특히 탄수화물의 함량이 증가하며, 2회 예취하여 곡실과 경엽의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이용기간이 길어 작부체계 설정과 농가 인력 배분상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최근 농업여건이 변화하여 사료작물로 많이 이용되는 것은?

  1. 진주조
  2. 청보리
  3. 개밀
  4. 소리쟁이
(정답률: 76%)
  • 최근 농업여건에서는 기후변화와 함께 건강한 식물성 단백질 수요가 증가하면서 사료작물로서 청보리가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청보리는 고단백, 저지방, 고섬유질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가축의 영양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적합하며, 또한 생산성이 높아 경제적인 재배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목초나 사료작물 등을 식물학적으로 분류하여 이용하고 있는 학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과학적 지식을 동원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영구불변 하다.
  2. 속명과 종명으로 구성되어 이명법이라고도 한다.
  3. 다른 단어와 구별하기 위하여 속명과 종명은 이탤릭체로 쓴다.
  4. 전 세계가 공통으로 사용하며 속명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종명은 소문자로 쓴다.
(정답률: 70%)
  • "모든 과학적 지식을 동원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영구불변 하다."는 학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학명은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결정되지만, 새로운 연구나 발견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유: 학명은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결정되지만, 새로운 연구나 발견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구불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초지조성을 위하여 대상지의 토양을 조사한 결과, 토양의 pH가 5.0, 유효인산함량이 23ppm이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한 초지조성 대상지의 토양개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유효인산함량은 적정함으로 인산질 비료의 시비가 필요없다.
  2. 유효태 인산함량이 높으므로 목초의 정착에 도움을 준다.
  3. 적정 pH에 해당함으로 두과목초의 성장에 도움을 준다.
  4. 농용석회와 같은 석회질 자재를 살포하여 토양산도를 교정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65%)
  • pH가 5.0으로 산성인 토양에서는 농작물의 성장이 어렵기 때문에 적정 pH에 해당하는 6.0~7.0으로 토양산도를 교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농용석회와 같은 석회질 자재를 살포하여 토양산도를 교정할 필요가 있다. 유효인산함량이 적정함으로 인산질 비료의 시비가 필요없다는 것은 해당 토양의 인산성분이 충분하다는 의미이며, 유효태 인산함량이 높으므로 목초의 정착에 도움을 준다는 것은 해당 토양의 인산성분이 높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파종방식 중 불경운초지의 조성에 쓰이는 것은?

  1. 점뿌림
  2. 겉뿌림
  3. 흩어뿌림
  4. 줄뿌림
(정답률: 65%)
  • 불경운초지는 흙 위에 씨앗을 뿌리고 흙을 덮지 않고 바로 물을 주는 방식으로 파종하는데, 이를 겉뿌림이라고 합니다. 이 방식은 씨앗이 흙 위에 노출되어 바로 물을 받아 쉽게 발아하고 자라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물이 씨앗에 바로 흡수되기 때문에 물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경운초지의 조성에는 겉뿌림 방식이 쓰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수정을 주로 트리핑(Tripping) 현상에 의존하는 것은?

  1. 톨 페스큐
  2. 매듭풀
  3. 알팔파
  4. 오차드 그래스
(정답률: 69%)
  • 알팔파는 수정을 트리핑 현상에 의존하는 작물 중 하나입니다. 트리핑은 작물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작물이 빛을 받을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빛의 파장과 강도에 따라 작물의 성장과 발달이 조절됩니다. 알팔파는 이러한 트리핑 현상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빛의 파장과 강도에 따라 성장과 발달이 조절되는 작물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알팔파는 수정을 트리핑 현상에 의존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볏짚을 소의 사료로 쓰려 한다. 기호성과 소화율을 가장 높이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1. 일반계 볏짚을 사용하여 급여한다.
  2. 물에 적셨다가 급여한다.
  3. 요소에 침지처리 하였다가 급여한다.
  4. 암모니아가스(가성소다)에 처리 후 급여한다.
(정답률: 51%)
  • 암모니아가스(가성소다) 처리는 볏짚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소화율을 높이기 때문에, 기호성과 소화율을 가장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일반계 볏짚을 사용하면 소화율이 낮아지고, 물에 적셨다가 급여하면 소화율이 떨어지고 소의 건강에도 해로울 수 있습니다. 요소에 침지처리를 하면 소화율은 높아지지만 기호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모니아가스 처리가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수평사일로라고도 하며, 축사에서 가까운 평지나 경사면에 흙을 파고 바닥, 뒷면 및 양족 벽면 콘크리트로 만들어 저장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사일로의 형태는?

  1. 탑형 사일로
  2. 스택 사일로
  3. 트렌치 사일로
  4. 기밀 사일로
(정답률: 53%)
  • 트렌치 사일로는 축사에서 가까운 평지나 경사면에 흙을 파고 바닥, 뒷면 및 양족 벽면 콘크리트로 만들어 저장하는 사일로 형태입니다. 따라서 이 형태의 사일로는 지형에 맞게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저장 용량도 크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어떤 목초의 영양소 함량 중 가소화 조단밸직 10%, 가소화 조섬유 12%, 가용무질소물 26% 및 가소화 조지방 함량이 1% 일 때 이 목초의 가소화 영양소 총량(TDN)은 몇 %인가?

  1. 54.25
  2. 48.25
  3. 50.25
  4. 52.25
(정답률: 71%)
  • 가소화 조단밸직, 가소화 조섬유, 가용무질소물, 가소화 조지방 함량의 합은 10% + 12% + 26% + 1% = 49% 이다. 따라서 이 목초의 가소화 영양소 총량(TDN)은 49%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가소화 조지방 함량이 1%로 주어졌기 때문에 이를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가소화 영양소 총량은 49% + 1% = 50% 이다. 그러므로 정답은 "50.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불경운 초지조성방법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경사가 심하고 장애물이 많아서 기계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도 조성이 가능하다.
  2. 나무나 잡관목 등 장애물만을 제거하고 조성하기 때문에 작업이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
  3. 땅을 갈지 않고 조성하기 때문에 토양유실의 위험이 적다.
  4. 경운을 하지 않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생산성 높은 초지를 만들 수 있다.
(정답률: 68%)
  • "경운을 하지 않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생산성 높은 초지를 만들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불경운 초지조성방법은 경운을 하지 않고도 초지를 조성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경운을 하는 것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축산경영학 및 축산물가공학

81. 다른 축산물의 생산량을 증감시키지 않고 한 가지 축산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이 두 생산물간의 관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보완관계
  2. 경제관계
  3. 결합관계
  4. 보합관계
(정답률: 48%)
  • 보합관계는 한 가지 생산물의 생산량이 증가하더라도 다른 생산물의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관계를 말한다. 즉, 두 생산물이 서로 독립적으로 생산되며, 한 생산물의 생산량이 증가하더라도 다른 생산물의 생산량은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관계는 보완관계와 구분되며, 보완관계는 한 생산물의 생산량이 증가하면 다른 생산물의 생산량도 함께 증가하는 관계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최근 양돈업은 공해를 유발하는 산업으로 지목받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계열화 사업으로 대처
  2. 폐수의 퇴비화를 위한 투자
  3. 폐수처리 시설자금의 장기저리 지원
  4. 양돈단지화 조성을 동한 공동폐수처리시설 지원
(정답률: 74%)
  • "계열화 사업으로 대처"는 양돈업 자체를 줄이거나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산업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양돈업이 유발하는 공해 문제를 해결하는데 직접적인 대안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다른 보기들은 폐수처리나 퇴비화 등 양돈업 자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고정자본재의 감가상각비 중 기술적 감가의 원인니 되는 것은?

  1. 진부화에 의한 감가
  2. 부적응에 의한 감가
  3. 불충분에 의한 감가
  4. 사용소모에 의한 감가
(정답률: 50%)
  • 고정자본재는 사용하면서 점차적으로 가치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소모에 의한 감가로 인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기계를 사용하면서 부품이 마모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면 수리 또는 교체를 해야하고, 이로 인해 기계의 가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고정자본재의 감가상각비 중 기술적 감가의 원인은 사용소모에 의한 감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부분시산(部分試算)법을 이용하여 어떤 특정 변수가 수익에 어더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파악하려 할 때 검토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감소되는 수입
  2. 새로운 비용과 추가비용
  3. 생산기술 또는 기술계수
  4. 새로운 수입 도는 추가수입
(정답률: 55%)
  • 생산기술 또는 기술계수는 부분시산법을 이용하여 어떤 특정 변수가 수익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생산기술이나 기술계수가 높을수록 해당 변수가 수익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분석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생산기술 또는 기술계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산란계 A농가의 조수입이 5천만원, 감가상각비가 5백만원, 차입금이자가 1백만원, 경영비가 2천 5백만원, 자가 노력비가 3백만원, 자본이자가 7백만원이라고 할 때 이 농가의 순수익은 얼마인가?

  1. 5백만원
  2. 1천만원
  3. 1천 5백만원
  4. 2천만원
(정답률: 50%)
  • 산란계 A농가의 총비용은 감가상각비 5백만원 + 차입금이자 1백만원 + 경영비 2천 5백만원 + 자가 노력비 3백만원 + 자본이자 7백만원 = 16억 5백만원입니다. 조수입 5천만원을 총비용에서 빼면 순수익은 1천 5백만원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천 5백만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금년에 트렉터 1대를 2천만원을 주고 구입하였다. 이 트렉터의 내용년수가 10년이고 잔존가격이 2백만원일 경우 정액법으로 계산한 년간 감가상각액은 얼마인가?

  1. 150만원
  2. 180만원
  3. 200만원
  4. 220만원
(정답률: 59%)
  • 정액법으로 계산한 년간 감가상각액은 구입가(2천만원)에서 잔존가격(2백만원)을 뺀 금액을 내용년수(10년)로 나눈 값이다.

    즉, (2천만원 - 2백만원) / 10년 = 180만원 이므로 정답은 "180만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축산경영의 경제적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금회전의 원활화
  2. 생산물의 저장성 증진
  3. 토지와 노동력 이용도 제고
  4. 농산물의 이용 및 생산 증진
(정답률: 51%)
  • 생산물의 저장성 증진은 축산경영의 경제적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축산물은 대부분 신선한 상태로 판매되기 때문에 저장성 증진보다는 생산량 증가와 품질 유지에 더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따라서 축산경영의 경제적 특징은 자금회전의 원활화, 토지와 노동력 이용도 제고, 농산물의 이용 및 생산 증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생산함수에서 평균생산물과 한계생산물의 관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평균생산물이 증가하면 한계생산물은 감소한다.
  2. 한계생산물이 평균생산물 보다 클 경우 평균 생산물은 증가한다.
  3. 한계생산물이 평균생산물 보다 작을 경우 한계 생산물은 증가한다.
  4. 한계생산물과 평균생산물이 동일할 경우 평균 생산물 은 최소가 된다.
(정답률: 52%)
  • 생산함수에서 평균생산물은 총생산량을 생산요소의 양으로 나눈 값이고, 한계생산물은 생산요소의 추가적인 1단위 증가로 생산량이 증가하는 양이다. 따라서 한계생산물이 평균생산물 보다 클 경우, 생산요소의 추가적인 1단위 증가로 생산량이 더 많이 증가하므로 평균생산물도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축산경영의 목표 내지는 합리화 방안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농외소득의 최대화
  2. 자가노동 보수의 최대화
  3. 자기자본 이자의 최대화
  4. 경영관리에 대한 이윤의 최대화
(정답률: 61%)
  • 정답: "농외소득의 최대화"

    설명: 축산경영의 목표는 경영의 합리화를 통해 이윤을 최대화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자가노동 보수, 자기자본 이자, 경영관리에 대한 이윤을 최대화하는 것이 가능한 목표이다. 하지만 농외소득은 축산경영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외부 소득이므로 축산경영의 목표나 합리화 방안으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한우 비육경영에서 가장 큰 비용 항목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사료비
  2. 노동비
  3. 가축비
  4. 감가상각비
(정답률: 37%)
  • 정답은 "가축비"입니다. 가축비란, 한우 비육경영에서 가축을 기르는 데 필요한 비용으로, 축사 건축비, 축사 유지비, 축사 청소비, 축사 보일러 및 에어컨 유지비 등이 포함됩니다. 다른 보기들인 사료비, 노동비, 감가상각비는 모두 가축비와 관련된 비용이지만, 가축비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비용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Methylene blue 환원 시험법의 확인 내용은?

  1. 단백질 함량
  2. 유지방 함량
  3. 미생물량 추정
  4. 무기질량 추정
(정답률: 60%)
  • Methylene blue 환원 시험법은 미생물의 존재 여부와 수량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시험법입니다. Methylene blue는 살아있는 미생물에 의해 환원되어 색이 변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미생물의 존재 여부와 수량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시험법의 확인 내용은 "미생물량 추정"입니다. "단백질 함량", "유지방 함량", "무기질량 추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육제품 제조 시 첨가되는 소금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결착력 증가
  2. 향미증진
  3. 저장성 증진
  4. 지방산화 억제
(정답률: 45%)
  • 소금은 육제품 제조 시에 결착력을 증가시키고, 향미를 증진시키며, 저장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지방산화 억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지방산화 억제는 다른 첨가제나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연속 아이스크림 냉동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얼음결정이 작기에 아이스크림 질감이 부드럽다.
  2. 경화 후 아이스크림 부피의 감소가 가능하다.
  3. 신속냉동으로 유당 결정이 작아 snady(모래조직) 현상이 최소화 된다.
  4. 단위 제품 간 차이가 적고 숙성시간이 감소된다.
(정답률: 65%)
  • 연속 아이스크림 냉동기의 장점 중 "경화 후 아이스크림 부피의 감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이는 아이스크림이 경화되어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제품의 양이 감소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장점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육제품 제조과정에서 염지를 실시할 때 아질산염의 첨가로 억제되는 식중독균은?

  1. Clostridium botulinum
  2. Salmonella spp.
  3. Pseudomonas aeruginosa
  4. Listeria monocytogenes
(정답률: 50%)
  • Clostridium botulinum은 육제품에서 발생하는 식중독균 중 하나로, 아질산염의 첨가로 인해 생장이 억제된다. 이 균은 보통 고온, 저산소 환경에서 번식하며, 독소를 생성하여 중독 증상을 일으킨다. 따라서 육제품 제조과정에서 아질산염을 사용하여 염지를 실시할 때 이 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치즈 제조 시 단백질 응유효에 의해 분해되는 단백질은?

  1. α -casein
  2. k -casein
  3. β -casein
  4. β - lactoglobulin
(정답률: 61%)
  • 치즈 제조 시 단백질은 응고제로 사용되는 요구르트나 식초 등의 산성성분에 의해 응고되어 치즈가 된다. 이때, 단백질 중에서도 k-casein은 산성성분에 의해 분해되어 치즈의 텍스처와 맛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k-casein이 치즈 제조 시 단백질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돼지고기의 육색이 창백하고, 육조직이 무르고 연약하여, 육즙이 다량으로 삼출되어 이상육으로 분류되는 돈육은?

  1. 황지(黃脂)돈육
  2. 연지(軟脂)돈육
  3. PSE돈육
  4. DFD돈육
(정답률: 74%)
  • PSE돈육은 육색이 창백하고, 육조직이 무르고 연약하여, 육즙이 다량으로 삼출되는 이상육으로 분류됩니다. PSE는 Pork Safe Eating의 약자로, 돈육의 식용 안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러한 돈육은 과도한 근육 운동이나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육질이 좋지 않아 맛이나 식감이 좋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유가공품의 고온단시간 살균법 조건은?

  1. 63~65℃, 30분
  2. 72 ~75℃, 15~20초
  3. 85 ~90℃, 50~60초
  4. 128 ~138℃, 1~3초
(정답률: 63%)
  • 유가공품은 높은 온도와 긴 시간에 노출될 경우 맛과 향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고온단시간 살균법을 사용한다. 이 중에서도 72 ~75℃, 15~20초의 조건은 적절한 온도와 짧은 시간으로 살균효과를 높이면서도 제품의 맛과 향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조건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온도나 시간이 높아서 제품의 맛과 향이 손상될 우려가 있거나, 온도나 시간이 낮아서 살균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육제품 제조 시 원료육에 요구되는 기능적 특성이 아닌 것은?

  1. 보수성
  2. 결착력
  3. 유화력
  4. 수분활성도
(정답률: 53%)
  • 수분활성도는 육제품 제조 시 원료육에 요구되는 기능적 특성이 아닙니다. 이는 식품의 수분 흡수 및 방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육제품 제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보수성은 육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특성, 결착력은 육제품의 조직을 유지하기 위한 특성, 유화력은 육제품의 부드러움을 유지하기 위한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육제품 제조기계 중 유화기능이 있는 것은?

  1. mixer
  2. grinder
  3. stuffer
  4. silent cutter
(정답률: 53%)
  • 유화기능은 고기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육즙을 더욱 맛있게 만드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유화기능이 있는 기계는 "silent cutter"입니다. silent cutter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날개 모양의 칼로 고기를 잘게 썰어 유화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silent cutter는 고기를 더욱 부드럽고 맛있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아질산염의 첨가로 아민류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발암의심 물질은?

  1. Nitrosyl hemochrome
  2. Nitroso-myochromogen
  3. Nitrosamine
  4. Nitrosomet myglobin
(정답률: 59%)
  • 아질산염과 아민류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합물 중 일부는 Nitrosamine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화합물은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Nitrosami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