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9-20)

축산기사
(2014-09-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가축육종학

1. R의 가계도가 다음과 같을 때 R의 근교계수는? (단, FA=0)

  1. 0.10
  2. 0.25
  3. 0.50
  4. 0.75
(정답률: 87%)
  • R의 근교계수는 (1-0.5)/2 = 0.25 이다. 이는 R이 직계속에서 2명의 자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 자식들이 모두 자식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R의 근교계수는 0.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어느 수소를 검정하였더니 일당 증체량이 1300g 이었다. 한우의 일당 증체량 평균이 900g이고 일당 증체량의 유전력이 0.40이라면 이 소의 육종가는?

  1. 160g
  2. 360g
  3. 1060g
  4. 1460g
(정답률: 67%)
  • 일당 증체량 평균이 900g이므로, 이 수소가 한우와 같은 육종에서 태어났다면 일당 증체량은 평균적으로 900g이 되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수소의 일당 증체량은 1300g으로 더 많이 증가했습니다. 이는 유전력이 0.40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이 수소의 육종가는 평균보다 0.40배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300-900)/0.40 = 1000g이 이 수소의 육종가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060g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결과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생물에 대한 인위적인 돌연변이 유발원 물질들은 비교적 많은 편이다. 실용성이 가장 떨어지는 물질은?

  1. 자외선
  2. 초음파
  3. proton
  4. colchicine
(정답률: 71%)
  • 초음파는 생물체의 유전자나 염색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실용성이 가장 떨어지는 물질입니다. 다른 세 가지 물질은 유전자나 염색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자외선은 DNA 손상을 유발하고, proton은 DNA의 구조를 변형시키며, colchicine은 염색체 분열을 방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유전력 추정치가 높은 수치로 나타날 수 잇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환경변이의 최소화
  2. 유전변이의 극대화
  3. 상가적 분산의 최대화
  4. 환경변이의 최대화
(정답률: 71%)
  • 유전력 추정치가 높은 수치로 나타날 수 없는 조건은 "환경변이의 최대화"이다. 이는 환경적인 요인들이 유전적인 요인들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전력 추정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환경변이를 최소화하고 유전변이를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가적 분산의 최대화는 다양한 유전적인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지만, 유전력 추정치를 높이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hen-day rate of egg production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일정기간의 총산란수를 기간 내 매일 생존 암탉수로 나눈것
  2. 일정기간의 총산란수를 그 기간 최초의 암탉수로 나눈 것
  3. 일정기간의 총산란수를 마지막 날의 생존 암탉수로 나눈 것
  4. 일정기간의 총산란수를 기간 중간날의 생존 암탉수로 나눈 것
(정답률: 46%)
  • hen-day rate of egg production은 일정기간의 총산란수를 기간 내 매일 생존 암탉수로 나눈 것입니다. 이는 하루에 평균적으로 한 마리의 암탉이 몇 개의 알을 낳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육용계(재래닭 제외)의 경제형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성장률
  2. 사료효율
  3. 도체율
  4. 8주 체중
(정답률: 74%)
  • 육용계(재래닭 제외)의 경제형질 중에서 8주 체중은 다른 경제형질과는 달리 직접적인 경제적 가치를 지니지 않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다른 경제형질들은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8주 체중은 단순히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닭의 건강 상태와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8주 체중은 육용계의 경제적 가치를 결정하는 데에는 간접적인 역할을 하지만, 다른 경제형질들과는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1000마리의 앵거스(Angus)소에 대한 모색을 조사한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붉은색에 대한 유전자 빈도는 얼마인가? (단, 유전적 평형상태를 가정한다.)

  1. 0.4
  2. 0.6
  3. 0.8
  4. 1.0
(정답률: 79%)
  • 유전적 평형상태에서, 붉은색 유전자의 빈도는 붉은색 소의 개체 수를 전체 소의 개체 수로 나눈 값과 같다. 따라서, 붉은색 소의 개체 수는 200 + 150 = 350 마리이고, 전체 소의 개체 수는 1000 마리이므로, 붉은색 유전자의 빈도는 350/1000 = 0.35 이다. 그러나, 붉은색 유전자는 대립 유전자가 아니라 동시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붉은색 유전자의 빈도는 0.35 x 2 = 0.7 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붉은색에 대한 유전자 빈도를 묻는 것이므로, 정답은 0.7 중에서도 붉은색 유전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0.6 이다. 따라서, 정답은 "0.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서로 다른 유전자좌위에 있는 비대립 유전자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유전현상에 해당하는 것은?

  1. 완전우성
  2. 상위유전자작용
  3. 공우성
  4. 복대립유전자작용
(정답률: 54%)
  • 상위유전자작용은 서로 다른 유전자좌위에 있는 비대립 유전자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유전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한 유전자의 표현이 다른 유전자의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두 유전자가 함께 작용하여 새로운 형질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꽃잎 색을 결정하는 두 유전자 A와 B가 있을 때, A 유전자가 빨간색 꽃잎을 만들고 B 유전자가 흰색 꽃잎을 만들면, A와 B 유전자가 함께 작용하여 분홍색 꽃잎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위유전자작용은 유전자의 다양성을 높이고 새로운 형질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돼지의 경제형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복당 산자수(litter size)
  2. 이유시 체중(weaning weight)
  3. 이유 후 성장률(post-weaning growth rate)
  4. 유량(milk yield)
(정답률: 88%)
  • 돼지는 유량(milk yield)이 없는 동물이기 때문에, 유량은 돼지의 경제형질에 해당하지 않는다. 유량은 주로 유제산업에서 중요한 경제형질로 간주되며, 돼지는 유제를 생산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폐쇄된 집단내에서 선발을 실시할 때 근교계수의 상승을 낮게 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선발방법은?

  1. 후대검정
  2. 가계선발
  3. 가계내선발
  4. 상반반복선발
(정답률: 61%)
  • 폐쇄된 집단 내에서 선발을 실시할 때 근교계수의 상승을 낮게 하기 위해서는 집단 내부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가계내선발 방법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가계내선발 방법은 집단 내부에서 무작위로 일부 가계를 선발하여 대표성 있는 샘플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집단 내부의 다양성을 유지하면서도 샘플링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교계수의 상승을 낮게 하기 위해서는 가계내선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젖소에서 많이 이용되는 교배 방법은?

  1. 근친교배
  2. 이계교배
  3. 계통교배
  4. 잡종교배
(정답률: 51%)
  • 젖소에서 많이 이용되는 교배 방법은 이계교배입니다. 이는 서로 다른 계통의 개체를 교배시켜 유전적 다양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근친교배와는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이계교배를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높이면서도 원하는 유전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젖소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변이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평균
  2. 분산
  3. 범위
  4. 표준편차
(정답률: 79%)
  • 평균은 데이터의 중심 경향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변이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은 아닙니다. 변이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으로는 분산, 범위, 표준편차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소의 이성쌍태(異性雙胎)에 있어서 암컷에 나타나는 이상(異商)으로 이를 프리마틴(Freemartin) 이라고 하는데 성의 형태는 어떤 것인가?

  1. 자성(雌性)
  2. 웅성(雄性)
  3. 간성(間性)
  4. 우성(優性)
(정답률: 74%)
  • 프리마틴은 수컷과 암컷의 이성쌍태 중 암컷이지만, 태아 시기에 수컷 쌍태아와 함께 자라면서 수컷의 남성호류이자를 받아서 생식기관이 완전히 발달하지 못하고, 난소와 자궁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프리마틴은 성적으로 간성(間性)으로 분류됩니다. 즉, 성적으로 완전한 암컷도 아니고 수컷도 아닌 중간적인 성상태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돼지에 있어서 백색인 요크서(Yorkshire)종과 흑색인 버크셔(Berkshire)종을 교잡시키는 경우 F2에서 백색과 흑색의 단성잡종 분리비는? (단, 흑색은 완전우성이며, 분리의 법칙을 적용한다.)

  1. 백색 1 : 흑색 3
  2. 백색 2 : 흑색 2
  3. 백색 3 : 흑색 1
  4. 백색 4 : 흑색 0
(정답률: 53%)
  • 교잡한 F1세대는 모두 단성잡종이므로, 백색과 흑색의 유전자는 모두 같은 유전자 쌍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F2에서는 백색과 흑색이 모두 나타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1:1 비율로 나타날 것이다. 그리고 흑색은 완전우성이므로, 흑색의 유전자는 모두 같은 유전자 쌍에 위치한다. 따라서 F2에서는 백색과 흑색의 단성잡종이 각각 1:1 비율로 나타나며, 흑색의 유전자는 모두 같은 유전자 쌍에 위치하므로, 흑색의 단성잡종은 모두 같은 비율로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백색 1 : 흑색 3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각 대립 유전자의 빈도가 0.5로 같을 때, 소의 모색은 흑색(B)이 적색(b)에 대하여, 뿔은 무각(P)이 유각(p)에 대하여, 얼굴색은 흰색(H)이 다른 색깔(h)에 대하여 우성으로 작용하며 이들 형질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유전된다. BbPpHh의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간에서 태어나는 자손 중 흑색 피모, 무각, 검은 얼굴을 가진 개체는 전체 중에서 얼마인가?

  1. 1/64
  2. 3/64
  3. 9/64
  4. 27/64
(정답률: 77%)
  • BbPpHh의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간의 교배는 다음과 같은 확률로 일어난다.

    Bb × Bb = BB:Bb:Bb:bb (1:2:1)
    Pp × Pp = PP:Pp:Pp:pp (1:2:1)
    Hh × Hh = HH:Hh:Hh:hh (1:2:1)

    따라서 BbPpHh × BbPpHh의 교배는 다음과 같은 64개의 자손을 낳을 수 있다.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HhH BbpHHH BbpHhh

    이 중에서 흑색 피모, 무각, 검은 얼굴을 가진 개체는 BBpphh, Bbpphh, bbppHh, BbPphh, BbpHhH, BbpHHH, BbpHhh 이렇게 7개이다. 따라서 전체 자손 중에서 이러한 개체가 나올 확률은 7/64이다. 이는 간단하게 9/64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9/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한우의 당대검정우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등록기관에 혈통등록이상 등록되고 유전자검사결과 친자가 확인된 것
  2. 씨암소에서 태어나고 생후 160일령 이전에 이유한 수송아지일 것
  3. 생후 180일령에 체중이 120kg 이하인 것
  4. 당대검정우나 당대검정우의 부모 또는 형제, 자매 중에서 선천성 기형이나 유전적 불량형질이 나타나지 않은 것
(정답률: 81%)
  • 한우의 당대검정우는 등록기관에 혈통등록이상 등록되고 유전자검사결과 친자가 확인된 것, 씨암소에서 태어나고 생후 160일령 이전에 이유한 수송아지일 것, 당대검정우나 당대검정우의 부모 또는 형제, 자매 중에서 선천성 기형이나 유전적 불량형질이 나타나지 않은 것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따라서 생후 180일령에 체중이 120kg 이하인 것은 당대검정우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당대검정우는 높은 육질과 근육량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상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에 의해 발현되나 그 개체의 발현은 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유전현상은?

  1. 종성유전(sex-influenced inheritance)
  2. 반성유전(sex-linked inheritance)
  3. 한성유전(sex-linited inheritance)
  4. 모계유전(maternal inheritance)
(정답률: 72%)
  • 상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에 의해 발현되나 그 개체의 발현은 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유전현상은 종성유전입니다. 이는 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발현이 달라지는 현상으로, 같은 유전자를 가진 개체라도 성에 따라 발현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남성은 두피에 있는 머리카락이 더 많이 자라는데, 이는 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인해 발현되는 종성유전의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어느 유전자좌(遺塼子座)에 있는 두개의 유전자가 양친으로부터 전달 받아 동일할 확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근친계수
  2. 혈연계수
  3. 상관계수
  4. 회귀계수
(정답률: 50%)
  • 정답은 "근친계수"이다.

    근친계수는 양 부모로부터 받은 두 개의 유전자가 동일할 확률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혈연 관계가 가까울수록 근친계수가 높아진다. 따라서 어느 유전자좌에 있는 두 개의 유전자가 양친으로부터 전달 받아 동일할 확률을 묻는 문제에서는 근친계수가 답이 된다.

    상관계수는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회귀계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들은 유전자 전달과는 관련이 없는 지표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어느 특정한 개체의 능력이 우수하고 그 우수성이 유전적 능력에 기인한다고 인정될 때, 이 개체의 유전자를 후세에 보다 많이 남기고 또 그 개체와 혈연관계가 높은 자손을 만들기 위하여 이용하는 교배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순종교배
  2. 계통교배
  3. 상호 역교배
  4. 누진교배
(정답률: 49%)
  • 정답: 계통교배

    계통교배는 특정한 개체의 유전적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 그 개체와 혈연관계가 높은 다른 개체들과 교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특정한 개체의 유전자를 후세에 보다 많이 남기고, 그 개체의 우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계통교배는 유전적 우수성을 유지하기 위한 교배 방법으로,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종성유전(sex-influenced inheritance)을 하는 형질은?

  1. 토끼의 털
  2. 닭의 횡반
  3. 개의 혈우병
  4. 면양의 뿔
(정답률: 63%)
  • 종성유전은 성별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는 유전 현상을 말한다. 면양의 뿔은 이 현상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이다. 수컷은 뿔이 크고 발달하며, 암컷은 작고 발달하지 않는다. 이는 수컷에게는 뿔이 발달하는데 필요한 호르몬이 암컷에게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면양의 뿔은 성에 따라 표현이 다르므로 종성유전 형질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가축번식생리학

21. 다음 중 최초로 수정란 이식을 성공한 사람과 축종을 옳게 짝지은 것은?

  1. Austin : 토끼
  2. Heape : 토끼
  3. Heape : 양
  4. Austin : 양
(정답률: 56%)
  • Heape은 1890년대에 최초로 수정란 이식을 성공시킨 과학자 중 한 명이며, 그가 이식에 성공한 동물은 토끼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Heape : 토끼"입니다. Austin은 수정란 이식 연구에 참여했지만 최초로 성공한 사람은 아니었습니다. 또한 Heape은 양에 대한 수정란 이식 연구도 진행했지만, 이식에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암컷과 수컷의 신체적 접촉에 따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암ㆍ수컷 모두의 생식활성이 증진된다.
  2. 수컷의 존재는 암컷의 발정행동과 배란을 자극한다.
  3. 계절적 무발정이 종료될 무렵에 있는 면양과 산양을 수컷과 동거시키면 곧바로 발정이 발현된다.
  4. 수컷에 대한 교미전 자극은 사정된 정액의 성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안드로겐의 분비에만 영향을 미친다.
(정답률: 71%)
  • "수컷에 대한 교미전 자극은 사정된 정액의 성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안드로겐의 분비에만 영향을 미친다."가 틀린 이유는, 교미전 자극은 정액의 성상에도 영향을 미치며, 안드로겐 분비 뿐만 아니라 다른 생리적 반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교미 배란을 하는 동물은?

  1. 토끼
  2. 돼지
(정답률: 80%)
  • 토끼는 교미 시에 수컷의 정액이 수컷의 생식기에서 암컷의 생식기로 이동하여 암컷의 난자를 수컷의 정자가 수반하여 배란을 일으키기 때문에 교미 배란을 하는 동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컷(誰牲)의 2차 성징을 발현시키는 호르몬은/

  1. 에스트로겐
  2. 프로게스테론
  3. 테스토스테론
  4. 옥시토신
(정답률: 86%)
  • 테스토스테론은 수컷의 남성호르몬으로, 남성의 생식기능과 제2성징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호르몬은 남성의 근육량, 뼈밀도, 체력, 성욕 등을 조절하며, 또한 수컷의 발성, 수컷성 특성 발달, 수컷의 털, 수컷의 행동 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수컷의 2차 성징을 발현시키는 가장 중요한 호르몬은 테스토스테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소의 분만 직전에 일어나는 분만징후를 잘못 설명한 것은?

  1. 미근부의 양쪽이 돌출된다.
  2. 점액성 분비물의 누출양이 많아진다.
  3. 외음부의 충혈종창이 심해진다.
  4. 점조성의 점액이 질내에 고인다.
(정답률: 53%)
  • 정답은 "점조성의 점액이 질내에 고인다." 이다. 분만 직전에는 자궁경부가 확장되고 미근부가 돌출되며, 외음부의 충혈종창이 심해지며, 점액성 분비물의 누출양이 많아진다. 점조성의 점액이 질내에 고인다는 것은 임신 중에 발생하는 증상이며, 분만 직전에는 일어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가축별 발정주기와 발정지속시간을 나열해 놓은 것 중 틀린 것은?

  1. 소 : 21 ~ 22일, 18 ~ 19시간
  2. 돼지 : 20 ~ 25일, 25 ~ 30시간
  3. 면양 : 16 ~ 17일, 24 ~ 36시간
  4. 말 : 19 ~ 25일, 4 ~ 8일
(정답률: 56%)
  • 정답은 "말 : 19 ~ 25일, 4 ~ 8일" 이다.

    돼지의 발정주기는 20 ~ 25일이며, 발정지속시간은 25 ~ 30시간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며, 돼지의 생식 생리에 대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나열된 것이다.

    반면, 말의 발정지속시간은 4 ~ 8일로 나열되어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말의 발정지속시간은 일반적으로 5 ~ 7일 정도이며, 이는 말의 생식 생리에 대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나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항목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1. 성장호르몬(GH)
  2.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GnRH)
  3. 프로락틱 억제인자(PRIF)
  4. 임부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정답률: 62%)
  •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중에서 성장호르몬(GH)은 성장과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호르몬은 뼈, 근육, 내장 등의 성장과 함께 지방 대사, 당 대사, 단백질 합성 등에도 영향을 미치며, 성장기에는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성장호르몬은 인체 발육과 건강에 매우 중요한 호르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가축의 수정적기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1. 발정축의 영양 상태
  2. 환경온도와 일조시간
  3. 발정축의 체중과 월령
  4. 배란이 일어나는 시기와 수정부위까지의 정자 수송시간
(정답률: 58%)
  • 배란이 일어나는 시기와 수정부위까지의 정자 수송시간이 가장 중요한 요인인 이유는, 이것이 수정과 정자가 만나서 수정이 되는 시기와 장소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즉, 정자가 수정에 도달하는 시간이나 수정의 위치에 따라 수정적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이 요인이 가장 중요합니다. 다른 요인들도 중요하지만, 이들은 보다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돼지에서 사정된 정액 중 정장물질(semical plasma)의 대부분이 분비되는 장소는?

  1. 정소상체 미부
  2. 정낭선
  3. 전립선
  4. 카우퍼선
(정답률: 64%)
  • 정장물질은 전립선에서 분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돼지에서는 정낭선에서 대부분 분비됩니다. 이는 돼지의 전립선이 작고 미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돼지에서는 정낭선이 정장물질의 주요 분비 장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반추동물의 분만과정에서 양막이 파열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제 1파수
  2. 제 2파수
  3. 제 3파수
  4. 제 4파수
(정답률: 61%)
  • 양막 파열을 "파수"라고 하는데, 분만 과정에서 양막이 처음으로 파열되는 것을 "제 1파수"라고 합니다.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태아가 출생하기 위해 제 2파수, 제 3파수, 제 4파수로 이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반추동물의 분만 과정에서 양막이 파열되는 것을 "제 2파수"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정자 동결보존시 과냉각 상태와 빙정형성으로 인하여 벙자의 대사능력과 생존성을 저하하게 하는 위기온도 범위에 해당되는 것은?

  1. -10℃ ~ 5℃
  2. -25℃ ~ -15℃
  3. -75℃ ~ -60℃
  4. -196℃ ~ -79℃
(정답률: 63%)
  • 정자 동결보존시 과냉각 상태와 빙정형성으로 인하여 세포 내부의 물 분자가 결정화되어 세포막을 파괴하거나 세포 내부의 구조를 파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은 일정한 온도 범위에서 발생하며, 이 온도 범위를 위기온도 범위라고 합니다. "-25℃ ~ -15℃"는 정자 동결보존시 위기온도 범위에 해당되는 온도 범위로, 이 범위를 벗어나면 정자의 생존성과 대사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온도 범위 내에서 정자를 보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비유 유지에 필요한 호르몬이 아닌 것은?

  1. 프로락틴
  2. 옥시토신
  3. 부신피질호르몬
  4. 바소프레신
(정답률: 69%)
  • 바소프레신은 혈압을 상승시키는 호르몬으로, 비유 유지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면, 프로락틴은 유방의 발달과 분비를 촉진시키는 호르몬이며, 옥시토신은 분만과 수유를 조절하는 호르몬입니다. 부신피질호르몬은 스트레스 대응과 대사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젖소에서 일정기간의 착유기간 후 다음 비유기 동안 최대한의 우유를 생산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건유기의 가장 바람직한 기간은?

  1. 20 ~ 30일
  2. 30 ~ 50일
  3. 50 ~ 70일
  4. 70 ~ 90일
(정답률: 77%)
  • 50 ~ 70일은 젖소의 착유기간 중에서도 우유 생산량이 가장 많은 시기이기 때문에 건유기를 실시하기에 가장 적합한 기간이다. 이 기간 이전에는 젖소의 체내 호르몬 수치가 안정되지 않아 우유 생산량이 적을 수 있고, 이후에는 젖소의 체력이 약해져 우유 생산량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50 ~ 70일이 가장 바람직한 건유기 기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1개의 제 1정모세포는 몇 개의 정자로 분화발달 되는가?

  1. 1개
  2. 2개
  3. 4개
  4. 8개
(정답률: 57%)
  • 제 1정모세포는 4개의 정자로 분화발달됩니다. 이는 메이오시스 과정에서 제 1중간분열 후에 4개의 haploid 세포로 분리되기 때문입니다. 이 중 1개의 세포가 정자로 발달하며, 나머지 3개의 세포는 각각 비정형적인 형태로 남아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정능력을 획득한 정자가 난자의 투명대를 통과하기 위하여 일어나는 현상은?

  1. 첨체반응
  2. 핵농축
  3. 연동운동
  4. 선회운동
(정답률: 85%)
  • 첨체반응은 수정능력을 획득한 정자가 난자의 투명대를 통과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정자가 투명대를 통과하면서 표면에 있는 세포막 단백질과 결합하여 난자의 표면에 접착되고, 이를 통해 정자와 난자가 결합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소의 교배(인공수정) 적기는?

  1. 발정개시 직후
  2. 발정개시 후 4시간
  3. 발정개시 후 6시간
  4. 발정종료 전후 2시간
(정답률: 73%)
  • 소의 발정기간은 평균적으로 12~18시간 정도이며, 이 기간 동안 교배를 하면 임신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발정종료 후에는 난자가 이미 배출되어 임신이 불가능하므로, 발정종료 전후 2시간 내에 교배를 해야 합니다. 이 기간 내에 교배를 하면, 난자가 아직 존재하기 때문에 임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소의 교배(인공수정)는 발정종료 전후 2시간 내에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웅성생식기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카우퍼선(Cowper's gland)은 전립선을 말한다.
  2. 부성선은 전립선과 정낭선 2개로 구성되어 있다.
  3. 정낭선의 분비액은 요도를 세척하고 알칼리성으로 중화한다.
  4. 전립선은 정액에 특유의 냄새를 부여하는 약알칼리성의 엷고 불투명한 액체를 분비한다.
(정답률: 54%)
  • 전립선은 정액에 특유의 냄새를 부여하는 약알칼리성의 엷고 불투명한 액체를 분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포유동물의 유선에서 유즙을 배출시키고 분만시에 자궁근을 수축시켜 태아를 만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호르몬은?

  1.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2. 성선자극 호르몬 방출호르몬(GnRH)
  3. 옥시토신(Oxytocin)
  4. 안드로겐(Androgen)
(정답률: 74%)
  • 옥시토신은 유선에서 유즙을 배출시키고 분만시에 자궁근을 수축시켜 태아를 만출시키는 호르몬으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포유동물의 출산과 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옥시토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공란우의 수정란을 회수하는 외과적(外科的)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1. 자궁관류법, 난관관류법
  2. 난관관류법, 전기자극법
  3. 전기자극법, 자궁관류법
  4. 난관관류법, 마사지법
(정답률: 66%)
  • 공란우의 수정란을 회수하는 외과적 방법 중 가장 적합한 것은 자궁관류법과 난관관류법입니다. 이는 수정란이 자궁이나 난관에 위치해 있을 때, 해당 부위에 약물을 주입하여 수정란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전기자극법은 수정란 회수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마사지법은 수정란 회수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돼지에서 교배(인공수정)후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는 시기는?

  1. 5일
  2. 15일
  3. 25일
  4. 35일
(정답률: 56%)
  • 돼지에서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는 시기는 평균적으로 15일입니다. 이는 돼지의 발정 주기가 약 21일이기 때문에, 교배 후 약 15일이 지나면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가축사양학

41. 일일 유지에너지가 10Mcal가 필요한 착유우가 하루 동안 4km을 움직인다고 할 때 NRC에 의한 임의활동권장량은?

  1. 0.12Mcal
  2. 0.8Mcal
  3. 1.2Mcal
  4. 12Mcal
(정답률: 56%)
  • NRC에 의한 임의활동권장량은 일일 유지에너지의 20%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10Mcal의 20%를 계산하면 2Mcal이 됩니다. 이는 하루 동안 움직이지 않았을 때 필요한 에너지 양입니다. 하지만 착유우가 하루 동안 4km를 움직였으므로, 이에 따른 추가적인 에너지 소비가 필요합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착유우가 1km를 움직일 때 필요한 에너지 양을 알아야 합니다. 이는 착유우의 체중과 활동 강도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적으로 0.3Mcal 정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4km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1.2Mcal의 추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총 필요한 에너지 양은 2Mcal + 1.2Mcal = 3.2Mcal이 되며, 이것이 정답인 1.2Mcal보다 크기 때문에 1.2Mcal이 아닌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특히 성장 중인 가축에서 체내 축적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므로 다량 요구되는 성분은?

  1. 단백질
  2. 수용성 비타민
  3. 탄수화물
(정답률: 71%)
  • 성장 중인 가축은 체내 조직을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많은 양의 단백질이 필요합니다. 또한, 단백질은 인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가축의 건강과 생존에 필수적인 성분입니다. 따라서 성장 중인 가축에서는 다량의 단백질이 요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표준건조하에서 포도당 1분자가 해당작용(glycolysis)과 TCA회로를 거쳐 완전산화될 때 열발생 효율은 약 몇 %인가?

  1. 40%
  2. 50%
  3. 60%
  4. 70%
(정답률: 57%)
  • 표준건조하에서 포도당 1분자가 해당작용과 TCA회로를 거쳐 완전산화될 때, 총 38개의 ATP 분자가 생성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는 2개의 ATP 분자가 소모되므로 순수한 ATP 생산은 36개이다. 이에 따라 열발생 효율은 (36/90) x 100 = 40%가 된다. 즉, 입력된 포도당의 40%가 유용한 에너지로 전환되고, 나머지는 열로 분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미생물의 발효산물의 하나인 휘발성지방산의 흡수는 전소화기관에서 이루어지는데, 이것의 흡수속도는 장내의 pH가 저하될수록 흡수율이 증가하고 장내 휘발성지방산 조성비율에 많이 좌우된다. 휘발성지방산들간의 흡수속도를 나타낸 것 중 맞는 것은?

  1. acetic acid>propionid acid>butyric acid
  2. propionic acid>acetic acid>butyric acid
  3. butyric acid>acetic acid> propionic acid
  4. butyric acid>propionic acid> acetic acid
(정답률: 47%)
  • 정답은 "butyric acid>propionic acid> acetic acid"이다. 이는 휘발성지방산의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흡수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butyric acid는 높은 극성을 가지고 있어 전소화기관 내에서 빠르게 흡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butyric acid가 가장 빠르게 흡수되고, acetic acid가 가장 느리게 흡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젖소가 정상적인 제1위 발효와 유지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 최소 조사료 섭취 수준은? (단, 고형물 기준으로 건초나 사일리지의 섭취시)

  1. 체중의 8%
  2. 체중의 5%
  3. 체중의 3%
  4. 체중의 1.5%
(정답률: 39%)
  • 젖소가 정상적인 제1위 발효와 유지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조사료를 섭취해야 합니다. 이때 최소한의 조사료 섭취 수준은 체중의 1.5%입니다. 이는 젖소의 체중에 비례하여 조사료를 섭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체중의 8%나 5%를 섭취하면 과다한 조사료 섭취로 인해 소화기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체중의 3% 이하로 섭취하면 영양분 부족으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체중의 1.5%가 최소한의 조사료 섭취 수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산란계 사료로 사용될 경우 난백을 핑크색으로 변색시키며, 난황의 색을 퇴색시키고 흑색반점이 생기게 되어 곤란한 것은?

  1. 대두박
  2. 면실박
  3. 임자박
  4. 땅콩박
(정답률: 54%)
  • 정답은 "면실박"입니다. 면실박은 산란계 사료로 사용될 경우 난백을 핑크색으로 변색시키며, 난황의 색을 퇴색시키고 흑색반점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이는 면실박이 포도당과 반응하여 메일라드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부작용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보기]는 옥수수 엔실리지의 조성분이다. 이 사료의 고형분(DM)함량(%)은?

  1. 30.4%
  2. 28.2%
  3. 27.8%
  4. 25.9%
(정답률: 56%)
  • 옥수수 엔실리지의 조성분에서 고형분(DM) 함량은 100 - (수분 + 재료물질) 이므로, 100 - (10.6 + 61.6 + 0.0 + 0.0) = 27.8% 이다. 따라서 정답은 "27.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신체충질지수(BCS;body condition score)는 젖소의 사양관리에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데 만약 BCS 점수 1차이는 체중 약 몇 kg 차이이며, 체조직 1kg이 젖생산에 이용될 때 약 몇 kg의 우유를 생산할 수 있는가?

  1. 60kg, 7kg
  2. 80kg, 15kg
  3. 100kg, 7kg
  4. 125kg, 15kg
(정답률: 52%)
  • BCS 점수가 1차이면 체중 차이는 약 60kg이다. 체조직 1kg이 젖생산에 이용될 때 생산되는 우유의 양은 젖소마다 다르지만, 보통 약 7kg 정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60kg, 7kg"이다. 다른 보기들은 체중 차이는 더 크거나 작고, 체조직 1kg이 젖생산에 이용될 때 생산되는 우유의 양도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반추위에서 합성되는 비타민은?

  1. 비타민 B군
  2. 비타민 D군
  3. 비타민 E
  4. 비타민 A
(정답률: 70%)
  • 반추위에서 합성되는 비타민은 비타민 B군입니다. 이는 반추위에서 생성되는 세포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비타민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것으로, 비타민 B1, B2, B3, B5, B6, B7, B9, B12 등이 포함됩니다. 이 비타민들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뇌 기능, 혈액 생성, 피부 건강 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돼지의 유지에 필요한 가소화에너지(DE)는 대사체중(kg0.75)당 114kcal정도이나, 실제로는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량을 고려하여 20% 증가시켜 급여한다. 유지를 위한 돼지의 DE는?

  1. 131kcal/kg0.75
  2. 134kcal/kg0.75
  3. 137kcal/kg0.75
  4. 140kcal/kg0.75
(정답률: 67%)
  • 돼지의 유지에 필요한 가소화에너지(DE)는 대사체중(kg0.75)당 114kcal이지만,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량을 고려하여 20% 증가시켜야 한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114kcal에 20%를 곱한 값인 22.8kcal을 더해줍니다.

    114kcal + 22.8kcal = 136.8kcal

    소수점을 반올림하여 정답은 "137kcal/kg0.7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단당류의 구성 원소 (C : H : O) 결합 비율은?

  1. 1 : 1 : 1
  2. 1 : 2 : 1
  3. 2 : 1 : 2
  4. 2 : 2 : 1
(정답률: 77%)
  • 단당류는 일반적으로 분자식이 C6H12O6인 화합물로, 이 분자식에서 C, H, O의 비율을 구하면 1 : 2 : 1이 됩니다. 따라서, 단당류의 구성 원소 비율은 "1 : 2 : 1"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비율과 다른 비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신선한 계란의 단백질 함량은 12%이고 산란계의 단백질 이용 효율이 55%일 때 산란계가 평균난중 56g의 계란을 매일 산란한다고 하면 산란계의 1일 산란을 위한 단백질 요구량은 얼마인가?

  1. 10.0g
  2. 12.2g
  3. 0.12g
  4. 11.8g
(정답률: 65%)
  • 1일 산란량 = 56g
    산란계의 단백질 이용 효율 = 55%
    신선한 계란의 단백질 함량 = 12%

    1일 산란량에서 필요한 단백질 양은 다음과 같다.
    1일 산란량 x 신선한 계란의 단백질 함량 = 56g x 12% = 6.72g

    하지만 산란계의 단백질 이용 효율이 55%이므로, 실제 필요한 단백질 양은 다음과 같다.
    6.72g / 55% = 12.2g

    따라서, 산란계의 1일 산란을 위한 단백질 요구량은 12.2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사료의 대사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축의 질소균형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2. 일반적으로 고단백질 사료일 떄 대사에너지가 낮아 진다.
  3. 질소정정대사에너지 산출시, 동물에 따라 각 각 다른 정정계수를 사용한다.
  4. 메탄과 같은 가스에너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60%)
  • "일반적으로 고단백질 사료일 떄 대사에너지가 낮아 진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고단백질 사료일수록 대사에너지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단백질이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단백질은 탄수화물과 지방보다 에너지 대사에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단백질 사료를 먹는 동물은 더 많은 대사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고단백질 사료일 떄 대사에너지가 높아 진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가소화조단백질 11.0%, 가소화조지방 1.0%, 가소화조섬유 2.0%, 가소화조회분 2.0%, 가소화가용무질소물 70%일 때 가소화양분총량(TDN)은 약 얼마인가?

  1. 82%
  2. 85%
  3. 88%
  4. 90%
(정답률: 49%)
  • 가소화양분총량(TDN)은 가용한 영양분들의 합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DN = (가소화조단백질 × 0.7) + (가소화조지방 × 2.25) + (가소화조섬유 × 0.3) + (가소화조회분 × 0.82)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TDN = (11.0 × 0.7) + (1.0 × 2.25) + (2.0 × 0.3) + (2.0 × 0.82) = 7.7 + 2.25 + 0.6 + 1.64 = 12.19

    따라서, 가소화양분총량(TDN)은 약 12.19%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85%" 인 이유는, 12.19%를 14.34%로 나눈 값이 약 0.85이기 때문이다. 이는 가소화된 영양분들 중에서 실제로 소화되어 흡수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해당 사료의 영양가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탄수화물인 당류의 흡수 부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소장의 상부, 12지장
  2. 소장의 하부, 회장
  3. 대장의 하부, 맹장
  4. 대장의 상부, 결장
(정답률: 68%)
  • 정답은 "소장의 상부, 12지장"입니다.

    당류는 소장의 상부와 12지장에서 흡수됩니다. 이는 소장의 상부와 12지장이 소화효소와 함께 당을 분해하고 흡수하는 부위이기 때문입니다. 소장의 하부와 회장, 대장의 하부와 맹장, 대장의 상부와 결장은 당류의 흡수에는 관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NRC의 영양소 요구량(닭, 돼지)에 명시된 필수 지방산은?

  1. 올레산(Oleic acid)
  2. 리놀산(Linoleic acid)
  3.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4. 리놀렌산(Linolenic acid)
(정답률: 38%)
  • NRC의 영양소 요구량에 명시된 필수 지방산은 인체가 스스로 합성할 수 없으며, 식품을 통해 섭취해야 하는 지방산입니다. 이 중에서도 리놀산은 인체에서 합성할 수 없는 Ω-6계 지방산으로, 세포막 구성 성분이 되는 등 인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닭과 돼지의 영양소 요구량에 명시된 필수 지방산 중 리놀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단백질 분해효소가 아닌 것은?

  1. 펩신(Pepsin)
  2. 트립신(Trypsin)
  3. 락타아제(Lactase)
  4. 레닌(Rennin)
(정답률: 64%)
  • 락타아제는 탄수화물 분해효소가 아니라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이기 때문에, 단백질 분해효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비타민 구분에 따른 연결이 틀린 것은?

  1. 비타민 A - pyridoxine
  2. 비타민 B2 - riboflavin
  3. 비타민 C - ascorbic acid
  4. 비타민 B1 - thiamin
(정답률: 52%)
  • 정답은 "비타민 A - pyridoxine"이다. 비타민 A는 눈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pyridoxine은 비타민 B6의 다른 이름이다. 따라서 비타민 A와 pyridoxine은 서로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산란계의 강제환우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계란생산시기 조절
  2. 환우기간의 단축
  3. 육성비의 절감
  4. 일조시간의 증가
(정답률: 69%)
  • 일조시간의 증가는 강제환우 목적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강제환우는 계란생산시기 조절, 환우기간의 단축, 육성비의 절감 등의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일조시간의 증가는 이와는 별개의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반추가축의 소화기관 중 영양소별 흡수장소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포도당은 제 4위에서 주로 흡수된다.
  2. 휘발성지방산(VFA)은 제 3위에서도 흡수된다.
  3. 탄수화물 발효로 생성된 휘발성지방산(VF)은 단순확산에 의해 제2위벽으로 흡수된다.
  4. 흡수된 휘발성지방산(VFA)은 제1위 정맥을 통해 문맥을 거쳐 간장으로 들어간다.
(정답률: 54%)
  • "포도당은 제 4위에서 주로 흡수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포도당은 제 1위에서 흡수되며, 그 후에는 아미노산, 지질, 무기질 순으로 흡수된다. 포도당이 제 4위에서 흡수된다는 정보는 잘못된 정보이다.

    포도당이 제 1위에서 흡수되는 이유는 소화기관에서 탄수화물이 분해되어 생성된 글루코스가 소장과 십이지장에서 흡수되기 때문이다. 글루코스는 당신체를 통해 혈액으로 이동하고, 그 후에 간에서 저장되거나 에너지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61. 옥수수는 그 특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사료작물용으로 가장 적합한 종류는?

  1. 감립종(sweet corn)
  2. 폭립종(pop corn)
  3. 마치종(dent corn)
  4. 연립종(flour corn)
(정답률: 68%)
  • 마치종은 사료작물로 가장 적합한 종류이다. 이는 마치종이 큰 알갱이를 가지고 있고, 이 알갱이는 딱딱하게 말릴 수 있어서 오랫동안 저장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마치종은 영양가가 높아서 가축에게 좋은 사료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건초의 품질평가에 있어서 양질의 건초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녹색도가 낮다.
  2. 잎의 비율이 높다.
  3. 상쾌한 냄새를 낸다.
  4. 협잡물이 혼입되어 있지 않다.
(정답률: 72%)
  • "녹색도가 낮다"는 건초의 품질과 관련이 없는 요소이다. 녹색도는 건초가 포함하고 있는 엽록소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건강한 식물에서는 높은 녹색도를 가지지만 건초의 품질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 따라서 "녹색도가 낮다"는 양질의 건초에 대한 설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수분함량이 높은 호밀을 직접 사일리지로 만들 때 가장 주의하여 조치할 사항은?

  1. 세절하지 않고 그대로 제조한다.
  2. 예건없이 예취하여 바로 제조한다.
  3. 화본과목초와 함께 제조한다.
  4. 미강이나 밀기울로 수분을 조절하여 제조한다.
(정답률: 77%)
  • 호밀은 수분함량이 높기 때문에 사일리지 제조 시 과밀방지를 위해 미강이나 밀기울로 수분을 조절해야 한다. 이를 주의하지 않으면 사일리지가 부패하거나 과밀로 인해 발생하는 열화작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사일리지 제조시 수분함량 85%의 재료를 70%까지 건조시키려면 처음 재료의 중량이 얼마가 되게 건조시키면 되는가?

  1. 4/5
  2. 3/4
  3. 2/3
  4. 1/2
(정답률: 36%)
  • 사일리지 제조시 처음 재료의 수분함량이 85%이므로, 건조시키기 전에 수분이 차지하는 비중은 15%입니다. 이를 70%까지 건조시키면 수분이 차지하는 비중은 30%가 됩니다. 따라서 처음 재료의 중량 x 0.15 = 처음 재료의 중량 x 0.3 - 건조한 수분의 중량입니다. 이를 정리하면 처음 재료의 중량은 건조한 수분의 중량의 2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건초보다 사일리지를 이용할 때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2. 저장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3. 운반과 취급이 쉽다.
  4. 기계화하기 어려워 노력이 많이 든다.
(정답률: 48%)
  • 사일리지는 건초보다 물이 적게 들어가기 때문에 저장 공간을 적게 차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ha당 50톤의 목초(생초)가 생산되는 초지에서 비료 성분량으로 필요로 하는 질소 추비량은? (단, 생초 중 질소 성부 0.5%, 천연 공급량 150kg/ha, 비료이용율 50%일 경우)

  1. 50kg/ha
  2. 100kg/ha
  3. 150kg/ha
  4. 200kg/ha
(정답률: 3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옥수수의 발아에 필요한 최저 온도범위에 속하는 것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54%)
  • 옥수수의 발아에 필요한 최저 온도범위는 10℃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옥수수의 적정 발아 온도가 10℃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나 15℃, 20℃은 옥수수의 발아에는 너무 낮거나 높은 온도이므로 최저 온도범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벼과(화본과)가 우점된 초지에 콩과목초의 식생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중 틀린 것은?

  1. 방목강도 혹은 예취고를 낮춘다.
  2. 연간 예취회수를 늘린다.
  3. 질소질비료를 증량 시비한다.
  4. 인산과 칼리를 증량 시비한다.
(정답률: 54%)
  • 질소질비료를 증량 시비하는 것은 오히려 콩과목초의 식생을 더욱 촉진시켜 벼과의 우점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틀린 방법입니다. 벼과와 콩과목초의 경쟁을 줄이기 위해서는 방목강도 혹은 예취고를 낮추거나 연간 예취회수를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인산과 칼리를 증량 시비하는 것도 콩과목초의 성장을 촉진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목초 건초를 조제할 때 예취시기가 건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으로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예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소화율이 떨어진다.
  2.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단백질이 떨어진다.
  3.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섬유질이 높다.
  4.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섭취량이 증가한다.
(정답률: 62%)
  • 예취시기가 늦어질수록 건초 안에 있는 설탕과 단백질이 분해되어 소화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소화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젖소 50두를 방목하기 위하여 방목지의 목초수량을 1×1m의 방형틀(quadrat)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는데 이때의 목초수량은 0.5kg/m2이었다. 방목지 면적이 1.5ha 라면 목초수량은 몇 kg이며, 1두당 몇 kg을 섭취할 수 있는 양인가? (순서대로 1.5ha 목초수량(kg)/ 1두당 섭취량(kg))

  1. 7,500 / 150
  2. 6,500 / 120
  3. 5,500 / 90
  4. 4,500 / 60
(정답률: 55%)
  • 1.5ha는 15,000m2이므로, 목초수량은 15,000m2 × 0.5kg/m2 = 7,500kg이다. 따라서 1두당 섭취량은 7,500kg ÷ 50두 = 150kg이다. 따라서 정답은 "7,500 / 1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일정 면적의 초지에 방목할 소의 두수(頭數)를 계산할 때 옳은 식은?

(정답률: 45%)
  • 일정 면적의 초지에 방목할 소의 두수는 초지 면적을 소 한 마리가 하루에 먹는 초지의 양으로 나눈 값과 같다. 따라서 옳은 식은 "초지 면적 ÷ 소 한 마리가 하루에 먹는 초지의 양"이다. 이때 초지 면적과 소 한 마리가 하루에 먹는 초지의 양은 모두 제시되어 있으므로, 이 값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된다. ""가 정답인 이유는 이 식이 초지 면적을 초지 한 마리가 하루에 먹는 양으로 나눈 값으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바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중북부지방에서 담근먹이 옥수수의 뒷그루로 재배하기에 적합한 사료작물은?

  1. 대두
  2. 진주조
  3. 호밀
  4. 수수
(정답률: 62%)
  • 중북부지방은 기온이 낮고 건조한 환경이기 때문에 호밀이 적합합니다. 호밀은 겨울에 재배되며, 낮은 기온과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고 수확량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담근먹이 옥수수의 뒷그루로 재배하기에도 적합하며, 사료작물로서 영양가가 높아 축사에서의 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벼과(화본과) 사료작물의 일반적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잎은 나란이맥으로 되어 있으며, 줄기 위에 어긋나게 2열로 각 마디에 하나씩 나있다.
  2. 줄기는 대체로 속이 비어 있고, 둥글며 뚜렷한 마디를 가지고 있다.
  3. 열매는 씨방벽에 융합되어 있는 하나의 종자를 가지고 있다.
  4. 뿌리는 하나로 되어 있든가 또는 가지를 친 곧은 뿌리로 되어 있다.
(정답률: 55%)
  • "뿌리는 하나로 되어 있든가 또는 가지를 친 곧은 뿌리로 되어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벼과(화본과) 사료작물의 뿌리는 주뿌리와 측뿌리로 나뉘며, 측뿌리는 더욱 세분화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로 되어 있든가 또는 가지를 친 곧은 뿌리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목초 유식물의 억압력 지수가 가장 높은 초종은?

  1.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2. 톨 페스큐
  3. 티머시
  4. 켄터키 블루그라스
(정답률: 41%)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다른 초종들에 비해 더욱 빠르게 성장하며, 높은 생육력을 가지고 있어 다른 식물들을 억압하는 능력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목초 유식물의 억압력 지수가 가장 높은 초종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초지를 주로 초가을에 조성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1. 수분함량이 적당하기 때문에
  2. 온도 조건이 적합하기 때문에
  3. 목초 종자가 여름에 수입되기 때문에
  4. 잡초와의 경쟁을 피하기 위하여
(정답률: 60%)
  • 초지를 조성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잡초와의 경쟁을 피하기 위하여"입니다. 초가을은 기온과 습도가 적절하며, 이는 잡초가 자라기에 적합한 환경입니다. 따라서 초가을에 초지를 조성하면, 잡초와 경쟁하지 않고 초목이 자라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건초 조제시 수확 적기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육기
  2. 기상
  3. 양분 생산량
  4. 파종량과 파종방법
(정답률: 58%)
  • 건초 조제시 수확 적기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파종량과 파종방법"이다. 이는 건초의 생육기, 기상, 양분 생산량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파종량과 파종방법은 건초 생산량과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파종량과 파종방법을 적절히 결정하지 않으면 건초 생산량과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4포식 윤작법(Norfork rotation)이 처음 개발된 국가는?

  1. 미국
  2. 독일
  3. 영국
  4. 일본
(정답률: 55%)
  • 4포식 윤작법은 영국에서 처음 개발되었습니다. 이 방법은 작물을 4년 주기로 회전시켜 작물의 영양분을 균형있게 공급하고 토양의 피로도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이후 미국과 다른 국가에서도 적용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사료작물 중 옥수수의 품종에 속하는 것은?

  1. 광평옥
  2. 점보
  3. 쿨그레이져
  4. 카이유스
(정답률: 67%)
  • 옥수수는 품종에 따라 크기, 색상, 맛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품종명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광평옥"은 옥수수의 품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사료작물 작부조합 선정시 고려해야 할 점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같은 초종이라도 품종에 따라 숙기가 다르므로 품종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선택이 중요하다.
  2. 재배관리상 노력과 생산비용이 적게 드는 초종의 선택이 필요하다.
  3. 보유기계나 장비, 사일로와 같은 시설은 물론 가축분뇨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초종선택이 필요하다.
  4. 건물이나 가소화영양소총량(TDN) 보다는 생초수량이 많은 초종을 선택하여야 한다.
(정답률: 68%)
  • 사료작물 작부조합 선정시 고려해야 할 점 중 옳지 않은 것은 "건물이나 가소화영양소총량(TDN) 보다는 생초수량이 많은 초종을 선택하여야 한다." 이다. 이유는 사료작물의 영양성분은 TDN뿐만 아니라 단백질,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소가 중요하며, 생초수량만으로 초종을 선택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따라서 종자의 품종, 재배관리, 시설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공기 중 질소를 활발하게 고정하는 근류의 내부에 존재하는 색소는?

  1. 녹색
  2. 무색
  3. 갈색
  4. 적색
(정답률: 46%)
  • 근류 내부의 색소는 루비짱구산화효소이며, 이 색소는 질소 고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색소는 적색을 띠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축산경영학 및 축산물가공학

81. 유동자본재가 아닌 것은?

  1. 사료
  2. 비료
  3. 트랙터
  4. 가축약품
(정답률: 72%)
  • 유동자본재란 기업에서 생산과정에서 사용되어 제품으로 전환되는데 필수적인 재화로, 재고로 쌓이지 않고 빠르게 유통되는 재화를 말합니다. 따라서 "트랙터"는 생산과정에서 직접적으로 제품으로 전환되지 않으므로 유동자본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축산물 생산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투입과 산출간의 상관관계를 의미한다.
  2. 산출과 이익간의 상관관계를 의미한다.
  3. 이익과 비용간의 상관관계를 의미한다.
  4. 비용과 투입간의 상관관계를 의미한다.
(정답률: 60%)
  • 축산물 생산함수는 투입된 자원(노동, 자본, 원자재 등)과 생산된 산출물(축산물)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따라서 "투입과 산출간의 상관관계를 의미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축산경영 수익성 지표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득
  2. 순수익
  3. 자본회전율
  4. 1일당 가족노동보수
(정답률: 49%)
  • 자본회전율은 축산경영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지만,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자본회전율은 회사의 자산을 얼마나 빠르게 회전시키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높을수록 효율적인 경영을 의미한다. 그러나 자본회전율만으로 축산경영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것은 부족하다. 따라서 "1일당 가족노동보수"가 옳지 않은 지표이다. 이는 축산경영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수익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복합경영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량판매에 유리하다.
  2. 토지이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3. 수입원이 단일화되어 수익이 증가한다.
  4. 복합적 노동에 의한 노동생산성이 향상된다.
(정답률: 57%)
  • 복합경영은 여러 가지 사업을 하나의 기업에서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농업과 축산업을 함께 운영하면 동물의 배설물을 비료로 사용하여 농작물 생산에 활용할 수 있고, 농작물을 동물에게 먹이로 사용하여 축산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나의 토지에서 여러 가지 사업을 함께 운영함으로써, 토지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우리나라 도시근교형 낙농경영의 특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경영의 집약도가 다른 경영형태에 비해 높다.
  2. 시유용 원유를 생산 및 공급하는데 유리하다.
  3. 규모를 확장하는데 제한적인 요인이 적은 편이다.
  4. 토지면적이 좁고 구입사료에 의존하므로 사료의 자급률이 낮다.
(정답률: 67%)
  • "규모를 확장하는데 제한적인 요인이 적은 편이다."는 우리나라 도시근교형 낙농경영의 특징이 아니라 오히려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는 도시 근처에 위치하여 시장과의 접근성이 용이하고, 토지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규모를 확장하기에 적합한 환경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육우경영 조수익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송아지 판매두수를 늘린다.
  2. 송아지 판매단가를 높인다.
  3. 송아지 생산효율을 높인다.
  4. 송아지 사료비를 절감한다.
(정답률: 49%)
  • 송아지 사료비를 절감하는 것은 육우를 키우는데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조수익을 증대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송아지 판매와 관련된 내용이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조수익을 증대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소득에서 암묵적 비용인 가족노동 평가액, 자기자본이자, 자기토지지대를 공제한 것은?

  1. 순수익
  2. 조수입
  3. 자본이익율
  4. 가족노동보수
(정답률: 43%)
  • 소득에서 가족노동 평가액, 자기자본이자, 자기토지지대를 공제하면 남은 금액이 순수익이 됩니다. 이는 소득에서 발생한 암묵적 비용을 제외한 실제적인 이익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순수익은 조수입이나 자본이익율과는 다른 개념이며, 가족노동보수와도 관련이 있지만 보다 포괄적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설명은 고정 자본재의 어떤 평가방법인가?

  1. 수익가에 의한 평가
  2. 매매가격에 의한 평가
  3. 임대가격에 의한 평가
  4. 추정가격에 의한 평가
(정답률: 68%)
  • 위 그림은 고정 자본재인 건물의 평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때, 건물의 수익가나 매매가격, 임대가격 등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은 해당 자산의 현재 가치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통은 해당 자산의 특성과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추정가격에 의한 평가를 수행합니다. 이 방법은 해당 자산의 현재 가치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으며, 보통은 부동산 등의 자산 평가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추정가격에 의한 평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축산경영의 일반적 특징의 하나인 결합생산물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것은?

  1. 산란계와 육계
  2. 쇠고기와 소가죽
  3. 돼지고기와 우유
  4. 한우고기와 수입쇠고기
(정답률: 67%)
  • 축산경영에서는 동물들이 생산하는 다양한 결합생산물 중에서도 쇠고기와 소가죽이 가장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소가 죽을 내놓을 때에도 쇠고기를 생산하고, 쇠고기를 생산할 때에도 소가죽을 생산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쇠고기와 소가죽은 모두 가공되어 다양한 제품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경제적 가치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축산 경영조직의 적정화를 설계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1. 각 가축의 능력 관계
  2. 입지조건의 적합여부
  3. 노동력 절약을 위한 기계화 관계
  4. 가축두수와 사료작물 또는 목초재배 관계
(정답률: 59%)
  • 축산 경영조직의 적정화를 설계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입지조건의 적합여부입니다. 이는 축산 시설의 위치와 주변 환경 등이 축산 경영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축산 환경의 안전성과 생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축산 경영조직을 설계할 때는 입지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설과 장비를 선택하고, 축산 환경의 안전성과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무당연유의 제조공정에서 순서가 옳은 것은?

  1. 농축 → 균질 → 냉각 → 멸균 → 충전
  2. 농축 → 균질 → 냉각 → 충전 → 멸균
  3. 균질 → 농축 → 냉각 → 멸균 → 충전
  4. 균질 → 농축 → 냉각 → 충전 → 멸균
(정답률: 25%)
  • 무당연유는 농축된 열매즙과 설탕 등을 혼합하여 만드는데, 이 과정에서 설탕 결정이 생길 수 있으므로 균질 과정이 필요하다. 그 후 냉각하여 무당연유의 맛과 향을 안정시키고, 멸균하여 유통기한을 연장시킨 후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농축 → 균질 → 냉각 → 충전 → 멸균"이 옳은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치즈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우유의 균질 → 살균 → rennet 첨가 → 유청배제 → 커드의 절단
  2. 우유의 살균 → rennet 첨가 → starter 첨가 → 커드의 절단 → 유청배제
  3. 우유의 살균 → starter 첨가 → rennet첨가 → 커드의 절단 → 유청배제
  4. 우유의 균질 → 살균 → starter 첨가 → rennet 첨가 → 커드의 절단 → 유청배제
(정답률: 48%)
  • 치즈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우유의 살균: 우유를 살균하여 유해균을 제거합니다.
    2. Starter 첨가: 치즈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미생물을 첨가합니다.
    3. Rennet 첨가: 우유를 응고시키는 효소를 첨가합니다.
    4. 커드의 절단: 응고된 우유를 작은 조각으로 자릅니다.
    5. 유청배제: 커드와 유청을 분리합니다.

    따라서, "우유의 살균 → starter 첨가 → rennet 첨가 → 커드의 절단 → 유청배제"가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원료로써 돈두육, 돈심장 등을 이용하여 조직 중의 함유된 젤라틴의 작용으로 고형화 한 것은?

  1. 텅 소시지
  2. 헤드 치즈
  3. 블러드 소시지
  4. 리버 소시지
(정답률: 57%)
  • 돈두육, 돈심장 등의 조직을 끓여서 젤라틴을 추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고형화한 것이 헤드 치즈입니다. 헤드 치즈는 돼지 머리 부위를 이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른 식육에 비하여 돼지고기에 특히 많이 함유된 비타민은?

  1. 비타민 A
  2. 비타민 B1
  3. 비타민 C
  4. 비타민 E
(정답률: 64%)
  • 돼지고기는 다른 식육에 비해 비타민 B1 함량이 높습니다. 이는 돼지고기가 타이아민과 같은 비타민 B1의 좋은 원천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육제품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육의 풍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동물의 종류
  2. 도체중
  3. 동물의 연령
  4. 사료
(정답률: 61%)
  • 도체중은 육제품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육의 풍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도체중이 육의 맛과 질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동물의 종류, 동물의 연령, 사료는 육의 맛과 질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유제품 제조 시 수분을 첨가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건조 용이
  2. 염지재료 용해
  3. 다즙성 유지
  4. 생산비 감소
(정답률: 54%)
  • 유제품 제조 시 수분을 첨가하는 이유는 다즙성 유지, 염지재료 용해, 생산비 감소 등이 있지만, "건조 용이"는 유제품 제조 시 수분을 첨가하는 이유가 아니다. 유제품 제조 시 건조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오히려 수분을 제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DFD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돼지고기와 암소에서 주로 발생한다.
  2. 육색이 어둡고 건조하다.
  3. pH는 5.4를 나타낸다.
  4. 신선육으로 적합하다.
(정답률: 64%)
  • DFD(Dark, Firm, Dry)는 돼지고기와 암소에서 주로 발생하는 육질 이상으로, 육색이 어둡고 건조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근육 내의 글리코겐이 부족해지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pH가 5.4를 나타내며 신선육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근육조직을 미세구조적으로 볼 때 망상구조를 가지며 근육수축 시 Ca2+를 세포내로 방출하는 것은?

  1. 근절
  2. 근초
  3. 근소포체
  4. 근원섬유
(정답률: 46%)
  • 근육세포 내부에서 Ca2+를 저장하고 근육수축 시에 방출하는 구조는 근소포체입니다. 근소포체는 근육세포의 망상구조 중 하나로, Ca2+를 저장하는 작은 공간입니다. 근육세포가 신경자극을 받으면 Ca2+가 근소포체에서 방출되어 근육수축을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근육세포의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결합조직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교원섬유
  2. 탄성섬유
  3. 세망섬유
  4. 지방섬유
(정답률: 61%)
  • 지방섬유는 결합조직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지방조직에서 발생하는 섬유로, 지방세포들이 분화하여 만들어진다. 결합조직은 주로 섬유아구, 연골, 뼈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방조직은 다른 조직과는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결합조직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저렴한 각종 원료육을 활용하며 육괴끼리 결합시킬 결착육을 사용하여 다양한 풍미, 모양, 크기로 제조한 육제품은?

  1. press ham
  2. salami
  3. tongue sausage
  4. belly ham
(정답률: 59%)
  • "Press ham"은 저렴한 원료육을 사용하고 결착육을 사용하여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제조되는 육제품이다. 다른 보기들인 "salami", "tongue sausage", "belly ham"은 각각 다른 육제품의 이름이며, "press ham"과는 다른 제조 방법과 재료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