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8-22)

축산기사
(2020-08-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가축육종학

1. 돼지에서 일반적인 복당 산자수의 유전력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5~15%
  2. 16~20%
  3. 25~30%
  4. 40~45%
(정답률: 69%)
  • 돼지에서 일반적인 복당 산자수의 유전력범위는 5~15%이다. 이는 복당 산자수가 유전적으로 다양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너무 낮은 유전력범위는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하여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질 수 있고, 너무 높은 유전력범위는 유전적 다양성이 너무 높아져 번식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5~15%의 유전력범위가 가장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두 형질 간에 높은 유전 상관을 나타내는 경우 측정이 용이한 형질을 개량함으로써 측정이 곤란한 형질을 개량하는 선발 방법은?

  1. 결합선발
  2. 개체선발
  3. 간접선발
  4. 순차선발
(정답률: 71%)
  • 간접선발은 높은 유전 상관을 나타내는 두 형질 중 하나를 개량함으로써 다른 형질도 함께 개량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측정이 용이한 형질을 개량하여 그 형질과 함께 측정이 곤란한 형질도 개량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간접선발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선발 강도의 개념을 나타낸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선발차이다.
  2. 선발비율이다.
  3. 유전적 개량량이다.
  4. 표준화된 선발차이다.
(정답률: 70%)
  • 표준화된 선발차이는 선발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를 표준화하여 비교 가능한 지표로 만든 것이다. 이는 선발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공정한 비교를 가능하게 하며, 선발과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선발 강도를 나타내는 가장 적합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Halothane 검정에 의한 PSS(Porcine Stress Syndrome)의 검출빈도가 가장 높은 돼지 품종은?

  1. 듀록(Duroc)
  2. 요크셔(Yorkshire)
  3. 햄프셔(Hampshire)
  4. 피이트레인(Pictrain)
(정답률: 51%)
  • Halothane 검정은 돼지의 육질이나 돼지고기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데, 이 검정에서 PSS(Porcine Stress Syndrome)가 검출될 경우 돼지의 근육이 불안정해지고 돼지고기의 품질이 저하됩니다. 이에 따라 PSS 검출빈도가 가장 낮은 돼지 품종인 피이트레인(Pictrain)이 선택되었습니다. 피이트레인은 PSS에 대한 내성이 높아서 Halothane 검정에서 PSS가 검출될 확률이 낮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백색 돼지인 요크셔종(WW)과 흑색돼지인 버크셔종(ww)의 F1끼리 교배하였을 경우 자손세대(F2)에서는 모색이 어떻게 나타나는가?

  1. 전부 백색
  2. 백색 3 : 흑색 1
  3. 백색 2 : 흑색 2
  4. 백색 2 : 흑색 1 : 회색 1
(정답률: 82%)
  • 요크셔종은 백색, 버크셔종은 흑색이므로 F1세대는 모두 Ww 유전자를 가지게 됩니다. 이들을 교배하면 다음과 같은 유전현상이 나타납니다.

    - WW : 백색
    - Ww : 백색
    - wW : 백색
    - ww : 흑색

    따라서 F2세대에서는 백색이 3/4, 흑색이 1/4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백색 3 : 흑색 1"입니다. 회색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육우의 두 품종 A와 B에서 최대의 잡종 강세를 기대하기 위해서 다음 중 어떤 교배체계를 선택해야 하는가?

  1. A×B
  2. (A×B)×A
  3. (A×B)×(A×B)
  4. (A×B)×B
(정답률: 65%)
  • 정답은 "A×B"이다. 이유는 A와 B는 서로 다른 품종이므로 교배를 통해 잡종 강세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A와 B 중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있는 유전자 조합을 얻기 위해서는 A와 B를 교차하여 교배하는 "A×B"가 가장 적절한 선택이다. 다른 교배체계들은 한 쪽 품종에 치우친 유전자 조합을 얻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최대의 잡종 강세를 기대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잡종강세의 조합능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조합능력의 차이는 유전자의 상호작용효과에 기인한다.
  2. 특정조합능력의 차이는 상가적 유전 분산에 기인한다.
  3. 특정조합능력은 한 계통이 여러 개의 다른 계통과 교배되어 나오는 각종 F1 능력의 평균을 말한다.
  4. 상반반복선발법은 조합능력의 개량을 위하여 고안되어진 것이다.
(정답률: 55%)
  • 상반반복선발법은 조합능력의 개량을 위하여 고안되어진 것이다. 이는 높은 조합능력을 가진 개체들을 상호교배시켜 그 자손들 중에서 더 높은 조합능력을 가진 개체를 선택하여 번식시키는 방법으로, 유전자의 상호작용효과나 상가적 유전 분산과는 관계가 없다. 특정조합능력은 한 계통이 여러 개의 다른 계통과 교배되어 나오는 각종 F1 능력의 평균을 말하며, 이는 일반조합능력의 차이를 설명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근교계수 0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개체의 부친과 모친 간에 전혀 혈연관계가 없다.
  2. 개체의 부친과 모친이 전형매 간의 관계이다.
  3. 개체의 부친과 모친이 반형매 간의 관계이다.
  4. 개체의 부친과 모친이 부낭 간의 관계이다.
(정답률: 88%)
  • 근교계수 0는 개체의 부친과 모친 간에 전혀 혈연관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부친과 모친이 서로 다른 가문 출신이며, 혈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동물의 교배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인간에서는 드물게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윤환교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서로 다른 2품종 암, 수퇘지를 매 세대 교대로 교배하는 것
  2. 서로 다른 3품종 수퇘지를 매 세대 교대로 교배하는 것
  3. 서로 같은 2품종 암퇘지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교배하는 것
  4. 서로 같은 4품종 암, 수퇘지를 매 세대 교대로 교배하는 것
(정답률: 64%)
  • 윤환교배는 서로 다른 3품종 수퇘지를 매 세대 교대로 교배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다양한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면서도 원하는 유전적 특성을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가), (나)에 알맞은 내용은?

  1. 가 : 작아야한다, 나 : 작게
  2. 가 : 작아야한다, 나 : 크게
  3. 가 : 커야한다, 나 : 작게
  4. 가 : 커야한다 나 : 크게
(정답률: 81%)
  • 이 그림은 화면 해상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상도가 높을수록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더욱 세밀하게 보여지기 때문에 커야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가 : 커야한다, 나 : 크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유전적 개량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1. 유전력×반복력
  2. 유전력×표현형상관계수
  3. 유전력×육종가
  4. 유전력×선발차
(정답률: 57%)
  • 유전적 개량량은 유전력과 선발차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유전력은 개체의 유전적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해당 특성이 유전적으로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를 나타냅니다. 선발차는 개체들 중에서 선택된 개체들과 선택되지 않은 개체들 간의 평균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선택된 개체들이 가지고 있는 우수한 유전적 특성이 다음 세대로 전달되어 개체 집단의 평균적인 유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유전력과 선발차의 곱은 개체 집단의 평균적인 유전적 특성의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유전적 개량량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한우의 당대검정우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등록기관에 부모가 혈통등록이상 등록되고 유전자검사결과 친자가 확인된 것
  2. 씨암소에서 태어나고 생후 160일령 이전에 이유한 수송아지일 것
  3. 생후 180일령에 체중이 120kg 이하인 것
  4. 당대검정우나 당대검정우의 부모 또는 형제, 자매 중에서 선천성 기형이나 유전적 불량형질이 나타나지 않은 것
(정답률: 78%)
  • 한우의 당대검정우는 등록기관에 부모가 혈통등록이상 등록되고 유전자검사결과 친자가 확인된 것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생후 180일령에 체중이 120kg 이하인 것은 조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당대검정우의 조건 중 체중에 대한 제한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어떤 교배법을 나타낸 것인가?

  1. 누진교배
  2. 2품종교배
  3. 계통교배
  4. 복교배
(정답률: 84%)
  • 이 그림은 누진교배를 나타낸 것입니다. 누진교배는 한 개체의 꽃받침과 꽃잎의 색이 다른 두 개체를 교배하여 새로운 품종을 얻는 방법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빨간색 꽃받침과 하얀색 꽃잎을 가진 개체와, 하얀색 꽃받침과 빨간색 꽃잎을 가진 개체를 교배하여 새로운 품종을 얻고자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육우의 경제형질이 아닌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번식 능률
  2. 생시 체중
  3. 도체의 품질
  4. 체형 및 외모
(정답률: 84%)
  • 정답: "도체의 품질"

    육우의 경제형질은 생산성과 관련된 특성을 말합니다. 번식 능률은 새끼를 많이 낳을 수 있는 능력, 생시 체중은 출생 후 빠른 체중 증가를 보이는 능력, 체형 및 외모는 육질과 외모가 우수한 능력을 말합니다. 하지만 도체의 품질은 경제적인 가치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특성입니다. 따라서 도체의 품질은 육우의 경제형질이 아닙니다.

    생시 체중은 출생 후 빠른 체중 증가를 보이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육우의 생산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출생 후 빠른 체중 증가를 보이는 육우는 빠른 시일 내에 출하 가능한 육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시 체중은 육우의 경제형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각각의 부모에게서 온 유전자가 합쳐서 새로이 태어난 자손의 유전자형을 형성한 유전자들의 값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평균
  2. 육종가
  3. 우성편차
  4. 표현형가
(정답률: 70%)
  • 각각의 부모로부터 전달된 유전자들이 합쳐져서 새로운 개체의 유전자형을 형성하는데, 이때 각각의 유전자가 가지고 있는 값의 합을 육종가라고 한다. 이 값은 해당 개체의 유전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육종가는 유전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돼지의 개량목표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1. 복당 산자수를 많게 한다.
  2. 육성률을 향상시킨다.
  3. 배장근단면적을 줄인다.
  4. 육돈의 시장출하체중 도달일수를 단축시킨다.
(정답률: 87%)
  • 배장근은 돼지의 소화기관 중 하나인 대장의 근육입니다. 배장근단면적을 줄이면 대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소화가 원활하지 않아집니다. 따라서 돼지의 개량목표로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란계의 경제형질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산란율
  2. 생존율
  3. 성장률
  4. 난각질
(정답률: 67%)
  • 산란율, 생존율, 난각질은 모두 산란계의 생산성과 관련된 경제혈질이지만, 성장률은 생산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경제혈질에 속하지 않는다. 성장률은 개체의 크기나 무게 등이 증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산란계의 생산성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좁은 의미의 유전력에 비하여 넓은 의미의 유전력이 더 높아지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것은?

  1. 환경분산과 상가적 유전분산
  2. 환경분산과 우성분산
  3. 상위성분산과 우성분산
  4. 상위성분산과 상가적 유전분산
(정답률: 53%)
  • 상위성분산과 우성분산이 더 높아지면 넓은 의미의 유전력이 더 높아질 수 있다. 이는 상위성분산이 개체 간의 유전적 차이를 설명하는 데 기여하고, 우성분산이 개체 내에서 유전적 차이를 설명하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분산이 높아질수록 개체 간 및 개체 내에서의 유전적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넓은 의미의 유전력이 더 높아지는 데 기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어떤 개체의 유전자형을 알기 위하여 열성의 호모개체를 교잡하는 검정교배를 나타낸 것은?

  1. BB×BB
  2. BB×Bb
  3. Bb×Bb
  4. Bb×bb
(정답률: 82%)
  • 검정교배는 어떤 개체의 유전자형을 알기 위해, 그 개체가 순수한 유전자형인지 혼합된 유전자형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이다. 이때, 열성의 호모개체를 교잡하는 것은 그 개체가 순수한 유전자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열성의 호모개체인 Bb와 순수한 유전자형이 아닌 bb를 교잡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이때, 자손의 모든 개체가 Bb 유전자형을 가지게 되므로, 검정교배에서는 Bb×bb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근친교배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강건한 자손을 생산한다.
  2. 유전자를 고정 시킬 수 있다.
  3. 집단 내 동형접합체의 비율을 줄인다.
  4. 잡종교배에 비하여 우수한 자손을 생산한다.
(정답률: 88%)
  • 근친교배는 유전자를 고정시키는 기능이 있다. 이는 근처에 있는 유전자들이 서로 유사하기 때문에, 같은 유전자가 두 번 나타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유전자가 고정되면, 해당 유전자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 자손에게 계속해서 전달되어 유전적으로 일정한 특성을 가진 자손을 생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가축번식생리학

21. 성숙한 포유가축 수컷의 부생식선만을 나열해 놓은 것은?

  1. 정낭선, 전립선, 카우퍼선
  2. 정낭선, 전립선, 유선
  3. 랑게르한스섬, 유선, 카우퍼선
  4. 정낭선, 카우퍼선, 랑게르한스섬
(정답률: 85%)
  • 성숙한 포유가축 수컷의 부생식선은 정낭선, 전립선, 카우퍼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낭선은 정자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고, 전립선은 전립선액을 분비하여 정자의 움직임을 돕고, 카우퍼선은 전립선액과 함께 분비되어 정자의 운동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부생식선이 모두 나열된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자의 수정능력 획득 후 정자두부에서 방출되는 효소 중 난자의 투명대를 용해하는 효소는?

  1.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2. 하이포타우린(hypotaurine)
  3.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4. 아크로신(acrosin)
(정답률: 72%)
  • 아크로신은 정자의 수정능력 획득 후 정자두부에서 방출되는 효소 중 하나로, 난자의 투명대를 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아크로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성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환경적인 요인이 아닌 것은?

  1. 영양
  2. 계절
  3. 온도
  4. 품종
(정답률: 72%)
  • 성장과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품종"은 환경적인 요인이 아니라 유전적인 요인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품종은 개체의 유전적 특성을 결정하며, 성장과 성숙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품종은 환경적인 요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단일성계절 번식 가축은?

  1. 돼지
  2. 면양
(정답률: 79%)
  • 면양은 단일성계절 번식 가축으로, 일정한 계절에만 번식을 하며 나머지 시기에는 번식하지 않습니다. 이에 비해 소, 말, 돼지는 연중 내내 번식이 가능한 다변성계절 번식 가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선 퇴행의 주된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착유중단으로 유방 내 유즙합성물질 침착
  2. 착유중단으로 인한 유방 내 압력감소
  3. 유즙합성물질에 필요한 영양소 및 호르몬 공급중단
  4. 유방 내 혈관으로 이행되는 혈액량의 감소
(정답률: 55%)
  • 유선 퇴행의 주된 원인은 "유즙합성물질에 필요한 영양소 및 호르몬 공급중단"과 "유즙합성물질 침착"입니다. 착유중단으로 인한 유방 내 압력감소는 유선 퇴행의 원인이 아닙니다. 유방 내 압력감소는 유방 조직의 능력을 감소시키고, 유즙의 이동을 방해하여 유즙합성물질의 침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설치류 동물에서 황체를 유지하는 호르몬은?

  1. 안드로겐
  2. 프로락틴
  3. 옥시토신
  4. 인슐린
(정답률: 58%)
  • 황체는 배란 후 남아있는 난소의 난소낭에서 발생하는 구조물로, 임신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호르몬의 조절이 필요한데, 이 중에서도 프로락틴은 황체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설치류 동물에서 황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프로락틴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가축의 성성숙에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춘기발동기가 시작되는 때를 성성숙기라 한다.
  2. 수소의 성성숙은 교미와 사정이 가능함을 뜻한다.
  3. 암소의 성성숙은 발정이 나타나고 임신이 가능함을 뜻한다.
  4. 성성숙기가 번식적령기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정답률: 73%)
  • "춘기발동기가 시작되는 때를 성성숙기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춘기발동기는 성숙기의 일부분으로, 성숙기의 시작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춘기발동기는 호르몬의 분비가 시작되어 생식기관이 성장하고 발육하는 시기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포유동물에서 배란 직전에 혈중농도가 급상승하여 정의 피드백작용을 하는 뇌하수체 호르몬과 난소 호르몬을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1. 황체형성호르몬(LH), 프로게스테론
  2. 황체형성호르몬(LH), 에스트로겐
  3. 난포자극호르몬(FSH), 프로게스테론
  4. 난포자극호르몬(FSH), 에스트로겐
(정답률: 55%)
  • 배란 직전에는 난소에서 에스트로겐이 많이 분비되고, 이에 반응하여 뇌하수체에서는 LH가 분비됩니다. LH는 난소에서 황체를 형성시키고, 황체는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황체형성호르몬(LH), 에스트로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정자의 수정능력 획득과 관련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암가축 생식기관의 분비액에는 수정능력 획득인자가 함유되어 있다.
  2. 수정능력 획득인자를 정자피복항원이라 한다.
  3. 정자의 수정능력 획득은 난소호르몬의 영향을 받는다.
  4. 수정능력 획득에 수반되는 정자의 형태변화는 첨체반응으로 나타난다.
(정답률: 56%)
  • "수정능력 획득인자를 정자피복항원이라 한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수정능력 획득인자는 정자피막항원이라고 합니다. 이는 정자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피막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가축의 교배적기를 결정하는 생리적 요인으로 부적합한 것은?

  1. 혈장 내 코르티솔 호르몬의 함량
  2. 배란시기와 정자가 수정능력을 획득하는데 걸리는 시간
  3. 자축의 생식기도 내에서 정자가 수정능력을 유지하는 기간
  4. 배란된 난자가 자축의 생식기도 내에서 수정능력을 유지하는 기간
(정답률: 68%)
  • 혈장 내 코르티솔 호르몬의 함량은 가축의 교배적기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코르티솔 호르몬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가축의 생식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혈장 내 코르티솔 호르몬의 함량"이 부적합한 생리적 요인입니다. 반면에, "배란시기와 정자가 수정능력을 획득하는데 걸리는 시간", "자축의 생식기도 내에서 정자가 수정능력을 유지하는 기간", "배란된 난자가 자축의 생식기도 내에서 수정능력을 유지하는 기간"은 가축의 교배적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생리적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포유가축에서 발정의 동기화, 분만시기의 인위적 조절 및 번식장애의 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호르몬은?

  1. 프로스타글란딘(PGF 2α)
  2. 황체형성호르몬(LH)
  3. 임마혈청성성선자극호르몬(PMSG)
  4.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nRH)
(정답률: 69%)
  • 프로스타글란딘(PGF 2α)은 황체를 붕괴시키는 호르몬으로, 발정의 동기화와 분만시기의 인위적 조절에 사용됩니다. 또한, 번식장애의 치료에도 사용되는데, 이는 프로스타글란딘(PGF 2α)이 자궁수축을 유도하여 자궁내의 이상적인 환경을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포유가축에서 프로스타글란딘(PGF 2α)은 매우 중요한 호르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난포자극호르몬(FSH)의 생리작용에 해당하는 것은?

  1. 배란
  2. 황체 형성
  3. 난포 발육
  4. 조직 및 골격 성장 촉진
(정답률: 73%)
  • 난포자극호르몬(FSH)은 여성의 난소에서 난포의 성장과 발육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FSH의 생리작용에 해당하는 것은 "난포 발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쌍각자궁을 갖는 동물은?

  1. 집토끼
  2. 돼지
  3. 원숭이
(정답률: 78%)
  • 쌍각자궁은 여러 동물들이 가지고 있는 자궁 중 하나로, 이중에는 돼지도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배반포의 형성과 발달과정 중 태아로 발달하는 부분은?

  1. 투명대
  2. 영양막
  3. 난황막
  4. 내부세포괴
(정답률: 68%)
  • 배반포는 태아의 발달 과정에서 형성되며, 이때 태아의 내부세포괴에서 발생합니다. 내부세포괴는 태아의 초기 단계에서 형성되는 구조물로, 태아의 세포들이 모여서 형성됩니다. 이후에는 내부세포괴가 발달하여 투명대, 영양막, 난황막 등의 다른 구조물로 발전하게 됩니다. 따라서, 배반포의 형성과 발달과정 중 태아로 발달하는 부분은 내부세포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프리마틴(freemartin)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중간적인 양성의 생식기관을 갖는다.
  2. 정상적인 암컷과 비슷한 외부생식기를 갖는다.
  3. 정소와 여러 가지로 유사점을 가진 변이한 난소를 가진다.
  4. 생식선은 골반강까지 내려가 있다.
(정답률: 72%)
  • "생식선은 골반강까지 내려가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프리마틴은 일반적으로 수컷과 암컷 쌍둥이 송아지 중 수컷 쪽의 태아와 연결된 형태로 태어나며, 이로 인해 생식기관이 중간적인 양성의 형태를 띄게 됩니다. 또한 외부생식기는 정상적인 암컷과 유사하지만, 내부 생식기인 난소는 정상적인 암컷과는 다르게 정소와 여러 가지로 유사점을 가진 변이한 형태를 띄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각 가축의 발정지속시간을 나타낸 것으로 틀린 것은?

  1. 소 : 18~19시간
  2. 돼지 : 24~30시간
  3. 산양 : 32~40시간
  4. 말 : 4~8일
(정답률: 54%)
  • 정답은 "말 : 4~8일"입니다.

    이유는 발정기간은 해당 동물의 생식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말은 다른 가축과 달리 오랜 기간 동안 발정기가 지속됩니다. 따라서 발정기간이 4~8일이라는 것은 말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반면, 돼지의 발정기간은 24~30시간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편에 속합니다. 이는 돼지가 매우 빠르게 번식하며, 발정기간이 짧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동결된 수정란을 이식하는 장점은 무엇인가?

  1. 임신율의 향상
  2. 임신진단 과정의 생략
  3. 임신기간의 단축
  4. 수란축과 공란축의 발정동기화 과정 생략
(정답률: 67%)
  • 동결된 수정란을 이식하는 장점 중 하나는 수란축과 공란축의 발정동기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임신율을 향상시키고, 임신진단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임신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정란 이식을 위한 다배란을 유기시키기 위해서 다음 중 제일 먼저 사용할 수 있는 호르몬은?

  1. 에스트로겐(estrogen)
  2. 난포자극호르몬(FSH)
  3. 황체형성호르몬(LH)
  4.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정답률: 55%)
  • 난포자극호르몬(FSH)은 난포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수정란 이식을 위한 다배란을 유기시키기 위해서는 난포가 성장하고 발달해야 하기 때문에 제일 먼저 사용할 수 있는 호르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성숙한 암컷 가축의 난관에서 분비되는 난관액의 생리작용으로 틀린 것은?

  1. 배란직후의 난자에 영양분 공급
  2. 정자의 수정능획득 유도
  3. 수정 및 배의 착상 전 초기발육 유도
  4. 암가축의 발정 유도
(정답률: 64%)
  • 암컷 가축의 난관에서 분비되는 난관액은 암가축의 발정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배란직후의 난자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정자의 수정능획득을 유도하며, 수정 및 배의 착상 전 초기발육을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암가축의 발정 유도"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융모막융모의 형태의 따라 산재성 태반을 가진 가축은?

  1. 돼지
  2. 면양
(정답률: 64%)
  • 융모막융모의 형태는 태아가 태반 안에서 자라는 동안 산재성 태반을 형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형태를 가진 가축 중에서는 돼지가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가축사양학

41. 갑성선 종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인 고이트린(goitrin)을 갖고 있는 사료는?

  1. 대두박
  2. 호마박
  3. 채종박
  4. 임자박
(정답률: 62%)
  • 고이트린은 갑성선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로, 갑상선 종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갑성선 기능이 높은 동물들은 고이트린 함유량이 높은 사료를 섭취하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갑성선 기능이 높은 동물들에게는 고이트린 함유량이 낮은 채종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담즙의 분비에 이상이 생길 경우 어느 영양소의 소화에 장애가 발생하는가?

  1. 지방
  2. 광물질
  3. 단백질
  4. 탄수화물
(정답률: 68%)
  • 담즙은 지방을 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만약 담즙의 분비에 이상이 생긴다면 지방 소화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글루코오스 신합성 원료물질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젖산
  2. 초산
  3. 글리세롤
  4. 프로피온산
(정답률: 41%)
  • 초산은 글루코오스 신합성과는 관련이 없는 유기산 중 하나입니다. 젖산은 글루코오스 대사에 참여할 수 있으며, 글리세롤은 지방산 합성에 필요한 원료이며, 프로피온산은 아미노산 대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동물체조성 중 가장 적은 양을 차지하는 성분은?

  1. 수분
  2. 단백질
  3. 탄수화물
  4. 지방
(정답률: 63%)
  • 동물체조에서는 에너지를 공급하는 탄수화물보다는 근육을 구성하는 단백질이 더 중요합니다. 따라서 탄수화물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을 차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미량광물질의 반추위 내 대사작용으로 틀린 것은?

  1. 구리(Cu)는 반추위 미생물 성장에 필수적인 광물질로, 단위동물에 비해 반추동물에서 흡수가 잘 일어난다.
  2. 망간(Mn)은 박테리아나 원생동물의 셀룰로오스 분해 능력을 돕지는 못하지만, 여러 가지 중요한 효소의 전효소로서 작용한다.
  3. 몰리브덴(Mo)은 구리(Cu)와 함께 셀룰로오스 소화율과 휘발성 지방산 생성을 증진시킨다.
  4. 코발트(Co)는 반추위 미생물에 의해 이용되어 비타민B12를 합성한다.
(정답률: 61%)
  • 망간(Mn)은 박테리아나 원생동물의 셀룰로오스 분해 능력을 돕지는 못하지만, 여러 가지 중요한 효소의 전효소로서 작용한다는 것이 틀린 것이다. 망간은 셀룰로오스 분해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셀룰로오스 분해 효소의 활성화와 함께 미생물의 성장과 생산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젖소가 섭취하는 조사료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우유 성분 중에서도 감소하는 것은?

  1. 유당
  2. 알부민
  3. 유지방
  4. 유단백질
(정답률: 52%)
  • 젖소가 섭취하는 조사료의 양이 감소하면, 그만큼 우유의 양도 감소하게 됩니다. 이때, 우유 성분 중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지방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젖소가 섭취하는 조사료의 양이 충분하지 않으면 우유의 양과 함께 유지방도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체내 흡수된 영양소는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이 때 소비된 O2와 생성된 CO2 양과의 비율을 호흡상이라 하는데, 일반적으로 탄수화물과 지방의 호흡상은 각각 약 얼마인가?

  1. 1.0과 1.2
  2. 1.0과 1.0
  3. 1.0과 0.7
  4. 1.0과 0.9
(정답률: 54%)
  • 탄수화물과 지방은 각각 호흡상이 다릅니다. 탄수화물은 1분당 1.0의 O2를 소비하고 1.0의 CO2를 생성하며, 지방은 1분당 0.7의 O2를 소비하고 1.0의 CO2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과 0.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중성지방은 지방 분해효소인 리파아제 에 의해 어떤 물질로 분해되는가?

  1. 레시틴+지방산
  2. 지방산+콜레스테롤
  3. 글리세롤+지방산
  4. 글리세롤+콜레스테롤
(정답률: 70%)
  • 중성지방은 리파아제에 의해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분해됩니다. 이는 중성지방이 세포 내부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 위해 분해되는 과정입니다. 리파아제는 지방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로, 지방 분자를 작은 조각으로 분해하여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중성지방이 리파아제에 의해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분해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산란용 닭의 성성숙 시기와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질병
  2. 폐사율
  3. 사료섭취량
  4. 산란율 및 난중
(정답률: 69%)
  • 산란용 닭의 성숙 시기와 가장 관계 깊은 것은 산란율 및 난중입니다. 산란율은 닭이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알을 낳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난중은 알의 크기와 질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산란율과 난중은 닭의 생산성과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산란용 닭의 성숙 시기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사일리지 제조에 적당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적당한 온도와 수분을 부여할 것
  2. 다져 넣을 때 공기를 배제할 것
  3.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것
  4. 단백질의 함량이 많은 재료를 사용할 것
(정답률: 70%)
  • "단백질의 함량이 많은 재료를 사용할 것"은 틀린 것이다. 사일리지 제조에 적당한 조건은 온도와 수분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공기를 배제하여 발효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하며, 잡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것이다. 단백질의 함량이 많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사일리지의 영양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지 제조에 적당한 조건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닭의 영양소요구량에서 고려하여야 하는 미량광물질로만 맞게 짝지어진 것은?

  1. Zn, Cd, Fe, Ca
  2. Mn, Hg, Fe, Se
  3. Mn, Fe, I, Se
  4. Mn, P, Co, Zn
(정답률: 61%)
  • 닭의 영양소 요구량에서 고려해야 하는 미량광물질은 Mn, Fe, I, Se입니다. 이는 닭의 생장, 면역력 유지, 호르몬 분비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닭의 영양소 요구량에서 고려해야 하는 미량광물질과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탄수화물 대사 중 해당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TCA회로라고도 한다.
  2.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난다.
  3. 15개의 ATP가 생성된다.
  4. 혐기적 상태에서 일어난다.
(정답률: 49%)
  • 탄수화물 대사 중 TCA 회로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며, 15개의 ATP가 생성됩니다. 이 과정은 혐기적 상태에서 일어나는 이유는, 혐기적 상태에서는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호흡 과정이 일어나지 않고 대신 혐기성 대사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TCA 회로도 혐기적 상태에서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착유우의 사양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 비유기간 중 체중손실 허용 범위는 최대 50kg 정도, 신체충실지수(BCS) 1.0 이내이다.
  2. 분만 후 저영양상태는 난소 상태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건물섭취량을 증가시켜준다.
  3. 급여사료의 소화율이 유지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사료 내 조섬유 함량은 15%이하가 적정하다.
  4. 고능력우에 과다 에너지 공급 시 대사성 질병에 대해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정답률: 53%)
  • "전 비유기간 중 체중손실 허용 범위는 최대 50kg 정도, 신체충실지수(BCS) 1.0 이내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모든 보기가 사양관리와 관련된 내용이 아니므로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급여사료의 소화율이 유지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사료 내 조섬유 함량은 15%이하가 적정하다."는 사료의 소화율이 유지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료 내 조섬유 함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조섬유 함량이 높으면 소화가 어렵고, 소화가 잘 되지 않으면 영양소 흡수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섬유 함량은 15% 이하가 적정하다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돼지의 유지에 필요한 가소화에너지(DE)는 대사체중(kg 0.75) 당 114kcal 정도이나, 실제로는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량을 고려하여 20% 증가시켜 급여한다. 유지를 위한 돼지의 DE 는?

  1. 131 kcal/kg 0.75
  2. 134 kcal/kg 0.75
  3. 137 kcal/kg 0.75
  4. 140 kcal/kg 0.75
(정답률: 70%)
  • 돼지의 유지에 필요한 가소화에너지(DE)는 대사체중(kg 0.75) 당 114kcal이다. 그러나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량을 고려하여 20% 증가시켜야 한다. 따라서 114kcal에 20%를 곱한 값인 22.8kcal을 더해준다. 이를 계산하면 114 + 22.8 = 136.8kcal 이다.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답은 "137 kcal/kg 0.7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착유우에서 유기가 경과되어 건유기에 가까워지면 감소하는 우유 성분은?

  1. 유당
  2. 지방
  3. 단백질
  4. 비타민
(정답률: 56%)
  • 유당은 우유의 주요 성분 중 하나로, 당류의 일종입니다. 착유우에서 유기가 경과되어 건유기에 가까워지면, 우유 내의 유당 함량이 감소합니다. 이는 우유가 더 진하고 짭짤해지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유기가 진행될수록 우유 내의 유당 함량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볏짚과 옥수수 사일리지의 총 가소화 영양분(TDN)이 각각 43%, 67%라고 할 때 볏짚 40%, 옥수수 사일리지 60%를 섞어서 조제한 조사료의 TDN은?

  1. 55.2%
  2. 57.4%
  3. 62.5%
  4. 45.7%
(정답률: 59%)
  • 볏짚과 옥수수 사일리지를 40:60 비율로 섞으면 각각의 TDN 비율을 곱해서 더해줄 수 있다.

    볏짚의 TDN 비율 = 43% × 0.4 = 17.2%
    옥수수 사일리지의 TDN 비율 = 67% × 0.6 = 40.2%

    따라서, 조제한 조사료의 TDN 비율은 17.2% + 40.2% = 57.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7.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위에서 분비되는 염산(HCI)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점막세포에서 분비된다.
  2. 단백질을 변성시킨다.
  3. 미생물에 의한 발효 및 부패를 억제한다.
  4. 펩신을 활력이 있는 펩시노겐으로 만든다.
(정답률: 66%)
  • "미생물에 의한 발효 및 부패를 억제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염산(HCI)은 위에서 분비되며, 단백질을 변성시켜 소화를 돕고, 펩신을 활력이 있는 펩시노겐으로 만들어 소화를 촉진합니다. 또한 위의 pH를 낮추어 미생물의 발효 및 부패를 억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일반적인 사양조건에서 가축의 사료건물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첨가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설탕
  2. 식염
  3. 리그닌
  4. 당밀
(정답률: 68%)
  • 리그닌은 가축의 소화기관에서 분해되지 않고 대장에서 섬유소를 분해하는 섬유소 분해균의 활성을 촉진시켜 사료의 소화와 흡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양조건에서 가축의 사료건물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반면, 설탕, 식염, 당밀은 가축의 에너지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사료를 펠렛(pellet)으로 가공할 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사료 급여 시 먼지 발생이 적다.
  2. 선택적 채식과 사료낭비가 적다.
  3. 사료의 부피를 감소시킨다.
  4. 사료 내 지방성분이 많더라도 가공이 쉽다.
(정답률: 72%)
  • 사료를 펠렛으로 가공할 때 사료 내 지방성분이 많더라도 가공이 쉽지 않다. 오히려 지방성분이 많을수록 가공이 어려워지고, 가공 시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료 내 지방성분이 많더라도 가공이 쉽다."는 장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유방염 예방진단과 우유품질관리를 위해 많이 이용되는 방법인 CMT검사법은 CMT시액의 청정제와 어떤 성분이 반응하는 것인가?

  1. 백혈구
  2. 대장균
  3. 진피조직
  4. 포도상구균
(정답률: 52%)
  • CMT검사법은 유방염 예방진단과 우유품질관리를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CMT시액의 청정제와 반응하는 성분은 백혈구입니다. 이는 백혈구가 유방염의 주요 원인균인 대장균, 진피조직, 포도상구균 등과 같은 세균에 대한 면역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MT검사법을 통해 백혈구의 증가 여부를 확인하여 유방염 예방진단과 우유품질관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사료작물학 및 초지학

61. 작부체계에서 봄, 가을철 단경기 사료작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수수
  2. 귀리
  3. 옥수수
(정답률: 54%)
  • 귀리는 봄, 가을철의 기온과 습도 변화에 잘 적응하며, 작물 생육기간이 짧아 단경기 재배에 적합합니다. 또한 수확량이 많고, 영양가가 높아 가축 사료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귀리가 가장 적절한 단경기 사료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윤환방목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목양력이 낮다.
  2. 채목기간이 길다.
  3. 선택채식을 방지한다.
  4. 조방적인 방목방법이다.
(정답률: 57%)
  • 윤환방목은 선택적인 초식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구역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방목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선택채식을 방지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건초와 비교할 때 사일리지의 유리한 점이 아닌 것은?

  1. 비타민D의 공급력이 높다.
  2. 다즙질 사료를 공급할 수 있다.
  3. 제조 시 기상의 영향을 덜 받는다.
  4. 동일한 면적에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다.
(정답률: 65%)
  • 사일리지는 건초보다 더 많은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즙질 사료를 공급할 수 있고, 제조 시 기상의 영향을 덜 받으며, 동일한 면적에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사일리지는 건초와 달리 비타민D를 공급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알팔파의 특성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고에 약하다.
  2. 가축의 기호성이 좋다.
  3. 다른 목초보다 광물질 함량이 많다.
  4. 다른 목초보다 단백질 함량이 많다.
(정답률: 57%)
  • 알팔파의 특성 중 "하고에 약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알팔파는 하고와 같은 산성 토양에서도 잘 자라며, 오히려 약산성 토양에서는 더욱 잘 자랍니다. 따라서 알팔파는 하고에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사료작물용 이탈리안라이그라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한성이 약한 편이다.
  2. 답리작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3. 당분 함량이 높아 사료가치가 우수하다.
  4. 질소 고정능력이 있어 질소비료를 주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68%)
  • "질소 고정능력이 있어 질소비료를 주지 않아도 된다."가 틀린 것이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질소 고정 능력이 없기 때문에 질소 비료를 주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초지에 질소비료를 시비하는 것의 영향으로 틀린 것은?

  1. 한지형 화본과목초에서 탄수화물의 축적을 증가시켜 가축의 기호성을 높여준다.
  2. 화본과목초는 분얼수가 늘고 잎이 많아지며, 수량이 증가한다.
  3. 무기성분 중 마그네슘이나 코발트의 함량이 낮아져 가축의 영양불균형을 초래한다.
  4. 혼파초지에서 화본과목초와 두과목초의 구성비가 변화하여 화본과목초의 우점이 심해진다.
(정답률: 30%)
  • "한지형 화본과목초에서 탄수화물의 축적을 증가시켜 가축의 기호성을 높여준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초지에 질소비료를 시비하면 화본과목초의 수량이 증가하고, 이는 가축의 영양성분을 향상시켜 기호성을 높여줄 수 있다.

    "화본과목초는 분얼수가 늘고 잎이 많아지며, 수량이 증가한다."는 맞는 설명이다.

    "무기성분 중 마그네슘이나 코발트의 함량이 낮아져 가축의 영양불균형을 초래한다."는 초지에 질소비료를 시비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혼파초지에서 화본과목초와 두과목초의 구성비가 변화하여 화본과목초의 우점이 심해진다."는 초지에 질소비료를 시비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2.5ha의 목구에 500kg의 착유우 13마리와 300kg의 착유우 5마리가 방목되었다면 방목밀도(AU/ha)는?

  1. 5.4
  2. 6.4
  3. 7.4
  4. 8.4
(정답률: 58%)
  • 방목밀도는 총 동물수를 목구 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총 착유우 수는 13마리 + 5마리 = 18마리이다. 그리고 목구 면적은 2.5ha이다. 따라서, 방목밀도는 18마리 / 2.5ha = 7.2 AU/ha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되어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정답은 6.4 AU/h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사료작물의 기상 생태학적 분류에서 난지형 작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호밀, 귀리, 보리
  2. 수단그라스, 수수, 옥수수
  3. 오차드그라스, 티머시, 톨페스큐
  4. 자운영, 헤어리베치,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정답률: 56%)
  • 난지형 작물은 일정한 기간 동안 일정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 지역에서 재배되는 작물을 말합니다. 수단그라스, 수수, 옥수수는 모두 더운 기후에서 재배되는 작물로, 이들은 높은 온도와 습도에 잘 적응하며, 농작물 생산량이 높아 인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들은 난지형 작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화이트클로버와 오차드그라스의 혼파초지에 질소비료를 많이 시용하면 어떻게 되는가?

  1. 화이트클로버가 줄어든다.
  2. 오차드그라스가 줄어든다.
  3. 둘 다 줄어든다.
  4. 둘 다 변화가 없다.
(정답률: 53%)
  • 화이트클로버는 질소를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데, 질소비료를 많이 시용하면 화이트클로버가 너무 빠르게 성장하여 오차드그라스와 경쟁에서 밀려 화이트클로버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화이트클로버가 줄어든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라디노클로버와 오차드그라스 초지에서 예취와 시비의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2.5cm 높이로 짧게, 4주 간격으로 예취하여도 목초의 수량 및 지속성에는 큰 변화가 없다.
  2. 4주 간격으로 자주 예취하더라도 예취높이를 같게 하고 충분한 칼리질 비료를 주면 초의 수확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3. 예취간격에 상관없이 2.5cm 높이로 짧게 예취하고 질소질 비료를 충분히 주면 목초의 수확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4. 예취 높이가 낮을수록, 예취간격이 짧을수록,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목초의 저장탄수화물 함량은 높아진다.
(정답률: 57%)
  • 라디노클로버와 오차드그라스 초지에서는 4주 간격으로 자주 예취하더라도 예취높이를 같게 하고 충분한 칼리질 비료를 주면 초의 수확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예취높이와 예취간격이 초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높은 예취높이와 짧은 예취간격은 초의 생육을 저해시키고, 충분한 칼리질 비료는 초의 생육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면 초의 수확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사료작물 중 월년생에 속하는 화본과와 콩과(두과)작물 순으로 나열된 것은?

  1. 수단그라스, 알팔파
  2. 티머시, 레드클로버
  3. 오차드그라스, 화이트클로버
  4. 이탈리안라이그라스, 헤어리베치
(정답률: 47%)
  • 화본과는 월년생이 아니므로 제외된다. 콩과(두과)작물 중에서 월년생에 속하는 것은 헤어리베치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 헤어리베치"이다.

    이탈리안라이그라스는 여름철에 가장 잘 자라는 초장작물로, 높은 영양가와 함께 빠른 생장속도를 가지고 있다. 헤어리베치는 녹색비료작물로서,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토양을 풍성하게 만들어준다. 또한 높은 질소흡수능력을 가지고 있어, 토양의 질소 함량을 높여준다. 이러한 이유로 이탈리안라이그라스와 헤어리베치는 함께 사용되어 토양의 영양분을 풍부하게 만들어주는데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옥수수 파종 시 재식밀도를 지나치게 높게 하였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암 이삭의 발육이 미약하다
  2. 도복이 되기 쉽다
  3. 양분, 수량면에서는 유리하다
  4. 이삭이 생기지 않는 그루가 생긴다.
(정답률: 68%)
  • 정답: "양분, 수량면에서는 유리하다" 인 이유는 옥수수는 높은 밀도에서 재배할 경우 경쟁이 심해져서 생육이 저하되지만, 양분과 수분이 충분히 공급될 경우에는 생육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옥수수 파종 시 재식밀도를 지나치게 높게 하면 암 이삭의 발육이 미약해지고, 도복이 되기 쉬워지며, 이삭이 생기지 않는 그루가 생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옥수수 후작물로 많이 재배되는 사료작물로 추위에 매우 강하고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견디며 수량이 많고 초기에 빨리 자라는 특성을 지닌 사료작물은?

  1. 귀리
  2. 유채
  3. 호밀
  4.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정답률: 59%)
  • 옥수수와 마찬가지로 호밀도 사료작물 중 하나이며, 겨울철에도 잘 자라는 겨울작물입니다. 또한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고 수량이 많으며 초기에 빨리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옥수수와 함께 많이 재배되는 사료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콩과(두과)목초의 근류균이 고정하여 목초에게 공급하는 비료성분은?

  1. 질소
  2. 칼륨
  3. 마그네슘
(정답률: 73%)
  • 콩과(두과)는 대부분 질소 고정 덕분에 높은 단백질 함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콩과(두과)의 근류균은 질소를 고정하여 목초에게 공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태양열을 이용하여 공기의 순환을 좋게 하여 건초를 만드는 건조법은?

  1. 천일 건조법
  2. 가상 건조법
  3. 발효 건조법
  4. 반발효 건조법
(정답률: 70%)
  • 천일 건조법은 태양열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법 중 하나로, 건조할 재료를 천으로 덮어서 태양열을 통해 건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공기의 순환을 좋게 하여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건조한 건초는 향이 좋고 영양가가 높아서 가축에게 좋은 먹이가 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건초를 만드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사료작물용 수단그라스계 교잡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년생 사료작물이다.
  2. 열대성 작물로 생육에 필요한 온도가 옥수수보다 높다.
  3. 청예, 건초, 방목, 사일리지로 이용할 수 있다.
  4. 말에 방광염을 유발시킬 위험성이 있다.
(정답률: 41%)
  • "다년생 사료작물이다."가 틀린 것이다. 수단그라스는 일년생 사료작물이다.

    수단그라스는 열대성 작물로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 잘 자라며, 청예, 건초, 방목, 사일리지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말에게 방광염을 유발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목초나 사료작물 재배 시 문제가 되는 잡초가 아닌 것은?

  1. 여뀌
  2. 소리쟁이
  3. 애기수영
  4. 네피아그라스
(정답률: 57%)
  • 네피아그라스는 사료작물로도 이용되는 식물이며, 높은 영양가를 가지고 있어 유익한 작물입니다. 따라서 목초나 사료작물 재배 시 문제가 되는 잡초가 아닙니다. 반면, 여뀌, 소리쟁이, 애기수영은 잡초로서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영양분을 빼앗아 작물의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화본과 초지에 질소 추비를 하려할 때 가장 적적한 시기는?

  1. 장마철
  2. 하고기간
  3. 월동개시기
  4. 예취 후 재생기
(정답률: 58%)
  • 예취 후 재생기는 작물이 수확된 후에 남은 잔여작물을 이용하여 초지를 만들 때의 시기입니다. 이때 작물의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질소가 초지의 영양분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질소 추비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예취 후 재생기가 가장 적절한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초지의 질소 성분 증가요인이 아닌 것은?

  1. 암모니아의 기화
  2. 공생적 질소고정
  3. 빗물에 용해되어 있는 질소
  4. 유기물 또는 질소비료의 시용
(정답률: 64%)
  • 암모니아의 기화는 대기 중의 질소와 수소가 반응하여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초지의 질소 성분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아닙니다. 초지의 질소 성분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공생적 질소고정, 빗물에 용해되어 있는 질소, 유기물 또는 질소비료의 시용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시간제한 방목을 할 경우 1일 언제, 몇 시간 방목을 하는 것이 적당한가?

  1. 오전에만 4시간
  2. 오후에만 4시간
  3. 오전과 오후에 각 2시간씩
  4. 오전과 오후에 각 4시간씩
(정답률: 69%)
  • 시간제한 방목을 할 경우, 오전과 오후에 각 2시간씩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유는 한 번에 너무 오래 방목을 하면 피로도가 쌓여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반대로 너무 짧은 시간에 방목을 하면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당한 시간을 유지하면서 오전과 오후에 나누어 방목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축산경영학 및 축산물가공학

81. 농업노동의 특수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농업노동의 단순성
  2. 농업노동의 이동성
  3. 농업노동의 계절성
  4. 노동감독의 곤란성
(정답률: 48%)
  • 농업노동의 단순성은 해당되지 않는다. 농업노동은 단순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술과 지식이 필요하며, 작물의 성장과 수확 시기, 작물의 특성 등을 이해하고 관리해야 한다. 따라서 농업노동자들은 농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해야 하며, 이는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비육돈경영에서 노동생산성을 규제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모돈 회전율
  2. 육돈의 비육 회전율
  3. 비육돈의 두당 판매수입
  4. 사육육돈 두당 투입노동량
(정답률: 50%)
  • 모돈 회전율은 비육돈경영에서 노동생산성을 규제하는 요인이 아닙니다. 모돈 회전율은 사육기간 동안 모돈이 몇 번 교체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노동생산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육돈의 비육 회전율은 비육돈의 두당 판매수입과 사육육돈 두당 투입노동량은 비육돈경영에서 노동생산성을 규제하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쇠고기 1kg을 생산하기 위하여 8.9kg의 사료량이 필요하다는 것은 축산경영의 일반적 특징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간접적 토지관계
  2. 3차적 생산의 성격
  3. 물량감소의 성격
  4. 생산물의 저장
(정답률: 50%)
  • 정답: "물량감소의 성격"

    설명: 쇠고기 1kg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사료량이 8.9kg이라는 것은 생산량에 비해 필요한 자원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축산경영에서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자원 소모량이 증가하고, 생산량이 감소할수록 자원 소모량이 감소하는 물량감소의 성격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물량감소의 성격"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축산경영인이 추구해야할 경영목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농업총수입의 극대화
  2. 자기자본에 대한 수익의 최소화
  3. 농업소득의 극대화
  4. 자가노동보수의 최소화
(정답률: 67%)
  • 축산경영인이 추구해야할 경영목표는 "농업소득의 극대화"이다. 이는 경영의 핵심 목표인 수익을 극대화하여 경영의 지속성과 발전을 위한 자금을 축적하고, 경영자의 생활 안정과 가계 경제적 안정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농업총수입의 극대화는 경영의 다양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지 않은 목표이며, 자기자본에 대한 수익의 최소화와 자가노동보수의 최소화는 경영자의 생활 안정과 가계 경제적 안정을 고려하지 않은 목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한육우경영에서 조수익을 증대시키는 방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고정자산처분액을 줄인다.
  2. 한육우 판매수입을 증가시킨다.
  3. 가축증식액을 증가시킨다.
  4. 부산물 판매수입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46%)
  • 고정자산처분액을 줄이는 것은 조수익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아니라 자산을 감소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낙농경영의 형태 중 사료생산기반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초지형 낙농경영
  2. 원교형 낙농경영
  3. 답지형 낙농경영
  4. 전지형 낙농경영
(정답률: 61%)
  • 원교형 낙농경영은 사료생산기반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경작지를 중심으로 한 종합적인 농업경영 형태이다. 이 형태에서는 경작지와 주거지가 분리되어 있으며, 경작지에서는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고 가축사육을 하며, 주거지에서는 가족들이 생활을 유지한다. 따라서 사료생산에만 의존하는 형태가 아니라 다양한 작물과 가축을 통해 종합적인 농업경영을 추구하는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축산경영의 대상 축종을 한우에서 양돈으로 변경할 때 경영내의 변화를 분석, 검토하여 여러 대한 중 가장 효율적인 대안을 선택하여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은?

  1. 예산법
  2. 표준계획법
  3. 직접비교법
  4. 적정목표이익법
(정답률: 39%)
  • 예산법은 경영계획을 수립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예산을 기준으로 수익과 비용을 계획하고,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합니다. 따라서 축산경영에서도 양돈으로 변경할 때 예산을 기준으로 수익과 비용을 계획하고,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 중 하나이며, 경영자가 예산을 세우고 이를 기준으로 경영을 계획하면서 경영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산법이 축산경영에서 양돈으로 변경할 때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데 가장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A목장에서 초산우 1두를 3,000,000원에 구입하였다. 이 젖소의 내용연수는 3년, 잔존율은 20%라고 할 때 연간 감가상각비는?

  1. 400,000원
  2. 600,000원
  3. 800,000원
  4. 1,000,000원
(정답률: 63%)
  • 연간 감가상각비는 총 투자액에서 잔존가치를 뺀 후, 사용 기간인 3년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초산우 1두의 총 투자액은 3,000,000원이고, 잔존가치는 20%로 계산하면 600,000원이 된다. 따라서, 총 감가상각비는 3,000,000원 - 600,000원 = 2,400,000원이 되고, 연간 감가상각비는 2,400,000원 ÷ 3년 = 800,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8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계란 생산을 위해 필요한 비용에 있어 경영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사료비
  2. 자가노력비
  3. 차입금이자
  4. 방역치료비
(정답률: 50%)
  • 자가노력비는 경영비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직원들의 노동력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으로, 경영비는 회사의 운영과 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의미하는 반면, 자가노력비는 생산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비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란 생산을 위해 필요한 비용 중에서 자가노력비가 경영비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유동자본재가 아닌 것은?

  1. 사료
  2. 축사
  3. 비료
  4. 육계
(정답률: 75%)
  • 유동자본재란 기업에서 생산과 판매를 위해 일정 기간 내에 현금화될 수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 따라서 사료, 비료, 육계는 모두 유동자본재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축사는 유동자본재가 아닙니다. 축사는 건물이기 때문에 현금화되기 어렵고, 장기적인 투자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아이스크림 제조 시 지나치게 큰 유당결정 때문에 생기는 품질결함은?

  1. 축축한(Soggy) 조직
  2. 모래알상(Sandy) 조직
  3. 푸석푸석한(Crumbly) 조직
  4. 고무질(Rubbery) 조직
(정답률: 70%)
  • 유당 결정이 너무 크면 아이스크림의 조직이 모래알상(Sandy)이 되어 입안에서 입자가 느껴지게 되어 품질이 나빠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사후 근육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체내 혈액순환의 중단은 근육에 산소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2. 혐기적대사로 생성된 젖산은 포도당과 글리코겐으로 재합성된다.
  3. 방혈 후 근육의 산화적 대사가 중단되며 혐기적 대사로 전환된다.
  4. 근육에 축적되는 젖산 때문에 근육의 pH가 강하된다.
(정답률: 59%)
  • "혐기적대사로 생성된 젖산은 포도당과 글리코겐으로 재합성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젖산은 혐기적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며, 이는 산소가 부족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대사 과정입니다. 따라서 혈액순환의 중단으로 인해 근육에 산소 공급이 중단되면 혐기적 대사가 일어나고, 이 과정에서 젖산이 생성됩니다. 그러나 젖산은 포도당과 글리코겐으로 재합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산화적 대사 과정에서 분해되어 제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자연치즈 중 치즈의 눈(eye)이 있는 제품은?

  1. Emmental 치즈
  2. Cheddar 치즈
  3. Gouda 치즈
  4. Camembert 치즈
(정답률: 57%)
  • Emmental 치즈는 치즈의 눈(eye)이 있는 제품입니다. 이는 치즈가 만들어질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치즈 내부에서 포집되어 생기는 구멍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눈이 없는 치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근원섬유단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액틴 : 미오신과 결합하여 액토미오신을 형성하여 근육수축을 일으킨다.
  2. 트로포미오신 : 근원섬유의 굵은 필라멘트로 미오신 조절 단백질로써 작용한다.
  3. 미오신 : 근원섬유단백질 중 가장 많이 함유된 단백질로 ATP 분해기능을 가지고 있다.
  4. 트로포닌 : 액틴의 조절단백질로 트로포미오신과 결합하여 액틴과 미오신의 상호작용을 조절한다.
(정답률: 45%)
  • "트로포미오신 : 근원섬유의 굵은 필라멘트로 미오신 조절 단백질로써 작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트로포미오신은 근육 수축과 관련된 근육 단백질 중 하나이며, 근원섬유의 얇은 필라멘트인 액틴과 결합하여 근육 수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도체온도가 높은 상태 즉, 가축 도살 후 1시간 이내에 발골하는 온도체가공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원료육의 기능적 가공특성 증진
  2. 균일한 발색
  3. 진공포장육의 육즙 손실 감소
  4. 고기연도 증진
(정답률: 48%)
  • 고기연도 증진은 도체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발골하는 온도체가공의 효과가 아닌 것입니다. 이는 고기를 보관하거나 조리할 때 더욱 부드럽고 맛있게 만들어주는 효과로, 일정한 시간 동안 고기를 보관하거나 숙성시키면서 발생하는 자연적인 과정입니다. 따라서, 도체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발골하는 온도체가공은 고기연도 증진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우유의 살균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저온장시간살균법(LTLT)
  2. 고온단시간살균법(HTST)
  3. 자외선(UV)살균법
  4. 초고온살균법(UHT)
(정답률: 69%)
  • 우유의 살균법 중에서 자외선(UV)살균법이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자외선은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세균을 죽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우유를 통과하는 자외선에 의해 세균이 죽는 것이므로, 우유의 특성에 따라 적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반면, 저온장시간살균법(LTLT), 고온단시간살균법(HTST), 초고온살균법(UHT)은 우유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세균을 죽이는 방법으로, 우유의 종류와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아질산염의 첨가로 아민류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발암의심물질은?

  1. Nitrosyl hemochrome
  2. Nitroso-myochromogen
  3. Nitrosamine
  4. Nitroso-met-myoglobin
(정답률: 56%)
  • 아질산염과 아민류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발암의심물질은 Nitrosamine입니다. 이는 아민과 아질산염이 반응하여 Nitrosamine이라는 화합물을 생성하는데, 이 화합물은 발암성이 있기 때문에 위험한 물질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우리나라 소 도체 육량등급 판정요인이 아닌 것은?

  1. 배최장근단면적
  2. 육색
  3. 등지방두께
  4. 도체중량
(정답률: 58%)
  • 우리나라 소 도체 육량등급 판정요인 중에서 육색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육색은 소의 건강 상태나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지만, 육량등급 판정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육색은 육질 등급 판정에 사용되지만, 육량등급 판정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주로 유청(whey)에 용존하며 황록색을 띄는 비타민으로 옳은 것은?

  1. 비타민A
  2. 비타민B2
  3. 비타민C
  4. 비타민D
(정답률: 60%)
  • 주로 유청에 용존하는 비타민은 비타민B2이다. 이는 황록색을 띄는 성분으로, 눈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에너지 생성과 적혈구 생성에도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육제품 제조시 사용하는 아질산염의 주된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미생물 성장 억제
  2. 풍미증진
  3. 염지육색 고정
  4. 산화촉진
(정답률: 66%)
  • 아질산염은 육류 제조 과정에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육류의 부패를 방지하고, 동시에 풍미를 증진시키며 염지육색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아질산염은 산화작용을 촉진시키는 성질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것이 육류의 산화를 촉진시켜서 육류의 신선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화촉진"이 아직산염의 주된 기능으로는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