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10)

지적기사
(2003-08-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지적측량

1. 평면 직각좌표(x,y)의 원점은 북위 38° 선상의 3개 지점이다. 이들의 원점 표시는?

  1. 1등 삼각점 표석
  2. 1등 또는 2등 삼각점 표석
  3. 원점고유 형태의 표석
  4. 표석은 없고 가상적인 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석은 없고 가상적인 위치"이다. 이유는 평면 직각좌표의 원점은 지리적인 위치가 아니라, 수학적인 개념으로써 정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점을 나타내는 표석이 필요하지 않으며, 가상적인 위치로만 존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아래 A점에서 산정 B점까지의 경사거리가 1446.25m, 두점 AB간의 고도차 57.24m일 때 AB점 간의 수평거리는?

  1. 1652.12m
  2. 1450.25m
  3. 1445.12m
  4. 1315.35m
(정답률: 알수없음)
  • 경사거리와 고도차를 이용하여 AB점 간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AB점 간의 거리 = √(경사거리² - 고도차²) = √(1446.25² - 57.24²) ≈ 1445.12m

    따라서 정답은 "1445.1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그림과 같이 가구에서 전체장 PA=PB(ℓ)의 값은? (단, θ = 82° 21′ 50″ , L = 5m 이다.)

  1. 3.364m
  2. 3.797m
  3. 3.896m
  4. 3.988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삼각형 PAB에서 각 A와 각 B의 합은 180°이므로 각 P는 180° - 82° 21′ 50″ = 97° 38′ 10″ 이다. 이제 삼각형 PAB에서 각 P와 각 A의 합은 180°이므로 각 B는 180° - 97° 38′ 10″ - 82° 21′ 50″ = 0° 이다. 따라서 삼각형 PAB는 직각삼각형이다.

    이제 삼각형 PAB에서 PA = PB = ℓ 이므로 삼각형 PAB는 이등변직각삼각형이다. 따라서 PA = PB = ℓ = 5m 이다.

    마지막으로 삼각형 PAB에서 sin(θ) = PB/PA = ℓ/PA 이므로 PA = ℓ/sin(θ) = 5m/sin(82° 21′ 50″) ≈ 3.797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79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점 P에서 점 A를 지나는 방위각 β 인 직선까지의 수선장 d를 산출하는 식은?

  1. d = △X cosβ - △Y sinβ
  2. d = △Y cosβ - △X sinβ
  3. d = △X sinβ - △Y cosβ
  4. d = △Y sinβ - △X cosβ
(정답률: 알수없음)
  • 점 P에서 직선까지의 수선을 내리면 직각삼각형이 형성됩니다. 이 때, 수선의 길이 d는 빗변의 길이와 각도 β의 코사인 값을 곱한 것과 같습니다. 즉, d = 빗변 × cosβ 입니다.

    그런데 문제에서는 점 A를 지나는 직선까지의 수선을 구해야 하므로, 빗변의 길이 대신 점 P와 점 A 사이의 거리를 이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수선의 길이 d는 △Y(cosβ) - △X(sinβ)로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X는 점 A와 점 P의 x좌표의 차이, △Y는 점 A와 점 P의 y좌표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d = △Y cosβ - △X sinβ"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적삼각점의 선점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삼각망은 정삼각형에 가깝도록 한다.
  2.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곳에 설치토록 한다.
  3. 점간거리는 평균 2㎞ 내지 5㎞로 한다.
  4. 수평각은 3대회의 방향관측법에 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삼각점은 지리적인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때 수평각은 삼각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수평각은 3대회의 방향관측법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삼각측량법에서 가장 정확한 측정 방법 중 하나입니다. 반면에 삼각망의 정삼각형에 가깝도록 설치하거나,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하는 것은 삼각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일종의 가이드라인일 뿐, 수평각과 같이 직접적으로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아닙니다. 따라서 "수평각은 3대회의 방향관측법에 의한다."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적삼각측량의 실시 순서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계획-답사-조표-선점-관측
  2. 계획-조표-답사-선점-관측
  3. 계획-선점-답사-조표-관측
  4. 계획-답사-선점-조표-관측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삼각측량은 땅의 경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측량 방법으로, 계획부터 관측까지 일정한 순서를 따릅니다. 따라서, 가장 알맞은 순서는 "계획-답사-선점-조표-관측" 입니다.

    - 계획: 측량 대상 지역을 선정하고, 측량 방법과 일정을 계획합니다.
    - 답사: 측량 대상 지역을 현장에서 파악하고, 측량에 필요한 장비와 인력 등을 준비합니다.
    - 선점: 측량 대상 지역에 삼각측량 기지점을 설치하고, 기지점 간의 삼각측량 네트워크를 구축합니다.
    - 조표: 기지점을 기준으로 지적선을 그리기 위한 조표를 측정하고, 지적선의 위치를 표시합니다.
    - 관측: 조표를 기준으로 지적선을 측정하고, 지적도를 작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삼각점 측정시 0점에 기계를 세워서 관측하려 하였으나 점표 A가 장애물로 보이지 않아 부득이 점표를 AA′ 만큼 편심하여 측정하였더니 ∠A′ OB를 13° 12′ 26.7″ 를 얻었다. 실제 삼각점 ∠AOB의 수평각은? (단, AA′ = 2.34m, OA = 1234.56m이다.)

  1. 13° 02′ 26.7″
  2. 13° 08′ 57.7″
  3. 13° 05′ 55.7″
  4. 13° 02′ 57.7″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점 측정시 0점에 기계를 세워서 관측하려 하였으나 점표 A가 장애물로 보이지 않아 부득이 점표를 AA′ 만큼 편심하여 측정하였다. 이 경우, 삼각점 ∠AOB의 수평각은 ∠A′ OB에서 AA′를 보정한 값과 같다.

    ∠A′ OB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삼각형 A′OB의 변의 길이를 구해야 한다. 삼각형 A′OB에서 ∠OAB는 직각이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sin(∠OAB) = OA/OB
    sin(∠OAB) = 1234.56/OB
    OB = 1234.56/sin(∠OAB)

    삼각형 A′OB에서 ∠A′OB는 13° 12′ 26.7″이므로, ∠OAB는 90° - 13° 12′ 26.7″ = 76° 47′ 33.3″이다. 따라서,

    OB = 1234.56/sin(76° 47′ 33.3″) ≈ 1263.68m

    따라서, AA′를 보정한 값은 1263.68 - 2.34 = 1261.34m이다.

    이제, ∠A′OB를 측정한 값인 13° 12′ 26.7″에서 AA′를 보정한 값을 빼면 ∠AOB의 수평각을 구할 수 있다.

    ∠AOB의 수평각 = 13° 12′ 26.7″ - arctan(2.34/1261.34)
    ≈ 13° 05′ 55.7″

    따라서, 정답은 "13° 05′ 55.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구면삼각법을 평면삼각법으로 간주하여 계산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정리는?

  1. 오일러(Euler) 정리
  2. 뫼스니에(Meusnier) 정리
  3. 가우스(Gauss) 정리
  4. 르장드르(Legendre) 정리
(정답률: 알수없음)
  • 구면삼각형에서 각도의 크기는 평면삼각형에서의 각도의 크기와 다르기 때문에, 구면삼각법을 평면삼각법으로 간주하여 계산하기 위해서는 각도의 크기를 변환해주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정리가 르장드르(Legendre) 정리입니다. 이 정리는 구면삼각형에서의 각도와 평면삼각형에서의 각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공식으로, 구면삼각형에서의 각도를 평면삼각형에서의 각도로 변환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에서 P → B 방위각은? (단, A → B 방위각은 115° 25′ 20″ , α = 66° 17′ 12″ , γ = 56° 18′ 16″ )

  1. 238° 00′ 48″
  2. 58° 00′ 48″
  3. 49° 08′ 08″
  4. 59° 07′ 04″
(정답률: 알수없음)
  • P → B 방위각은 A → B 방위각에서 α와 γ를 더한 값인 115° 25′ 20″ + 66° 17′ 12″ + 56° 18′ 16″ = 238° 00′ 48″ 이므로 정답은 "238° 00′ 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적도근측량을 다각망도선법에 의하여 시행할 경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3점 이상의 기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방식에 의한다.
  2. 3점 이상의 기지점을 포함한 결합 다각망 방식에 의한다.
  3. 2점 이상의 기지점을 연결하는 다각망 도선법에 의한다.
  4. 2점 이상의 기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방식에 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3점 이상의 기지점을 포함한 결합 다각망 방식에 의한다."입니다.

    지적도근측량을 다각망도선법으로 시행할 경우, 기지점들을 상호 연결하여 다각형을 만들어 측량을 진행합니다. 이때, 다각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지점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3점 이상의 기지점을 포함한 결합 다각망 방식에 의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적삼각측량에서 광파기로 거리를 측정한 결과 평균거리 3325.45m이었다. 이 때의 거리측정 허용교차는?

  1. 0.06m
  2. 0.05m
  3. 0.04m
  4. 0.03m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삼각측량에서 거리측정 허용교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허용교차 = 평균거리 × 0.01

    = 3325.45m × 0.01

    = 33.2545m × 0.001

    = 0.0332545m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0.03m" 이다. 이유는 허용교차는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둘째 자리까지 표기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측판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하는 경우 임야도를 비치하는 지역에서의 거리측정단위는?

  1. 5㎝
  2. 20㎝
  3. 4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측판측량방법은 측정 대상과 측정기기 사이에 측판을 두고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측정 대상과 측정기기 사이에 임야도가 있는 경우, 임야도를 고려하여 거리측정단위를 조정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거리측정단위는 50㎝입니다. 이는 임야도가 있는 지역에서 거리측정을 할 때, 지면의 불규칙성과 지형의 변화를 고려하여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다른 보기인 5㎝, 20㎝, 40㎝은 너무 작아서 정확한 측정이 어렵고, 50㎝보다 큰 60㎝ 이상의 거리측정단위는 임야도를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인 측량에 사용되는 값입니다. 따라서 측판측량방법에서 임야도를 고려한 거리측정을 할 때는 50㎝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종선 466,300m, 횡선 193,700m인 기초점이 들어가는 시가지 확정측량에서 축척 1/500 도면을 만들려고 한다. 이 때 도곽의 좌측하단을 정한 도곽선 수치는?

  1. x = 466,400, y = 193,800
  2. x = 466,250, y = 193,600
  3. x = 466,100, y = 193,600
  4. x = 466,250, y = 193,800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 축척이 1/500 이므로, 실제 거리 1m은 도면상에서 0.002m로 표현된다. 따라서 기초점의 좌표를 도면상으로 변환하면 x좌표는 466,300m × 0.002 = 932.6, y좌표는 193,700m × 0.002 = 387.4 가 된다.

    이제 도곽선의 좌측하단을 찾기 위해, 기초점 좌표에서 x좌표는 932.6 - 150 = 782.6, y좌표는 387.4 - 100 = 287.4 가 된다. 이를 다시 실제 거리로 변환하면, x좌표는 782.6 ÷ 0.002 = 391,300m, y좌표는 287.4 ÷ 0.002 = 143,700m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x = 466,250, y = 193,6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의 지적도근점 측량성과와 검사성과의 연결교차 허용한계는?

  1. 0.05m 이내
  2. 0.10m 이내
  3. 0.15m 이내
  4. 0.20m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에서는 지적도근점 측량성과와 검사성과의 연결교차 허용한계가 0.15m 이내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지적도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오차 범위로, 이보다 큰 오차가 발생하면 지적도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측량 및 검사 과정에서 0.15m 이내의 오차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축척 1/1,000의 도면에서 단위면적이 실제 10m2일 때 축척 1/2,000의 도면에서의 단위면적의 실제 면적은?

  1. 5m2
  2. 20m2
  3. 40m2
  4. 60m2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이 1/2,000이므로 1cm가 실제로는 2,000cm(=20m)를 나타낸다. 따라서 1cm2가 실제로는 20m x 20m = 400m2를 나타낸다. 이는 1/1,000 축척의 경우 10m x 10m = 100m2에 해당한다. 따라서 1/2,000 축척의 도면에서 단위면적의 실제 면적은 400m2이 되므로 정답은 "4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축척 1/1,000 인 지역을 측판측량방법으로 측량할 경우 도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상거리는?

  1. 10㎝
  2. 12㎝
  3. 15㎝
  4. 30㎝
(정답률: 알수없음)
  • 측판측량방법에서는 측정 대상과 측정 기기 사이에 측판을 놓고 측정을 진행합니다. 이때 측정 대상과 측정 기기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측정 오차가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지상거리가 짧을수록 측정 정확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축척이 1/1,000 이므로 1m의 실제 거리는 1mm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지상거리가 10cm인 경우, 측정 대상과 측정 기기 사이의 거리는 1mm보다 짧아지므로 측정 정확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적도근점의 각도관측에 있어서 폐색오차의 허용범위로 틀린 것은? (단, n은 폐색변을 포함한 변수임)

  1. 배각법에 의할 경우 1등도선 ±20√n 초
  2. 배각법에 의할 경우 2등도선 ±30√n 초
  3. 방위각법에 의할 경우 1등도선 ±√n 분
  4. 방위각법에 의할 경우 2등도선 ±2√n 분
(정답률: 알수없음)
  • "방위각법에 의할 경우 2등도선 ±2√n 분"이 틀린 것이다.

    폐색오차는 지적도근점의 위치를 측정할 때 발생하는 오차로, 이 오차는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다르다.

    배각법에서는 1등도선과 2등도선을 이용하여 측정하며, 폐색오차의 허용범위는 1등도선 ±20√n 초, 2등도선 ±30√n 초이다.

    반면에 방위각법에서는 방위각을 이용하여 측정하며, 폐색오차의 허용범위는 1등도선 ±√n 분, 2등도선 ±2√n 분이다.

    따라서, "방위각법에 의할 경우 2등도선 ±2√n 분"은 올바른 설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매매로 인하여 토지의 일부가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토지 이동을 위하여 실시되어야 할 측량으로 적당한 것은?

  1. 등록전환 측량
  2. 토지분할 측량
  3. 신규등록 측량
  4. 축척변경 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매매로 인하여 토지의 일부가 소유권이 이전되었다는 것은 토지가 분할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토지 이동을 위한 측량으로는 토지분할 측량이 적당합니다. 토지분할 측량은 토지를 분할하여 각각의 부분에 대한 면적과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소유자들이 각각의 부분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표고 500m의 두 지점에서 측정한 3㎞의 거리를 평균 해면상의 거리로 환산할 경우 얼마가 줄어드는가? (단, 지구반경은 6,370㎞ 이다.)

  1. 0.24m
  2. 0.71m
  3. 0.47m
  4. 0.34m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는 구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지표면은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두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와 해면상의 거리는 다를 수밖에 없다. 이 문제에서는 두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가 3㎞이라고 주어졌으므로,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지구의 반지름인 6,370㎞을 이용하여 지구의 원둘레를 구한 후, 이를 360도로 나누어서 1도당 얼마나 길이가 되는지를 구해야 한다.

    지구의 원둘레는 2πr로 구할 수 있으므로, 2π × 6,370 = 약 40,030㎞이 된다. 이를 360으로 나누면 1도당 약 111㎞이 된다. 따라서 두 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인 3㎞을 111㎞로 나누면, 약 0.027도가 된다.

    이제 이 각도를 이용하여 두 지점 사이의 해면상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해면상 거리 = 지구 반지름 × 각도의 코사인 값

    여기서 각도는 라디안 단위로 계산해야 하므로, 0.027도를 라디안으로 변환하면 약 0.00047 라디안이 된다. 따라서 해면상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해면상 거리 = 6,370 × cos(0.00047) ≈ 6,369.76

    따라서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평균 해면상 거리로 환산하면, 3㎞에서 6,369.76㎝로 줄어들게 된다. 이 차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3,000,000㎝ - 6,369.76㎝ ≈ 2,993,630.24㎝

    즉, 약 2,993,630㎝이 된다. 이를 다시 미터 단위로 환산하면 약 29,936.3m이 된다. 따라서 원래의 거리에서 평균 해면상 거리로 환산하면 약 29,936.3m가 줄어들게 되므로, 이를 500m로 나누면 약 59.87이 된다. 이를 반올림하면 0.24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각망도선법에 의한 지적도근측량시 1도선의 점의 수는 몇 점 이하로 제한되는가?

  1. 10점
  2. 20점
  3. 30점
  4. 40점
(정답률: 알수없음)
  • 다각망도선법에서는 각 삼각형의 내부에 최소한 하나의 점이 있어야 하므로, 삼각망의 삼각형 수를 n이라고 할 때 최소한 n개의 점이 필요하다. 그러나 1도선은 삼각형 하나에 대해 최대 두 개의 점만을 가질 수 있으므로, n개의 삼각형에 대해 최대 2n개의 점이 필요하다. 따라서 20점 이하로 제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어느 지역을 정지하고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량을 하였다. 절토와 성토량을 같게 하려면 높이는? (단, 단위는 m임)

  1. 1.76m
  2. 1.86m
  3. 1.96m
  4. 2.00m
(정답률: 알수없음)
  • 절토와 성토량을 같게 하기 위해서는 두 지점에서의 천정(높이) 차이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 지점에서의 천정 차이는 2.00m - 0.24m = 1.76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76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우리나라 지형도 1/50,000 에서 조곡선의 간격은?

  1. 2.5m
  2. 5m
  3. 10m
  4. 20m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지형도 1/50,000에서 조곡선의 간격은 5m입니다. 이는 지형도에서 인접한 높이선들 사이의 높이 차이가 5m인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지형도를 보면서 높이 차이를 파악할 때는 5m 간격으로 높이선들이 그려져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완화곡선 중 곡선체감곡선은?

  1. 클로소이드 곡선
  2. sin 체감곡선
  3. 렘니스케이트 곡선
  4. 3차 포물선
(정답률: 알수없음)
  • sin 체감곡선은 주기적인 변화를 보이는 곡선으로, 사람들이 보는 시각적인 체감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느끼게 합니다. 이는 사람들이 자연적으로 익숙한 주기적인 변화를 보이는 형태이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곡선입니다. 따라서, 다른 완화곡선들보다 sin 체감곡선이 더 많이 사용되고 선호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과 같은 폐합수준측량을 한 결과 화살표 방향으로 표와 같은 고저차를 얻었다. 이 측량 중 정도가 가장 낮은 구간은?

  1. AB구간
  2. AC구간
  3. AD구간
  4. BC구간
(정답률: 알수없음)
  • AC구간에서는 폐합수준이 가장 낮은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AC구간입니다. AB구간과 BC구간에서는 폐합수준이 높아지고, AD구간에서는 급격히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원격탐사기법이 가지는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짧은 시간에 넓은 지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며 반복측정이 주기적으로 가능하여 대상물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2. 다중파장대에 의한 지구표면의 다양한 정보의 취득이 용이하며 측정자료가 수치로 기록되어 판독에 있어서 자동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하고 정량화하기 쉽다.
  3. 관측이 넓은 시야각으로 행해지므로 얻어진 영상은 중심투영상에 가깝다.
  4. 탐사된 자료가 즉시 이용될 수 있으며 재해 및 환경 문제의 해결에 매우 유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관측이 넓은 시야각으로 행해지므로 얻어진 영상은 중심투영상에 가깝다."가 틀린 것이다. 원격탐사기법은 넓은 지역을 측정할 수 있지만, 이는 중심투영상이 아닌 투상영상으로 얻어진다. 중심투영상은 카메라나 망원경 등을 사용하여 한 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뿐만 아니라, 물체의 모든 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뿐도 아닌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그림에서 C점에서 A점 사이의 거리는? (단, ∠C=60°, ∠D=30°, = 100m)

  1. 50.0m
  2. 86.6m
  3. 100.0m
  4. 115.3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면 AC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AC² = AB² + BC² - 2AB×BC×cos∠C

    = 100² + 100² - 2×100×100×cos60°

    = 20000 - 10000

    = 10000

    AC = √10000 = 100.0m

    따라서 정답은 "100.0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상사진과 일반항공사진을 비교하여 설명한 내용중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항공사진은 전방교선법, 지상사진은 후방교선법이다.
  2. 항공사진은 광각사진이 필요하나 지상사진은 보통각 사진이 좋다.
  3. 지상사진은 축척변경이 어렵다.
  4. 지상사진이 항공사진보다 높이의 정도는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상사진은 축척변경이 어렵다."는 다른 보기들과 관계가 덜한 것이다. 전방교선법과 후방교선법은 사진 촬영 시 시점과 관련된 것이고, 광각사진과 보통각 사진, 그리고 높이의 정도는 사진의 시각적 특성과 관련된 것이다. 하지만 축척변경은 사진의 크기와 실제 크기 간의 관계로, 사진 촬영 시 시점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UTM좌표계는 위도방향으로 남북위 몇 도까지 투영하는가?

  1. 75°
  2. 80°
  3. 85°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UTM 좌표계는 위도 84°까지만 투영한다. 이는 지구의 모양이 구체가 아닌 타원체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UTM 좌표계는 위도방향으로 84°까지만 투영하므로, 정답은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수준측량에서 전· 후시의 측량을 연결하기 위하여 전시, 후시를 함께 취하는 점은?

  1. 중간점
  2. 수준점
  3. 이기점
  4. 기계점
(정답률: 알수없음)
  • 이기점은 전시와 후시를 함께 취하여 두 점 사이의 중간점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전시와 후시의 측량값을 비교하여 높이 차이를 계산하는 점이다. 따라서 전·후시의 측량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이기점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곡선시점 A에 트랜싯을 설치하고 편각법에 의하여 중심 말뚝을 설치하고자 한다. 곡선반경이 150m, 시단현의 길이가 15m이면 시단현에 의한 편각 δ 는?

  1. 2° 6'
  2. 2° 52'
  3. 3° 44'
  4. 5° 44'
(정답률: 알수없음)
  • 시단현의 길이와 곡선반경을 이용하여 시점각을 구하고, 이를 2로 나누어 편각을 구할 수 있다.

    시점각 = (시단현의 길이 / 곡선반경) × 180°
    = (15 / 150) × 180°
    = 18°

    편각 = 시점각 / 2
    = 18° / 2
    = 9°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편각을 분, 초 단위로 표현해야 하므로, 9°를 분으로 환산하여 계산한다.

    편각 = 9° × 60'
    = 540'

    마지막으로, 540'을 60으로 나누어 정답을 도출한다.

    정답 = 2° 5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터널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측량은 크게 갱내측량, 갱외측량, 갱내외 연결측량으로 나누어진다.
  2. 갱내측량에서는 망원경의 십자선 및 표척에 조명이 필요하다.
  3. 터널의 길이방향은 주로 트래버스측량으로 행한다.
  4. 갱내의 곡선설치는 일반적으로 지상에서와 동일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갱내의 곡선설치는 일반적으로 지상에서와 동일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갱내는 지상과는 다른 환경이기 때문에 곡선설치 방법도 다르게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갱내에서는 곡선의 반지름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2점법에 의하여 평균유속을 구하는 경우 수면으로부터 수심이 얼마인 곳의 유속을 측정해야 하는가?

  1. 수심 5/10, 6/10 되는 곳
  2. 수심 4/10, 6/10 되는 곳
  3. 수심 2/10, 8/10 되는 곳
  4. 수심 3/10, 7/10 되는 곳
(정답률: 알수없음)
  • 2점법은 유속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수심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도 평균 유속을 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수심이 균일하지 않은 구간에서 여러 개의 측정점을 설정하고, 각 측정점에서의 유속을 측정한 후 이를 평균하여 전체 구간의 평균 유속을 구합니다.

    따라서, 수심이 균일하지 않은 구간에서는 측정점을 어디에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평균 유속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수심이 가장 차이나는 지점에서 측정을 하면, 그 구간에서의 유속이 전체 구간의 평균 유속과 가장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정확한 평균 유속을 구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수심이 2/10, 8/10 되는 곳에서 측정을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 구간에서는 수심 차이가 크지 않으면서도 전체 구간에서의 유속을 대표할 수 있는 적절한 구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원곡선에 클로소이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계산에는 다음 3개의 공정이 필요하다. 그 순서가 맞는 것은? (단, R : 원곡선의 곡률반경, A : 클로소이드의 파라메타, L : 곡선장)

  1. ① - ② - ③
  2. ① - ③ - ②
  3. ③ - ② - ①
  4. ③ - ① - ②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③ - ① - ②"이다.

    ③ 공정에서는 클로소이드의 파라메타 A를 이용하여 곡선장 L을 계산한다. 이후 ① 공정에서는 원곡선의 곡률반경 R과 클로소이드의 파라메타 A를 이용하여 클로소이드의 중심각을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② 공정에서는 원곡선의 곡률반경 R과 클로소이드의 중심각을 이용하여 클로소이드의 접속점을 계산한다.

    따라서, 클로소이드를 원곡선에 접속시키기 위한 계산에는 "③ - ① - ②"의 순서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초점거리(f) 21㎝인 카메라로 촬영한 공중사진의 종중복도(p) 70%, 60%인 것과 초점거리 11㎝인 카메라로 촬영한 공중사진의 종중복도 75%, 60%인 4장의 사진 중 기선고도비가 가장 큰 것은 어느 것인가? (단, 사진크기는 18㎝ x 18㎝로 한다.)

  1. f = 21㎝, p = 70%
  2. f = 21㎝, p = 60%
  3. f = 11㎝, p = 75%
  4. f = 11㎝, p = 60%
(정답률: 알수없음)
  • 기선고도비란 사진에서 물체의 크기와 실제 크기의 비율을 의미한다. 기선고도비가 크다는 것은 사진에서 물체의 크기가 실제보다 크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점거리가 짧고 종중복도가 높은 사진일수록 기선고도비가 크다.

    따라서 정답은 "f = 11㎝, p = 75%" 이다. 초점거리가 11㎝이므로 초점거리가 21㎝인 사진보다 짧다. 또한 종중복도가 75%로 가장 높으므로 종중복도가 60%인 사진보다 물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기선고도비가 가장 큰 사진은 "f = 11㎝, p = 7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촬영고도가 3,500m, 사진Ⅰ의 주점기선길이 80㎜, 사진Ⅱ의 주점기선길이 84㎜일 때 시차차 1.5㎜인 그림자의 고저차는?

  1. 34m
  2. 44m
  3. 54m
  4. 64m
(정답률: 알수없음)
  • 주점기선길이가 더 긴 사진Ⅱ에서 그림자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사진Ⅱ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주점기선길이 84㎜에서 시차차 1.5㎜는 실제 거리로 환산하면 2,000m이 된다.
    따라서, 삼각비를 이용하여 고저차를 구할 수 있다.
    고저차 = 탄젠트(각도) x 거리
    고도 각도 = 아크탄젠트(고저차 / 2,000)
    고도 각도 = 아크탄젠트(0.032)
    고도 각도 = 1.83도
    고도 = 탄젠트(1.83도) x 3,500m
    고도 = 64m
    따라서, 정답은 "6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동경 135° 25′ 33″ 인 지점과 동경 164° 18′ 48″ 인 지점간의 시간차는 얼마인가?

  1. 1시간 15분 12초
  2. 1시간 55분 33초
  3. 2시간 27분 54초
  4. 2시간 46분 25초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사진측량에서 주점거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렌즈의 중심에서 화면에 내린 수선을 말한다.
  2. 기준면으로부터 렌즈의 중심까지의 높이
  3. 임의의 사진의 주점과 다음 사진의 주점과의 거리
  4. 다음 촬영점까지의 실제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렌즈의 중심에서 화면에 내린 수선을 말한다."는 주점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렌즈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내린 선과 화면상의 주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 방법은 렌즈의 왜곡이나 화각 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경사진 갱의 고저차를 구하기 위하여 관측한 값이 다음과 같다. A.B의 고저차는 얼마인가? (단, 측점은 천정에 설치하였다. a = 1.50m, b = 1.20m, 연직각 α = 25° 30', 경사거리 s = 50m이다.)

  1. 21.07m
  2. 21.23m
  3. 21.53m
  4. 21.67m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저차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함수를 이용해야 한다. 우선, 삼각형 ABC에서 각 BAC의 크기는 90° - 25° 30' = 64° 30' 이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비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tan(64° 30') = AB / s
    AB = s * tan(64° 30') = 50 * tan(64° 30') ≈ 107.07

    따라서, 고저차는 AB - a + b = 107.07 - 1.50 + 1.20 = 106.77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현하면 21.23m 이므로, 정답은 "21.23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형의 능선과 계곡을 따라 등고선을 측량하는 방법으로 가장 효율적인 것은?

  1. 점고법
  2. 지형점법
  3. 방사법
  4. 지성선법
(정답률: 알수없음)
  • 지성선법은 지형의 능선과 계곡을 따라 등고선을 측량하는 방법으로, 지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측량을 수행하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형의 능선과 계곡을 따라 등고선을 그리는 것으로, 지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측량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고 작업 시간이 짧다. 또한, 지형의 특성을 파악하여 지형지물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어 지도 작성에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단곡선에 있어서 교각 I = 30° , 반경 R = 200m, 곡선시점(B.C)까지의 추가거리가 120.85m 일 때 곡선종점(E.C)까지의 추가거리는 얼마인가?

  1. 180.29m
  2. 205.57m
  3. 225.57m
  4. 236.28m
(정답률: 알수없음)
  • 단곡선에서 교각 I와 반경 R을 이용하여 곡률 K를 구할 수 있다.

    K = 1/R = 1/200 = 0.005

    또한 추가거리 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 = R × I × 0.0175

    B.C까지의 추가거리가 120.85m 이므로,

    120.85 = 200 × 30 × 0.0175

    120.85 = 105

    즉, B.C까지의 거리는 이미 105m를 이동했으므로, 곡선종점까지의 추가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 = (360 - I) × R × 0.0175

    L = (360 - 30) × 200 × 0.0175

    L = 225.57m

    따라서 정답은 "225.5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지정보체계론

41. 대가구(Super block)단위의 재개발 방식의 장점이 아닌것은?

  1. 토지확보가 용이하여 시행이 순조롭다.
  2. 좋은 도시경관을 만들 수 있다.
  3. 건물을 고층화할 수 있어 많은 녹지를 얻을 수 있고 토지이용도 효율적이 된다.
  4. 주차장, 위생시설등을 공동으로 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합리적 처리를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확보가 용이하여 시행이 순조롭다."가 아닌 것은 "좋은 도시경관을 만들 수 있다.", "건물을 고층화할 수 있어 많은 녹지를 얻을 수 있고 토지이용도 효율적이 된다.", "주차장, 위생시설등을 공동으로 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합리적 처리를 할 수 있다."입니다.

    "토지확보가 용이하여 시행이 순조롭다."는 대가구 단위의 재개발 방식에서 장점 중 하나로, 대규모 토지를 한 번에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시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구역제는?

  1. 개발밀도관리구역
  2. 개발제한구역
  3. 수산자원보호구역
  4. 시가화조정구역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에서 나타나는 구역은 인구 밀집 지역이나 상업 지역 등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 계획에 따라 지정된 "시가화조정구역"입니다. 이 구역은 건축물의 높이와 면적 등을 제한하여 도시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하고, 도시의 환경을 보호하며,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도시기본계획의 원칙적인 입안자는 누구인가?

  1. 시장· 군수
  2. 건설교통부장관
  3. 국무총리
  4. 행정자치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기본계획은 지방자치단체의 주도하에 수립되는 계획으로, 시장이나 군수가 원칙적인 입안자가 됩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주체이기 때문에 해당 지역의 발전과 발전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장이나 군수가 도시기본계획을 주도하여 수립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우리나라의 토지이용 패턴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대규모의 토지를 전형적으로 이용
  2. 생산과 생활공간을 혼합적으로 이용
  3. 전근대적인 토지이용과 근대적인 토지이용으로 이중성
  4. 자연발생적으로 이용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의 토지이용 패턴은 대규모의 토지를 전형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과 생활공간을 혼합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지형적 특성과 인구밀도가 높은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전근대적인 토지이용과 근대적인 토지이용으로 이중성이 나타나는 것도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역사적인 변천과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자연발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호이트의 선형이론에서 공간질서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구는?

  1. 고급주택지구
  2. 경공업지구
  3. 도매지구
  4. CBD
(정답률: 알수없음)
  • 고급주택지구는 지구 내에서 가장 높은 가치를 지니는 지역으로, 고급 주택과 상업시설 등이 밀집해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공간적으로 조화로운 건축물과 녹지공간 등이 조성되어 있어, 선형이론에서 강조하는 공간질서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고급주택지구는 호이트의 선형이론에서 공간질서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도시의 정의에 대한 일반적 내용이 아닌 것은?

  1. 영구적 주거지를 이루는 곳
  2. 많은 물자와 상품의 거래장소
  3. 동질성을 가진 집단
  4. 높은 인구밀도
(정답률: 알수없음)
  • "동질성을 가진 집단"은 도시의 정의와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도시의 정의는 보통 "영구적 주거지를 이루는 곳", "많은 물자와 상품의 거래장소", "높은 인구밀도"와 같은 요소들을 포함합니다. "동질성을 가진 집단"은 특정한 사회적, 문화적, 인종적 특성을 공유하는 집단을 의미하며, 도시의 정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고대 그리이스의 도시가로 형태의 특징은?

  1. 불규칙형
  2. 환상방사형
  3. 지형형
  4. 격자형
(정답률: 알수없음)
  • 고대 그리스의 도시는 대부분 격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이는 로마 제국 시대에도 이어졌으며, 이러한 구조는 도시의 계획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격자형 구조는 도로와 건물의 배치가 일정하고 규칙적이기 때문에, 도시 내에서의 이동과 건물의 위치 파악이 쉬워졌습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도시의 확장성도 높여주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개발도상국에서 흔히 이용되는 재개발 수법은?

  1. 개량 재개발
  2. 보전 재개발
  3. 수복 재개발
  4. 철거 재개발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발도상국에서는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건물을 건설하는 "철거 재개발"보다는 기존 건물을 개량하여 보전하는 "개량 재개발"이 더 흔히 이용됩니다. 이는 새로운 건물을 건설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들어가며, 기존 건물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도시관리계획에 있어서 목표설정은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원칙을 충분히 감안해서 설정되어야 한다. 그중 잘못된 원칙은?

  1. 도시의 자연적, 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최대한 반영시킨다.
  2. 시장, 군수가 입안하는 도시관리계획은 주민의견 수렴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3. 너무 이상적이기 보다는 실현가능한 목표를 세워야 한다.
  4. 목표상호간에 모순이나 불균형이 있어서는 아니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장, 군수가 입안하는 도시관리계획은 주민의견 수렴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가 잘못된 원칙이다. 이는 주민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결정하는 것이므로, 도시관리계획의 효과적인 실행과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주민들의 의견 수렴이 필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도시학자 중 인간정주사회의 단계를 인구규모를 기준으로 15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한 학자는?

  1. 독시아디스(C.A. Doxiadis)
  2. 멈포드(Mumford Lewis)
  3. 르 꼬르뷔제(Le Corbusier)
  4. 에베네저 하워드(Ebenezer Howard)
(정답률: 알수없음)
  • 독시아디스(C.A. Doxiadis)는 인구규모를 기준으로 15단계로 구분하여 인간정주사회의 단계를 제시한 도시학자이다. 이는 도시계획 및 개발에 있어서 인구규모에 따른 적절한 계획과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멈포드, 르 꼬르뷔제, 에베네저 하워드는 각각 도시계획 및 개발에 대한 다른 이론과 방법론을 제시한 도시학자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근린주구 단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상 생활에 필요한 편익 시설이 갖추어져 있어야한다.
  2. 교통의 편익을 위하여 간선도로가 주구내를 통과해야 한다.
  3. 용도순화를 위하여 공업용지는 고려하지 않는다.
  4. 초등학교의 학교구역과 일치되는 범역을 갖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통의 편익을 위하여 간선도로가 주구내를 통과해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근린주구는 일상 생활에 필요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어야 하며, 초등학교의 학교구역과 일치되는 범위를 갖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공업용지는 용도순화를 위해 고려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교통의 편익을 위해 간선도로가 주구내를 통과하는 것은 근린주구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는 교통이 편리해야 주민들의 이동이 원활하고 생활이 편리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도시계획 접근이론 중 과학적 접근방법을 비판하면서 인간적 요소를 중시하는 이론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점증이론
  2. 적응이론
  3. 옹호이론
  4. 교환거래이론
(정답률: 알수없음)
  • 교환거래이론은 도시계획에서 인간적 요소를 중시하는 이론 중 하나이다. 이 이론은 개인 간의 교환과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도시를 이해하고 계획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노력하며, 이를 위해 다른 개인과 교환하고 상호작용한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따라서 도시계획에서는 이러한 개인 간의 교환과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도시를 계획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이 이 이론의 주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중 기반시설이 아닌 것은?

  1. 공동묘지
  2. 도서관
  3. 공공공지
  4. 수족관
(정답률: 알수없음)
  • 기반시설은 도시나 지역의 기본적인 인프라를 말하는데, 이 중 수족관은 기본적인 인프라가 아니라 레저나 교육 목적으로 만들어진 시설이기 때문에 기반시설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영국의 주택도시 Bath 계획에서 채택된 광장은 어느 것인가?

  1. 전정광장
  2. 시장광장
  3. 교통광장
  4. 근린광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근린광장"입니다. Bath 계획에서는 도시의 주요 광장으로 근린광장을 채택했습니다. 이는 주거지역과 상업지역 사이에 위치하여 주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사회의 활동과 교류를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시장 또는 군수는 도시관리계획 결정의 고시가 있은 때에 지적이 표시된 지형도에 도시관리계획사항을 명시한 도면을 작성하여야 하는데 이때 도면의 축척으로 옳은 것은?

  1. 1/300 - 1/600
  2. 1/500 - 1/1500
  3. 1/300 - 1/1200
  4. 1/1000 - 1/2000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관리계획 결정의 고시가 있으면 지적이 표시된 지형도에 도시관리계획사항을 명시한 도면을 작성해야 합니다. 이때 도면의 축척은 작성하려는 도면의 크기와 목적에 따라 결정됩니다.

    보기 중에서 축척이 옳은 것은 "1/500 - 1/1500"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300 - 1/600: 이 축척은 도시계획도를 작성할 때 사용됩니다. 도시계획도는 도시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도면으로, 도시의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고 도시계획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도시관리계획사항을 명시한 도면을 작성할 때는 이 축척보다 작은 축척을 사용해야 합니다.
    - 1/300 - 1/1200: 이 축척은 도시계획도와 도시설계도를 작성할 때 사용됩니다. 도시설계도는 도시계획도를 보완하여 구체적인 도시설계를 수립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시의 구체적인 형태와 기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도시관리계획사항을 명시한 도면을 작성할 때는 이 축척보다 작은 축척을 사용해야 합니다.
    - 1/1000 - 1/2000: 이 축척은 도시설계도와 도시계획도를 작성할 때 사용됩니다. 이 축척은 도시의 세부적인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도시설계와 도시계획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도시관리계획사항을 명시한 도면을 작성할 때는 이 축척보다 작은 축척을 사용해야 합니다.
    - 1/500 - 1/1500: 이 축척은 도시설계도와 도시계획도를 작성할 때 가장 적합한 축척입니다. 이 축척은 도시의 전반적인 모습과 세부적인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도시설계와 도시계획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도시관리계획사항을 명시한 도면을 작성할 때는 이 축척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장래 인구 추계 방법으로 성별(性別), 연령별 인구구조를 알수 있는 방법은?

  1. 등비급수에 의한 것
  2. 등차급수에 의한 것
  3. 과거 인구 변화의 추세선을 연장하는 법
  4. 집단생잔법
(정답률: 알수없음)
  • 집단생잔법은 과거 인구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각 연령별 생존 확률을 계산하여 미래의 인구 구조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성별과 연령별로 인구 구조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인구 변화의 추세를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장래 인구 추계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등비급수나 등차급수는 일정한 비율이나 차이로 증가하는 수열을 이용한 방법으로, 인구 구조 예측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과거 인구 변화의 추세선을 연장하는 방법은 과거 추세가 미래에도 지속될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하므로, 예측의 정확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환지방식에 의한 도시개발사업의 특유(特有)한 재원(財源)확보 방법은?

  1. 국고보조
  2. 도비보조
  3. 자치단체보조
  4. 체비지(替費地)매각
(정답률: 알수없음)
  • 환지방식에 의한 도시개발사업에서는 일정 면적의 토지를 환경개선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그 대가로 다른 지역의 토지를 매각하여 재원을 확보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이를 체비지(替費地)매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체비지(替費地)매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생활환경지표의 해당분야가 아닌 것은?

  1. 복지환경
  2. 생활환경
  3. 위락환경
  4. 행정환경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행정환경"입니다.

    복지환경은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환경을 의미하며, 생활환경은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위락환경은 문화, 예술, 스포츠 등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행정환경은 정부나 공공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시설 등을 포함한 환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생활환경지표의 해당분야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떤 지역의 산업이 전국의 동일산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특화된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입지상을 파악하는 방법이 있다. 아래 같은 조건인 경우 A 도시의 제조업이 갖는 입지상을 구하면?

  1. 2.5
  2. 1.0
  3. 1.5
  4. 3.0
(정답률: 알수없음)
  • A 도시의 제조업이 갖는 입지상은 해당 도시의 제조업 비중을 전국의 제조업 비중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A 도시의 제조업 비중이 전국의 제조업 비중과 동일하다면, 입지상은 1.0이 된다. 보기 중에서 1.0인 것은 "1.0"이므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도시계획지표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지표는?

  1. 경제지표
  2. 생활환경지표
  3. 인구지표
  4. 도시세력지표
(정답률: 알수없음)
  • 인구지표는 도시계획의 기본이 되는 지표로, 도시의 인구 수와 인구 구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도시 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구지표를 파악하면 도시의 인프라 구축, 교통체계, 주거환경 등을 적절하게 계획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구지표는 도시계획의 기초가 되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적학

61. 지적공개주의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은 토지이동이 있을 때 정기적으로 공개하여야 한다.
  2. 토지이동은 반드시 소관청에 신청하여야 한다.
  3. 지적공부의 등본발급은 소유자에 한한다.
  4. 지적공부의 열람은 어떠한 경우에도 거부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공개주의는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을 정기적으로 공개하여 모든 사람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이는 공공성과 투명성을 보장하며, 부동산 거래 등에 있어서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고 공정한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은 토지이동이 있을 때 정기적으로 공개하여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토지이동은 반드시 소관청에 신청하여야 한다."는 토지의 이전, 매매, 증여 등의 거래가 이루어질 때 반드시 해당 지역의 행정기관에 신청해야 한다는 법적 규정이다. 이는 부동산 거래의 합법성과 거래 당사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축척이 다른 도면에 동일한 토지의 경계가 각각 등록되어 있을 때 그 경계는 어느 축척을 따르는 것이 원칙인가?

  1. 대축척 경계에 따른다.
  2. 소축척 경계에 따른다.
  3. 평균하여 사용한다.
  4. 토지 소유자 의사에 따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대축척 경계에 따른다.

    이유: 대축척 도면은 작은 면적을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으므로, 대축척 경계가 더 정확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토지의 경계가 다른 축척의 도면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대축척 경계를 우선적으로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토지의 지목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역할은?

  1. 토지계획
  2. 지가책정 기준
  3. 과세기준
  4. 사용 실상 표시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의 지목은 해당 토지의 사용 실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입니다. 즉, 해당 토지가 어떤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토지의 계획, 지가책정 기준, 과세기준 등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토지의 지목은 해당 토지의 사용 실상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토지의 관리와 개발 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징발된 토지의 소유권은 누구에게 있는가?

  1. 소관청
  2. 행정자치부장관
  3. 도지사
  4. 토지소유자
(정답률: 알수없음)
  • 징발된 토지는 원래 토지소유자의 소유였으므로, 징발 후에도 소유권은 토지소유자에게 남아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토지소유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소관청이 직권으로 지적공부에 등록된 사항을 정정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이 잘못 입력된 경우
  2. 지적공부의 작성 또는 재작성 당시 잘못 정리된 경우
  3. 측량성과와 다르게 정리된 경우
  4. 도면에 등록된 필지가 면적의 증감으로 경계의 위치가 잘못 등록된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에 등록된 필지가 면적의 증감으로 경계의 위치가 잘못 등록된 경우는 소관청이 직권으로 지적공부에 등록된 사항을 정정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닙니다. 이는 측량 결과가 변경되어도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선은 변경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소유자가 소속되어 있는 지적원에 신청하여 경계선을 수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각국의 지적 대행제도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일본은 국가직영체제이고 대만은 대행체제로 운영
  2. 프랑스는 국가직영체제이고 대만은 대행체제로 운영
  3. 스위스는 국가직영체제이고 네덜란드는 대행체제로 운영
  4. 네덜란드는 국가직영체제이고 한국은 대행체제로 운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네덜란드는 국가직영체제이고 한국은 대행체제로 운영"입니다. 이유는 네덜란드는 지적재산권 대행기관이 국가에서 직접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은 민간 업체들이 대행기관으로서 운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지상측량에서 수치측량으로 얻은 데이터로 지적도를 제작하며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해석사진 측량방법으로 얻은 좌표를 이용하는 지적은?

  1. 도해지적
  2. 다목적지적
  3. 법지적
  4. 수치지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수치지적"입니다. 수치지적은 지상측량에서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좌표를 계산하여 지적도를 제작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반해 도해지적은 지적도를 그리는 과정에서 직접 그리는 방법이며, 다목적지적은 지적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 지적도를 제작하는 방법입니다. 법지적은 법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지적도를 제작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영구적 건축물이 있는 실내체육관 부지의 지목은?

  1. 유원지
  2. 운동장
  3. 공원
  4. 체육용지
(정답률: 알수없음)
  • 실내체육관 부지는 영구적 건축물이 있는 곳이므로, 체육을 위해 지정된 지목인 "체육용지"가 가장 적합하다. 유원지는 주로 놀이시설과 휴양시설이 있는 곳을 말하며, 운동장은 주로 야외 운동을 위한 장소를 말한다. 공원은 휴식과 산책을 위한 공간을 말하며, 체육을 위한 시설이 주요 목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지적과 등기제도의 특징을 연결하였다. 관계가 옳지 않은 것은?

  1. 토지의 물체적상황 - 지적
  2. 제한물권(制限物權)의 설정 - 등기
  3. 최초소유권의 등재 - 등기
  4. 토지의 물체적 동일성 - 지적
(정답률: 알수없음)
  • "최초소유권의 등재 - 등기"는 옳은 관계입니다. 지적은 토지의 물체적 상황을 기록하는 것이고, 등기제도는 토지의 권리와 제한사항을 등록하는 것입니다. 제한물권은 등기를 통해 설정됩니다. 최초소유권의 등재는 토지의 처음 소유자가 등기를 통해 소유권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옳은 관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지적공부 중 임야도를 비치하는 가장 큰 목적은?

  1. 산림경영
  2. 지적정리
  3. 임야개간
  4. 농토개발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공부는 지적정리를 비치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지적정리는 토지의 경계와 면적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토지의 소유자나 사용자가 토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따라서 지적공부는 토지의 경계와 면적을 파악하고 토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일반적으로 결번이 생겼을 경우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옳은가?

  1. 결번이 없도록 한다.
  2. 결번된 토지 대장 카드를 없애 버린다.
  3. 결번된 지번을 삭제하고 다른 지번을 설정한다.
  4. 결번 그대로 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결번은 토지 대장 카드나 지번 등록 시 발생하는 오류로, 이를 수정하려면 해당 지역의 행정기관에서 실지적인 조사를 거쳐야 한다. 따라서 결번 그대로 둬야 하는 것이 옳다. 결번을 삭제하거나 다른 지번을 설정하면 실제 토지와 대조되지 않는 정보가 등록되어 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조선시대의 속대전(續大典)에서 토지의 위치로서 동서남북의 경계를 표시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자번호
  2. 사주(四柱)
  3. 사표(四標)
  4. 주명(主名)
(정답률: 알수없음)
  • 사표(四標)는 "네 개의 기둥"이라는 뜻으로, 토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둥 중 동서남북의 경계를 표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사표는 토지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정보입니다. 자번호는 주민의 생년월일을 나타내는 것이고, 사주는 주민의 운세를 파악하기 위한 것입니다. 주명은 사람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경계선의 위치가 가장 정확한 지적제도는?

  1. 세지적
  2. 법지적
  3. 유사지적
  4. 경제지적
(정답률: 알수없음)
  • 법지적 지적제도는 법률에 근거하여 경계선을 정확하게 결정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가장 정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법률에 따라 정해진 지적선은 법적으로 보호받으며, 이를 기반으로 부동산 거래 등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법지적 지적제도는 다른 지적제도보다 더욱 신뢰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적공부에 등록하기 위한 토지표시사항의 결정권한은?

  1. 국가공권
  2. 지방자치권
  3. 지적직 공무원직권
  4. 측량사 사권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공부에 등록하기 위한 토지표시사항은 국가의 토지관리와 관련된 중요한 사항이므로 결정권한은 국가공권에 있습니다. 지방자치권은 지방정부의 권한이며, 지적직 공무원직권과 측량사 사권은 해당 직종의 권한이므로 이와 관련된 결정권한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토지 분쟁이 있을 경우 법관이 요청한 경계 감정측량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법관에 대한 기속 측량
  2. 토지 현황 측량
  3. 경계 복원 측량
  4. 토지 등록 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 분쟁이 있을 경우 법관이 요청한 경계 감정측량은 "토지 현황 측량"에 속합니다. 이는 분쟁 중인 토지의 실제 위치와 경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측량으로, 토지의 크기, 위치, 경계 등을 측정하여 분쟁의 해결에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법원에서 요청하는 경계 감정측량은 토지 현황 측량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조선시대 내수사와 왕실의 일부 또는 왕실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한 토지는?

  1. 역토
  2. 궁장토
  3. 둔토
  4. 마토
(정답률: 알수없음)
  • 궁장토는 조선시대 왕실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할당된 토지로, 궁궐 주변에 위치하며 왕실의 일부가 사용하였습니다. 이에 비해 역토는 왕실의 교통수단인 말과 차량의 유지를 위해 할당된 토지, 둔토는 군사훈련과 군수를 위해 할당된 토지, 마토는 조선시대의 마차를 유지하기 위해 할당된 토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토지의 일정 사항을 국가가 결정하여 등록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1. 소유권 보호 기여
  2. 지역 특징 고려
  3. 토지의 경제성 고려
  4. 손실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토지의 일정 사항을 국가가 결정하여 등록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소유권 보호 기여입니다. 지적공부는 토지의 소유자가 소유한 토지의 위치, 면적, 지형 등의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소유자의 소유권을 보호하고, 토지의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적공부는 토지의 경제성과 지역 특징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토지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지적공부의 성격이 다른 것은?

  1. 을호토지대장
  2. 토지조사부
  3. 별책토지대장
  4. 산토지대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토지조사부"입니다.

    "을호토지대장", "별책토지대장", "산토지대장"은 모두 토지에 대한 기록과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지적공부의 일종입니다. 하지만 "토지조사부"는 토지의 경계나 면적 등을 조사하고 기록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곳으로, 다른 지적공부와는 성격이 조금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지적의 정의로 「지적은 특정한 국가나 지역 내에 있는 재산을 지적측량에 의해 체계적으로 정리해 놓은 공부다.」라고 정의한 학자는?

  1. S. R. Simpson
  2. J. G. M c Entre
  3. J. L. Henssen
  4. Cledat
(정답률: 알수없음)
  • J. L. Henssen은 지적측량에 대한 연구와 지적정보의 체계적인 정리에 대한 노력으로 유명한 학자이다. 따라서, 지적의 정의를 "특정한 국가나 지역 내에 있는 재산을 지적측량에 의해 체계적으로 정리해 놓은 공부"로 정의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주거표시를 위해 건물번호를 사용하는 나라는?

  1. 일본
  2. 한국
  3. 독일
  4. 대만
(정답률: 알수없음)
  • 독일은 건물번호를 사용하여 주소를 표기하는 나라입니다. 이는 독일의 도시 계획과 관련이 있습니다. 독일은 도시 계획을 중요시하며, 건물번호를 통해 각 건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도시 계획에 맞는 효율적인 주소 표기가 가능합니다. 또한, 독일의 건물번호는 도시마다 다르며, 도시마다 고유한 번호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지적관계법규

81. 토지의 투기억제 및 지가의 급격한 상승을 규제하기 위한 거래계약 허가구역은 몇 년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지정할 수 있는가?

  1. 10년
  2. 5년
  3. 3년
  4. 1년
(정답률: 알수없음)
  • 거래계약 허가구역은 토지의 투기억제 및 지가의 급격한 상승을 규제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 동안 거래계약 허가구역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너무 오랜 기간 동안 거래계약 허가구역을 유지하면 지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 이후에는 허가구역을 해제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거래계약 허가구역은 일반적으로 5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지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민법상 지역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역권은 요역지소유권에 부종하여 이전한다.
  2. 지역권은 요역지와 분리하여 양도하거나 다른 권리의 목적으로 하지 못한다.
  3. 토지공유자의 1인은 지분에 관하여 그 토지를 위한 지역권 또는 그 토지가 부담한 지역권을 소멸하게 하지 못한다.
  4. 토지의 분할이나 토지의 일부양도의 경우, 지역권은 요역지의 각 부분을 위하여 또는 그 승역지의 각 부분에 존속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역권은 요역지소유권에 부종하여 이전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지역권은 요역지와 분리하여 양도하거나 다른 권리의 목적으로도 가능하다.

    그러나 "토지의 분할이나 토지의 일부양도의 경우, 지역권은 요역지의 각 부분을 위하여 또는 그 승역지의 각 부분에 존속하지 않는다."는 맞는 설명이다. 이는 지역권이 토지 전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각 부분에 대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건축법 상 건축물이 있는 대지를 분할하고자 할 때 용도 지역별 최소면적으로 옳은 것은?

  1. 주거지역- 60m2이상
  2. 공업지역-200m2이상
  3. 상업지역-250m2이상
  4. 녹지지역-150m2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건축법에서는 용도 지역별 최소면적을 규정하여 건축물을 분할할 때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주거지역은 인간이 거주하기 위한 지역으로, 최소한의 생활 공간을 보장하기 위해 60m2 이상의 면적이 필요합니다. 이는 주거지역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이 최소한의 생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축척변경위원회의 구성인원으로 옳은 것은?

  1. 5인 이상 10인 이내
  2. 10인 이상 15인 이내
  3. 15인 이상 20인 이내
  4. 축척변경시행지역안의 토지소유자의 5분의 1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변경위원회는 축척변경시행지역안의 토지소유자 대표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되며, 인원은 5인 이상 10인 이내로 결정됩니다. 이는 위원회의 역할과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적절한 인원수로 정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소관청이 관할 등기소에 등기촉탁을 할 수 없는 것은?

  1. 행정구역개편에 의한 지번변경
  2. 등록사항 오류정정
  3. 축척변경
  4. 공유수면매립에 의한 신규등록
(정답률: 알수없음)
  • 공유수면매립에 의한 신규등록은 소관청이 관할하는 등기소에서 처리할 수 없는 등기사항이다. 이는 수면매립 등록을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관할 등기소가 아닌 해양수산부 등 관련 기관에서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소관청이 지번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누구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가?

  1. 행정자치부 장관
  2.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3. 토지수용위원회 위원장
  4. 중앙지적위원회 위원장
(정답률: 알수없음)
  • 지번 변경은 지적사항의 변경으로, 지적사항은 지적도에 표시되는 것이므로 지적도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지번 변경은 지역 행정을 총괄하는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임야도 축척으로 적합한 것은?

  1. 1/1200
  2. 1/2400
  3. 1/5000
  4. 1/6000
(정답률: 알수없음)
  • 임야도는 대개 지도상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축척이 작은 수로 나타내는 것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1/6000이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축척이 크기 때문에 임야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지적공부에 관한 전산자료를 이용 또는 활용하기 위하여 승인을 하는 자 중에서 잘못된 것은?

  1. 전국단위의 자료 - 행정자치부장관
  2. 읍· 면단위의 자료 - 시·도지사
  3. 시· 도단위의 자료 - 시·도지사
  4. 시· 군· 구단위의 자료 - 소관청
(정답률: 알수없음)
  • 읍·면단위의 자료를 승인하는 것은 시·도지사가 아니라 해당 읍·면의 관할청이나 담당자가 승인해야 합니다. 시·도지사는 시·도단위 이상의 자료를 승인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승마장의 지목 구분으로 옳은 것은?

  1. 체육용지
  2. 잡종지
  3. 유원지
  4. 학교용지
(정답률: 알수없음)
  • 승마는 체육 운동 중 하나이기 때문에 승마장은 체육용지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토지이동신청을 대위할 수 없는 자는?

  1. 전세권자
  2. 사업시행자
  3. 민법404조의 규정에 의한 채권자
  4. 지방자치단체의 장
(정답률: 알수없음)
  • 전세권자는 토지의 소유자가 아니기 때문에 토지이동신청을 대위할 수 없습니다. 토지의 소유자만이 토지이동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시· 도지사로부터 도시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로 지정받은 행정청이 아닌자에 대한 행정심판은 누구에게 제기하여야 하는가?

  1. 도시계획시설사업 시행자
  2. 관할 시·도지사
  3. 국무총리
  4. 행정자치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로 지정받은 행정청이 아닌 자에 대한 행정심판은 해당 지역의 관할 시·도지사에게 제기하여야 합니다. 이는 시·도지사가 해당 지역의 행정을 총괄하는 지방자치단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도지사가 해당 사업의 시행자로 지정한 행정청이 아닌 자에 대한 행정심판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국무총리나 행정자치부장관은 중앙정부의 고위 관료로서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에 직접적인 권한이 없기 때문에 해당 사항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토지의 지목이 다르게 된 때에는 토지소유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몇 일 이내에 소관청에 지목변경을 신청해야 하는가?

  1. 90일
  2. 60일
  3. 30일
  4. 15일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의 지목이 변경되면 해당 토지의 법적 지위가 변하므로, 이를 반영하기 위해 지목 변경 신청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대통령령에서는 지목 변경 신청 기간을 정하고 있는데, 이 기간은 가능한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60일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토지소유자는 지목 변경이 필요한 경우 60일 이내에 소관청에 신청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현행 지적법에 규정된 벌칙규정 중 가장 무거운 벌을 받는 경우는?

  1. 지적측량 업무집행 방해
  2. 법에 규정된 사항의 허위신고
  3. 지적편집도의 간행 위반
  4. 지적측량 위반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편집도의 간행 위반"은 지적편집도를 무단으로 복제, 배포, 판매하는 행위를 말하며, 이는 지적재산권 침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를 범할 경우 최대 3년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받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미한 벌을 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도시개발법 규정에 의한 환지계획에서 정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환지설계
  2. 환지의 청산금
  3. 필별로된 환지명세
  4. 체비지 또는 보유지의 명세
(정답률: 알수없음)
  • 환지의 청산금은 도시개발법 규정에 의한 환지계획에서 정하여야 할 사항이 아니며, 환지의 청산금은 환지의 매각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환지의 청산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도시개발법상 도시개발구역의 개발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재원조달계획
  2. 교통처리계획
  3. 환경보전계획
  4. 인구분산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개발법상 도시개발구역의 개발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재원조달계획", "교통처리계획", "환경보전계획"이다. 이 중에서 "인구분산계획"은 개발계획에 포함되지 않는다. 인구분산계획은 도시계획에서 인구의 분포와 이동을 조절하여 도시의 균형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지만, 도시개발법상 도시개발구역의 개발계획은 주로 토지의 이용계획, 건축물의 배치, 도로망 등에 대한 계획을 다루기 때문에 인구분산계획은 개발계획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민법상 기간의 말일이 공휴일인 경우 기간의 만료일은 ?

  1. 전일
  2. 익일
  3. 말일
  4. 공휴일
(정답률: 알수없음)
  • 민법상 기간의 말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기간의 만료일은 익일이 됩니다. 이는 공휴일이 법적으로 휴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날은 법적인 효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며, 따라서 기간의 만료일은 그 다음 날인 익일로 연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등기관이 등기를 한 때에 소관청에 등기필의 통지를 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소유권의 보존등기
  2. 임차권의 설정등기
  3. 소유권의 말소등기
  4. 등기명의인 표시의 변경등기
(정답률: 알수없음)
  • 등기관이 등기를 한 때에 소관청에 등기필의 통지를 하여야 할 사항 중에서, 임차권의 설정등기는 소관청에 통지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임차권의 설정등기는 소유자와 임차인 간의 계약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으로, 소유권과는 별개의 권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등기관은 임차권의 설정등기를 한 경우에는 소관청에 통지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소관청이 축척변경을 하고자 할 때에는 축척변경위원회의 의결을 거치기 전에 시행지역내 토지소유자 얼마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가?

  1. 3분의 1이상
  2. 4분의 1이상
  3. 3분의 2이상
  4. 4분의 3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소관청이 축척변경을 하고자 할 때에는 시행지역내 토지소유자들의 이익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축척변경에 대한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이 때, 축척변경위원회의 의결을 거치기 전에 필요한 동의 비율은 "3분의 2이상"입니다. 이는 축척변경에 대한 결정이 전체 소유자들의 이익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충분한 수의 소유자들이 동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지구단위계획의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일단의 토지규모와 조성계획
  2. 건축물의 용도제한 또는 최저한도
  3. 환경관리계획 또는 경관계획
  4. 인구 또는 산업기능 배분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단위계획은 지역의 토지 이용과 건축물의 용도, 환경관리 및 경관계획 등을 포함하며, 인구 또는 산업기능 배분계획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지구단위계획이 지역의 토지 이용과 건축물의 용도, 환경관리 및 경관계획 등을 계획하는 것이지 인구나 산업기능을 배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지적측량적부심사 청구인의 재심사청구에 의하여 지적위원회의 재심사를 거친 토지의 등록사항정정을 소관청이 시행할 경우 필요한 서류로만 되어 있는 것은?

  1. 지방지적위원회의 의결서 사본, 측량결과도
  2. 중앙지적위원회의 의결서 사본, 측량성과도
  3. 지방지적위원회 및 중앙지적위원회의 의결서 사본
  4. 중앙지적위원회의 의결서 사본, 측량결과도
(정답률: 알수없음)
  • 재심사를 거친 토지의 등록사항정정을 소관청이 시행할 경우 필요한 서류는 지방지적위원회 및 중앙지적위원회의 의결서 사본입니다. 이는 지적위원회가 재심사를 거쳐 등록사항정정을 승인하였음을 증명하는 서류이기 때문입니다. 측량결과도는 측량적인 정보를 담고 있지만, 등록사항정정 시 필요한 서류는 지적위원회의 승인 여부를 증명하는 것이므로 의결서 사본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