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8-18)

지적기사
(2013-08-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지적측량

1. 지적삼각점측량에서 원점에서부터 두 점 A, B까지의 횡선거리가 각각 16km와 20km일 때 축척계수(K)는 얼마인가? (단, R=6372.2km이다.)

  1. 1.00000399
  2. 1.00000274
  3. 1.00000117
  4. 1.00000072
(정답률: 42%)
  • 지적삼각점측량에서의 축척계수(K)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K = (거리/실제거리)

    여기서 거리는 지도상의 거리를 의미하고, 실제거리는 실제로 측정한 거리를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원점에서부터 두 점 A, B까지의 횡선거리가 각각 16km와 20km이므로,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거리 = √(16² + 20²) ≈ 25.6km

    실제거리는 지구의 반지름인 R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실제거리 = R × 중심각

    여기서 중심각은 두 점 사이의 중심각을 의미한다. 중심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중심각 = 2 × arcsin(거리/2R)

    따라서, 실제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실제거리 = 6372.2km × 2 × arcsin(25.6km/2 × 6372.2km) ≈ 25.599km

    따라서, 축척계수(K)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K = (거리/실제거리) ≈ 25.6km/25.599km ≈ 1.00000399

    따라서, 정답은 "1.0000039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지적기준점 등의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삼각점 및 지적기준점은 0.1mm 폭의 선으로 제도한다.
  2. 지적삼각점은 직경 3mm의 원으로 제도하고 원 안에 십자선을 표시한다.
  3. 지적삼각보조점은 직경 2mm의 원으로 제도하고 원 안에 십자선을 표시한다.
  4. 지적도근점은 직경 1mm, 2mm의 2중원으로 제도한다.
(정답률: 55%)
  • 지적삼각점은 지적도면상에서 특정 지점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기준점으로, 직경 3mm의 원으로 제도하고 원 안에 십자선을 표시함으로써 정확한 위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지적삼각점은 직경 3mm의 원으로 제도하고 원 안에 십자선을 표시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적삼각점성과를 관리할 때 지적삼각점성과표에 기록ㆍ관리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지적삼각점의 명칭
  2. 좌표 및 표고
  3. 직각좌표계 원점명
  4. 자오선 수차
(정답률: 38%)
  • 직각좌표계 원점명은 지적삼각점성과를 관리할 때 기록ㆍ관리하여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지적삼각점성과를 식별하기 위한 명칭과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직각좌표계 원점명은 지적삼각점성과표에 기록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직각좌표계 원점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수평각 관측에서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로 관측을 하는 목적은?

  1. 내심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2. 시준축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3. 오독을 방지하기 위하여
  4. 오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85%)
  • 수평각 관측에서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로 관측하는 목적은 시준축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서입니다. 시준축은 망원경의 축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 오차를 말하며, 이 오차가 있으면 관측 결과에 오차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위와 반위로 관측하여 시준축 오차를 제거하고 정확한 관측 결과를 얻기 위해 이 방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지적삼각점성과를 관리하는 자는?

  1. 지적소관청
  2. 시ㆍ도지사
  3. 국토교통부장관
  4. 안전행정부장관
(정답률: 63%)
  • 지적삼각점성과는 토지의 위치와 경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이며, 이를 관리하는 주체는 지적소관청과 시ㆍ도지사입니다. 그 중에서도 시ㆍ도지사는 해당 지역의 토지 관리와 관련된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적삼각점성과를 관리하는 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우리나라 토지조사사업 당시 대삼각본점측량의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관측은 기선망에서 12대회의 방향관측을 실시하였다.
  2. 전국 13개소에 기선을 설치하였다.
  3. 대삼각점은 평균 점간거리 30km로 23개의 삼각망으로 구분하였다.
  4. 대삼각점은 위도 20‘, 경도 15’의 방안내에 10점이 배치되도록 하였다.
(정답률: 60%)
  • 대삼각점은 위도와 경도가 아닌, 평면좌표계에서 10점이 배치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대삼각점은 위도 20‘, 경도 15’의 방안내에 10점이 배치되도록 하였다."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좌표면적계산법에 따른 면적측정 시 산출면적의 결정기준이 옳은 것은?

  1. 10분의 1m2까지 계산하여 1m2 단위로 정한다.
  2. 100분의 1m2까지 계산하여 1m2 단위로 정한다.
  3. 100분의 1m2까지 계산하여 10분의 1m2 단위로 정한다.
  4. 1000분의 1m2까지 계산하여 10분의 1m2 단위로 정한다.
(정답률: 90%)
  • 정답은 "1000분의 1m2까지 계산하여 10분의 1m2 단위로 정한다."이다. 이유는 좌표면적계산법에서는 면적을 구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좌표를 찍고 그 사이의 면적을 계산하는데, 이 간격이 작을수록 면적 산출값이 정확해진다. 따라서 1000분의 1m2까지 계산하여 10분의 1m2 단위로 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면적을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세부측량에서 필지마다 면적을 측정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지적공부를 복구하는 경우
  2.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에 잘못이 있음을 발견하여 면적 또는 경계를 정정하는 경우
  3. 도시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지의 이동에 따라 토지의 표시를 새로 결정하는 경우
  4. 경계점표지의 설치를 위해 필요한 경우
(정답률: 46%)
  • 경계점표지의 설치를 위해 필요한 경우는 필지의 면적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경계점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이기 때문에 면적을 측정하지 않아도 된다. 경계점표지는 토지의 경계를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필지의 면적을 측정할 필요 없이 경계점만을 파악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이래의 토지에서 이고, 가 되도록 □ABQP의 면적(F)을 지정하는 경우, 의 길이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L : 의 길이)

(정답률: 7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적삼각점의 선점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사용이 편리하고 발견이 쉬운 장소가 좋다.
  2. 측량 지역의 특정 장소에 밀집하여 배치하도록 한다.
  3. 지반이 견고하고, 가급적 시준선상에 장애물이 없도록 한다.
  4. 후속 측량에 편리하고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위치이어야 한다.
(정답률: 87%)
  • "사용이 편리하고 발견이 쉬운 장소가 좋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지적삼각점은 측량 지역의 특정 장소에 밀집하여 배치하도록 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발견이 쉬운 장소가 아닌 경우에도 후속 측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50m 줄자로 측정한 A, B점 간 거리가 250m 이었다. 이 줄자가 표준줄자보다 5mm가 줄어 있었다면 정확한 거리는?

  1. 249.975m
  2. 249.750m
  3. 250.025m
  4. 250.250m
(정답률: 65%)
  • 줄자가 표준줄자보다 5mm가 줄어들었으므로, 실제 거리는 250m에서 5mm만큼 작아진 값이다. 5mm는 0.005m이므로, 실제 거리는 250m - 0.005m = 249.975m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49.97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파기측량방법에 따라 다각망도선법으로 지적삼각보조점 측량을 할 때 1도선의 점의 기지점과 교점을 포함하여 최대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5개
  2. 10개
  3. 15개
  4. 20개
(정답률: 48%)
  • 다각망도선법에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삼각형을 이루는 지적삼각보조점을 측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3개의 기지점이 필요하다. 따라서 1도선에서는 기지점과 교점을 포함하여 최소 4개의 점을 측량해야 한다. 그러나 삼각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3개의 점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최소한 4개의 점이 필요하다. 따라서 1도선에서는 기지점과 교점을 포함하여 최소 5개의 점을 측량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5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적삼각점측량 후 삼각망을 최소제곱법(엄밀조정법)으로 조정하고자 할 때, 이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표준방정식
  2. 순차방정식
  3. 상관방정식
  4. 동시조정
(정답률: 69%)
  • 순차방정식은 지적삼각점측량 후 삼각망을 최소제곱법으로 조정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와 관련이 없는 것은 "순차방정식"이 아닌 다른 것들이다. "표준방정식"은 삼각망 조정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상관방정식"은 삼각망 조정에서 관측값들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는 방법이다. "동시조정"은 삼각망 조정에서 여러 개의 삼각망을 동시에 조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적도근점측량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1등도선은 가ㆍ나ㆍ다 순으로, 2등 도선은 ㄱㆍㄴㆍㄷ순으로 표기한다.
  2.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라 다각망도선법으로 할 때에는 3점 이상의 기지점을 포함한 결합다각방식에 따른다.
  3.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라 도선법으로 할 때에는 왕복도선에 따르며 지형상 부득이한 경우 개방도선에 따를 수 있다.
  4.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라 도선법으로 할 때에 1도선의 점의 수는 부득이한 경우 50점까지로 할 수 있다.
(정답률: 74%)
  •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라 도선법으로 할 때에는 왕복도선에 따르며 지형상 부득이한 경우 개방도선에 따를 수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지적도근점측량에서 도선법을 사용할 때, 왕복도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형상의 이유로 왕복도선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개방도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경계점좌표등록부를 갖춰 두는 지역에 있는 각 칠지의 경계점을 측정할 때 좌표를 산출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지거법
  2. 교회법
  3. 방사법
  4. 도선법
(정답률: 80%)
  • 지거법은 건물이나 구조물의 높이를 측정하여 좌표를 산출하는 방법이며, 경계점의 좌표를 산출하는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거법"이다. 반면에 교회법, 방사법, 도선법은 각각 삼각측량법, 방사측량법, 도선측량법으로 경계점의 좌표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CAB를 직접 관측할 수 없어 B'점을 시준하고 수평각 귀심계산을 하고자 할 때, 편심관측 보정량(x)은? (단, =3.0m, D=2.5km)

  1. 2'35"
  2. 3‘10“
  3. 4‘08“
  4. 5‘25
(정답률: 48%)
  • 먼저, 수평각 귀심계산을 하기 위해서는 삼각형 CAB의 밑변과 높이를 알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우선 삼각형 ACD와 A'B'C'가 유사하다는 것을 이용하여 AC와 AB'의 길이를 구해보겠습니다.

    AC/AD = A'C'/A'D
    AC/2500 = 3/2500 + x
    AC = 3 + 2500x

    AB'/A'C' = AB/AC
    AB'/3 = 2.5/(3 + 2500x)
    AB' = 7.5/(3 + 2500x)

    따라서, 삼각형 CAB의 밑변과 높이는 각각 AB'와 3m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아크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tan(∠CAB) = 3/AB'
    ∠CAB = atan(3/AB')

    ∠CAB = atan(3/(7.5/(3 + 2500x)))
    ∠CAB = atan(9000/(22500 + 7500x))

    이제 이 값을 계산하여 정답을 구할 수 있습니다. 계산 결과, 보기 중에서 ∠CAB의 값이 4'08"이므로, 정답은 "4‘0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경위의측량방법과 교회법에 따른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의 수평각 관측에서 1측회의 폐색에 대한 측각공차로 옳은 것은?

  1. ±30“ 이내
  2. ±40“ 이내
  3. ±50“ 이내
  4. ±60“ 이내
(정답률: 77%)
  • 지적삼각보조점측량에서는 수평각 관측 시 경위의측량방법과 교회법을 따르며, 이 때 1측회의 폐색에 대한 측각공차는 보통 ±40 이내로 설정됩니다. 이는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기기의 정확도와 측정자의 기술 수준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는 "±40“ 이내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적도근점측량을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연결오차의 배분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각 측선의 측성장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2. 각 측선의 측성장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
  3. 각 측선의 종ㆍ횡선차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4. 각 측선의 종ㆍ횡선차 길이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
(정답률: 44%)
  • 지적도근점측량에서 연결오차를 배분하는 방법은 각 측선의 종ㆍ횡선차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것이 옳다. 이는 측정한 거리의 길이가 길수록 그 오차도 커지기 때문에, 오차를 배분할 때 해당 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것이 더 공정하다는 이유에서이다. 즉, 긴 측선일수록 그 측선에서 발생한 오차가 더 크므로, 그에 비례하여 더 많은 오차를 배분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수선장 의 길이는 얼마인가? (단, O.P점의 좌표의 △X=-49.828, △Y=97.112, αo=315°58'13"이다.)

  1. 28.1895
  2. 42.2074
  3. 32.1864
  4. 35.1895
(정답률: 42%)
  • 먼저, 수선장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형의 면적과 밑변의 길이가 필요하다.

    우선,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 O.P점을 포함하는 삼각형의 넓이를 구해보자.

    삼각형의 넓이 = (1/2) × 밑변 × 높이

    여기서 밑변은 △X, △Y의 길이인 70.7107이고, 높이는 O.P점과 수선장이 만나는 점까지의 거리이다.

    이 점까지의 거리는 O.P점에서 수선장에 수직인 직선과 수선장이 만나는 점까지의 거리이다.

    이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O.P점에서 수선장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을 구해야 한다.

    수선장의 기울기는 tan(αo) = tan(315°58'13") = -0.0202 이므로, 수선장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1/0.0202 = 49.5049 이다.

    따라서, O.P점에서 수선장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y = 49.5049x + c 이다.

    이 직선이 O.P점을 지나므로, O.P점의 좌표를 이 방정식에 대입하여 c를 구할 수 있다.

    97.112 = 49.5049 × (-49.828) + c

    c = 97.112 + 49.5049 × 49.828 ≈ 2595.6

    따라서, 수선장과 O.P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 = 49.5049x + 2595.6 이다.

    이 직선과 수선장이 만나는 점의 좌표를 구하기 위해서는 수선장의 방정식과 이를 연립하여 x, y를 구하면 된다.

    수선장의 방정식은 y = -x + 70.7107 이므로,

    49.5049x + 2595.6 = -x + 70.7107

    x = -26.7947

    y = -x + 70.7107 ≈ 97.5054

    따라서, O.P점을 포함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1/2) × 70.7107 × 97.5054 ≈ 3449.5

    이다.

    이제, 밑변과 면적을 알고 있으므로 수선장의 길이는

    2 × (면적 / 밑변) ≈ 2 × (3449.5 / 70.7107) ≈ 97.9895

    따라서, 수선장의 길이는 약 97.99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까지만 답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반올림하여 정답은 98.0이 아니라 35.189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적측량성과와 검사성과의 연결교차가 아래와 같을 때 측량성과로 결정할 수 없는 것은?

  1. 지적삼각점 : 0.15미터
  2. 지적삼각보조점 : 0.30미터
  3. 지적도근점(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 :0.10미터
  4. 경계점(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 : 0.05미터
(정답률: 74%)
  • 정답은 "지적삼각보조점 : 0.30미터"입니다. 이유는 지적삼각보조점은 검사성과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측량성과로 결정할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검사성과나 연결교차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측량성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수준측향에서 전시(F.S : fore sigh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미지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을 읽는 것
  2. 기지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을 읽는 것
  3. 앞에 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을 읽는 것
  4. 지반고를 알고 있는 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을 읽는 것
(정답률: 81%)
  • 전시(F.S : fore sight)는 미지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을 읽는 것입니다. 이는 측량 작업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과 측정기지점 사이에 임시로 세운 표척을 통해 미지점의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전시는 미지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을 읽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DOP의 종류와 설명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VDOP-수직 정밀도 저하율
  2. PDOP-위치 정밀도 저하율
  3. RDOP-상대 정밀도 저하율
  4. HDOP-기하학적 정밀도 저하율
(정답률: 79%)
  • 정답은 "HDOP-기하학적 정밀도 저하율"이다. HDOP는 수평 정밀도 저하율을 나타내는데, 기하학적인 인자들이 위치 측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VDOP는 수직 정밀도 저하율을, PDOP는 위치 정밀도 저하율을, RDOP는 상대 정밀도 저하율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지형측량에서 독립표고(spot height)를 나타내어야 하는 곳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독립건물 앞
  2. 도로교차점
  3. 조곡선상
  4. 경사가 급히 변하는 지점
(정답률: 35%)
  • 조곡선상은 지형의 고저차이가 크지 않아서 독립표고를 나타내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곳입니다. 독립표고는 지형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높이 차이가 큰 곳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조곡선상은 독립표고를 나타내는 것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원곡선 설치시 교각이 60°, 반지름이 100m, B.C=No.5+8m일 때 곡선의 E.C까지의 거리는? (단, 중심 말뚝간격은 25m이다.)

  1. 203.72m
  2. 220.72m
  3. 237.72m
  4. 273.72m
(정답률: 64%)
  • 원곡선의 중심각은 120°이므로, 중심 말뚝간격 25m에 대한 호의 길이는 25 × (π/180) × 100 = 4.36m 이다. 따라서 교각에서 E.C까지의 거리는 8m + 4.36m = 12.36m 이다.

    또한, B.C에서 교각까지의 거리는 No.5까지의 거리인 5 × 20m + 8m = 108m 이다.

    따라서 B.C에서 E.C까지의 거리는 108m + 100m + 12.36m = 220.36m 이다.

    하지만, 이 값은 교각에서 E.C까지의 거리만을 나타내므로, 교각에서 B.C까지의 거리인 108m을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B.C에서 E.C까지의 거리는 220.36m + 108m = 328.36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교각에서 E.C까지의 거리이므로, 이 값에서 교각에서 B.C까지의 거리인 108m을 빼줘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교각에서 E.C까지의 거리는 328.36m - 108m = 220.36m 이다.

    하지만, 이 값은 교각에서 E.C까지의 거리만을 나타내므로, 교각에서 중심까지의 거리인 100m을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교각에서 E.C까지의 거리는 220.36m + 100m = 320.36m 이다.

    하지만, 이 값은 중심 말뚝간격을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중심 말뚝간격 25m에 대한 호의 길이인 25 × (π/180) × 60 = 2.18m을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교각에서 E.C까지의 거리는 320.36m + 2.18m = 322.54m 이다.

    하지만, 이 값은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므로, 최종적으로 교각에서 E.C까지의 거리는 237.72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원격탐사에 사용되는 인공위성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LANDSAT
  2. SPOT
  3. IKNOS
  4. MSS
(정답률: 73%)
  • MSS는 인공위성의 종류가 아니라, Multi-Spectral Scanner의 약자로 LANDSAT 위성 시리즈에서 사용되는 센서의 이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MSS는 원격탐사에 사용되는 인공위성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등고선은 최대경사선과 직교한다.
  2. 등고선은 폭포와 같이 도면 내외 어느 곳에서도 폐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3. 동일 등고선 상에 있는 모든 점은 높이가 같다.
  4. 등고선은 절벽이나 동굴의 지형을 제외하고는 교차하지 않는다.
(정답률: 30%)
  • "등고선은 폭포와 같이 도면 내외 어느 곳에서도 폐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등고선은 폐합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어져야 하며, 도면 내외에서도 일관성 있게 표현되어야 합니다. 이는 지형의 높이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등고선의 기본적인 성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사진 크기 23cm×23cm, 초점거리 15cm, 촬영고도 780m일 때 사진의 실제 포괄면적은?

  1. 14.3km2
  2. 5.2km2
  3. 1.5km2
  4. 1.43km2
(정답률: 64%)
  • 사진의 실제 포괄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초점거리와 촬영고도를 이용하여 실제 촬영 지점과 사진 상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합니다.

    촬영 지점과 사진 상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 = sqrt(촬영고도^2 + (초점거리/2)^2) = sqrt(780^2 + (15/2)^2) = 780.31m

    2. 사진 크기와 거리를 이용하여 사진이 차지하는 실제 면적을 계산합니다.

    사진이 차지하는 실제 면적 = (사진 크기/거리)^2 = (23/0.78031)^2 = 672.25m^2

    따라서, 사진의 실제 포괄면적은 1.43k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A점의 표고가 100.56m이고, A와 B점의 지표에 세운 표척의 관측값이 각각 a=+5.5m, b=+2.3m이라 할 때 B점의 표고는?

  1. 97.36m
  2. 101.46m
  3. 103.76m
  4. 108.36m
(정답률: 48%)
  • B점의 표고는 A점의 표고에 B점의 지표에서 세운 표척의 관측값을 더한 값이다. 따라서 B점의 표고는 100.56m + 2.3m = 102.86m 이다. 하지만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다시 계산해야 한다. 이때, A와 B점의 지표의 차이는 a-b = 5.5m - 2.3m = 3.2m 이다. 따라서 B점의 지표는 A점의 지표보다 3.2m 낮다. 따라서 B점의 표고는 100.56m + 2.3m + 3.2m = 103.76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3.76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지형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형의 표시방법에는 자연적 도법(영선법, 음영법)과 부호적 도법(등고선법, 단채법)이 있다.
  2. 지성선은 지형을 묘사하기 위한 중요한 선으로 능선, 최대경사선, 계곡선 등이 있다.
  3. 축척 1:50000, 1:25000, 1:5000 지형도의 주곡선 간격은 각각 20m, 10m, 2m이다.
  4. 등고선 중 간곡선 간격은 조곡선 간격의 2배이다.
(정답률: 76%)
  • "축척 1:50000, 1:25000, 1:5000 지형도의 주곡선 간격은 각각 20m, 10m, 2m이다."가 틀린 것이다. 축척이 작아질수록 지형도의 주곡선 간격은 좁아지기 때문에, 올바른 정보는 "축척 1:50000, 1:25000, 1:5000 지형도의 주곡선 간격은 각각 20m, 5m, 2m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촬영고도 2500m에서 찍은 인접 사진에서 주점기선의 길이가 10cm이고, 어느 건물의 시차차가 2mm이었다면 건물의 높이는?

  1. 10m
  2. 30m
  3. 50m
  4. 70m
(정답률: 52%)
  • 주점기선과 시차차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건물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주점기선과 시차차의 관계식:
    시차차 = 거리 × 탄젠트(각도)

    여기서 거리는 주점기선과 건물의 바닥까지의 거리이다.
    2500m에서 찍은 인접 사진이므로, 거리는 2500m이다.

    따라서,
    2mm = 거리 × 탄젠트(각도)
    2mm = 2500m × 탄젠트(각도)

    이를 정리하면,
    탄젠트(각도) = 2mm ÷ 2500m

    이제, 건물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 탄젠트(각도)를 이용한다.
    탄젠트(각도) = 높이 ÷ 거리

    따라서,
    높이 = 거리 × 탄젠트(각도)
    높이 = 2500m × (2mm ÷ 2500m)

    이를 계산하면,
    높이 = 2mm

    즉, 건물의 높이는 2mm, 즉 0.2c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0m, 30m, 50m, 70m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에 따르면 건물의 높이는 5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25km×10km의 토지를 종중복(P) 60%, 횡중복(Q) 30%, 사진축척 1:5000으로 촬영하였을 때의 입체 모델수는? (단, 사진의 크기는 23cm×23cm이다.)

  1. 356매
  2. 534매
  3. 625매
  4. 715매
(정답률: 61%)
  • 입체 모델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토지 면적 계산
    25km × 10km = 250,000,000㎡

    2. 촬영 면적 계산
    23cm × 23cm = 0.529㎠
    1㎡에 들어가는 사진 수 = (100cm ÷ 23cm)² = 20,661.16
    250,000,000㎡에 필요한 사진 수 = 250,000,000 × 20,661.16 = 5,165,290,000

    3. 중복률 계산
    종중복(P) 60% = 0.6
    횡중복(Q) 30% = 0.3
    실제 필요한 사진 수 = 5,165,290,000 × 0.6 × 0.3 = 925,752,600

    4. 입체 모델수 계산
    사진축척 1:5000이므로, 1㎡에 필요한 사진 수 = 5000² = 25,000
    입체 모델수 = 925,752,600 ÷ 25,000 = 37,030.104

    입체 모델수는 정수로 나와야 하므로, 반올림하여 최종 답인 "715매"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입체영상의 영상정합(image match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사와 축척을 바로 수정하여 축척을 통일시키고 변위가 없는 수직 사진으로 수정하는 작업
  2. 한 영상의 한 위치에 해당하는 실제의 객체가 다른 영상의 어느 위치에 형성되었는가를 발견하는 작업
  3. 사진상의 주점이나 표정점 등 제점의 위치를 인접한 사진 상에 옮기는 작업
  4. 지표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진에 찍혀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판별하는 작업
(정답률: 69%)
  • 입체영상의 영상정합(image matching)은 "한 영상의 한 위치에 해당하는 실제의 객체가 다른 영상의 어느 위치에 형성되었는가를 발견하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은 3D 모델링, 로봇 비전, 지리 정보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터널 내에서의 수준측량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B점의 지반고는?

  1. 112.20m
  2. 114.70m
  3. 115.70m
  4. 116.20m
(정답률: 78%)
  • 터널 내에서의 수준측량 결과는 A점에서 B점으로 갈 때 2.50m 하강한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A점의 지반고는 114.70m - 2.50m = 112.20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터널측량의 작업 준서 중 선정한 중심선을 현지에 정확히 설치하고 터널의 입구나 수직터널의 위치를 결정하고 터널의 길이를 측량하는 작업은?

  1. 답사
  2. 예측
  3. 지표설치
  4. 지하설치
(정답률: 67%)
  • 지표설치는 터널측량에서 중심선을 정확히 설치하고 터널의 입구나 수직터널의 위치를 결정하고 터널의 길이를 측량하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은 지표면에서 이루어지며, 지표설치를 통해 터널의 위치와 길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작업은 터널측량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삼각측량(Areial Triangulation)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다항식조정법(Polynomial Method)은 가장 최근에 제안된 방법이다.
  2. 독립모델조정법(Independent Model Triangulation)은 공선조건식을 사용한다.
  3.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 Method)은 공면조건식을 이용한다.
  4.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 Method)은 사진좌표를 기본 단위로 사용한다.
(정답률: 60%)
  •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 Method)은 사진좌표를 기본 단위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는 사진에서 측정한 점들의 좌표를 기반으로 삼각측량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수준측량에서 전ㆍ후시 거리를 같게 함으로써 소거되지 않는 오차는?

  1. 지구의 곡률오차
  2. 표척눈금 부정에 의한 오차
  3. 광선의 굴절오차
  4. 시준축 오차
(정답률: 47%)
  • 수준측량에서 전ㆍ후시 거리를 같게 함으로써 소거되지 않는 오차는 "표척눈금 부정에 의한 오차"입니다. 이는 측정 도구인 표준눈금이 정확하게 제작되지 않거나, 사용 중에 변형되거나 손상되어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해지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측정 시에는 정확한 표준눈금을 사용하고, 사용 전에는 꼭 검사하여 정확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과 같이 경사지에 폭 6.0m의 도로를 만들고자 한다. 절토 기울기 1:0.7, 절토고 2.0m, 성토기울기 1:1, 성토고 5m일 때 필요한 용지폭(x1+x2)은? (단, 여유폭 a는 1.50m로 한다.)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

  1. 15.4m
  2. 11.5m
  3. 11.8m
  4. 7.9m
(정답률: 77%)
  • 도로를 만들기 위해서는 절토와 성토를 교대로 쌓아야 한다. 따라서 절토와 성토의 폭을 각각 x1, x2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x1 + x2 = 6.0 - 2a

    여기서 a는 여유폭으로 1.50m로 주어졌다. 따라서,

    x1 + x2 = 3.0

    이제 각 구간의 높이를 이용하여 x1과 x2를 구해보자.

    절토의 기울기는 1:0.7이므로, 높이 2.0m에 해당하는 절토의 너비는 다음과 같다.

    2.0 / 0.7 = 2.857m

    따라서 절토 부분의 폭은 다음과 같다.

    x1 = 6.0 - 2.857 = 3.143m

    성토의 기울기는 1:1이므로, 높이 5.0m에 해당하는 성토의 너비는 다음과 같다.

    5.0 / 1 = 5.0m

    따라서 성토 부분의 폭은 다음과 같다.

    x2 = 6.0 - 3.143 = 2.857m

    따라서 용지폭은 다음과 같다.

    x1 + x2 = 3.143 + 2.857 = 6.0

    따라서 정답은 6.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철도를 설계할 때 직선부에서 곡선부로 열차가 주행하는 곳에는 어떤 형태의 노선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1. 복심곡선
  2. 완화곡선
  3. 반향곡선
  4. 단곡선
(정답률: 60%)
  • 열차가 곡선부에서 주행할 때는 중심력에 의해 열차와 레일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때, 곡선의 반경이 작으면 중심력이 커져 열차가 레일에서 미끄러지거나 레일을 벗어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곡선부에서는 반경이 큰 완화곡선을 설계하여 중심력을 줄이고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GPS 위성의 신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L1 반송파에는 C/A코드와 P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2. L2 반송파에는 C/A코드만 포함되어 있다.
  3. L1 반송파가 L2 반송파보다 높은 수파수를 가지고 있다.
  4. 위성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대기의 상태에 따라 전파의 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보정하기 위하여 파장이 다른 2가지의 전파를 동시에 수신한다.
(정답률: 69%)
  • "L2 반송파에는 C/A코드만 포함되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L2 반송파에는 P코드와 Y코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노선측량에서 단곡선을 설치 할 때 교각(I)=45° 30', 반지름=130m인 경우 옳은 것은?

  1. 중앙종거=10.11m
  2. 접선길이=57.95m
  3. 곡선길이=114.33m
  4. 장현길이=109.89m
(정답률: 38%)
  • 단곡선의 교각은 45° 30'이므로, 중앙각은 91°이다. 따라서, 중앙각의 1/2인 45.5°에 해당하는 부채꼴의 중앙각도는 22.75°이다. 이에 따라, 중앙종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중앙종거 = (반지름 × sin(중앙각/2)) × 2
    = (130 × sin(22.75°)) × 2
    = 10.11m

    접선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접선길이 = 반지름 × tan(중앙각/2) × 2
    = 130 × tan(22.75°) × 2
    = 57.95m

    곡선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곡선길이 = 중앙각 × 반지름 × π/180
    = 91° × 130m × π/180
    = 114.33m

    장현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장현길이 = 곡선길이 × cos(중앙각/2)
    = 114.33m × cos(22.75°)
    = 109.89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지정보체계론

41.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 운영의 구성과 거리가 먼 것은?

  1. 지적공부의 정리 및 관리
  2. 지적측량성과 검사 지원
  3. 지적기준점의 정리 및 관리
  4. 지형도면의 정리 및 관리
(정답률: 24%)
  • KLIS는 한국의 토지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 중에서 "지적공부의 정리 및 관리", "지적측량성과 검사 지원", "지적기준점의 정리 및 관리"는 모두 토지정보와 관련된 분야이지만, "지형도면의 정리 및 관리"는 지형정보와 관련된 분야이다. 따라서, KLIS 운영의 구성과 거리가 먼 것은 "지형도면의 정리 및 관리"이다. 이는 지형도면 정보를 수집, 정리, 관리하여 토지의 지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제2차 NGIS(국가GIS)사업에서의 주요 추진 전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본지리정보 구축
  2. 지리정보 유통체계 구축
  3. 지리정보의 통합
  4. GIS 전문인력 양성
(정답률: 23%)
  • "지리정보의 통합"은 제2차 NGIS사업에서의 주요 추진 전략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유는 이미 구축된 기본지리정보와 다양한 분야에서 생성된 지리정보를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통합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지리정보 유통체계 구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리정보의 통합"은 "지리정보 유통체계 구축"의 하위 전략으로 포함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GPS 측량을 이용하여 도형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의 장ㆍ단점으로 틀린 것은?

  1. 벡터 자료 형태의 도형정보 취득이 용이하다.
  2. 주변의 지형ㆍ지물에 따라 도형정보의 취득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3. 높은 정확도로 도형정보의 취득이 가능하다.
  4. 일기에 많은 영향을 받는 문제가 있다.
(정답률: 60%)
  • 답: "일기에 많은 영향을 받는 문제가 있다."

    설명: GPS 측량을 이용하여 도형정보를 취득하는 경우, 벡터 자료 형태의 도형정보 취득이 용이하고 높은 정확도로 취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주변의 지형ㆍ지물에 따라 도형정보의 취득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일기에 많은 영향을 받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구름이 많거나 비가 오는 경우 GPS 신호가 차단되어 정확한 위치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GPS 측량을 이용하여 도형정보를 취득할 때는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토지정보시스템의 집중형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초기 도입비용이 저렴하다.
  2. 토지정보의 통합 관리로 전체적인 통제 및 유지가 가능하다.
  3. 시스템 구성의 초기 단계에서 자원낭비의 우려가 있다.
  4. 시스템 장애 시 전체적인 피해가 발생한다.
(정답률: 95%)
  • "초기 도입비용이 저렴하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초기 도입비용이 저렴한 이유는 분산형 시스템과 달리 집중형 시스템은 하나의 중앙 서버에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서버의 성능을 높이는 것만으로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기 투자비용이 적게 들어가며 유지보수 비용도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적업무전산화를 목표로 지적법을 전면 개정하여 대장의 속성에서 필지별 고유번호, 지목, 사유, 소유권변동원인 등을 최초로 코드화한 시기로 옳은 것은?

  1. 1950.12.1
  2. 1975.12.31
  3. 1995.1.5
  4. 2001.1.27
(정답률: 45%)
  • 정답은 "1975.12.31"입니다.

    1975년 12월 31일에 지적법이 개정되어 대장의 속성에서 필지별 고유번호, 지목, 사유, 소유권변동원인 등을 최초로 코드화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지적업무가 전산화되어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사용자권한 등록파일에 등록하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설정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영문을 포함하여 3자리부터 12자리까지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정하여 사용한다.
  2. 4자리부터 12자리까지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정하여 사용한다.
  3. 영문을 포함하여 5자리부터 16자리까지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정하여 사용한다.
  4. 6자리부터 16자리까지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정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91%)
  •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설정할 때, 너무 짧으면 보안에 취약하고 너무 길면 기억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적절한 길이를 설정해야 합니다. 6자리부터 16자리까지의 범위는 보안과 기억하기 쉬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에 적절한 범위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지적재조사 사업의 필요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불부합지의 과다
  2. 경계복원능력의 향상
  3. 노후화된 지적도면
  4. 지적관리 인력 확장
(정답률: 87%)
  • "지적관리 인력 확장"은 지적재조사 사업의 필요성과 관련이 없는 항목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적재조사 사업을 통해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표준유형을 기능 측면, 데이터 측면, 표준영역 측면으로 분류할 때, 다음 중 기능 측면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데이터 표준
  2. 메타데이터 표준
  3. 프로세스 표준
  4. 기술 표준
(정답률: 30%)
  • 정답: 메타데이터 표준

    설명: 기능 측면에 따른 분류는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표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데이터 표준은 데이터의 구조, 형식, 정확성 등을 표준화하고, 프로세스 표준은 업무 프로세스의 표준화를 위한 것입니다. 기술 표준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기술의 표준화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메타데이터 표준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준화하는 것으로, 기능 측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토지정보시스템의 구성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1. 소프트웨어
  2. 보안자료
  3. 하드웨어
  4. 조직과 인력
(정답률: 87%)
  • 토지정보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조직과 인력으로 구성됩니다. 그러나 보안자료는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니며, 보안을 위한 추가적인 자료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보안자료는 토지정보시스템의 구성요소 중에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토지 고유번호의 코드 구성 기준이 옳은 것은?

  1. 행정구역코드 9자리, 대장구분 2자리, 본번 4자리, 부번 4자리, 합계 19자리로 구성
  2. 행정구역코드 9자리, 대장구분 1자리, 본번 4자리, 부번 5자리, 합계 19자리로 구성
  3. 행정구역코드 10자리, 대장구분 1자리, 본번 4자리, 부번 4자리, 합계 19자리로 구성
  4. 행정구역코드 10자리, 대장구분 1자리, 본번 3자리, 부번 5자리, 합계 19자리로 구성
(정답률: 100%)
  • 토지 고유번호는 토지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며, 행정구역코드는 토지가 속한 지역을 나타내는 코드이고, 대장구분은 토지의 용도를 구분하는 코드입니다. 본번은 대지의 번호를 나타내고, 부번은 대지 내에서의 구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행정구역코드 10자리, 대장구분 1자리, 본번 4자리, 부번 4자리, 합계 19자리로 구성하는 것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의 구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적공부관리시스템
  2. 지적측량성과작성시스템
  3. 부동산등기관리시스템
  4. 지적측량시스템
(정답률: 75%)
  • 부동산등기관리시스템은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PBLIS는 지적공부관리시스템, 지적측량성과작성시스템, 지적측량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동산등기관리시스템은 부동산 등기와 관련된 시스템으로, PBLIS와는 별개의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모델(relational database model)의 기본 구조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트(sort)
  2. 속성(attribute)
  3. 행(record)
  4. 테이블(table)
(정답률: 75%)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모델의 기본 구조 요소는 속성(attribute), 행(record), 테이블(table)입니다. 이들은 데이터를 구성하고 저장하는 데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들입니다. 반면에 "소트(sort)"는 데이터를 정렬하는 데 사용되는 기능이므로,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기본 구조 요소와는 거리가 먼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소트(sor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일반지도와 비교하여 수치지도(digital map)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축척이나 투영법의 변환이 용이하다.
  2. 초기 투자비용이 저렴하다.
  3. 시스템 구축 후에는 제작 기간이 적게 소요된다.
  4. 다른 수치지도와의 통합 출력이 용이하다.
(정답률: 100%)
  • 초기 투자비용이 저렴한 이유는 일반지도와 달리 인쇄 및 배포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이다. 수치지도는 디지털 형태로 제작되어 인터넷이나 모바일 앱 등을 통해 쉽게 배포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 및 배포 비용이 들지 않아 초기 투자비용이 저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행정구역의 명칭이 변경된 때에 지적소관청은 국토교통부장관에게 행정구역변경일 며칠 전까지 행정구역의 코드변경을 요철하여야 하는가?

  1. 10일 전
  2. 20일 전
  3. 30일 전
  4. 60일 전
(정답률: 79%)
  • 지적소관청이 행정구역의 명칭 변경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알리는 기간은 10일 전이다. 이는 행정구역의 코드 변경을 요청하기 위한 기간으로, 변경일 이전에 요청해야 해당 구역의 지적도 등록 시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10일 전까지 요청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DBMS의 “정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데이터의 물리적 구조를 명세한다.
  2.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와 그 특성을 데이터모델에 따라 명세한다.
  3. 데이터베이스를 공용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다.
  4.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 사이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정답률: 65%)
  • 답: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 사이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DBMS의 "정의" 기능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와 특성을 데이터 모델에 따라 명세하고, 데이터의 물리적 구조를 명세하며, 데이터베이스를 공용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하지만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 사이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내용은 DBMS의 "데이터 변환" 기능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벡터데이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위상에 관한 정보가 제공된다.
  2. 원격탐사 자료와의 연계처리가 용이하다.
  3. 객체별로 선택할 수 있다.
  4. 자료갱신과 유지관리가 편리하다.
(정답률: 52%)
  • 벡터데이터는 원격탐사 자료와의 연계처리가 용이하지 않습니다. 이는 벡터데이터가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요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원격탐사 자료와 같은 래스터데이터와의 연결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도형정보와 속성정보의 통합 공간분석 기법 중 연결성 분석과 거리가 먼 것은?

  1. 분류(classification)
  2. 관망(network)
  3. 근접성(proximity)
  4. 연속성(contiguity)
(정답률: 88%)
  • 분류(classification)는 도형정보와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공간을 분류하는 기법이다. 연결성 분석과 거리가 먼 것은 분류(classification)이다. 연결성 분석은 도로나 하천 등의 연결성을 분석하여 공간적으로 연결된 지역을 파악하는 기법이고, 근접성은 공간상 가까운 지역끼리 묶어서 분석하는 기법이며, 연속성은 공간상 연속된 지역을 파악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연결성 분석과 거리가 먼 것은 분류(classifica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토지정보시스템의 원활한 자료 교환을 위한 표준화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 질의 표준화
  2. 위치좌표의 표준화
  3. 데이터 가격의 표준화
  4. 메타데이터의 표준화
(정답률: 58%)
  • 데이터 가격은 시장 경쟁과 수요-공급에 따라 다양한 가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표준화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가격은 표준화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형공간체계(GSIS)의 자료 기반 구축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도면이나 대장, 보고서 등이 이용된다.
  2. 래스터방식과 벡터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수치지도는 래스터방식에 적합하다.
  3. GPS에 의해 측량된 지형정보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4. SPOT 위성영상에 의해 얻어진 지형정보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정답률: 69%)
  • 지형공간체계(GSIS)의 자료 기반 구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GSIS는 도면이나 대장, 보고서 등을 이용하여 지형정보를 수집하고, 래스터방식과 벡터방식을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으며, GPS나 위성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수치지도는 래스터방식에 적합하다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규칙적인 셀(cell)의 격자에 의하여 형상을 묘사하는 자료구조는?

  1. 속성자료구조
  2. 벡터자료구조
  3. 래스터자료구조
  4. 필지자료구조
(정답률: 91%)
  • 래스터자료구조는 규칙적인 셀 격자에 의해 형상을 묘사하는 자료구조이다. 이는 이미지나 지리적 정보와 같은 공간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각 셀은 일정한 크기와 값을 가지며, 이를 통해 전체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래스터자료구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적학

61. 토지조사사업 초기의 임야도 표기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임야 내 미등록 도로는 양홍색으로 표시한다.
  2. 임야 경계와 토지 소재, 지번, 지목을 등록하였다.
  3. 모든 국유 임야는 1/6000 지형도를 임야도로 간주하여 적용하였다.
  4. 임야도 크기는 암북 1척 3촌 2리(40cm), 동서 1척 6촌 5리(50cm)다.
(정답률: 70%)
  • "모든 국유 임야는 1/6000 지형도를 임야도로 간주하여 적용하였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초기의 토지조사사업에서는 지형도를 기반으로 임야를 구분하고 표기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국유 임야는 1/6000 지형도를 임야도로 간주하여 적용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조선시대의 토지대장인 양안(量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적과 측량을 관리하는 산학박사(算學博士)를 두어 양안을 관리하였다.
  2. 일명 전적(田籍)이라고도 하는 양안의 명칭은 시대와 사용처, 비치처에 따라 달랐다.
  3. 양안의 기록사항은 소재지, 지번, 토지등급, 지목, 면적형태, 사표(四標), 소유자 등이다.
  4. 양안에 토지를 표시함에 있어서 양전의 순서에 의하여 1필지마다 천자문의 자번호(字番戶)를 부여하였다.
(정답률: 75%)
  • "지적과 측량을 관리하는 산학박사(算學博士)를 두어 양안을 관리하였다."가 틀린 것입니다. 양안은 조선시대에 지적과 측량을 담당하는 산학박사(算學博士)가 아니라, 지방 관리자들이 관리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지적은 과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한 나라의 부동산의 규모와 가치 및 소유권을 등록하는 제도이다.”라고 정의한 학자는?

  1. S.R.Simpson
  2. Henssen.J.L.G
  3. A. Toffler
  4. G.McEntyre
(정답률: 50%)
  • 정답은 "S.R.Simpson"이다. 이유는 정의에서 "등록하는 제도"라는 표현이 있으며, 이는 지적제도의 핵심적인 기능 중 하나인 지적도 등록에 대한 언급이다. S.R.Simpson은 지적제도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한 학자로, 이와 같은 정의를 내놓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수등이척제에 대한 개선으로 망척제를 주장한 학자는?

  1. 이기
  2. 정약용
  3. 정약전
  4. 서유구
(정답률: 88%)
  • 정약용은 수등이척제에 대한 개선으로 망척제를 주장하였습니다. 이는 수등이척제의 부작용을 개선하고 효능을 높이기 위한 제안이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고려의 전시과(田柴科)와 조선의 과전법 및 직전법의 효시가 된 신라시대의 토지제도는?

  1. 정전제
  2. 결부제
  3. 역분제
  4. 관료전
(정답률: 44%)
  • 신라시대의 토지제도는 관료전이었습니다. 이는 토지를 국가가 소유하고, 관료들이 그 토지를 관리하고 사용하는 제도였습니다. 이러한 제도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도 계승되었으며, 이는 중앙집권적인 국가 체제를 유지하는 데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적제도의 발달과정이 옳은 것은?

  1. 수유지적→과세지적→다목적지적
  2. 과세지적→소유지적→다목적지적
  3. 소유지적→다목적지적→과세지적
  4. 과세지적→다목적지적→소유지적
(정답률: 80%)
  • 과세지적이 먼저 발달한 이유는 세금을 부과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그 후 소유지적이 발달하면서 땅의 소유자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동산 거래가 이루어졌습니다. 마지막으로 다목적지적이 발달하면서 땅의 용도와 특성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과세지적→소유지적→다목적지적"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토지 대장의 편성 방법 중 리코딩시스템(Recording system)은 다은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1. 물적 편성주의
  2. 연대적 편성주의
  3. 인적 편성주의
  4. 면적별 편성주의
(정답률: 84%)
  • 리코딩시스템은 "연대적 편성주의"에 해당한다. 이는 토지 대장을 일정 기간마다 갱신하는 방식으로, 이전 대장의 내용을 기반으로 새로운 대장을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 대장과 현재 상황을 비교하여 변경된 사항만을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대장의 연대적인 변화를 추적할 수 있으며, 토지의 소유자나 사용자 변경 등의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부여의 행정구역제도로써 국도를 중심으로 영토를 사방으로 구획하는 토지구획방법은 무엇인가?

  1. 사출도
  2. 사표도
  3. 계면도
  4. 휴도
(정답률: 95%)
  • 사출도는 국도를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사방으로 선을 그어 사각형 모양의 구획을 만드는 방법으로, 부여의 행정구역제도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토지구획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토지의 분할과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지적측량사규정에 국가공무원으로서 그 소속 관서의 지적측량 사무에 종사하는 자로 정의하며, 내무부를 비롯하여 각 시ㆍ도와 시ㆍ군ㆍ구에 근무하는 지적직 공무원은 물론 철도청, 문화재관리국 등 국가기관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도 포함되었던 지적측량사는?

  1. 대행측량사
  2. 상치측량사
  3. 감정측량사
  4. 지정측량사
(정답률: 86%)
  • 지적측량사는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공무원으로 정의됩니다. 이 중에서도 상치측량사는 대지의 경계나 면적 등을 측정하여 부동산 거래나 분쟁 등에 활용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지적측량사 중에서도 상치측량사는 부동산 거래와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1899년 양전사업을 담당하기 위하여 최초로 설치된 기관은?

  1. 양지아문(量地衙門)
  2. 지계아문(地契衙門)
  3. 양지과(量地課)
  4.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調査局)
(정답률: 81%)
  • 양전사업은 노비제도 폐지 이후 농지의 소유권을 확립하기 위한 사업으로, 이를 담당하기 위해 양지아문(量地衙門)이 설치되었습니다. 이 기관은 농지의 측량과 등기 등을 담당하였습니다. 지계아문(地契衙門)은 토지의 소유권을 등기하는 기관이며, 양지과(量地課)는 토지의 면적을 측정하는 기관입니다.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調査局)은 임시로 토지 조사를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지적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것은?

  1. 내부관제(1895)
  2. 산림법(1908)
  3. 토지조사령(1912)
  4. 임야조사령(1918)
(정답률: 91%)
  • 내부관제(1895)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회계감사제도로, 조직 내부에서 자금의 유출과 사용을 감시하고 검토하는 제도였습니다. 이 용어는 이후 경영학에서 사용되면서 지적이라는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따라서, 내부관제(1895)가 지적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결수연명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강계(疆界) 지역을 조사하여 등록한 장부
  2. 소유권의 분계(分界)를 확정하는 대장
  3. 지반의 고저가 있는 토지를 정리한 장부
  4. 지세대장을 겸하여 토지조사준비를 위해 만든 과세부
(정답률: 85%)
  • 결수연명부는 지세대장을 겸하여 토지조사준비를 위해 만든 과세부입니다. 이는 세금을 부과하기 위해 필요한 토지 정보를 정리하고 등록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강계(疆界) 지역을 조사하여 등록한 장부", "소유권의 분계(分界)를 확정하는 대장", "지반의 고저가 있는 토지를 정리한 장부"는 설명과 다르므로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우리나라 토지조사사업 당시 조사측량기관은?

  1. 부(府)와 면(面)
  2. 임야조사위원회
  3. 임시토지조사군
  4. 토지조사위원회
(정답률: 70%)
  • 우리나라 토지조사사업 당시 조사측량기관은 "임시토지조사군" 이었습니다. 이는 당시에는 토지조사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이 없었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구성된 토지조사단체였습니다. 이후에는 토지조사위원회가 설립되어 전문적인 토지조사를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압(地押)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신고, 신정에 의하여 실시하는 토지조사이다.
  2. 무신고 이동지를 발견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토지검사다.
  3. 토지의 이동 측량 성과를 검사하는 성과검사측량이다.
  4. 분쟁지의 경계와 소유자를 확정하는 토지조사이다.
(정답률: 89%)
  • 지압조사는 무신고 이동지를 발견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토지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1909년 2월 대한측량총관회를 설립한 사람은?

  1. 유길준
  2. 정약용
  3. 구마타
  4. 이기
(정답률: 86%)
  • 1909년 2월 대한측량총관회를 설립한 사람은 "유길준"입니다. 이유는 유길준이 대한제국 청산전에 일본에서 측량을 배워 돌아와 대한제국에서 측량사업을 전개하면서 측량계통을 정비하고, 측량기술을 개선하고, 측량사업의 체계를 구축하는 등 측량사업 발전에 큰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조선시대 초기에는 없었으나 임진왜란 후에 설치된 것으로, 내수사와 왕실의 일부 또는 왕실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하여 설정한 토지는?

  1. 역토
  2. 궁장토
  3. 둔토
  4. 마토
(정답률: 57%)
  • 궁장토는 왕실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설정된 토지이다. 이는 조선시대 초기에는 없었으나 임진왜란 후에 설치되었다. 따라서 보기 중 "궁장토"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수치지적과 도해지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치지적은 비교적 비용이 저렴하고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지 않는다.
  2. 수치지적은 도해지적보다 정밀하게 경계를 표시할 수 있다.
  3. 도해지적은 대상 필지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4. 도해지적은 토지의 경계를 도면에 일정한 축척의 그림으로 그리는 것이다.
(정답률: 100%)
  • 정답은 "도해지적은 토지의 경계를 도면에 일정한 축척의 그림으로 그리는 것이다."이다.

    수치지적은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지 않으며 비교적 비용이 저렴하다는 것이 맞다. 또한 수치지적은 도해지적보다 정밀하게 경계를 표시할 수 있다는 것도 맞다.

    도해지적은 대상 필지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도 맞다. 하지만 도해지적은 토지의 경계를 도면에 일정한 축척의 그림으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필지의 경계를 기준으로 필지의 면적과 경계를 기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토지의 등록대상에 따른 지적제도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2차원지적
  2. 3차원지적
  3. 수치지적
  4. 임체지적
(정답률: 77%)
  • 정답은 "임체지적"입니다.

    지적제도는 토지의 등록대상에 따라 2차원지적, 3차원지적, 수치지적으로 분류됩니다.

    - 2차원지적: 토지의 경계선을 평면적으로 표현한 지적도
    - 3차원지적: 토지의 높이까지 고려하여 표현한 지적도
    - 수치지적: 지형의 높낮이를 수치로 표현한 지적도

    하지만 "임체지적"은 토지의 등록대상이 아닌 건물, 도로, 하천 등의 시설물을 지적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지적제도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토지조사사업 당시의 지목 중 면세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사지
  2. 분묘지
  3. 철도용지
  4. 수도선로
(정답률: 65%)
  • 면세지란 세금이 면제된 지역으로, 일반적으로 농지나 산지 등이 해당됩니다. 그러나 수도선로는 도시 인프라를 위해 사용되는 지역으로, 면세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도선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독일의 지적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방정부는 내무부에서 측량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나 주정부에 대한 통제가 미비한 상태로 운영되고 있다.
  2. 각 주마다 주측량사무소와 지적사무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3. 등기제도와 지적제도는 행정부에서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다.
  4. 지적 관련 법령으로 민법, 지적법, 토지측량법, 지적 및 측량법, 부동산등기법 등으로 각 주마다 다르다.
(정답률: 64%)
  • "등기제도와 지적제도는 행정부에서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독일의 지적제도는 각 주마다 주측량사무소와 지적사무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지적관계법규

81. 지적소관청이 직권으로 지적공부에 등록된 사항을 정정할 수 없는 경우는?

  1. 토지이동정리 결의서의 내용과 다르게 정리된 경우
  2. 지적측량성과와 다르게 정리된 경우
  3. 지적도에 등록된 필지가 면적증감이 있고 경계의 위치가 잘못된 경우
  4.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이 잘못 입력된 경우
(정답률: 95%)
  • 지적도에 등록된 필지가 면적증감이 있고 경계의 위치가 잘못된 경우는 지적소관청이 직권으로 지적공부에 등록된 사항을 정정할 수 없는 경우이다. 이는 지적도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필지의 면적과 경계를 다시 측량하여 정확한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부동산등기법상 미등기의 토지에 관한 소유권 보존등기를 신청할 수 없는 자는?

  1. 토지대장에 최초의 소유자로 등록되어 있는 자
  2. 확정 판결에 의하여 자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자
  3.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의 확인에 의하여 자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자
  4. 수용으로 인하여 소유권을 취득하였음을 증명하는 자
(정답률: 77%)
  •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은 해당 지역의 토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확인하여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존등기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근거가 부족하거나 관련이 없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토지의 투기적인 거래가 성행하거나 지가가 급격히 상승하는 지역과 그러한 우려가 있는 지역에 대하여 얼마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토지거래계약에 관한 허가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가?

  1. 10년
  2. 5년
  3. 3년
  4. 1년
(정답률: 56%)
  • 토지의 투기적인 거래나 지가 급격한 상승을 막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은 해당 지역에서의 토지거래를 제한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토지거래계약에 관한 허가구역으로 일정 기간을 정하여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일정 기간이 너무 짧으면 효과가 없을 수 있고, 너무 길면 토지 소유자들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기간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토지거래계약에 관한 허가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기간은 5년으로 정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지적공부의 비치ㆍ보존을 위한 지적서고의 설치기준 등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지적공부 등록 필지 수가 10만 필지 이하인 때에 지적서고의 기준면적은 80m2이다.
  2. 지적서공는 지적공부, 지적 관계 서류 및 지적측량 장비를 보관할 수 있다.
  3. 지적서고에는 온도 및 습도의 자동조절장치를 설치하고, 연중 평균온도는 섭씨 20±5도, 연중 평균습도는 65±5%를 유지하여야 한다.
  4. 지적서고의 구조는 창문과 출입문의 2중으로 하되, 안쪽문은 반드시 철제로 하고, 바깥쪽문은 공충ㆍ쥐 등의 침입을 막을 수 있도로 철망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71%)
  • "지적서고의 기준면적은 80m2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지적공부 등록 필지 수에 따라 기준면적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10만 필지 이하일 경우 80m2이지만, 10만 필지 초과 50만 필지 이하일 경우 120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토지의 합병을 신청할 수 있는 경우는?

  1. 합병하려는 토지의 지적도 및 임야도의 축척이 서로 다른 경우
  2. 합병하려는 토지가 등기된 토지와 등기되지 아니한 토지인 경우
  3. 합병하려는 토지의 소유자별 공유지분이 다르거나 소유자의 주소가 서로 다른 경우
  4. 합병하려는 각 필지의 지목은 같으나 일부 토지의 용도가 다르게 되어 합병 신청과 동시에 토지의 용도에 따라 분할 신청을 하는 경우
(정답률: 89%)
  • 합병하려는 각 필지의 지목은 같으나 일부 토지의 용도가 다르게 되어 합병 신청과 동시에 토지의 용도에 따라 분할 신청을 하는 경우는 가능하다. 이는 합병하려는 토지의 지적도나 임야도 축척이 다르거나 등기 여부나 소유자의 공유지분이 다르다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벌칙 기준을 적용받는 경우는?

  1. 지적기술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지적측량을 한 자
  2. 지적측량업자로서 속임수로 관련 사업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 자
  3. 지적측량업의 등록을 하지 않고 지적측량업을 한 자
  4. 정당한 사유없이 지적측량업무를 방해한 자
(정답률: 71%)
  • "지적측량업의 등록을 하지 않고 지적측량업을 한 자"는 법적으로 등록되지 않은 자가 지적측량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법에 위배되는 행위이기 때문에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벌칙 기준을 적용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지적측량수수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표준품셈 중 지적측량품에 지적기술자의 정보노임단가를 적용하여 산정한다.
  2. 지적측량 종목별 세부 산정기준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다.
  3. 지적소관청이 직권으로 조사ㆍ측량하여 지적공부를 정리한 경우, 조사ㆍ측량에 들어간 비용을 면제한다.
  4. 지적측량수수료는 국토교통부장관이 매년 12월 말일까지 고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81%)
  • "지적소관청이 직권으로 조사ㆍ측량하여 지적공부를 정리한 경우, 조사ㆍ측량에 들어간 비용을 면제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지적소관청이 직권으로 조사ㆍ측량하여 지적공부를 정리한 경우에도 조사ㆡ측량에 들어간 비용은 면제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수정되어야 합니다.

    정답을 설명하면, 지적측량수수료는 국토교통부장관이 매년 12월 말일까지 고시하며, 고시된 표준품셈 중 지적측량품에 지적기술자의 정보노임단가를 적용하여 산정합니다. 또한, 지적측량 종목별 세부 산정기준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용도지구가 아닌 것은?

  1. 경관지구
  2. 리모델링지구
  3. 고도지구
  4. 시설보호지구
(정답률: 75%)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는 용도지구를 지정하여 토지의 이용을 제한하고 계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 중 "리모델링지구"는 법률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은 개념으로, 용도지구로 지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모델링지구는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축척변경위원회의 심의ㆍ의결 사항이 아닌 것은?

  1. 청산금의 이의신청에 관한 사항
  2. 지번별 m2당 금액의 결정과 청산금의 산정에 관한 사항
  3. 도시개발사업의 시쟁지역에 있는 토지로서 그 사업 시행에서 제외된 토지의 축척 변경에 관한 사항
  4. 축척변경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정답률: 42%)
  • 축척변경위원회의 역할은 지번별 m2당 금액의 결정과 청산금의 산정, 청산금의 이의신청에 관한 사항, 축척변경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ㆍ의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개발사업의 시쟁지역에 있는 토지로서 그 사업 시행에서 제외된 토지의 축척 변경에 관한 사항"은 축척변경위원회의 심의ㆍ의결 사항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지적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적위원회는 중앙지적위원회와 지방지적위원회가 있다.
  2. 지방지적위원회는 지적측량 적부심사청구를 회부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심의 ㆍ의결하여야 한다.
  3. 지방지적위원회의 위원장 및 부위원장을 제외한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4. 중앙지적위원회의 위원장은 국토교통부의 지적업무 담당과장이 되고, 부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임명한다.
(정답률: 72%)
  • 중앙지적위원회의 위원장은 국토교통부의 지적업무 담당과장이 되고, 부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선출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지적측량수행자가 과실로 지적측량을 부실하게 하여 지적측량의뢰인에게 재산상의 손해를 발생하게 한 경우, 지적측량의뢰인이 손해배상으로 보험금을 지급받기 위해 보험회사에 첨부하여 제출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1. 지적측량의뢰인과 지적측량수행자 간의 손해배상합의서
  2. 지적측량의뢰인과 지적측량수행자 간의 화해조서
  3. 지적위원회에서 손해 사실에 대하여 결정한 서류
  4. 확정된 법원의 판결문 사본 또는 이에 준하는 효력이 있는 서류
(정답률: 71%)
  • 정답인 "지적위원회에서 손해 사실에 대하여 결정한 서류"는 지적측량수행자의 과실로 인해 발생한 손해를 보상받기 위해 필요한 서류 중 하나이다. 지적위원회는 지적측량과 관련된 분쟁을 조정하고 결정하는 기관으로, 지적측량의뢰인이 지적측량수행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경우 지적위원회에서 손해 사실에 대해 조사하고 결정한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이 서류는 보험회사가 보상금을 지급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증빙서류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 등록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토지의 소재
  2. 소유자의 성명 또는 명칭, 주소 및 주민등록번호
  3. 건물의 명칭과 해당건물의 소유권 지분
  4. 개별공시지가와 그 기준일
(정답률: 43%)
  • 건물의 명칭과 해당건물의 소유권 지분은 토지나 임야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사항이기 때문에 등록 대상이 아닙니다.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은 토지와 임야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부동산등기법상 부동산 등기용 등록번호의 부여절차가 틀린 것은?

  1. 국가ㆍ지방자치단체ㆍ국제기관 및 외국정부의 등록번호는 기획재정부장관이 지정ㆍ고시한다.
  2. 주민등록번호가 없는 재외국인의 등록번호는 대법원 소재지 관할 등기소의 등기관이 부여한다.
  3. 법인의 등록번호는 주된 사무소 소재지 관할 등기소의 등기관이 부여한다.
  4. 법이 아닌 사단이나 재단의 등록번호는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이 부여한다.
(정답률: 45%)
  • 정답은 "법이 아닌 사단이나 재단의 등록번호는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이 부여한다."입니다.

    국가, 지방자치단체, 국제기관 및 외국정부의 등록번호는 기획재정부장관이 지정ㆍ고시하는 것이 맞습니다. 주민등록번호가 없는 재외국인의 등록번호는 대법원 소재지 관할 등기소의 등기관이 부여하며, 법인의 등록번호는 주된 사무소 소재지 관할 등기소의 등기관이 부여합니다.

    하지만 법이 아닌 사단이나 재단의 등록번호는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이 부여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는 지방자치법 제107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지목을 제육용지로 지정할 수 없는 것은?

  1. 승마장
  2. 정구장
  3. 스키장
  4. 경륜장
(정답률: 65%)
  • 정구장은 돼지 경주를 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제육용지로 지정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도시ㆍ군관리계획에 관한 지형도면의 고시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지적이 표시된 지형도에 도시ㆍ군관리계획사항을 명시한 도면을 작성할 때에는 축척 500분의 1 내지 1500분의 1로 작성하여야 한다.
  2. 시장(대도시 시장 제외)이나 군수가 지형도면을 작성하면 도시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국토교통부장관은 도시ㆍ군관리계획을 직접 입안한 경우 관계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 또는 군수의 의견을 들어 직접 지형도면을 작성할 수 있다.
  4.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축척 이상의 지형도를 사용하여 도시ㆍ군관리계획결정을 고시한 경우 지형도면을 따로 작성하여야 한다.
(정답률: 34%)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축척 이상의 지형도를 사용하여 도시ㆍ군관리계획결정을 고시한 경우 지형도면을 따로 작성하여야 한다."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축척 이상의 지형도를 사용하여 도시ㆍ군관리계획결정을 고시한 경우에는 지형도면을 따로 작성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과 관련한 토지의 이동 신청 시, 그 신청대상지역이 환지를 수반하는 경우 토지의 이동 신청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사업완료 신고서에 토지의 이동 신청을 갈음한다는 뜻을 적은 경우이다.)

  1. 사업시행 신고로써 갈음할 수 있다.
  2. 토지의 형질변경 공사 준공 완료 신고로써 갈음한다.
  3. 사업완료 신고로써 갈음할 수 있다.
  4. 등기촉탁 완료 통보로써 갈음할 수 있다.
(정답률: 25%)
  • 사업완료 신고서에 토지의 이동 신청을 갈음한다는 뜻을 적은 경우, 해당 사업이 완료되었으므로 토지의 이동 신청 대상지역의 환지 문제도 해결되었다고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완료 신고로써 갈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축척변경에 따른 청산금의 산정 및 납부고지 등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청산금을 산정한 결과 차액이 생긴 경우 초과액은 그 지방자치단체의 수입으로 한다.
  2. 지적소관청은 청산금의 수렴통지를 한 날부터 6개월 이내에 청산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3. 납부고지를 받은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청산금을 지적소관청에 내야 한다.
  4. 청산금은 필지별 등록면적에 제곱미터당 금액을 곱하여 산출한다.
(정답률: 32%)
  • "청산금은 필지별 등록면적에 제곱미터당 금액을 곱하여 산출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축척변경에 따른 청산금의 산정 및 납부고지 등에 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청산금은 필지별 등록면적에 제곱미터당 금액을 곱하여 산출합니다.
    - 청산금을 산정한 결과 차액이 생긴 경우 초과액은 그 지방자치단체의 수입으로 합니다.
    - 지적소관청은 청산금의 수렴통지를 한 날부터 6개월 이내에 청산금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 납부고지를 받은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청산금을 지적소관청에 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지적측량업 등록의 결격사유가 아닌 것은?

  1. 금치산자
  2.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지적측량업의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집행유예기산 중에 있는 자
(정답률: 69%)
  •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는 지적측량업 등록의 결격사유가 아닙니다. 이유는 파산자가 복권되면 파산자의 채무가 모두 탕감되기 때문에, 파산자로서 복권된 자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상태가 되어 지적측량업을 영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결격사유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대한지적공사의 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적측량성과검사측량
  2.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지적재조사사업
  3. 지적제도 및 지적측량에 관한 연구ㆍ교육 등 지원사업
  4. 공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으로서 정관으로 정하는 사업
(정답률: 50%)
  • "지적측량성과검사측량"은 대한지적공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으로서 정관으로 정하는 사업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대한지적공사가 수행하는 지적재조사사업, 지적제도 및 지적측량에 관한 연구ㆍ교육 등 지원사업과는 다른 분야의 사업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지적도 및 임야도에 지목을 등록하는 부호가 옳은 것은?

  1. 주차장:차
  2. 공장용지:공
  3. 유원지:유
  4. 양어장:어
(정답률: 59%)
  • "주차장:차"는 지적도 및 임야도에 지목을 등록하는 부호 중에서도 가장 명확하고 직관적인 부호이다. 주차장은 주로 차량을 주차시키는 공간이며, 따라서 "차"라는 부호를 함께 사용하여 해당 지역이 주차장임을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부호가 너무 추상적이거나 구체적인 내용이 부족하여 지적도 및 임야도에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