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8-06)

유기농업기사
(2006-08-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재배원론

1. 질산태질소(NO3)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밭 작물에서 추비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2.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작물의 이용형태는 질소를 잘 흡수, 이용하지만 지효성이다.
  3. 논에서는 탈질작용으로 유실이 심하다.
  4. 논에서 환원층에 주면 비효가 오래 지속된다.
(정답률: 91%)
  • 정답은 "논에서는 탈질작용으로 유실이 심하다." 이다. 이유는 논에서는 물이 많이 존재하고 토양이 미세구조를 이루어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질산태질소(NO3)가 미생물에 의해 탈질되어 질소가 유실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논에서는 질산태질소(NO3)를 사용하기보다는 암모니아성질소(NH4)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도복지수를 계산하는데 거리가 먼 것은?

  1. 지상부 무게
  2. 줄기의 좌절중
  3. 잎의 두께
  4. 줄기 길이(키)
(정답률: 84%)
  • 잎의 두께는 도복지수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지만, 다른 요소들에 비해 거리가 먼 것입니다. 지상부 무게와 줄기의 좌절중은 직접적으로 도복지수와 관련이 있으며, 줄기 길이(키)는 도복지수 계산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잎의 두께는 도복지수 계산에 영향을 미치지만, 다른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재배조건에 따른 T/R율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질소비료를 많이 주면 T/R율이 감소한다.
  2. 토양수분이 감소하면 T/R율은 증대한다.
  3. 일사량이 부족하면 T/R율이 증대된다.
  4. 토양 통기가 불량하면 T/R율은 감소한다.
(정답률: 20%)
  • 일사량이 부족하면 광합성이 어려워져 광합성산물(T)의 양이 감소하고 호흡산물(R)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T/R율이 증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벼의 생육과정에서 지상부에 대한 뿌리의 건물중 비율이 가장 높은 생육시기는?

  1. 분얼초기
  2. 신장기
  3. 출수기
  4. 등숙기
(정답률: 알수없음)
  • 분얼초기는 벼의 생육 초기 단계로, 이때는 뿌리가 지상부에 비해 매우 미약하게 발달하고 있기 때문에 지상부에 대한 뿌리의 건물중 비율이 가장 높습니다. 이후 신장기, 출수기, 등숙기로 갈수록 뿌리의 발달이 더욱 진행되며, 지상부에 대한 뿌리의 건물중 비율은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식물호르몬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오옥신(auxin)은 주로 세포의 신장촉진의 역할을 한다.
  2. ABA(abscisic acid)는 잎의 노화,낙엽을 촉진한다.
  3. GA(gibberellin)는 정아우세현상에 관여한다.
  4. 사이토카이닌(cytokinin)은 세포분열을 촉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GA(gibberellin)는 정아우세현상에 관여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 GA는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많은 역할을 하지만, 정아우세현상은 오옥신(auxin)이 주로 관여하는 현상이다.

    GA는 씨앗의 발아, 줄기의 신장, 꽃의 성장 등에 관여하며, 오옥신과 함께 작용하여 식물의 성장을 조절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상적발육설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작물의 발육이란 체내의 순차적인 질적 재조정 작용을 말한다.
  2. 1년생 종자식물의 발육상은 개개의 단계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3. 개개의 발육상은 서로 접속해서 성립되어 있으며 앞의 발육상을 경과해야 다음 발육상으로 이행을 할 수 있다.
  4. 1개의 식물체가 개개의 발육상을 경과 하려면 발육상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한 환경조건은 필요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1개의 식물체가 개개의 발육상을 경과 하려면 발육상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한 환경조건은 필요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각 발육상은 서로 다른 환경조건이 필요하며, 이를 제공하지 않으면 발육이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씨앗 발아 단계에서는 적절한 온도와 습도가 필요하며, 생장 단계에서는 충분한 빛과 영양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각 발육상마다 적절한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작물의 신장 생장을 가장 억제하는 광선은?

  1. 자외선
  2. 적외선
  3. 적색광
  4. 청색광
(정답률: 알수없음)
  • 자외선은 작물의 DNA를 손상시키고 광합성에 필요한 염색체를 파괴하여 작물의 생장을 억제합니다. 따라서 자외선은 작물의 신장 생장을 가장 억제하는 광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화곡류의 성숙과정으로 옳은 것은?

  1. 유숙 - 호숙 - 황숙 - 완숙 - 고숙
  2. 호숙 - 황숙 - 완숙 - 고숙 - 유숙
  3. 황숙 - 완숙 - 고숙 - 유숙 - 고숙
  4. 완숙 - 고숙 - 유숙 - 고숙 - 황숙
(정답률: 알수없음)
  • 화곡류의 성숙과정은 "유숙 - 호숙 - 황숙 - 완숙 - 고숙"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는 화곡류가 성장하면서 색이 짙어지고 맛이 강해지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 유숙: 씨앗에서 싹이 나서 잎이 나오는 단계로, 아직 색이 연하고 맛이 약합니다.
    - 호숙: 잎이 자라고 줄기가 생기는 단계로, 색과 맛이 조금씩 짙어집니다.
    - 황숙: 줄기가 더 두껍고 색과 맛이 더 짙어지는 단계입니다.
    - 완숙: 열매가 다 자라서 색과 맛이 최고조에 이르는 단계입니다.
    - 고숙: 열매가 너무 오래되어 색과 맛이 떨어지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화곡류를 최적의 상태로 먹기 위해서는 완숙 단계에서 수확하여 먹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종자 휴면의 원인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경실 종자
  2. 종피의 기계적 저항
  3. 성숙 배
  4. 종피의 불투기성(不透氣性)
(정답률: 92%)
  • 종자 휴면은 종자가 발아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성숙 배"는 종자가 발아하기 위해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므로, 종자 휴면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성숙 배"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종자 휴면과 관련이 없는 것이 아니며, 정답은 "성숙 배"가 아닌 다른 보기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어느 작물의 요수량이 500 이라면 소비된 물의 양은?

  1. 0.5kg
  2. 5kg
  3. 50kg
  4. 500kg
(정답률: 64%)
  • 요수량은 작물이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을 말하므로, 500의 단위는 "ml" 또는 "L"일 것입니다. 하지만 답안 보기에서는 모두 "kg" 단위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단위가 명확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답을 도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식물체내에서 합성되는 옥신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는 인공 합성물질은?

  1. indole - 3 - acetic acid
  2. α - phenylacetic acid
  3. α - naphthaleneacetic acid
  4. 3 - indoleacetonitrile
(정답률: 40%)
  • 옥신은 식물체내에서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입니다. α - naphthaleneacetic acid는 옥신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는 인공 합성물질로, 옥신의 대체물질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옥신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α - naphthaleneacetic acid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식물체의 흡수량이 결핍디면 식물체 내에 이상현상(생장점이 말라 죽음, 줄기가 연약해 짐, 하엽의 탈락)이 발생되어 한해에 약하게 되는 것은?

  1. 질소
  2. 칼륨
  3. 칼슘
(정답률: 75%)
  • 칼륨은 식물체의 수분 균형을 조절하고, 광합성과 호흡에 필요한 효소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칼륨 결핍 시 식물체 내에서 수분 균형이 깨지고, 광합성과 호흡이 원활하지 않아 생장점이 말라 죽음, 줄기가 연약해지고 하엽이 탈락하는 등의 이상현상이 발생하여 약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습해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밭에서는 휴립휴파 재배를 한다.
  2. 배수시설을 설치한다.
  3. 과산화석회(CaO2)를 종자에 분의하여 파종한다.
  4. 미숙 유기물을 시용하여 입단형성을 촉진시킨다.
(정답률: 55%)
  • 미숙 유기물은 부패가 진행되면서 유해물질을 발생시키고, 농작물의 생육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CO2 시비의 농도를 일정하게 맞추어 줌으로써 발생하는 효과로 틀린 것은?

  1. 수량 증가
  2. 개화 수 증가
  3. 광합성 속도 증대
  4. 병해충 감소
(정답률: 82%)
  • CO2 시비의 농도를 일정하게 맞추어 줌으로써 발생하는 효과는 광합성 속도 증대, 개화 수 증가, 수량 증가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병해충 감소"는 틀린 것입니다. CO2 농도가 높아지면 식물이 더 빠르게 자라고 번식하게 되어 병해충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CO2 시비를 할 때에는 적절한 농도와 방법을 선택하여 식물의 건강을 유지하고 병해충 발생을 예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도복의 유발조건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키가 큰 품종은 대가 튼튼해도 도복이 심하다.
  2. 칼륨, 규산이 부족하면 도복이 유발된다.
  3. 토양환경과 도복은 상관이 없다.
  4. 밀식은 도복을 적게 한다.
(정답률: 59%)
  • 도복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인 칼륨과 규산이 부족할 때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칼륨과 규산이 부족하면 도복이 유발된다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도복과 관련이 없거나 오히려 도복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들을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칼륨, 규산이 부족하면 도복이 유발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식물의 생산량(수량)은 가장 소량으로 존재하는 무기성분에 의해 지배받는다는 최소율 법칙을 주장한 학자는?

  1. Liebig
  2. Muller
  3. Millardet
  4. Leeuwenho
(정답률: 85%)
  • Liebig은 식물의 생산량은 필요한 영양소 중 가장 적게 있는 것에 의해 제한된다는 최소율 법칙을 주장했다. 이는 식물이 필요로 하는 모든 영양소가 충분히 공급되더라도, 그 중 가장 적게 있는 영양소가 부족하면 생산량이 제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식물의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모든 영양소가 충분히 공급되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화성유도에 저온 , 장일이 필요한 식물의 그 대체 효과를 갖는 생장조절제로 적합한 것은?

  1. 오옥신(Auxin)
  2. 지베렐린(Gibberellin)
  3. 사이토카이닌(Cytokinin)
  4. 에틸렌(Ethylene)
(정답률: 40%)
  • 화성유도에 저온, 장일이 필요한 식물은 성장을 지연시키는데, 이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생장을 촉진시키는 생장조절제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지베렐린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저온, 장일에 대한 대체 효과를 갖습니다. 따라서 지베렐린은 이러한 식물에게 적합한 생장조절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최적엽면적(Optimum leaf area)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군락상태에서 건물생산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엽면적이다.
  2. 군락의 최적엽면적은 생육시기, 일사량, 수광태세 등에 따라 다르다.
  3. 일사량이 낮을수록 최적엽면적지수는 커진다.
  4. 최적엽면적지수를 크게 하는 것은 군락의 건물 생산능력을 크게 하여 수량을 증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사량이 낮을수록 최적엽면적지수는 커지는 것은 오히려 틀린 설명입니다. 일사량이 낮을수록 광합성이 어렵기 때문에 최적엽면적지수는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일사량이 높을수록 최적엽면적지수는 커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작물을 생육형에 따라 분류할 때 틀린 것은?

  1. 벼-주형(株型)
  2. 고구마 -포복형(匍匐型)
  3. 오차드그래스-주형(株型)
  4. 수단그래스-하번초(下繁草)
(정답률: 67%)
  • 수단그래스-하번초(下繁草)는 생육형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수단그래스는 일반적으로 주형(株型)에 속하며, 하번초는 생육형이 아닌 식물의 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작물의 자연분화(自然分化) 발달과정에서 첫 단계는?

  1. 지리적 고립
  2. 도태와 적응
  3. 유전적 변이
  4. 인위돌연변이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의 자연분화 발달과정에서 첫 단계는 "유전적 변이"입니다. 이는 작물의 유전자가 자연적으로 변이하면서 새로운 특성을 갖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유전적 변이는 작물의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후에는 지리적 고립, 도태와 적응, 인위돌연변이 등의 과정이 이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토양비옥도 및 관리

21. 토양을 구성하는 주요 광물 중 석영의 입자밀도(particledensity)는?

  1. 2.65gㆍcm-3
  2. 2.95gㆍcm-3
  3. 3.65gㆍcm-3
  4. 4.55gㆍcm-3
(정답률: 75%)
  • 석영은 주로 이산화규소(SiO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물질의 입자밀도는 2.65gㆍcm-3이다. 이는 석영 입자가 1cm3의 공간에 차지하는 질량이 2.65g이라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옳은 것은?

  1. 항생물질
  2. 균사
  3. 뿌리혹박테리아
  4. 황세균
(정답률: 73%)
  • 이 그림은 뿌리혹박테리아에 의해 감염된 뿌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감염은 균사에 의해 발생하는데, 균사는 뿌리혹박테리아와 같은 병원체들이 식물의 뿌리에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보여지는 감염은 균사에 의한 것이므로 정답은 "균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형태론적 토양분류체계에서 주로 화산분출에 의해 형성된 화산회토양을 의미하는 토양목은?

  1. Andisol
  2. Aridisol
  3. Oxisol
  4. Histosol
(정답률: 알수없음)
  • Andisol은 화산분출물에 의해 형성된 토양을 의미하는 토양목으로, 화산재, 화산재토, 화산재토양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토양은 화산분출물의 특성상 토양 구성요소가 다양하고, 토양이 풍부하며 비교적 높은 토양유기물 함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Andisol은 농업 생산성이 높은 토양으로 인식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토양 입단구조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토양의 통기성과 통수성에 영향을 미친다.
  2. 토양 침식을 억제한다.
  3. 토양내에 호기성미생물의활성을 증대시킨다.
  4. Na 이온은 토양의 입단화를 촉진시킨다.
(정답률: 70%)
  • "Na 이온은 토양의 입단화를 촉진시킨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Na 이온은 토양 입단화를 촉진시키는 이유는 Na 이온이 토양 입단구조를 유지하는 클레이 미네랄과 상호작용하여 입단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이는 토양의 물리적 구조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토양교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경이 1㎛이하인 입자를 말한다.
  2. 단위 g당 입자 표면적이 미사보다 크다.
  3. 낮은 수분 보유능력을 가지고 있다.
  4. 양이온 치환능력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낮은 수분 보유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토양교질은 입경이 작은 입자를 가지고 있어 큰 표면적을 가지며, 이로 인해 높은 수분 보유능력과 양이온 치환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토양단면의 층위를 나타내는 기호로서 유기물과 점토성분이 용탈되는 층을 의미하는 것은?

  1. O층
  2. A층
  3. B층
  4. C층
(정답률: 73%)
  • 정답은 "A층"입니다. A층은 유기물과 점토성분이 용탈되는 층으로, 토양에서 가장 유익한 영양분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농업에서 가장 중요한 층으로 여겨집니다. O층은 토양 표면에 위치한 잎사귀나 나무 껍질 등의 유기물 층을 의미하며, B층과 C층은 각각 토양 하부의 점토성분과 바위층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토양의 생성에 관여하는 다음의 풍화작용 중에서 그 성질이 다른 것은?

  1. 산화작용
  2. 가수분해작용
  3. 수화작용
  4. 침식작용
(정답률: 75%)
  • 정답: 침식작용

    설명:

    - 산화작용: 산소와 반응하여 물질을 산화시키는 작용으로, 토양의 미생물 활동 등에 의해 일어난다.
    - 가수분해작용: 유기물이 물과 함께 분해되어 무기물로 변하는 작용으로, 토양의 미생물 활동 등에 의해 일어난다.
    - 수화작용: 물과 물질이 반응하여 새로운 화합물을 생성하는 작용으로, 토양의 물분해 작용 등에 의해 일어난다.
    - 침식작용: 토양 표면을 풍력, 수력, 파력 등에 의해 침식시켜 토양을 이동시키는 작용으로, 토양의 물리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침식작용은 다른 풍화작용과는 성질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토양 pH와 인산의 유효도 관계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pH가 낮을수록 인산의 유효도는 높아진다.
  2. pH가 중성 부근일 때 인산의 유효도가 가장 높다.
  3. pH가 높을수록 인산의 유효도는 높아진다.
  4. pH는 인산의유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답률: 73%)
  • 인산은 pH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pH가 낮을수록 인산의 유효도는 높아지지만, pH가 너무 낮으면 인산이 과도하게 결합하여 토양에서 이용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pH가 중성 부근일 때 인산의 유효도가 가장 높다. 이는 인산이 중성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pH가 높아질수록 인산은 결합하여 이용이 어려워지며, pH가 너무 높으면 인산이 존재하지 않는 알칼리성 환경이 형성되어 인산의 유효도가 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토양미생물이 고등식물에 끼치는 유익작용은?

  1. 각종 병을 일으킨다.
  2. 황산염을 환원한다.
  3. 탈질작용을한다.
  4. 공기중유리질소를고정한다.
(정답률: 82%)
  • 토양미생물은 고등식물에게 공기중의 유리질소를 고정하여 식물이 직접 흡수할 수 있는 암모니아 질소로 변환시켜줍니다. 이는 식물의 영양소 섭취를 돕고, 생장을 촉진시키는 등 유익한 작용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치환산도 측정을 위해 수소이온 침출용으로 어떤 용액을 주로 사용하는가?

  1. KCL
  2. NaCL
  3. H2O
  4. H2O2
(정답률: 85%)
  • 치환산도는 용액의 산성 또는 염기성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수소 이온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수소이온 침출용으로 사용되는 용액은 강한 전해질이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KCL이 선택되는 이유는 KCL이 NaCL보다 더 강한 전해질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KCL이 수소이온 침출용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부식이 토양의 보비력을 증가시키는 가장 큰 이유는?

  1. 토양 입단구조를 발달시키기 때문에
  2. 미생물의 활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3. 염기치환용량이 크기 때문에
  4. 토양 완충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정답률: 60%)
  • 염기치환용량이 크기 때문에. 부식은 토양의 pH를 낮추어 염기치환용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이는 토양의 보비력을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토양의 pH가 5일 때 토양용액 중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인의 형태는?

  1. H3PO4
  2. HPO4-2
  3. H2PO4-
  4. PO4-3
(정답률: 50%)
  • pH가 5일 때는 산성 환경이므로 인산분자인 H3PO4가 H+ 이온과 결합하여 H2PO4- 이온으로 존재하는 것이 가장 많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H2PO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의 점토광물 중 동형치환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광물은?

  1. Kaolinite
  2. Vermiculite
  3. Smectite
  4. Montmorillonite
(정답률: 55%)
  • Kaolinite은 다른 점토광물에 비해 적은 양의 교환 가능한 이온을 가지고 있어 동형치환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이는 Kaolinite이 다른 점토광물에 비해 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부식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물을 보유하는 힘을 높여준다.
  2. 중금속의 피해를 감소시킨다.
  3. 토양구조의 분산을 증가시킨다.
  4. 토양의 입단구조를 조장한다.
(정답률: 67%)
  • "토양구조의 분산을 증가시킨다."는 부식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것은 토양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된 것으로, 부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과다시비에 의한 수자원의 부영양화 및 유아의 메트헤모글로빈혈증(methemoglobinemia, 일명 청색증)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은?

  1. 칼리
  2. 질소
  3. 인산
  4. 석회
(정답률: 67%)
  • 과다시비에 의한 수자원의 부영양화는 질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비료나 동물 배설물 등이 수질에 유입되면 질소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수조류의 증식을 촉진시켜 부영양화를 유발합니다. 이러한 부영양화된 물을 마시는 유아들은 질산염을 대사하여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을 일으키는 위험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표에 표시된 염기포화도가 80%인 치환성 염기를 보유한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은?

  1. 4 cmolc /kg
  2. 8 cmolc /kg
  3. 10 cmolc /kg
  4. 12 cmolc /kg
(정답률: 37%)
  • 염기포화도가 80%인 치환성 염기를 보유한 토양은 교환성이 높은 토양이므로 양이온치환용량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높은 값인 "10 cmolc /kg"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특이산성 토양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하류의 배수불량한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2. 토양을 건조시키면 황이 산화되어 pH 3.5 정도까지 낮아진다.
  3. 미생물 활동으로 유기물 분해가 잘 된다.
  4. 활성 알루미늄의 함량이 높다.
(정답률: 42%)
  • 미생물 활동으로 유기물 분해가 잘 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특이산성 토양은 pH가 매우 낮아서 미생물 활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유기물 분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토양에서 유기 모재의 근본이 되며 부식 중에 많이 함유된 물질은?

  1. 왁스류
  2. 리그닌
  3. 당질
  4. 헤미셀룰로스
(정답률: 64%)
  • 리그닌은 식물의 세포벽에서 발견되는 폴리머로, 토양에서 유기 모재의 근본이 되며 부식 중에 많이 함유되는 물질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리그닌이 정답입니다. 왁스류, 당질, 헤미셀룰로스는 모두 유기 모재의 구성 성분이지만, 리그닌만큼 부식 중에 많이 함유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미생물의 에너지원과 영양원으로 작용하는 물질로 구성된것은?

  1. 규소 - 붕소
  2. 탄소 - 질소
  3. 염소 - 인
  4. 비소 - 철
(정답률: 알수없음)
  • 미생물은 에너지원으로 탄소와 영양원으로 질소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탄소 - 질소"가 정답입니다. 규소와 붕소는 미생물의 에너지원이나 영양원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염소와 인은 미생물의 영양원으로 사용되지만 에너지원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비소와 철은 미생물의 에너지원이나 영양원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토양의 결정성광물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1. 시차열분석법
  2. 적외선분광법
  3. X-선회절법
  4. 화학분석법
(정답률: 46%)
  • 토양의 결정성광물을 확인하는 방법 중 X-선회절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는 이유는 X-선회절법은 결정성광물의 구조와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X-선회절법은 X-선을 쏘아 결정성광물의 분자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결정성광물의 방향성과 크기, 형태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X-선회절법은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샘플을 파괴하지 않고도 결정성광물을 확인할 수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유기농업개론

41. 한 포장에 연작을 하지 않고 몇가지 작물을 특정한 순서로 반복하여 재배하는 것은?

  1. 돌려짓기
  2. 이어짓기
  3. 사이짓기
  4. 엇갈아짓기
(정답률: 알수없음)
  • 돌려짓기는 한 포장에 연작을 하지 않고, 몇 가지 작물을 특정한 순서로 반복하여 재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균등하게 공급하고, 병해충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서 효과적이다. 또한, 작물의 생장에 따라 토양의 영양분을 보충하고, 토양의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서 재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작물재배시 배토의 목적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도복의 경감
  2. 신근발생의 억제
  3. 무효분얼의 억제
  4. 덩이줄기의 발육조장
(정답률: 50%)
  • 배토의 목적 중 "신근발생의 억제"는 아무리 배양환경을 조절해도 어느 정도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기 때문에 목적으로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신근발생의 억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기농업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무농약 토양소독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기이용법
  2. 소토법
  3. 태양열 소독법
  4. 토양 화학 살균제 처리
(정답률: 80%)
  • 토양 화학 살균제 처리는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토양을 살균하는 방법으로, 유기농업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 방법은 화학물질이 토양에 잔류하여 식물과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대안적인 무농약 토양소독법이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유기수도작에서 벼의 시비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밑거름은 벼의 활착과 초기생육을 촉진시키는 시비
  2. 가지거름은 분얼을 촉진시켜 이삭수를 확보하기 위한 시비
  3. 이삭거름은 영화수(穎花數)와 입중(粒重)을 증대시키기 위한 시비
  4. 알거름은 출수를 증대시키고 탈질과 용탈을 막기 위한 시비
(정답률: 34%)
  • 정답은 "알거름은 출수를 증대시키고 탈질과 용탈을 막기 위한 시비"가 아닌 것입니다. 알거름은 벼의 생장을 촉진시키고, 이삭의 수와 크기를 증대시키는 시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기가축의 번식생리에서 암 가축의 난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1. FSH
  2. LH
  3. Estrogen
  4. Oxytocin
(정답률: 58%)
  • 암 가축의 난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에스트로겐입니다. 이는 유기가축의 번식과 관련된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은 발정 주기를 조절하고, 자궁 내막을 성장시키며, 분만을 촉진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암 가축의 난소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은 유기가축의 번식과 관련된 여러 가지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시설재배 시에 발생하는 연작장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설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같은 작물을 반복해서 재배할 때 발생한다.
  2. 특정 병원 미생물이나 해충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병해충 피해가 커진다.
  3. 특정양분이 지속적으로 흡수 이용되기 때문에 양분결핍장해가 나타나고, 미량 요소는 풍부한 반면 다량요소의 결핍이 자주 나타난다.
  4. 연작장해를 예방하기 위해 합리적인 작부체계를 도입하고, 병충해를 철저히 예방하여야 한다.
(정답률: 87%)
  • 정답은 "특정양분이 지속적으로 흡수 이용되기 때문에 양분결핍장해가 나타나고, 미량 요소는 풍부한 반면 다량요소의 결핍이 자주 나타난다."이다.

    이유는 시설재배에서는 작물이 필요로 하는 양분을 인공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특정 양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다른 양분들은 부족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양분결핍장해가 발생하게 되며, 미량 요소는 과다한 양분 공급으로 인해 풍부하지만, 다량 요소는 부족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시설재배에서는 적절한 양분 공급과 관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기본 집단에서 개체별이 아니라 처음부터 집단을 대상으로 선발을 계속하여 우수한 계통을 분리하는 육종방법은?

  1. 순계분리법
  2. 교잡육종법
  3. 계통분리법
  4. 집단육종법
(정답률: 67%)
  • 계통분리법은 처음부터 집단을 대상으로 선발하여 우수한 계통을 분리하는 육종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개체별이 아니라 집단을 대상으로 선발하기 때문에 개체 간의 유전적 차이를 최소화하고, 우수한 계통을 분리하여 유전적 진보를 이룰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기농업에서 저항성 품종을 지배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결정사항 중의 하나이다. 저항성 품종으로 가장 적절치 못한 것은?

  1. 병충해 저항성이 높은 품종
  2. 잡초 경합력이 높은 품종
  3. 유기농업으로 재배되어 채종된 품종
  4. 종자의 화학적인 소독처리를 거친 품종
(정답률: 82%)
  • 유기농업에서는 화학적인 농약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자의 화학적인 소독처리를 거친 품종은 유기농업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이는 유기농업의 철학과도 맞지 않으며, 화학적인 소독처리로 인해 품종의 건강성과 영양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기농업에서는 화학적인 소독처리를 거치지 않은 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기농업의 병해충 방제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종적 방제법
  2. 생물학적 방제법
  3. 화학적 방제법
  4. 물리적 방제법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농업은 화학적 방제법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경종적 방제법과 생물학적 방제법을 사용하여 병해충을 방제합니다. 이는 화학적 방제법이 환경 오염과 인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기농업에서는 화학적 방제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물리적 방제법은 병해충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유기농업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원예작물에 사용하는 석회 보르도액 사용시 작물과 병해명이 맞는 것은?

  1. 가지 - 백납병
  2. 참외 - 탄저병
  3. 감자 - 역병
  4. 가지 - 썩음병
(정답률: 59%)
  • 석회 보르도액은 작물의 병해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농약입니다. 감자의 역병은 석회 보르도액으로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병해 중 하나입니다. 역병은 감자 잎이 검게 변하고, 줄기와 뿌리가 부패하는 병해로, 석회 보르도액은 이러한 역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자 - 역병이 맞는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토양미생물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농작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분을 만들어 제공한다.
  2. 영양분을 식물체 내에 밀어 넣어주는 작용을 한다.
  3. 유기물을 분해하여 토양구조 상태를 정비해 준다.
  4. 흙미립자를 분리시켜 비가 올 때 토양침식을 일으키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영양분을 식물체 내에 밀어 넣어주는 작용을 한다."는 토양미생물의 역할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식물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과정이기 때문에 토양미생물의 역할이 아닙니다.

    "흙미립자를 분리시켜 비가 올 때 토양침식을 일으키게 한다."는 토양미생물의 역할 중에서도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비가 오면 흙미립자들이 토양 구조를 유지하는 점차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들을 분리시키면 토양침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유기농업이 발달하게 된 배경이 아닌 것은?

  1. 대량생산과 소비를 추구하는 산업화에 따른 심각한 환경오염
  2. 야생곤충이나 조류 등의 자연생태계의 무차별적인 파괴현상
  3. 음악, 영화 등 예술산업의 과도한 발전으로 정신문화퇴폐와 도덕적 해이
  4. 영농화학물질에 의한 수질토양오염은 물론 국민건강위협
(정답률: 77%)
  • 유기농업이 발달하게 된 배경은 대량생산과 소비를 추구하는 산업화에 따른 심각한 환경오염, 야생곤충이나 조류 등의 자연생태계의 무차별적인 파괴현상, 영농화학물질에 의한 수질토양오염은 물론 국민건강위협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음악, 영화 등 예술산업의 과도한 발전으로 정신문화퇴폐와 도덕적 해이"는 유기농업이 발달하게 된 배경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타감작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작물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두과작물로 콩 종류와 자운영
  2. 상추ㆍ배추ㆍ오이
  3. 겨울호밀ㆍ해바라기
  4. 헤어리베치ㆍ메밀
(정답률: 64%)
  • 상추, 배추, 오이는 모두 동일한 작물군인 엽채류에 속하며, 서로 다른 종류의 작물이므로 타감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는 타감작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윤작의 효과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토양 전염성 병해충의 발생억제
  2. 토양 양분의 불용화
  3. 수량 증가와 품질향상
  4. 토양 통기성의 개선
(정답률: 82%)
  • "토양 양분의 불용화"는 윤작의 효과가 아니라 오히려 부작용이다. 윤작은 토양 전염성 병해충의 발생억제, 수량 증가와 품질향상, 토양 통기성의 개선 등의 효과가 있지만, 과도한 윤작은 토양의 질을 떨어뜨리고 양분을 불용화시키는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적정한 윤작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품종의 분류 중 내력에 따른 분류로 옳은 것은?

  1.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
  2. 재래품종, 육성품종, 도입품종
  3. 육성품종, 종, 아종
  4. 일반품종, 식용품종, 특수품종
(정답률: 64%)
  • 내력에 따른 분류는 특정 지역이나 문화권에서 오랫동안 전해져 내려온 재래품종, 인위적으로 육성된 육성품종, 다른 지역이나 문화권에서 가져온 도입품종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재래품종, 육성품종, 도입품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은 퇴비화 과정 중 부숙되기 위한 충분한 열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의 원인과 해결법이다. 그 연결이 틀린 것은?

  1. 지나치게 건조함 - 젖은 퇴비재료를 투입
  2. 지나치게 습윤함 - 마른재료를 투입하거나 다시 혼합
  3. 추운날씨와 작은 규모으 퇴비더미 - 퇴비더미 규모를 키우거나 퇴비재료를 더 혼입
  4. pH가 낮음 - 산성을 띠는 재료를 투입
(정답률: 46%)
  • "지나치게 건조함 - 젖은 퇴비재료를 투입"은 연결이 틀린 것이다.

    pH가 낮음인 경우, 퇴비화 과정에서 충분한 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는 산성을 띠는 재료가 퇴비재료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산성을 띠는 재료를 투입하여 pH를 높여줘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한 품종내의 유전형질이 서로 같은 집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아종
  2. 계통
  3. 육종
(정답률: 74%)
  • 한 품종내의 유전형질이 서로 같은 집단을 "계통"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동일한 조상으로부터 유래한 개체들이 유전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계통은 유전학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개체들의 집합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두과녹비 작물이 아닌 것은?

  1. 동부
  2. 화이트클로버
  3. 루핀
  4. 수수
(정답률: 64%)
  • 수수는 두과녹비 작물이 아닙니다. 수수는 벼과에 속하는 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유기축산에서 가축 인공수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우수한 종모축의 정액을 여러 마리의 암컷에 확대하여 수정할 수 있다.
  2. 가축의 개량이 촉진되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3. 방목하는 암 가축에게 인공수정을 쉽게 할 수 있다.
  4. 인공수정용 냉동정액을 원거리까지 수송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목하는 암 가축에게 인공수정을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은 유기축산에서는 장점이 아닙니다. 유기축산에서는 가축을 자연스럽게 번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인공수정은 가급적 지양해야 합니다. 따라서, "방목하는 암 가축에게 인공수정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유기축산에서는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유기농업에서는 화학비료를 대신하여 유기물을 사용하는데 유기물의 주된 기능이 아닌 것은?

  1. 완충력 증대
  2. 미생물번식 조장
  3. 보수 및 보비력 증대
  4. 지온감소
(정답률: 62%)
  • 유기농업에서 유기물은 완충력 증대, 미생물번식 조장, 보수 및 보비력 증대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지온감소는 유기물의 주된 기능은 아닙니다. 유기물은 토양의 영양분을 보충하고 토양 구조를 개선하여 작물의 성장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지온감소는 유기물이 가지는 부산물 중 하나로, 토양의 pH를 낮추어 산성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유기식품 가공.유통론

61. 꿀을 넣어 반죽하여 기름에 튀기고 다시 꿀을 담그어 만든 과자류는?

  1. 다식류
  2. 산자류
  3. 유밀과류
  4. 전과류
(정답률: 64%)
  • 이 과자류는 꿀을 사용하여 만들어졌으므로 "유밀과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단백질 식품 중 어육과 식육의 부패 정도를 나타내는 화학적 지표 검사항목은?

  1. 휘발성염기질소(VBN)
  2. 경도(Hardness)
  3. 과산화물가(Peroxide value)
  4. 생균수
(정답률: 알수없음)
  • 휘발성염기질소(VBN)는 어육과 식육의 부패 정도를 나타내는 화학적 지표 검사항목 중 하나입니다. 이는 부패 과정에서 생성되는 아미노산과 같은 화합물들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암모니아 등의 화합물을 측정하여 부패 정도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VBN 검사는 어육과 식육의 신선도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농산물 표준규격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준규격화는 기본적인 척도 또는 한계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2. 표준규격화는 유통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유통비용을 절감시킨다.
  3. 표준규격화의 기준은 산지 및 생산자에 따라 적절하게 변화되어야 한다.
  4. 표준규격화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정답률: 50%)
  • "표준규격화의 기준은 산지 및 생산자에 따라 적절하게 변화되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표준규격화는 일정한 기준과 척도를 결정하여 농산물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유통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므로, 산지나 생산자에 따라 기준이 변화되면 일관성이 없어지고 유통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표준규격화는 일정한 기준과 척도를 적용하여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유기가공식품 생산 및 취급시 사용이 가능한 재료는?

  1. 식용색소 황색 제 5호
  2. 한천
  3. 사카린나트륨
  4. 안식향산나트륨
(정답률: 67%)
  • 유기가공식품 생산 및 취급시 사용 가능한 재료는 화학적으로 안전하고 천연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중에서도 한천은 천연 발효식초로 만들어진 식품첨가물로서, 항산화 작용과 유익한 미생물을 함유하고 있어 유기농 식품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유기가공식품 생산 및 취급시 사용 가능한 재료로 한천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식품의 저장 방법 중 에너지 주입에 의한 가열처리 저장 방법은?

  1. 농축법(Concentration)
  2. 한외여과법(Ultra-filtration)
  3. 냉장냉동법(Chilling or freezing)
  4. 저온 살균법(Pasteurization)
(정답률: 57%)
  • 에너지 주입에 의한 가열처리 저장 방법은 식품 내의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저온 살균법은 고온으로 가열하지 않고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가열하여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식품의 맛과 영양성분을 보존하면서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유기 과실통조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박피 방법은?

  1. 증기 박피법
  2. 알칼리 박피법
  3. 산 박피법
  4. 산, 알칼리 병용 박피법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 과실통조림은 과일의 색, 향, 맛을 유지하기 위해 열처리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때 박피 방법 중 증기 박피법은 과일을 증기로 가열하여 열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과일의 영양소와 맛을 보존할 수 있으며, 또한 과일의 색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기 과실통조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증기 박피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사람 또는 가축에게 식중독을 일으키는 마이코톡신(mycotoxin)의 연결이 올바른 것은?

  1. 간장독 - 아플라톡신(aflatoxin) - 땅콩 - Fusarium속
  2. 신장독 - 시트리닌(citrinin) - 쌀 - Penicillium속
  3. 신경독 - 슬라프라민(slaframine) - 사료 - Aspergillus속
  4. 피부염 - 오크라톡신(ochratoxin) - 옥수수 - Yersinia속
(정답률: 55%)
  • 정답은 "신장독 - 시트리닌(citrinin) - 쌀 - Penicillium속" 입니다.

    시트리닌은 Penicillium속의 균사가 생산하는 마이코톡신으로, 쌀 등의 곡물에서 발견됩니다. 이 마이코톡신은 신장독으로 작용하여 신장에 손상을 일으키고, 사람이나 가축에게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트리닌이 발견된 쌀은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식중독과 그 예방법에 관한 내용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리스테리아균 식중독 - 저온으로 보관한다.
  2. 바실러스 세레우스 식중독 - 섭취 전 열처리를 한다.
  3.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 곡류와 그 가공품, 통조림 식품을 특히 주의한다.
  4.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 - 섭취 전 재가열한다.
(정답률: 64%)
  • 바실러스 세레우스는 고온에서 증식하며, 그로 인해 생기는 독소가 식중독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섭취 전 열처리를 함으로써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인스턴트 분유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습윤성(wettability)
  2. 침투성(penetrability)
  3. 침강성(sinkability)
  4. 응집성(agglutinability)
(정답률: 59%)
  • 인스턴트 분유는 물에 쉽게 녹아서 습윤성이 높고, 물에 잘 침투하여 침투성이 높으며, 물에 빠르게 침강하여 침강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응집성은 높지 않습니다. 즉, 인스턴트 분유는 물에 녹아서 응집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응집성은 인스턴트 분유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유통경로상 도매업으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은?

  1. 편의점
  2. 할인점
  3. 백화점
  4. 대리점
(정답률: 75%)
  • 대리점은 제조업체나 수입업체의 제품을 판매하는 중개업체로, 유통경로상 도매업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대리점이 정답입니다. 편의점, 할인점, 백화점은 소매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전분질 식품을 높은 온도로 가열할 때 생성되는 물질로 감자튀김 등에서 발견되어 문제가 된 독성물질은?

  1. 니트로사민(N-Nitrosamine)
  2.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3. 아플라톡신(Aflatoxin)
  4. 솔라닌(Solanine)
(정답률: 34%)
  • 감자튀김 등의 전분질 식품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아미노산과 당이 반응하여 아크릴아마이드라는 독성물질이 생성됩니다. 이 독성물질은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건강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분질 식품을 먹을 때는 과도한 섭취를 피하고, 가능하면 가열하지 않은 식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과실 및 채소류의 MA 포장시 에틸렌 가스(ethylene gas)의 흡착제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KMnO4
  2. 제오라이트
  3. 활성탄
  4. 자외선
(정답률: 64%)
  • 자외선은 과일과 채소의 성숙과 부패를 촉진시키는 에틸렌 가스를 생성하는데, 따라서 에틸렌 가스를 흡착하는 흡착제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인 KMnO4, 제오라이트, 활성탄은 모두 에틸렌 가스를 흡착하는 데 적합한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독소형 식중독에 해당하는 것은?

  1. 살모넬라 식중독
  2.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3. 캠필로박터 식중독
  4.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
(정답률: 28%)
  • 황색포도상구균은 독소를 생성하는 세균으로, 이 독소를 섭취하면 식중독을 일으킵니다. 따라서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이 독소형 식중독에 해당합니다. 살모넬라, 장염 비브리오, 캠필로박터는 모두 세균이지만, 독소를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독소형 식중독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유기식품가공에서 허용되는 첨가물은?

  1. 유전자 조작에 의해 생산된 첨가물
  2. 식품가공용 미생물
  3. 합성보존료
  4. 합성착색료
(정답률: 82%)
  • 유기식품가공에서는 첨가물 사용이 제한적이며, 합성보존료와 합성착색료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식품가공용 미생물은 천연 발효와 같은 과정에서 사용되어 유기식품의 맛과 향을 개선하고 보존하는 데에 허용되어 있습니다. 또한 유전자 조작에 의해 생산된 첨가물은 유기식품의 철학과 맞지 않아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농산물 유통경제의 특성은 크게 공급, 수요, 물적 측면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중 물적 측면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1. 부패, 손상되기가 쉽다.
  2. 생산자가 영세하여 다수이다.
  3. 계절성이 강하며 단기적 생산 변경이 곤란하다.
  4. 일상 필수품으로 구매 빈도가 높다.
(정답률: 42%)
  • 물적 측면의 특성은 "부패, 손상되기가 쉽다." 이다. 농산물은 신선한 상태에서만 가치가 있기 때문에 부패나 손상이 발생하면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게 된다. 또한 농산물은 자연적인 요인에 의해 생산량이나 품질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생산자가 영세하고 다수인 경우가 많다. 또한 계절성이 강하며 단기적 생산 변경이 어렵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의 관리가 중요하다. 일상 필수품으로 구매 빈도가 높기 때문에 유통시스템이 원활하게 동작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천연첨가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물, 식물 등 생물자원 등을 소재로 한다.
  2. 소재를 추출, 분리ㆍ정제하여 얻을 수 있다.
  3. 천연의 불용성, 광물성 물질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4. 효소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물질 등도 포함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천연첨가물은 동물, 식물 등 생물자원을 소재로 추출, 분리ㆍ정제하여 얻을 수 있으며, 효소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물질 등도 포함된다. 따라서 "천연의 불용성, 광물성 물질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우유 부패균에 의한 변색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Pseudomonas fluorescens - 녹색
  2. Pseudomonas syxnantha - 자색
  3. Pseudomonas syncyanea - 청색
  4. Serratia marcescens - 적색
(정답률: 64%)
  • 우유 부패균 중에서 Pseudomonas syxnantha는 자색으로 변색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Pseudomonas syxnantha - 자색이 올바른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일반 쌀의 가격이 상승했을 때, 유기농 쌀의 수요가 증가한다고 하면 두 종류의 쌀은 어떤 관계인가?

  1. 보완관계
  2. 결합관계
  3. 보합관계
  4. 대체관계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 쌀과 유기농 쌀은 대체관계에 있다. 가격이 상승하면 일반 쌀 대신 유기농 쌀을 선택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종류의 쌀은 서로 대체 가능한 상품으로 인식되며, 가격 변동에 따라 수요가 변화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분질 곡류와 단백질 곡류의 혼합, 조분쇄, 가열, 열교환, 성형, 팽화 등의 기능을 단일장치 내에서 행할 수 있는 가공조작법은?

  1. 농축
  2. 분쇄
  3. 압착
  4. 압출성형
(정답률: 59%)
  • 압출성형은 전분질 곡류와 단백질 곡류를 혼합하고 조분쇄한 뒤 가열하여 열교환을 통해 성형하고 팽화시키는 공정을 단일장치 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는 고체 물질을 압출하여 형태를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생산성이 높고 공정이 간단하여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포장재료인 유리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충격과 열에 의해 깨지기 쉽다.
  2. 기체 투과성 및 투습성이 없다.
  3. 빛이 투과하여 내용물이 변하기 쉽다.
  4. 수송 및 포장에 경비가 많이 든다.
(정답률: 80%)
  • 유리는 기체나 수분이 투과하지 않는 밀폐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기체 투과성 및 투습성이 없다는 것이 단점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유기농업관련 규정

81. 인증기관이 정당한 사유없이 1년 이상 계속하여 인증 업무를 행하지 아니한 경우 인증기관에 내릴 수 있는 행정처분은? (단, 위반횟수는 1회라고 한다.)

  1. 경고
  2. 업무정지 3월
  3. 업무정지 6월
  4. 지정취소
(정답률: 알수없음)
  • 인증기관이 정당한 사유없이 1년 이상 계속하여 인증 업무를 행하지 아니한 경우, 처음 위반했을 때는 경고를 받게 된다. 이는 처음 위반했을 때는 경고를 주고, 그 이후에도 계속 위반하면 더 엄한 처분을 내릴 수 있다는 경고의 의미가 담겨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유기축산물의 사육장 및 사육조건에서 정한 방목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소 : 개체우리를 권장
  2. 물오리류 : 기후조건에 따라 시냇물ㆍ연못 또는 호수에 접근이 가능할 것
  3. 가금 : 개방조건에서 사육
  4. 산란계 : 케이지에서 사육을 금하며 자연일조시간 이내로 사육하고 인공광은 사용하지 말 것
(정답률: 50%)
  • 정답은 "산란계 : 케이지에서 사육을 금하며 자연일조시간 이내로 사육하고 인공광은 사용하지 말 것"이다. 이유는 산란계는 일반적으로 케이지에서 사육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동물복지에 좋지 않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또한 인공광을 사용하면 동물의 체내 리듬이 깨져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자연일조시간 이내로 사육하는 것이 권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유기농산물가공품 품질인증에 과한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다음 규정 중 틀린 것은?

  1. 유기농산물가공품을 생산할 때에는 전체 원료농산물을 유기농산물 인증을 받은 국내상농산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유기농산물가공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수의 수질 기준은 “먹는물의수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3. 유기농산물가공품의 가공ㆍ취급시설에는 어떠한 경우라도 살충ㆍ살균제를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유기농산물가공품을 생산하는 유기가공공장에 대하여는 식품위생법의 규정에 의해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필하여야 한다.
(정답률: 20%)
  • "유기농산물가공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수의 수질 기준은 “먹는물의수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이 틀린 것이다. 유기농산물가공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수의 수질 기준은 "식용수 및 식품용수의 기준 및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유기농림산물의 인증 기준에 관한 사항 중 병해충 및 잡초를 방제ㆍ조절하려고 한다. 그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멀칭ㆍ예취 및 화염제초
  2. 식물ㆍ농장퇴비 및 돌가루 등에 의한 생체역학적 수단
  3. 빛 및 소리와 같은 기계적 통제
  4. 농자재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후 기계적인 방법을 제외하고 물리적인 방법으로만 방제
(정답률: 72%)
  • 정답: "농자재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후 기계적인 방법을 제외하고 물리적인 방법으로만 방제"

    유기농림산물의 인증 기준에서는 병해충 및 잡초 방제에 대한 구비조건으로 "농자재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후 기계적인 방법을 제외하고 물리적인 방법으로만 방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유는 유기농농업에서는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대안으로 물리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병해충 및 잡초를 방제하게 됩니다. 이는 멀칭, 예취, 화염제초, 생체역학적 수단 등을 사용하여 식물과 토양을 보호하면서 방제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농자재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후에는 물리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방제를 해야 유기농림산물의 인증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저농약농산물에 대한 규정으로 맞는 것은?

  1. 6개월 이상 기록한 영농관련자료를 보관해야 한다.
  2. 유기합성농약의 살포 횟수는 안전사용기준의 1/2이하이어야 한다.
  3. 제초제를 사용하여 과수의 생육과 주변 환경을 보호하여야 한다.
  4. 화학비료는 권장량의 1/3이하를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유기합성농약의 살포 횟수는 안전사용기준의 1/2이하이어야 한다." 이다. 이는 유기합성농약이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살포 횟수를 제한하고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해야 한다는 규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친환경농업육성법의 제정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친환경농업 실천 농업인 육성
  2.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농업추구
  3. 친환경농산물의 상품성 향상과 공정거래 유도
  4. 농업의 환경보전기능 증대와 농업으로 인한 환경오염 절감
(정답률: 73%)
  • 친환경농산물의 상품성 향상과 공정거래 유도는 친환경농업의 목적 중 하나일 뿐, 친환경농업육성법의 제정 목적은 아니다. 친환경농업육성법은 친환경농업 실천 농업인 육성,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농업추구, 농업의 환경보전기능 증대와 농업으로 인한 환경오염 절감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 용어의 정의 중 유전자 조작 유기물에 포함시키기 위한 유전자조작/변형 기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형질도입
  2. 세포융합
  3. 유전자삭제/배가
  4. 캡슐화
(정답률: 64%)
  • 형질도입은 유전자 조작 기술 중 하나로, 외부적인 유전자를 세포 내부로 도입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유전자 조작 유기물에 포함시키기 위한 유전자조작/변형 기법 중 하나이며, 다른 보기인 세포융합, 유전자삭제/배가, 캡슐화는 유전자 조작 유기물에 포함시키기 위한 유전자조작/변형 기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친환경농산물의 인증기관을 지정할 때 인력으로 활용되는 인증심사원의 지정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5인 이상 갖추되 상근은 2인 이상일 것
  2. 농업관련 기업체 등에서 농산물의 품질관리업무를 5년 이상 담당한 경력을 가진 자일 것
  3. 농림ㆍ환경분야의 기술사 또는 기능사 자격증을 소지한 자일 것
  4. 농학계열 4년제 대학졸업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는 자로서 인증심사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자일 것
(정답률: 40%)
  • "농림ㆍ환경분야의 기술사 또는 기능사 자격증을 소지한 자일 것"은 옳지 않은 기준입니다. 인증심사원은 농산물의 생산, 가공, 유통 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순히 기술사 또는 기능사 자격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기준들과 함께 고려하여 인력을 선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유기 두류제품 생산에 사용이 가능한 식품첨가제(보조제)에 해당되는 것은?

  1.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2.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3. 염화칼륨, 인산제일칼슘
  4. 주석칼륨, 이산화황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 두류제품 생산 시에는 보존제로 염화칼슘과 염화마그네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식품첨가물 중에서도 보존제로 분류되며, 유기농 제품 생산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염화칼슘과 염화마그네슘은 식품의 수분을 제거하여 유기두류제품의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친환경농산물 종류 명칭을 쓰는 곳에 하늘색을 사용하였다. 하늘색을 사용한 의미는?

  1. 무농약농산물
  2. 저농약농산물
  3. 전환유기농산물
  4. 유기농산물
(정답률: 60%)
  • 하늘색은 자연과 환경을 상징하는 색상 중 하나이다. 따라서 친환경농산물을 나타내는 "무농약농산물"에 하늘색을 사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무농약농산물"은 화학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인 방법으로 재배된 농산물을 말한다. 이는 인체에 해로운 화학물질을 섭취하지 않아 건강에 이로울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에도 기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유기축산물 생산을 위한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자재의 보조사료가 아닌 것은?

  1. 벤토나이트
  2. 아밀라제
  3. 비소
  4. 해조추출물
(정답률: 67%)
  • 비소는 유기축산물 생산을 위한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자재의 보조사료가 아닙니다. 비소는 동물에게 필수 미량원소 중 하나이지만, 과다 섭취 시 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기축산물 생산을 위한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자재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 정한 친환경농산물의 인증의 부정행위로 볼 수 없는 것은?

  1. 사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받는 행위
  2. 인증품에 인증품이 아닌 농산물을 혼합하여 판매하거나 판매할 목적으로 보관, 운반 또는 진열하는 행위
  3. 친환경농산물표시를 한 인증품이 인증품이 아닌 농산물임을 모르고 판매하는 행위
  4. 인증품이 아닌 농산물에 친환경농산물표시 또는 이와 유사한 표시를 하는 행위
(정답률: 64%)
  • 친환경농산물표시를 한 인증품이 인증품이 아닌 농산물임을 모르고 판매하는 행위는 부정행위로 볼 수 없다. 이는 인증을 받은 농산물과 비인증 농산물을 구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판매자가 고의적으로 부정한 행위를 한 것이 아니라면 부정행위로 보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친환경농산물의 표시에 대한 규정으로 틀린 것은?

  1. 도형 또는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2. 생산자의 성명ㆍ주소ㆍ전화번호, 인증번호, 품목, 산지, 무게 등을 표시하여야 한다.
  3. 포장 또는 용기의 앞ㆍ뒷면에 모두 표시하여야 한다.
  4. 포장을 하지 아니하고 판매하거나 낱개로 판매하는 경우에는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표시판 또는 푯말로 표시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포장 또는 용기의 앞ㆍ뒷면에 모두 표시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친환경농산물의 표시에 대한 규정에서는 포장 또는 용기의 한쪽 면에만 표시해도 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는 포장이나 용기의 크기가 작아서 양쪽 면에 모두 표시하기 어려운 경우를 고려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유기축산물의 인증기관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육장은 주변으로부터의 오염우려가 없는 지역으로서 가축의 복리를 위하여 갖추어야 할 요건이 있다. 그 요건으로 틀린 것은?

  1. 축산분뇨의 처리는 자원화가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2. 활동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3. 충분한 환기 및 채광으로 쾌적한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4. 신선한 음수를 상시 급여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85%)
  • "축산분뇨의 처리는 자원화가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유기축산물 인증기관에서는 축산분뇨를 자원화하여 활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환경보호와 자원절약을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유기축산물의 사료 및 영양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추가축의 경우에는 포유동물에서 유래한 사료(우유 및 유제품 제외)는 어떠한 경우에도 첨가해서는 아니된다.
  2. 비반추 가축의 경우 건물을 기준으로 하여 유기사료를 70% 이상 급여하여야 한다.
  3. 반추가축에게 사일리지만 급여해서는 안되고 단위가축에게는 반드시 거친 조사료를 일정량 급여하여야 한다.
  4. 합성질소 도는 비단백태질소화합물을 사료에 첨가해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반추 가축의 경우 건물을 기준으로 하여 유기사료를 70% 이상 급여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비반추 가축의 경우에도 건물을 기준으로 하여 유기사료를 100% 급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70% 이상 급여한다는 제한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국내식품으로 유기가공식품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를 표시할 수 있는 경우는?

  1. 동일 원재료에 대하여 유기농산물과 비유기농산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2. 방사선 조사처리된 원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3. 원재료의 당해 식품에 사용하는 용기ㆍ포장이 재활용 가능한 경우
  4. 유전자 재조합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사용한 원재료
(정답률: 70%)
  • 유기가공식품이나 이와 유사한 용어는 국내식품에서 표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재료의 당해 식품에 사용하는 용기나 포장이 재활용 가능한 경우에는 유기농 또는 비유기농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유기가공식품이라고 표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유기농산물 가공품 품질인증 기준을 준수하는지에 대하여 출장소장은 소속 공무원으로 하여금 가공시기별로 월 몇 회 이상 가공공장 및 제품 보관장소 등에 대하여 조사하게하여야 하는가?

  1. 1회 이상
  2. 2회 이상
  3. 3회 이상
  4. 4회 이상
(정답률: 64%)
  • 유기농산물 가공품의 품질인증 기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가공시기별로 일정한 주기로 조사를 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1회 이상"이라는 답이 나오게 됩니다. 만약 "2회 이상"이라는 답이 나왔다면, 두 번 이상 조사를 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는 일정한 주기로 조사를 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부적절합니다. 따라서 "1회 이상"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 라인에서 정한 가축의 번식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종축을 사용한 자연교배가 권장되고 인공수정 방법은 사용할 수 없다.
  2. 수정란 이식기법이나 번식호르몬은 처리기법은 사용하지 않는다.
  3. 유전공학을 사용한 번식기법은 사용하지 않는다.
  4. 현지조건과 유기체계하에 사육하기 적합한 품종과 계통을 고른다.
(정답률: 67%)
  • "인공수정 방법은 사용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다. Codex 가이드 라인에서는 인공수정 방법도 사용 가능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인공수정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유전자 조작이나 유전자 변형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자연교배를 권장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친환경농업발전위원회의 심의 사항이 아닌 것은?

  1. 친환경농업인 건강보험제도 도입
  2. 친환경농업의 육성계획 수립 및 변경
  3. 친환경농업의 생산성 증대방안
  4. 친환경농업과 관련하여 위원장이 심의에 부치는 사항
(정답률: 59%)
  • 친환경농업인 건강보험제도 도입은 친환경농업발전위원회의 심의 사항이 아닙니다. 이유는 친환경농업발전위원회는 친환경농업의 발전과 관련된 정책과 계획을 수립하고 심의하는 기관으로, 건강보험제도는 보건복지부와 관련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과한 Codex 가이드 라인에서 정하고 있는 벌의 건강을 위한 병충해 방지용으로 허용되고 있지 않은 것은?

  1. 유산, 수산, 초산
  2. 증기와 직사화염
  3. 유황
  4. 포름알데히드
(정답률: 50%)
  • Codex 가이드 라인에서는 벌의 건강을 위한 병충해 방지용으로 유기농 생산에 유해한 화학물질 사용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포름알데히드는 유해한 화학물질로, 유기식품 생산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포름알데히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