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7-27)

유기농업기사
(2008-07-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재배원론

1. 유전자 중심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물발상의 중심지에는 재배식물의 변이가 가장풍부하다.
  2. 작물발상의 중심지에는 우성형질과 열성형질이 동일 비율로 존재한다.
  3. 작물발상의 중심지에는 원시적 형질을 가진 품종이 많다.
  4. 중심지에서 멀어질수록 열성유전자가 많다.
(정답률: 91%)
  • 유전자 중심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없습니다.

    작물발상의 중심지에는 우성형질과 열성형질이 동일 비율로 존재하는 이유는, 작물발상의 중심지는 다양한 유전자를 가진 다양한 개체들이 교배하여 혼합되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혼합으로 인해 우성형질과 열성형질이 동일 비율로 존재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생력화 재배와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기계화 재배
  2. 다품종(多品種)재배
  3. 제초제의 이용
  4. 집단재배
(정답률: 40%)
  • 생력화 재배는 일정한 기간 동안 같은 작물을 재배하지 않고, 다른 작물을 번갈아가며 재배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토양의 영양분을 보전하고 토양병해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기계화 재배는 농기계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입니다.

    제초제의 이용은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화학제품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집단재배는 여러 농가가 함께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생력화 재배와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다품종(多品種)재배입니다. 다품종재배는 한 지역에서 여러 종류의 작물을 재배하는 것으로, 생력화 재배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T/R의 비율이 감소하는 경우는?

  1. 토양 수분이 부족한 곳에서 자란 식물
  2. 토양 통기가 불량한 곳에서 자란 식물
  3. 토양 양분이 풍부한 곳에서 자란 식물
  4. 파종기 또는 이식기가 늦어진 식물
(정답률: 알수없음)
  • T/R 비율은 증산성 식물에서 높은 경향이 있으며, 이는 토양 수분이 충분하고 영양분이 풍부한 환경에서 자란 식물일 때 나타납니다. 따라서, 토양 수분이 부족한 곳에서 자란 식물은 T/R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식물이 수분 부족으로 스트레스를 받아 광합성 활동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광합성산과 호흡산의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토양수분의 수주 높이가 1000㎝일 때 pF값과 기압은 각각 얼마인가?

  1. pF0, 0.001기압
  2. pF1, 0.01기압
  3. pF2, 0.1기압
  4. pF3, 1기압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수분의 수주 높이가 1000㎝일 때, pF값은 3이 됩니다. 이는 수분이 매우 적어서 매우 건조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기압은 pF값이 3일 때 1기압이 됩니다. 이는 토양수분이 건조하여 공기가 가득 차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pF3, 1기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SMS(soil moisture stress)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내ㆍ외액의 농도차에 의해서 삼투를 일으키는 압력
  2. 삼투에 의해서 세포의 수분이 늘면 세포를 증대시키려는 압력
  3. 토양의 수분보유력 및 삼투압을 합친 것
  4. 삼투압과 막압을 합친 것
(정답률: 알수없음)
  • SMS는 토양의 수분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토양의 수분보유력과 삼투압을 합친 것입니다. 즉, 토양이 얼마나 수분을 보유하고 있고, 식물이 그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방사선의 종류 중 가장 현저한 생물적 효과를 가진 방사선은?

  1. α선
  2. β선
  3. γ선
  4. π선
(정답률: 알수없음)
  • γ선은 전자기파 형태의 고에너지 방사선으로, 다른 방사선에 비해 깊은 부위까지 침투하여 생물체 내부의 세포와 분자를 직접적으로 공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현저한 생물적 효과를 가진 방사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해충이 병원균을 매개하는 것은?

  1. 벼 줄기무늬잎마름병
  2. 보리 겉깜부기병
  3. 토마토 청고병
  4. 오이 흰가루병
(정답률: 50%)
  • 벼 줄기무늬잎마름병은 벼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이 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벼잎마름흰종이벌입니다. 이 벌은 벼를 방문하여 바이러스를 전염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분포텐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질의 농도가 높으면 수분포텐셜이 감소한다.
  2. 압력이 높아지면 수분포텐셜이 감소한다.
  3. 온도가 높아지면 수분포텐셜이 증대한다.
  4. 수분포텐셜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이 이동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압력이 높아지면 수분포텐셜이 감소한다."이다.

    수분포텐셜은 물 분자가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자유 에너지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용질의 농도, 온도, 압력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 변화한다.

    압력이 높아지면 물 분자들이 서로 더 밀집하게 위치하게 되어, 물 분자들 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물 분자들의 자유 에너지가 감소하게 되어 수분포텐셜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이 높아지면 수분포텐셜이 감소하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보통 밀의 단백질에 면역된 혈청에 나타난 침강 반응을 관찰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단백질 용액 희석도는?

  1. 1:34
  2. 1:32.5
  3. 1:25
  4. 1:10
(정답률: 알수없음)
  • 보통 밀의 단백질에 대한 면역반응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희석도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때, 너무 높은 희석도를 사용하면 반응이 너무 약해져서 관찰이 어렵고, 너무 낮은 희석도를 사용하면 반응이 너무 강해져서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희석도를 찾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실험을 해봐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1:10 정도의 희석도가 적절합니다. 이유는 1:10 정도의 희석도를 사용하면, 단백질 용액이 충분히 희석되어 면역반응이 적절한 강도로 일어나면서도, 반응물의 농도가 충분히 높아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통 밀의 단백질에 대한 면역반응을 관찰할 때는 1:10 정도의 희석도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산성토양에 가장 약한 작물들로만 짝 지어진 것은?

  1. 벼, 호밀
  2. 땅콩, 콩
  3. 보리, 귀리
  4. 콩, 양파
(정답률: 알수없음)
  • 산성토양은 pH 값이 낮아서 산성인 토양을 말합니다. 이러한 토양에서는 적은 양의 양분만 있어도 작물이 잘 자라지 않습니다. 따라서 산성토양에 가장 약한 작물은 pH 값이 높은 작물이며, 콩과 양파는 pH 값이 높은 작물로서 산성토양에서 잘 자라지 않습니다. 따라서 콩과 양파가 산성토양에 가장 약한 작물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수발아(穗發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우리나라에서는 보리가 밀보다 성숙기 빠르므로 수발아의 위험이 적다.
  2. 벼에서 수발아가 문제가 되는 겨우도 있다.
  3. 밀에서는 초자질립, 백립종 등이 수발아가 심한 경향이 있다.
  4. 맥류에서 출수 후 40일경 종피가 굳어진 후에 발아억제제를 살포하면 수발아가 억제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맥류에서 출수 후 40일경 종피가 굳어진 후에 발아억제제를 살포하면 수발아가 억제 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맥류는 수확 후에도 수발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발아억제제를 사용하여 수발아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맥류에서는 출수 후 40일경 종피가 굳어진 후에 발아억제제를 살포하면 수발아가 억제되므로 이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반적으로 답전윤황에서 논 기간과 밭 기간은 각각 몇 년 정도로 하는 것이 적합한가?

  1. 1년
  2. 2~3년
  3. 4~5년
  4. 6~7년
(정답률: 알수없음)
  • 답전윤황에서는 밭을 일정 기간 동안 경작하고 그 이후에는 휴지기를 두어야 한다고 하고 있습니다. 이는 밭의 토양을 휴식시켜서 더욱 풍부하게 만들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이 휴지기는 일정 기간 이상이 되면 오히려 토양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적절한 기간을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2~3년 정도의 휴지기가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유축농업(有畜農業) 또는 혼합농업과 비슷한 뜻이며, 식량과 사료를 서로 균형있게 생산하는 재배형식은?

  1. 식경(殖耕)
  2. 원경(園耕)
  3. 소경(疎耕)
  4. 포경(圃耕)
(정답률: 알수없음)
  • 포경은 작은 구획으로 나누어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으로, 작물 간의 경쟁을 줄이고 효율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동물의 배설물을 이용하여 비료를 만들어 작물 생산에 이용하므로 유축농업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러한 이유로 식량과 사료를 균형있게 생산하는 혼합농업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풍해의 기계적 장해에 해당 되는 것은?

  1. 벼에서 수분 및 수정이 저해되어 불임립(不稔粒)이 발생한다.
  2. 상처가 나면 호흡이 증대되어 체내의 양분 소모가 증대 된다.
  3. 증산이 커져서 식물이 건조해진다.
  4. 기공이 닫혀 광합성이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벼에서 수분 및 수정이 저해되어 불임립(不稔粒)이 발생한다."는 풍해의 기계적 장해에 해당된다. 풍해로 인해 벼의 수분과 수정이 저해되면, 벼가 충분한 영양분을 얻지 못하고 불임립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특성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세포가 크다.
  2. 세포액의 삼투포텐셜이 높다.
  3. 세포막의 수분투과성이 크다.
  4. 세포의 원형질 함량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건성이 강한 작물은 물 부족 상황에서도 적응력이 높은 작물로, 이는 세포막의 수분투과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세포막이 물을 잘 통과시키기 때문에 작물 내부의 물이 적어져도 세포 내부의 물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건성이 강한 작물은 물 부족 상황에서도 적응력이 높아 생존력이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잡초 종자의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잡초 종자는 대개 수명이 짧다.
  2. 잡초 종자는 대개 협광성이다.
  3. 잡초 종자는 대개 변온에서 발아율이 낮아진다.
  4. 잡초 종자는 대개 복토가 얕으면 잘 발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잡초 종자는 대개 복토가 얕으면 잘 발아한다. 이는 복토가 얕을수록 토양 온도와 습도 등이 변화하기 쉬워서, 잡초 종자가 발아하기에 적합한 환경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질소농다가 0.2%인 수용액 20L를 만들어서 엽면시비를 하려 할 때 필요한 요소비료의 양은? (단, 요소비료의 질소함량은 46% 이다.)

  1. 약 3.96g
  2. 약 8.70g
  3. 약 40.0g
  4. 약 86.96g
(정답률: 알수없음)
  • 질소농도가 0.2%인 20L의 수용액에는 총 0.04kg의 질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요소비료의 질소함량인 46%로 나누면 필요한 요소비료의 양을 구할 수 있습니다.

    0.04kg / 0.46 = 약 0.08696kg = 약 86.96g

    따라서, 필요한 요소비료의 양은 약 86.96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식물체 줄기의 정아우세 현상을 발현하는 식물 호르몬은?

  1. Auxin
  2. Gibberellin
  3. Cytokinin
  4. Abscissic Acid
(정답률: 알수없음)
  • Auxin은 식물체 줄기의 정아우세 현상을 발현하는 주요한 식물 호르몬입니다. Auxin은 줄기의 상단 부분에서 생산되어 하단으로 이동하면서 줄기의 증식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Auxin의 역할로 인해 식물체는 더 높은 곳으로 자라게 되며, 광합성에 필요한 잎의 면적도 늘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토양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식물이 가장 잘 자라는 구조는 이상구조이다.
  2. 단립(單粒)구조는 점토질 토양에서 많이 볼 수 있다.
  3. 수분과 양분의 보유력이 가장 큰 구조는 입단구조이다.
  4. 이상구조는 대공극이 암고 소공극이 적다.
(정답률: 80%)
  • 입단구조는 입자 크기가 크고 공극이 많아서 수분과 양분을 보유하는 능력이 높기 때문에 가장 큰 보유력을 가진 구조이다. 이상구조는 대공극이 많아서 공기 순환이 잘 되어 식물이 호흡하는 데 유리하지만, 수분과 양분을 보유하는 능력은 입단구조보다는 낮다. 단립구조는 입자 크기가 작아서 수분과 양분을 보유하는 능력은 낮지만, 점토질 토양에서 많이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내식성(耐蝕性) 작물에 해당되는 것은?

  1. 옥수수
  2. 담배
  3. 알팔파
  4. 목화
(정답률: 67%)
  • 내식성 작물은 토양의 산성도나 염분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잘 자라는 작물을 말합니다. 알팔파는 토양의 염분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내식성 작물에 해당됩니다. 반면 옥수수, 담배, 목화는 염분에 민감하거나 산성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내식성 작물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토양비옥도 및 관리

21. 경지정리지구에서는 절토지와 성토지가 생긴다. 다음 중 성토지의 경토 성분이 절토지의 경토 성분보다 낮은 것은?

  1. 전질소
  2. 치환성식회
  3. 유효규산
  4. 고토성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질소"입니다.

    경지정리지구에서 성토지는 절토지보다 더 많은 물질이 침전하여 형성되는데, 이때 성분 중에서 경토 성분이 낮은 것은 전질소입니다. 전질소는 유기물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질소로, 비료로서는 유용하지만 토양의 구조를 유지하는데는 큰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경지정리지구에서는 전질소 함량이 낮은 성토지가 형성됩니다.

    반면에 치환성식회, 유효규산, 고토성분은 토양의 구조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토 성분으로, 성토지에서는 높은 함량으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화성암이며, 우리나라 토양의 주요 모재가 되는 암석은?

  1. 화강암
  2. 천매암
  3. 석회암
  4. 현무암
(정답률: 72%)
  • 화성암은 화강암의 일종으로, 우리나라 토양의 주요 모재가 되는 암석 중에서 가장 튼튼하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건축물, 도로, 다리 등의 건설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화강암은 고온 고압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화성이 뛰어나며, 물에 잘 녹지 않아 수처리 시설 등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강우시 강우량이 침투량(Infiltration)보다 많은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만 연결된 것은?

  1. 침투(Infiltration), 유거(Runoff)
  2. 침투(Infiltration), 증발(Evaporation)
  3. 모세관 상승(Capillary Rise), 유거(Runoff)
  4. 유거(Runoff), 침식(Erosion)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우량이 침투량보다 많은 경우, 지표면에서 물이 흐르게 되어 유거(Runoff)가 발생한다. 이 때, 유거로 인해 토양 표면이 침식(Erosion)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정답은 "유거(Runoff), 침식(Eros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화성암 중 중성암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석영반암, 휘록암
  2. 안산암, 섬록암
  3. 현무암, 반려암
  4. 화강암, 섬록반암
(정답률: 알수없음)
  • 중성암은 알칼리성 광물이 많이 함유된 암석을 말하는데, 안산암과 섬록암은 모두 중성암이면서도 다른 종류의 암석이기 때문에 짝지어진 것입니다. 안산암은 흑연질 알칼리성 화강암으로, 섬록암은 페로그린질 알칼리성 화강암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중성암과 다른 종류의 암석이 함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토양생성에 관여하는 5가지 요인이 모두 올바르게 배열된 것은?

  1. 모재, 부식, 기후, 수분, 지형
  2. 모재, 지형, 식생, 부식, 기후
  3. 모재, 기후, 시간, 지형, 부식
  4. 모재, 지형, 기후, 식생, 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모재, 지형, 기후, 식생, 시간입니다. 모재는 토양의 원료로서, 지표층에 존재하는 암석, 흙, 모래 등이 해당됩니다. 지형은 지형적인 특성에 따라 토양의 형성과 특성이 달라집니다. 기후는 강수량, 온도, 풍속 등의 기후 조건에 따라 토양의 형성과 특성이 달라집니다. 식생은 토양 표면에 자라는 식물들이 토양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시간은 토양 생성에 걸리는 시간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토양의 특성이 변화합니다. 따라서, 이 모든 요인이 올바르게 배열된 것이 토양 생성에 가장 적합한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부식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을 보유하는 힘을 높여 준다.
  2. 중금속의 피해를 감소시킨다.
  3. 토양구조의 분산(分散)을 증가시킨다.
  4. 토양의 입단구조를 조장한다.
(정답률: 70%)
  • 토양구조의 분산을 증가시킨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부식은 토양의 입단구조를 조장하고 물을 보유하는 힘을 높여주며 중금속의 피해를 감소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토양의 전 용적밀도(bulk density)가 1.8g/cm3 일 때 75cm3 용적에 들어 있는 건조토양의 질량은?

  1. 135g
  2. 42g
  3. 36g
  4. 0.024g
(정답률: 알수없음)
  • 전 용적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을 의미하므로, 1cm3의 건조토양 질량은 1.8g이다. 따라서 75cm3 용적에 들어 있는 건조토양의 질량은 1.8g/cm3 x 75cm3 = 135g 이다. 따라서 정답은 "135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식물체 구성 성분 중 부식을 형성하는 주체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셀롤로오스와 왁스류
  2. 아미노산과 셀롤로오스
  3. 셀롤로오스와 단백질
  4. 리그닌과 단백질
(정답률: 알수없음)
  • 리그닌은 식물체에서 가장 강한 부식성을 가지는 성분 중 하나이며, 단백질은 리그닌과 함께 부식을 형성하는 주체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리그닌과 단백질"이 부식을 형성하는 주체로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심층토의 색이 갈색이거나 붉은 색을 띠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알루미늄 산화물(Al-oxide)의 집적
  2. 석영(Quartz)의 집적
  3. 유기물(Organic matter)의 집적
  4. 철 산화물(Fe-oxide)의 집적
(정답률: 알수없음)
  • 심층토의 색이 갈색이거나 붉은 색을 띠는 이유는 철 산화물(Fe-oxide)의 집적 때문입니다. 철 산화물은 산화되어 생긴 물질로, 흙에 많이 존재합니다. 이것이 흙에 집적되면서 흙의 색깔이 갈색이나 붉은 색을 띄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토양의 용적밀도가 1.3g/cm3 이고, 입자밀도가 2.6g/ cm3 인 경우의 토양공극률은?

  1. 13%
  2. 25%
  3. 50%
  4. 75%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공극률은 (1-토양의 용적밀도/입자밀도)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1.3/2.6) x 100 = 50% 이므로 정답은 "50%" 이다. 이는 토양 입자들 사이의 공간이 전체 체적의 50%를 차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의 식이 나타내는 현상은?

  1. 불용화(Immobilization)
  2. 가용화(Mobilization)
  3. 용해(Dissolution)
  4. 합성(Synthesis)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식은 물질이 불용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학적 반응을 통해 가용화되는 현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가용화(Mobiliza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형태론적 토양분류체계에서 주로 화산분출에 의해 형성된 화산회토양을 의미하는 토양목은?

  1. Andisol
  2. Aridisol
  3. Oxisol
  4. Histosol
(정답률: 알수없음)
  • Andisol은 화산분출물에 의해 형성된 토양을 의미하는 토양목으로, 화산재, 화산재토, 화산재토양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토양은 화산분출물의 특성상 토양 구성요소가 다양하고, 토양이 풍부하며 비교적 높은 pH 값을 가지는 등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Andisol은 화산분출물에 의해 형성된 화산회토양을 대표하는 토양목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토양조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일의 하나가 토양단면의 형태조사이다. 단면을 만들 때 고려해야할 사 항으로 옳은 것은?

  1. 시갱(pit)을 하는데 깊이는 일반적으로 100㎝를 기준으로 한다.
  2. 시갱을 하기 힘든 곳에서 기준의 자연적 단면 또는 도로를 만들 때 들어난 단면을 이용하여 조사해서는 안 된다.
  3. 토양생성인자를 고려하여 될 수 있는 한 대표적 인 장소를 선정하여 시갱한다.
  4. 시갱할 때 지하수위가 높아 물이 고이는 곳은 수면위로 들어난 곳만 조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 토양생성인자를 고려하여 될 수 있는 한 대표적인 장소를 선정하여 시갱한다.

    이유: 토양생성인자는 토양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요인으로, 지질학적, 기후학적, 생물학적, 인간활동 등이 있다. 이러한 토양생성인자는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대표적인 장소를 선정하여 시갱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토양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논토양에서 NH4+ 형태의 질소에 비하여 NO3-형태의 질소의 이용 효율이 낮은 이유로 옳은 것은?

  1. NO3-형태의 질소는 토양에 강하게 흡착되어 이 용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2. NO3-형태의 질소는 탈질작용을 통하여 손실되기 때문이다.
  3. NO3- 형태의 질소는 금속성 음이욘과 쉽게 결합하여 침전되기 때문이다.
  4. 미생물은 NO3- 형태의 질소를 우선적으로 흡수 하여 부동화시키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NO3-형태의 질소는 탈질작용을 통하여 손실되기 때문이다."입니다. NO3-형태의 질소는 물에 용해되어 이동성이 높기 때문에 비가 내리면 토양에서 쉽게 탈출하여 지하수나 수로 등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에 비해 NH4+ 형태의 질소는 토양 입자에 강하게 흡착되어 이용 효율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토양 내 수분이동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양수분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곳은 두 지점간 수분포텐셜 구배이다.
  2. 지표에 고운 흙을 뿌리는 수분 보전방법은 일종 의 모세관 절단효과이다.
  3. 일반적으로 진흙에서 모래로 수분이 이동할 때 이동속도는 빨라진다.
  4. 토양 내 물의 이동은 포화상태의 흐름과 불포화 상태의 흐름으로 나뉘는데 수분장력의 차에 따른 물의 이동은 불포화 상태의 흐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진흙에서 모래로 수분이 이동할 때 이동속도는 빨라지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이동속도는 토양 입자의 크기와 모양, 토양 내 수분포텐셜 구배, 포화도 등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는 입자 크기가 작은 모래보다는 큰 진흙에서 더 빠르게 이동합니다. 이유는 진흙 내 입자 간 간격이 작아 수분이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산성토양의 개량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농용석회 시용
  2. 황산석회 시용
  3. 완숙 유기물의 시용
  4. 패각분말 시용
(정답률: 64%)
  • 황산석회는 산성토양의 pH를 높이는 것보다는 오히려 pH를 낮추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산성토양의 개량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황산석회 시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점토(clay)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표면적이 크다.
  2. 2차 광물이다.
  3. 가소성과가 점착력이 크다.
  4. 모관력은 매우 약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모관력은 매우 약하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모관력은 물 분자들이 서로 끌어 당기는 힘을 말하며, 이는 점토 입자의 표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성질이다. 따라서 점토는 모관력이 매우 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토양수분의 토양수분장력(pF) 크기 순서로 옳은 것은?

  1. 흡습수 > 중력수 > 모관수
  2. 중력수 > 모관수 > 흡습수
  3. 흡습수 > 모관수 > 중력수
  4. 모관수 > 중력수 > 흡습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흡습수 > 모관수 > 중력수"입니다.

    토양수분장력(pF)은 토양 내부의 수분이 얼마나 흡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때, 흡습수는 토양 입자와 물 분자 간의 분자력으로 인해 토양 입자에 물이 흡수되는 수분장력을 말하며, 모관수는 토양 내부의 작은 구멍(모관)을 통해 물이 이동하는 수분장력을 말합니다. 반면, 중력수는 토양 내부의 큰 구멍(맥관)을 통해 물이 이동하는 수분장력으로, 토양 내부의 물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흐르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흡습수는 분자력에 의해 물이 흡수되는 수분장력으로 가장 작은 구멍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가장 큰 값이며, 모관수는 작은 구멍을 통해 물이 이동하는 수분장력으로 중간값을 가지며, 중력수는 큰 구멍을 통해 물이 이동하는 수분장력으로 가장 작은 값입니다. 따라서, "흡습수 > 모관수 > 중력수"가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객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점토 햠량이 높은 객토원을 낮은 대상지에 넣고 토성을 조절하는 작업이다.
  2. 객토는 객토원의 두께가 10㎝ 이하의 것으로 원 토양과 섞어야 한다.
  3. 객토를 하기 위한 객토원을 찾기 위해서 정밀토양도를 찾는 것은 불필요하다.
  4. 객토는 시설토양의 염류 희석, 고랭지 토양, 오염지 토양, 연작장해지 등에 효과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객토를 하기 위한 객토원을 찾기 위해서 정밀토양도를 찾는 것은 불필요하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객토를 하기 위해서는 객토원의 토양 조건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정밀토양도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 정밀토양도를 통해 객토원의 토양 조건을 파악하여 적절한 객토를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알칼리 토양에서 용해도가 증가하는 영양소끼리 짝지어진 것은?

  1. S, Cu
  2. Cu, Co
  3. Co, Mo
  4. Mo, S
(정답률: 알수없음)
  • 알칼리 토양에서는 pH가 높아서 이온화가 쉬워지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온화가 쉬운 Mo와 S는 알칼리 토양에서 용해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Mo와 S가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유기농업개론

41. 병해 친환경방제의 첫걸음은 사전 예방이며 예방을 하려면 발병조건을 알아야 한다. 벼잎집무늬마름병의 발병요인 및 예방적 방제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써레질 직후 수면에 떠 있는 균핵을 제거하는 것은 방제에 도움이 된다.
  2. 논 주변의 잡초는 잎집무늬마름병의 발생과 큰 관련이 없다.
  3. 벼의 초관에 통풍이 잘 되도록 하는 조치는 병 방제에 도움이 된다.
  4. 질소 과용을 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논 주변의 잡초는 잎집무늬마름병의 발생과 큰 관련이 없다."이다. 잡초는 벼와 같은 식물들과 경쟁하여 생존하기 위해 자신의 생존력을 높이는데, 이는 벼에게 영양분을 빼앗기는 것이 아니라 벼와 같은 식물들과 함께 자라는 것이다. 따라서 잡초를 제거하는 것은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한 것이지, 벼의 병해 방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기종자의 구비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병해충 저항성이 강한 품종
  2. 적어도 1세대를 유기농법적으로 재배한 작물로부터 채종된 종자
  3. 고수량성 종자
  4. 화학적 소독을 거치지 않은 종자
(정답률: 알수없음)
  • 고수량성 종자는 다른 보기와 달리 거리가 먼 것이 아니라, 유기농법으로 재배한 작물로부터 채종된 것이 아니어도 구비조건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는 수확량이 많은 고수량성 품종의 종자를 사용하여 농작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시설재배 시에 발생하는 연작장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설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같은 작물을 반복해서 재배할 때 발생한다.
  2. 특정 병원 미생물이나 해충의 밀도가 높아지면 병충해 피해가 커진다.
  3. 특정양분이 지속적으로 흡수 이용되기 때문에 양분결핍 장해가 나타나고, 미량 요소는 풍부한 반면 다량요소의 결핍이 자주 나타난다.
  4. 연작장해를 예방하기 위해 합리적인 작부체계를 도입하고, 병충해를 철저히 예방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특정양분이 지속적으로 흡수 이용되기 때문에 양분결핍 장해가 나타나고, 미량 요소는 풍부한 반면 다량요소의 결핍이 자주 나타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시설재배 시에 같은 작물을 반복해서 재배하면 토양 중 특정한 미생물이나 해충의 밀도가 높아져서 병충해 피해가 커지는 것도 맞지만, 이는 연작장해 중 하나일 뿐입니다. 따라서 "시설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같은 작물을 반복해서 재배할 때 발생한다."가 틀린 것이 맞습니다.

    특정양분이 지속적으로 흡수 이용되면서 양분결핍 장해가 나타나고, 미량 요소는 풍부한 반면 다량요소의 결핍이 자주 나타나는 것은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연작장해 중 하나입니다. 이는 시설재배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이며, 합리적인 작물체계와 양분관리 등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미생물 농약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환경에 대해 안전하다.
  2.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3. 병충해가 내성을 가지기 어렵다.
  4. 인축에 해가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미생물 농약은 병충해를 제거하는 데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농작물이나 식물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병충해를 제거할 수 있어 환경에 대해 안전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미생물 농약은 병충해가 내성을 가지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인축에 대한 해가 적다는 것은 미생물 농약이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기농업발전기획단의 설치 년도는?

  1. 1991년
  2. 1992년
  3. 1993년
  4. 1994년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농업발전기획단은 1991년에 설치되었습니다. 이는 국내에서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이를 적극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정부가 설립한 기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태양열을 이용한 하우스 밀폐처리로는 방제효과를 얻기 어려운 병해충은?

  1. 상추 시들음병
  2. 토마토 갈색뿌리썩음병
  3. 토양 선충
  4. 토마토 모자이크병
(정답률: 50%)
  • 태양열을 이용한 하우스 밀폐처리는 공기순환을 막아 병해충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지만, 토마토 모자이크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되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 방제효과를 얻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타감작용이 가장 큰 작물은?

  1. 옥수수
  2. 호밀
  3. 수수
(정답률: 알수없음)
  • 호밀은 타감작용이 가장 큰 작물 중 하나입니다. 이는 호밀이 높은 수준의 긴관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긴관작용은 작물이 광합성을 할 때 태양광을 흡수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호밀은 긴관작용이 높아서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높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기농업에서 토양 양분 보존을 이룰 수 있는 작부체계기술로 볼 수 없는 것은?

  1. 초기생육이 왕성한 피복작물을 재배하거나 수확 후 작물 잔재를 남겨 토양을 나지상태로 두는 것을 최대한 피한다.
  2. 짚 등의 부산물을 농장 밖으로 팔거나 내보내지 않고 그루터기와 함께 로타리 작업을 하거나 가축깔개로 사용한 후 퇴비화하여 토양에 환원시킨다.
  3. 두과작물과 다비성 작물을 교대로 윤작체계에 배치함으로써 후작물의 질소요구량을 자연적으로 충족시켜 주도록 한다.
  4. 볏짚 등의 부산물도 소득 증대를 위해 판매하여 현금화 하고, 토양에는 N, P, K 위주의 화학비료를 충분히 공급해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볏짚 등의 부산물도 소득 증대를 위해 판매하여 현금화 하고, 토양에는 N, P, K 위주의 화학비료를 충분히 공급해 준다는 것은 토양 양분 보존을 이룰 수 있는 작부체계기술이 아닙니다. 이는 유기농업의 원칙과는 상반되는 화학비료 사용과 부산물 판매로 인한 자원의 낭비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토양의 물리성 개량에 따른 효과로써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포장이 홑알조직으로 굳어져 토양병해충 방제가 왕성해 진다.
  2. 공극율이 높아져 산소와 물의 유통이 촉진된다.
  3. 포장의 보수력이 높아져 작물생육이 왕성해진다.
  4. 포장의 토심이 깊어져 뿌리발육이 왕성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포장이 홑알조직으로 굳어져 토양병해충 방제가 왕성해 진다."는 토양의 물리성 개량에 따른 효과로써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홑알조직은 공극이 적어서 물과 공기의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토양의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고 토양의 건강을 해치는 병해충의 번식을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홑알조직이 형성되지 않도록 토양의 구조를 유지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과실의 조직 및 구조의 특성 상 석회보르도액을 사용하기 가장 어려운 작물은?

  1. 사과
  2. 딸기
  3. 보리
(정답률: 알수없음)
  • 딸기는 잎이 많이 있고, 잎과 열매의 표면이 부드러워 석회보르도액이 잘 붙지 않아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딸기는 열매가 땅 위에 놓이기 때문에 병해충의 침입이 쉽고, 석회보르도액으로도 완전히 예방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유기농업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무농약 토양소독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기 이용법
  2. 소토법
  3. 태양열 소독법
  4. 살균제 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농업에서는 화학적인 살균제 처리를 최대한 지양하고 있기 때문에, 살균제 처리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대신에 증기 이용법, 소토법, 태양열 소독법 등 자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토양을 소독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작부체계를 다양화하기 위한 환경친화형 벼 품종 개발 목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수량과 소득증대
  2. 저항성 품종개발
  3. 내병성과 스트레스에 강한 품종
  4. 단기 생육성 품종개발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 생산을 다양화하고 환경친화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단기간에 수확이 가능한 품종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작물 생산량을 높이고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 생육성 품종개발"이 가장 적절한 목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유기배합 사료 중 단미사료가 아닌 것은?

  1. 옥수수
  2. 산야초
  3. 어분
  4. 아민초산
(정답률: 34%)
  • 아민초산은 유기산화물 중 하나로, 단미사료가 아닌 물질입니다. 옥수수와 산야초는 단미사료에 사용되는 주요한 원료이며, 어분은 단백질원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병해충 방어막으로서의 다양한 생태계 창출을 위한 대안으로 틀린 것은?

  1. 윤작체계를 확립함으로써 단작체계하에서 재배 되는 작물보다 병해충 피해를 줄일 수 있다.
  2. 주작물의 사이사이에 다른 종류의 간작물을 실시하면 그곳이 천적의 서식공간으로 활용되어 병해충제에 기여한다.
  3. 익충들이 특히 좋아하는 유인작물을 경작지 둘레에 울타리같이 재배하여 생태계의 섬을 만들어 줌으로써 병해충제어 효과를 높인다.
  4. 경작지 내외의 잡초를 깨끗하게 제거하기 위하 여 제초제를 살포함으로써 병균이나 해충의 서식처를 원천적으로 봉쇄해 버리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작지 내외의 잡초를 깨끗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제초제를 살포함으로써 병균이나 해충의 서식처를 원천적으로 봉쇄해 버리는 것이 좋다"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이는 생태계를 파괴하고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 자연적인 방식으로 생태계를 유지하고 천적을 이용하여 병해충을 제어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환경 친화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친환경농업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속적 농업발전
  2. 안전농산물 생산
  3. 저렴한 농산물의 대량생산
  4. 환경보전적 농업발전
(정답률: 알수없음)
  • 친환경농업의 목적은 환경보전적 농업발전이기 때문에, 저렴한 농산물의 대량생산은 친환경농업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친환경농업은 환경보전과 안전농산물 생산을 중심으로 하며, 지속적 농업발전을 추구한다. 따라서, 저렴한 농산물의 대량생산은 친환경농업의 목적과는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예방적 병충해 방제와 거리가 먼 것은?

  1. 병충해 발생환경의 차단
  2. 천적자원의 보호증식
  3. 방제용 물질의 이용
  4. 내병충성 품종의 재배
(정답률: 알수없음)
  • 내병충성 품종의 재배는 예방적 병충해 방제와 관련이 있지만, 거리가 먼 것은 방제용 물질의 이용입니다. 방제용 물질의 이용은 이미 병충해가 발생한 경우에 대처하는 것으로, 예방적인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예방적 병충해 방제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잡초방제를 할 경우 다음 중 어떤 품종의 벼를 선택하는 것이 잡초 발생 억제에 도움이 되겠는가?

  1. 재래종
  2. 추청벼
  3. 일품벼
  4. 통일벼
(정답률: 34%)
  • 재래종은 원래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던 품종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잡초와 경쟁하며 살아남은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잡초방제를 할 경우에는 재래종을 선택하는 것이 잡초 발생 억제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친환경 재배를 위한 녹비작물 선택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이 아닌 것은?

  1. 입모중 파종의 가능 여부
  2. 주작물과 경합시 녹비작물의 생육기간이 충분한 지 여부
  3. 완전경운 파종에 적응 여부
  4. 지상부 생장속도가 빠르고 지하부 생장량이 많은지 여부
(정답률: 알수없음)
  • 완전경운 파종에 적응 여부는 친환경 재배를 위한 녹비작물 선택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이 아닙니다. 완전경운 파종은 토양을 파서 씨앗을 심는 방법으로, 녹비작물의 생육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완전경운 파종에 적응 여부는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양질의 퇴비를 판정하는 주요한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관능적 방법
  2. 발아시험법
  3. 탄질율 검사
  4. 물리학적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물리학적 방법은 다른 방법들과 달리 퇴비의 화학적 성분을 직접 분석하여 양질의 퇴비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다른 방법들은 퇴비의 외부적인 특징이나 작물의 성장 여부 등을 통해 판정하는 것이지만, 물리학적 방법은 보다 정확하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판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유기벼 인증을 받기 위한 농가가 행할 재배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농약 살포가 필요 없을 정도로 충해에 강한 내충성 GMO 품종을 선택한다.
  2. 외부투입 물자를 최소화 하여 농업생태계를 보호한다.
  3. 유기농업으로 재배 ㆍ 생산된 종자를 사용한다.
  4. 두과작물, 녹비작물을 재배하여 토양유기물을 증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농약 살포가 필요 없을 정도로 충해에 강한 내충성 GMO 품종을 선택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유기벼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농약 사용을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내충성이 강하고 농약 살포가 필요 없는 GMO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유기식품 가공.유통론

61. 샐러드 오일 제조시 고융점 유지인 스테아린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정은?

  1. 탈납(dewaxing)
  2. 동유처리(winterization)
  3. 용매분별(solvent fractionation)
  4. 경화처리(hydrogen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고융점 유지인 스테아린은 낮은 온도에서 고체로 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샐러드 오일 제조시에는 이를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공정 중 하나가 동유처리(winterization)입니다. 동유처리는 오일을 저온에서 처리하여 고융점 성분인 스테아린 등을 결정화시키고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오일의 투명도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식용유지류 제품은 트랜스지방이 100g당 얼마 미만 일 경우 “0”으로 표시할 수 있는가?

  1. 1g
  2. 2g
  3. 4g
  4. 8g
(정답률: 90%)
  • 식용유지류 제품의 트랜스지방 함량이 100g당 2g 이하일 경우에는 "0"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국제식품안전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권장하는 트랜스지방 섭취량 기준인 하루 최대 2g 이하를 반영한 것입니다. 따라서, 2g 이하일 경우에는 "0"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발효식품 제조를 위한 코오지(koji) 곰팡이는 어느 효소들의 역가가 가장 좋아야 하는가?

  1. lactase, lipase
  2. proteinase, pectinase
  3. glycosedase, nuclease
  4. amylase, protease
(정답률: 30%)
  • 코오지 곰팡이는 발효식품 제조에 있어서 주로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코오지 곰팡이가 가장 좋아하는 효소는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amylase와 단백질을 분해하는 protease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mylase, proteas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무균충전 시스템과의 조합으로 상온 저장 ㆍ 유통이 가능하며, 고추장, 된장, 과일, 어육소시지, 어묵 등의 가공과 냉동식품의 해동에 응용이 가능한 살균 방법은?

  1. 전기저항가열법
  2. 적외선조사법
  3. 고온살균법
  4. 한외여과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저항가열법은 전기를 통해 금속 선을 가열하여 적용하는 방법으로, 이를 이용하여 물질을 살균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물질 내부까지 균을 죽일 수 있으며,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서 상온 저장 및 유통이 가능합니다. 또한 가공된 식품이나 냉동식품의 해동에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산지시장의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물적유통 기능
  2. 상적유통 기능
  3. 유통조성 기능
  4. 소매유통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산지시장은 농산물 등을 생산자로부터 직접 구매하여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곳으로, 물적유통 기능과 상적유통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한,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거래를 원활하게 조정하여 유통조성 기능도 수행합니다. 하지만, 산지시장은 소매유통 기능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즉,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도매상이나 중간유통업자를 통해 판매되기 때문에 소매유통 기능은 수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MA 포장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피포장물을 플라스틱 필름이나 피막제로 코팅한다.
  2. 초장지 내부의 가스조성이 저산소, 고탄산가스 농도로 변화된다.
  3. 호흡작용, 증산작용은 억제되나 에틸렌 생성은 촉진된다.
  4. 과습으로 인한 부패나 산소부족에 따른 호흡장 해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호흡작용, 증산작용은 억제되나 에틸렌 생성은 촉진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MA 포장 방법은 식물의 호흡작용과 증산작용을 억제하여 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그러나 에틸렌 생성은 촉진됩니다. 에틸렌은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가스로, 식물의 성장과 성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MA 포장 방법에서는 에틸렌 생성을 촉진시켜 식물의 성장과 성숙을 더욱 촉진시키고, 동시에 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다른 가스들을 억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유기가공식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식품위생법 제2조 중'식품'의 정의에 의한 식품 이다.
  2. 유기농업과 유기가공식품 관련 기준은 나라마다 모두 동일하다.
  3. 유기가공식품 원료는 관행농업으로 생산한다.
  4. 유기가공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식품첨가물은 따로 정해져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식품위생법 제2조에서 정의한 식품 중 유기농업으로 생산된 식품을 가공한 것이 유기가공식품이며, 이에 대한 식품첨가물 사용 기준이 따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유기가공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식품첨가물은 따로 정해져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나머지 보기는 모두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대장균군 검사에 사용되지 않는 배지는?

  1. 표준한천배지
  2. 유당배지
  3. BGLB 배지
  4. 데스옥시콜레이트 유당한천 배지
(정답률: 19%)
  • 표준한천배지는 대장균의 성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이 배지는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유당배지, BGLB 배지, 데스옥시콜레이트 유당한천 배지는 모두 대장균의 성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유기가공식품 생산 및 취급시 발효채소제품에 사용 이 가능한 식품첨가물은?

  1. 알긴산
  2. 젖산
  3. 주석산나트륨
  4. 수산화나트륨
(정답률: 알수없음)
  • 젖산은 발효과정에서 생산되는 유기산 중 하나로, 식품첨가물로 사용될 때는 보존제 및 산도조절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유기가공식품 생산 및 취급시 발효채소제품에 사용 가능한 식품첨가물로 적합합니다. 알긴산은 식품첨가물로 사용되지만, 발효과정에서 생산되지 않습니다. 주석산나트륨과 수산화나트륨은 보존제로 사용되지만, 안전성 문제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과일 A의 가격이 상승했을 때 과일 B의 수요가 증가하는 경우, 과일 A와 B는 어떤 관계인가?

  1. 배척관계
  2. 결합관계
  3. 보합관계
  4. 대체관계
(정답률: 알수없음)
  • 과일 A와 B는 대체관계에 있다. 이는 과일 A의 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들은 대신 과일 B를 구매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과일은 서로 대체 가능한 상품으로 간주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식품공전상의 장류 품질규격으로 틀린 것은?

  1. 대장균군 : 음성[(혼합장(살균제품)에 한한다.]
  2. 타르색소 : 검출되어서는 아니 된다.
  3. 아플라톡신 : 10㎍/㎏이하(B1으로서 메주에 한한다.)
  4. 보존료 : 검출되어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존료는 식품에 사용되는 화학물질로서, 식품의 유통기한을 연장하거나 변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보존료가 과도하게 사용되거나 검출되면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식품공전상에서는 보존료의 사용량과 검출 기준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존료 : 검출되어서는 아니 된다."는 보존료가 식품에서 검출되면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과일잼의 젤리화에 알맞은 pH는?

  1. pH 1
  2. pH 3
  3. pH 5
  4. pH 7
(정답률: 알수없음)
  • 과일잼의 젤리화에 알맞은 pH는 산성 환경이어야 합니다. pH 3은 적당한 산성도를 가지고 있어서 과일잼의 젤리화에 적합합니다. 또한, 산성 환경은 젤리화를 돕는 적절한 pH 범위입니다. pH 1은 너무 산성하고 pH 5와 pH 7은 너무 알칼리한 환경이므로 과일잼의 젤리화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과실류의 냉장저장 조건을 확립하려고 할 때 필요한 정보와 거리가 먼 것은?

  1. 과실의 초기 온도
  2. 과실의 비열
  3. 과실의 수분활성도
  4. 과실의 호흡율
(정답률: 알수없음)
  • 과실의 초기 온도, 비열, 호흡율은 모두 과일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된 정보이며, 냉장저장 조건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과일의 수분활성도는 냉장저장 조건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정보 중 하나입니다. 수분활성도란 과일 내부의 수분이 얼마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 값이 높을수록 과일이 빠르게 부패하게 됩니다. 따라서 냉장저장 조건을 결정할 때는 과일의 수분활성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마케팅의 개념 유형 중 소비자의 건강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것은?

  1. 생산지향 개념
  2. 사회지향 개념
  3. 제품지향 개념
  4. 마케팅 지향 개념
(정답률: 알수없음)
  • 사회지향 개념은 기업이 소비자의 건강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제품을 개발하고 마케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으로, 소비자의 니즈와 가치관을 고려하여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마케팅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포장재료를 선정하기 위해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수분함량이 많은 식품의 포장에는 내수성이 있는 재료를 선택한다.
  2. 가열살균을 하는 제품의 경우 고온에서도 포장재료의 특성 변화가 적은 것을 선택한다.
  3. 지방을 많이 함유하는 식품은 기체투과도가 높은 재료를 선택한다.
  4. 냉동식품은 저온에서도 재료의 물리적 강도변화 가장 적은 재료를 선택한다.
(정답률: 84%)
  • "지방을 많이 함유하는 식품은 기체투과도가 높은 재료를 선택한다."가 틀린 것이다. 지방을 많이 함유하는 식품은 기체투과도가 낮은 재료를 선택해야 한다. 이유는 지방이 산화되어 냄새와 맛이 변하거나, 살균 처리 후에도 빠르게 부패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체투과도가 낮은 재료를 선택하여 식품의 신선도와 유통기한을 연장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화농성 질환의 병원균으로 독소형 식중독의 원인균은?

  1. Leuconostoc mesenterodes
  2. Streptococcus faecalis
  3. Staphylococcus aureus
  4. Bacillus coagulans
(정답률: 알수없음)
  • 독소형 식중독의 원인균은 Staphylococcus aureus입니다. 이 균은 화농성 질환의 병원균으로, 식품에서 생산되는 독소는 이 균이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독소는 고온에도 안정적이며, 음식물을 보관하거나 조리할 때 적절한 위생조치를 하지 않으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세균의 generation time이 30분ㅇ일 때 초기세균수 103개가 109개로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log2는 0.3으로 계산한다.)

  1. 10시간
  2. 20시간
  3. 25시간
  4. 40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세균의 generation time이 30분이므로 1시간에 2배씩 증가한다. 따라서 103개에서 109개가 되기 위해서는 2n = 106 (n은 세대 수) 이어야 한다. 이를 계산하면 n = 20이므로, 전체 걸리는 시간은 20세대 x 30분/세대 = 600분 = 10시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식물성 자연독 성분을 함유한 식품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gossypol - 정제가 불충분한 목화씨 기름
  2. solanine - 감자의 배당체
  3. cicutoxin - 독미나리
  4. lycorin - 미국자리공
(정답률: 알수없음)
  • lycorin은 미국자리공에 함유된 식물성 자연독 성분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해당 식물의 일부분에서 추출된 성분이 아니라 전체 식품에서 발견되는 성분이기 때문에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유기가공식품의 제조ㆍ가공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기계적, 물리적, 생물적 제조ㆍ가공방법을 사용 하여야 하고, 식품첨가물을 최소량 사용하여야 한다.
  2. 유기가공실품과 비유기가공식품을 동일한 시간 동일한 설비로 제조ㆍ가공한다.
  3. 유기가공식품과 원료유기농산물은 비유기가공식 품 및 비유기원료농산물과 따로 보관ㆍ저장하여야 한다.
  4. 방사선 조사처리된 원재료를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유기가공실품과 비유기가공식품을 동일한 시간 동일한 설비로 제조ㆍ가공한다."

    해설: 유기가공식품은 유기농 인증을 받은 원료를 사용하고, 유기가공방법을 사용하여 제조ㆍ가공해야 하기 때문에 비유기가공식품과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유기가공식품과 비유기가공식품을 동일한 시간 동일한 설비로 제조ㆍ가공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고구마를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방에 두어 상처를 아물게 하는 방법은?

  1. 가온저장
  2. Curing 저장
  3. CA저장
  4. 습윤저장
(정답률: 알수없음)
  • 고구마를 저장할 때는 보존 기간과 맛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방법이 필요합니다. "Curing 저장"은 고구마를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보관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고구마의 수분이 증발되지 않고 상처가 아물게 됩니다. 따라서 고구마를 오래 보관하고 맛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Curing 저장"이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유기농업관련 규정

81. 친환경농업육성법에 의한 친환경농업발전위원회 위원의 임기는?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알수없음)
  • 친환경농업육성법 제11조에 따르면 친환경농업발전위원회 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고시한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서 규정하고 있는 유기가공식품 생산에 사용한 식품첨가물(보조제 포함)이 아닌 것은?

  1. 이산화탄소
  2. 알긴산
  3. 환천
  4. 발효주정
(정답률: 알수없음)
  • 발효주정은 유기가공식품 생산에 사용한 식품첨가물이 아닙니다. 이유는 발효주정은 식품을 발효시키는 데 사용되는 미생물의 질을 유지하고 증폭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식품첨가물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고시한 식품 등의 표시기준 에 따라 유기가공식품 생산 및 취급시 사용이 가능한 재료 중 염류의 식품가공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본 성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염화칼륨뿐이다.
  2. 염화칼륨, 염화나트륨뿐이다.
  3.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뿐이다.
  4.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황산칼슘 등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따르면, 염류의 함량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포함되면 안 되며, 특히 염화나트륨의 함량은 제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유기가공식품 생산 및 취급시 사용이 가능한 재료 중 염류의 기본 성분으로는 염화칼륨과 염화나트륨이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성분들은 함량 제한이나 사용이 금지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선택지에서는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황산칼슘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지만, 정답은 염화칼륨과 염화나트륨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할기관”이란 권한을 갖는 공식 인증기관이다.
  2. “농산물/농산물계 제품”은 인간의 섭취 또는 동물 사료용으로 판매되는 모든 가공품을 말한다.
  3. “표시”는 손으로 쓴 것은 인정되지 않으며 인쇄나 그림으로 나타낸 라벨이다.
  4. “식물보호제”란 식품, 농산물, 사료를 보호, 저장, 운송, 유통, 가공할 때 원하지 않는 동식물, 병해충을 예방, 파괴, 유인, 퇴치,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물질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보호제”란 식품, 농산물, 사료를 보호, 저장, 운송, 유통, 가공할 때 원하지 않는 동식물, 병해충을 예방, 파괴, 유인, 퇴치,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물질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유기축산물 생산을 위한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자재 중 보조 사료가 아닌 것은?

  1. 벤토나이트
  2. 아밀라제
  3. 비소
  4. 해초추출물
(정답률: 알수없음)
  • 비소는 유기축산물 생산을 위한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자재 중 보조 사료가 아닌 것입니다. 비소는 미량 원소 중 하나로, 동물의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비소는 보조 사료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필수적인 영양소인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과 함께 주요 사료로 사용됩니다. 벤토나이트는 흙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미네랄 성분이며, 아밀라제는 단백질 분해 효소입니다. 해초추출물은 해조류에서 추출한 영양소가 풍부한 보조 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에 따른 유기농림산물 인증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화학비료와 유기합성농약을 일체 사용하지 아니 하여야 한다.
  2. 다년생 작물의 재배포장은 최초 수확 전 2년 이상 유기농림산물 인증기준의 재배방법으로 재배 된 포장이어야 한다.
  3. 유기사료 기주에 맞지 않는 사료를 먹인 농장 에서 유래된 퇴비도 조건이 부합하는 경우 사용 할 수 있다.
  4. 해충방제, 식품보존, 위생의 목적으로 방사선을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년생 작물의 재배포장은 최초 수확 전 2년 이상 유기농림산물 인증기준의 재배방법으로 재배 된 포장이어야 한다. - 이 기준은 유기농림산물의 포장에 대한 기준이 아니라, 다년생 작물의 재배에 대한 기준이다. 따라서, 최초 수확 전 2년 이상 유기농림산물 인증기준의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작물을 수확한 후 포장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작물을 재배한 농지가 최소 2년 이상 유기농림산물 인증기준의 재배방법으로 재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 규정한 친환경농산물 인증의 부정행위로 볼 수 없는 것은?

  1. 거짓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받는 행위
  2. 인증품에 인증품이 아닌 농산물을 혼합하여 판매하거나 판매할 목적으로 보간, 운반 또는 진열하는 행위
  3. 친환경농산물표시를 한 상품이 인증품이 아닌 농산물임을 모르고 판매하는 행위
  4. 인증품이 아닌 농산물에 친환경농산물 표시 또는 이와 유사한 표시를 하는 행위
(정답률: 알수없음)
  • 친환경농산물표시를 한 상품이 인증품이 아닌 농산물임을 모르고 판매하는 행위는 부정행위로 볼 수 없다. 이는 판매자가 인증품이 아닌 농산물을 인증품으로 오인하고 판매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규정한 용어의 정의 중 유전자조작 유기물에 포함되는 '유전자조작/변형기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형질도입
  2. 세포융합
  3. 유전자 제거/배가
  4. 캡슐화
(정답률: 알수없음)
  • 형질도입은 유전자를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유전자를 다른 세포에 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전자조작/변형기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친환경농업육성법상 농업환경의 실태조사 및 친환경 농산물 시판품 조사행위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할 경우에는 얼마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는가?

  1. 100만원
  2. 300만원
  3. 500만원
  4. 1000만원
(정답률: 알수없음)
  • 친환경농업육성법 제32조에 따르면, 농업환경의 실태조사 및 친환경 농산물 시판품 조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하는 경우에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00만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 따라 식품의 조제나 보존시 첨가제나 가공보조제로 사용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자연에 존재해야 하나 기계적/물리적 처리를 거칠 수 있다.
  2. 허가된 방법과 기술로 충분한 양을 구할 수 없을 때는 예외적으로 화학적으로 합성된 물질을 허용물질에 포함시킬 수 있다.
  3. 자연에 존재해야 하나 생물/효소나 미생물 처리를 거칠 수 있다.
  4. 해당 물질이 식품을 조제하는데 효과적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물질이 식품을 조제하는데 효과적이어야 한다. 이유는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은 유기농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식품을 조제하거나 보존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은 유기농 식품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작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검사/인증시의 최소 검사요건 및 예방조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수입국은 수입 유기제품의 검사요건만 정해 놓으면 된다.
  2. 인증기관은 필요에 따라 또는 불시에 생산구역 을 방문해야 한다.
  3. 인증기관은 최소한 2년에 한번씩 생산구역 전체 에 대해 물리적인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4. 사업자는 매년 인증기관이 정한 날짜에 인증기관에 단위농지별로 작물생산 스케줄을 통보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증기관은 필요에 따라 또는 불시에 생산구역을 방문해야 한다. 이유는 생산구역에서는 생산 및 가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원이나 위생상태 등을 실제로 확인하고 예방조치를 취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불시검사를 통해 사업자들이 인증을 받은 후에도 품질유지를 위해 노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기관은 생산구역을 방문하여 검사 및 예방조치를 실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에 의한 유기농림산물의 인증기준에서 재배방법의 구비조건 중 병해충 및 잡초의 방제ㆍ조절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적합한 윤작체계
  2. 덫과 같은 기계적 통제
  3. 동물의 방사
  4. 무경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무경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병해충 및 잡초를 방제하거나 조절하는 방법들이지만, "무경운"은 재배방법과 관련이 없는 보기입니다. "무경운"은 경운을 하지 않고 논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유기농농업에서는 토양의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유기생산의 원칙 중 양봉 및 꿀벌 제품의 병해충 관리를 위해 어용되지 않는 것은?

  1. 포름산
  2. 유황
  3. 증기와 직사 화염
  4. 순수 니코틴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유기생산의 원칙 중 양봉 및 꿀벌 제품의 병해충 관리를 위해 어용되지 않는 것은 "순수 니코틴"입니다. 이는 순수 니코틴이 매우 강력한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기농 농산물 생산에서는 자연적인 방법으로 해충을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유기농 인증을 받은 자연성분으로 만들어진 해충 방제제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의 규정이다. 유기농장에서 동물약품을 사용할 때 원칙과 거리가 먼 것은?

  1. 특정질병이나 건강문제가 발생하고 있거나 발생 할 수 있는 장소에서 다른 치료 방법이나 처리방법이 없거나 법으로 요구될 때는 예방접종이나 구충제ㆍ치료제의 사용이 허용된다.
  2. 약초요법(항생제 제외)제제, 동종요법 제제, 추적 제가 해당 축종이나 질병에 효과가 있을 경우에는 이를 화학동물약품이나 항생제에 우선하여 사용해야 한다.
  3. 질병을 예방할 목적으로 화학 동물약품이나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은 금지한다.
  4. 성장이나 생산을 촉진할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성장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성장촉진제는 유기농 생산에 적합하지 않은데, 이는 유기농 생산의 핵심 가치 중 하나인 환경친화적이고 자연스러운 생산 방식과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특정한 상황에서는 예방접종, 구충제, 치료제 등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유기농 생산의 원칙과 법규를 준수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약초요법제, 동종요법 제제, 추적제 등의 자연 치료법이 효과가 있다면 이를 우선하여 사용해야 하며, 질병 예방을 위해 화학 동물약품이나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은 금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원재료의 사용, 제조ㆍ가공ㆍ표시 방법이 식품의약 품안전청장이 고시한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적합한 것은? (단, 우리나라에서 제조한 국내 유기식품으로 한다.)

  1. 유기농 딸기를 원재료로 50% 사용하고, 수입 유기농 설탕을 원재료로 50% 사용하여 제조ㆍ생산한 딸기쨈 제품의 주표시면에“유기농 딸기쨈” 으로 표시
  2. 수입한 유기농 표도 70%와 국내산 무농약포도 30%를 원재료로 사용하여 생산한 포도주의 주표시면에 “유기농 포도주”로 표시
  3. 유기토마토쥬스를 제조ㆍ생산하면서 일반토마토를 5%미만 사용한 제품의 주표시면 이외에 표시면에 “유기”로 표시
  4. 채소류 혼합쥬스를 제조하면서 유기농산물 함량이 75%인 제품의 주표시면에 “유기혼합쥬스”로 표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유기농 딸기를 원재료로 50% 사용하고, 수입 유기농 설탕을 원재료로 50% 사용하여 제조ㆍ생산한 딸기쨈 제품의 주표시면에 “유기농 딸기쨈” 으로 표시"이다.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고시한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부합한다. 이 제품은 유기농 딸기를 50% 이상 사용하였으며, 설탕도 수입 유기농 설탕을 사용하여 제조되었기 때문에 "유기농 딸기쨈"으로 표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고시한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따른 수입 유기가공식품에 관한 표시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당해 수입식품의 원재료 중 친환경농업유성법 제17조 동법 시행규칙 제 9조 규정의 인증기준에 의하여 인증 받았거나 동 인증기준 이상의 유기 농산물이어야 한다.
  2. 동일 원재료에 대하여 유기농산물과 비유기농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제조시 식품첨가물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식품 첨가물이 제조설비에 잔존하여서는 아니 된다.
  4. 해당 수입 유기가공식품이 비록 국제기구의 인증을 받았더라도 국내 친환경농업육성법이 제시하는 인증기준에 의하여 반드시 인증을 받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수입 유기가공식품이 비록 국제기구의 인증을 받았더라도 국내 친환경농업육성법이 제시하는 인증기준에 의하여 반드시 인증을 받아야 한다. - 이것이 틀린 것이다. 해당 수입 유기가공식품이 국제기구의 인증을 받았다면, 국내 친환경농업육성법이 제시하는 인증기준에 따라 인증을 받을 필요는 없다. 다만, 해당 수입식품의 원재료 중 친환경농업유성법 제17조 동법 시행규칙 제 9조 규정의 인증기준에 의하여 인증 받았거나 동 인증기준 이상의 유기 농산물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일본 JAS법에 의한 유기인증 신청자가 아닌 것은?

  1. 유기농산물 보관업자
  2. 유기농산물 유통업자
  3. 유기식품 수입업자
  4. 유기농산물 가공업자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농산물 보관업자는 유기농산물을 보관하는 업체이지만, JAS법에 의한 유기인증 신청자가 아닙니다. 유기농산물 유통업자, 유기식품 수입업자, 유기농산물 가공업자는 모두 JAS법에 의한 유기인증 신청자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친환경농업육성법에 따르면 농림수산식품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농업자원의 보전과 농업환경의 개선을 위해 농림수산식품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해 주기적으로 조사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농경지의 중금속 성분의 변동 사항
  2. 병원성 미생물의 종류와 분포 사항
  3. 농업용수로 이용되는 지하수의 수질 조사
  4. 농업의 수자원함량등 공익적 기능 실태
(정답률: 알수없음)
  • 친환경농업육성법에 따르면 농림수산식품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농업자원의 보전과 농업환경의 개선을 위해 농림수산식품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해 주기적으로 조사해야 하는 사항은 "농경지의 중금속 성분의 변동 사항", "농업용수로 이용되는 지하수의 수질 조사", "농업의 수자원함량등 공익적 기능 실태"입니다. 이에 반해 "병원성 미생물의 종류와 분포 사항"은 해당 법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주기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친환경농업육성법의 규정에 따라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기관 지정을 받은 경우 인증기관에 대해 내릴 수 있는 행정처분 기준은?

  1. 과태료 300만원
  2. 경고
  3. 업무정지 6월
  4. 지정취소
(정답률: 알수없음)
  • 친환경농업육성법은 인증기관이 부정한 방법으로 지정되었을 경우 지정취소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 정답은 "지정취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인증기관에 대한 경고나 업무정지 등의 행정처분이지만,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기관 지정을 받은 경우에는 지정취소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친환경농업육성법의 규정에 따라 인증품이 아닌 농산물에 친환경농산물 표시 또는 이와 유사한 표시를 하거나 친환경농산물인증을 받은 내용과 다르게 표시하는 행위를 한자의 처벌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00만원이하의 과태료
  2.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친환경농업육성법은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표시와 광고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인증을 받지 않은 농산물에 친환경농산물 표시를 하거나 인증 내용과 다르게 표시하는 행위는 불법입니다. 이러한 행위는 소비자의 권리를 침해하고, 친환경농산물 시장의 건전성을 해치기 때문에 엄격한 처벌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를 위반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