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재배원론
1. 다음 중 작물의 도복과 가장 관련성이 큰 형질은?
2. 작물을 생육적온에 따라 분류했을 때 저온작물인 것은?
3. 혐기 상태에서 단독으로 유리질소를 고정하는 토양 미생물은?
4. 일장형(日長型)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5. 논에서 줄사이 30cm, 포기사이 15cm의 재식거리로 모를 심는 경우 3.3m2당 몇 주가 소요되는가? (단, 소수점 이하는 절사한다.)
6. 내한성(耐旱性)은 품종 간에 차이가 있다. 내한성이 간한 품종의 세포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7. 광부족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낮아 일사가 좋지 못한 곳에서도 적응할 수 있는 작물로만 짝지어진 것은?
8. 생리적 산성비료는?
9. 작물의 생육기간 중 일어나는 가뭄재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0. 저온에 의한 종자의 춘화처리 시 버널리제이션 효과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요인은?
11. N. T. Vavilov가 수집 분류한 주요 작물 재배기원 중심지 중 쌀보리는 어느 지역에 해당 하는가?
12. 작물의 수량을 지배하는 3대 요인이 아닌 것은?
13. 여름철에 벼가 장해형 냉해를 가장 받기 쉬운 시기는?
14. 수중에서 발아하지 못하는 종자로만 짝지어진 것은?
15. 수분이 부족할 때 내건성을 증대시키는 식물호몬은?
16. 수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7. 산야에서 채취한 과실을 먹고 던져 둔 종자에서 똑같은 식물이 자라는 것을 보고 파종이라는 관념을 배웠을 것이라고 추정한 사람은?
18. 이랑 만들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9.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의 장점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20. 다음 중 연작장해가 가장 적은 것은?
2과목: 토양비옥도 및 관리
21. 토양을 구성하는 산화물의 함량 순서로 옳은 것은?
22. 다음 표에 표시된 염기포화도가 80%인 치환성 염기를 보유한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cmolc/kg은?
23. 습한 논토양에서 건토효과로 나타나는 현상은?
24. 강우에 의한 토양의 침식에 크게 영향을 주는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5. 토양조사의 목적이 아닌 것은?
26. 지표면 피복의 직접적인 효과 및 피복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27. 식물 세포벽을 구성하는 유기물 구성 성분 중 분해속도가 매우 늦으며 아직도 그 구조가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물질은?
28. 토양분류에 따른 토양목 중 습한 지역에서 주로 생성되며 유기물 집적이 많은 것은?
29. 식물의 양분흡수 이용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30. 석회를 시용할 때 가장 먼저 떨어져 나오는 것은?
31. 토양미생물이 고등식물에 끼치는 유익작용이 아닌 것은?
32. 시설재배 토양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3.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3% 이고, 그 토양의 탄질률이 10 이라면 토양 중 질소의 함량은? (단, 토양 유기물 중의 C함량은 58%)
34. 간척지 토양이 벼의 생육에 가장 불리한 원인은?
35. 토양의 입자밀도와 용적밀도로 알 수 있는 토양의 성질은?
36. 제주도 화산회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7. 토양분류의 총괄적(형태론적)분류체계에서 사용하지 않는 토양목의 이름은?
38. 복합비료 18-18-18 한 포(25kg)에 들어 있는 질소의 양은 얼마인가?
39. 작물에 의해 흡수되는 질소 양분의 형태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40. 사력질 논토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과목: 유기농업개론
41. 친환경 잡초방제의 근본은 잡초종자의 발아를 억제하여 잡초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다음 중 이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42. 녹비작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3. 국내에서 유기축산물을 생산하는데 가장 어려운 점은?
44. IFOAM은 무엇인가?
45. 유기낙농에서 젖소에게 급여할 사일리지 제조 시에 주로 발생하는 균은?
46. 유기물이 토양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정도는 무엇에 의하여 결정되나?
47. 친환경 농업이 출현하게 된 배경으로 거리가 먼 것은?
48. 퇴비를 토양에 주었을 때의 효과는?
49. 유기농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농업생산계의 특징, 한계를 알아야한다. 다음 중 자연생태계와 비교한 농업생태계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50. 유기농업에서 병충해의 제어방법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51. 유기축산의 사육시설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52. 유기농업의 실천기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3. 퇴비 생산 시 퇴비 부숙기간(15일 정도) 중 필요한 최소의 온도는?
54. 식물육종법 중 여교배육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5. 미생물 농약의 단점으로 옳은 것은?
56.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가축의 사육 시 특히 고려해야 하는 병이 아닌 것은?
57. 유기농법을 이용한 염류집적의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58. 해충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적 방제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59. 상대적으로 육종에 가장 짧은 기간을 요하는 것은?
60. 포장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기피식물이나 익충 또는 유용곤충의 밀도를 높게 하기 위한 대표적인 식물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4과목: 유기식품 가공.유통론
61. 각 나라별 유기(가공)식품의 규정으로 맞는 것은?
62. 선물거래가 가능한 농산물의 조건이 아닌 것은?
63. 다음 중 살균력이 가장 강한 자외선 파장 범위는?
64. 초고압에 의한 식품살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5. 시료액을 100배 희석하여 그 중 0.1mL를 표준평판배지에 분주하였더니 230개의 집락이 형성된 경우 시료액 1mL당 세균 수는?
66. HACCP의 선행요건 중 제조시설 및 기계 ㆍ 기구류 등 설비관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7. 청과물의 증산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8.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가공조작은?
69. 농산물표준규격에서 사과의 등급을 판정할 때 사용하는 당도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0. 과실류 저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1. 다음 중 감염형 세균성 식중독균이 아닌 것은?
72. 조리과정 중 생성되는 건강장해 물질은 다음 중 무엇에 속하는가?
73. 벤조피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4. 전분질 곡류와 단백질 곡류의 혼합, 조분쇄, 가열, 열교환, 성형, 팽화 등의 기능을 단일장치 내에서 행할 수 있는 가공조작법은?
75. 다음 중 유기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76. 다음 중 습도 및 산소 차단성이 모두 우수한 플라스틱 포장재는?
77. 틈새시장(niche market)의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78. 농산물의 유통환경 중 거시환경에 해당하는 것은?
79. 청국장 제조에 사용하는 natto균에 해당하는 것은?
80. 생유(원유)는 원래 무균임에도 살균공정이 필요한 이유가 아닌 것은?
5과목: 유기농업관련 규정
81. 유기농산물의 생산을 위해 사용이 가능한 자재의 품질규격의 내용 중 응애의 천적에 해당 하지 않는 것은?
82. 유기식품의 생산 ㆍ 가공 ㆍ 표시 ㆍ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의 유기식품 생산을 위한 허용물질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83.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에 따라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은 누가 공시 하는가?
84. 농림수산식품부 고시인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 운영지침에 따라 유기가공식품에 사용하는 물의 수질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85. 친환경농업육성법에 따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이하의 벌금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는?
86. 식품산업진흥법에 따른 유기가공식품 인증에 관한 규정으로 옳은 것은?
87. 유기식품의 생산 ㆍ 가공 ㆍ 표시 ㆍ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식품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는 이산화황(sulfur dioxide)은 어떤 제품에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가?
88. 친환경농산물의 인증심사 절차와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89. 유기축산물 인증을 받은 자가 생산물을 최초로 출하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해잔류물질의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해당 기준으로 틀린 것은?
90. 친환경농업육성법에 따른 유기농림산물의 전환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1. 유기가공식품의 인증표시 기준을 정하고 있는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 운영지침」의 근거법령은?
92. 식품의약품안정청 고시인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입유기식품의 표시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93. 유기식품의 생산 ㆍ 가공 ㆍ 표시 ㆍ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 의하여 돼지 육제품을 유기제품으로 판매하고자 할 때, 유기관리제도 하에서의 순치기간 기준은?
94. 식품의약품안정청 고시인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서 규정한 국내식품의 원재료에 대하여 유기가공식품 표시를 할 수 있는 “제조 ㆍ 가공 등 방법”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95. 유기식품의 생산 ㆍ 가공 ㆍ 표시 ㆍ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유기농장의 동물용의약품 사용에 대한 원칙으로 옳은 것은?
96. 유기식품의 생산 ㆍ 가공 ㆍ 표시 ㆍ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 따른 유기생산원칙에서 병해충이나 잡초를 억제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97. 유기식품의 생산 ㆍ 가공 ㆍ 표시 ㆍ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 의한 유기생산의 원칙이 아닌 것은?
98. 친환경농자재심의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99. 친환경농업육성법 제17조의5에서 규정하고 있는 친환경농산물 인증 ㆍ 표시 ㆍ 판매ㆍ보관 ㆍ 운반 또는 진열 등과 관련된 부정행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00.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한 친환경농자재 사용기준에 따라 유기농림산물을 병해충관리를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자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