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07)

유기농업기사
(2010-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재배원론

1. 답리작 맥류재배에서 특히 요구되는 품종의 특성은?

  1. 내병성
  2. 내비성
  3. 내습성
  4. 내충성
(정답률: 70%)
  • 맥류재배에서는 특히 내습성이 요구되는데, 이는 맥류가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재배되기 때문입니다. 내습성이 높은 품종은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잘 자라며,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도 높아 생산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맥류재배에서는 내습성이 높은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식물체 내의 수분퍼텐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식물체 내의 수분퍼텐셜은 토양의 수분퍼텐셜 보다 높다.
  2. 수분퍼텐셜과 삼투퍼텐셜이 같으면 압력퍼텐셜이 0(zero)이 되므로 원형질분리가 일어난다.
  3. 압력퍼텐셜과 삼투퍼텐셜이 같으면 세포의 수분 퍼텐셜이 0(zero)이 되므로 팽만상태가 된다.
  4. 세포의 부피와 압력퍼텐셜이 변화함에 따라 삼투퍼텐셜과 수분퍼텐셜이 변화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체 내의 수분퍼텐셜은 토양의 수분퍼텐셜 보다 높다."가 틀린 것이다. 식물체 내의 수분퍼텐셜은 토양의 수분퍼텐셜과 같거나 낮다. 이는 식물체 내부의 수분이 토양에서 흡수되어 식물체 내부의 수분퍼텐셜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감자 괴경의 형성 및 비대는 지표 밑 몇 cm 부위에서 가장 잘 이루어지는가?

  1. 10cm부위
  2. 20cm부위
  3. 40cm부위
  4. 60cm부위
(정답률: 70%)
  • 감자 괴경은 지표 밑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지표 위부터 지하수면까지의 영양분과 물의 이동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자 괴경의 형성 및 비대는 지표 밑 10cm 부위에서 가장 잘 이루어집니다. 이는 지표 위부터 지하수면까지의 영양분과 물의 이동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답전윤환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가축영양상의 효과
  2. 벼의 수량증가
  3. 잡초의 감소
  4. 기지회피
(정답률: 알수없음)
  • 답전윤환은 식물성 성장조절제로, 벼의 수량증가와 잡초의 감소, 그리고 기지회피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축영양상의 효과는 없습니다. 이는 답전윤환이 가축의 영양소 흡수나 소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광보상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음생식물 및 양생식물에 무관하다.
  2. 음생식물과 양생식물의 광보상점은 동일하다.
  3. 음생식물에 비하여 양생식물의 광보상점은 낮다
  4. 음생식물에 비하여 양생식물의 광보상점은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양생식물은 광합성을 위해 더 많은 광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음생식물에 비하여 광보상점이 높다. 따라서 "음생식물에 비하여 양생식물의 광보상점은 높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작물의 적산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발아로부터 성숙까지의 0℃이상의일평균기온의 합산이다.
  2. 육묘로부터 개화까지의 일평균기온의 합산이다.
  3. 발아로부터 성숙까지의 일 최고기온의 합산이다
  4. 정식부터 개화까지의 0℃ 이상의 일 평기온의 합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이 성장하는 동안 필요한 최소한의 온도는 0℃ 이상이므로, 발아로부터 성숙까지의 0℃ 이상의 일평균기온의 합산이 작물의 적산온도로 사용된다. 이는 작물이 성장하는 동안 필요한 온도를 총합하여 계산하는 것이며, 작물의 성장과정에서 필요한 온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적절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수해에 관여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탁수가 청수보다 피해가 덜 하다.
  2. 벼는 생육초기가 침수에 가장 약하다.
  3. 화본과 작물보다 콩과작물이 침수에 강하다.
  4. 수온이 낮은 것이 호흡기질의 소모가 적어 피해가 적다.
(정답률: 60%)
  • 수온이 낮으면 물 속의 산소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생물들의 호흡기질 소모가 적어지고, 따라서 수해로 인한 피해가 적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연작의 해가 가장 적은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시금치, 콩, 인삼
  2. 벼, 옥수수, 조
  3. 수박, 고추, 완두
  4. 콩, 강낭콩, 아마
(정답률: 79%)
  • 연작의 해가 가장 적은 작물은 겨울 작물인데, 이 중에서도 벼, 옥수수, 조는 겨울 작물이기 때문에 연작의 해가 가장 적은 작물로 나열된 것입니다. 다른 작물들은 봄, 여름, 가을 작물이기 때문에 연작의 해가 더 많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무배유종자에 해당하는 작물로만 이루어진 것은?

  1. 콩, 팥, 녹두
  2. 콩, 옥수수, 벼
  3. 옥수수, 벼, 보리
  4. 팥, 녹두, 보리
(정답률: 알수없음)
  • 무배유종자는 대표적으로 콩과 같은 진정한 콩과 팥, 녹두 등이 해당됩니다. 따라서 "콩, 팥, 녹두"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옥수수, 벼, 보리 등의 작물이 포함되어 있어 무배유종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호광성 종자는?

  1. 토마토
  2. 가지
  3. 상추
  4. 호박
(정답률: 10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수분당량(水分當量)과 비슷한 함수량은?

  1. 최대용수량
  2. 흡습계수
  3. 영구위조점
  4. 포장용수량
(정답률: 63%)
  • 수분당량은 물이 얼마나 많이 흡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마찬가지로 포장용수량은 제품이 포장된 용기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둘은 비슷한 함수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농업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농업 노동은 분업이 곤란하다.
  2. 공산물에 비하여 수요의 탄력성이 크다.
  3. 농산물은 가격에 대한 수급의 적응성이 적다.
  4. 농업 생산의 토지는 수확체감의 법칙이 적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산물에 비하여 수요의 탄력성이 크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농산물은 가격에 대한 수급의 적응성이 적어서 수요 변화에 따른 가격 변동이 크게 일어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농산물 생산에는 시간적 제약이 있고, 생산량을 급격히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요 변화에 대한 가격 탄력성은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맥류의 수발아를 억제하기 위한 발아억제제의 최적 살포시기는?

  1. 출수 후 7일경 종피가 굳어지기 전
  2. 출수 후 20일경 종피가 굳어지기 전
  3. 출수 후 30일경 종피가 굳어진 후
  4. 출수 후 60일경 종피가 굳어진 후
(정답률: 70%)
  • 맥류의 수발아는 출수 후 약 20일 이내에 발생하며, 이때 발아억제제를 살포하면 효과적으로 수발아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출수 후 7일경에는 아직 수발아가 발생하기 전이므로 발아억제제를 살포해도 효과가 떨어집니다. 출수 후 30일경 이후에는 이미 수발아가 발생하여 발아억제제의 효과가 떨어지며, 종피가 굳어진 후에는 발아억제제가 흡수되지 않아 효과가 없습니다. 따라서 출수 후 20일경 종피가 굳어지기 전이 최적의 살포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작물의 내동성을 증대시키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전분의 함량이 많을 때
  2. 원형질의 점도가 낮을 때
  3. 친수성 콜로이드가 많을 때
  4. 세포내 칼슘이온 함량이 많을 때
(정답률: 70%)
  • 전분은 식물의 에너지 저장 물질로, 내동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분의 함량이 많을 때는 내동성이 증대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전분의 함량이 많을 때"가 내동성을 증대시키는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질산환원효소의 구성성분으로 콩과작물의 질소 고정에 필요한 무기성분은?

  1. 몰리브덴
  2. 마그네슘
  3. 규소
(정답률: 알수없음)
  • 질산환원효소는 질소 고정에 필요한 효소로, 이 효소의 구성성분 중 하나인 모리브덴은 질소 고정에 필수적인 무기성분입니다. 모리브덴은 질소 고정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화에 필요하며, 모리브덴이 부족하면 질소 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콩과 같은 질소 고정 식물에서는 모리브덴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논에 암모니아태질소를 시용하여 질화작용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탈질작용과는 관계가 없다.
  2. 암모니아화성균에 의해서 일어난다.
  3. 질산태질소는 토양교질에 흡착되지 않는다.
  4. 암모니아태질소를 환원층에 사용시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암모니아태질소는 토양교질에 흡착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에서 빠르게 이동하며 식물에게 흡수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질산태질소는 토양교질에 흡착되어 이동이 느리며, 식물에게 흡수되기 전에 더 많은 기회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발아율이 90%, 순도가 90%인 종자의 용가(用價, 순활종자)는?

  1. 1%
  2. 81%
  3. 90%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용가는 순도와 발아율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발아율이 90%이고 순도가 90%인 종자의 용가는 0.9 x 0.9 = 0.81, 즉 81%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결핍되면 분열조직에 갑자기 괴사를 일으키기 쉬우며 결핍증상이 저장기관에 잘 나타나는 무기 성분은?

  1. 붕소
  2. 마그네슘
  3. 칼슘
  4. 염소
(정답률: 50%)
  • 붕소는 식물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량요소 중 하나입니다. 붕소 결핍은 분열조직에서 괴사를 일으키기 쉽고, 저장기관에 결핍증상이 잘 나타나기 때문에 무기 성분 중에서 붕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작물의 재배환경에 따른 T/R율의 변화로 옳은 것은?

  1. 일사량이 적으면 T/R율이 증대한다.
  2. 토양수분이 적으면 T/R율이 증대한다.
  3. 질소 시용량이 많으면 T/R율이 감소한다.
  4. 토양통기가 불량하면 T/R율이 감소한다.
(정답률: 39%)
  • 일사량이 적으면 광합성이 적게 일어나므로, 광합성에 의해 생산되는 탄소화합물의 양이 적어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광합성에 의해 생산된 탄소화합물을 이용하여 호흡이 일어나는 비율이 높아지므로 T/R율이 증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겨울철 맥류와 유채의 동사온다(frost killing)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0 ~2.0℃
  2. -0.1~1.0℃
  3. -5.0~ -1.0℃
  4. -17.0 ~-15.0℃
(정답률: 70%)
  • 겨울철 맥류와 유채는 저온에 민감한 작물이므로, 동사온다(frost killing)가 발생하는 온도 범위 내에서는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범위는 동사온다가 발생하는 온도 범위인 "-17.0 ~-15.0℃" 이다. 이 범위 내에서는 맥류와 유채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생존 가능한 범위 내에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토양비옥도 및 관리

21. 토양의 양이온 치환과 관계가 적은 것은?

  1. 유기물 함량
  2. 수분 함량
  3. 점토 함량
  4. 비표면적(比表面的)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의 양이온 치환은 토양 내부의 미량 원소와 함께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수분 함량은 토양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토양의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토양 내부의 화학적 반응이 더욱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토양의 양이온 치환과는 관계가 적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질소가 과잉인 시설토양의 개량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휴작기 동안 흡비력이 뛰어난 옥수수 등을 재배한다.
  2. 수직배수가 불량한 경우 암거배수를 하고 관수제염한다.
  3. 탄질율이 낮은 유기물을 충분히 시용하여 토양 완충력을 높여준다.
  4. 생짚을 시용한 후 깊이갈이를 실시하여 토양 전층을 골고루 섞어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탄질율이 낮은 유기물을 충분히 시용하여 토양 완충력을 높여준다는 것은 올바른 방법입니다. 이유는 탄질율이 낮은 유기물은 분해되면서 유익한 미생물을 유발하고, 이를 통해 토양 구조를 개선하고 토양 완충력을 높여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질소 함유율이 46%이고 작물의 흡수율이 62%인 질소질비료로 유효질소 20kg을 공급하고자 한다. 이때 질소질 비료의 시용량(kg)은 약 얼마인가?

  1. 30
  2. 50
  3. 70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유효질소 20kg을 공급하려면 총 질소량은 20 / 0.62 = 32.26kg가 필요하다. 따라서 질소 함유율이 46%인 비료를 사용할 경우, 시용량은 32.26 / 0.46 = 70.13kg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토양침식 방지 방안이 아닌 것은?

  1. 심토경운
  2. 등고선
  3. 등고선 승수로 설치
  4. 상ㆍ하경
(정답률: 54%)
  • 상ㆍ하경은 토양침식 방지와는 관련이 없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심토경운은 토양을 굳혀 침식을 방지하고, 등고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어 침식 위험 지역을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등고선 승수로 설치는 지형의 경사를 고려하여 침식 방지를 위한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인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H가 낮은 토양에서는 철 및 알루미늄과 반응하여 유효도가 감소한다.
  2. pH가 높은 토양에서는 Ca와 반응하여 유효도가 감소한다.
  3. 인산의 식물 흡수형태는 HPO42-와H2PO4-이다.
  4. 음이온 형태이므로 토양에 흡착되지 않고 쉽게 용탈된다.
(정답률: 10%)
  • 인산은 음이온 형태이므로 토양에 흡착되지 않고 쉽게 용탈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인산은 토양의 흡착성과 관련된데, pH가 낮은 토양에서는 흡착이 적고, pH가 높은 토양에서는 흡착이 많아진다. 따라서, 인산이 토양에서 용해되어 이동하는 정도는 토양 pH와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토양의 유기물 유지 및 증가 대책으로 거리가 먼것은?

  1. 적절한 농약살포
  2. 식물의 유체 환원
  3. 완숙퇴비 시용
  4. 토양 침식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적절한 농약살포"는 토양의 유기물 유지 및 증가 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입니다. 농약은 유기물 분해를 방해하고, 유익한 미생물을 죽이기 때문에 토양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기물 유지 및 증가를 위해서는 농약 대신에 "식물의 유체 환원", "완숙퇴비 시용", "토양 침식방지"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토양의 형태적 분류상 비성대토양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발달되지 않은 새로운 토양은?

  1. 몰리솔
  2. 벨르티솔
  3. 엔티솔
  4. 옥시솔
(정답률: 알수없음)
  • 엔티솔은 발달되지 않은 새로운 토양으로, 비성대토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토양의 형태적 분류상에 속합니다. 다른 보기인 몰리솔, 벨르티솔, 옥시솔은 모두 토양의 발달 정도가 높은 토양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반적으로 온대기후 조건의 목초지 및 초원지대에서 두꺼운 암색 표층을 갖는 토양목은?

  1. 몰리솔
  2. 스포도솔
  3. 알피솔
  4. 울티솔
(정답률: 50%)
  • 일반적으로 온대기후 조건의 목초지 및 초원지대에서 두꺼운 암색 표층을 갖는 토양목은 "몰리솔"입니다. 이는 목초지와 초원지대에서는 대부분 건조한 기후 조건이기 때문에, 토양이 건조하고 수분 보유력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몰리솔은 건조한 환경에서도 수분 보유력이 높은 특징을 갖고 있어서, 이러한 환경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과다시비에 의한 수자원의 부영양화 및 유아의 메트-헤모글로빈혈증(methemoglobinemia, 일명 청색증)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은?

  1. 칼리
  2. 질소
  3. 인산
  4. 석회
(정답률: 알수없음)
  • 과다시비에 의한 수자원의 부영양화는 질소와 인산의 과다 배출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과다 배출은 농업 및 산업 등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으로 인해 더욱 심화됩니다. 이러한 부영양화된 수질을 마시는 유아들은 철분을 산화시켜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질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공중 질소를 고정하는 균이 아닌 것은?

  1. 균근
  2. 남조류
  3. 아조토박터
  4. 클로스트리듐
(정답률: 알수없음)
  • 균근은 공중 질소를 고정하는 능력이 없는 균으로, 다른 보기들인 남조류, 아조토박터, 클로스트리듐은 모두 공중 질소를 고정하는 능력이 있는 균이기 때문에 정답은 균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석회물질의 시용 효과로 틀린 것은?

  1. 산성토양의 pH증가
  2. Ca와 Mg을 식물 양분으로 공급
  3. 토양의 입단형성 촉진
  4. 토성 변화
(정답률: 알수없음)
  • 석회물질은 토양의 pH를 증가시켜 산성토양을 중성화시키고, Ca와 Mg을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공급하여 작물의 성장을 촉진하며, 토양의 입단형성을 촉진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토성 변화"는 올바른 효과가 아닙니다. 이유는 무엇이든지 과도하게 사용하면 그것이 토양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정량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토양유기물 분해에 적절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토양수분이 -15bar 정도일 때
  2. 온도가 25 ~ 35℃일 때
  3. 토양산도가 중성에 가까울 때
  4. 호기성 조건일 때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수분이 -15bar 정도일 때는 매우 건조한 상태이므로 미생물의 활동이 어렵기 때문에 토양유기물 분해에 적절한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논토양과 밭토양의 차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논토양은 환원토양이고, 밭토양은 산화토양 조건이다.
  2. 논토양 색깔은 청회색인 반면 밭토양 색깔은 황색, 적색 및 다양한 색이다.
  3. 유기물이 분해될 때 논토양은 CO2, 밭토양은 CH4를 방출한다.
  4. 논토양의 질소형태는 NH4-N로 주로 분포하고 밭토양은 NO3-N로 분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물이 분해될 때 논토양은 CO2, 밭토양은 CH4를 방출한다." 이 설명이 틀렸습니다. 실제로는 논토양과 밭토양 모두 유기물 분해 시 CO2와 CH4를 방출합니다. 다만, 밭토양은 더 많은 CH4를 방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밭토양이 물이 많아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유기물 분해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부식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호르몬과 각종 비타민을 갖고 있어 고등식물과 토양미생물의 생육을 돕는다.
  2. 염기성 성질을 가지고 있어 토양의 산성반응을 중성~염기성으로 교정하는데 중요한 물질이다.
  3. 토립을 연결시켜 안전한 입단구조를 형성하여 토양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시킨다.
  4. 질소. 인산. 규산, 석회, 황 등 이외에도 식물 영양분을 보유하는데 이들은 부식의 분해로 인하여 유효화 된다.
(정답률: 67%)
  • 염기성 성질을 가지고 있어 토양의 산성반응을 중성~염기성으로 교정하는데 중요한 물질이다. - 이것은 올바른 설명이다.

    - 호르몬과 각종 비타민을 갖고 있어 고등식물과 토양미생물의 생육을 돕는다. - 부식은 식물 영양분을 보유하지만, 호르몬과 비타민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 토립을 연결시켜 안전한 입단구조를 형성하여 토양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시킨다. - 이것은 토양 개량제의 기능이다.
    - 질소. 인산. 규산, 석회, 황 등 이외에도 식물 영양분을 보유하는데 이들은 부식의 분해로 인하여 유효화 된다. - 이것은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토양유기물 성분 중 단백질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프로테오스
  2. 아미노산
  3. 펩톤
  4. 펙틴
(정답률: 알수없음)
  • 펙틴은 단백질이 아닌 탄수화물 중 하나로, 식물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성분입니다. 따라서 토양유기물 성분 중 단백질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물질이 아닙니다. 반면, 프로테오스는 단백질 분해 생성물,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구성 성분, 펩톤은 단백질 분해 생성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유기성 인산질 비료로 옳은 것은?

  1. 과인산석회
  2. 용성인비
  3. 구아노
  4. 토머스인비
(정답률: 알수없음)
  • 구아노는 동물의 배설물이나 새의 똥에서 추출한 유기성 인산질 비료로, 질소, 인, 칼륨 등의 영양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구아노는 자연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비료 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토양의 용적밀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연상태의 시료를 건조하여 고상과 기상으로 구성된 토양의 밀도를 측정한 것이다.
  2. 고상, 액상 및 기상으로 구성된 자연상태 그대로의 토양무게를 측정하여 밀도로 한 것이다.
  3. 토양시료 채취지역이 같으면 용적밀도는 토성과 관계없이 일정하다.
  4. 용적밀도와 입자밀도는 같은 의미로 토양입자의 분포를 조사할 때 유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상태의 시료를 건조하여 고상과 기상으로 구성된 토양의 밀도를 측정한 것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자연상태의 토양을 건조시켜 고상과 기상으로 나눈 후, 그 무게를 측정하여 용적밀도를 계산한 것이다. 이 방법은 토양의 입자 크기와 형태, 구성물 등에 따라 용적밀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토양시료 채취지역이 같더라도 용적밀도는 토성과 관계없이 일정하지 않다. 또한, 용적밀도와 입자밀도는 다른 개념으로, 용적밀도는 토양의 부피 대비 무게를 나타내는 것이고, 입자밀도는 토양 입자의 무게 대비 부피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심층토의 색이 갈색이거나 붉은 색을 띠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알루미늄 산화물(Al-oxide)의 집적
  2. 석영(quartz)의 집적
  3. 유기물(organic matter)의 집적
  4. 철 산화물의 집적
(정답률: 알수없음)
  • 심층토의 색이 갈색이거나 붉은 색을 띠는 이유는 철 산화물의 집적 때문입니다. 철 산화물은 산화철(Fe2O3)이나 자갈철(FeO(OH)) 등이 있으며, 이들이 토양에서 존재할 때 산화되어 갈색이나 붉은 색을 띠게 됩니다. 이러한 철 산화물이 집적되면서 토양의 색이 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노후화답의 작토층에 특히 부족한 것은?

  1. k
  2. Fe
  3. Mn
  4. Si
(정답률: 42%)
  • 노후화답의 작토층에서는 철분(Fe)이 부족합니다. 이는 작토층에서 철분이 부족하면 식물이나 작물이 생장하는 데 필요한 역할을 하는 엽록소의 합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후화답의 작토층에서는 철분을 보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우리나라 논토양에서 많이 발견되는 토양구조로 오랫동안 토양을 얕게 경운하는 경우 점토입자가 작토층 밑으로 이동, 집적되어 다져지면서 수분의 하향이동 및 뿌리생장을 불량하게 하여 벼의 생육이 불량해지게 되는 것으로 경반층 이라고도 하는 것은?

  1. 구상구조
  2. 괴상구조
  3. 각주상구조
  4. 판상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판상구조는 토양을 얕게 경운하는 경우 발생하는 토양구조로, 작은 입자들이 밑으로 이동하여 다져지면서 수분의 하향이동 및 뿌리생장을 방해하여 작물의 생육을 저하시키는 경반층이 형성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유기농업개론

41. 우리나라의 연도별 유기농업 관련 정책으로 틀린것은?

  1. 1991년 : 농림부에 유기농업발전 기획단 설치
  2. 1997년 : 환경농업육성법 제정
  3. 1998년 : 친환경농업 원년 선포
  4. 2004년 : 친환경농업 직접지불제 도입
(정답률: 알수없음)
  • 2004년에 친환경농업 직접지불제가 도입된 것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친환경농업 직접지불제는 농민들이 친환경적인 농업 생산활동을 할 경우 정부가 보상금을 지급하는 제도로, 2004년에 도입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기축산의 적절한 사육환경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유기배합 사료급여
  2. 적절한 사육밀도 유지
  3. 치료용 동물용의약품의 정기사용
  4. 생축의 스트레스 최소화
(정답률: 알수없음)
  • 치료용 동물용의약품의 정기사용은 유기축산의 적절한 사육환경 기준이 아닙니다. 유기축산에서는 예방적인 접근과 자연치유를 중요시하며, 가능한 한 약물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따라서 치료용 동물용의약품은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고, 정기적인 사용은 지양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기농림산물 생산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혐기처리 추분
  2. 화학적으로 합성된 비료
  3. 호기처리 축분
  4. 유기축산 생축분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농림산물 생산에서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비료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유기농물 생산의 핵심 가치 중 하나인 환경친화적이고 자연스러운 생산 방식과는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유기농림산물 생산에서는 자연에서 추출한 유기성 비료나 유기축산 생축분 등을 사용하여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부엽토와 지렁이” 라는 책의 저술자로 유기농법의 이론적 근거를 최초로 제공한 사람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다윈은 만일 지렁이가 없다면 식물은 죽어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2. 러셀은 지렁이 수와 유기물 시용양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3. 프랭클린 킹은 유축순환농업을 전통적 농업 생산의 이상적 모델로 삼았다.
  4. 하워드는 부엽토와 지렁이 이후에 1940년 농업성전을 저술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워드는 “부엽토와 지렁이” 라는 책의 저술자로 유기농법의 이론적 근거를 최초로 제공한 사람이다. 따라서 정답은 "하워드는 부엽토와 지렁이 이후에 1940년 농업성전을 저술하였다." 이다.

    다윈은 지렁이와 식물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였지만, "만일 지렁이가 없다면 식물은 죽어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라는 내용은 없다.

    러셀은 지렁이 수와 유기물 시용양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하였지만, 이는 “부엽토와 지렁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프랭클린 킹은 유축순환농업을 전통적 농업 생산의 이상적 모델로 삼았지만, 이 또한 “부엽토와 지렁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벼농사에 피해를 주는 비래해충이 아닌 것은?

  1. 벼멸구
  2. 애멸구
  3. 흰등멸구
  4. 혹명나방
(정답률: 알수없음)
  • 애멸구는 벼농사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 아닙니다. 애멸구는 콩, 땅콩, 녹두 등의 콩류 작물에서 발생하는 해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벼 친환경재배시 규산질 비료 시용을 권장하는 주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다량원소를 공급함으로서 병충해에 강하게 한다.
  2. 토양의 이학적 성질을 개선하고 균형시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벼의 수광자세를 개선함으로서 광합성 효율을 높여 건실하게 자라게 한다.
  4. 질소질 비료의 흡수를 촉진하여 벼가 건강히 자라도록 한다.
(정답률: 85%)
  • 벼는 광합성을 통해 자라기 때문에, 광합성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산질 비료는 벼의 수광자세를 개선하여 광합성 효율을 높여 건실하게 자라게 합니다. 따라서 이것이 가장 적합한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합성품종으로 육종하는 대표적인 작물은?

  1. 배추
  2. 목초
(정답률: 37%)
  • 목초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자를 가진 여러 종의 잡초를 교배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내는 작물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육종된 목초는 높은 생육력과 내구성을 가지며,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도 높아 농작물 생산에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녹비의 토양 혼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하다.
  2. 토양 내 유기물 함량이 감소된다.
  3. 토양의 무기물 및 미생물 체내질소가 증가한다
  4. 토양 혼입시 1개월 이내에 대부분의 녹비가 토양 속에서 분해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 내 유기물 함량이 감소된다."가 틀린 것이다. 녹비의 토양 혼입은 토양 내 유기물 함량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녹비가 분해되어 유기물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기생산체계는 사회적, 생태학적,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최적의 농업생태계를 이룬다는 목표를 갖는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토양의 생물학적 활동 촉진
  2. 생물의 다양화를 증진
  3. 작물 및 축산물 생산성 최대화 추구
  4. 자원이나 물질의 재활용 극대화
(정답률: 80%)
  • 작물 및 축산물 생산성 최대화 추구는 유기생산체계의 목표와는 다릅니다. 유기생산체계는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농작물과 축산물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하고 토양의 생물학적 활동을 촉진하며 자원이나 물질의 재활용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물 및 축산물 생산성을 최대화하는 것은 화학비료나 항생제 등의 인공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므로, 유기생산체계의 목표와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퇴비 원료 중 질소 함량이 가는 많은 것은?

  1. 볏짚
  2. 톱밥
  3. 왕겨
  4. 농가퇴비
(정답률: 알수없음)
  • 농가퇴비는 가축 배설물과 식물 부산물 등이 혼합되어 있어 질소 함량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농가퇴비는 질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퇴비 원료 중에서 질소 함량이 가장 많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가축의 복리(animal welfare)로 틀린 것은?

  1. 양질의 유전자변형사료 지급
  2. 적절한 사육 공간 제공
  3. 스트레스 최송화와 질병예방
  4. 건강증진을 위한 가축관리
(정답률: 알수없음)
  • "양질의 유전자변형사료 지급"은 가축의 복리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유전자변형사료는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가축의 건강과 복리를 고려한다면 사용이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양질의 유전자변형사료 지급"은 가축의 복리와 관련이 없는 올바르지 않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유기축산이란 유기사료를 몇 % 이상 먹여 기른 가축을 말하는가? (단, 비반추가축의 생산을 위한 건물(day matter)급여로 2010년 12월 31일 까지의 기준에 의한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70%
  2. 80%
  3. 90%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축산이란 유기사료를 80% 이상 먹여 기른 가축을 말한다. 이는 유기축산의 정의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유해곤충의 유인, 포살이나 교미를 교란시키는데 이용되는 페로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연적으로 생산되고 독성이 거의 없다.
  2. 대표적으로 성페로몬이 농업에 활용된다.
  3. 해충종합관리를 위한 적용 요소로 이상적이다.
  4. 서로 다른 종 사이의 정보통신에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서로 다른 종 사이의 정보통신에 사용된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페로몬은 동일한 종 내에서 유인, 포살이나 교미를 교란시키는데 이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종 사이의 정보통신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산성토양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흙의 떼알이 파괴도고 염기가 세탈되어 산성화 된다.
  2. 작물생육이 억제되고 알루미늄, 철이 공급되지 않는다.
  3. 칼슘이 부족하고 환경변화에 견디는 힘이 약해진다.
  4. 중금속에 대한 위험이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생육이 억제되고 알루미늄, 철이 공급되지 않는 것은 산성토양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산성토양에서는 pH가 낮아지면서 알루미늄, 철 등의 물질이 용해되어 작물이 흡수할 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물이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하고 생육이 억제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품종 내에 유전적 변화가 일어나 새로운 특성을 지닌 변이체가 생기게 될 때 이 변이체의 자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아종
  2. 계통
  3. 육종
(정답률: 알수없음)
  • 변이체는 특정 품종 내에서 발생한 유전적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 변이체가 자손을 통해 계속해서 전파되면서 새로운 계통을 형성하게 됩니다. 따라서 변이체의 자손을 "계통"이라고 합니다. 종은 서로 교배가 가능한 개체들의 집합이며, 아종은 같은 종 내에서도 서로 교배가 가능한 개체들의 집합입니다. 육종은 서로 다른 종이나 아종을 교배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1920년대 영국에서 토마토에 발생했던 해충인 온실 가루이를 방제했던 기생선 천적은?

  1. 칠성풀잠자리
  2. 온실가루이좀벌
  3. 성페로몬
  4. 칠레이리응애
(정답률: 알수없음)
  • 온실 가루이는 토마토를 비롯한 식물들을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생선 천적 중 하나입니다. 이 해충은 영국에서 1920년대에 토마토 재배업자들에게 큰 피해를 주었는데, 온실 가루이좀벌은 이 해충을 퇴치하는 데 효과적인 천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온실 가루이좀벌은 영국에서 토마토 재배업자들에게 큰 도움을 주었던 기생선 천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농업관련기구 기관의 약자를 설명한 용어로 틀린것은?

  1. IRRI : 국제미작연구소
  2. FAO :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3. Codex : 국제식품규격위원회
  4. IFOM : 국제농업운동연맹
(정답률: 알수없음)
  • IFOM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약자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IFO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동물적 잡초 제어방법에 이용되는 것은?

  1. 왕우렁이
  2. 지렁이
  3. 메뚜기
  4. 땅강아지
(정답률: 85%)
  • 왕우렁이는 잡초를 먹는 것이 아니라 잡초의 뿌리를 먹어서 생장을 방해하므로, 동물적 잡초 제어 방법으로 이용됩니다. 지렁이, 메뚜기, 땅강아지는 잡초를 먹는 것이 주된 생활 방식이므로, 이들은 동물적 잡초 제어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윤작의 실천 목적으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병충해 회피
  2. 토양 보호
  3. 토양비옥도의 향상
  4. 인산의 축적
(정답률: 알수없음)
  • 윤작은 작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농업 기술 중 하나로, 토양의 영양분을 유지하고 보호하여 작물의 성장을 돕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산의 축적"은 윤작의 실천 목적에 맞지 않습니다. 인산은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 중 하나이지만, 윤작은 토양의 영양분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인산의 축적보다는 토양의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무기물(mineral)유기농자재가 아닌 것은?

  1. 보르도액
  2. 벤토나이트
  3. 자연산 탄산칼슘
  4. 누룩곰팡이
(정답률: 알수없음)
  • 누룩곰팡이는 유기물이므로 무기물이 아닙니다. 반면, 보르도액, 벤토나이트, 자연산 탄산칼슘은 모두 무기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유기식품 가공.유통론

61. 다음 중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의 문제점은?

  1. 조작이용이하지 않다.
  2. 수분이 많은 식품에는 부적당하다.
  3. 단시간의 살균이 불가능하다.
  4. 대상물질의 돌기부에 과열현상이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웨이브는 전자파를 이용하여 대상물질을 가열시키는데, 대상물질의 돌기부에는 전자파가 진행되지 않고 반사되어 과열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밀 단백질(wheat protein)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밀의 저장단백질(storage protein)이라 할 수 있는 것은?

  1. 글로블린(globulin)
  2. 라이신(lysine)
  3. 글루텐(gluten)
  4. 알부민(albumin)
(정답률: 알수없음)
  • 글루텐은 밀의 저장단백질인 글루텐인과 글라딘(glaidin)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은 밀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하면 발생하는 점탄성(tensile strength)을 제공하며,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밀가루를 이용한 빵, 케이크, 파이 등의 제빵과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식품의 기준 및 규격 고시의 내용을 틀린 것은?

  1. 냉동은 -18℃이하, 냉장은0~10℃를 말한다.
  2. 건조물(고형물)은 원재료를 건조하여 남은 고형물로 별도의 규격이 정하여 지지 않은 한, 수분함량이 10% 이하인 것을 말한다.
  3. 살균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세균, 효모, 곰팡이 등 미생물의 영양세포를 사멸 시키는 것을 말한다.
  4. 유통기한이라 함은 소비자에게 판매가 가능한 기간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조물(고형물)은 원재료를 건조하여 남은 고형물로 별도의 규격이 정하여 지지 않은 한, 수분함량이 10% 이하인 것을 말한다."이 내용은 틀린 내용이 없다. 이유는 건조물(고형물)은 원재료를 건조하여 수분함량을 낮춘 것이기 때문에 수분함량이 10% 이하인 것을 말하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무균포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식품은 신선도가 중요함으로 살균을 할 필요가 없다.
  2. 포장재도 살균하여야 한다.
  3. 유통과정 중 오염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밀봉 하여야 한다.
  4. 포장과정에서 무균적 환경을 유지하여야 한다.
(정답률: 64%)
  • "식품은 신선도가 중요함으로 살균을 할 필요가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식품은 신선도가 중요하지만, 식품에는 미생물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살균 처리를 해야 합니다. 이는 식품의 유통기한을 연장하고, 소비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세균의 generation time이 30분일 때 초기세균 수103개가 109로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log2는 0.3으로 계산한다.)

  1. 10시간
  2. 20시간
  3. 25시간
  4. 40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세균의 generation time이 30분이므로 1시간에 2배씩 증가한다. 따라서 103개에서 109개가 되기 위해서는 2n = 106 (n은 세대 수) 이어야 한다. 이를 풀면 n = log2106 = 20이 된다. 따라서 초기세균 수 103개가 109개가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30분 x 20세대 = 10시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제품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 4단계 중 대량 생산과 극심한 경쟁으로 인해 가격인하, 품질향상, 판매촉진용의 증가가 필요한 단계는?

  1. 도입기
  2. 성장기
  3. 성숙기
  4. 쇠퇴기
(정답률: 알수없음)
  • 성숙기는 제품이 시장에서 성장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는 단계이지만, 경쟁 역시 치열해지기 때문에 가격인하와 품질향상, 판매촉진용의 증가가 필요하다. 이는 제품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시장에서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식품취급자의 손 세척시 주의할 점으로 틀린 것은?

  1. 온수보다 냉수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 고형비누보다 액상비누가 효과적이며 30초이상 비누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손은 물론 팔꿈치까지 세척해야 한다.
  4. 세척 시에는 양손을 비비면서 마찰을 증가시키거나 솔을 사용할 경우 비상재성 세균의 감소율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온수보다 냉수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다. 이유는 온수는 손의 기름과 더불어 세균도 제거하기 때문에 냉수보다 효과가 떨어진다. 따라서 냉수로 손을 세척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포장재료의 구비요건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식품의 성분과 상호작용이 없어야 한다.
  2.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3. 물리적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4. 투습도가 높고 기체를 통과 시키지 않아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투습도가 높고 기체를 통과시키지 않아야 하는 이유는 포장재료가 식품의 신선도와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공기와 수분을 차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공기와 수분이 식품에 접촉하면 산화, 변질, 부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장재료는 투습도가 낮고 기체를 통과시키지 않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인스턴트 분유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습윤성
  2. 침투성
  3. 침강성
  4. 응집성
(정답률: 60%)
  • 인스턴트 분유는 물에 녹아들어가는 습윤성, 빠른 침투성, 물에 떠다니는 침강성을 가지고 있지만, 응집성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즉, 인스턴트 분유는 물에 녹아들어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물에 섞으면 쉽게 용해되고, 빠르게 침투하여 물에 떠다니지 않고 녹아들어가지만, 응집성은 가지고 있지 않아 물에 섞어도 덩어리가 생기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사람 또는 가축에게 식중독을 일으키는 마이코톡신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간장독 - 아플라톡신(aflatoxin) - 땅콩 - Fusarium속
  2. 신장독 - 시트리닌(citrinin) - 쌀 - Penicillium속
  3. 신경독 - 슬라프라민(slaframine) - 사료 - Aspergillus속
  4. 피부염 - 오크라톡신(ochratoxin) - 옥수수 - Yersinia속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신장독 - 시트리닌(citrinin) - 쌀 - Penicillium속" 입니다.

    시트리닌은 Penicillium속의 균주가 생산하는 마이코톡신 중 하나로, 쌀 등의 곡물에서 발견됩니다. 시트리닌은 식중독을 일으키는데, 신장독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사람 또는 가축에게 식중독을 일으키는 마이코톡신의 연결이 "신장독 - 시트리닌(citrinin) - 쌀 - Penicillium속" 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어떤 융점이 낮은 식물성유지가 동물성유지보다 산패가 적게 나타날 때 가장 주요한 원인은?

  1. 이중결합이 많다.
  2. 분자량이 낮다.
  3. 항산화제가 많이 들어있다.
  4. 지방산 chain 길이가 길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산화제가 많이 들어있다는 것은 산화작용을 억제하여 식물성 유지가 노폐물을 적게 생성하고, 동물성 유지보다 더 오래 신선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과일잼의 젤리하에 알맞은 pH는?

  1. pH1
  2. pH3
  3. pH5
  4. pH7
(정답률: 67%)
  • 과일잼의 pH는 일반적으로 3~4 사이입니다. 따라서 젤리하에 알맞은 pH는 pH3입니다. 이는 과일잼의 pH 범위 내에 있으며, pH3은 적절한 산성도를 유지하면서도 과일잼의 안정성과 보존성을 유지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어떤 유기농산물의 생산자 수취가격이 2000원, 납품업체 공급가격이 2200원, 소비자 지불 가격이 2500원 일 때 총유통마진율은?

  1. 10%
  2. 11%
  3. 2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총유통마진율은 소비자 지불 가격에서 생산자 수취가격을 뺀 값과 소비자 지불 가격을 비교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총유통마진율 = (소비자 지불 가격 - 생산자 수취가격) / 소비자 지불 가격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생산자 수취가격은 2000원, 소비자 지불 가격은 2500원이므로,

    총유통마진율 = (2500 - 2000) / 2500 x 100 = 20%

    따라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미국에서 염소살균제 공장에서 폭발사고로 인해 그 유통석이 알려지기 시작하였으며, 방향족 화합 물인 내분비계장애물질은?

  1. 비스페놀A
  2. 다이옥신
  3. 벤조피렌
  4. 펜타노닐 페놀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분비계장애물질은 호르몬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인체 내에서 호르몬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다이옥신은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내분비계장애물질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포장 재료에 요구되는 성질 중 변질로부터 식품을 보호하는 성질과 관계된 것은?

  1. 가스투과도
  2. 인쇄적성
  3. 내열성
  4. 유해물질 안전성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투과도는 포장재료가 공기나 수증기 등의 기체를 통과시키는 성질을 말한다. 이는 식품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나 기체가 식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식품을 변질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포장재료에 요구되는 성질 중 변질로부터 식품을 보호하는 성질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농식품의 물류기능이 아닌 것은?

  1. 수송
  2. 저장
  3. 가공
  4. 거래
(정답률: 78%)
  • 농식품의 물류기능 중 거래는 실제로 물류기능이 아닙니다. 거래는 농산물을 구매하거나 판매하는 과정으로, 물류기능은 농산물을 운송하고 저장하며 가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거래는 물류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유통경로상 도매업으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은?

  1. 편의점
  2. 할인점
  3. 백화점
  4. 대리점
(정답률: 46%)
  • 대리점은 제조업체나 수입업체의 제품을 구매하여 소매업체에 판매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통경로상 도매업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편의점, 할인점, 백화점은 소매업체에 해당하므로 도매업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가공조작은?

  1. 가열하기
  2. 맛내기
  3. 소금절이기
  4. 혼합하기
(정답률: 27%)
  • 소금절이기는 식품을 보존하기 위해 소금을 사용하여 가공하는 과정으로, 이는 부가가치세법상 가공조작 중 하나로 인정되어 면제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감영형 식중독에 속하는 것은?

  1. Botulinus 식중독
  2. Bacillus cereus 식중독
  3. 포상구균 식중독
  4. Salmonella 식중독
(정답률: 알수없음)
  • 감영형 식중독은 장내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소화기관을 통해 인체 내부로 침입하여 발생하는 식중독으로, Salmonella는 장내 세균 중 하나로 감영형 식중독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우유의 성분 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초유는 단백질, 지방 및 회분 함량이 많고 유당 함량이 적다.
  2. 같은 품종, 같은 환경에서 사육하더라도 지방 함량의 차이가 크게 날 수 있다.
  3. 착유 초기에는 지방함량이 높고 착유 종료시에는 지방함량이 낮다.
  4. 조사료의 양이 부족하면 지방률이 현저히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착유 초기에는 지방함량이 높고 착유 종료시에는 지방함량이 낮다." 인 이유는, 우유는 새끼 동물이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영양소를 제공하기 위해 생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착유 초기에는 새끼 동물이 필요로 하는 지방과 단백질 등의 영양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착유가 지속되면서 새끼 동물이 성장하고 영양소 요구량이 감소하면서 지방 함량이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유기농업관련 규정

81.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정한 유기생산 기준에서 유기가축에 사료로 공급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초식가축이 매일 먹는 사료(건물기준)에는 조사료, 생초, 건초, 사일리지가 상당량 함유되어야 한다.
  2. 위가 2개 이상인 가축은 사일리지만 먹어야 유기축산물을 생산에 효과적이다.
  3. 돼지와 가금이 매일 먹는 사료에는 조사료, 생초, 건초, 사일리지가 상당량 함유되어야 한다.
  4. 육용 가금은 비육 단계에 곡류를 먹일 필요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가 2개 이상인 가축은 사일리지만 먹어야 유기축산물을 생산에 효과적이다. 이유는 사일리지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발효되어 영양가가 높아지기 때문에, 유기가축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기가축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영양소가 충분한 사료를 제공해야 하며, 사일리지는 이를 보장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친환경농산물의 인증기관을 지정할 때 인력으로 활용되는 인증심사원의 지정기준으로 틀린 것은?

  1. 10명 이상을 갖출 것
  2. 농업관련 기업체 등에서 농산물의 품질관리 업무를 5년이상 담당한 경력을 가진자일 것
  3. 농림환경분야의 기술사 또는 기사 자격증을 소지한자일 것
  4. 농학계열 4년제 대학졸업자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학력이 있는 자
(정답률: 알수없음)
  • "10명 이상을 갖출 것"이 틀린 것이다. 인증기관은 인력 수에 따라서 인증심사원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인증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인력 수에 대한 명시적인 기준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유기축산물의 사육장 및 사육조건에 따른 축사 및 방목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번식돈 : 임신말기 또는 포유기간을 제외하고 군사
  2. 물오리류 : 기후조건에 따라 시냇물, 연못 또는 호수에 접근이 가능할 것
  3. 가금 : 개방조건에서 방목
  4. 산란계 : 케이지에서 사육을 금하며 자연일조 이내로 사육하고 인공광은 사용하지 말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번식돈 : 임신말기 또는 포유기간을 제외하고 군사"이다. 유기축산물의 사육장 및 사육조건에 따른 축사 및 방목조건은 동물의 본성과 건강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산란계는 자연일조와 인공광에 따라 생산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자연일조 이내에서 사육하고 인공광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친환경농산물 이중심사시 재배포장의 토양, 용수, 퇴비 및 생산물에 대한 검사성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것은? (단,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이 지정하는 시험연구기관은 제외한다.)

  1. 농업기술센터의 검사성적서
  2. 농협 토양진단센터의 검사성적서
  3.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출장소의 검사성적서
  4. 사료관리법 제20조에 따른 사료검정기관의 검사성적서
(정답률: 알수없음)
  • 농협 토양진단센터는 친환경농산물 이중심사시 재배포장의 토양, 용수, 퇴비 및 생산물에 대한 검사성적으로 인정되는 기관 중 하나이기 때문에, "농협 토양진단센터의 검사성적서"가 정답이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이 지정하는 시험연구기관은 제외되므로, 다른 보기들은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 규정한 사용이 가능한 자재 중 유기농산물의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자재는?

  1. 황산가리(물리적 공정으로 제조된 것)
  2. 천적(농촌진흥청이 고시한 품질규격에 적합할 것)
  3. 님(Neem)제제(님에서 추출된 천연물질일 것)
  4. 담배잎차(순수니코틴은 제외)
(정답률: 알수없음)
  • 황산가리는 유기농농업에서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해 사용이 가능한 자재 중 하나이다. 이는 물리적 공정으로 제조되어 황산과 석회를 혼합하여 만든 것으로, 토양의 pH를 조절하고 높은 칼슘 함량으로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산가리는 유기물 함량이 높아 토양의 비료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유기가공식품의 인증기준에 따른 가공원료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유기원료와 동일한 종류의 비유기 원료를 혼합하여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친환경농업육성법 제17조에 의한 유기농산물 이어야 한다.
  3. 방사선 조사처리된 원재료를 경유에 따라 사용하여도 된다.
  4. 유전자재조합 농산물 유래의 원료를 사용하지 않아야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 조사처리된 원재료를 경유에 따라 사용하여도 된다."가 틀린 것이다. 유기가공식품의 인증기준에 따르면 방사선 조사처리된 원재료는 사용할 수 없다. 이는 유기농산물의 철학과 원칙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방사선 조사는 화학적인 처리가 아닌 물리적인 처리이기 때문에 유기농산물의 철학과 맞지 않는다. 따라서 유기가공식품의 인증기준에서는 방사선 조사처리된 원재료를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정한 가공보조제 중 pH조정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타닌산
  2. 구연산
  3. 수산화나트륨
  4. 황산
(정답률: 알수없음)
  • 타닌산은 pH 조절보다는 산도 조절에 사용되는 가공보조제입니다. 따라서 pH 조절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정환 유기식품의 식물 병해충 방제 용자재 중 인증기관 또는 위임기관의 승인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구리염
  2. 보르도혼합액
  3. 부르고뉴액
  4. 클로렐라의 추출액
(정답률: 63%)
  • 정환 유기식품의 식물 병해충 방제 용자재 중 인증기관 또는 위임기관의 승인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것은 "클로렐라의 추출액"입니다. 이는 유기농 농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연성분으로,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증기관 또는 위임기관의 승인을 받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지위승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증기관이 그 사업을 양도한 경우 양수인은 인증기관의 지위를 승계한다.
  2. 친환경농산물인증을 받은 자의 지위를 승계한 경우에는 해당 인증기관에 그 사실을 신고해야 한다.
  3. 인증기관의 지위를 승계한 자는 그 지위를 승계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에게 친환경농산물인증기관승계신고서를 제출해야한다.
  4. 친환경농산물인증을 받은 자가 사망한 때는 인증품의 계속 생산 여부와 관계없이 상속인이 친환경농산물인증을 받은 자의 지위를 승계 한다.
(정답률: 55%)
  • 친환경농산물인증을 받은 자가 사망한 때는 인증품의 계속 생산 여부와 관계없이 상속인이 친환경농산물인증을 받은 자의 지위를 승계 한다. (이 설명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 유기농산물로 인증을 받고자 하는 농산물 재배포장의 영농자재 사용에 관한 자료를 몇년 이상 기록되어 보관하고 있어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알수없음)
  •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는 유기농산물로 인증을 받기 위해 영농자재 사용에 대한 기록을 보관해야 합니다. 이는 해당 농산물이 유기농산물로 인증받기 위한 조건 중 하나이며, 이를 위해 보관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기간은 2년으로 정해져 있으며, 이는 충분한 시간 동안 해당 농산물의 생산과정을 추적하고 검증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영농자재 사용에 관한 자료를 2년 이상 기록하여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정한 식물과 식물제품의 유기생산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양의 비옥도와 생물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화본과 작물을 다년간 윤작한다.
  2. 미생물이나 식물성분으로 만든 제품을 사용하여 퇴비화를 촉진 시킬 수 있다.
  3. 유기농법으로 전환된 구역과 전환중인 구역에서는 유기농법과 관행농법을 번갈아 사용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4. 목초나 영년생 작물의 경우 첫 번째 수확까지 3년의 전환기간이 있어야 하며, 인증기관이 전화기간을 가감하는 경우에도 전환기간은 12개월 이상이 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농법으로 전환된 구역과 전환중인 구역에서는 유기농법과 관행농법을 번갈아 사용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토양의 비옥도와 생물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화본과 작물을 다년간 윤작한다."는 토양의 건강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화본은 토양의 구조를 개선하고, 작물은 영양분을 공급하여 토양의 생물활동을 촉진시킵니다. 이를 통해 토양의 생산성을 높이고, 더 건강한 작물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미생물이나 식물성분으로 만든 제품을 사용하여 퇴비화를 촉진 시킬 수 있다."는 유기농농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토양의 생물다양성을 높이고, 영양분을 공급하여 토양의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시킵니다.

    "목초나 영년생 작물의 경우 첫 번째 수확까지 3년의 전환기간이 있어야 하며, 인증기관이 전화기간을 가감하는 경우에도 전환기간은 12개월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유기농인증을 받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 중 하나입니다. 이는 유기농법으로 전환된 구역에서 화학비료나 살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토양의 건강을 회복시키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친환경농업육성법 제6조의 친환경농업육성계획에 따라 5년마다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이 수립해야하는 친환경농업 육성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1. 농업의 공익적 기능 증대 방안
  2. 친환경농업의 발전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방안
  3. 농업분야의 환경보전을 위한 정책목표 및 기본 방향
  4.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증대를 위한 유기, 화학자재 개발 보급 방안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증대를 위한 유기, 화학자재 개발 보급 방안"입니다. 이유는 친환경농업 육성계획은 환경보전과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유기농 또는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증대를 위한 방안이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유기농 또는 화학자재를 사용하는 것은 친환경농업의 기본 원칙에 어긋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 규정한 친환경농산물 인증의 부정행위로 볼 수 없는 것은?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받는 행위
  2. 인증품에 인증품이 아닌 농산물을 혼합하여 판매하거나 판매할 목적으로 보관, 운반 또는 진열하는 행위
  3. 친환경농산물표시를 한 상품이 인증품이 아닌 농산물임을 모르고 판매하는 행위
  4. 인증품이 아닌 농산물에 친환경농산물 표시 또는 이와 유사한 표시를 하는 행위
(정답률: 77%)
  • 친환경농산물표시를 한 상품이 인증품이 아닌 농산물임을 모르고 판매하는 행위는 부정행위로 볼 수 없습니다. 이는 판매자가 의도적으로 인증을 받지 않은 농산물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판매자는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받은 제품과 구분되도록 표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친환경농업육성법에 따르면 농림수산식품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농업자원의 보전과 농업 환경의 개선을 위해 농림수산식품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해 주기적으로 조사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농경지의 중금속 성분의 변동사항
  2. 병원성 미생물의 종류와 분포사항
  3. 농업용수로 이용되는 지하수의 수질 조사
  4. 농업의 수자원함양 등 공익적 기능 실태
(정답률: 알수없음)
  • 병원성 미생물의 종류와 분포사항은 농업자원의 보전과 농업 환경의 개선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없는 사항이다. 다른 보기들은 농업자원의 보전과 농업 환경의 개선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조사해야 하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친환경농업육성법의 규정에 의한 유기농산물 표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표시도형 밑에 친환경농산물 종류명칭을 표기한다.
  2. 인증기관의 명칭은 반드시 표시하지 않아도 되며, 활자체는 명조체로 해야 한다.
  3. 유기농산물 표시도형의 크기는 포장재의 크기에 따라 조정할 수 없다.
  4. 유기농산물로 인증 받는 경우 천연, 자연, 무공해 등 강조표시를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친환경농업육성법에 따르면 유기농산물을 표시할 때는 "표시도형 밑에 친환경농산물 종류명칭을 표기한다." 이렇게 표시해야 합니다. 이유는 소비자가 유기농인지 아닌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인증기관의 명칭은 표시하지 않아도 되며, 활자체는 명조체로 해야 합니다. 유기농산물 표시도형의 크기는 포장재의 크기에 따라 조정할 수 없으며, 유기농산물로 인증 받는 경우 천연, 자연, 무공해 등 강조표시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유기가공식품의 인증 신청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1. 유기취급계획서
  2. 식품품목제조보고서
  3. 유기가공식품 생산계획서
  4. 원료 및 첨가물이 유기가공식품인증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기준에 맞는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가공식품 생산계획서는 인증 신청서류 중에서 요구되지 않는 서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세 가지 서류는 유기가공식품의 생산과정과 원료, 첨가물 등이 유기인증 기준에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친환경농산물 인증품에 대한 조사 결과, 인증 기준에 맞지 아니한 원인이 인증기관의 중대한 과실로 인하여 발생된 경우, 위반 1회 때의 인증 기관에 대한 행정처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경고
  2. 업무정지 3월
  3. 업무정지 6월
  4. 지정취소
(정답률: 알수없음)
  • 친환경농산물 인증기준을 위반한 경우, 인증기관은 경고부터 업무정지, 지정취소까지 다양한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위반 1회 때의 인증 기관에 대한 행정처분기준으로는 업무정지 3월이 적용됩니다. 이는 인증기관이 인증과정에서 중대한 과실을 저지르거나, 인증기준을 무시하거나, 인증결과를 조작한 경우에 해당됩니다. 업무정지 3월은 인증기관의 업무를 3개월간 중지시키는 것으로, 인증기관이 인증과정에서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한 경고와는 달리, 중대한 위반행위에 대한 엄격한 처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유기가공식품인증제도 운영지침에서 규정한 유기농산물 함량에 따른 표시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현대의 환경에서 완벽한 유기농산물이라는 것은 어디에도 없다. 그리므로 “유기농100%” 또는 이와 유사한 표시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최종제품에 남아 있는 원재료의 95%이상이 유기농산물인 경우에는 “유기”라는 용어를 제품명에 사용할 수 있다.
  3. 용기 포장의 주 표시면에는 원재료의 95% 이상이 유기농산물이라 할지라도“유기”라는 표시를 할 수 없다.
  4. 최종 제품에 남아 있는 원재료의 70%이상 95% 미만이 유기농산물일 경우는 제품명의 일부로 사용할 수 없고, 원재료명 표시란 한 면에만 작은 글씨로 함량을 표시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가공식품인증제도 운영지침에서는 최종제품에 남아 있는 원재료의 95%이상이 유기농산물인 경우에는 “유기”라는 용어를 제품명에 사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기농산물 함량이 일정 수준 이상인 제품에 대해서만 유기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혼동을 방지하고, 제조사의 허위광고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최종제품에 남아 있는 원재료의 95%이상이 유기농산물인 경우에는 “유기”라는 용어를 제품명에 사용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 제12조의 규정에 의한 친환경농산물 인증기관의 인증업무의 범위가 아닌것은?

  1. 유기농림산물 및 유기축산물
  2. 무농약농림산물 및 무항생제축산물
  3. 전환기유기농림산물 및 전환기유기축산물
  4. 재포장 과장
(정답률: 알수없음)
  • 전환기유기농림산물 및 전환기유기축산물은 유기농 농산물 및 유기축산물로 인증받기 전에 일정 기간 동안 환경오염물질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생산한 농산물 및 축산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인증기관의 인증업무 범위에 포함되지만, 다른 보기들은 인증기관의 인증업무 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정한 병해충 및 잡초관리 방법이 아닌 것은?

  1. 적합한 작물과 품종의 선택
  2. 적합한 작물의 윤작
  3. 다양한 생태계의 유지
  4. 천적의 은신처 제거
(정답률: 알수없음)
  • 천적의 은신처 제거는 유기농 방식에서는 권장되지 않는 방법으로, 화학적 방법과 유사하게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는 "천적의 은신처 제거"를 포함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