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재배원론
1. 일반적으로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토양의 3상 분포로 가장 적정한 것은?
2. 어느 작물의 요수량이 500이라면 단위중량 1g의 건물(乾物)은 생산하는데 소비된 물의 양은?
3.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높여서 작물의 증수를 꾀하는 방법은?
4. 벼의 냉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 농작물의 수량 극대화를 위한 수량의 삼각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6. 다음 중 산성토양에서 가장 결핍되기 쉬운 성분은?
7. 정지(整地)작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8. 작물의 도복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9. 기지(忌地)의 발생원인 중에서 시설재배 시 가장 크게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10. 작물의 분류법 중 작물을 재배하는 데 생육적온 등 유용한 정보를 가장 많이 얻을 수 있는 분류법은?
11. 벼 직파재배와 비교할 때 육묘 이앙재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2. 다음 중 인위적 돌연변이의 유도효과가 가장 큰 방사선은?
13. 동상해의 재배적 대책으로 틀린 것은?
14. 추락현상(秋落現象)과 관계가 먼 것은?
15. 작물의 내적 균형의 지표로 흔히 사용되는 것은?
16. 1m2의 현미 무게가 1kg이고 이때 현미의 수분함량이 17%이다. 수분함량이 15%일 때 10a의 현미수량은?
17. 채소류 육묘 시 인공상토 사용의 유리한 점이 아닌 것은?
18. 방사성 동위원소의 농업적 이용에 있어 방사선의 어떤 면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가?
19. 단명종자로만 나열된 것은?
20. 다음 중 벼의 지상부에 대한 지하부의 건물중 비율이 가장 높은 시기는 ?
2과목: 토양비옥도 및 관리
21. 일반적인 간척지 토양관리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22. 토양의 전용적밀도(bulk density)가 1.8g/cm3일 때 75cm3용적에 들어 있는 건조토양의 질량은?
23. 분산된 토립은 식물에 필요한 양분을 간직하고 있어서 유수에 의해 침식될 때 이러한 양분도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토양침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24. Mg과 Ca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석회비료는?
25. 토양에서 유기모재(有機母材)의 근본이 되며 부식 중에 많이 함유된 물질은?
26. 토양에 유기물이 많을 경우 예상할 수 있는 현상이 아닌 것은?
27. 유기물의 분해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8. 토층의 배수불량 상태에서 강회색화(强灰色化) 작용을 나타내는 기호는?
29. 토양의 색(soil color)을 나타내는 색의 3속성은?
30. 식물뿌리와 공생관계를 형성하는 균으로 ‘사상균뿌리’ 라는 의미를 지닌 균은?
31. 담수되 논포양의 생물적, 화학적 특성 변화를 옳게 설명한 것은?
32. 염류집적이 문제시되는 시설재배지의 토양관리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3. 토양 내 작물이 이용할 수 있는 유효수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4. 풍식(wind eros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5. 토양침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효율성이 가장 낮은 것은?
36. 미국농무부법(USDA법)에 의한 자갈(gravel)의 입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37. 질소성분 100kg을 토양에 처리하여 작물에 회수된 질소량이 50kg이었고, 시비하지 않은 토양에서는 작물로 20kg의 질소가 회수되었다. 이때 이 질소비료의 질소이용효율(nitrogen use efficiency)은?
38. 토양 pH와 인산의 유효도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9. 다음 반응식을 나타내는 학술용어는?
40. 제주도 토양의 모암인 현무암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3과목: 유기농업개론
41. Codex 가이드라인이 규정하고 있는 유기식품의 내용이 아닌 것은?
42. 두고 녹비작물 재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3. 벼 물바구미의 방제방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44. 벼 유기재배에서 우리 또는 우렁이를 활용하는 1차적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45. 유기농업에서는 화학비료를 대신하여 유기물을 사용하는데 유기물의 주된 기능이 아닌 것은?
46. 유기농법으로 토양을 개량시켰을 때의 장점이 아닌 것은?
47. 유기농업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무농약 토양소독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8. 종자의 증식 보급체계로 옳은 것은?
49. 일반적으로 인수공통전염병이 아닌 것은?
50. 유기농업에 중요시되는 녹비작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51. 유기축산을 위한 축사시설 준비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52. 농학상 분류단위인 품종과 계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3. 일반적으로 유기재배 벼의 중간 물떼기(중간낙수) 기간은 출수 며칠 전이 가장 적당한가?
54. 서로 도움이 되는 특성을 지닌 두 가지 작물을 같이 재배할 경우 이들 작물을 가리키는 것으로 다년생 초지에서 초기의 산초량을 높이기 위하여 섞어서 덧뿌려 짓는 작물은?
55. 기본집단에서 집단을 대상으로 선발을 계속하여 우수한 계통을 분리하는 육종방법은?
56. 다음 중 채소 재배 시 식물체의 질산염 축적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57. 유기농산물의 생산을 위한 자재가 아닌 것은? (단, 농촌진흥청장이 고시한 품질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58. 유기농업에서 윤작의 기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59. 고간류 사료중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이용하는 조사료는?
60. 우리나라의 친환경농업육성지원책과 거리가먼 것은?
4과목: 유기식품 가공.유통론
61. 아이스크림 제조 시 균질의 목적이 아닌 것은?
62. 활성오니법 시 미생물의 알맞은 조건이 아닌것은?
63. 다음 식중독균 중 감염형이 아닌 것은?
64. 레토르트 포장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5. 고기의 훈연효과가 아닌 것은?
66. 과실 및 채소류의 MA포장 시 에틸렌가스(ethylene gas)의 흡착방식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67. 천연첨가물 중 폴리리신(polylysin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8. 다음 중 식품공전상 조미식품이 아닌 것은?
69. 통조림 제조에 많이 쓰이는 살균법은?
70. 유기식품의 취급, 저장, 수송, 가공시설에서 병해충 관리방법으로 부적합한 것은?
71. 식물성 자연독 성분을 함유한 식품이 잘못 연결된 것은?
72. 농산물도매시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3. 균 1개가 30분마다 분열하는 경우, 5시간 후에는 몇 개가 되는가?
74. 유기과채류 가공식품 제조방법으로 틀린 것은?
75. 음식물을 섭취하기 직전에 끓여 먹었는데도 식중독이 발생하였다면 추정할 수 있는 식중독의 원인균은?
76. 현미란 벼의 도정 시 무엇을 제거한 것인가?
77. 유기가공식품의 제조, 가공 기준으로 틀린 것은?
78. 1%는 몇 ppm인가?
79. 우리나라 유기식품 시장을 확대해 나아가기 위한 바람직한 전략이 아닌 것은?
80. 소비자보호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과목: 유기농업관련 규정
81. 친환경농업육성법을 위반하여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벌칙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82. 친환경농업육성법규상 유기농산물의 병해충관리를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자재와 사용조건으로 틀린 것은?
83.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코덱스가이드라인의 목적이 아닌 것은?
84. 유기농산물의 병해충 관리를 위해 사용이 가능한 자재가 아닌 것은?
85. 유기가공식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6. 친환경농업육성법에 따른 유기농림산물과 유기축산물의 인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7.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코덱스 가이드라인에서 정하고 있는 식무로가 식물제품의 유기생산원칙에 따라 재래농법에서 유기농업으로의 전환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8. 친환경농산물 인증기관의 지정은 친환경농업육성법시행령 위임규정에 의해 누구에게 위임되어 있는가?
89. 친환경농업육성법시행규칙에 의한 인증심사의 절차 및 방법에서 재배포장의 토양시료 채취지점은 재배필지별로 최소한 몇 개소 이상으로 선정해야 하는가?
90. 친환경농업육성법에 근거한 친환경농산물 표시방법으로 틀린 것은?
91. 친환경농산물 인증기관이 지정취소된 후 몇 년이 지나야 인증기관으로 다시 지정받을 수 있는가?
92.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코덱스가이드라인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93. 유기농산물 인증기준상 비의도적인 원인으로 인한 잔류농약 허용기준은 농산물의 농약잔류허용기준치의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
94.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코덱스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유기상태에 도달한 농지에 비유기가축이 입식되었을 경우 이로부터 생산된 제품을 유기식품으로 유통시킬 수 있으려면 이들 가축을 순치하는 최소기간 동안 가이드라인에 의해 사육해야 한다. 다음 중 순치기간의 원칙에 어긋난 사항은?
95. 식품산업진흥법에 의하여 유기가공식품 인증을 받으려면 어느 기관에 신청해야 하는가? (단, 인증업무의 범위는 유기가공식픔으로 본다.)
96. 친환경농산물 인증기관의 인증심사원의 자격조건 기준으로 옳은 것은?
97.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코덱스가이드라인에서 검사/인증 시 최소요건 및 예방조치 기준으로 틀린 것은?
98.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코덱스가이드라인에서 규정한 가축이 유기농장의 건전화에 기여하는 이유로 거리가 먼 것은?
99. 일반적으로 코덱스(Codex) 또는 CAC로 불리는 국제식품규격이원회의 기능이 아닌 것은?
100. 유기가공식품 세부표시기준에 맞지 않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