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재배원론
1. 배추밭 100m2에 질소 10kg을 40 : 50 비율로 2회 나누어 요소 엽면시비하려 한다. 1회째 요소비료 소요량은? (단, 요소비료의 화학식은(NH2)2CO이다.)
2. 감자의 가을재배에서 휴면을 타파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물생장조절제는?
3. C3형 식물의 광합성 암반응 중 최초로 생성되는 탄소고정 산물은?
4. 가뭄해에 대한 밭의 재배 대책이 될 수 있는 것은?
5.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형태적 특성이 아닌 것은?
6. 식물생장조절제 중 제초제로 제일 먼저 이용되었던 다년생 작물에 속하는 것은?
7. 도복지수를 계산하는데 적용되는 인자가 아닌 것은?
8. 대전법(代田法)은 어떤 작부방식에 해당 되는가?
9. 어린모 기계이앙 재배에서 다음 중 가장 중요한 벼 품종의 특성은?
10. 내염성이 강하여 새로 조성한 간척지의 토양에 적응성이 높은 작물은?
11. 피자식물의 종자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2. 작물의 수확 후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3. 다음 설명하는 미량원소는?
14. 다년생 작물에 속하는 것은?
15. 일장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6. 비료를 뿌린 위에 흙을 넣어 종자가 비료에 직접 닿지 않게 하는 작업은?
17. 방사성 동위원소가 방출하는 방사선 중 가장 현저한 생물적 효과를 가져 주로 이용되는 것은?
18. 작물생육에 알맞은 토양의 고상 분포 비율로 가장 적합한 것은?
19. 육묘에 이용되는 상토의 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20. 육묘 중 상토의 EC가 높아졌을 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과목: 토양비옥도 및 관리
21. 토양내 유기물이 산화상태에서 분해되었을 때 최종적으로 발생하는 물질로 구성된 것은?
22. 간척지토양의 염분성분인 나트륨(Na)을 제거하는데 다음 중 효과적인 재료는?
23. 토양을 조사하고 분류할 때 기본적으로 토양의 단면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이 대 조사해야 할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4. 토양 공극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25. 토양의 지온 상승 시 나타나는 효과와 가장 관련이 높은 것은?
26. 토양에서 토양수분이 이동할 때 불포화이동(unsaturated flow)이란?
27. 암석을 산성암, 중성암, 염기성암으로 분류하는데, 암석 중 어떤 화학성분의 함량(%)에 의해 구별하는가?
28.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3%이고, 그 토양의 탄질률이 10이라면 토양 중 질소의 함량은? (단, 토양 유기물 중 C함량은 58%)
29. 질소비료를 중에는 석회물질과 혼용(混用)할 때, 암모니아 휘산작용(揮散作用)에 의하여 질소비료가 손실되므로 혼용하지 않아야 하는 비종이 있다. 석회물질과 혼용하여도 문제가 없는 비종은?
30. 토양미생물인 세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1. 염화암모늄 같은 강산염의 NH4+이온을 첨가 시 토양의 단위 치환용량에 대한 NH4+ 흡착량이 가장 큰 것은?
32. 수식(water erosion)에 의한 토양침식 방지작물로서 가장 효과적인 것은?
33. 토양수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나열된 것은?
34. 토양의 용적밀도가 0.65g/cm3이고, 입자밀도가 2.6g/cm3인 경우의 토양공극률은?
35. 토양의 유효토심의 제한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36. 습윤 한랭지방에서 유기물이 쌓이므로 해서 산성반응을 나타내어 표층토는 규산의 함량이 적다. 이와 같은 규산광물의 분해되는 산성가수분해인데 그 주요생성물은 무엇인가?
37. 토양교질물을 양이온교환용량(CEC)이 많은 순서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38. 인산질 비료의 비효도 증진방안으로 틀린 것은?
39. 최근 경작지 토양의 양분불균형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양분불균형을 초래하게 된 원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40. 부식의 주요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3과목: 유기농업개론
41. 채소를 연작하면 많이 발생하는 토양전염병은?
42. 동물이 누려야할 복지로 거리가 먼 것은?
43. 논토양의 개량방법으로 틀린 것은?
44. 퇴비의 검사방법 중 생물학적 검사방법이 아닌 것은?
45. 작물 재배 시 토양 피복의 효과가 아닌 것은?
46. 유기농산물 생산을 위한 전환기간 기준으로 옳은 것은?
47. 유기농산물 생산에 있어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하여 사용하는 자재로 부적합 것은?
48. 벼 유기생산에서 병충해 발생과 제어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9. 종합양분관리(INM, Integrated Nutrient Management)가 추구하는 목표가 아닌 것은?
50. 우리나라 원예의 경영적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51. 농림수산식품부(농림부)에 유기농업의 확대보급을 위하여 유기농업발전기획단을 설치한 시기는?
52.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벼를 재배하려면 먼저 잡초의 밀도를 줄여 나가야 한다. 잡초발생을 감소시키는 재배요인이 아닌 것은?
53. 시설원예지 토양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
54. 잡종강세를 이용한 F1종자가 보급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점이 아닌 것은?
55. 토양비옥도 유지증진 수단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56. 유기축산에서 가축에게 급여할 사일리지를 제조할 때 가장 적당한 재료의 수분함량은?
57. 화학합성 농약으로 병해충을 제거할 수 없는 3대 문제점(3R)이 아닌 것은?
58. 벼 유기재배에서 병해충 방제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9. 우리나라 논에서 잡초 군락의 천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0.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보건기구(WHO) 합동식품규격사업단에서 설립하였으며 유기농산물을 비롯한 유기식품의 생산과 가공, 저장, 운송, 판매 등에 관한 국제기준을 정하는 곳은?
4과목: 유기식품 가공.유통론
61. 유기식품 유통시에 지켜야 할 상항으로 틀린 것은?
62. 포도주스의 제조와 관계없는 공정은?
63. 마케팅 믹스전략의 4가지 요소가 아닌 것은?
64. 분유를 제조할 대 주로 사용되는 건조 방법은?
65. 포장 재료의 유리의 단점이 아닌 것은?
66. 농산물이 포장되어 있는 필름(film)의 적절한 투과성에 의해 포장 내부의 가스조성이 적절하고 유지되어 농산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67. D값이 121℃에서 2분인 세포포자의 수를 103으로부터 100으로 감소시킬 때의 F값은?
68. 다음 중 진공포장에 적장한 식품은?
69. 식품 중 대장균군 검사 결과 MPN 값이 50이 나왔다면 검체 100㎖ 중에 존재하는 대장균의 수는 몇 개인가?
70. 제면 시 첨가하는 소금의 주요 역할이 아닌 것은?
71. 식중독과 그 예방법이 옳게 연결된 것은?
72. 유통비용 중 직접비용이 아닌 것은?
73. 유기가공식품에서 허용되지 않는 가공방법은?
74. 곰팡이가 생산하는 신경독 물질은?
75. HACCP의 7원칙이 아닌 것은?
76. 유기식품(organic food)의 정의로 맞는 것은?
77. 우유의 저온살균 방법은?
78. 농산물 유통의 특성이 아닌 것은?
79. 유기식품 유통기구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
80. 미생물의 가열 치사 기간을 10배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가열 온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은?
5과목: 유기농업관련 규정
81. 유기식품의 생산 ㆍ 가공 ㆍ 표시 ㆍ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 의한 유전자 조작/변형기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82. 친환경농산물 인증심사 과정에서 재배포장 토양검사용 시료채취 방법으로 옳은 것은?
83. 유기식품의 생산 ㆍ 가공 ㆍ 표시 ㆍ 유통에 관한 Codex가이드라인의 유기생산 원칙 중 병충해의 관리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4. 친환경농산물 인증품이 인증기준에 맞지 않는 원인이 인증기관의 고의로 인하여 발생한 경우 2차위반시 인증기관에 내릴 수 있는 행정처분은?
85. 유기축산물의 인증기준에서 경영관련 자료로 1년 이상 보관하여야 하는 자료가 아닌 것은?
86. 유기가공식품의 인증신청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87. 유기가공식품의 인증기준에 따라 유기식품의 제조 ㆍ 가공과정에서 유기적 순수성을 유지하기 위한 유기적 취급방법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88. 유기농림산물 인증기준의 유기농산물의 품질관리에 관한 사항 중 잔류농약에 관련 사항으로 틀린 것은? (단, 농약잔류가 허용되는 경우는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고시한 농산물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의 10분의 1 이하이다.)
89. 유기가공식품 제조시 응고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된 가공보조제로만 나열된 것은?
90. 친환경농산물 인증심사, 판정 및 재심사의 절차와 방법으로 틀린 것은?
91. 유기식품의 생산 ㆍ 가공 ㆍ 표시 ㆍ 유통에 관한 코덱스 가이드라인 에서 유기농법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있는 제품은 유기농법으로 전환 하는 과정에 있는 제품은 유기농법을 사용하여야 생산하기 시작한 후 어느 정도의 기간이 지나야 “유기로 전환중”이라는 표시를 할 수 있는가?
92.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 운영지침에 따른 유기가공식품 세부표시기준에서 유기농산물의 함량에 따른 표시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원재료의 함량은 최종 제품에 남아 있는 원재료의 량으로 한다.)
93. 미국의 유기농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94. 유기가공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허용된 취급물질 중 첨가물이 아닌 가공보조제로만 사용되는 물질은?
95. 친환경농산물의 표시에 대한 규정으로 틀린 것은?
96. 친환경농산물 표시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7. 친환경농업육성법 제17조의5의 부정행위의 금지 등 규정에 위반하여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되는 자가 아닌 것은?
98. 유기가공식품의 인증기준에서 유기가공에 사용할 수 있는 가공원료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99. 유기가공식품 생산 및 취급 시 사용이 가능한 유기적 취급 물질로서 탄산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00. 유기식품의 가공 ㆍ 생산 ㆍ 표시 ㆍ 유통에 관한 코덱스가이드라인에서 허용하는 유기축산 사일리지 첨가제와 가공보조제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