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재배원론
1. 식물에 대한 옥신의 기능이 아닌 것은?
2. 파종 후 토양 전면에 살포하는 제초제로만 나열된 것은?
3. 다음 중 종자의 수명이 가장 짧은 작물은?
4. 내습성이 가장 약한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5. 단위 면적당 작물의 수량을 최대로 올릴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조건은?
6. 냉해의 작용기구가 아닌 것은?
7. 다음 화학식은 식물에서 어떤 생리작용을 나타낸 것인가?
8. 육묘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9. 식물 잎의 노화와 낙엽을 촉진하는 물질은?
10. 식물체 내의 수분퍼텐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1. 일장효과에 가장 효과적인 광은?
12. 유축농업(有畜農業) 또는 혼합농업과 비슷한 뜻이며, 식량과 사료를 서로 균형있게 생산하는 재배형식은?
13. 방목초지를 조성할 때 몇 가지 목초류 종자를 섞어서 뿌리는 혼파를 하게 되면 여러 가지 이점이 있는데, 다음 중에서 혼파의 이점과 거리가 먼 것은?
14. 딸기의 육묘재배시 어린모정(자묘) 생산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5. 작부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6. 토양미생물의 여러 가지 활동 중에서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활동은?
17. 식물체에서 옥신의 기능을 옳게 설명한 것은?
18. 대기오염물질 중 빗물의 산도를 낮추지 않는 것은?
19. 침관수해를 입은 논에서 청고(靑枯)현상이 나타나는 조건은?
20. 벼의 생육단계에 따른 물 관리에서 관개심도를 가장 깊게 해야 하는 시기는?
2과목: 토양비옥도 및 관리
21. 토양에 사용한 인산비료의 흡수율은 질소비료에 비하여 매우 낮은데 그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22. 토양관리에서는 토양입단율 향상에 목적을 두는 것이 좋다. 다음 중 입단화에 유리한 조건이 아닌 것은?
23. 시설원예지 토양은 인산과 각종 염기들이 과량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들 토양을 개량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4. 유기물의 집적이 가장 잘 이루어 질수 있는 토양은?
25. 토층의 분화에 의한 토양단면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26. 토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7. 공중질소를 고정하는 균류로 독립생활을 하는 혐기성 단독질소고정균의 속명은?
28. C/N 비의 크기 순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29. 토양의 결정성광물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30. 화강암의 주요광물은 장석 > 운모 > 휘석 > 각섬석 > 석영의 순으로 풍화된다. 풍화되어 주로 점토분을 만드는 광물은?
31. 질소흡수는 저해되지 않으나 칼륨성분은 저해가 많이 일어나는 논토양의 유형은?
32. 입자밀도(particle density)와 용적밀도(bulk density)가 각각 2.0g/cm3, 1.5g/cm3 인 토양이 지닐 수 있는 포화수분 함량은?
33. 토양생성에 관여하는 주요 5가지 요인으로만 나열된 것은?
34. 토양수분 증발의 억제수단이 아닌 것은?
35. 탈질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6. 최근에 부숙 돈분뇨 액비화 과정과 토양시용에서 그 함량이 높아 문제가 되었던 중금속은?
37. 단독으로 질소를 고정하는 미생물이 아닌 것은?
38. 퇴적 양식으로 구분할 때 우리나라 논토양은 대부분 어디에 해당하는가?
39. 형태론적 토양분류체계에서 주로 화산분출에 의해 형성된 화산회토양을 의미하는 토양목은?
40. 양분의 시비효율이 낮으면 발생하는 문제가 아닌 것은?
3과목: 유기농업개론
41. 염류집적이 심한 시설원예지에서 적극적인 염류제거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42. 유작의 기능이 아닌 것은?
43. 벼가 병충해에 저항성을 가지려면 건실하게 자라야 한다. 다음 중 벼가 건실하게 자라는데 가장 유리한 조건은?
44. 친환경농업과 가장 거리가 먼 용어는?
45. 유기재배 사과밭에 발생한 응애를 제어하려 할 때 사용할 친환경자재로 가장 적합한 것은?
46. 녹비작물로 적합하지 않은 작물은?
47. 유기성 폐자원으로 다음 중 칼리질(K2O5) 성분이 가장 높은 것은?
48. 유기농업의 방향 방안으로 거리가 먼 것은?
49. 유기농업의 발생 배경으로 거리가 먼 것은?
50. 다음 유기물 자원 중 C/N율이 가장 낮은 것은?
51. 국내에서 생산되는 사료작물 중 월동 사료작물이 아닌 것은?
52. 이상적인 유기축산의 육종방향이 아닌 것은?
53. 혼작의 장점이 아닌 것은?
54. 제초에 의존하지 않고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5. 특정한 물질을 분비하여 주위 식물의 발아와 생육을 억제시키는 작물은?
56. 태양열을 이용한 하우스 밀폐처리로는 방제효과를 얻기 어려운 병해충은?
57. 화학합성농약의 과다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아닌 것은?
58. 토양미생물의 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9. 유기 수도작에서 고품질 품종 중 조생종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60. 착유용, 큰소비육 후기용, 비육돈 출하용, 육계 출하용 유기배합사료에 검출되지 않아야 하는 것은?
4과목: 유기식품 가공.유통론
61. 농산물 유통 시 고려해야 하는 특성이 아닌 것은?
62. 면류 제조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63. 포장이 적절하지 못한 식품을 동결하여 저장할 경우 식품표면에 발생하는 냉동해와 관련 있는 물리 현상은?
64. 고체식품 원료로부터 유용한 성분을 추출 하고자 할 때 입자를 잘게 절단하는 이유는?
65. 원가의 3요소가 아닌 것은?
66. 다음 중 살균력이 가장 강한 자외선 파장 범위는?
67. 황변미 독소를 생산할 수 있는 곰팡이로 짝지어진 것은?
68. 생유(원유)는 원래 무균임에도 살균공정이 필요한 이유가 아닌 것은?
69. dry sausag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0. 진공포장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1. 친환경농업육성법상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72. 다음 중 유기농 100% 표시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단, 국내 식품의 경우를 말한다.)
73. 유기식품 포장재로 부적합한 것은?
74. 유기식품 생산에 허용되지 않는 자재는?
75. 시료액을 100배 희석하여 그 중 0.1mL를 표준형판배지에 분주하였더니 230개의 집락이 형성된 경우 시료액 1mL당 세균 수는?
76. 냉장 시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77. 물적 유통기능 효율 중 공급이 일시적으로 집중되고 수요는 연중 평준화되어 있는 특성을 해소함으로써 발생하는 효용은?
78. 천연첨가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9. 신선편이 농산식품의 갈변방지를 위한 처리방법이 아닌 것은?
80. 화학적 식중독에 관련된 연결이 틀린 것은?
5과목: 유기농업관련 규정
81. 국내에서 생산된 식품으로 유기가공식품 표시를 할 수 있는 경우는?
82. 유기가공품으로 인증을 받은 자가 우수식품 표시방법을 위반하였을 경우 행정처분기준은? (단, 최근 1년간 위반에 한한다.)
83.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에 따른 재포장 과정의 인증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4. 유기식품의 생산 · 가공 · 표시 ·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정하고 있는 가축의 축사 및 방목 조건으로 옳은 것은?
85. 유기식품의 생산 · 가공 · 표시 ·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의 유기생산 원칙 중 가축의 영양 측면에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86. 유기식품의 생산 · 가공 · 표시 ·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가축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사일리지 첨가제와 가공보조제가 아닌 것은?
87. 유기가공식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8. 유기식품의 생산 · 가공 · 표시 ·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이 규정한 농산물들 수입하여 유통 하고자 하는 수입국이 요구할 수 있는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89. 친환경농업육성법에 따라 농림수산식품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농업지원의 보전 및 농업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농업자원 및 농업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해당 항목이 아닌 것은?
90. IFOM 이란?
91.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험규칙에 의한 농림산물의 인증심사 시 재배포장의 토양 시료 채취에서 논토양의 시료 채취는 지표면으로부터 몇 센티미터 깊이까지의 흙을 채취하여야 하는가?
92. 유기가공식품 생산에 있어서 꼭 필요한 재료이나 유기원료를 상업적으로 조달할 수 없는 경우, 제품에서 물과 소금을 제외한 중량비율은 얼마만큼 비유기 원료를 혼합할 수 있는가?
93. 친환경농자재의 사용기준에 따라 유기농산물의 생산을 위해 사용이 가능한 자재가 아닌 것은? (단, 추출용매는 제외)
94.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의 유기축산물 인증기준에서 동물복지 및 질병관리상 생산물의 품질향상과 전통적인 생산방법의 유지를 위하여 허용되는 것은?
95. 식품산업진흥법 시행령에 따라 유기가공식품으로 인증을 받은 식품에 대한 적합성 조사 등 사후관리는 어느 기관으로 위임되어 실시되는가?
96. 유기농산물과 무농약농산물 인증기준의 구비요건에서 공통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97. 친환경농산물의 인증품이 인증기준에 맞지 않는 원인이 인증기관의 고의에 의한 것으로 최근 1년간 2회 위반 시 인증기관에 내려질 수 있는 행정처분은?
98. 유기가공식품인증제도 운영 지침에서 규정한 “사업자”에 해당하는 내용은?
99.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코덱스가이드라인에서 규정한 유기농산물 생산 시 식품 병해충 방제용 자재 중 인증기관 또는 위임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물질은?
100.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코덱스가이드라인에서 정한 가축 및 가축제품의 일반원칙에서 가축이 유기농장의 건전화에 크게 기여하는 이유로 거리가 먼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