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재배원론
1. 화학적⋅생리적으로 염기성 비료에 속하는 것은?
2. 감자의 위축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3. 파이토크롬(phytochrome)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관리가 편리하고 통풍, 통광이 양호하나 결과(結果)수가 적어지는 결점이 있는 정지법은?
5. 논의 담수관개 효과로 거리가 먼 것은?
6. 종자가 발아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간을 종자의 수명이라 한다. 다음 중 벼, 보리, 밀이 속하는 것은?
7. 토양이 과습할 때 생성되는 황화수소(H2S)에 의한 호흡억제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8. 목초의 하고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 인공상토의 구성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0. 기체성 식물호르몬인 것은?
11. 작물의 내적 균형 지표로 활용할 수 없는 것은?
12. 담수표면직파에서 종자에 과산화석회를 분의하여 파종하는 가장 큰 목적은?
13. 식물체의 정아우세현상을 발현하는 식물호르몬은?
14. 두류에서 도복의 위험이 가장 큰 시기는?
15. 작물의 내동성 중대요인이 아닌 것은?
16. 벼의 여러 가지 기상 생태형 중에서 저위도 지대에 분포하는 품종의 생태형은?
17. 벼 도정시 정곡환산율은 중량과 용량으로 각각 몇 %인가?
18. 학자와 관련 업적이 서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
19. 버널리제이션(春化處理)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 맥류 재배에서 바람에 의한 도복방지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2과목: 토양비옥도 및 관리
21. 토양의 경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2. 논 토양의 질산(NO3-)이 환원층에서는 주로 어떻게 변화하는가?
23. 토양의 양이온 치환용량이 20cmolc/kg이고 Ca의 포화도가 40%라 한다. 이 토양 100g 중에 함유된 치 환성 Ca은 몇 mg인가? (단, Ca 1meq은 20mg 이다.)
24.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5. 다음 중 질소질 비료인 요소(urea)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26. 유기물의 분해와 부식의 생성은 온도와 습기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다음 중 유기물의 집적이 가장 많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은?
27. 다음의 석회물질 100g을 토양에 처리하였을 때 토양이 산성 중화력이 가장 큰 것은?(단, 석회물질의 입경크기는 모두 같은 것으로 한다.)
28. 공극을 포함한 토양 시료의 전체 부피는 500 cm3이고, 말리기 전 물을 포함한 무게는 850g 이며 건조 후의 무게는 700g 이었다. 이 토양 시료의 공극 부피가 250cm3 이면 용적밀도는 얼마인가?
29. 토양의 소성지수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30. 토양 부식이 음전하를 띄는 것은 주로 어떤 성분 때문인가?
31. 부식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2. 토양의 구조를 분류하는 특성이 아닌 것은?
33. 다음 중 화성암이며, 우리나라 토양의 주요 모재가 되는 암석은?
34. 강우시 강우량이 침투량(Infiltration)보다 많을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만 연결된 것은?
35. 탄질율(C/N ratio)과 부식화의 관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36. 미생물의 에너지원과 영양원으로 작용하는 물질로 구성된 것은?
37. 다음 중 Polynov의 풍화이론에 따른 암석풍화생성 물의 가동률(可動率)이 가장 낮은 원소는?
38. 암모늄태 질소를 아질산태 질소로 산화시키는데 주로 관여하는 세균은?
39. 토양의 입자밀도와 용적밀도로 알 수 있는 토양의 성질은?
40. 다음 중 식물체의 구성성분에 있어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가장 어려운 것은?
3과목: 유기농업개론
41. 다음 중 유기농업에서 토양비옥도 유지⋅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42. 과수원에 피복작물을 재배하고자 할 때 고려할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3. 유기농 수도작에서 고품질 품종 중 중생종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44. 친환경농업육성법에 따른 유기축산물의 인증기준으로 틀린 것은?
45. 잡종강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6. Codex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 및 유통에 관한 가이드라인에서 비반추 가축은 건물을 기준으로 유기농 사료를 몇 % 이상 먹고 자라야 유기축산이라고 하는가?
47. 유기농산물 생산을 위한 병충해 방제법 중 경종적 제어방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48.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 7가지 원칙 중 제 7원칙의 기록유지방법(Record-keeping procedur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9. 볍씨의 친환경 종자소독법인 온탕소독법을 설명한 것이다. 다음 중 고온장해가 적고 소독효과가 가장 높은 것은?
50. 녹비작물로 헤어리베치를 재배하는 경우 헤어리베치의 생초 2000kg에 함유되어 있는 질소량은 몇 kg인가? (단, 헤어리베치의 수분함량 85%, 건초의 질소함량 4%를 기준으로 계산)
51. 유기농업에서 토양양분 보존을 이룰 수 있는 작부 체계기술로 볼 수 없는 것은?
52. 친환경농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53. 다음 중 타감작용이 가장 큰 작물은?
54. 지력(地力)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5. 유기농업을 위한 품종 선택시 가장 부적합한 것은?
56. 시설원예 토양의 염류과잉집적에 의한 작물의 생육장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57. 친환경농업육성법에 따른 친환경농업 육성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8. 시설내 토양의 특성이 아닌 것은?
59. 염류농도 장해의 가시적 증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60. 볍씨 가리기는 대개 소금물을 이용하여 비중을 보게된다. 메벼의 경우 소금물(비중 1.13)을 만드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4과목: 유기식품 가공.유통론
61. 무균충전 시스템과의 조합으로 상온 저장⋅유통이 가능하며, 고추장, 된장, 과일, 어육소시지, 어묵 등의 가공과 냉동식품의 해동에 응용이 가능한 살균방법은?
62. 미생물의 살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3. 과일이나 채소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저장 방법중 가스 치환포장방법은 공기를 주로 어떤 성분으로 바꾸어 포장하는가?
64. 가공식품에서 제외되는 단순처리에 해당하는 것은?
65. 농산물의 유통환경 중 거시환경에 해당하는 것은?
66. 비타민 C라고 불리며, 산소와 접촉하면 쉽게 산화되어 효력을 잃는 것은?
67. 발효식품 제조를 위한 코오지(koji) 곰팡이는 어느 효소들의 역가가 가장 좋아야 하는가?
68. 농산물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피해를 물리적 피해와 경제적 피해로 구분할 때 물리적 피해가 아닌 것은?
69. 우유 부패균에 의한 변색이 잘못 연결된 것은?
70. 유기합성농약은 일체 사용하지 않고 재배하며 화학비료는 권장시비량의 1/3 이내를 사용하여 재배하는 농산물은?
71. 농산물 전자상거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2. 한외여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3. 코덱스(Codex)의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지침'에 의한 유기생산 체계의 목적이 아닌 것은?
74. 식품 변질의 원인으로서 생물학적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변질은?
75. 100℃에서 D값이 2분인 미생물을 100℃에서 10분간 처리한 후 미생물 수를 측정한 결과 생존균수는 102이었다. 같은 온도에서 6분 처리할 경우 예상되는 생존균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6. 어떤 농산물의 단위당 유통단계별 가격이 농가수취가격 100원, 위탁상가격 200원, 도매가격 400원, 소비자가격 600원이라 한다면, 도매단계 마진율은?
77. 두부제조 원리에 해당하는 설명으로 맞는 것은?
78. 식품의 원료 관리, 제조, 가공, 조리 및 유통의 모든 과정에서 위해한 물질이 식품에 혼입되거나 식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과정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기준을 무엇이라 하는가?
79. 청국장 제조에 사용하는 natto균에 해당하는 것은?
80. 선물거래가 가능한 농산물의 조건이 아닌 것은?
5과목: 유기농업관련 규정
81. 식품산업진흥법에 따른 유기가공식품 인증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82.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규정한 유기생산의 원칙이 아닌 것은?
83.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에 의한 유기농림산물의 인증기준에서 재배방법의 구비조건 중 병해충 및 잡초의 방제⋅조절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84.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농산물계 제품의 조제에 사용할 수 있는 가공보조제와 사용조건이 틀린 것은?
85. 친환경농업육성법 제17조의 2 제1항 전단의 규정에 의한 인증기관으로 지정을 받지 아니하고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행한 자에 대한 벌칙에 해당하는 것은?
86.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상 고기제품 생산용 면양⋅산양의 전환기간은?
87.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유기식품 생산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식물병충해 방제용 자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88.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규정하고 있는 유기농림산물의 인증기준에 관한 사항 중 생산물의 품질관리 등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89. 인증신청자가 심사결과에 대한 이의가 있을시 당해 인증심사를 실시한 기관에 재심사를 신청하고자 할때 부적합통지를 받은지 며칠이내에 제출해야 하는가?
90. 친환경농업육성법의 규정에 의한 인증기관의 지정기준 중 인증업무규정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것은?
91. 친환경농산물 인증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유기농림산물의 구비요건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단,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을 적용한다.)
92. 다음 ( )안에 해당하지 않는 자는?
93.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규정한 유기식품의 저장과 운송방법으로써 적절하지 못한 것은?
94. 식품산업진흥법 시행규칙상 식품첨가물로 사용시 허용되는 유기적 취급 물질이 아닌 것은?
95. 다음 [보기]의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령상 과태료의 부과기준에 해당되는 것은?
96. 유기농산물 함량에 따른 표시기준(농림수산식부 장관 고시)에 따라 식품 주 표시면에는 표시할 수 없으나, 다른 표시면에 “유기” 라는 용어만을 표시할 수 있는 유기농산물 함량 기준은?
97. 친환경농업육성법의 농자재공시등의 유효기간은 농자재공시등을 받은 날로부터 몇 년으로 하는가?
98. 식품산업진흥법 시행규칙으로 유기가공식품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물과 소금을 제외한 제품 중량의 몇퍼센트(%)이상이 유기인증농산물 또는 식품 이어야 하는가?
99.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정한 유기식품의 식물 병해충 방제용 물질 중 인증기관 또는 위임기관의 승인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것은?
100. 유기식품의 생산⋅가공⋅표시⋅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분뇨관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석회, 인산, 규산질 비료는 염기성임. 따라서 인산질비료인 용성인비가 염기성 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