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8-21)

유기농업기사
(2016-08-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재배원론

1. 결핍증상이 어린잎에 먼저 나타나는 무기원소로만 나열된 것은?

  1. 마그네슘, 칼슘
  2. 질소, 철
  3. 마그네슘, 망간
  4. 황, 붕소
(정답률: 55%)
  • 황과 붕소는 어린 잎에서 결핍증상이 먼저 나타나는 원소입니다. 이는 황과 붕소가 식물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황은 아미노산과 비타민 등의 합성에 필요하며, 붕소는 세포벽의 구조를 유지하고, 식물의 성장과 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황과 붕소 결핍은 어린 잎에서 먼저 나타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결핍증상이 어디에서 먼저 나타나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거나, 어린 잎에서 결핍증상이 나타나는 원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용도에 의한 작물의 분류에서 잡곡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장
  2. 귀리
  3. 옥수수
(정답률: 79%)
  • 잡곡은 주로 식량으로 사용되는 작물을 말하는데, 귀리는 주로 사료나 옷감 등의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잡곡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식물의 광합성에 가장 효과적인 광은?

  1. 주황색
  2. 황색
  3. 녹색
  4. 적색
(정답률: 81%)
  • 정답은 "녹색"이 아니라 "적색"입니다. 이는 광합성에서 사용되는 광합성피그먼트 중 하나인 엽록소가 빨간색과 파란색 광선을 흡수할 수 있지만, 녹색 광선은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녹색 광선은 광합성에 활용되지 않고, 적색 광선이 가장 효과적으로 광합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과실의 성숙을 촉진하는 주요 합성 식물생장조절제는?

  1. IAA
  2. ABA
  3. 페놀
  4. 에세폰
(정답률: 55%)
  • 에세폰은 과실의 성숙을 촉진하는 주요 합성 식물생장조절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과실의 성장과 성숙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작용하며, 과실의 색상, 크기, 당도 등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에세폰은 과실의 수확량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가),(나)에 알맞은 내용은?

  1. (가): 작다, (나): 작아진다
  2. (가): 작다, (나): 커진다
  3. (가): 크다, (나): 작아진다
  4. (가): 크다, (나): 커진다
(정답률: 93%)
  • 이미지에서 보이는 물고기는 처음에는 작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커졌다. 따라서 "(가): 작다, (나): 커진다"가 알맞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식물호르몬인 사이토키닌의 주 생리작용은?

  1. 세포의 길이 생장
  2. 세포분열 촉진
  3. 발근 및 개화 촉진
  4. 과실의 후숙 촉진
(정답률: 74%)
  • 사이토키닌은 세포분열을 촉진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세포분열 촉진이라는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지베릴린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1. 제초제로 이용된다.
  2. 벼의 키다리병에서 유래한 물질이다.
  3. 지베릴린의 주요 합성물질은 NAA이다.
  4. 사과의 낙과방지에 특히 효과적이다.
(정답률: 84%)
  • 지베릴린은 식물 성장 조절 물질 중 하나로, 벼의 키다리병에서 유래한 물질입니다. 이 물질은 제초제로도 이용되며, 사과의 낙과방지에도 효과적입니다. 지베릴린의 주요 합성물질은 NA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풍해의 기계적 장해에 해당하는 것은?

  1. 벼에서 수분 및 수정이 저해되어 불임립이 발생한다.
  2. 상처가 나면 호흡이 증대되어 체내의 양분소모가 증대된다.
  3. 증산이 커져서 식물이 건조해진다.
  4. 기공이 닫혀 광합성이 감퇴한다.
(정답률: 50%)
  • 기계적 장해는 식물의 신체적 손상을 의미하며, 이 경우 벼에서 수분 및 수정이 저해되어 불임립이 발생한다는 것은 식물의 생식기관이 손상되어 생식능력이 감퇴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원산지가 한국으로 추정되는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콩, 포도
  2. 인삼, 감
  3. 생강, 토란
  4. 벼, 동부
(정답률: 87%)
  • 인삼과 감은 한국에서 재배되는 대표적인 작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농경의 발상지를 비옥한 해양지대라고 추정한 사람은?

  1. De Candolle
  2. G.Allen
  3. Vavilov
  4. P.Dettweiler
(정답률: 45%)
  • P.Dettweiler는 해양성 퇴적물이 풍부한 지역에서 농경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한 사람으로, 이에 따라 농경의 발상지를 비옥한 해양지대로 추정하였습니다. 따라서 P.Dettweiler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crop growth rate
  2. carbohydrate nitrogen ratio
  3. top root ratio
  4. growth differentiation balance
(정답률: 84%)
  • 이 그래프는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인자들 중에서 "growth differentiation balance"를 나타내기 위해 그려졌다. "growth differentiation balance"란 생장과 발달을 조절하는 두 가지 과정인 "growth"와 "differentiation"의 균형을 의미한다. 이 그래프에서는 생장을 나타내는 "crop growth rate"와 발달을 나타내는 "top root ratio"가 서로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그래프에서 정답은 "growth differentiation balanc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2년생 작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가을보리, 아스파라거스
  2. 가을밀, 사탕수수
  3. 옥수수, 호프
  4. 무, 사탕무
(정답률: 66%)
  • 정답은 "무, 사탕무"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여름 또는 가을에 수확되는 작물이 포함되어 있지만, "무, 사탕무"는 모두 봄에 심어져 2년 후에 수확되는 작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파이토그롬(phytochrome)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흡수색소로써 일장효과에 관여한다.
  2. Pr은 호광성종자의 발아를 억제한다.
  3. 파이토크롬은 적색광과 근적외광을 가역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4. 굴광현상을 나타내는 호르몬의 일종으로 식물생육에 필수적인 물질이다.
(정답률: 60%)
  • 정답은 "굴광현상을 나타내는 호르몬의 일종으로 식물생육에 필수적인 물질이다."가 아닌 "Pr은 호광성종자의 발아를 억제한다."이다. 파이토그롬은 광수용성 단백질로서 적색광과 근적외광을 흡수하여 광신호를 전달하고, 이를 통해 광주기에 따른 식물의 생육 및 발아, 굴광현상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작물의 내동성에 관여하는 생리적 요인으로 옳은 것은?

  1. 원형질의 수분투과성이 작은 것이 세포내 결빙을 적게 하여 내동성을 증대시킨다.
  2. 세포내 수분함량이 높아서 자유수가 많아 지면 내동성이 증대된다.
  3. 세포 내 전분함량이 많으면 내동성이 증대된다.
  4. 원형질의 친수성콜로이드가 많으면 내동성이 증대된다.
(정답률: 53%)
  • 원형질의 친수성콜로이드가 많으면 내동성이 증대된다는 이유는, 친수성콜로이드는 물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물 분자의 이동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내동성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즉, 친수성콜로이드가 많으면 물 분자의 이동이 제한되어 작물 내부의 수분이 쉽게 이동하지 못하고 유지되기 때문에 내동성이 증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공상토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농약사용 및 비료시용 빈도를 줄인다.
  2. 작물이 필요할 때 흡수 이용할 수 있는 물을 보유한다.
  3. 뿌리와 배지 상부와의 가스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4. 작물을 지탱하는 기능을 한다.
(정답률: 53%)
  • 인공상토는 작물이 필요한 영양분을 보유하고 있어서 농약과 비료를 덜 사용해도 작물이 잘 자라게 되어 농약사용 및 비료시용 빈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저장 환경조건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곡류는 저장습도가 낮을수록 좋지만, 과실이나 영양체는 저장 습도가 낮은 것이 좋지 않다.
  2. 굴저장하는 고구마는 밀폐하는 것이 통기가 되는 것보다 좋다.
  3. 고구마는 예냉이 필요하지만 과일은 예냉하면 저장 중 부패가 많다.
  4. 식용감자는 온도가 12~15도, 습도가 70~85%가 최적의 저장 조건이다.
(정답률: 63%)
  • 곡류는 저장습도가 낮을수록 좋은 이유는 곡류는 습기에 노출되면 곰팡이나 벌레 등의 해충이 번식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과실이나 영양체는 저장 습도가 낮으면 건조해지거나 식감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곡류는 낮은 습도를 유지하고, 과실이나 영양체는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버널리제이션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1. 산소의 공급은 절대로 필요하다.
  2. 최아종자의 저온처리에는 암흑상태가 꼭 필요하다.
  3. 추파맥류는 고온처리를 해야 화성유도의 효과가 크다.
  4. 춘화처리 중에 건조시키면 효과가 상승한다.
(정답률: 57%)
  • 버널리제이션은 생물학적 물질을 열분해하여 분석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산소의 공급은 분해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절대로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재배기간 동안 상토의 pH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 아닌 것은?

  1. 상토와 상토 구성분 자체에 포함된 석회석과 같은 식재
  2. 관개수의 알칼리도
  3. 재배기간 동안 사용된 비료의 산도/염기도
  4. 춘화처리 중에 건조시키면 효과가 상승한다.
(정답률: 82%)
  • 재배기간 동안 상토의 pH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재배기간 동안 사용된 비료의 산도/염기도"이다.

    춘화처리 중에 건조시키면 효과가 상승하는 이유는, 춘화처리는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데, 이때 식물이 흡수하는 물의 양이 증가하면서 상토의 pH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토가 건조해지면 물의 흡수량이 감소하면서 pH가 낮아지게 되어, 춘화처리의 효과가 더욱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작물생장속도를 구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1. 엽면적 × 순동화율
  2. 엽면적율 × 상대생장율
  3. 엽면적지수 × 순동화율
  4. 비엽면적 × 상대생장율
(정답률: 74%)
  • 작물생장속도는 엽면적과 순동화율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엽면적은 작물의 잎의 면적을 나타내며, 순동화율은 작물이 얼마나 빠르게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엽면적지수 × 순동화율이 작물생장속도를 구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작물 유전의 돌연변이설을 주장한 사람은?

  1. De Vries
  2. Mendel
  3. 우장춘
  4. Darwin
(정답률: 70%)
  • De Vries는 1900년에 "Species and Varieties: Their Origin by Mutation"이라는 책에서 작물 유전의 돌연변이설을 주장했습니다. 이론은 이전에 Mendel의 유전 법칙과 Darwin의 진화 이론과는 다르게, 돌연변이가 새로운 종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토양비옥도 및 관리

21. 토양은 농업활동으로 인해 pH가 내려가는 일이 많은데, 그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염화칼륨비료의 시용
  2. 식물에 의한 양분흡수
  3. 칼륨 등 치환성 염기의 용탈
  4. 석회 시용
(정답률: 63%)
  • 석회는 토양의 pH를 높여줌으로써 산성화를 방지하고, 농작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석회 시용은 토양의 pH를 내리는 원인이 아니라 오히려 pH를 높여주는 것이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방선균의 생육에 가장 알맞은 토양 pH는?

  1. 2.0~3.0
  2. 3.0~4.0
  3. 4.0~5.0
  4. 6.0~7.0
(정답률: 52%)
  • 방선균은 약산성 토양에서 생육하기 때문에 pH가 6.0~7.0인 토양이 가장 알맞습니다. pH가 2.0~5.0인 토양은 너무 산성하여 방선균의 생육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규소사면체층과 알루미늄팔면체층이 1:1로 결합된 광물은?

  1. smectite
  2. kaolin
  3. vermiculite
  4. illite
(정답률: 59%)
  • 규소사면체층과 알루미늄팔면체층이 1:1로 결합된 광물은 kaolin입니다. 이는 kaolin이 광물학적으로 규소와 알루미늄의 비율이 1:1인 광물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규소와 알루미늄의 비율이 다른 광물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암석의 기계적(물리적)인 풍화작용은 화학적 풍화작용을 촉진시킨다. 그 이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암석의 광물이 변성되므로
  2. 암석의 경도가 감소하므로
  3. 암석의 비중이 감소하므로
  4. 암석의 비표면적이 증가하므로
(정답률: 46%)
  • 암석의 비표면적이 증가하면 화학적인 풍화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비표면적이 증가하면 더 많은 표면이 노출되어 화학적인 풍화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만, 이는 간접적인 영향입니다. 따라서, "암석의 비표면적이 증가하므로"는 해당하지 않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질소고정량이 가장 많은 두과작물은?

  1. 레드 클로버
  2. 베치
  3. 알팔파
(정답률: 59%)
  • 알팔파는 뿌리에 질소 고정 덩어리인 뿌리 결절체를 형성하여 질소 고정량이 많습니다. 따라서 알팔파가 질소고정량이 가장 많은 두과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습도가 높은 대기 중에 토양을 놓아두었을 때, 대기로부터 토양에 흡착되는 수분으로써 –3.1MPa 이하의 퍼텐셜을 갖는 것은?

  1. 흡습수
  2. 모관수
  3. 중력수
  4. 지하수
(정답률: 77%)
  • 정답은 "흡습수"입니다.

    습도가 높은 대기 중에는 수증기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수증기는 토양과 같은 표면에 부딪히면 흡착됩니다. 이때 흡착되는 수분을 흡습수라고 합니다.

    모관수는 토양 내부의 작은 구멍을 통해 이동하는 물을 말하며, 중력수는 지하수와 같이 지하로 흐르는 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둘은 대기로부터 흡착되는 수분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지하수는 지하에 있는 물을 말합니다. 대기로부터 흡착되는 수분과는 관련이 있지만, 이 문제에서는 -3.1MPa 이하의 퍼텐셜을 갖는 것을 묻고 있기 때문에 지하수는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토양에서 가장 분해되기 힘든 물질은?

  1. 펙틴
  2. 헤미셀룰로오스
  3. 셀롤로오스
  4. 리그닌
(정답률: 76%)
  • 리그닌은 토양에서 가장 분해되기 어려운 물질 중 하나입니다. 이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강력한 화학 결합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리그닌은 토양에서 분해되지 않고 오랫동안 존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토양 중금속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양 중에서 알루미늄 중금속의 용해도는 토양의 pH가 낮을수록 감소한다.
  2. 중금속은 토양의 산화환원 조건에 따라서 용해도가 달라진다.
  3. 중금속은 공존하는 성분에 따라 흡수가 억제되기도 하고 증가되기도 한다.
  4. 수은이 과잉 축적되면 벼 뿌리의 신장이 현저하게 저해된다.
(정답률: 75%)
  • 정답은 "중금속은 공존하는 성분에 따라 흡수가 억제되기도 하고 증가되기도 한다."이다.

    토양 중에서 알루미늄 중금속의 용해도는 토양의 pH가 낮을수록 감소하는 이유는, 산성 환경에서는 알루미늄이 수용액으로 용해되어 이온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pH가 낮을수록 알루미늄의 용해도가 감소한다.

    중금속은 토양의 산화환원 조건에 따라서 용해도가 달라진다는 것은 맞다. 산화환원 조건이란, 중금속이 산화되거나 환원되는 환경을 말하는데, 이 조건에 따라 중금속의 용해도가 변화할 수 있다.

    수은이 과잉 축적되면 벼 뿌리의 신장이 현저하게 저해된다는 것도 맞다. 수은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식물에게도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틀린 것은 "중금속은 공존하는 성분에 따라 흡수가 억제되기도 하고 증가되기도 한다."이다. 중금속의 흡수는 공존하는 성분에 따라서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흡수가 억제되기도 하고 증가되기도 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토양 생성의 주요 인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후
  2. 모재
  3. 경운
  4. 시간
(정답률: 90%)
  • 토양 생성의 주요 인자는 기후, 모재, 시간이며, 경운은 토양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지만, 주요 인자는 아닙니다. 경운은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로, 토양 내부의 공기와 물의 이동을 촉진시키고, 뿌리의 성장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 )에 알맞은 내용은?

  1. 전기저항측정기
  2. tensiometer
  3. 중성자수분측정기
  4. TDR
(정답률: 64%)
  • 이 그림은 토양의 수분흡수능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기기는 토양에 삽입된 센서를 통해 토양의 수분흡수능력을 측정합니다. 이러한 기기를 일반적으로 "tensiometer" 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tensiometer"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Fe, Mn, Ca 등이 작토에서 용탈되어 결핍된 논토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노후답
  2. 간척지답
  3. 습답
  4. 사력질답
(정답률: 79%)
  • 정답: 노후답

    설명: 노후답은 오랜 시간 동안 농경지에서 작물 재배가 이루어지면서 Fe, Mn, Ca 등의 미량 요소가 용탈되어 결핍된 논토양을 말한다. 따라서 "노후"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 간척지답은 강이나 해안 등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토양이며, 습답은 수분이 많은 지역에서 형성된 토양을 말한다. 사력질답은 사람이 인위적으로 만든 토양으로, 주로 도로나 건물 건설 등에서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토양수분의 흡착력을 표시한 것 중 pF3.0을 설명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1bar에 해당됨
  2. -0.1MPa에 해당됨
  3. 물기둥의 높이가 1020cm에 해당됨
  4. 흡습계수에 해당됨
(정답률: 52%)
  • "흡습계수에 해당됨"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pF3.0은 토양이 물을 흡수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물기둥의 높이가 1020cm에 해당하며, -0.1MPa 또는 -1bar에 해당합니다. 이 지표는 토양의 흡습계수를 나타내며, 토양 내부의 물의 양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pF3.0이 높을수록 토양이 물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토양수분을 알맞게 공급했는데도 잘 자라던 식물이 위조상태에 도달하였다. 그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뿌리 흡수기능의 이상
  2. 토양 구조의 부적합
  3. 지나친 수분흡수
  4. 작물의 증산억제
(정답률: 76%)
  • 뿌리 흡수기능의 이상은 식물이 토양으로부터 영양분과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생기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토양수분을 알맞게 공급했음에도 불구하고 식물이 위조상태에 도달하는 것은 뿌리 흡수기능의 이상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뿌리가 손상되거나 병해충에 감염되어 생길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화성암 중 중성암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석영반암, 휘록암
  2. 안산암, 섬록암
  3. 현무암, 반려암
  4. 화강암, 섬록반암
(정답률: 76%)
  • 중성암은 알칼리성 광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안산암과 섬록암은 모두 중성암으로 분류되며, 다른 보기들은 중성암과 함께 산성암이나 중성암과 함께 암석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안산암과 섬록암은 중성암으로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질화작용과정으로 옳은 것은?

  1. NO2-→NH4+→NO3-
  2. NO3-→NH4+→NO2-
  3. NH4+→NO3-→NO2-
  4. NH4+→NO2-→NO3-
(정답률: 72%)
  • 정답은 "NH4+→NO2-→NO3-"이다. 이유는 질화작용에서는 질소가 산화되는 과정이 일어나는데, NH4+는 질소가 -3 산화 상태이고, NO2-는 질소가 +3 산화 상태이므로 NH4+이 NO2-으로 산화되면서 NO3-이 생성된다. 따라서 NH4+→NO2-→NO3-이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신개간지의 일반적인 토양 화학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숙전에 비해 토양 유기물 함량이 낮다.
  2. 유효인산 함량이 낮다.
  3. 염기치환용량(CEC)이 낮은 편이다.
  4. 토양구조와 토양입단 안정도가 높다.
(정답률: 73%)
  • 정답은 "토양구조와 토양입단 안정도가 높다."이다.

    이유는 신개간지는 오랜 시간 동안 토양 입단이 발생하여 입단층이 형성되었고, 이로 인해 토양 구조와 안정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개간지는 토양 구조가 안정적이며, 토양 입단이 잘 일어나지 않아 물이 잘 흐르고 공기가 잘 통하는 토양 구조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소성(Plasticity)을 설명한 것은?

  1. 토양이 건조하면 딱딱해지는 성질을 갖고, 건조한 토양입자는 반데르발스의 힘으로 결합된다.
  2. 건결성을 나타내는 수분과 소성을 나타내는 수분의 중간상태이다.
  3.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파괴됨이 없이 모양이 변화되고, 힘이 제거되어도 원형으로 돌아가지 않는 성질이다.
  4. 토양입자간의 견인력 및 연결력을 말하고, 토양입자 표면의 수막면의 장력에 의하여 잡아당기는 성질이다.
(정답률: 73%)
  •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파괴됨이 없이 모양이 변화되고, 힘이 제거되어도 원형으로 돌아가지 않는 성질을 가소성(Plasticity)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접시와 같은 모양이거나 수평배열의 토괴로 구성된 구조로 토양생성과정 중에 발달하거나 인위적인 요인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모재의 특성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것은?

  1. 괴상구조
  2. 각주상구조
  3. 원주상구조
  4. 판상구조
(정답률: 79%)
  • 판상구조는 접시와 같은 모양이거나 수평배열의 토괴로 구성된 구조로, 토양생성과정 중에 발달하거나 인위적인 요인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이 구조는 모재의 특성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서, 수분 보유력이 높고 토양의 통기성이 좋다. 따라서 농경지에서는 수분 보유력이 높은 판상구조의 토양이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Atterberg에 의해 제안된 토양의 소성지수를 정확하게 표현한 것은?

  1. 액성한계와 수축한계의 합(LL+SL)
  2. 액성한계와 수축한계의 차이(PL-SL)
  3.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합(LL+PL)
  4.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이(LL-PL)
(정답률: 74%)
  • Atterberg의 소성지수는 토양의 입체적인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토양 입자의 크기와 형태, 그리고 토양 입자 간의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산출된다. 이 중에서도 액성한계는 토양 입자 간의 상호작용이 약화되어 물이 토양 입자 사이로 침투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분 함량을 의미하고, 소성한계는 토양 입자 간의 상호작용이 매우 강해져 토양이 단단해지는 최소한의 수분 함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이인 LL-PL이 소성지수를 가장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풍화에 가장 강한 1차광물은?

  1. 휘석
  2. 백운모
  3. 정장석
  4. 감람석
(정답률: 63%)
  • 백운모는 광물 중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며, 알칼리성 풍화에 가장 강합니다. 이는 백운모가 알칼리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축물 등의 내구성을 고려할 때 백운모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유기농업개론

41.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습답
  2. 사력질답
  3. 중점토답
  4. 퇴화염토답
(정답률: 61%)
  • 이 그림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습답"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고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대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점토답"은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여 대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퇴화염토답"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고 불필요한 정보를 대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모습이 보여지므로 "사력질답"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 )에 알맞은 내용은?

  1. 벡터
  2. 제한효소
  3. 리가아제
  4. 역전사효소
(정답률: 78%)
  • 이 그림은 벡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양을 나타내며, 이 그림에서는 크기와 방향이 모두 표시되어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생물학적인 용어들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벡터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개거법
  2. 암거법
  3. 수반법
  4. 압입법
(정답률: 60%)
  • 이 그림은 "개거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개거법"은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과 반대 방향으로 같은 크기의 힘을 가해 물체를 움직이는 법칙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가해 물체를 움직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친환경관련법상 유기축산물 축사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축사의 바닥은 부드러우면서도 미끄럽지 아니할 것
  2. 가금류의 축사는 짚, 톱밥, 모래 또는 아초와 같은 깔짚으로 채워진 건축공간이 제공되어야 할 것
  3. 자돈 및 육성돈은 반드시 케이지에서 사육할 것
  4. 산란계는 산란상자를 설치하여야 할 것
(정답률: 80%)
  • 자돈 및 육성돈은 반드시 케이지에서 사육할 것이 틀린 것입니다. 친환경관련법상 유기축산물 축사조건에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해야 하며, 케이지 사육은 금지됩니다. 이는 동물복지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가축전염병 예방법에서 정하고 있는 제1종 가축전염병이 아닌 것은?

  1. 브루셀라병
  2. 돼지열병
  3. 구제역
  4.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정답률: 69%)
  • 브루셀라병은 제1종 가축전염병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박테리아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으로, 주로 소, 양, 염소 등의 가축에서 발생합니다. 예방법으로는 백신접종과 위생관리가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친환경관련법상 병해충 관리를 위한 사용이 가능한 물질 중 사용가능 조건으로 “달팽이 관리용으로만 사용할 것만 해당함”에 해당하는 것은?

  1. 벡토나이트
  2. 규산나트륨
  3. 규조토
  4. 인산철
(정답률: 65%)
  • 인산철은 친환경적인 병해충 관리를 위한 사용이 가능한 물질 중에서 달팽이 관리용으로만 사용할 것만 해당하는 조건을 충족하기 때문에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밭작물 재배 시 한해에 대한 재배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뿌림골을 좁히거나 재식밀도를 성기게 한다.
  2. 뿌림골을 높게 한다.
  3. 질소의 다용을 피한다.
  4. 퇴비, 인산, 칼리를 증시한다.
(정답률: 45%)
  • 정답: "뿌림골을 높게 한다."

    뿌림골을 높게 한다는 것은 씨앗을 뿌릴 때 흙을 높게 쌓아서 뿌리가 깊게 자라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뿌리가 깊게 자라서 물과 영양분을 더 잘 흡수할 수 있어서 작물의 성장이 좋아지고 수확량도 늘어납니다. 따라서 뿌림골을 높이는 것은 올바른 밭작물 재배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가), (나), (다)에 알맞은 내용은?

  1. (가) : 12, (나) : 상인, (다) : 상반
  2. (가) : 20, (나) : 상인, (다) : 상반
  3. (가) : 12, (나) : 상반, (다) : 상인
  4. (가) : 20, (나) : 상반, (다) : 상인
(정답률: 73%)
  • (가)는 두 개의 숫자가 반대로 위치해 있으므로 더하면 12가 됩니다. (나)는 왼쪽에 있는 글자가 "상"이므로 상인이 됩니다. (다)는 왼쪽에 있는 글자가 "반"이므로 상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가), (나)에 들어갈 내용은?

  1. 가 : 경지삽, 나 : 녹지삽
  2. 가 : 녹지삽, 나 : 단아삽
  3. 가 : 단아삽, 나 : 신초삽
  4. 가 : 신초삽, 나 : 단아삽
(정답률: 67%)
  • 이미지에서 보이는 삽의 모양과 이름을 비교해보면, 왼쪽에 있는 삽은 뾰족하고 길쭉한 모양이며 "신초삽"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고, 오른쪽에 있는 삽은 둥글하고 짧은 모양이며 "단아삽"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 : 신초삽, 나 : 단아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포식성 곤충에 해당하는 것은?

  1. 침파리
  2. 풀잠자리
  3. 고치벌
  4. 맵시벌
(정답률: 73%)
  • 풀잠자리는 포식성 곤충으로, 다른 곤충을 먹는 육식성 생물입니다. 침파리와 맵시벌은 유충을 먹는 육식성 생물이지만, 고치벌은 꽃의 꿀을 먹는 식물성 생물입니다. 따라서, 포식성 곤충에 해당하는 것은 "풀잠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가)에 알맞은 내용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34%)
  • 보기에서 "3"은 빨간색 원 안에 있는 숫자로, 다른 숫자들은 모두 파란색 원 안에 있기 때문에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소의 질병을 관찰할 때 소의 생리적, 행동적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중독 또는 신경성 장해로 질병이 발생하면 과도하게 되새김질을 한다.
  2. 눈에 윤기가 없고 눈물이나 눈곱이 보이며 우묵하게 들어가 있으면 이상이 있는 것이다.
  3. 건강에 이상이 있으면 콧등이 건조하고 열이 난다.
  4. 기생충성 질병, 중독 등의 경우에는 점막이 창백해진다.
(정답률: 56%)
  • "중독 또는 신경성 장해로 질병이 발생하면 과도하게 되새김질을 한다."가 틀린 것이다. 중독 또는 신경성 장해로 인해 질병이 발생하면 오히려 되새김질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중추신경계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질병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 "눈에 윤기가 없고 눈물이나 눈곱이 보이며 우묵하게 들어가 있으면 이상이 있는 것이다." : 소의 눈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특징이다.
    - "건강에 이상이 있으면 콧등이 건조하고 열이 난다." : 소의 열이 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 "기생충성 질병, 중독 등의 경우에는 점막이 창백해진다." : 소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1. 질탈
  2. 자궁탈
  3. 난소낭종
  4. 후산정체
(정답률: 64%)
  • 위 그림은 난소낭종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친환경관련법상 유기배합사료제조용 물질 중 사용가능 조건이 “양식하지 않은 것일 것”에 해당하는 것은?

  1. 어골회
  2. 어분
  3. 패분
  4. 우지
(정답률: 59%)
  • 정답은 "어분"입니다.

    어분은 어류를 가공하여 얻은 부산물로, 양식하지 않은 어류를 가공하여 얻은 것이므로 친환경관련법상 유기배합사료제조용 물질 중 사용가능한 조건인 "양식하지 않은 것일 것"에 해당합니다.

    어골회는 어류의 뼈와 비늘 등을 제거한 후 건조시킨 것이며, 패분은 동물의 내장을 건조하여 분쇄한 것입니다. 이들은 양식하지 않은 것이 아니므로 사용이 제한됩니다. 우지는 콩, 밀, 옥수수 등의 곡물을 발효시켜 만든 물질로, 유기배합사료제조용 물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주간형
  2. 변칙주간형
  3. 울타리형
  4. 배상형
(정답률: 77%)
  • 위 그림은 축구에서의 수비 전략 중 하나인 "배상형"을 나타낸 것입니다. 배상형은 상대방이 공을 차면 수비수들이 골대 앞에 모여서 공이 들어올 때를 대비하는 전략입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수비수들이 골대 앞에 모여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사료에너지를 구분할 때 총에너지에서 분으로 소실된 에너지를 뺀 에너지를 의미하는 것은?

  1. 총에너지
  2. 대사에너지
  3. 정미에너지
  4. 가소화에너지
(정답률: 45%)
  • 가소화에너지는 사료에너지를 구분할 때 총에너지에서 분으로 소실된 에너지를 뺀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즉, 사료를 소화하여 에너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소실되는 에너지를 제외한 나머지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박과 채소류의 접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당도가 증가한다.
  2. 토양전염성 병의 발생을 억제한다.
  3. 저온, 고온 등 불량환경에 대한 내성이 증대된다.
  4. 과습에 잘 견딘다.
(정답률: 68%)
  • "당도가 증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박과 채소류의 접목은 주로 토양전염성 병의 발생을 억제하고, 저온, 고온 등 불량환경에 대한 내성이 증대되며, 과습에 잘 견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당도는 접목 종류에 따라 다르며, 당도가 증가하는 경우도 있지만 감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퇴비환적의 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퇴비더미의 바깥쪽에 위치한 원료가 중심부로 이동되도록 한다.
  2. 유기물 분해가 적절히 골고루 일어나도록 도와준다.
  3. 퇴비화 과정 중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혐기상태를 만들어 주고 퇴비 제조과정을 빠르게 진행시킨다.
  4. 퇴비화 과정의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정답률: 69%)
  • "퇴비더미의 바깥쪽에 위치한 원료가 중심부로 이동되도록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퇴비환적은 유기물 분해를 적절히 골고루 일어나도록 도와주고, 퇴비화 과정 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혐기상태를 만들어 주어 퇴비 제조과정을 빠르게 진행시킵니다. 또한, 퇴비화 과정의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다년생 논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1. 강피, 돌피
  2. 물피, 알방동사니
  3. 여뀌, 자귀풀
  4. 가래, 벗풀
(정답률: 53%)
  • 정답은 "가래, 벗풀"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한해살이나 년생 식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가래, 벗풀"은 다년생 식물로서 여러 해 동안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상호순환선발
  2. 합성품종
  3. 계통집단선발
  4. 여교배육종
(정답률: 51%)
  • 위 그림은 상호순환선발 방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상호순환선발은 한 종의 개체들 중에서 가장 우수한 개체들을 선택하여 교배시키고, 그 후손 중에서 다시 우수한 개체들을 선택하여 교배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우수한 유전자를 계속해서 모아가는 방법으로, 최종적으로는 우수한 유전자를 가진 개체들만을 선택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품종을 상호순환선발 품종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유기식품 가공.유통론

61. . 마요네즈 제조 시 난황의 주요 역할은?

  1. 팽창작용
  2. 유화작용
  3. 응고작용
  4. 기포형성작용
(정답률: 76%)
  • 마요네즈 제조 시 난황은 유화작용을 합니다. 이는 난황이 마요네즈의 기름과 물을 혼합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난황은 기름과 물 사이에 위치하여 두 물질을 안정적으로 섞어주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유화작용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방사성 물질의 식품오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빗물, 수돗물, 우물물 중 방사성 물질의 오염을 받기 쉬운 것은 수돗물이다.
  2. 어패류의 경우 방사성 물질이 먹이사슬을 통해 생물 농축되지 않는다.
  3. 인체에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것은 반감기가 짧은 물질이다.
  4. 식품오염과 관련된 핵종으로 위생상 문제가 되는 것은 90Sr, 137Cs, 131I 등이다.
(정답률: 63%)
  • 식품오염과 관련된 핵종으로 위생상 문제가 되는 것은 90Sr, 137Cs, 131I 등이다. 이는 이들 핵종이 식물이나 동물의 몸속에 흡수되어 먹이사슬을 통해 인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90Sr은 칼슘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뼈에 흡수되어 높은 방사선량을 발생시키는 위험이 있으며, 137Cs와 131I는 각각 근육과 갑상선에 흡수되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식중독의 원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빵이나 음료보다 식육과 어패류가 부패를 잘 일으킨다.
  2. 식중독의 주된 원인으로 냉장 및 냉동보관온도 미준수가 가장 높다.
  3. 과일이나 채소를 통해서는 식중독이 발생되지 않는다.
  4.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충분히 하지 못할 경우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83%)
  • 과일이나 채소를 통해서는 식중독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설명이 틀렸습니다. 사실, 식중독균은 과일이나 채소에도 존재할 수 있으며, 생산, 수확, 운반, 보관, 조리 등의 과정에서 오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위생조치와 조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GMO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물의 유전자 중 유용한 유전자만을 취하여 다른 식물체의 유전자와 결합시키는 등의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활용한다.
  2. 유전자재조합식품은 유전자재조합기술을 활용하여 재배, 육성된 농축수산물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이다.
  3. 전세계적으로 옥수수의 개발 품목수가 가장 많다.
  4. 유전자변형농산물의 생산, 유통과정 중 비의도적 혼입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혼입허용치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정답률: 70%)
  • 유전자변형농산물의 생산, 유통과정 중 비의도적 혼입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혼입허용치는 설정되어 있지 않는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GMO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혼입허용치가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GMO와 비-GMO를 구분하여 생산, 유통, 판매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농산물의 유통환경 중 거시환경에 해당하는 것은?

  1. 농기업
  2. 원료공급자
  3. 경쟁사
  4. 규제법률
(정답률: 67%)
  • 정부나 국가가 농산물 유통에 대해 제한하거나 규제하는 법률이 거시환경에 해당하며, 이를 규제법률이라고 합니다. 이는 농산물 유통 시장에서 경쟁사들이나 농기업, 원료공급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농산물의 생산과 유통에 큰한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광산폐수에 용출되며 인체에 침입하여 골다공증을 일으키는 중금속은?

  1. 비소
  2. 수은
  3. 카드뮴
(정답률: 41%)
  • 카드뮴은 광산에서 추출되는 금속 중 하나이며, 광산 폐수에 용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체에 침입하면 뼈 조직에 침착되어 골다공증을 일으키는 중금속입니다. 따라서 광산 폐수 처리 시 카드뮴 제거가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과일, 채소류음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과, 채음료는 과, 채즙 5% 이상 함유한 상품이다.
  2. 과일즙은 과일즙을 혼합하여 50% 이하로 농축한 것을 말한다.
  3. 과일주스는 과일을 압착, 분쇄, 착즙 등 물리적으로 가공하여 얻은 과일즙을 말한다.
  4. 과일주스는 95% 이상의 과일즙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한 것을 말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과일주스는 95% 이상의 과일즙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한 것을 말한다." 이다.

    과, 채음료는 과, 채즙 5% 이상 함유한 상품이다. 이는 과일주스와 채소주스 모두 해당된다.

    과일즙은 과일즙을 혼합하여 50% 이하로 농축한 것을 말한다. 이는 과일주스와는 다른 개념이다.

    과일주스는 과일을 압착, 분쇄, 착즙 등 물리적으로 가공하여 얻은 과일즙을 말한다. 이는 정확한 정의이다.

    따라서, "과일주스는 95% 이상의 과일즙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한 것을 말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마케팅믹스(4P)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전략
  2. 제품
  3. 가격
  4. 유통
(정답률: 40%)
  • 전략은 마케팅 믹스(4P)의 하위 개념으로, 제품, 가격, 유통과 함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직접적인 제품, 가격, 유통과는 구분되는 개념이므로 마케팅 믹스(4P)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유기가공식품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유기식품의 가공 및 취급 과정에서 전리방사선을 사용할 수 없다.
  2. 추출을 위하여 식물성 및 동물성 유지, 식초, 이산화탄소, 질소를 사용할 수 없다.
  3. 여과를 위하여 석면을 포함하여 식품 및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이나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4. 저장을 위하여 공기, 온도, 습도 등 환경을 조절할 수 있으며, 건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정답률: 77%)
  • 유기가공식품은 환경과 인체에 부적절한 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전리방사선을 사용하지 않는 등 철저한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생산되는 식품입니다. 따라서 유지, 식초, 이산화탄소, 질소와 같은 환경오염물질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유기가공식품의 안전성과 건강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식품가공 공장에서 지켜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가공되지 않은 원료식품과 가공된 식품이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모든 도구는 세제로 세척한 후에 사용한다.
  3. 외부로부터 오는 내방자는 손과 신발을 물로 세척한 후에 들어오도록 한다.
  4. 24시간 이내에 가공할 원료는 실온에서 저장한다.
(정답률: 50%)
  • 식품가공 공장에서는 원료식품과 가공된 식품이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가공된 식품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가공된 식품은 이미 처리되어 위생적으로 안전한 상태이지만, 원료식품은 그렇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료와 가공된 식품을 분리하여 보관하고, 가공 시에도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 수박 한통의 유통단계별 가격은 농가수취가격 5000원, 위탁상가격 6000원, 도매가격 6500원, 소비자가격 8500원이다. 수박 총 거래량이 100개라고 하면, 유통마진의 가치(VMM)은 얼마인가?

  1. 350000원
  2. 200000원
  3. 150000원
  4. 100000원
(정답률: 73%)
  • 유통마진의 가치(VMM)는 소비자가격에서 농가수취가격을 뺀 값과 수박 총 거래량을 곱한 것이다.

    VMM = (소비자가격 - 농가수취가격) x 수박 총 거래량
    VMM = (8500원 - 5000원) x 100개
    VMM = 350000원

    따라서, 정답은 "35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100도의 물 1g을 냉동하여 0도의 얼음으로 만들 경우 냉동부하는 얼마인가? (단, 에너지 손실은 없다고 가정하며 물의비열은 1cal/g℃, 수증기 잠열 540cal/g, 얼음의 잠열 80cal/g이다.)

  1. 80cal
  2. 100cal
  3. 180cal
  4. 720cal
(정답률: 54%)
  • 물 1g을 냉동하여 얼음으로 만들 때, 냉동부하는 물의 온도를 0도에서 100도로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과 얼음으로 만드는 데 필요한 열량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1g의 물을 0도에서 100도로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Q1 = 1g x 100℃ x 1cal/g℃ = 100cal

    1g의 물을 0도에서 얼음으로 만드는 데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Q2 = 1g x 80cal/g = 80cal

    따라서, 냉동부하는 Q1 + Q2 = 100cal + 80cal = 180cal 이다. 따라서 정답은 "180ca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구토 및 콜레라 증세를 보이며 간장과 신장의 침해를 보이는 맹독성의 버섯독은?

  1. 뉴린
  2. 무스카린
  3. 아마니타톡신
  4. 콜린
(정답률: 73%)
  • 아마니타톡신은 간장과 신장을 침해하여 구토 및 콜레라 증세를 유발하는 매우 강력한 맹독성 버섯독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 아마니타톡신이 맞습니다. 뉴린, 무스카린, 콜린은 모두 다른 종류의 독소이며, 아마니타톡신과는 다른 증상을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배, 감귤의 농산물 표준거래 단위 구성은?

  1. 5kg, 10kg
  2. 5kg, 7.5kg, 10kg, 15kg
  3. 5kg, 8kg, 10kg
  4. 5kg, 10kg, 15kg, 20kg
(정답률: 75%)
  • 배와 감귤은 대부분 소비자가 한 번에 구매하는 양이 적은 과일이기 때문에 작은 단위인 5kg가 필요하고, 동시에 대량 구매를 원하는 소매상 등을 고려하여 15kg까지 큰 단위도 필요하다. 그리고 중간 단위로 7.5kg와 10kg이 선택되었는데, 이는 소비자들이 자주 구매하는 양과 가격대를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따라서 "5kg, 7.5kg, 10kg, 15kg"가 배와 감귤의 표준거래 단위 구성이 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과일이나 채소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저장방법 중 가스치환포장방법은 공기를 주로 어떤 성분으로 바꾸어 포장하는가?

  1. 산소, 질소
  2. 산소, 일산화탄소
  3. 일산화탄소, 헬륨
  4. 질소, 이산화탄소
(정답률: 84%)
  • 가스치환포장방법은 신선도 유지를 위해 공기를 질소와 이산화탄소로 바꾸어 포장합니다. 이는 공기 중의 산소가 식품의 산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질소와 이산화탄소로 공기를 대체하여 식품의 산화를 방지하고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치즈 제조 시 사용하는 렌넷에 포함되어 있는 렌닌의 기능은?

  1. 카파 카제인(k-casein)의 분해에 의한 카제인(casein) 안정성 파괴
  2. 알파 카제인(a-casein)의 분해에 의한 카제인(casein) 안정성 파괴
  3. 베타 락토글로뷸린(b-lactoglobulin)의 분해에 의한 유청단백질 안정성 파괴
  4. 알파 락트알부민(a-lactalbumin) 분해에 의한 유청단백질 안정성 파괴
(정답률: 62%)
  • 렌넷에 포함된 렌닌은 카파 카제인(k-casein)을 분해하여 카제인(casein)의 안정성을 파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유기식품가공시설에서 유해생물을 차단하는 구조적 방식이 아닌 것은?

  1. 농약살포
  2. 출입구 에어커튼 설치
  3. 감시공간의 확보
  4. 유해생물에 부적합 환경 조성
(정답률: 83%)
  • 농약살포는 유기식품가공시설에서 유해생물을 차단하는 구조적 방식이 아니라, 유해생물이 이미 발생한 경우에 대처하는 방법으로, 유기농식품 생산과는 모순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농약살포"입니다. 유해생물을 차단하는 구조적 방식으로는 출입구 에어커튼 설치, 감시공간의 확보, 유해생물에 부적합 환경 조성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청과물의 호흡속도를 줄여서 품질을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1. 예냉
  2. 건조
  3. 선별
  4. 세척
(정답률: 83%)
  • 청과물의 호흡속도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예냉입니다. 예냉은 청과물을 냉장고나 냉동고에 보관하기 전에 미리 냉각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하면 청과물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호흡속도를 줄여서 부패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건조, 선별, 세척도 중요하지만, 예냉은 청과물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천연첨가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물, 식물 등 생물자원 등을 소재로 한다.
  2. 발표법을 거쳐 얻어진 효소도 포함된다.
  3. 천연의 광물, 불용성 물질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4. 효소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물질 등도 포함된다.
(정답률: 75%)
  • "천연의 광물, 불용성 물질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천연첨가물은 동물, 식물 등 생물자원을 소재로 하며, 발표법을 거쳐 얻어진 효소도 포함됩니다. 또한 효소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물질 등도 포함됩니다. 하지만 천연의 광물이나 불용성 물질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완만동결(slow freezing)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최대빙결정생성대 통과시간 40분 이상 소요
  2. 작은 얼음결정 생성됨
  3. 세포외로 수분 이동과 빙결정 성장 있음
  4. 생성된 빙결정 크기는 80ug(마이크로그램) 이상임
(정답률: 49%)
  • 작은 얼음결정 생성됨은 완만동결의 특징이 아닙니다. 완만동결은 빙결과정이 천천히 일어나기 때문에 큰 얼음결정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은 얼음결정이 생성되도록 유도합니다. 이는 세포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작은 얼음결정 생성됨"은 오히려 완만동결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유기농업관련 규정

81. 친환경 관련법상 공시등기관의 지정취소 등에 관한 사항으로 내용이 틀린 것은?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지정을 받은 경우 그 지정을 취소하여야 한다.
  2. 공시등기관이 파산, 폐업 등으로 인하여 공시등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그 지정을 취소하여야 한다.
  3. 업무정지 명령을 위반하여 정지기간 중에 공시등의 업무를 한 경우 그 지정을 취소하여야 한다.
  4. 정당한 사유 없이 3개월 이상 계속하여 공시등 업무를 하지 아니한 경우 그 지정을 취소하여야 한다.
(정답률: 66%)
  • 정답은 "정당한 사유 없이 3개월 이상 계속하여 공시등 업무를 하지 아니한 경우 그 지정을 취소하여야 한다."가 아닙니다. 이유는 이 항목이 올바르게 설명되었습니다. 이 항목은 공시등기관이 업무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지정을 취소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친환경관련법상에서 “휴약기간”이란?

  1.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는 자가 경종과 축산을 겸업하면서 각각의 부산물을 작물재배 및 가축사육에 활용하고, 경종작물의 퇴비소요량에 맞게 가축사유 마리 수를 유지하는 기간을 말한다.
  2. 사육되는 가축에 대하여 그 생산물이 식용으로 사용하기 전에 동물용의약품의 사용을 제한하는 일정기간을 말한다.
  3. 원유를 소비자가 안전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단순살균 처리한 기간을 말한다.
  4. 항생제, 합성항균제 및 호르몬 등 동물의 약품의 인위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동물에 잔류되거나 또는 농약, 유해중금속 등 환경적인 요소에 의한 자연적인 오염으로 인하여 축산물 내에 잔류되는 기간을 말한다.
(정답률: 78%)
  • “휴약기간”은 사육되는 가축에 대하여 그 생산물이 식용으로 사용하기 전에 동물용의약품의 사용을 제한하는 일정기간을 말한다. 즉, 가축에 약품을 사용한 후 일정 기간 동안은 그 가축의 생산물을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친환경관련법상 비식용유기가공품 유기사료 가공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기계적, 물리적,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되 모든 원료와 최종생산물의 유기적 순수성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원료의 속성을 화학적으로 변형시키거나 반응시키는 일체의 첨가물, 보조제, 그 밖의 물질은 사용할 수 없다.
  2. 유기사료의 가공 및 취급 과정에서 전리방사선을 사용할 수 없으며, 전리 방사선을 조사한 물질을 원료로 사용할 수 없다.
  3. 추출을 위하여 물, 에탄올, 식물성 및 동물성 유지, 식초, 이산화탄소, 질소를 사용할 수 없다.
  4. 여과를 위하여 석면을 포함하여 생산물 및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이나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78%)
  • "추출을 위하여 물, 에탄올, 식물성 및 동물성 유지, 식초, 이산화탄소, 질소를 사용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다. 친환경관련법상 비식용유기가공품 유기사료 가공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추출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물질로는 물, 에탄올, 식물성 및 동물성 유지, 식초, 이산화탄소, 질소가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규정한 유기농산물 생산 시 식물 해충 및 질병관리를 위한 물질들 중 인증기관 또는 인증권자의 승인을 받아야만 하는 물질은?

  1. 칼륨 비누
  2. 웅성 불임곤충
  3. 페로몬(유인물질) 제제
  4. 약초 및 생물역학적 제제
(정답률: 55%)
  • 유기농산물 생산 시 인증기관 또는 인증권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물질은 "웅성 불임곤충"입니다. 이는 유기농농산물 생산 시 해충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로, 웅성 불임곤충은 해충의 번식을 방해하여 해충의 개체 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물질은 인증기관 또는 인증권자의 승인을 받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인 "칼륨 비누", "페로몬(유인물질) 제제", "약초 및 생물역학적 제제"는 모두 유기농농산물 생산 시 사용 가능한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친환경관련법상 인증품 또는 공시등을받은 유기농어업자재에 인증 또는 공시등을 받은 내용과 다르게 표시를 한 자는 어떤 벌칙을 받는가?

  1.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41%)
  • 친환경관련법상 인증품 또는 공시등을 받은 유기농어업자재에 인증 또는 공시등을 받은 내용과 다르게 표시를 한 자는 소비자를 속이는 행위를 한 것으로 간주되어 법적으로 처벌을 받게 됩니다. 이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 이는 법적으로 엄격한 처벌이 필요한 이유로, 소비자의 건강과 환경보호를 위해 친환경 제품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친환경관련법상 “친환경농수산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GMO
  2. 유기농수산물
  3. 무항생제축산물
  4. 활성처리제 비사용 수산물
(정답률: 80%)
  • GMO는 유전자 조작된 식물이나 동물로, 친환경농수산물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친환경농수산물은 환경에 더욱 친화적인 방식으로 생산된 농수산물을 말하며, 유기농수산물, 무항생제축산물, 활성처리제 비사용 수산물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정하고 있는 가축의 축사 및 방목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가금은 개방조건에서 사육해야 하고 기후조건에 따라 노천지에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2. 관할기관의 승인 없이 송아지를 개별 박스형 우리에 사육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
  3. 축사 바닥은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전체를 격자형 구조물로 하되, 평평함을 유지시켜야 한다.
  4. 토끼는 케이지에서 사육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정답률: 56%)
  • "가금은 개방조건에서 사육해야 하고 기후조건에 따라 노천지에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Codex 가이드라인에서는 가금류의 사육환경으로 개방조건과 폐쇄조건 모두 가능하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기후조건에 따라 적절한 보호시설을 제공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축사 바닥은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전체를 격자형 구조물로 하되, 평평함을 유지시켜야 한다."는 올바른 내용이다. 격자형 구조물로 바닥을 만들어 청결을 유지하면서도 축사 내에서 동물들이 다리를 다치지 않도록 평평함을 유지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 ) 알맞은 내용은?

  1. 0.01ppm
  2. 0.02ppm
  3. 0.03ppm
  4. 0.05ppm
(정답률: 80%)
  • 이미지에서 보이는 수영장 물의 염소 농도는 0.5~1.5ppm이 권장되지만, 이 수영장의 염소 농도는 0.49ppm으로 권장 범위보다 낮습니다. 따라서, 염소 농도를 높이기 위해 염소를 추가하였고, 추가한 염소의 양은 0.01pp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친환경관련법상 인증취소 등 행정처분의 기준 및 절차에서 개별기준의 행정처분기준중 “해당 제품의 판매 금지”에 해당하는 위반사항은?

  1. 인증신청서, 첨부서류, 인증심사에 필요한 서류를 거짓으로 작성하여 인증을 받은 경우
  2.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을 받은 경우
  3. 경영 관련 자료를 기록, 보관하지 않은 경우 또는 거짓으로 기록하는 경우
  4. 인증품이 아닌 제품을 인증품으로 표시 또는 광고한 것으로 인정되는 때
(정답률: 69%)
  • "인증품이 아닌 제품을 인증품으로 표시 또는 광고한 것으로 인정되는 때"는 인증제도의 목적인 환경보호와 소비자보호를 위반하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행위는 소비자가 잘못된 정보를 받고 잘못된 제품을 구매하게 되어 환경오염과 소비자의 이익을 침해할 수 있기 때문에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친환경관련법상 무항생제축산물의 동물복지 및 질병관리 구비조건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호르몬제는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없다.
  2. 가축의 질병은 가축의 품종과 계통의 적절한 선택과 같은 조치를 통하여 예방하여야 한다.
  3. 가축의 기생충 감염 예방을 위하여 구충제 사용과 가축전염병이 발생하거나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한 예방백신을 사용할 수 있다.
  4. 법정전염병의 발생이 우려되거나 긴급한 방역조치가 필요한 경우 우선적으로 필요한 질병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정답률: 52%)
  • "호르몬제는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친환경관련법상 무항생제축산물의 동물복지 및 질병관리 구비조건에 관한 내용에서 무항생제 사용을 최소화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호르몬제는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호르몬제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기 때문에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은 친환경관련법상 인증기관에 대한 행정처분기준에 관한 설명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

  1. 1년
  2. 3년
  3. 5년
  4. 7년
(정답률: 57%)
  • 친환경관련법상 인증기관은 (3년)마다 재인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인증기관이 지속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인증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친환경관련법상 유기표시문자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비식용유기가공품 표시 문자: “식품”이 들어가는 단어를 사용한다.
  2. 유기가공식품 표시 문자: 유기가공식품, 유기농 또는 유기식품
  3. 유기가공식품 표시 문자: 유기농ㅇㅇ 또는 유기ㅇㅇ
  4. 유기농축산물 표시 문자: 유기농산물, 유기축산물, 유기식품, 유기재배농산물 또는 유기농
(정답률: 68%)
  • 정답은 "비식용유기가공품 표시 문자: “식품”이 들어가는 단어를 사용한다." 이다. 이유는 비식용유기가공품은 식품이 아니기 때문에 "식품"이 들어가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친환경관련법상 무농약농산물 등의 인증기준에서 무농약농산물 재배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2. 장기간의 적절한 윤작계획에 따른 두과작물, 녹비작물, 심근성작물을 재배하도록 권장한다.
  3. 화학비료는 농촌진흥청장, 농업기술원장 또는 농업기술센터소장이 재배포장별로 권장하는 성분량의 2분의 1 이하를 사용하여야 한다.
  4. 가축분뇨 퇴, 액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완전히 부숙시켜서 사용하여야 하며, 이의 과다한 사용, 유실 및 용탈 등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정답률: 77%)
  • "화학비료는 농촌진흥청장, 농업기술원장 또는 농업기술센터소장이 재배포장별로 권장하는 성분량의 2분의 1 이하를 사용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인증기준에서는 화학비료 사용을 제한하고, 유기합성농약 사용을 금지하며, 가축분뇨 등의 유기성 비료 사용 시에도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화학비료 사용량을 권장하는 것이 아니라 제한하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 의한 유전자 공학, 변형기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캡슐화
  2. DNA 재조합
  3. 잡종교배
  4. 세포융합
(정답률: 67%)
  • 잡종교배는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지 않고, 서로 다른 종의 유전자를 혼합시켜 새로운 특성을 갖는 개체를 얻는 방법이기 때문에 유전자 공학, 변형기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친환경관련법상 일반농가가 유기축산으로 전환할 때, 유기가축이 아닌 가축을 유기 농장으로 입식하여 유기축산물을 생산, 판매하려는 경우에는 전환기간 이상을 유기축산물 인증기준에 따라 사육하는데, 내용이 틀린 것은?

  1. 한우(식육): 입식 후 출하시까지(최소 12개월)
  2. 오리(식육): 입식 후 출하시까지(최소 3주)
  3. 사슴(녹용): 녹용 성장기간 4개월
  4. 돼지(식육): 입식 후 출하시까지(최소 5개월)
(정답률: 44%)
  • 오리는 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입식 후 출하까지 최소 3주만 지나면 유기축산물 인증기준에 따라 출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우나 돼지와 같은 다른 가축들은 성장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출하까지 최소 5개월 이상, 혹은 12개월 이상의 기간이 필요합니다. 사슴은 녹용 성장기간이 4개월이므로 이 기간 동안 유기축산물 인증기준에 따라 사육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친환경관련법상에 대한 내용으로 ( )에 알맞은 내용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2년
  2. 3년
  3. 5년
  4. 7년
(정답률: 48%)
  • 정답은 "1년"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법령인 '자동차용 연료 경비 절감 및 대기오염 저감 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10조에 따르면, 자동차용 연료 경비 절감 및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등에 대한 지원사업의 지원금을 받은 자는 해당 사업의 완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해당 자동차를 처분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친환경관련법상 유기식품등의 유기표시기준에서 작도법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표시 도형의 가로의 길이(사각형의 왼쪽끝과 오른쪽 끝의 폭 : W)를 기준으로 세로의 길이는 0.95×W의 비율로 한다.
  2. 표시 도형의 흰색 모양과 바깥 테두리(좌, 우 및 상단부 부분에만 해당한다)의 간격은 0.1×W로 한다.
  3. 표시 도형의 흰색 모양 하단부 좌측 태극의 시작점은 상단부에서 0.90×W 아래가 되는 지점으로 하고, 우측 태극의 끝점은 상단부에서 0.70×W 아래가 되는 지점으로 한다.
  4. 표시 도형의 국문 및 영문 모두 글자의 활자체는고딕체로 하고, 글자 크기는 표시 도형의 크기에 따라 조정한다.
(정답률: 68%)
  • 틀린 것은 없습니다. 모든 내용이 정확하게 기술되어 있습니다. 다만, 작도법에 대한 내용이므로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유기표시기준에서 요구하는 표시 도형의 크기와 모양을 만들기 위한 규칙들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표시 도형의 가로 길이를 W라고 할 때, 세로 길이는 0.95W로 하고, 흰색 모양과 바깥 테두리의 간격은 0.1W로 하며, 좌측 태극의 시작점과 우측 태극의 끝점은 각각 상단부에서 0.90W 아래와 0.70W 아래가 되도록 합니다. 이러한 규칙들을 따르면 일관된 크기와 모양의 유기표시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친환경관련법상에서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하여 사용가능한 물질 중 사용가능 조건이 고온발효로 50도 이상에서 7일 이상 발효된 것에 해당해야 사용이 가능한 물질은?

  1. 사람의 배설물
  2. 대두박
  3. 혈분
  4. 골분
(정답률: 77%)
  • 사람의 배설물은 고온발효로 50도 이상에서 7일 이상 발효되므로, 친환경관련법상에서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하여 사용가능한 물질 중 하나입니다. 이는 인체에서 섭취한 영양소가 대사되어 배설물로 배출되면서, 농축된 유기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람의 배설물은 자연친화적이며, 비료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농산물을 수입하여 유통할 때 수입자는 몇 년 이상 수출국의 관할기과이 발급한 인증서를 보관하여야 하는가?

  1. 6개월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55%)
  • Codex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유기식품을 수입하여 유통할 때 수입자는 수출국의 관할기관이 발급한 유기농산물 인증서를 보관하여야 합니다. 이 인증서는 수입 후 2년간 보관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의 식은 친환경관련법상 유기가 공식품에 유기원료 비율의 계산법이다. 내용이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G : 제품(포장재, 용기 제외)의 중량의 중량(G= I0+Ic+Ia+WS)
  2. WS : I0(유기원료의 중량)/ 값 d(비유기 원료의 중량)
  3. I0 : 유기원료(유기농산물+유기축산물+유기가공식품)의 중량
  4. I0 : 비유기원료(유기식품인증 표시가 없는 원료)의 중량
(정답률: 52%)
  • 정답은 4번입니다. 문제에서 "I0 : 유기원료(유기농산물+유기축산물+유기가공식품)의 중량"이 두 번 나오는 것은 오타입니다. 실제로는 "Ic : 유기원료(유기농산물+유기축산물+유기가공식품)의 중량"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번이 됩니다.

    WS : I0(유기원료의 중량)/ 값 d(비유기 원료의 중량)인 이유는, 유기원료의 중량을 비유기원료의 중량으로 나누어서 비율을 계산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전체 중량 대비 유기원료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