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1-26)

양장기능사
(2003-01-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다음 중 솔기(seam)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바운드 시임
  2. 슈우퍼포우즈 시임
  3. 플랫 시임
  4. 카운트 시임
(정답률: 67%)
  • 솔기(seam)의 종류 중 "카운트 시임"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른 세 가지 솔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바운드 시임(Bound seam): 두 개의 물감을 섞어서 만든 색상으로, 두 가지 색상의 경계선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솔기입니다.
    - 슈우퍼포우즈 시임(Superpose seam): 두 개의 색상을 겹쳐서 만든 솔기로, 두 색상이 서로 어우러져서 새로운 색상이 만들어지는 효과를 줍니다.
    - 플랫 시임(Flat seam): 두 개의 색상을 섞어서 만든 색상으로, 두 색상이 섞여서 새로운 색상이 만들어지지만 경계선이 명확하지 않은 솔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무릎선의 약자는?

  1. K.L
  2. E.L
  3. M.H.L
  4. S.K.L
(정답률: 89%)
  • K.L은 Knee Line의 약자로, 무릎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테일러 칼라의 슈우트를 가봉후에 재단해도 되는 것은?

  1. 소매
  2. 뒷길
  3. 앞길
  4. 안단
(정답률: 100%)
  • 테일러 칼라의 슈우트는 안감이 없는 디자인으로, 재단 후 안단 처리를 하면 마감이 불완전해지기 때문에 안단 처리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안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긴소매 블라우스를 폭 110cm 원단으로 제작할 때 필요한 치수 계산 방법은?

  1. 블라우스 길이 + 소매 길이 + 시접(10‾5)
  2. (블라우스 길이 + 소매 길이) × 2 + 시접(10‾5)
  3. (블라우스 길이 × 2) + 시접(10‾5)
  4. (블라우스 길이 × 2) + 소매길이 + 시접(10‾0)
(정답률: 43%)
  • 긴소매 블라우스를 제작할 때 필요한 치수는 블라우스의 길이와 소매의 길이, 그리고 시접이다. 이 중에서 원단의 폭은 110cm이므로, 블라우스와 소매를 만들기 위해서는 원단을 자르는 방향이 필요하다. 이때, 블라우스의 길이를 기준으로 원단을 접어서 자르면, 블라우스의 길이가 2배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블라우스 길이에 2를 곱한 후 시접을 더해주면 필요한 치수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판매가격을 요약한 것 중 옳은 것은?

  1. 총원가 = 일반 관리비+ 판매 간접비
  2. 제조 원가 = 직접 원가+ 제조 간접비+ 직접 경비
  3. 직접 원가 = 직접 재료비+ 직접 노무비+ 직접 경비
  4. 제조 간접비 = 간접 관리비+ 적정 이윤
(정답률: 45%)
  • 직접 원가는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으로, 이는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직접 원가는 이러한 직접적인 비용들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재봉틀의 고장 원인 중 윗실이 끊어질 경우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톱니에 결함이 있다.
  2. 노루발 압력에 결함이 있다.
  3. 실 안내에 결함이 있다.
  4. 보내기 기구에 결함이 있다.
(정답률: 58%)
  • 재봉틀에서 실이 움직이는 방향을 안내하는 실 안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실이 끊어져서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윗실이 끊어질 경우, 실 안내에 결함이 있다는 것이 가장 관계가 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은 표시기호의 뜻은?

  1. 줄인다.
  2. 늘린다.
  3. 접는다.
  4. 주름을 잡는다.
(정답률: 85%)
  • 그림의 표시기호는 "접는다."를 뜻합니다. 이유는 화살표가 두 개의 선을 가로지르면서 선을 접는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줄인다."나 "늘린다."와 같은 뜻은 아닙니다. "주름을 잡는다."도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레이딩(grading)이란?

  1. 디자인 종류를 부분별로 구별하는 작업이다.
  2. 재단 작업에서 봉제 작업으로 이동하는 작업이다.
  3. 상품화, 불량품을 분리하는 작업이다.
  4. 사이즈별 치수를 조절하는 작업이다.
(정답률: 81%)
  • 그레이딩은 제품의 사이즈별 치수를 조절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사이즈별 치수를 조절하는 작업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인체의 체표를 구분할 때 경부와 체간부의 경계선이 되는 것은?

  1. 목 둘레선
  2. 진동 둘레선
  3. 허리 둘레선
  4. 엉덩이 둘레선
(정답률: 54%)
  • 인체의 체표를 구분할 때 경부와 체간부의 경계선은 목 둘레선이 된다. 이는 인체의 상하부를 구분하는 가장 자연스러운 경계선이기 때문이다. 머리와 몸통을 이어주는 목은 인체의 중심축 역할을 하며, 목 둘레선을 기준으로 상체와 하체를 나누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림질할 때 부위를 특히 늘여서 정리하는 곳이 아닌것은?

  1. 슬랙스 밑위
  2. 슬랙스 밑아래
  3. 소매앞 팔꿈치 부분
  4. 어깨 부분
(정답률: 49%)
  • 다림질할 때 어깨 부분은 이미 옷걸이에 걸어서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히 늘여서 정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북을 사용하지 않고 루퍼를 사용하는 재봉기로 실땀의 신축성이 높아 편성물이나 수영복, 스포츠웨어에 많이 사용되는 재봉기는?

  1. 안전봉
  2. 이중환봉
  3. 단환봉
  4. 주변감침봉
(정답률: 70%)
  • 이중환봉은 루퍼를 사용하지 않고 실땀의 신축성을 높여 편성물이나 수영복, 스포츠웨어 등에 많이 사용되는 재봉기입니다. 이중환봉은 두 개의 실을 사용하여 봉제를 하기 때문에 신축성이 높아지며, 봉제한 부분이 더욱 튼튼해집니다. 따라서 이중환봉은 신축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스포츠웨어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바늘이 단을 접은 속으로 들어감으로 실땀이 겉쪽에서나 안쪽에서 잘 보이지 않는 바느질 법은?

  1. 팔자뜨기
  2. 새발뜨기
  3. 공그르기
  4. 보통 감치기
(정답률: 95%)
  • 공그르기는 바늘을 단에 꽂은 후, 바늘을 단 안쪽으로 굽혀서 실을 끌어올리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실땀이 겉쪽에서나 안쪽에서 잘 보이지 않아 바느질이 깔끔하게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바느질을 할 때 실땀이 보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면 공그르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타이트스커트 150㎝ 나비의 옷감 소요량은?

  1. 스커트 길이 × 2
  2. (스커트 길이 × 2)+시접(6-8㎝ )
  3. 스커트 길이 +시접(6-8㎝ )
  4. 스커트 길이 +시접(15-20㎝ )
(정답률: 40%)
  • 타이트스커트는 몸에 딱 맞게 입는 옷으로, 허리와 엉덩이, 무릎, 종아리 부분까지 딱 맞게 떨어지는 길이로 제작됩니다. 따라서 스커트 길이에 시접을 더해주면 나비의 옷감 소요량이 나오게 됩니다. 시접은 보통 6-8㎝ 정도로 제작되며, 이를 더해주면 타이트스커트의 총 길이가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커트 길이 +시접(6-8㎝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소매원형의 그림 X 부위의 명칭은?

  1. B.A.H
  2. F.A.H
  3. S.C.H
  4. S.B.L
(정답률: 96%)
  • 이 그림은 사람의 머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X 부위는 머리의 뒷부분인 후두부에 해당합니다. "S.C.H"는 후두부의 하나의 부위인 성대상처의 약어로, 이 부위는 음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B.A.H"와 "F.A.H"는 둘 다 후두부의 부위이지만, 각각 성문과 성대상처를 나타내는 것으로, X 부위와는 다릅니다. "S.B.L"은 후두부의 하나의 부위인 성대 아래쪽의 무릎 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X 부위와는 다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S.C.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뒤허리와 엉덩이가 처진 체형에서 뒤 허리 밑에 옆으로 주름이 생길 때 스커트의 보정법은?

  1. 앞,뒤의 스커트 폭과 다아트 넓이를 줄인다.
  2. 엉덩이 둘레선 위쪽에서 품을 넓히고 다아트를 같은 분량 넓혀준다.
  3. 뒤허리 둘레의 중앙 부분을 더 파주고 뒷판 다아트를 길게 한다.
  4. 뒤허리 둘레의 중앙 부분을 올려주고 뒷판 다아트를 짧게 한다.
(정답률: 60%)
  • 뒤허리와 엉덩이가 처진 체형에서 뒤 허리 밑에 옆으로 주름이 생기는 이유는 뒤허리 둘레의 중앙 부분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뒤허리 둘레의 중앙 부분을 더 파주고 뒷판 다아트를 길게 함으로써 뒤허리와 엉덩이를 보다 균형있게 보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의복제작시 스티치 종류의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가장 적은 것은?

  1. 직물
  2. 의복의 가공
  3. 스타일의 적합성
  4. 바늘의 굵기
(정답률: 52%)
  • 바늘의 굵기는 스티치의 종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스티치 종류의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가장 적은 것입니다. 다른 요인들은 직물의 종류나 특성, 의복의 가공 방식, 스타일의 적합성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강하며 내구성이 있고, 잘 풀리지 않고, 고쳐 만들기가 쉽지 않고, 두꺼운 직물의 경우 부피가 크고 뻣뻣하고, 곡선부위 등에 사용이 용이한 시임은?

  1. 쌈솔
  2. 뉜솔
  3. 가름솔
  4. 통솔
(정답률: 72%)
  • 쌈솔은 강하며 내구성이 있어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고, 잘 풀리지 않아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쳐 만들기가 쉽지 않아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꺼운 직물의 경우 부피가 크고 뻣뻣하고, 곡선부위 등에 사용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쌈솔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제도시 각 연결 부분을 직각으로 처리하는 주된 이유는?

  1. 여분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2. 여유가 같아지도록 함이다.
  3. 연결한 후 각을 나오게 함이다.
  4. 연결부분을 완만하게 하려는 것이다.
(정답률: 79%)
  • 제도시의 연결 부분을 직각으로 처리하는 주된 이유는 연결한 후 각을 나오게 함으로써 연결부분을 완만하게 하려는 것입니다. 이는 연결 부분에서의 각도가 너무 작거나 크면 강도가 약해지거나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직각으로 처리하여 연결 부분에서의 강도를 유지하고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미싱의 각 이름과 그 부분 역할이 다른 것은?

  1. 노루발- 천을 눌러준다.
  2. 윗실압력 조절기- 윗실의 장력을 조절한다.
  3. 실채기- 윗실땀의 양만큼 실타래를 푼다.
  4. 실땀 폭 조절기- 실땀의 압력조절을 한다.
(정답률: 67%)
  • 실땀 폭 조절기는 봉제 과정에서 실땀의 압력을 조절하여 실땀의 폭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봉제 과정에서 실땀이 일정한 폭으로 유지되어 균일한 봉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상반신 반신체의 제도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등품은 줄임 등길이는 늘임
  2. 앞품은 줄임 앞길이는 늘임
  3. 등길이는 줄임 앞품은 늘임
  4. 앞길이는 줄임 등품은 늘임
(정답률: 86%)
  • 상반신 반신체의 제도법에서는 등길이는 줄이고 앞품은 늘리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입니다. 이유는 등길이를 줄이면 상체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하여 균형을 잡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앞품을 늘리면 상체의 안정성이 높아져서 자세를 유지하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실표뜨기 방법이 아닌 것은?

  1. 면사 2올로 한다.
  2. 바늘땀을 3cm 정도로 뜬다.
  3. 두장의 옷감을 겹쳐 시작한다.
  4. 곡선은 느리게 직선은 잘게 뜬다.
(정답률: 96%)
  • 정답: "면사 2올로 한다."

    면사 2올은 실표를 뜰 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질문에서는 실표뜨기 방법이 아닌 것을 찾는 문제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곡선은 느리게 직선은 잘게 뜬다"는 실표뜨기에서 곡선 부분은 더 많은 실표를 뜨기 때문에 느리게, 직선 부분은 적은 실표를 뜨기 때문에 잘게 뜬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하면 실표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깔끔한 실표를 뜰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길원형 제도시 기초선으로 필요한 치수는?

  1. 등길이, 가슴둘레
  2. 등길이, 허리둘레
  3. 가슴둘레, 허리둘레
  4. 가슴둘레, 엉덩이둘레
(정답률: 83%)
  • 길원형 제도시 기초선은 사람의 몸의 형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치수를 반영해야 합니다. 이 중 등길이는 머리부터 발끝까지의 길이를 나타내며, 건축물의 높이나 너비 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가슴둘레는 사람의 몸통의 둘레를 나타내며, 옷이나 의류를 제작할 때 필요한 치수입니다. 따라서 길원형 제도시 기초선으로는 등길이와 가슴둘레가 필요한 치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슬랙스에서 뒤 밑아래에 군주름이 생긴 경우의 보정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허리부분에서 옆선을 내준다.
  2. 허리선을 올리고 밑아래를 넓힌다.
  3. 허리선을 내리고 밑아래를 넓힌다.
  4. 앞의 밑위와 밑아래를 추가하여 넓혀 준다.
(정답률: 42%)
  • 정답은 "허리선을 내리고 밑아래를 넓힌다."입니다.

    슬랙스에서 뒤 밑아래에 군주름이 생기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허리가 너무 높게 올라가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허리선을 내리면서 밑아래를 넓혀주면 군주름이 해결됩니다. 허리선을 올리면 오히려 군주름이 더 심해질 수 있으며, 앞의 밑위와 밑아래를 추가하여 넓혀주는 방법은 군주름 해결에는 도움이 되지만 전체적인 핏이 바뀔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허리선을 내리고 밑아래를 넓히는 것이 가장 적절한 보정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부인복의 원형 구성시 기본선의 품은?

  1. B/2 + 2㎝
  2. B/4 + 4㎝
  3. B/2 + 4‾㎝
  4. B/2 + 8‾㎝
(정답률: 53%)
  • 부인복의 원형 구성시 기본선의 품은 바지와 스커트의 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본선의 품은 바지와 스커트의 품이 모두 결정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기본선의 품은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기본선의 품은 허리둘레의 절반인 B/2에 4‾㎝을 더한 값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바지와 스커트의 품이 너무 타이트하지 않도록 고려한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B/2 +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키가 작고 뚱뚱한 사람이 피해야 할 실루엣은?

  1. 프린세스라인 실루엣(Princess line silhouette)
  2. 엠파이어 실루엣(Empire silhouette)
  3. 어시메트릭 실루엣(Asymmetric silhouette)
  4. A라인 실루엣(A line silhouette)
(정답률: 42%)
  • 엠파이어 실루엣은 가슴 부분을 강조하고 허리를 감추는 디자인으로, 키가 작고 뚱뚱한 사람이 피해야 할 실루엣입니다. 이는 허리를 감추기 때문에 몸의 비례가 더욱 안 좋아지고, 가슴 부분이 강조되어 더욱 뚱뚱해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프린세스라인 실루엣이나 A라인 실루엣과 같이 허리를 강조하고 몸의 비례를 잘 나타내는 디자인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그림의 올바른 다트 명칭은?

  1. 네크라인 다트
  2. 네크포인트 다트
  3. 숄더 다트
  4. 숄더슬리브 다트
(정답률: 75%)
  • 이 그림은 옷의 어깨 부분에 위치한 다트이므로 "숄더 다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옷의 다른 부분에 위치한 다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의 인체계측법에서 1차원 계측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석고법
  2. 모아레법
  3. 슬라이딩게이지법
  4. 마틴식계측법
(정답률: 85%)
  • 마틴식계측법은 1차원 계측법에 해당합니다. 이는 측정 대상이 직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측정 대상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2차원 계측법으로, 측정 대상이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넓이나 높이 등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같이 소매의 윗부분은 풍성하게 부풀게 하고, 아래는 좁고 꼭끼는 패턴으로 만든 소매는?

  1. bell sleeve
  2. leg of mutton sleeve
  3. kimono sleeve
  4. cap sleeve
(정답률: 63%)
  • 그림에서 보이는 소매는 윗부분이 풍성하고 아래가 좁은 패턴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이는 "leg of mutton sleeve"의 특징과 일치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윗부분이 풍성하지 않거나, 아래가 좁은 패턴이 아닌 다른 형태의 소매들을 나타내므로 정답은 "leg of mutton sleev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의복을 제작할 때 심지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적합하지않은 것은?

  1. 의복의 강도와 수명이 줄어든다.
  2. 의복의 실루엣을 아름답게 해준다.
  3. 의복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해준다.
  4. 의복의 형태가 입체감을 이루도록 해준다.
(정답률: 95%)
  • "의복의 강도와 수명이 줄어든다."는 심지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심지가 의복의 구조를 약화시키고, 늘어짐과 변형을 유발하여 의복의 강도와 수명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시접량은 바느질 방법, 옷감의 재질, 두께에 따라 변화를 준다.
  2. 안감박기에서 안감은 완성선보다 0.3cm정도 시접쪽으로 들어가서 박고 완성선에서 꺽어 다림질한다.
  3. 시접량을 정확히 두고 재단한다.
  4. 안감의 지퍼 다는 부분은 앞판 완성선보다 1.3cm 정도 깊이 꺾어서 얕게 박는다.
(정답률: 38%)
  • 시접량을 정확히 두고 재단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안감박기에서는 안감을 완성선보다 약간 시접쪽으로 들어가서 박고 다림질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이는 옷의 완성선과 안감의 완성선이 일치하지 않아서 생기는 차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입니다. 시접량은 바느질 방법, 옷감의 재질, 두께에 따라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수축 방지가공에 해당되는 것은?

  1. 샌퍼라이징 가공
  2. 벌키 가공
  3. 울리 가공
  4. 머서화 가공
(정답률: 89%)
  • 샌퍼라이징 가공은 나무를 수분을 제거하여 수축을 방지하는 가공 방법입니다. 따라서 수축 방지가공에 해당됩니다. 벌키 가공은 나무를 두껍게 만드는 가공 방법, 울리 가공은 나무를 구부리는 가공 방법, 머서화 가공은 나무를 굽히는 가공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보기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가진 직물명으로 옳은 것은?

  1. 공단
  2. 서어지
  3. 코오듀로이
  4. 벨벳
(정답률: 53%)
  • 보기 그림은 공단의 단면과 유사합니다. 공단은 면,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의 혼합물로 제작되며, 직물의 표면이 부드럽고 광택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보기 그림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일광의 자외선에 의한 취화도가 가장 큰 것은?

  1. 면직물
  2. 모직물
  3. 견직물
  4. 아크릴직물
(정답률: 50%)
  • 견직물은 면직물과 달리 자외선에 대한 내성이 높아 일광의 자외선에 의한 취화도가 가장 큽니다. 따라서 견직물이 가장 자외선에 강한 소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피복을 보관할 때 방법이 틀린 것은?

  1. 피복보관 용기는 가능한 밀폐된 것을 사용할 것
  2. 방충제는 때때로 보충할 것
  3. 방충제는 천이나 신문지로 싸서 넣을 것
  4. 방충효과를 좋게 하려면 두가지 약재를 한 용기에 혼합하여 넣을 것
(정답률: 81%)
  • "방충효과를 좋게 하려면 두가지 약재를 한 용기에 혼합하여 넣을 것"은 틀린 방법입니다. 이유는 두 가지 약재를 혼합하면 상호작용이 일어나서 오히려 방충효과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각의 약제를 따로 보관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연소 후 부풀은 부드러운 검은 재가 남는 섬유는?

  1. 아마
  2. 양모
  3. 레이온
  4. 나일론
(정답률: 64%)
  • 연소 후 부풀은 부드러운 검은 재가 남는 섬유는 양모입니다. 이는 양털에서 추출된 자연 섬유로, 연소 후에도 부드럽고 가벼운 재로 남기 때문입니다. 아마, 레이온, 나일론은 모두 인공 섬유이며, 연소 후에는 더욱 더 단단한 재로 변화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섬유장이 가장 긴 섬유는?

  1. 앙고라
  2. 실크
  3. 모시
  4. 양모
(정답률: 64%)
  • 실크는 벌집 안에 있는 애벌레가 만든 섬유로, 약 900m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가장 긴 섬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비스코스레이온 제조에 있어서는 숙성공정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1. 점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2. 물에 녹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3. 방사시 산에 잘 녹도록 하기 위해서
  4. 점도와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정답률: 48%)
  • 비스코스레이온은 고점도를 가지고 있어서 가공이 어렵기 때문에 숙성공정을 거쳐 점도를 감소시켜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가공성이 향상되고,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 더욱 부드럽고 쾌적한 느낌을 느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70% 황산에서 용해되지 않은 섬유는?

  1. 무명
  2. 비스코스레이온
  3. 나일론
(정답률: 42%)
  • 70% 황산은 비스코스레이온과 마를 용해시키지만, 나일론은 황산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나일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간헐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염을 붙인 장식실은?

  1. 커얼 실
  2. 루우프 실
  3. 스나알 실
  4. 익 실
(정답률: 35%)
  • 스나알 실은 "간헐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염을 붙인" 장식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합성 섬유인 것은?

  1. 명주
  2. 양모
  3. 아크릴
  4. 비스코스
(정답률: 67%)
  • 아크릴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합성 섬유로, 섬유 강도와 내구성이 높고 가볍고 부드러워서 의류, 카펫, 모피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빛의 3원색을 혼합하면 어떠한 색이 되는가?

  1. 검정색
  2. 노랑색
  3. 청색
  4. 백색
(정답률: 77%)
  • 빛의 3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혼합하면 백색이 됩니다. 이는 빛의 삼원색 혼합이라고도 불리며, 빛의 색은 빛의 파장과 진폭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빨강, 초록, 파랑을 모두 혼합하면 모든 파장과 진폭을 포함한 백색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봄의 계절에 적합한 색상은?

  1. 청록, 파랑
  2. 검정, 연지색
  3. 노랑, 갈색
  4. 연두, 핑크색
(정답률: 93%)
  • 봄은 새로운 시작과 생명력이 넘치는 계절이므로 연두색은 신선하고 활기찬 느낌을 주며, 핑크색은 꽃이 피어나는 봄의 아름다움과 로맨틱한 분위기를 연상시킵니다. 따라서 연두색과 핑크색은 봄의 계절에 적합한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얼굴 모양과 디자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세모형 얼굴은 될수 있는대로 둥근칼라, 둥근 목둘레가 필요하다.
  2. 긴얼굴은 V형 목둘레나 좁은 칼라가 좋다.
  3. 둥근얼굴은 뾰죽한 칼라나 V형 목둘레가 좋다.
  4. 네모난 얼굴은 턱의 각을 둥글게 보이도록 둥근칼라 또는 부드러운 선을 놓으면 좋다.
(정답률: 85%)
  • "긴얼굴은 V형 목둘레나 좁은 칼라가 좋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긴 얼굴은 얼굴이 길쭉하고 좁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V형 목둘레나 좁은 칼라를 입으면 얼굴이 좀 더 길쭉하지 않고 균형잡힌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따뜻한 색상의 복지는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이것은 의장의 요소 중 무엇에 대한 표현인가?

  1. 양감
  2. 질감
  3. 크기
  4. 공간
(정답률: 70%)
  • 따뜻한 색상은 시각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데, 이는 질감의 표현과 관련이 있다. 질감은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표면의 느낌을 의미하며, 부드러운 질감은 따뜻한 색상과 연관이 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질감의 요소에 대한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노랑색의 씨실과 빨강색의 날실로 짠 옷감의 색이 주황으로 보이는 이유는 무슨 혼합에 의한 것인가?

  1. 병치혼합
  2. 회전혼합
  3. 감법혼합
  4. 가법혼합
(정답률: 75%)
  • 노랑색과 빨강색은 빛의 삼원색 중 하나인 빨강색과 녹색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보색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노랑색의 씨실과 빨강색의 날실이 함께 짜여진 옷감은 빨강색과 녹색이 혼합되어 주황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혼합 방식을 "병치혼합"이라고 합니다. 병치혼합은 두 가지 색을 나란히 배치하여 혼합하는 방식으로, 색의 강도와 밝기는 유지되면서 색상이 변화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빨강과 보라로 배색하였을 때 가장 가까운 느낌은?

  1. 명쾌한 배색
  2. 화려한 배색
  3. 무거운 배색
  4. 깨끗한 배색
(정답률: 63%)
  • 빨강과 보라는 모두 선명하고 강렬한 색상이며, 이 두 색을 함께 사용하면 화려하고 선명한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화려한 배색"이 가장 가까운 느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은 색의 잔상에 대한 예이다.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교통신호등에서 빨강과 녹색이 우선 사용되는 것은 파장에 있어서 감각시간은 장파장의 빛일수록 짧기 때문이다.
  2. 자기가 만든 디자인 작품을 계속 보고 있으면 감각이 저하되어 뚜렷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3. 정지되어 있는 도형을 한 부분만 주시하고 있으면 서서히 그 도형은 어둡게 느껴져 보인다.
  4. 도형이나 무늬가 없는 색면을 오랫동안 바라보아도 색상이나 명도는 처음 지각한대로 느껴진다.
(정답률: 37%)
  • "교통신호등에서 빨강과 녹색이 우선 사용되는 것은 파장에 있어서 감각시간은 장파장의 빛일수록 짧기 때문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파장이 짧은 파란색이 먼저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색의 잔상은 시각적 자극이 뇌에서 처리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시각적 자극이 뇌에서 처리되는 동안 일어나는 화학적 반응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화학적 반응이 끝나면 색의 잔상은 사라집니다. 따라서 도형이나 무늬가 없는 색면을 오랫동안 바라보아도 색상이나 명도는 처음 지각한대로 느껴진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식욕촉진을 자극하는데 가장 적절한 배색은?

  1. 주황색, 밝은 노랑
  2. 빨강, 라이락색
  3. 파랑과 녹색
  4. 붉은 포도주색, 황금색
(정답률: 67%)
  • 주황색과 밝은 노랑은 식욕을 자극하는 색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뇌가 이 색상을 보면 식욕을 자극하는 호르몬인 레프틴의 분비를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식욕촉진을 자극하는데 가장 적절한 배색은 "주황색, 밝은 노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색의 진출과 후퇴, 팽창과 수축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것은?

  1. 색의 팽창· 수축의 정도는 명도에 크게 좌우된다.
  2. 한색이라도 밝은 색은 난색의 어두운 색보다 커 보인다.
  3. 일반적으로 옷차림에 있어서 몸이 작은 사람이 어두운 색을 입으면 더 작아 보인다.
  4. 일반적으로 황색, 적색 등의 난색계통이 녹색, 청색 등의 한색계통보다 후퇴하여 보인다.
(정답률: 37%)
  • "한색이라도 밝은 색은 난색의 어두운 색보다 커 보인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색의 밝기는 명도에 의해 결정되며, 밝은 색일수록 명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크게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어두운 난색보다는 밝은 한색이 더 크게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가장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의복은?

  1. 상의는 베이지색, 하의는 아이보리색으로 착용한다.
  2. 상의는 아이보리색, 하의는 핑크색을 착용한다.
  3. 상의는 흰색을, 하의는 검정색을 입는다.
  4. 하의, 상의 모두 연두색을 입는다.
(정답률: 69%)
  • 정답은 "상의는 흰색을, 하의는 검정색을 입는다."입니다. 이는 흰색과 검정색이 모두 중립적인 색상이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과 조화를 이루며 안정감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흰색과 검정색은 모든 계절과 상황에서 어울리는 색상이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무명 섬유의 정련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정련제는?

  1. 규산나트륨
  2. 암모니아수
  3. 수산화나트륨
  4. 탄산수소나트륨
(정답률: 75%)
  • 수산화나트륨은 무명 섬유의 정련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정련제입니다. 이는 수산화나트륨이 무명 섬유의 섬유질을 부드럽게 만들어주고, 더욱 흰색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산화나트륨은 다른 정련제에 비해 비교적 안전하고 경제적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경사와 위사가 서로 교차하여 엮어져서 얻어지는 것은?

  1. 직물
  2. 편물
  3. 네트
  4. 부직포
(정답률: 73%)
  • 경사와 위사가 서로 교차하여 엮어져서 만들어지는 것을 직물이라고 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섬유를 직물기계에 넣어서 짜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따라서 직물은 섬유를 엮어서 만들어진 것으로, 편물, 네트, 부직포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형태안정성, 충해, 피복지의 성능 요구도는 피복지로써 구비하여야 할 성능 중 어느곳에 속하는가?

  1. 관리적인 성능
  2. 감각적인 성능
  3. 실용적인 성능
  4. 위생상의 성능
(정답률: 75%)
  • 형태안정성, 충해, 피복지의 성능 요구도는 피복지의 관리적인 성능에 속합니다. 이는 제품의 내구성, 안정성, 유지보수성 등을 포함하며, 제품의 수명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요구사항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성능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피복지를 선택하고 유지보수하는 것은 제품의 관리적인 성능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조직도로 나타낸 직물의 특성은?

  1. 조직점이 많아 유연하다.
  2.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좋다.
  3. 직물이 튼튼하다.
  4. 표리의 구별이 없다.
(정답률: 61%)
  • 이 직물은 사틴 조직으로, 조직점이 많아 유연하면서도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좋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사틴 조직의 특성으로, 수직적으로 긴 실을 사용하여 조직점을 줄이고 수평적으로 긴 실을 사용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직물은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좋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면이나 마섬유 등의 염색에 주로 사용되는 염료는?

  1. 직접염료
  2. 산성염료
  3. 분산염료
  4. 염기성염료
(정답률: 83%)
  • 면이나 마섬유와 같은 산성성질을 가진 섬유에는 직접염료가 사용되는데, 이는 섬유 내부로 직접 침투하여 염색하는 염료이기 때문입니다. 산성성질을 가진 섬유는 직접염료와 같은 산성염료를 사용해야 염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직접염료가 면이나 마섬유 등의 염색에 주로 사용되는 염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세탁의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1. 세제의 종류
  2. 세제의 농도
  3. 세탁액의 온도
  4. 세탁기계의 종류
(정답률: 68%)
  • 세제의 종류, 세제의 농도, 세탁액의 온도는 모두 세탁의 조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세탁기계의 종류는 세탁의 조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세탁기계의 종류는 세탁의 편의성과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세탁의 결과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세탁의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세탁기계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내충성이나 내균성이 좋은 직물끼리 짝 지어진 것은?

  1. 양모-견
  2. 견-아세테이트
  3. 면-마
  4. 아세테이트-나일론
(정답률: 67%)
  • 내충성이나 내균성이 좋은 직물끼리 짝 지어진 것은 더욱 편안하고 건강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아세테이트와 나일론은 모두 내충성이나 내균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 둘을 짝 지어서 만든 직물은 편안하고 건강한 착용감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세테이트-나일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직물의 변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직물의 제직· 가공· 정리시 이 부분이 큰 힘을 받는다.
  2. 다른 부분보다 얇게 제직되어 있다.
  3. 대부분의 상호가 여기에 표시되기도 한다.
  4. 직물의 양쪽 끝에 있는 쫀쫀한 부분이다.
(정답률: 80%)
  • "다른 부분보다 얇게 제직되어 있다."는 맞는 설명이 아닙니다. 이 부분은 오히려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제직되어 있습니다. 이는 직물의 끝단에 위치하여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강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제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주로 레인코트감, 스키복감, 우산감 등에 쓰이는 가공법과 관계 깊은 것은?

  1. 대전방지 가공
  2. 방염가공
  3. 방수가공
  4. 방오가공
(정답률: 96%)
  • 방수가공은 물이나 습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재질 표면에 방수 처리를 하는 가공법으로, 레인코트감, 스키복감, 우산감 등에 쓰이는 재질에 많이 적용됩니다. 이는 이러한 제품들이 비나 눈, 습기 등의 자연 요소로부터 보호되어 내구성이 높아지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편성물의 가장자리가 휘감기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방추성
  2. 전선
  3. 컬업
  4. 신축성
(정답률: 67%)
  • 편성물의 가장자리가 휘감기는 성질을 "컬업"이라고 합니다. 이는 편직물이나 직물의 가장자리 부분이 일정한 간격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말하며, 이는 편직물이나 직물의 가장자리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