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3-30)

양장기능사
(2003-03-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스탠드(stand)분이 거의 없어서 어깨선 위에 납작하게 뉘어지는 것으로 옷을 착용했을 때 어깨선을 따라 평평하게 눕는 칼라 모양은?

  1. 스탠드(stand) 칼라
  2. 스퀘어(square) 칼라
  3. 나폴레옹(napoleon) 칼라
  4. 플랫(flat) 칼라
(정답률: 75%)
  • 스탠드(stand) 칼라는 목 뒤쪽에 스탠드(stand) 분이 있어서 칼라가 일직선으로 서 있습니다. 하지만 스탠드(stand) 분이 없는 경우 어깨선 위에 납작하게 뉘어지는 것으로 옷을 착용했을 때 어깨선을 따라 평평하게 눕는 칼라 모양은 플랫(flat) 칼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제도 방법 중 단촌식 제도법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인체 계측에 숙련된 기술이 필요치 않다.
  2. 인체의 각 부위를 세밀하게 계측하여 제도한다.
  3. 가슴둘레를 기준해서 등분한 치수로 구성해 가는 방법이다.
  4. 인체부위 중 가장 대표가 되는 부위치수를 기준으로 제도한다.
(정답률: 85%)
  • 단촌식 제도법은 인체의 각 부위를 세밀하게 계측하여 제도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각 부위의 크기와 비율을 정확히 파악하여 옷의 디자인과 패턴을 제작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체 계측에 숙련된 기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원형명칭의 약자중에서 소매산 높이는?

  1. A.H.L
  2. S.C.H
  3. S.B.L
  4. S.C.P
(정답률: 84%)
  • S.C.H는 "Small Craftharbor"의 약자로, 작은 어항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약자는 소매산 높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소매산이 높은 것이 좋은 것은?

  1. 임산부복
  2. 외출복
  3. 잠옷
  4. 작업복
(정답률: 70%)
  • 소매산이 높은 것이 좋은 것은 해당 제품이 많이 팔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외출복은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제품으로, 잠옷이나 작업복보다 더 많은 수요가 있기 때문에 소매산이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스커트 길이를 정할 때 무릎선에 닿는 길이를 무엇이라고 칭하는가?

  1. 미니
  2. 샤넬라인
  3. 미디
  4. 맥시
(정답률: 60%)
  • 샤넬라인은 코코 샤넬이 만든 스커트 디자인으로, 무릎선에 닿는 길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스커트 길이를 정할 때 무릎선에 닿는 길이를 샤넬라인이라고 칭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목둘레 치수를 잴 때 어떤 자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1. 각자
  2. 줄자
  3. 곡자
  4. 대나무자
(정답률: 88%)
  • 목둘레 치수는 길이를 재는 것이므로, 가장 적합한 도구는 길이를 재는데 사용하는 줄자입니다. 각자는 각도를 재는데 사용하고, 곡자는 곡선을 그리는데 사용하며, 대나무자는 대나무를 가공할 때 사용합니다. 따라서 목둘레 치수를 잴 때는 줄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스커트 앞단이 올라가면서 뜬다. 보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옆솔기를 내주고 다트 위치를 고쳐준다.
  2. 옆의 넓이가 좁아서 생기므로 H.L 부분을 내준다.
  3. 허리선을 올려서 앞 중심부의 길이를 길게 한다.
  4. 하동길이가 길어서 생기므로 하동길이를 짧게 해준다
(정답률: 57%)
  • 스커트 앞단이 올라가면서 뜨는 것은 스커트의 앞 중심부가 짧아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허리선을 올려서 앞 중심부의 길이를 길게 해주면 스커트가 뜨는 것을 보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굴신체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앞이 남고 뒤가 부족하기 쉬운 경우이다.
  2. 옷을 입으면 앞이 뜨고 주름이 생긴다.
  3. 뒤품과 앞품의 차이가 없다.
  4. 뒤의 길이를 늘이든지 앞의 길이를 줄이면 된다.
(정답률: 69%)
  • 굴은 둥근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뒤품과 앞품의 차이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소매산에 옆으로 군주름이 생긴다. 이 때의 보정방법은?

  1. 옆을 내주고 다트의 위치를 고쳐준다.
  2. 소매산을 높여주고 소매통을 넓혀준다.
  3. 소매산을 내려주고 소매통을 넓혀준다.
  4. 소매산을 낮추고 낮춘만큼 부리에서 더한다.
(정답률: 45%)
  • 소매산에 군주름이 생기면 소매산을 내려주고 소매통을 넓혀줘야 합니다. 이는 군주름이 생긴 부분을 보정하여 옷의 모양을 맞추기 위함입니다. 옆을 내주고 다트의 위치를 고치는 것은 군주름이 아닌 다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정 방법입니다. 소매산을 높여주는 것은 오히려 군주름을 더 만들어낼 수 있으므로 올바른 보정 방법이 아닙니다. 소매산을 낮추고 부리에서 더하는 것은 소매산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올바른 보정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솟은 어깨의 경우 어깨를 향해서 수평으로 주름이 생길 때의 보정은?

  1. S.P(Shoulder Point)를 올려준다.
  2. 어깨넓이가 좁아지도록 앞뒤의 진동둘레선을 다시 그리는데 겨드랑이 부분을 올려준다.
  3. 앞,뒷길의 어깨끝점 부분을 올려주고 진동둘레 밑을 같은 치수로 올려준다.
  4. 어깨를 부족한 양만큼 올려주고 A.H가 커졌으므로 A.H선에서 M.P하여 다트로 빼준다.
(정답률: 79%)
  • 솟은 어깨는 어깨를 향해서 수평으로 주름이 생기는데, 이는 어깨가 높게 올라가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앞, 뒷길의 어깨끝점 부분을 올려주고 진동둘레 밑을 같은 치수로 올려줌으로써 어깨를 높이지 않고도 어깨 넓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솟은 어깨를 보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재봉틀 분해소제시 가장 먼저해야 할 것은?

  1. 바늘을 뺀다.
  2. 노루발을 떼어 놓는다.
  3. 침판을 떼어 놓는다.
  4. 솔로 바늘판의 뒷면과 톱니의 부근을 깨끗이 털어낸다.
(정답률: 90%)
  • 재봉틀 분해소제시 가장 먼저해야 할 것은 바늘을 뺀다. 이는 분해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안전을 위해 바늘이 없는 상태로 작업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바늘이 남아있을 경우에는 분해 과정에서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바늘을 먼저 빼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리미로 옷감을 늘여서 입체화 시켜야 할 부분은 어느 곳인가?

  1. 소매산
  2. 어깨 부분
  3. 슬랙스의 밑위
  4. 스커트 허리 부분
(정답률: 48%)
  • 슬랙스의 밑위는 허리와 엉덩이 사이의 부분으로, 입체화를 시켜야 하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이 입체화되면 슬랙스가 더욱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착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의 코트(coat)에 있어서 가장 많은 시접이 필요한 부분은?

  1. 어깨솔기
  2. 소매솔기
  3. 등솔기
  4. 옆솔기
(정답률: 47%)
  • 옆솔기가 가장 많은 시접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는 코트의 옆부분이 복잡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어깨솔기와 소매솔기는 각각 어깨와 소매 부분만 시접을 하면 되지만, 등솔기와 달리 옆솔기는 옆부분 전체를 시접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밑실을 감을 때 실토리에 실은 몇 %가 가장 적당한가?

  1. 40%
  2. 60%
  3. 80%
  4. 100%
(정답률: 82%)
  • 실토리에 실은 %가 높을수록 밑실에 남아있는 습기가 적어지므로, 밑실을 감을 때는 실토리에 실은 %가 높을수록 좋습니다. 그러나 너무 높으면 실토리가 너무 무거워져서 사용하기 불편해집니다. 따라서 실토리에 실은 %가 가장 적당한 값은 80%입니다. 이는 습기 제거 효과와 사용 편의성을 모두 고려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증기를 쐬어 옷감 올을 바로 잡아야 하는 것은?

  1. 견직물
  2. 크레이프
  3. 조우젯
  4. 벨벳
(정답률: 61%)
  • 벨벳은 표면이 부드럽고 빛나는 직물로, 증기를 쐬어 올을 바로 잡아야 합니다. 이는 벨벳의 특성상 올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타이트 스커트를 만들려면 90cm 나비인 옷감의 필요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1. (스커트 길이 + 시접) × 2
  2. 스커트 길이 + (시접 × 2)
  3. 스커트 길이 + 시접
  4. (스커트 길이 × 2) + 시접
(정답률: 63%)
  • 타이트 스커트는 몸에 딱 맞게 떨어지는 스커트로, 허리와 엉덩이 부분이 꼭 맞아야 합니다. 따라서 스커트 길이를 계산할 때는 허리와 엉덩이 둘 다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옷감을 자르고 시접을 할 때는 여분의 옷감이 필요합니다. 이 여분의 옷감은 스커트 길이와 시접의 길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타이트 스커트를 만들려면 (스커트 길이 × 2) + 시접의 길이만큼의 옷감이 필요합니다. 이유는 스커트 길이가 허리와 엉덩이를 모두 고려하기 때문에 2배를 곱해주고, 시접의 길이를 더해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겨드랑이 부분이 매우 넓고 소매부리가 좁은 것으로 방한용 코트에 적합하며 키가 큰 체형에 어울리는 것은?

  1. 돌만 소매
  2. 캡 소매
  3. 라글란 소매
  4. 드리커트 소매
(정답률: 44%)
  • 겨드랑이 부분이 넓고 소매부리가 좁은 것은 돌만 소매에 해당합니다. 이는 방한용 코트에 적합하며, 키가 큰 체형에 어울리는 이유는 소매가 짧아 보이지 않고, 겨드랑이 부분이 넓어 체형이 더욱 슬림해 보이기 때문입니다. 캡 소매는 소매 부분이 둥글게 생겨 체형이 더욱 둥글어 보이며, 라글란 소매는 어깨와 소매가 하나로 이어져 있어 체형이 더욱 크게 보일 수 있습니다. 드리커트 소매는 소매 부분이 넓어 체형이 더욱 뚱뚱해 보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허리를 가늘어 보이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프린세스라인을 응용한다.
  2. 큰 칼라를 이용한다.
  3. 볼레로 스타일을 활용한다.
  4. 가는 벨트를 맨다.
(정답률: 53%)
  • 가는 벨트를 맨다는 것은 허리를 강조하여 더 가늘어 보이게 하려는 시도이지만, 실제로는 허리를 강조하여 오히려 더 넓어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옳지 못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밑위 길이의 계측방법은?

  1. 허리에서 무릎까지 길이를 절반으로 나눈 것이다.
  2. 허리에서 엉덩이의 가장 돌출된 부분까지 잰다.
  3. 의자에 앉은 다음 우측 옆의 허리선에서 부터 의자 바닥까지 잰다.
  4. 엉덩이 둘레를 절반으로 나눈 것이다.
(정답률: 90%)
  • 밑위 길이는 허리에서 의자 바닥까지의 길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선에서 바닥까지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밑위 길이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체형 측정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재봉된 천에 실이 끊기거나 밑실이 올라오게 되어 박음질이 불량하게 되고 봉축 심 퍼커링 현상이 일어났다. 무엇으로 조절하는가?

  1. 윗실조절 장치
  2. 실채기
  3. 노루발의 압력
  4. 몸체 실걸이
(정답률: 88%)
  • 재봉된 천에 실이 끊기거나 밑실이 올라오게 되면 박음질이 불량해지고 봉축 심 퍼커링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윗실과 밑실의 길이를 조절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윗실조절 장치입니다. 윗실조절 장치는 윗실의 길이를 조절하여 밑실과의 길이 차이를 최소화하여 박음질을 더욱 정확하게 하고 봉축 심 퍼커링 현상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윗실조절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일반적으로 고속미싱을 나타낸 것은?

  1. 800 - 1800 RPM
  2. 2500 - 3500 RPM
  3. 4000 - 4500 RPM
  4. 5000 RPM
(정답률: 65%)
  • 고속미싱은 엔진 회전수가 일정 범위 내에서 진동이나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범위는 일반적으로 엔진 회전수가 4000 - 4500 RPM 일 때 나타나는데, 이는 엔진 내부의 부품들이 이 범위에서 고속으로 회전할 때 발생하는 공명 현상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고속미싱은 엔진 내부의 부품들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속한 점검과 수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포켓의 종류 중 아웃사이드 포켓(outside pocket)은 어느것인가?

  1. 인심(in-seam) 포켓
  2. 패치(patch) 포켓
  3. 웰트(welt) 포켓
  4. 프론트 힙(front hip) 포켓
(정답률: 53%)
  • 아웃사이드 포켓은 옷의 외부에 위치한 포켓을 의미합니다. 이 중 패치 포켓은 옷의 외부에 패치 형태로 붙어있는 포켓으로, 다른 포켓들과는 달리 따로 구멍을 내지 않고 옷의 일부분에 패치 형태로 붙어있어서 구멍이 없습니다. 따라서 패치 포켓은 아웃사이드 포켓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셑인 슬리브 형태에 속하는 것은?

  1. 기노모 슬리브
  2. 라글란 슬리브
  3. 랜턴 슬리브
  4. 돌만 슬리브
(정답률: 73%)
  • 랜턴 슬리브은 소매 부분이 허리 부분까지 이어지는 형태로, 소매 부분이 넓게 퍼지는 디자인입니다. 이러한 형태는 랜턴을 연상시키는 모양이기 때문에 랜턴 슬리브라고 불립니다. 따라서, 기노모 슬리브, 라글란 슬리브, 돌만 슬리브는 모두 다른 형태의 슬리브 디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파스너를 옷에 달았을 때 완성된 모양이 한줄의 절개선 처럼 보이는 것으로 주로 원피스 뒷중심에 많이 사용되는 파스너는?

  1. 보통형 파스너
  2. 콘실 파스너
  3. 오픈 파스너
  4. 장식 파스너
(정답률: 70%)
  • 콘실 파스너는 파스너의 끝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옷에 달았을 때 절개선과 같은 모양이 되는데, 이러한 모양 때문에 주로 원피스 뒷중심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시접 넣기로서 부적당한 것은?

  1. 어깨와 옆선 : 1cm
  2. 진동둘레 : 1.5cm
  3. 칼라 : 1cm
  4. 블라우스 단 : 3cm
(정답률: 96%)
  • 정답은 "진동둘레 : 1.5cm"입니다. 시접은 옷의 구조와 디자인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이지만, 진동둘레는 옷의 착용감과 관련된 부분으로 시접으로 조절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시접으로 조절 가능한 부분인 "어깨와 옆선 : 1cm", "칼라 : 1cm", "블라우스 단 : 3cm"이 올바른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올이 풀리기 쉽고 얇고 비치기 쉬운 옷감에 주로 쓰이는 바느질 법은?

  1. 쌈솔
  2. 통솔
  3. 상침
  4. 새발뜨기
(정답률: 85%)
  • 올이 풀리기 쉽고 얇고 비치기 쉬운 옷감은 매우 민감하므로, 바느질 시에도 부드럽고 균일한 힘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통솔이라는 바느질 법이 사용됩니다. 통솔은 바늘을 옷감 안쪽으로 꽂아서 뒤집힘을 방지하고, 바늘을 빼낼 때도 부드럽게 처리하여 옷감을 손상시키지 않습니다. 따라서 올이 풀리기 쉽고 얇고 비치기 쉬운 옷감에는 통솔이 가장 적합한 바느질 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옷감을 자리잡음으로 입체화시킬 때 가장 쉽게 처리되는 직물은?

  1. 면직물
  2. 모직물
  3. 나일론
  4. 비닐론
(정답률: 44%)
  • 모직물은 자연스러운 털질감과 부드러운 느낌으로 입체감을 쉽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모직물은 탄력성이 높아서 자연스러운 주름이 생기기도 하며, 보온성이 뛰어나서 겨울철 아우터나 코트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장식을 하기 위해 겉으로 박거나 박은 안솔기가 겉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게 하는 바느질 방법은?

  1. 상침
  2. 쌈솔
  3. 가름솔
  4. 통솔
(정답률: 69%)
  • 상침은 안솔기를 겉으로 박거나 박은 후, 안쪽에서 바느질하여 겉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쌈솔은 두꺼운 소재를 두 겹으로 쌓아서 바느질하는 방법이며, 가름솔은 안솔기를 가름하는 방법입니다. 통솔은 안솔기를 통으로 밀어서 바느질하는 방법입니다. 이 중에서 상침이 겉으로 박은 안솔기를 가장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옷본을 배치할 때 옳지 않은 것은?

  1. 옷감의 안쪽에 옷본을 배치한다.
  2. 털이 긴 옷감은 털의 결 방향이 밑으로 향하도록 배치한다.
  3. 옷본은 큰 것부터 배치한다.
  4. 옷감의 표면이 겉으로 되게 반으로 접어 배치한다.
(정답률: 90%)
  • 옷감의 표면을 반으로 접어 배치하면 옷의 왼쪽과 오른쪽이 대칭이 되어 균형잡힌 모양이 됩니다. 따라서 옷의 모양이 일정하고 균형잡힌 상태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옷감의 표면이 겉으로 되게 반으로 접어 배치하면 옷의 안쪽과 바깥쪽이 구분되지 않아 옷을 만들 때 혼란스러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옷감의 표면이 겉으로 되게 반으로 접어 배치하는 것은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개별원가 계산 제도를 채택하는 기업에서의 제조원가는 직접원가에 무엇을 합친 것인가?

  1. 직접재료비
  2. 간접비
  3. 직접노무비
  4. 판매비
(정답률: 53%)
  • 개별원가 계산 제도에서 제조원가는 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에 간접비를 합친 것입니다. 간접비는 생산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비용으로, 예를 들어 공장 내부 전기비, 수도비, 관리비, 감가상각비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간접비는 제품 생산에 필요하지만 직접적으로 재료나 노무와 연관되지 않기 때문에 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와 구분하여 간접비로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무명섬유를 100℃로 가열하면 수분을 전부 잃고 부드러워지며 이때 강한 압력을 가하면 마음대로 모양을 만들 수 있고, 압력과 열을 없애도 그 모양을 오랫동안 지니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가소성
  2. 탄성
  3. 강인성
  4. 전도성
(정답률: 62%)
  • 가소성은 물질이 열과 압력에 의해 형태를 변화시키지만, 그 형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무명섬유가 100℃로 가열되어 수분을 잃고 부드러워지면 강한 압력을 가하면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 수 있지만, 압력과 열을 없애도 그 모양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소성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실 중 데니어 식으로 표시하는 것은?

  1. 면사
  2. 마사
  3. 모사
  4. 견사
(정답률: 50%)
  • 견사는 실 중에서 4번째 글자이며, 다른 세 글자는 모두 "사"로 끝나지만 첫 글자가 다릅니다. 따라서 견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주름을 잡아 가열하면서 눌러주어 주름고정(Pleats setting-보기:주름치마)을 할 수 있기에 가장 좋은 직물은?

  1. 아세테이트(트리아세테이트) 직물
  2. 비단
  3. 비스코스 레이온 직물
  4. 옥양목
(정답률: 63%)
  • 아세테이트(트리아세테이트) 직물은 열가소성이 높아 가열하면서 눌러주면 주름이 잡히기 때문에 주름고정에 가장 적합합니다. 비단과 비스코스 레이온 직물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주름고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옥양목은 직물이 아니기 때문에 선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술(포도주, 청주, 맥주)이 옷에 묻어 있을 때 처리하는 방법은?

  1. 1차 뜨거운 물로 빨고, 2차 처리는 붕산수로 처리한다.
  2. 1차 미지근한 비눗물로 처리하고, 2차로 색소는 알콜로 처리한다.
  3. 1차 미지근한 비눗물로 처리하고, 2차로 색소는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4. 1차 벤젠으로 처리하고, 2차 미지근한 비눗물로 처리한다.
(정답률: 32%)
  • 술은 알콜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뜨거운 물로 처리하면 오히려 알콜성분이 증발하여 물방울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지근한 비눗물로 처리하여 알콜성분을 제거한 후, 색소는 알콜로 처리하여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직접 염료가 용해하기 쉬운 물은?

  1. 센물
  2. 산성의 물
  3. 알칼리성의 물
  4. 중성의 물
(정답률: 71%)
  • 알칼리성의 물은 pH 값이 7보다 높아서 염료를 용해하기 쉽게 만듭니다. 반면, 산성의 물은 pH 값이 7보다 낮아서 염료를 용해하기 어렵고, 중성의 물은 pH 값이 7로 염료를 용해하기 적당하지만, 알칼리성의 물보다는 용해력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염료를 용해하기 쉬운 물은 알칼리성의 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섬유 중 비중이 가장 작은 것은?

  1. 아크릴
  2. 폴리프로필렌
  3. 사란
  4. 양모
(정답률: 43%)
  • 폴리프로필렌은 가벼운 무게와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어 비중이 가장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양모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익스트렉트
  2. 쇼디
  3. 멍고
  4. 린트
(정답률: 60%)
  • 양모의 종류 중 "린트"는 아닙니다. "린트"는 양털에서 나오는 작은 섬유 덩어리나 머리카락, 털 등의 작은 파편을 말합니다. 따라서 "린트"는 양모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연소 시험시 식초냄새가 나는 섬유는?

  1. 아크릴
  2. 아세테이트
(정답률: 73%)
  • 아세테이트 섬유는 셀룰로오스와 아세틸화된 폴리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연소 시험에서는 아세틸화된 폴리머가 분해되면서 아세트산이 생성되어 식초냄새가 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세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실을 만드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방적
  2. 제직
  3. 방사
  4. 제사
(정답률: 35%)
  • 제직은 실을 만드는 방법이 아닙니다. 제직은 직물을 만들기 위해 실을 짜는 과정 중 하나로, 이미 만들어진 실을 사용하여 직물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제직은 실을 만드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정전기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섬유는?

  1. 아크릴
  2. 양모
  3. 아마
(정답률: 62%)
  • 아크릴 섬유는 인공섬유 중에서 정전기 발생이 가장 많은 소재입니다. 이는 아크릴 섬유의 표면이 부드럽고 미끄러워서 전하가 쉽게 축적되고 방전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크릴 섬유는 자연섬유와 달리 정전기 방전을 위한 특수한 처리가 없기 때문에 정전기 발생이 더욱 쉽게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다음 색 중 명도가 제일 낮은 색은?

  1. 흰색
  2. 검정
  3. 노랑
  4. 초록
(정답률: 82%)
  • 검정은 명도가 0이므로 다른 색들보다 명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색들을 같은 비율로 사용하여 옷을 만들어 입었을 때 가장 찬 느낌을 주는 것은?

  1. 노랑, 연두, 녹색
  2. 보라, 연두, 노랑
  3. 주황, 파랑, 보라
  4. 녹색, 파랑, 보라
(정답률: 91%)
  • 녹색, 파랑, 보라는 모두 차가운 색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색들을 같은 비율로 사용하여 옷을 만들어 입었을 때는 가장 찬 느낌을 주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따뜻한 색상이 포함되어 있어 더 따뜻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뚱뚱한 사람이 입었을 때 가장 효과적인 배색은?

  1. 파랑바탕에 남색
  2. 파랑바탕에 노랑
  3. 파랑바탕에 빨강
  4. 파랑바탕에 검정
(정답률: 58%)
  • 뚱뚱한 사람이 입을 때는 어두운 색상이나 깊은 톤의 색상이 좋습니다. 파랑은 어두운 색상 중에서도 차분하고 안정감이 있어서 뚱뚱한 체형을 가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남색은 파랑보다 더 어두운 색상이며, 파랑과 함께 조화롭게 어우러져 뚱뚱한 체형을 더욱 가리는 효과를 줍니다. 따라서 "파랑바탕에 남색"이 가장 효과적인 배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색 중 팽창색의 효과가 가장 큰 것은?

  1. 밝은 색 안의 어두운 색
  2. 밝은 색 안의 밝은 색
  3. 어두운 색 안의 밝은 색
  4. 어두운 색 안의 어두운 색
(정답률: 44%)
  • 팽창색은 색의 밝기를 높이는 효과이므로, 밝은 색 안에 어두운 색이 있을수록 팽창색의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어두운 색 안의 밝은 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서늘함, 우울, 소극적, 고독, 차가움을 연상할 수 있는 색은?

  1. 파랑
  2. 녹색
  3. 자주
  4. 보라
(정답률: 64%)
  • 파랑은 차가움과 서늘함을 상징하는 색으로, 물과 얼음의 색이기도 합니다. 또한 우울하고 소극적인 느낌을 주는 색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인접색상 배색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노랑자켓에 주황 스커트
  2. 연두자켓에 노랑 스커트
  3. 연두자켓에 보라 스커트
  4. 주황자켓에 빨강 스커트
(정답률: 64%)
  • 인접색상 배색은 색상환에서 서로 인접한 두 색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연두자켓에 보라 스커트"가 인접색상 배색이 아닌 것은, 연두색과 보라색이 색상환에서 서로 인접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대비 조화가 아닌 것은?

  1. 반대색과 보색의 배색
  2. 원과 타원의 조화
  3. 원과 삼각형의 조화
  4. 원과 사각형의 조화
(정답률: 81%)
  • 원과 타원의 조화는 형태가 다른 두 도형이 함께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반해, 반대색과 보색의 배색, 원과 삼각형의 조화, 원과 사각형의 조화는 모두 형태가 유사한 두 도형이 함께 사용되어 대비 조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따라서, 대비 조화가 아닌 것은 "원과 타원의 조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색의 삼속성 중 아래 설명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색상
  2. 명도
  3. 색입체
  4. 채도
(정답률: 56%)
  • 위 그림에서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는 비슷하지만, 색의 선명한 정도가 다릅니다. 이러한 색의 선명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채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채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문양의 디자인에 대한 효과 중 틀린 것은?

  1. 체형이 큰 사람은 큰 문양을 피해야 한다.
  2. 문양과 그 느낌이 착용한 장소의 분위기와 조화되어야 한다.
  3. 문양은 착용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사용한다.
  4. 어린이의 경우 큰 문양이 잘 어울린다.
(정답률: 69%)
  • 어린이의 경우 큰 문양이 잘 어울린다는 것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어린이의 체형이 작기 때문에 큰 문양이 오히려 더욱 부각되어 불편하고 어색해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린이의 경우 작은 문양이나 간단한 디자인이 더 어울리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흰색과 검정색 바탕 위에 각각 같은 명도의 회색종이를 놓았을 때 명도가 각각 달라지게 보이는 현상은?

  1. 계속대비
  2. 보색대비
  3. 명도대비
  4. 색상대비
(정답률: 74%)
  • 이는 명도대비 현상입니다. 흰색과 검정색은 명도가 극단적으로 차이나는 색상이기 때문에, 같은 명도의 회색종이를 놓았을 때에도 눈에 띄게 다른 명도로 보이게 됩니다. 명도대비는 색상의 밝기 차이에 따라 인식되는 현상으로, 색상의 명도가 서로 다른 경우 더 큰 명도대비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은 피복의 성능을 관계되는 것끼리 짝을 맞춰 놓은 것이다. 거리가 먼 것은?

  1. 감각적 성능 - 촉감
  2. 위생적 성능 - 형태안정성
  3. 실용성 성능 - 강도와 신도
  4. 관리적 성능 - 충해
(정답률: 77%)
  • "위생적 성능 - 형태안정성"이 거리가 먼 이유는 두 가지 성능이 서로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위생적 성능은 제품이 사용자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형태안정성은 제품이 사용 중에 변형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입니다. 두 성능은 서로 독립적인 성능이므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검사 결과 날실(경사)로 판정할 수 있는 것은?

  1. 견본 직물에 가장자리 부분이 있을 때,가장자리 실(변사)과 수직을 이루고 있는 실이다.
  2. 일반적으로 실의 밀도가 적은 쪽의 실이다.
  3. 견본을 살펴보아,일반적으로 바르게 배열되어 있는 실이다.
  4. 외올실과 여러 올의 합사 직물일 때에는 외올실이다.
(정답률: 56%)
  • 견본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바르게 배열되어 있는 실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능직으로 짜여진 면 또는 면혼방직물로서 작업복과 아동복에 많이 쓰이는 직물은?

  1. 시폰
  2. 머슬린
  3. 포플린
  4. 데님
(정답률: 77%)
  • 데님은 능직으로 짜여진 면 혹은 면혼방직물로서, 작업복과 아동복에 많이 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님과는 다른 종류의 직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피복의 투습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 직물의 드레이프성
  2. 직물의 용적 밀도
  3. 직물의 방추성
  4. 직물의 내열성
(정답률: 50%)
  • 피복의 투습성은 직물의 용적 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용적 밀도가 높을수록 직물 내부에 공간이 적어져 공기층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증기가 직물 내부로 쉽게 스며들어가지 못하고 표면에 머무르게 되어 피부에 불쾌감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직물의 조직과 직물명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평직- 공단
  2. 능직- 사지
  3. 수자직 - 포플린
  4. 양면사문직 - 옥양목
(정답률: 65%)
  • 능직은 수직과 수평 실을 번갈아 가며 짜는 방식으로, 사지는 면사를 사용하여 짜는 직물입니다. 따라서 능직은 사지와 연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의복의 위생적 성능이 아닌 것은?

  1. 통기성
  2. 흡수성
  3. 방추성
  4. 열전도성
(정답률: 60%)
  • 위생적 성능과는 관련이 없는 것은 "방추성"입니다. 방추성은 옷이 땀 등의 수분을 흡수하지 않고 피부와 밀착되어 불쾌감을 유발하는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위생적 성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통기성은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땀을 즉시 흡수하여 건조하게 유지해주는 성질, 흡수성은 땀 등의 수분을 흡수하여 건조하게 유지해주는 성질, 열전도성은 체온을 조절하여 땀을 발산시키는 성질 등 위생적 성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하절기 의복으로 입기에 가장 적합한 조직과 직물명은?

  1. 편직물 - 저지
  2. 평직 - 모시
  3. 능직 - 사아지
  4. 수자직 - 데님
(정답률: 44%)
  • 하절기 의복은 통기성이 좋고 흡수성이 높은 소재가 적합합니다. 이 중에서도 평직은 공기를 잘 통하며 흡수성이 뛰어나고, 모시는 면 소재 중에서도 흡수성이 높아 땀을 잘 흡수하여 건조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직 - 모시가 하절기 의복으로 입기에 가장 적합한 조직과 직물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섬유나 실의 일부가 직물 또는 편성물에서 빠져나와 탈락되지 않고 표면에서 뭉쳐서 섬유의 작은 방울이 생기는 현상은?

  1. 필링(pilling)
  2. 냅(nap)
  3. 넵(nep)
  4. 파일(pile)
(정답률: 72%)
  • 직물이나 편성물에서 일부 섬유나 실이 빠져나와 표면에서 뭉쳐서 작은 방울이 생기는 현상을 필링(pill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영어 단어인 "pill"에서 유래되었는데, "pill"은 작은 구슬 모양의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작은 구슬 모양의 섬유 뭉치를 필링(pilling)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모직물의 용도로 가장 적당치 않은 것은?

  1. 스웨터
  2. 펠트
  3. 드레스셔츠
  4. 카페트
(정답률: 70%)
  • 드레스셔츠는 모직물로 만들어지기보다는 보통 면이나 폴리에스터 등 다른 소재로 만들어지는 의류이기 때문에 모직물의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열에 의한 분해나 수축이 일어나기 쉬워 최저 온도의 다리미를 사용하여야 할 의복은?

  1. 아마
  2. 아세테이트
  3. 레이
(정답률: 48%)
  • 아세테이트는 열에 의한 분해나 수축이 일어나기 쉬운 섬유로, 최저 온도의 다리미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반면 면, 아마, 레이는 열에 대한 내성이 높아서 높은 온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