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1-18)

양장기능사
(2009-01-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앞 중심선에서 겉감과 안단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거나 심지와 옷감을 일정한 면적 안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손바느질 방법은?

  1. 홈질
  2. 시침질
  3. 상침시침
  4. 어슷시침
(정답률: 35%)
  • "어슷시침"은 앞 중심선에서 겉감과 안단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거나 심지와 옷감을 일정한 면적 안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손바느질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옷감을 더욱 깔끔하고 정확하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옷의 외관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줍니다. "어슷시침"은 옷감을 고정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옷감을 더욱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봉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봉기의 부속 중 천을 일정한 폭으로 접어주기 위한 것으로 일명 래퍼(wrapper)라고도 하며 커프스다기, 소매달기, 밑단달기 등에 사용되는 부속은?

  1. 커팅(cutting)
  2. 게이지(gauge)
  3. 가이드(guide)
  4. 폴더(folder)
(정답률: 62%)
  • 재봉기의 부속 중 천을 일정한 폭으로 접어주는 것은 폴더(folder)입니다. 폴더는 천을 정확하게 접어주어 봉제 작업의 정확성과 능률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커프스다기, 소매달기, 밑단달기 등 다양한 작업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두 장의 옷감을 겹쳐놓고 쵸크로 완성선을 그은 다음, 표시 뜨기에 사용되는 방법은?

  1. 박음질
  2. 긴시침
  3. 어슷시침
  4. 실표뜨기
(정답률: 90%)
  • 실표뜨기는 겹쳐놓은 옷감의 완성선을 따라서 바늘과 실을 사용하여 표시를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과 달리 옷감을 떼어내지 않고도 표시를 할 수 있으며, 표시한 부분을 박음질로 고정시키기 전에 수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옷감을 다루는 봉제 작업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생산비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 계산 방법으로 옮은 것은?

  1. 제조원가 = 재료비 +인건비 + 제조경비
  2. 총원가 = 제조원가 +판매직접비 + 일반관리비
  3. 판매가 = 총원가 + 생산비
  4. 이익 = 총원가 - 판매가
(정답률: 80%)
  • 제조원가는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포함하며, 이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재료비, 인건비, 제조경비입니다. 따라서 제조원가를 계산할 때는 이 세 가지 비용을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본봉 재봉기에서 천을 용수철의 압력으로 눌러 윗실의 고리형성을 도와주는 것은?

  1. 노루발
  2. 바늘판
  3. 톱니
  4. 가마
(정답률: 89%)
  • 노루발은 본봉 재봉기에서 천을 눌러 윗실의 고리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압력 도구입니다. 노루발은 두 개의 뾰족한 살갗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천을 눌러 고리를 형성합니다. 따라서 노루발은 천을 눌러 고리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너비 110cm의 천으로 반소매 원피스를 만들려고한다 다음 중 옷감의 필요량 계산법으로 옳은 것은?

  1. 옷길이 + 소매길이 + 시접(10~15cm)
  2. (옷길이x2) + 시접(12~16cm)
  3. (옷길이x2) + 소매길이 +시접(12~16cm)
  4. (옷길이 x1.2) + 소매길이 + 시접(10~15cm)
(정답률: 50%)
  • "(옷길이 x1.2) + 소매길이 + 시접(10~15cm)"이 옳은 것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옷길이: 옷의 길이는 천의 너비를 활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천의 너비인 110cm 중에서 옷의 길이를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옷의 길이는 키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개인의 키에 맞게 적절한 길이를 선택해야 한다.
    - 소매길이: 반소매 원피스를 만들기 때문에, 소매의 길이도 고려해야 한다. 소매의 길이는 개인의 팔 길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길이를 선택해야 한다.
    - 시접: 옷을 만들 때는 일반적으로 시접을 고려해야 한다. 시접은 옷의 가장자리를 봉제할 때 필요한 여분의 길이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10~15cm 정도의 여분을 두는 것이 적절하다.
    - 계산법: 따라서, 옷길이와 소매길이, 그리고 시접을 모두 고려하여 필요한 천의 길이를 계산해야 한다. 이때, 옷길이와 소매길이를 더한 후에 1.2배를 한 값에 시접을 더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유는 천의 너비가 110cm이기 때문에, 옷길이와 소매길이를 더한 값이 110cm보다 크면 천을 잘라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옷길이와 소매길이를 더한 후에 1.2배를 한 값에 시접을 더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한가닥 또는 그 이상의 봉사들이 한가닥 또는 그 이상의 보빈 봉사들과 독립적이거나 서로 결합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루어진 환(땀)의 구조는?

  1. 스티치(stitch)
  2. 시임(seam)
  3. 연단(spreading)
  4. 마킹(marking)
(정답률: 82%)
  • 스티치는 봉사나 보빈 봉사들이 서로 결합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루어진 환(땀)의 구조를 만들 때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스티치는 바늘과 실을 사용하여 봉인하고, 이를 통해 봉사들이 서로 연결되어 강한 구조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스티치는 봉사들이 함께 작업할 때 필수적인 기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앞 중심선의 약자에 해당되는 것은?

  1. C.F.L
  2. C.B.L
  3. S.C.H
  4. A.H.L
(정답률: 93%)
  • 앞 중심선의 약자는 "C.F.L"입니다. CFL은 "Center Forward Line"의 약자로, 축구에서 공격을 주도하는 중앙 공격수들이 위치하는 라인을 의미합니다. 이 라인은 공격과 수비의 전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계측점 중 자를 겨드랑이에 끼워 뒤 겨드랑이 밑에 표시한 점과 어깨 끝점과의 중간점에 해당되는 것은?

  1. 목옆점
  2. 등너비점
  3. 가슴너비점
  4. 어깨끝점
(정답률: 80%)
  • 등너비점은 이름 그대로 등의 너비를 측정하는 점입니다. 자를 겨드랑이에 끼워 뒤 겨드랑이 밑에 표시한 점과 어깨 끝점과의 중간점에 해당되는 이유는, 이 점은 등의 가장 넓은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등의 너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등너비점을 찾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몸판과는 별도로 재단하여 손바느질이나 재봉기로 박아 몸판에 붙이는 포켓은?

  1. 인씸 포켓
  2. 프론트 힙 포켓
  3. 패치 포켓
  4. 플랩 포켓
(정답률: 70%)
  • 패치 포켓은 별도로 재단하여 손바느질이나 재봉기로 몸판에 붙이는 포켓으로, 다른 포켓들과는 달리 디자인적인 요소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치수계측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바지 길이 - 옆 허리둘레선에서 발바닥까지의 길이
  2. B.P 길이 - 어깨점에서 B.P 점까지의 길이
  3. 엉덩이길이 - 옆 허리둘레선에서 엉덩이 둘레 선까지의 길이
  4. 소매길이-어깨끝점에서 손목점까지의 길이
(정답률: 55%)
  • 엉덩이길이는 옷을 입을 때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엉덩이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옆 허리둘레선에서 엉덩이 둘레 선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엉덩이의 크기를 파악합니다. 이는 옷의 핏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장촌식 제도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초보자에게 적당하지 않다.
  2. 대량 생산되는 의복에 적합하다.
  3. 인체의 각 부위를 세밀하게 계측한다.
  4. 개인의 체형특성에 맞는 원형이다.
(정답률: 88%)
  • 장촌식 제도법은 인체의 각 부위를 세밀하게 계측하여 개인의 체형특성에 맞는 원형을 만들어 대량 생산되는 의복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본봉 제봉기 구조 중 톱니의 작용에 해당되는 것은?

  1. 천을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2. 윗실의 고리형성을 도와준다.
  3. 실의 강, 약을 조절한다.
  4. 바느질의 땀수를 조절한다.
(정답률: 91%)
  • 본봉 제봉기 구조 중 톱니는 천을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이는 톱니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과 인력의 작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 작용은 천을 밀어내는 힘을 만들어내어 바느질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소매길이를 재는 위치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팔을 자연스럽게 내린 후 어깨 끝점부터 팔꿈치를 지나 손목점까지의 길이
  2. 오른쪽 어깨 끝점에서 팔꿈치점까지의 길이
  3. 팔을 구부리고 팔꿈치점을 지나는 둘레
  4. 손목점을 지나는 둘레
(정답률: 95%)
  • 팔을 자연스럽게 내린 후 어깨 끝점부터 팔꿈치를 지나 손목점까지의 길이가 옳은 소매길이를 재는 위치의 설명이다. 이유는 이 위치에서 재는 것이 팔의 길이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팔을 구부리거나 둘레를 재는 것은 팔의 길이를 왜곡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스커트 원형에 필요 치수가 아닌 것은?

  1. 엉덩이 둘레
  2. 허리 둘레
  3. 스커트 길이
  4. 소매산 길이
(정답률: 94%)
  • "소매산 길이"는 스커트 원형에 필요한 치수가 아닙니다. "소매산"은 옷의 소매 부분에서 어깨와 팔을 이어주는 부분을 말하는데, 스커트와는 전혀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커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엉덩이 둘레, 허리 둘레, 스커트 길이와 같은 치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바이어스 소매트임이나 솔기트임을 한 곳에 달며, 트임의 뒷소매쪽 커프스에 여밈이 생기는 커프스?

  1. 랩 커프스
  2. 셔츠 커프스
  3. 프렌치 커프스
  4. 밴드 커프스
(정답률: 25%)
  • 랩 커프스는 소매를 한 번 더 감아서 묶는 방식으로, 소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스타일링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이어스 소매트임이나 솔기트임을 한 곳에 달며, 트임의 뒷소매쪽 커프스에 여밈이 생기는 커프스는 랩 커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재봉기 중 윗실을 바늘로 유도하며 윗실의 장력을 조절하는 기구는?

  1. 바늘대 기구
  2. 실채기 기구
  3. 북 기구
  4. 보내기 기구
(정답률: 80%)
  • 재봉기에서 윗실을 바늘로 유도하며 윗실의 장력을 조절하는 기구는 실채기 기구입니다. 이는 실을 교차하며 잡아당기는 기구로, 재봉기에서 윗실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바늘대 기구는 바늘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북 기구는 재봉기에서 소리를 내는 역할을 합니다. 보내기 기구는 재봉기에서 실을 밀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과 같이 바지의 허벅지 부위가 너무 타이트 할 경우 보정법은?(문제 오류로 그림이 없습니다. 정답은 4번 입니다.)

  1. 허리 다트로부터 헴 라인 3cm 전까지 절개선을 넣어 벌려 주고 다트는 길게 수정한다.
  2. 앞 중심에 가까운 다트로부터 헴 라인 3cm 전까지 접어준다.
  3. 옆선을 안으로 접어 넣고 줄여 준다.
  4. 옆선을 내준다.
(정답률: 79%)
  • 옆선을 내준다는 것은 바지의 허벅지 부분을 넓게 만들기 위해 옆선을 조금씩 밀어서 내주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하면 바지의 허벅지 부분이 넓어져서 타이트한 느낌이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일반적으로 소매 원형 제도 시 타이트 재킷용 소매산의 높이를 구하는 공식은?

  1. {A.H} over {2}+3cm
  2. {A.H} over {4}+3cm
  3. {A.H} over {6}+2cm
  4. {A.H} over {5}+1cm
(정답률: 58%)
  • 타이트한 재킷의 소매산 높이를 구하는 공식은 일반적으로 소매 원형의 지름인 {A.H}을 이용하여 계산됩니다. 이때, 소매산의 높이는 지름의 1/4에 3cm를 더한 값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A.H} over {4}+3c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옷본의 배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옷감의 안쪽에 옷본을 배치한다.
  2. 털이 긴 옷감은 털의 결방향이 아래로 향하도록 배치한다.
  3. 패턴은 큰 것부터 배치하고 작은 것은 큰 것 사이에 배치한다.
  4. 벨벳과 같이 짧은 털이 있는 옷감은 결방행이 아래로 향하도록 한다.
(정답률: 84%)
  • 벨벳과 같이 짧은 털이 있는 옷감은 결방행이 아래로 향하도록 한다. 이유는 털이 위로 향하면 빛이 반사되어 광택이 생기고, 아래로 향하면 빛이 흡수되어 무광택한 느낌이 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옷감에 주름을 접어 일정한 간격으로 박아서 장식하는 바느질은?

  1. 개더링(gathering)
  2. 샤링(shirring)
  3. 프린징(fringing)
  4. 턱킹(tuching)
(정답률: 79%)
  • 턱킹은 옷감에 주름을 접어 일정한 간격으로 박아서 장식하는 바느질 기술입니다. "턱(tuck)"은 주름을 접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반복하여 박아서 만든 장식을 턱킹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턱킹"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드레스 셔츠의 칼라, 커프스, 심지 등의 정밀 재단용에 해당되는 재단은?

  1. 칼을 이용한 재단
  2. 워터 제트에 의한 재단
  3. 작두식 재단
  4. 레이져 광선이 의한 재단
(정답률: 38%)
  • 작두식 재단은 칼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옷감을 잘라내는 방법으로, 드레스 셔츠의 칼라, 커프스, 심지 등과 같은 작은 부분을 잘라내는 데에 적합합니다. 이 방법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손으로 재단하는 것보다 정확하고 깔끔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시임(seam)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슈퍼임포즈 시임(super imposed seam)
  2. 랩 시임(lapped seam)
  3. 2증 환봉 시임(double lock seam)
  4. 바운드 시임(bound seam)
(정답률: 73%)
  • 2증 환봉 시임은 시름의 분류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2증 환봉 시임은 두 개의 봉합부가 서로 엮이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시름이 아닌 봉합 방식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시름의 분류 중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겉감 시접규격으로 틀린 것은?

  1. 목둘레 - 3cm
  2. 어깨와 옆선 - 2cm
  3. 칼라 - 1cm
  4. 허리선 - 1.5cm
(정답률: 94%)
  • 정답은 "목둘레 - 3cm" 입니다.

    겉감 시접규격은 의류를 만들 때 사용하는 패턴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준값입니다. 이 기준값은 일반적으로 해당 부위의 실측치에서 일정한 값을 빼서 계산합니다.

    목둘레 - 3cm이 틀린 이유는, 목둘레는 일반적으로 실측치 그대로 사용하거나 약간의 여유를 더해줍니다. 따라서 목둘레에서 3cm를 빼는 것은 오히려 너무 작은 사이즈를 만들게 됩니다.

    반면, 어깨와 옆선 - 2cm, 칼라 - 1cm, 허리선 - 1.5cm은 일반적인 기준값으로, 해당 부위에서 일정한 여유를 빼서 패턴을 만들기 때문에 올바른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증 단트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덧단트기
  2. 지퍼트기
  3. 뒤트기
  4. 소매 단트기
(정답률: 76%)
  • 지퍼트기는 존재하지 않는 단트기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리미의 다이얼 표시에서 1에 해당하는 온도 범위는?

  1. 20~50
  2. 70~100
  3. 100~120
  4. 120~140
(정답률: 38%)
  • 다리미의 다이얼 표시에서 1은 일반적으로 식탁보나 얇은 천을 다릴 때 사용하는 온도 범위를 나타냅니다. 이 범위는 70℃에서 100℃ 사이이며, 따라서 정답은 "70~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세트 인 슬리브(set in sleeve)가 아닌것은?

  1. 래글런 슬리브
  2. 레그 오브 머튼 슬리브
  3. 캡 슬리브
  4. 비숍 슬리브
(정답률: 79%)
  • 래글런 슬리브는 어깨 부분과 소매 부분이 하나로 이어져 있는 디자인으로, 세트 인 슬리브가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세트 인 슬리브 디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가봉한 옷을 착용한 후 전체 균형과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1. 수정
  2. 보정
  3. 시착
  4. 연단
(정답률: 78%)
  • 가봉한 옷을 착용한 후 전체적인 균형과 세부적인 디테일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착이 필요합니다. 시착은 옷을 착용하여 실제로 자세히 살펴보고, 문제가 있는 부분을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시착이 가장 적절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의장이로고도 하며 특유한 목적에 의해 정해진 복식류로 시대, 민족, 관습, 지방, 계층, 행사에 의해 생긴 것은?

  1. 복장
  2. 의복
  3. 의상
  4. 복식
(정답률: 33%)
  • 보기 중에서 "의상"은 특유한 목적에 의해 정해진 복식류를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시대, 민족, 관습, 지방, 계층, 행사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의상"이 가장 적절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스커트 실루엣을 정하고 폭으로 등분한 후 다트를 잘라내어 이어서 만든 스커트는?

  1. 고어 스커트(gored skirt)
  2. 플레어 스커트(flare skirt)
  3. 플리츠 스커트(pleats skirt)
  4. 개더 스커트(gather skirt)
(정답률: 62%)
  • 고어 스커트는 스커트 실루엣을 정하고 폭으로 등분한 후 다트를 잘라내어 이어서 만든 스커트이다. 이는 다른 보기인 플레어 스커트, 플리츠 스커트, 개더 스커트와는 구분되는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일광에 대하여 취화가 가장 큰 합성 섬유는?

  1. 아크릴
  2. 나일론
  3. 폴리에스테르
  4. 스판덱스
(정답률: 78%)
  • 일광에 노출되면 일부 섬유는 취화되어 녹거나 파괴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나일론은 다른 합성 섬유에 비해 일광에 대한 내성이 높아 취화가 적습니다. 따라서 나일론은 일광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내구성이 뛰어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합성 섬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섬유 중 열가소성 섬유가 아닌 것은?

  1. 트리아세테이트
  2. 나일론
  3. 구리암모늄레이온
  4. 폴리에스테르
(정답률: 49%)
  • 구리암모늄레이온은 열가소성 섬유가 아닙니다. 이유는 구리암모늄레이온은 금속 이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에 노출되면 금속 이온이 산화되어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리암모늄레이온은 열에 노출되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열가소성 섬유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반면, 트리아세테이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는 열가소성 섬유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두 가닥 내지 세 가닥의 실을 사용하여 이 중에 한 가닥은 다른 실의 위에 감겨 고정시킨 실은?

  1. 놋트사
  2. 슬럽사
  3. 네프사
  4. 루프사
(정답률: 25%)
  • 놋트사는 두 가닥 내지 세 가닥의 실을 사용하여 이 중에 한 가닥은 다른 실의 위에 감겨 고정시킨 실로, "놋트"라는 단어는 영어로 "네트"를 뜻하며, 이와 같이 실이 엮여서 네트처럼 보이기 때문에 놋트사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실의 용도에 따른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직사
  2. 혼방사
  3. 봉사
  4. 장식사
(정답률: 44%)
  • "혼방사"는 실의 용도에 따른 분류 중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직사"는 봉제나 수놓기에 사용되는 실, "봉사"는 자수나 장식에 사용되는 실, "장식사"는 의류나 가방 등의 장식에 사용되는 실입니다. 하지만 "혼방사"는 어떤 특정한 용도를 가지는 실이 아니라, 여러 종류의 실을 혼합하여 만든 혼합실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실의 용도에 따른 분류 중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흡습성이 가장 좋은 섬유는?

  1. 폴리에스테르
  2. 아크릴
  3. 아마
  4. 나일론
(정답률: 78%)
  • 아마는 자연 섬유 중 하나로, 흡습성이 가장 뛰어납니다. 이는 아마 섬유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내부로 보내고, 또한 피부와의 접촉 시 흡습성이 높아 땀을 흡수하여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나일론은 인공 섬유로, 흡습성이 낮거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합성섬유의 분류 중 스판텍스 섬유가 해당되는 것은?

  1. 폴리우레탄계
  2. 폴리에틸렌계
  3. 폴리아미드계
  4.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정답률: 86%)
  • 스판텍스 섬유는 탄성이 뛰어나고 착용감이 좋은 섬유로,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에 해당됩니다. 폴리우레탄계 합성섬유는 폴리우레탄이 주 원료로 사용되며, 탄성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좋아 스판덱스, 엘라스틴 등의 탄성섬유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양모 섬유의 처리과정 중 섬유의 길이, 굵기, 권축, 색 등에 따라 분류하는 직업은?

  1. 정련
  2. 선모
  3. 탄화
  4. 중화
(정답률: 62%)
  • 양모 섬유의 처리과정 중 섬유의 길이, 굵기, 권축, 색 등에 따라 분류하는 직업은 "선모"입니다. 이는 양모 섬유를 가공하여 섬유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다양한 용도에 맞게 가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정련"은 금속 가공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탄화"와 "중화"는 화학적인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일반적으로 실의 굵기를 표시하는 방법에 해당되는 것은?

  1. 실의 길이와 무게를 이용하는 번수법
  2. 단면을 측정하는 단면법
  3. 현미경으로 단면의 굵기를 측정하는 현미경법
  4. 실을 여러 가닥 합쳐서 두께를 측정하고 나누어 주는 직접법
(정답률: 86%)
  • 실의 굵기는 일반적으로 길이와 무게를 이용하는 번수법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실의 길이와 무게를 측정하여 단위 길이당 무게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의 굵기를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정확하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현미경 구조에서 측면에 마디(node)가 보이는 섬유는?

  1. 아마
  2. 양모
(정답률: 83%)
  • 정답은 "아마"입니다. 현미경 구조에서 측면에 보이는 섬유는 흔히 "아마"라고 불리는 섬유로, 이는 아마(ama)라는 해조류에서 추출한 섬유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하지만 현미경으로만 보았을 때는 정확한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아마"라고 추측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인 양모, 면, 견은 현미경으로 보았을 때 구분이 명확하기 때문에 정확한 답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삼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는 섬유는?

  1. 양모
  2. 아마
(정답률: 97%)
  • 삼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는 섬유는 견이다. 견은 삼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보기인 양모, 면, 아마와는 구별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다음 중 가장 수축되고 후퇴성이 있는 색은?

  1. 빨강
  2. 청록
  3. 주황
  4. 노랑
(정답률: 88%)
  • 청록은 파랑과 녹색이 섞인 색으로, 파랑은 수축성이 강하고 후퇴성이 약한 색이며, 녹색은 수축성이 약하고 후퇴성이 강한 색입니다. 따라서 청록은 파랑의 수축성과 녹색의 후퇴성이 결합되어 가장 수축되고 후퇴성이 있는 색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보색의 조화를 이룬 예가 아닌 것은?

  1. 빨간색 상의와 청록색 하의
  2. 노란색 상의와 남색 하의
  3. 주황색 상의와 연두색 하의
  4. 연두색 상의와 보라색 하의
(정답률: 69%)
  • 주황색과 연두색은 서로 보색 관계에 있으므로 보색의 조화를 이룬 예이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보색의 조화를 이루고 있으므로 정답을 찾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선의 유형과 의복디자인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수직선 - 요크선
  2. 사선 - 플레어 스커트
  3. 지그재그선 - 솔기선
  4. 파상선 - 소매둘레
(정답률: 59%)
  • 사선은 대각선으로 연결된 두 점을 말하며, 플레어 스커트는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디자인을 말합니다. 사선은 동적이고 활동적인 느낌을 주며, 플레어 스커트는 여성스러움과 우아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사선과 플레어 스커트는 서로 어울리며, 선의 유형과 의복디자인이 바르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가을의 감각을 느낄 수 있는 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진한 코발트 블루
  2. 희끄무레한 회색
  3. 초록색 기미의 연두
  4. 찬 느낌의 아이스 블루
(정답률: 72%)
  • 정답: 진한 코발트 블루

    이유: 가을은 대개 노란, 주황, 갈색 등 따뜻한 색감이 많이 사용되지만, 진한 코발트 블루는 가을 하늘의 색감과도 유사하며, 시원하면서도 깊은 감성을 느끼게 해줍니다. 또한, 가을의 대표적인 색인 갈색과도 잘 어울리기 때문에 가을의 감성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사각 디자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포스터 디자인
  2. 제품 디자인
  3. 광고 디자인
  4. 포장 디자인
(정답률: 52%)
  • 제품 디자인은 사각 디자인에 속하지 않습니다. 사각 디자인은 주로 평면 디자인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디자인 요소들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품 디자인은 제품의 형태, 기능, 재질 등을 고려하여 디자인하는 것으로, 사각 디자인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차가운 느낌을 주는 색으로 나열된 것은?

  1. 노랑, 연두, 녹색
  2. 보라, 연두, 노랑
  3. 주황, 파랑, 보라
  4. 녹색, 파랑, 보라
(정답률: 84%)
  • 녹색, 파랑, 보라는 모두 색상적으로 차가운 색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녹색은 자연에서 차가운 느낌을 주는 색으로, 파랑은 물과 연관되어 차가운 느낌을 주며, 보라는 분홍색과 파란색의 조합으로 차가운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어떤 색을 한참 동안 주시하다가 급히 다른 흰 면으로 눈을 이동시키면 거기에 보색의 상이 보이는 것은?

  1. 진출
  2. 후퇴
  3. 팽창
  4. 잔상
(정답률: 95%)
  • 잔상은 한 색을 오랫동안 바라보다가 다른 색으로 눈을 돌리면, 눈에 그려진 색의 보색이 남아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잔상"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는 단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색광 혼합에서 빨강과 초록을 다음 그림과 같이 혼합하였을 때 A 부분에 알맞은 색은?

  1. 청록
  2. 노랑
  3. 자주
  4. 흰색
(정답률: 52%)
  • 빨강과 초록을 혼합하면 노란색이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A 부분에는 "노랑"이 알맞은 색입니다. 이는 빨강과 초록이 보색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보색 관계란 색상환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색상 관계를 말합니다. 빨강과 초록은 색상환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으므로 보색 관계에 있습니다. 이러한 보색 관계에 있는 두 색을 혼합하면 노란색이 나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먼저 본 색의 영향으로 나중에 보는 색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은?

  1. 명도 대비
  2. 계시 대비
  3. 채도 대비
  4. 동시 대비
(정답률: 83%)
  • 계시 대비는 먼저 본 색이 뇌에서 일시적으로 지속되어 나중에 보는 색에 영향을 주어 다르게 보이게 만드는 현상입니다. 즉, 뇌에서 먼저 처리된 색이 후속 색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빨간 사과, 노란 바나나 등 서로의 색을 다른 색과 구별하여 나타내는 것에 해당되는 것은?

  1. 색상
  2. 명도
  3. 채도
  4. 고명도
(정답률: 82%)
  • 주어진 보기 중에서 색상은 물체가 나타내는 색 중에서 서로 다른 색을 구별하는 특성을 나타냅니다. 즉, 빨간 사과와 노란 바나나는 색상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명도, 채도, 고명도는 색상과는 다른 색의 특성을 나타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아세테이트 직물의 세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드라이크리닝을 하는 것이 좋다.
  2. 세탁에 의해 구김이 잘 생기지 않는다.
  3. 물세탁시 알칼리성 세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40도 이상에서 세탁하여서는 안 된다.
(정답률: 65%)
  • "물세탁시 알칼리성 세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아세테이트 직물은 물에 젖으면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드라이크리닝을 권장하지만, 물세탁도 가능합니다. 이때 알칼리성 세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아세테이트 직물이 산성 환경에서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칼리성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면 직물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40도 이상에서 세탁하여서는 안 되는 것은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평직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앞뒤의 구별이 없다.
  2. 제직이 간단하다.
  3.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많다.
  4. 조직점이 많아 실이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해서 구김이 잘 생긴다.
(정답률: 94%)
  • 평직은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많은 것이 아니라, 조직점이 많아 실이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해서 구김이 잘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실로 이루어진 피륙은?

  1. 펠트
  2. 부직포
  3. 인조피혁
  4. 레이스
(정답률: 70%)
  • 실로 이루어진 피륙은 레이스입니다. 레이스는 실로 직조된 직물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실이 아닌 다른 소재로 만들어진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셀룰로스 섬유의 표백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표백에 앞서 수지가공 여부를 확인하여 표백 후 변색되는 일을 방지해야 한다.
  2. 정련 후 섬유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을 표백이라고 한다.
  3. 면직물에는 수산화나트륨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4. 좋은 백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표백의 필요성이 적다.
(정답률: 52%)
  • 표백에 앞서 수지가공 여부를 확인하여 표백 후 변색되는 일을 방지해야 한다는 이유는, 수지가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셀룰로스 섬유는 표백 시에 산화되어 변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지가공 여부를 확인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한 후에 표백을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피복의 보온성 저하에 가장 관계되는 것은?

  1. 직물조직이 치밀한 직물
  2. 통기성이 좋은 직물
  3. 두께가 두꺼운 직물
  4. 열전도율이 적은 섬유
(정답률: 61%)
  • 피복의 보온성은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통기성이 좋은 직물은 공기순환이 원활하여 체온 조절이 용이하고, 열이 빠르게 방출되어 보온성이 저하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기성이 좋은 직물이 보온성 저하에 가장 관계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능직으로 제직된 직물이 아닌 것은?

  1. 서지(serge)
  2. 개버딘(gaberdine)
  3. 포플린(poplin)
  4. 데님(denim)
(정답률: 67%)
  • 포플린은 제직 기법 중 하나가 아니라, 면사와 폴리에스터사를 섞어 만든 원단의 종류입니다. 따라서 능직으로 제직된 직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직물의 3원 조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평직
  2. 능직
  3. 두둑직
  4. 주자직
(정답률: 90%)
  • "두둑직"은 실이 교차하는 방식이 아닌, 실이 일직선으로 나열되어 있는 직물 조직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조직은 모두 실이 교차하는 방식으로 짜여진 조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위편성물의 기본조직이 아닌 것은?

  1. 능편
  2. 평편
  3. 펄(purl)편
  4. 고무편
(정답률: 31%)
  • 능편은 위편성물의 기본조직이 아닙니다. 위편성물의 기본조직은 평편이며, 펄편과 고무편도 위편성물의 기본조직입니다. 능편은 특별한 기술로 만들어진 조직으로, 일반적인 위편성물의 기본조직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레이온 섬유제품의 세탁요령에 해당하는 것은?

  1. 비누나 알칼리성 합성세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오염이 심할 때에는 탄산나트륨을 첨가하는 것도 무방하다.
  2. 습윤하면 강도가 크게 감소하므로 세탁할 때 큰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3. 열수 중에서 변형이 잘 일어나므로 40도 이상에서는 세탁하는 일을 피해야 한다.
  4. 중성세제를 사용하여야 하며, 축융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정답률: 65%)
  • 레이온 섬유제품은 습기에 민감하며, 습윤하면 강도가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세탁할 때 큰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섬유의 구조적 특성 때문인데, 레이온은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서 수분을 흡수하면 분자 간 결합력이 약화되어 강도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세탁 시에는 부드럽게 다루어야 하며, 거친 마찰이나 강한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코팅 가공을 위한 재료가 아닌 것은?

  1. 실리콘
  2. 폴리우레탄
  3. 안료
  4. 라미네이트
(정답률: 31%)
  • 라미네이트는 코팅 가공을 위한 재료가 아닙니다. 라미네이트는 여러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인조 목재나 바닥재 등에 사용되는 표면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