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7-11)

양장기능사
(2010-07-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다음 중 세트 인 슬리브(set in sleeve)에 해당되는 소매는?

  1. 요크 슬리브
  2. 래글런 슬리브
  3. 돌먼 슬리브
  4. 퍼프 슬리브
(정답률: 63%)
  • 세트 인 슬리브는 소매와 몸통 부분이 따로 만들어져서 소매 부분이 몸통 부분에 끼워져 있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퍼프 슬리브는 소매와 몸통 부분이 따로 만들어져서 세트 인 슬리브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바늘 실과 루퍼 실의 두 가닥의 재봉실이 천 밑에서 고리를 형성하는 재봉기는?

  1. 안전봉 재봉기
  2. 이중환봉 재봉기
  3. 단환봉 재봉기
  4. 주변 감침봉 재봉기
(정답률: 75%)
  • 바늘 실과 루퍼 실의 두 가닥을 동시에 사용하여 고리를 형성하는 재봉기를 이중환봉 재봉기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이중환봉 재봉기가 정답인 이유는 바늘 실과 루퍼 실을 동시에 사용하여 고리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같은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로 청바지의 솔기나 작업복, 스포츠 의류 등에 많이 사용되며 솔기가 뜯어지지 않게 처리하는 바느질법은?

  1. 가름솔
  2. 통솔
  3. 곱솔
  4. 쌈솔
(정답률: 90%)
  • 쌈솔은 솔기를 뜯어지지 않게 처리하기 위해 두꺼운 실로 묶어서 바느질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비해 가름솔은 솔기를 묶지 않고 바느질하는 방법이며, 통솔은 솔기를 묶어서 바느질하지만 쌈솔보다는 덜 단단하게 처리됩니다. 곱솔은 솔기를 묶어서 바느질하지만 쌈솔보다는 더 얇은 실을 사용하여 처리됩니다. 따라서 청바지나 작업복, 스포츠 의류 등과 같이 솔기가 자주 뜯어지는 의류에는 쌈솔이 가장 적합한 바느질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하반신 굴신체의 보정방법이 아닌 것은?

  1. 뒤다트 분량을 줄여준다.
  2. 뒤스커트 허리에 보조 다트를 넣는다.
  3. 뒤중심을 올려 주고 허리선을 오그려 준다.
  4. 앞중심을 파 준다
(정답률: 48%)
  • "뒤다트 분량을 줄여준다"는 하반신 굴신체의 보정방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뒤다트는 옷의 뒷부분에 있는 주름으로, 허리와 엉덩이 부분의 둘레를 맞추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따라서 뒤다트 분량을 줄이면 옷이 맞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보정방법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앞길이를 위쪽으로 약간 추가하고 가슴 다트도 약간 크게 보정하는 체형은?

  1. 상반신 후경체
  2. 하반신 후경체
  3. 상반신 굴신체
  4. 하반신 굴신체
(정답률: 78%)
  • 앞길이를 위쪽으로 추가하고 가슴 다트를 크게 보정하는 것은 상반신을 강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반신 후경체"가 정답입니다. 상반신 후경체는 어깨와 가슴이 넓고 허리가 좁은 체형으로, 상의를 입을 때 잘 어울리는 체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원가계산의 제3단계인 제품별 원가계산의 일반적인 방법에 해당되는 것은?

  1. 개별 원가 계산, 종합 원가 계산
  2. 직접 재료비 계산, 직접 노동비 계산
  3. 숙녀복 원가계산, 아동복 원가계산
  4. 재료 플러스 계산, 재료 마이너스 계산
(정답률: 49%)
  • 제품별 원가계산에서는 각 제품의 원가를 개별적으로 계산하고, 이를 종합하여 전체 제품의 원가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개별 원가 계산, 종합 원가 계산"이 정답입니다. 직접 재료비 계산과 직접 노동비 계산은 원가 계산의 세부 항목에 해당하며, 숙녀복 원가계산과 아동복 원가계산은 제품 종류에 따른 원가 계산 방법에 해당합니다. 재료 플러스 계산과 재료 마이너스 계산은 원가 계산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양에 따른 가감산 방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티스 부분이 테이프에 가려지게 되어 있어 완성된 모양이 한 줄의 절개선처럼 보이는 파스너 다는 방법은?

  1. 보통형 파스너 달기
  2. 콘실 파스너 달기
  3. 오픈 파스너 달기
  4. 장식 파스너 달기
(정답률: 74%)
  • 티스 부분이 테이프에 가려지게 되어 있어 완성된 모양이 한 줄의 절개선처럼 보이는 경우, 콘실 파스너를 사용하여 부착하면 테이프 아래에 숨겨져 보이지 않게 됩니다. 다른 종류의 파스너는 부착 위치가 노출되어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박음질 기구가 아닌 것은?

  1. 바늘대 기구
  2. 노루발 기구
  3. 윗실 조절 기구
  4. 루퍼 기구
(정답률: 58%)
  • 노루발 기구는 박음질 기구가 아닙니다. 노루발 기구는 가죽을 묶거나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도구로, 박음질을 하지 않습니다. 바늘대 기구, 윗실 조절 기구, 루퍼 기구는 모두 박음질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재봉기의 기구 중 윗실을 바늘귀로 유도하는 한편, 윗 실의 장력을조절하는 것은?

  1. 바늘대 기구
  2. 실채기 기구
  3. 실조절 기구
  4. 북집 기구
(정답률: 68%)
  • 재봉기에서 윗실을 바늘귀로 유도하는 것은 바늘대 기구의 역할입니다. 하지만 윗실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실채기 기구를 사용합니다. 실채기 기구는 윗실을 감아서 장력을 조절하며, 이를 통해 바늘과 아랫실의 실과 조화를 이루어 깔끔한 재봉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채기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재킷 진동둘에에서 Bust point 까지 연결되는 다트는?

  1. shoulder point Dart
  2. Center Front Dart
  3. Low Under Arm Dart
  4. Arm Hole Dart
(정답률: 78%)
  • 재킷의 Arm Hole 부분은 소매와 몸통이 이어지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는 몸통의 곡선과 소매의 곡선이 만나게 됩니다. 이 때 Arm Hole Dart는 이 부분의 곡선을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다트로, 소매와 몸통의 곡선을 맞추어 재킷의 핏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rm Hole Dar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가봉 방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봉방법은 의복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2. 바느질은 재봉기로 꼼꼼히 박는다
  3. 칼라, 주머니, 커프스는 광목이나 다른 옷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단추는 같은 크기로 종이나 옷감을 잘라서 일정한 위치에 붙인다.
(정답률: 83%)
  • "바느질은 재봉기로 꼼꼼히 박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가봉 방법은 손으로 바느질을 하며, 재봉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가봉 방법은 전통적인 수공예 기술로, 손으로 바느질을 하여 옷감을 연결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그림에 해당되는 원형은?

  1. 네크라인 다트
  2. 숄더 포인트 다트
  3. 센터 프론트 넥 다트
  4. 센터 프론트 라인 다트
(정답률: 52%)
  • 정답은 "센터 프론트 라인 다트"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선이 옷의 중앙 앞쪽을 따라 내려가는 라인이기 때문입니다. 이 라인을 따라서 만들어진 다트를 센터 프론트 라인 다트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그림에서 해당되는 다트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코듀로이와 같읕 두꺼운 면직물에 적합한 재봉기 바늘은?

  1. 9호, 11호
  2. 9호, 14호
  3. 11호, 14호
  4. 14호, 16호
(정답률: 79%)
  • 코듀로이와 같은 두꺼운 면직물은 바늘을 끼우는 구멍이 크기 때문에 두꺼운 바늘을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14호, 16호와 같은 두꺼운 바늘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9호, 11호는 바늘이 얇아서 적합하지 않고, 9호, 14호와 11호, 14호는 한쪽이 얇은 바늘을 사용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단추구멍의 크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단추의 지름 + 1cm
  2. 단추의지름 - 1 cm
  3. 단추의 지름 + 0.3cm
  4. 단추의지름 - 0.3cm
(정답률: 85%)
  • 단추구멍의 크기는 단추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만드는 것이 적합합니다. 이는 단추를 옷에 잘 고정시키기 위해 필요한 여유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너무 크게 만들면 단추가 늘어나거나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적당한 크기로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단추의 지름 + 0.3cm"이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너비가 110cm인 옷감으로 플레어형 코트를 제작할 때 필요한 옷감량은?

  1. 200- 220cm
  2. 250-270cm
  3. 300 - 350cm
  4. 350-380cm
(정답률: 57%)
  • 플레어형 코트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므로, 옷감의 너비가 충분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플레어형 코트를 제작할 때는 옷감의 너비의 2배 이상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110cm의 옷감으로 플레어형 코트를 제작하려면 최소 220cm 이상의 옷감이 필요하며, 여유를 두기 위해 300-350cm의 옷감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손바느질 중 바늘 땀을 되돌아 와서 뜨는 것은?

  1. 홈질
  2. 박음질
  3. 섞음질
  4. 시침질
(정답률: 87%)
  • 손바느질 중 바늘 땀을 되돌아 와서 뜨는 것은 "박음질"입니다. 바늘을 끼워놓은 부분을 뒤집어서 바늘을 박아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바늘 땀이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다리미 온도가 가장 높은 섬유는?

  1. 아마
  2. 양모
(정답률: 66%)
  • 정답은 "아마"입니다. 이유는 아마는 폴리에스터 섬유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다리미 온도가 높아도 녹거나 타지 않습니다. 반면 면, 견, 양모는 다리미 온도가 높으면 녹거나 탈색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H.L을 절개하여 뒤는 늘리고, 앞은 접어 줄여서 보정을 해야 하는 체형은?

  1. 엉덩이가 처진 체형
  2. 엉덩이가 나온 체형
  3. 하복부가 나온 체형
  4. 엉덩이가 나오고 복부가 들어간 체형
(정답률: 67%)
  • 엉덩이가 나오고 복부가 들어간 체형은 하체와 상체의 비대칭적인 비율로 인해 엉덩이가 크게 나오고, 반면에 상체는 비교적 작아 보이는 체형입니다. 이러한 체형은 하체에 비해 상체가 작아 보이기 때문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상체를 절개하여 뒤를 늘리고, 앞을 접어 줄여서 보정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너비가 150cm인 옷감으로 반소매 블라우스를 만들 때 옷감량의 필요량 계산법으로 옳은 것은?

  1. 블라우스 길이 + 소매길이+시접(7-10cm)
  2. (블라우스길이×2) + 소매길이 +시접 (7-10cm)
  3. 블라우스길이+소매길이 +시접(15-20cm)+여유분
  4. (블라우스길이×2)+소매길이 +여유분
(정답률: 87%)
  • 정답은 "블라우스 길이 + 소매길이+시접(7-10cm)"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블라우스 길이: 만들고자 하는 블라우스의 길이를 측정합니다.
    - 소매길이: 만들고자 하는 반소매 블라우스의 소매길이를 측정합니다.
    - 시접: 옷을 만들 때 솔직히 필요한 만큼만 잘라내면 옷감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접을 고려하여 옷감을 구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7-10cm 정도의 시접을 고려합니다.

    따라서, 블라우스 길이와 소매길이, 그리고 시접을 더한 값이 필요한 옷감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본패턴에 의거하여 각 부위별 치수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각주문 치수의 패턴을 조작해주는 작업은?

  1. 패턴제작
  2. 그레이딩
  3. 마킹
  4. 연단
(정답률: 88%)
  • 각 부위별 치수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각주문 치수의 패턴을 조작해주는 작업은 그레이딩입니다. 그레이딩은 기본 패턴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제품을 만들기 위해 각 부위의 치수를 조절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각 부위별 치수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각주문 치수의 패턴을 조작하는 작업은 그레이딩 작업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중 어깨 끝점의 약자는?

  1. B. P
  2. S. P
  3. W. L
  4. N. P
(정답률: 95%)
  • 어깨 끝점의 약자는 "S. P"입니다. "S. P"는 Scapular Point의 약자로 어깨뼈 끝에 해당하는 지점을 가리킵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부위나 지점을 나타내는 약자들이므로 정답은 "S. 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소매가 정장이나 외출복에 가장 적당한 소매산의 높이는?

(정답률: 72%)
  • 정장이나 외출복은 보통 소매가 길고 팔목까지 오므로, 소매산의 높이가 높을수록 적합합니다. 따라서 ""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블라우스의 보정법 중 옷을 입으면 앞이 뜨고 주름이 생기며, 뒤에는 가슴둘레선보다 위에 주름이 생긴다. 이 때에는 뒤의 길이를 늘이든지 앞의 길이를 줄이면 된다. 어떤 체형의 보정법인가?

  1. 반신체
  2. 굴신체
  3. 비만체
  4. 빈약체
(정답률: 74%)
  • 이 보정법은 굴신체에게 적합한 보정법입니다. 굴신체는 가슴이 크고 허리가 좁아서 옷을 입으면 앞이 뜨고 뒤에는 가슴둘레선보다 위에 주름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뒤의 길이를 늘이거나 앞의 길이를 줄여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가슴둘레 치수를 필요로 하는 것은?

  1. 슬랙스
  2. 큐롯 스커트
  3. 원피스
  4. 플레어 스커트
(정답률: 96%)
  • 원피스는 상의와 하의가 하나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가슴둘레 치수를 필요로 합니다. 슬랙스, 큐롯 스커트, 플레어 스커트는 하의이기 때문에 허리와 엉덩이 치수가 필요하고, 상의와 별도로 입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재봉기 바늘의 호수가 표시하는 의미로 옳은 것은?

  1. 바늘의 경도
  2. 바늘의 길이
  3. 바늘의 굵기
  4. 바늘의 종류
(정답률: 95%)
  • 재봉기 바늘의 호수는 바늘의 굵기를 나타냅니다. 호수가 작을수록 바늘의 굵기가 얇고, 호수가 클수록 바늘의 굵기가 두껍습니다. 따라서 바늘의 호수는 바늘의 굵기를 선택하는 데 중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길원형의 필요 치수 중 가장 중요한 항목은?

  1. 가슴둘레
  2. 앞길이
  3. 등길이
  4. 어깨너비
(정답률: 95%)
  • 가슴둘레는 옷의 핏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옷의 가슴둘레가 사용자의 가슴둘레와 일치하지 않으면 옷이 너무 타이트하거나 너무 헐렁해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옷을 제작할 때 가슴둘레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너비가 110cm인 옷감으로 긴 소매 원피스를 만들 때 필요한 옷감량의 계산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옷길이+소매길이+시접(10-15cm)
  2. (옷길이 ×1.2) + 소매길이 + 시접(10-15cm)
  3. (옷길이 ×2) + 소매길이 + 시접(12-16cm)
  4. (옷길이×2) +시접(12-16cm)
(정답률: 57%)
  • 옷감의 너비가 110cm이므로, 소매 길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옷감을 잘라서 이어붙여야 합니다. 이 때, 옷감을 이어붙이는 부분인 시접을 고려해야 합니다. 시접은 일반적으로 10-15cm 정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매 길이와 시접을 더한 값에 옷길이의 1.2배를 더해주면, 옷감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구한 옷감의 길이에는 시접을 고려한 여유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옷을 만들 때 충분한 길이가 확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450 각도를 이루는 두 개의 선을 먼저 긋고 그 선에 맞추어 스커트의 절개선을 벌려주는 스커트는?

  1. 45˚ 플레어 스커트
  2. 90˚ 플레어스커트
  3. 180˚ 플레어스커트
  4. 360˚ 플레어스커트
(정답률: 83%)
  • 45˚ 각도를 이루는 두 개의 선을 긋고 그 선에 맞추어 스커트의 절개선을 벌려주면, 스커트의 전체적인 둘레가 넓어지면서 180˚ 플레어스커트가 된다. 이는 스커트가 허리에서부터 절개선까지 점점 더 퍼지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90˚ 플레어스커트는 90˚ 각도를 이루는 두 개의 선을 기준으로 만들어지며, 360˚ 플레어스커트는 전체적으로 퍼지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180˚ 플레어스커트가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인체 측정에 있어서 측정항목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바지길이 - 옆허리 선부터 무릎점까지의 길이를 잰다(오른쪽 뒤에서)
  2. 앞길이 - 오른쪽 목옆점에서 유두를 지나 허리선까지 잰다. (오른쪽 앞에서)
  3. 유두간격 - 좌우 유두의 거리를 잰다. (앞에서)
  4. 밑위길이 - 등 길이를 측정하여 허리선을 지나 바닥까지의 길이를 잰다.(왼쪽 뒤에서)
(정답률: 53%)
  • 앞길이는 오른쪽 목옆점에서 유두를 지나 허리선까지의 길이를 재는 것이 옳다. 이는 상반신의 길이를 측정하는 항목으로, 목 옆점에서 유두를 지나 허리선까지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상반신의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계측항목에 대한 계측방법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유두길이는 유두점 사이의 직선길이이다.
  2. 가슴둘레는 가슴의 유두점을 지나는 수평둘레이다
  3. 앞 길이는 옆목점에서 유두점을 지나 허리둘레선 까지의 길이이다.
  4. 등길이는 뒤목점에서 뒤중심선을 따라 허리둘레선까지의 길이이다
(정답률: 63%)
  • 정답은 "유두길이는 유두점 사이의 직선길이이다." 이다. 유두길이는 유두점에서 유두의 가장 높은 지점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20's/3 으로 표시된 면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20번수 1 cm 당 꼬임수 3인 면사
  2. 20번수 3합사인 면사
  3. 20합사 1 cm당 꼬임수 3인 면사
  4. 20합사 3번수의 면사
(정답률: 75%)
  • "20번수 3합사인 면사"는 20개의 실을 합쳐서 만든 면사이며, 1cm 당 꼬임수는 3회입니다. 이는 면사의 두께와 단단함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면사는 20개의 실을 합쳐서 만들어졌으며, 꼬임수가 3회인 면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능직물에 해당되는 것은?

  1. 서지
  2. 광목
  3. 목공단
  4. 도스킨
(정답률: 62%)
  • 능직물은 책이나 문서를 제본할 때 사용되는 재료로, 종이를 묶어서 책의 내용물을 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서지"가 능직물에 해당됩니다. 광목은 목재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목공단은 목재를 가공하는 공장, 도스킨은 가죽을 가공하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견섬유는 어느 염료와 친화력이 가장 좋은가?

  1. 산성염료
  2. 배트염료
  3. 분산염료
  4. 황화염료
(정답률: 63%)
  • 견섬유는 음이온을 가진 산성염료와 친화력이 가장 높습니다. 이는 견섬유의 표면에 양이온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성염료는 견섬유에 가장 잘 묻어나며, 색감이 선명하고 오래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산과 알칼리에 대하여 좋은 내성을 가지고 있는 섬유는?

  1. 식물성 섬유
  2. 합성섬유
  3. 재생 섬유
  4. 반합성 섬유
(정답률: 67%)
  • 정답: 합성섬유

    이유: 산과 알칼리에 대한 내성은 섬유의 화학적 안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합성섬유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섬유로,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 산과 알칼리에 대한 내성이 뛰어납니다. 따라서 합성섬유가 산과 알칼리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00% 아세톤 용액에 용해되는 섬유는?

  1. 나일론
  2. 아크릴
  3. 레이온
  4. 아세테이트
(정답률: 63%)
  • 아세톤은 아세테이트를 용해시키는 용매입니다. 따라서, 아세톤 용액에는 아세테이트 섬유가 용해됩니다. 다른 보기인 나일론, 아크릴, 레이온은 아세톤에 용해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양모섬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열전도율이 적다.
  2. 탄성이 좋지 못하다.
  3. 흡습성이 좋다.
  4. 염색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71%)
  • 양모섬유는 탄성이 좋지 못합니다. 이는 양모섬유가 신축성이 낮아서 인데, 이는 양모섬유의 분자 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양모섬유는 산소와 질소로 이루어진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단백질인 케라틴이 주성분입니다. 케라틴은 직선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신축성이 낮습니다. 따라서 양모섬유는 탄성이 좋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견섬유의 생사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은?

  1. 광물질
  2. 세리신
  3. 납 질
  4. 펙틴질
(정답률: 66%)
  • 견섬유는 단백질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세리신은 견섬유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입니다. 세리신은 아미노산 중 하나로, 단백질의 구성 성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견섬유의 생사에는 세리신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비교적 짧고 불균일한 면섬유로 만든 것은?

  1. 카드사
  2. 코머사
  3. 방모사
  4. 소모사
(정답률: 48%)
  • 카드사는 비교적 짧고 불균일한 면섬유로 만든 것입니다. 이는 카드사가 일반적으로 면사를 사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견사의 종류에서 고치로부터 조사하여 얻은 견사는?

  1. 정련견사
  2. 숙사
  3. 옥사
  4. 생사
(정답률: 61%)
  • 고치로부터 조사하여 얻은 견사는 생사입니다. "생"은 살아나는 것을 의미하며, "사"는 죽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생사는 살아나는 것과 죽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종합적인 견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섬유제품 취급 표시 중 양모제품에 표시하는 기호로 틀린 것은?

(정답률: 88%)
  • ""는 양모가 아닌 실크 제품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이 기호는 실크 제품에 사용되며, 양모 제품에는 "" 기호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가스봄베(gasbombe)에서 상징되는 색으로 틀린 것은?

  1. 수소 - 겸정
  2. 산소 - 초록
  3. 아세틸렌 - 노랑
  4. 프로판가스 - 회색
(정답률: 62%)
  • 정답: "수소 - 겸정"

    가스봄베에서 상징되는 색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산소 - 초록
    - 아세틸렌 - 노랑
    - 프로판가스 - 회색

    수소는 가스봄베에서 사용되지만, 상징색은 겸정색이 아닌 투명색입니다. 이는 수소가 무색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색과 함께 대상의 시각적 경험을 형성하고, 일정한 크기, 색채, 질감을 가진 모양은?

  1. 구성
  2. 형태
  3. 자연
  4. 입체
(정답률: 72%)
  • 색과 함께 대상의 시각적 경험을 형성하는 것은 형태입니다. 색채와 질감은 형태를 강조하고, 일정한 크기는 형태의 크기를 결정합니다. 또한, 형태는 입체적인 느낌을 주며, 구성과 자연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의복의 배색조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저채도인 색의 면적을 넓게 하고 고채도의 색을 좁게 하면 균형이 맞고 수수한 느낌이 든다.
  2. 고채도인 색의 면적을 넓게 하고 저채도의 색을 좁게 하면 매우 화려한 배색이 된다.
  3. 고명도의 색을 좁게 하고 저명도의 색을 넓게 하면 명시도가 낮아 보인다.
  4. 한색계의 색을 넓게 하고 난색계의 색을 좁게 하면 약간 침울하고 가라앉은 듯한 느낌이 든다.
(정답률: 48%)
  • "고명도의 색을 좁게 하고 저명도의 색을 넓게 하면 명시도가 낮아 보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고명도의 색은 눈에 더 잘 띄기 때문에 면적이 좁더라도 명확하게 보입니다. 반면에 저명도의 색은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에 면적이 넓어져야 더욱 눈에 띄게 됩니다. 따라서 고명도의 색을 넓게 하고 저명도의 색을 좁게 하면 명시도가 높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공간에서 위치를 나타내는 점의 최소 개수는?

  1. 4개
  2. 3개
  3. 2개
  4. 1개
(정답률: 57%)
  • 공간에서 위치를 나타내는 점은 최소 1개여야 합니다. 이유는 공간에서 어떤 한 점을 선택하면 그 점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색의 잔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극의 강도와 주시된 시간에 따라 지속되는 시간이 비례한다.
  2. 계시대비와 관계가 있다.
  3. 부의 잔상과 정의 잔상으로 나누어진다.
  4. 주의 색에 의해서 그 색과 비슷한 색으로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정답률: 43%)
  • 주의 색에 의해서 그 색과 비슷한 색으로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는 것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이는 간단명료하게 설명하기에 이미 충분히 간단하고 명료한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먼셀 표색계에서 중앙 수직축에서 수평으로 멀어지는 척도를 나타낸 것은?

  1. 채도
  2. 색상
  3. 색 입체
  4. 명도
(정답률: 50%)
  • 먼셀 표색계에서 채도는 중앙 수직축에서 수평으로 멀어지는 척도를 나타냅니다. 이는 색의 선명도나 진하고 연한 정도를 나타내는데, 중앙축에 가까울수록 색이 탁하고 연하며, 멀어질수록 색이 선명하고 진해집니다. 따라서 채도는 색의 선명도나 진하고 연한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색의 팽창성과 수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색계가 난색계보다 크게 팽창되어 보인다.
  2. 밝은 색이 어두운 색보다 작게 수축되어 보인다.
  3. 배경색이 밝을수록 무늬색은 작게 수축되어 보인다.
  4. 진출성이 있는 색들은 작게 수축되어 보인다.
(정답률: 66%)
  • 색의 팽창성은 주변 색에 영향을 받아 크게 보이는 성질을 말하고, 수축성은 주변 색에 영향을 받아 작게 보이는 성질을 말합니다. 배경색이 밝을수록 무늬색은 작게 수축되어 보이는 이유는, 밝은 색은 주변에 더 많은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무늬색의 영향을 받아 작게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배경색이 어두울수록 무늬색은 크게 보이게 되고, 밝을수록 작게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색의 효과에서 빨강을 보고 사람들은 소방차, 붉은 잉크, 사과, 피, 불, 애정 등 각각 다른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에 해당되는 것은?

  1. 색의 연상
  2. 색의 상징
  3. 색의 기억
  4. 색의 기호
(정답률: 70%)
  • 빨강은 우리 뇌에서 강한 자극을 받아 뇌파를 증폭시키는 색으로, 이로 인해 빨강을 보면 강렬하고 활동적인 이미지를 떠올리게 됩니다. 이러한 이미지는 개인의 경험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빨강은 위험, 열정, 사랑, 힘 등의 이미지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은 색의 연상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흰색을 많이 섞으면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색은?

  1. 자주
  2. 분홍
  3. 주황
  4. 빨강
(정답률: 88%)
  • 흰색은 색상을 연하게 만들어 부드러운 느낌을 줍니다. 분홍색은 빨강과 흰색을 섞어 만든 색으로, 흰색을 많이 섞으면 더 연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분홍색은 흰색을 많이 섞으면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색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색채 관리가 필요한 가장 주된 이유는?

  1. 상품에 적합한 색을 도입하여 기능과 미를 충족시켜 판매효과를 증대하는 데 있다.
  2. 운송이나 보관을 위해 포장색을 관리하는 것이다.
  3. 기업의 확대나 제품의 다량 생산을 위한 경영 전략이다.
  4. 제품의 품질과 비자의 개별 취향을 위해서 이다.
(정답률: 85%)
  • 상품의 색을 관리하는 이유는 상품에 적합한 색을 도입하여 기능과 미를 충족시켜 판매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일반 가공 중 후처리 가공에 해당되는 것은?

  1. 발효
  2. 정련
  3. 신징
  4. 텐더링
(정답률: 46%)
  • 텐더링은 일반 가공 후에 고기를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적절한 온도와 시간에 고기를 조리하는 후처리 가공 방법입니다. 따라서 일반 가공 후에 이루어지는 후처리 가공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경사와 위사가 각기 세올로 한 완전조직으로 되풀이되는 능직은?

  1. 3매 능직
  2. 4매 능직
  3. 5매 능
  4. 6매 능직
(정답률: 75%)
  • 경사와 위사가 각기 세올로 한 완전조직으로 되풀이되는 능직은 3매 능직입니다. 이는 세올이 3개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매 능직은 각각의 세올에서 경사와 위사가 한 조직으로 묶여서 되풀이되는 능직입니다. 4매 능직, 5매 능직, 6매 능직은 각각의 세올에서 경사와 위사가 두 개 이상의 조직으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되풀이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파륙의 구성 방법에 의한 분류 중 실로 만들어진 피륙이 아닌 것은?

  1. 편성물
  2. 레이스
  3. 펠트
  4. 직물
(정답률: 80%)
  • 파륙은 실을 이용하여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펠트"는 실이 아닌 양모나 기타 섬유를 압축하여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파륙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그림과 같은 직물조직 이름은?

  1. 사직
  2. 코듀로이
  3. 여직
  4. 레노직
(정답률: 37%)
  • 이 직물조직은 여러 개의 수직 실로 이루어진 조직으로, 이러한 실들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눈금 모양의 무늬가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이 직물조직의 이름은 "여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경수를 연화시켜 연수로 만드는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끓이는 방법
  2. 이온 교환 방법
  3. 산을 첨가하는 방법
  4. 금속이온 봉쇄제를 첨가하는 방법
(정답률: 50%)
  • 산을 첨가하는 방법은 연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산성화하여 연화를 방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유용성 오점이 아닌 것은?

  1. 기계유
  2. 식용유
  3. 왁스
  4. 당류
(정답률: 84%)
  • 정답인 "당류"는 식품에 사용되는 첨가물로서 당을 제공하며, 식품의 맛을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는 유용성이 있는 첨가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직물표면에 나타나 있는 실매듭, 맺음코, 실끝 등을 족집게, 핀셋, 가위등으로 제거하는 작업은?

  1. 노팅(Knotting)
  2. 멘딩(mending)'
  3. 얼룩빼기(stain removing)
  4. 비밍(beaming)
(정답률: 73%)
  • 노팅(Knotting)은 직물표면에 나타나 있는 실매듭, 맺음코, 실끝 등을 제거하는 작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직물을 다듬거나 수선하는 작업이나, 직물을 첨단기에 감아주는 작업 등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목공단과 도스킨(doeskin)과 같은 직물에 해당되는 조직은?

  1. 평직
  2. 사문직
  3. 수자직
  4. 변화조직
(정답률: 62%)
  • 목공단과 도스킨은 모두 수자직에 해당됩니다. 이는 수직과 수평으로 교차하는 실로 이루어진 조직으로, 직물의 표면이 부드럽고 매끄러우며 내구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면직물을 머서화 가공하는 주된 목적은?

  1. 광택의 증가
  2. 강력의 감소
  3. 결정화도의 증가
  4. 천연꼬임의 증가
(정답률: 74%)
  • 면직물을 머서화 가공하는 주된 목적은 광택의 증가입니다. 머서화는 면직물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 광택을 높이는 가공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면직물의 빛을 반사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광택이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염료 분자내에 있는 것으로 아조기( -N=N -),카르보닐기(>C=o)와 같은 색의 근원이 되는 이중 결합을 가진 원자단은?

  1. 발색단
  2. 조색단
  3. 색소
  4. 안료
(정답률: 42%)
  • 발색단은 색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이중 결합을 가진 원자단을 말합니다. 따라서 발색단이 포함된 분자는 색을 내는데 기여하게 됩니다. 반면에 조색단은 발색단과는 달리 색을 직접 내지는 않지만, 발색단이 가진 색을 강화하거나 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색소와 안료는 발색단과 조색단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색소는 용해성이 좋아 물에 쉽게 녹아 색을 내는 반면, 안료는 용해성이 낮아 물에 잘 녹지 않고 색을 내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