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10-03)

양장기능사
(2010-10-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재봉기 작업을 시작할 때 준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재봉기에 있는 기름은 충분한가를 확인한다.
  2. 북틀이나 톱니에 살이 감겨있지 않은가를 확인한다.
  3. 실, 바늘, 가위 등 필요한 것들이 제자리에 놓여져 있는가를 확인한다.
  4. 봉제상태가 잘 되었는가를 확인한다.
(정답률: 91%)
  • 재봉기 작업을 시작할 때 준비사항으로 "봉제상태가 잘 되었는가를 확인한다."는 틀린 것입니다. 이는 이미 봉제가 완료된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므로, 작업 시작 전에 확인해야 할 것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준비사항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그림에서 의복제도에 필요한 부호의 의미는?

  1. 줄임
  2. 심지
  3. 선의 교차
  4. 두 선을 맞춰서 재단
(정답률: 88%)
  • 이 그림에서 의복제도에 필요한 부호 중 "선의 교차"는 두 개의 선이 서로 교차하는 부호입니다. 이 부호는 의복 제작 시에 두 개의 부분을 이어붙일 때 사용되며, 두 개의 부분이 교차되어야 옷이 깔끔하게 완성됩니다. 따라서 이 부호는 의복 제작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의복구성상 인체를 나누는 기준선은?

  1. 가슴둘레선, 허리둘레선, 진동둘레선
  2. 엉덩이둘레선, 가슴둘레선, 허리둘레선
  3. 목밑둘레선, 진동둘레선, 허리둘레선
  4. 진동둘레선, 가슴둘레선, 목밑둘레선
(정답률: 72%)
  • 인체를 나누는 기준선은 허리둘레선입니다. 이유는 허리둘레선이 상체와 하체를 나누는 경계선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의복구성상 상의의 길이는 목밑둘레선과 진동둘레선을 기준으로 하며, 하의의 길이는 허리둘레선을 기준으로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목밑둘레선, 진동둘레선, 허리둘레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심지를 사용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의복을 반듯하게 한다.
  2.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다.
  3. 아름다운 실루엣을 부여한다.
  4. 빳빳한 느낌을 갖는다.
(정답률: 85%)
  • 심지는 의복의 형태를 유지시키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빳빳한 느낌은 심지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으로,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기본 시접이 1cm인 부위는?

  1. 칼라
  2. 어깨와 옆선
  3. 블라우스단
  4. 소매단
(정답률: 87%)
  • 칼라는 셔츠나 블라우스의 목 부분에 있는 부분으로, 기본 시접이 1cm입니다. 어깨와 옆선, 블라우스단, 소매단은 모두 다른 부위이며, 기본 시접이 1cm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칼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기모노 소매가 매우 짧아진 형태로 길과 소매가 한 장으로 구성되는 소매는?

  1. 래글런 소매
  2. 프렌치 소매
  3. 드롭 숄더 소매
  4. 톨먼 소매
(정답률: 84%)
  • 기모노 소매와 같이 소매가 매우 짧아진 형태로 구성되며, 길과 소매가 한 장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소매가 프렌치 소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혼방이나 교직의 옷감일 경우 다리미의 온도조절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열에 약한 섬유를 기준으로 하여 온도를 맞춘다.
  2. 열에 강한 섬유를 기준으로 하여 온도를 맞춘다.
  3. 온도를 중간에 맞춘다.
  4. 아무 쪽이나 상관없다.
(정답률: 79%)
  • 혼방이나 교직의 옷감은 열에 약한 섬유와 열에 강한 섬유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열에 강한 섬유를 기준으로 하면 열에 약한 섬유가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열에 약한 섬유를 기준으로 하여 온도를 맞추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진동둘레에서 어깨 끝의 자른 분량과 같은 분량으로 내리고 진동둘레선을 다시 수정하는 체형의 보정은?

  1. 어깨선이 뒤로 치우친 체형의 보정
  2. 어깨선이 뒤로 넘어간 체형의 보정
  3. 솟은 어깨의 보정
  4. 처진 어깨의 보정
(정답률: 90%)
  • 진동둘레에서 어깨 끝의 자른 분량과 같은 분량으로 내리고 진동둘레선을 다시 수정하는 것은 어깨선을 보정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처진 어깨의 보정"이 정답인 이유는 어깨가 앞으로 쏙 들어간 체형을 가진 사람들은 어깨선이 뒤로 치우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깨선을 앞으로 끌어당겨 처진 어깨를 보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옷감에 주름을 잡아 오그리는 장식봉의 기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패거팅(fagoting)
  2. 셔링(shirring)
  3. 러플링(ruffling)
  4. 스모킹(smocking)
(정답률: 62%)
  • 패거팅은 옷감을 두 겹으로 접어 놓고 그 사이에 실을 끼워서 주름을 만드는 기법입니다. 반면에 셔링은 옷감을 수직으로 주름을 잡아 오그리는 기법이며, 러플링은 옷감의 가장자리를 주름을 잡아 오그리는 기법입니다. 스모킹은 옷감을 작은 주름으로 잡아서 탄력을 주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패거팅이 가장 거리가 먼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소매원형 제도 시 소매산 높이를 정하는데 필요한 치수는?

  1. 진동둘레
  2. 팔 둘레
  3. 소매 길이
  4. 팔꿈치 길이
(정답률: 88%)
  • 소매원형 제도에서는 소매산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해 진동둘레를 사용합니다. 이는 손목에서 소매뼈 아래쪽까지의 둘레를 의미합니다. 소매산의 높이는 이 진동둘레에 따라 결정되며, 소매산의 높이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소매가 편안하게 착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진동둘레는 소매원형 제도에서 소매산 높이를 정하는 데 필요한 가장 중요한 치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시침바느질이 끝난 후 겉옷에 맞추어 속옷을 정리하고 바르게 착용한 후 관찰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허리선, 밑단선이 수직으로 놓였는지를 확인한다.
  2. 옷감의 올이 바로 놓였으며 앞, 뒤, 옆의 옷 길이가 적당한가 확인한다.
  3. 전체적인 실루엣이 디자인에 알맞은가 확인한다.
  4.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의 여유분이 적당한지를 확인한다.
(정답률: 75%)
  • 허리선과 밑단선이 수직으로 놓여야 옷이 바르게 착용되고 균형잡힌 모습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허리선이 기울어져 있다면 옷이 불편하게 느껴지고, 밑단선이 기울어져 있다면 옷이 비스듬하게 느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은 정확하게 확인해야 옷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재봉기의 고장 원인 중 윗실이 끊어질 경우와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1. 톱니에 결함이 있다.
  2. 노루발 압력에 결함이 있다.
  3. 실 상태에 결함이 있다.
  4. 북집의 부착에 결함이 있다.
(정답률: 67%)
  • 재봉기에서 윗실이 끊어질 경우, 실이 움직이지 않아서 바늘이 움직이지 않게 됩니다. 이는 실 상태에 결함이 있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이 풀리거나 끊어져서 바늘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실 상태를 확인하고 교체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 상태에 결함이 있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러닝 스티치로 잘게 홈질하거나 재봉기로 박아 실을 잡아당겨 잔주름을 만드는 방법은?

  1. 파이핑
  2. 스모킹
  3. 턱킹
  4. 개더
(정답률: 65%)
  • 스모킹, 턱킹, 파이핑은 모두 잔주름을 만드는 기술이지만, 러닝 스티치로 홈질하거나 재봉기로 박아 실을 잡아당겨 만드는 방법은 개더(Gath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칼라의 가장자리나 옷감과 옷감사이의 솔기선에 배색이 좋은 다른 천을 끼워 넣는 장식봉은?

  1. 핀 턱
  2. 스모킹
  3. 파이핑
  4. 바이어스
(정답률: 86%)
  • 파이핑은 옷감의 가장자리나 솔기선에 다른 천을 끼워 넣어 배색하는 장식봉으로, 주어진 보기 중에서는 유일하게 이러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트 머니퓨레이션(dart manioutation)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피봇팅(pivoting)법과 질개법이 있다.
  2. 절개법이 초보자에게 적합하다.
  3. 다트 위치를 이동시켜 새로운 원형을 만드는 과정이다.
  4. 절개법은 한 개의 고정점을 중심으로 원형을 고정시키고 다른 부분의 원하는 위치로 돌려서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정답률: 5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본봉 재봉기에서 주어진 땅 길이에 맞게 천을 앞으로 밀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노루발
  2. 침판
  3. 톱니
  4. 실채기
(정답률: 75%)
  • 톱니는 땅과 천 사이에 위치하여 땅 길이에 맞게 천을 밀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톱니는 이빨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천을 잡아당기면서 밀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피복제작의 일반적인 과정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1. 치수 설정
  2. 의복 설계
  3. 패턴 제작
  4. 재단
(정답률: 71%)
  • 치수 설정은 피복 제작의 기본이 되는 작업으로, 제작할 의복의 크기와 모양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 작업을 먼저 해야만 의복 설계, 패턴 제작, 재단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수 설정은 피복 제작의 일반적인 과정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소매길이를 재는데 기준점이 되지 않는 것은?

  1. 어깨끌점
  2. 목뒤점
  3. 팔꿈치점
  4. 손목점
(정답률: 86%)
  • 소매길이를 재는 기준점은 손목점에서부터 어깨끝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어깨끌점, 팔꿈치점, 손목점은 모두 소매길이를 측정하는 기준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목뒤점은 소매길이를 측정하는 기준점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목뒤점은 옷의 전체 길이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기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제품생산요인의 3가지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재료비
  2. 인건비
  3. 제조경비
  4. 일반관리비
(정답률: 89%)
  • 일반관리비는 제품생산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간접비용으로, 회사 전반적인 경영에 필요한 비용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제품생산요인의 3가지 요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겉면이 파일조직으로서 방향성이 있는 냅(nap) 가공된 천의 면단이나 천의 면이 한 쪽 방향으로만 향하게 하는 면단에 적합한 연단기는?

  1. 턴테이블 연단기
  2. 자동 연단기
  3. 자동행거 연단기
  4. 적극송출 연단기
(정답률: 67%)
  • 턴테이블 연단기는 회전하는 테이블 위에 천을 올려놓고 연단하는 방식으로, 천의 면단이나 면이 한 쪽 방향으로만 향하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일조직으로서 방향성이 있는 냅(nap) 가공에 적합한 연단기입니다. 자동 연단기, 자동행거 연단기, 적극송출 연단기는 회전하는 테이블이 없거나, 천의 면단이나 면이 한 쪽 방향으로만 향하게 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어깨슬기선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어깨끝점과 옆목점을 연결하는 선이다.
  2. 어깨끝점과 겨드랑이점을 연결하는 선이다.
  3. 양 어깨끝점을 연결하는 선이다.
  4. 앞목점과 옆목점을 연결하는 선이다.
(정답률: 68%)
  • 어깨슬기선은 어깨끝점과 옆목점을 연결하는 선입니다. 이는 어깨와 목의 연결점을 나타내며, 어깨 슬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봉 때 바느질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상침시침
  2. 온박음질
  3. 홈질
  4. 숨은상침
(정답률: 82%)
  • 가봉 때 바느질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상침시침"입니다. 이는 바늘을 올리고 내리면서 끊임없이 실을 당기는 방식으로, 실이 빠지지 않고 꼬이지 않아 깔끔한 마무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양한 재질에 적용할 수 있어 유연한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접착에 필요한 조건이 온도, 압력 그리고 프레스 시간이며 옷감의 안정을 높여주기 때문에 봉제공정을 쉽게 할 수 있게 해 주 어 작업자의 능률이 향상되는 심지는?

  1. 부적포심지
  2. 접착심지
  3. 면심지
  4. 마심지
(정답률: 74%)
  • 접착에 필요한 조건이 온도, 압력 그리고 프레스 시간이며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심지가 접착심지입니다. 이 심지는 옷감의 안정을 높여주기 때문에 봉제공정을 쉽게 할 수 있게 해 주어 작업자의 능률이 향상됩니다. 따라서 접착심지는 봉제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스커트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스커트로서, 어덩이 둘레선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쉼의 스커트는?

  1. 플레어 스커트(flare skirt)
  2. 스트레이트 스커트(straight skirt)
  3. 고어 스커트(gored skirt)
  4. 플리츠 스커트(pleats skirt)
(정답률: 87%)
  • 어덩이 둘레선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스커트를 스트레이트 스커트라고 부릅니다. 이는 가장 기본적인 스커트 형태로, 직선적인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있어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다른 스커트들과는 달리 특별한 디자인이나 장식이 없어서 심플하면서도 클래식한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일반적인 기성복 제작과정으로 옳은 것은?

  1. 그레이딩 → 공업용 옷본 제작 → 마킹 → 연단 → 재단 → 봉제
  2. 공업용 옷본 제작 → 그레이딩 → 마킹 → 연단 → 재단 → 봉제
  3. 그레이딩 → 마킹 → 연단 → 공업용 옷본 제작 → 재단 → 봉제
  4. 공업용 옷본 제작 → 연단 → 재단 → 그레이딩 → 마킹 → 봉제
(정답률: 77%)
  • 일반적인 기성복 제작과정은 공업용 옷본 제작 → 그레이딩 → 마킹 → 연단 → 재단 → 봉제 순서로 진행됩니다.

    먼저, 공업용 옷본 제작 단계에서는 디자인을 바탕으로 실제 옷을 만들기 위한 패턴을 만듭니다.

    다음으로, 그레이딩 단계에서는 옷의 크기를 다양하게 만들기 위해 패턴을 확대 또는 축소합니다.

    마킹 단계에서는 패턴을 직접 옷감에 옮겨 표시하고, 연단 단계에서는 옷감을 패턴에 맞게 자릅니다.

    재단 단계에서는 자른 옷감을 다시 조합하여 옷의 형태를 만들고, 마지막으로 봉제 단계에서는 옷을 솔솔 봉입니다.

    따라서, 공업용 옷본 제작 → 그레이딩 → 마킹 → 연단 → 재단 → 봉제 순서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안전 다림질 온도가 150℃인 섬유는?

  1. 아마
  2. 양모
  3. 아라미드
(정답률: 65%)
  • 안전 다림질 온도는 섬유의 열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양모는 안전 다림질 온도가 150℃로 비교적 낮은 편에 속합니다. 반면에 면은 200℃, 아마는 220℃, 아라미드는 250℃ 이상의 안전 다림질 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양모가 이 중에서 안전 다림질 온도가 150℃인 섬유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그림과 같은 스커트의 이름은?

  1. 큐롯 스커트
  2. 개더드 스커트
  3. 랩어라운드 스커트
  4. 티어드 스커트
(정답률: 87%)
  • 이 스커트는 앞쪽이 랩어라운드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어서 "랩어라운드 스커트"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스커트에서 앞허리 밑에 가로로 군주름이 생기는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1. 허리 밑의 넓이가 너무 좁아서 꼭 낄 때 생긴다.
  2. 허리 밑의 넓이가 너무 헐렁할 때 생긴다.
  3. 배가 없거나 마른 체형에 생긴다.
  4. 배가 많이 나온 체형에 생긴다.
(정답률: 47%)
  • 스커트에서 앞허리 밑에 가로로 군주름이 생기는 이유는 "허리 밑의 넓이가 너무 좁아서 꼭 낄 때 생긴다."입니다. 즉, 스커트의 허리 밑 부분이 너무 좁아서 허리와 엉덩이 부분이 스커트 안쪽에 밀착되면서 군주름이 생기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슴이 풍안하기 때문에 가슴에 당기는 주름이 생기고 뒤로 젖혀진 체형은?

  1. 상반신 굴신체
  2. 상반신 반신체
  3. 하반신 굴신체
  4. 하반신 반신체
(정답률: 80%)
  • 가슴이 풍안하면 가슴에 당기는 주름이 생기고, 뒤로 젖혀진 체형은 상반신 반신체에 해당합니다. 이는 상반신의 굴곡이 뚜렷하고, 하반신은 비교적 직선적인 형태를 띄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머즐린과 같은 얇은 모직물에 가장 적합한 실과 재봉기 바늘은?

  1. 연사 21D/2×3, 9호
  2. 연사 80rS, 9호
  3. 견사 21D/4×3, 11호
  4. 견사 80rS, 11GH
(정답률: 46%)
  • 머즐린과 같은 얇은 모직물은 얇고 부드러운 특징이 있으므로 바늘도 얇고 부드러워야 합니다. 따라서 연사 바늘보다는 견사 바늘이 적합합니다. 또한, 견사 바늘 중에서도 21D/4×3은 바늘 끝이 둥글고 두껍기 때문에 모직물에 구멍을 내지 않고 잘 미끄러지며, 11호는 바늘의 굵기가 적당하여 모직물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견사 21D/4×3, 11호"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피복의 위생적 성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함기성
  2. 통기성
  3. 드레이프성
  4. 대전성
(정답률: 71%)
  • 드레이프성은 피복의 모양이 고정되어 있어서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피복은 활동성이 떨어지고, 움직임이 제한되어 위생적 성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피복의 위생적 성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드레이프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면과 폴리에스테르 혼용제품에서 면섬유를 가장 잘 용해시키는 약재는?

  1. 100% 아세톤
  2. 70% 황산
  3. 2.5% 수산화나트륨
  4. 20% 염산
(정답률: 50%)
  • 면섬유는 자연섬유로서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용해시키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70% 황산은 면섬유를 용해시키는 데 효과적인 약제입니다. 이는 황산이 면섬유의 결합력을 약화시켜 용해시키기 쉽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면과 폴리에스테르 혼용제품에서 면섬유를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70% 황산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섬유가 습윤하였을 때 강도가 증가하는 섬유는?

  1. 비스코스 레이온
  2. 양모
  3. 아세테이트
(정답률: 68%)
  • 습윤하면 면 섬유 내부의 수분이 증가하여 분자 간 결합력이 강화되어 강도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품질이 좋은 면섬유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섬유장이 길다.
  2. 섬유가 굵고 강하다.
  3. 우윳빛의 얇은 크림색이 최상이다.
  4. 섬유의 광택이 우수하다.
(정답률: 41%)
  • 섬유가 굵고 강하다는 것은 품질이 좋은 면섬유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섬유의 불편한 착용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부드러운 착용감과 흡수력이 떨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품질이 좋은 면섬유는 섬유장이 길고, 우윳빛의 얇은 크림색이 최상이며, 섬유의 광택이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섬유 중 단면의 모양이 삼각형인 것은?

  1. 양모
(정답률: 87%)
  • 견은 삼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섬유들은 대부분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합성섬유 중 원료의 축합중합 반응으로 얻어지는 것은?

  1. 아크릴
  2. 나일론
  3. 폴리비닐알코올
  4. 폴리염화비닐
(정답률: 49%)
  • 나일론은 카복실기와 아미노기가 축합중합 반응을 일으켜 만들어지는 합성섬유입니다. 따라서 원료의 축합중합 반응으로 얻어지는 합성섬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양모섬유에서 섬유간의 포합력을 나타내어 탄성과 방적성을 주는 성질은?

  1. 크림프
  2. 강도
  3. 색깔
  4. 길이
(정답률: 75%)
  • 양모섬유에서 섬유간의 포합력을 나타내어 탄성과 방적성을 주는 성질은 크림프입니다. 이는 양모섬유의 구조상 섬유가 꼬여있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러한 꼬임이 섬유간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탄성과 방적성을 부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양모섬유의 표면에 해당되는 것은?

  1. 파라 내섬유
  2. 오르토 내섬유
  3. 스케일층
  4. 오수
(정답률: 82%)
  • 양모섬유의 표면에 해당되는 것은 스케일층입니다. 이는 양모섬유의 표면에 있는 작은 비늘 모양의 구조물로, 양모의 특징적인 모양을 결정하고 표면적을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스케일층은 양모의 특성인 보온성과 흡습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표준길이 1000m, 표준무게 1g으로 섬유의 굵기를 나타내는 것은?

  1. 영국식 면사번수
  2. 텍스
  3. 데니어
  4. 킬로텍스
(정답률: 74%)
  • 텍스는 섬유의 직경을 나타내는 단위로, 1000m의 섬유를 1g으로 무게를 측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표준길이와 표준무게가 모두 1000m와 1g인 경우에는 섬유의 굵기를 나타내는 가장 적합한 단위가 텍스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면사번수, 데니어, 킬로텍스로 각각 다른 기준으로 섬유의 굵기를 측정하는 단위이므로 정답은 텍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필라멘트사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1. 방적사에 비해 광택이 적다.
  2. 길이가 짧은 섬유로 만든다.
  3. 방적사에 비해 강력이 우수하다.
  4. 면사는 필라멘트사의 대표이다.
(정답률: 66%)
  • 방적사는 섬유를 만들 때 물질을 녹여서 섬유를 만들기 때문에 섬유 내부에 공기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강도가 약합니다. 하지만 필라멘트사는 섬유를 직접 뽑아내기 때문에 공기가 적게 포함되어 있어 강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방적사에 비해 강력이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먼셀 표색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상의 분할은 빨강, 노랑, 초록색, 파랑, 보라의 다섯가지 주요 색상을 선택하였다.
  2. 명도는 검정을 0, 흰색을 10으로 정하였다.
  3. 채도는 무채색을 0으로 하여 순색까지의 단계를 정하였다.
  4. 표기는 2Rne와 같이 2R은 색상, n은 백색량, 0는 검정색양으로 표기한다.
(정답률: 59%)
  • 표기는 2Rne와 같이 2R은 색상, n은 백색량, 0는 검정색양으로 표기하지 않습니다. 올바른 표기는 2R/0.5Y/2.5G/0.5B 와 같이 슬래시(/)를 사용하여 색상과 채도를 표기하고, 숫자는 밝기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가장 따뜻한 느낌을 주는 옷감의 색상은?

  1. 주황
  2. 흰색
  3. 연두
  4. 파랑
(정답률: 82%)
  • 주황은 따뜻한 색상으로, 태양이 떠오르는 아침이나 가을의 노을과 같은 따뜻한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성공적인 의상디자인을 위한 의상선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재단 상의 직선은 착용 시 곡선이 될 수 있다.
  2. 의복선은 여러 가지 느낌을 표현한다.
  3. 활동적인 이미지의 의복은 선의 특성에 크게 좌우된다.
  4. 선은 재질이나 색과 무관하다.
(정답률: 68%)
  • 선은 재질이나 색과 무관하다는 것은 선 자체가 의상의 디자인과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선은 의복의 형태와 느낌을 결정하며, 디자이너가 의상을 디자인할 때 선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원하는 디자인을 구현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선은 의상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체형이 큰 사람에게 잘 어울리는 색채는?

  1. 높은 명도와 높은 채도
  2. 높은 명도와 낮은 채도
  3. 낮은 명도와 높은 채도
  4. 낮은 명도와 낮은 채도
(정답률: 63%)
  • 체형이 큰 사람은 일반적으로 크고 강한 인상을 줍니다. 이에 따라 너무 화려하거나 선명한 색상은 더욱 큰 체형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낮은 명도와 낮은 채도의 색상을 선택하면 부드럽고 차분한 인상을 줄 수 있어 체형을 조금 더 가늘어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디자이너가 제품을 만들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사람의 몸 치수와 생김새
  2. 구조나 기술
  3. 계절적 감각이나 재료의 특성
  4. 국민성이나 지방성 또는 민족성
(정답률: 59%)
  • 국민성이나 지방성 또는 민족성은 제품의 디자인에 있어서는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요소입니다. 이는 제품의 기능성과 성능을 개선하거나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데에 중점을 두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품의 국민성이나 지방성 또는 민족성은 문화적인 측면에서 중요하지만, 제품의 디자인에 있어서는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심장기관에 도움을 주며, 신체적 균형을 유지시켜 주고, 혈액순환을 돕고, 교감신경 계통에 영향을 주는 색은?

  1. 녹색
  2. 파랑
  3. 노랑
  4. 빨강
(정답률: 76%)
  • 녹색은 자연과 생명력을 상징하는 색으로, 심장기관에 도움을 주며 혈액순환을 돕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녹색은 신체적 균형을 유지시켜 주고 교감신경 계통에 영향을 주는데도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뚱뚱한 체형의 사람에게 어울리는 의복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명도 색으로 어두운 계통의 의복을 입는다.
  2. 엷은 색을 주색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팽창색을 이용한다.
  4. 큰 무늬 옷감을 이용한다.
(정답률: 87%)
  • 뚱뚱한 체형의 사람에게는 저명도 색으로 어두운 계통의 의복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어두운 색상이 체형을 감추고, 저명도 색상이 더 얇아 보이게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큰 무늬나 팽창색을 사용하면 체형이 더 크게 보일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주황색에 흰색을 섞으면 주황색이 어떤 변화를 주는가?

  1. 명도와 채도 모두 높아진다.
  2. 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진다.
  3. 명도와 채도 모두 낮아진다.
  4. 명도는 낮아지고, 채도는 높아진다.
(정답률: 26%)
  • 주황색에 흰색을 섞으면 밝아지면서 더 빛나는 색이 되므로 명도는 높아지게 됩니다. 그러나 흰색은 색상을 희석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채도는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같은 크기의 정사각형 빨강과 초록색을 나란히 놓았을 때 경계 부근에서 빨강은 더욱 선명하고 깨끗하게 보이며 경계면에서 먼 쪽은 탁해 보이는 현상은?

  1. 명도 대비
  2. 채도 대비
  3. 면적 대비
  4. 연변 대비
(정답률: 53%)
  • 이 현상은 "연변 대비" 때문입니다. 연변 대비란, 서로 다른 색상이나 밝기의 경계 부근에서 색상이나 밝기가 더욱 선명하게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경계 부근에서 빛의 반사와 굴절이 복잡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빨강과 초록색이 나란히 놓였을 때, 빨강과 초록색의 경계 부근에서 연변 대비가 일어나면서 빨강이 더욱 선명하게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세련되고 지적인 느낌을 주기 위한 의상색이 아닌 것은?

  1. 원색
  2. 한색
  3. 3차색
  4. 저채도의 색
(정답률: 59%)
  • 정답은 "원색"입니다.

    원색은 세련되고 지적인 느낌을 주는 것이 아니라, 강렬하고 화려한 느낌을 주는 색상입니다. 원색은 기본적인 색상으로, 빨강, 노랑, 파랑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원색은 주로 활기찬 분위기를 연출하며, 세련되고 지적인 느낌을 주기에는 부적합합니다. 따라서, 세련되고 지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서는 한색, 3차색, 저채도의 색 등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급사몬 조직에 해당되는 사문선의 각도는?

  1. 11°
  2. 18.5°
  3. 40°
  4. 53°
(정답률: 47%)
  • 급사몬 조직은 사문선의 각도가 53°입니다. 이는 급사몬 조직이 가장 밀도가 높은 조직으로, 분자들이 가장 밀집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밀도는 결정의 강도와 경도에 영향을 미치며, 급사몬 조직은 보통 강하고 단단한 결정을 형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방축 가공이 아닌 것은?

  1. 샌포라이즈 가공
  2. 런던 슈링크 가공
  3. 양모의 염소화 가공
  4. 듀어러블 프레스 가공
(정답률: 42%)
  • 듀어러블 프레스 가공은 방축 가공이 아닙니다. 이는 금속 가공 기술로, 금속 시트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형상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반면, 샌포라이즈 가공, 런던 슈링크 가공, 양모의 염소화 가공은 모두 방축 가공 기술로, 원단을 물에 담가 늘어난 후, 힘을 가해 방향성을 만들어 형태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여러 올의 실을 서로 매든가, 꼬든가 또는 엮거나 얽어서 무늬를 짠 공간이 많고 비쳐 보이는 피륙은?

  1. 직물
  2. 레이스
  3. 편성물
  4. 부직포
(정답률: 75%)
  • 레이스는 여러 개의 실을 서로 매거나 꼬거나 엮어서 만든 공간이 많고 비쳐 보이는 직물로, 문제에서 설명한 피륙은 레이스의 특징 중 하나인 무늬를 짠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레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피륙의 구성 방법에 의한 분류 중 실로 만들어진 피륙인 것은?

  1. 필름
  2. 편성물
  3. 펠트
  4. 부직포
(정답률: 66%)
  • 피륙은 피부의 보호와 수분 유지를 위해 만들어지는데, 편성물은 실로 만들어진 피륙으로, 실이 모여서 뭉쳐진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편성물은 실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실로 만들어진 피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신사복, 숙녀복 등의 심지 및 의류 부자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편성물
  2. 축융포
  3. 레이스
  4. 부직포
(정답률: 72%)
  • 부직포는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신사복, 숙녀복 등의 심지 및 의류 부자재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부직포는 흡수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땀이 많이 나는 여름철에도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면사 또는 면직물에 광택을 증가시키기 위해 농수산화나트퓸용액으로 처리하는 가공은?

  1. 축융 가공
  2. 어서화 가공
  3. 캘린더 가공
  4. 플리스 가공
(정답률: 65%)
  • 농수산화나트퓸용액으로 처리하여 면사 또는 면직물에 광택을 증가시키는 가공 방법은 어서화 가공입니다. 어서화 가공은 화학적인 방법으로 직물의 표면을 처리하여 광택을 증가시키는 가공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제직이 끝난 생지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은?

  1. 정련
  2. 발호
  3. 표백
  4. 가호
(정답률: 74%)
  • 제직이 끝난 생지는 여전히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해 정련 공정이 필요합니다. 정련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수한 금속을 얻기 위한 공정으로, 생지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수한 금속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양모직물의 주름 고정 가공에 해당되는 것은?

  1. 시로셋 가공
  2. 캘린더 가공
  3. 런던 슈렁크 가공
  4. 플리스 가공
(정답률: 25%)
  • 시로셋 가공은 열과 압력을 가하여 양모직물의 섬유를 고정시키는 가공 방법입니다. 이는 주름을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어 양모직물의 주름 고정 가공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세탁물의 건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면, 마, 레이온 등의 섬유제품은 직사광선에서 건조해도 무방하다.
  2. 양모, 견 등의 섬유제품은 그늘에서 말리느 것이 좋다.
  3. 풍건(風乾)의 경우 세탁물의 건조속도는 기온, 상대습도, 풍속의 영향을 받는다.
  4. 편성물은 옷의 변형이 수비게 생기므로 처음부터 옷걸이에서 건조한다.
(정답률: 75%)
  • 편성물은 옷의 변형이 수비게 생기므로 처음부터 옷걸이에서 건조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옷걸이에 걸어서 건조할 경우 옷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옷의 모양이 변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편성물은 건조기나 매트에 뉘어서 건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작업복에 가장 요구되는 직물의 성능은?

  1. 위생적 성능
  2. 형태안정적 성능
  3. 유행적 성능
  4. 내구적 성능
(정답률: 74%)
  • 작업복은 일상적으로 많은 활동과 노동을 수행하므로 내구적 성능이 가장 중요합니다. 내구적 성능이 높은 직물은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더 많은 활동과 노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복에는 내구적 성능이 가장 요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