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1-27)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2002-01-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동차공학

1. 피스톤링의 총 마찰력이 6㎏f, 피스톤의 평균 속도가 15m/sec라고 하면 피스톤링의 마찰로 인한 손실마력은 몇 PS인가?

  1. 1.2
  2. 2.2
  3. 3.3
  4. 4.4
(정답률: 43%)
  • 손실마력 = 마찰력 × 속도
    손실마력 = 6 × 15 = 90 (kgf·m/s)
    1 PS = 75 kgf·m/s
    손실마력을 PS로 변환하면 90 ÷ 75 = 1.2 PS 이므로 정답은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클러치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회전부분의 평형이 좋을 것
  2. 회전관성이 클 것
  3. 회전력 단속이 확실할 것
  4. 과열되지 않을 것
(정답률: 90%)
  • 회전관성이 클 것이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클러치는 회전부분의 평형이 좋을 것, 회전력 단속이 확실할 것, 과열되지 않을 것 등의 구비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회전관성이 클 경우, 클러치의 작동이 느려지거나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하이드로백은 무엇을 이용하여 브레이크에 배력작용을 하는가?

  1. 배기가스 압력을 이용한다.
  2. 대기 압력만을 이용한다.
  3. 흡기 다기관의 압력만을 이용한다.
  4. 대기압과 흡기 다기관의 압력차를 이용한다.
(정답률: 74%)
  • 하이드로백은 대기압과 흡기 다기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브레이크에 배력작용을 합니다. 이는 대기압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점에서 흡기 다기관을 통해 낮은 압력의 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압력차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 압력차를 이용하여 하이드로백은 브레이크에 필요한 압력을 생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중량 1톤의 물체를 10초 사이에 7.5m높이까지 올리는 기중기의 동력은 몇 마력(ps)인가?

  1. 5 마력
  2. 7.5 마력
  3. 10 마력
  4. 75 마력
(정답률: 40%)
  • 물체를 올리는 데 필요한 일은 중력과 같은 크기의 역력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필요한 동력은 중력과 같은 크기의 힘을 10초 동안 가하는 것입니다. 중력은 물체의 질량과 중력 가속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여기서는 중량이 주어졌으므로 중력은 1톤(=1000kg) × 9.8m/s² = 9800N입니다. 이 힘을 10초 동안 가하면 일의 양은 힘 × 거리 = 9800N × 7.5m = 73500J입니다. 마력은 일의 양을 시간으로 나눈 것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73500J ÷ 10s = 7350W = 10마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 마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관의 과급기(Super charger engine)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흡기에 속도에너지를 주는 기관이다.
  2. 공기와 연료와의 혼합을 효율적으로 하는 기관이다.
  3. 실린더의 용적에 비해 보다 많은 급기를 하는 기관이다.
  4. 피스톤의 펌프 운동에 의해 급기를 흡입하는 기관이다.
(정답률: 58%)
  • 과급기는 흡기 과정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실린더에 공급함으로써, 실린더의 용적에 비해 보다 많은 급기를 제공하는 기관입니다. 이는 엔진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기관의 SAE마력을 계산하기 위해 알아야 할 것은?

  1. 실린더내경의 치수 및 실린더 수
  2. 기관회전수 및 회전력
  3. 압축비 및 실린더 내경치수
  4. 제동마력과 실린더 수
(정답률: 46%)
  • 기관의 SAE마력은 엔진의 출력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실린더 내부에서 연소되는 연료와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계산됩니다. 따라서 실린더내경의 치수는 연소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므로 SAE마력 계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실린더 수도 SAE마력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디젤기관에서 실린더내의 연소압력이 최대가 되는 기간은?

  1. 착화 늦음기간
  2. 화염 전파기간
  3. 직접 연소기간
  4. 후기 연소기간
(정답률: 62%)
  • 디젤기관에서는 고압의 공기를 실린더 내부에 채워 넣고, 그 안에 연료를 분사하여 자연 발화시키는 방식으로 연소가 일어납니다. 이때 연료가 분사된 후 공기와 혼합되어 화염이 발생하고, 이 화염이 실린더 내부에서 확산하면서 연소가 일어납니다. 이 과정에서 연소압력이 최대가 되는 시기는 화염이 전파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이때 화염이 전파되는 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에, 연소압력이 가장 높아지는 시기가 됩니다. 이 시기를 직접 연소기간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동차의 오버드라이브(Over Drive)장치로 이용되는 것은?

  1. 링크장치
  2. 유체 전동장치
  3. 유성기어장치
(정답률: 76%)
  • 오버드라이브(Over Drive)장치는 자동차의 변속기에 장착되어 있으며, 주행 중에 엔진의 회전수를 낮추고 차량 속도를 높이는 기능을 합니다. 이를 위해 오버드라이브(Over Drive)장치는 유성기어장치를 이용합니다. 유성기어장치는 일반적인 기어와는 달리 기어와 기어 사이에 유성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기어를 연결하여 변속비를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오버드라이브(Over Drive)장치는 차량의 속도를 높이면서도 연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평탄한 포장도로에서 어떤 자동차를 일정속도로 주행시켜 500m의 구간을 통과하는 사이의 소요시간과 연료 소비량을 측정했더니 각각 36초, 25㏄였다.이 자동차의 속도는?

  1. 40㎞/h
  2. 45㎞/h
  3. 50㎞/h
  4. 55㎞/h
(정답률: 50%)
  • 속도 = 거리 ÷ 시간

    주어진 정보에서 거리는 500m, 시간은 36초이다.

    따라서, 속도 = 500 ÷ 36 = 13.89m/s

    이를 km/h로 변환하면, 13.89 × 3.6 = 50.004 ≈ 50㎞/h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자배전 점화장치에서 DLI(Distributor less ignition)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ECU
  2. 배전기
  3. 이그니션 코일
  4. 점화플러그
(정답률: 50%)
  • DLI(Distributor less ignition) 시스템은 분배기(distributor)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배전기는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대신 ECU, 이그니션 코일, 점화플러그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가솔린 기관(자동차용)의 실린더내 최고 폭발압력은 약 몇 kgf/cm2인가?

  1. 3.5
  2. 35
  3. 350
  4. 3500
(정답률: 49%)
  • 가솔린 기관의 실린더내 최고 폭발압력은 약 35 kgf/cm2입니다. 이는 가솔린 기관에서 사용되는 평균적인 압력 범위이며, 이상적인 연소를 위해 필요한 압력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산소 센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공연비를 피드백 제어하기 위해 사용한다.
  2. 공연비가 농후하면 출력전압은 0.45V 이하이다.
  3. 공연비가 희박하면 출력전압은 0.45V 이상이다.
  4. 300℃ 이하에서도 작동한다.
(정답률: 75%)
  • 산소 센서는 공연비를 측정하여 공연비가 농후하면 출력전압이 0.45V 이하, 공연비가 희박하면 출력전압이 0.45V 이상이 되도록 조절하여 공연비를 피드백 제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이 센서는 300℃ 이하에서도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가솔린 연료분사장치에서 스로틀 보디의 구성부품이 아닌 것은?

  1. 에어플로우 센서
  2. 스로틀 포지션 센서
  3. 스로틀 밸브
  4. 공전조절장치
(정답률: 53%)
  • 에어플로우 센서는 공기의 유입량을 감지하여 연료분사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스로틀 보디의 구성부품은 스로틀 포지션 센서, 스로틀 밸브, 공전조절장치 등이 있지만, 에어플로우 센서는 스로틀 보디의 구성부품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어플로우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발전기의 전압 조정기로 사용되는 다이오드는?

  1. 발광 다이오드
  2. 포토 다이오드
  3. 제너 다이오드
  4. 다링톤 트랜지스터
(정답률: 61%)
  • 제너 다이오드는 발전기의 전압 조정기로 사용되는 다이오드입니다. 이는 제너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전류를 제어합니다. 따라서 발전기의 안정적인 운전을 위해 제너 다이오드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비스커스 커플링에서 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은?

  1. 피동판
  2. 구동판
  3. 펌프
  4. 터빈
(정답률: 53%)
  • 비스커스 커플링은 두 개의 축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기계적인 부품입니다. 이 중 구동력을 전달하는 축을 구동축이라고 합니다. 구동축과 연결된 부분이 구동판이며, 이 부분이 회전함으로써 비스커스 커플링을 통해 다른 축으로 구동력을 전달합니다. 따라서, 비스커스 커플링에서 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은 구동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축전지로부터 기동전동기로 흐르는 회로의 전압강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터미널의 접촉이 나쁘면 전압강하가 발생한다.
  2. 전류가 많이 흐르는 곳이므로 접촉이 조금만 나빠도 전압강하는 크다.
  3. 전동기 B단자까지의 회로는 저항이 크므로 전압강하가 많이 발생한다.
  4. 회로의 전압강하 총합은 공급전압과 같다.
(정답률: 42%)
  • 전동기 B단자까지의 회로는 저항이 크므로 전압강하가 많이 발생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는 오른쪽 답입니다. 전압강하는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발생하는데, 저항이 큰 회로에서는 전류가 작아지므로 전압강하도 작아집니다. 따라서, 전동기 B단자까지의 회로는 저항이 크므로 전압강하가 많이 발생한다는 설명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원인이 아닌 것은?

  1. 회로의 합선에 의해 과도한 전류가 흘렀을 때
  2. 퓨즈가 부식되었을 때
  3. 퓨즈가 접촉이 불량할 때
  4. 동일한 용량의 퓨즈 12V용을 24V에 끼웠을 때
(정답률: 51%)
  • 자동차용 퓨즈는 정해진 용량과 전압에 맞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용량의 퓨즈 12V용을 24V에 끼우면 전압이 높아져서 퓨즈가 단선되지 않고 과도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회로나 부품에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따라서, 퓨즈를 교체할 때는 반드시 정해진 용량과 전압에 맞는 퓨즈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자동차용 일반 축전지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일반적으로 축전지의 음극 단자는 양극단자 보다 크다.
  2. 정전류 충전이란 일정한 충전 전압으로 충전하는 것을 말한다.
  3. 일반적으로 충전시킬 때는 + 단자는 수소가, - 단자는 산소가 발생한다.
  4. 전해액의 황산 비율이 증가하면 비중은 높아진다.
(정답률: 56%)
  • 전해액은 물과 황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황산 비율이 증가하면 전해액의 밀도가 증가하여 비중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는 축전지의 전하를 더 많이 저장할 수 있게 하며, 충전 시에도 더 많은 전하를 충전할 수 있게 합니다. 따라서 축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LPG 자동차에서 기상측 배관 파손시 액상측의 LPG가 기상측 배관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1. 영구자석
  2. 솔레노이드 밸브
  3. 첵 밸브
  4. 감압 밸브
(정답률: 70%)
  • LPG 자동차에서 기상측 배관 파손시 액상측의 LPG가 기상측 배관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첵 밸브입니다. 이는 첵 밸브가 일방향으로만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액상측의 LPG가 기상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변속기와 차동장치를 연결하며 두축간의 충격의 완화와 각도변화를 융통성있게 동력전달하는 기구는?

  1. 프로펠러 샤프트(propeller shaft)
  2.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
  3. 파워시프트(power shift)
  4. 크로스멤버(cross member)
(정답률: 78%)
  • 유니버설 조인트는 두 축 사이의 각도 변화와 충격을 완화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입니다. 이는 차량의 운전 중에 발생하는 도로 조건 변화나 주행 중의 차체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과 각도 변화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변속기와 차동장치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차량의 원활한 주행을 위해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동차차체정비

21. 리벳의 길이 표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머리부분을 포함한 전체길이
  2. 머리부분을 제외한 길이
  3. 어느 것이나 관계없다.
  4. 머리부분의 길이
(정답률: 58%)
  • 리벳의 길이는 머리 부분이 실제 사용 시에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머리 부분을 제외한 실제 사용 가능한 길이를 표시하는 것이 옳습니다. 따라서 "머리부분을 제외한 길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탄소강 중 탄소량이 적을수록 인성은?

  1. 적어진다.
  2. 변동이 없다.
  3. 커진다.
  4. 전혀없다.
(정답률: 54%)
  • 탄소강 중 탄소량이 적을수록 인성은 커진다. 이는 탄소가 강철 내에서 경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즉, 탄소량이 적을수록 강도는 낮아지지만, 인성은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보의 회전과 수평이동이 모두 불가능한 지점은 어떤 지점을 말하는가?

  1. 가동 힌지 지점
  2. 자유 지점
  3. 부동 힌지 지점
  4. 고정 지점
(정답률: 71%)
  • 고정 지점은 회전과 수평 이동이 모두 불가능한 지점을 말합니다. 이는 보가 고정되어 있어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지점들과 달리 보의 위치가 변하지 않으며, 고정된 상태로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과 같은 보에서 반력이 맞는 것은?

  1. RA = 78kgf, RB = 45kgf
  2. RA = 80kgf, RB = 50kgf
  3. RA = 86kgf, RB = 44kgf
  4. RA = 96kgf, RB = 55kgf
(정답률: 50%)
  • 보의 상태에서는 물체 A와 B가 정지해 있으므로, 물체 A와 B에 작용하는 힘의 합력은 0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RA + RB = 130kgf 이어야 합니다. 이를 만족하는 유일한 답은 "RA = 86kgf, RB = 44kgf"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용접전류 160(A), 전압 30(V)일 때의 전력은 몇 kW인가?

  1. 4.2
  2. 4.8
  3. 5.3
  4. 7.6
(정답률: 53%)
  • 전력(P)은 전류(I)와 전압(V)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P = I x V 입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전류와 전압을 대입하면, P = 160 x 30 = 4800(W) = 4.8(k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미그(MIG)용접에 있어서 용접 토치와 본체를 연결하는 중요 케이블이 아닌 것은?

  1. 플렉시블 콘딧라이너(flexible conduit lirer)
  2. 파워 메인 케이블(power main cable)
  3. 가스 호스(gas tube) 및 제어리드
  4. 네오 프레네 튜브(neoprene tube)
(정답률: 53%)
  • 네오 프레네 튜브는 용접 토치와 본체를 연결하는 중요 케이블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네오 프레네 튜브는 일반적으로 용접 시 발생하는 열과 스파터로부터 용접 토치를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트램 트랙킹(tram tracking) 게이지(gauge)는 차의 어느것을 측정하는가?

  1. 차의 무게
  2. 차의 비틀림 각
  3. 차의 길이치수
  4. 차의 중심
(정답률: 65%)
  • 트램 트랙킹 게이지는 차의 길이치수를 측정합니다. 이는 트램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트램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늘어난 철판의 냉간(冷間)을 조이거나 용접부위를 평평하고 매끄럽게 하는 패널을 성형하기 위해 사용하는 돌리(dolly)의 이름은?

  1. 양두 돌리
  2. 힐(heel) 돌리
  3. 커브 돌리
  4. 조르기 돌리
(정답률: 44%)
  • 조르기 돌리는 늘어난 철판의 냉간을 조이거나 용접부위를 평평하고 매끄럽게 하는 패널을 성형하기 위해 사용하는 돌리로, 이름 그대로 철판을 조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조르기 돌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두께를 조절하며 일감을 잡을 수 있게 되어 있는 집게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플렛 노즈 플라이어
  2. 라운드 노즈 플라이어
  3. 클램프 플라이어
  4. 컴비네이션 플라이어
(정답률: 48%)
  • 컴비네이션 플라이어는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나사와 다양한 형태의 집게를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일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더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프레임 센터링 게이지에 의해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프레임의 상하휨
  2. 프레임의 좌우휨
  3. 프레임의 비틀림
  4. 프레임의 접속부 이완
(정답률: 68%)
  • 프레임 센터링 게이지는 프레임의 상하휨, 좌우휨, 비틀림을 측정할 수 있지만, 프레임의 접속부 이완은 측정할 수 없습니다. 이는 접속부 이완이 발생하면 프레임의 전체 구조가 변형되어 프레임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접속부 이완이 발생하면 다른 방법으로 측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차체정비에 쓰이는 동력공구(Power Tool)는 어느 것인가?

  1. 파워 드릴
  2. 판금 해머
  3. 돌리 블럭
  4. 보디 스푼
(정답률: 76%)
  • 차체정비에서는 주로 금속 부품을 다루기 때문에, 금속을 구멍 내거나 나사를 박거나 빼는 등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동력공구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파워 드릴입니다. 파워 드릴은 회전력과 토크를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드릴 비트를 사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워 드릴은 손으로 작업하는 것보다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정비에서는 필수적인 동력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납의 성질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전성이 크고 연하다.
  2. 인체에 유독한 금속이다.
  3. 공기나 물에는 거의 부식되지 않는다.
  4. 내 알카리성이다.
(정답률: 73%)
  • 정답은 "내 알카리성이다."입니다. 납은 내 중성성을 가지며, 알카리성이 아닌 중성 또는 산성 환경에서 안정적입니다. 따라서 납은 내 알카리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보(빔)에 걸리는 힘이 균형되어 정지하였을 때, 보(빔)의 임의 단면에 걸리는 모멘트는 어떻게 되는가?

  1. 균형을 이룬다.
  2.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다.
  3. 불균형을 이룬다.
  4. 긴쪽으로 치우친다.
(정답률: 69%)
  • 보(빔)에 걸리는 힘이 균형되어 정지하였을 때, 보(빔)의 임의 단면에 걸리는 모멘트는 0이 되어 균형을 이룹니다. 이는 모멘트의 정의에서 알 수 있습니다. 모멘트는 힘과 그 힘이 작용하는 지점 사이의 거리를 곱한 값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보(빔)에 걸리는 힘이 균형되어 있다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불균형을 이루지 않으므로 모멘트는 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일반적으로 자동차 사고시에 나타나는 손상을 바르게 표시한 것은?

  1. 직접손상과 유발손상
  2. 간접손상과 충돌손상
  3. 외면손상과 내면손상
  4. 충돌손상과 추돌손상
(정답률: 51%)
  • 자동차 사고시에 나타나는 손상은 일반적으로 "직접손상과 유발손상"으로 나타납니다. 직접손상은 차량이 직접적으로 충격을 받아 생긴 손상으로, 차체의 파손, 창문의 깨짐, 엔진의 손상 등이 해당됩니다. 유발손상은 차량이 다른 물체에 충돌하여 생긴 손상으로, 다른 차량이나 건물, 인명 등의 손상이 해당됩니다. 이러한 손상들은 보험 청구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프라이머 서페이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래커 프라이머 서페이서
  2. 아크릴계 프라이머 서페이서
  3. 알키트계 프라이머 서페이서
  4. 테트론계 프라이머 서페이서
(정답률: 54%)
  • 테트론계 프라이머 서페이서는 존재하지 않는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스프레이 도장시 오렌지필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부적합한 도료의 미립화
  2. 용제 증발이 빠를 때
  3. 스프레이건과 물체 간의 거리가 멀 때
  4. 이미 도장된 연합 도료 위에 연달아 거친 도료가 부딪쳐 도장될 때
(정답률: 44%)
  • 스프레이건과 물체 간의 거리가 멀 때는 오렌지필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스프레이건과 물체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도료 입자들이 분산되어 물체 표면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렌지필 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용접기 내부에 설치된 철심의 재료로 적당한 것은?

  1. 고속도강
  2. 주강
  3. 규소강
  4. 니켈강
(정답률: 48%)
  • 용접기 내부에 설치된 철심은 고온과 전기를 견디기 위해 내구성이 높은 재료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규소강은 내식성과 내열성이 뛰어나며, 전기적 저항이 낮아 전기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용접기 내부에 적합한 재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규소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도료의 3가지 성분이 아닌 것은?

  1. 수지
  2. 유지
  3. 안료
  4. 용제
(정답률: 80%)
  • 정답은 "용제"입니다.

    도료는 일반적으로 수지, 유지, 안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용제"는 도료의 성분이 아니며, 도료를 혼합하거나 희석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용제"가 아닌 "유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색상이 아름답고 장식품에 많이 쓰이는 재료는?

  1. 문츠메탈
  2. 포금
  3. 톰백
  4. 7:3 황동
(정답률: 40%)
  • 톰백은 높은 광택과 화려한 색상으로 장식품에 많이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또한 내구성이 뛰어나고 부식에 강하며 가공이 용이하여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알루미늄을 철과 같은 부피로 놓고 비교할 때 무게는 어느 정도인가?

  1. 1/2
  2. 1/3
  3. 1/5
(정답률: 76%)
  • 알루미늄의 밀도는 철의 밀도보다 약 1/3 정도 낮습니다. 따라서 같은 부피의 알루미늄은 철보다 약 1/3 정도 가벼워집니다. 이는 알루미늄의 원자량이 철의 원자량보다 작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전관리

41. CO2 용접방법 중 용입부족의 결함사항이 발생하였을때 원인이 아닌 것은?

  1. 용접겹침이 너무 좁다.
  2. 용접전류가 낮다.
  3. 와이어 공급률이 너무 빠르다.
  4. 모재에 과다한 산소가 공급되었다.
(정답률: 51%)
  • CO2 용접에서 용입부족 결함은 용접겹침이 너무 좁거나 용접전류가 낮거나 와이어 공급률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재에 과다한 산소가 공급되면 산화작용이 증가하여 용접재료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용접부의 파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재에 과다한 산소가 공급되는 것은 용입부족 결함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자동차의 차체 판금에 사용되는 가공방법은 주로 소성가 공법이 많이 쓰이는데 그 장점이 아닌 것은?

  1. 보통 주물에 비하여 성형되는 치수가 정확하다.
  2. 금속의 결정조직을 개량하여 강한 성질을 얻게 된다.
  3. 재료의 사용량을 경제적으로 조정할 수 없는 것이다.
  4. 수리하기가 용이하다.
(정답률: 76%)
  • 소성가공은 재료를 압력과 열의 조합으로 가공하는 방법으로, 재료를 더욱 단단하고 강력하게 만들어줍니다. 또한 성형되는 치수가 정확하고, 수리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재료의 사용량을 경제적으로 조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소성가공 방법이 재료를 압력과 열로 가공하기 때문에, 재료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일정한 양의 재료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재료의 사용량을 조절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동차의 재료로 쓰이는 강화유리는 보통 판유리를 몇 ℃ 정도에서 가열하여 열처리 하는가?

  1. 200
  2. 600
  3. 1000
  4. 2000
(정답률: 65%)
  • 강화유리는 열처리를 통해 내구성과 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때 보통 강화유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판유리는 600℃ 정도에서 가열하여 열처리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부등변 앵글 치수의 표시가 맞는 것은?

  1. LA × B × t - L
  2. LA × t × A × B
  3. LL - t × A × B
  4. LL - A × t × B
(정답률: 41%)
  • 부등변 앵글의 치수는 LA × B × t - L로 표시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LA: 앵글의 긴 변의 길이
    - B: 앵글의 짧은 변의 길이
    - t: 앵글의 두께
    - L: 앵글의 긴 변에서 짧은 변까지의 거리

    따라서 LA × B × t는 앵글의 부피를 나타내고, L은 앵글의 긴 변에서 짧은 변까지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이를 빼주는 이유는 앵글의 긴 변에서 짧은 변까지의 거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을 나타내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은 단면도는 어떤 물체의 단면도인가?

(정답률: 67%)
  • 이 단면도는 자동차의 엔진 블록의 단면도이다. ""가 정답인 이유는 엔진 블록의 형태와 가장 유사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엔진 블록과는 형태가 맞지 않는 물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1개의 집중하중을 받고 있는 외팔보의 휨모멘트 선도는?

(정답률: 46%)
  • 외팔보의 휨모멘트 선도는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에서 시작하여 외팔보의 길이만큼 직선적으로 증가한 후, 끝 부분에서 하중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변화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하중이 외팔보의 끝 부분에서 가해지므로, 선도는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측정 장비에 의한 파손 분석 중 4개 기본요소가 아닌 것은?

  1. 센터라인
  2. 레벨
  3. 데이텀
  4. 맥퍼슨 스트럿 타워
(정답률: 86%)
  • 맥퍼슨 스트럿 타워는 파손 분석에 사용되는 측정 장비가 아니기 때문에 4개 기본요소가 아닙니다. 맥퍼슨 스트럿 타워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물로, 지진 등의 자연재해에 대비하여 건물의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외부 파손 분석 중 사이드 스웨이(side sway)를 설명한 것은?

  1. 라인을 중심으로 좌, 우측의 변형
  2. 라인을 중심으로 길이의 변형
  3. 라인을 중심으로 상, 하의 변형
  4. 라인을 중심으로 전, 후면의 꼬인 변형
(정답률: 75%)
  • 사이드 스웨이는 구조물이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때, 구조물의 중심축을 따라 놓인 라인을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변형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라인을 중심으로 좌, 우측의 변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차체를 고정 할 수 있는 부위가 아닌 것은?

  1. 사이드 씰 하부 플랜지
  2. 사이드 멤버
  3. 프레임
  4. 센터필러
(정답률: 63%)
  • 센터필러는 차량의 중앙에 위치한 기둥으로, 차체를 고정하는 부위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사이드 씰 하부 플랜지, 사이드 멤버, 프레임은 모두 차체를 고정하는 부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두꺼운 도막을 급격히 가열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은 무엇인가?

  1. 크레이터링
  2. 핀홀
  3. 흐름
  4. 침전
(정답률: 73%)
  • 두꺼운 도막을 급격히 가열하면 표면과 내부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여 도막 내부에서 기체나 액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도막 표면에 작은 구멍이 생기는데, 이를 핀홀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핀홀은 두꺼운 도막을 급격히 가열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결함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작업장에서 작업복을 착용하는 이유중 가장 적절한 것은?

  1. 작업장의 질서를 확립시키기 위해서
  2. 작업 능률을 올리기 위해서
  3. 재해로부터 작업자의 몸을 지키기 위해서
  4. 작업자의 복장 통일을 위해서
(정답률: 88%)
  • 작업복은 재해로부터 작업자의 몸을 지키기 위해 착용됩니다.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작업복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브레이크 드럼을 연삭할 때 전기가 정전되었다. 조치방법 중 틀린 것은?

  1. 퓨즈의 단락 유무를 검사한다.
  2. 즉시 스위치를 끈다.
  3. 전기가 들어오는 것을 알기위해 스위치를 넣어둔다.
  4. 공작물과 공구를 분리해 놓는다.
(정답률: 87%)
  • 전기가 들어오는 것을 알기위해 스위치를 넣어둔다는 것은, 정전이 해결되었을 때 브레이크 드럼 연삭 작업을 다시 시작하기 전에 스위치를 켜서 전기가 들어오는지 확인하고 작업을 진행하기 위함입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엔진의 세척과 카아본 제거에 대한 안전한 방법으로 잘못 설명된 것은?

  1. 알카리 세척액, 산성 세척액의 용기는 위험표시를 한다.
  2. 몸, 옷, 눈등에 알카리가 들어갈 때는 규산으로 중화한다.
  3. 손으로 알카리액을 만질 때는 손을 깨끗이 한다.
  4. 알카리액 취급시 내산성의 안경 고무제 앞치마를 착용한다.
(정답률: 53%)
  • "손으로 알카리액을 만질 때는 손을 깨끗이 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알카리 세척액은 피부와 눈에 매우 위험하며, 만약 손에 알카리액이 묻었다면 즉시 물로 헹궈내야 합니다. 손을 깨끗이 씻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가능하면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헤드 볼트를 조일 때 토크렌치를 사용하는 이유중 가장 옳은 것은?

  1. 신속하게 조이기 위해서
  2. 작업상 편리하기 위해서
  3. 강하게 조이기 위해서
  4. 규정 값으로 조이기 위해서
(정답률: 91%)
  • 토크렌치를 사용하는 이유는 헤드 볼트를 규정 값으로 조이기 위해서입니다. 토크렌치는 정해진 토크 값을 설정하여 해당 값으로 볼트를 조이는 도구이기 때문에, 정확한 토크 값을 유지하면서 볼트를 조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는 볼트의 결함을 방지하고,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연삭기중 안전커버의 노출각도가 가장 큰 것은?

  1. 평면연삭기
  2. 탁상연삭기
  3. 휴대용 연삭기
  4. 공구연삭기
(정답률: 49%)
  • 휴대용 연삭기는 이동성이 높아 작업자가 다양한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커버의 노출각도가 가장 큽니다. 또한 작은 크기로 인해 안전커버를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노출각도가 더욱 크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기 용접기를 두어도 무방한 장소는?

  1. 옥외 비바람이 치는 장소
  2. 수증기 또는 습도가 높은 장소
  3. 먼지가 대단히 많은 장소
  4. 주위온도가 상온에서 -1℃ 이내의 장소
(정답률: 95%)
  • 전기 용접기는 고온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주위 온도가 너무 높거나 너무 낮으면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위온도가 상온에서 -1℃ 이내인 장소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전기 용접기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도 보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정비공장에 대한 안전 수칙이다. 틀린 것은?

  1. 전장 테스터 사용시 정전이 되면 스위치를 ON에 놓아야 한다.
  2. 액슬 작업시 잭과 스탠드로 고정해야 한다.
  3. 엔진을 시동하고자 할 때 소화기를 비치해야 한다.
  4. 적재 적소의 공구를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92%)
  • "전장 테스터 사용시 정전이 되면 스위치를 ON에 놓아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정전이 되면 스위치를 OFF에 놓아야 합니다. 이유는 정전이 발생하면 전기적인 위험이 있기 때문에 스위치를 OFF에 놓아 전기적 위험을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산소 봄베에서 산소의 누출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가장 안전하고 쉬운 것은?

  1. 분말 소화기 사용
  2. 소리를 감지
  3. 비눗물을 사용
  4. 냄새로 감지
(정답률: 84%)
  • 비눗물을 사용하는 것은 산소와 반응하여 거품이 생기기 때문에, 산소 누출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비눗물은 불에 대한 위험성이 없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산업현장에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적문제와 물적문제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야 한다. 다음 중에서 인적문제에 해당하는 것은?

  1. 기계 자체의 결함
  2. 안전교육의 결함
  3. 보호구의 결함
  4. 작업 환경의 결함
(정답률: 83%)
  • 안전교육의 결함은 인적문제에 해당한다. 이는 작업자들이 안전에 대한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하거나, 교육 내용이 부족하거나 부적절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업현장에서는 안전교육을 철저히 실시하여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볼트나 너트를 조이거나 풀 때 부적합한 공구는?

  1. 복스 렌치
  2. 소켓 렌치
  3. 오픈 엔드 렌치
  4. 바이스 그립 플라이어
(정답률: 83%)
  • 바이스 그립 플라이어는 조이거나 풀 때 회전력이 부족하고, 너트나 볼트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부적합한 공구입니다. 따라서, 볼트나 너트를 조이거나 풀 때는 복스 렌치, 소켓 렌치, 오픈 엔드 렌치 등의 공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