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10-20)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2012-10-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동차공학

1. 발전기가 충전되지 않을 때 점등되는 것은?

  1. 유압경고등
  2. 충전경고등
  3. 연료경고등
  4. 브레이크 오일경고등
(정답률: 92%)
  • 발전기가 충전되지 않으면 차량의 전기 시스템이 충분한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충전경고등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발전기의 충전 상태가 나쁘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바퀴 정렬장치에서 캠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캠버는 앞뒤 네 바퀴에 모두 존재하며 호칭도 동일하다.
  2. 캠버는 타이어의 마모에 관계있는 각도이다.
  3. 바퀴가 수직일 때의 캠버를 10°라고 한다.
  4. 크기는 수직선에 대한 바퀴중심선의 각도로서 표시한다.
(정답률: 76%)
  • "바퀴가 수직일 때의 캠버를 10°라고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바퀴가 수직일 때의 캠버는 0°이며, 캠버는 타이어의 마모와 관련된 각도이며, 크기는 수직선에 대한 바퀴중심선의 각도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중소형 승용차에서 주로 사용하며 프레임과 차체를 확실히 구별하지 않고 일체구조로 된 차체의 명칭을 나타내는 용어가 아닌 것은?

  1. 언더보디
  2. 모노코크형 보디
  3. 프레임리스형 보디
  4. 유닛 컨스트럭션형 보디
(정답률: 54%)
  • 언더보디는 차체의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이나 서스펜션 등을 포함한 부분을 일컫는 용어이며, 차체의 일부가 아닌 별도의 부분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프레임과 차체를 구별하지 않고 일체구조로 된 차체를 나타내는 용어는 "모노코크형 보디", "프레임리스형 보디", "유닛 컨스트럭션형 보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에서 승수기호와 그 뜻의 결합이 틀린 것은?

  1. T(테라) : 1012
  2. G(기가) : 109
  3. M(메가) : 106
  4. h(헥토) : 103
(정답률: 80%)
  • 정답은 "h(헥토) : 103"입니다.

    이유는 h(헥토)는 1024이 아니라 103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h(헥토)는 SI 접두사 중 하나로, 1024을 뜻하는 Z(제타)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혼동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h(헥토)는 103을 뜻하는 접두사입니다. 따라서 승수기호와 그 뜻의 결합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국제단위계(SI단위)에서 가속도의 단위로 맞는 것은?

  1. m/s
  2. N
  3. m/s2
  4. kgf/cm2
(정답률: 73%)
  • 가속도는 단위 시간당 속도 변화량을 의미하므로, 속도의 단위인 m/s를 시간의 제곱인 s2로 나눈 m/s2가 가속도의 단위로 맞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m/s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내연기관의 냉각장치에서 냉각수가 순환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으로 맞는 것은?

  1. 방열기 - 출구호스 - 물펌프 - 워터재킷 - 수온조절기 - 방열기
  2. 방열기 - 물펌프 - 출구호스 - 워터재킷 - 수온조절기 - 방열기
  3. 방열기 - 출구호스 - 물펌프 - 수온조절기 - 워터재킷 - 방열기
  4. 방열기 - 수온조절기 - 물펌프 - 워터재킷 - 출구호스 - 방열기
(정답률: 61%)
  • 냉각수는 방열기에서 열을 받아 출구호스를 통해 물펌프로 이동합니다. 물펌프는 냉각수를 워터재킷으로 보내 수온을 조절한 후 방열기로 보냅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방열기 - 출구호스 - 물펌프 - 워터재킷 - 수온조절기 - 방열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고속 주행 중 타이어의 접지부가 후방에서 방생되는 물결모양으로 떠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스탠딩 웨이브 현상
  2. 하이드로 플래닝 현상
  3. 페이드 현상
  4. 밴추리 효과
(정답률: 87%)
  • 고속 주행 중 타이어와 도로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현상을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 현상은 타이어와 도로의 주파수가 일치하여 발생하며, 타이어의 접지부가 물결 모양으로 떠는 것을 보면서 스탠딩 웨이브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공기가 압축될 경우 실린더 내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맞는 것은?

  1. 체적이 증가한다.
  2. 온도가 상승한다.
  3. 압력이 낮아진다.
  4. 아무런 변화가 없다.
(정답률: 81%)
  • 공기가 압축될 경우, 분자들이 서로 가까워져서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분자들이 충돌하면서 열이 발생하고, 이는 온도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온도가 상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캡 오버형 트럭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엔진의 전체 또는 대부분이 운전실 하부에 들어가 있다.
  2. 자동차의 높이가 높고 시야가 좋다
  3. 엔진룸의 면적이 보닛형에 비해 넓다.
  4. 자동차 길이가 동일할 때 적재함을 크게 할 수있다.
(정답률: 82%)
  • 캡 오버형 트럭은 엔진이 운전실 하부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엔진룸의 면적이 보닛형에 비해 넓지 않습니다. 따라서 "엔진룸의 면적이 보닛형에 비해 넓다."는 캡 오버형 트럭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자동차 차체에서 후드부의 구조명칭으로 틀린 것은?

  1. 클립
  2. 인슐레이터
  3. 후드힌지
  4. 도어패널
(정답률: 72%)
  • 정답은 "도어패널"입니다. 후드부는 엔진룸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엔진룸을 덮는 후드와 후드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후드힌지 등으로 구성됩니다. 클립은 부품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작은 장치이며, 인슐레이터는 엔진소음을 줄이기 위한 단열재입니다. 도어패널은 차량의 문을 이루는 패널로, 후드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Fe에 12% 이상의 Cr을 합금시키면 강한 보호 피막이 생성되어 부동태화 되는데, 이 특징을 이용하여 녹이 발생되지 않게 한 강은?

  1. 스테인리스강
  2. 고속도강
  3. 합금공구강
  4. 탄소공구강
(정답률: 86%)
  • 스테인리스강은 Fe에 12% 이상의 Cr을 합금시켜 강한 보호 피막을 생성하여 부동태화되는 강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스테인리스강은 녹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많이 사용되는 강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테인리스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보기는 원도를 그리는 방법을 나열한 것이다. 그 순서가 맞는 것은?

  1. 1-2-3-4
  2. 2-1-3-4
  3. 1-2-4-3
  4. 2-1-4-3
(정답률: 78%)
  • 정답은 "2-1-4-3"입니다.

    1. 원의 중심을 찍습니다.
    2. 반지름을 그립니다.
    3. 원 위의 임의의 점을 찍습니다.
    4. 그 점에서 반지름을 그어서 원과 만나는 두 점을 찍습니다.

    이 순서대로 그리면 원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일반적인 금속의 특징 중 맞지 않는 것은?

  1. 최저 용융 온도의 금속은 Hg(-38.4℃), 최고 용융 온도는 W(3410℃)이다.
  2. 최소의 비중은 Li(0.53), 최대 비중은 Ir(22.5)이다.
  3. 일반적으로 용융 온도가 높으면 금속의 비중이 크다.
  4. 내열성과 경량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재료를 얻기 쉽다.
(정답률: 81%)
  • "내열성과 경량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재료를 얻기 쉽다."는 맞지 않는 것입니다. 내열성과 경량성은 서로 상충하는 성질이기 때문에 이 두 가지를 동시에 만족하는 재료를 얻는 것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비금속 공구재료 중 맞지 않는 것은?

  1. 서멧(Cermet)은 세라믹스+메탈이다.
  2. 연삭숫돌의 무기질 결합재로 비트리파이드 (Vitrified)결합재와 실리케이트(Silicate) 결합재가 있다.
  3. 금속 결합재로는 다이아몬드 숫돌이 대표적이다.
  4. 인조연삭, 연마재로는 다이아몬드, 에머리(Emery)등이 있으며 버핑할 때 연마재로 쓴다.
(정답률: 55%)
  • 정답인 "인조연삭, 연마재로는 다이아몬드, 에머리(Emery)등이 있으며 버핑할 때 연마재로 쓴다."는 맞지 않는 것입니다. 이유는 인조연삭이나 연마재로 다이아몬드나 에머리 같은 천연 물질이 아니라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물질들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카바이드나 알루미나 같은 인공 물질도 연마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알루미늄의 물리적 성질 중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비중이 약 2.7로서 가볍다.
  2. 용용점이 낮아 용해가 용이하다
  3. 전연성이 우수하다.
  4. 격자 상수는 체심입방격자이다.
(정답률: 56%)
  • 격자 상수는 체심입방격자가 아니라, 간섭계 상에서 측정한 입방격자이다.

    알루미늄은 비중이 약 2.7로 가볍고, 용용점이 낮아 용해가 용이하며, 전연성이 우수하다. 또한, 격자 상수는 간섭계 상에서 측정한 입방격자이다. 격자 상수는 결정의 구조와 관련된 물리적 성질로, 알루미늄의 격자 상수는 4.049 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용접 및 가스 절단시 산화물이나 기타 유해물을 분리제거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자동역류 방지장치
  2. 호스 체크밸브
  3. 봄 트롤리
  4. 플럭스
(정답률: 71%)
  • 용접 및 가스 절단시에는 산화물이나 기타 유해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해물을 분리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플럭스입니다. 플럭스는 용접 부위를 보호하고 산화물을 제거하여 용접 부위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플럭스는 용접 부위를 청소하고 부식을 방지하여 용접 부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자동차 보디(body) 수리용 저항 점용접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뺀지(pincer)형 용접건
  2. 투인 스폿건(twin spot gun)
  3. 플로드(prod)형 용접건
  4. 호크(Hoke)형 용접건
(정답률: 61%)
  • 호크(Hoke)형 용접건은 자동차 보디(body) 수리용 저항 점용접기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금속 제작 및 용접 작업에 사용되는 용접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보기의 용접법 중에서 열원의 온도와 열의 집중도가 가장 낮고 변형이 가장 큰 용접법은?

  1. 플라즈마 젯트 용접
  2. TIG 용접
  3. MIG 용접
  4. 산소 아세틸렌가스 용접
(정답률: 66%)
  • 산소 아세틸렌가스 용접은 열원의 온도와 열의 집중도가 가장 낮고, 용접 부위의 열변형이 가장 큰 용접법입니다. 이는 아세틸렌 가스와 산소를 혼합하여 불꽃을 일으켜 용접하는 방식으로, 열원이 집중되지 않고 넓은 범위에 걸쳐 분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은 부품이나 얇은 재질을 용접할 때 적합하며, 대형 부품이나 두꺼운 재질을 용접할 때는 다른 용접법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제도에서 도면을 표시할 때 실물과 같은 크기로 그릴 경우의 척도이며, 읽지 않더라도 치수나 모양의 착오가 적은 특징을 가진 것은?

  1. 배척
  2. NS
  3. 축척
  4. 현척
(정답률: 73%)
  • 현척은 도면에서 실제 크기로 그리는 것이기 때문에 치수나 모양의 착오가 적습니다. 따라서 제조나 시공 과정에서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반면에 배척은 도면에서 실제 크기보다 작게 그리는 것이며, NS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고, 축척은 도면에서 실제 크기보다 크게 그리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연강 및 고장력강용 솔리드 와이어 YGW11에서 GW의 의미는 무엇인가?

  1. 용접 와이어
  2. 보호 가스
  3. 매그(MAG) 용접
  4. 주요 적용 강종
(정답률: 61%)
  • - 용접 와이어: 연강 및 고장력강용 솔리드 와이어
    - 보호 가스: 매그(MAG) 용접에서 사용되는 보호 가스
    - 매그(MAG) 용접: YGW11은 매그(MAG) 용접에 사용되는 와이어로, 용접 시에 보호 가스를 사용하여 용접 부위를 보호하고, 용접 전극으로부터 금속을 공급받아 용접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 주요 적용 강종: 연강 및 고장력강 등의 강종에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동차차체정비

21. 구리의 특성 중 설명이 틀린 것은?

  1. 전기 및 열의 양도체이다.
  2. 전성 연성이 좋아 가공이 용이하다.
  3. 화학적 저항력이 커서 부식이 쉽다.
  4. 아름다운 광택과 귀금속적 성질이 우수하다.
(정답률: 64%)
  • "화학적 저항력이 커서 부식이 쉽다."는 특성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구리는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공기 중에서도 부식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구리는 부식에 강한 금속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피복 금속 직류 아크 용접의 정극성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용접 홀더를 +극, 모재는 -극을 사용한다.
  2. 모재의 용입이 깊다.
  3. 용접봉의 용융이 느리다.
  4. 비드 폭이 좁다.
(정답률: 73%)
  • 정답은 "모재의 용입이 깊다."입니다.

    피복 금속 직류 아크 용접에서는 용접 홀더를 양극 중 어느 쪽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정극성이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용접 홀더를 +극으로 사용하고 모재를 -극으로 사용합니다. 이는 +극에서는 피복 금속이 빠르게 용융되어 아크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극에서는 모재가 빠르게 용융되어 용접이 깊게 침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 홀더를 +극, 모재는 -극을 사용한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반면에 "모재의 용입이 깊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전기 용접시 용접부의 결함이 아닌 것은?

  1. 오버랩
  2. 언더컷
  3. 슬래그 혼입
  4. 피복
(정답률: 80%)
  • 전기 용접시 용접부의 결함이 아닌 것은 "피복"입니다. 피복은 용접 전에 부착되는 보호재로, 용접 후에 제거됩니다. 따라서 용접부의 결함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반면, 오버랩, 언더컷, 슬래그 혼입은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용접부의 강도와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금속의 성질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1. 성분의 함량
  2. 결정 입자
  3. 담금질 정도
  4. 탄소 함유량
(정답률: 76%)
  • 금속의 성질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탄소 함유량입니다. 이는 금속의 강도, 연성, 가공성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탄소 함유량이 높을수록 금속의 강도가 높아지고, 탄소 함유량이 낮을수록 금속의 연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금속의 성질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탄소 함유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표면경화 열처리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침탄법
  2. 질화법
  3. 고주파경화법
  4. 항온열처리법
(정답률: 74%)
  • 표면경화 열처리 방법은 침탄법, 질화법, 고주파경화법과 같은 화학적 혹은 물리적인 방법으로 표면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말합니다. 그러나 항온열처리법은 표면을 강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금속 전체의 물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따라서 항온열처리법은 표면경화 열처리 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리벳 크기를 나타낸 것은?

  1. 길이 × 면적
  2. 길이 × 무게
  3. 지름 × 무게
  4. 지름 × 길이
(정답률: 73%)
  • 정답은 "지름 × 길이"입니다.

    리벳은 일반적으로 원형이며, 지름과 길이로 크기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지름은 원의 가장 넓은 부분을 가로지르는 선의 길이를 말하며, 길이는 리벳의 전체 길이를 말합니다. 따라서 리벳의 크기는 지름과 길이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자동차 프레임 손상 진단에서 프레임의 변형 부위 중 균열부분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확인할 부분은 어느 부분인가?

  1. 프레임의 수평부분
  2. 프레임의 밑부분
  3. 프레임의 굴곡부
  4. 프레임의 옆부분
(정답률: 66%)
  • 프레임의 굴곡부는 차량 충격 시 가장 많은 힘이 작용하는 부분으로, 이 부분이 손상되면 차량의 안전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동차 프레임 손상 진단에서는 균열부분을 확인하기 전에 먼저 프레임의 굴곡부를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작업 중 성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접기
  2. 굽히기
  3. 펀칭
  4. 오므리기
(정답률: 79%)
  • 펀칭은 재료를 구멍을 내기 위해 강력한 압력을 가해 금속을 찢어내는 공정으로, 성형에 속하지 않습니다. 접기, 굽히기, 오므리기는 모두 재료를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는 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가스절단 작업의 결함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기공
  2. 드래그
  3. 슬래그
  4. 균열
(정답률: 54%)
  • 가스절단 작업에서 "기공"은 결함이 아닙니다. 기공은 절삭 공정에서 생기는 구멍이나 홈을 말하며, 가스절단 작업에서는 절단면에 생기는 결함 중 하나가 "기공"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공은 결함의 종류가 아니라 결함이 생길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자동차 보수도장에 있어서 도료의 건조장치 중 가장 바람직한 것은?

  1. 복사 대류에 의한 열풍 건조장치
  2. 복사에 의한 고온 다습한 열풍건조장치
  3. 습도가 많은 상온에서의 자연 건조장치
  4. 고온 다습한 실내에서의 자연 건조장치
(정답률: 86%)
  • 복사 대류에 의한 열풍 건조장치가 가장 바람직한 이유는, 이 장치는 자동차 보수 도료를 빠르게 건조시키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이 장치는 고온의 열기를 방사하는 램프와 함께 사용되며, 이 열기는 도료 표면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빠르게 건조시킵니다. 또한, 이 장치는 공기를 움직여서 도료 표면에 있는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시키기 때문에,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보수 작업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판금 공구의 특성 중 틀린 것은?

  1. 판금용 해머는 패널 수정 이외의 용도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돌리는 패널모양에 맞추어 맞는 것을 골라 사용한다.
  3. 해머, 돌리, 스푼 모두 다 접촉면이 매끄럽게 유지되어야 한다.
  4. 스푼은 넓은 면을 수정하는 손잡이가 달린 돌리이다.
(정답률: 65%)
  • 정답: "스푼은 넓은 면을 수정하는 손잡이가 달린 돌리이다."이다.

    해설: 스푼은 판금을 수정하는 도구 중 하나로, 넓은 면을 수정하는 손잡이가 달린 돌리이 아니라, 판금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는 도구이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각 차종의 조립에서 부품의 장착 방식이 다른 것은?

  1. 라디에이터 코어 서포트 어퍼
  2. 프론트 펜더 에이프런
  3. 엔진후드
  4. 데시패널
(정답률: 55%)
  • 엔진후드는 차량의 전면에 위치하며 엔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엔진후드는 다른 부품들과 달리 자주 열리고 닫히는데, 이를 위해 특별한 장착 방식이 필요합니다. 반면에 라디에이터 코어 서포트 어퍼, 프론트 펜더 에이프런, 데시패널 등은 차체의 일부분으로서 고정되어 있으며, 열리거나 분리되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장착 방식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차체 손상 진단시 다음 보기와 같은 손상의 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사이드 데미지 또는 브로드 사이드 데미지
  2. 사이드 스위핑
  3. 리어 엔드 데미지
  4. 롤 오버
(정답률: 61%)
  • 위 그림에서 보이는 손상은 사이드 스위핑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차량이 옆으로 긁히거나 부딪혀서 발생하는 손상으로, 보통 차량의 한쪽 측면이나 문에 발생합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차량의 측면에 긴 긁힘 자국이 있으며, 이는 사이드 스위핑으로 인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자동차, 냉장고, 가전제품 등 도막의 보호미화에 쓰이는 것은?

  1. 메타릭 에나멜
  2. 헤머톤 에나멜
  3. 축문 에나멜
  4. 멜라민 에나멜
(정답률: 76%)
  • 멜라민 에나멜은 도막의 보호미화에 쓰이는데, 이는 멜라민 수지와 에나멜 수지를 혼합하여 만든 제품이다. 이 제품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학적인 내성이 강하며, 표면의 광택도 우수하다. 따라서 자동차, 냉장고, 가전제품 등의 표면에 사용되어 보호와 미화를 동시에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실링 건을 사용하여 충진작업할 때 유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포나 빈틈이 없어야 한다.
  2. 실러가 접합부 속으로 충진 되게 한다.
  3. 모서리 부분은 멈추지 말고 빠르게 방향을 전환한다.
  4. 방아쇠를 작동하며 건을 작업자 앞쪽으로 당기며 작업한다.
(정답률: 71%)
  • "모서리 부분은 멈추지 말고 빠르게 방향을 전환한다."가 옳지 않은 이유는, 모서리 부분은 충분한 양의 실링 건을 사용하여 천천히 작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빠르게 방향을 전환하면 실링 건이 끊어질 수 있고, 충분한 양의 실링이 되지 않아 누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서리 부분은 조심스럽게 작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2차원 파손을 조절하고 승객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모노코크바디에 특별한 영역을 만들었다.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전면부
  2. 중앙부
  3. 크러쉬존
  4. 후면부
(정답률: 86%)
  • 정답: 크러쉬존

    설명: 크러쉬존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고 승객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모노코크바디에 특별히 설계된 영역입니다. 이 영역은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위치하며, 충돌 시 차체가 압축되어 에너지를 흡수하고 승객의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자동차보수도장에서 가장 보편적인 도장 방법은?

  1. 에어 스프레이 도장
  2. 에어레스 스프레이 도장
  3. 정전 스프레이 도장
  4. 가열 에어 스프레이 도장
(정답률: 83%)
  • 에어 스프레이 도장은 가장 보편적인 도장 방법이다. 이는 에어 컴프레서를 이용하여 액체 도료를 고속으로 분사하여 차량 표면에 고르게 도포하는 방식으로, 빠르고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며, 다양한 색상과 마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도 고품질의 도장을 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모노코크 바디에는 전, 후 충돌 등의 충격을 받았을 경우에 사이드 멤버 자체가 변형하여 객실에 영향을 덜 미치도록 부분적으로 굴곡을 주는데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쿠션
  2. 킥업
  3. 댐퍼
  4. 스토퍼
(정답률: 82%)
  • 모노코크 바디에서 충격을 받았을 때, 사이드 멤버가 부분적으로 굴곡을 주어 객실에 영향을 덜 미치도록 하는 것을 "킥업"이라고 합니다. 이는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차량 안전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가스용접기의 역화 원인이 아닌 것은?

  1. 팁의 끝이 과열되지 않았을 때
  2. 작업물이 팁의 끝이 닿았을 때
  3. 가스 압력이 적당하지 않을 때
  4. 팁의 조임이 완전하지 않았을 때
(정답률: 65%)
  • 가스용접기의 역화는 팁의 끝이 작업물에 닿아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팁의 끝이 과열되지 않았을 때"는 역화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자동차에서 도어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후드
  2. 힌지
  3. 로크
(정답률: 78%)
  • 후드는 차량의 엔진을 보호하고 가리는 부분으로, 도어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도어는 차량의 출입구를 이루는 부분으로, 힌지, 첵, 로크 등의 부품으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전관리

41. 프레임 변형 교정기로 프레임 변형, 수정의 실작업 중 3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고정
  2. 판넬 수정
  3. 인장
  4. 계측
(정답률: 73%)
  • 프레임 변형 교정기는 고정, 인장, 계측과 같은 작업을 통해 프레임의 변형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판넬 수정은 프레임의 구조를 변경하는 작업이므로 프레임 변형 교정기의 작업 중 3요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판넬 수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차체 치수도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언더바디는 측면도와 평면도로 구성
  2. 표시의 각 치수는 길이, 높이, 폭, 대각의 4종류
  3. 계측개소는 우측이 대문자, 좌측이 소문자의 로마자로 계측 기준점 설정
  4. 평면도에서 좌우의 멤버 관계는 높이의 정열 치수이다.
(정답률: 56%)
  • "평면도에서 좌우의 멤버 관계는 높이의 정열 치수이다."가 맞지 않는 것입니다. 평면도에서 좌우의 멤버 관계는 폭의 치수입니다. 높이의 치수는 세로 방향의 치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줄 작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직진법
  2. 우진법
  3. 병진법(횡진법)
  4. 사진법
(정답률: 58%)
  • 우진법은 줄 작업의 종류가 아닙니다. 직진법은 직선으로 줄을 뽑는 방법, 병진법은 좌우로 번갈아가며 줄을 뽑는 방법, 사진법은 두 사람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줄을 뽑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센터링 게이지를 사용하여 계측할 때 기준이 되는 항목이라 할 수 없는 것은?

  1. 센터라인
  2. 데이텀라인
  3. 레벨
  4. 아웃터라인
(정답률: 66%)
  • 센터링 게이지는 중심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아웃터라인과 같이 중심이 없는 항목은 기준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웃터라인은 센터링 게이지로 측정할 수 없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효과적인 견인 작업에 있어 수정 작업의 순서와 견인 방향의 원칙과 거리가 먼 것은?

  1. 앞에서부터 견일 할 때에는 똑바르게 앞에서부터 견인 작업을 한다.
  2. 옆에서 견인할 때에는 바디에 대응하여 직각방향으로 견인작업을 한다.
  3. 경사지게 견인하면 힘이 분산되어 충분한 효과가 없다.
  4. 힘이 가해진 장소에서 제일 단거리에서부터 복원한다.
(정답률: 62%)
  • 힘이 가해진 장소에서 제일 단거리에서부터 복원하는 것이 효과적인 이유는, 이렇게 하면 견인 작업에 필요한 힘이 최소화되기 때문입니다. 만약 더 멀리서 견인 작업을 시작하면, 더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고, 작업이 더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견인 작업을 위해서는 힘이 가해진 장소에서부터 제일 단거리에서부터 복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차체부품을 제작할 때 판재를 작은 굽힘 반지름으로 굽힘선이 2개 이상 만나는 곳에서는 특히 주의를 해야한다. 이때 무엇이 일어나기 쉬운가?

  1. 치수변형
  2. 균열
  3. 두께감소
  4. 재질변화
(정답률: 72%)
  • 작은 굽힘 반지름으로 굽힘선이 2개 이상 만나는 곳에서는 판재의 내부 응력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내부 응력으로 인해 판재의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며, 따라서 정답은 "균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프레임의 하체부 서스펜션과 프레임의 깊숙한 두 곳 사이의 측정, 보디의 대각선 측정 또는 프레임 사이드 레일 길이 및 높이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측정기는?

  1. 프레임 센터링 게이지
  2. 트램 트래킹 게이지
  3. 하이트 게이지
  4. 서피스 게이지
(정답률: 70%)
  • 트램 트래킹 게이지는 자동차의 프레임의 정확한 위치와 깊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하체부 서스펜션과 프레임의 깊숙한 두 곳 사이의 측정, 보디의 대각선 측정 또는 프레임 사이드 레일 길이 및 높이를 측정하는데 유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트램 트래킹 게이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벤치식 수정기와 바닥식 수정기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바닥식 수정기는 바닥 공간 활용도가 높고 설치 시 바닥의 수평을 맞추어야 한다.
  2. 벤치식은 기종에 따라서 리프트 사용이 가능하다.
  3. 벤치식은 벤치의 플랫폼이 계측의 기본이 된다.
  4. 벤치식은 바닥의 레일이나 앵커에 의해 각종 도구를 이용하여 바디를 고정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벤치식은 바닥의 레일이나 앵커에 의해 각종 도구를 이용하여 바디를 고정한다."입니다. 이유는 벤치식 수정기는 벤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바닥의 레일이나 앵커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판금 퍼티는 다음 중 어느 것이 주성분인가?

  1. 불포화 아크릴 수지와 안료
  2.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와 안료
  3. 불포화 에폭시 수지와 안료
  4. 불포화 알키드 수지와 안료
(정답률: 65%)
  • 판금 퍼티의 주성분은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와 안료"입니다. 이는 판금 퍼티가 내구성과 접착력이 뛰어나며, 내부적인 응력에도 강하게 견딜 수 있는 높은 강도와 탄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는 내열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나며, 안료는 색상과 광택을 제공하여 외관적인 아름다움을 더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계량 조색을 하기 위한 조색기기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전자저울
  2. 애지데이터커버
  3. 믹싱머신
  4. 버프
(정답률: 66%)
  • 버프는 계량 조색을 위한 기기가 아니라, 신호나 전기 신호를 증폭하거나 필터링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전자 부품입니다. 따라서 계량 조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연삭기를 사용하여 작업할 시 맞지 않는 것은?

  1. 숫돌 보호덮개는 튼튼한 것을 사용한다.
  2. 정상적인 플렌지를 사용한다.
  3. 단단한 지석(砥石)을 사용한다.
  4. 공작물을 연삭숫돌의 측면에서 연삭한다.
(정답률: 81%)
  • 공작물을 연삭숫돌의 측면에서 연삭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이는 연삭숫돌의 표면이 평평하지 않기 때문에 공작물의 표면도 평평하지 않게 되고, 정확한 작업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작물을 연삭숫돌의 표면에 맞춰 연삭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기계가공 작업 중 갑자기 정전이 되었을 때의 조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전기가 들어오는 것을 알기 위해 스위치를 넣어둔다.
  2. 퓨즈를 점검한다.
  3. 공작문과 공구를 떼어 놓는다.
  4. 즉시 스위치를 끈다.
(정답률: 84%)
  • "전기가 들어오는 것을 알기 위해 스위치를 넣어둔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스위치를 넣어두면 정전 시에 전기가 들어오는지 알 수 없습니다. 올바른 조치는 즉시 스위치를 끄고, 퓨즈를 점검하고, 공작문과 공구를 떼어놓는 것입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조치로, 정전 시에 기계가 갑자기 작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작업현장에서 재해의 원인으로 가장 높은 것은?

  1. 작업환경
  2. 장비의 결함
  3. 작업순서
  4. 불안전한 행동
(정답률: 89%)
  • 작업환경이나 장비의 결함은 재해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이들은 대부분 예측 가능하고 예방 가능한 요소입니다. 반면에 불안전한 행동은 예측하기 어렵고, 예방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장 높은 재해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불안전한 행동은 작업자의 부주의, 경험 부족, 규정 무시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작업자의 인식과 태도 개선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렌치 사용시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렌치를 너트가 손상이 안 되도록 가급적 얕게 물린다.
  2. 해머 대용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3. 렌치를 몸 안쪽으로 잡아당겨 움직이게 한다.
  4. 렌치에 파이프 등의 연장대를 끼우고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83%)
  • 렌치를 너트가 손상이 안 되도록 가급적 얕게 물린다는 것은, 너트를 깊게 물리면 렌치와 너트 사이에 공간이 줄어들어서 렌치가 너트를 감싸는 부분에서 너트를 눌러서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너트가 손상되지 않도록 얕게 물리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안전표지 색채의 연결이 맞는 것은?

  1. 주황색 - 화재의 방지에 관계되는 물건에 표시
  2. 흑색 - 방사능 표시
  3. 노란색 - 충돌, 추락 주의 표시
  4. 청색 - 위험, 구급 장소 표시
(정답률: 72%)
  • 노란색은 주로 충돌이나 추락과 같은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표지 색상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눈에 띄고 경고하는 효과가 있어서 사람들이 주의를 기울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차체수리 작업장에서 작업을 하다 다른 작업자가 감전되었을 때 최초 조치 사항으로 맞는 것은?

  1. 신속하게 감전자를 떼어 놓는다.
  2. 병원에 가서 담당 의사를 부른다.
  3. 감독자를 급히 부르고 응급치료 한다.
  4. 전원을 끊고 감전자를 안전하게 응급 조치 한다.
(정답률: 86%)
  • 전원을 끊는 것은 감전자가 전기 충격을 받는 것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전기 충격을 받은 상태에서는 응급 조치를 할 수 없으므로 전원을 끊고 감전자를 안전하게 응급 조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인화성 물질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이산화탄소 가스, 황산
  2. 인, 유황, 아세틸렌, 산소
  3. 가솔린, 알코올, 신나
  4. 과산화물, 가솔린, 신나
(정답률: 82%)
  • 인화성 물질이란 물질이 불에 타면 열과 빛을 발생시키며 연소가 일어나는 물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인화성 물질로만 이루어진 것은 "가솔린, 알코올, 신나" 입니다. 이산화탄소 가스와 황산은 인화성이 아니며, 인, 유황, 아세틸렌, 산소는 인화성 물질이지만 이 중에서 인화성 물질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닙니다. 과산화물은 인화성 물질이지만, 이 중에서 인화성 물질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차체수리 작업을 할 때 안전보호구 착용 중 잘못 설명한 것은?

  1. 드릴 작업할 때 손을 보호하기 위해여 장잡을 끼고 작업 한다.
  2. 그라인더 작업할 때 반드시 보안경을 착용한다.
  3. 해머 작업할 때 귀마개를 착용한다.
  4. 퍼티를 연마할 때 방진 마스크를 착용한다.
(정답률: 81%)
  • 드릴 작업할 때 손을 보호하기 위해 장갑을 끼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장갑은 드릴 작업 시 손가락이 갇히거나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드릴 작업 시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손목까지 덮는 손목보호대를 착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차체수정 작업 시 센터링 게이지의 조작과 정비시 주의사항이다. 틀린 것은?

  1. 센터링 게이지는 센터 유니트(센터핀)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좌·우 측으로 움직이는 두 개의 수직바에 의해서 작동된다.
  2. 센터 유니트의 조준 핀은 항상 게이지의 정확한 중심에 위치해 있어야 한다.
  3. 게이지의 관리는 항상 청결을 유지하고 주기적으로 점검해 주어야 한다.
  4. 게이지의 중심에 자리가 잡히지 않을 때는 먼지의 축적이나 내부 베어링의 손상 가능성에 대해서 점검한다.
(정답률: 65%)
  • "게이지의 중심에 자리가 잡히지 않을 때는 먼지의 축적이나 내부 베어링의 손상 가능성에 대해서 점검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센터링 게이지는 센터 유니트(센터핀)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좌·우 측으로 움직이는 두 개의 수직바에 의해서 작동됩니다. 이는 센터핀이 차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차량의 균형을 맞추는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센터핀의 조준 핀이 항상 게이지의 정확한 중심에 위치해 있어야 합니다. 게이지의 관리는 항상 청결을 유지하고 주기적으로 점검해 주어야 하며, 게이지의 중심에 자리가 잡히지 않을 때는 센터핀의 위치를 조정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크 용접 작업중의 안전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슬래그 제거는 빨리 하여야 하므로 집게나 용접홀더로 제거한다.
  2. 보호구를 착용하여 스패터에 의한 화상을 방지한다.
  3. 슬래그는 작업자 반대쪽으로 향하여 제거하여 준다.
  4. 안전 홀더를 사용하고 안전 보호구를 착용한다.
(정답률: 88%)
  • "슬래그 제거는 빨리 하여야 하므로 집게나 용접홀더로 제거한다."가 틀린 것이다. 슬래그 제거는 빨리 해야하지만, 집게나 용접홀더로 제거하면 슬래그가 떨어져 다시 작업자에게 떨어질 수 있으므로, 슬래그 해체 도구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제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