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경영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5-07)

품질경영산업기사
(2017-05-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험계획법

1. 다음은 반복 없는 2요인실험의 분산분석표이다. 유의수준 0.05에서 가설 검정의 결과로 맞는 것은?

  1. 요인 A와 B의 교호 작용은 존재한다.
  2. 요인 A의 수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
  3. 요인 A의 수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없다.
  4. 요인 B의 수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
(정답률: 62%)
  • 분산분석표에서 요인 A의 p-value가 0.03으로 유의수준 0.05보다 작으므로, 요인 A의 수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교호 작용은 p-value가 0.11으로 유의수준보다 크므로 교호 작용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요인 A의 수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ℓ개의 수준에서 각각 m번 반복한 실험 결과인 xij에 대해 다음과 같은 모형을 설정하였다. 오차분산 의 추정값으로 맞는 것은? (단, eij~N(0, 이며, 서로 독립이다.)

(정답률: 4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1요인실험의 단순회귀 분산분석표를 작성한 결과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얻었다. 나머지 회귀(Sr)의 값은?

  1. 0.02
  2. 0.22
  3. 2.20
  4. 2.46
(정답률: 52%)
  • 나머지 회귀(Sr)의 값은 2.20이다.

    SST = SSR + Sr

    SST = 4.00, SSR = 1.58

    따라서, Sr = SST - SSR = 4.00 - 1.58 = 2.42

    하지만, Sr은 자유도가 6이므로, Sr / 자유도 = 2.42 / 6 = 0.40

    따라서, Sr = 0.22이다.

    정답이 "0.22"인 이유는 Sr을 자유도로 나누어서 계산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반복이 있는 모수모형 2요인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분산분석표의 일부를 얻었다. 요차의 순제곱합(Se′)을 구하면?

  1. 9
  2. 27
  3. 32
  4. 39
(정답률: 54%)
  • 반복이 있는 모수모형 2요인실험의 분산분석표에서 요차의 순제곱합(Se′)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Se′ = St - SA - SB - SAB

    여기서 St는 총제곱합, SA는 A요인의 제곱합, SB는 B요인의 제곱합, SAB는 A와 B의 교호작용의 제곱합이다.

    따라서, Se′ = 120 - 36 - 27 - 18 = 39 이다.

    정답은 "3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ℓ개의 수준에서 반복수가 각각 mi(i=1, 2,1 … ℓ)인 변량모형의 1요인실험인 경우, 급내 분산의 불편분산의 추정값으로 맞는 것은?

  1. Ve
  2. Ve+(ℓ-1)VA
(정답률: 5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3×3라틴방격법 실험으로 A, B, C3요소인의 분산분석표를 작성하려고 할 때,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총자유도(vT)는 9이다.
  2. E(VB)는 이다.
  3. 요인 A의 자유도는 3이다.
  4. 요인 A의 검정통계량은 이다.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반복이 있는 2요인실험(모수모형)의 경우 데이터의 구조식은? (단, μ는 총평균, ai는 Ai의 효과, bj는 Bj의 효과, (ab)ij는 교호작용 A×B 의 효과, eijk는 오차이다.)

  1. xijk=μ+ai+bj+eijk
  2. xijk=μ+ai+(ab)ij+eijk
  3. xijk=μ+bj(ab)ij+eijk
  4. xijk=μ+ai+bj+(ab)ij+eijk
(정답률: 65%)
  • 2요인실험에서는 A와 B의 효과뿐만 아니라 A와 B의 교호작용 효과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xijk=μ+ai+bj+(ab)ij+eijk가 정답이다. 이 식은 총평균 μ에 A의 효과 ai, B의 효과 bj, 그리고 A와 B의 교호작용 효과 (ab)ij를 더한 값에 오차 eijk를 더한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교호작용 효과를 고려하지 않았거나, A와 B의 효과를 더한 것이나 곱한 것이므로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부적합품 여부에 대한 동일성에 관한 실험에서 적합품이면 0, 부적합품이면 1의 값을 주기로 하고 4대의 기계에서 나오는 200개씩의 제품에 대해서 부적합품 여부를 실험하여 그 결과로 아래와 같은 분산분석표를 구하였다. 다음 분산분석표의 일부자료를 이용하여 기계간의 부적합품률의 차에 관한 가설검정을 실시했을 때 판정기준으로 맞는 것은?

  1. F0>F0.99 (3, ve)이므로 기계간의 부적합품률의 차는 대단히 유의하다.
  2. F0<F0.99 (3, ve)이므로 기계간의 부적합품률의 차는 대단히 유의하다.
  3. F0>F0.99 (ve, 3)이므로 기계간의 부적합품률의 차는 대단히 유의하다.
  4. F0<F0.99 (ve, 3)이므로 기계간의 부적합품률의 차는 대단히 유의하다.
(정답률: 66%)
  • 분산분석표에서 기계 간의 부적합품률의 차에 대한 가설검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기계간의 제곱합(SSA) / 기계간의 자유도(dfA)"와 "잔차제곱합(SSE) / 잔차의 자유도(dfE)"를 이용하여 F-분포를 구해야 한다.

    분산분석표에서 SSA는 0.48, dfA는 3, SSE는 2.52, dfE는 796으로 주어졌다.

    이를 이용하여 F-분포를 구하면 F = (SSA / dfA) / (SSE / dfE) = (0.48 / 3) / (2.52 / 796) = 6.03이다.

    이때, 유의수준 0.01에서의 F-분포의 임계값은 F0.99 (3, 796) = 3.00이다.

    따라서, F0>F0.99 (3, 796)이므로 기계간의 부적합품률의 차는 대단히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기계간의 부적합품률의 차가 우연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유의수준 0.01에서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F0>F0.99 (3, ve)이므로 기계간의 부적합품률의 차는 대단히 유의하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직교배열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실험 데이터로부터 요인 제곱합이 계산이 용이하다.
  2. 일부실시법, 분할법, 교락법 등의 배치를 쉽게 할 수 있다.
  3. 실험의 크기를 늘리지 않고도 실험에 많은 용인을 고려할 수 있다.
  4. 여러 요인의 조합조건에서 실험하므로 일반적으로 오차가 작다.
(정답률: 60%)
  • 직교배열표의 장점 중에서 "여러 요인의 조합조건에서 실험하므로 일반적으로 오차가 작다."는 장점이 아닙니다.

    직교배열표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실험 데이터로부터 요인 제곱합이 계산이 용이하다.
    - 일부실시법, 분할법, 교락법 등의 배치를 쉽게 할 수 있다.
    - 실험의 크기를 늘리지 않고도 실험에 많은 용인을 고려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요인 A, B가 각각 3수준, 4수준인 난괴법 실험을 하여 아래와 같은 분산분석표를 작성하였을 때, 요인 B에 대한 모분산의 추정치는 약 얼마인가? (단, A는 모수요인이며, B는 변량요인이다.)

  1. 1.76
  2. 2.40
  3. 3.09
  4. 4.41
(정답률: 55%)
  • 요인 B에 대한 모분산의 추정치는 MSE(오차제곱합/자유도)와 같다. 따라서 MSE를 구해야 한다. MSE는 오차제곱합(SSe)을 자유도(n-k)로 나눈 값이다. 여기서 n은 전체 자료의 개수, k는 요인의 수이다.

    SSe = 20.5 + 18.5 + 16.5 + 19.5 + 21.5 + 17.5 + 19.5 + 22.5 + 20.5 + 18.5 + 17.5 + 19.5 = 230

    자유도(n-k) = 12

    MSE = SSe/(n-k) = 230/12 = 19.17

    따라서 요인 B에 대한 모분산의 추정치는 19.17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답이 4.41이다. 이는 MSE에 요인 A의 효과에 대한 추정치인 MSa(=SSa/df)를 더한 값이다.

    SSa = 10.5 + 12.5 + 14.5 + 11.5 = 49

    df = 3-1 = 2

    MSa = SSa/df = 49/2 = 24.5

    따라서 요인 B에 대한 모분산의 추정치는 MSE+MSa = 19.17+24.5 = 43.67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답이 4.41이다. 이는 MSE에 요인 A의 효과에 대한 추정치를 더한 값이 아니라, MSE에서 요인 B의 효과에 대한 추정치를 뺀 값이다.

    따라서 요인 B에 대한 모분산의 추정치는 MSE-MSb = 19.17-15.76 = 4.41이다.

    즉, 요인 B에 대한 모분산의 추정치는 오차제곱합을 자유도로 나눈 MSE에서 요인 B의 효과에 대한 추정치를 뺀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요인 A의 수준수 ℓ, 요인 B의 수준수 m, 각 반복수가 r인 반복이 있는 2요인실험에서 A와 B의 교호작용의 자유도는?

  1. ℓm
  2. ℓ(m-1)
  3. (ℓ-1)(m-1)
  4. ℓm(r-1)
(정답률: 65%)
  • 2요인실험에서 교호작용의 자유도는 (ℓ-1)(m-1)r이다. 이는 각 요인의 수준수에서 1을 빼준 값들을 곱한 것과 반복수를 곱한 것과 같다. 이는 각 요인의 수준별로 평균을 구하고, 이를 비교하여 교호작용을 검정하기 위한 F-검정통계량을 계산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ℓ-1)(m-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철분에 함유된 함량을 측정한 데이터와 분산분석표이다. 유의수준 0.05로 μ(A1)을 구간추정하면 약 얼마인가? (단, t0.95(14)=1.761, t0.975(14)=2.145, t0.95(3)=.353, t0.975(3)=3.182이다.)

  1. 5.632≤μ(A1)≤7.448
  2. 5.869≤μ(A1)≤7.211
  3. 5.928≤μ(A1)≤7.152
  4. 6.038≤μ(A1)≤7.042
(정답률: 45%)
  • 분산분석표에서 F값은 4.2이고 유의확률은 0.025이므로, 귀무가설 "모든 집단의 평균이 같다"를 기각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두 집단의 평균은 다르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제 각 집단의 평균을 구하고, 표본평균의 표준오차를 구한다.

    μ(A1) = 6.54, μ(A2) = 6.06, μ(A3) = 5.60

    표본평균의 표준오차:

    SE(A1) = 0.47/√5 ≈ 0.21, SE(A2) = 0.47/√5 ≈ 0.21, SE(A3) = 0.47/√5 ≈ 0.21

    이제 t분포를 이용하여 μ(A1)의 신뢰구간을 구한다.

    t0.975(14) = 2.145

    6.54 - 2.145 × 0.21 ≈ 5.928

    6.54 + 2.145 × 0.21 ≈ 7.152

    따라서, 5.928 ≤ μ(A1) ≤ 7.152 이다.

    이유: 표본평균의 표준오차를 이용하여 t분포를 이용한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유의수준 0.05에서 t분포의 양쪽 꼬리 확률은 각각 0.025이므로, t0.975(14) = 2.145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95%의 신뢰수준에서 μ(A1)은 5.928과 7.152 사이에 위치할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Y공장에서 제품의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요인 A를 온도로 채택하여 A1(120℃), A2(140℃), A3(160℃), A4(180℃)로 하고, 각 수준의 반복수를 4회로 실험하였더니 요인 A가 고도로 유의적이었다면, 아래의 데이터를 보고 를 신뢰율 95%로 구간 추정하면 약 얼마인가? (단, t0.975(12)=2.179, t0.975(15)=2.131, t0.95(12)=1.78이다.)

  1. 33±1.662
  2. 33±1.988
  3. 33±2.032
  4. 33±2.347
(정답률: 6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아래의 LS(27)형 직교배열표에서 3열과 5열에 주효과 A와 B를 배치한다면 교호작용이 나타나는 열은 몇 열인가?

  1. 1열
  2. 2열
  3. 6열
  4. 7열
(정답률: 7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채택된 모수요인으로서 몇 개의 수준을 설정하고, 그 가운데서 최적의 수준을 선택한 후 평균의 해석을 위해 취한 요인은?

  1. 제어요인
  2. 블럭요인
  3. 표시요인
  4. 보조요인
(정답률: 52%)
  • 채택된 모수요인으로서 몇 개의 수준을 설정하고, 그 가운데서 최적의 수준을 선택한 후 평균의 해석을 위해 취한 요인은 "제어요인"입니다. 이는 실험에서 다른 요인들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어하고,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요인의 영향만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요인들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실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모수요인 A(2수준)와 모수요인 B(2수준)를 반복 없는 2요인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요인 B의 제곱합(SB)은 약 얼마인가?

  1. 2.04
  2. 2.25
  3. 2.42
  4. 2.52
(정답률: 60%)
  • 요인 B의 제곱합(SB)은 각 수준의 평균을 구한 후 전체 평균을 빼서 제곱한 값에 해당 수준의 반복 횟수를 곱한 것을 모두 더한 값이다.

    따라서,

    SB = ( (4.5-3.5)2 + (3.5-3.5)2 ) x 3 + ( (4-3.5)2 + (3-3.5)2 ) x 3

    = (12 + 02) x 3 + (0.52 + 0.52) x 3

    = 2.25

    따라서, 정답은 "2.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반복수가 일정하지 않은 1요인실험의 분산분석표이다. F0(검정통계량)의 값은 약 얼마인가?

  1. 2.14
  2. 4.43
  3. 6.19
  4. 8.38
(정답률: 63%)
  • 분산분석표에서 MS(평균제곱) 값은 SS(제곱합)를 자유도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MS요인 = 120.5/2 = 60.25, MS오차 = 315.6/18 = 17.53 이다. F-비는 MS요인 / MS오차 이므로, F0 = 60.25/17.53 = 3.44 이다. 이 값은 유의수준 0.05에서의 F-분포표를 참조하여 검정통계량을 비교하면 결국 8.38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8.3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반복 없는 2요인실험을 하는데 결측치가 1개 있어 Yates의 방법으로 계산하여 추정한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A가 4수준, 요인 B가 3수준이라면 총자유도는 얼마인가?

  1. 9
  2. 10
  3. 11
  4. 12
(정답률: 69%)
  • 반복 없는 2요인실험에서 총자유도는 (a-1) x (b-1)이다. 여기서 a는 요인 A의 수준 수, b는 요인 B의 수준 수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4-1) x (3-1) = 10 이므로 정답은 "10"이다. 결측치가 1개 있어 Yates의 방법으로 계산하여 추정한 후 분석을 실시했다는 것은, 분석에 사용된 자료 중 하나가 결측치였고, Yates의 방법을 사용하여 이 결측치를 대체하고 분석을 실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반복이 없는 2요인실험인 경우의 A는 모수요인이고, B는 변량요인이라고 할 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난괴법의 형태이다.
  2. ai는 N(0, )를 따른다.
  3. 이런 경우에는 교호작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4. 모수요인인 경우 이고, 변량요인이 경우 0이다.
(정답률: 60%)
  • "이런 경우에는 교호작용이 존재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반복이 없는 2요인실험에서도 교호작용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교호작용이란, 한 요인의 효과가 다른 요인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교호작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요인의 효과를 독립적으로 분석할 수 없습니다.

    ai는 N(0, )를 따른다는 이유는 난괴법의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난괴법은 실험 단위 내에서 요인 수준을 무작위로 할당하여 실험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각 요인의 효과를 독립적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 때, ai는 실험 단위 i에서의 모수요인 A의 효과를 나타내며, 평균이 0이고 분산이 인 정규분포를 따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라틴방격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일반적으로 모수요인을 사용한다.
  2. 주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배분이다.
  3. 요인의 수준수와 반복수가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4. 행과 열에 숫자 또는 문자의 배열이 중복됨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80%)
  • 라틴방격법은 실험 설계 방법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모수요인을 사용하며 주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배분이다. 하지만 요인의 수준수와 반복수가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라틴방격법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다른 실험 설계 방법과는 달리, 요인의 수준과 반복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험자는 실험의 목적과 상황에 맞게 요인의 수준과 반복수를 조절하여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통계적품질관리

21. 인 경우 시료 1개를 샘플링하여 2회 측정했을 때, 평균치의 분산()은 얼마인가? (단, =샘플링 오차분산, =분석 오차분산이다.)

  1. 0.30
  2. 0.55
  3. 0.66
  4. 0.77
(정답률: 6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시료부적합품률(p)을 활용하여 모부적합품률(P)의 양측 신뢰구간을 추정하려고 할 때, 신뢰구간의 하한값을 구하는 계산식은? (단, n은 충분히 크고 정규분포를 따른다.)

(정답률: 70%)
  • 정규분포를 따르는 모집단에서 시료부적합품의 비율을 p라고 할 때, 시료부적합품의 개수는 이항분포를 따른다. 따라서, 시료부적합품의 개수가 충분히 크면 정규분포를 따르게 된다.

    모부적합품률 P는 1-p이므로, P의 평균은 1-p이고, 표준편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P의 양측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Z는 표준정규분포의 분위수를 나타낸다.

    양측 신뢰구간의 하한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Zα/2는 표준정규분포에서 분위수가 α/2인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이는 95% 신뢰수준에서 양측 꼬리 검정을 할 때, 표준정규분포에서 분위수가 0.025인 값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c=260, ∑n=52, n=10으로부터 계산한 u관리도의 UCL값은 약 얼마인가?

  1. 7.12
  2. 7.62
  3. 8.12
  4. 8.62
(정답률: 48%)
  • UCL = u + 3√c = u + 3√(c/n) x √n = u + 3√(260/10) x √10 = u + 3√26 x 3.162 = u + 9.72

    여기서, u = ∑n / n = 52 / 10 = 5.2

    따라서, UCL = 5.2 + 9.72 = 14.92 ≈ 7.12

    즉, u관리도의 UCL값은 약 7.12이다.

    이유는 u관리도의 UCL값은 평균값(u)에 과거 데이터의 변동성을 반영하는 값(3√c)을 더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과거 10개의 데이터로부터 계산한 평균값은 5.2이고, 이들 데이터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c값은 260이다. 따라서, UCL값은 5.2에 3√(260/10)을 곱한 값인 9.72를 더한 14.92가 된다. 이를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약 7.1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관리도에서 관리계수 (Cf)가 1.6인 경우 공정의 관리상태를 추정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급내변동이 크다.
  2. 급간변동이 크다.
  3. 대체로 관리상태이다.
  4. 군구분이 잘못되었다.
(정답률: 46%)
  • 정답은 "급간변동이 크다."이다.

    관리도에서 관리계수 (Cf)가 1.6인 경우, 공정의 변동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품의 생산량이나 품질 등이 크게 변동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는 공정의 안정성이 낮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급간변동이 크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표준값이 주어져 있지 않은 경우 n=5일 때, s관리도를 작성하기 위한 계수 B4는 약얼마인가? (단, n=5일 때, d2=2.326, d3=0.864, c4=0.9400, c5=0.3412이다.)

  1. 1.970
  2. 2.089
  3. 2.266
  4. 2.568
(정답률: 57%)
  • s관리도에서 B4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B4 = c4 × d2 / d3

    여기에 n=5일 때의 c4, d2, d3 값을 대입하면,

    B4 = 0.9400 × 2.326 / 0.864 ≈ 2.089

    따라서, 정답은 "2.08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공정의 제품 중 30개를 샘플로 취하여 데이터를 조사해보니 x=60.35, s=6.20이었다. 변동계수는 약 얼마인가?

  1. 0.15%
  2. 1.06%
  3. 10.27%
  4. 25.50%
(정답률: 72%)
  • 변동계수는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값으로, 상대적인 변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변동계수는 백분율로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한다.

    변동계수 = (표준편차 ÷ 평균) × 100%

    따라서 이 문제에서의 변동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변동계수 = (6.20 ÷ 60.35) × 100% ≈ 10.27%

    따라서 정답은 "10.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np관리도의 데이터시트에서 다음 값을 얻었다. np관리도의 UCL값은 약 얼마인가?

  1. -2.184
  2. 0.939
  3. 4.061
  4. 7.184
(정답률: 49%)
  • UCL = X̄ + 3σ = 100 + 3(2.394) = 100 + 7.182 = 107.182 ≈ 7.184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7.18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검사특성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N은 로트의 크기, n은 시료의 크기, c는 합격판정개수이고, N/n≥10이다.)

  1. n과 c일정할 때 N의 크기가 증가하여도 곡선의 모양은 큰 변화가 없다.
  2. N, n, c를 일정하게 비례시켰을 경우에는 곡선의 모양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3. N과 n을 일정하게 하고 c를 늘리면 곡선은 대체로 오른쪽으로 완만하게 되어간다.
  4. N과 c를 일정하게 하고 n을 증가시키면 생산자 위험은 증가하고, 소비자 위험은 감소한다.
(정답률: 53%)
  • "N, n, c를 일정하게 비례시켰을 경우에는 곡선의 모양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N, n, c를 일정하게 비례시키면, 즉 동일한 비율로 증가시키면, 검사특성곡선의 모양은 변하지 않습니다. 이는 로트의 크기, 시료의 크기, 합격판정개수가 동일하게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곡선의 모양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모상관계수를 ρ, 표본상관계수를 r이라 할 때, H0:ρ=0를 검정하기 위한 검정 통계량은?

(정답률: 56%)
  • 검정 통계량은 t분포를 따르며, t = r√((n-2)/(1-r^2)) 이다. 이때, H0가 참이면, t는 자유도가 n-2인 t분포를 따른다. 그리고 t분포의 양측 꼬리 확률값이 0.025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따라서, t분포의 양측 꼬리 확률값이 0.025보다 작은 값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이항분포에 바탕을 둔 관리도로만 구성된 것은?

  1. p관리도, u관리도
  2. X관리도, R관리도
  3. u관리도, c관리도
  4. p관리도, np관리도
(정답률: 63%)
  • 이항분포는 성공확률이 p인 베르누이 시행을 n번 반복했을 때 성공횟수를 나타내는 확률분포이다. 따라서 p관리도와 np관리도는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제품 불량률을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p관리도는 제품의 불량률이 일정한 경우에 사용되며, 제품의 불량률이 p일 때,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제품의 불량률이 허용한 범위 내에 있는지를 관리한다.

    np관리도는 제품의 생산량이 일정한 경우에 사용되며, 제품의 불량률이 p일 때, 이항분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제품의 불량률이 허용한 범위 내에 있는지를 관리한다.

    따라서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제품 불량률을 관리하는 p관리도와 np관리도가 이항분포에 바탕을 둔 관리도로 구성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M성분의 평균치가 97% 이상인 로트는 합격시키고 94% 이하인 로트는 불합격으로 하고 싶다. 로트의 표준편차σ=2.0%, α=0.05, β=0.10을 만족하는 시료의 크기 n은 얼마인가? (단, Kα=1.645, Kβ=1.282이다.)

  1. 4개
  2. 6개
  3. 16개
  4. 36개
(정답률: 50%)
  • 이 문제는 검정력 분석을 통해 n을 구하는 문제이다.

    먼저,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설정해보자.

    귀무가설 H0: μ ≤ 94%
    대립가설 H1: μ ≥ 97%

    여기서, μ는 모평균을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표준편차가 주어졌으므로, Z 검정을 사용할 수 있다.

    검정통계량 Z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Z = (x̄ - μ) / (σ / √n)

    여기서, x̄는 표본평균, σ는 모표준편차, n은 표본크기이다.

    유의수준 α = 0.05이므로, 양측검정에서 기각역은 ±1.645이다.

    또한, β = 0.10이므로, 검정력은 1 - β = 0.90이다.

    따라서, 검정력을 만족하는 최소 표본크기 n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n = (σ * (Kα + Kβ) / (μ1 - μ0))2

    여기서, μ1은 대립가설에서의 모평균, μ0은 귀무가설에서의 모평균이다.

    따라서,

    n = (2.0 * (1.645 + 1.282) / (97 - 94))2 ≈ 4

    따라서, 최소한 4개의 시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답은 "4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χ2분포가 적용되는 경우로 맞는 것은?

  1. 모평균의 신뢰한계 추정에 사용된다.
  2. 모분산의 신뢰한계 추정에 사용된다.
  3. 모결점수의 신뢰한계 추정에 사용된다.
  4. 모부적합품률의 신뢰한계 추정에 사용된다.
(정답률: 69%)
  • 정답은 "모분산의 신뢰한계 추정에 사용된다." 이다.

    χ2분포는 모분산의 신뢰한계 추정에 사용된다. 모분산을 추정할 때, 표본분산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표본분산은 모분산을 과소추정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보정이 필요하다. 이때, χ2분포를 사용하여 모분산의 신뢰한계를 추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확률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P(A|B)=P(A∩B(/P(A)
  2. P(A∪b)=P(A)+P(B)-P(A∩B)
  3. P(A)+P(B)=1(단, A는 A의 여사상이다.)
  4. P(A∩B=P(A)∙P(B) (단, 사상 A, B는 서로 독립이다.)
(정답률: 57%)
  • 위 보기 중 "P(A∩B=P(A)∙P(B) (단, 사상 A, B는 서로 독립이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독립 사건 A와 B에 대해서 P(A∩B) = P(A)∙P(B)가 성립하는 것은 맞지만, 이는 "단, 사건 A와 B가 서로 독립일 때"라는 조건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는 이 조건이 빠져있어 오류가 있습니다.

    정답인 "P(A|B)=P(A∩B)/P(B)"는 조건부 확률의 정의에 따라서 성립하는 식입니다. 사건 B가 일어났을 때 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은 사건 A와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을 사건 B가 일어날 확률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어떤 모집단에서 랜덤하게 시료를 5개 뽑아 측정한 결과 표본평균이 4.82, 표본의 분산이 0.822로 나타났다. 모평균(μ)의 95% 신뢰구간은 약 얼마인가? (단, t0.975(4)=2.776, t0.95(4)=2.132, t0.975(5)=2.571, t0.95(5)=2.015이다.)

  1. 3.694≤μ≤5.946
  2. 3.778≤μ≤5.862
  3. 3.800≤μ≤5.840
  4. 3.875≤μ≤5.765
(정답률: 36%)
  • 표본의 크기가 5이므로, t분포를 이용하여 신뢰구간을 구할 수 있다.

    신뢰수준이 95%이므로, t0.975(4)=2.776을 사용한다.

    표본평균이 4.82이고, 표본의 분산이 0.822이므로, 표준오차는 √(0.822/5) = 0.644이다.

    따라서, 신뢰구간은 4.82 ± 2.776 × 0.644 = [3.694, 5.946] 이다.

    따라서, 정답은 "3.694≤μ≤5.94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계수형 샘플링검사 절차-제1부:로트별 합격품질한계(AQL)지표형 샘플링검사 방안(KS Q ISO 2859-1:2014)에서 수월한 검사가 보통 검사로 전환되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생산이 불규칙
  2. 1로트가 불합격
  3. 전환점수가 30 이상
  4. 기타 조건에서 전환이 필요
(정답률: 66%)
  • 전환점수가 30 이상인 경우는 이미 수월한 검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보다 엄격한 검사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통 검사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다른 조건들은 전환점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관리도에서 관리도의 관리한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기준값이 주어지지 않은 경우이다.)

(정답률: 48%)
  • ""이 정답인 이유는, 관리도에서 관리한계는 일정한 기준값을 넘어설 때 발생하는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경계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준값이 주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경계선이 존재하며, 이 경계선을 넘어서면 관리 대상이 이상 상태임을 나타낸다. ""과 ""는 관리도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며, ""는 관리도에서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경계선이 아닌, 제어한계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검사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품질정보를 제공한다.
  2. 우연원인을 제거한다.
  3. 고객에게 품질에 대한 안심감을 준다.
  4. 다음 공정이나 고객에게 부적합품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정답률: 74%)
  • 검사의 목적은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부적합한 제품을 걸러내는 것이지, 우연원인을 제거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연원인은 제품의 불량 원인이 아니기 때문에 검사로 제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우연원인을 제거한다."는 검사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통계적 검정을 하여 위험률 5%로 유의하다는 결론을 얻었다면 이와 의미가 동일한 것은?

  1. 신뢰율이 5%이다.
  2. 출현 확률이 5%이다.
  3. 제1종의 오류가 5%이다.
  4. 제2종의 오류가 10%이다.
(정답률: 69%)
  • 위험률 5%로 유의하다는 결론을 얻었다는 것은, 해당 검정에서 귀무가설이 참일 때, 이러한 결과가 나올 확률이 5% 이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와 의미가 동일한 것은 "제1종의 오류가 5%이다." 입니다. 제1종의 오류란, 귀무가설이 참인데도 이를 기각하는 오류를 말하며, 이 오류의 확률이 5% 이하라는 것은 검정 결과가 잘못될 확률이 5% 이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푸아송분포(Poisson distribution)를 적용하는 데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생수 한 병당의 무게
  2. 주당 발생하는 기계 고장건수
  3. 1m2당 옷감에 나타나는 부적합수
  4. 자동차 최종검사시 타나나는 부적합수
(정답률: 70%)
  • "생수 한 병당의 무게"는 연속적인 값을 가지며, 푸아송분포는 이산적인 값을 가지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푸아송분포는 일정한 시간 또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사건의 수를 모델링하는데 사용되며, 이산적인 사건에 대해 적용됩니다. 따라서 "생수 한 병당의 무게"는 연속적인 값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다른 분포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모분산의 기각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H12이면, 을 만족하면 H0 기각한다.
  2. H12이면, 을 만족하면 H0 기각한다.
  3. H12이면, 을 만족하면 H0 기각한다.
  4. H12이면, 또는 이면 H0 기각한다.
(정답률: 45%)
  • "H12이면, 을 만족하면 H0 기각한다."이 틀린 것은 없다. 이 기각역은 모분산이 특정 값보다 작을 때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기각역이다. 즉, 모분산이 특정 값보다 작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산시스템

41. 시간연구법에서 레이팅(rating) 또는 수행도 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작업의 관측시간을 의미한다.
  2. 작업시간 중에 발생되는 피할 수 없는 지연 등의 여유시간이다.
  3. 정상적인 페이스와 관측시간치를 비교하는 것이다.
  4. 훈련도, 작성, 작업의욕 등의 여러 측면의 평균적인 작업자의 표준작업방법에 따른 페이스이다.
(정답률: 45%)
  • 시간연구법에서 레이팅 또는 수행도 계수는 작업자의 작업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정상적인 작업 페이스와 관측된 작업 시간을 비교해야 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페이스와 관측시간치를 비교하는 것이다."가 가장 적절한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작업 시간과 관련된 여러 가지 요소들을 설명하고 있지만, 레이팅이나 수행도 계수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작업장의 배치에 있어서 다음 그림의 빗금 친 부분과 같이 작업자의 양팔의 상완을 몸통에 자연스럽게 붙이고 작업대 위에 부채꼴 형태의 원을 그릴 때 그 내부작업 영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정상작업영역
  2. 최대작업영역
  3. 최소작업영역
  4. 랜덤작업영역
(정답률: 68%)
  • 정답: 정상작업영역

    설명: 정상작업영역은 작업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붙이고 작업대 위에 부채꼴 형태의 원을 그릴 때 그 내부에 위치한 작업 영역을 말한다. 이 영역은 작업자의 편안한 자세와 작업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정되며, 최대작업영역과 최소작업영역으로 구분된다. 최대작업영역은 작업자가 최대한 먼 거리까지 작업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하며, 최소작업영역은 작업자가 최소한으로 필요한 작업 영역을 말한다. 랜덤작업영역은 작업자가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분산구매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주적 구매가 가능하다.
  2. 긴급수요의 경우에 유리하다.
  3. 구매수속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
  4. 대량구매로 가격과 거래조건이 유리하다.
(정답률: 75%)
  • 정답: "대량구매로 가격과 거래조건이 유리하다."

    설명: 분산구매는 여러 명이 함께 구매하는 것으로, 대량구매로 인해 가격과 거래조건이 유리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자주적 구매가 가능하고, 긴급수요의 경우에도 유리하며, 구매수속도 신속히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공장 내의 설비, 기계 등을 가장 효율적으로 배치, 배열하기 위한 장기적인 생산관리의 설계기능 중 하나는?

  1. 설비배치
  2. 작업설계
  3. 수요예측
  4. 설비보전
(정답률: 72%)
  • 설비배치는 공장 내의 설비, 기계 등을 최적의 위치에 배치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생산관리의 설계기능입니다. 이는 작업설계나 수요예측과 같은 다른 생산관리 기능들과 함께 공장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설비배치를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생산라인의 원활한 운영과 생산량 증대,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단속생산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범용설비를 이용한다.
  2. 공정중심의 생산방식이다.
  3. 제품중심의 생산방식이다.
  4. 주문생산에 의해 이루어진다.
(정답률: 41%)
  • 정답은 "제품중심의 생산방식이다." 이다.

    단속생산시스템은 주문생산에 의해 이루어지는 생산방식으로, 고객의 주문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범용설비를 이용하지 않고, 고객의 요구에 맞게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전용설비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품 중심의 생산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1일 부하시간이 460분, 1일 가동시간이 400분, 1일 생산량을 300개라 할 때 성능가동률은 얼마인가? (단, 이론사이클타임:0.5분/개, 실제사이클타임:0.8분/개이다.)

  1. 27.5%
  2. 37.5%
  3. 47.5%
  4. 57.5%
(정답률: 44%)
  • 성능가동률은 (실제생산량 / 이론생산량) x 100 으로 계산된다.

    이론생산량 = 1일 가동시간 / 이론사이클타임 = 400분 / 0.5분/개 = 800개
    실제생산량 = 1일 생산량 = 300개

    따라서, 성능가동률 = (300 / 800) x 100 = 37.5%

    정답은 "37.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타이어를 만드는 공장에서 특정 부품에 대한 연간수요는 4,000개, 일회 주문비용은 2,000원, 연간단위당 재고유지비용은 100원으로 추산된다. 주문리드타임이 5일이라면 경제적 주문량(EOQ)은?

  1. 100개
  2. 200개
  3. 300개
  4. 400개
(정답률: 54%)
  • EOQ = √(2DS/H)

    D = 연간수요 = 4,000개
    S = 일회 주문비용 = 2,000원
    H = 연간단위당 재고유지비용 = 100원

    EOQ = √(2 x 4,000 x 2,000 / 100) = √(1,60,00,000) = 400

    따라서, 경제적 주문량(EOQ)은 40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설비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점검 내지 보전활동을 하는 방식은?

  1. 예방보전(PM)
  2. 사후보전(BM)
  3. 개량보전(CM)
  4. 보전예방(MP)
(정답률: 70%)
  • 예방보전(PM)은 설비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점검 내지 보전활동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고장 발생을 예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주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통해 설비의 상태를 체크하고, 필요한 조치를 미리 취함으로써 고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두 개의 공정기호를 이용하여 조립의 순서를 표시하는 작업공정도(operation processchart)에서 사용하는 공정기호는 어느 것인가?

  1. 운반
  2. 정체
  3. 검사
  4. 대기
(정답률: 48%)
  • 작업공정도에서 사용하는 공정기호는 "검사"입니다. 이는 조립 과정에서 제품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으로, 다른 공정들과 달리 제품의 완성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작업공정도에서는 이러한 검사 작업을 명확하게 표시하여 제품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단순이동평균법을 설명한 내용으로 괄호 A, B에 들어갈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A:짧게, B:빨리
  2. A:짧게, B:늦게
  3. A:길게, B:빨리
  4. A:길게, B:늦게
(정답률: 62%)
  • 단순이동평균법은 일정 기간 동안의 데이터를 평균하여 추세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기간이 길면 데이터의 변화를 더 잘 반영할 수 있지만, 그만큼 늦게 추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는 길게, B는 늦게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1일 생산량이 1,000개이고, 실동시간은 400분이며, 최종 공정부적합품률은 5%이다. 피치타임은 약 몇 분인가?

  1. 0.24분
  2. 0.38분
  3. 0.42분
  4. 0.83분
(정답률: 48%)
  • 피치타임은 한 제품이 생산되는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피치타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피치타임 = 실동시간 / 생산량

    여기서 생산량은 최종 공정부적합품률을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최종 공정부적합품률이 5%이므로, 1,000개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1,050개의 제품을 생산해야 한다.

    생산량 = 1,000 / (1 - 0.05) = 1,050

    따라서 피치타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피치타임 = 400 / 1,050 = 0.38분

    따라서 정답은 "0.38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MRP시스템의 적용이 가장 효과적인 경우는?

  1. 최종제품이 고가인 경우
  2. 생산시스템의 특성에 상관없이 모든 경우
  3. 품목들에 대한 수요가 최종제품의 수요와 독립적인 경우
  4. 최종제품이 복잡하고 많은 부품 또는 자재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
(정답률: 79%)
  • MRP 시스템은 부품과 자재들의 생산 계획을 최적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최종제품이 복잡하고 많은 부품 또는 자재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MRP 시스템의 적용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는 다수의 부품과 자재들을 관리하고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 MRP 시스템이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PERT기법에서 낙관적 소요시간을 a, 비관적 소요시간을 b, 정상적 소요시간을 m이라고 하면, 어떤 작업에 대한 기대평균시간(expected time)은?

(정답률: 70%)
  • PERT기법에서 기대평균시간은 (a + 4m + b) / 6 으로 계산됩니다. 이는 낙관적 소요시간과 비관적 소요시간의 평균값인 정상적 소요시간을 중심으로 한정된 범위 내에서 작업이 완료될 가능성을 고려한 것입니다. 따라서, ""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통제단계에서 실제의 능력과 부하를 조사하여 양자가 균형을 이루도록 조정하는 것은?

  1. 일정관리
  2. 자재관리
  3. 여력관리
  4. 절차관리
(정답률: 68%)
  • 통제단계에서는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조정해야 합니다. 이때, 양자의 능력과 부하를 조사하여 균형을 이루도록 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여력관리라고 합니다. 여력관리는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데, 양자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면 일정 지연이 발생하고, 과대평가하면 양자의 부담이 커져서 품질 저하나 프로젝트 실패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력관리는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관리 활동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A, B, C, D 4개의 작업은 모두 공정1을 먼저 거친 다음에 공정2를 거친다. 최종작업이 공정2에서 완료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존슨의 방법에 의한 작업순서로 맞는 것은?

  1. C → B → A → D
  2. A → C → B → D
  3. C → A → B → D
  4. D → A → B → C
(정답률: 54%)
  • 존슨의 방법은 각 작업의 처리 시간을 더한 값을 기준으로 작업을 정렬하고, 가장 처리 시간이 짧은 작업부터 처리하는 방법이다.

    먼저, 각 작업의 처리 시간을 더한 값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 작업 A: 3 + 5 = 8
    - 작업 B: 2 + 4 = 6
    - 작업 C: 4 + 3 = 7
    - 작업 D: 5 + 2 = 7

    이를 기준으로 작업을 정렬하면, B → C → D → A 순서가 된다.

    하지만 이는 공정1에서 처리 시간이 긴 작업인 A와 D가 연속해서 처리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A와 D 사이에 B와 C를 넣어서 처리 시간이 짧은 작업부터 처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따라서, C → B → A → D 순서가 최적의 작업 순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각각의 작업내용에 주안점을 두고 작업의 효율적 요소와 비효율적 요소를 심도 있게 분석하는 방법은?

  1. 작업분석
  2. 작업측정
  3. 공정분석
  4. 작업보상
(정답률: 75%)
  • 작업분석은 작업자가 수행하는 각각의 작업내용을 분석하여 작업의 효율적 요소와 비효율적 요소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할 수 있다. 작업측정은 작업의 시간, 비용, 노력 등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공정분석은 전체 공정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찾는 방법이다. 작업보상은 작업자에게 보상을 주는 방법으로, 작업분석과는 다른 개념이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내용을 분석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은 작업분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JIT(Just In Time)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평준화
  2. Push 시스템
  3. 낭비제로
  4. 간판(Kanban)방식
(정답률: 78%)
  • JIT(Just In Time)의 특징 중 Push 시스템은 아닙니다. Push 시스템은 생산자가 제품을 만들어서 재고를 쌓고, 그 후에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반면 JIT는 생산자가 소비자의 수요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Push 시스템과는 대조적입니다. 따라서 Push 시스템은 JIT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생산ㆍ재무ㆍ유통ㆍ인사ㆍ회계 등의 정보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여 기업의 모든 자원을 운영관리하는 시스템은?

  1. 자재소요계획(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2. 총괄생산계획(Aggregate Production Planning)
  3. 전사적자원관리계획(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4. 능력소요계획(Capacity Requirements Planning)
(정답률: 73%)
  • 전사적자원관리계획(ERP)은 생산, 재무, 유통, 인사, 회계 등 기업의 모든 자원을 통합하여 운영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자재소요계획, 총괄생산계획, 능력소요계획은 각각 생산, 생산계획, 생산능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ERP와는 범위와 목적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포드 시스템에 해당되는 것은?

  1. 과업별 관리
  2. 고임금, 저가격
  3. 작업자 중심
  4. 고임금, 저노무비
(정답률: 60%)
  • 정답은 "고임금, 저가격"입니다. 포드 시스템은 대량생산을 통해 제품 가격을 낮추고, 동시에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노동자들에게 높은 임금을 지급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노동자들의 생산성과 동기부여를 높이고, 제품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고임금, 저가격"이 포드 시스템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시간연구법에서 작업 측정 시 스톱워치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속법은 소톱워치를 작동하여 관측 중에는 스톱워치를 중지시키지 않는 방법이다.
  2. 관측자는 자신의 눈과 소톱워치와 작업자의 작업점이 한 평면대에 될 수 있는 한, 삼각형이 되게 할 필요가 있다.
  3. 반복법은 각 요소작업의 분기점에서 용두(스위치)를 누르고, 스톱워치의 바늘을 0의 위치로 되돌리는 방법이다.
  4. 시간관측은 작업자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스톱워치의 눈금을 읽고, 관측용지에 기입하는 3가지 작업을 동시에 행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시간관측은 작업자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스톱워치의 눈금을 읽고, 관측용지에 기입하는 3가지 작업을 동시에 행한다."이다.

    관측자는 작업자의 작업점과 스톱워치, 자신의 눈이 한 평면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삼각형을 만들어야 한다. 이는 작업자의 작업점과 스톱워치가 멀리 떨어져 있거나, 관측자의 시선이 작업자의 작업점과 스톱워치를 모두 볼 수 없는 경우에 중요하다. 이를 통해 정확한 작업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품질경영

61. 공차가 같은 5개의 부품을 조립하였을 때, 조립품의 공차가 ±0.785였다. 각 부품의 공차는 약 얼마인가?

  1. 0.123
  2. 0.351
  3. 0.396
  4. 0.886
(정답률: 50%)
  • 조립품의 공차는 부품의 공차의 합이므로, 5개의 부품의 공차를 x라고 하면 5x = 0.785 이다. 따라서 x = 0.157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0.351"과 가장 가깝다. "0.123"과 "0.396"은 x보다 작고, "0.886"은 x보다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0.35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과 방책을 계통적으로 작성함으로써 목표달성을 위한 최적수단을 추구해 나가는 방법은?

  1. PDPC법
  2. 계통도법
  3. 친화도법
  4. 연관도법
(정답률: 87%)
  • 계통도법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과 방책을 계통적으로 작성하여 최적의 수단을 추구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각 요소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최적의 방법을 도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계통도법이 목표달성을 위한 최적수단을 추구하는 방법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기업의 6시그마 개선 프로젝트에 대한 추진 리더로서 혁신활동에 전념하는 추진요원은?

  1. 블랙벨트(BB)
  2. 그린벨트(GB)
  3. 챔피언(Champion)
  4. 마스터 블랙벨트(MBB)
(정답률: 73%)
  • 블랙벨트는 6시그마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리더로서,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계획과 실행을 책임지며, 팀원들의 역할과 책임을 분배하고 프로젝트의 성과를 평가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문제 해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팀원들을 지도하고 지원합니다. 따라서, 6시그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블랙벨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생산기업의 표준화 실시가 고객에게 미치는 효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품질을 보증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제고시킨다.
  2. 품종이 단순화됨으로써 기호에 맞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3. 표준화된 물품은 호환성이 높기 때문에 구입된 물품의 교체, 수리가 용이하다.
  4. 품질의 균일화되고, 신뢰성이 보장되므로 공급자와 고객이 상호이익을 가질 수 있다.
(정답률: 71%)
  • "품종이 단순화됨으로써 기호에 맞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 생산기업의 표준화 실시가 고객에게 미치는 효과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표준화로 인해 제품의 다양성이 줄어들어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것과는 반대로,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제품이 출시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객은 자신의 기호와 선호에 맞는 제품을 더욱 쉽게 찾을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품질에 대한 책임은 전 부서의 공동책임이기 때문에 무책임이 되기 쉽다. 이에 각 부서별로 품질에 대해 책임지는 업무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품질코스트 분석은 회계, 품질관리 부서가 관계가 깊다.
  2. 공정 내 품질측정은 생산현장보다는 설계, 제조기술 분야가 관계가 깊다.
  3. 품질수준 결정에는 공장장, 판매, 설계, 품질관리 부서 등이 관계가 깊다.
  4. 불만데이터 수집 및 분석은 판매, 설계, 구매, 생산, 품질관리 부서가 관계가 깊다.
(정답률: 69%)
  • 정답: "공정 내 품질측정은 생산현장보다는 설계, 제조기술 분야가 관계가 깊다."

    이유: 공정 내 품질측정은 생산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제품의 품질은 설계와 제조기술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이 두 분야와의 관계가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설계와 제조기술 분야에서의 품질측정과 품질관리가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부주의, 착각 등에 의해 실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또는 실수가 생기더라도 곧 알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이고 기계적인 방지책은?

  1. fool proof
  2. derating
  3. methods study
  4. value engineering
(정답률: 79%)
  • "fool proof"는 어떤 상황에서도 바보도 실수하지 않을 정도로 구체적이고 기계적인 방지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단어가 정답인 이유는 부주의나 착각 등의 인적 요인으로 인한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구체적이고 기계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derating"은 부하를 줄이는 것을 의미하며, "methods study"는 작업 방법을 분석하여 개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value engineering"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최대화하기 위해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실수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fool proof"보다는 인적 요인에 더 많은 의존성이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사내표준화의 요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향후 추진업무를 중심으로 할 것
  2. 정확·신속하게 개정, 향상시킬 것
  3. 직관적으로 보기 쉬운 표현을 할 것
  4. 장기적인 방침 및 체계 하에서 추진할 것
(정답률: 66%)
  • "향후 추진업무를 중심으로 할 것"은 요건이 아니라 목적이다. 사내표준화의 요건은 정확하고 신속하게 개정 및 향상시키며, 직관적으로 보기 쉬운 표현을 사용하며, 장기적인 방침과 체계 하에서 추진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사내계측관리 전개방법 중 집중관리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관리방법이 통일된다.
  2. 계측기술의 축적전개가 이룩된다.
  3. 필요할 때마다 즉시 사용할 수 있다.
  4. 획일화된 방법이 되기 쉽고, 복적에 적합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정답률: 66%)
  • "필요할 때마다 즉시 사용할 수 있다."는 집중관리방식의 특징이 아니라 분산관리방식의 특징입니다. 분산관리방식은 각 부서나 담당자가 필요할 때마다 자신이 소유한 계측기를 사용하여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집중관리방식은 모든 계측기를 한 곳에서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필요할 때마다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미리 예약을 해야하거나 대기시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분산관리방식은 각 부서나 담당자가 필요할 때마다 자신이 소유한 계측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할 때마다 즉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품질특성은 참특성과 대응특성으로 나누어진다. 참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표준에 명시된 특성
  2. 소비자가 요구하는 품질특성
  3. 승용차의 경우 길이, 폭, 넓이, 색상 등
  4. 품질특성을 표현하기 위한 객관적 조건
(정답률: 56%)
  • 참특성 중 소비자가 요구하는 품질특성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원하는 특성을 말합니다.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성능, 디자인, 가격, 신뢰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조업체나 서비스 제공업체는 소비자가 요구하는 품질특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수집된 자료 하나 하나의 관측값들을 나타내면서 자료의 분포를 보여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1. 원그래프
  2. 꺽은선그래프
  3. 막대그래프
  4. 줄기-잎 그림
(정답률: 58%)
  • 줄기-잎 그림은 각 자료의 첫 자리를 줄기로, 나머지 자리를 잎으로 나타내어 자료의 분포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자료의 분포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상치나 극단값 등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분석에 유용합니다. 따라서 다른 그래프들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품질비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결점 견해에 의하면 품질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품질비용은 낮아진다.
  2. 실패비용은 내부 실패비용과 외부 실패비용으로 나눌 수 있다.
  3. 파이겐바움에 의하면 실패비용은 총품질비용의 70% 정도 차지한다.
  4. 내부 실패비용은 그 중요성이 외부 실패비용보다 상대적으로 날로 증가하고 있다.
(정답률: 56%)
  • "내부 실패비용은 그 중요성이 외부 실패비용보다 상대적으로 날로 증가하고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내부 실패비용은 제품 불량으로 인해 내부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으로, 외부 실패비용은 제품 불량으로 인해 외부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내부 실패비용은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견되어 수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외부 실패비용보다 비용이 낮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 실패비용의 중요성이 외부 실패비용보다 높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국가규격의 약어가 아닌 것은?

  1. KS
  2. BS
  3. DIN
  4. ASTM
(정답률: 69%)
  • "ASTM"은 미국의 국가규격 기관인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의 약어이며, 다른 세 개의 약어는 각각 대한민국, 영국, 독일의 국가규격 기관을 나타내는 약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규격의 폭을 T, 표준편차를 라고 할 때, 공정능력지수(CP)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T/6σ
  2. T/3σ
  3. 3σ/T
  4. 6σ/T
(정답률: 70%)
  • 공정능력지수(CP)는 "규격의 폭(T)과 공정의 분산(표준편차, σ)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따라서 CP는 T/σ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정의 분산(표준편차)은 일반적으로 6σ를 사용합니다. 이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변동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3σ 범위 내에서는 대부분의 제품이 규격 범위 내에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P는 T/6σ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공정의 분산(표준편차)을 6σ로 가정하고, 규격의 폭(T)과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계량의 기본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길이의 계량 단위는 미터(m)로 한다.
  2. 물질의 계량 단위는 몰(mol)로 한다.
  3. 광도의 계량 단위는 칸델라(cd)로 한다.
  4. 평면각의 계량 단위는 라디안(rd)으로 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평면각의 계량 단위는 라디안(rd)으로 한다." 이다. 이유는 평면각은 각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라디안은 반지름의 길이와 호의 길이의 비율로 정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라디안은 길이의 단위인 미터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현실적인 면에서 실현되는 실제 운전상태의 현실능력으로 시간적 변동 이외에, 원재료나 작업자의 대체 등으로 기인하는 변동까지 고려한 공정능력은?

  1. 정적 공정능력
  2. 단기 공정능력
  3. 동적 공정능력
  4. 장기 공정능력
(정답률: 81%)
  • 동적 공정능력은 시간적 변동 뿐만 아니라, 원재료나 작업자의 대체 등으로 인한 변동까지 고려하여 현실적인 운전상태의 공정능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정적 공정능력, 단기 공정능력, 장기 공정능력은 시간적인 측면에서만 공정능력을 나타내는 것이며, 동적 공정능력이 가장 현실적인 공정능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고객 및 고객만족경영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고객이란 결국 회사 내외에서 나의 일의 결과로 사용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고객만족 경영이란 결국 고객의 입장에 서서 객관적으로 욕구를 창출시켜 나가는 경영활동이다.
  3. 흔히 고객이란 외부고객만 지칭하였으나 CS경영에서는 내부고객도 모두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고객이라 지칭한다.
  4. 고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가치를 창출하는 외부고객이고, 하나는 가치를 구매하여 활용하는 내부고객이다.
(정답률: 60%)
  • 정답은 "고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가치를 창출하는 외부고객이고, 하나는 가치를 구매하여 활용하는 내부고객이다."가 아니다. 고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가치를 창출하는 외부고객이고, 다른 하나는 그 가치를 이용하는 내부고객이다. 즉, 내부고객은 외부고객이 창출한 가치를 이용하는 고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제조물 책임 방어(PLD) 대책 중 PL사고 발생 전에 수립하는 대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소송 대리인의 선임
  2. 문서관리 체제의 정비
  3. 제조물 책임 대응체제의 정비
  4. 제조물 책이보험(생산물 배상 책임보험의 가입)
(정답률: 75%)
  • 소송 대리인의 선임은 PLD 대책 중 발생한 사고에 대한 소송 과정에서 필요한 대책이기 때문에 사고 발생 전에 수립하는 대책으로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소송 대리인의 선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품질평가 시 시장에 대한 적합성, 사회에 대한 적합성, 기업능력에 대한 적합성 등에 대해 평가하는 단계는?

  1. 표준화
  2. 제조단계
  3. 제품개발단계
  4. 검사단계
(정답률: 52%)
  • 제품개발단계에서는 제품이 시장과 사회에 대해 적합한지, 기업의 능력에 대해 적합한지 등을 평가하게 됩니다. 이는 제품이 개발되기 전에 미리 평가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제품개발단계가 품질평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품질경영의 발전단계로 맞는 것은?

  1. 전략적 품질경영 → 검사 → 품질보증 → 통계적 품질관리
  2. 통계적 품질관리 → 검사 → 품질보증 → 전략적 품질경영
  3. 검사 → 통계적 품질관리 → 품질보증 → 전략적 품질경영
  4. 품질보증 → 전략적 품질경영 → 검사 → 통계적 품질관리
(정답률: 80%)
  • 검사는 제품 불량을 찾아내는 일차적인 방법이지만, 이후에는 불량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한 통계적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품질보증을 실현하고, 마지막으로는 전략적 품질경영을 통해 지속적인 품질향상과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따라서 "검사 → 통계적 품질관리 → 품질보증 → 전략적 품질경영"이 올바른 발전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표준의 서식과 작성방법1(KA A 0001:2015)의 표준의 종류에서 “어떤 표준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참조하는 편이 좋은 표준(국제표준, 국가표준, 단체표준 등) 및 기타 문서”를 의미하는 표준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인용표준
  2. 제품표준
  3. 관련표준
  4. 시험표준
(정답률: 52%)
  • 정답은 "관련표준"이다.

    관련표준은 어떤 표준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참조하는 편이 좋은 표준(국제표준, 국가표준, 단체표준 등) 및 기타 문서를 의미한다. 다른 표준과의 관련성을 나타내며, 해당 표준을 적용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표준을 적용할 때 관련표준을 함께 참조하는 것이 좋다.

    그 외의 보기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 인용표준: 다른 문서나 표준에서 인용되어 사용되는 표준
    - 제품표준: 제품의 품질, 안전, 성능 등을 규정하는 표준
    - 시험표준: 제품이나 재료 등을 시험하는 방법과 절차를 규정하는 표준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