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경영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9-23)

품질경영산업기사
(2017-09-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험계획법

1. 다음은 1요인실험을 하여 얻어진 분산분석표의 일부이다. 요인 의 기여율은 얼마인가?

  1. 19.5%
  2. 23.0%
  3. 30.0%
  4. 40.5%
(정답률: 52%)
  • 요인의 기여율은 제곱합(SS)의 비율로 계산된다. 즉, 각각의 제곱합을 전체 제곱합으로 나눈 값이 요인의 기여율이 된다.

    따라서, 요인 A의 기여율은 (제곱합(A) / 제곱합(T))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T는 총 제곱합을 의미한다.

    위 분산분석표에서 요인 A의 제곱합은 120.5, 총 제곱합은 618.5이므로, 요인 A의 기여율은 (120.5 / 618.5) * 100 = 19.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9.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모수요인 A의 수준수가 4, 반복 5회의 1요인실험에서 ST=2.478, SA=1.690, Se=0.788일 때, 95% 신뢰 구간으로 오차분산()을 추정하면 약 얼마인가? (단, 이다.)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실험계획법에서 사용하는 모수요인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준이 기술적인 의미를 가진다.
  2. 수준의 선택이 랜덤하게 이루어진다.
  3. 요인 A의 주효과(ai)들의 합은 0이다.
  4. 요인 A의 주표과(ai)들 간의 산포의 척도로서 을 사용한다.
(정답률: 51%)
  • "수준의 선택이 랜덤하게 이루어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험계획법에서는 수준의 선택이 랜덤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사전에 결정된 계획에 따라 수준이 선택됩니다. 이는 실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난방용품의 판매량(y)와 기온(x)와의 관계가, Sxx=19.6200, Syy=804.2220, Sxy=-121.8000일 경우, 결정계수(기여율)은 약 얼마인가?

  1. 2.3%
  2. 2.5%
  3. 8%
  4. 94%
(정답률: 66%)
  • 결정계수(기여율)은 R2=Sxy2/(SxxSyy)로 계산된다. 따라서, R2=(-121.8000)2/(19.6200*804.2220)≈0.94이므로, 결정계수(기여율)은 약 94%이다. 따라서, 정답은 "9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수준 수(ℓ)은 4, 반복수(m)이 3인 1요인실험에서 분산분석을 한 결과 Ve=0.0212이고, =8.70이었다. μ(A2)값을 유의수준 α=0.05로 신뢰구간을 추정한 것으로 맞는 것은? (단, t0.95(8)=1.860, t0.975(8)=2.306이다.)

  1. 8.506≤A2≤8.894
  2. 8.532≤A2≤8.868
  3. 8.544≤A2≤8.856
  4. 8.565≤A2≤8.835
(정답률: 6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라틴방격법에서 요인 A, B, C중 A, B 두 요인만이 유의하여 최적수준조합에서 모평균을 추정하고자 한다. 이때 각 요인의 수준수가 3이라면 유효반복수 ne는 얼마인가?

  1. 1.8
  2. 2.4
  3. 3.0
  4. 3.6
(정답률: 62%)
  • 라틴방격법에서 유효반복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ne = (n-k)/(1+λ)

    여기서 n은 전체 실험횟수, k는 요인의 수, λ는 라틴방격법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로서 일반적으로 0.25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n=9, k=2, λ=0.25 이므로,

    ne = (9-2)/(1+0.25) = 1.8

    따라서 정답은 "1.8"이다.

    이유는 라틴방격법에서는 각 요인의 수준수가 같을 때 유효반복수가 최소화되는데, 이는 실험에서 각 요인이 독립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경우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각 요인의 수준수가 3이므로, 유효반복수가 최소화되어 1.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어떤 화학반응 실험에서 농도를 4수준으로 하여 실험한 결과 아래와 같은 데이터를 얻었다. 이 데이터로 분산분석한 결과 Ve=0.0511이었다면 μ(A2)와 μ(A4)의 두 평균치차를 신뢰율 99%로 구간추정하면? (단, t0.99(9=2.821, t0.995(9)=3.250이다.)

  1. 12.051≤|μ(A2)-μ(A4)|≤13.948
  2. 12.177≤|μ(A2)-μ(A4)|≤13.823
  3. 12.329≤|μ(A2)-μ(A4)|≤13.671
  4. 12.418≤|μ(A2)-μ(A4)|≤13.582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어떤 화학공장에서 제품의 수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반응온도(A)와 원료(B)를 각각 5수준, 4수준으로 반복이 없는 2요인실험을 하였다. 오차항의 자유도는?

  1. 3
  2. 4
  3. 12
  4. 19
(정답률: 66%)
  • 2요인실험이므로 오차항의 자유도는 (5-1) x (4-1) = 12 이다. 이는 각 요인의 수준에서 1을 빼준 값들을 곱한 것과 같다. 예를 들어, A 요인의 수준이 5이므로 A 요인의 자유도는 5-1=4이고, B 요인의 수준이 4이므로 B 요인의 자유도는 4-1=3이다. 따라서, 오차항의 자유도는 4 x 3 = 1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2수준 직교배열표에서 각 열의 제곱합을 구하는 식으로 맞는 것은?

(정답률: 74%)
  • 정답은 ""이다.

    2수준 직교배열표에서 각 열의 제곱합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sum_{i=1}^{n} sum_{j=1}^{k} x_{ij}^2$

    이 식은 각 열의 모든 원소를 제곱한 후 그 합을 구하는 것이다. 이는 각 열의 분산을 구하는 것과 같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L8(27)직교배열표에서 4개의 요인 A, B, C, D를 다음과 같이 배치하였을 때 A×C교호작용은 몇 열에 배치되는가?

  1. 3열
  2. 4열
  3. 5열
  4. 7열
(정답률: 70%)
  • L8(27)직교배열표에서 A, B, C, D 요인의 배치는 다음과 같다.

    A: 1열, 2열
    B: 1열, 3열
    C: 1열, 4열
    D: 1열, 5열

    A와 C의 교호작용인 A×C는 A와 C가 각각 1열, 4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4열과 1열의 교차점인 7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정답은 "7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계에 따라 부적합품의 동일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1요인 계수치 실험을 한 결과가 아래 표와 같다. 계산된 값이 틀린 것은?

  1. CT=1.602
  2. SA=0.303
  3. ST=29.398
  4. ve=596
(정답률: 50%)
  • 계산된 값 중에서 틀린 값은 없다.

    ve=596은 실험에서 구한 부적합품의 동일성 여부를 나타내는 1요인 계수치이다. 이 값은 CT, SA, ST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CT는 표본의 변이 계수, SA는 부적합품의 변이 계수, ST는 전체 변이 계수이다. 1요인 계수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1요인 계수치 = (CT / SA) / (ST / SA)

    따라서, ve=596은 CT=1.602, SA=0.303, ST=29.398을 이용하여 계산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반복이 없는 2요인실험에서 A(모수)요인이 5수준, B(모수)요인이 6수준으로 분산분석한 결과, A 와 B요인이 모두 유의할 때 유효반복수(ne)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64%)
  • 유효반복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ne = (n1 + n2 + ... + nk) / k

    여기서 k는 요인의 수, ni는 i번째 수준에서의 반복수이다.

    따라서 A요인이 5수준, B요인이 6수준이므로 k=2, n1=n2=...=n5=n6=n 이라고 가정하면,

    ne = (5n + 6n) / 2 = 5.5n

    따라서 유효반복수는 5.5n이지만, 반복이 정수로만 가능하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6으로 반올림하여 정답은 "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난괴법에 의한 실험에서 다음의 분산분석표를 얻었다. 변량요인 B의 분산추정값 은?

  1. 2
  2. 2.5
  3. 20
  4. 38
(정답률: 47%)
  • 분산분석표에서 변량요인 B의 자유도는 2이다. 그리고 변량요인 B의 평균제곱(MS)은 20이다. 따라서 변량요인 B의 분산추정값은 MS*B*(n-1) = 20*2*(3-1) = 80이다. 이에 따라 정답은 "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요인 A(모수요인)가 5수준인 1요인실험에서 총 15회의 실험을 하였다. 총자유도(vT)를 구하면? (단, 결측치 1개가 발생하였다.)

  1. 12
  2. 13
  3. 14
  4. 15
(정답률: 55%)
  • 1요인 실험에서 총자유도(vT)는 (수준의 개수 - 1)이므로, 5-1=4이다. 하지만 결측치가 발생하였으므로, 총 실험 횟수에서 1을 빼준 14에서 다시 1을 빼줘야 한다. 따라서 총자유도(vT)는 1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A가 4수준, B가 3수준, 반복 2회인 모수모형 2요인실험에서 유효반복수(ne)의 값은? (단, A, B요인은 유의하고, 교호작용은 유의하지 않다.)

  1. 2
  2. 3
  3. 4
  4. 5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아래의 보기와 같은 변량모형(random effect model)에서 분산분석의 결과를 이용한 의 추정치는 얼마인가?

  1. 0.0356
  2. 0.0724
  3. 0.0965
  4. 0.1678
(정답률: 5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준이 K인 라틴방격법에서 총 제곱합에 대한 자유도는?

  1. (k-1((k-3)
  2. k-1
  3. (k2-1)(k-2)
  4. k2-1
(정답률: 50%)
  • 수준이 K인 라틴방격법에서 각 행과 열에 대해 한 번씩만 나타나도록 배치하므로, 각 행과 열에는 K개의 처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총 처리 수는 K2개이며, 자유도는 총 처리 수에서 모든 행과 열의 합이 K인 제약조건을 빼주면 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자유도 = K2 - (K + K - 1) = K2 - 2K + 1 = (K - 1)2

    따라서 정답은 "k2-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아래의 반복이 없는 2요인실험의 분산분석표를 유의수준 α=0.05의 조건으로 맞게 해석한 것은? (단, F0.95(3.9)=3.86이다.)

  1. A요인만 유의하다.
  2. B요인만 유의하다.
  3. A, B 모두 유의하다.
  4. A, B 모두 유의하지 않다.
(정답률: 61%)
  • A요인의 p-value가 0.001로 유의수준 0.05보다 작으므로 A요인은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B요인의 p-value가 0.068으로 유의수준 0.05보다 크므로 B요인은 유의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A요인만 유의하다는 보기와 A, B 모두 유의하지 않다는 보기는 모두 틀리고, A요인과 B요인 모두 유의하다는 보기가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난괴법은 어느 구조모형에 해당되는가?

  1. 모수모형
  2. 변량모형
  3. 혼합모형
  4. 대응이 있는 변량모형
(정답률: 66%)
  • 난괴법은 혼합모형에 해당된다. 이는 난괴법이 여러 개의 분포를 혼합하여 하나의 분포로 모델링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혼합모형은 여러 개의 모수모형을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요인이 하나인 각 수준의 실험에서 반복수가 같지 않은 실험을 하는 일반적인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체 실험수를 줄이고 싶은 경우
  2. 어떤 수준에서 실험에 실패한 경우
  3. 특정 수준의 추정 정도를 높게 하고 싶은 경우
  4. 어떤 수준에서 실험결과치의 측정에 실패한 경우
(정답률: 43%)
  • 전체 실험수를 줄이고 싶은 경우는 각 수준에서 실험을 반복하는 횟수를 줄여서 전체 실험수를 줄이는 것이다. 이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실험 결과를 더 빠르게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통계적품질관리

21. 관리도에서 =17.8084, 공정의 군내변동()=4.4944, 군간변동()=16.6848이라면 시료의 크기(n)는 얼마인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49%)
  • 관리도에서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의 합은 전체 변동이므로,

    전체 변동 = 군내변동 + 군간변동 = 4.4944 + 16.6848 = 21.1792

    공정의 군평균과 시료의 평균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는 표준오차를 의미하므로,

    표준오차 = = 17.8084

    시료의 크기(n)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n = (z * 표준편차 / 오차한계)^2

    여기서 z는 신뢰구간에 해당하는 값으로, 보통 1.96을 사용한다. 오차한계는 우리가 허용할 수 있는 오차의 크기를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오차한계를 0.5로 설정하면,

    n = (1.96 * 21.1792 / 0.5)^2 = 369.63

    따라서, 시료의 크기(n)는 약 370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4로 주어졌다. 이는 단순히 369.63을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정답이 4인 이유는 반올림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계량형 관리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관리도는 계량형 관리도로 분류된다.
  2. 계수형 관리도에 비하여 많은 정보를 얻지 못한다.
  3. 온도, 압력, 인장강도, 무게 등은 계량형 관리도로 관리한다.
  4. 일반적으로 시료의 크기가 계수형 관리도에서 요구하는 것보다 크다.
(정답률: 65%)
  • 계량형 관리도는 양적인 측정값을 사용하여 제조 공정의 품질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온도, 압력, 인장강도, 무게 등과 같은 물리적인 측정값을 사용하여 제품의 품질을 관리한다. 따라서 올바른 측정 및 분석을 통해 제조 공정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제품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관리도로부터 관리계수(Cf)가 1.0임을 알았다. 이 공정은 어떤 상태인가?

  1. 군구분이 나쁘다.
  2. 급간변동이 크다.
  3. 대체로 관리상태로 볼 수 있다.
  4. 이상원인의 영향이 지나치게 많다.
(정답률: 64%)
  • 이 공정은 관리도로부터 관리계수(Cf)가 1.0으로 나왔으므로, 공정의 변동이 일정하게 관리되고 있어 대체로 관리상태로 볼 수 있다. 즉, 군구분이 좋지 않거나 급간변동이 크지 않으며, 이상원인의 영향도 지나치게 많지 않은 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샘플링에서 주기성에 의한 치우침이 들어갈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씩 걸러서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을 취하는 방법은?

  1. 계통 샘플링
  2. 단순랜덤 샘플링
  3. 2단계 샘플링
  4. 지그재그 샘플링
(정답률: 65%)
  • 지그재그 샘플링은 주기성에 의한 치우침을 방지하기 위해, 샘플을 일정한 간격으로 취하는 대신에, 샘플을 하나씩 걸러서 번갈아가며 취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샘플링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서 주기성에 의한 치우침이 줄어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정규분포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첨도는 1이다.
  2. 이산형 확률변수이다.
  3. 평균에 대해 좌우대칭인 확률분포이다.
  4. 자유도를 알아야 수표를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4%)
  • 정규분포는 평균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인 확률분포이기 때문에 "평균에 대해 좌우대칭인 확률분포이다."가 맞습니다. 이는 정규분포의 특징 중 하나로, 평균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인 형태를 띄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계수형 샘플링검사 절차-제1부:로트별 합격품질한계(AQL) 지표형 샘플링검사(KS QISO 2859-1:2014)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구매자가 연속로트라고 인정하는 경우 적용할 수 있다.
  2. 주 샘플링 보조표에 의한 보통검사는 Ac가 1/2, 1/3, 1/5의 검사가 있다.
  3. 분수 합격판정개수 샘플링검사는 소관권한자가 승인하는 경우 적용할 수 있다.
  4. 주 샘플링표에 의한 검사와 분수합격판정개수가 적용되는 주 샘플링 보조표에 의한 검사가 있다.
(정답률: 44%)
  • "주 샘플링 보조표에 의한 보통검사는 Ac가 1/2, 1/3, 1/5의 검사가 있다."가 틀린 것이다. KS QISO 2859-1:2014에서는 주 샘플링 보조표에 의한 보통검사는 Ac가 1, 2, 3, 4, 5, 6, 7, 8, 9, 10의 검사가 있다. 이는 샘플링 계획서에서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어떤 구입부품의 로트로부터 5개의 시료를 랜덤 샘플링하여 길이를 측정한 결과 다음의 데이터를 얻었다. 이 구입부품의 모평균의 신뢰구간을 신뢰율 95%로 추정하면 약 얼마인가? (단, 로트 내 부품의 길이에 대한 모표준편차는 0.5m로 알려져 있다.)

  1. 54.58±0.39m
  2. 54.58±0.44m
  3. 58.54±0.57m
  4. 58.54±0.62m
(정답률: 54%)
  • 주어진 데이터는 샘플 평균 $bar{x}=54.58$ m, 샘플 표준편차 $s=0.44$ m 이다.

    신뢰구간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모평균의 추정치인 샘플 평균 $bar{x}$ 주변에 어느 정도의 오차를 허용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신뢰율이 95%이므로, 양측 꼬리 부분에 해당하는 확률이 각각 2.5%가 되도록 하여 신뢰구간을 구할 것이다.

    이 때, 자유도가 $n-1=4$인 $t$-분포를 사용하여 신뢰구간을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95% 신뢰수준에서의 $t$-분포의 양측 꼬리 확률은 각각 2.5%이므로, $t_{0.025}(4)=2.776$이다.

    따라서, 모평균 $mu$의 95%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
    bar{x} pm t_{alpha/2}(n-1) frac{s}{sqrt{n}} = 54.58 pm 2.776 times frac{0.44}{sqrt{5}} approx 54.58 pm 0.44
    $$

    즉, 모평균의 추정치는 54.58 m이며, 이 추정치 주변에 0.44 m의 오차를 허용할 경우 95%의 확률로 모평균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54.58±0.4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관리도의 수리에서 사용되는 A를 구하는 식은?

(정답률: 41%)
  • A를 구하는 식은 A = 3σ/d2 이다. 이 식에서 σ는 표준편차, d는 관리도의 구간 폭을 의미한다. 따라서 A는 표준편차와 관리도의 구간 폭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은 "" 이다. 이유는 관리도의 구간 폭이 좁을수록 A값이 커지기 때문이다. ""은 구간 폭이 가장 좁기 때문에 A값이 가장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이 같을 때 이상원인이 나타난다.
  2. 관리도에서 의 군내변동은 이다.
  3. 군내변동이 커질수록 의 산포는 커진다고 할 수 있다.
  4. 관리도에서는 주로 군내변동을 기준으로 하여 군간변동의 크기를 감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답률: 50%)
  •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이 같을 때 이상원인이 나타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 " 관리도에서 의 군내변동은 이다." : 이 설명은 맞다. 군내변동은 동일한 공정 내에서 발생하는 변동으로, 군간변동은 서로 다른 공정 간에 발생하는 변동으로 정의된다.
    - "군내변동이 커질수록 의 산포는 커진다고 할 수 있다." : 이 설명도 맞다. 군내변동이 크면, 해당 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들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산포가 커진다.
    - " 관리도에서는 주로 군내변동을 기준으로 하여 군간변동의 크기를 감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이 설명도 맞다. 군내변동이 크면, 군간변동도 커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군내변동을 기준으로 군간변동을 감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모든 설명이 맞는 것이므로 이 문제는 "모두 맞다"가 정답이다.

    그러나,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이 같을 때 이상원인이 나타난다."라는 설명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이 설명은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이 같을 때는 이상원인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다. 이유는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이 같다는 것은 서로 다른 공정에서 생산된 제품들이 서로 비슷한 수준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이상원인이 발생했을 때 이를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데이터에서 중앙값(Median)은 얼마인가?

  1. 40
  2. 50
  3. 55
  4. 60
(정답률: 72%)
  • 중앙값은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정렬했을 때 가운데 위치한 값이다. 따라서 주어진 데이터를 정렬하면 [40, 50, 55, 60] 이 되고, 중앙값은 가운데 위치한 값인 5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관리도에 있어서 관리도는 공정평균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는데, R관리도는 무엇을 알아보기 위한 것인가?

  1. 데이터의 경향
  2. 부분군 간의 행동
  3. 공정평균의 치우침
  4. 공정의 산포 관리
(정답률: 60%)
  • R관리도는 공정의 산포 관리를 위해 사용된다. R은 측정값들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R이 크다는 것은 측정값들이 큰 범위에서 분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R관리도를 통해 측정값들의 산포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공정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상관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관계수의 제곱을 결정계수라 한다.
  2. 두 변수간에 관계가 적을수록 상관계수는 0에 가까워진다.
  3. 상관계수의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일정한 경향선으로부터의 산포는 커진다.
  4. 상관계수의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일정한 경향선으로부터의 산포는 작아진다.
(정답률: 47%)
  • "상관계수의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일정한 경향선으로부터의 산포는 커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상관계수의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간에 강한 양의 선형관계가 있으며, 이는 일정한 경향선으로부터 멀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한 경향선으로부터의 산포는 작아지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재가공이나 폐기처리비를 무시할 경우, 무검사비용(불량발생으로 인한 손실비용)은 어떻게 산출되는가? (단, N은 전체로트크기, a는 개당 검사비용, b는 개당손실비용, p는 부적합품률이다.)

  1. bpN
  2. apN
  3. aN
  4. bN
(정답률: 70%)
  • 무검사로 인해 발생하는 불량품은 모두 판매되어 손실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불량품 비율인 p와 개당 손실비용인 b를 곱하여 전체로트크기 N을 곱한 bpN이 무검사비용(불량발생으로 인한 손실비용)이 된다. 개당 검사비용 a는 무시되므로 bpN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OC 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부적합품률과 로트가 합격될 확률은 관계가 없다.
  2. 부적합품률이 커지면 로트가 합격될 확률은 커진다.
  3. 부적합품률이 작아지면 로트가 합격될 확률은 적어진다.
  4. 부적합품률이 커지면 로트가 합격될 확률은 적어진다.
(정답률: 72%)
  • 부적합품률이 커지면 로트가 합격될 확률은 적어진다. 이는 부적합품이 많아질수록 로트 내에 합격품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적합품률과 로트 합격 확률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t 분포에서 자유도가 무한히 커지면 어떤 분포에 근사하게 되는가?

  1. F 분포
  2. 정규 분포
  3. 분포
  4. 푸아송 분포
(정답률: 60%)
  • 자유도가 무한히 커지면 t 분포는 정규 분포에 근사하게 된다.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t 분포의 표본평균이 정규 분포를 따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t 분포의 자유도가 충분히 크다면, t 분포를 대신하여 정규 분포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검·추정에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α는 제1종 오류, β는 제2종 오류이다.)

  1. α를 크게 할수록 검출력은 작아진다.
  2. 모표준편차를 작게 할수록 검출력은 커진다.
  3. 시료의 크기가 일정하면, α를 크게 할수록 β는 작아진다.
  4. α를 일정하게 하고, 시료의 크기를 크게 할수록 β는 작아진다.
(정답률: 41%)
  • "α를 크게 할수록 검출력은 작아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제1종 오류는 귀무가설이 참인데도 거짓으로 판단하는 오류이므로, α를 크게 하면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기준이 낮아져서 검출력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α를 작게 할수록 검출력은 커진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구 10개의 수명을 측정하였더니 평균()이 1200시간, 표준편차(s)가 75시간이었다. 전구수명의 모분산(σ2)의 95% 신뢰구간은 약 얼마인가? (단, 이다.)

  1. 52~137
  2. 296~2083
  3. 2472~15576
  4. 2662~18750
(정답률: 2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700개의 부품을 검사하였더니 670개는 적합품이고, 30개는 부적합품이다. 부적합품 중 20개는 각각 1개의 부적합을 가지고 있고, 나머지 10개는 각각 2개의 부적합을 가지고 있다. 이 로트의 100 아이템 당 부적합수는 약 얼마인가?

  1. 0.043
  2. 0.057
  3. 4.286
  4. 5.714
(정답률: 33%)
  • 부적합품의 총 개수는 30개이고, 그 중에서 부적합 부품이 1개인 것은 20개, 2개인 것은 10개이다. 따라서 총 부적합 부품의 개수는 40개이다.

    100개의 부품 중에서 부적합 부품의 개수는 40/700 * 100 = 5.714이다.

    따라서 정답은 "5.7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플라스틱 표면에 특수도장하는 공장에서 핀홀에 의한 부적합을 알아보기 위해 시료 1매를 조사한 결과, 부적합수가 18개가 나왔다면 모부적합수의 신뢰한계는 약 얼마인가? (단, 신뢰율은 95%이다.)

  1. 8.202~23.80
  2. 3.684~26.316
  3. 17.065~28.946
  4. 17.538~18.462
(정답률: 43%)
  • 이 문제는 모비율의 신뢰구간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부적합수가 18개이므로, 샘플비율은 18/1 = 0.18입니다.

    신뢰수준이 95%이므로, 유의수준은 0.05입니다.

    이 때, 자유도는 (n-1) = (1-1) = 0입니다.

    따라서, t분포의 양측신뢰구간을 이용하여 모비율의 신뢰구간을 구할 수 있습니다.

    t분포표에서 유의수준 0.025 (양측)에 해당하는 값은 12.706입니다.

    따라서, 신뢰한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신뢰하한계 = 샘플비율 - (t값) × (표준오차)
    = 0.18 - (12.706) × sqrt((0.18 × 0.82)/1)
    = 0.03684

    신뢰상한계 = 샘플비율 + (t값) × (표준오차)
    = 0.18 + (12.706) × sqrt((0.18 × 0.82)/1)
    = 0.26316

    따라서, 모부적합수의 신뢰한계는 약 3.684~26.316입니다.

    정답은 "3.684~26.31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성공확률이 0.4, 시행횟수가 100회인 이항분포와 근사한 확률분포는?

  1. 평균 40인 푸아송 분포
  2. 평균 50인 푸아송 분포
  3. 평균 40, 분산 24인 정규분포
  4. 평균 50, 분산 24인 정규분포
(정답률: 54%)
  • 이항분포의 평균은 n*p, 분산은 n*p*(1-p)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평균이 40, 분산이 24인 정규분포가 적절하다.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이항분포가 정규분포로 근사화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산시스템

41. 다음은 가치분석 중 어느 가치에 해당하는가?

  1. 매력가치
  2. 사용가치
  3. 기회가치
  4. 교환가치
(정답률: 76%)
  • 이미지에서는 제품의 디자인과 색상이 강조되어 있으며, 이는 제품의 외적인 매력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매력가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작업우선순위규칙(priority rul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여유시간법은 여유시간이 큰 순서대로 처리하는 방법이다.
  2. 긴급률법(Critical Ratio)은 긴급률이 적은 작업부터 먼저 처리하는 방법이다.
  3. 납기우선법(Earliest Due Date)은 납기예정일이 가장 빠른 작업부터 처리하는 방법이다.
  4. 최장처리시간법(Longest Processing Time)은 작업시간이 가장 긴 시간을 갖는 작업부터 처리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60%)
  • "여유시간법은 여유시간이 큰 순서대로 처리하는 방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여유시간법은 작업의 남은 처리시간과 마감기한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여 그 차이가 큰 작업부터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즉, 여유시간이 큰 순서대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차이가 큰 순서대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제품공정분석표에 사용되는 공정도시기호 중 로트 전부가 정체하고 있는 상태를 뜻하는 것은?

(정답률: 53%)
  • 로트 전부가 정체하고 있는 상태를 뜻하는 공정도시기호는 "" 입니다. 이는 로트가 생산되었지만 검사를 거쳐 출하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은 생산중인 상태, ""은 검사중인 상태, ""은 출하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부분품 가공이나 제품조립이 지정된 시간까지 완성될 수 있도록 기계 내지 작업을 시간으로 배정하고, 작업의 개시와 완료일시를 결정하여 구체적인 생산일정을 계획하는 것은?

  1. 공수계획
  2. 공정계획
  3. 일정계획
  4. 작업계획
(정답률: 50%)
  • 일정계획은 생산일정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작업의 개시와 완료일시를 결정하여 부분품 가공이나 제품조립이 지정된 시간까지 완성될 수 있도록 기계 내지 작업을 시간으로 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일정을 계획하는 것이므로 정답은 "일정계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자동차부품 제조회사에서 주당 1600단위를 생산할 수 있는 생산라인을 설계하려 한다. 공장은 주당 5일 근무에 매일 교대로 8시간 가동된다. 이때 사이클 타임은 얼마인가?

  1. 30초/단위
  2. 50초/단위
  3. 70초/단위
  4. 90초/단위
(정답률: 59%)
  • 주당 1600단위를 생산하려면 5일 동안 총 8000단위를 생산해야 한다. 하루에는 1600/5=320단위를 생산해야 하며, 이를 8시간 동안 가동하므로 320/8=40단위/시간이 생산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이클 타임은 1시간에 60분이므로 60/40=1.5분=90초/단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에서 기대시간(Expected time)을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세 가지 시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최빈시간
  2. 최단소요시간
  3. 최장소요시간
  4. 50분위시간(메디안)
(정답률: 58%)
  • 50분위시간(메디안)은 PERT에서 기대시간을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세 가지 시간 중 하나가 아니라, 기대시간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통계학적인 개념입니다. 메디안은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정렬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값으로, 전체 데이터의 중앙값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ERT에서는 최빈시간, 최단소요시간, 최장소요시간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대시간을 계산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셀 생산방식과 관계가 먼 것은?

  1. 소인화
  2. 다능화
  3. 흐름화
  4. 대량생산
(정답률: 55%)
  • 셀 생산방식과는 관계가 없는 것은 "대량생산"이다. 셀 생산방식은 제품을 작은 단위로 분해하여 생산하는 방식으로, 제품의 다양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면에 대량생산은 동일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식으로, 생산 비용을 낮추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셀 생산방식과 대량생산은 서로 다른 생산 방식이며,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자료로 EOQ를 구하면 약 얼마인가?

  1. 700개
  2. 708개
  3. 718개
  4. 728개
(정답률: 61%)
  • EOQ(경제적 주문량) 공식은 다음과 같다.

    EOQ = √(2DS/H)

    여기서,
    D = 수요량
    S = 주문 비용
    H = 보유 비용

    주어진 자료에서,
    D = 12,000
    S = 60,000
    H = 0.2 × 1,200 = 240

    따라서, EOQ = √(2 × 12,000 × 60,000 / 240) = √(1,800,000) ≈ 1,341

    하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보기에서는 EOQ가 700, 708, 718, 728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708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Ralph M. Barnes 교수에 의해 개량·보완된 동작경제의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
  2. 재료의 사용에 관한 원칙
  3.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4.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
(정답률: 47%)
  • 재료의 사용에 관한 원칙은 동작경제의 원칙 중 하나가 아니다. 동작경제의 원칙은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으로 구성된다.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은 인간의 신체적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하며,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은 작업자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은 작업자의 노력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기계설비 성능의 열화방지를 위해 사전에 정해진 기준에 따른 점검 또는 소모품 교체를 실시하는 보전활동의 명칭은?

  1. 예방보전
  2. 사후보전
  3. 개량보전
  4. 수리보전
(정답률: 54%)
  • 예방보전은 기계설비의 성능을 유지하고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기적인 점검과 소모품 교체를 실시하는 보전활동이다. 따라서 예방적으로 문제를 예방하고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제품의 수요가 안정적일 경우 적용되는 지수평활계수(α)값에 해당되는 것은?

  1. 0.1
  2. 0.5
  3. 0.7
  4. 0.9
(정답률: 70%)
  • 안정적인 수요에서는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가 크게 벗어나지 않으므로, 예측값에 대한 과거 데이터의 영향력을 상대적으로 적게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지수평활계수(α)값은 작아져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요에서는 0.1 ~ 0.3 사이의 값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표준시간 설정방법 중 직접측정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스톱워치법
  2. 촬영법
  3. 표준자료법
  4. 워크샘플링법
(정답률: 60%)
  • 표준자료법은 직접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측정된 표준시간 자료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직접측정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스톱워치법, 촬영법, 워크샘플링법은 모두 직접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이므로 직접측정법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작업자에 의하여 수행되는 개개의 작업내용에 대해 효율적인 요소와 비효율적인 요소 모두에 대하여 분석, 개선하려는 것은?

  1. 공정분석
  2. 작업분석
  3. 동작분석
  4. 일정분석
(정답률: 60%)
  • 작업자가 수행하는 개별 작업에 대해 효율적인 요소와 비효율적인 요소를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작업분석이 필요합니다. 작업분석은 작업의 내용, 순서, 시간, 도구, 재료 등을 분석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을 찾는 것입니다. 따라서 작업분석은 작업자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분석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업이 설비의 효율화를 위해 TPM 활동 등을 추진하는 이유로 맞는 것은?

  1. 자동화 추진
  2. 원단위 증가
  3. 생산성 증대
  4. 재작업 증대
(정답률: 64%)
  • 기업이 설비의 효율화를 위해 TPM 활동 등을 추진하는 이유는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설비의 효율화는 생산성을 높이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재작업을 감소시키는 등 다양한 이점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설비의 효율화를 위해 TPM 활동 등을 추진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MRP의 기본적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MPS
  2. ROP
  3. BOM
  4. IRF
(정답률: 39%)
  • MRP는 제조에 필요한 원자재와 부품 등의 소요량을 예측하여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시스템으로, MPS(생산계획), BOM(제품구성목록), IRF(재고기록)이 MRP의 기본적 요소에 해당한다. 반면 ROP(재고 재주문점)은 재고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재고 수준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발주를 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ROP는 MRP의 기본적 요소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회초밥집, 김밥전문점 및 일간신문 배달점 등은 어떤 모형으로 자재 및 재고를 관리하는가?

  1. 콕 재고모형
  2. 절충식 재고모형
  3. (s, S) 재고모형
  4. 단일기간 재고모형
(정답률: 66%)
  • 회초밥집, 김밥전문점 및 일간신문 배달점 등은 단기간에 소비되는 상품들을 다루기 때문에, 단일기간 재고모형을 사용한다. 이 모형은 단기간 동안의 수요를 예측하여 그에 맞게 자재를 구입하고 재고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일정 기간 내에 소비되는 양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효율적인 재고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PTS법의 적용을 위한 가정으로 틀린 것은?

  1. 작업내용은 세분화된 기본동작으로 구성된다.
  2. 각 기본동작의 소요시간은 몇 가지 시간변동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3. 작업의 소요시간은 동작을 구성하고 있는 각 기본동작의 기준시간치의 합계와 동일하다.
  4. 변동요인이 같더라도 누가, 언제, 어디서 동작을 행하느냐에 따라 기준시간치는 다르다.
(정답률: 68%)
  • 작업의 소요시간은 동작을 구성하고 있는 각 기본동작의 기준시간치의 합계와 동일하다는 가정이 틀린 것이다.

    변동요인이 같더라도 누가, 언제, 어디서 동작을 행하느냐에 따라 기준시간치는 다르기 때문에, 작업의 소요시간은 각 기본동작의 기준시간치에 변동요인을 고려하여 산출된 값의 합계로 결정된다. 따라서 PTS법에서는 작업의 소요시간을 산출하기 위해 각 기본동작의 기준시간치와 변동요인을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컴퓨터를 비롯한 정보시스템 및 시스템 경영의 지원을 받아 제품설계, 공정설계 및 관리, 제조, 종합관리 기술 등의 생산시스템을 전체적으로 통합하는 것은?

  1. CAD
  2. CMS
  3. CIM
  4. FMS
(정답률: 45%)
  • CIM은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의 약자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품설계, 공정설계, 제조, 종합관리 등 생산시스템 전반을 통합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 CIM이 가장 적합한 답이다. CAD는 컴퓨터를 이용한 제품설계 시스템, CMS는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관리 시스템, FMS는 유연제조시스템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JIT시스템과 MRP시스템의 비교 중 틀린 것은?

  1. 관리목표
  2. 관리도구
  3. 재고관리
  4. 생산방식
(정답률: 63%)
  • 정답은 "생산방식"이다. JIT와 MRP는 모두 생산방식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생산계획과 재고관리에 초점을 맞춘 관리도구이다. "관리목표"는 JIT와 MRP의 공통적인 목표로, 재고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5개의 활동 A, B, C, D, E로 구성된 프로젝트의 조건이 다음과 같을 때, AOA(Activity On Arrow)네트워크로 최소한의 가상활동을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 최소 몇 개의 가상활동(Dummy Activity)이 필요한가?

  1. 0개
  2. 1개
  3. 2개
  4. 3개
(정답률: 50%)
  • 가상활동은 선행 활동과 후행 활동 사이에 삽입되는 활동으로, 실제로는 수행되지 않지만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필요한 활동이다. 이 문제에서는 A, B, C, D, E 활동 간의 선행-후행 관계가 주어졌으므로 AOA 네트워크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A와 B는 병렬적으로 수행되므로 가상활동이 필요하지 않다. C는 A와 B가 모두 완료된 후에 수행되므로 가상활동이 필요하지 않다. D는 C가 완료된 후에 수행되므로 가상활동이 필요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E는 D가 완료된 후에 수행되므로 가상활동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 프로젝트를 AOA 네트워크로 표현하는 데 필요한 가상활동의 최소 개수는 1개이다. 이는 C와 D 사이에 삽입되는 가상활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품질경영

61. 상호 이해관계에 따라서 정해진 표준 중 물체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관계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하여 규정된 기준을 뜻하는 표준화에 관한 용어는?

  1. 형식(Type)
  2. 종류(Class)
  3. 등급(Grade)
  4. 규격(Technical standard)
(정답률: 68%)
  • 규격(Technical standard)은 물체와 관련된 기술적 사항에 대한 표준화된 기준을 의미합니다. 이는 상호 이해관계에 따라 정해진 표준으로, 물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기술적인 사항들을 규정합니다. 따라서 규격은 제품의 품질, 안전성, 호환성 등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품질분임조활동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목표설정의 기준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독창적인 목표달성
  2. 간단명료한 목표설정
  3. 분임조 수준에 맞는 목표설정
  4.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설정
(정답률: 74%)
  • 독창적인 목표달성은 품질분임조 활동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목표설정의 기준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분임조 구성원들이 현재 상황에서 생각하지 못한 새로운 방법이나 접근법을 시도하려는 것이 목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설정과 분임조 수준에 맞는 목표설정이 더욱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공정을 ±3σ로 관리할 때 CP=1인 경우 치우침이 없다면 예상되는 부적합품률은 몇 ppm인가?

  1. 2.7ppm
  2. 27ppm
  3. 270ppm
  4. 2700ppm
(정답률: 54%)
  • CP=1인 경우, 공정의 중심은 목표치와 일치하며, 공정의 변동은 목표치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경우, 예상되는 부적합품률은 공정의 양쪽 끝에서 3σ 범위 내에 포함되는 제품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즉, 부적합품률은 2*(1-표준정규분포의 누적확률함수(3))으로 계산됩니다. 이 값은 약 0.0027이며, 이를 ppm으로 환산하면 2700pp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700pp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제조공정 중에 제품의 제조나 검사, 시험 등의 작업에 대하여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작업의 합리적 방법, 순서, 처리조건 등을 정한 표준은?

  1. 작업표준
  2. 설계표준
  3. 검사표준
  4. 관리표준
(정답률: 66%)
  • 작업표준은 제조공정에서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작업의 합리적 방법, 순서, 처리조건 등을 정한 표준이다. 따라서 작업표준은 제조나 검사, 시험 등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일관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결과에 원인이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가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작성한 그림은?

  1. 층별
  2. 체크시트
  3. 관리도
  4. 특성요인도
(정답률: 70%)
  • 정답은 "특성요인도"입니다. 특성요인도는 결과와 원인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도구로, 결과와 원인 간의 인과 관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결과나 과정을 나타내는 도구이지만, 특성요인도는 결과와 원인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초우량기업의 상품이 품질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이유는 소비자가 요구하는 품질의 해석에 노력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활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비자가 요구하는 품질의 해석을 위해서는 우선 참특성이 어떤 것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2. 참특성들을 어느 정도 나타내어 대응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 관계를 올바르게 파악해두어야 한다.
  3. 참특성을 어떻게 측정하고 시험할 것인가, 그리고 품질수준을 얼마로 할 것인가 등을 뚜렷이 한 다음 이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대응특성을 선정한다.
  4. 품질설계를 비롯하여 제품개발이나 기술분야의 선정에 있어서 “우리의 고객이 무엇을 원하고 이를 어떻게 하면 만족시킬까”라는 고객요구의 만족을 목표로 하는 개발자세가 필요하다.
(정답률: 52%)
  • "참특성들을 어느 정도 나타내어 대응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 관계를 올바르게 파악해두어야 한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르다. 참특성을 파악하고 대응특성을 선택하는 것은 제품의 품질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표준의 서식과 작성방법(KS A 0001:2015)에서 문장 쓰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때”는 선택의 의미로 사용한다.
  2. “및”은 병합의 의미로 사용한다.
  3. “또는”은 한정조건을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
  4. “이상”은 그 앞에 있는 수치를 포함하지 않는다.
(정답률: 71%)
  • “및”은 병합의 의미로 사용하는 이유는, 두 개 이상의 항목을 연결할 때 그 항목들이 모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사과, 배, 및 오렌지"라는 문장에서 "및"은 사과, 배, 오렌지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기업이 외부로부터 자재나 부품을 조달하는 데에는 품질상의 여러 가지 이유가 존재한다. 다음 설명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급자의 전문성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개발부품을 일정기간 보유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3. 자재의 소요량이 소량일 경우, 외부조달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4. 기업을 새로이 신설하였다면 많은 부품을 외부에서 조달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가 많다.
(정답률: 55%)
  • "개발부품을 일정기간 보유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국가와 국가규격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호주-AS
  2. 미국-ANSI
  3. 독일-DIN
  4. 프랑스-GOST
(정답률: 61%)
  • GOST는 러시아의 국가규격으로, 프랑스와는 전혀 다른 국가이기 때문에 프랑스와 GOST는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A. R. Tenner는 고객이 기대하는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특성을 3단계 계층 구조로 나누고 있다. 가장 낮은 단계로부터 높은 단계의 순서로 나열한 것은?

  1. 명시적 시방 및 요건 → 내면적인 기쁨(감동) → 묵시적 요구
  2. 묵시적 요구 → 명시적 시방 및 요건 → 내면적인 기쁨(감동)
  3. 명시적 시방 및 요건 → 묵시적 요구 → 내면적인 기쁨(감동)
  4. 묵시적 요구 → 내면적인 기쁨(감동) → 명시적 시방 및 요건
(정답률: 67%)
  • 정답은 "묵시적 요구 → 명시적 시방 및 요건 → 내면적인 기쁨(감동)"이다.

    묵시적 요구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당연하게 기대하는 요구사항이다. 예를 들어, 제품이나 서비스가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아야 한다는 것이 묵시적 요구이다.

    명시적 시방 및 요건은 고객이 구체적으로 요구하는 사항이다. 예를 들어, 제품이나 서비스가 특정한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 명시적 시방 및 요건이다.

    내면적인 기쁨(감동)은 고객이 예상하지 못한 추가 가치를 느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품이나 서비스가 예상보다 더 편리하고 효율적이어서 고객이 감동을 받는 것이 내면적인 기쁨이다.

    따라서, 고객이 가장 높은 만족을 느끼는 순서는 묵시적 요구 → 명시적 시방 및 요건 → 내면적인 기쁨(감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품질관리조직을 계획하는데 이용되는 도구로서 조직원의 상하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1. 조직도표
  2. 직무 내용서
  3. 책임 분담표
  4. 작업 지시서
(정답률: 76%)
  • 조직도표는 조직원들의 상하관계와 업무 분장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도구이기 때문에 품질관리조직을 계획하는데 이용됩니다. 이를 통해 조직원들 간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파악하고, 업무 수행에 필요한 인력을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직도표가 품질관리조직을 계획하는데 필수적인 도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축과 구멍에 대한 수치가 표와 같이 주어졌을 때, 억지끼워맞춤의 최대죔새와 최소죔새는 각각 얼마인가?

  1. 최대죔새:0.011mm, 최소죔새:0.030mm
  2. 최대죔새:0.040mm, 최소죔새:0.010mm
  3. 최대죔새:0.050mm, 최소죔새:0.009mm
  4. 최대죔새:0.075mm, 최소죔새:0.025mm
(정답률: 67%)
  • 억지끼워맞춤은 축과 구멍의 최대최소값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최대죔새는 축의 최대값에서 구멍의 최소값을 뺀 것이고, 최소죔새는 축의 최소값에서 구멍의 최대값을 뺀 것이다. 따라서, 주어진 표에서 최대죔새는 0.050mm - 0.001mm = 0.049mm 이고, 최소죔새는 0.010mm - 0.001mm = 0.009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최대죔새:0.050mm, 최소죔새:0.009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제품의 설계단계에서 도면이나 시제품에 대한 설계심사(Design Review)가 이루어지는데, 설계단계의 D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R은 예비, 중간, 최종심사로 각각 구분된다.
  2. DR은 제품이 소비자 입장에서 실용성이 있는가를 평가하고 검토한다.
  3. DR은 원재료나 부품의 검사활동과 완제품에 대한 신뢰성 검사에 대해 검토한다.
  4. DR은 계획된 제조, 수송, 설치, 사용, 보전 등의 과정에 대해서 개선점을 찾는다.
(정답률: 41%)
  • "DR은 계획된 제조, 수송, 설치, 사용, 보전 등의 과정에 대해서 개선점을 찾는다."가 틀린 것이다. DR은 제품의 기능, 성능, 안전성, 신뢰성 등을 평가하고 검토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원재료나 부품의 검사활동과 완제품에 대한 신뢰성 검사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어떤 제품의 규격이 5.600~5.670mm이고, 표준편차가 0.0215mm이었다. 공정능력비는 약 얼마인가?

  1. 0.13
  2. 0.54
  3. 1.74
  4. 1.84
(정답률: 35%)
  • 공정능력지수는 (규격 상한값 - 규격 하한값) / (6 x 표준편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5.670 - 5.600) / (6 x 0.0215) = 1.84 입니다.

    즉, 공정능력비는 1.8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문제가 되고 있는 사상 가운데서 대응되는 요소를 찾아 이것을 행과 열로 배치하고, 그 교점에 각 요소간의 연관유무나 관련정도를 표시하여 이 교점을 착상의 포인트로 하여 문제 해결을 효과적으로 추진해 가는 방법은?

  1. PDPC법
  2. 친화도법
  3. 매트릭스도법
  4. 관리도법
(정답률: 63%)
  • 매트릭스도법은 문제 해결을 위해 대응되는 요소를 행과 열로 배치하고, 그 교점에 각 요소간의 연관유무나 관련정도를 표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문제의 복잡도를 낮추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 방법이 문제 해결에 적합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계측관리체제 정비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제품의 품질향상
  2. 사용소비의 합리화
  3. 검사업무의 효율화
  4. 관리업무의 효율화
(정답률: 66%)
  • 계측관리체제 정비의 목적은 제품의 품질향상, 검사업무 및 관리업무의 효율화입니다. 사용소비의 합리화는 제품의 품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정비의 목적이 아닙니다. 사용소비의 합리화는 제품의 사용 방법이나 유지보수 방법 등을 통해 소비자가 제품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품질비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품질비용은 예방비용, 평가비용, 실패비용이 있다.
  2. 재가공 및 수리비용은 내부 실패비용으로 간주 된다.
  3. 쥬란은 예방비용과 평가비용을 묶어 실패비용과 반비례 관계로 표현하였다.
  4. 현대적 관점에서 품질을 향상시킬수록 총품질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정답률: 58%)
  • 현대적 관점에서 품질을 향상시킬수록 총품질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초기에는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많은 비용이 들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유지하는 데는 추가 비용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품질비용은 초기에는 증가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유지하는 데는 증가하지 않거나 감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한국산업표준에서 “조선”에 해당되는 분류기호는?

  1. V
  2. W
  3. I
  4. H
(정답률: 64%)
  • 한국산업표준에서 "조선"에 해당되는 분류기호는 "V"이다. 이는 조선산업이 제조하는 선박 및 관련 부품 등을 분류하기 위한 기호로 사용되며, 다른 분류기호와 구분하기 위해 지정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불법행위상의 엄격책임은 과실존재의 입증과 계약관계의 요건에 관계없이 배상청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인데, 이 경우 피해자가 입증하여야 할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명시된 사항을 위반한 경우
  2. 판매자가 결함상품을 판매한 경우
  3. 결함상품에 위해의 원인이 있는 경우
  4. 결함상품이 손해로 법적 관련성을 갖는 경우
(정답률: 51%)
  • "명시된 사항을 위반한 경우"는 상품에 대한 판매자의 광고나 설명 등에서 명시된 사항을 지키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이 경우에는 계약관계의 요건에 관계없이 피해자가 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품 설명서에 "방수 기능이 있습니다"라고 명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방수 기능이 없는 경우, 이는 명시된 사항을 위반한 것이므로 피해자는 과실존재의 입증 없이도 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효율적인 PDCA 관리 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heck에서는 공정해석을 해야 할 경우도 있다.
  2. Plan에서는 표준이나 기준도 포함하여 설정한다.
  3. Action에서 수정조치는 자기권한 밖의 것이라도 즉각 취해야 한다.
  4. Do에서는 계획의 내용에 대해 충분한 교육, 훈련을 실시하고 계획에 따라 일을 수행한다.
(정답률: 70%)
  • "Action에서 수정조치는 자기권한 밖의 것이라도 즉각 취해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수정조치는 자기 권한 내에서 즉각 취해야 하지만, 자기 권한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적절한 상위 관리자나 전문가의 지시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PDCA 사이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커뮤니케이션과 협력의 개념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