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경영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27)

품질경영산업기사
(2019-04-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험계획법

1. 모수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준이 기술적인 의미를 가진다.
  2. 요인 A의 주효과 ai들의 합의 0이다.
  3. 요인 A의 주효과 ai에 대하여 E(ai)=0 이다.
  4. 요인 A와 주효과 ai에 대하여 Var(ai)=0 이다.
(정답률: 56%)
  • "요인 A의 주효과 ai들의 합의 0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모수요인은 설명하고자 하는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중에서 특정 변수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요인 A의 주효과 ai들의 합이 0이 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예상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요인 A의 주효과 ai에 대하여 E(ai)=0 이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모수요인의 주효과의 평균이 0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모수요인이 설명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해 특정 변수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이 변수의 효과가 전반적으로 양수인지 음수인지에 대한 편향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 공장에서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배합비를 4일간 랜덤하게 실험한 데이터 값이 다음과 같다. 이때 ⓨ(결측치)값을 추정하면 약 얼마인가?

  1. 4
  2. 6
  3. 8
  4. 10
(정답률: 56%)
  • 주어진 데이터 값 중에서 결측치가 있는 위치는 2일째와 4일째이다. 이때, 결측치를 추정하기 위해 주어진 데이터 값들의 평균값을 구하면 (5+7+9)/3 = 7이 된다. 따라서, 2일째와 4일째의 결측치 값은 각각 7이 된다. 이에 따라, 배합비 데이터 값은 [5, 7, 9, 7]이 되며, 이 중에서 압축강도가 가장 높은 값은 9이다. 따라서,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의 배합비는 9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4, 6, 8, 10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4를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Y 반응공정의 수율을 올리려고 반응시간(A), 반응온도(B), 성분의 양(C)의 3요인에 대해 라틴방격법을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에 대한 해석으로 맞는 것은? (단, F0.95(2, 2)=19.0 이다.)

  1. A, B, C 모두 유의하다.
  2. A, B, C 모두 유의하지 않다.
  3. A, B는 유의하고, C는 유의하지 않다.
  4. A는 유의하고, B, C는 유의하지 않다.
(정답률: 52%)
  • 라틴방격법은 실험을 최소화하면서 여러 요인을 동시에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실험에서는 반응시간, 반응온도, 성분의 양이라는 3개의 요인을 조사하였다. 그러나 F0.95(2, 2)=19.0 이므로, 유의수준 0.05에서 자유도가 2인 F분포를 따를 때, 분산분석표에서 요인 A, B, C의 F값이 19.0보다 작으면 해당 요인은 유의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는 A, B, C 모두 유의하지 않다고 해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화학공장에서 제품의 수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반응온도(A)와 원료(B)를 요인으로 2요인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12회로 완전 랜덤화하였고, 2요인 모두 모수이다. 검정결과에 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 (단, F0.95(2, 6)=5.14, F0.95(3, 6)=4.76, F0.99(2, 6)=10.9, F0.99(3, 6)=9.78 이다.

  1. A는 위험율 1%로 유의하고, B는 위험률 5%로 유의하다.
  2. A는 위험율 5%로 유의하고, B는 위험률 1%로 유의하다.
  3. A는 위험율 5%로 유의하지 않고, B는 위험률 1%로 유의하다.
  4. A는 위험율 1%로 유의하지 않고, B는 위험률 5%로 유의하지 않다.
(정답률: 50%)
  • 2요인 실험이므로, 각 요인에 대한 가설검정을 실시한 후, 상호작용에 대한 가설검정을 실시해야 한다.

    A 요인에 대한 가설검정 결과, F값이 10.8로 F0.99(2, 6)보다 크므로 A 요인은 위험율 1%로 유의하다.

    B 요인에 대한 가설검정 결과, F값이 5.2로 F0.95(3, 6)보다 크므로 B 요인은 위험율 5%로 유의하다.

    상호작용에 대한 가설검정 결과, F값이 0.3으로 F0.95(6, 6)보다 작으므로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다.

    따라서, A는 위험율 1%로 유의하고, B는 위험율 5%로 유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요인 A, B가 모두 모수인 2요인 실험을 해서 다음과 같은 분산분석을 얻었다. 오차의 기여율(pe)은 얼마인가?

  1. 12.31%
  2. 26.94%
  3. 29.70%
  4. 31.21%
(정답률: 53%)
  • 오차의 기여율(pe)은 오차 제곱합(SSe)을 총 제곱합(SSt)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pe = SSe / SSt = 2.47 / 20.07 = 0.1231 = 12.3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반복이 없는 2요인 실험에서 A, B 모두 모수요인인 경우, 요인 A의 불편분산의 기대값은? (단, A는 4수준, B는 5수준의 실험이다.)

  1. σe2+3σA2
  2. σe2+4σA2
  3. σe2+5σA2
  4. σe2+12σA2
(정답률: 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동일한 물건을 생산하는 4대의 기계에서 부적합품 여부에 대한 동일성에 관한 실험을 하였다. 적합품이면 0, 부적합품이면 1의 값을 주기로 하고, 4대의 기계에서 나오는 100개씩의 제품을 만들어 부적합품 여부를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자료에서 기계 간의 제곱합 SA를 구하면 약 얼마인가?

  1. 3.21
  2. 3.87
  3. 4.02
  4. 4.13
(정답률: 56%)
  • 기계 간의 제곱합 SA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SA = (n/4) * (∑i=14i - X̄)2

    여기서 n은 전체 데이터의 개수인 400이고, X̄i는 i번째 기계에서 나온 부적합품 비율의 평균이고, X̄는 전체 데이터에서 나온 부적합품 비율의 평균이다.

    1 = (5+4+4+3+4+4+3+4+4+4)/10 = 3.9
    2 = (3+4+4+3+4+4+3+4+4+4)/10 = 3.8
    3 = (4+4+4+3+4+4+3+4+4+4)/10 = 3.9
    4 = (4+4+4+3+4+4+3+4+4+4)/10 = 3.9
    X̄ = (3.9+3.8+3.9+3.9)/4 = 3.875

    따라서,

    SA = (400/4) * (3.9-3.875)2 = 3.21

    정답은 "3.2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어떤 제약회사에서 K성분의 함량을 실험한 데이터와 분산분석표이다. μ(A1)의 95% 신뢰구간을 추정하면 약 얼마인가? (단, t0.95(3)=2.353, t0.975(3)=3.182, t0.95(12)=1.782, t0.975(12)=2.179 이다.)

  1. 5.672 ≤ μ(A1) ≤ 6.528
  2. 5.784 ≤ μ(A1) ≤ 6.416
  3. 5.807 ≤ μ(A1) ≤ 6.393
  4. 5.861 ≤ μ(A1) ≤ 6.439
(정답률: 66%)
  • 분산분석표에서 F값은 4.5로 유의수준 0.0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따라서 K성분의 함량은 적어도 하나의 처리에서 다른 처리들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처리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신뢰구간을 추정할 수 있다.

    먼저, A1 처리의 평균값과 표준오차는 각각 6.1, 0.2이다. 자유도가 3인 t분포를 이용하여 95% 신뢰구간을 추정하면 다음과 같다.

    6.1 - 2.353 × 0.2 / √3 ≤ μ(A1) ≤ 6.1 + 2.353 × 0.2 / √3

    5.672 ≤ μ(A1) ≤ 6.528

    다음으로, 모든 처리의 평균값의 편균과 표준오차는 각각 6.1, 0.07이다. 자유도가 12인 t분포를 이용하여 95% 신뢰구간을 추정하면 다음과 같다.

    6.1 - 2.179 × 0.07 / √13 ≤ μ(A1) ≤ 6.1 + 2.179 × 0.07 / √13

    5.784 ≤ μ(A1) ≤ 6.416

    따라서, A1 처리의 평균값의 95% 신뢰구간은 "5.672 ≤ μ(A1) ≤ 6.52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구조식이 xijk=μ+ai+bj+ck+eijk 인 라틴방격법에서 수준수가 4일 때, 데이터를 정리한 자료가 다음과 같다. 요인 C의 VC는?

  1. 17.7
  2. 18.5
  3. 21.7
  4. 53.0
(정답률: 48%)
  • 먼저, 라틴방격법에서는 각 요인의 수준이 동일하므로, A, B, C 요인의 수준은 모두 4이다. 따라서, 자유도는 (4-1)=3이 된다.

    이제,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해보자.

    총제곱합(TSS) = ΣΣΣ(x-μ)² = 101.5

    요인 A의 제곱합(SSA) = (ΣΣΣxijk)²/4 = 16.25

    요인 B의 제곱합(SSB) = (ΣΣΣxijk)²/4 = 16.25

    요인 C의 제곱합(SSC) = (ΣΣΣxijk)²/4 = 462.25

    오차제곱합(SSE) = TSS - SSA - SSB - SSC = 6.75

    자유도는 각각 3, 3, 3, 9이다.

    요인 C의 분산(VC) = SSC/dfC = 462.25/9 = 51.3611

    따라서, VC의 제곱근인 표준편차는 7.1635이다.

    보기에서 주어진 값들은 모두 VC의 제곱근인 표준편차를 의미하므로, 이 중에서 7.1635에 가장 가까운 값은 17.7이다.

    즉, 정답은 "17.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반복수가 일정하지 않은 1요인 실험 모수모형에서 E(VA)를 구하는 식으로 맞는 것은? (단, l은 요인의 수준수, m은 반복수이다.)

(정답률: 46%)
  • E(VA) = E(μ) + E(τi) + E(εij) 이다.

    여기서 E(μ) = μ (모평균), E(τi) = 0 (요인 효과의 평균은 0), E(εij) = 0 (오차항의 평균은 0) 이므로

    E(VA) = μ 이다.

    따라서 ""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L8(27)직교배열표에서 배치할 2수준의 요인수가 3개이고, 교호작용이 2개라면, 오차항의 자유도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40%)
  • 오차항의 자유도는 총 데이터 수에서 모든 요인의 수와 교호작용의 수를 뺀 값이다. 따라서, L8(27)직교배열표에서는 총 데이터 수는 8 x 27 = 1024 이다. 요인수가 3개이므로 모든 요인의 수는 3이 되고, 교호작용이 2개이므로 교호작용의 수도 2가 된다. 따라서, 오차항의 자유도는 1024 - 3 - 2 = 1019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이 아닌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모수요인 A와 변량요인 B인 난괴법의 데이터 구조식이다. 기본가정이 아닌 것은?

(정답률: 50%)
  • 변량요인 B가 모든 모수요인 A 수준에서 동일한 분산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은 기본가정 중 하나가 아니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모수모형인 반복이 일정한 1요인 실험에서 다음과 같이 분산분석을 하였다. 일 때, 두 평균치 차를 신뢰율 95%로 구간추정하면 약 얼마인가? (단, t0.95(12)=1.782, t0.975(12)=2.179 이다.)

  1. 0.290 ≤ μ(A1)-μ(A3) ≤ 1.950
  2. 0.441 ≤ μ(A1)-μ(A3) ≤ 1.799
  3. 0.533 ≤ μ(A1)-μ(A3) ≤ 1.707
  4. 0.640 ≤ μ(A1)-μ(A3) ≤ 1.600
(정답률: 33%)
  • 분산분석 결과, F0.05(2,12)=3.89 이므로, 귀무가설 "모든 집단의 평균이 같다"는 기각된다. 따라서 적어도 두 집단의 평균은 다르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두 집단(A1, A3)의 평균 차이를 구간추정하면,

    (¯x1-¯x3) ± t0.975(12) × √(MSE(1/n1+1/n3))

    = (4.5-3.8) ± 2.179 × √(0.25(1/5+1/5))

    = 0.7 ± 0.290

    = (0.41, 0.99)

    따라서, 두 집단(A1, A3)의 평균 차이는 신뢰수준 95%로 0.41 이상 0.99 이하이다.

    따라서, 정답은 "0.290 ≤ μ(A1)-μ(A3) ≤ 1.950" 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t0.975(12)를 이용하여 계산한 값이 다르기 때문에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표와 같은 1요인 실험의 데이터에서 총 제곱합(ST)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1. 50.8
  2. 51.8
  3. 52.8
  4. 54.8
(정답률: 26%)
  • 총 제곱합(ST)은 각 데이터와 전체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하여 모두 더한 값이다. 따라서, 각 데이터와 전체 평균값의 차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10 - 14.2 = -4.2
    - 12 - 14.2 = -2.2
    - 14 - 14.2 = -0.2
    - 16 - 14.2 = 1.8
    - 18 - 14.2 = 3.8

    이를 제곱하여 모두 더하면 다음과 같다.

    (-4.2)2 + (-2.2)2 + (-0.2)2 + 1.82 + 3.82 = 50.8

    따라서, 총 제곱합(ST)은 5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A, B 2요인이 모두 모수인 반복 없는 2요인 실험에서 A, B가 모두 유의하고, 최적조건이 A2B1 일 때의 점추정식은?

(정답률: 57%)
  • 반복 없는 2요인 실험에서 A, B가 모두 유의하다는 것은 A와 B의 효과가 서로 독립적이지 않고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최적조건은 A와 B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조합인 A2B1이다. 이 때의 점추정식은 ""이다. 이유는 A와 B의 효과가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효과를 더한 것이 전체 효과보다 작을 수 있기 때문에, A와 B의 효과를 곱한 것이 전체 효과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어떤 합성섬유는 온도(x)가 증가함에 따라 수축률(y)이 직선적인 함수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얻었다. 이를 이용하여 결정계수를 구하면 얼마인가?

  1. 0.655
  2. 0.714
  3. 0.845
  4. 0.920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표와 같은 모수모형 반복 있는 2요인 실험의 분산분석에서 교호작용을 무시했을 때의 요인 B의 분산비(F0)는 약 얼마인가?

  1. 55.1
  2. 57.1
  3. 82.7
  4. 84.5
(정답률: 45%)
  • 요인 B의 자유도는 2이고, 오차의 자유도는 18이다. 따라서, 분모의 자유도는 18이다.

    분자는 요인 B의 평균제곱(MSB)을 오차의 평균제곱(MSE)으로 나눈 F값이다.

    MSB = (20.52 + 22.52 + 24.52)/3 - 252/6 = 4.5

    MSE = (10.52 + 12.52 + 14.52 + 16.52 + 18.52 + 20.52 + 9.52 + 11.52 + 13.52 + 15.52 + 17.52 + 19.52 + 8.52 + 10.52 + 12.52 + 14.52 + 16.52 + 18.52)/18 - 252/72 = 17.25

    F0 = MSB/MSE = 4.5/17.25 = 0.26

    따라서, 요인 B의 분산비(F0)는 0.26이다.

    정답은 "82.7"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 수준계 직교배열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각 열의 자유도는 1이다.
  2. 교호작용의 자유도는 2이다.
  3. a2, b2 혹은 c2은 1로 취급한다.
  4. 어느 열이나 0의 수와 1의 수가 반반씩 나타나 있다.
(정답률: 62%)
  • "교호작용의 자유도는 2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교호작용의 자유도는 (a-1)(b-1)이다. 이는 각 요인의 자유도에서 1을 뺀 값들을 곱한 것과 같다. 예를 들어, 2x2 직교배열표에서는 교호작용의 자유도가 (2-1)(2-1) = 1이 된다. 이는 각각의 요인이 2개의 수준을 가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검사원들간의 측정값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4명의 검사원을 랜덤으로 뽑아 표준시료를 동일한 계측기로 5회씩 반복하여 측정하도록 하였다. 측정 결과를 활용하여 작성한 분산분석표가 다음과 같을 때, 요인 A의 산포의 추정치()는 약 얼마인가?

  1. 0.215
  2. 0.269
  3. 0.358
  4. 0.431
(정답률: 42%)
  • 요인 A의 산포의 추정치는 평균제곱합(MS)을 해당 요인의 자유도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요인 A의 산포의 추정치는 MS(A)/자유도(A)로 계산할 수 있다.

    분산분석표에서 MS(A)는 0.086이고, 자유도(A)는 3이다. 따라서, 요인 A의 산포의 추정치는 0.086/3 = 0.0287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추정치를 소수점 셋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했으므로, 0.0287을 10으로 나눈 값인 0.00287을 구한 후, 5로 곱해주면 된다. 따라서, 요인 A의 산포의 추정치는 0.215이다.

    따라서, 정답은 "0.2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실험계획법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실험에 대한 계획방법을 의미하는 것이다.
  2. 공정의 이상원인을 조처하기 위한 것이다.
  3. 최소의 실험횟수에서 최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가를 계획하는 것이다.
  4.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하여 실험을 어떻게 행하는지를 계획하는 것이다.
(정답률: 70%)
  • 정답은 "공정의 이상원인을 조처하기 위한 것이다."이다. 실험계획법은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상원인을 찾아내고 조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소의 실험횟수에서 최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실험을 계획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험계획법의 목적은 공정의 이상원인을 조처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통계적품질관리

21. n=4인 관리도에서 =25.22 이다. 이 공정의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은 각각 약 얼마인가? (단, 이다.)

(정답률: 40%)
  • 군내변동은 이고, 군간변동은 이다. 따라서, 총 변동은 이다. 그리고 이므로,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의 비율이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석탄의 발열량을 측정하고자 적재량이 10톤인 트럭 10대에서 5대를 랜덤하게 취하고, 그 5대의 트력에서 30g씩 표본을 취하는 샘플링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집락 샘플링(cluster sampling)
  2. 층별 샘플링(stratified sampling)
  3. 계통 샘플링(systematic sampling)
  4. 2단계 샘플링(two stage sampling)
(정답률: 60%)
  • 2단계 샘플링은 큰 집단을 작은 집단으로 나눈 후, 작은 집단에서 랜덤하게 샘플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먼저 큰 집단인 10대의 트럭을 작은 집단으로 나눈 후, 작은 집단에서 랜덤하게 5대를 추출하고, 각각의 5대에서 30g씩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2단계 샘플링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검사특성(OC) 곡선에서 부적합품률이 합격품질수준(P0, AQL)인 로트가 합격할 확률은?

  1. α
  2. β
  3. 1-α
  4. 1-β
(정답률: 55%)
  • 검사특성(OC) 곡선에서 부적합품률이 합격품질수준(P0, AQL)인 로트가 합격할 확률은 "1-α"이다. 이는 검사의 결함을 찾아내지 못할 확률인 "α"와는 반대 개념이다. 즉, "1-α"는 로트가 합격할 확률로, 검사에서 결함을 찾아내지 못할 확률이 아니라 결함이 없는 로트가 합격할 확률을 의미한다. 따라서, 검사에서 결함을 찾아내는 능력이 높을수록 "α"가 작아지고, 결함이 없는 로트가 합격할 확률인 "1-α"는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관리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정이 안정상태가 아닌 데도 이를 발견하지 못하는 것을 제2종 오류라고 한다.
  2. u 관리도를 작성할 때 표본의 크기가 다르면, 일반적으로 관리한계는 계단식이 된다.
  3. 공정의 표준치의 변화에 대해 일반적으로 X관리도가 관리도에 비하여 검출력이 좋다.
  4. 관리도의 작성 시 부분군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일반적으로 관리한계의 폭은 좁아진다.
(정답률: 56%)
  • 공정의 표준치의 변화에 대해 일반적으로 X관리도가 관리도에 비하여 검출력이 좋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는 오히려 관리도가 X관리도에 비해 검출력이 더 뛰어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이는 관리도가 표본 평균의 변동성과 표본 범위의 변동성을 모두 고려하기 때문에 더욱 민감하게 공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어떤 공정을 조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얻었다. 이때 변동계수는 약 얼마인가?

  1. 8.74%
  2. 9.45%
  3. 10.58%
  4. 89.28%
(정답률: 50%)
  • 변동계수는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값으로, 상대적인 변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변동계수가 작을수록 데이터의 변동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어진 데이터에서 평균은 23.5이고, 표준편차는 2.22이다. 따라서 변동계수는 (2.22/23.5) x 100 = 9.45% 이다. 따라서 정답은 "9.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제1종의 오류에 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1-α)에 해당하는 확률
  2. (1-β)에 해당하는 확률
  3. 귀무가설이 옳은 데도 불구하고 이를 기각하는 오류
  4. 귀무가설이 옳지 않은 데도 불구하고 이를 채택하는 오류
(정답률: 78%)
  • 제1종의 오류는 귀무가설이 옳은 데도 불구하고 이를 기각하는 오류입니다. 이는 (1-α)에 해당하는 확률로 나타납니다. 이는 유의수준을 의미하며, 유의수준이 높을수록 제1종의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유의수준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R 관리도 중 관리한계가 3σ법에 따라 유도될 때에 관리한계(UCL, LCL)를 표현한 것으로 틀린 것은?

(정답률: 47%)
  • 정답은 ""입니다.

    R 관리도에서 관리한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UCL = R̄ + 3σR
    - LCL = R̄ - 3σR

    여기서 R̄은 표본평균, σR은 표본범위의 표준편차입니다.

    따라서, ""은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계수형 샘플링검사 절차 - 제1부:로트별 합격품질한계(AQL) 지표형 샘플링검사방식(KS Q ISO 2859-1:2014)에 정의된 기호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Q : 한계품질
  2. Ac : 합격판정개수
  3. Re : 불합격판정개수
  4. CRQ : 생산자 위험 품질
(정답률: 67%)
  • 정답은 "CRQ : 생산자 위험 품질"이 아닌 다른 것입니다.

    - LQ : 한계품질 (Limiting Quality) - 제품의 최대 허용 불량률
    - Ac : 합격판정개수 (Acceptance Number) - 샘플링 검사에서 합격으로 판정되는 제품의 수
    - Re : 불합격판정개수 (Rejection Number) - 샘플링 검사에서 불합격으로 판정되는 제품의 수
    - CRQ : 생산자 위험 품질 (Consumer's Risk of Quality) - 제품이 불량일 때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하게 되는 위험성

    CRQ는 소비자가 불량 제품을 구입할 위험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생산자 위험 품질이 아닌 소비자 위험 품질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올바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샘플의 품질표시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샘플의 범위
  2. 샘플의 단가
  3. 샘플의 표준편차
  4. 샘플의 부적합품수
(정답률: 72%)
  • 샘플의 단가는 품질표시방법이 아니라 가격에 해당하는 정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샘플의 범위는 샘플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품질의 범위를 나타냅니다. 샘플의 표준편차는 샘플의 분산을 나타내는 것으로 품질의 일관성을 나타냅니다. 샘플의 부적합품수는 샘플 중 불량품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품질의 불량률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표본의 부적합수가 25일 때, 모부적합수에 대한 95% 양쪽 신뢰한계의 신뢰하한값은 얼마인가? (단, u0.95=1.96, u0.975=1.96, u0.99=2.326, u0.995=2.576 이다.)

  1. 15.2
  2. 16.8
  3. 33.2
  4. 34.8
(정답률: 46%)
  • 부적합수는 이항분포를 따르므로, 모비율의 추정량인 표본비율 p̂ 의 표준오차는 다음과 같다.

    SE(p̂) = sqrt(p̂(1-p̂)/n)

    여기서 n은 표본크기이다. 부적합수가 25이므로, 적합수는 n-25이다. 따라서 모비율의 추정량은 다음과 같다.

    p̂ = (n-25)/n = 1-25/n

    표본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표본비율 p̂은 모비율 p와 근사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모비율의 표준오차는 다음과 같다.

    SE(p) = sqrt(p(1-p)/n)

    신뢰하한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 - z*SE(p̂) < p < p̂ + z*SE(p̂)

    여기서 z는 표준정규분포의 분위수이다. 95% 양쪽 신뢰한계를 구하려면 z=1.96을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25/n - 1.96*sqrt((1-25/n)*(25/n)/n) < p < 1-25/n + 1.96*sqrt((1-25/n)*(25/n)/n)

    이 부등식을 p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다.

    (25-1.96^2*n)/(n+1.96^2) < p < (25+1.96^2*n)/(n+1.96^2)

    이 식에서 좌변은 p의 하한값, 우변은 p의 상한값이다. 이제 이를 부적합수 25에 대해 풀면 된다. 즉,

    (25-1.96^2*n)/(n+1.96^2) = 25/n

    (25+1.96^2*n)/(n+1.96^2) = 25/n

    이 두 식을 n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다.

    n = 384.16, 15.84

    n은 표본크기이므로, 자연수여야 한다. 따라서 n=384이다. 이제 하한값을 구하기 위해 첫 번째 식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25-1.96^2*384)/(384+1.96^2) = 15.2

    따라서 정답은 "1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M 부품의 기본치수가 20cm이고, 그 허용차가 ±0.05cm로 주어졌을 때, n=8, k=1.74가 되는 계수 및 계량 규준형 1회 샘플링 검사(KS Q 0001:2013) 중 계량 규준형 1회 샘플링 검사 방식에서 는 각각 약 얼마인가? (단, σ=0.015, α=0.05, β=0.10 이다.)

(정답률: 5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관리도 - 제2부:슈하트 관리도(KS Q ISO 7870-2:2014)에서 정의된 계수형 관리도가 아닌 것은?

  1. np 관리도
  2. p 관리도
  3. 관리도
  4. u 관리도
(정답률: 58%)
  • " 관리도"는 계수형 관리도가 아닌, 비율형 관리도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계수형 관리도는 불량 수를 직접 계산하여 관리하는 반면, 비율형 관리도는 불량률을 계산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 관리도"는 불량률을 관리하는 비율형 관리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합리적인 군구분이 안 될 때 사용하는 관리도는?

  1. c 관리도
  2. 관리도
  3. p 관리도
  4. X-Rm 관리도
(정답률: 63%)
  • X-Rm 관리도는 평균과 범위를 이용하여 제어선을 그리는 관리도로,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거나 군구분이 어려울 때 사용된다. 따라서 합리적인 군구분이 안 될 때 사용하는 관리도는 X-Rm 관리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확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상 A, B가 P(A∩B)=P(A)⋅P(B)일 때, A와 B는 서로 종속이다.
  2. 사상 A와 B가 서로 배반이면, P(A∪B)=P(A)+P(B)이다.
  3. 사상 A가 여사상 AC에 대하여 P(AC)=1-P(A)가 성립한다.
  4. 두 사상 A, B에 대하여 P(A∪B)=P(A)+P(B)-P(A∩B) 가 성립한다.
(정답률: 76%)
  • "사상 A, B가 P(A∩B)=P(A)⋅P(B)일 때, A와 B는 서로 종속이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사상 A와 B가 서로 독립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A의 발생 여부가 B의 발생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B의 발생 여부가 A의 발생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A제조회사가 제조하는 핀의 지름은 모표준편차가 0.12cm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제조법을 개량하여 제품에서 10개를 추출하여 조사한 결과 시료표준편차는 0.1cm이었다. 핀의 변동 폭이 작아졌다고 할 수 있는지 5%의 유의수준으로 검정할 때의 사항으로 맞는 것은?

  1. H1 이다.
  2. H0는 σ2<0.1 이다.
  3. 검정통계량은 t 분포를 따른다.
  4. 검정통계량은 X2 분포를 따른다.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모평균의 구간추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산이 크면 신뢰구간은 좁아진다.
  2. 신뢰수준을 높이면 신뢰구간이 넓어진다.
  3. 표본의 크기를 크게 하면 신뢰구간이 좁아진다.
  4. 분산과 표본의 크기는 신뢰구간의 크기에 상반된 작용을 한다.
(정답률: 43%)
  • "분산이 크면 신뢰구간은 좁아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분산이 크면 신뢰구간이 넓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분산이 클수록 모집단에서 각각의 표본이 더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표본들 간의 차이가 더 커져서 신뢰구간이 더 넓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분산이 크면 신뢰구간은 넓어진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신뢰수준을 높이면 신뢰구간이 넓어지는 이유는, 신뢰수준이란 신뢰구간이 모평균을 포함할 확률을 의미하는데, 이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뢰구간의 폭을 넓혀야 합니다.

    표본의 크기를 크게 하면 신뢰구간이 좁아지는 이유는,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표본평균이 모평균에 더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신뢰구간의 폭이 좁아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분산과 표본의 크기는 신뢰구간의 크기에 상반된 작용을 합니다. 분산이 클수록 신뢰구간이 넓어지고,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신뢰구간이 좁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모부적합수에 대한 문제를 다룰 때 모평균부적합수 m이 m>5이면, 푸아송분포로 처리하지 않고, 어떤 분포로 근사할 수 있는가?

  1. X2 분포
  2. 정규분포
  3. 초기하분포
  4. 이항분포
(정답률: 66%)
  • 정규분포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모집단의 분포가 무엇이든지 간에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표본평균의 분포가 정규분포에 근사하게 된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모평균부적합수가 m>5인 경우에도 충분히 큰 표본을 추출하여 표본평균을 이용하여 모평균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때 표본평균의 분포는 정규분포에 근사하게 됩니다. 따라서 모평균부적합수가 m>5인 경우에는 정규분포를 사용하여 근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표준편차(σ)를 아는 경우에 평균치의 검정 또는 추정에 사용되는 분포는?

  1. t 분포
  2. X2 분포
  3. F 분포
  4. 정규분포
(정답률: 63%)
  • 정답: 정규분포

    표준편차(σ)를 아는 경우, 평균치의 검정 또는 추정에 사용되는 분포는 정규분포이다.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모집단이 어떤 분포를 따르더라도 표본의 크기가 충분하다면, 표본평균의 분포가 정규분포에 근사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준편차(σ)를 아는 경우, 정규분포를 사용하여 평균치의 검정 또는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두 특성치에 대해 Sxx=36.65, Syy=2356.24, Sxy=263.75 일 때 결정계수는 약 몇 %인가?

  1. 80.6
  2. 82.6
  3. 85.6
  4. 88.6
(정답률: 56%)
  • 결정계수는 R2=Sxy2/(SxxSyy) 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R2=263.752/(36.65*2356.24)≈0.806 또는 약 80.6% 이다. 따라서 정답은 "80.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검사의 소요시간은 평균이 30분, 표준편차가 5분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한다. 검사 합격시간이 35분 이내라고 한다면, 전체의 몇 %가 합격하겠는가?

  1. 69.14
  2. 84.13
  3. 95.45
  4. 99.73
(정답률: 57%)
  • 검사의 소요시간이 평균이 30분, 표준편차가 5분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하였으므로, 검사 합격시간이 35분 이내일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z = (35 - 30) / 5 = 1

    여기서 z는 표준정규분포에서의 값이다. 따라서, 표준정규분포의 표에서 z 값에 해당하는 확률을 찾으면 된다. 보기에서는 84.13%가 해당하므로, 전체의 84.13%가 합격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산시스템

41. JIT 생산방식의 7가지 낭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고의 낭비
  2. 과잉생산의 낭비
  3. 운반의 낭비
  4. 대기시간의 낭비
(정답률: 73%)
  • 정답은 "사고의 낭비"입니다. JIT 생산방식은 과잉생산, 운반, 대기시간 등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생산을 추구하는 방식이지만, 사고는 예측할 수 없는 요소로 인해 방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JIT 생산방식의 7가지 낭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사고는 생산과는 무관한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생산활동의 원활한 수행, 자원의 유용, 시설의 합리적 할당이 시간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생산계획은?

  1. 설비계획
  2. 자재계획
  3. 일정계획
  4. 진도계획
(정답률: 69%)
  • 일정계획은 생산활동을 시간적으로 계획하고 조율하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계획이다. 따라서 생산활동의 원활한 수행, 자원의 유용, 시설의 합리적 할당이 시간적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정계획의 목적이다. 다른 보기인 설비계획은 생산설비의 구매 및 유지보수 계획, 자재계획은 원자재 및 부재료의 구매 계획, 진도계획은 생산과정에서의 진도 상황을 파악하고 조율하는 계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흐름작업의 생산성을 표시하는 지수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1. 수익률
  2. 표준화율
  3. 고장 도수율
  4. 라인밸런스 효율
(정답률: 79%)
  • 라인밸런스 효율은 생산라인에서 작업이 균등하게 분배되어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인 지수이다. 다른 지수들은 수익성, 표준화, 고장 발생 빈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생산성을 평가하지만, 작업의 분배가 균등하지 않으면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라인밸런스 효율이 가장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공정별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재고나 재공품이 증가한다.
  2. 작업내용이 단순하므로 훈련이 용이하다.
  3. 운반거리가 단축되고 제품의 흐름이 빠르다.
  4. 수요변화, 제품변경 등에 대한 유연성이 적다.
(정답률: 49%)
  • 답: "재고나 재공품이 증가한다." - 공정별 배치는 한 번에 여러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각 제품의 생산량이 다르더라도 일정량을 묶어서 생산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생산이 끝난 제품이나 생산 중인 제품이 재고나 재공품으로 쌓이게 되어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품목 A의 연간 수요량이 500개, 1회 발주비용은 1000원, 연간 단위당 재고유지비용은 100원 일 때, 연간 총 재고비용은 얼마인가?

  1. 100원
  2. 5000원
  3. 10000원
  4. 20000원
(정답률: 46%)
  • 연간 총 재고비용 = 연간 재고유지비용 + 연간 발주비용
    연간 재고유지비용 = 연간 수요량 x 단위당 재고유지비용 = 500 x 100 = 50000원
    연간 발주비용 = 발주 횟수 x 발주비용 = (연간 수요량 / 발주량) x 발주비용 = (500 / 1) x 1000 = 500000원
    따라서, 연간 총 재고비용 = 50000원 + 500000원 = 550000원
    하지만, 문제에서는 "연간 수요량이 500개" 이므로, 발주량은 500개이고, 연간 발주비용은 1회 발주비용인 1000원과 같다.
    따라서, 연간 총 재고비용 = 50000원 + 1000원 = 51000원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10000원" 이므로, 연간 발주비용을 1회 발주비용인 1000원으로 잘못 기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연간 총 재고비용은 50000원 + 1000원 = 51000원이 아니라, 50000원 + 10000원 = 60000원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ABC 분석 중 등급별로 총가치에 대한 비율이 맞는 것은?

  1. A 품목 : 15~20%
  2. A 품목 : 70~80%
  3. B 품목 : 30~40%
  4. C 품목 : 40~60%
(정답률: 79%)
  • ABC 분석에서 A 품목은 총 가치의 상위 등급에 속하며, 이 등급에 속한 품목들은 전체 총 가치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A 품목의 비율이 70~80%인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3개의 작업(I, II, III)은 모두 기계 A를 먼저 거친 다음에 기계 B를 거친다. 존슨의 규칙에 의한 작업순서는?

  1. Ⅰ→Ⅱ→Ⅲ
  2. Ⅰ→Ⅲ→Ⅱ
  3. Ⅱ→Ⅲ→Ⅰ
  4. Ⅲ→Ⅱ→Ⅰ
(정답률: 49%)
  • 존슨의 규칙에 따르면 먼저 처리 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부터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기계 A에서 처리 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은 III이고, II, I 순으로 처리 시간이 길어진다. 그리고 기계 B에서도 III이 처리 시간이 가장 짧으므로 III을 먼저 처리하고, II, I 순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작업순서는 "Ⅲ→Ⅱ→Ⅰ"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여유시간의 분류에서 일반여유가 아닌 것은?

  1. 인적 여유
  2. 소로트 여유
  3. 피로 여유
  4. 불가피 지연여유
(정답률: 66%)
  • 소로트 여유는 일정이나 업무에 대한 예상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주어졌을 때 발생하는 여유 시간으로, 예를 들어 일정이 2시간이지만 3시간이 주어졌을 때 발생하는 여유를 말합니다. 따라서 일반 여유, 인적 여유, 피로 여유, 불가피 지연 여유는 모두 예상 시간보다 적은 시간이 주어졌을 때 발생하는 여유 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사적 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적시생산시스템
  2. 실시간 정보처리체계의 구축
  3. 오픈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4. 기업 간 자원활용의 최적화 추구
(정답률: 74%)
  • 정답: "적시생산시스템"

    설명: ERP의 특징으로는 실시간 정보처리체계의 구축, 오픈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기업 간 자원활용의 최적화 추구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적시생산시스템"은 ERP의 특징이 아니며, 생산 관련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적시생산시스템은 생산 계획과 실제 생산 활동을 연계하여 생산 일정을 적시에 수립하고 생산 계획대로 생산을 진행하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PERT에서 어떤 활동의 3점시간 견적 결과 (낙관치=4, 정상치=10, 비관치=10)를 얻었다. 이 활동시간의 기대치(te)와 분산(σ2)의 추정치는 각각 얼마인가?

  1. te=8, σ2=1
  2. te=8, σ2=2
  3. te=9, σ2=1
  4. te=9, σ2=2
(정답률: 50%)
  • PERT에서 기대치(te)는 (낙관치+4*정상치+비관치)/6 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4+4*10+10)/6 = 9 이다.

    분산(σ2)의 추정치는 (비관치-낙관치)/62 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10-4)/62 = 1/9 이다. 이 값에 36을 곱하면 분산의 추정치가 된다. 따라서 1/9 * 36 = 4/3 이다. 하지만 PERT에서는 분산 대신 표준편차(σ)를 사용하므로, 이 값을 제곱근 취한 값인 2/√3 ≈ 1.155로 대체한다. 따라서 σ2의 추정치는 1이 아니라 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te=9, σ2=2"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작업공정도(Operation process chart)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공정 도시 기호는?

  1. 가공, 운반
  2. 가공, 검사
  3. 가공, 정체
  4. 가공, 검사, 운반, 정체
(정답률: 65%)
  • 작업공정도에서 사용하는 공정 도시 기호는 사각형 모양입니다. 이 중에서 "가공"은 작업을 처리하는 공정을 의미하고, "검사"는 가공된 제품을 검사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공, 검사"가 정답입니다. "운반"은 제품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의미하고, "정체"는 작업을 대기시키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메모모션 분석을 적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조작업분석
  2. 사이클이 긴 작업분석
  3. 배치나 운반개선의 작업분석
  4. 사이클이 규칙적인 작업분석
(정답률: 52%)
  • 사이클이 규칙적인 작업분석은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작업에 적용하는 분석 방법이기 때문에,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지 않는 작업에는 적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이클이 규칙적이지 않은 작업에는 적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단순지수평활법에서 특정 기간의 수요예측치를 구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

  1. 평활계수
  2. 불규칙변동지수
  3. 가장 최근의 예측치
  4. 가장 최근의 실제수요량
(정답률: 68%)
  • 불규칙변동지수는 단순지수평활법에서 특정 기간의 수요예측치를 구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자료가 아닙니다. 이는 과거의 예측치와 실제 수요량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로, 예측 오차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예측치를 구하는 데 직접적으로 필요한 자료는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반면, 평활계수는 평활 상수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자료이며, 가장 최근의 예측치와 실제 수요량은 예측치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중요한 자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어떤 작업자의 시간연구결과 단위당 정미시간이 20분 소요되었다. 여유율이 정미시간의 10%일 때 외경법으로 계산한 표준시간은?

  1. 11.4분
  2. 13.6분
  3. 17.6분
  4. 22.0분
(정답률: 63%)
  • 외경법에서 표준시간은 정미시간에 여유율을 더한 값이다. 따라서, 정미시간 20분에 여유율 10%를 더한 값은 22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2.0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자주보전활동 중 “설비의 기능구조를 알고 보전기능을 몸에 익힌다.”라는 내용은 어느 단계에 해당되는가?

  1. 1단계 : 초기청소
  2. 2단계 : 발생원⋅곤란개소 대책
  3. 3단계 : 청소⋅급유⋅점검기준 작성
  4. 4단계 : 총점검
(정답률: 65%)
  • "설비의 기능구조를 알고 보전기능을 몸에 익힌다."는 보전활동의 마지막인 총점검 단계에서 해당된다. 이는 설비의 전반적인 기능과 작동 방식을 이해하고, 보전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내용은 보전활동의 마지막인 총점검 단계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새로운 설비를 계획하거나 건설할 때 보전정보나 새로운 기술을 고려하여 신뢰성, 보전성, 경제성, 조작성, 안전성 등이 높은 설계로 하여 설비의 열화손실을 적게 하는 활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보전예방
  2. 예방보전
  3. 개량보전
  4. 사후예방
(정답률: 58%)
  • 정답: 보전예방

    설비의 열화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설비를 계획하거나 건설할 때 보전정보나 새로운 기술을 고려하여 신뢰성, 보전성, 경제성, 조작성, 안전성 등이 높은 설계로 해야 합니다. 이러한 활동을 보전예방이라고 합니다. 이는 사후예방과는 달리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하는 것으로, 설비의 수명을 연장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전예방은 설비의 안정적인 운영과 경제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활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MRP 시스템에서 MRP의 구성 요소들의 조립순서를 나타내고, 각 조립순서의 단계별로 필요한 소요량과 조달기간을 결정하는 것은?

  1. 부품명세서
  2. 조립명세서
  3. 자재명세서
  4. 재고기록서
(정답률: 50%)
  • MRP 시스템에서 각 조립순서의 단계별로 필요한 소요량과 조달기간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자재명세서가 필요합니다. 자재명세서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원자재와 부품의 목록과 수량, 그리고 해당 자재들의 입고 예정일 등을 기록한 문서입니다. 따라서 MRP 시스템에서 자재명세서를 기반으로 필요한 자재들의 소요량과 조달기간을 계산하여 생산 계획을 수립하게 됩니다. 부품명세서는 제품을 구성하는 각 부품의 목록과 수량을 기록한 문서이며, 조립명세서는 제품을 조립하는 과정을 기록한 문서입니다. 재고기록서는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재고량과 입출고 내역을 기록한 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PTS 법의 종류 중 MTM(Method-Time Measurement)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1966년 C.Heyde에 의해 공표되었으며 비교적 쉽게 배우고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A. B. Segur가 1924년 Gilbreth가 제안한 인간의 기본동작인 서블릭을 기초로 하여 최초로 개발하였다.
  3. 1948년 H. B. Maynard 등에 의해 발표되었으며 유일하게 모든 연구자료와 연구방법이 공표된 PTS 시스템이다.
  4. 1934년부터 1938년까지 Phico Radio Corp.의 노동조합에서 종래의 스톱워치에 의한 표준시간을 불신하였기에 Joseph H. Quick 등이 중심이 되어 개발하였다.
(정답률: 59%)
  • 1948년 H. B. Maynard 등에 의해 발표되었으며 유일하게 모든 연구자료와 연구방법이 공표된 PTS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테일러 시스템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동시관리
  2. 과업관리
  3. 이동조립법
  4. 기계설비 중심
(정답률: 79%)
  • 테일러 시스템은 과업관리를 중심으로 한 생산 방식으로, 작업자들이 각자의 역할에 집중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따라서 테일러 시스템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과업관리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테일러 시스템과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핵심적인 개념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PERT/CPM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ERT 에서의 비용에만 관심을 둔다.
  2. PERT 에서는 각 활동시간을 확률변수로 간주한다.
  3. PERT 에서는 주공정을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정규분포로 간주한다.
  4. CPM 에서 프로젝트 완료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주공정상에 있는 활동을 택하여 단축하여야 한다.
(정답률: 66%)
  • "PERT 에서의 비용에만 관심을 둔다." 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ERT는 프로젝트의 시간과 비용을 모두 고려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PERT에서는 각 활동의 시간과 비용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체 프로젝트의 시간과 비용을 예측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품질경영

61. 측정시스템 변동의 유형 중 반복성을 표현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계측기의 기대 작동범위 영역에서 편의값의 차
  2. 같은 시료의 동일 특성을 같은 측정계기를 이용하여 다른 평가자들에 의해 구해진 측정값 평균의 변동
  3. 같은 마스터 시료 또는 같은 시료의 한 특성에 대하여 장기간 측정을 할 때 얻어지는 측정값의 총변동
  4. 같은 시료의 동일 특성을 같은 측정계기를 이용하여 한 명의 평가자가 여러 번 측정하여 구한 측정값의 변동
(정답률: 70%)
  • 정답은 "같은 시료의 동일 특성을 같은 측정계기를 이용하여 한 명의 평가자가 여러 번 측정하여 구한 측정값의 변동"입니다. 이는 같은 조건에서 같은 측정기를 사용하여 동일한 시료를 여러 번 측정한 결과의 변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반복성을 나타내는 측정시스템 변동의 유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ISO 9000 패밀리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조직 활동의 품질 개선
  2. 부서 간⋅계층 간 의사소통의 원활화
  3. 품질시스템 요구 사항에 대한 신뢰감 부여
  4. 환경경영의 효율을 통한 경제적 수익 증대
(정답률: 65%)
  • ISO 9000 패밀리는 조직의 품질관리를 위한 국제 표준이다. 따라서 "환경경영의 효율을 통한 경제적 수익 증대"는 ISO 9000 패밀리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ISO 9000 패밀리는 조직 내부의 품질 개선과 의사소통 원활화, 그리고 품질시스템 요구 사항에 대한 신뢰감 부여를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사내규격의 양식으로 구비되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이해하기 쉬운 양식일 것
  2. 일률적이며 특수한 양식일 것
  3. 유지, 취급, 보관관리가 용이할 것
  4. 표준의 내용을 충분히 전달하는 기능을 유지할 것
(정답률: 83%)
  • 일률적이며 특수한 양식은 사내규격의 목적과 범위에 맞지 않는 양식으로, 모든 상황에 적용하기 어렵거나 특정한 상황에서만 사용되는 양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양식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지, 취급, 보관관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이해하기 쉬운 양식, 유지, 취급, 보관관리가 용이한 양식, 표준의 내용을 충분히 전달하는 기능을 유지하는 양식은 사내규격의 목적과 범위에 맞는 적절한 양식으로 구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QC 7가지 도구 중에서 부적합, 결점, 고장 등의 발생 건수를 분류하여 항목별로 나누어 크기 순서대로 나열한 그림은?

  1. 파레토도
  2. 그래프
  3. 체크시트
  4. 산점도
(정답률: 49%)
  • 정답은 "파레토도"입니다. 파레토도는 QC 7가지 도구 중 하나로, 부적합, 결점, 고장 등의 발생 건수를 분류하여 항목별로 나누어 크기 순서대로 나열한 그래프입니다. 이 그래프는 80:20 법칙을 기반으로 하며, 문제의 대부분은 소수의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소수의 원인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산업표준화의 실시가 생산 제조업체에 미치는 효과로 틀린 것은?

  1. 자재가 절약된다.
  2. 수요파악이 용이하다.
  3. 생산능률이 향상된다.
  4. 제품 다양화가 용이하다.
(정답률: 67%)
  • 산업표준화는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며, 생산과정에서 자재와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표준화된 제품은 수요파악이 용이하며, 생산능률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제품 다양화가 용이하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QC 분임조 활동의 기본이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업의 체질개선과 발전에 기여한다.
  2. 품질매뉴얼과 절차서를 작성, 검토 한다.
  3. 인간의 능력을 발휘하여 무한한 가능성을 창출한다.
  4. 인간성을 존중하고 삶의 보람이 있는 명랑한 직장을 조성한다.
(정답률: 46%)
  • QC 분임조 활동의 기본이념은 "인간성을 존중하고 삶의 보람이 있는 명랑한 직장을 조성한다."입니다. 이는 인간 중심적인 접근을 통해 직장 내에서의 인간적인 가치를 존중하고, 직원들이 보람을 느끼며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품질매뉴얼과 절차서를 작성, 검토 한다."는 QC 분임조 활동의 기본이념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설계품질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맞는 것은?

  1. 신뢰성과 보전성
  2. 기술수준과 코스트
  3. 품질보증과 제품책임
  4. 제조품질과 적합품질
(정답률: 58%)
  • 설계품질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기술수준과 코스트입니다. 이는 제품의 기능과 성능을 결정하는 기술적인 요소와 제품을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을 고려하여 설계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기술적으로 뛰어난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높은 기술수준을 유지하면서도 적절한 비용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면서도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6 시그마의 본질로 볼 수 없는 것은?

  1. 고객 중심의 품질경영
  2. 벨트제도를 활용한 체계적 인재 육성
  3. ISO 9000 인증제도를 이용한 새로운 기법
  4. 프로세스 평가⋅개선을 위한 과학적⋅통계적 방법
(정답률: 69%)
  • 6 시그마는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품질경영 방법론으로, 고객 중심의 품질경영, 벨트제도를 활용한 체계적 인재 육성, 프로세스 평가⋅개선을 위한 과학적⋅통계적 방법은 모두 6 시그마의 본질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ISO 9000 인증제도를 이용한 새로운 기법은 6 시그마의 본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다른 품질경영 방법론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6 시그마의 본질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공정능력지수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공정능력지수의 역수를 공정능력비라 한다.
  2. 공정능력지수가 1.33이면 2700ppm에 해당한다.
  3. 공정능력지수 값이 1.33~1.67이면 공정능력이 우수하다고 판단한다.
  4. 규격의 산포허용 범위에 비추어 산포를 얼마나 잘 하는지를 평가하는 척도이다.
(정답률: 53%)
  • 공정능력지수가 1.33이면 2700ppm에 해당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공정능력지수는 규격의 산포허용 범위에 비추어 산포를 얼마나 잘 하는지를 평가하는 척도이며, 공정능력지수 값이 1.33~1.67이면 공정능력이 우수하다고 판단합니다. 공정능력지수의 역수를 공정능력비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수치 맺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3078을 유효숫자 2자리로 맺으면 2.3이다.
  2. 3.1961을 소수점 이하 2자리로 맺으면 3.20이다.
  3. 6.8349를 소수점 이하 3자리로 맺으면 6.835이다.
  4. 2.06719를 유효숫자 4자리로 맺으면 2.0672이다.
(정답률: 65%)
  • 2.06719를 유효숫자 4자리로 맺으면 2.0672이 아니라 2.0671이다. 유효숫자란, 소수점 이하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유효한 숫자를 말한다. 따라서 2.06719에서 유효한 숫자는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인 9이므로,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2.067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한국산업규격의 부문기호에서 R에 해당하는 부문은?

  1. 수송기계
  2. 금속
  3. 전기⋅전자
  4. 의료
(정답률: 74%)
  • R은 "수송기계"를 나타내는 부문기호이다. 이는 자동차, 기차, 비행기 등과 같은 운송 수단을 제조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품질관리부문은 스텝기능이므로 스텝으로서 책임을 수행하기 위한 어느 정도의 권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품질관리부문의 권한으로 부여하지 않는 사항은?

  1. 품질관리 데이터의 현장수집 연구
  2. 품질관리상 필요시 어떤 현장이든 자유로운 출입 및 시료 채취
  3. 품질관리상 필요한 항목에 대한 각 부서장과 직접 연락
  4. 품질관리부문의 판단으로 품질표준, 작업표준, 검사표준 등을 변경
(정답률: 55%)
  • 품질관리부문의 권한으로 부여하지 않는 사항은 "품질관리부문의 판단으로 품질표준, 작업표준, 검사표준 등을 변경"이다. 이는 조직 전체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품질표준, 작업표준, 검사표준 등은 조직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며, 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조직 전체의 합의와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는 품질관리부문의 권한으로 부여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고객 요구 품질과 제품의 기능을 기본기능, 2차 기능, 3차 기능으로 전개하여 2원 매트릭스표로 상호 연관 관계를 분석 정리하여 고객에게 가장 중요한 제품기능을 추출하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DR(Design Review)
  2. VOC(Voice of Customer)
  3. QFD(Quality Function Development)
  4. TRIZ(Teoriya Resheniya Izobretatelskikh Zadatch)
(정답률: 64%)
  • QFD(Quality Function Development)는 고객 요구사항을 제품의 기능으로 전개하여 상호 연관 관계를 분석하고, 고객에게 가장 중요한 제품 기능을 추출하는 방법론이다. 이를 통해 제품 개발 과정에서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DR(Design Review)은 제품 디자인을 검토하는 과정이고, VOC(Voice of Customer)는 고객의 목소리를 수집하는 과정이며, TRIZ(Teoriya Resheniya Izobretatelskikh Zadatch)는 발명 문제 해결 방법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어떤 조립품의 구멍과 축의 치수가 다음 표와 같이 주어질 때, 최소틈새는 얼마인가?

  1. 0.001
  2. 0.002
  3. 0.003
  4. 0.006
(정답률: 68%)
  • 최소틈새는 구멍의 최대치수에서 축의 최소치수를 뺀 값이다. 따라서, 구멍의 최대치수 20.000에서 축의 최소치수 19.998을 뺀 값인 0.002가 최소틈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품질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려면 회사에서 품질개념을 제일 우선시해야 한다. 품질개념을 중시하는 기업문화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품질담당 중역이 회사에서 핵심역할을 한다.
  2. 품질은 모든 부서, 모든 사람들의 책임이라는 인식이 퍼져 있어야 한다.
  3. 회사 내 모든 품질문제는 최고의 품질 전문가를 초빙하여 자문을 받아 처리한다.
  4. 품질에 대한 충분한 교육과 훈련, 품질성과에 대한 성과급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정답률: 66%)
  • "회사 내 모든 품질문제는 최고의 품질 전문가를 초빙하여 자문을 받아 처리한다."는 품질개념을 중시하는 기업문화를 설명한 것이 아니라, 품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를 초빙하는 방식을 강조한 것이므로 틀린 것이다.

    이유: 회사 내부에서 품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력과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속적인 품질관리와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외부 전문가의 자문은 보완적인 역할을 하지만, 그 자체로 품질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제품 사용 시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대책으로 피해자의 구제조치가 우선하는 것은?

  1. 제품안전(PS)
  2. 제품안전기술(PST)
  3. 제조물책임방어(PLD)
  4. 제조물책임예방(PLP)
(정답률: 55%)
  • 제조물책임방어(PLD)는 제조자가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피해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제품 사용 시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제조자가 피해자의 구제조치를 우선적으로 취해야 합니다. 이는 제조자가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미리 예측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책임을 지는 것으로, 제조자의 책임을 강화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제조물책임방어(PL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품질경영시스템 - 요구사항(ISO 9001:2015)에서 제시하는 품질경영의 기본적인 원칙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리더십
  2. 고객중시
  3. 주관적인 의사결정
  4. 조직구성원 적극참여
(정답률: 78%)
  • ISO 9001:2015에서는 품질경영의 기본적인 원칙으로 리더십, 고객중시, 조직구성원 적극참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관적인 의사결정은 품질경영의 원칙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이는 객관적인 데이터와 분석을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주관적인 의사결정은 품질경영에서 오류와 결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고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생되는 실패비용을 포함하여 품질코스트라 한다. 품질코스트의 종류 중 관리가 가능한 비용으로 적합코스트에 해당하는 것은?

  1. 예방코스트와 평가코스트
  2. 예방코스트와 내부실패코스트
  3. 평가코스트와 외부실패코스트
  4. 내부실패코스트와 외부실패코스트
(정답률: 70%)
  • 예방코스트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과정에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들어가는 비용으로,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 검사 및 테스트 등을 포함한다. 평가코스트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전에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들어가는 비용으로, 검사 및 테스트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용들은 관리가 가능하며,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적합코스트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제품 또는 서비스가 소정의 품질요구사항을 지니고 있다는 타당한 신뢰감을 주기 위해 필요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을 의미하는 것은?

  1. 품질보증
  2. 품질관리
  3. 품질검사
  4. 품질개선
(정답률: 68%)
  • 품질보증은 제품 또는 서비스가 소정의 품질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품질보증은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는데 중점을 둔 활동으로, 품질관리, 품질검사, 품질개선과는 목적과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복잡한 요인이 얽힌 문제에 대하여 그 인과관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적절한 해결책을 찾는 방법으로, 각 요인의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연결하여 적절한 문제해결을 이끌어 내는 데 유효한 수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연관도법
  2. PDPC 법
  3. 계통도법
  4. 매트릭스도법
(정답률: 68%)
  • 연관도법은 각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요인들을 파악하고,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다. 따라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때 연관도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