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3-10)

식물보호산업기사
(2013-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사과나무 부란병의 대표적인 발병부위는?

  1. 뿌리
  2. 줄기
(정답률: 80%)
  • 사과나무 부란병은 줄기에 발병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부란균이 줄기를 침입하여 줄기 내부의 조직을 파괴하고, 줄기의 생장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사과나무의 생장이 저하되고 열매의 품질도 저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Diener가 발견하였으며 핵산이 한 가닥이고 단백질 껍질이 없는 병원체는?

  1. 바이로이드
  2. 파이토플라스마
  3. 바이러스
  4. 세균
(정답률: 77%)
  • Diener는 핵산이 한 가닥이고 단백질 껍질이 없는 병원체를 발견하였는데, 이러한 특징은 바이러스와 유사하다. 하지만 바이러스는 호스트 세포 내에서 번식하기 위해 호스트 세포의 기계를 이용하고, 바이로이드는 자체적으로 번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정답은 "바이로이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병징(symptom)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점무늬
  2. 더뎅이
  3. 균핵
  4. 오갈
(정답률: 79%)
  • 균핵은 세포핵의 한 종류로, 병징이 아닌 세포학적인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균핵"입니다.

    - 점무늬: 피부에 나타나는 작은 점이나 반점으로, 피부질환의 증상 중 하나입니다.
    - 더뎅이: 눈의 노란색 부분인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눈의 붉은색, 가려움증 등이 나타납니다.
    - 오갈: 손가락 끝이나 발가락 끝에 생기는 통증이나 감각 이상으로, 신경계 질환의 증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흰가루병이 발생하지 않는 기주식물은?

  1. 사과나무
  2. 오이
  3. 감자
  4. 장미
(정답률: 80%)
  • 감자는 흰가루병의 원인균인 Erysiphe cichoracearum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어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사과나무, 오이, 장미는 흰가루병에 취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식물 세균병의 병징과 그 원인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들음 – 병원세균의 물관부 증식
  2. 무름 – 펙티나이제(pectinase) 생산
  3. 이상비대 – 식물 호르몬의 자극
  4. 잎마름 – 잎의 코르크화
(정답률: 70%)
  • 잎마름은 잎의 코르크화와 연결되지 않습니다. 잎마름은 식물의 잎이 말라서 죽는 증상을 말하며, 이는 병원세균의 물관부 증식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즉, "잎마름 - 병원세균의 물관부 증식"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벼 키다리병의 방제법으로서 합리적인 것은?

  1. 종자소득
  2. 윤작
  3. 중간기주 제거
  4. 토양소득
(정답률: 82%)
  • 종자소득이 합리적인 방제법이다. 이는 벼의 종자를 효율적으로 생산하여 높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윤작은 벼의 생장을 촉진시키지만, 벼 키다리병의 예방에는 직접적인 효과가 없다. 중간기주 제거는 벼 키다리병의 예방에 도움이 되지만,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토양소득은 토양의 영양분을 유지하고 토양의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벼 키다리병의 예방에는 직접적인 효과가 없다. 따라서 종자소득이 가장 합리적인 방제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식물병원성 곰팡이가 기주식물을 침입하기 위해서 기주의 조직에 형성하는 것 중에서 기주로부터 영양분을 흡수할 때 사용하는 기관은 무엇인가?

  1. 흡기
  2. 부착기
  3. 발아관
  4. 포자
(정답률: 85%)
  • 정답은 "흡기"이다.

    식물병원성 곰팡이는 기주식물의 조직에 침입하여 영양분을 흡수한다. 이때 곰팡이는 기주의 조직에 흡기구를 형성하여 영양분을 흡수한다. 따라서 "흡기"가 정답이다.

    "부착기"는 곰팡이가 기주식물에 부착하는 구조를 말하며, "발아관"은 곰팡이의 생식기관으로서 포자를 생성하여 번식하는 역할을 한다. "포자"는 곰팡이의 번식체로서 공기나 물을 통해 전파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병 중 주로 바람에 의해서 옮겨지는 것은?

  1. 사과나무 근두암종병
  2. 오이 모자이크병
  3. 벼 깨씨무늬병
  4. 배 추무사마귀병
(정답률: 80%)
  • 벼 깨씨무늬병은 바람에 의해 옮겨지는 바이러스병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병들은 바이러스가 아니거나 바이러스이지만 바람에 의해 전파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처음으로 순수분리한 공로로 노벨상은 탄 사람은?

  1. 보든(Bawden)
  2. 다나까(Tanaka)
  3. 스미스(Smith)
  4. 스탠리(Stanley)
(정답률: 70%)
  •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처음으로 순수분리한 과학자는 스탠리(Stanley)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분야에서 활동한 과학자들이지만, 스탠리는 1935년에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순수분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바이러스가 유전물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고, 이로 인해 바이러스의 성질과 구조에 대한 연구가 크게 진전되었습니다. 이러한 공로로 인해 스탠리는 1946년에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생물적 방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항성 품종만을 이용하는 것이다.
  2. 환경보전과 지속적 농업에 잘 부합하는 방제법이다.
  3. Siderophore는 철분 흡수경쟁을 이용하는 생물적 방제법이다.
  4. Trichderma sp. 의 중기생성(重寄生性) 또는 중복기생성이 생물적 방제에 이용된다.
(정답률: 86%)
  • "저항성 품종만을 이용하는 것이다."는 생물적 방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단일 방법에 의존하는 것으로, 복합적인 방제가 필요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벼 흰빛잎마름병이 대발생할 수 있는 환경조건으로 알맞은 것은?

  1. 태풍, 침수
  2. 파아지의 증가
  3. 높새바람, 무방제
  4. 태풍, 건조
(정답률: 86%)
  • 벼 흰빛잎마름병은 물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태풍과 침수는 대발생할 수 있는 환경조건입니다. 파아지의 증가나 높새바람, 무방제는 벼 흰빛잎마름병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태풍과 건조 역시 벼 흰빛잎마름병의 발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MV)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성 핵산은 RNA이다.
  2. 담배에만 감염할 수 있다.
  3. 입자의 형태는 막대모양이다.
  4. 여러 계통(strain)이 존재한다.
(정답률: 91%)
  •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MV)는 담배뿐만 아니라 다른 식물에도 감염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담배에만 감염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생식물로 분류되는 식물은?

  1. 담쟁이 덩굴
  2. 겨우살이
  3. 나팔꽃
(정답률: 82%)
  • 기생식물은 다른 식물에 의존하여 생존하는 식물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겨우살이는 다른 식물의 뿌리나 줄기에 붙어서 영양분을 빨아먹는 기생식물입니다. 따라서 겨우살이는 기생식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바이러스병의 내부병징과 관계가 먼 것은?

  1. 토마토 모용세포의 봉입체
  2. 맥류 위축병 감염세포의 X-체
  3. 담배 모자이크바이러스(TMV : tobacco mosaic virus) 감염에 의한 엽록체의 대형화 및 수의 증가
  4. 감자 잎말림바이러스에 의한 사부조직의 괴사
(정답률: 67%)
  • 바이러스병의 내부병징은 해당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의 세포 내부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담배 모자이크바이러스(TMV) 감염에 의한 엽록체의 대형화 및 수의 증가는 바이러스가 엽록체에 감염하여 엽록체의 크기와 수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바이러스가 엽록체 내부에서 복제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와 재료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바이러스병의 진단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식물병원세균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단세포이다.
  2. 분열로 증식한다.
  3. 세포벽이 있다.
  4. 엽록소가 있다.
(정답률: 83%)
  • 식물병원세균은 엽록소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이는 식물의 엽록소는 광합성에 필요한 것이며, 식물병원세균은 식물을 감염시키기 위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진균(眞菌)의 영양기관이 아닌 것은?

  1. 균사체(菌絲體)
  2. 균사속(菌絲束)
  3. 자좌(子座)
  4. 포자낭(胞子囊)
(정답률: 69%)
  • 진균의 영양기관은 균사체, 균사속, 자좌이지만 포자낭은 생식기관으로서 영양기관은 아닙니다. 포자낭은 진균이 생식을 위해 만드는 구조물로서, 내부에 포자를 생성하여 번식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병징이 설명하고 있는 벼의 병은?

  1. 흰잎마름병
  2. 오갈병
  3. 도열병
  4. 깨씨무늬병
(정답률: 75%)
  • 이 그림은 벼의 잎이 노랗게 변하고, 잎사귀가 말라서 부러지는 증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물 부족으로 인한 열이 쌓이면서 발생하는 도열병의 증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애멸구에 의해서 전염되는 병은?

  1. 벼 흰잎마름병
  2. 벼 잎집무늬마름병
  3. 벼 줄무늬잎마름병
  4. 오이 모자이크병
(정답률: 73%)
  • 애멸구는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주요 전파 벡터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벼 줄무늬잎마름병은 애멸구에 의해 전염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벡터나 전파 경로를 통해 전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은행나무 잎마름병(엽고병)의 병원균 Pestalotia sp. 는 잎에 어떤 방법으로 주로 침입하는가?

  1. 수공으로 침입한다.
  2. 기공으로 침입한다.
  3. 상처부위로 침입한다.
  4. 각피로 침입한다.
(정답률: 50%)
  • 은행나무 잎마름병의 병원균 Pestalotia sp.는 상처부위로 침입합니다. 이는 잎의 표면에 상처가 생기면 그 상처를 통해 병원균이 침입하여 잎의 내부로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잎의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배추 무사마귀병이 발병하는 토양의 산도는?

  1. 중성
  2. 산성
  3. 알칼리성
  4. 모두 가능
(정답률: 85%)
  • 정답: 산성

    배추 무사마귀병은 토양의 산도가 낮은 산성 토양에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산성 토양은 pH 값이 7보다 낮으며, 이러한 환경에서는 무사마귀병의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배추를 재배할 때는 적정한 pH 값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해충 방제 중 생물적 방제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1. 효과가 빠르지 않다.
  2.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3. 안전 농산물 생산이 가능하다.
  4. 화학농약과 사용시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정답률: 78%)
  • 생물적 방제는 화학농약과 달리 자연적인 방법으로 해충을 제어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환경에 영향을 덜 받습니다. 따라서 안전한 농산물 생산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피제를 놓아 해충을 방제하고자 할 때, 곤충의 어떤 행동을 이용한 것인가?

  1. 양성주축성
  2. 음성주축성
  3. 양성주화성
  4. 음성주화성
(정답률: 61%)
  • 기피제를 놓아 해충을 방제할 때, 곤충의 음성주화성 행동을 이용한다. 이는 곤충이 자신의 종류나 파트너를 찾을 때 방출하는 화학물질인 페로몬을 이용하여 기피제를 놓은 지역을 피하게 만드는 것이다. 즉, 기피제가 놓인 지역에는 곤충이 다가가지 않고,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곤충의 생식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난자는 알집을 구성하는 알집소관에서 생성된다.
  2. 암컷의 생식계는 알집, 수란관, 수정낭, 부속샘 등으로 구성된다.
  3. 수정낭은 수정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4. 꿀벌의 일벌은 난소가 퇴화되어 있다.
(정답률: 61%)
  • "수정낭은 수정이 이루어지는 곳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수정낭은 암컷의 생식계에 속하며, 난자가 아닌 알이 형성되는 곳이다. 따라서 수정이 이루어지는 곳은 다른 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충영을 형성하는 해충은?

  1. 독나방
  2. 솔입혹파리
  3. 어스렝이나방
  4. 참나무겨울가지나방
(정답률: 73%)
  • 솔입혹파리는 소나무와 같은 솔과 관목의 잎을 먹고 생활하는 해충으로, 충영을 형성하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나무나 식물을 먹거나 다른 생태계에서 활동하는 해충들이므로, 충영을 형성하는 해충으로는 솔입혹파리가 유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주로 포식성 곤충으로서 해충의 천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1. 깍지벌레류
  2. 무당벌레류
  3. 진딧물류
  4. 하늘소류
(정답률: 79%)
  • 무당벌레류는 크기가 크고 강한 턱과 발톱을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해충을 포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당벌레류는 야간에 활동하며, 빠른 움직임과 높은 이동성을 가지고 있어서 해충을 쫓아가서 잡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농업 및 산업 분야에서 해충의 천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최근 도시의 버즘나무 잎이 부분적으로 퇴색되고 피해가 진전됨에 따라 조기에 갈색으로 마르는 피해를 입히는 해충은?

  1. 진딧물류
  2. 깍지벌레류
  3. 방패벌레류
  4. 흰불나방
(정답률: 58%)
  • 방패벌레류는 도시의 버즘나무를 공격하여 잎을 먹고 퇴색시키며, 이로 인해 나무가 조기에 마르는 피해를 입힙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방패벌레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일본으로부터 천적을 수입하여 제주 감귤원의 해충방제에 성공한 사례로서 기록된 해충명은?

  1. 가루깍지벌레
  2. 이세리아깍지벌레
  3. 루비깍지벌레
  4. 화살깍지벌레
(정답률: 63%)
  • 일본에서 수입한 천적인 루비깍지벌레는 제주 감귤원의 해충방제에 효과적이었기 때문에 이 사례에서 기록된 해충명으로 선택되었다. 다른 보기들은 제주 감귤원에서 발견되는 해충 중 하나이지만, 이 사례에서는 루비깍지벌레가 성공적으로 해충방제에 사용되었다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모기가 벽에 앉을 때 언제나 머리쪽이 위로 향하는데, 이러한 성질은?

  1. 주광성(走光性)
  2. 주화성(走化性)
  3. 주촉성(走觸性)
  4. 주지성(走地性)
(정답률: 82%)
  • 모기는 주로 벽면이나 바닥에 앉아있을 때 머리쪽이 위로 향하는데, 이는 모기의 주지성 때문입니다. 주지성은 동물이나 곤충이 지면에 닿으면 지면을 따라 움직이는 성질을 말합니다. 모기는 지면에 닿으면 지면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벽면이나 바닥에 앉을 때 머리쪽이 위로 향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곤충의 뇌(腦)중에서 시각에 관여하는 것은?

  1. 앞대뇌
  2. 뒷대뇌
  3. 제3대뇌
  4. 제4대뇌
(정답률: 84%)
  • 앞대뇌는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중요한 영역 중 하나입니다. 시각 정보를 받아들이고 분석하여 시각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대뇌는 시각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저장 중의 식품이나 곡식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이 아닌 것은?

  1. 화랑곡나방
  2. 다색일락명나방
  3. 쌀바구미
  4. 콩가루벌레
(정답률: 58%)
  • 콩가루벌레는 저장 중인 식품이나 곡식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입니다. 그러나 화랑곡나방, 다색일락명나방, 쌀바구미는 모두 저장 중인 식품이나 곡식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콩가루벌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목(目)은?

  1. 벼룩목
  2. 나비목
  3. 파리목
  4. 매미목
(정답률: 82%)
  • 이 목은 파리류의 목으로, 파리와 유사한 생물들이 속해 있기 때문에 파리목이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곤충의 구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가슴은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의 3마디로 구분된다.
  2. 대개 가슴마디마다 1쌍의 다리를 지니고 있다.
  3. 앞가슴과 가운데가슴에는 보통 1쌍의 날개를 지니고 있다.
  4. 날개는 혈관과 기관이 통해 있는 조직이다.
(정답률: 57%)
  • "앞가슴과 가운데가슴에는 보통 1쌍의 날개를 지니고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앞가슴과 가운데가슴에 각각 1쌍씩 총 2쌍의 날개를 지니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수목 해충 중 유충상태로 지피물밑이나 수피 틈 또는 가지위에서 월동하는 것은?

  1. 매미나방(짚시나방)
  2. 미국흰불나방
  3. 솔나방
  4. 소나무좀
(정답률: 45%)
  • 솔나방은 소나무를 주로 기생하는 해충으로, 유충 상태에서 지피물밑이나 수피 틈, 가지위 등에서 월동합니다. 따라서, 다음 수목 해충 중 유충상태로 지피물밑이나 수피 틈 또는 가지위에서 월동하는 것은 솔나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구상에 곤충이 번창하게 된 원인이 아닌 것은?

  1. 날개가 있다.
  2. 몸의 크기가 작다.
  3. 변태가 가능하여 불리한 환경에 잘 적응한다.
  4. 온형동물로 부적당한 환경에서 오래 견딜 수 있다.
(정답률: 84%)
  • 온형동물은 일반적으로 극한의 환경에서 살아남기 어렵지만, 곤충은 변태를 통해 불리한 환경에서도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온형동물로 부적당한 환경에서도 오래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곤충은 다른 보기와 달리 변태를 통한 적응 능력으로 인해 번창하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나비목 유충이 견사(絹絲)를 분비하는 곳은?

  1. 전위
  2. 침샘
  3. 맹장
  4. 알피기씨관
(정답률: 60%)
  • 나비목 유충은 견사를 만들기 위해 침샘에서 분비한 액체를 사용합니다. 견사는 나비의 번데기를 감싸는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번데기는 보호되고 온도와 습도가 조절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침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곤충다리의 기본적인 구조는 몇 마디로 이루어져 있는가?

  1. 3마디
  2. 4마디
  3. 5마디
  4. 6마디
(정답률: 82%)
  • 곤충다리는 기본적으로 5마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각각의 마디가 다리의 역할을 하며, 첫 번째 마디는 곤충의 척추와 연결되어 있고, 다섯 번째 마디에는 발톱이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곤충의 다리는 5마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설명의 A, B에 해당하는 용어는?

  1. A : hormone, B : pheromone
  2. A : pheromone, A : allomone
  3. A : allomone, B : kairomone
  4. A : pheromone, B : kairomone
(정답률: 76%)
  • 이 그림은 생물간 상호작용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인 호르몬과 페로몬, 그리고 카이로몬을 설명하고 있다. 호르몬은 동일 생물체 내에서 발생하고 다른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이며, 이 그림에서는 A에 해당한다. 페로몬은 동일 종 내에서 다른 개체에게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로, 이 그림에서는 A에 해당한다. 카이로몬은 서로 다른 종 간에 상호작용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이 그림에서는 B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A : pheromone, B : kairomon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분류학적 위치로 온실가루이의 목(目)은?

  1. 총채벌레목
  2. 날도래묵
  3. 노린재목
  4. 매미목
(정답률: 41%)
  • 온실가루이는 매미목에 속합니다. 이는 온실가루이가 매미목에 속하는 다른 생물들과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매미목은 주로 땅에 살며, 암컷이 수컷보다 크고 날개가 없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매미목에 속하는 생물들은 주로 녹음을 통해 소리를 내며, 이를 통해 서로 소통하거나 먹이를 찾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으로만 나열된 것은?

  1. 사마귀, 벌
  2. 날도래, 밑들이
  3. 딱정벌레, 매미
  4. 진딧물, 깍지벌레
(정답률: 68%)
  • 진딧물과 깍지벌레는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으로서, 새끼 때는 성인과는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자라며 성장하는 과정에서 여러 번 껍질을 벗고 변태를 거쳐 성체가 된다. 반면에 사마귀, 벌, 날도래, 밑들이, 딱정벌레, 매미는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으로서, 새끼 때와 성체 때의 형태가 완전히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향나무하늘소(측백하늘소)의 월동태는?

  1. 유충
  2. 번데기
  3. 성충
(정답률: 60%)
  • 향나무하늘소(측백하늘소)의 월동태는 성충입니다. 이는 이들이 번데기와 유충 단계를 거쳐 성장하며, 겨울철에는 지하에서 월동하다가 봄에 다시 지상으로 나와 번식활동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성충은 이들의 생애주기에서 가장 성숙한 단계이며, 월동기를 마치고 다시 활동을 시작하는 시기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농약학

41. 살비제(살응애제)가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성충 및 유충에 대한 효과뿐만 아니라 살란효과도 있어야 한다.
  2. 잔효기간이 어느 정도 길어야 하며 저항성 유발이 적어야 한다.
  3. 약제의 침투성이 강하여 살포 후 작물체 전체로 이행되어야 한다.
  4. 응애류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고 천적 및 유용생물에는 안전하여야 한다.
(정답률: 65%)
  • "약제의 침투성이 강하여 살포 후 작물체 전체로 이행되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살비제는 작물체의 표면에 분사되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해충의 입자를 통해 작용하기 때문에 침투성이 강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침투성이 강하면 해충의 입자를 통해 작용하는 특성을 가진 살비제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살균제의 주성분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유기수은제
  2. 토양소독제
  3. 유기주석제
  4. 무기황제
(정답률: 78%)
  • 토양소독제는 살균제의 주성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살균제의 주성분은 유기수은제, 유기주석제, 무기황제 등이 있지만, 토양소독제는 토양 내 병원균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살균제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치료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로 병이 발생한 후에도 충분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1. 보호살균제
  2. 직접살균제
  3. 종자소독제
  4. 토양살균제
(정답률: 73%)
  • 직접살균제는 병이 이미 발생한 후에도 직접적으로 병원균을 죽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치료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로 적합합니다. 다른 약제들은 병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베노밀(benomy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살균제이다.
  2. 황색의 액체이다.
  3. 알칼리 약제와 혼용이 가능하다.
  4. 휘발성이 있어 침투이행성이 낮다.
(정답률: 74%)
  • 베노밀은 살균제이다. 이는 베노밀이 균들을 죽이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베노밀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농작물의 약해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다음 중 농약에 원인이 있는 약해가 아닌 것은?

  1. 불순물 혼합에 의한 약해
  2. 원제 부성분에 의한 약해
  3. 경시변화에 의한 유해성분의 생성에 의한 약해
  4. 동시 사용으로 인한 약해
(정답률: 43%)
  • 농약의 동시 사용으로 인한 약해는 농약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농약의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농작물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농약의 종류, 농약의 농도, 적용 시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농약관리법상 농약의 독성정도에 따른 독성 구분이 아닌 것은?

  1. 급성독성
  2. 저독성
  3. 고독성
  4. 맹독성
(정답률: 81%)
  • 농약관리법상 농약의 독성정도에 따른 독성 구분 중 "급성독성"은 아주 짧은 시간 내에 농작물이나 생물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독성을 말합니다. 즉, 농약을 사용한 직후에 농작물이나 생물에게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비해 "저독성"은 농작물이나 생물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그 정도가 낮은 것을 말하며, "고독성"은 농작물이나 생물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독성을 말합니다. "맹독성"은 매우 강한 독성을 가진 농약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50% DDVP 유제 100mL를 0.01%의 용액으로 하여 살포하려고 한다. 희석에 소요되는 물의 양은? (단, 50% DDVP의 비중은 2.0이다.)

  1. 500L
  2. 1000L
  3. 5000L
  4. 10000L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농약의 제형 중 수화제(WP)의 분말도를 측정할 때 적용하는 메시(Mesh)의 규격은?

  1. 200메시
  2. 250메시
  3. 325메시
  4. 350메시
(정답률: 62%)
  • 수화제(WP)는 분말 형태로 사용되는 농약이며, 이 분말의 입자 크기가 일정한 범위 내에 있어야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메시(Mesh)라는 단위로 입자 크기를 측정하며, 메시 수가 작을수록 입자 크기가 작아지고, 메시 수가 클수록 입자 크기가 커집니다.

    수화제(WP)의 경우, 입자 크기가 너무 작으면 분말이 공중으로부터 쉽게 날아가거나 물에 녹아 사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정한 입자 크기를 유지하기 위해 325메시의 메시 규격을 적용합니다. 이는 입자 크기가 약 44마이크론 정도인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농약의 제형 중 수화제(WP)의 분말도를 측정할 때 적용하는 메시의 규격은 325메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농약의 제제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Surfactant)의 작용으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활착작용
  2. 습윤작용
  3. 분산작용
  4. 세정작용
(정답률: 48%)
  • 농약의 제제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 같은 서로 다른 물질을 섞이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활착작용"은 물과 기름 사이의 경계면을 줄여서 물과 기름이 섞이기 쉽게 만드는 작용을 말합니다. 따라서 농약의 제제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을 섞이게 하여 농약이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농약을 식별하기 위해 라벨의 바탕 색깔을 달리하는데 황색 라벨은 어떤 약제를 의미하는가?

  1. 제초제
  2. 살균제
  3. 살충제
  4. 생장조정제
(정답률: 78%)
  • 황색 라벨은 "제초제"를 의미한다. 이는 농작물 주변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약제이며, 다른 성분들과 구분하기 위해 바탕 색깔이 달라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아미드계 계통의 잡초발생전 토양처리용 제초제로서 잔디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2,4-D
  2. 메트리뷰진
  3. 아이속사벤
  4. 아짐설퓨론
(정답률: 47%)
  • 아미드계 제초제는 잡초의 세포분열을 방해하여 생장을 저해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아이속사벤은 잔디에 대한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잔디밭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2,4-D와 메트리뷰진은 다른 종류의 잡초에 대한 효과가 더 뛰어나기 때문에 잔디밭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아짐설퓨론은 아미드계 제초제가 아니기 때문에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곤충의 먹이가 되는 부분에 약제를 뿌러 줄기나 잎을 갉아먹는 해충으로 하여금 먹이와 함께 소화기에 독성을 흡수시켜 살충력을 나타내는 약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독제
  2. 접촉제
  3. 침투성 살충제
  4. 훈증제
(정답률: 69%)
  • 독제는 곤충의 먹이나 갉아먹는 부분에 뿌려져 함께 섭취됨으로써 독성을 흡수시켜 살충력을 나타내는 약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농약의 작물잔류에 미치는 영향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농약의 이화학적 특성
  2. 작물의 특성
  3. 기상 및 토양환경조건
  4. 농약잔류허용량
(정답률: 57%)
  • 정답은 "농약잔류허용량"입니다. 농약잔류허용량은 국가별로 정해진 농약의 최대 허용량을 말하며, 이를 초과하면 인체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농약잔류허용량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농약의 이화학적 특성, 작물의 특성, 기상 및 토양환경조건은 농약잔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이 중에서도 농약잔류허용량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유기인계 살충제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물의 체내에서 분해가 느리다.
  2. 알칼리에는 용이하게 분해된다.
  3. 광선에 의한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다.
  4. 인측에 대한 독성이 약하다.
(정답률: 72%)
  • 유기인계 살충제는 동물의 체내에서 분해가 느리고, 인체에 대한 독성이 약하지만, 알칼리에는 용이하게 분해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유기인계 살충제는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며,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보조제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물에 피해가 없어야 한다.
  2. 주제를 변질시키지 않아야 한다.
  3. 주제나 용제와 친화성이 있어야 한다.
  4. 경수에는 사용할 수 없어야 한다.
(정답률: 87%)
  • 보조제는 작물에 피해가 없어야 하며, 주제를 변질시키지 않아야 하며, 주제나 용제와 친화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경수에는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경수는 보조제를 희석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보조제의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수에는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분제(粉劑)의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품조성의 대부분을 증량제가 차지하고 있으므로 품질은 증량제의 이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받는다.
  2. 물리성 개량제로서 PAP가 사용되며 분해방지제로서 유기산 등이 사용된다.
  3. 물리성으로 중요한 것은 분말도, 토분성 및 분산성 이다.
  4. 주성분이 액상인 경우 Bentonite나 모래 등에 주제를 흡착시켜 제조한다.
(정답률: 52%)
  • 주성분이 액상인 경우 Bentonite나 모래 등에 주제를 흡착시켜 제조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제초제의 살초작용인 이행형 제초제의 접촉형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접촉형 제초제는 생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그 부분을 파괴하여 살초효과를 나타낸다.
  2. 접촉형 제초제는 작용이 속효적으로 나타난다.
  3. 이행형 제초제는 수분이나 양분과 함께 약제가 식물체내로 들어간다.
  4. 이행형 제초제는 식물체에 처리한 제초제가 뿌리로부터 위쪽으로만 이동한다.
(정답률: 81%)
  • 정답은 "이행형 제초제는 식물체에 처리한 제초제가 뿌리로부터 위쪽으로만 이동한다."이다.

    이행형 제초제는 식물체에 처리한 제초제가 뿌리로부터 상하층으로 이동하여 전신에 작용하는 반면, 접촉형 제초제는 생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그 부분을 파괴하여 살초효과를 나타낸다. 이행형 제초제는 수분이나 양분과 함께 약제가 식물체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작용이 느리게 나타날 수 있으며, 접촉형 제초제는 작용이 속효적으로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과실의 숙기를 촉진시키는데 사용되는 에틸렌계의 약제는?

  1. 에테폰(ethephon)
  2. 지베렐린(gibberellic acid)
  3. 아이비에이(IBA)
  4. 도마도톤(4-CPA)
(정답률: 80%)
  • 에테폰은 에틸렌을 방출시켜 과실의 숙기를 촉진시키는 약제이다. 따라서 과일의 숙기를 빠르게 유도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토양소독용 전문약제로서 연작장해를 막아주며 건전한 토양을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는 살충 살균제는?

  1. 디클로르보스
  2. 펜토에이트
  3. 페이트로진
  4. 메탐소듐
(정답률: 53%)
  • 메탐소듐은 살충 살균제로서 연작장해를 막아주며, 토양소독용 전문약제로 사용됩니다. 이 약제는 토양 내 유기물 분해를 억제하여 건전한 토양을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디클로르보스, 펜토에이트, 페이트로진은 모두 살충제이지만, 토양소독용 전문약제로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농약 살포법 중 분무법(spray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무기는 별도의 공기를 주입하지 않고 약액에 직접압력을 가하여 미세한 출구로 분사하는 구조이다.
  2. 살포 액적의 입경은 보통 0.1~0.2mm 범위이다.
  3. 일반적인 희석용 제형으로부터 조제한 살포액의 다량살포에 적합하다.
  4. 과수전용으로 사용되는 고속살포기(speed sprayer)가 대표적이다.
(정답률: 5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잡초방제학

61. 벼 농사에서 잡초의 피해가 가장 많은 재배양식은?

  1. 손이앙재배
  2. 건답직파재배
  3. 기계이앙재배
  4. 담수직파재배
(정답률: 82%)
  • 건답직파재배는 벼 농사에서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물을 사용하지 않고 건조한 상태에서 바로 파종하는 방식으로, 토양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잡초와 경쟁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잡초의 피해가 가장 적은 재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우리나라 맥류포장에서 문제되는 화본과 잡초는?

  1. 냉이
  2. 뚝새풀
  3. 별꽃
  4. 벼룩나물
(정답률: 70%)
  • 우리나라 맥류포장에서 문제되는 화본과 잡초는 뚝새풀입니다. 이는 다른 잡초들과 달리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서 제거하기 어렵고, 뿌리가 남아있으면 다시 자라기 때문입니다. 또한 뚝새풀은 빠른 생장력으로 다른 식물들을 압도해 생태계를 파괴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제초제의 유효성분이란?

  1. 제초제 중 중량제의 량
  2. 제초제 중 계면 활성제의 량
  3. 제초제 중 간접적으로 제초효과를 발휘하는 성분
  4. 제초제 중 직접적으로 제초효과를 발휘하는 성분
(정답률: 85%)
  • 제초제의 유효성분은 직접적으로 제초효과를 발휘하는 성분이다. 이는 제초제의 주요 목적인 잡초 제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중량제나 계면 활성제는 제초효과와 관련이 있지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성분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논에 오리를 방사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은?

  1. 경종적 방제법
  2. 생물적 방제법
  3. 화학적 방제법
  4. 기계적 방제법
(정답률: 90%)
  • 생물적 방제법은 자연적인 방법으로 해충을 제어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오리와 같은 동물을 이용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것으로, 오리는 잡초를 먹으면서 동시에 그 위에 서식하는 해충을 먹어 제거합니다. 이 방법은 환경 친화적이며, 화학적 방제법과 달리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우리나라 잡초 분포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생태적으로 북방형 잡초의 분포가 크다.
  2. 겨울작물보다는 여름작물에 대한 잡초경향 문제가 상대적으로 크다.
  3. 논의 잡초 발생 최성기는 5월 중순부터 6월 초순으로 볼 수 있다.
  4. 여름작물 포장에는 뚝새풀과 벼룩나물이 우점종이다.
(정답률: 70%)
  • 겨울작물은 겨울철에 잡초가 잘 자라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여름작물에 비해 잡초 경향 문제가 작습니다. 따라서 "겨울작물보다는 여름작물에 대한 잡초경향 문제가 상대적으로 크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제초제가 구비하여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값이 싸야 한다.
  2. 효능이 좋아야 한다.
  3. 안정성이 높아야 한다.
  4. 토양 중에 잔류기간이 길어야 한다.
(정답률: 89%)
  • 제초제가 토양 중에 잔류기간이 길어야 하는 이유는, 작물이 자라는 동안 제초제가 토양에서 사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불순물이나 잡초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양 중에 잔류기간이 짧으면 효과가 빨리 사라지게 되어 작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제초제가 구비하여야 할 조건 중에서 "토양 중에 잔류기간이 길어야 한다."는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병해충문제와 비교하여 잡초문제의 특성을 잘못 기술한 것은?

  1. 잡초는 박멸하여야 한다.
  2. 잡초문제는 정체적으로 일어난다.
  3. 허용한계수준으로 피해를 판단한다.
  4. 문제의 진정성이 완만하다.
(정답률: 84%)
  • 정답: "잡초는 박멸하여야 한다."

    이유: 잡초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식물이며, 모든 잡초가 해로운 것은 아닙니다. 일부 잡초는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농작물 생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잡초를 모두 박멸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생태계에도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대신, 허용한계수준으로 잡초의 피해를 판단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잡초의 번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년생 잡초는 자가수정에 의해서만 번식한다.
  2. 돌피, 바랭이, 냉이는 유성번식을 한다.
  3. 영양번식은 포복경, 지하경, 인경, 구경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4. 다년생 잡초는 주로 영양번식과 유성번식을 겸한다.
(정답률: 73%)
  • "일년생 잡초는 자가수정에 의해서만 번식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년생 잡초는 자가수정뿐만 아니라 유성번식과 영양번식도 이용하여 번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식물의 여러 기관에서 특정물질이 분비되거나 또는 유출 되어 주변식물의 발아나 생육을 억제하는 작용은?

  1. 상호대립억제작용
  2. 상가작용
  3. 상승작용
  4. 상대지속억제작용
(정답률: 87%)
  • "상호대립억제작용"은 두 가지 물질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억제하는 작용을 말합니다. 이 경우에는 식물의 여러 기관에서 분비되는 특정물질이 주변식물의 발아나 생육을 억제하는데, 이 물질과 상호작용하는 다른 물질이 존재하여 상호대립억제작용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즉, 두 물질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억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호대립억제작용"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잡초를 생활사(수명)면에서 본 분류 중 옳지 않은 것은?

  1. 1년생
  2. 월년생
  3. 다년생
  4. 3년생
(정답률: 84%)
  • 잡초를 생활사면에서 분류할 때, "1년생"은 한 해 동안 자라고 죽는 잡초를 의미하며, "월년생"은 여러 해 동안 자라는 잡초를 의미합니다. "다년생"은 여러 해 동안 자라지만 겨울철에 지상부가 죽는 잡초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3년생"은 잡초의 생활사 분류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용어이며, 옳지 않은 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논에서 사초과인 올방개를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후기 경엽처리 제초제는?

  1. 론스타(oxadiazon)
  2. 밧사그란(bentazone)
  3. 그라목슨(paraquat)
  4. 라쏘(alachlor)
(정답률: 64%)
  • 밧사그란은 올방개를 방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후기 경엽처리 제초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밧사그란이 올방개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밧사그란은 올방개 방제에 효과적인 제초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못자리용 제초제 Bentazon의 작용성과 사용방법이 맞지 않은 것은?

  1. 경엽처리용 벼 생육 중기용 제초제이다.
  2. 화본과 잡초를 살초한다.
  3. 너도방동사니의 살초효과가 뚜렷하다.
  4. 올방개 등과 같은 방동사니과 잡초의 살초효과가 뚜렷하다.
(정답률: 58%)
  • Bentazon은 경엽처리용 벼 생육 중기용 제초제이며, 화본과 잡초를 살초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너도방동사니와 같은 방동사니과 잡초의 살초효과는 뚜렷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너도방동사니의 살초효과가 뚜렷하다."라는 문장이 맞지 않습니다.
  • 못자리용 제초제 bentazon 의 작용성과 사용법
    경엽처리용 벼 생육 중기용 제초제
    화본과 잡초를 살초. (X)
    Bentazon(벤타존, 밧사그린)은 경엽처리용 제초제로 광엽잡초에 적용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등과 같은 방동사니과 잡초의 살초효과가 뚜렷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문제잡초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광합성 효율이 높고 생장이 빠르다.
  2. 종자 또는 영양번식을 하여 생식력이 높다.
  3. 불량한 환경조건에 잘 적응한다.
  4. 종자의 휴면성이 크지 않다.
(정답률: 83%)
  • 문제잡초는 생존력이 강하고 불량한 환경조건에도 잘 적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광합성 효율이 높고 생장이 빠르기 때문에 빠르게 번식하고 번식력이 높습니다. 하지만 종자의 휴면성이 크지 않다는 것은 씨앗이 오랫동안 휴면 상태에 머무르지 않고 빠르게 발아하여 생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작물의 경합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작물을 직파재배 하는 것이 좋다.
  2. 연작하여 잡초의 생육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경운 후 작물 종자를 줄뿌림(조파)하여 생육시킨다.
  4. 주어진 토양, 수분 및 기후조건에 적응력이 큰 작목이나 품종을 선택한다.
(정답률: 80%)
  • 주어진 토양, 수분 및 기후조건에 적응력이 큰 작목이나 품종을 선택하는 것은 그 작물이 해당 환경에서 더 잘 자라고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경합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작물의 생육을 개선하는 방법이지만, 경쟁 상황에서 다른 작물들과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작물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것은?

  1. 작물의 품종
  2. 재식밀도
  3. 시비방법
  4. 병해충 방제
(정답률: 62%)
  • 작물과 잡초의 경합은 작물의 품종, 재식밀도, 시비방법 등에 따라 영향을 받지만,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병해충 방제입니다. 작물이 병해충에 감염되면 생육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수확량도 감소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물의 생육을 유지하고 수확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병해충 방제가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름과 같이 작물과 잡초가 경합하고 있을 때 작물 수량손실이 가장 높은 경우는?

  1. C3 작물과 C3 잡초
  2. C4 작물과 C3 잡초
  3. C4 작물과 C4 잡초
  4. C3 작물과 C4 잡초
(정답률: 86%)
  • C3 작물과 C4 잡초는 광합성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경쟁하지 않고 자원을 공유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C4 잡초는 C3 작물과 경쟁하지 않고 자원을 더 많이 사용하여 C3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C3 작물과 C4 잡초가 경쟁하는 경우 작물 수량손실이 가장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실제 포장에서 경합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작물과 잡초의 조합은?

  1. 벼와 명아주
  2. 보리와 바랭이
  3. 옥수수와 별꽃
  4. 콩과 돌피
(정답률: 57%)
  • 콩은 빠른 생장력과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어 경쟁력이 높은 작물 중 하나입니다. 또한 콩은 뿌리가 얕아서 토양의 영양분을 잘 이용하지 못하고, 잡초와 경쟁하는 능력이 약하기 때문에 잡초와의 경쟁에서는 약합니다. 그러나 돌피는 뿌리가 깊고 강력하며, 토양의 영양분을 잘 이용하고, 빠른 생장력을 가지고 있어 콩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합니다. 따라서 콩과 돌피는 경쟁력이 높은 작물과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잡초의 조합으로, 포장에서 경쟁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조합 중 하나입니다.
  • 콩은 C3 작물, 돌피는 C4 잡초로 경합이 가장 크게 일어나 피해가 가장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종자는 최종적으로 조사(照射)되는 광질에 의하여 발아유기가 다른데 적색광(660nm)과 적외선광(730nm)을 교체하여 조사(照射)하였을 때 발아가 유기 되지 않는 것은?

  1. 적색광 조사 → 적외선광 조사
  2. 적외선광 조사 → 적색광 조사
  3. 적색광 조사 → 적외선광 조사 → 적색광 조사
  4. 적외선광 조사 → 적외선광 조사 → 적색광 조사
(정답률: 55%)
  • 종자의 발아유기는 광합성에 의해 일어나는데, 적색광은 광합성의 주요 파장대 중 하나이며, 적외선광은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파장대이다. 따라서, 적색광으로 조사하면 광합성이 일어나고 발아가 유기되지만, 적외선광으로 조사하면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아 발아가 유기되지 않는다. 따라서, "적색광 조사 → 적외선광 조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논에 발생하는 영양번식 다년생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1. 올미, 물달개비, 올방개, 가래
  2. 강피, 가래, 올방개, 너도방동사니
  3. 올미, 가래, 올방개, 알방동사니
  4. 올미, 가래, 올방개, 너도방동사니
(정답률: 62%)
  • 영양번식 다년생잡초는 일반적으로 생장속도가 빠르고 생존력이 강한 종들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올미, 가래, 올방개, 너도방동사니가 정답인 이유는 이들이 모두 영양번식 다년생잡초에 속하는 종들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재배방법에 의한 식물경합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표면을 먼저 점유한 식물은 후에 발생한 식물보다 경합에 불리하다.
  2. 이앙재배는 직파재배보다 잡초에 대한 경합력이 강하다.
  3. 작물의 정상적인 재식밀도보다 약간 밀식하는 것이 잡초에 대한 경합력이 낮다.
  4. 작물의 재식밀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잡초에 대한 작물의 경합력이 낮아진다.
(정답률: 80%)
  • 이앙재배는 지표면을 덮어서 잡초가 자라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직파재배보다 잡초에 대한 경합력이 강하다. 즉, 이앙재배는 작물과 잡초가 경쟁하는 환경에서 작물이 이길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앙재배는 작물의 생육을 개선하고 수확량을 높일 수 있는 재배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