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9-20)

식물보호산업기사
(2014-09-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식물병원의 종류 중 비세포성 병원은?

  1. 파이토플라스마
  2. 진균류
  3. 선충
  4. 바이로이드
(정답률: 69%)
  • 비세포성 병원은 세포가 없는 병원으로,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를 말합니다. 따라서 "바이로이드"가 정답입니다. 파이토플라스마, 진균류, 선충은 모두 세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세포성 병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식물병의 진단방법 중 면역학적 진단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응집과 침강 반응
  2. 면역확산법
  3. ELISA법
  4. 현미경관찰법
(정답률: 84%)
  • 면역학적 진단방법은 응집과 침강 반응, 면역확산법, ELISA법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현미경관찰법은 면역학적 진단방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현미경관찰법은 병원체나 병상조직을 직접적으로 관찰하여 진단하는 방법으로, 면역학적인 원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병원균의 중간기주가 향나무인 병은?

  1. 잣나무 털녹병
  2. 밀 줄기녹병
  3. 소나무 혹병
  4.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
(정답률: 75%)
  • 병원균의 중간기주가 향나무인 병은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이다. 이는 사과나무의 잎과 열매에 발생하는 질병으로, 병원균이 잎과 열매에 침입하여 발생한다. 이 병은 붉은색의 무늬가 잎과 열매에 생기는 특징이 있으며, 향나무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병원균의 기관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버섯
  2. 흡기
  3. 균핵
  4. 후벽포자
(정답률: 73%)
  • 이 그림은 병원균의 기관 중 "흡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흡기는 병원균이 호스트 세포에 붙어들어가기 위해 사용하는 기관으로, 호스트 세포의 표면에 달라붙은 후 세포막을 뚫고 들어가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벼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 병은?

  1. 도열병
  2. 녹병
  3. 잎집무늬마름병
  4. 오갈병
(정답률: 94%)
  • 녹병은 벼에서 일어나는 가장 흔한 병으로, 벼의 잎이 녹색으로 변하고 죽는 증상을 보입니다. 하지만 이 병은 벼의 수확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 병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병원체 중 크기가 가장 작은 것은?

  1. 파이토플라스마
  2. 재선충
  3. 곰팡이
  4. 겨우살이
(정답률: 93%)
  • 정답은 "파이토플라스마"입니다. 이는 세균과 비슷한 원생 동물로, 크기가 매우 작아서 미세하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파이토플라스마는 대부분의 세포보다 작으며, 일부 종류는 0.2 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다른 병원체들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식물병원 곰팡이(fungi)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균사를 갖는다.
  2. 포자를 갖는다.
  3. 핵을 갖는다.
  4. 엽록소를 갖는다.
(정답률: 90%)
  • 식물병원 곰팡이는 엽록소를 갖지 않습니다. 곰팡이는 균사와 포자를 갖고 있으며, 일부 종류는 핵을 갖기도 합니다. 하지만 엽록소를 갖지 않기 때문에 식물에게서 영양을 빼앗아서 병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질소비료를 과용하면 여러 가지 병의 발생을 촉진한다. 질소비료 과용이 발병에 미치는 역할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병원(病原)
  2. 원인(原因)
  3. 주인(主因)
  4. 유인(誘因)
(정답률: 79%)
  • 질소비료 과용은 병원(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아니라, 병의 발생을 유발하는 유인(원인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즉, 질소비료 과용은 병의 발생을 촉진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곰팡이에 의해서 발생한 병의 표징이 아닌 것은?

  1. 포자퇴
  2. 유주자낭
  3. 균핵
  4. 뿌리털
(정답률: 86%)
  • 뿌리털은 곰팡이에 의해서 발생한 병의 표징이 아닙니다. 뿌리털은 식물의 뿌리에 있는 모세형식의 구조물로,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곰팡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포자퇴는 곰팡이의 생식세포인 포자가 식물의 조직 내에서 발생하여 식물을 부패시키는 병이고, 유주자낭은 곰팡이의 생식세포인 유주자낭이 식물의 조직 내에서 발생하여 식물을 감염시키는 병입니다. 균핵은 곰팡이의 세포핵 중 하나로, 곰팡이의 생식과 진화에 관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이종기생균으로 옳은 것은?

  1. 고추 탄저병균
  2. 잣나무 털녹병균
  3. 아스파라거스 녹병균
  4. 사과나무 불마름병균
(정답률: 85%)
  • 잣나무 털녹병균은 이종기생균으로, 미생물의 종류가 다양하게 섞여서 구성되어 있는 균주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종기생균이라는 용어가 잣나무 털녹병균에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특정한 종류의 미생물을 가리키는 균주명이므로 이종기생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판별품종은 어디에 이용되는가?

  1. 농작물 수량의 기준 판별에 이용된다.
  2. 지역적응성 여부의 측정에 이용된다.
  3. 병원균의 레이스 판별에 이용된다.
  4. 이들 모두가 해당된다.
(정답률: 93%)
  • 판별품종은 병원균의 레이스 판별에 이용된다. 이는 작물의 병해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각 레이스는 특정 작물에 대해 특정한 병원균을 유발하며, 이를 판별하여 적절한 예방 및 치료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화학적 방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효과가 좋아도 연용할 경우 저항성을 갖게 된다.
  2. 작물보호제는 대상 병균과 적정한 작물이 한정되어 있어, 이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효과가 낮다.
  3.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효과가 비교적 정확하고 신속하다.
  4. 살포량과 농도를 늘릴 경우 특히 효과가 크다.
(정답률: 88%)
  • "살포량과 농도를 늘릴 경우 특히 효과가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살포량과 농도가 높을수록 작물에 더 많은 양의 화학물질이 침투하여 병원균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도한 사용은 작물에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적정한 양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불완전균류란?

  1. 균사의 형성이 불완전한 균류
  2. 무성세대가 밝혀지지 않은 균류
  3. 유성세대가 밝혀지지 않은 균류
  4. 기주범위가 밝혀지지 않은 균류
(정답률: 78%)
  • 불완전균류란 균사의 형성이 불완전하여 유성세대가 밝혀지지 않은 균류를 말합니다. 즉, 균사가 완전하지 않아 유성세대가 발견되지 않은 균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육안으로 진단이 가장 용이한 식물병은?

  1. 뿌리썩음병
  2. 줄기마름병
  3. 흰가루병
  4. 점무늬병
(정답률: 92%)
  • 흰가루병은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흰 가루 모양의 곰팡이가 생기는 질병으로,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세 가지 병은 식물의 뿌리나 줄기에 생기는 질병으로, 진단이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점무늬병은 병이 생긴 부위가 작아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비전염성 식물병이 아닌 것은?

  1. 토양의 과습
  2. 통기성 불량
  3. 파이토플라스마
  4. 양분의 불균형
(정답률: 83%)
  • 비전염성 식물병은 토양의 과습, 통기성 불량, 양분의 불균형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식물병을 말합니다. 하지만 파이토플라스마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체로 인해 발생하는 식물병이므로 비전염성 식물병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토양전염성 병해의 생물적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세균이 아닌 것은?

  1. Agrobacterium radiobacter K84
  2. Bacillus subtilis
  3. Erwinia carotovora
  4. Pseudomonas fluorescens
(정답률: 65%)
  • Erwinia carotovora는 토양전염성 병해를 유발하는 세균으로, 생물적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세균이 아닙니다. 반면, Agrobacterium radiobacter K84, Bacillus subtilis, Pseudomonas fluorescens는 토양전염성 병해를 억제하는 세균으로, 생물적 방제를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잿빛곰팡이병, 흰가루병 그리고 녹병의 전염방법은?

  1. 공기전염
  2. 충매전염
  3. 토양전염
  4. 수매전염
(정답률: 75%)
  • 잿빛곰팡이병, 흰가루병 그리고 녹병은 모두 공기전염으로 전파됩니다. 이는 각각의 질병을 일으키는 균사가 바람에 의해 분산되어 다른 식물에 감염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염된 식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바람이 강한 날에는 식물을 보호하는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대추나무 빗자루병의 치료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옥시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수간주사한다.
  2. 침투성 살균제를 수간주사한다.
  3. 농용마이신을 엽면 처리한다.
  4. 피해지에 봉지를 씌워 병균의 전파를 방지한다.
(정답률: 92%)
  •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박테리아에 의한 질병이므로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한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는 박테리아에 효과적인 항생제 중 하나이며, 수간주사를 통해 직접 병소 부위에 치료제를 주입하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옥시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를 수간주사한다."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표징이 나타나는 병은?

  1. 포도 흰가루병
  2. 감자 빗자루병
  3. 과꽃 누른오갈병
  4. 감자 바이러스병
(정답률: 87%)
  • 포도 흰가루병은 포도 잎에 흰색 가루 모양의 표징이 나타나는 병이다. 이는 곰팡이균에 의해 발생하며, 잎이나 열매에 침입하여 열매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수확량을 감소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대기오염물질 중 PA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동차 배기가스에 섞여 배출된다.
  2. 주로 뿌리를 통해 흡수된다.
  3. 잎의 색을 은색으로 탈색시킨다.
  4. 페튜니아 등 화훼식물에만 피해를 입힌다.
(정답률: 81%)
  • PAN은 자동차 배기가스와 같은 대기오염물질에 섞여 배출되며, 잎의 색을 은색으로 탈색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화훼식물뿐만 아니라 나무와 같은 식물들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광합성과 호흡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 ① Peroxy Acetryl Nitrite의 약자로 대기중의 NOx와 탄화 수소로부터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 된다.
    ② PAN은 2차성 오염 물질이다.
    ③ PAN은 NO와 Olefin의 반응 물질이다.
    ④ PAN은 산화 작용이 있다.

    2처 오염물질
    - 증상 : 유리화, 은백색, 광택화
    - 피해성숙도 : 어린 잎에 가장 민감
    - 피해 부분 : 해면 연조직
    - 잎의 밑부분이 은색 내지 청동색이 되고 점차 퍼져 윗 잎부분에 흑반병을 발생시키며 대표적 지표식물은 강낭콩, 시금치 등이고 강한식물은 사과, 옥수수, 무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불완전변태를 하는 해충은?

  1. 나방류
  2. 갑충류
  3. 파리류
  4. 진딧물류
(정답률: 84%)
  • 진딧물류는 불완전변태를 하는 해충입니다. 이는 진딧물류가 애벌레나 유충 등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성체로 발달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나방류, 갑충류, 파리류는 모두 완전변태를 하는 해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곤충의 체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체벽은 표피층, 표피세포층, 기저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체벽을 통한 가스교환도 가능 하지만 전체호흡량에 비해 양은 무척 작다.
  3. 체벽이 탈피될 때는 전체의 1/3정도만 허물로 벗고 나머지는 소화 흡수되어 재활용된다.
  4. 곤충의 체벽은 배자발육 단계에서 내배엽에서 분화되었다.
(정답률: 63%)
  • 정답은 "곤충의 체벽은 배자발육 단계에서 내배엽에서 분화되었다." 이다. 이유는 곤충의 체벽은 내피층, 중피층, 외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배아 발달 초기에 내피층에서 분화되어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일반적으로 곤충의 가운데 가슴마디에 있는 기문(spiracle) 수는?

  1. 1쌍
  2. 2쌍
  3. 8쌍
  4. 10쌍
(정답률: 58%)
  • 일반적으로 곤충은 가운데 가슴마디에 기문 1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곤충의 호흡을 돕는 역할을 하며, 공기를 몸 안으로 흡입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곤충의 기문 수는 일반적으로 1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곤충 암컷의 생식기관이 아닌 것은?

  1. 알집(卵巢)
  2. 수란관(輸卵管)
  3. 수정낭(受精囊)
  4. 수정관(輸精管)
(정답률: 69%)
  • 암컷은 수정관(輸精管)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수정관은 수컷의 생식기관 중 하나로, 정자를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암컷은 수란관(輸卵管)을 가지고 있어서, 수컷의 정자와 결합하여 새로운 생명을 태어나게 합니다. 알집(卵巢)은 암컷의 난소에 있는 구조물로, 알을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정낭(受精囊)은 수컷의 생식기관 중 하나로, 정자와 암컷의 알이 결합하여 수정을 생성하는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배를 가해하는 가루깍지벌레의 입 모양은?

  1. 씹는 입
  2. 핥는 입
  3. 찔러빠는 입
  4. 물어찢어빠는 입
(정답률: 72%)
  • 가루깍지벌레는 식물의 잎을 먹기 위해 잎의 표면을 찔러빠는 입으로 먹이를 빨아먹습니다. 따라서 "찔러빠는 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벼 줄무늬잎마름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1. 애멸구
  2. 벼멸구
  3. 번개매미충
  4. 끝동매미충
(정답률: 84%)
  • 애멸구는 벼 줄무늬잎마름병을 매개하는 벼병해충 중 하나입니다. 애멸구는 벼의 잎을 먹고 그 속에서 병원균을 전파하여 벼의 잎이 마르게 만듭니다. 따라서 애멸구는 벼 재배에 있어서 중요한 해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곤충의 앞날개가 붙어있는 부위는?

  1. 앞가슴
  2. 가운데가슴
  3. 뒷가슴
  4. 가슴등판
(정답률: 80%)
  • 곤충의 몸은 세 가지 부위로 나뉘는데, 그 중에서도 앞부분에 위치한 부위를 "머리와 가슴"이라고 부릅니다. 이 부위에는 머리와 가슴이 합쳐져 있으며, 앞날개가 붙어있는 부분이 바로 "가운데가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운데가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곤충 더듬이의 팔굽마디에 있는 존스턴기관(johnston’s organ)이 담당하는 기능은?

  1. 냄새를 맡는다.
  2. 성호르몬을 발산한다.
  3. 소리를 감지한다.
  4. 온도를 감지한다.
(정답률: 82%)
  • 곤충 더듬이의 팔굽마디에 있는 존스턴기관은 공기의 진동을 감지하여 소리를 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곤충은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인식하고, 이를 이용하여 먹이를 찾거나 위험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 못하는 해충은?

  1. 벼멸구
  2. 끝동매미충
  3. 애멸구
  4. 번개매미충
(정답률: 86%)
  • 벼멸구는 남쪽 지방에서만 서식하며, 겨울철에도 생존할 수 있는 해충입니다. 따라서 월동하지 못하는 해충은 아닙니다. 반면, 끝동매미충, 애멸구, 번개매미충은 모두 겨울철에는 월동하거나 죽는 해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해충의 발생예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발생예찰에는 발생시기의 예찰, 발생량의 예찰, 피해량의 예찰, 방제여부의 예찰 등이 있다.
  2. 화학적 방제를 위해서는 발생예찰이 필요하지 않고 농민이 편리한 시기에 약제를 살포하기만 하면 된다.
  3. 발생예찰을 위한 조사로는 정점조사와 순회조사가 있다.
  4. 물을 담은 수반에 날아들어오는 해충을 조사하는 방법을 수반조사법이라고 한다.
(정답률: 94%)
  • "화학적 방제를 위해서는 발생예찰이 필요하지 않고 농민이 편리한 시기에 약제를 살포하기만 하면 된다."가 틀린 것이다. 발생예찰은 해당 해충의 발생시기와 발생량 등을 조사하여 적절한 방제 시기와 방제제를 선택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화학적 방제를 위해서도 발생예찰이 필요하며, 농민이 편리한 시기에 약제를 살포하기 전에 발생예찰을 통해 적절한 방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곤충에서 실제로 조직세포와 가스를 교환하는 곳은?

  1. 기문(氣門)
  2. 기관간(氣管幹)
  3. 기관지(氣管支)
  4. 기관소지(氣管小枝)
(정답률: 65%)
  • 기관소지는 곤충의 기관지의 끝단에 위치한 가스교환 담당 부위로, 기관소지를 통해 공기가 조직세포와 가스교환이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벼멸구 방제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1. 내충성 품종을 심는다.
  2. 약제로는 뷰프로페진·에토펜프록스 수화제가 있다.
  3. 질소질 비료를 많이 준다.
  4. 천적으로는 신총채벌, 논거미 등이 있다.
(정답률: 91%)
  •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는 것은 벼멸구 방제에 부적당한 것이다. 이는 벼멸구가 질소를 많이 섭취하여 번식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면 벼멸구의 번식을 더욱 촉진시키게 되어 방제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벼의 잎을 엽초만 남기고 마구 먹으며, 다 먹은 다음에는 다른 논으로 이동하는 해충은?

  1. 멸강나방
  2. 벼밤나방
  3. 벼잎말이나방
  4. 혹명나방
(정답률: 80%)
  • 벼의 잎을 엽초만 남기고 마구 먹으며, 다 먹은 다음에는 다른 논으로 이동하는 해충은 "멸강나방"입니다. 멸강나방은 벼를 포함한 여러 작물을 먹고 다니며, 이동성이 높아서 다른 논으로 이동하기도 합니다. 벼밤나방은 벼의 껍질을 먹고, 벼잎말이나방은 벼의 잎을 먹습니다. 혹명나방은 다른 작물을 먹기도 하지만, 벼를 먹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최근 우리나라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중요한 산림해충은 대부분 외국에서 침입한 종들이다. 다음의 해충 중 침입해충이 아닌 종은?

  1. 소나무재선충
  2. 알락하늘소
  3. 미국흰불나방
  4. 밤나무혹벌
(정답률: 69%)
  • 알락하늘소는 우리나라 원산종으로, 침입해충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외국에서 유래한 침입해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가해하는 부위가 나머지 셋과 다른 해충은?

  1. 포도유리나방
  2. 박쥐나방
  3. 복숭아명나방
  4. 측백하늘소
(정답률: 63%)
  • 복숭아명나방은 다리가 길어서 다른 세 개의 나방과는 다르게 복숭아의 열매 안으로 침입하여 해충으로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솔잎혹파리 방제를 위한 침투성 약제 수간주입(수간주사) 방법은 이 해충의 어느 충태를 방제하는 방법인가?

  1. 부화유충
  2. 노숙유충
  3. 성충
(정답률: 71%)
  • 솔잎혹파리 방제를 위한 침투성 약제 수간주입 방법은 부화유충을 방제하는 방법이다. 이는 부화유충이 솔잎표면에 침투하여 솔잎을 먹이로 삼기 때문에, 약제를 솔잎표면에 침투시켜 부화유충을 죽이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알이나 노숙유충, 성충은 솔잎표면에 침투하지 않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 방제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고추의 열매를 뚫고 들어가 열매 속에서 식해하는 해충은?

  1. 숯검은밤나방
  2. 거세미나방
  3. 검거세미밤나방
  4. 담배나방
(정답률: 75%)
  • 고추의 열매를 뚫고 들어가는 해충은 "열매벌레"이다. 이 중에서도 열매 내부에서 식해하는 해충은 "열매나방"으로, 이 중에서도 특히 담배 잎에서 발견되는 것이 "담배나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해충을 유아등에 모이게 하여 죽이는 등화유살은 곤충의 어떤 성질을 이용한 것인가?

  1. 주광성
  2. 주화성
  3. 주풍성
  4. 주열성
(정답률: 91%)
  • 해충은 빛에 매우 민감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밤에 빛을 따라다니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아등과 같은 빛을 발하는 물체에 모이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죽이는 등화유살은 "주광성"을 이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월동 중에 알덩어리를 손쉽게 발견하여 제거할 수 있는 해충으로만 나열된 것은?

  1. 매미나방, 어스렝이나방
  2. 어스렝이나방, 솔나방
  3. 솔나방, 미국흰불나방
  4. 미국흰불나방, 매미나방
(정답률: 55%)
  • 월동 중에 알덩어리를 손쉽게 발견하여 제거할 수 있는 해충은 알덩어리를 먹이로 삼는 해충이기 때문입니다. 매미나방과 어스렝이나방은 둘 다 알덩어리를 먹이로 삼기 때문에 월동 중에 알덩어리를 제거하기에 적합한 해충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알덩어리를 먹이로 삼지 않거나 다른 먹이를 선호하기 때문에 월동 중에 알덩어리를 제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솔잎혹파리 분류학상 ( A )에 속하며 학명은 ( B )이다. A와 B에 들어갈 적당한 것은?

  1. A – 노린재목 초파리과, B –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lnouye
  2. A – 파리목 초파리과, B – 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
  3. A – 벌목 혹파리과, B – 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
  4. A – 파리목 혹파리과, B –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lnouye
(정답률: 82%)
  • 솔잎혹파리는 솔나무 잎에 서식하는 작은 파리로, 파리목 혹파리과에 속한다. 이 중에서도 일본에서 발견된 솔잎혹파리의 학명은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lnouye이다. 따라서 정답은 "A – 파리목 혹파리과, B –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lnouy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농약학

41. 농약 신규제형의 일반적인 특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인축 및 환경에 안전하다.
  2. 약해가 경감된다.
  3. 가격이 저렴하다.
  4. 폭발 위험성이 매우 낮다.
(정답률: 73%)
  • 농약 신규제형의 일반적인 특징은 "가격이 저렴하다."라고 볼 수 없습니다. 이는 농약 제조 및 개발에 사용되는 기술과 원료 등의 비용, 규제 및 인증 등의 요소에 따라 다양한 가격대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농약 살포액의 조제시 고려사항 중 가장 중요한 것은?

  1. 농약독성
  2. 농약잔류성
  3. 희석배수
  4. 환경독성
(정답률: 69%)
  • 농약 살포액의 조제시에는 농약독성과 농약잔류성, 환경독성 등 여러 가지 고려사항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희석배수입니다. 이는 농약을 적정한 농도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을 말하며, 적절한 희석배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농약의 효과가 떨어지거나 과다한 농약이 사용되어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기인제 농약의 중독 증상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농약은?

  1. 항생제 농약
  2. 유기염소제 농약
  3. 유기비소제 농약
  4. 카바메이트제 농약
(정답률: 74%)
  • 카바메이트제 농약은 중추신경계를 영향을 주어 중독 증상을 보이는 농약으로, 유기인제 농약과 비슷한 증상을 보입니다. 이는 카바메이트제 농약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하여 중추신경계에 과도한 자극을 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국내 해충 중 알→약충→성충의 생활사를 갖는 불완전 변태로서 작물에 주로 흡즙 피해를 유발하는 것은?

  1. 벼멸구
  2. 혹명나방
  3. 이화명나방
  4. 굴파리
(정답률: 64%)
  • 정답은 "벼멸구"입니다. 벼멸구는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가 작물에 붙어서 흡즙을 하며 성장하다가 약충으로 발달하고, 이후에 성충으로 발달하여 번식합니다. 이 과정에서 작물에 주로 흡즙 피해를 유발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완전변태로서 알→애벌레→번데기→성충의 생활사를 갖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농약에서 식물생장조절제는 식물의 생육을 촉진하거나 반대로 억제하여 이상생육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제제를 말하는데 이의 작용기작에 사용되는 조절물질이 아닌 것은?

  1. 지베렐린
  2. 에틸렌
  3. 식물영양제
  4. 옥신
(정답률: 78%)
  • 식물영양제는 식물의 영양 공급을 위한 물질로, 생장 조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식물생장조절제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우리나라 농약의 독성구분에 대한 내용 중 알맞은 것은?

  1. 우리나라의 농약 독성구분은 농약원제의 독성정도에 따라 구분된다.
  2. 농약의 제품독성에 따라 고독성 및 보통독성으로 구분하여 취급하고 있다.
  3. 어독성은 정도에 따라 Ⅰ급, Ⅱ급, Ⅲ급, 및 Ⅱs급으로 구분한다.
  4. 농약의 독성구분은 제품의 급성경구독성 반수치사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정답률: 65%)
  • 정답은 "어독성은 정도에 따라 Ⅰ급, Ⅱ급, Ⅲ급, 및 Ⅱs급으로 구분한다." 이유는 농약의 어독성은 동물 실험을 통해 정도에 따라 Ⅰ급, Ⅱ급, Ⅲ급, 및 Ⅱs급으로 구분되기 때문이다. 이는 농약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중요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맹독성 유제 농약의 경구 LD50(반수치사량)은?

  1. 5mg/kg(체중)미만
  2. 10mg/kg(체중)미만
  3. 20mg/kg(체중)미만
  4. 40mg/kg(체중)미만
(정답률: 58%)
  • 경구 LD50은 해당 물질을 삼킨 동물의 반수(50%)가 죽는 물질의 양을 말한다. 따라서 맹독성 유제 농약의 경우 LD50이 낮을수록 독성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기 중에서 가장 낮은 수치인 5mg/kg(체중)미만은 너무 낮아서 이미 적은 양만 먹어도 독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제외된다. 10mg/kg(체중)미만과 20mg/kg(체중)미만은 모두 낮은 수치이지만, 20mg/kg(체중)미만이 더 낮은 수치이므로 더 강한 독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40mg/kg(체중)미만은 다른 보기에 비해 높은 수치이므로 상대적으로 독성이 약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맹독성 유제 농약의 경구 LD50은 "20mg/kg(체중)미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ADI(Acceptable Daily Intake)가 의미하는 것은?

  1. 일일섭취허용량
  2. 식품 중 잔류농약의 허용기준
  3. 농약이 잔류할 우려가 있는 식품 중의 잔류평균
  4. 일생 동안 매일 섭취하여도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역량
(정답률: 81%)
  • ADI는 먹어도 안전한 양의 농약 또는 기타 화학물질을 말하며, 일일섭취허용량은 하루에 먹어도 안전한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일일섭취허용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클로로탈로닐 원제의 불순물로 존재하는 HCB의 명명법이 옳은 것은?

  1. Hexylchlorobenzoate
  2. Hexachlorobenzene
  3. Hexylbenzoate
  4. Hexylchorobenzene
(정답률: 64%)
  • HCB는 Hexachlorobenzene의 약어이며, 이것은 클로로탈로닐의 불순물로 존재하는 화합물입니다. 따라서 "Hexachlorobenzene"이 옳은 명명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Hexyl"이라는 접두어가 붙어 있어서 HCB와는 구분되는 다른 화합물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60kg 의 쌀에 살충제 malathion 50% 유제를 5ppm 이 되도록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살충제량(mL)은? (단, 비중은 1.07이다.)

  1. 0.42
  2. 0.56
  3. 0.64
  4. 0.72
(정답률: 60%)
  • 먼저 필요한 살충제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필요한 살충제량 = (쌀의 무게 x 처리농도) / (살충제의 농도 x 비중)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필요한 살충제량 = (60 x 5) / (50 x 1.07) = 0.56

    따라서 정답은 0.5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식품 중에 잔류되는 유기인계 농약성분을 분석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1. 중량법
  2. 적정법
  3. 칼로리메타법
  4.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
(정답률: 74%)
  •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은 샘플 내의 유기인계 농약성분을 분리하고 정량하는 데에 사용되는 분석 기술로, 미량의 농약성분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중 잔류되는 농약성분 분석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제초제로 사용되지 않는 농약은?

  1. 알라클로르(Alachlor)
  2. 프로파닐(Propanil)
  3. 만코제브(Mancozeb)
  4. 메코프로프(Mecorpop)
(정답률: 70%)
  • 만코제브(Mancozeb)는 제초제가 아닌 대규모 농작물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규모 농약으로, 곰팡이와 같은 병원균을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제초제로 사용되지 않는 농약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네오아소진(Neoasozin) 농약은 약해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비소제에 다음 어느 금속을 결합시켰는가?

  1. Fe
  2. Mg
  3. Zn
  4. Cu
(정답률: 68%)
  • 네오아소진은 유기비소제에 철(Fe)를 결합시켰습니다. 이는 철이 농축성 농약의 효능을 증대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철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중요한 미네랄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농약 혼용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약효의 경감
  2. 약해의 경감
  3. 독성의 경감
  4. 약호 지속시간 연장
(정답률: 80%)
  • 정답: "약효의 경감"

    농약 혼용의 장점은 약해의 경감, 독성의 경감, 약호 지속시간 연장 등이 있다. 이는 농작물의 병해충에 대한 효과를 높이고, 농약 사용량을 줄이며, 작물의 생육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농약 혼용은 약효를 강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약효를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효의 경감"은 농약 혼용의 장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농약 중독 시 취해야 할 응급초치 중 틀린 것은?

  1. 경구 중독일 경우 우선 따뜻한 물이나 소금물로 세척한다.
  2. 약물이 장내로 들어갈 염려가 있을 때는 황산마그네슘(15~20g) 물에 독물의 흡착을 위해 활성탄이나 규조토 등을 타 먹여 배설시킨다.
  3. 경피 중독일 경우 오염된 의복을 벗기고 부착된 약제를 비눗물로 씻는다.
  4. 혼입중독일 경우 체온을 식히기 위해 찬물로 씻어 준다.
(정답률: 74%)
  • 혼입중독일 경우 체온을 식히기 위해 찬물로 씻어 준다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농약 중독 시에는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찬물로 씻어주는 것은 오히려 위험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응급조치는 물을 마시지 않도록 하고, 즉시 의료기관으로 이송하여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신경계를 자극하여 해충을 죽이는 약제가 아닌 것은?

  1. 기계유 유제
  2. 페노뷰카브 유제
  3. 페니트로티온 수화제
  4. 포레이트 입제
(정답률: 69%)
  • 기계유 유제는 기계 작동 시 발생하는 마모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윤활유이며, 해충을 죽이는 약제가 아니기 때문에 신경계를 자극하지 않는다. 반면, 페노뷰카브 유제, 페니트로티온 수화제, 포레이트 입제는 모두 해충을 죽이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이며, 신경계를 자극하여 해충을 죽이는 작용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인돌비 액제의 유효성분은?

  1. IAA와 6-benzylaminopurine
  2. IBA
  3. I-naphthylacetamide
  4. 4-CPA
(정답률: 69%)
  • 인돌비 액제는 식물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호르몬성 액체입니다. 이 액제의 유효성분은 IAA와 6-benzylaminopurine입니다. IAA는 식물의 세포분열과 성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6-benzylaminopurine은 식물의 세포분열과 성장을 촉진시키는 다른 호르몬입니다. 이 두 가지 성분이 함께 작용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농약을 주성분의 조성에 따라 분류한 것은?

  1. 식물생장 조정제
  2. 유기인계
  3. 입제
  4. 훈증제
(정답률: 78%)
  • 농약은 주성분의 조성에 따라 분류됩니다. 유기인계 농약은 유기화합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며, 식물에 대한 효과가 높고 분해가 빠르지만 인체에 대한 독성이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유기인계 농약의 살충 작용점은?

  1. 원형질
  2. 피부
  3. 호흡기
  4. 신경
(정답률: 74%)
  • 유기인계 농약은 신경을 마비시켜 살충 작용을 발휘합니다. 이는 농작물에 분사된 농약이 해충의 신경을 마비시켜 움직임을 제어할 수 없게 하여 죽음으로 이어지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유기인계 제초제로서 다년생 잡초의 지하경까지 죽일 수 있는 농약은?

  1. 메트리뷰진 수화제
  2. 클리포세이트 액제
  3. 리뉴론 수화제
  4. 시마진 수화제
(정답률: 61%)
  • 클리포세이트 액제는 유기인계 제초제 중에서 다년생 잡초의 지하경까지 죽일 수 있는 농약으로, 지하부분까지 흡수되어 잡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메트리뷰진 수화제, 리뉴론 수화제, 시마진 수화제는 유기인계 제초제이지만, 다년생 잡초의 지하경까지 죽이는 효과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잡초방제학

61. 최근 우리나라 논에 다년생 잡초가 증가하는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1년생 제초제의 연용
  2. 만기 이앙 및 답리작의 증가
  3. 추경 및 춘경의 감소
  4. 인력제초의 감소
(정답률: 65%)
  • 만기 이앙 및 답리작의 증가는 논에서 잡초가 자라는 것을 막기 위해 이앙과 답리작을 하는 것인데, 최근에는 농업인들의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이앙과 답리작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어 잡초가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는 다년생 잡초가 증가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지하경에 의해서 주로 번식되는 것은?

  1. 바랭이
  2. 물달개비
  3. 가래
(정답률: 70%)
  • 지하경은 습기가 많은 환경이기 때문에 가래와 같은 습기를 좋아하는 균류가 번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입니다. 따라서 가래가 지하경에서 주로 번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제초제 1% 용액은 몇 ppm에 해당하는가?

  1. 10ppm
  2. 100ppm
  3. 1000ppm
  4. 10000ppm
(정답률: 68%)
  • 1%는 1g이 100ml 용액에 녹아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ml에는 0.01g의 제초제가 포함되어 있다. 이를 ppm으로 환산하면 0.01g/1,000ml = 0.01g/1,000,000mg = 10mg/1,000,000mg = 10ppm이 된다. 따라서 1% 용액은 10ppm이 아니라 10000ppm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잡초를 잘못 분류한 것은?

  1. 논잡초 – 피, 올챙이고랭이
  2. 밭잡초 - 비름, 깨풀
  3. 과원잡초 – 닭의장풀, 바랭이
  4. 잔디밭잡초 – 가막사리, 큰고추풀
(정답률: 64%)
  • 잔디밭잡초는 가막사리와 큰고추풀로 분류되는데, 이유는 이 두 가지 잡초가 잔디밭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잘못된 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벼 농사에서 잡초와 경합에 가장 유리한 벼 재배법은?

  1. 건답직파
  2. 담수직파
  3. 어린모 재배
  4. 중묘 재배
(정답률: 78%)
  • 중묘 재배는 벼가 자라는 초기 단계에서 묘목을 심어 놓고, 이후에는 묘목 주변의 잡초를 제거하면서 벼가 자라도록 하는 재배법이다. 이 방법은 묘목이 자라는 동안 잡초와 경쟁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벼의 성장을 돕고, 뿌리가 깊게 자라도록 하여 건강한 식물을 육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잡초와 경쟁이 치열한 벼 농사에서는 중묘 재배법이 가장 유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식물 분류학적으로 동일한 속명을 갖는 잡초끼리 나열된 것은?

  1. 올미, 벗풀
  2. 여뀌, 여뀌바늘
  3. 쇠비름, 비름
  4. 네가래, 가래
(정답률: 71%)
  • 올미와 벗풀은 모두 식물 분류학적으로는 Polygonum 속에 속하며, 이는 잡초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속명을 갖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우리나라 논에 발생하는 주요 다년생 잡초로만 이루어진 것은?

  1. 올미, 올방개, 가래, 너도방동사니, 피
  2. 올미, 올방개, 가래, 참방동사니, 쇠털골
  3. 올미, 가래, 너도방동사니, 참방동사니, 마디꽃
  4. 올미, 가래, 올방개, 너도방동사니, 벗풀
(정답률: 67%)
  • 주요 다년생 잡초로 이루어진 것은 "올미, 가래, 올방개, 너도방동사니, 벗풀" 입니다. 이는 대부분 논에서 자주 발생하는 잡초들로, 올미는 논에서 가장 흔한 잡초 중 하나이며, 가래와 올방개도 논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너도방동사니는 논에서 자라는 대표적인 잡초 중 하나이며, 벗풀은 논에서 자라는 다년생 잡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주로 덩이줄기(괴경)로 번식하는 잡초는?

  1. 올미
  2. 물달개비
  3. 마디꽃
  4. 사마귀풀
(정답률: 67%)
  • 올미는 덩이줄기(괴경)로 번식하는 잡초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물달개비, 마디꽃, 사마귀풀은 덩이줄기(괴경)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번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제초제의 유효성분이란?

  1. 제초제 제형 중 간접적으로 제초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
  2. 제초제 제형 중 계면활성을 나타내는 성분
  3. 제초제 제형 중 직접적으로 제초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
  4. 제초제 제형 중 제초효과를 발휘하지 않는 성분
(정답률: 87%)
  • 제초제의 유효성분은 직접적으로 제초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입니다. 이는 제초제가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데 직접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간접적인 역할을 하는 성분이거나 제초효과를 발휘하지 않는 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채소밭의 잡초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노지재배의 경우는 생육 후기에 중점적으로 잡초 방제를 실시한다.
  2. 시설원예의 경우에는 소수의 잡초가 대형화될 수 있으므로 제초에 특히 힘쓴다.
  3. 흑색의 불투명한 필름으로 멀칭할 경우 백색의 투명한 필름보다 잡초 발생이 많아진다.
  4. 비닐 터널 재배는 고온 다습하므로 잡초 발생이 경감된다.
(정답률: 82%)
  • 시설원예에서는 작은 공간에서 잡초가 대형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초에 특히 힘을 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토양에서 잡초의 발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질토는 중점토보다 발생심도가 깊다.
  2. 종자가 무거울수록 발생심도가 얕다.
  3. 토양이 과습(90% 이상)하면 출아율이 낮다.
  4. 토양이 건조(55% 이하)하면 출아율이 낮다.
(정답률: 74%)
  • "종자가 무거울수록 발생심도가 얕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종자의 무게와 발생심도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종자의 크기와 형태, 그리고 토양의 조건 등이 발생심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제초제 제형 중 수화제를 나타내는 것은?

  1. EC
  2. WP
  3. G
  4. Sol
(정답률: 85%)
  • 수화제는 물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WP(약제제형)로 나타낸다. EC(에멀젼제형)는 물과 기름을 혼합한 형태이고, G(과립제형)은 과립 형태이며, Sol(용액제형)은 액체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외국에서 유입된 대표적인 외래잡초로 나열된 것은?

  1. 올챙이고랭이, 미국자리공
  2. 단풍잎돼지풀, 서양민들레
  3. 서양민들레, 올방개
  4. 미국가막사리, 가막사리
(정답률: 86%)
  • 단풍잎돼지풀은 북아메리카 원산지이며, 잎이 단풍나무와 비슷하여 이름이 붙었습니다. 서양민들레는 유럽 원산지이며, 꽃이 아름답고 잎이 매우 작아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잡초는 외국에서 유입된 대표적인 외래잡초로 나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옥수수 재배시 경합에 유리한 초형을 가진 품종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1. 만생종의 장간형
  2. 만생종의 단간형
  3. 초관형성이 느린 단간형
  4. 초관형성이 빠른 직립·중간형
(정답률: 78%)
  • 초관형성이 빠른 직립·중간형은 옥수수 재배시 경쟁에서 유리한 품종이다. 이는 초관형성이 빠르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높이가 자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직립·중간형이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더 많은 옥수수를 재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생태적,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 잡초방제 방법으로 구분할 때 생태적 잡초방제법이 아닌 것은?

  1. 작부체계
  2. 재식밀도
  3. 품종선정
  4. 피복처리
(정답률: 74%)
  • 생태적 잡초방제법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작부체계", "재식밀도", "품종선정"은 모두 생태적 잡초방제법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피복처리"는 물리적 잡초방제법에 해당합니다. 피복처리란 작물 주변에 플라스틱 등의 물질을 덮어서 잡초가 자라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생태적 잡초방제법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잡초 종자의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이 아닌 것은?

  1. CO2
  2. 온도
  3. 수분
(정답률: 83%)
  • 잡초 종자의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은 광, 온도, 수분이다. CO2는 잡초 종자의 발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밭잡초의 발생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발생초종이 다양하고 발생량이 많다.
  2. 우점잡초는 바랭이, 뚝새풀, 명아주 등이 있다.
  3. 수도작보다 밭작물에서 잡초의 피해가 적다.
  4. 수생잡초보다는 습생 및 건생잡초가 많다.
(정답률: 84%)
  • "수도작보다 밭작물에서 잡초의 피해가 적다."는 밭잡초의 발생 특성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정답이다.

    이유는 밭작물은 작물 주변에 밭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제초제를 사용하거나, 작물과 밭잡초 간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해 생육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수도작에서는 제초제 사용이 어렵고, 수생잡초와의 경쟁에서 밀려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병해충문제와 비교하여 잡초문제의 특성을 잘못 기술한 것은?

  1. 문제의 진전성이 완만하다.
  2. 허용한계수준으로 피해르 판단한다.
  3. 잡초문제는 정체적으로 일어난다.
  4. 잡초는 박멸하여야 한다.
(정답률: 83%)
  • 잡초는 박멸하여야 한다는 것은 잘못된 특성 기술이다. 이는 환경보호와 생태계 유지를 위해 자연적인 생태계 유지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잡초는 특정한 상황에서는 유용한 식물이며, 그들이 제공하는 생태적 이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잡초문제는 허용한계수준으로 판단하고, 적절한 관리 방법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이행형 제초제란?

  1. 접촉한 부위에 머무는 제초제
  2. 체관부를 통하여 이동하지 못하는 제초제
  3. 처리한 부위로부터 작용점으로 이행해 가는 제초제
  4. 물관부를 통해 이동하지 못하는 제초제
(정답률: 88%)
  • 이행형 제초제는 처리한 부위에서 작용점으로 이동하여 제초 작용을 하는 제초제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제초제들은 체관부나 물관부를 통해 이동하지 못하거나, 접촉한 부위에만 작용하는 것과는 달리, 이행형 제초제는 처리한 부위에서 작용점으로 이동하여 뿌린 부분 이외의 지역에서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일반적으로 작물과 잡초간 경합으로 작물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시기는?

  1. 전 생육기간의 1/4 ~ 1/3 시기
  2. 생육중기 ~ 후기
  3. 생육중기
  4. 생육후기
(정답률: 83%)
  • 작물이 자라는 초기 생육기에는 잡초와 경쟁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기 때문에 큰 피해를 입지 않습니다. 하지만 생육기 중반부터 후반부로 갈수록 작물의 크기와 생장속도가 빨라지면서 잡초와의 경쟁이 심해집니다. 따라서 전 생육기간의 1/4 ~ 1/3 시기가 작물과 잡초간 경쟁이 가장 치열한 시기이며, 작물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