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28)

식물보호산업기사
(2018-04-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오이 모자이크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1. 진딧물
  2. 애멸구
  3. 끝동매미충
  4. 장님노린재
(정답률: 90%)
  • 오이 모자이크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진딧물"입니다. 이는 진딧물이 오이 잎의 세포를 먹고, 바이러스를 전파하기 때문입니다. 애멸구, 끝동매미충, 장님노린재는 오이 모자이크병을 매개하는 해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곰팡이에 의해서 발생한 병의 표징이 아닌 것은?

  1. 균핵
  2. 뿌리털
  3. 포자퇴
  4. 분생자각
(정답률: 80%)
  • 뿌리털은 곰팡이의 생존과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뿌리털은 곰팡이에 의해서 발생한 병의 표징이 아닙니다. 균핵은 곰팡이의 세포핵을 의미하며, 포자퇴는 곰팡이의 생식세포인 포자가 발생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분생자각은 곰팡이의 세포벽을 형성하는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접목을 통해 방제가 가능한 병은?

  1. 고추 역병
  2. 수박 노균병
  3. 배추 무사마귀병
  4. 참외 덩굴쪼김병
(정답률: 86%)
  • 접목은 두 종류의 식물을 이어 붙여 하나의 식물로 만드는 기술입니다. 참외 덩굴쪼김병은 참외의 덩굴을 이어 붙인 다른 종류의 식물로 접목하면 접목한 부분에서는 이 병에 걸리지 않아 방제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참외 덩굴쪼김병은 접목을 통해 방제가 가능한 병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병원체나 매개 곤충의 접근을 물리적으로 막아 감염을 차단하는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짚깔기
  2. 비닐멀칭
  3. 봉지 씌우기
  4. 토양산도의 조절
(정답률: 93%)
  • 토양산도의 조절은 감염을 차단하는 방법이 아니라 작물의 성장을 조절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입니다. 토양산도가 높아지면 작물이 과다한 양분을 흡수하여 과장생장하고, 반대로 토양산도가 낮아지면 작물이 영양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여 성장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토양산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작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동시에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잣나무 털녹병균의 분류학적 위치는?

  1. 난균류
  2. 담자균류
  3. 자낭균류
  4. 불완전균류
(정답률: 66%)
  • 잣나무 털녹병균은 담자균류에 속합니다. 이는 그들이 그람 음성이며, 비만성으로 생장하며, 산화 음성이며, 산화 양성 대사를 수행하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벼 도열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2차 전염을 하지 않는다.
  2. 병원균은 담자균에 속한다.
  3. 다양한 레이스(Race)가 존재한다.
  4. 토양온도가 높고 토양수분함량이 많을 때 다수 발생한다.
(정답률: 78%)
  • 벼 도열병은 다양한 레이스가 존재하는 질병이기 때문에, 각 레이스마다 발생 원인과 증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질병을 예방하거나 대처하기 위해서는 해당 레이스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식물 바이러스병 진단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혈청학적 진단법
  2. 파지에 의한 진단법
  3. 지표식물에 의한 진단법
  4. 핵산 중합효소연쇄반응법
(정답률: 74%)
  • 파지에 의한 진단법은 식물의 잎을 파지로 분쇄하여 각각의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바이러스 종류가 많은 경우에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진단법들이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살아 있는 식물 조직에서만 생활할 수 있는 병원체는?

  1. 절대기생체
  2. 임의기생체
  3. 임의부생체
  4. 조건기생체
(정답률: 87%)
  • 절대기생체는 살아 있는 식물 조직에서만 생활할 수 있는 병원체입니다. 이는 다른 기생체와 달리 특정한 조건이나 환경이 필요하지 않고, 오직 식물 조직에서만 생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기생체와 달리 호스트의 종류나 환경에 대한 제한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벼 도열병이 발생한 경우 벼 잎에 나타나는 병징의 형태는?

  1. 구형
  2. 사선형
  3. 방추형
  4. 원주형
(정답률: 89%)
  • 벼 도열병은 벼 잎에 나타나는 병징의 형태가 방추형이다. 이는 병원균이 잎의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방향을 바꾸면서 확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병징이 방추형으로 나타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사과 수심(Water Core) 현상의 원인은?

  1. 고온의 피해
  2. 광선의 피해
  3. 바람의 피해
  4. 서리의 피해
(정답률: 77%)
  • 고온의 피해는 사과가 과열되어 내부의 조직이 손상되고, 이로 인해 수분이 증발하여 공간이 생기고 그 공간에 공기가 채워지면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사과 수심 현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토마토의 세균병으로 시들시들하다가 갑자기 마르는 벼은?

  1. 돌림병
  2. 탄저병
  3. 풋마름병
  4. 모자이크병
(정답률: 93%)
  • 토마토의 세균병으로 시들시들하다가 갑자기 마르는 증상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중에서도 토마토의 뿌리를 공격하는 세균병인 "풋마름병"이 가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풋마름병은 뿌리를 공격하여 뿌리가 부패하고 마르게 만들어주는 세균병으로, 토마토뿐만 아니라 다른 식물들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토마토가 시들시들하다가 갑자기 마르는 경우에는 풋마름병이 의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세균에 의한 식물병은?

  1. 벼 오갈병
  2. 벼 키다리병
  3. 벼 흰잎마름병
  4. 벼 잎집무늬마름병
(정답률: 83%)
  • 세균에 의한 식물병 중 "벼 흰잎마름병"은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벼의 대표적인 병이다. 이 세균은 벼의 잎, 줄기, 귀 등에 침입하여 염증을 일으키고, 잎이 흰색으로 변색하며 마르게 된다. 이로 인해 벼의 생육이 저하되고 수확량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선충이 아닌 것은?

  1. Xiphinema
  2. Trichodorus
  3. Meloidogyne
  4. Paratrichodorus
(정답률: 71%)
  • "Meloidogyne"은 바이러스를 매개하지 않는 선충으로, 식물의 뿌리를 감염시켜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식물성 해충이다. 반면에 "Xiphinema", "Trichodorus", "Paratrichodorus"는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선충으로, 식물 바이러스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사과나무의 줄기나 가지가 썩는 병은?

  1. 부란병
  2. 탄저병
  3. 점무늬낙엽병
  4. 붉은별무늬병
(정답률: 78%)
  • 부란병은 사과나무의 줄기나 가지에 생기는 균사균에 의한 병이다. 이 균사균은 나무의 조직을 부풀게 만들어 줄기나 가지가 부풀어 오르고 부러지는 증상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 병은 부풀어 오른 줄기나 가지가 부러지는 모습에서 "부란병"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벼 흰잎마름병의 발병 원인으로 가장 피해가 큰 경우는?

  1. 저온
  2. 건조
  3. 질소 비료의 과용
  4. 태풍에 의한 침수
(정답률: 85%)
  • 벼 흰잎마름병은 물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태풍에 의한 침수는 벼 밭에 물이 오랫동안 차 있게 되어 이 질병의 발생을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태풍에 의한 침수는 벼 흰잎마름병의 발병 원인으로 가장 피해가 큰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채소 및 과일 저장 중에 주로 발생하며 생육기에는 거의 발생되지 않는 병은?

  1. 탄저병
  2. 노균병
  3. 덩굴마름병
  4. 푸른곰팡이병
(정답률: 83%)
  • 푸른곰팡이병은 채소 및 과일 저장 중에 주로 발생하는 병으로, 저장 중에 습도가 높아지면서 발생하는 곰팡이 중 하나입니다. 생육기에는 거의 발생되지 않는 이유는 생육기에는 적정한 습도와 온도가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푸른곰팡이병은 저장 중에 주의해야 할 병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생물적 방제에 사용되는 길항균이 아닌 것은?

  1. Bacillus
  2. Rhizoctonia
  3. Trichoderma
  4. Pseudomonas
(정답률: 61%)
  • Rhizoctonia는 식물 질병을 유발하는 질병균으로, 생물적 방제에 사용되는 길항균이 아닙니다. Bacillus, Trichoderma, Pseudomonas는 모두 생물적 방제에 사용되는 길항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윤작을 실시하면 방제효과가 가장 큰 것은?

  1. 공기전염성 병해
  2. 수매전염성 병해
  3. 종자전염성 병해
  4. 토양전염성 병해
(정답률: 89%)
  • 윤작은 토양 속 병원균을 제거하고 토양 구조를 개선하여 작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토양전염성 병해에 대한 방제효과가 가장 큽니다. 토양전염성 병해는 토양 속에 존재하는 병원균이 작물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병해로, 윤작을 통해 토양 속 병원균을 제거하면 작물의 감염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파이토플라스마의 진단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항생제 페니실린에 대한 저항성을 본다
  2. 적당한 배지에 배양하여 자라는 모양을 본다.
  3.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에 대한 감수성을 본다.
  4. 건전한 기주에 병든 기주의 가지를 접목하여 전염성을 본다.
(정답률: 73%)
  • "적당한 배지에 배양하여 자라는 모양을 본다."가 옳지 않은 것은 진단법이 아니라 파이토플라스마의 특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파이토플라스마의 진단법은 항생제 감수성 시험, 혈청학적 검사, PCR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병원체가 침입할 수 있는 식물체의 자연개구가 아닌 것은?

  1. 각피
  2. 기공
  3. 수공
  4. 피목
(정답률: 81%)
  • 병원체가 침입할 수 있는 자연개구는 기공과 수공입니다. 각피는 표피층으로서 구멍이 없어서 병원체가 침입하기 어렵습니다. 피목은 식물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자연개구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곤충의 변태와 관련하여 탈피에 관여하는 탈피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은?

  1. 알라타체
  2. 외분비계
  3. 앞가슴샘
  4. 뒷가슴샘
(정답률: 70%)
  • 앞가슴샘은 곤충의 외골격 탈피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탈피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입니다. 탈피호르몬은 외분비계에서 분비되며, 알라타체와 뒷가슴샘도 외분비계에 속하지만, 탈피호르몬을 분비하는 기능은 앞가슴샘에만 있습니다. 따라서, 앞가슴샘은 곤충의 탈피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생물적 방제를 위한 해충의 천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꽃등에
  2. 진디혹파리
  3. 배추흰나비
  4. 녹색풀잠자리
(정답률: 77%)
  • 배추흰나비는 배추와 관련된 해충 중 하나로, 배추를 먹는 나비이다. 따라서 배추를 보호하기 위해 배추흰나비의 천적으로 사용되는 생물들은 배추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야 한다. 반면에 다른 보기들은 배추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거나 없기 때문에, 배추흰나비보다는 거리가 먼 것으로 간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외국에서 유입되어 국내에 정착한 침입해충이 아닌 것은?

  1. 감자나방
  2. 사과면충
  3. 루비깍지벌레
  4. 복숭아심식나방
(정답률: 75%)
  • "복숭아심식나방"은 국내 원산 종으로, 외국에서 유입되어 국내에 정착한 침입해충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외국에서 유입되어 국내에 침입한 해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곤충의 다리 기본적인 구조에서 가늘고 길며 끝부분에 흔히 끝가시(Spur)가 있는 마디는?

  1. 밑마디
  2. 도래마디
  3. 넓적마디
  4. 종아리마디
(정답률: 74%)
  • 곤충의 다리는 기본적으로 밑마디, 도래마디, 넓적마디, 종아리마디, 발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종아리마디는 다리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며, 가늘고 길며 끝부분에 끝가시가 있는 마디입니다. 이는 곤충이 걷거나 뛸 때 땅에 꽂히며 지지력을 제공하고, 먹이를 잡거나 방어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종아리마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온도가 곤충에게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곤충의 크기
  2. 곤충의 수명
  3. 곤충의 산랸량
  4. 곤충의 발육속도
(정답률: 73%)
  • 온도가 곤충에게 미치는 영향은 곤충의 크기, 수명, 산란량, 발육속도 등에 모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곤충의 크기는 다른 요소들과 달리 직접적으로 온도와 관련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곤충의 크기"가 온도가 곤충에게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곤충이 생존하기 불리한 환경이 되면 대사와 발육이 느리게 진행되고 환경이 좋아지면 즉각 정상상태를 회복하는 현상은?

  1. 휴지
  2. 분산
  3. 휴면
  4. 일장
(정답률: 79%)
  • 휴지는 곤충이 생존하기 불리한 환경에서 대사와 발육이 느리게 진행되고 환경이 좋아지면 즉각 정상상태를 회복하는 현상인 "휴면"을 의미합니다. 휴지는 곤충이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하고, 환경이 좋아지면 즉각적으로 활동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생존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내시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날개를 접지 못한다.
  2. 대부분 불완전변태를 한다.
  3. 곤충 중에서 가장 진화한 형태이다.
  4. 강도래목, 집게벌레목 등이 해당된다.
(정답률: 71%)
  • 내시류는 강도래목, 집게벌레목 등의 곤충 중에서 가장 진화한 형태이다. 이는 내시류가 다른 곤충들보다 더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내시류는 머리, 가슴, 복부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부위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내시류는 불완전변태를 하지만, 이는 성장과정에서 몸의 크기와 형태가 변하는 것이지, 기능적인 면에서는 이미 충분히 발달된 상태에서 시작한다. 하지만, 내시류는 날개를 접지 못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유충이 저작형 입틀을 가진 식엽성 해충은?

  1. 매미나방
  2. 솔잎혹파리
  3. 벚나무응애
  4. 소나무가루깍지벌레
(정답률: 60%)
  • 매미나방은 유충기에 입틀을 가지고 있으며, 식물의 잎을 먹어서 피해를 입히는 식물성 해충입니다. 따라서 유충이 입틀을 가진 식엽성 해충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복숭아혹진딧물은 여름기주에서 어떤 생식을 하는가?

  1. 양성생식
  2. 단위생식
  3. 다배생식
  4. 유생생식
(정답률: 85%)
  • 복숭아혹진딧물은 단위생식을 한다. 이는 하나의 세포가 분열하여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는 생식 방식으로, 복숭아혹진딧물은 이를 통해 새로운 개체를 생산한다. 양성생식은 두 세포가 합쳐져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는 방식이고, 다배생식은 한 개체가 여러 개체를 동시에 생산하는 방식이며, 유생생식은 부모 개체에서 분리된 조각이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해충을 유아등에 모이게 하여 방제하는 벙법은 해충의 어떤 습성을 이용한 것인가?

  1. 주화성
  2. 주지성
  3. 주식성
  4. 주광성
(정답률: 88%)
  • 해충을 유아등에 모이게 하여 방제하는 법은 "주광성"을 이용한 것입니다. 주광성이란 빛에 대한 습성으로, 해충들은 밤에 빛을 따라다니는 습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유아등과 같은 빛을 내는 물건을 사용하여 해충을 유인하고, 그곳에 방제제를 뿌려서 해충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분류학적으로 매미류가 속하는 목은?

  1. 벌목
  2. 노린재목
  3. 딱정벌레목
  4. 부채벌레목
(정답률: 62%)
  • 매미류는 노린재목에 속합니다. 이는 매미류가 나무에 살며, 나무를 먹거나 나무에서 생활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미류는 나무를 주로 이용하는 노린재목에 속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목은?

  1. 벌목
  2. 파리목
  3. 노린재목
  4. 딱정벌레목
(정답률: 74%)
  • 노린재목은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목입니다. 이유는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들은 애벌레와 성충의 형태가 매우 다르기 때문입니다. 애벌레는 다리가 없거나 짧고 둥글며, 성충은 날개와 다리가 있으며 몸이 길쭉합니다. 이러한 변태 과정에서 중간 형태인 어린 벌레가 없기 때문에 불완전변태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주로 사과나무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멸강나방
  2. 은무늬굴나방
  3. 복숭아심식나방
  4. 조팝나무진딧물
(정답률: 73%)
  • 멸강나방은 주로 감귤류 작물을 해충으로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과나무를 해충으로 가해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멸강나방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솔잎혹파리 방제를 위한 침투성 약제를 소나무에 주사하는 주요 이유로 옳은 것은?

  1. 알을 죽인다.
  2. 유충을 죽인다.
  3. 성충을 죽인다.
  4. 번데기를 죽이다.
(정답률: 82%)
  • 솔잎혹파리의 생명주기에서 유충 단계에서 약제를 주입하면 유충을 죽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알이나 성충 단계에서는 이미 방제가 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번데기는 솔잎혹파리의 생명주기에 없는 단계이므로 방제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일반적으로 1년에 2회 이상 발생하는 해충은?

  1. 솔잎혹파리
  2. 미국흰불나방
  3. 오리나무잎벌레
  4. 잣나무넓적잎벌
(정답률: 73%)
  • 미국흰불나방은 일반적으로 1년에 2회 이상 발생하는 해충입니다. 이는 미국흰불나방이 애벌레로서 솔나무를 먹고 성장하는데, 한 해에 두 번 이상 번식하여 애벌레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국흰불나방은 애벌레가 성장하는 동안 솔나무의 잎을 심하게 손상시키기 때문에 솔나무 재배에 큰 피해를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중배엽으로부터 유래된 기관은?

  1. 심장
  2. 중장
  3. 전장
  4. 신경
(정답률: 67%)
  • 중배엽은 심장의 발생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의 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중배엽으로부터 유래된 기관은 "심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곤충이 번성하게 된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짧은 세대
  2. 작은 크기
  3. 날개의 발달
  4. 낮은 유전적 변이성
(정답률: 88%)
  • 낮은 유전적 변이성은 개체 간의 다양성이 적어서 질병이나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짧은 세대나 작은 크기, 날개의 발달과 같은 다른 요인들보다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낮은 유전적 변이성은 곤충 번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설명에서 해당하는 해충은?

  1. 파밤나방
  2. 거세미나방
  3. 온실가루이
  4. 점방이응애
(정답률: 87%)
  • 해당 이미지는 온실가루이의 유충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이미지와 다른 해충들의 유충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주로 벼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혹명나방
  2. 이화명나방
  3. 끝동매미충
  4. 거세미나방
(정답률: 67%)
  • 거세미나방은 주로 콩과 감자 등의 작물을 해충으로 가해하지만, 벼를 해충으로 가해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거세미나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해충밀도의 축차조사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해충의 밀도를 순차적으로 조사한다.
  2. 미리 정해진 조사표본수에 따라 조사한다.
  3. 신속하게 의사결정이 가능하여 조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4. 경제적 피해수준에 근거하여 방제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65%)
  • 미리 정해진 조사표본수에 따라 조사하는 이유는 조사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입니다. 미리 정해진 조사표본수에 따라 조사하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조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사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신속하게 의사결정이 가능하여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농약학

41. 2,4-D 액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엽처리용 제초제이다.
  2. 일년생 잡초에 적용한다.
  3. 옥시졸리딘계 제초제이다.
  4. 약해의 염려가 있으므로 고압식 분무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7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식물 고유의 분해·불활성화 기작에 기인된 것으로 식물 체내외에서 제초제의 흡수와 이동의 차에 의해서 일어나는 선택성은?

  1. 물리적 선택성
  2. 생화학적 선택성
  3. 생리적 선택성
  4. 생태적 선택성
(정답률: 60%)
  • 식물 체내외에서 제초제의 흡수와 이동은 식물의 생리적 기작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생리적 기작에 따라서 일부 제초제는 식물에게 해로울 수 있고, 일부 제초제는 식물에게 해를 끼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제초제의 선택성은 생리적 선택성이라고 부릅니다. 즉, 제초제의 화학적 성질과 식물의 생리적 기작 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농약을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한 것이 아닌 것은?

  1. 살균제
  2. 살충제
  3. 유제
  4. 제초제
(정답률: 88%)
  • 농약을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한 것 중 "유제"는 분류 기준이 아닙니다. "살균제"는 세균이나 곰팡이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고, "살충제"는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제초제"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유제"는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는 농약인지 명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유제"는 농약 분류 기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유효성분을 담체인 고체 중량제와 혼합분쇄하고 보조제로서 고결제, 안정제,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입상으로 성형한 것 또는 입상으로 담체에 유효성분을 피복시킨 제형은?

  1. 입제
  2. 분제
  3. 수화제
  4. 유제
(정답률: 63%)
  • 문제에서 설명한 제형은 유효성분을 담체에 피복시킨 것이나 고체 중량제와 혼합분쇄하여 입상으로 성형한 것이므로, 이는 "입제"이다. "분제"는 분말 형태의 약제를 말하며, "수화제"는 액체 형태의 약제를 말한다. "유제"는 유화된 약제를 말하는데, 이는 유효성분을 유화제와 혼합하여 만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농약의 약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제제의 개선
  2. 해독제의 이용
  3. 복합비료의 혼용
  4. 농약의 안전사용기준 준수
(정답률: 75%)
  • 복합비료의 혼용은 농작물에 필요한 영양소를 한 번에 공급하여 농약의 약해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대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EPN 등 유기인제에 의한 농약 중독시 해독제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발(BAL)
  2. 팜(PAM)
  3. 이디티에이-칼슘(EDTA- Ca)
  4. 비타민-칼륨(Vitamin-K)
(정답률: 81%)
  • 유기인제에 의한 농약 중독시 해독제로 가장 적당한 것은 "팜(PAM)"입니다. 이는 유기인제에 의한 농약 중독시에 신경계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팜은 농약 분해와 배출을 돕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해독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해동물이나 해충이 화학물질에 의한 자극에서 벗어나려는 행동을 이용하여 농작물이나 가축을 이들의 유해동물이나 곤충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약제는?

  1. 유인제
  2. 불임제
  3. 살서제
  4. 기피제
(정답률: 83%)
  • 기피제는 유해동물이나 해충이 농작물이나 가축에 접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입니다. 이를 위해 특정한 냄새나 맛을 내어 유해동물이나 해충이 자연스럽게 멀어지도록 유도합니다. 따라서 기피제는 유인제와는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불임제는 생식기능을 억제하는 약제이고, 살서제는 생물체를 죽이는 약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농약제조용 용제(溶劑)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실제로 사용되는 용제는 불연성이어서 안전하다.
  2. 용제의 종류에서 인축에 유해한 활성을 보이는 것은 농약제조용으로 사용되기 어렵다.
  3. 용제가 농약의 유효성분을 화학적으로 분해시켜서는 안 된다.
  4. 소량의 용매로 가능한 많은 양의 농약원제 또는 다른 보조제를 녹일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61%)
  • "실제로 사용되는 용제는 불연성이어서 안전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사용되는 용제 중 일부는 화재 위험이 있으며, 안전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스모린 Ⅱ(Jasmolin Ⅱ)와 관계가 있는 살충제는?

  1. Bombikol류
  2. 제충국류(Pyrethroids)
  3. 포테논류(Rotenoids)
  4. 니코틴류(Nicotine Insecticide)
(정답률: 72%)
  • 자스모린 Ⅱ는 제충국류 중 하나인 페르메트린의 대사산물입니다. 따라서 자스모린 Ⅱ와 관련된 살충제는 제충국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곤충생장조절제(IGR계통)의 농약이 아닌 것은?

  1. 벤설푸론 메칠(Bensulfuronmethyl)
  2. 부프러페진(Buprofezin)
  3.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4. 테플루벤주론(Teflubenzuron)
(정답률: 57%)
  • 벤설푸론 메칠은 곤충생장조절제가 아니라 제초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보호살균제 농약의 잔효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인 성질은?

  1. 유화성
  2. 현수성
  3. 부착성과 고착성
  4. 침투성
(정답률: 79%)
  • 보호살균제 농약의 잔효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인 성질은 "부착성과 고착성"입니다. 이는 농작물 표면에 농약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로, 농약이 표면에 잘 부착되고 고정되면 더 오랜 시간 동안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착성과 고착성이 높은 농약일수록 더 효과적인 잔효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농약으로 분류되지 않는 약제는?

  1. 제초제
  2. 전착제
  3. 식물영양제
  4.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약제
(정답률: 81%)
  • 식물영양제는 농작물의 영양 공급을 돕는 약제로, 농작물의 성장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이에 반해, 제초제는 잡초를 제거하는 약제, 전착제는 작물에 붙은 병충해를 제거하는 약제,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억제하는 약제는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약제로 모두 농약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45%의 유기인제 100mL가 있다. 이것을 0.1%로 희석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은 몇 L인가? (단, 원액의 비중은 1이다.)

  1. 22.9
  2. 33.9
  3. 44.9
  4. 55.9
(정답률: 78%)
  • 원액의 양은 45mL이고, 이 중에 유기인제는 45%이므로 실제 유기인제의 양은 45 × 0.45 = 20.25mL이다. 이것을 0.1%로 희석하려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0.25mL ÷ 0.001 = 20,250mL = 20.25L

    따라서 필요한 물의 양은 20.25L이다. 이것을 간단히 반올림하면 20L이 아니라 44.9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맹독성 유제 농약의 경피 LD50(반수치사량)은?

  1. 5mg/kg(체중) 미만
  2. 10mg/kg(체중) 미만
  3. 20mg/kg(체중) 미만
  4. 40mg/kg(체중) 미만
(정답률: 48%)
  • 경피 LD50은 피부에 노출된 양에 따라 독성이 있는 물질이 얼마나 많은 양이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맹독성 유제 농약은 매우 독성이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작은 양만으로도 중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피 LD50이 40mg/kg(체중) 미만인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더 많은 양이 필요한 경우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훈증제(Fumigants)가 아닌 것은?

  1. 이황화탄소(CS2)
  2. DDVP(Dichlorvos)
  3. 비펜트린(Biphenthrin)
  4. 메틸브로마이드(Methyl Bromide)
(정답률: 40%)
  • 비펜트린은 훈증제가 아닌 살충제이다. 이황화탄소, DDVP, 메틸브로마이드는 모두 훈증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요소(Urea)계 제초제의 주된 작용기작은?

  1. 옥신작용 교란
  2. 광합성 저해
  3. 단백질합성 저해
  4. 세포분열 저해
(정답률: 50%)
  • 요소(Urea)계 제초제는 식물의 광합성 과정을 방해하여 광합성을 저해하는 작용을 합니다. 이는 식물이 탄소를 흡수하지 못하게 하여 생장을 방해하고, 결국 죽음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이 제초제의 주된 작용기작은 "광합성 저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잔디가 조성된 곳의 이끼를 방제하는데 사용되는 약제는?

  1. 클로마존
  2. 퀴노클라민
  3. 펜디메탈린
  4. 글리포세이트포타슘
(정답률: 72%)
  • 퀴노클라민은 이끼를 방제하는데 사용되는 약제 중 하나입니다. 이 약제는 이끼의 세포분열을 억제하여 생장을 방지하고, 이끼를 죽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잔디가 조성된 곳에서 이끼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약제로 퀴노클라민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유제에 사용되는 유기용제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된 제형은?

  1. 수용제
  2. 액상수화제
  3. 액제
  4. 유탁제
(정답률: 69%)
  • 유탁제는 유제에 사용되는 유기용제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제형으로, 유기용제 없이도 안정적인 제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유탁제를 사용하면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유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수화제의 분말도는 몇 메시(Mesh)의 체를 기준으로 하는가?

  1. 150메시
  2. 250메시
  3. 300메시
  4. 325메시
(정답률: 65%)
  • 수화제의 분말도는 일반적으로 325메시의 체를 기준으로 한다. 이는 분말의 입자 크기가 325개가 들어가는 1인치(2.54cm)의 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라는 뜻이다. 따라서, 이 크기보다 작은 입자들은 자연스럽게 통과할 수 있어서 물질의 녹는 속도나 용해도 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보르도 액의 사용상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만든 즉시 살포하여야 하며 오래 두면 입자가 커져 약효가 떨어진다.
  2. 살포액이 완전 건조해서 막을 형성해야 하므로 비가 오기 직전이다 직후에 살포해서는 안된다.
  3.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발병 후 즉시 살포하여야 한다.
  4. 약해가 나기 쉬운 작물에 대해서는 8~10무식의 묽은 보르도액을 살포해야 한다.
(정답률: 76%)
  •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발병 후 즉시 살포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보르도 액은 예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발병 후에는 치료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발생 가능성이 높은 시기에 미리 살포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잡초방제학

61. 생태적 잡초 방제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윤작
  2. 경운
  3. 천적 이용
  4. 토양 소독
(정답률: 60%)
  • 윤작은 생태적 잡초 방제법 중 하나로, 작물 주변의 잡초를 일부러 남겨두어 작물과 잡초가 경쟁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작물이 강해지고,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여 잡초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윤작"이 생태적 잡초 방제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잡초 종자의 발아에 관여하는 환경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분
  2. 산소
  3. 온도
  4. 토양 종류
(정답률: 72%)
  • 토양 종류는 잡초 종자의 발아에 가장 거리가 먼 환경요인입니다. 이는 잡초 종자가 발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분, 산소, 온도 등의 환경요인이 필요하지만, 토양 종류는 그와는 별개의 요인이기 때문입니다. 즉, 잡초 종자가 발아하기 위해서는 어떤 토양 종류인지와는 상관없이 적절한 환경요인이 갖춰져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주어진 지표면을 먼저 점유한 식물이 후에 발생한 식물보다 경합에 유리하다. 이를 이용한 잡초 방제 기술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앙 재배
  2. 적기 파종
  3. 시비량 증대
  4. 재식밀도 증가
(정답률: 70%)
  • 시비량 증대는 옳지 않은 방제 기술이다. 이는 오히려 잡초의 성장을 촉진시켜 경쟁력을 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올바른 방제 기술은 이앙 재배, 적기 파종, 재식밀도 증가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화본과 잡초와 광역 잡초를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제초제의 선택성 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1. 생태적 선택성
  2. 형태적 선택성
  3. 생리적 선택성
  4. 물리적 선택성
(정답률: 65%)
  • 제초제가 화본과 잡초와 광역 잡초를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그들의 형태적 차이 때문이다. 즉, 화본과 잡초와 광역 잡초는 각각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제초제는 이러한 형태적 차이를 이용하여 특정 종류의 잡초만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성을 형태적 선택성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화본과보다 광엽 잡초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다른 제초제보다 적은 약량으로 높은 제초활성이 있는 제초제 계통은?

  1. Triazine계
  2. Carbamate계
  3. Sulfonylurea계
  4. Benzoic Acid계
(정답률: 51%)
  • Sulfonylurea계 제초제는 광엽 잡초에 대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다른 제초제보다 적은 약량으로 높은 제초활성을 보입니다. 이는 Sulfonylurea계 제초제가 광합성 경로의 특정 단백질을 억제하여 잡초의 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ulfonylurea계 제초제는 경제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제초제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페녹시계열에 속하는 제초제가 아닌 것은?

  1. 이사-디 액제
  2. 엠시피에이 액제
  3. 니코설퓨론 액상수화제
  4. 할록시포프- 아르- 메틸 유제
(정답률: 60%)
  • 페녹시계열은 식물의 세포벽 합성을 방해하여 제초 효과를 나타내는데, "니코설퓨론 액상수화제"는 페녹시계열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제초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잡초 방제용으로 도입되는 생물이 구비하여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상 잡초 주변 환경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2. 인공적으로 배양 또는 증식이 용이하며 생식력이 강해야 한다.
  3. 비산 또는 분산하는 능력이 크고 대상 잡초에 잘 이동해야 한다.
  4. 대상 잡초 방제가 끝나도 지속적으로 생활을 하여 사멸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82%)
  • "인공적으로 배양 또는 증식이 용이하며 생식력이 강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대상 잡초 방제가 끝나도 지속적으로 생활을 하여 사멸되지 않아야 하는 이유는, 잡초 방제 후에도 생물이 지속적으로 번식하고 증식하여 대상 잡초를 계속해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물은 대상 잡초의 생태적 특성과 환경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하며, 비산 또는 분산하는 능력이 크고 대상 잡초에 잘 이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생물은 대상 잡초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예방적 잡초 방제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농기계를 청결하게 관리한다.
  2. 중경 및 정지 작업을 실시한다.
  3. 관계수를 통한 잡초 종자의 유입을 막는다.
  4. 종자가 없는 상태의 풀을 이용하여 퇴비를 만든다.
(정답률: 61%)
  • 중경 및 정지 작업은 이미 자라고 있는 잡초를 제거하는 것으로 예방적인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잡초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영양번식기간이 비교적 늦고 길다.
  2. 종자의 번식기관에 휴면성이 없다.
  3. 불량한 환경에서는 잘 생육되지 않는다.
  4. 낮은 밀도로도 작물에 피해를 줄수 있다.
(정답률: 76%)
  • 잡초는 영양번식기간이 비교적 늦고 길며, 종자의 번식기관에 휴면성이 없습니다. 또한 불량한 환경에서는 잘 생육되지 않지만, 낮은 밀도로도 작물에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잡초가 작물과 같은 자원을 경쟁하며,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잡초 관리는 작물 생산에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혼합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잡초 방제비용을 절감한다.
  2. 제초 작용성에서 상호 길항적 효과가 있다.
  3. 다양한 잡초종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제초제가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양립되어야 한다.
(정답률: 75%)
  •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제초제가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양립되어야 한다."는 혼합 제초제의 특징 중 하나가 맞지만, 옳지 않은 것은 "제초 작용성에서 상호 길항적 효과가 있다."입니다. 혼합 제초제는 각각의 제초제가 가지는 특성을 결합하여 더욱 효과적인 제초 효과를 나타내지만, 상호 길항적 효과는 아닙니다. 즉, 두 제초제가 함께 사용될 때 서로의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상쇄시키는 일이 없도록 조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저항성 잡초의 출현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파재배를 한다.
  2. 제초제를 적정 농도로 사용한다.
  3. 제초제 특성에 따라 순환 적용한다.
  4. 제초제는 단용보다는 혼용하도록 한다.
(정답률: 80%)
  • "직파재배를 한다."는 옳지 않은 대책입니다. 이유는 저항성 잡초가 출현하는 이유 중 하나가 작물 재배 방법의 단일화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양한 작물 재배 방법을 적용하고, 작물 회전을 실시하여 저항성 잡초의 출현을 방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잡초의 유용성이 아닌 것은?

  1. 병해충 전파를 막아준다.
  2. 토양의 침식을 방지한다.
  3.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한다.
  4. 때로는 작물로써 활용할 수 있다.
(정답률: 73%)
  • 잡초는 병해충이 서식하는 환경을 제공하지 않아서 병해충 전파를 막아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잔디밭의 클로버 방제에 가장 적절한 제초제는?

  1. 옥사디아존 유제
  2. 뷰타클로르 입제
  3. 메코프로프 액제
  4. 할로설퓨론메틸 입제
(정답률: 55%)
  • 클로버는 잔디밭에서 자주 발생하는 잡초 중 하나이며, 메코프로프 액제는 잡초 방제에 효과적인 제초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메코프로프 액제가 클로버를 포함한 다양한 잡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잔디밭의 클로버 방제에 가장 적절한 제초제는 메코프로프 액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잡초 종자의 휴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년생 잡초의 경우에만 휴면을 한다.
  2. 타발휴면은 내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생긴다.
  3. 자발휴면은 종자의 미숙과 같은 원인으로 생긴다.
  4. 종자의 휴면성은 환경이 아닌 유전적인 영향에 의하여 유발된다.
(정답률: 74%)
  • 자발휴면은 종자가 자연스럽게 휴면 상태에 빠지는 것으로, 종자의 미숙과 같은 내부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는 환경적인 요인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일년생 잡초의 경우에만 휴면을 하며, 종자의 휴면성은 유전적인 영향에 의해 유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식물 분류학적으로 동일한 속명을 갖는 잡초끼리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올미, 벗풀
  2. 비름, 쇠비름
  3. 가래, 네가래
  4. 여뀌, 여뀌바늘
(정답률: 72%)
  • 올미와 벗풀은 모두 미국 원산지의 잡초로서, 분류학적으로는 같은 속에 속하게 됩니다. 따라서 올바르게 나열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하경을 형성하지 않는 잡초는?

  1. 가래
  2. 올미
  3. 올방개
  4. 알방동사니
(정답률: 51%)
  • 알방동사니는 지하경을 형성하지 않는 얕은 뿌리를 가진 잡초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하경을 형성하는 뿌리를 가지고 있거나, 뿌리가 깊어서 지하경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설명하는 잡초로 옳은 것은?

  1. 메꽃
  2. 한련초
  3. 가막사리
  4. 사마귀풀
(정답률: 62%)
  • 이 잡초는 사마귀풀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사마귀풀은 잎이 뾰족하고 깃털 모양이며, 꽃은 작고 하얀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상호대립억제작용(Allelopath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타감작용이라고 하기도 한다.
  2. 작물은 발아 시에만 피해를 받는다.
  3. 작물과 작물 간에는 일어나지 않는다.
  4. 쌍자엽식물에는 있으나 단자엽식물에는 없다.
(정답률: 79%)
  • 상호대립억제작용(Allelopathy)은 한 종의 식물이 다른 종의 식물에게 영향을 주는 작용을 말한다. 이 작용은 특정 화합물을 분비하여 다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타감작용"이라고도 불리며, 작물은 발아 시에만 피해를 받는 것이 아니라 생장 과정에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호대립억제작용은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 모두에서 관찰될 수 있지만, 쌍자엽식물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토양염분이 많은 간척지 논에서 주로 발생하는 방동사니과 잡초는?

  1. 올미
  2. 매자기
  3. 나도겨풀
  4. 물달개비
(정답률: 59%)
  • 토양염분이 많은 간척지 논에서는 매우 염분에 강한 식물이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식물 중에서도 매자기는 염분에 대한 내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주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매자기가 방동사니과 잡초 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주로 밭에 발생하는 1년생 화본과 잡초는?

  1. 올미
  2. 바랭이
  3. 명아주
  4. 물달개비
(정답률: 62%)
  • 바랭이는 주로 밭에 발생하는 1년생 화본과 잡초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밭에서 발생하는 식물이지만, 1년생 화본과 잡초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