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배추 무름병균의 특성은?
2. 오이 덩굴쪼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 Millardet에 의해 개발된 보르도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 수목병의 표징이 아닌 것은?
5. 담자균에 속하는 식물병은?
6. 병원균의 중간기주를 제거함으로써 방제할 수 있는 병은?
7. 벼 도열병균이 주로 월동하는 곳은?
8. 배추 무사마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저항성이었던 품종이 같은 병원균에 의하여 이병화되는 주요 원인으로 옳은 것은?
10. 매개충으로 인하여 전염되는 병은?
11. 대추나무 재배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병해이며 항생제의 수간주입에 의하여 방제가 가능한 것은?
12. 주로 포자로 번식하며 식물병을 일으키는 것은?
13. 소나무 잎떨림병 방제를 위한 약제 살포 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4. 감자 역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5. 벼 키다리병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6. 세균에 의하여 발생하는 식물병의 주요 증상으로만 나열된 것은?
17. 식물병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처리할 때 병원 진단에 가장 용이한 것은?
18. 병원균이 땅속에서 월동하고 토양에서 병이 전반되는 것은?
19.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세균 속이 아닌 것은?
20. 담배 들불병을 유발하는 병원체는?
2과목: 농림해충학
2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충은?
22. 대체로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 못하는 해충은?
23. 곤충의 형태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24. 다음 설명에서 A, B에 해당하는 용어는?
25. 뿌리혹선충 방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26. 아메리카잎굴파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7. 불완전변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8. 곤충의 순환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9. 가해하는 기주의 종류가 가장 적은 해충은?
30. 해충의 생물적 방제 방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31. 단위생식을 하지 않는 곤충은?
32. 곤충의 다리 배열 순서로 옳은 것은?
33. 탈피 과정에서 다시 흡수되어 재활용되는 체벽의 부분은?
34. 딱정벌레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35. 이화명나방이 월동하는 형태는?
36. 성충은 식물조직에 산란하고 부화한 애벌레는 2령을 경과한 후 땅속에서 번데기 기간을 거쳐 성충이 되는 것은?
37. 충영을 만드는 해충은?
38. 분류학적으로 곤충강에 속하지 않는 것은?
39. 다음 피해의 설명에 해당하는 해충은?
40. 진딧물류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곤충은?
3과목: 농약학
41. 화본과 및 광엽잡초의 경엽과 뿌리를 통하여 동시에 흡수 이행되어 살초작용을 나타내는 이미다졸리논계 제초제는?
42. 다음 중 살충제 농약으로 분류되는 것은?
43. 농약의 혼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4. 농약관리법에서 어독성 Ⅱ급을 구분하는 기준은? (단, 반수를 죽일 수 있는 농도(mg/L, 48시간) 기준이다.)
45. 항생제 농약이 아닌 것은?
46.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은 누가 정하는가?
47. 다음에서 설명하는 살균제는?
48. 농약관리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 중 틀린 것은?
49. 각종 작물에 적용할 수 있고 응애의 모든 생육단계에 걸쳐 효과가 있는 살응애제는?
50. 농약의 사용방법과 관련하여 일어나는 약해가 아닌 것은?
51. 피에이엠(PAM)은 주로 어느 농약의 중독치료제로 사용되는가?
52. 제초제의 처리방법에 따른 분류에 해당되는 것은?
53. 농약의 제제형태에 따라 분류한 것은?
54. 과실의 착색촉진, 숙기촉진의 역할을 하는 에세폰(39%) 액제는 어느 성분의 계열에 속하는가?
55. 약알칼리성 광물로서 안정하고 토분성이 우수하여 유기합성 농약의 분제 제제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증량제는?
56. 다음 중 농약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57. 과수원의 잡초방제에 가장 적당한 제초제는?
58.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가 해충에 작용하여 살충작용을 일으키는 주된 기작은?
59. 수질 내 화합물의 농도가 2ppm이고, 송사리 내의 농도가 20ppm일 때 이 화합물의 생물농축계수(BCF)는?
60. 제초제, 목재의 방부제, 낙엽촉진제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약제는?
4과목: 잡초방제학
61. 잡초 방제를 위한 조치로 가장 효과가 없는 것은?
62. 주로 지하경에 의해서 번식하는 잡초는?
63. 재배방법에 따른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4. 제초제의 선택성 발현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5. 잡초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66. 제초제가 작물에 약해를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가장 영향력이 큰 것은?
67. 주로 논에서 자라는 잡초가 아닌 것은?
68. 잡초에 의한 작물의 피해가 가장 심한 경우는?
69. 예방적 방제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70. 겨울작물 밭에서 우점하는 잡초는?
71. 주로 잔디밭에 많이 발생하는 잡초는?
72. 벼의 유효분얼이 끝나고 유수형성기 이전에 살포하는 경엽처리형 제초제는?
73. 제초제의 물리적 소실이 아닌 것은?
74. 논에 다년생 잡초가 증가한 주요 이유는?
75. 잡초 종자의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6. 잡초의 생육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7. 생물학적 방제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8. 잡초 방제의 경제성 분석 방법으로 다양한 잡초 발생밀도에서 농작물의 소득을 분석하는 것은?
79. 잡초에 대한 작물의 경합력 증진을 위해 가장 적절한 조치는?
80. 다년생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