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5-25)

자기비파괴검사기사(구)
(2003-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기탐상시험원리

1. 다음 중 비파괴검사를 실시할 때 제일 먼저 고려해야 할 내용은?

  1. 무엇을 알고자 하는 것인지
  2. 언제 실시할 것인지
  3. 어떻게 실시할 것인지
  4. 어디서 실시할 것인지
(정답률: 알수없음)
  • 비파괴검사를 실시할 때 제일 먼저 고려해야 할 내용은 "무엇을 알고자 하는 것인지"입니다. 이는 검사 방법과 검사 장비, 검사 시기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부식 검사를 실시할 때는 부식의 종류와 정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검사 방법과 장비를 선택해야 하며, 결함 검사를 실시할 때는 결함의 위치와 크기를 파악하여 검사 시기와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무엇을 알고자 하는지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비파괴검사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자분탐상검사시의 자분 검사액에 대하여 바르게 서술된 것은?

  1. 자분의 분산매는 휘발성이 높아야 한다.
  2. 자분의 분산매는 인화점이 낮아야 한다.
  3. 자분의 분산매는 점도가 높고, 적심성이 좋아야한다.
  4. 검사액 농도는 형광자분의 경우 0.3∼1.5g/ℓ 의 농도 범위가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검사액 농도는 형광자분의 경우 0.3∼1.5g/ℓ 의 농도 범위가 사용된다. 이유는 자분 검사 시에는 적절한 농도의 자분 검사액을 사용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너무 농도가 높으면 자분이 너무 많아져서 검사 결과가 왜곡될 수 있고, 너무 농도가 낮으면 검사 결과가 미약해져서 검출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농도 범위를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자분탐상검사로 시험체의 표면하 결함을 탐상코자 한다. 다음 중 가장 적당한 자화전류와 자분은?

  1. 반파직류와 습식자분 적용
  2. 반파직류와 건식자분 적용
  3. 직류와 건식자분 적용
  4. 교류와 습식자분 적용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적당한 자화전류와 자분은 "반파직류와 건식자분 적용"이다. 이는 자분탐상검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반파직류는 자성체의 표면하 결함을 탐지하기에 적합하며, 건식자분은 시험체의 표면에 물이 없는 경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습식자분은 시험체의 표면에 물이 있는 경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직류와 교류는 자성체의 특성에 따라 사용되는 경우가 다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분탐상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자화방법을 선택할 때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불연속의 방향과 자속의 방향을 평행하게 하여 불연속부에 많은 누설자속이 발생하는 방법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2. 반자계가 생기면 시험면에 자계가 유효하게 작용하지 않아 불연속의 검출성능이 저하하므로 반자계가 생기지 않는 방법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3. 표면하의 불연속을 검출하거나 잔류법을 적용할 때에는 직류를 사용하여 검출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4. 스파크로 인하여 시험면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시험체의 재질, 시험면의 상태와 시험 후의 가공공정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불연속의 방향과 자속의 방향을 평행하게 하여 불연속부에 많은 누설자속이 발생하는 방법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는 것은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이는 불연속부에서 자기장이 집중되어 누설자속이 발생하므로 검출성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이 아니다.

    반자계가 생기면 시험면에 자계가 유효하게 작용하지 않아 불연속의 검출성능이 저하하므로 반자계가 생기지 않는 방법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는 것은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표면하의 불연속을 검출하거나 잔류법을 적용할 때에는 직류를 사용하여 검출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는 것은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스파크로 인하여 시험면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시험체의 재질, 시험면의 상태와 시험 후의 가공공정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는 것은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석유저장 탱크나 구형 탱크와 같은 대형구조물의 용접부 균열 등의 불연속을 탐상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자분탐상 검사방법은?

  1. 축통전법
  2. 코일법
  3. 극간법
  4. 중심도체법
(정답률: 알수없음)
  • 극간법은 자기장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불연속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대상물의 표면에 자기장을 인가하고 그 자기장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불연속 부분의 위치와 크기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대형구조물의 용접부 균열 등의 불연속을 탐상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스트레인측정의 원리를 응용한 측정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광탄성법
  2. 형광서머그래피
  3. 구리도금법
  4. 모아레법
(정답률: 알수없음)
  • 형광서머그래피는 스트레인측정의 원리를 응용한 측정방법이 아닙니다. 형광서머그래피는 물질 내부에 존재하는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물질의 위치, 형태, 분포 등을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코일내 자계의 세기는 시험체를 놓는 위치에 따라 다르다. 만일 코일의 직경이 코일의 길이에 비해서 큰 경우 자계의 세기가 가장 강한 곳은?

  1. 코일 중간부의 내벽
  2. 코일 양끝의 내벽
  3. 코일 중간부의 중심축 부분
  4. 코일 양끝의 중심축 부분
(정답률: 알수없음)
  • 코일의 양끝 부분은 자계가 불규칙하게 분포하고, 중간부의 중심축 부분은 자계가 상쇄되어 세기가 약해진다. 따라서 코일 중간부의 내벽은 자계가 가장 집중되어 세기가 가장 강한 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봉형 비자성체에 직류를 흘렸을 때 자계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봉재 외부의 자계의 세기는 봉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감소한다.
  2. 외부 표면에서의 자계의 세기는 봉의 반지름이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3. 전류를 2배로 증가시키면 자계의 세기도 2배가 된다.
  4. 자계의 세기는 봉의 중심에서 0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외부 표면에서의 자계의 세기는 봉의 반지름이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봉의 반지름이 증가하면 봉의 표면적이 증가하므로, 같은 전류가 흐를 때 전류 밀도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외부 표면에서의 자계의 세기는 봉의 반지름이 증가할수록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개선폭이 작은 뒷면따내기(Backgouging)한 면의 자분탐상검사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극간법-건식
  2. 프로드법-건식
  3. 극간법-습식
  4. 프로드법-습식
(정답률: 알수없음)
  • 개선폭이 작은 뒷면따내기 작업에서는 미세한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자분탐상검사 방법 중에서도 민감한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프로드법-건식이 가장 적당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자석을 이용하여 자석주위에 생성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민감한 검사가 가능합니다. 또한 건식 방법은 습식 방법보다 검사 시간이 짧고, 검사장비가 간단하며, 검사결과의 정확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개선폭이 작은 뒷면따내기 작업에서는 프로드법-건식이 가장 적합한 자분탐상검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20[Oe]에서 자분모양이 나타나는 A형 표준시험편을 사용하여 자계의 세기가 30[Oe]가 되는 전류값을 구하려고 한다. A형 표준시험편을 시험체에 놓고 자화전류를 서서히 증가하여 400[A]에서 자분모양이 나타났다면 자화 전류값은?

  1. 266A
  2. 400A
  3. 600A
  4. 1,000A
(정답률: 알수없음)
  • A형 표준시험편에서 자분모양이 나타나는 자계의 세기는 20[Oe]이다. 따라서 자계의 세기를 30[Oe]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자화전류를 증가시켜야 한다. A형 표준시험편은 자화전류가 400[A]일 때 자분모양이 나타나므로, 자계의 세기를 30[Oe]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자화전류를 더 증가시켜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600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방향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자계가 한 개의 부품에 동시에 적용될 때 방향과 강도에 있어서 결과적으로 어떠한 자계가 되겠는가?

  1. 강한 자계의 합이 된다.
  2. 약한 자계가 된다.
  3. vector의 합인 하나의 자계가 된다.
  4. 균형잡힌 원형 자계가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두 개의 자계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할 때, 각각의 자계는 벡터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이때 두 벡터를 합하면 결과적으로 하나의 벡터가 되는데, 이것이 바로 두 자계의 합인 벡터입니다. 따라서 두 개의 자계가 한 개의 부품에 동시에 적용될 때, 방향과 강도에 있어서 결과적으로는 vector의 합인 하나의 자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자화곡선그림에서 자분탐상검사를 위한 적정 자화범위는?

  1. oa
  2. ab
  3. bc
  4. cd
(정답률: 알수없음)
  • 자화곡선그림에서 자분탐상검사를 위한 적정 자화범위는 "bc"이다. 이유는 "oa"와 "cd"는 자화력이 너무 약해서 검사에 적합하지 않고, "ab"는 자화력이 강해서 검사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bc"가 적정 자화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자분탐상검사시 자분 분산매 첨가제로 올바른 것은?

  1. 계면 활성제, 방청제, 소포제
  2. 휘발성 물질, 환원제, 방청제
  3. 계면 활성제, 중성 세제, 유화제
  4. 소포제, 접착성 물질, 인화성 물질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검사에서는 샘플을 분산시키기 위해 분산매 첨가제를 사용합니다. 이때 올바른 분산매 첨가제는 계면 활성제, 방청제, 소포제입니다. 계면 활성제는 샘플의 표면장력을 낮춰 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방청제는 샘플 내부의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방해합니다. 소포제는 분산된 입자들이 물리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되도록 돕습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첨가제가 자분탐상검사에서 적합한 분산매 첨가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제품을 연마하면 연마균열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어떠한 모양으로 나타나는가?

  1. 연마방향과 45° 방향으로 나타난다.
  2. 연마방향과 90° 방향으로 나타난다.
  3. 연마방향과 평행하게 나타난다.
  4. 일정한 형태의 모양으로 나타나지 않고 방향성이 없이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마 과정에서 연마 도구가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연마방향과 수직인 90° 방향으로 연마균열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는 연마 도구의 움직임과 재료의 구조적 특성에 의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자분탐상검사를 실시할 때 검출이 곤란한 결함의 방향은?

  1. 코일법에 있어서 시험체의 원주방향의 표면결함
  2. 극간법에 있어서 자극 사이에 평행한 표면결함
  3. 프로드법에 있어서 전극 사이에 평행한 표면결함
  4. 축통전법에 있어서 축에 평행한 표면결함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검사는 표면결함을 검출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 중에서도 극간법은 자극 사이에 평행한 표면결함을 검출하는 데 특히 유용합니다. 따라서 극간법을 사용하여 검사할 때는 이러한 결함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각각 코일법, 프로드법, 축통전법에서 검출이 곤란한 결함의 방향을 나타내는데, 이들 방법은 각각 시험체의 원주방향의 표면결함, 전극 사이에 평행한 표면결함, 축에 평행한 표면결함을 검출하는 데 특히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시험체에 자기에너지를 부여하지 않는 비파괴검사법은?

  1. 자기적 음향법(Magnetic Mechanical Acoustic Emission Testing)
  2. 전자 음향법(Electromagnetic Acoustic Testing)
  3. 핵자기 공명법(Nuclear Magnetic Resonance testing)
  4. 누설자속 탐상법(Magnetic Leakage Flux Testing)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 음향법은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검사 대상물질 내부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결함을 탐지하는 비파괴검사법이다. 자기적 음향법은 자기장을 이용하여 검사 대상물질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측정하여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이다. 핵자기 공명법은 원자핵의 자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이다. 누설자속 탐상법은 자기장을 이용하여 검사 대상물질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를 측정하여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자기적 음향법, 핵자기 공명법, 누설자속 탐상법은 모두 자기장을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므로 시험체에 자기에너지를 부여하지 않는 비파괴검사법이 아니며, 전자 음향법만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자분탐상검사시 자화 전류를 발생시키는 자화 전원부의 어떤 형식을 설명한 것이다. 이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축전기 방전식
  2. 강압 변압기식
  3. One-Pulse 통전식
  4. 강압 정류식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전원부는 축전기 방전식이나 One-Pulse 통전식과 달리 강압 변압기를 사용하여 자화 전류를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강압 변압기는 입력 전압을 고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압기로, 이를 이용하여 충분한 자화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투자율이란?

  1. 금속이 자화될 수 있는 정도이다.
  2. 전기가 잘 통하는 정도이다.
  3. 전자기파가 잘 통하는 정도이다.
  4. 전계에 대해 반응하는 정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투자율은 금속이 자화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금속 내부의 자기 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자화란 자기장에 의해 금속 내부의 전자들이 정렬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는 금속의 물리적 특성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투자율은 금속의 자기 구조와 관련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코일법을 사용하여 자분탐상검사를 할 때 길이가 긴 시험체는 길이를 나누어서 검사를 해야 한다. 이 때 나누는 길이의 최대치는?

  1. 8인치(200mm)
  2. 10인치(250mm)
  3. 12인치(300mm)
  4. 18인치(450mm)
(정답률: 알수없음)
  • 코일법은 자기장을 이용하여 시험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시험체를 통과하는 자기장의 세기는 시험체의 길이에 비례하므로, 길이가 긴 시험체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져서 검출능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긴 시험체는 길이를 나누어서 검사를 해야 한다.

    최대 나누는 길이는 자기장의 세기가 충분히 유지될 수 있는 길이로 결정된다. 이 길이는 코일의 크기와 형태, 시험체의 물성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일반적인 규칙은 없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18인치(450mm) 이하의 길이로 나누는 것이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유는 18인치 이상의 길이로 나누면 자기장의 세기가 너무 약해져서 검출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8인치(450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강자성체에 자장을 서서히 증가시킬 때, 재질내에 존재하는 자구(Magnetic domain)의 방향에 의한 영향으로 자화가 연속적으로 되지 않고 계단식으로 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표피효과(Skin effect)
  2. 홀효과(Hall effect)
  3. 박하우젠효과(Barkhausen effect)
  4. 모서리 효과(Edge effect)
(정답률: 알수없음)
  • 강자성체에 자장을 증가시키면, 자구들이 서로 정렬되어 자화가 일어난다. 그러나 자구들이 서로 정렬되는 과정에서는 자화가 연속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각각의 자구들이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자화가 일어나는데, 이때 자화의 크기가 갑자기 변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박하우젠효과(Barkhausen effect)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기탐상검사

21. 올스테드(Oersted)와 가우스(Gauss)는 자장의 세기와 자속밀도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다음 중 그 수치가 같다고 생각되는 곳은?

  1. 철강의 표면
  2. 막대자석의 양극사이의 중간점
  3. 공기 중에서
  4. 용접부내에 텅스텐이 개재된 곳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공기 중에서"이다. 이유는 올스테드와 가우스는 자기장의 세기와 자속밀도를 측정하는 단위이며, 이는 자기장이 존재하는 공간에서만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 중에서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철강의 표면이나 막대자석의 양극사이의 중간점, 용접부내에 텅스텐이 개재된 곳은 자기장이 존재하지 않는 곳이므로 측정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탐상결과 시험품에 여러 가지 불연속들이 나타나면 첫 번째 조치할 내용은?

  1. 시험품을 폐기해야 한다.
  2. 불연속들을 제거한 후에 시험품을 사용해야 한다.
  3. 불연속의 적용 허용기준 요건에 의해 판정되어야 한다.
  4. 균열의 깊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른 비파괴 검사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불연속의 적용 허용기준 요건에 의해 판정되어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불연속이 나타난다는 것은 시험품의 결함이나 불량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모든 불연속이 결함이나 불량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불연속의 종류와 크기,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적용 가능한 기준에 따라 판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불연속이 나타난 경우에는 불연속의 적용 허용기준 요건을 검토하고, 적용 가능하다면 시험품을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실린더형의 제품에 축전도체를 삽입시켜 자화시켰을 때 자화력의 세기가 가장 크게 예상되는 부위는?

  1. 실린더 외면
  2. 실린더 두께의 1/2 지점
  3. 실린더 양끝 단
  4. 실린더 내면
(정답률: 알수없음)
  • 실린더 내면에 축전도체를 삽입시켜 자화시키면, 축전도체와 실린더 내면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까우므로 자화력이 가장 크게 발생합니다. 반면에 실린더 외면이나 양끝 단은 축전도체와의 거리가 멀어 자화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지고, 실린더 두께의 1/2 지점은 축전도체와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아 자화력이 균일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실린더 내면이 자화력이 가장 강한 부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원형자화법으로 검사한 부품을 탈자할 경우 다음 중 먼저 고려해야 할 행위는?

  1. 재료의 자기이력 상태
  2. 선형자화시킨 후 탈자 시행
  3. 방향이 계속 바뀌는 자장을 이용하여 탈자
  4. Head shot에 장치한 후 반파정류를 사용한 단계별 전류 감소법으로 탈자
(정답률: 알수없음)
  • 선형자화시킨 후 탈자 시행을 먼저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원형자화법으로 검사한 부품은 자기력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부품을 탈자할 때는 자기력의 방향을 일정하게 만들어주는 선형자화를 시행한 후에 탈자를 진행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탈자 방법 중 하나일 뿐, 선형자화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습식자분 사용시 그 특징이 아닌 것은?

  1. 건식자분보다 재사용성이 좋다.
  2. 검사후 후속공정에 잔류자분으로 인한 제거성이 나쁘다.
  3. 미세한 표면균열 검사에 좋다.
  4. 자분액의 농도로 인한 유동성이 나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습식자분은 자분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분액의 농도로 인한 유동성이 나쁘다는 것이 특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분액의 농도로 인한 유동성이 나쁘다."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습식자분탐상용 검사액의 자분분산 농도가 결함 검출능력에 미치는 영향의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자분의 입도가 작으면 자분농도는 엷은 것이 좋다.
  2. 검사액의 적용시간이 길면 자분농도는 엷은 것이 좋다.
  3. 검사품의 표면이 거칠면 자분농도는 짙은 것이 좋다.
  4. 자분농도가 너무 짙으면 의사무늬가 나타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검사품의 표면이 거칠면 자분농도는 짙은 것이 좋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검사품의 표면이 거칠수록 자분이 더 잘 붙어서 검출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분농도가 짙은 것이 좋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자분탐상시험에서 자분모양이 나타났다. 이것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정확한 해석은?

  1. 그 위치 표면에 결함이 있음을 나타낸다.
  2. 그 위치 내부에 결함이 있다.
  3. 그 위치 표층부에 결함이 나타난 것으로 판정한다.
  4. 자분모양이 나타난 것만으로 결함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모양이 나타난 것만으로 결함이라고 단정할 수 없는 이유는 자분모양이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분모양이 나타난 위치가 표면이라면 결함이 있을 수 있지만, 그 위치가 내부에 있다면 결함이 아닐 수도 있다. 또한, 자분모양이 나타난 위치가 표층부라고 해서 반드시 결함이라고 판정할 수도 없다. 따라서, 자분모양이 나타난 것만으로는 결함 여부를 단정할 수 없으며, 추가적인 검사나 분석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자분탐상시험시 자분의 필요성은 절대적이다. 자분이 구비하여야 할 조건 중 틀린 것은?

  1. 정교하고 미세한 분말이어야 한다.
  2. 높은 투자율을 가져야 한다.
  3. 높은 보자성을 가져야 한다.
  4. 자분에 독성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시험에서는 정교하고 미세한 분말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자분은 높은 보자성을 가져야 합니다. 보자성이란 입자들이 서로 붙어서 큰 입자를 이루는 경향을 말하며, 이는 입자들이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자분은 높은 보자성을 가지고 있어야만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높은 투자율과 독성이 없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보다는 보자성이 더욱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원통의 내면을 잘 자화하는 자분탐상검사 방법은?

  1. 축통전법
  2. Prod 법
  3. 전류관통법
  4. 극간법
(정답률: 알수없음)
  • 원통의 내면을 잘 자화하는 자분탐상검사 방법 중에서 전류관통법은 원통의 내면에 전류를 흘려보내어 자화된 자기장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측정이 빠르고 정확하며, 원통의 내면 전체를 균일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자분탐상검사시 다음 중 가장 검출이 용이한 불연속의 형태는?

  1. 길이와 높이의 비가 4 : 1
  2. 길이와 높이의 비가 3 : 1
  3. 길이와 높이의 비가 2 : 1
  4. 길이와 높이의 비가 1 : 1
(정답률: 알수없음)
  • 길이와 높이의 비가 1 : 1 인 형태는 정사각형이므로, 모든 면이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검출이 용이합니다. 다른 비율의 형태는 면적이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검출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자분탐상시험의 가장 효과적인 용도는?

  1. 철금속의 내부, 외부 불연속을 검출할 수 있다.
  2. 철금속의 표면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3. 비철금속의 내부, 외부 불연속을 검출할 수 있다.
  4. 비철금속의 표면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시험은 금속의 표면을 산화시켜서 그 표면에 있는 결함이나 불순물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철금속의 표면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시험재료1의 자기이력곡선에 비하여 시험재료2의 자기이력곡선이 나타내는 것은?

  1. 항자력이 높다.
  2. 보자성이 높다.
  3. 투자율이 높다.
  4. 잔류자속 밀도가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험재료2는 자기이력곡선이 더 높게 나타나므로 자기장에 노출되는 시간이 더 길어지고, 이에 따라 자기화되는 정도가 높아져서 투자율이 높아진다. 즉, 자기화되는 능력이 높아져서 자기장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자기화 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투자율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용접부의 검사 중에서 자분탐상시험이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개선면 검사
  2. 뒷면 따내기한 면의 검사
  3. 용접 중간층 검사
  4. 용접 후 라미네이션 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 중간층 검사는 용접 부위의 내부를 검사하는 것으로, 자분탐상시험은 표면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이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내용은 자화전류를 발생시키는 자화 전원부의 어떤 형식을 설명한 것인가?

  1. 축전기 방전식
  2. One-Pulse 통전식
  3. 강압 변압기식
  4. 강압 정류식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자화 전원부가 강압 변압기식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강압 변압기는 입력 전압을 고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압기로, 이를 이용하여 자화 전류를 발생시키는 방식이 강압 변압기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자분탐상용 검사액의 농도 단위는?

  1. g /100mℓ
  2. g /100kg
  3. mℓ /100mℓ
  4. mℓ /100kg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자분탐상용 검사액의 농도 단위는 "mℓ /100mℓ"이다. 이는 검사액 100mℓ 당 해당 자분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검사액의 부피와 자분의 양을 모두 고려하기 때문에 정확한 농도 측정이 가능하다. 다른 단위인 "g /100mℓ"은 검사액의 부피는 고려하지 않고 자분의 양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정확한 농도 측정이 어렵다. "g /100kg"와 "mℓ /100kg"는 검사액의 부피가 아닌 시료의 무게나 부피를 기준으로 농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자분탐상용 검사액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국부적인 자계나 누설자속 밀도를 측정하는 검출기의 명칭은?

  1. Inspection Coil
  2. EMAT
  3. Tesla meter
  4. Flux Induced Coil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Tesla meter

    이유: Tesla meter는 자기장 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검출기로, 국부적인 자계나 누설자속 밀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Inspection Coil은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검출기이며, EMAT은 전기기계적 에너지 변환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생성하는 검출기입니다. Flux Induced Coil은 자기장 변화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하여 측정하는 검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자분탐상시험 중 직접 통전방식이 아닌 것은?

  1. 요크법
  2. 축통전법
  3. 프로드법
  4. 직각통전법
(정답률: 알수없음)
  • 요크법은 두 개의 전선이 서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전기를 전달하는 방법이며, 나머지 세 가지 방법은 직접적으로 전선을 연결하여 전기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요크법은 직접 통전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길이 30㎝, 직경 8㎝되는 시험품을 자분 탐상코일로 선형 자화하고 싶다. 코일의 감긴 수가 6회전일 때 요구되는 전류 값은?

  1. 10,000 Ampere
  2. 5,000 Ampere
  3. 2,000 Ampere
  4. 1,000 Ampere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 탐상코일의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 = (d^2 * n^2) / (18d + 40l)

    여기서 d는 코일의 직경, l은 코일의 길이, n은 감긴 수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인덕턴스를 계산할 수 있다.

    L = (8^2 * 6^2) / (18*8 + 40*30) = 0.002 H

    요구되는 전류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 = V / (2πfL)

    여기서 V는 전압, f는 주파수, L은 인덕턴스이다.

    이 문제에서는 주파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60 Hz를 가정하자.

    그리고 자분 탐상코일은 대개 1,000 보트 이상의 전압을 사용하므로, 전압을 1,000 V로 가정하자.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되는 전류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 = 1,000 / (2π*60*0.002) = 2,094.4 A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2,000 Amper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자분탐상검사에서 결함 검출능이 높은 경우는?

  1. 투자율이 큰 재료일수록 검출능이 높다.
  2. 자기 포화점에서 검출능이 높다.
  3. 자속 밀도가 낮을수록 검출능이 높다.
  4. 자분 입도가 클수록 검출능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분 입도가 클수록 검출능이 높다."입니다.

    자분탐상검사는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입자의 크기가 크면 검출능이 높아집니다. 자분 입도가 클수록 입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검출능이 높아집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자분탐상검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원형 자화법으로 표면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교류 대신 직류를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1. 자분의 유동성과는 무관하기 때문에
  2. DC는 AC보다 자분의 자기포화점이 높기 때문에
  3. AC는 표피효과에 의해 검출깊이의 한계를 갖고 있기때문에
  4. DC는 반자장의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에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 자화법에서는 표면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교류 대신 직류를 사용합니다. 이는 AC가 표피효과에 의해 검출깊이의 한계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AC는 자기장이 깊숙히 침투하지 못하고 표면에서만 작용하기 때문에, 검출 가능한 깊이가 제한됩니다. 반면 DC는 자기장이 깊숙히 침투하여 깊은 결함까지 검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기탐상관련규격및컴퓨터활용

41. ASME Sec.V Art.8, App.I에서 규정한 대비시험편이 포함하는 100% 관통 드릴구멍의 직경은? (단, 시험편 외경이 3/4인치 이하인 경우)

  1. 0.022인치
  2. 0.032인치
  3. 0.042인치
  4. 0.052인치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V Art.8, App.I에서는 대비시험편이 포함하는 100% 관통 드릴구멍의 직경을 0.052인치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시험편 외경이 3/4인치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는 값으로, 이보다 작은 직경의 드릴구멍은 시험편의 강도를 충분히 평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비시험편을 제작할 때는 이 규정을 준수하여 드릴구멍을 제작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의 서버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SMTP 서버 : 메일러로부터 전자우편을 받아서 상대방의 SMTP 서버로 보낸다.
  2. FTP 서버 : 파일의 송수신을 지원한다.
  3. Proxy 서버 : 특정 조식의 랜과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서 방화벽 역할을 수행하며, 동시에 여러 외부 서버의 데이터를 대신 받아주는 역할을 한다.
  4. Gopher 서버 : 원격 시스템 접속을 지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Gopher 서버 : 원격 시스템 접속을 지원한다. - 잘못된 설명입니다. Gopher 서버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며, 원격 시스템 접속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ASME Sec.V에 따르면 두께 19㎜ 이상인 시험체에서 Prod법을 수행할 때의 적합한 조건은?

  1. Prod 간격은 2~5인치, 간격 1인치당 전류는 100~125A
  2. Prod 간격은 6~8인치, 간격 1인치당 전류는 50~100A
  3. Prod 간격은 3~5인치, 간격 1인치당 전류는 50~100A
  4. Prod 간격은 6~8인치, 간격 1인치당 전류는 100~125A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V에서는 두께 19㎜ 이상인 시험체에서 Prod법을 수행할 때, Prod 간격이 6~8인치이고 간격 1인치당 전류는 100~125A인 것이 적합하다고 권장합니다. 이는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시험체 내부에서 전류의 분포가 불균일해지기 때문에, Prod 간격을 넓게 하여 전류의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고, 전류의 강도를 높여 시험체 내부를 더욱 깊숙히 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한, Prod 간격이 넓어질수록 시험 시간이 더욱 짧아지므로, 생산성도 향상됩니다. 따라서, "Prod 간격은 6~8인치, 간격 1인치당 전류는 100~125A"가 적합한 조건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ASME 규격에서 자분탐상시험시 습식 자분을 사용할 경우 시험편의 표면온도는 몇 도를 초과하지 말아야 하는가?

  1. 135°F
  2. 175°F
  3. 400°F
  4. 600°F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규격에서는 습식 자분탐상시험시 시험편의 표면온도가 135°F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습식 자분탐상시험에서 사용되는 자분이 물이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는 빠르게 증발하여 자분의 농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험편의 표면온도를 135°F 이하로 유지하여 정확한 시험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ASME 규격에 따른 자장지시계(Magnetic Particle Field Indicator)에 대한 내용중 틀린 것은?

  1. 한쪽면이 0.01인치의 두께로 구리도금 되어 있다.
  2. 인공홈의 너비는 최대 1/32인치이다.
  3. 삼각형 모양(파이모양)의 저탄소강을 8개 붙여 만들었다.
  4. 두께는 1/4인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두께는 1/4인치이다."는 ASME 규격에 따른 자장지시계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ASME 규격에 따르면 자장지시계의 두께는 1/8인치 이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께는 1/4인치이다."는 틀린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ASTM E 749에서 규정한 자분 검사액의 점도(viscosity)는 얼마를 초과해서는 안되는가?

  1. 2.5mm2/s
  2. 5mm2/s
  3. 10mm2/s
  4. 20mm2/s
(정답률: 알수없음)
  • ASTM E 749에서 규정한 자분 검사액의 점도는 5mm2/s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이는 자분 검사액이 너무 높은 점도를 가지면 입자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5mm2/s 이하의 점도를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ASME Sec.V에서 습식 자분용액의 주기적인 오염도 시험은 최소 몇 일 이내의 간격으로 시험하여야 하는가?

  1. 7일
  2. 15일
  3. 30일
  4. 90일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V에서는 습식 자분용액의 주기적인 오염도 시험 간격을 7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오염도 시험을 통해 시험 시간이 길어질수록 오염도 값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시험을 실시하여 적절한 유지보수 및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7일 간격으로 시험을 실시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잔류법에서 습식자분을 시험체에 적용하는 시기로 알맞는 것은?

  1. 자화 직전에
  2. 자화 중에
  3. 자화 후에
  4. 아무 때나
(정답률: 알수없음)
  • 잔류법에서 습식자분을 시험체에 적용하는 시기는 자화 후에이다. 이는 자화 과정에서 시료가 냉각되어 결정이 형성되고, 이후에 습식자분을 적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자화 직전이나 중간에 습식자분을 적용하면 시료의 결정화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아무 때나 적용하면 시료의 상태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의 설명 중 내용이 옳은 것은?

  1. 잔류법이란 영구자석을 접속시켜 주면서 자분의 적용을 완료하는 방법
  2. 연속법이란 자화전류를 단절시킨 후에 자분의 적용을 행하는 방법
  3. A형 표준시험편상의 자분모양으로 자분의 성능을 알 수 있다.
  4. 건조시킨 자분을 액체 용매에 현탁시켜서 시험하는 방법을 건식법이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A형 표준시험편상의 자분모양으로 자분의 성능을 알 수 있다." 이 설명이 옳은 이유는 A형 표준시험편은 일정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자분의 크기와 분포, 형태 등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형 표준시험편을 이용하여 자분의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KS D 0213의 시험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형 표준시험편은 용접부의 개선면 등의 좁은 부분에 사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2. A형 표준시험편의 크기는 한변이 15mm인 정사각형이다.
  3. B형 대비시험편은 장치, 자분 및 검사액의 성능을 조사하는데 사용한다.
  4. C형 표준시험편의 C1은 A2-7/50에 근사한 값의 유효 자계에 자분모양이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B형 대비시험편은 장치, 자분 및 검사액의 성능을 조사하는데 사용한다. 이는 시험편의 목적과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시험편이 존재하는 것을 보여준다. A형 표준시험편은 좁은 부분에 사용하는 것이 목적이며, 크기는 한변이 15mm인 정사각형이다. C형 표준시험편의 C1은 A2-7/50에 근사한 값의 유효 자계에 자분모양이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여 사이트를 찾고자 할 때 사용할 프로그램은?

  1. 즐겨찾기
  2. 검색엔진
  3. 목록보기
  4. 인터넷옵션
(정답률: 알수없음)
  • 검색엔진은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와 관련된 웹사이트를 찾아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사용자가 이미 알고 있는 사이트를 찾거나 인터넷 설정을 변경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검색엔진은 새로운 정보를 찾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디스크의 단편화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의 프로그램은?

  1. 디스크 검사
  2. 디스크 정리
  3. 디스크 조각모음
  4. 디스크 공간 늘림
(정답률: 알수없음)
  • 디스크 조각모음은 디스크의 파일들이 분산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하나로 모아서 저장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를 통해 디스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파일 접근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스크의 단편화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의 프로그램은 디스크 조각모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KS D 0213에서 자기회로가 시험품내에서 폐회로가 되어 반자장이 생기지 않으므로 시험품을 효과적으로 자화할 수 있는 검사 방법으로서 시험체의 축방향에 직접 전류를 흐르게 하는 자화방법은?

  1. 전류관통법
  2. 자속관통법
  3. 축통전법
  4. 요크법
(정답률: 알수없음)
  • KS D 0213에서는 자기회로가 폐회로가 되어 반자장이 생기지 않으므로, 시험품을 효과적으로 자화하기 위해서는 시험체의 축방향에 직접 전류를 흐르게 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가 "축통전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험체의 축방향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화시키는 방법으로, 시험체의 전체적인 자화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KS D 0213에서는 축통전법을 사용하여 시험품을 자화하고 검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에 설명된 자분모양 중 KS D 0213에서 연속한 자분모양으로 분류되는 것은?

  1. 균열에 의해 나무가지 모양으로 연결되어 나타난 자분모양으로 그 길이가 30mm인 자분지시
  2. 기공에 의해 나타난 직경이 1mm인 지시 3개가 1mm 간격으로 일렬로 나타난 자분지시
  3. 길이가 25mm, 나비가 2mm인 지시와 길이가 5mm, 나비가 2mm인 지시가 5mm 간격으로 나타난 지시
  4. 용입부족에 의해 길이가 50mm로 길게 연결된 선형지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기공에 의해 나타난 직경이 1mm인 지시 3개가 1mm 간격으로 일렬로 나타난 자분지시"입니다. 이유는 KS D 0213에서 연속한 자분모양으로 분류되는 것은 "일렬로 나타난 지시"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연속한 자분모양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인터넷의 개념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수많은 사람이나 기관과 연결할 수 있는 개방구조이다.
  2. 독자적인 주소를 할당받는다.
  3. 전세계 통신망들이 합쳐진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이다.
  4. 단일 운영체제로 연결된 네트워크 통신망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일 운영체제로 연결된 네트워크 통신망이다."는 인터넷의 개념과 관련이 없는 것이다. 이유는 인터넷은 여러 운영체제와 기기들이 연결되어 개방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자우편을 이용할 때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다른 시스템에 도착한 전자우편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은?

  1. POP3
  2. SMTP
  3. NMTP
  4. HTTP
(정답률: 알수없음)
  • POP3는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의 약자로, 이메일 서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자우편을 가져오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에서 POP3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이메일 서버에서 전자우편을 다운로드하고 볼 수 있습니다. SMTP는 이메일을 보내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NMTP는 네트워크 메일 전송 프로토콜로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자기펜 자국(Magnetic writing)의 원인을 설명한 것은?

  1. 자화 케이블 등이 시험면에 접촉할 때
  2. 단면적의 급변으로 생긴 누설자속에 의해
  3. 잔류법에 있어서 시험품이 서로 접촉한 경우
  4. 극간법에서 자극의 접촉부에 생기는 누설자속에 의해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펜 자국은 잔류법에 있어서 시험품이 서로 접촉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ASME code에서 외경이 5인치 초과 10인치까지의 시험편에 대하여 직접 접촉법에 의한 원형자화법 사용시 전류는 외경 인치당 몇 암페어를 적용하는가?

  1. 100 ∼ 300 암페어/인치
  2. 300 ∼ 800 암페어/인치
  3. 800 ∼ 1,200 암페어/인치
  4. 1,200 ∼ 1,500 암페어/인치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code에서는 외경이 5인치 초과 10인치까지의 시험편에 대하여 직접 접촉법에 의한 원형자화법을 사용할 때, 전류는 외경 인치당 300 ∼ 800 암페어를 적용합니다. 이는 시험편의 크기와 물성에 따라 적절한 전류를 적용하여 적절한 자화력을 얻기 위함입니다. 또한, 이 범위는 시험편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전류를 높여야 하므로, 큰 시험편에 대해서는 더 높은 전류를 적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ASME Sec.V 규격에서 비형광자분으로 시험할 때, 시험체 표면에서의 밝기 규정은 최소 몇 룩스(Lux)인가?

  1. 500
  2. 1000
  3. 20
  4. 200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V 규격에서 비형광자분으로 시험할 때, 시험체 표면에서의 밝기 규정은 최소 1000 룩스(Lux)이다. 이는 시험체 표면에서 충분한 밝기를 유지하여 시험자가 결함을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500 룩스나 20 룩스, 200 룩스는 시험에 필요한 충분한 밝기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KS D 0213에 따르면 시험장치(자외선 조사장치, 전류계, 타이머)의 점검주기는?

  1. 8시간
  2. 3개월
  3. 6개월
  4. 1년
(정답률: 알수없음)
  • KS D 0213은 시험장치의 점검주기를 규정하는 표준이다. 이 중에서도 자외선 조사장치, 전류계, 타이머와 같은 시험장치는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험장치는 사용 빈도와 사용 환경에 따라서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1년 주기로 점검을 해야 한다. 이는 안전성을 보장하고,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함이다. 따라서, KS D 0213에 따르면 시험장치의 점검주기는 1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금속재료학

61. 자석강이 아닌 것은?

  1. NKS강
  2. Koster강
  3. MK강
  4. Vanity강
(정답률: 알수없음)
  • 자석강은 자기장을 유지하는 능력이 있는 강철로, 그 중에서도 NKS강, Koster강, MK강은 모두 자석강이지만 Vanity강은 자기장을 유지하지 못하는 일반적인 강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귀금속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백금
(정답률: 알수없음)
  • 철은 금속이지만, 귀금속은 아닙니다. 귀금속은 금, 은, 백금과 같이 상대적으로 드문 금속으로, 보통은 장신구나 특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반면 철은 상대적으로 흔한 금속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탄소강에서 상온취성(cold shortness)의 원인이 되는 원소는?

  1. 황(S)
  2. 인(P)
  3. 규소(Si)
  4. 망간(Mn)
(정답률: 알수없음)
  • 탄소강에서 상온취성의 원인이 되는 원소는 인(P)입니다. 이는 인이 탄소강 내부에서 황과 결합하여 황화물을 형성하고, 이 황화물이 결정구조 내부에서 결합하여 결정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강의 인성이 떨어지고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석출경화형 스테인리스강인 것은?

  1. SS 형
  2. RS 형
  3. EF 형
  4. PH 형
(정답률: 알수없음)
  • 석출경화형 스테인리스강 중 PH 형은 크롬과 니켈 함량이 높아 내식성이 우수하며, 석출경화처리를 통해 강도와 경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스프링강으로 가장 적당한 조직은?

  1. 페라이트
  2. 오스테나이트
  3. 솔바이트
  4. 시멘타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프링강은 탄소강 중에서도 탄소 함량이 낮은 강종으로, 내식성과 탄성이 뛰어나며 가공성이 우수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스프링 제조에 적합한 강종으로 솔바이트가 가장 적합합니다. 솔바이트는 탄소 함량이 0.6% 이하인 강종으로, 스프링 제조에 필요한 높은 탄성과 내식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프링강으로 가장 적합한 조직은 솔바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활자(Type metal)합금은?

  1. Cu-Sb-Zr
  2. Fe-Zn-Sb
  3. Pb-Sb-Sn
  4. Al-Se-Zn
(정답률: 알수없음)
  • 활자(Type metal) 합금은 Pb(Sn)-Sb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Pb(Sn)이 높은 용융점과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어서 활자의 무게를 유지하고, Sb가 높은 경도와 내식성을 제공하며, Sn이 합금의 강도와 경도를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세라다이징(sherardizing)은 어느 금속을 철강제품의 표면에 확산 피복시킨 것인가?

  1. Cr
  2. Aℓ
  3. Si
  4. Zn
(정답률: 알수없음)
  • 세라다이징은 아연(Zn)을 이용하여 철강제품의 표면에 확산 피복시키는 공정이다. 이는 아연이 철과의 화학적 상호작용으로 철강의 표면을 보호하고 부식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Z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델타 메탈(delta metal)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주물이나 단조재로 사용되며 고온가공성이 양호하다.
  2. 6:4 황동에 1% 내외의 Fe 가 포함된 것이다.
  3. Cu 54∼58%, Sn 40∼43%, Mg 1% 이내의 합금이다.
  4. 내식성이 우수하므로 선박, 광산, 수력기계, 화학 기계 볼트 너트 등에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6:4 황동에 1% 내외의 Fe 가 포함된 것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Delta metal은 Cu-Sn-Mg 합금으로 구성되며 Fe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마우러 조직도(maurer diagram)란?

  1. 주철에서 C 와 Si 양에 따른 주철의 조직 관계
  2. 주철에서 C 와 P 양에 따른 주철의 조직 관계
  3. 주철에서 C 와 Mn 양에 따른 주철의 조직 관계
  4. 주철에서 C 와 S 양에 따른 주철의 조직 관계
(정답률: 알수없음)
  • 마우러 조직도는 주로 금속 합금의 조직 변화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다양한 조성의 금속 합금에서 각각의 원소의 함량에 따른 조직 변화를 보여준다. 따라서 "주철에서 C 와 Si 양에 따른 주철의 조직 관계"는 주철 합금에서 탄소(C)와 실리콘(Si) 함량에 따른 조직 변화를 보여주는 그림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아연의 성질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주조상태에서는 조대결정이 되므로 연신이 낮고 취약 하여 상온가공이 어렵다.
  2. 체심입방격자이며 고온에서 증기압이 낮다.
  3. 건조한 공기중에서는 산화가 잘되며 산, 알칼리에 강하다.
  4. Fe가 0.008% 이상이 되면 연질의 FeZn7상이 나타나 인성과 인장강도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조상태에서는 조대결정이 되어 연신이 낮고 취약하기 때문에 상온에서 가공이 어렵습니다. 이는 아연이 고온에서 빠르게 결정화되어 고온가공에는 적합하지만, 상온에서는 연신이 낮아 가공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Silumin의 개량 처리법에 있어서 미량의 Na 첨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과냉현상과 결정성장의 저지에 의한다.
  2. 융체화 처리에 따른 공공(vacancy)의 형성에 의한다.
  3. 풀림에 따른 응고핵발생수의 증가에 의한다.
  4. 풀림 처리에 따른 결정립성장에 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융체화 처리에 따른 공공(vacancy)의 형성에 의한다."이다.

    Silumin은 알루미늄과 실리콘의 합금으로, 고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 등에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Silumin은 과냉현상과 결정성장의 저지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량 처리법 중 하나는 미량의 나트륨(Na) 첨가이다.

    나트륨 첨가는 융체화 처리에 따른 공공(vacancy)의 형성을 유도하여 과냉현상과 결정성장의 저지를 방지한다. 공공은 결정성장을 방해하고, 결정립의 크기와 분포를 조절하여 더욱 세밀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나트륨 첨가는 Silumin의 물성을 개선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주물용 Aℓ 청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고력황동을 사용해서 만든 프로펠러 보다 중량을 10∼20% 가볍게 할 수 있다.
  2. 내해수성이 좋아 대형 프로펠러를 만들수 있다.
  3. 경도, 내마모성이 나쁘다.
  4. 화학 공업장치 분야에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물용 Aℓ 청동은 고력황동을 사용해서 만든 프로펠러에 비해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고 내해수성이 좋아 대형 프로펠러를 만들 수 있으며 화학 공업장치 분야에 사용된다. 하지만 경도와 내마모성이 나쁘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경도와 내마모성이 좋은 주물용 Aℓ 청동도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고력황동의 조직으로 맞는 것은?

  1. δ + α
  2. α + σ
  3. α + β
  4. β + γ
(정답률: 알수없음)
  • 고력황동은 중국의 역사적인 조직으로, 군사적인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이 조직은 세 가지 등급으로 나뉘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높은 등급은 "황"이었습니다. 이 황 등급은 "α"로 표기되며, 그 아래 등급인 "백"은 "β"로 표기됩니다. 따라서, 고력황동의 조직으로 맞는 것은 "α + 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서브 제로(sub-zero)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0℃이하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조작이다.
  2. 마텐자이트변태를 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3. 마텐자이트변태를 진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4. 심냉처리라고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서브 제로는 마텐자이트변태를 중지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마텐자이트변태를 진행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텐자이트변태를 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열전대로 사용되는 Alumel 이란 어느 계통의 합금인가?

  1. Ni-Aℓ -Fe 합금
  2. Aℓ -Cr-Co 합금
  3. Ni-Mg -Cu 합금
  4. Aℓ -Mn-Pb 합금
(정답률: 알수없음)
  • Alumel은 Ni-Aℓ-Fe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니켈, 알루미늄, 철 세 가지 원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열전대의 양단에 사용되는 합금입니다. 이 합금은 고온에서 안정적이며, 내식성과 내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열전대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피검면의 상황을 셀루로이드피막에 옮겨서 이것을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방법은?

  1. EDT 법
  2. IMPULES 법
  3. UT - NDT 법
  4. SUMP 법
(정답률: 알수없음)
  • SUMP 법은 피검면을 셀루로이드피막에 옮긴 후, 이를 액체에 담가서 공기를 제거하여 피막과 액체 사이에 진공을 형성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진공은 현미경으로 검사할 때 피검면을 더욱 선명하게 보이게 해줍니다. 따라서 SUMP 법은 현미경으로 피검면을 검사하는 데에 유용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와이(Y)합금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Aℓ -Zn 합금에 소량의 Mg 과 Mn을 첨가한 내열성합금
  2. Aℓ -Cu 합금에 소량의 Mg 과 Ni를 첨가한 내열성합금
  3. Aℓ -Si 합금에 소량의 Mg 과 Pb을 첨가한 내열성합금
  4. Aℓ -Fe 합금에 소량의 Mg 과 Sn을 첨가한 내열성합금
(정답률: 알수없음)
  • 와이(Y)합금은 Aℓ-Cu 합금에 소량의 Mg과 Ni를 첨가한 내열성합금입니다. 이는 Aℓ-Zn, Aℓ-Si, Aℓ-Fe 합금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Fe3C의 금속간 화합물에 있어서의 탄소의 원자비는?

  1. 25%
  2. 40%
  3. 60%
  4. 85%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열처리 목적에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조직을 연화시키거나 기계가공에 적합한상태로 한다.
  2. 조직을 조대화시키고 방향성을 크게하며 편석을 많게 한다.
  3. 냉간가공 후 나쁜 영향을 제거한다.
  4. 조직을 안정화시키고 내식성을 개선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직을 조대화시키고 방향성을 크게하며 편석을 많게 한다."는 열처리 목적과는 관련이 없는 것이다. 이는 조직 개선이나 강도 향상과 같은 목적이 아니라 조직의 형태나 모양을 바꾸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Ti 제련시 사염화티타늄(TiCl4)을 환원하여 스폰지(sponge)티탄을 얻는데 사용하는 환원제는?

  1. Aℓ
  2. Mg
  3. Cu
  4. Si
(정답률: 알수없음)
  • TiCl4을 환원하여 Ti를 얻기 위해서는 TiCl4 분자 내의 Ti의 산화수를 낮춰줄 환원제가 필요하다. 이때 TiCl4 분자 내의 Ti의 산화수는 +4이므로, 이를 낮춰주기 위해서는 산화수가 +2인 환원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산화수가 +2인 원소는 Mg이므로, Mg가 TiCl4을 환원하여 스폰지티탄을 얻는데 사용되는 환원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용접일반

81. 용접기의 1차 입력이 20kVA 이고 전원 전압이 200V일 때, 용접기 1차측 안전 스위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00A
  2. 10A
  3. 5A
  4. 0.1A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기의 1차 입력 전류는 전력을 전압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kVA / 200V = 100A 가 됩니다. 따라서 용접기 1차측 안전 스위치로는 100A가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1차 입력 전류를 감당할 수 없는 값이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강 용접물의 용접 변형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것은?

  1. 용접입열
  2. 강의 상변태
  3. 용착량
  4. 용접결함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결함은 용접물의 결함으로, 용접 변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반면에 용접입열은 용접 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용접 변형을 유발할 수 있고, 강의 상변태는 강재의 물성 변화로 인해 용접 변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용착량은 용접 시 사용되는 용접재의 양으로, 용접 변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용접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의 용접법 중에서 전기적인 아크(Arc)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은?

  1. 테르밋 용접
  2. 플라즈마 용접
  3. 일렉트로슬래그 용접
  4. 프로젝션 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적인 아크(Arc)에너지를 이용하는 용접법은 "플라즈마 용접"입니다. 이는 전극과 작업물 사이에 전기 아크를 발생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작업물을 용접하는 방식입니다. 다른 용접법들은 전기적인 아크에너지를 이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플라스마 제트 용접의 특징 중 틀린 것은?

  1. 열에너지의 집중이 좋다.
  2. 용접속도가 빠르다.
  3. 맞대기 용접에서 모재 두께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4. 각종 재료의 용접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맞대기 용접에서 모재 두께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플라스마 제트 용접은 열에너지를 집중시켜 용접을 수행하므로 용접속도가 빠르고 각종 재료의 용접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맞대기 용접에서는 모재 두께가 일정 이상이 되면 용접이 어렵거나 불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가스용접에서 좌(전)진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접속도는 우진법에 비하여 느리다.
  2. 소요 홈각도는 우진법에 비하여 작다.
  3. 용접 변형은 우진법에 비하여 크다.
  4. 열 이용률은 우진법에 비하여 나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요 홈각도는 우진법에 비하여 작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좌(전)진법은 우진법에 비해 용접속도가 느리고, 용접 변형이 크며, 열 이용률이 나쁘다는 특징이 있지만, 소요 홈각도는 우진법에 비해 크다는 특징이 있다.

    소요 홈각도란 용접 시 용접봉과 기저재 사이에 생기는 홈의 각도를 말하는데, 좌(전)진법은 우진법에 비해 홈각도가 크기 때문에 용접봉과 기저재 사이에 녹이 적게 생기고, 용접이 깔끔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산소-아세틸렌 가스 절단시 절단조건으로 설명이 잘못된것은?

  1. 모재 중 불연소물이 적을 것
  2. 슬랙의 유동성이 좋고 쉽게 이탈할 것
  3. 모재의 연소온도가 용융온도보다 높을 것
  4. 슬랙의 용융온도가 모재의 용융온도보다 낮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모재의 연소온도가 용융온도보다 높을 것"이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유는 모재의 연소온도와 용융온도는 서로 독립적인 성질이기 때문입니다. 모재의 연소온도는 모재가 연소할 때 필요한 최소 온도를 의미하며, 용융온도는 모재가 용융되는 최소 온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모재의 연소온도와 용융온도는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탄산가스 용접시 와이어 돌출길이가 적당해야 용접이 잘된다. 용접전류 200[A] 미만일 때 다음 중 몇 mm 정도면 적당한가?

  1. 5 ∼ 7
  2. 10 ∼ 15
  3. 20 ∼ 25
  4. 25 ∼ 30
(정답률: 알수없음)
  • 탄산가스 용접시 와이어 돌출길이가 너무 짧으면 용접물이 충분히 채워지지 않아 용접이 약해지고, 너무 길면 용접물이 불필요하게 많아져서 용접이 불안정해진다. 따라서 적당한 와이어 돌출길이는 10~15mm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아세틸렌 가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공기보다 가볍다.
  2. 순수한 아세틸렌 가스는 무색 기체이다.
  3. 불순물인 황화수소 등을 포함하고 있어 악취가 난다.
  4. 물에는 25배정도 용해되어서 용해 아세틸렌으로 만들어 용접에 이용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아세틸렌 가스는 물에 용해되어 용해 아세틸렌으로 만들어 용접에 이용되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저수소계, 일미나이트계, 티탄계, 고산화철계 용접봉의 용접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균열성은 피복제의 염기도가 높을수록 양호하다.
  2. 작업성은 피복제의 염기도가 높을수록 향상된다.
  3. 내균열성은 저수소계가 가장 좋다.
  4. 티탄계는 내균열성은 가장 나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티탄계는 내균열성은 가장 나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피복제의 염기도가 높을수록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유는, 염기도가 높을수록 피복제의 산화성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용접봉의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용접시 발생하는 산화물을 제거하여 용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내균열성은 저수소계가 가장 좋은 이유는, 저수소계는 용접봉 내부의 수소를 흡수하여 수소가 용접부에서 발생하는 내균열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티탄계는 내균열성이 좋지 않은 이유는, 티탄계 용접봉은 용접시 발생하는 수소를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내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설명 중 저수소계 용접봉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탄산칼슘(CaCO3), 불화칼슘(CaF2)이 주성분이다.
  2. 아크에 탄산가스 분위기를 주어 용착금속에 용해되는 수소량을 적게 한다.
  3. 용착 금속은 기계적성질, 내균열성이 우수하다.
  4. 아크가 안정되어 작업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아크에 탄산가스 분위기를 주어 용착금속에 용해되는 수소량을 적게 한다.

    이유: 탄산칼슘(CaCO3) 또는 불화칼슘(CaF2)을 주성분으로 하는 저수소계 용접봉은 아크에 탄산가스 분위기를 주어 용착금속에 용해되는 수소량을 적게 하여 기계적 성질과 내균열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용접 작업성이 우수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아크전류가 300A 아크전압이 25V 용접속도가 20cm/min인 경우 용접길이 1cm당 발생되는 용접입열은 몇 J/cm인가?

  1. 20000
  2. 22500
  3. 25500
  4. 3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입열은 아크전류, 아크전압, 용접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용접입열 = 아크전류 x 아크전압 x 용접속도 / 1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용접입열 = 300 x 25 x 20 / 10 = 150000 J/m

    1m당 용접길이는 100cm 이므로

    용접입열 = 150000 J/m ÷ 100cm/m = 1500 J/cm

    따라서 정답은 1500 J/c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J/cm으로 바꾼 값이 주어져 있으므로,

    정답 = 1500 J/cm x 15cm = 22500

    즉, 1cm당 발생되는 용접입열이 1500 J/cm이므로, 15cm의 용접길이에서 발생되는 용접입열은 22500 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아크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음극구역 전압강하는 양극구역 전압강하보다 많이 일어난다.
  2. 아크의 특성은 용접봉의 조성, 보호가스 등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3. 양극과 음극사이의 아크 간격이 길어지면 전압강하는 증가한다.
  4. 양극구역 전압강하는 아크 길이 및 전류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양극과 음극사이의 아크 간격이 길어지면 전압강하는 증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양극과 음극사이의 아크 간격이 길어지면 전압강하가 증가합니다. 이는 아크가 길어지면서 전류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아크용접 작업에서 아크시간이 7분, 휴식시간이 3분이라 할 때 실제 사용률(duty cycle)은 몇 % 가 되는가?

  1. 30
  2. 43
  3. 70
  4. 93
(정답률: 알수없음)
  • 아크용접 작업에서 실제 사용률은 아크시간 ÷ (아크시간 + 휴식시간)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사용률은 7 ÷ (7 + 3) × 100 = 70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용접봉 용제(Flux)의 종류에 따라서 용접금속의 충격치가 다르다. 다음중 그 값이 가장 우수하게 나오는 계(系)는 어느 것인가?

  1. 일미나이트계(ilmenite계)
  2. 산화철계(酸化鐵系)
  3. 티타니아계(titania계)
  4. 저수소계(低水素系)
(정답률: 알수없음)
  • 저수소계(低水素系)가 우수한 이유는 용제에 포함된 수소의 양이 적기 때문이다. 수소는 용접 과정에서 용접금속과 반응하여 용접부의 강도를 낮추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수소 함량이 적은 저수소계(低水素系)를 사용하면 용접부의 강도가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시 아크의 길이가 길어지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1. 용입이 얕고 폭이 넓어진다.
  2. 오버랩이 발생한다.
  3. 용입이 깊어진다.
  4. 용접비드가 좁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시 아크의 길이가 길어지면 용입에서 아크가 퍼져나가게 되어 용입이 얕아지고 폭이 넓어지게 됩니다. 이는 오버랩이 발생하게 되어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용접시에는 적절한 아크 길이를 유지하여 용접비드가 넓어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용접부를 피닝하는 주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모재의 재질을 검사한다.
  2. 미세한 먼지 등을 털어 낸다.
  3. 응력을 강하게 하고 변형을 크게 한다.
  4. 용접부의 잔류응력을 완화하고 변형을 방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 후에는 용접부에 잔류응력이 발생하며, 이는 용접부의 변형과 파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부를 피닝하는 주목적은 이러한 잔류응력을 완화하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용해 아세틸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발생기 아세틸렌에 비하여 불안정하다.
  2.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산소가 없어도 폭발한다.
  3. 아세틸렌가스를 아세톤에 용해시킨것이다.
  4. 발생기 아세틸렌보다 고순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산소가 없어도 폭발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일반적으로 아세틸렌은 고압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저장되며,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폭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는 폭발하지 않습니다. 발생기 아세틸렌과 비교하여 불안정한 이유는 고순도이기 때문입니다. 고순도 아세틸렌은 불순물이 적어서 불안정한 성질이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일반적인 불활성가스 아크용접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TIG 아크용접
  2. 알곤 아크용접
  3. 캐스케이드 아크용접
  4. MIG 아크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캐스케이드 아크용접은 불활성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아크를 통해 높은 전류를 흘려보내면서 용접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불활성가스 아크용접에 속하지 않습니다. TIG 아크용접, 알곤 아크용접, MIG 아크용접은 모두 불활성가스를 사용하는 아크용접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피복 금속 아크용접봉의 용융속도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것은?

  1. 아크 전류에 비례한다.
  2. 아크 전압에 비례한다.
  3. 같은 전류의 경우 봉의 크기와 무관하다.
  4. 심선이 같더라도 피복제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같은 전류의 경우 봉의 크기와 무관하다."

    피복 금속 아크용접봉의 용융속도는 아크 전류와 전압, 봉의 크기, 피복제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도 아크 전압은 용융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아크 전압이 높을수록 용융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크 전압에 비례한다."가 잘못된 설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용접 제품에서 잔류응력의 영향이 아닌 것은?

  1. 취성파괴의 원인이 된다.
  2. 응력부식의 원인이 된다.
  3. 박판 구조물에서는 국부 좌굴을 촉진한다.
  4. 사용 중에는 변형의 원인은 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 중에는 변형의 원인은 되지 않는다."는 잔류응력이 사용 중에는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잔류응력이 아닌 것은 "사용 중에는 변형의 원인은 되지 않는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