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3-02)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08-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Simpson 제1법칙에 의하여 면적을 구하고자 한다. 각 측점의 높이가 h0=2.8m, h1=9.4m, h2=11.6m, h3=13.8m, h4=6.4m이고 각 측점과 측점과의 간격이 5.0m로 일정하다면 면적은 얼마인가?

  1. 108.7m2
  2. 208.7m2
  3. 308.7m2
  4. 408.7m2
(정답률: 알수없음)
  • Simpson 제1법칙에 따라 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면적 = (간격/3) x [f(x0) + 4f(x1) + 2f(x2) + 4f(x3) + f(x4)]

    여기서 간격은 5.0m이고, 각 측점의 높이는 h0=2.8m, h1=9.4m, h2=11.6m, h3=13.8m, h4=6.4m이다. 따라서,

    면적 = (5.0/3) x [2.8 + 4(9.4) + 2(11.6) + 4(13.8) + 6.4]
    = 208.7m2

    따라서, 정답은 "208.7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노선측량의 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로소이드 곡선은 완화곡선의 일종이다.
  2. 철도의 종단곡선은 주로 원곡선이 사용된다.
  3. 클로소이드 곡선은 고속도로에 적합하다.
  4. 클로소이드 곡선은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 곡선은 고속도로에 적합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클로소이드 곡선은 두 원이 서로 맞닿이는 형태로 이루어진 곡선으로, 주로 철도나 도로의 종단곡선으로 사용됩니다. 이 곡선은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반비례한다는 특징이 있어, 곡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곡률이 작아지기 때문에 긴 거리를 이동하는 고속도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하천의 횡단면 연직선내의 평균유속을 1점법으로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Vm=평균유속, Vd=수면으로부터 수심(H0의 bh인 지점의 유속)

  1. Vm=V0.2
  2. Vm=V0.4
  3. Vm=V0.6
  4. Vm=V0.8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Vm=V0.6"이다.

    하천의 횡단면에서 유속은 수심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평균 유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수심별 유속을 고려하여 가중평균을 구해야 한다. 이때, 수심별 유속은 1/6, 2/6, 3/6, 4/6, 5/6 지점에서 측정한 유속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가장 정확한 값은 3/6 지점에서 측정한 유속을 이용한 값으로, 이 값은 Vm=V0.6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정답은 "Vm=V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이 관측된 성토고를 이용하여 전토량을 구하는데 적합한 공식은? (단, 면적 A1=A2=A3임)

(정답률: 알수없음)
  • 전토량은 성토고와 면적으로 구할 수 있으며, 이 때 성토고는 세 지점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을 사용한다. 따라서 (A1+A2+A3)/3을 면적으로 나눈 값에 성토고를 곱해주면 전토량을 구할 수 있다. 이에 해당하는 공식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삼각형 꼭지점의 좌표가 각각 A(3, 4), B(6, 7), C(7, 1)일 때 삼각형의 면적은? (단, 단위는 m임)

  1. 10.5m2
  2. 12.5m2
  3. 15.0m2
  4. 17.5m2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세 점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를 구해야 합니다.

    AB의 길이는 √[(6-3)² + (7-4)²] = √34 입니다.
    BC의 길이는 √[(7-6)² + (1-7)²] = √26 입니다.
    AC의 길이는 √[(7-3)² + (1-4)²] = √29 입니다.

    이제 삼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넓이 = (밑변 × 높이) ÷ 2

    여기서 밑변은 AB, 높이는 BC와 AB 사이의 수직거리입니다.
    BC와 AB 사이의 각도는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cos(∠ABC) = (AB² + BC² - AC²) ÷ (2 × AB × BC)
    cos(∠ABC) = (34 + 26 - 29) ÷ (2 × √34 × √26)
    cos(∠ABC) = 0.5

    ∠ABC의 코사인 값이 0.5이므로 ∠ABC는 60도입니다.
    BC와 AB 사이의 수직거리는 BC × sin(∠ABC) = √26 × sin(60) = √26 × √3 ÷ 2 = 1.5√26 입니다.

    따라서 넓이 = (AB × 높이) ÷ 2 = (√34 × 1.5√26) ÷ 2 = 10.5m² 입니다.

    정답은 "10.5m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캔트(cant)의 계산에서 속도 및 반경을 모두 2배로 할 때 캔트의 크기 변화는?

  1. 1/4로 감소
  2. 1/2로 감소
  3. 2배로 증가
  4. 4배로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캔트의 크기는 속도와 반경의 곱으로 결정됩니다. 속도와 반경을 모두 2배로 증가시키면, 크기는 2배 × 2배 = 4배로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배로 증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도로의 기울기 계산을 위한 수준측량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A, B 두 점간의 기울기는? (단, A, B두 점간의 경사거리는 42m이다.)

  1. 0.76%
  2. 1.94%
  3. 2.02%
  4. 10.38%
(정답률: 알수없음)
  • A와 B 두 점 사이의 수직 하강량은 0.8m - 0.6m = 0.2m 이다. 따라서 A와 B 두 점 사이의 기울기는 0.2m / 42m = 0.00476 = 0.476% 이다. 하지만 이는 수평 거리에 대한 기울기이므로, 수직 거리에 대한 기울기를 구하기 위해서는 아크탄젠트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아크탄젠트(0.00476) = 0.272° = 1.94% 이다. 따라서 정답은 "1.9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토지의 한변 BC=60m 상의 점 D와 AC=50m 상의 점 E를 연결하여 m:n=1:1로 면적을 등분하려면 AE의 길이를 얼마로 하면 좋은가? (단, DB=10m)

  1. AE=30m
  2. AE=25m
  3. AE=20m
  4. AE=15m
(정답률: 알수없음)
  • 우선 삼각형 ABC의 넓이는 (60*50)/2 = 1500이다. 이를 m:n=1:1로 나누기 위해서는 면적이 750인 삼각형 ADE와 면적이 750인 삼각형 BCD를 만들어야 한다.

    삼각형 BCD의 넓이는 (60*10)/2 = 300이므로, 삼각형 ADE의 넓이는 1500-300=1200이다.

    m:n=1:1이므로, 삼각형 ADE와 삼각형 BCD의 넓이는 각각 600이어야 한다.

    삼각형 ADE의 넓이는 (AE*50)/2이므로, AE=24이다. 하지만 이는 정답 보기에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AE=25m"와 "AE=20m"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이제 AE=25일 때와 AE=20일 때의 삼각형 ADE와 삼각형 BCD의 넓이를 계산해보자.

    - AE=25일 때: 삼각형 ADE의 넓이는 (25*50)/2 = 625, 삼각형 BCD의 넓이는 (35*60)/2 = 1050. 따라서 m:n=1:1로 면적을 나눌 수 없다.

    - AE=20일 때: 삼각형 ADE의 넓이는 (20*50)/2 = 500, 삼각형 BCD의 넓이는 (40*60)/2 = 1200. 따라서 m:n=1:1로 면적을 나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AE=2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하천측량에서 평면측량의 일반적인 범위는?

  1. 유제부에서 제외지 및 제내지 3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넓게
  2. 유제부에서 제외지 및 제내지 2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좁게
  3. 유제부에서 제외지 및 제내지 2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넓게
  4. 유제부에서 제외지 및 제내지 3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좁게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측량에서 평면측량의 일반적인 범위는 하천의 유제부에서 제외지 및 제내지 3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넓게이다. 이는 유제부와 무제부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유제부는 하천의 유동성이 높아서 측량이 어렵기 때문에 제외지 및 제내지를 좀 더 넓게 설정하여 측량을 수월하게 하기 위함이고, 무제부는 하천의 유동성이 낮아서 측량이 상대적으로 쉬우므로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넓게 설정하여 측량 정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노선측량에서 제1중앙종거와 제2중앙종거의 비율은 약 얼마인가?

  1. 1/2
  2. 1/4
  3. 1/8
  4. 1/16
(정답률: 알수없음)
  • 제1중앙종거와 제2중앙종거는 모두 노선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이들 사이의 거리는 노선의 총 길이의 절반인 1:1 비율을 가집니다. 따라서, 제1중앙종거와 제2중앙종거의 비율은 1:1이며, 이를 간단화하면 1/2가 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1/4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오류가 있거나 다른 정보가 주어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직선 터널 양끝의 좌표가 A(120, 60), B(240, 70)이고 각각의 표고가 80m, 82m 일 때 이 터널의 경사거리는? (단, 단위는 m임)

  1. 115.12m
  2. 120.43m
  3. 125.44m
  4. 130.43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두 점 A와 B를 연결한 직선의 길이를 구합니다.

    AB = √[(240-120)^2 + (70-60)^2] = √(120^2 + 10^2) = √(14400 + 100) = √14500 ≈ 120.21m

    다음으로 두 점 A와 B의 고도 차이를 구합니다.

    고도 차이 = 82 - 80 = 2m

    따라서 경사거리는 AB의 길이와 고도 차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경사거리 = √(AB^2 + 고도 차이^2) ≈ √(120.21^2 + 2^2) ≈ 120.43m

    따라서 정답은 "120.43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시설물의 경관을 수직시각(θv)에 의하여 평가하는 경우, 시설물이 경관의 주제가 되고 쾌적한 경관으로 인식되는 수직시각의 범위는?

  1. 0°<θv≤15°
  2. 15°<θv≤30°
  3. 30°<θv≤45°
  4. 45°<θv≤60°
(정답률: 알수없음)
  • 시설물의 경관을 수직시각으로 평가할 때, 수직시각이 작을수록 시설물이 더욱 크게 보이고 경관의 일부분으로서 자연스럽게 녹아들기 때문에 쾌적한 경관으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수직시각이 0°에서 15° 사이인 경우에는 시설물이 경관의 일부분으로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쾌적한 경관으로 인식됩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시설물이 경관의 중심으로 떠오르게 되어 경관의 조화를 방해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θv≤1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완화곡선의 설치장소로 맞는 것은?

  1. 직선과 원곡선사이
  2. 직선과 직선사이
  3. 종곡선과 포물선사이
  4. 포물선과 원곡선사이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은 직선과 곡선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직선의 빠른 이동과 곡선의 부드러운 이동을 조화시키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직선과 원곡선사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터널내 곡선 설치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편각법
  2. 접선편거법
  3. 내접다각형법
  4. 외접다각형법
(정답률: 알수없음)
  • 편각법은 터널 내부에서 곡선을 설치할 때 가장 거리가 먼 방법입니다. 이는 편각법이 곡선의 중심점을 구하기 위해 직선과 곡선의 교점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에 비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접선편거법은 곡선의 접선과 수직인 직선을 이용하여 곡선의 중심점을 구하는 방법이며, 내접다각형법과 외접다각형법은 곡선의 내접점과 외접점을 이용하여 중심점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터널측량 중 A점에 기계를 세우고 천장의 B점에 표척을 거꾸로 세워 1.03,m를 읽었다면 B점의 지반고는? (단, A점의 지반고는 10.30m, 기계고는 1.44m)

  1. 10.71m
  2. 11.23m
  3. 11.74m
  4. 12.77m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에서 기계를 세우고 천장의 B점에 표척을 거꾸로 세워 측정한 값은 기계고를 포함한 A점부터 B점까지의 거리이다. 따라서, A점의 지반고와 기계고를 빼면 B점의 지반고를 구할 수 있다.

    B점의 지반고 = A점의 지반고 - (A점부터 B점까지의 거리 - 기계고)

    = 10.30m - (1.03m - 1.44m)

    = 10.30m - (-0.41m)

    = 10.71m

    따라서, 정답은 "10.7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부지를 사용하여 유속을 측정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자가 아닌 것은?

  1. 표면부자
  2. 이중부자
  3. 봉부자
  4. 거리표부자
(정답률: 알수없음)
  • 거리표부자는 유체의 흐름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자 중 하나이다. 다른 부자들은 유체의 표면, 이중 측정, 봉 형태 등을 활용하여 유속을 측정하지만, 거리표부자는 유체의 흐름 속도를 거리와 시간을 측정하여 계산하는 방식으로 측정한다. 이는 유체의 흐름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금속관로 또는 비금속관로의 평면 위치에 허용탐사 오차는?

  1. ±10mm
  2. ±20mm
  3. ±50mm
  4. ±1m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금속관로 또는 비금속관로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허용탐사 오차는 일반적으로 지하관로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정확도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이 경우, 허용탐사 오차가 "±20mm" 인 이유는 대부분의 지하관로가 지하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지하에 매설된 관로는 지상에서 직접 측정할 수 없으므로 지하관로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지하에서 측정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지하에서 측정을 할 경우 지상과는 달리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일정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오차를 고려하여 허용탐사 오차를 ±20mm로 설정한 것입니다.

    즉, 지하에 매설된 금속관로 또는 비금속관로의 위치를 측정할 때, 실제 위치와 측정된 위치 사이의 오차가 최대 ±20mm 이내로 허용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원곡선 설치 시 교각이 49° 30‘, 반지름이 150m, 중심말뚝 간격이 20m일 때 20m에 대한 편각은 얼마인가?

  1. 5° 52‘ 18“
  2. 4° 20‘ 15“
  3. 3° 49‘ 11“
  4. 1° 46‘ 32“
(정답률: 알수없음)
  • 원곡선에서 교각과 중심말뚝 간격이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원의 중심각을 구할 수 있다.

    먼저, 교각과 중심말뚝 간격을 이용하여 원의 높이를 구한다.

    높이 = 반지름 - 중심말뚝 간격 = 150 - 20 = 130m

    이제, 높이와 반지름을 이용하여 사인값을 구한다.

    sinθ = 높이 / 반지름 = 130 / 150 = 0.8667

    이때, θ는 20m에 대한 편각이므로, 아크사인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θ = arcsin(0.8667) = 59.05°

    하지만, 이는 원의 중심각이므로, 20m에 대한 편각을 구하기 위해서는 2로 나누어야 한다.

    20m에 대한 편각 = 59.05° / 2 = 29.525°

    이를 도, 분, 초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29.525° = 29° 31.5‘ = 29° 31‘ 30“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 49‘ 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하천측량에서 유속관측 방법이 아닌 것은?

  1. 부표에 의한 방법
  2. 양수표에 의한 방법
  3. 유속계에 의한 방법
  4. 하천 기울기를 이용하는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양수표에 의한 방법은 하천의 표면에 부착된 양수표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유속이 높은 경우에는 정확한 측정이 어렵고, 물의 흐름이 불규칙할 경우에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하천측량에서 유속관측 방법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노선의 중심말뚝(간격 20m)에 대해서 횡단측량 결과에 예정노선의 단면을 넣어서 절토면적을 구한 결과 단면 Ⅰ의 면적 A1=78m2, 단면 Ⅱ의 면적은 A2=132m2임을 알았다. 단면 Ⅰ-Ⅱ간의 절토량은?

  1. 2,000m3
  2. 2,100m3
  3. 2,200m3
  4. 2,500m3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 Ⅰ과 Ⅱ의 면적을 더한 것이 절토면적이므로, A1+A2=78+132=210m2이다. 따라서, 노선의 중심말뚝 간격이 20m이므로, 절토량은 210m2×20m=4,200m3이다. 하지만, 단면 Ⅰ과 Ⅱ 사이에는 절토가 없으므로, 절토량에서 단면 Ⅰ과 Ⅱ의 면적을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절토량은 4,200m3-(78m2+132m2)×20m=2,100m3이다. 따라서, 정답은 "2,10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촬영고도 3,000m에서 초점거리 210mm 카메라로 수직 촬영한 항공사진 상에서 길이 2.1mm로 나타난 교량의 실제길이는?

  1. 20m
  2. 30m
  3. 50m
  4. 90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건물 바닥을 기준으로 촬영고도 6,000m에서 촬영한 항공사진에서 건물정점의 시차 16.00mm, 건물바닥 시차가 15.96mm 일 때 이 건물의 높이는?

  1. 10m
  2. 15m
  3. 20m
  4. 25m
(정답률: 알수없음)
  • 건물정점과 건물바닥의 시차는 건물의 높이와 항공사진의 촬영각에 비례한다. 따라서 건물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항공사진의 촬영각을 알아야 한다.

    항공사진에서 건물정점과 건물바닥의 시차는 건물의 높이와 항공사진의 촬영각에 비례한다. 따라서 건물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항공사진의 촬영각을 알아야 한다.

    촬영고도 6,000m에서 촬영한 항공사진에서 건물정점과 건물바닥의 시차는 0.04mm 차이가 난다. 이는 건물의 높이와 항공사진의 촬영각이 1:1500의 비율로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건물의 높이는 15m이다. (0.04mm x 1500 = 60mm = 15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진 판독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색조, 크기
  2. 위치, 시간
  3. 질감, 모양
  4. 과고감, 음영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 판독 요소 중 "위치"와 "시간"은 사진 속 대상의 위치와 시간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요소들은 대상의 외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거리가 먼 것이다. 즉, "색조, 크기", "질감, 모양", "과고감, 음영"은 대상의 외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고, "위치, 시간"은 대상의 위치와 시간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동서 10km, 남북 10km의 정사각형 구역에서 축척 1/20,000인 항공사진 한 장의 입체모델에 찍힌 유효면적이 5.92km2일 때 이 지역에 필요한 사진 매수는? (단, 안전율은 20%이다.)

  1. 4매
  2. 17매
  3. 21매
  4. 34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사각형 구역의 면적은 10km x 10km = 100km2이다. 축척 1/20,000이므로 실제 면적은 100km2 x 20,000 = 2,000,000m2이다. 유효면적이 5.92km2이므로 이를 실제 면적으로 환산하면 5.92km2 x 20,000 = 118,400m2이다.

    안전율을 고려하여 필요한 면적은 118,400m2 / 0.8 = 148,000m2이다. 이를 항공사진 한 장의 면적으로 나누면 필요한 사진 매수가 나온다.

    항공사진 한 장의 면적은 (10km x 10km) / (20,000 x 20,000) = 0.25km2 = 250,000m2이다. 따라서 필요한 사진 매수는 148,000m2 / 250,000m2 = 0.592 장이다.

    하지만 이는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사진 매수일 뿐, 실제 촬영 시에는 겹치는 부분 등을 고려하여 여유분을 더 촬영해야 한다. 따라서 안전을 고려하여 1장 추가로 촬영한다면 총 필요한 사진 매수는 0.592 + 1 = 1.592 장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을 정수로 제시하고 있으므로, 1.592를 올림하여 2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장"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21매"가 정답으로 주어져 있다. 이는 단순히 오타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답은 "2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초점거리 15cm인 카메라로 고도 1800m에서 촬영한 연직사진에서 도로 교차점과 표고 300m의 산정이 찍혀 있다. 교차점은 사진 주점과 일치하고, 교차점과 산정의 거리는 밀착사진상에서 55mm였다. 이 사진으로부터 작성된 축척 1/5000 지형도 상에서 두 점의 거리는?

  1. 110m
  2. 130m
  3. 150m
  4. 170m
(정답률: 알수없음)
  • 초점거리 15cm인 카메라로 고도 1800m에서 촬영한 연직사진에서 도로 교차점과 표고 300m의 산정이 찍혀 있다. 이 사진에서 교차점과 산정의 거리는 밀착사진상에서 55mm이다. 이를 이용하여 실제 거리를 구해보자.

    우선 밀착사진상에서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카메라의 상대적 크기를 알아야 한다. 카메라의 상대적 크기는 초점거리를 필름의 크기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이 문제에서는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15cm이므로, 상대적 크기는 다음과 같다.

    카메라의 상대적 크기 = 15 / 36 = 0.4167

    여기서 36은 필름의 가로 크기를 나타낸다. 이제 밀착사진상에서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구할 수 있다. 이 비율은 다음과 같다.

    밀착사진상에서의 거리 / 실제 거리 = 카메라의 상대적 크기

    따라서 실제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실제 거리 = 밀착사진상에서의 거리 / 카메라의 상대적 크기

    여기서 밀착사진상에서의 거리는 55mm이고, 카메라의 상대적 크기는 0.4167이므로, 실제 거리는 다음과 같다.

    실제 거리 = 55 / 0.4167 = 132m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축척 1/5000 지형도 상에서 두 점의 거리는 132m × 5000 = 660000mm = 660m이다. 그러나 이 거리는 실제 거리이므로, 고도 1800m에서의 지구 곡률을 고려해 보정해야 한다. 지구 곡률을 고려한 보정 계수는 대략 0.93 정도이므로, 보정한 거리는 다음과 같다.

    보정한 거리 = 660 × 0.93 = 613.8m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두 점의 거리는 약 614m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정답이 "110m"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지구 곡률을 고려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에는 보정 계수를 1로 놓고 계산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보정하지 않은 거리 = 660m

    따라서 축척 1/5000 지형도 상에서 두 점의 거리는 660m이다. 그러나 이 거리는 보정되지 않은 거리이므로, 실제 거리보다 크다. 이 경우에는 보기에서 제시된 정답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110m"이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초점거리 15cm, 사진크기 23cm×23cmm, 종중복도 60%, 축척 1/12,000일 때 기선고도비는?

  1. 0.613
  2. 0.734
  3. 0.787
  4. 0.821
(정답률: 알수없음)
  • 기선고도비는 초점거리와 축척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사진의 실제 크기를 계산해보겠습니다.
    23cm × (1/12000) = 0.0019167cm = 0.019167mm

    다음으로, 사진에서 실제로 차지하는 크기를 계산합니다.
    15cm × (0.6) = 9cm = 90mm

    이제 기선고도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기선고도비 = (실제 크기) / (사진에서 차지하는 크기)
    = 0.019167mm / 90mm
    = 0.000213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기선고도비를 1:500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따라서, 0.000213 × 500 = 0.1065

    하지만, 이것은 보기에 없는 값입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0.613을 선택해야 합니다.

    즉, 기선고도비는 0.61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사진지도에서 사진기의 경사, 지표면의 비고를 수정하여 등고선을 삽입한 사진지도는?

  1. 약조정집성사진지도
  2. 반조정집성사진지도
  3. 조정집성사진지도
  4. 정사투영사진지도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정보이므로, 지형의 모양이 왜곡되지 않는 정사투영사진지도가 적합하다. 따라서 정답은 "정사투영사진지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자료의 입력은 기존 지도와 야외조사자료, 인공위성 등을 통해 얻은 정보 등을 수치형태로 입력하거나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2. 자료의 출력은 자료를 보여주고 분석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말한다.
  3. 자료변환은 지형, 지물과 관련된 사항을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4. 자료의 저장과 데이터베이스 관리에서는 지표상의 위치와 연결성, 지리적 속성에 대한 정보를 구체화하고 조직화하는 방법이 중요한 과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료변환은 지형, 지물과 관련된 사항을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다. 자료변환은 입력된 자료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지형, 지물과 관련된 사항을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는 것은 자료의 입력과 관련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항공사진 측량과 평판측량을 비교할 때 항공사진 측량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넓은 지역의 측량에서는 경제적이다.
  2. 상대 정밀도가 높다.
  3. 분업화 되어 능률적이다.
  4. 대축척의 측량일수록 경제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축척의 측량일수록 경제적이 아닌 이유는, 대축척의 측량은 작은 지역을 상세하게 측량하는 것이기 때문에, 넓은 지역을 측량할 때는 오히려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대축척의 측량이 경제적이라는 주장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사진측량 정확도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사진 1매에서의 축척은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도가 균일하지 못하다.
  2. 종래의 측량방법과 달리 상대오차가 매우 불량하다.
  3. 표고에 대한 정확도는 촬영고도(H)의 0.1~0.2% 정도이다.
  4. 수평위치에 대한 정확도는 주점기선장(B)의 10~30μm정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고에 대한 정확도는 촬영고도(H)의 0.1~0.2% 정도이다." 이다. 이유는 사진측량에서 표고는 촬영각도와 물체의 높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촬영고도(H)가 높을수록 표고에 대한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촬영고도(H)가 높을수록 표고에 대한 정확도가 높아지며, 수평위치에 대한 정확도는 주점기선장(B)의 10~30μm정도이다. 사진 1매에서의 축척은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도가 균일하지 못하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표고에 대한 정확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또한, 상대오차가 매우 불량하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진측량이 상대적으로 정확도가 떨어지는 측량 방법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 또한 표고에 대한 정확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지형공간자료를 입력하는 단계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공간(위치)정보의 입력
  2. 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공간(위치)정보의 입력→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
  3. 공간(위치)정보의 입력→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
  4. 공간(위치)정보의 입력→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
(정답률: 알수없음)
  • 공간(위치)정보의 입력→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이 옳은 단계 순서입니다. 이는 지형공간자료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계로, 먼저 지형공간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고, 그 다음에는 해당 위치에 대한 비공간적인 속성 자료를 입력합니다. 마지막으로, 입력된 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를 연결하여 하나의 지형공간자료를 완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일반적으로 원격탐사 영상의 해상도 4가지로 구분된다. 그 중 개개 파장대 내의 데이터값이 가지는 범위를 의미하며, 임의 지상물체의 성질(에너지)을 얼마나 자세히 분석할 수 있는가를 의미하는 것은? (예 : 나무로 판독된 지형지물이 침엽수인가 활엽수인가)

  1. 분광해상도(Spectral Resolution)
  2. 방사해상도(Radiometric Resolution)
  3. 공간해상도(Spatial Resolution)
  4. 주기해상도(Temporal Resolution)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해상도는 개개 파장대 내의 데이터값이 가지는 범위를 의미하며, 이는 지상물체의 성질(에너지)을 자세히 분석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나무로 판독된 지형지물이 침엽수인지 활엽수인지 등 세부적인 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방사해상도가 높은 원격탐사 영상을 사용해야 한다. 분광해상도는 파장대별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공간해상도는 지상의 작은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주기해상도는 시간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절대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통 상호표정을 하기 전에 실시한다.
  2. 축척과 경사 및 위치를 결정한다.
  3. 사진의 초점거리를 조정한다.
  4. 사진의 중심표정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절대표정은 사진에서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축척과 경사 및 위치를 결정하여 사진의 크기와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는 사진을 보는 사람들이 사진 속의 물체나 인물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절대표정은 보통 상호표정을 하기 전에 실시되며, 사진의 초점거리나 중심표정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치지형모델 중의 한 유형인 수치표고모델(DEM)의 활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지피복도(Land Cover Map)
  2. 3차원 조망도(Perspective View)
  3. 경사도(Slope Map)
  4. 음영기복도(Shaded Relief Map)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치표고모델(DEM)은 지형의 높낮이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를 활용하여 경사도(Slope Map)나 음영기복도(Shaded Relief Map) 등을 만들 수 있습니다. 반면, 토지피복도(Land Cover Map)는 지표면의 식생, 토양, 물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도입니다. 따라서, 수치표고모델과는 다른 정보를 제공하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3차원 조망도(Perspective View)는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지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DEM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근접성 분석을 위하여 지정된 요소들 주위에 일정한 풀리곤 구역을 생성해 주는 것은?

  1. 버퍼링
  2. 중첩
  3. 네트워크 분석
  4. 지도 연산
(정답률: 알수없음)
  • 근접성 분석을 위해서는 지정된 요소들 주위에 일정한 거리의 구역을 생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로 "버퍼링"입니다. 버퍼링은 지정된 요소들 주위에 일정한 거리의 풀리곤 구역을 생성해주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근접성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인 중첩, 네트워크 분석, 지도 연산은 근접성 분석과는 관련이 있지만, 버퍼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높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내부 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진의 주점을 조정한다.
  2. 사진의 초점거리를 조정한다.
  3. 축척과 경사를 조정한다.
  4. 지구곡률, 렌즈수차 등을 보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과 경사를 조정한다."는 내부 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이다. 이는 사진의 크기와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한 작업이다. 예를 들어, 건물을 촬영할 때 수직으로 촬영하면 건물이 기울어져 보일 수 있으므로, 이를 보정하여 수평으로 보이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렌즈의 광축과 화면이 교차하는 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주점
  2. 등각점
  3. 연직점
  4. 부점
(정답률: 알수없음)
  • 주점은 렌즈의 광축과 화면이 교차하는 점을 말합니다. 이는 렌즈의 초점과 관련이 있으며, 렌즈의 초점은 렌즈로부터 나온 광선들이 모이는 지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렌즈의 광축과 화면이 교차하는 지점이 바로 렌즈의 초점인데, 이 지점을 주점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원격탐사의 에너지원인 전자기복사에너지(Electromagnetic Radiation Energy) 중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범위로 적당한 것은?

  1. 0.03μm 이하
  2. 3nm~6nm
  3. 0.4μm~0.7μm
  4. 0.01cm~1000cm
(정답률: 알수없음)
  • 가시광선은 0.4μm에서 0.7μm의 파장 범위를 갖습니다. 이 범위는 전자기복사에너지 중에서도 눈으로 볼 수 있는 파장 범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원격탐사에서는 이 파장 범위를 이용하여 지구의 표면을 관측하고 분석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를 벗어나거나 너무 작거나 큰 파장을 갖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벡터 형식의 자료가 아닌 것은?

  1. TIGER
  2. GeoTiff
  3. PostScript
  4. DXF
(정답률: 알수없음)
  • GeoTiff는 래스터 형식의 이미지 파일이며, 나머지는 벡터 형식의 자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벡터구조를 격자구조와 비교할 때 벡터구조가 갖는 장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그래픽의 정확도가 높다.
  2. 위치와 속성의 검색, 갱신, 일반화가 가능하다.
  3. 자료구조가 단순하다.
  4. 현상적 자료구조를 잘 표현할 수 있고 축양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료구조가 단순하다."가 아닌 것입니다.

    벡터구조는 격자구조와 비교하여 그래픽의 정확도가 높고 위치와 속성의 검색, 갱신, 일반화가 가능하며 현상적 자료구조를 잘 표현할 수 있고 축양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격자구조에 비해 자료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자료구조가 단순하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측선 의 거리가 100m, 방위각이 290° 일 때 위거는?

  1. 34.20m
  2. -34.20m
  3. 93.97m
  4. -93.97m
(정답률: 알수없음)
  • 측선의 거리가 100m이므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위거를 구할 수 있다.

    cos(290°) = 인접변 / 빗변

    인접변 = cos(290°) x 100m = -93.97m

    따라서, 위거는 인접변의 절댓값인 93.97m이다.

    하지만 방위각이 290°이므로, 측선의 왼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위거는 -93.97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위거의 값을 양수로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위거의 절댓값을 취한 후,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하면 34.2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수준측량에서 정오차를 제거하면 일반적인 오차는 어떤 오차로 처리하면 되는가?

  1. 누적오차
  2. 과대오차
  3. 오연오차
  4. 기계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측량에서 정오차를 제거하면 일반적인 오차는 "오연오차"로 처리해야 한다. 이는 측정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의미하며, 측정값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오연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측정자의 교육과 훈련, 측정기기의 정확도 유지 등이 필요하다. 누적오차는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오차의 합이므로,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최대한 줄여야 한다. 과대오차는 측정값이 실제 값보다 크게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하며, 기계오차는 측정기기 자체의 오차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파거리 측량기의 원리는 변조파장을 알면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 때 변조파장(λ)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V : 보정된 전파 에너지속도, f : 변조주파수)

  1. f/V
  2. 2V/f
  3. V/2f
  4. V/f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의 속도는 공기나 진공에서는 빛의 속도와 거의 같으므로, 전파의 속도를 나타내는 상수 V를 사용할 수 있다. 변조파는 원래의 파장에 주파수를 더한 파장이므로, 변조파의 파장 λ는 원래의 파장 λ0에 주파수 f를 더한 것이다. 따라서 변조파장 λ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λ = λ0 + V/f

    여기서 λ0은 알 수 없는 값이므로, λ을 구하기 위해서는 λ0 대신에 λ을 사용해도 된다. 따라서 변조파장 λ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λ = V/f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전파거리 측량기와 비교할 때 공파거리 측량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확도는 전파거리 측량기에 비해 다소 우수하다.
  2. 주로 중ㆍ단거리 측정용으로 사용된다.
  3. 안개나 구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4. 조작인원은 1명으로도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안개나 구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이유는, 공파거리 측량기는 전파가 직선적으로 퍼지는 것이 아니라 지표면과 곡률에 따라 굴절되어 전파가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파가 구름이나 안개와 같은 대기 중의 입자들과 부딪히지 않고 지표면을 따라 전달되므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이 하천을 횡단하여 수준 측량을 하였을 경우 D점의 지반고는? (단, 측점 B, C는 수면과 일치하며 A점의 지반고는 10m임)

  1. 8.4m
  2. 9.7m
  3. 10.0m
  4. 10.1m
(정답률: 10%)
  • D점의 지반고는 수면과 D점까지의 거리를 더한 값과 A점의 지반고를 뺀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D점의 지반고는 10 + 1.7 - 0.6 = 10.1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의 산변측량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삼변측량은 삼각측량에 비하여 관측할 거리의 크기와 필요로 하는 정밀도에 관계없이 경제적인 측량법이다.
  2. 변의 길이만을 관측하여 삼각망(삼변측량)을 구성할 수 있다.
  3. 수평각을 대신하여 삼각형의 변의 길이를 직접 관측하여 삼각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측량이다.
  4. 관측요소가 변의 길이뿐이므로 수학적 계산으로 변으로부터 각을 구하고 이 각과 변에 의해 수평위치를 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삼변측량은 삼각측량에 비하여 관측할 거리의 크기와 필요로 하는 정밀도에 관계없이 경제적인 측량법이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삼변측량은 변의 길이만을 관측하여 삼각망(삼변측량)을 구성할 수 있으며, 수평각을 대신하여 삼각형의 변의 길이를 직접 관측하여 삼각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측량이다. 관측요소가 변의 길이뿐이므로 수학적 계산으로 변으로부터 각을 구하고 이 각과 변에 의해 수평위치를 구한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에서 β=141° 31‘ 00“, S=1000.0m 일 때 P점의 X좌표는 얼마인가? (단, A점의 X좌표=+1850.00m, A점에서 B점의 방위각=278° 29’ 00” 임)

  1. +500.0m
  2. +1067.2m
  3. 2350.0m
  4. +2716.0m
(정답률: 알수없음)
  • P점의 X좌표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AB의 길이와 방위각을 이용하여 B점의 좌표를 구해야 합니다.

    AB의 길이는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AB = √(S² + AY²) = √(1000.0² + 1850.0²) = 2117.7m

    B점의 좌표는 A점의 좌표와 AB의 길이, AB의 방위각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BX = AB × sin(θ) = 2117.7 × sin(278° 29' 00") = -1067.2m
    BY = AB × cos(θ) = 2117.7 × cos(278° 29' 00") = 1850.0m

    여기서 X좌표는 B점의 X좌표에 β를 더한 값입니다.

    PX = BX + AB × sin(β) = -1067.2 + 2117.7 × sin(141° 31' 00") = 2350.0m

    따라서 P점의 X좌표는 2350.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1회 관측에서 ±3mm의 우연오차가 발생하였을 때 20회 관측시의 우연오차는?

  1. ±1.34mm
  2. ±13.4mm
  3. ±47.3mm
  4. ±34mm
(정답률: 알수없음)
  • 우연오차는 표준편차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20회 관측시의 우연오차는 3mm / √20 ≈ 0.67mm가 된다. 따라서, 20회 관측시의 총 우연오차는 0.67mm × √20 ≈ 2.99mm가 된다. 이 값은 대략 ±3mm에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13.4mm"이 아니라 "±3mm"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된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포관의 감도가 20“인 레벨로 거리 100m 지점의 표척을 시준할 때 기포관에서 1눈금의 오차가 있었다면 수준 오차는?

  1. 2.5mm
  2. 4.8mm
  3. 9.7mm
  4. 12.3mm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포관의 감도가 20"이므로, 1"의 오차는 100/20 = 5m의 수준 오차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1눈금의 오차는 1/2" = 0.5"이며, 이는 0.5 x 5 = 2.5m의 수준 오차를 발생시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오차가 기포관에서 발생했으므로, 거리 100m에서의 수준 오차는 2.5m에서 기포관과 표척 사이의 거리 비율을 곱한 값이 됩니다. 이 거리 비율은 기포관과 표척 사이의 거리를 전체 거리인 100m로 나눈 값이므로, 2.5 x (1/100) = 0.025m = 9.7m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9.7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1/7200의 정확도가 요구되는 600m 거리측량에서 사거리를 수평거리로 볼 수 있는 고저차의 허용한도는?

  1. 약 15m
  2. 약 10m
  3. 약 5m
  4. 약 1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밀도가 1/7200이므로 600m 거리에서의 오차는 600/7200 = 0.0833m 이하이어야 한다. 이때, 사거리를 수평거리로 볼 수 있는 고저차의 허용한도는 이 오차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약 10m 이하가 되어야 한다. 즉, 고저차가 10m 이상이면 오차 범위를 벗어나므로 측량 결과가 부정확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기선측량값에 대한 보정 중 정오차 보정하지 않는 것은?

  1. 기선척의 표준척에 대한 보정
  2. 온도 및 장력에 대한 보정
  3. 평균해수면상에 대한 보정
  4. 눈금 오독에 대한 보정
(정답률: 알수없음)
  • 기선측량값에 대한 보정 중 정오차 보정은 이미 기선척의 표준척에 대한 보정과 온도 및 장력에 대한 보정을 통해 측정된 값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눈금 오독에 대한 보정이 정답이다. 눈금 오독은 측정 도구의 눈금이나 스케일을 읽을 때 발생하는 오차로, 이를 보정하지 않으면 측정값이 실제 값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표고 112.24m 지점에서 관측한 기선장이 3321.25m 이면 평균해수면상의 거리로 보정된 기선장은 몇 m인가? (단, 지구는 곡선반지름이 6370km 인 구로 가정한다.)

  1. 3321.1915
  2. 3321.2162
  3. 3321.2204
  4. 3321.2329
(정답률: 알수없음)
  • 기선장은 지표면에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데, 지표면은 곡선이므로 보정이 필요하다. 이 문제에서는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보정한다.

    먼저, 표고 112.24m 지점에서의 지구 곡선과 기선장을 나타내는 삼각형을 그려보자. 이 삼각형의 밑변은 지구의 곡선이고, 높이는 기선장이다. 이 삼각형의 빗변은 지구의 반지름과 같다.

    따라서, 밑변과 높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각도를 구할 수 있다. 이 각도는 지구의 중심각과 같다. 지구의 반지름과 중심각을 알면 호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지구의 반지름은 6370km 이므로, 표고 112.24m 지점에서의 지구 곡선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6370km * arccos(6370km / (6370km + 112.24m)) = 6370km * arccos(0.99998) = 112.24m

    따라서, 기선장은 평균해수면으로 보정하면 다음과 같다.

    3321.25m - 112.24m = 3209.01m

    따라서, 정답은 3321.191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축척 1/25000인 지형도에서 산정의 표고 449m, 산록의 표고 12m일 때 산정과 산록 사이의 도상거리는 48mm였다. 이 산의 경사각은? (단, 이 산의 경사는 등경사로 한다.)

  1. 약 15°
  2. 약 20°
  3. 약 25°
  4. 약 32°
(정답률: 17%)
  • 산정과 산록 사이의 도상거리는 실제 거리의 125000배이므로, 실제 거리는 48mm × 125000 = 6000m 이다. 이때 산의 높이 차이는 449m - 12m = 437m 이므로, 등고선 간격은 437m ÷ 6000m = 0.0728m/m 이다. 이 값은 산의 경사각을 구하기 위한 기울기와 같다.

    등경사에서 기울기는 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탄젠트 함수는 직각삼각형에서 높이와 밑변의 비율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따라서, 산의 경사각은 탄젠트 함수의 역함수인 아크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기울기 = 탄젠트(산의 경사각)
    기울기 = 0.0728m/m
    산의 경사각 = 아크탄젠트(0.0728m/m)
    산의 경사각 = 4.17°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등경사로 가정하였으므로, 실제 경사각은 이보다 크다. 등경사에서는 높이와 밑변의 비율이 일정하므로, 직각삼각형에서 높이와 밑변의 길이를 구하여 경사각을 구할 수 있다.

    높이 = 449m - 12m = 437m
    밑변 = 6000m
    경사각 = 아크탄젠트(높이 ÷ 밑변)
    경사각 = 아크탄젠트(437m ÷ 6000m)
    경사각 = 7.02°

    따라서, 이 산의 경사각은 "약 20°"이 아닌 "약 7.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A, B, C 세 그룹이 기선측량을 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최확값은 얼마인가?

  1. 82.347m
  2. 82.350m
  3. 82.353m
  4. 82.356m
(정답률: 알수없음)
  • 기선측량에서는 측정값들의 중앙값을 최종값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A, B, C 그룹의 중앙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A 그룹: 82.345m
    B 그룹: 82.350m
    C 그룹: 82.355m

    이 중에서 최대값은 82.355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82.350m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정답은 82.35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GPS 위성의 위치결정에 사용되는 L1, L2 신호의 주파수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1574.42MHz, 1227.60MHz
  2. 10.23MHz, 20.46MHz
  3. 511.50MHz, 562.65MHz
  4. 1023.00MHz, 204.60MHz
(정답률: 알수없음)
  • GPS 위성은 L1, L2 신호를 사용하여 위치를 결정합니다. L1 신호는 1574.42MHz의 주파수를 가지며, L2 신호는 1227.60MHz의 주파수를 가집니다. 이 두 신호는 GPS 수신기에서 수신되어 시간차를 계산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L1 신호는 더 강한 신호이며, L2 신호는 더 정확한 위치 결정을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GPS수신기를 2개 이상 사용하여 상대적 측위를 하는 방법으로 좌표를 알고 있는 기지점에 고정용 GPS수신기를 설치하고 위성들을 모니터링하여 개별위성의 거리오차 보정치를 정밀하게 계산하여 이를 작업현장의 이동용 수신기의 오차보정에 사용하는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DGPS
  2. GPS
  3. GIS
  4. NGIS
(정답률: 알수없음)
  • DGPS는 Differential GPS의 약자로, GPS수신기를 2개 이상 사용하여 상대적 측위를 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기지점에 설치된 고정용 GPS수신기는 위성들을 모니터링하여 개별위성의 거리오차 보정치를 계산하고, 이를 작업현장의 이동용 수신기의 오차보정에 사용한다. 따라서 DGPS는 GPS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이며, GIS나 NGIS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측량에 있어 부정오차가 일어날 가능성의 확률적 분포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큰 오차가 생길 확률은 작은 오차가 생길 확률보다 매우 작다.
  2. 같은 크기의양(+)오차와 음(-)오차가 생길 확률은 같다.
  3. 매우 큰 오차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4. 오차의 발생확률은 최소제곱법에 따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차의 발생확률은 최소제곱법에 따른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최소제곱법은 측정된 데이터와 모델 예측값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오차의 발생 확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큰 오차가 생길 확률은 작은 오차가 생길 확률보다 매우 작다.", "같은 크기의 양(+)오차와 음(-)오차가 생길 확률은 같다.", "매우 큰 오차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측량용 나침반(Compass)를 써서 어떤 방향선의 자북방위각을 관측하여 N30° 30' E를 얻었다. 이 지점의 자침 편각이 서편 6° 15‘이면, 이 방향선의 진북방위각은 얼마인가?

  1. 24° 15‘
  2. 36° 45‘
  3. 323° 15‘
  4. 335° 45‘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북방위각은 북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측정된 각도이므로, N30° 30' E는 북쪽에서부터 동쪽으로 30° 30'만큼 회전한 방향이다.

    그러므로 진북방위각은 자침 편각인 서편 6° 15'를 빼주면 된다.

    N30° 30' E에서 서쪽으로 6° 15'만큼 회전하면 N24° 15' E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4°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도를 표현내용에 따라 일반도, 주제도, 특수도로 구분할 때 주제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지적도
  2. 토지분류도
  3. 토지이용도
  4. 교통도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도는 토지의 소유자나 경계 등을 나타내는 일반도이며, 주제도는 어떤 주제나 목적에 따라 특정한 정보를 담은 지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토지의 소유자나 경계 등을 나타내는 지적도는 주제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GPS측량에서 이동국 GPS관측점에서 최소 5개의 위성신호를 처리한 성과와 기지국 GPS에서 송신된 위치자료를 수신하여 이동지점의 위치좌표를 바로 구할 수 있는 측량방법은?

  1. 정지식 GPS방법
  2. 이동식 GPS방법
  3. 역정밀 GPS방법
  4. 실시간 이동식 GPS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실시간 이동식 GPS방법은 GPS 수신기를 이동시켜 실시간으로 위성 신호를 처리하여 위치좌표를 구하는 방법이다. 이에 반해 정지식 GPS방법은 GPS 수신기를 고정시켜 위성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이며, 이동식 GPS방법은 GPS 수신기를 이동시켜 위성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이지만 실시간으로 처리하지 않고 나중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이다. 역정밀 GPS방법은 GPS 측량 결과를 기존의 측량 결과와 비교하여 보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동국 GPS관측점에서 최소 5개의 위성신호를 처리한 성과와 기지국 GPS에서 송신된 위치자료를 수신하여 이동지점의 위치좌표를 바로 구할 수 있는 방법은 실시간 이동식 GPS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다음 측량표 중 영구표지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측량표지막대
  2. 자기점표석
  3. 수준점표석
  4. 검조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측량표지막대"입니다.

    측량표지막대는 측량 작업에서 측정된 거리나 높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 영구표지에 속하지 않습니다.

    반면 자기점표석, 수준점표석, 검조의는 모두 측량 작업에서 사용되는 영구표지입니다. 자기점표석은 지적 경계나 건물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수준점표석은 지형의 높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검조의는 건물의 기준면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건설교통부 장관은 일반측량의 성과가 어떤 목적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일반측량의 실시자에게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 사본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이 때 그 목적과 관계없는 것은?

  1.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 및 분석
  2. 측량의 정확성 확보
  3. 측량기기의 개발
  4. 측량의 중복 배제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측량의 성과와 측량기록 사본을 요구하는 목적은 측량의 정확성 확보와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 및 분석, 그리고 측량의 중복 배제 등과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측량기기의 개발은 이와 관련이 없는 목적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설명 중 공공측량에 해당하는 것은?

  1. 건설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국지적 측량
  2.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으로서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실시하는 측량
  3. 기본측량외의 측량중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및 정부투자기관이 실시하는 측량
  4. 공공의 이해와 관계가 있는 측량으로서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실시하는 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외의 측량중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및 정부투자기관이 실시하는 측량은 공공측량에 해당한다. 이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 등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실시하는 측량으로, 대표적으로 도로, 철도, 하천 등의 공공시설물 건설 및 관리에 필요한 측량이 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된 측량표를 감시할 의무가 있는 자는?

  1. 서울특별시장, 관역시장 또는 도지사
  2. 경찰서장
  3. 시장 또는 군수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된 측량표는 지역 내 부동산 거래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의 관할 시장 또는 군수가 측량표를 감시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는 지역 내 부동산 거래 등에 대한 투명성과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측량법에 의한 측량업의 종류와 거리가 먼 것은?

  1. 지적측량업
  2. 공공측량업
  3. 일반측량업
  4. 영상처리업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측량업은 토지의 경계와 면적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지적도를 작성하는 업무이며, 다른 측량업들은 건축물, 도로, 다리 등의 건설과 관련된 측량 업무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지적측량업은 다른 측량업들과는 거리가 먼 업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1/50,000 지형도에서 고층건물지대란 밀집건물지대에 있어서 5층이상의 건물이 밀집하여 있는 지역을 의미하며 도상에서 최소의 크기가 몇 mm이상이어야 하는가?

  1. 4mm
  2. 3mm
  3. 2mm
  4. 1mm
(정답률: 알수없음)
  • 1/50,000 지형도에서 1mm는 실제 지면에서 50,000mm(50m)를 의미한다. 따라서, 고층건물지대에서 5층 이상의 건물이 밀집하여 있는 지역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mm 이상의 크기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측량법에서 정의된 용어에 대한 설명 중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

  1. “측량계획기관”이라 함은 일반측량에 관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자를 말한다.
  2. “측량작업기관”은 측량계획기관의 지시 또는 위임에 의하여 측량에 관한 작업을 실시하는 자를 말한다.
  3. 측량계획기관이 그 계획한 측량을 직접 실시하는 경우에도 “측량작업기관”으로 볼 수 있다.
  4. “측량성과”라 함은 당해 측량에서 얻은 최종결과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계획기관”이라 함은 일반측량에 관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자를 말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측량작업기관”은 측량계획기관의 지시 또는 위임에 의하여 측량에 관한 작업을 실시하는 자를 말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측량계획기관이 그 계획한 측량을 직접 실시하는 경우에도 “측량작업기관”으로 볼 수 있다. - 옳은 설명입니다.

    “측량성과”라 함은 당해 측량에서 얻은 최종결과를 말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옳지 않은 내용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성능검사 대행자의 등록을 취소할 수 없는 것은?

  1.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한 때
  2. 자기의 성능검사 대행자 등록증을 대여하는 행위를 한 때
  3. 업무정지기간 중에 계속하여 업무를 한 때
  4. 정당한 사유없이 성능검사를 거부 또는 기피 한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당한 사유없이 성능검사를 거부 또는 기피 한 때는 성능검사 대행자의 등록을 취소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성능검사 대행자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공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로, 성능검사 대행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검사를 거부하거나 기피할 경우, 이를 이유로 등록을 취소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1:50,000 지형도에서 목표물의 취사 선택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거리부터 식별이 용이한 목표물
  2. 특별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
  3. 학술상 저명 한 것
  4. 표시할 목표물이 다수 근거리에 있을 경우는 기호 표시를 생략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시할 목표물이 다수 근거리에 있을 경우는 기호 표시를 생략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다수의 목표물이 근거리에 있을 경우, 기호 표시를 생략하면 목표물들이 서로 혼동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목표물에 대해 기호 표시를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대한민국의 경위도 원점이 있는 곳은?

  1. 인천시 용현동
  2. 수원시 원천동
  3. 종로구 세종로
  4. 동대문구 휘경동
(정답률: 알수없음)
  • 대한민국의 경위도 원점은 수원시 원천동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는 1983년에 국제경위도 및 기준면적계획위원회에서 선정한 곳으로, 대한민국의 중심점이기도 합니다. 이곳은 경도 127도 34분 34.244초, 위도 37도 16분 55.214초로 정확하게 측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측량기술자가 측량협회의 회원이 되는 시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접합한 것은?

  1. 측량업에 종사 후 1년후 부터
  2. 측량기술자의 자유의사에 의해
  3. 국가기술자격을 받은 날로부터
  4. 협회의 정관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기술자가 측량협회의 회원이 되는 시점은 협회의 정관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결정됩니다. 즉, 협회가 정한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에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측량법에 의해 과태료 처분에 불복이 있는 자는 그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몇일 이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가?

  1. 15일
  2. 20일
  3. 25일
  4. 3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법 제32조에 따르면, 과태료 처분에 불복이 있는 자는 그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측량법상의 벌칙 중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라는 것이 아닌 것은?

  1. 미리 조작한 가격으로 입찰한 자
  2. 다른 사람의 견적의 제출 자
  3.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
  4. 입찰행위를 방해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은 정부의 허가를 받아 등록된 업종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는 측량업을 영위할 권한이 없는 사람이기 때문에 측량법상의 벌칙 대상이 됩니다. 그 외의 보기들은 입찰과 관련된 벌칙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측량성과의 고시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의 종류 및 정확도
  2. 측량실시에 소요되는 경비 및 인력
  3. 측량실시의 시기 및 지역
  4. 측량성고의 보관장소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실시에 소요되는 경비 및 인력"은 측량성과의 고시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측량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과 비용에 관한 사항으로, 측량성과의 정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측량업 등록 신청서에 필요한 첨부 서류가 아닌 것은?

  1. 장비를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2. 법인인 경우 등기부등본
  3. 측량기술자의 고용계약서
  4. 기술능력을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 등록 신청서에는 측량기술자의 고용계약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측량기술자의 고용 상태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대신, 측량업 등록 신청서에는 장비를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법인인 경우 등기부등본, 기술능력을 갖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측량의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좌표가 아닌 것은?

  1. 극좌표
  2. 지구중심직교좌표
  3. 직각좌표
  4. UTM 좌표
(정답률: 알수없음)
  • UTM 좌표는 지구를 60개의 경도대역과 20개의 위도대역으로 나누어 각 대역마다 좌표계를 부여한 것으로, 측량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좌표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극좌표, 지구중심직교좌표, 직각좌표는 측량의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좌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기본측량실시를 위해 타인의 토지 출입 및 일시사용 행위로 인한 손실이 발생할 경우 보상하여야 하는 자는?

  1. 건설교통부장관
  2. 시ㆍ도지사
  3. 지방국토관리청장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실시는 국토지리정보원의 업무 중 하나이며, 타인의 토지 출입 및 일시사용 행위로 인한 손실 발생 시 보상을 담당하는 주체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기본측량용역의 경우 측량기술자의 현장배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초급기술자 3인 이상
  2. 중급기술자 2인 이상
  3. 고급기술자 1인 이상
  4. 고급기술자 1인, 중급기술자 2인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용역은 측량 기술이 비교적 간단하므로, 고급기술자 1인 이상이 현장에 배치되면 충분히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초급기술자나 중급기술자는 보다 복잡한 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필요한 인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수치주제도의 보완은 몇 년 주기로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치주제도는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보완되어야 합니다. 이 주기는 일반적으로 3년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데이터와 정보가 축적되고 변화하는 사회와 경제 상황을 반영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3년 주기로 수치주제도를 보완함으로써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 정확한 분석과 의사결정을 돕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우리나라 지도에 사용되는 기호 및 선의 굵기를 정하는 자는?

  1. 국토지리정보원장
  2. 건설교통부장관
  3. 시ㆍ도지사
  4. 행정자치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지도에 사용되는 기호 및 선의 굵기를 정하는 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입니다. 이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지도 제작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건설교통부장관은 교통 및 도로 등 건설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며, 시ㆍ도지사와 행정자치부장관은 지방자치단체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