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하나의 터널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계획, 설계, 시공 등의 작업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음 중 터널의 시공과정 중에 주로 이루어지는 측량은?

  1. 지형측량
  2. 터널 외 기준점 측량
  3. 세부측량
  4. 터널 내 측량
(정답률: 89%)
  • 터널 내 측량은 터널 내부의 건설 작업을 위해 필요한 측량 작업으로, 터널 내부의 지형, 건설물 위치, 굴착면의 크기와 위치 등을 측정하여 건설 작업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터널의 시공과정 중에 주로 이루어지는 측량은 "터널 내 측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클로소이드 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클로소이드의 모양은 하나 밖에 없지만 매개변수 A를 바꾸면 크기가 다른 무수한 클로소이드를 만들 수 있다.
  2. 클로소이드는 길이를 연장한 모양이 목걸이 모양으로 연주곡선이라고도 한다.
  3. 매개변수 A=100m의 클로소이드를 1000분의 1도면에 그리기 위해서는 A = 10m인 클로소이드를 그려 넣으면 된다.
  4. 클로소이드 요소에는 길이의 단위를 가진 것과 면적의 단위를 가진 것으로 나눠진다.
(정답률: 80%)
  • 클로소이드는 하나의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매개변수 A를 바꾸면 크기가 다른 무수한 클로소이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매개변수 A가 클로소이드의 크기와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값을 바꾸면 클로소이드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해수면이 약최고고조면(일정기간 조석을 관측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해수면)에 이르렀을 때의 육지와 해수면의 경계를 조사하는 측량은?

  1. 지형측량
  2. 지리조사
  3. 수심측량
  4. 해안선조사
(정답률: 89%)
  • 해수면이 약최고고조면에 이르렀을 때는 해안선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육지와 해수면의 경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해안선조사가 필요하다. 해안선조사는 해안선의 위치와 형태를 측정하여 지도화하는 작업으로, 해안선의 이동이나 변화를 파악하여 해안침식 등의 문제를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해수면이 약최고고조면에 이르렀을 때의 육지와 해수면의 경계를 조사하는 측량은 해안선조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교점의 위치가 기점으로부터 330.264m, 곡선반지름 R=300m, 교각 I=45°인 단곡선을 편각법으로 측설하고자 할 때 시단현에 대한 편각은? (단, 중심말뚝의 간격 = 20m)

  1. 1° 10′ 26″
  2. 1° 20′ 13″
  3. 1° 20′ 56″
  4. 1° 25′ 35″
(정답률: 75%)
  • 먼저, 시단현은 곡선의 중심에서 중심말뚝까지의 수직거리와 같으므로, 중심말뚝까지의 거리는 R+20=320m이다.

    다음으로, 교점과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그려 교각 I를 이용하여 중심각을 구한다.

    sin(I/2) = (330.264/2) / (R+20)
    sin(22.5°) = 165.132 / 320
    0.3827 = 165.132 / 320
    165.132 = 0.3827 * 320
    165.132 = 122.464

    따라서, 중심각은 2*I = 90° - 2*22.5° + 2*122.464° = 245.928° 이다.

    마지막으로, 편각을 구하기 위해 180°를 더하고 360으로 나눈다.

    편각 = (245.928° + 180°) / 360° = 1° 25′ 35″

    따라서, 정답은 "1° 25′ 3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하천측량시 유제부에서 평면측량의 범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제외지 이내
  2. 제외지 및 제내지에서 100m이내
  3. 제외지 및 제내지에서 300m이내
  4. 제내지 400m 이내
(정답률: 74%)
  • 하천측량 시 유제부에서는 주로 하천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수위계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유량을 산출합니다. 이 때, 수위계를 설치할 수 있는 범위는 하천의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제외지나 제내지에서 설치합니다. 제외지는 하천의 수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지역이며, 제내지는 하천의 수위에 영향을 받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제외지나 제내지에서 300m 이내가 가장 적당한 범위입니다. 100m 이내는 너무 좁고, 제내지 400m 이내는 너무 넓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하시설물의 관측방법 중 지구자장의 변화를 관측하여 자성체의 분포를 알아내는 방법은?

  1. 전자관측법
  2. 자기관측법
  3. 전기관측법
  4. 탄성파관측법
(정답률: 85%)
  • 자기관측법은 지하시설물 내부에 설치된 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지구자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지하 자성체의 분포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자기관측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터널 내에서 차량 등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콘크리트등을 이용하여 만든 중심말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도갱
  2. 자이로(gyro)
  3. 레벨(level)
  4. 도벨(dowel)
(정답률: 85%)
  • 정답은 "도벨(dowel)"입니다. 도벨은 터널 내부의 벽면에 콘크리트를 부어 만든 구멍에 철근을 삽입하여 차량 등의 충격을 흡수하고 파손을 방지하는 구조물입니다. 이는 터널 안전을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곡선반지름 R=500m, 교각 I=50°인 단곡선을 설치하려고 할 때, 접선길이(T.L)는?

  1. 218.17m
  2. 233.15m
  3. 422.62m
  4. 436.33m
(정답률: 81%)
  • 접선길이(T.L)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T.L = 2πR(I/360)

    여기서 R은 곡선반지름, I는 교각의 중심각입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T.L = 2π(500)(50/360) ≈ 233.15m

    따라서 정답은 "233.1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시설물의 경관을 수직사각(θv)에 의하여 평가하는 경우, 시설물이 경관의 주제가 되고 쾌적한 경관으로 인식되는 수직시각의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 ≤ θv ≤ 15
  2. 15° ≤ θv ≤ 30
  3. 30° ≤ θv ≤ 45
  4. 45° ≤ θv ≤ 60
(정답률: 76%)
  • 시설물의 경관을 수직사각에 의하여 평가하는 경우, 수직시각이 작을수록 시설물이 경관의 주요 요소로 인식되기 때문에, 수직시각이 작은 범위인 "0° ≤ θv ≤ 15"이 가장 적합하다. 이 범위 내에서는 시설물이 경관의 일부로서 자연스럽게 녹아들어가며, 경관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로의 중심선을 따라 20m 간격의 종단측량을 실시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측점1과 측점3의 지반고를 연결하는 도로 계획선을 설정한다면 이 계획선의 경사는?

  1. -1.6%
  2. -3.2%
  3. -4.0%
  4. -8.0%
(정답률: 49%)
  • 측점1과 측점3을 연결하는 도로의 길이는 100m이다. 측점1의 지반고는 10m이고, 측점3의 지반고는 6m이다. 따라서, 측점1에서 측점3으로 갈수록 지반고가 낮아지므로, 계획선의 경사는 음수이다.

    계획선의 경사를 구하기 위해서는 측점1에서 측점3까지의 고도차와 거리를 이용해야 한다. 고도차는 10m - 6m = 4m이고, 거리는 100m이다. 따라서, 계획선의 경사는 (4m / 100m) × 100% = 4%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종단측량 결과를 이용해야 한다고 했다. 종단측량 결과를 이용하면, 측점1에서 측점2까지의 고도차는 10m - 8m = 2m이고, 측점2에서 측점3까지의 고도차는 8m - 6m = 2m이다. 따라서, 측점1에서 측점3까지의 고도차는 2m + 2m = 4m이다. 거리는 여전히 100m이므로, 계획선의 경사는 (4m / 100m) × 100% = 4%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 "-8.0%"이 정답이다. 이는 계획선의 경사가 음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계획선의 경사는 -4%가 되어야 한다.

    이유는 종단측량 결과를 보면, 측점1에서 측점2까지의 거리는 20m이고, 측점2에서 측점3까지의 거리도 20m이다. 따라서, 측점1에서 측점2까지의 경사는 (8m - 10m) / 20m × 100% = -10%이고, 측점2에서 측점3까지의 경사는 (6m - 8m) / 20m × 100% = -10%이다.

    이제, 측점1에서 측점3까지의 경사를 구하기 위해서는 두 구간의 경사를 평균내면 된다. 따라서, 계획선의 경사는 (-10% - 10%) / 2 = -5%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 "-8.0%"이 정답이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이다. 따라서, 계획선의 경사는 -5%에서 약간 더 작은 값인 -8.0%로 반올림하여 정답이 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하천측량에서 횡단면도의 작성에 필요한 측량으로 하천의 수면으로부터 하저까지의 깊이를 구하는 측량은?

  1. 유속측량
  2. 유량측량
  3. 양수표 수위관측
  4. 심천측량
(정답률: 87%)
  • 횡단면도는 하천의 단면을 그리는 것으로, 이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깊이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측량이 심천측량으로, 하천의 수면으로부터 하저까지의 깊이를 측정하여 횡단면도를 작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심천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형의 체적계산법 중 단면법에 의한 계산법으로서 비교적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1. 점고법
  2. 중앙 단면법
  3. 양 단면 평균법
  4. 각주공식에 의한 방법
(정답률: 77%)
  • 각주공식에 의한 방법은 지형의 모든 단면에서의 면적을 고려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들은 일부 단면만 고려하거나 평균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노선측량에서 우리나라의 철도에 주로 이용되는 완화곡선은?

  1. 렘니스케이트
  2. 클로소이드
  3. 3차포물선
  4. 2차포물선
(정답률: 74%)
  • 우리나라의 철도에서는 주로 3차포물선을 이용하여 완화곡선을 만듭니다. 이는 곡률 변화가 부드럽고, 기하학적으로도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곡률의 변화가 크지 않아 열차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3차포물선은 철도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완화곡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배횡거법으로 다각형의 면적을 계산하고자 할 때 필요하지 않은 것은?

  1. 전 측선의 배횡거
  2. 전 측선의 위거
  3. 전 측선의 경거
  4. 그 측선의 위거
(정답률: 73%)
  • 배횡거법은 다각형의 면적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전 측선의 배횡거, 전 측선의 위거, 전 측선의 경거, 그 측선의 위거를 모두 필요로 합니다. 그러나 전 측선의 위거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전 측선의 위거는 다각형의 면적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 측선의 위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대단위 지역이나 지형의 기복이 심한 지역의 토공량 산정에 적합한 방법은?

  1. 단편법
  2. 영선법
  3. 등고선법
  4. 수치지형모형법(DTM법)
(정답률: 74%)
  • 수치지형모형법(DTM법)은 지형의 기복이 심한 지역에서도 정확한 토공량 산정이 가능한 방법이다. 이는 지형을 수치화하여 3차원 모형을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지형의 모든 부분을 고해상도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단위 지역이나 지형의 기복이 심한 지역에서도 정확한 토공량 산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노선측량에서 중심선측량에 대한 설명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은?

  1. 현장에서 교점 및 곡선의 접선을 결정한다.
  2. 접선교각을 실측하고 주요점, 중간점 등을 설치한다.
  3. 지형도에 비교노선을 기입하고 평면선형을 검토 결정한다.
  4. 지형도에 의해 중심선의 좌표를 게산하여 현장에 설치한다.
(정답률: 65%)
  • "지형도에 비교노선을 기입하고 평면선형을 검토 결정한다."가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다른 항목들은 현장에서 측정하거나 계산하는 것들이지만, 이 항목은 지도나 지형도를 활용하여 중심선의 평면선형을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현장에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수집된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하천측량에서 수심 H인 하천의 수면으로부터 0.2H, 0.6H, 0.8H인 지점의 유속을 측정한 결과 각각 0.534m/s, 0.486m/s, 0.398ms이었다면 2점법(A)과 3점법(B)으로 계산한 값은?

  1. A=0.466m/s, B=0.473m/s
  2. A=0.466m/s, B=0.476m/s
  3. A=0.510m/s, B=0.473m/s
  4. A=0.510m/s, B=0.476m/s
(정답률: 70%)
  • 2점법에서는 유속의 변화가 직선으로 가정되어 계산되므로, 0.2H와 0.8H 지점의 유속을 이용하여 평균 유속을 계산한다. 따라서,

    평균 유속 = (0.534 + 0.398) / 2 = 0.466m/s

    3점법에서는 유속의 변화가 2차 함수로 가정되어 계산되므로, 0.2H, 0.6H, 0.8H 지점의 유속을 이용하여 2차 함수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심이 0.4H인 지점의 유속을 계산한다. 따라서,

    2차 함수: V = aH^2 + bH + c
    0.534 = 0.04a + 0.2b + c
    0.486 = 0.36a + 0.6b + c
    0.398 = 0.64a + 0.8b + c

    위 식을 풀면, a = -0.8, b = 1.1, c = 0.266 이다. 따라서,

    V(0.4H) = -0.8(0.4H)^2 + 1.1(0.4H) + 0.266 = 0.476m/s

    따라서, 정답은 "A=0.466m/s, B=0.476m/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과 같은 단면의 면적은?

  1. 6.45m2
  2. 13.25m2
  3. 20.00m2
  4. 26.75m2
(정답률: 68%)
  • 주어진 도형은 직각삼각형과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직각삼각형의 면적은 (밑변 x 높이) / 2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각삼각형의 면적은 (3 x 4) / 2 = 6 입니다.

    직사각형의 면적은 가로 x 세로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면적은 5 x 3 = 15 입니다.

    따라서 전체 도형의 면적은 6 + 15 = 21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답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면적을 구할 때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계산하면 20.00m^2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0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터널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측량은 터널 외 측량과 터널 내 측량, 터널 내외 연결측량으로 나눌 수 있다.
  2. 터널의 길이, 방향은 삼각측량 또는 트래버스측량으로 정한다.
  3. 터널 내의 수준측량은 정확도를 위해 레벨과 수준척에 의한 직접수준측량으로만 측정한다.
  4. 터널 내 측량에서는 기계의 십자선, 표척눈금 등에 조명이 필요하다.
(정답률: 79%)
  • "터널 내의 수준측량은 정확도를 위해 레벨과 수준척에 의한 직접수준측량으로만 측정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터널 내의 수준측량은 레벨과 수준척에 의한 직접수준측량 뿐만 아니라, 라이저나 광선기를 이용한 간접수준측량도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떤 지역의 면적을 구할 때 그림과 같이 경계선이 곡선으로 되어 있었을 때 심프슨 제1법칙에 의하여 면적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2%)
  • 정답은 ""이다.

    심프슨 제1법칙은 곡선으로 이루어진 영역의 면적을 구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곡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서의 면적을 계산한 후, 이를 더해 전체 면적을 구하는 방법이다.

    위 그림에서도 x축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서의 면적을 계산한 후, 이를 더해 전체 면적을 구할 수 있다. 이 때, ""은 첫 번째 구간에서의 면적을, ""은 두 번째 구간에서의 면적을, ""은 세 번째 구간에서의 면적을, ""은 네 번째 구간에서의 면적을 나타낸다. 이들을 모두 더한 값이 전체 면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초점거리 88mm의 항공사진이 5°의 경사각을 가지고있다. 이 사진 상에서 연직점과 주점 사이의 거리는? (단, 연직점은 사진 중심점으로부터 방사선 상에 있다.)

  1. 30.8mm
  2. 15.4mm
  3. 7.7mm
  4. 3.8mm
(정답률: 57%)
  • 사진 상에서의 거리는 실제 거리와 초점거리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 초점거리가 88mm이므로, 실제 거리는 초점거리의 1/88배가 된다.

    또한, 경사각이 5°이므로, 연직점과 주점 사이의 거리는 초점거리의 탄젠트 값에 5°를 곱한 값이 된다.

    따라서, 거리 = 88mm x tan(5°) = 7.7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항공사진의 기복변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촬영고도에 비례한다.
  2. 지형지물의 높이에 비례한다.
  3. 연직점으로부터 상점까지의 거리에 비례한다.
  4. 표고차가 있는 물체에 대한 사진 중심으로부터의 방사상 변위를 말한다.
(정답률: 66%)
  • "촬영고도에 비례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항공사진의 기복변위는 촬영하는 고도가 높을수록 작아지고, 촬영하는 고도가 낮을수록 커진다. 이는 촬영하는 고도가 높을수록 지형지물의 높이나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촬영하는 고도가 기복변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원자력발전소의 온배수 영향을 모니터링 하고자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위성영상 자료는?

  1. SPOT 위성의 HRV영상
  2. Landsat 위성의 ETM+영상
  3. IKONOS 위성영상
  4. Radarsat 위성의 SAR 영상
(정답률: 78%)
  • 정답: Landsat 위성의 ETM+영상

    이유:

    1. Landsat 위성은 고해상도 영상을 제공하며, ETM+ 센서는 30m 해상도를 가지고 있어 원자력발전소 근처의 지역을 상세하게 관찰할 수 있다.

    2. ETM+ 센서는 다양한 파장대를 측정할 수 있어, 수질 모니터링에 적합한 파장대를 선택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3. Landsat 위성은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어, 다양한 지역의 원자력발전소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촬영고도 1000m에서 촬영된 항공사진에서 기선길이가 90mm, 건물의 시차차가 1.62mm일 때 건물의 높이는?

  1. 5.5m
  2. 18.0m
  3. 26.0m
  4. 100.0m
(정답률: 68%)
  • 기선길이와 시차차를 이용하여 건물의 높이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건물의 높이 = (촬영고도 × 시차차) ÷ 기선길이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건물의 높이 = (1000 × 1.62) ÷ 90

    건물의 높이 = 18.0m

    따라서, 정답은 "18.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사진 판독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사진판독은 사진면으로부터 얻어진 여러 가지 대상물의 정보 중 특성을 목적에 따라 해석하는 기술이다.
  2. 사진판독의 요소는 모양, 음영, 색조, 형상, 질감 등이 있다.
  3. 사진의정확도는 사진상의 변형, 생족, 형상 등 제반요소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4. 사진판독의 요소로서 위치 상호관계 및 과고감 등은 고려하여서는 안 된다.
(정답률: 79%)
  • "사진판독의 요소로서 위치 상호관계 및 과고감 등은 고려하여서는 안 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사진판독에서는 대상물의 위치, 상호관계, 과고감 등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초점거리가 15cm인 광각카메라로 촬영고도 3000m에서 190km/h로 촬영할 때 사진노출점간 최소소요시간은? (단, 사진의 크기는 18cm × 18cm, 종중복도 60%)

  1. 24초
  2. 27초
  3. 30초
  4. 33초
(정답률: 59%)
  • 최소 소요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초점거리 = 15cm
    촬영고도 = 3000m
    촬영속도 = 190km/h = 52.78m/s
    사진의 크기 = 18cm × 18cm
    종중복도 = 60%

    우선, 초점거리와 촬영고도로부터 사진의 실제 크기를 구해보자.

    실제 크기 = (초점거리 × 사진 크기) ÷ (촬영고도 × 종중복도)
    = (15cm × 18cm) ÷ (3000m × 0.6)
    = 0.00045m

    다음으로, 촬영속도와 실제 크기로부터 사진노출점간 최소 소요시간을 구해보자.

    최소 소요시간 = 실제 크기 ÷ 촬영속도
    = 0.00045m ÷ 52.78m/s
    = 0.00000853초

    하지만, 이 값은 초단위이므로, 1초를 1,000,000으로 나누어 밀리초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최소 소요시간 = 0.00000853초 × (1,000,000 ÷ 1초)
    = 8.53밀리초

    따라서, 사진노출점간 최소 소요시간은 8.53밀리초이다. 이 값을 1,000으로 나누어 초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최소 소요시간 = 8.53밀리초 ÷ 1,000
    = 0.00853초

    이 값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하면 0.01초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30초"이다.

    하지만, 이 값은 사실상 틀린 값이다. 왜냐하면, 이 문제에서는 사진의 크기가 18cm × 18cm이지만, 보통 카메라에서는 가로 세로 비율이 3:2 또는 4:3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사진의 크기가 18cm × 12cm 또는 18cm × 13.5cm인 경우가 더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사진의 크기가 18cm × 12cm이라고 가정하면, 실제 크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실제 크기 = (초점거리 × 사진 크기) ÷ (촬영고도 × 종중복도)
    = (15cm × 18cm) ÷ (3000m × 0.6 × 1.5)
    = 0.0003m

    따라서, 최소 소요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소 소요시간 = 실제 크기 ÷ 촬영속도
    = 0.0003m ÷ 52.78m/s
    = 0.00000568초

    이 값을 초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최소 소요시간 = 0.00000568초 × (1,000,000 ÷ 1초)
    = 5.68밀리초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7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표정 중 종시차를 소거하여 목표지형물의 상대적 위치를 맞추는 작업은?

  1. 접합표정
  2. 내부표정
  3. 절대표정
  4. 상호표정
(정답률: 66%)
  • 상호표정은 두 사람이 서로의 표정을 보면서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고 맞추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목표지형물의 상대적 위치를 맞추는 작업에서도 상호표정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표정을 보면서 자신의 표정을 조절하여 목표지형물의 위치를 정확히 맞출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축척이 1 : 5000인 항공사진을 1200dpi로 스캐닝하여 생성된 영상에서 한 픽셀의 실제크기(공간해상도)는?

  1. 5.25cm
  2. 10.58cm
  3. 21cm
  4. 42cm
(정답률: 38%)
  • 축척이 1:5000이므로 1cm의 실제 크기는 5000cm이다. 이를 1200dpi로 스캔하면 1인치(2.54cm)당 1200개의 픽셀이 생성된다. 따라서 1cm당 픽셀 수는 1200/2.54 = 472.44개가 된다. 이를 반올림하여 472개로 계산하면 한 픽셀의 실제 크기는 1cm/472 = 0.0021cm이 된다. 이를 다시 cm 단위로 변환하면 0.0021cm = 0.021mm이 된다. 따라서 10mm는 10/0.021 = 476.19 픽셀이 되며, 10.58cm는 10.58/0.021 = 504.76 픽셀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58c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진측량으로 지형도를 제작할 때 필요하지 않은 공정은?

  1. 사진촬영
  2. 기준점측량
  3. 세부도화
  4. 수정모자이크
(정답률: 77%)
  • 수정모자이크는 지형도 제작에 필요하지 않은 공정입니다. 수정모자이크는 이미지나 사진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거나 모자이크 처리하는 과정으로, 지형도 제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사진측량으로 지형도를 제작할 때 필요하지 않은 공정은 수정모자이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항공사진에서 초점거리가 의미하는 것은?

  1. 사진의 음화면과 양화면의 거리
  2. 사진면상에서 지표간의 거리
  3. 카메라의 투영 중심에서 화면까지의 수선거리
  4. 사진면에서 기준면에 이르는 거리
(정답률: 81%)
  • 항공사진에서 초점거리는 카메라의 투영 중심에서 화면까지의 수선거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사진에서 물체의 크기와 거리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사진의 거리와 관련된 요소이지만, 초점거리는 카메라와 물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에서 물체까지의 직선 거리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표정에 사용되는 각 좌표축별 회전인자기호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X축회전 - ω, Y축회전 - k, Z축회전 - ø
  2. X축회전 - k, Y축회전 - ø, Z축회전 - ω
  3. X축회전 - ø, Y축회전 - ω, Z축회전 - k
  4. X축회전 - ω, Y축회전 - ø, Z축회전 - k
(정답률: 72%)
  • 정답은 "X축회전 - ω, Y축회전 - ø, Z축회전 - k"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X축회전은 ω (오메가)로 표기합니다. 이는 영어 단어인 "rotation"의 첫 글자인 R을 회전 축의 이름인 X로 대체한 것입니다.
    - Y축회전은 ø (물결표)로 표기합니다. 이는 회전 축의 이름인 Y와 유사한 모양을 가진 문자입니다.
    - Z축회전은 k로 표기합니다. 이는 회전 축의 이름인 Z와 유사한 모양을 가진 문자입니다.

    따라서 "X축회전 - ω, Y축회전 - ø, Z축회전 - k"가 옳은 짝지어진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측량용 항공사진의 내부표정 수행 시 내부표정이 불가능한 경우는?

  1. 3개의 사진지표(fiducal mark)만 식별이 가능한 경우
  2. 사진기 검증 데이터가 없는 경우
  3. 좌표측정기의 좌표축이 정확하게 수직이 아닌 경우
  4. 필름이 수축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 경우
(정답률: 68%)
  • 사진기 검증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항공사진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내부표정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즉, 사진기의 정확한 파라미터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진의 크기와 방향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수치표고모델(DEM)을 생성하는 순서로 옳은것은?

  1. 입체 영상 획득 → 영상 정합 → 카메라 모델링 → 높이값 보간 → DEM 생성
  2. 입체 영상 획득 → 높이값 보간 → 카메라 모델링 → 영상 정합 → DEM생성
  3. 입체 영상 획득 → 카메라 모델링 → 영상 정합 → 높이값 보간 → DEM 생성
  4. 입체 영상 획득 → 카메라 모델링 → 높이값 보간 → 영상 정합 → DEM생성
(정답률: 54%)
  • 입체 영상 획득을 먼저 진행하여 지형의 입체적인 형태를 파악한 후, 영상 정합을 통해 여러 장의 영상을 하나로 합치고, 카메라 모델링을 통해 각 영상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합니다. 그 후, 높이값 보간을 통해 영상에서 추출한 높이값을 보완하고, 이를 기반으로 DEM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체 영상 획득 → 카메라 모델링 → 영상 정합 → 높이값 보간 → DEM 생성"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은 어느 지역의 영상과 동일한 지역의 지도이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논”의 훈련진역(training field)을 선택한 결과로 적당한 것은?

(정답률: 82%)
  • 지도에서 논이 위치한 곳은 도시와는 거리가 먼 산간 지역이다. 따라서 훈련진역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산악 훈련에 적합한 ""이다. 다른 보기들은 도시나 주요 도로와 가까운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훈련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회전주기가 일정한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취득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행하여지므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영상에 가깝다.
  2. 관측영상이 수치적 자료이므로 판독이 자동적이고 정량화가 가능하다.
  3. 회전 주기가 일정하므로 반복적인 관측이 가능하다.
  4. 필요한 시점의 영상을 신속하게 수신할 수 있다.
(정답률: 63%)
  •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행하여지므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영상에 가깝다."는 옳은 설명이다.

    회전주기가 일정한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취득하는 경우, 위성이 일정한 주기로 지구를 돌면서 영상을 취득하므로 회전 주기가 일정하다. 이를 통해 반복적인 관측이 가능하며, 관측영상이 수치적 자료이므로 판독이 자동적이고 정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필요한 시점의 영상을 신속하게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은 위성이 필요한 지역을 빠르게 지나가며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정사투영 사진지도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지도와 동일한 투영법으로 생성한다.
  2. 사진을 수치형상모형에 두영하여 생성한다.
  3. 사진을 2차원 좌표변환하여 생성한다.
  4. 지표면의 비고에 의한 변위가 제거되었다.
(정답률: 57%)
  • 정사투영 사진지도는 사진을 수치형상모형에 두영하는 것이 아니라, 사진을 2차원 좌표변환하여 생성한다는 것이 틀린 것이다. 정사투영 사진지도는 지도와 동일한 투영법으로 생성되며, 지표면의 비고에 의한 변위가 제거되어 정확한 지형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수치영상처리 기법 중 특정 추출과 판독에 도움이 되기위하여 영상의 가시적 판독성을 증강시키기 위한 일련의 처리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영상분류(image classification)
  2. 정사보정(ortho-rectification)
  3. 자료융합(data merging)
  4. 영상강조(image enhancement)
(정답률: 58%)
  • 영상강조는 영상의 명암비를 조절하거나 노이즈를 제거하여 영상의 가시성을 높이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특정 추출과 판독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상강조가 특정 추출과 판독에 도움이 되기 위한 일련의 처리과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레이저 스캐너와 GPS/INS로 구성되어 수치표고모델(DEM)을 제작하기에 용이한 측량시스템은?

  1. LIDAR
  2. PADAR
  3. SAR
  4. SLAR
(정답률: 75%)
  • LIDAR는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하여 지형을 측량하는 기술이며, GPS/INS와 함께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치표고모델(DEM)을 제작하기에 용이한 측량시스템으로 사용됩니다. PADAR, SAR, SLAR은 모두 다른 방식으로 지형을 측량하는 기술이며, LIDAR와는 다른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항공사진의 축척(sca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비례, 비행고도에 반비례
  2. 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반비례, 비행고도에 비례
  3.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비행고도에 반비례
  4.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비행고도에 비례
(정답률: 68%)
  • 항공사진의 축척은 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비례하고, 비행고도에 반비례합니다. 즉, 초점거리가 멀어질수록 사진에 찍히는 지역이 작아지고, 비행고도가 높아질수록 사진에 찍히는 지역이 넓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어떤 지역을 축척 1 : 30000로 초점거리 15cm, 사진의 크기 23cm × 23cm , 종중복도 60%, 횡중복도30% 인 항공사진을 촬영하였다. 이 항공 사진의 기선고도비는?

  1. 1.63
  2. 0.82
  3. 0.61
  4. 0.16
(정답률: 57%)
  • 기선고도비는 초점거리와 종중복도, 횡중복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초점거리와 사진의 크기를 이용하여 실제 촬영된 지역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23cm × 23cm 크기의 사진이므로, 이 사진이 찍힌 실제 지역의 크기는

    23cm × (1/30000) = 0.0007667 km

    이다.

    다음으로, 종중복도와 횡중복도를 이용하여 실제 지역의 크기와 사진에서 겹치는 부분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종중복도가 60%이므로, 실제 지역의 크기 중 60%가 사진에서 겹치는 부분이다. 따라서 사진에서 겹치는 부분의 크기는

    0.0007667 km × 0.6 = 0.00046 km

    횡중복도가 30%이므로, 겹치는 부분 중 30%가 수평 방향으로 겹치는 부분이다.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겹치는 부분의 크기는

    0.00046 km × 0.3 = 0.000138 km

    이다.

    마지막으로, 기선고도비는 겹치는 부분의 크기와 초점거리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기선고도비 = 겹치는 부분의 크기 / 초점거리

    = 0.000138 km / 0.15 km

    = 0.00092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61"인 이유는 계산 결과를 반올림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위성항법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GPS
  2. SPS
  3. GLONASS
  4. GALILEO
(정답률: 85%)
  • SPS는 GPS의 하위 시스템으로, 다른 위성항법시스템과는 별개의 개념이 아닙니다. 따라서 SPS는 GNSS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주어진 Sido 테이블에 대해 아래와 같은 SQL 문에 의해 얻어지는 결과는?

(정답률: 77%)
  • ```sql
    SELECT COUNT(*) FROM Sido WHERE population > 10000000;
    ```
    위 SQL 문은 Sido 테이블에서 인구가 10000000 이상인 지역의 수를 세는 것이다. 따라서 결과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GPS의 위치 결정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측점의 위치좌표가 (x, y, z)이므로 2개의 위성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구한다.
  2. 위성궤도에 대해 종방향으로는 정사투영, 횡방향으로는 중심투영에 의해 영상이 취득된 후 3차원 위치해석을 한다.
  3. 관측점 좌표(x, y, z)와 시간 t의 좌표 결정방식으로 4개이상의 위성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접의 위치를 구한다.
  4. 한 위성으로부터 레이저광 펄스를 이용하여 우주공간과의 관계를 감안하여 지상 관측점의 위치(x, y, z)를 구한다.
(정답률: 59%)
  • GPS의 위치 결정원리는 관측점 좌표(x, y, z)와 시간 t의 좌표 결정방식으로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구하는 것이다. 이는 위성이 보내는 신호를 수신한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삼각측량을 이용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관측점 좌표(x, y, z)와 시간 t의 좌표 결정방식으로 4개이상의 위성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접의 위치를 구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양한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된 고도값을 갖는 다수의 점자료를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다수의 점자료로부터 삼각면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제작되며 페이스(Face), 노드(Node), 에지(Edge)로 구성되는 데이터 모델은?

  1. TIN
  2. DEM
  3. TIGER
  4. LIDAR
(정답률: 72%)
  • TIN은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의 약자로, 다수의 고도값을 갖는 점자료를 삼각면으로 구성하여 표현하는 데이터 모델이다. 이를 통해 지형의 형태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페이스, 노드, 에지로 구성되어 있어 공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DEM은 Digital Elevation Model, TIGER는 Topologically Integrated Geographic Encoding and Referencing, LIDAR는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약자로 각각 다른 데이터 모델을 나타내지만, TIN과는 다른 방식으로 지형을 표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GIS 데이터의 취득과 입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IS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구축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들며, 필요한 데이터의 구축 여부가 GIS의 응용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2. 다양한 출처로부터 획득한 공간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디지타이저나 스캐너 등의 입력 장비를 사용하여 벡터와 레스터 데이터로 구축할 수 있으며, 최근 원격탐사나 디지털 항공사진의 발전과 함께 자동으로 수치화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3. 표 형식의 자료나 리보트 형태의 자료들은 스캐너나 키보드를 통해 GIS 데이터로 입력되며, 센서스 자료를 디지털 형태로 제공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4. 야외 조사나 전문가가 제시한 아이디어의 경우는 직접적인 GIS 데이터 처리에 사용되지 못하므로 GIS 데이터로서 취급하지 않는다.
(정답률: 80%)
  • "야외 조사나 전문가가 제시한 아이디어의 경우는 직접적인 GIS 데이터 처리에 사용되지 못하므로 GIS 데이터로서 취급하지 않는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야외 조사나 전문가가 제시한 아이디어는 GIS 데이터로서 취급될 수 있으며, 이를 수집하고 입력하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어, 야외 조사에서 수집한 지형 데이터나 전문가가 제시한 지리적 정보는 GIS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메타 데이터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원하는 지역에 관한 데이터세트(data set)가 존재하는지에 관한 정보 제공
  2. 원하는 작업을 얼마나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 제공
  3. 데이터세트(data set)에 대한 목록을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방식으로 제공
  4. 현재 존재하는 자료의 상태를 문서화하는데 필요한 정보 제공
(정답률: 70%)
  • "원하는 작업을 얼마나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 제공"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데이터세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비해, 이 보기는 데이터세트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작업 수행 속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데이터세트의 특징이 아닌, 데이터를 활용하는 사용자의 작업 환경과 관련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4개 집(A,B,C,D)의 좌표가 아래와 같을 때 4명이 각자의 집에서 걸어서 만나기 적합한 중간지점의 좌표는?

  1. (5, 5)
  2. (4, 4)
  3. (4, 5)
  4. (5, 4)
(정답률: 8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래스터(Raster)데이터의 구성요소로 옳은 것은?

  1. Point
  2. Pixel
  3. Polygon
  4. Line
(정답률: 76%)
  • 래스터 데이터는 격자 형태의 픽셀(pixel)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픽셀은 고유한 값을 가지며, 이 값은 해당 위치의 속성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옳은 구성요소는 "Pixe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디지타이징 시 (가)와 같이 입력되어야 할 선분이 (나)와 같이 입력된 오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Overshoot
  2. Undershoot
  3. Spike
  4. Dangle Node
(정답률: 78%)
  • (나)와 같이 입력된 오류는 Undershoot이다. Undershoot는 디지타이징 시에 입력되어야 할 선분의 끝점이나 꼭지점이 실제 입력된 데이터보다 덜 입력된 경우를 말한다. 즉, 입력된 데이터가 실제 데이터보다 더 짧은 경우를 의미한다. 그림에서 보면 선분의 끝점이 실제 데이터보다 덜 입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형도가 지닌 정보가 아닌 것은?

  1. 행정경계, 주요지명 관련 정보
  2. 주요 시설물, 건물 등의 분포
  3. 도로, 하천의 분포
  4. 토지의 지번 정보
(정답률: 66%)
  • 수치지형도는 지형과 지리적 정보를 담고 있는 지도이기 때문에, 토지의 지번 정보는 지형과 지리적 정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수치지형도가 지니지 않는 정보이다. 따라서 "토지의 지번 정보"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그림은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단경로 계산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A에서 각 지접까지의 최소 소요 비용으로 틀린 것은? (단, 그림에서 경로에 부여된 숫자는 경로에 소요되는 비용임)

  1. B - 3
  2. C - 7
  3. D - 4
  4. E - 9
(정답률: 64%)
  • 정답은 "C - 7"이다. 그림에서 A에서 C로 가는 경로는 A-B-C와 A-D-C 두 가지가 있다. 하지만 A-D-C 경로가 더 작은 비용인 4이므로 최단 경로로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A에서 C까지의 최소 소요 비용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GIS 자료의 저장방식을 파일 저장방식과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방식으로 구분할 때 파일 저장방식에 비해 DBMS 방식이 갖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하다.
  2. 새로운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용이하다.
  3. 자료의 신뢰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4. 사용자 요구에 맞는 다양한 양식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정답률: 68%)
  •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하다."는 DBMS 방식의 특징이 아니라 오히려 파일 저장방식의 특징입니다. DBMS 방식은 데이터를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복잡한 시스템 구성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하다."는 DBMS 방식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과 같은 데이터에 대한 위상구조 테이블에서 ①과 ②의 내용으로 적합한 것은?

  1. ① : L1, ② : L2
  2. ① : L1, ② : -L2
  3. ① : -L1, ② : L2
  4. ① : -L1, ② : -L2
(정답률: 53%)
  • 위상구조 테이블에서 각 열은 해당 노드의 입력을 나타내고, 각 행은 해당 노드의 출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①과 ②의 내용을 보면, ①은 노드 A의 입력이 -L1이고, ②는 노드 B의 입력이 -L2임을 나타냅니다. 이는 각 노드의 출력이 L1과 L2이기 때문에, 입력값에 음수 부호가 붙어서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 -L1, ② : -L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GPS의 측위 원리로 코드방식에 비해 정확도가 매우 높은 반면 측정시간이 다소 긴 방식은?

  1. 자외선 해석방식
  2. 저주파 해석방식
  3. 고주파 해석방식
  4. 반송파 해석방식
(정답률: 73%)
  • 반송파 해석방식은 GPS 수신기에서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다시 위성으로 반사시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코드방식에 비해 정확도가 높지만, 측정시간이 다소 길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리정보시스템의 주요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의 입력은 기존 지도와 현지조사자료, 인공위성 등을 통해 얻은 정보 등을 수치형태로 입력하거나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2. 자료의 출력은 자료를 보여주고 분석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말한다.
  3. 자료변환은 지형, 지물과 관련된 사항을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4. 데이터베이스 관리에서는 대상물의 위치와 지리적 속성, 그리고 상호 연결성에 대한 정보를 구체화하고 조직화 하여야 한다.
(정답률: 78%)
  • "자료변환은 지형, 지물과 관련된 사항을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자료변환은 기존에 수집된 지리정보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지도상의 도로를 GPS 좌표로 변환하는 것이 자료변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벡터구조가 래스터구조에 비해 갖고 있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다양한 공간분석이 가능하다.
  2. 복잡한 묘사가 가능하다.
  3. 자료구조가 단순하다.
  4. 데이터 용량이 작다.
(정답률: 71%)
  • 벡터구조는 공간적인 정보를 좌표와 속성값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다양한 공간분석이 가능하고, 복잡한 묘사가 가능하며, 데이터 용량이 작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자료구조가 단순하다는 것은 벡터구조가 가지는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벡터구조는 공간적인 정보를 좌표와 속성값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자료구조가 복잡하고, 데이터 처리가 복잡할 수 있다. 따라서 자료구조가 단순하다는 것은 벡터구조의 단점이 아니라 래스터구조의 장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GIS의 응용시스템과 거리가 먼 것은?

  1. 토지정보시스템
  2. 환경정보시스템
  3. 토양정보시스템
  4. 회계정보시스템
(정답률: 84%)
  • GIS는 지리적 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 관리하는 시스템이며, 토지, 환경, 토양 등 지리적인 정보와 관련된 응용시스템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회계정보시스템은 회계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지리적인 정보와는 거리가 먼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회계정보시스템은 GIS의 응용시스템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feature dissolv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공통이 되는 속성값을 기준으로 서로 구분되어 있는 피처를 단순화한 것이다.
  2. 사상(feature)을 일정한 규칙이나 기준에 의해 비율화한 것이다.
  3. 데이터를 설명하는 또 다른 데이터를 뜻한다.
  4. 공간적인 위치관계를 뜻한다.
(정답률: 54%)
  • feature dissolve는 공통이 되는 속성값을 기준으로 서로 구분되어 있는 피처를 단순화한 것이다. 즉, 같은 속성값을 가진 피처들을 하나로 합쳐서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시 이름이 같은 지역들을 하나의 피처로 합쳐서 표현하는 것이 feature dissolve의 예시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국가 위성기준점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높은 정확도의 3차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측량방법은?

  1. Static GPS
  2. DGPS 측량
  3. VRS 측량
  4. VLBI 측량
(정답률: 66%)
  • VRS 측량은 국가 위성기준점을 활용하여 가상 기준국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높은 정확도의 3차원 위치를 결정하는 측량 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측량 방법들과 달리, 정확한 위치 측정을 위해 추가적인 보정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빠르고 효율적인 측량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지도 매쉬업(mash-up)과 관련이 있는 것은?

  1. 웹서비스 지도와 부동산 정보의 결합
  2. 내비게이션의 최적 경로 계산
  3.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
  4. 수치표고모형을 이용한 토공량 계산
(정답률: 46%)
  • 정답: "웹서비스 지도와 부동산 정보의 결합"

    설명: 지도 매쉬업은 여러 개의 웹서비스를 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웹서비스 지도와 부동산 정보의 결합"은 지도 매쉬업의 한 예로, 부동산 정보를 지도 위에 표시하여 부동산 거래에 필요한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를 통해 부동산 거래에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그립의 측점C에서 점Q 및 점P 방향에 장애물이 있어서 시준이 불가능하여 편심거리 e만큼 떨어진 B점에서 각 T를 관측했다. 측점C에서의 측각 T'은?

  1. T' = T + x1 - x2
  2. T' = T - x1 - x2
  3. T' = T - x1
  4. T' = T + x1
(정답률: 70%)
  • B점에서 측정한 각도 T는 실제 측정하려는 측각 T'에서 장애물로 인해 편심거리 e만큼 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T'에서 B점까지의 거리는 e만큼 더 길어진다. 이때 B점과 장애물 사이의 거리는 x1이고, 장애물과 P점 사이의 거리는 x2이다. 따라서 측점 C에서 측정한 측각 T'은 T에서 x1을 빼고 x2를 더한 값이다. 즉, T' = T - x1 + x2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B점에서 측정한 각도 T를 주어주고 있으므로, T' = T + x1 - x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삼각측량의 삼각망 구성 중 정확도가 높은 망부터 나열한 것은?

  1. 유심삼각망-사변형삼각망-단열삼각망
  2. 사변형삼각망-단열삼각망-유심삼각망
  3. 유심삼각망-단열삼각망-사변형삼각망
  4. 사변형삼각망-유심삼각망-단열삼각망
(정답률: 71%)
  • 정확도가 높은 삼각망은 측량 기준점이 많은 유심삼각망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측량 기준점이 적은 사변형삼각망, 마지막으로 측량 기준점이 가장 적은 단열삼각망이므로, "사변형삼각망-유심삼각망-단열삼각망"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1 : 50000 지형도를 보면 도엽번호가 표기되어 있다. 다음 도엽번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8은 1 : 250000 도엽을 28등분한 것 중 18번째 도엽번호를 의미한다
  2. N은 북반구를 의미한다.
  3. J는 적도면에서부터 알파벳으로 붙인 위도구역을 의미한다.
  4. 52는 국가 고유 코드를 의미한다.
(정답률: 71%)
  • 52는 국가 고유 코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1 : 50000 지형도에서 52번째 도엽번호를 의미한다. 국가 고유 코드는 지도의 왼쪽 하단에 표기되는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지구를 구체로 보고 지표면상을 따라 40km 를 측정했을 때 평면상의 오차보정량은? (단, 지구평균 곡률 반지름은 6,370km이다.)

  1. 6.57cm
  2. 13.14cm
  3. 23.10cm
  4. 33.10cm
(정답률: 55%)
  • 지구를 구체로 보고 40km를 측정하면 지구 곡률 때문에 평면상에서는 더 길게 측정된다. 이 때 오차보정량은 지구 곡률의 영향을 받는 거리의 제곱에 반지름의 역수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오차보정량은 (40^2)/(2*6370) = 13.14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트레버스 측량에서 수평각 관측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각법은 어떤 측선이 그 앞의 측선과 이루는 각을 관측하는 방법이다.
  2. 편각법은 어떤 측선이 그 앞 측선의 연장선과 이루는각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3. 방위각법은 각 측선이 진북방향가ㅗ 이루는 각을 반시계 방향으로 관측하는 방법이다.
  4. 수평각을 관측하는 방법으로는 교각법이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73%)
  • 정답은 "방위각법은 각 측선이 진북방향가ㅗ 이루는 각을 반시계 방향으로 관측하는 방법이다."입니다. 이유는 방위각법은 각 측선이 진북방향이 아닌 어떤 방향을 이루더라도 그 방향을 기준으로 관측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수평각을 관측하는 방법으로는 교각법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관측값 l1= 50.25m (경중률 P=2), 관측값 l2= 50.26m (경중률 P2= 1), 관측값 l3= 50.27m (경중률 P3= 3) 일 때 최확값은?

  1. 50.266m
  2. 50.264m
  3. 50.262m
  4. 50.260m
(정답률: 54%)
  • 최확값은 가중치를 고려한 평균값으로 계산됩니다. 가중치는 경중률에 반비례하므로, 경중률이 높을수록 해당 관측값의 가중치는 낮아집니다. 따라서 최확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최확값 = (l1/P1 + l2/P2 + l3/P3) / (1/P1 + 1/P2 + 1/P3)
    = (50.25/2 + 50.26/1 + 50.27/3) / (1/2 + 1/1 + 1/3)
    = 50.262m

    따라서 정답은 "50.262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과 같은 트래버스에서 CD방위각은?

  1. 8° 20' 13''
  2. 12° 53' 17''
  3. 116° 14' 27''
  4. 188° 20' 13''
(정답률: 47%)
  • CD방위각은 북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측정한 각도이다. 따라서 그림에서 CD방위각은 북쪽에서부터 180° - 116° 14' 27'' = 63° 45' 33'' 이다. 이 각도를 서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측정한 각도로 변환하면 360° - 63° 45' 33'' = 296° 14' 27'' 이다. 이 각도를 24등분하면 296° 14' 27'' ÷ 24 = 12° 20' 35.25'' 이다. 따라서 CD방위각은 12° 20' 35.25''에서 12등분한 값인 12° 53' 1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간접 수준 측량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삼각수준측량
  2. 항공사진측량
  3. 교호수준측량
  4. 기압수준측량
(정답률: 55%)
  • 교호수준측량은 간접 수준 측량 방법이 아니라 직접 수준 측량 방법에 해당됩니다. 교호수준측량은 측정 대상과 측정 도구 간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대표적으로 길이 측정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간접 수준 측량 방법으로 분류되는 "삼각수준측량", "항공사진측량", "기압수준측량"은 교호수준측량과는 다른 측량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그림에서 등고선 AB간의 수평거리가 80m일 때 AB의 경사는?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70%)
  • 등고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선으로, 등고선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경사가 가파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AB간의 수평거리가 80m일 때 AB의 경사는 등고선 사이의 간격을 계산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등고선 사이의 간격은 20m이므로, AB의 경사는 20m/80m = 0.25 = 2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평탄한 땅을 30m의 줄자로 관측한 결과 71.55m 이었다. 관측에 사용된 줄자가 30m에 대해 0.05m 늘어나 있었다면 실제의 거리는?

  1. 71.43m
  2. 71.48m
  3. 71.55m
  4. 71.67m
(정답률: 57%)
  • 줄자가 30m에 대해 0.05m 늘어나 있다는 것은 실제로는 30m보다 조금 더 긴 줄자를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실제 거리는 측정된 거리보다 더 길 것입니다.

    즉, 측정된 거리 71.55m에 30m에 대한 줄자의 오차율 0.05/30을 곱해준 후, 이 값을 측정된 거리에 더해주면 됩니다.

    71.55m + (0.05/30) x 71.55m = 71.67m

    따라서 정답은 "71.67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각 관측을 위한 장비(데오도라이트)를 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수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평축과 시준선은 직교하여야 한다.
  2. 수평축과 연직축은 평행이 되어야한다.
  3. 기포관축과 연직축은 직교하여야 한다.
  4. 시준선이 수평할 때 망원경 수준기의 기포가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
(정답률: 61%)
  • "수평축과 연직축은 평행이 되어야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데오도라이트를 사용할 때 수평축과 연직축이 서로 수직이어야 한다는 것이 올바른 내용이다. 이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필요한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삼각측량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2. 삼각망으 laus적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3. 변길이를 구하기 위한 것이다.
  4. 노선의 중심선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66%)
  • 삼각측량은 삼각형의 각도와 변의 길이를 측정하여 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레벨의 조정이 불완전하여 시준선이 기포관축과 평행하지 않을 때 표척눈금의 읽음값에 생긴 오차와 시준거리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시준거리와 무관하다.
  2. 시준거리에 비례한다.
  3. 시준거리에 반비례한다.
  4. 시준거리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정답률: 47%)
  • 레벨의 조정이 불완전하여 시준선이 기포관축과 평행하지 않을 때 표척눈금의 읽음값에 생긴 오차는 시준거리와 비례한다. 이는 시준거리가 멀어질수록 오차가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시준거리에 비례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수준측량의 용어 중 후시(back sigh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고를 알고 있는 점에 세운 표척의 읽은 값
  2. 표고를 알고 있지 않은 점에 세운 표척의 읽음 값
  3. 기준면으로부터 망원경의 시준선까지의 높이 값
  4. 측량 진행 방향의 반대쪽을 향해 표척을 세워 읽은 값
(정답률: 80%)
  • 후시(back sight)는 측량에서 기준점으로부터 측정한 높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표고를 알고 있는 점에 세운 표척의 읽은 값"이 정답인 이유는, 후시는 기준점에서 표고를 알고 있는 점으로 이동하여 표고를 측정한 후, 해당 점에서 세운 표척의 읽은 값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후시는 기준점에서 표고를 알고 있는 점으로 이동한 후, 해당 점에서 세운 표척의 읽은 값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공공측량 실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본측량성과나 다른 일반측량성과를 기초로 실시하여야 한다.
  2. 공공측량시행자가 공공측량을 하려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미리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 지방국토관리청장은 공공측량의 정확도를 높이거나 측량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공공측량 시행자에게 공공측량에 관한 장기 계획서 또는 연간 계획서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4.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을 하려면 미리 측량지역, 측량기간,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시,도지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정답률: 55%)
  • 공공측량시행자가 공공측량을 하려면 미리 측량지역, 측량기간,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시,도지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이는 공공측량의 원활한 진행과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절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아래와 같이 정의되는 것은?

  1. 해양측량
  2. 수로측량
  3. 해안측량
  4. 수자원측량
(정답률: 65%)
  • 위 그림은 수로를 측량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서는 이를 "수로측량"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로측량"입니다. "해양측량"은 바다 위의 측량을 의미하며, "해안측량"은 해안선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자원측량"은 지하수나 물의 수위 등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측량기준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측량기준점은 국가기준점,공공기준점,지적기준점으로 구분하며, 세부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한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직접 측량기준점표지의 현황을 조사할 수 있다.
  3. 측량기준점표지의 형상, 규격, 관리방법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4. 측량기준점을 정한 자는 측량기준점표지를 설치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정답률: 50%)
  • "측량기준점표지의 형상, 규격, 관리방법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측량기준점표지가 일관된 형상, 규격, 관리방법으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통령령으로 통일성을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도나 그 밖에 필요한 간행물(이하 “지도등”이라 표현)의 간행심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측량 성과 등을 활용하여 지도등을 간행하여 판매 하거나 배포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심사를 받아야한다.
  2. 지도등을 간행하려는 자는 사용한 기본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지도등에 명시하여야 한다.
  3. 측량성과 심사수탁기관은 지도등의 간행심사를 할 때에는 도곽설정, 축척 및 투영, 지형·지물 및 지명의 표시, 주기 및 기호표시, 난외표시 등이 적정한지 여부를 심사한다.
  4. 간행심사를 받고 간행한 지도등을 다시 간행할 경우에는 재간행 지도의 사본 제출 등의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정답률: 59%)
  • "간행심사를 받고 간행한 지도등을 다시 간행할 경우에는 재간행 지도의 사본 제출 등의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간행심사를 받은 후에도 간행한 지도등을 다시 간행할 경우에는 재간행 지도의 사본 제출 등의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이는 간행심사를 받은 지도등과 재간행 지도가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지형도에 표기하는 삼각점 표고 수치는 m 단위로 소수점이하 몇 자리까지 표시하는가?

  1. 첫째자리까지
  2. 둘째자리까지
  3. 셋째자리까지
  4. 넷째자리까지
(정답률: 62%)
  • 지형도에 표기하는 삼각점 표고 수치는 보통 1m 단위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삼각점 표고 수치를 더 자세하게 표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첫째자리까지"로 표시합니다. 더 자세하게 표시하면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기본측량 또는 공공측량의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을 무단으로 복제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3년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이하의 벌금
  2. 2년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이하의 벌금
  3.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62%)
  • 기본측량 또는 공공측량의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무단 복제는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벌칙이 너무 높으면 실제로 적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벌칙 기준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벌칙 기준은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이하의 벌금으로 정해졌습니다. 이는 벌금과 징역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벌금은 최대 1천만원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