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3-05)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17-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축척 1:500의 지형도에서 3번의 길이가 각각 20.5cm, 32.4cm, 28.5cm이었다면 실제면적은?

  1. 288.5cm2
  2. 866.6cm2
  3. 1443.5cm2
  4. 7213.3cm2
(정답률: 56%)
  • 축척 1:500에서 1cm는 실제로 500cm를 나타낸다. 따라서 20.5cm, 32.4cm, 28.5cm는 각각 20.5 x 500cm, 32.4 x 500cm, 28.5 x 500cm의 길이를 나타낸다.

    20.5 x 500cm = 10250cm2
    32.4 x 500cm = 16200cm2
    28.5 x 500cm = 14250cm2

    이제 이들 면적을 모두 더하면 실제면적을 구할 수 있다.

    10250cm2 + 16200cm2 + 14250cm2 = 40600cm2

    따라서, 실제면적은 40600cm2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중에서 7213.3cm2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문제에서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라는 조건을 고려하여, 실제면적을 구한 후에 10의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구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하천측량에서 일반적으로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과 그 측정 위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른 곳에서는 수면에서 측정하여 그 값을 평균유속으로 한다.
  2. 보통 1점만을 측정하여 평균유속으로 결정할 때에는 수면으로부터 수심 6/10인 곳에서 측정한다.
  3. 2점을 측정할 때에는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2/10, 8/10인 곳을 측정하여 산술평균하여 평균유속으로 한다.
  4. 3점을 측정할 때에는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2/10, 6/10, 8/10인 곳에서 유속을 측정하고 1/4(V0.2+2V0.6+V0.8)로 평균유속을 구한다.
(정답률: 74%)
  •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른 곳에서는 수면에서 측정하여 그 값을 평균유속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른 곳에서는 보통 2점 또는 3점을 측정하여 평균유속을 결정한다. 이유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유속이 불규칙하게 분포하기 때문에, 여러 점에서 측정한 유속값을 평균하여 보다 정확한 유속을 구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교점 P에 접근할 수 없는 그림과 같은 곡선설치에서 C점으로부터 B, C까지의 거리 X는? (단, σ=50°, β=90°, γ=40°, CD=200m, R=300m)

  1. 824.2m
  2. 513.1m
  3. 311.1m
  4. 288.7m
(정답률: 51%)
  • 우선, 우리는 삼각형 BCD의 각도를 알고 있으므로 코사인 법칙을 사용하여 BC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cos(σ) = BC / CD
    BC = CD * cos(σ)
    BC = 200 * cos(50°)
    BC = 128.4m

    이제, 우리는 삼각형 BCP의 각도도 알고 있으므로 다시 코사인 법칙을 사용하여 BP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cos(β) = BP / BC
    BP = BC * cos(β)
    BP = 128.4 * cos(90°)
    BP = 0m

    BP의 길이가 0m이므로, P는 B와 C 사이의 곡선설치에서 B와 C를 연결하는 직선 위에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삼각형 BCP의 각도도 알고 있으므로 다시 코사인 법칙을 사용하여 PC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cos(γ) = PC / BP
    PC = BP * cos(γ)
    PC = 0 * cos(40°)
    PC = 0m

    따라서, X = BC + PC = 128.4m + 0m = 128.4m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곡선설치를 따라 측정한 거리이므로, 실제 거리는 곡선설치의 곡률 반경을 고려해야 합니다. 곡률 반경 R은 300m이므로, 실제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실제 거리 = 곡률 반경 * 아크코사인(BC / R)
    실제 거리 = 300 * acos(128.4 / 300)
    실제 거리 = 513.1m

    따라서, 정답은 "513.1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하천의 수애선을 결정하는 수위는?

  1. 최저수위
  2. 최고수위
  3. 갈수위
  4. 평수위
(정답률: 77%)
  • 하천의 수압선을 결정하는 수위는 평수위입니다. 이는 일정 기간 동안의 강우량과 증발량 등을 고려하여 계산된 평균 수위를 의미합니다. 최저수위와 최고수위는 각각 하천의 최저와 최고 수위를 나타내며, 갈수위는 하천의 범람이 예상되는 수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곡선반지름 R=500m인 원곡선을 설계속도 100km/h로 설계하려고 할 때, 켄트(cant)는? (단, 궤간 b는 1067mm)

  1. 100mm
  2. 150mm
  3. 168mm
  4. 175mm
(정답률: 52%)
  • 켄트(cant)는 곡선에서 기차의 중심선과 수직인 축선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즉, 곡선에서 기차의 중심선이 기울어져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켄트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켄트 = (V² / R) * 0.0001

    여기서 V는 설계속도, R은 곡선반지름을 나타낸다. 단위는 m/s와 m이다.

    따라서, V를 km/h에서 m/s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V = 100 km/h = 27.78 m/s

    그리고 R은 500m로 주어졌으므로, 켄트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켄트 = (27.78² / 500) * 0.0001 = 0.154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궤간이 1067mm인 것으로 주어졌다. 따라서, 켄트를 mm로 변환해야 한다.

    켄트(mm) = 켄트(m) * 궤간(mm) = 0.154 * 1067 = 164.4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가깝지만, 정확한 값은 아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168mm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토지의 면적분할에서 △ABC의 토지를 BC에 평행한 직선 DE로 △ADE : □BCED=2:3의 비가 되도록 면적을 분할하는 경우 AD의 길이는?

  1. 18.52m
  2. 18.97m
  3. 19.79m
  4. 23.24m
(정답률: 62%)
  • 먼저 △ADE와 □BCED의 면적 비가 2:3이므로, △ADE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2/5이고, □BCED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3/5이다.

    따라서, △ABC의 면적을 S라고 하면, △ADE의 면적은 2S/5이고, □BCED의 면적은 3S/5이다.

    또한, BC와 DE가 평행하므로 △ADE와 □BCED는 대응변의 비가 같다. 즉, AD/BC = 2/3이다.

    따라서, AD = (2/3)BC이다.

    여기서 △ABC의 면적 S는 밑변 BC와 높이 h를 이용하여 S = (1/2)BC×h로 구할 수 있다.

    그리고 △ADE의 면적은 밑변 AD와 높이 h를 이용하여 2S/5 = (1/2)AD×h×2/5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ADE의 밑변 AD는 AD = (4/5)BC로 구할 수 있다.

    이제 BC와 AD의 길이 비가 3:2이므로, BC = (3/5)S/h, AD = (2/5)S/h이다.

    따라서, AD/BC = 2/3을 이용하여 (2/5)S/h / (3/5)S/h = 2/3을 풀면 h = (3/2)AD이다.

    마지막으로 △ABC의 면적 S = (1/2)BC×h = (1/2)(3/5)S/h×(3/2)AD를 이용하여 AD를 구하면, AD = 18.97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8.9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터널 내 측량 시 중심선의 이동과 관련하여 점검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터널 입구 부근에 설치한 터널 외 기준점의 이동 여부
  2. 터널 내에 설치된 다보(dowel)의 이동 여부
  3. 측량기계의 상태 여부
  4. 터널 내부의 환기 상태
(정답률: 83%)
  • 터널 내부의 환기 상태는 중심선의 이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사항이다.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공기의 압력 변화로 인해 중심선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량 시에는 터널 내부의 환기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한 측량을 수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아래 지역의 계산 결과가 940m3 이었다면 절토량과 설토량이 같게 되는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1. 3.70m
  2. 4.70m
  3. 6.70m
  4. 9.70m
(정답률: 54%)
  • 절토와 설토의 밀도는 같다고 가정하면, 절토량과 설토량이 같아지는 기준면은 중간점이다. 따라서,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지도상에서 5m 지점이므로, 정답은 4.7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토지의 면적을 심프슨 제1공식을 적용하여 구한 값이 44m2라면 거리 D는?

  1. 4.0m
  2. 4.4m
  3. 8.0m
  4. 8.8m
(정답률: 64%)
  • 심프슨 제1공식은 다음과 같다.

    ab f(x) dx ≈ (b-a)/6 [f(a) + 4f((a+b)/2) + f(b)]

    이를 이용하여 토지의 면적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면적 = (10-2)/6 [f(2) + 4f(6) + f(10)]
    = 8/6 [4 + 4(8) + 6]
    = 44m²

    여기서 f(x)는 그림에서 주어진 곡선의 식이다. 이 곡선의 최대값은 x=6일 때이며, 이 때의 y값은 8이다. 따라서 거리 D는 2+6+2=10이며, 토지의 넓이는 44m²이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44 = (10-2)/6 [f(2) + 4f(6) + f(10)]
    = 8/6 [4 + 4(8) + 6]
    = 8/3 [18]
    = 48

    이를 정리하면 f(2) + 4f(6) + f(10) = 27/2이다. 이제 f(x)의 식을 구해보자. 그림에서 곡선이 y=x²/16의 형태를 띄고 있으므로, f(x) = x²/16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f(2) + 4f(6) + f(10) = 2²/16 + 4(6²/16) + 10²/16
    = 1/4 + 54/4 + 25/4
    = 80/4
    = 20

    따라서 거리 D는 다음과 같다.

    D = 2 + 6 + 2 = 10

    정답은 "4.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터널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터널측량은 크게 터널 외 측량, 터널 내외 연결측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광의의 터널에서 수직터널과 경사터널 또는 지하발전소나 지하저유소와 같은 인공적 공동(公同)도 포함된다.
  3. 터널측량은 터널 내 측량, 터널 외 측량, 터널내외 연결측량의 순서로 행한다.
  4. 터널 내의 측량 시에는 기계의 십자선과 표척 등에 조명이 필요하다.
(정답률: 69%)
  • "터널측량은 크게 터널 외 측량, 터널 내외 연결측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터널측량은 터널 내 측량, 터널 외 측량, 터널내외 연결측량의 순서로 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갖는 흙의 토량은? (단, 각주공식을 사용하고, 주어진 면적은 양 단면적과 중앙 단면적이다.

  1. 405m3
  2. 420m3
  3. 435m3
  4. 450m3
(정답률: 64%)
  • 양 단면적과 중앙 단면적을 이용하여 토량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토량 = (양 단면적 + 4 x 중앙 단면적) / 5 x 길이

    주어진 면적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양 단면적 = 15m x 12m = 180m2
    중앙 단면적 = 18m x 10m = 180m2
    길이 = 20m

    토량 = (180m2 + 4 x 180m2) / 5 x 20m
    = 435m3

    따라서, 정답은 "435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유토곡선(mass curve)을 작성하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노선의 횡단 결정
  2. 토공기계의 선정
  3. 토량의 배분
  4. 토량의 운반거리 산출
(정답률: 66%)
  • 유토곡선은 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토량의 양과 운반거리를 파악하여 공사 일정과 비용을 계획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노선의 횡단 결정"은 유토곡선 작성에 필요한 것이 아니며, 다른 보기들은 유토곡선 작성에 필요한 항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해수면이 약최고고조면(일정기간 조석을 관측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해수면)에 이르렀을 때의 육지와 해수면의 경계를 조사하는 것은?

  1. 지형측량
  2. 지리조사
  3. 수심측량
  4. 해안선 조사
(정답률: 85%)
  • 해수면이 약최고고조면에 이르렀을 때는 해안선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육지와 해수면의 경계를 조사하여 해안선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해안선 조사"이다. 지형측량은 지형의 높이와 형태를 측정하는 것이고, 지리조사는 지리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며, 수심측량은 해저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노선 결정에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능한 한 경사가 완만할 것
  2. 절토의 운반거리가 짧을 것
  3. 배수가 완전할 것
  4. 가능한 한 곡선으로 할 것
(정답률: 77%)
  • "가능한 한 곡선으로 할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차량의 안전성과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 곡선으로 된 도로를 따라가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또한, 곡선으로 된 도로는 차량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연료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노선 결정 시 가능한 한 곡선으로 된 도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노선측량에서 중심선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현장에서 교점 및 곡선의 접선을 결정한다.
  2. 교각을 실측하고 주요점, 중간점 등을 설치한다.
  3. 지형도에 비교노선을 기입하고 평면선형을 검토하여 결정한다.
  4. 지형도에 의해 중심선의 좌표를 계산하여 현장에 설치한다.
(정답률: 55%)
  • 지형도에 비교노선을 기입하고 평면선형을 검토하여 결정하는 것이 거리가 먼 이유는, 이 과정에서 지형의 변화나 건축물 등의 장애물을 고려하여 최적의 중심선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는 것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거리가 먼 것이지만 중요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하천측량에서 유속관측 장소 선정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상의 요철이 적으며 하상경사가 일정한 곳
  2. 곡류부로서 유량의 변동이 급격한 곳
  3. 하천 횡단면 형상이 급변하지 않은 곳
  4. 관측이 편리한 곳
(정답률: 83%)
  • "곡류부로서 유량의 변동이 급격한 곳"은 유속관측 장소 선정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이러한 지점에서는 유속이 매우 불안정하며, 유속 측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속이 안정적인 지점을 선정하여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노선의 단곡선에서 교각이 45°, 곡선반지름이 100m, 곡선 시점까지의 추가거리가 120.85m일 때 곡선 종점의 추가거리는?

  1. 225.38m
  2. 199.39m
  3. 124.54m
  4. 78.54m
(정답률: 58%)
  • 단곡선에서 교각이 45°이므로, 교각을 이루는 호의 길이는 곡선반지름의 루트 2배가 된다. 따라서 교각의 길이는 100루트2m이다.

    또한, 곡선 시점까지의 추가거리가 120.85m이므로, 곡선 종점까지의 추가거리는 교각의 길이와 곡선 시점에서 곡선 종점까지의 거리를 더한 값이다.

    곡선 시점에서 곡선 종점까지의 거리는 곡선의 길이에서 곡선 시점까지의 추가거리를 뺀 값이다.

    따라서, 곡선의 길이는 100m × π/2 = 157.08m이고, 곡선 시점에서 곡선 종점까지의 거리는 157.08m - 120.85m = 36.23m이다.

    따라서, 곡선 종점까지의 추가거리는 100루트2m + 36.23m = 199.39m이다.

    따라서, 정답은 "199.3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노선 기점에서 400m 위치에 있는 교점의 교각이 80°인 단곡선에서 곡선반지름이 100m인 경우, 시단현에 대한 편각은?

  1. 0° 5‘ 44“
  2. 1° 7‘ 12“
  3. 4° 36‘ 34“
  4. 5° 43‘ 46“
(정답률: 56%)
  • 시단현에 대한 편각은 곡선의 중심각과 같습니다. 곡선의 중심각은 180° - 교각입니다. 따라서 중심각은 100°입니다. 이제 중심각을 반지름으로 나누어 호도법을 이용하여 각도를 구합니다.

    100m 반지름에서 호의 길이는 400m 위치에서의 교점까지의 거리인 400m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호의 길이는 400m/100m × 57.3° = 229.2°입니다.

    따라서 시단현에 대한 편각은 229.2°/2 = 1° 7‘ 1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 7‘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클로소이드(clothoid)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 꼴이다.
  2. 클로소이드는 타원의 일종이다.
  3. 클로소이드의 모든 요소는 길이의 단위를 갖는다.
  4. 클로소이드는 형태는 다양하지만 크기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정답률: 67%)
  •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 꼴이다."가 옳은 이유는 클로소이드가 수학적으로 정의된 곡선이기 때문입니다. 클로소이드는 곡률이 일정하게 변하는 곡선으로, 이 곡선은 특정한 수식으로 정의됩니다. 이 수식에 따라서 클로소이드의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모든 클로소이드는 이 수식에 따라서 닮은 꼴을 갖게 됩니다. 따라서, 크기가 다르더라도 모양은 동일한 클로소이드가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터널 내 수준측량에서 천장에 측점이 설치되어 있을 때, 두 점 A, B간의 경사거리가 60m이고, 기계고가 1.7m, 시준고가 1.5m, 연직각이 3°일 때, A점과 B점의 고저 차는?

  1. 2.94m
  2. 3.34m
  3. 59.7m
  4. 60.12m
(정답률: 57%)
  • 먼저, 연직각이 3°이므로 수평면과 수직면 사이의 비율은 1:19.1이다. 따라서, A점과 B점 사이의 수직거리는 60m x 0.0524 = 3.144m이다.

    그리고 A점의 고도는 기계고가 1.7m이므로 1.5m + 1.7m = 3.2m이다. B점의 고도는 A점의 고도에서 수직거리를 빼면 된다. 따라서, B점의 고도는 3.2m - 3.144m = 0.056m이다.

    따라서, A점과 B점의 고저 차는 3.2m - 0.056m = 2.94m이다. 따라서, 정답은 "2.9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수치영상의 재배열(Resampling) 방법 중 하나로 가장 계산이 단순하고 고유의 픽셀값을 손상시키지 않으나 영상이 다소 거칠게 표현되는 방법은?

  1. 3차회선 내삽법(Cubic Convolution)
  2. 공일차 내삽법(Bilinear Interpolation)
  3. 공3차회선 내삽법(Bicubic Convolution)
  4. 최근린 내삽법(Nearest Neighbour Interpolation)
(정답률: 78%)
  • 최근린 내삽법은 재배열할 때 가장 가까운 픽셀값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계산이 단순하고 고유의 픽셀값을 손상시키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영상이 다소 거칠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항공사진측량에 의해 제작된 지형도(지도)의 상으로 옳은 것은?

  1. 투시투영(perspective projection)
  2. 중심투영(central projection)
  3. 정사투영(orthognal projection)
  4. 외심투영(external projection)
(정답률: 75%)
  • 정답은 "정사투영(orthognal projection)"입니다. 항공사진측량에서는 비행기나 드론 등에서 촬영한 지형 사진을 이용하여 지형도(지도)를 제작합니다. 이때, 지형 사진을 정사투영 방식으로 투영하여 지형도를 만듭니다. 정사투영은 수직으로 떨어지는 광선을 이용하여 지면을 수직 방향으로 투영하는 방식으로, 지형의 형태를 보다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반면에 투시투영은 시선에서 멀어질수록 왜곡이 심해지는 방식으로, 지형의 형태를 왜곡하여 나타내게 됩니다. 중심투영과 외심투영은 각각 한 점을 중심으로 투영하는 방식과 한 선을 중심으로 투영하는 방식으로, 지형도 제작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어느 지역의 영상과 동일한 지역의 지도이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밭”의 훈련지역(training field)을 선택한 결과로 적합한 것은?

(정답률: 69%)
  • 정답은 "" 이다.

    지도를 보면 밭이 위치한 지역은 주로 노란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 영상에서 보이는 훈련지역도 노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지도에서는 밭이 위치한 지역이 주변에 산과 강이 있으며, "" 영상에서도 산과 강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가 밭의 훈련지역으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영상재배열(image resampl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노이즈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2. 주로 영상의 기하보정 과정에 적용된다.
  3. 토지피복 분류 시 무감독 분류에 주로 활용된다.
  4. 영상의 분광적 차를 강조하여 식별을 용이하게 해준다.
(정답률: 64%)
  • 영상재배열은 이미지의 크기나 해상도를 변경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주로 영상의 기하보정 과정에서 적용되며, 이미지의 크기나 해상도를 조절하여 보다 정확한 분석이나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주로 영상의 기하보정 과정에 적용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기복이 심한 지형을 경사로 촬영한 사진에 대하여 경사와 비고에 의한 편위를 수정한 정밀사진지도를 만들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은?

  1. 시차측정에 의한 사진제작
  2. 정사투영기에 의한 사진제작
  3. 편위수정기에 의한 사진제작
  4. 세부도화
(정답률: 56%)
  • 기복이 심한 지형을 경사로 촬영한 사진은 지형의 실제 모습을 왜곡하여 보여줍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지형의 실제 모습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정밀사진지도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지형의 형태와 위치를 나타내는 정사투영기를 사용하여 사진을 제작해야 합니다. 정사투영기는 지형의 형태와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는데, 이를 기반으로 편위를 수정하여 정밀사진지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사투영기에 의한 사진제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항공사진의 특수 3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주점
  2. 연직점
  3. 등각점
  4. 수평점
(정답률: 76%)
  • 항공사진에서는 주점, 연직점, 등각점이 사용되어 비행기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데, 수평점은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비행기의 수평선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동서 30km, 남북 20km인 지역에서 축척 1:50000의 항공사진 1장의 스테레오 모델에 촬영된 면적이 16.3km2이다. 이 지역을 촬영하는 데 필요한 사진 매수는? (단, 안전율은 30%이다.)

  1. 48장
  2. 55장
  3. 63장
  4. 68장
(정답률: 50%)
  • 면적이 16.3km2이므로, 실제 면적은 16.3km2 / 0.7 = 23.28km2이다.

    항공사진 1장으로 촬영할 수 있는 면적은 축척 1:50000이므로, 1cm2에 해당하는 면적은 50000cm2이다. 따라서, 1장으로 촬영할 수 있는 면적은 30cm x 20cm x 50000 = 30,000,000cm2 = 3km2이다.

    따라서, 필요한 사진 매수는 23.28km2 / 3km2 = 7.76장인데, 안전율을 고려하여 올림하여 8장이 필요하다.

    하지만, 스테레오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최소한 2장의 사진이 필요하므로, 실제 필요한 사진 매수는 8장 x 2 = 16장이다.

    따라서, 정답은 "16장"이다. "48장"은 계산 과정에서 실수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항공사진측량에서 산악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산이 많은 지역
  2. 평탄지역에 비하여 경사조정이 편리한 곳
  3. 표정 시 산정과 협곡에 시차분포가 균일한 곳
  4. 산지모델 상에서 지형의 고저차가 촬영고도의 10%이상인 지역
(정답률: 75%)
  • 산악지역은 지형의 고저차가 크기 때문에 산지모델 상에서 지형의 고저차가 촬영고도의 10%이상인 지역으로 정의됩니다. 이러한 지역은 평탄지역에 비하여 경사조정이 어렵기 때문에 산악지역에서는 산정과 협곡에 시차분포가 균일한 곳을 찾아야 합니다. 따라서 "산지모델 상에서 지형의 고저차가 촬영고도의 10%이상인 지역"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지구관측용 다목적 실용위성은?

  1. 무궁화 위성
  2. 우리별 위성
  3. 아리랑 위성
  4. 퀵버드 위성
(정답률: 75%)
  • 아리랑 위성은 1999년에 처음 발사된 지구관측용 다목적 실용위성으로, 우리나라에서 개발하였습니다. 이 위성은 지구의 대기, 해양, 지형 등을 관측하여 지구환경 모니터링, 자연재해 예측 및 대처,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인공위성궤도의 종류 중 태양광 입사각이 거의 일정하여 센서의 관측 조건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정지 궤도
  2. 태양 동기식 궤도
  3. 고타원 궤도
  4. Molniya 궤도
(정답률: 70%)
  • 태양 동기식 궤도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중력 상태가 일정하여 태양광 입사각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센서의 관측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정지 궤도는 지구의 자전과 일치하여 항상 같은 지점을 바라보는 것이 가능하지만 태양광 입사각이 변할 수 있고, 고타원 궤도와 Molniya 궤도는 지구와의 거리와 속도가 변하기 때문에 센서의 관측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초점거리 11cm, 사진크기 18cm×18cm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축척 1:20,000으로 촬영한 항공사진의 주점기선장이 72mm일 때 비고 50m에 대한 시차 차는?

  1. 0.83mm
  2. 1.26mm
  3. 1.33mm
  4. 1.64mm
(정답률: 4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촬영고도 5000m를 유지하면서 초점거리 150mm인 카메라로 촬영한 연직사진에서 실제 길이 800m인 교량의 길이는?

  1. 15mm
  2. 20mm
  3. 24mm
  4. 34mm
(정답률: 70%)
  • 촬영고도 5000m에서 초점거리 150mm로 촬영한 연직사진에서의 교량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제 길이 / 센서의 길이 = 실제 거리 / 초점거리

    800m / x = 5000m / 150mm

    x = (800m * 150mm) / 5000m

    x = 24mm

    따라서, 정답은 "24mm"입니다. 촬영한 연직사진에서 교량의 길이는 24mm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해석적 표정에 있어서 관측된 상좌표로부터 사진좌표로 변환하는 작업은?

  1. 상호표정
  2. 내부표정
  3. 절대표정
  4. 접합표정
(정답률: 69%)
  • 해석적 표정에서 관측된 상좌표는 내부표정으로 변환됩니다. 이는 상좌표가 얼굴의 구조와 특징을 나타내는 외부적인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이를 내부적인 정보로 변환하여 사진좌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부표정은 해석적 표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초점거리 15cm, 사진크기 23cm×23cm의 카메라로 축척 1:20000인 항공사진을 촬영하였다. 촬영기준면(표고 0m)에서 종중복(over lap)이 60%였을 때 표고 200m인 평탄지의 종중복도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36%
  2. 43%
  3. 57%
  4. 60%
(정답률: 4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도화기의 발달과정 경로를 옳게 나열한 것은?

  1. 기계도화기-해석식도화기-수치도화기
  2. 수치도화기-해석식도화기-기계식도화기
  3. 기계식도화기-수치도화기-해석식도화기
  4. 수치도화기-기계식도화기-해석식도화기
(정답률: 73%)
  • 도화기의 발달과정은 기계식 도화기에서부터 시작하여, 해석식 도화기를 거쳐 수치도화기로 발전해왔다. 기계식 도화기는 인력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식이었고, 해석식 도화기는 기계식 도화기에서 발전한 것으로, 그림을 그리는 데 필요한 각도와 거리를 계산하여 그리는 방식이었다. 마지막으로, 수치도화기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식으로, 해석식 도화기에서 발전한 것이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기계도화기-해석식도화기-수치도화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상호표정(relative orient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z축 방향의 시차를 소거하는 것이다.
  2. y축 방향의 시차(종시차)를 소거하는 것이다.
  3. x축 방향의 시차(횡시차)를 소거하는 것이다.
  4. x-y축 방향의 시차를 소거하는 것이다.
(정답률: 65%)
  • 상호표정은 두 개체 간의 상대적인 방향과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y축 방향의 시차(종시차)를 소거하는 것은 두 개체가 서로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상호표정을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두 개체가 같은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일반적으로 오른쪽 안경렌즈에는 적색, 왼쪽 안경렌즈에는 청색을 착색한 안경을 쓰고 특수하게 인쇄된 대상을 보면서 입체시를 구성하는 것은?

  1. 순동입체시
  2. 편광입체시
  3. 여색입체시
  4. 정입체시
(정답률: 70%)
  • 여색입체시는 오른쪽 안경렌즈에 적색, 왼쪽 안경렌즈에 청색을 착색하여 입체시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이는 적색과 청색이 상반되는 색상이기 때문에 입체감을 더욱 강조할 수 있으며, 두 렌즈의 색상 차이로 인해 더욱 생동감 있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사진측량의 분류 중 촬영방향에 의한 분류에 속하는 것은?

  1. 경사사진
  2. 항공사진
  3. 수중사진
  4. 지상사진
(정답률: 69%)
  • 촬영방향에 의한 분류는 사진이 촬영된 위치와 방향에 따라 구분하는 것입니다. 이 중 "경사사진"은 지면에서 일정한 각도로 촬영한 사진을 말합니다. 즉,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에서 촬영한 사진이며, 지형의 고도나 경사도 등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SAR(Synthetic Aperyure Radar)영상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태양광에 의존하지 않아 밤에도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다.
  2. 구름이 대기 중에 존재하더라도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3.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영상을 취득한다.
  4. 중심투영으로 영상을 취득하기 때문에 영상에서 발생하는 왜곡이 광학영상과 비슷하다.
(정답률: 60%)
  • 정답: "중심투영으로 영상을 취득하기 때문에 영상에서 발생하는 왜곡이 광학영상과 비슷하다."

    해설: SAR 영상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취득하며, 태양광에 의존하지 않아 밤에도 촬영이 가능하고, 구름이 대기 중에 존재해도 취득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SAR 영상은 중심투영으로 취득되기 때문에 광학영상과는 다르게 왜곡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1장의 사진으로 할 수 있는 작업은?

  1. 대상물의 정확한 3차원 좌표 취득
  2. 사진판독
  3. 수치표고모델(DEM) 생성
  4. 수치지도 작성
(정답률: 77%)
  • 1장의 사진으로 할 수 있는 작업은 사진판독이다. 이는 사진에서 대상물의 형태, 크기, 위치 등을 파악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작업이다. 3차원 좌표 취득이나 수치표고모델(DEM) 생성, 수치지도 작성 등은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주요 활용 분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시정보시스템(UIS)
  2. 경영정보시스템(MIS)
  3. 토지정보시스템(LIS)
  4. 환경정보시스템(EIS)
(정답률: 78%)
  • GIS는 지리적 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도시정보시스템, 토지정보시스템, 환경정보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하지만 경영정보시스템은 기업의 경영 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지리적 정보와는 거리가 먼 분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영정보시스템(MI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GNSS 관측을 통해 직접 결정할 수 있는 높이는?

  1. 지오이드고
  2. 정표고
  3. 역표고
  4. 타원체고
(정답률: 59%)
  • GNSS 관측은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로, 이를 통해 결정할 수 있는 높이는 지표면으로부터의 거리인 지오이드고와 타원체고가 있다. 그러나 지구는 타원체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표면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고 지역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GNSS 관측을 통해 직접 결정할 수 있는 높이는 타원체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위상(Topology)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간자료의 상호 관계를 정의한다.
  2. 인접한 점, 선, 면 사이의 공간적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3. 연결성, 인접성 등과 같은 관계성을 통하여 지형지물의 공간 관계를 인식한다.
  4. 래스터데이터는 위상을 갖고 있으므로 공간분석의 효율성이 높다.
(정답률: 73%)
  • "래스터데이터는 위상을 갖고 있으므로 공간분석의 효율성이 높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래스터데이터는 격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공간분석에서는 특정 위치의 값을 추출하거나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는 데는 용이하지만, 위상 정보를 나타내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위상 정보가 중요한 분석에는 벡터데이터가 더 적합하다.

    [해설]
    위상(Topology)은 공간자료의 상호 관계를 정의하고, 인접한 점, 선, 면 사이의 공간적 대응 관계를 나타내며, 연결성, 인접성 등과 같은 관계성을 통하여 지형지물의 공간 관계를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입력 방법이 아닌 것은?

  1. 수동방식(디지타이저)에 의한 방법
  2. 자동방식(스캐너)에 의한 방법
  3. 항공사진에 의한 해석도화 방법
  4. 잉크젯 프린터에 의한 도면 제작 방법
(정답률: 71%)
  • 잉크젯 프린터는 GIS 자료를 입력하는 방법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도면을 출력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각형의 경계가 인접지역의 두 점들로부터 같은 거리에 놓이게 하는 방법으로 구성되는 것은?

  1. 불규칙 삼각망(TIN)
  2. 티센(Thiessen) 다각형
  3. 폴리곤(Polygon)
  4. 타일(Tile)
(정답률: 53%)
  • 티센(Thiessen) 다각형은 주어진 점들을 기준으로 각 점과 가장 가까운 점들을 연결하여 만든 다각형으로, 이를 통해 각 점이 속한 영역을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자주 사용되며, 각 점들의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서 분석에 용이합니다. 다른 보기들인 불규칙 삼각망(TIN), 폴리곤(Polygon), 타일(Tile)은 모두 다각형을 이용한 지리정보 표현 방법이지만, 티센 다각형과는 구성 방식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수치표고모형(Digital Elecation Model)의 활용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노선설계 및 댐의 위치 선정
  2. 수치지형도 구조화편집
  3. 지형의 분석
  4. 건물의 3차원 모델링
(정답률: 37%)
  • 수치표고모형은 지형의 높낮이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표현한 것으로, 이를 활용하여 노선설계나 댐의 위치 선정 등 지형에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반면에 수치지형도 구조화편집은 수치표고모형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편집하는 작업으로,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며 지형 분석이나 건물의 3차원 모델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비교하여 거리가 먼 것은 "수치지형도 구조화편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GPS 기준국과 이동국 사이의 기선벡터가 각각 △X=200m, △Y=300m, △Z=50m일 때 기준국과 이동국 사이의 공간 거리는?

  1. 234.52m
  2. 360.56m
  3. 364.01m
  4. 370.12m
(정답률: 50%)
  • 공간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간 거리 = √(△X² + △Y² + △Z²)

    따라서, 공간 거리 = √(200² + 300² + 50²) = √(40000 + 90000 + 2500) = √132500 = 364.01m

    따라서, 정답은 "364.01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GNSS 측량을 우주부분에 활용할 때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정지위성의 위치 결정
  2. 로켓의 궤도 추적
  3. 저고도 관측위성의 위치 결정
  4. 미사일 정밀 유도
(정답률: 57%)
  • 정지위성은 지구의 회전과 동기화된 궤도를 돌며 고정된 위치에 머무르는 위성으로, 이 위치는 이미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GNSS 측량을 통해 정지위성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주요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출력(output)
  2. 자료 입력(input)
  3. 검수(quality check)
  4. 자료 처리 및 분석(analysis)
(정답률: 69%)
  • GIS의 주요 기능 중에서 "검수(quality check)"는 다른 기능들과 달리 거리가 먼 기능이다. 이는 GIS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으로, 데이터의 오류나 누락 등을 식별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를 통해 GIS에서 생성된 결과물의 신뢰성과 유용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GPS 위성 궤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8개의 궤도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2. 경사각은 55°이다.
  3. 타원궤도이다.
  4. 고도는 약 20,200km이다.
(정답률: 64%)
  • "8개의 궤도면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GPS 위성은 지구를 둘러싸는 궤도에 위치하며, 이 궤도는 8개의 평면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는 GPS 위성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레스터데이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벡터데이터보다 데이터 구조가 단순하다.
  2. 데이터량이 해상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3. 벳터데이터보다 시뮬레이션을 위한 처리가 복잡하다.
  4. 벡터데이터보다 빠른 데이터 초기 입력이 가능하다.
(정답률: 65%)
  • 레스터데이터는 격자 형태의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격자 셀의 값을 저장하면 되기 때문에 벡터데이터보다 데이터 구조가 단순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데이터량이 해상도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해상도가 높을수록 데이터 양이 많아진다. 하지만 벡터데이터보다 시뮬레이션을 위한 처리가 복잡하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이다. 벡터데이터는 점, 선, 면 등의 개별적인 객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처리가 더 복잡하다. 레스터데이터는 벡터데이터보다 빠른 데이터 초기 입력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GNSS(Global Navigational Sateonal System)위성과 관련 없는 것은?

  1. GPS
  2. GLONASS
  3. GALILEO
  4. GEOEYE
(정답률: 68%)
  • GEOEYE는 국방, 정부, 비즈니스 등에서 사용되는 상용 위성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GNSS(Glob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GNSS는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GPS, GLONASS, GALILEO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공간데이터베이스의 유지ㆍ보안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주기적 백업(backup)
  2. 암호 등 제반 안전장치를 통해 인가받은 사람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
  3. 지속적인 데이터의 검색
  4. 저력 손실에 대비한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정답률: 63%)
  • 지속적인 데이터의 검색은 공간데이터베이스의 유지ㆍ보안과 관련이 없는 것이다. 이는 데이터의 검색과 관련된 기능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유지보수나 보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재나 응급 시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경로 또는 항공기의 운항경로 등의 최적경로를 결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분석 방법은?

  1. 관망 분석
  2. 중첩 분석
  3. 버퍼링 분석
  4. 근접성 분석
(정답률: 69%)
  • 관망 분석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에서 가장 적합한 분석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특정 지역의 특정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소방차나 구급차의 운전경로나 항공기의 운항경로 등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관망 분석은 지형, 건물, 도로 등의 지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최적 경로를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간데이터를 설명하는 기능을 가지며 데이터의 생산자, 좌표계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1. Metadata
  2. Data Dictionary
  3. Extensible Markup Language
  4. Geospatial Data Abstraction Library
(정답률: 81%)
  • Metadata는 GIS에서 사용하는 공간데이터의 정보를 설명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의 생산자, 좌표계, 데이터 유형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데이터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Metadata가 정답입니다. Data Dictionary는 데이터의 구조와 정의를 설명하는 용어집이며, 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데이터를 표현하는 언어입니다. Geospatial Data Abstraction Library는 공간데이터 처리를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다루어지는 지리정보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위치정보를 갖는다.
  2. 위치정보와 함께 관련 속성정보를 갖는다.
  3. 공간객체 간에 존재하는 공간적 상호 관계를 갖는다.
  4.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영구성을 갖는다.
(정답률: 77%)
  •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영구성을 갖는다는 것은 지리정보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도로나 건물의 위치나 형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GIS에서 다루어지는 지리정보의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 Relational DBMS)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테이블의 구성이 자유롭다.
  2. 모형 구성이 단순하고, 이해가 빠르다.
  3. 필드는 여러 개의 데이터 항목을 소유할 수 있다.
  4. 정보추출을 위한 질의 형태에 제한이 없다.
(정답률: 39%)
  • 답 : "필드는 여러 개의 데이터 항목을 소유할 수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필드는 여러 개의 데이터 항목을 소유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필드가 배열, 구조체 또는 객체와 같은 복합 데이터 유형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텍스트, 숫자 또는 날짜와 같은 기본 데이터 유형과 함께 저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래스터(또는 그리드)저장 기법 중 셀 값을 대별적으로 저장하는 대신 각각의 변 진행에 대하여 속성값, 위치, 길이를 한 번씩만 저장하는 방법은?

  1. 사지수형 기법
  2. 블록 코드 기법
  3. 체인 코드 기법
  4. Run-length 코드 기법
(정답률: 61%)
  • Run-length 코드 기법은 연속된 값이나 패턴을 압축하여 저장하는 기법으로, 셀 값을 대별적으로 저장하는 것보다 효율적인 저장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각각의 변 진행에 대하여 속성값, 위치, 길이를 한 번씩만 저장하므로 저장 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이 라스터(또는 그리드)저장 기법 중 셀 값을 대별적으로 저장하는 대신 각각의 변 진행에 대하여 속성값, 위치, 길이를 한 번씩만 저장하는 방법으로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의 저장방식을 파일 저장방식과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방식으로 구분할 때 파일 저장방식에 비해 DBMS 방식이 갖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하다.
  2. 새로운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용이하다.
  3. 자료의 신뢰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4. 사용자 요구에 맞는 다양한 양식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정답률: 60%)
  •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하다."는 DBMS 방식의 특징이 아니라 파일 저장방식의 특징입니다. 파일 저장방식은 파일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이 간단합니다. DBMS 방식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하다."는 DBMS 방식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벡터파일 형식에 해당되는 것은?

  1. BMP 파일 포맷
  2. DXF 파일 포맷
  3. JPG 파일 포맷
  4. GIF 파일 포맷
(정답률: 75%)
  • DXF 파일 포맷은 벡터 그래픽을 저장하는 파일 형식으로, 선과 곡선 등의 수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합니다. 따라서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해도 깨지지 않고 선명하게 유지됩니다. BMP, JPG, GIF 파일 포맷은 모두 래스터 그래픽을 저장하는 파일 형식으로, 픽셀 단위로 이미지를 표현합니다. 따라서 이미지를 확대하면 픽셀이 커져 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수준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하면 시준선 오차를 소거할 수 있다.
  2. 출발점에 세운 표척을 도착점에서도 세우게 되면 눈금오차를 소거할 수 있다.
  3. 주의 깊게 측량하여 왕복관측을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기계의 정치 수는 짝수 회로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3%)
  • "주의 깊게 측량하여 왕복관측을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왕복관측은 측량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왕복관측은 출발점과 도착점에서 각각 측량을 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왕복관측을 하지 않는 것은 측량 오차를 높일 수 있습니다.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하면 시준선 오차를 소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측량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출발점에 세운 표척을 도착점에서도 세우게 되면 눈금오차를 소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측량에서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기계의 정치 수는 짝수 회로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은 측량 기기의 설계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폭이 좁고 거리가 먼 지역에 적합하여 하천측량, 노선측량, 터널측량 등에 이용되는 삼각망은?

  1. 방산식삼각망
  2. 단열삼각망
  3. 복열식삼각망
  4. 직교삼각망
(정답률: 78%)
  • 단열삼각망은 삼각형의 변이 모두 불규칙한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삼각형의 내각이 모두 60도인 삼각형으로 구성된 삼각망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폭이 좁고 거리가 먼 지역에서도 쉽게 측량이 가능하며, 산악 지형에서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하천측량, 노선측량, 터널측량 등에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우리나라 수치지형도의 표기방법 중 7자리 숫자의 도엽번호는 축척이 얼마인가?

  1. 1:50000
  2. 1:25000
  3. 1:10000
  4. 1:5000
(정답률: 41%)
  • 우리나라 수치지형도의 축척은 1:10000이다. 7자리 숫자의 도엽번호는 해당 지역을 10000분의 1의 축척으로 표현한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7자리 숫자로 표기되지 않으며, 그 중에서도 1:50000은 50000분의 1의 축척으로 표현한 것이므로 가장 큰 축척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한 기선의 길이를 n회 반복 측정한 경우, 최확값의 평균제곱근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측획수의 비례한다.
  2. 관측획수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3. 관측획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4. 관측획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41%)
  • 정답은 "관측획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이다.

    최확값의 평균제곱근오차는 측정값들의 편차를 제곱한 후 평균을 구한 값의 제곱근이다. 이 값은 측정횟수가 많아질수록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측정횟수가 많아질수록 측정값들이 평균값에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측획수가 많을수록 최확값의 평균제곱근오차는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관측획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는 이유는 측정횟수가 2배가 되면 최확값의 평균제곱근오차는 1/√2배가 되기 때문이다. 즉, 관측획수가 4배가 되면 최확값의 평균제곱근오차는 1/2배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관측획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강철줄자로 실측한 길이가 246.241m이었다. 이 때 온도가 10℃라면 온도에 의한 보정량은?(단, 강철줄자의 온도 15℃를 기준으로 한 팽창계수는 0.0000117/℃이다.)

  1. -10.4mm
  2. 10.4mm
  3. 14.4mm
  4. -14.4mm
(정답률: 44%)
  • 강철줄자는 온도가 변화하면 길이도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온도에 따른 보정이 필요하다. 이 문제에서는 온도가 10℃이므로, 강철줄자의 길이는 15℃일 때의 길이보다 짧아진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팽창계수를 사용해야 한다. 팽창계수는 0.0000117/℃이므로, 5℃만큼 온도가 낮아졌으므로 5 x 0.0000117 x 246.241 = -0.017m = -17mm 만큼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온도에 의한 보정량은 -17mm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강철줄자로 실측한 길이가 246.241m이므로, 답은 -17mm를 1000으로 나눈 값인 -0.017m이 아니라 -17mm를 그대로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4.4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축척 1:50000의 지형도에서 A점의 표고는 308m, B점의 표고는 346m일 때, A점으로부터 상에 있는 표고 332m 지점까지의 거리는? (단, 는 등경사이며, 도상거리는 12.8mm이다.)

  1. 384m
  2. 394m
  3. 404m
  4. 414m
(정답률: 40%)
  • 등경사에서 1m 상승에 따른 수평거리는 5m이므로, A점에서 332m 지점까지의 상승은 332-308=24m이다. 따라서 이에 해당하는 수평거리는 24*5=120m이다.

    지형도의 축척이 1:50000이므로, 실제 거리는 지도상 거리의 50000배이다. 따라서 지도상 거리는 12.8mm*50000=640m이다.

    따라서 A점에서 332m 지점까지의 거리는 640m*120m/346m=220.18m이다.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220m이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는 "40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지구표면에서 반지름 55km까지를 평면으로 간주한다면 거리의 허용정밀도는?(단, 지구 반지름은 6,370km이다.)

  1. 약 1/40000
  2. 약 1/50000
  3. 약 1/60000
  4. 약 1/70000
(정답률: 36%)
  • 지구의 반지름은 6,370km이므로 지구표면에서 반지름 55km까지의 거리는 6,425km이 된다. 따라서, 거리의 허용정밀도는 55/6,425 = 약 1/117이 된다. 이를 가장 가까운 보기로 변환하면 "약 1/40000"이 된다. 이유는 보기 중에서 가장 1에 가까운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레벨의 조정이 불완전하여 시준선이 기포관축과 평행하지 않을 때 표적눈금의 읽음값에 생긴 오차와 시준거리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시준거리와 무관하다.
  2. 시준거리에 비례한다.
  3. 시준거리에 반비례한다.
  4. 시준거리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정답률: 41%)
  • 시준선이 기포관축과 평행하지 않을 때 표적눈금의 읽음값에 생긴 오차는 시준거리와 비례한다. 이는 시준선과 기포관축이 평행하지 않을 경우, 표적과 시준선 사이의 거리가 시준거리보다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준거리가 작아질수록 표적눈금의 읽음값에 생긴 오차도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그림과 같이 4개의 삼각망으로 둘러싸여 있는 유심삼각망에서 γ1234=360° 00‘ 08” 에 대한 삼각망 조정 결과로 옳은 것은?

  1. α1에는 -1“, β1에는 -1, γ1에는 +2”씩을 조정한다.
  2. α1에는 -1“, β1에는 -1, γ1에는 -2”씩을 조정한다.
  3. α1에는 +1“, β1에는 +1, γ1에는 -2”씩을 조정한다.
  4. α1에는 +1“, β1에는 +1, γ1에는 +2”씩을 조정한다.
(정답률: 59%)
  • 유심삼각망에서는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이므로, 4개의 삼각망의 내각의 합은 720°이어야 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γ1234=360° 00‘ 08”으로 주어졌다. 따라서, 720°에서 360° 00‘ 08”을 뺀 값인 359° 59‘ 52”를 조정해야 한다.

    α1, β1, γ1은 모두 삼각형 ABC의 내각이므로, 이들을 조정하면 삼각형 ABC의 모든 내각이 조정된다.

    α1에 +1을 조정하는 이유는, 삼각형 ABC의 내각의 합이 180°이므로, α1의 부족한 1도를 채우기 위해서이다.

    β1에 +1을 조정하는 이유도 마찬가지이다. 삼각형 ABC의 내각의 합이 180°이므로, β1의 부족한 1도를 채우기 위해서이다.

    γ1에 -2를 조정하는 이유는, 이미 γ1을 포함한 3개의 삼각망의 내각의 합이 360° 00‘ 08”이므로, 4번째 삼각망의 내각의 합이 360° 00‘ 08”에서 3개의 삼각망의 내각의 합을 뺀 값인 359° 59‘ 52”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4번째 삼각망의 내각인 γ1에 -2를 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오차 중에서 최소제곱법의 원리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은?

  1. 누적오차
  2. 우연오차
  3. 정오차
  4. 착오
(정답률: 71%)
  • 최소제곱법은 데이터의 분산을 최소화하여 모델의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우연오차, 즉 무작위로 발생하는 오차는 모델의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누적오차, 정오차, 착오는 모델의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므로 최소제곱법으로 처리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수준측량에서 5km 왕복측정에서 허용오차가 ±10mm라면 2km 왕복측정에 대한 허용오차는?

  1. ±9.5mm
  2. ±8.4mm
  3. ±7.2mm
  4. ±6.3mm
(정답률: 52%)
  • 수준측량에서 왕복측정을 할 때, 오차는 왕복거리의 반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5km 왕복측정에서의 허용오차인 ±10mm는 2.5km 왕복측정에서의 허용오차와 같다. 이를 이용하여 2km 왕복측정에서의 허용오차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2.5km 왕복측정에서의 허용오차 = ±10mm
    1km 왕복측정에서의 허용오차 = (±10mm) ÷ 2.5 = ±4mm
    2km 왕복측정에서의 허용오차 = (±4mm) × 2 = ±8m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여 답을 구해야 한다. 따라서, 8.4mm가 가장 가까운 값이 아니라 6.3mm가 가장 가까운 값이므로, 정답은 "±6.3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삼각점을 선정할 때의 고려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삼각형의 내각은 60°에 가깝게 하며, 불가피할 경우에도 90°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2. 상호간의 시준이 잘 되어 연결 작업이 용이해야 한다.
  3. 불규칙한 공선 아지랑이 등의 영향이 적은 곳이 좋다.
  4. 지반이 견고하여야 하며 이동, 침하 및 동결 지반은 피한다.
(정답률: 73%)
  • "삼각형의 내각은 60°에 가깝게 하며, 불가피할 경우에도 90°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삼각형의 내각은 60°보다 작을수록 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며, 90°보다 크면 삼각형이 아닌 사다리꼴이나 오목한 도형이 되어 안정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삼각점을 선택할 때는 내각이 60°에 가깝고 90°보다 작은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각과 거리 관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선측량의 정밀도가 1/100000이라는 것은 관측거리 1km에 대한 1cm의 오차를 의미한다.
  2. 천정각은 수평각 관측을 의미하며 고저각은 높낮이에 대한 관측각이다.
  3. 각관측에서 배각관측이란 정위관측과 반위관측을 의미한다.
  4. 각관측에서 관측방향이 15“ 틀어진 경우 2km 앞에 발생하는 위치오차는 1.5m이다.
(정답률: 51%)
  • 기선측량의 정밀도가 1/100000이라는 것은 측정한 거리 값에 대한 오차가 1/100000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1km의 거리를 측정할 때 최대 1cm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망원경의 배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초점거리의 비
  2.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초점거리의 곱
  3.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초점거리의 합
  4.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초점거리의 차
(정답률: 68%)
  • 망원경의 배율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초점거리의 비로 결정됩니다. 이는 대물렌즈에서 모은 빛을 접안렌즈로 집중시켜 더 큰 확대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초점거리의 비가 높을수록 망원경의 배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본측량성과의 검증을 위해 검증을 의뢰받은 기본측량성과 검증기관은 며칠 이내에 검증결과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1. 10일
  2. 20일
  3. 30일
  4. 60일
(정답률: 69%)
  • 기본측량성과 검증기관은 검증을 받은 기업의 성과보고서를 분석하고 검토하여 검증결과를 도출해야 합니다. 이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작업이므로, 검증기관에게는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기본측량성과 검증기관은 검증을 받은 기업으로부터 성과보고서를 제출받은 후 30일 이내에 검증결과를 제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측량기기인 토털 스테이션(Total Station)과 지피에스(GPS) 수신기의 성능검사 주기는?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82%)
  • 토털 스테이션과 지피에스 수신기는 정밀한 측량을 위한 기기로서, 센서나 레이저 등의 부품이 사용되기 때문에 정확도와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제조사에서는 이러한 기기들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성능검사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성능검사 주기는 일반적으로 3년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공공측량의 실시공고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의 종류
  2. 측량의 규모
  3. 측량의 목적
  4. 측량의 실시기간
(정답률: 65%)
  • 공공측량의 실시공고에는 측량의 종류, 목적, 실시기간 등이 포함되어야 하지만, 측량의 규모는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측량의 규모는 일반적으로 측량을 실시하는 측량사무소나 기관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공공측량의 실시공고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측량기록”의 용어 정의로 옳은 것은?

  1.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
  2. 측량기본계획 수립의 작업 기록
  3. 측량을 통하여 얻은 최종 결과
  4. 측량 외업에서의 작업 기록
(정답률: 75%)
  • "측량기록"은 측량 작업을 수행하면서 얻은 모든 정보와 데이터를 기록한 것으로,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측량과는 관련이 있지만, "측량기록"의 정확한 용어 정의와는 일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을 방해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54%)
  • 측량은 공공의 이익을 위한 작업이므로,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을 방해하는 것은 공공질서를 위협하는 행위입니다. 하지만 법적으로는 징역이나 벌금과 같은 형벌보다는 경고나 과태료와 같은 경제적 제재가 우선시됩니다. 따라서,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을 방해한 자에게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측량기준점에서 국가기준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삼각점
  2. 중력점
  3. 지자기점
  4. 지적도근점
(정답률: 68%)
  • 측량기준점과 국가기준점은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점으로, 삼각점, 중력점, 지자기점은 모두 국가기준점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지적도근점은 지적도에서 사용되는 측량기준점으로, 국가기준점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적도근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