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1-26)

압연기능사
(2014-01-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금속재료일반

1. 단면적이 2cm2의 철구조물이 5000kgf의 하중에서 균열이 발생 될 때의 압축응력(kgf/cm2)은?

  1. 1000 kgf/cm2
  2. 2500 kgf/cm2
  3. 3500 kgf/cm2
  4. 4000 kgf/cm2
(정답률: 93%)
  • 압축응력은 하중(F)을 단면적(A)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압축응력 = F/A 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하중이 5000kgf이고, 단면적이 2cm2이므로 압축응력은 5000kgf/2cm2 = 2500 kgf/cm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00 kgf/c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알루미늄에 10~13% Si를 함유한 합금으로 용융점이 낮고, 유동성이 좋은 알루미늄합금은?

  1. 실루민
  2. 라우탈
  3. 두랄루민
  4. 하이드로날륨
(정답률: 79%)
  • 실루민은 알루미늄과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실리콘 함량이 10~13%로 높아 용융점이 낮고 유동성이 좋습니다. 따라서 주조나 성형 등의 가공이 용이하며, 경제적인 재료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주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철은 강도와 경도가 크다.
  2. 주철은 쉽게 용해되고, 액상일 때 유동성이 좋다.
  3. 회주철은 진동을 잘 흡수하므로 기어박스 및 기계 몸체 등의 재료로 사용된다.
  4. 주철 중의 흑연은 응고함에 따라 즉시 분리되어 괴상이 되고, 일단 시멘타이트로 정출한 뒤에는 분해하여 판상으로 나타난다.
(정답률: 65%)
  • 주철 중의 흑연은 응고함에 따라 즉시 분리되어 괴상이 되고, 일단 시멘타이트로 정출한 뒤에는 분해하여 판상으로 나타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주철 중의 흑연은 응고함에 따라 분리되어 괴상이 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주철 내부에 분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금속재료 중 비중이 가장 낮은 것은?

  1. Zn
  2. Cr
  3. Mg
  4. Al
(정답률: 73%)
  • 비중은 단위 부피당 물질의 질량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부피가 같을 때 더 가벼운 물질일수록 비중이 낮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과 마그네슘 중에서 마그네슘이 더 가벼우므로 비중이 가장 낮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M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Sn-Sb-Cu의 합금으로 주석계 화이트 메탈이라고 하는 것은?

  1. 인코넬
  2. 콘스탄탄
  3. 배빗메탈
  4. 알클래드
(정답률: 79%)
  • 주석계 화이트 메탈은 주로 시계나 기계 부품 등에 사용되는 합금으로, Sn-Sb-Cu 합금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Sn과 Sb의 비율이 3:1인 합금을 배빗메탈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빗메탈"입니다. 인코넬, 콘스탄탄, 알클래드는 모두 다른 종류의 합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조직 중 탄소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은?

  1. 페라이트
  2. 펄라이트
  3. 오스테나이트
  4. 시멘타이트
(정답률: 78%)
  • 시멘타이트는 Fe3C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소 함량이 6.67%로 가장 높습니다. 따라서 탄소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조직은 시멘타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로에서 생산된 용강을 Fe-Mn으로 가볍게 탈산시킨 것으로 기포 및 편석이 많은 강은?

  1. 림드강
  2. 킬드강
  3. 캡트강
  4. 세미킬드강
(정답률: 68%)
  • 림드강은 전로에서 생산된 용강을 Fe-Mn으로 가볍게 탈산시켜 기포 및 편석이 많은 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림드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베어링합금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마찰계수가 커야 한다.
  2. 경도 및 내압력이 커야 한다.
  3. 소착에 대한 저항성이 커야 한다.
  4. 주조성 및 절삭성이 좋아야 한다.
(정답률: 71%)
  • 마찰계수가 커야 한다는 것은 베어링합금의 마찰 특성이 좋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베어링은 회전하는 축과 고정된 부분 사이에서 마찰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데, 마찰계수가 작을수록 더 효과적인 회전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마찰계수가 커야 한다는 조건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10배 이내의 확대경을 사용하거나 육안으로 직접 관찰하여 금속조직을 시험하는 것은?

  1. 라우에 법
  2. 에릭션 시험
  3. 매크로 시험
  4. 전자 현미경 시험
(정답률: 63%)
  • 매크로 시험은 10배 이내의 확대경을 사용하거나 육안으로 직접 관찰하여 금속조직을 시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라우에 법, 에릭션 시험, 전자 현미경 시험은 모두 매크로 시험과는 다른 방법으로 금속조직을 시험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강의 심냉 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서브제로 처리라 불리운다.
  2. Ms 바로 위까지 급냉하고 항온 유지한 후 급냉한 처리이다.
  3.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마텐자이트로 변태시키기 위한 열처리이다.
  4. 게이지나 볼베어링 등의 정밀한 부품을 만들 때 효과적인 처리 방법이다.
(정답률: 60%)
  • 정답은 "Ms 바로 위까지 급냉하고 항온 유지한 후 급냉한 처리이다." 이다. 이유는 강의 심냉 처리는 Ms점 이하에서 급냉하고, 이후에는 항온 유지하면서 시간을 두고 느리게 냉각하는 처리 방법이다. 따라서 "Ms 바로 위까지 급냉하고 항온 유지한 후 급냉한 처리"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비정질 합금의 제조법 중에서 기체 급랭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진공 증착법
  2. 스퍼터링법
  3. 화학 증착법
  4. 스프레이법
(정답률: 68%)
  • 기체 급랭법은 고온에서 빠르게 냉각하여 비정질 상태로 만드는 제조법이지만, 스프레이법은 고온에서 녹인 합금을 고속으로 분사하여 비정질 상태로 만드는 제조법이 아니기 때문에 기체 급랭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황동과 청동 제조에 사용되는 것으로 전기 및 열전도도가 높으며 화폐, 열교환기 등에 주 원소로 사용되는 것은?

  1. Fe
  2. Cu
  3. Cr
  4. Co
(정답률: 87%)
  • 황동과 청동은 구리(Cu)를 주 원소로 사용하여 제조됩니다. 구리는 전기 및 열전도도가 높아서 이러한 용도에 적합하며, 또한 화폐와 열교환기 등에도 널리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Cu"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면에서 치수선이 잘못된 것은?

  1. 반지름(R) 20의 치수선
  2. 반지름(R) 15의 치수선
  3. 원호(⁀) 37의 치수선
  4. 원호(⁀) 24의 치수선
(정답률: 88%)
  • 원호(⁀) 24의 치수선이 잘못되었습니다. 이유는 원호(⁀) 24의 중심각이 60도인데, 치수선의 길이가 90도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물품을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 도면에 의해 부품이 실제로 제작되는 도면은?

  1. 상세도
  2. 부품도
  3. 공정도
  4. 스케치도
(정답률: 63%)
  • 부품도는 물품을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으로, 부품의 크기, 형상, 재질 등을 명확하게 표시하여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부품도는 부품 제작에 필수적인 도면이며, 실제로 부품을 제작하는 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물체를 3각법으로 표현할 때 우측면도로 옳은 것은? (단, 화살표 방향이 정면도 방향이다.)

(정답률: 88%)
  • 우측면도는 물체의 오른쪽 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물체의 오른쪽 면은 정면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정면도와 비교하여 유추해야 한다. 정면도에서는 물체의 왼쪽 면이 보이고, 이 면이 물체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물체는 대칭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물체의 오른쪽 면은 정면에서 보이는 왼쪽 면과 대칭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를 고려하면, ""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금속제도

16. 다음 도면에 보기와 같이 표시된 금속재료의 기호 중 330 이 의미하는 것은?

  1. 최저인장강도
  2. KS 분류기호
  3. 제품의 형상별 종류
  4. 재질을 나타내는 기호
(정답률: 94%)
  • 330은 최저인장강도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이는 해당 금속재료의 인장강도가 최소한 330N/mm²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척도 1:2인 도면에서 길이가 50mm인 직선의 실제 길이는?

  1. 25mm
  2. 50mm
  3. 100mm
  4. 150mm
(정답률: 77%)
  • 도면의 척도가 1:2이므로, 실제 길이는 도면의 길이를 2배로 곱해주면 됩니다. 따라서 50mm x 2 = 100mm 이므로 정답은 "100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나사의 호칭 M20×2에서 2가 뜻하는 것은?

  1. 피치
  2. 줄의 수
  3. 등급
  4. 산의 수
(정답률: 82%)
  • 2는 나사의 피치(pitch)를 나타냅니다. 피치란 나사의 나선 줄 사이의 거리를 말하며, M20×2는 M20 사이즈의 나사이며, 피치가 2mm인 것을 의미합니다. 즉, 나사의 나선 줄 사이의 거리가 2mm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제도 용지 A3 는 A4 용지의 몇 배 크기가 되는가?

  1. 1/2 배
  2. √2 배
  3. 2 배
  4. 4 배
(정답률: 80%)
  • A3 용지는 A4 용지의 가로와 세로 길이를 2배로 늘린 크기이기 때문에 A3 용지는 A4 용지의 2배 크기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의 단면도 중 위, 아래 또는 왼쪽과 오른쪽이 대칭인 물체의 단면을 나타낼 때 사용되는 단면도는?

  1. 한쪽 단면도
  2. 부분 단면도
  3. 전 단면도
  4. 회전 도시 단면도
(정답률: 74%)
  • 정답은 "한쪽 단면도"입니다. 대칭인 물체의 경우, 위, 아래 또는 왼쪽과 오른쪽이 서로 대칭되기 때문에 한쪽 면만을 그려도 전체 모양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칭인 물체의 단면을 나타낼 때는 한쪽 단면도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C” 와 “SR”에 해당되는 치수 보조 기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 는 원호이며, SR 은 구의 지름이다.
  2. C 는 45도 모따기이며, SR 은 구의 반지름이다.
  3. C 는 판의 두께이며, SR 은 구의 반지름이다.
  4. C 는 구의 반지름이며, SR 은 구의 지름이다.
(정답률: 90%)
  • 정답은 "C 는 45도 모따기이며, SR 은 구의 반지름이다." 입니다.

    "C"는 치수 보조 기호 중 하나로, 원의 일부분인 원호를 나타냅니다. 이 때, 45도 모따기는 원호의 중심각이 45도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SR"은 치수 보조 기호 중 하나로, 구의 반지름을 나타냅니다. 구의 지름은 "D"로 표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그림과 같은 투상도는?

  1. 사투상도
  2. 투시 투상도
  3. 등각 투상도
  4. 부등각 투상도
(정답률: 89%)
  • 정답은 "등각 투상도"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등각 투상도는 원근법적인 왜곡을 최소화하면서도 물체의 크기와 모양을 유지하는 투상도입니다. 즉, 물체의 각도와 크기를 보존하면서도 원근법적 왜곡을 최소화합니다.

    반면에 사투상도는 물체의 크기와 모양을 왜곡시키면서도 원근법적인 효과를 강조하는 투상도이며, 투시 투상도는 물체의 크기와 모양을 왜곡시키지 않으면서도 원근법적인 효과를 강조하는 투상도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물체의 크기와 모양을 보존하면서도 원근법적 왜곡을 최소화하는 등각 투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가는 실선으로 사용되는 선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치수를 기입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선
  2. 치수를 기입하기 위하여 도형에서 인출하는 선
  3. 지시, 기호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선
  4. 형상의 부분 생략, 부분 단면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
(정답률: 79%)
  • 형상의 부분 생략, 부분 단면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은 가는 실선으로 사용되는 선의 용도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치수를 나타내거나 지시, 기호 등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되는 선이지만, 형상의 부분 생략이나 부분 단면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은 도면에서 형상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단면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그림 중에서 FL 이 의미하는 것은?

  1. 밀링 가공을 나타낸다.
  2. 래핑 가공을 나타낸다.
  3. 가공으로 생긴 선이 거의 동심원임을 나타낸다.
  4. 가공으로 생긴 선이 2방향으로 교차하는 것을 나타낸다.
(정답률: 85%)
  • FL은 "래핑 가공"을 나타냅니다. 그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선이 원형을 따라 감겨있기 때문입니다. 래핑 가공은 주로 원형의 물체를 가공할 때 사용되며, 물체의 표면을 따라 돌면서 가공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FL은 래핑 가공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롤에 스폴링(spalling)이 발생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롤 표면 부근에 주조 결함이 생겼을 때
  2. 내균열성이 높은 롤의 재질을 사용하였을 때
  3. 여러 번의 롤 교체 및 연마 후 많이 사용하였을 때
  4. 압연이상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강한 압력이 생겼을 때
(정답률: 61%)
  • 내균열성이 높은 롤의 재질을 사용하였을 때는 스폴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내균열성이 높은 재질은 내부적으로 응력을 분산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롤 표면 부근에 주조 결함이 생겼을 때, 여러 번의 롤 교체 및 연마 후 많이 사용하였을 때, 압연이상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강한 압력이 생겼을 때는 스폴링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공연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정탄소와 휘발분과 비이다.
  2. 연료를 연소시키는 데에 사용하는 공기와 연료의 비이다.
  3. 이론공기량을 1.0 으로 할 때의 실적 공기량의 비율이다.
  4. 폐가스 조성(성분)에 의거 가스 1Nm3을 완전연소 시키는 데에 필요한 공기량이다.
(정답률: 74%)
  • 정답은 "폐가스 조성(성분)에 의거 가스 1Nm3을 완전연소 시키는 데에 필요한 공기량이다."입니다.

    이유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데에 사용하는 공기와 연료의 비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공연비이기 때문입니다. 폐가스 조성에 따라 가스 1Nm3을 완전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공연비를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압연재료의 변경저항 계산에서 변형저항을 Kw, 변형가도를 Kf, 작용면에서의 외부마찰 손실을 Kr, 내부마찰 손실을 Ki라 할 때 옳게 표현된 관계식은?

(정답률: 79%)
  • Kw = Kf + Kr + Ki 이므로, 정답은 "" 입니다.

    변형저항은 변형가도와 비례하므로 Kf를 곱해주고, 작용면에서의 외부마찰 손실과 내부마찰 손실은 각각 Kr과 Ki로 표현되므로 더해주면 됩니다. 따라서 위의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두께 20mm의 강판을 두께 10mm의 강판으로 압연하였을 때 압하율은 얼마인가?

  1. 10%
  2. 20%
  3. 40%
  4. 50%
(정답률: 77%)
  • 압하율은 원래 두께에서 압연 후 두께가 얼마나 줄어들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따라서 압하율은 (압연 전 두께 - 압연 후 두께) / 압연 전 두께 x 100%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두께 20mm의 강판을 두께 10mm의 강판으로 압연하였으므로, 압하율은 (20 - 10) / 20 x 100% = 50%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냉간압연 후 600~700℃로 가열하여 일정시간을 유지하면 압연시 발생된 내부응력을 제거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풀림과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회복 → 재결정 → 결정립성장
  2. 회복 → 결정립성장 → 재결정
  3. 결정립성장 → 회복 → 재결정
  4. 결정립성장 → 재결정 → 회복
(정답률: 75%)
  • 정답은 "회복 → 재결정 → 결정립성장" 입니다.

    냉간압연 후에는 내부응력이 발생하여 가공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풀림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먼저, 회복 과정에서는 내부응력이 완화되고, 결정 구조가 일부 회복됩니다. 이후, 재결정 과정에서는 결정 구조가 완전히 재배열되어 더욱 완화된 내부응력을 가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결정립성장 과정에서는 결정 구조가 성장하면서 더욱 강도가 향상됩니다.

    따라서, "회복 → 재결정 → 결정립성장" 순서가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열연공정인 RSB 혹은 VSB에서 행해지는 작업이 아닌 것은?

  1. 트리밍(trimming) 작업
  2. 슬래브(slab) 폭 압연
  3. 슬래브(slab) 두께 압연
  4. 스케일(scale) 제거
(정답률: 62%)
  • 트리밍 작업은 슬래브의 가장자리를 깎아내는 작업으로, RSB 혹은 VSB에서는 이 작업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대신, 슬래브 폭 압연, 슬래브 두께 압연, 스케일 제거 등의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압연기술

31. 열연공장의 가열로에서 가열이 완료되어 추출되는 슬래브의 온도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650~750℃
  2. 800~900℃
  3. 900~1000℃
  4. 1100~1300℃
(정답률: 65%)
  • 슬래브은 고온에서 가열되어 형성되는 금속 덩어리이므로, 가열로에서 추출되는 슬래브의 온도는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1100~1300℃ 범위가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슬래브가 형성되기에는 온도가 낮거나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압연조건 중 압연제품의 조직 및 기계적 성질의 변화와 관련이 적은 것은?

  1. 냉각속도
  2. 압연속도
  3. 압하율
  4. 탈스케일
(정답률: 71%)
  • 정답: 탈스케일

    설명: 압연제품의 조직 및 기계적 성질은 냉각속도, 압하율, 압연속도 등의 압연조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탈스케일은 단순히 표면의 산화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압연제품의 조직 및 기계적 성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탈스케일은 압연제품의 조직 및 기계적 성질의 변화와 관련이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점도가 비교적 낮은 기름을 사용할 수 있고 동력의 소비가 적은 이점이 있는 급유법은?

  1. 중력순환급유법
  2. 패드급유법
  3. 체인급유법
  4. 유륜식급유법
(정답률: 71%)
  • 중력순환급유법은 기름을 탱크에서 엔진으로 중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별도의 펌프나 동력이 필요하지 않아 동력 소비가 적습니다. 또한 점도가 비교적 낮은 기름을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합니다. 따라서 점도가 낮은 기름을 사용하고 동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중력순환급유법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산세 라인(line)의 스케일 브레이커의 공정 중 그림과 같은 스케일 브레이킹법은?

  1. 레벨링법
  2. 롤링법
  3. 멕케이법
  4. 프레슈어법
(정답률: 71%)
  • 이 그림은 레벨링법에 따라 스케일 브레이킹을 하는 것입니다. 레벨링법은 지형의 높낮이를 측정하여 등고선을 그리는 방법으로, 이를 이용하여 지형의 스케일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레벨링법에 따라 스케일 브레이킹을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공형압연기로 만들 수 있는 제품이 아닌 것은?

  1. 앵글
  2. H형강
  3. I형강
  4. 스파이럴 강관
(정답률: 73%)
  • 공형압연기는 주로 평면적인 형태의 강재를 생산하는데, 스파이럴 강관은 원통형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공형압연기로 만들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파이럴 강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판을 압연할 때 압연재가 롤과 접촉하는 입구측의 속도를 VE, 롱레서 빠져나오는 출구측의 속도롤 VA, 그리고 중리범의 속도를 VO 라 할 때 각각의 속도 관계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VE < VO < VA
  2. VA > VE > VO
  3. VE < VA < VO
  4. VE = VA = VO
(정답률: 82%)
  • 압연재가 롤과 접촉하는 입구측에서는 압력이 가해져 압연재의 속도가 빠르게 되고, 롤과 접촉하지 않는 출구측에서는 압력이 줄어들어 압연재의 속도가 느려진다. 따라서 VE < VO < VA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스트레이트 방식의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공형을 경사시켜 직접 압하를 가하기 쉽게 한 것은?

  1. 플랫 방식
  2. 버터플라이 방식
  3. 다이애거널 방식
  4. 무압하 변형 공형
(정답률: 75%)
  • 다이애거널 방식은 공형을 경사시켜 직접 압하를 가하기 쉽게 한 것으로, 스트레이트 방식의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이 방식은 공형이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압력이 골고루 분산되며, 높은 압력을 가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인 압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연주 주편이 응고할 때 주편중심부에 S, C, P 등의 원소가 모여서 형성되는 결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편석
  2. 파이프
  3. 슬래그 피팅
  4. 비금속 개재물
(정답률: 67%)
  • 연주 주편이 응고할 때 주편 중심부에 S, C, P 등의 원소가 모여서 형성되는 결함을 "편석"이라고 합니다. 이는 주로 주철에서 발생하는데, 주철은 탄소와 함께 S, C, P 등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중 S, C, P는 주철 내부에서 결합력이 약하고, 응고과정에서 결합력이 더욱 약해져서 결함이 형성됩니다. 이러한 결함은 주로 주철의 기계적 성질을 악화시키고,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킵니다. 따라서 편석은 주철 제조 과정에서 최대한 방지해야 하는 결함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판 두께 변동 요인 중 압연기 탄성특성 등 압연기의 변형에 의한 판 두께 변동요인이 아닌 것은?

  1. 입측 압연소재의 판 두께 변동
  2. 롤 갭의 설정치 변동
  3. 롤의 열팽창에 의한 변동
  4. 유막변동관 롤 편심 오차
(정답률: 51%)
  • 입측 압연소재의 판 두께 변동은 압연기의 변형과는 무관하게 원재료의 두께 자체가 일정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요인입니다. 따라서 압연기의 탄성특성 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청정 라인(line)의 세정제로 부적합한 것은?

  1. 가성소다
  2. 규산소다
  3. 염산
  4. 인산소다
(정답률: 83%)
  • 염산은 강한 산성을 띄고 있어서 세정 대상인 일부 물질을 부식시키거나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청정 라인(line)의 세정제로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냉간압연하기 전에 실시하는 산세 공정의 장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언코일러(uncoiler)는 열연 코일을 접속하는 장치이다.
  2. 스티쳐(sticher)는 열연코일의 끝부분을 잘라내는 장치이다.
  3. 플레시 트리머(flash trimmer)는 용접할 때 생긴 두터운 비드를 깍아 다른 부분과 같게 하는 장치이다.
  4. 업 커트 시어(up-cut shear)는 열연 코일을 풀어 주는 장치이다.
(정답률: 65%)
  • 플레시 트리머는 용접할 때 생긴 두터운 비드를 깍아 다른 부분과 같게 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용접 후 생긴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최종 제품의 외형을 깔끔하게 만들기 위한 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압연에 의한 조직변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냉간가공으로 나타난 섬유조직은 압연방향으로 길게 늘어난다.
  2. 열간가공 마무리 온도가 높을수록 결정립이 미세하게 된다.
  3. 슬립온 원자가 가장 밀집되어 있는 격자면에서 먼저 일어난다.
  4. 열간 가공으로 결정립이 연신된 후에 재결정이 시작된다.
(정답률: 66%)
  • 정답은 "열간가공 마무리 온도가 높을수록 결정립이 미세하게 된다."입니다.

    이유는 열간가공 마무리 온도가 높을수록 금속의 구조가 더욱 균일해지고, 결정립이 더욱 미세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금속의 강도와 연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냉연 조질압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풀림작업 후 판의 두께 및 폭을 개선한다.
  2. 표면에 미려하게 한다.
  3. 스트립의 형상을 교정하여 평활하게 한다.
  4. 항복점 연신을 제거한다.
(정답률: 39%)
  • "풀림작업 후 판의 두께 및 폭을 개선한다."는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냉연 조직압연은 스트립의 두께와 폭을 조절하는 공정 중 하나입니다. 풀림작업은 스트립의 두께를 균일하게 만들어주는 과정이며, 이를 통해 판의 두께와 폭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풀림작업 후 판의 두께 및 폭을 개선한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일반적으로 철강 표면에 생서되어 있는 스케이링 대기와 접한 표면으로부터 스케일 생성 순서가 옳은 것은?

  1. Fe2O3 → Fe3O4 → Fe → FeO
  2. Fe3O4 → Fe2O3 → Fe → FeO
  3. Fe3O4 → Fe2O3 → FeO → Fe
  4. Fe2O3 → Fe3O4 → FeO → Fe
(정답률: 66%)
  • 철은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철산화물(Fe2O3)을 생성하며, 이것이 스케일의 초기 형태이다. 이후 철산화물과 철이 상호작용하여 Fe3O4가 생성된다. Fe3O4는 불안정하며, 고온에서 FeO와 Fe로 분해된다. 마지막으로 FeO는 높은 온도에서 철과 반응하여 철로 환원된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Fe2O3 → Fe3O4 → FeO → F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냉간 압연의 일반적인 공정 순서로 옳은 것은?

  1. 열연 Coil → 산세 → 정정 → 냉간 압연 → 표면청정 → 풀림 → 조질 압연
  2. 열연 Coil → 산세 → 냉간 압연 → 정정 → 표면청정 → 풀림 → 조질 압연
  3. 열연 Coil → 산세 → 냉간 압연 → 표면청정 → 풀림 → 조질 압연 → 정정
  4. 열연 Coil → 산세 → 냉간 압연 → 표면청정 → 풀림 → 정정 → 조질 압연
(정답률: 77%)
  • 냉간 압연은 열연 Coil을 먼저 산세 처리한 후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냉간 압연 후에는 표면청정, 풀림, 조질 압연, 정정 순서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연 Coil → 산세 → 냉간 압연 → 표면청정 → 풀림 → 조질 압연 → 정정"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압연설비

46. 압연제품의 표면에 부풀거나 압연방향으로 선모양의 흠이 생기는 결함의 원인은?

  1. 수축관
  2. 기공
  3. 편석
  4. 내부균열
(정답률: 62%)
  • 압연제품의 표면에 부풀거나 압연방향으로 선모양의 흠이 생기는 결함은 기공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기공은 압연 과정에서 미세한 공기 포집이나 금속 결정의 결함으로 인해 생기는 작은 구멍이며, 이러한 기공이 압연 과정에서 압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표면에 부풀거나 선모양의 흠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기공은 압연제품의 표면 결함을 일으키는 가장 일반적인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공형의 형상설계시 유의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압연속도와 온도를 고려한다.
  2. 구멍수를 많게 하는 것이 좋다.
  3. 최후에는 타원형으로부터 원형으로 되게 한다.
  4. 패스마다 소재를 90° 씩 돌려서 압연되게 한다.
(정답률: 87%)
  • 구멍수를 많게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은 형상 내부에 구멍을 많이 뚫어서 무게를 줄이고, 강도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형상설계시 구멍수를 많게 하는 것은 유의해야 할 사항 중 하나가 아니라 오히려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단면이 150mm × 150mm 이고 길이가 1m인 소재를 압연하여 단면이 10mm×10mm 제품을 생산하였다. 이 때 제품의 길이는 몇 m 인가?

  1. 30
  2. 150
  3. 225
  4. 300
(정답률: 64%)
  • 소재의 첫 번째 단면적은 150mm × 150mm = 22500mm² 이고, 두 번째 단면적은 10mm × 10mm = 100mm² 이다. 따라서 소재 하나로 생산할 수 있는 제품 수는 22500mm² ÷ 100mm² = 225개이다. 각 제품의 길이는 1m에서 변하지 않으므로, 제품 1개의 길이는 1m이다. 따라서 제품 225개의 총 길이는 225m이다. 따라서 정답은 "2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선재 공장에서 압연기 간의 장력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리피터(repeater)
  2. 가이드(guide)
  3. 업 루퍼(up looper)
  4. 사이드 루퍼(side looper)
(정답률: 70%)
  • 압연기 간의 장력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는 리피터, 업 루퍼, 사이드 루퍼이다. 가이드는 압연기 간의 장력을 제거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가이드는 원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가열로에 설비된 레큐퍼레이터(환열기, recuperater)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가열로 폐가스를 순환시켜 다시 연소공기로 이용하는 장치
  2. 가열로 폐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연소공기를 예열하는 장치
  3. 연료를 일정한 온도로 예열하여 효율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설비
  4. 가열된 압연재의 온도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연료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장치
(정답률: 66%)
  • 가열로 폐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연소공기를 예열하는 장치는 가열로에 설비된 레큐퍼레이터입니다. 이 장치는 가열로에서 발생한 폐가스를 순환시켜 다시 연소공기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폐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연소공기를 예열하여 효율적인 연소를 이루도록 합니다. 따라서 "가열로 폐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연소공기를 예열하는 장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조질압연 설비를 입측설비, 압연기 본체, 출측설비로 나눌 때 압연기 본체에 해당하는 것은?

  1. 텐션 롤
  2. 스탠드
  3. 페이오프 릴
  4. 코일 콘베이어
(정답률: 63%)
  • 압연기 본체는 조질을 압연하여 원하는 두께와 폭으로 만드는 기계로,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입니다. 이 중에서도 스탠드는 압연기 본체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조질을 압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스탠드는 롤러와 롤러 사이에 조질을 넣어 압연하며, 이 과정에서 조질의 두께와 폭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연기 본체에 해당하는 것은 스탠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열간압연 설비가 아닌 것은?

  1. 권취기
  2. 조압연기
  3. 후판압연기
  4. 주석박판압연기
(정답률: 59%)
  • 주석박판압연기는 열간압연이 아닌, 주석박판을 만들기 위한 기계입니다. 권취기, 조압연기, 후판압연기는 모두 금속재료를 열간압연하여 형상을 만드는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압연작업장의 환경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그 단위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조도 - Lux
  2. 소음 - dB
  3. 방사선 - Gauss
  4. 진동수 – Hz
(정답률: 86%)
  • 방사선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Gauss는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방사선과 Gauss는 서로 다른 물리량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 둘을 연결하는 것은 잘못된 단위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최근 압연기에는 ORG(On Line Roll Grinder) 설비가 부착되어 압연 중 작업 롤(work roll) 표면을 전면 혹은 단차 연마를 실시하는 데, ORG 사용 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롤 서멀 크라운을 제어할 수 있다.
  2. 롤 마모의 단차를 해소할 수 있다.
  3. 협폭재에서 광폭재의 폭 역전 가능하다.
  4. 국부마모 해소로 동일 폭 제한을 해소 할 수 있다.
(정답률: 46%)
  • 롤 서멀 크라운은 압연 중 롤의 중심부와 양 끝 부분의 온도 차이로 인해 생기는 움푹한 형태를 말합니다. ORG 설비를 사용하면 압연 중에 작업 롤의 표면을 연마하여 롤 서멀 크라운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롤 서멀 크라운을 제어할 수 있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압연기의 압하력을 측정하는 장치는?

  1. 압하 스크류(screw)
  2. 로드 셀(load cell)
  3. 플레시 미터(flash meter)
  4. 텐션 미터(tension meter)
(정답률: 78%)
  • 압연기의 압하력은 로드 셀(load cell)로 측정합니다. 로드 셀은 압력을 받으면 내부의 전기 저항이 변화하여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합니다. 따라서 압하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냉연강판, 도금강판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냉연 및 표면 처리 설비로 부적합 한 것은?

  1. 산세설비
  2. 풀림설비
  3. 가열로
  4. 전기도금설비
(정답률: 64%)
  • 가열로는 냉연 및 표면 처리를 위한 설비가 아니라, 금속을 가열하여 가공하는 설비이기 때문에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정한 행동을 취할 것을 지시하는 표지로써 방독마스크를 착용할 것 등을 지시하는 경우의 색체는?

  1. 녹색
  2. 빨간색
  3. 파란색
  4. 노란색
(정답률: 69%)
  • 파란색은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보호되어야 할 것을 나타내는 색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방독마스크를 착용할 것 등을 지시하는 경우에 파란색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노압은 노의 열효율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친다. 노압이 높은 경우에 발생하는 것은?

  1. 버너 연소상태 약화
  2. 침입 공기가 많아 열손실 증가
  3. 소재 산화에 의한 스케일 생성량 증가
  4. 외부 찬 공기 침투로 로온 저하로 열손실 증대
(정답률: 52%)
  • 노압이 높으면 침입 공기가 많아져 연소 공기와 연료 간의 비율이 불균형해지고, 이로 인해 버너 연소상태가 약화됩니다. 이는 열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열간압연기의 제어형식 주 압연 롤 축을 압연방향으로 대각선쪽으로 틀어 소재판의 크라운 제어를 하는 것은?

  1. 페어 크로스 밀(pair cross mill)
  2. 가변 크라운(variable crown)
  3. 작업 롤 굽힘(work roll bending)
  4. 중간 롤 시프트(intermediate roll shift)
(정답률: 69%)
  • 페어 크로스 밀은 주 압연 롤 축을 압연방향으로 대각선쪽으로 틀어 소재판의 크라운 제어를 할 수 있는 열간압연기의 제어형식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가변 크라운은 주 압연 롤의 중심부와 양 끝부분의 지름을 조절하여 크라운을 제어하는 방식이고, 작업 롤 굽힘은 작업 롤의 중심부를 굽혀 크라운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중간 롤 시프트는 중간 롤을 좌우로 이동시켜 크라운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크롭 시어의 역할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중량이 큰 슬래브의 단중 분할하는 목적으로 절단한다.
  2. 압연재의 중간 부위를 절단하여 후물재의 작업성을 개선한다.
  3. 경질재 선후단부의 저온부를 절단하여 롤 마트 발새을 방지한다.
  4. 조압연기에서 이송되어온 재료 선단부를 커팅하여 사상압연기 및 다운 코일러의 치입성을 좋게 한다.
(정답률: 50%)
  • "압연재의 중간 부위를 절단하여 후물재의 작업성을 개선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압연재는 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크롭 시어를 사용하여 중간 부위를 절단하여 후물재의 두께를 균일하게 만들어 작업성을 개선합니다. 이는 후물재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