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7-20)

압연기능사
(2014-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금속재료일반

1. 주철을 60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과 냉각을 반복하면 부피가 증가하여 파열되는데 그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흑연의 시멘타이트화에 의한 팽창
  2. A1 변태에서 부피 변화로 인한 팽창
  3. 불균일한 가열로 생기는 균열에 의한 팽창
  4. 페라이트 중에 고용되어 있는 Si 의 산화에 의한 팽창
(정답률: 60%)
  • 주철은 600℃ 이상에서 흑연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이때 흑연은 시멘타이트화되어 부피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흑연의 시멘타이트화에 의한 팽창"이 주철이 600℃ 이상에서 가열과 냉각을 반복하면 부피가 증가하여 파열되는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구리의 화학적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리는 해수에서 빠르게 부식된다.
  2. 아연, 주석 등과 합금을 하면 내식성이 향상된다.
  3. 이산화탄소(CO2)가 포함되어 있는 공기 중에서 표면은 녹청이 발생한다.
  4. 구리가 Cu2O상을 품었을 때 H2 가스 중에 가열 하면 650~850℃에서 수소메짐이 없어진다.
(정답률: 73%)
  • "구리가 Cu2O상을 품었을 때 H2 가스 중에 가열 하면 650~850℃에서 수소메짐이 없어진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구리가 Cu2O상을 품었을 때 H2 가스 중에 가열 하면 650~850℃에서 수소메짐이 없어지는 것은 올바른 화학적 성질입니다. 이것은 구리가 환원제로 작용하여 Cu2O가 구리로 환원되고, 동시에 수소가 산화되어 수소메탄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순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중은 약 7.8 정도 이다.
  2. 상온에서 비자성체이다.
  3. 상온에서 페라이트 조직이다.
  4. 동소변태점에서는 원자의 배열이 변화한다.
(정답률: 75%)
  • 순철은 상온에서 비자성체가 아닙니다. 순철은 상온에서 페라이트 조직을 가지며, 동소변태점에서는 원자의 배열이 변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금속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성변형을 한다.
  2. 가시광선의 반사능력이 높다.
  3. 일반적으로 경도, 강도 및 비중이 낮다.
  4. 수은을 제외하고 상온에서 고체이며 결정체이다.
(정답률: 84%)
  • 일반적으로 경도, 강도 및 비중이 낮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는 금속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닙니다. 금속은 일반적으로 경도와 강도가 높고, 비중이 높습니다. 이는 금속의 결정 구조와 분자 간 결합력에 기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18-8강이라고도 한다. 이때 18과 8은 어떤 합금 원소인가?

  1. W, Mn
  2. W, Co
  3. Cr, Ni
  4. Cr, Mo
(정답률: 82%)
  • 18-8강은 크롬(Cr)과 니켈(Ni) 합금 원소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18은 크롬의 비율을 나타내며, 8은 니켈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Cr, N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온도에 따른 탄성률의 변화가 없는 36% Ni, 12% Cr, 나머지는 Fe로된 합금은?

  1. 엘린바
  2. 센더스트
  3. 초경합금
  4. 바이탈륨
(정답률: 74%)
  • 정답은 "엘린바"입니다. 이 합금은 엘리먼트 인바(In)와 알루미늄(Al)을 첨가하여 만든 합금으로, 고온에서도 높은 강도와 내식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엘린바 합금은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습니다. 따라서, 온도에 따른 탄성률의 변화가 없는 합금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Al-Si계 합금을 주조할 때 나타나는 Si의 조대한 육각판상 결정을 미세화하는 처리는?

  1. 심랭 처리
  2. 개량 처리
  3. 용체화 처리
  4. 페이딩 처리
(정답률: 71%)
  • 개량 처리는 알루미늄-실리콘 합금의 Si 결정을 미세화하는 처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처리는 합금을 고온에서 가열한 후 빠르게 냉각하여 Si 결정의 크기를 줄이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합금의 기계적 성질이 향상되며, 더 높은 인장강도와 경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비정질 재료의 제조 방법 중 액체 급랭법에 의한 제조법은?

  1. 원심법
  2. 스퍼터링법
  3. 진공증착법
  4. 화학증착법
(정답률: 63%)
  • 액체 급랭법은 비정질 재료를 만드는 방법 중 하나로, 높은 온도에서 녹인 물질을 빠르게 냉각하여 결정화를 방지하고 비정질 상태로 유지시키는 방법입니다. 이와 달리 원심법은 액체 급랭법과는 달리 물질을 높은 속도로 회전시켜 중심력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원심법은 액체 급랭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비정질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금(Au) 및 그 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u 는 면심입방격자를 갖는다.
  2. 다른 귀금속에 비하여 전기 전도율과 내식성이 우수하다.
  3. Au-Ni-Cu-Zn계 합금을 화이트 골드라 하며 은백색을 나타낸다.
  4. Au의 순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캐럿(carat, K)이며 순금을 18K 라고 한다.
(정답률: 85%)
  • 정답은 "Au의 순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캐럿(carat, K)이며 순금을 18K 라고 한다." 이다. Au의 순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캐럿(carat, K)이지만, 순금을 18K 라고 하는 것은 Au가 24K(순금)일 때, 다른 금속과 합쳐져서 순도가 낮아진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순금을 18K라고 하는 것은 Au의 순도가 75%인 합금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시효경화성이 있고, Cu 합금 중 가장 큰 강도와 경도를 가지며, 고급 스프링이나 전기 접점, 용접용 전극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티탄 구리 합금
  2. 규소 청동 합금
  3. 망간 구리 합금
  4. 베릴륨 구리 합금
(정답률: 76%)
  • 베릴륨 구리 합금은 시효경화성이 있어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해도 강도와 경도가 유지되며, Cu 합금 중 가장 큰 강도와 경도를 가지기 때문에 고급 스프링이나 전기 접점, 용접용 전극 등에 사용됩니다. 또한 베릴륨은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전기 및 전자기기에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일정한 온도에서 액체(액상)로부터 두 종류가 고체가 일정한 비율로 동시에 정출하는 것은?

  1. 편정점
  2. 공석점
  3. 공정점
  4. 포정점
(정답률: 73%)
  • 이것은 고체와 액체의 존재하는 온도와 압력이 일치하는 지점입니다. 이 지점에서 액체와 고체의 상태가 동시에 존재하며, 두 상태의 비율은 일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공정점에서 두 종류가 고체가 일정한 비율로 동시에 정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표는 4회 인장 시험편의 규격이다. 이 시험편을 가지고 인장 시험하여 시험편을 파괴한 후 시험편의 표점거리를 측정한 결과 58.5mm 이었을 때 시험편의 연신율은?

  1. 8.5%
  2. 17.0%
  3. 25.5%
  4. 34.0%
(정답률: 67%)
  • 연신율은 시험편이 얼마나 늘어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연신율은 (파괴 후 표점거리-원래 길이)/원래 길이 x 100 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58.5-50)/50 x 100 = 17.0% 이므로 정답은 1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자동차용 디젤엔진 중 피스톤의 설계도면 부품표란에 재질 기호가 AC88 라고 적혀 있다면, 어떠한 재질로 제작하여야 하는가?

  1. 황동 합금 주물
  2. 청동 합금 주물
  3. 탄소강 합금 주강
  4. 알루미늄 합금 주물
(정답률: 74%)
  • AC88은 알루미늄 합금의 한 종류인 A380.0을 나타내는 재질 기호입니다. 따라서 이 디젤엔진의 피스톤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되어야 합니다. 알루미늄 합금은 경량화와 내식성, 가공성 등의 우수한 특성으로 자동차 부품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도면의 표제란에 표시되지 않는 것은?

  1. 품명, 도면 내용
  2. 척도, 도면 번호
  3. 투상법, 도면 명칭
  4. 제도자, 도면 작성일
(정답률: 65%)
  • 도면의 표제란에는 일반적으로 해당 도면의 정보를 요약하여 표시합니다. 이 중 "품명, 도면 내용"은 도면의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제란에 표시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척도, 도면 번호", "투상법, 도면 명칭", "제도자, 도면 작성일"은 도면의 정보를 보완하는 내용이지만, 도면의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는 아니기 때문에 표제란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물체를 1각법으로 나타낼 때 (ㄱ)에 알맞은 측면도는?

(정답률: 72%)
  • 물체의 앞면이 보이는 측면을 선택해야 하므로, ""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물체의 측면이나 뒷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금속제도

16. 기어의 피치원의 지름이 150mm이고, 잇수가 50개 일 때 모듈의 값은?

  1. 1mm
  2. 3mm
  3. 4mm
  4. 6mm
(정답률: 91%)
  • 모듈은 기어의 피치원 지름과 잇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모듈(M) = 피치원 지름(D) / 잇수(N) 입니다. 따라서 M = 150mm / 50 = 3mm 입니다. 즉, 피치원 지름이 150mm이고 잇수가 50개인 기어의 모듈은 3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제도에서 가상선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인접 부분을 참고로 표시하는 경우
  2. 가공부분을 이동 중의 특정한 위치로 표시하는 경우
  3. 물체가 단면 형상임을 표시하는 경우
  4. 공구, 지그 등의 위치를 참고로 나타내는 경우
(정답률: 62%)
  • 가상선은 일반적으로 물체의 형상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데, 물체가 단면 형상임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가상선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단면 형상이 이미 물체의 형상을 대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가상선 대신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물체의 형상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도의 종류는?

  1. 온단면도
  2. 부분단면도
  3. 계단단면도
  4. 회전단면도
(정답률: 73%)
  • 정답은 "부분단면도"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전체적인 형태는 보여주지만, 일부분만 자세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체를 보여주는 "온단면도"나 특정 부분을 강조하는 "계단단면도"나 회전하는 형태를 보여주는 "회전단면도"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KS 부문별 분류 기호 중 전기 부문은?

  1. KS A
  2. KS B
  3. KS C
  4. KS D
(정답률: 87%)
  • KS 부문별 분류 기호 중 전기 부문은 "KS C"입니다. 이는 전기 및 전자 기술과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를 다루는 부문으로, 전기 제품, 전선, 케이블, 전기 설비 등을 다룹니다. KS A는 일반적인 산업 제품, KS B는 화학 제품, KS D는 건설 및 건축 관련 제품을 다루는 부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치수 기입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외형선, 중심선, 기준선 및 이들의 연장선을 치수선으로 사용한다.
  2. 지시선은 치수와 함께 개별 주서를 기입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3. 각도를 기입하는 치수선은 각도를 구성하는 두변 또는 연장선사이에 원호를 긋는다.
  4. 길이, 높이 치수의 표시는 주로 정면도에 집중하며 부분적인 특징에 따라 평면도나 측면도에 표시할 수 있다.
(정답률: 61%)
  • "각도를 기입하는 치수선은 각도를 구성하는 두변 또는 연장선사이에 원호를 긋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각도를 기입하는 치수선은 각도를 구성하는 선과 수직으로 그려진 치수선으로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물체의 경사면을 실제의 모양으로 나타내고자 할 경우에 그 경사면과 맞서는 위치에 물체가 보이는 부분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그려 나타내는 것은?

  1. 보조 투상도
  2. 회전 투상도
  3. 부분 투상도
  4. 국부 투상도
(정답률: 58%)
  • 보조 투상도는 물체의 경사면을 실제 모양으로 나타내기 위해 그 경사면과 맞서는 위치에서 물체가 보이는 부분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그려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물체의 실제 모양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투상법 중 하나입니다. 회전 투상도는 물체를 회전시켜서 보여주는 것이며, 부분 투상도는 물체의 일부분만을 나타내는 것이고, 국부 투상도는 특정한 부분만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구멍을 치수 기입한 예이다. 치수 기입된 11-ø4 에서의 11이 의미하는 것은?

  1. 구멍의 지름
  2. 구멍의 깊이
  3. 구멍의 수
  4. 구멍의 피치
(정답률: 87%)
  • 11-ø4에서 11은 구멍이 위치할 중심축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구멍의 수"이다. 다른 보기들은 구멍의 크기나 위치와 관련된 것이지 구멍의 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도면에서 3 – 10 DRILL 깊이 12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반지름이 3mm인 구멍이 10개이며, 깊이는 12mm 이다.
  2. 반지름이 10mm인 구멍이 3개이며, 깊이는 12mm 이다.
  3. 지름이 3mm인 구멍이 12개이며, 깊이는 10mm 이다.
  4. 지름이 10mm인 구멍이 3개이며, 깊이는 12mm 이다.
(정답률: 75%)
  • 도면에서 3-10 DRILL은 지름이 10mm인 구멍이 3개이며, 깊이는 12mm이다. 이는 도면에서 표시된 것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45° 모따기를 나타내는 기호는?

  1. R
  2. C
  3. SR
(정답률: 87%)
  • 정답은 "C"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R"은 우회전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 ""은 좌회전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 "SR"은 직진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45° 모따기를 나타내는 기호는 "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압연기 탄성특성 변형에 의한 판두께 변동 요인이 아닌 것은?

  1. 압력 장력의 변동
  2. 롤 갭의 설정치 변동
  3. 롤의 열팽창에 의한 변동
  4. 유막 변동과 로 편심 오차
(정답률: 50%)
  • 압연기에서 판의 두께는 롤 갭의 설정치, 롤의 열팽창, 유막 변동과 로 편심 오차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압력 장력은 압연기의 작동 원리상 일정한 값을 유지하며 변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압력 장력의 변동은 판의 두께 변동 요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냉간압연시 스트립 표면에 부착된 압연유 및 이물질 등은 스트립을 로 내에서 풀림처리시 타서 스트립표면에 산화변색 등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탈지 및 세정 방식이 아닌 것은?

  1. 초음파 세정
  2. 침지 세정
  3. 전해 세정
  4. 산화적 세정
(정답률: 52%)
  • 산화적 세정은 스트립 표면에 부착된 압연유 및 이물질을 화학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으로, 산화제를 이용하여 스트립 표면을 산화시켜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이 방식은 탈지 및 기계적 세정 방식과는 달리 스트립 표면에 산화변색 등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높은 효율성과 정확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이외의 세 가지 방식은 이러한 이유로 산화적 세정과 비교하여 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어떤 연료를 연소시키는데 연소에 필요한 전 산소량은 1.50m3/kg 이었다. 이론 공기량은 약 얼마인가? (단, 공기 중의 산소는 21% 이다.)

  1. 0.14m3/kg
  2. 0.21m3/kg
  3. 1.50m3/kg
  4. 7.14m3/kg
(정답률: 50%)
  • 연소에 필요한 전 산소량은 1.50m3/kg 이므로, 1kg의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1.50m3의 산소가 필요합니다. 공기 중의 산소는 21% 이므로, 1.50m3의 산소를 가지려면 공기 전체의 부피는 1.50m3 / 0.21 = 7.14m3 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론 공기량은 7.14m3/k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열간압연의 가열 작업시 주의할 점으로 틀린 것은?

  1. 가능한 한 연료 소모율을 낮춘다.
  2. 강종에 따라 적정한 온도로 균일하게 가열한다.
  3. 압연하기 쉬운 순서로 압연재를 연속 배출한다.
  4. 압연과정에서 산화피막이 제거되지 않도록 만든다.
(정답률: 71%)
  • 압연과정에서 산화피막이 제거되지 않으면 압연재와 롤러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여 압연재의 표면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화피막을 제거하여 압연재의 표면을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열연 압연한 후판의 검사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두께
  2. 직각도
  3. 권취온도
(정답률: 78%)
  • 열연 압연한 후판의 폭, 두께, 직각도는 모두 후판의 기하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검사 항목입니다. 하지만 권취온도는 후판의 열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온도로, 후판의 기하학적 특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권취온도는 후판의 검사 항목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강재의 용도에 따라 가공 방법, 가공 정도, 개재물이나 편석의 허용한도를 정해 그것이 실현되도록 제조공정을 설계하고 실시하는 것이 내부결함의 관리이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성분범위
  2. 슬립마크
  3. 탈산법의 선정
  4. 강괴, 강편의 끝 부분을 잘라내는 기준
(정답률: 68%)
  • 슬립마크는 강재의 표면에 생긴 작은 흠집이나 주름을 말하며, 내부결함의 관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슬립마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압연기술

31. 압연유를 사용하여 압연하는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소재의 형상을 개선한다.
  2. 압연동력을 증대시킨다.
  3. 압연윤활로 압하력을 감소시킨다.
  4. 롤과 소재 간의 마찰열을 냉각시킨다.
(정답률: 53%)
  • 압연유는 롤과 소재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압연 동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압연동력을 증대시킨다."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중후판 압연의 제조 공정 순서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가열 → 압연 → 열간교정 → 냉각 → 절단 → 정정
  2. 압연 → 가열 → 열간교정 → 정정 → 절단 → 냉각
  3. 정정 → 압연 → 절단 → 냉각 → 열간교저 → 가열
  4. 열간교정 → 정정 → 가열 → 냉각 → 절단 → 압연
(정답률: 84%)
  • 정답은 "가열 → 압연 → 열간교정 → 냉각 → 절단 → 정정" 입니다.

    중후판 압연의 제조 공정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열: 원료인 강판을 가열로 가열하여 균일한 온도로 만듭니다.
    2. 압연: 가열된 강판을 압연기로 보내서 압력을 가해 두께를 조절합니다.
    3. 열간교정: 압연 후에는 열간교정기로 보내서 더욱 정밀하게 두께를 조절합니다.
    4. 냉각: 열간교정 후에는 냉각기로 보내서 강판을 냉각합니다.
    5. 절단: 냉각된 강판을 절단기로 보내서 필요한 크기로 자릅니다.
    6. 정정: 절단된 강판을 정정기로 보내서 평평하게 만듭니다.

    따라서, "가열 → 압연 → 열간교정 → 냉각 → 절단 → 정정"이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조압연기 배열에 관계없는 것은?

  1. Cross Couple식
  2. Full Continuous(전연속)식
  3. Four Quarter(4/4연속)식
  4. Semi Continuous(반연속)식
(정답률: 77%)
  • 조압연기 배열은 금속재료를 압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장비의 배열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 중 "Four Quarter(4/4연속)식"은 압연기의 작동 방식 중 하나로, 압연기의 작동 시간을 4분의 4로 나누어서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다른 세 가지 방식과는 달리 배열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Four Quarter(4/4연속)식"은 조압연기 배열에 관계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조질압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스트립의 형상을 교정하여 평활하게 한다.
  2. 스트레쳐 스트레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3. 보통의 조질 압연율은 20~30%의 높은 압하율로 작업 된다.
  4. 표면을 깨끗하게 하기 위하여 Dull 이나 Bright 사상을 실시한다.
(정답률: 77%)
  • "보통의 조질 압연율은 20~30%의 높은 압하율로 작업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보통의 조직 압연율은 5~15% 정도의 낮은 압하율로 작업됩니다. 이유는 고압하에서 압연하면 금속의 구조가 변형되어 경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너무 높은 압하율로 압연하면 금속의 가공성이 떨어지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압연기용 롤을 연마할 때 스트립의 프로파일(profile)을 고려하여 롤에 부여하는 크라운(crown)은?

  1. Initial Crown
  2. Thermal Crown
  3. Tandom Crown
  4. Bell Crown
(정답률: 69%)
  • 압연기용 롤을 연마할 때 스트립의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롤에 부여하는 크라운은 "Initial Crown" 입니다. 이는 롤의 중심부에 가장 높은 지점을 두고, 롤의 양 끝 부분에는 낮은 지점을 두어 스트립이 중앙으로 향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스트립의 균일한 압연을 도와주며, 스트립의 두께와 너비에 따라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노내 분위기 관리 중 공기비기 클 때(1.0 이상)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온 부식이 발생한다.
  2. 연소 온도가 증가한다.
  3. 연소 가스 증가에 의한 폐손실열이 증가한다.
  4. 연소 가스 중의 O2 의 생성 촉진에 의한 전열면이 부식된다.
(정답률: 45%)
  • "연소 온도가 증가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노내 분위기 관리 중 공기비기 클 때(1.0 이상)는 연소 가스 증가에 의한 폐손실열이 증가하고, 연소 가스 중의 O2의 생성 촉진에 의한 전열면이 부식됩니다. 또한, 공기비기로 인해 저온 부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소 온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공기비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연소 온도는 연료와 산소가 반응하여 발생하는 열로, 연료의 종류와 양, 산소의 양, 연소 조건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재료가 롤에 쉽게 물려 들어가기 위한 조건 중 틀린 것은?

  1. 롤 지름을 크게 한다.
  2. 압하량을 작게 한다.
  3. 접촉각이 작아야 한다.
  4. 마찰계수가 가능한 한 0(zero) 이어야 한다.
(정답률: 72%)
  • 마찰계수가 가능한 한 0(zero) 이어야 한다는 것은 롤과 재료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찰력이 작을수록 재료가 롤에 물려 들어가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롤 지름을 크게 한다."입니다. 롤 지름이 크면 재료가 롤과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마찰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대구 경관을 생산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외경의 치수 제한 없이 강관을 제조하는 방식은?

  1. 단접법 강관제조
  2. 롤벤더 강관제조
  3. 스파이럴 강관제조
  4. 전기저항용접법 강관제조
(정답률: 80%)
  • 스파이럴 강관제조는 강철판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제조하는 방식으로, 외경의 치수 제한 없이 제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구 경관을 생산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적합합니다. 단접법 강관제조는 강관의 끝을 접어서 제조하는 방식이고, 롤벤더 강관제조는 강관을 구부려서 제조하는 방식입니다. 전기저항용접법 강관제조는 강관을 용접해서 제조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냉간압연 후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해청저을 실시할 때 사용하는 세정제가 아닌 것은?

  1. 가성소다
  2. 탄산소다
  3. 규산소다
  4. 인산소다
(정답률: 82%)
  • 탄산소다는 냉간압연 후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탄산소다는 주로 식품, 청소 등에 사용되며, 냉간압연 후 표면 오염물을 제거하기에는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입니다. 대신, 냉간압연 후 표면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가성소다, 규산소다, 인산소다 등의 세정제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냉간가공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가공과정 중에 가공경화를 받는다.
  2. 가공과정 중에 연화현상을 일으킨다.
  3. 탄소강에서 800℃ 이상에서의 가공이다.
  4. 재결정온도보다 높은 영역에서의 가공이다.
(정답률: 74%)
  • 냉간가공은 재료를 고온에서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상온에서 가공하는 것으로, 가공과정 중에 가공경화를 받는다. 이는 재료가 냉간가공에 의해 더 단단해지고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공과정 중에 가공경화를 받는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압연기의 밀 스프링 특성에 따라 무부하시 출측 판 두께가 설정 롤 갭보다 크게 될 때 압연전 설정 간격을 S0, 압연 중의 압하력을 F, 밀 스프링을 M 이라면 실제 출측 판 두께 h를 나타내는 식은?

(정답률: 59%)
  • h = S0 + F/M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압연기의 밀 스프링 특성에 따라 무부하시 출측 판 두께가 설정 롤 갭보다 크게 될 때, 압연전 설정 간격을 S0로 설정하고 압연 중의 압하력을 F로 설정하면, 밀 스프링을 M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출측 판 두께 h는 S0에 F/M을 더한 값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롤 단위 편성 원칙 중 정수간 편성 원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정수전 압연 조건을 고려하여 추출온도가 높은 단위로 편성한다.
  2. 계획 휴지 또는 정수 직전에는 광폭재를 투입하지 않는다.
  3. 롤 정비 능력 등을 고려하여 박판 단위는 연속적으로 3단위 이상 투입을 제한한다.
  4. 정기 수리 후의 압연은 받침롤의 위밍업 및 온도 등을 고려하여 부하가 적은 후물재를 편성한다.
(정답률: 50%)
  • 정수전 압연 조건을 고려하여 추출온도가 높은 단위로 편성한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롤 단위 편성 원칙 중 정수간 편성 원칙은 정수를 압연하는 구간에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편성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수전 압연 조건을 고려하여 추출온도가 높은 단위로 편성하는 것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정수를 압연할 때, 추출온도가 높은 단위에서 압연하면 더 많은 열이 소모되어 정수의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압연 공정에서 정수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상·하 롤의 회전수가 같을 때 상부와 하부의 롤 직경 차이에 따른 소재의 변화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상부 롤의 직경이 하부 롤의 직경보다 크면 소재는 하부 방향으로 휨이 발생한다.
  2. 상부 롤의 직경이 하부 롤의 직경보다 크면 소재는 상부 방향으로 휨이 발생한다.
  3. 상부 롤의 직경이 하부 롤의 직경보다 크면 소재는 우측 방향으로 휨이 발생한다.
  4. 상부 롤의 직경이 하부 롤의 직경보다 크면 소재는 좌측 방향으로 휨이 발생한다.
(정답률: 80%)
  • 상부 롤의 직경이 하부 롤의 직경보다 크면 소재는 하부 방향으로 휨이 발생한다. 이는 롤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 롤의 접촉면이 다르기 때문이다. 상부 롤의 직경이 크면 하부 롤보다 더 많은 접촉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하부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어 소재가 휨이 발생한다. 따라서 롤러의 회전수가 같을 때 상하 롤의 직경 차이는 소재의 휨 발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열간 스카프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손질 깊이의 조정이 용이하지 못하다.
  2. 산소 소비량이 냉간 스카프보다 많이 사용된다.
  3. 작업속도가 빠르며, 압연 능률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4. 균일한 스카프가 가능하나, 평탄한 손질 면을 얻을 수 없다.
(정답률: 51%)
  • 열간 스카프는 높은 온도에서 압연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빠르며, 이에 따라 압연 능률을 떨어뜨리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I형강에서 공형의 홈에 재료가 꽉 차지 않는 상태 즉, 어긋난 상태로 되었을 때 데드 홀(dead hole)부에 생기는 것은?

  1. 오버 필링(over filling)
  2. 언더 필링(under filling)
  3. 어퍼 필링(upper filling)
  4. 로어 필링(lower filling)
(정답률: 80%)
  • 공형의 홈에 재료가 꽉 차지 않는 언더 필링 상태에서는 데드 홀 부근에서 재료가 부족하여 충분한 압력이 전달되지 않아 결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언더 필링은 데드 홀 부근에서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압연설비

46. 압연기 입측속도는 2.7m/s, 출측속도는 3.3m/s, 롤의 주속이 3.0m/s 라면 선진율은?

  1. 5%
  2. 10%
  3. 20%
  4. 30%
(정답률: 60%)
  • 선진율은 (출측속도 - 입측속도) / 롤의 주속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3.3m/s - 2.7m/s) / 3.0m/s = 0.2 이며,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20%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10%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출제자의 실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냉간압연강판의 표면조도에서 조질도의 구분이 표준 조질일 경우 조질 기호로 옳은 것은?

  1. A
  2. S
  3. H
  4. J
(정답률: 61%)
  • 냉간압연강판의 표면조도에서 조질도의 구분 중 표준 조질은 S입니다. 이는 규격에 따라 정해진 표면조도와 표면처리 방법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A는 미세조직이 조밀한 조질, H는 열처리를 통해 경화된 조질, J는 규격에 따라 정해진 표면조도와 표면처리 방법을 따르지 않는 조질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연소의 조건으로 충분하지 못한 것은?

  1. 가연물질이 존재
  2. 충분한 산소공급
  3. 충분한 수분공급
  4. 착화점 이상 가열
(정답률: 78%)
  • 연소는 산소와 가연물질이 충분히 혼합되어 착화점 이상으로 가열될 때 일어납니다. 그러나 충분한 수분공급이 없으면 연소 반응에서 생성되는 열이 빠르게 증가하여 불꽃이 번지고 불이 붙은 물질을 끄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분한 수분공급은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압연설비 중의 주요 명칭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롤 베어링
  2. 롤 압하장치
  3. 롤 교환장치
  4. 롤 구동장치
(정답률: 71%)
  • 롤 교환장치는 압연설비의 주요 명칭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압연설비에서 롤을 교체할 때 사용되는 장치로, 롤을 교체하는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다른 세 가지 명칭인 롤 베어링, 롤 압하장치, 롤 구동장치는 모두 압연설비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고온에서 땀을 많이 흘리게 되어 열과로 증상이 나타날 때 응급조치는?

  1. 배설을 하도록 한다.
  2. 염분을 보충한다.
  3. 인공 호흡을 실시한다.
  4. 칼슘을 먹인다.
(정답률: 90%)
  • 고온에서 땀을 많이 흘리면 체내 염분이 감소하게 되어 열과로 인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염분을 보충하여 체내 염분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인간공학적인 안전한 작업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선, 용접호스 등은 통로에 배치할 것
  2. 작업대나 의자의 높이 또는 형을 적당히 할 것
  3. 기계에 부착된 조명, 기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개선할 것
  4.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것
(정답률: 87%)
  • 배선이나 용접호스 등을 통로에 배치하면 작업자가 걸리거나 넘어지는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물건들이 바닥에 놓여있으면 작업자가 넘어지거나 발을 걸어 다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로에 배치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압연기의 구동장치가 아닌 것은?

  1. 스핀들
  2. 피니언
  3. 감속기
  4. 스크류다운
(정답률: 75%)
  • 압연기의 구동장치는 스핀들, 피니언, 감속기이며, 스크류다운은 구동장치가 아닙니다. 스크류다운은 회전 운동을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적 장치로, 압연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디스케일리(Descaling) 능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산농도가 높을수록 디스케일링 능력은 감소한다.
  2. 온도가 높을수록 디스케일링 능력은 감소한다.
  3. 규사강판 등의 특수강종일수록 디스케일링 시간이 짧아진다.
  4. 염산은 철분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디스케일링 능력이 커진다.
(정답률: 57%)
  • 염산은 철분과 반응하여 철분 산화물을 생성하고, 이 산화물이 디스케일링을 유발하는데, 철분의 농도가 높을수록 산화물의 양이 많아지므로 디스케일링 능력이 커진다. 따라서 "염산은 철분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디스케일링 능력이 커진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판재의 압연가공에서 20mm 두께의 소재를 압하율 25%로 압연하려고 한다. 압연후의 두께는 몇 mm 인가?

  1. 10
  2. 12
  3. 15
  4. 18
(정답률: 69%)
  • 압하율은 압연 전 후의 두께 차이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따라서 압연 후의 두께는 압연 전의 두께에 압하율을 곱한 값이다.

    압하율이 25%이므로, 압연 후의 두께는 압연 전의 두께의 75%가 된다.

    즉, 압연 후의 두께 = 20mm x 0.75 = 15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열간압연 Roll 재질 중에서 내마모성이 가장 뛰어난 재질은?

  1. Hi – Cr Roll
  2. HSS
  3. Adamaite roll
  4. Ni Grain
(정답률: 69%)
  • HSS는 고속도로 사용되는 재료로, 내마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열간압연 Roll 재질 중에서 가장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질입니다. 이는 HSS가 고온에서도 강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열연공장의 압연 중 발생된 스케일(scale)을 제거하는 장치는?

  1. 브러쉬(brush)
  2. 디스케일러(descaler)
  3. 스카핑(scarping)
  4. 그라인딩(grinding)
(정답률: 82%)
  • 디스케일러는 열연 중 발생한 스케일을 제거하는 장치입니다. 스케일은 열연 시에 금속 표면에서 생성되는 산화물로, 금속의 표면을 부식시키고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디스케일러는 스케일을 제거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브러쉬, 스카핑, 그라인딩은 모두 스케일 제거에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디스케일러는 스케일 제거 효율이 높고 작업 시간이 짧아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압연의 작업롤(Work Roll)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원추 롤러베어링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일반저그로 트라스트(Thrust) 하중만 받을 수 있다.
  2. 래디얼(Radial) 하중과 한쪽방향의 큰 트라스트 하중에 견딜 수 있다.
  3. 외륜의 궤도면은 구면으로 되어 있고 통형의 롤러가 2열로 들어있다.
  4. 니들 베어링이라 하고 보통롤러보다도 직경이 작으며 고속으로도 적당하다.
(정답률: 59%)
  • 원추 롤러베어링은 외륜의 궤도면이 구면으로 되어 있고, 통형의 롤러가 2열로 들어있어 래디얼 하중과 한쪽 방향의 큰 트라스트 하중에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연의 작업롤과 같은 곳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냉간압연 산세공정에서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을 접합연결하는 설비인 용접기(welder)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버트웰더(butt welder)
  2. 심웰더(seam welder)
  3. 레이저웰더(lazer welder)
  4. 점용접(spot welder)
(정답률: 69%)
  • 점용접기는 작은 지름의 전극을 사용하여 두 개의 금속 시트를 접합하는 용접기로, 일반적으로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됩니다. 다른 선반과 달리, 점용접기는 작은 지름의 전극을 사용하여 작은 지점에서만 용접을 수행하므로, 용접 부위가 작고 정확하며, 용접 시간이 짧습니다. 따라서, 점용접기는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을 접합하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두께가 얇고 고경도 제품을 압연하고자 할 때 작업로울의 형상은?

  1. 직경이 클 것
  2. 직경이 작을 것
  3. 직경과 길이가 클 것
  4. 길이가 클 것
(정답률: 60%)
  • 작업로울의 직경이 작을수록 압력이 집중되어 더 높은 압력으로 물체를 압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께가 얇고 고경도인 제품을 압연할 때는 작은 직경의 작업로울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가열로로 사용되는 내화물이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화학적 침식에 대한 저항이 강할 것
  2. 급가열, 급냉각에 충분히 견딜 것
  3. 열전도와 팽창 및 수축이 클 것
  4. 견고하고 고온강도가 클 것
(정답률: 80%)
  • 가열로로 사용되는 내화물은 고온과 화학적 침식에 강하고, 급가열과 급냉각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내화물은 열전도와 팽창 및 수축이 클수록 좋습니다. 이는 가열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대한 효율적인 전달과, 가열로 내부에서의 열팽창과 수축에 대한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열전도와 팽창 및 수축이 클 것"이 아닌 것이 틀린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