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장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4-07)

항공장비정비기능사
(2002-04-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대기를 이루고 있는 기체중에서 부피비로 보았을 때 두번째로 많은 것은?

  1. 이산화탄소
  2. 아르곤
  3. 산소
  4. 질소
(정답률: 88%)
  • 부피비란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를 비교한 것을 말합니다. 이때, 대기를 이루고 있는 기체 중에서 분자량이 가장 작은 기체는 수소이지만, 수소는 지구상에서 대기 중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제외됩니다. 따라서, 분자량이 가장 작은 기체 중에서 대기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은 질소입니다. 그 다음으로 분자량이 작은 기체는 산소이기 때문에, 부피비로 보았을 때 두 번째로 많은 것은 산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수평비행을 하던 비행기가 연직 상방향으로 관성력을 받을 때 비행기의 하중배수를 옳게 표현한 식은?

  1. n=비행기무게/관성력
  2. n=1+관성력/비행기무게
  3. n=비행기무게/비행기무게 - 관성력
  4. n=1+비행기무게/관성력
(정답률: 8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큰날개와 꼬리날개에 의한 무게중심 주위의 키놀이모멘트 관계식은? (단, MC.G : 무게중심 주위의 키놀이 모멘트 , MC.GWING : 큰날개에 의한 키놀이 모멘트, MC.GWING : 꼬리날개에 의한 키놀이 모멘트)

  1. MC.G = MC.GWING - MC.GWING
  2. MC.G= MC.GWING + MC.GWING
  3. MC.G = MC.GWING × MC.GWING
  4. MC.G = MC.GWING ÷ MC.GWING
(정답률: 77%)
  • 큰날개와 꼬리날개는 비행기의 무게중심 주위에서 각각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들이 만드는 키놀이 모멘트는 각각 크기가 다르고 방향이 반대이다. 따라서 무게중심 주위의 총 키놀이 모멘트는 큰날개에 의한 키놀이 모멘트와 꼬리날개에 의한 키놀이 모멘트의 합과 같다. 따라서 MC.G= MC.GWING + MC.GWIN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헬리콥터의 지면효과가 있을 때 일어나는 현상중에서 잘못된 것은?

  1. 회전날개 깃의 받음각이 증가하게 된다.
  2. 항력의 크기가 증가한다.
  3. 양력의 크기가 증가한다.
  4. 같은 기관의 출력으로 많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정답률: 69%)
  • "항력의 크기가 증가한다."가 잘못된 것입니다. 헬리콥터가 지면에 가까이 날아갈수록 지면과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어 항력이 증가합니다. 하지만 이는 헬리콥터의 안정성을 해치는 요인 중 하나이므로, 헬리콥터 조종사들은 지면과의 거리를 유지하며 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A, B, C 3대의 비행기가 각각 1000m, 5000m, 10000m의 고도에서 동일한 속도로 비행하고 있다. 각 비행기의 마하계가 지시하는 마하수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A < B < C
  2. A > B > C
  3. A > C > B
  4. A = B = C
(정답률: 74%)
  • 마하수는 비행기가 비행 중인 대기의 속도에 대한 비행기의 속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대기의 밀도가 높을수록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고도가 높을수록 비행기의 속도는 더 높아야 한다.

    따라서, C 비행기가 가장 높은 고도에 있기 때문에, C 비행기의 속도는 가장 높아야 한다. B 비행기는 C 비행기보다 고도가 낮기 때문에, B 비행기의 속도는 C 비행기보다는 느리지만 A 비행기보다는 빠를 것이다. 마지막으로, A 비행기는 가장 낮은 고도에 있기 때문에, A 비행기의 속도는 가장 느릴 것이다.

    따라서, A < B < C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등가대기속도(Equivalent Airspeed)에 대한 정의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진대기속도를 해면고도의 압력으로 보정한 속도
  2. 진대기속도를 해면고도의 밀도로 보정한 속도
  3. 지시대기속도를 해면고도의 온도로 보정한 속도
  4. 지시대기속도를 해면고도의 압력으로 보정한 속도
(정답률: 47%)
  • 등가대기속도는 비행기가 비행 중에 마주하는 공기의 밀도 변화에 따른 속도 변화를 보정한 속도를 말합니다. 이를 위해 비행기의 진대기속도를 해면고도의 밀도로 보정하여 계산합니다. 따라서 "진대기속도를 해면고도의 밀도로 보정한 속도"가 가장 올바른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고속비행시에 도움날개나 방향키의 변위각을 자동적으로 제한하여 옆놀이 커플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하는 것은?

  1. .벤트럴 핀(Ventral fin)
  2. 와류고리(Vortex ring)
  3. 실속 스트립(stall strip)
  4. 도살 핀(dorsal fin)
(정답률: 61%)
  • 고속비행시에는 공기의 압력차가 크기 때문에 옆놀이 커플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움날개나 방향키의 변위각을 자동적으로 제한하는데, 이를 위해 부착하는 것이 벤트럴 핀입니다. 벤트럴 핀은 비행기의 아래쪽에 부착되어 있으며, 공기의 흐름을 안정시켜 옆놀이 커플링 현상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헬리콥터의 공기역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마력하중(horse power loading)을 구하는 식은?

  1. 마력하중 =W/π HP
  2. 마력하중 =π HP/W
  3. 마력하중 =HP/W
  4. 마력하중 =W/HP
(정답률: 72%)
  • 마력하중은 헬리콥터가 발생시키는 추력(W)을 마력(HP)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마력하중 = W/HP가 됩니다. 이는 헬리콥터의 엔진이 발생시키는 마력이 증가하면 마력하중이 감소하고, 추력이 증가하면 마력하중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윙렛(winglets)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날개끝에서의 와류발생을 작게한다.
  2. 일반적으로 고속 비행기에 많이 사용한다.
  3. 항력을 감소 시킨다.
  4. 스핀시 회복력을 증가 시킨다.
(정답률: 53%)
  • 윙렛은 항력을 감소시키고, 날개끝에서의 와류발생을 작게하여 연료소모를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스핀시 회복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핀시 회복력을 증가 시킨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흐름의 떨어짐 현상(박리; Separation)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난류 경계층의 경우에만 발생한다.
  2. 층류 경계층의 경우에만 발생한다.
  3. 아음속 항공기의 난류 경계층에서만 발생한다.
  4. 난류 경계층보다 층류 경계층에서 쉽게 일어난다.
(정답률: 58%)
  • 흐름의 떨어짐 현상(박리; Separation)은 유체의 흐름이 일정한 속도로 유지되지 않고 분리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유체의 속도나 방향이 변화하는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이 중에서도 층류 경계층에서는 유체의 속도 변화가 크기 때문에 흐름의 떨어짐 현상이 더 쉽게 발생합니다. 따라서 "난류 경계층보다 층류 경계층에서 쉽게 일어난다."가 올바른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공중측량, 사진촬영, 광고, 농업용 등에 사용하는 상업용 비행기는 어디에 속하는가?

  1. 자가용 비행기
  2. 항공운송 사업용 비행기
  3. 사용 사업용 비행기
  4. 부정기 운송 사업용 비행기
(정답률: 85%)
  • 상업용 비행기는 비즈니스나 농업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비행기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공중측량, 사진촬영, 광고, 농업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비행기는 사용 사업용 비행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용 사업용 비행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날개의 길이가 10m 이고 면적이 20m2일 때 가로세로비는 얼마인가?

  1. 1
  2. 5
  3. 10
  4. 20
(정답률: 72%)
  • 날개의 길이가 10m 이므로,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x, y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x + y = 10

    면적이 20m2 이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xy = 20

    위 두 식을 이용하여 x 와 y 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x = 10 - y

    y(10 - y) = 20

    y2 - 10y + 20 = 0

    (y - 5)(y - 4) = 0

    따라서, y = 5 또는 y = 4 입니다.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양수이므로, y = 5 일 때 가로세로비가 가장 작아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항력의 종류에서 유해항력(parasite drag)과 관계 없는 것은?

  1. 압력항력
  2. 마찰항력
  3. 유도항력
  4. 형상항력
(정답률: 80%)
  • 유도항력은 항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발생하는 항력으로, 항공기의 조종면(루더, 에일러론 등)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유해항력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반면, 압력항력은 공기의 압력 차이에 의해 발생하고, 마찰항력은 공기와 항공기의 표면 간 마찰에 의해 발생합니다. 형상항력은 항공기의 형상에 따라 발생하는 항력으로, 유해항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날개의 최대두께 위치를 40‾0 %에 위치하여 설계양력 계수 부근에서 항력계수가 작아지도록 하고 받음각이 작을 때 앞부분의 흐름이 층류를 유지하도록 한 날개골은 무엇인가?

  1. 층류 날개골
  2. 피키날개골
  3. 초임계날개골
  4. 아음속 날개골
(정답률: 79%)
  • 층류 날개골은 날개의 최대두께 위치를 40‾0 %에 위치하여 설계양력 계수 부근에서 항력계수가 작아지도록 하고 받음각이 작을 때 앞부분의 흐름이 층류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날개골입니다. 이는 비행 시 날개 앞부분에서 발생하는 고속 흐름이 날개 윗면과 낮은 압력을 유지하면서도 층류를 유지하도록 하여 항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층류 날개골은 비행 시 항력을 줄이고 연료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 효과적인 날개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실용적으로 제한된 곡예비행만 적합한 항공기의 감항류는?

  1. T류
  2. A류
  3. N류
  4. U류
(정답률: 69%)
  • 감항류는 항공기의 고도와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실용적으로 제한된 곡예비행만 가능한 항공기는 속도와 고도의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감항류가 작은 U류가 적합하다. T류는 초음속 비행기에 적합하고, A류는 고속 비행기에 적합하며, N류는 초경량 비행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기관의 저장시 습도지시계의 색이 무슨색일 때 습기에 가장 안전한 상태인가?

  1. 흰색
  2. 검정색
  3. 핑크색
  4. 청색
(정답률: 74%)
  • 습도지시계의 색이 청색일 때 습기에 가장 안전한 상태입니다. 이는 청색이 상대습도가 40%~60%인 범위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이 범위는 공간 내 습기가 적절하게 유지되고 있어 건강에 좋은 상태이며, 또한 기관이나 물건 등이 습기로 인한 손상을 받지 않을 안전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청색이 가장 안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항공기 운항중에 분실 또는 멸실된 부품에 대하여 정시성 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운항을 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은?

  1. 최소 구비 장비 목록
  2. 정비 작업 목록
  3. 부족 허용 부품 목록
  4. 정비 지시 목록
(정답률: 51%)
  • 운항 중에 분실 또는 멸실된 부품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부족 허용 부품 목록입니다. 이 목록은 항공기 운항에 필수적인 부품들 중에서 일부가 분실되었을 때 대체 가능한 부품들을 사전에 정리해 놓은 목록입니다. 이를 통해 정시성을 확보하고 운항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노화 표본검사(age sampling)에 의하여 정비가 행하여 지는 것은?

  1. 신뢰성정비
  2. 시한성정비
  3. 부품 기술정보
  4. A점검
(정답률: 53%)
  • 노화 표본검사는 제품의 수명을 예측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제품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테스트하고, 이를 통해 전체 제품의 신뢰성을 추정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정비 작업, 즉 "신뢰성정비"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정비계획 부서는 어느 업무에 속하는가?

  1. 정비관리업무
  2. 품질관리업무
  3. 보급관리업무
  4. 기술관리업무
(정답률: 92%)
  • 정비계획 부서는 정비관리업무에 속합니다. 이는 차량이나 기계 등의 유지보수 및 수리를 계획하고 관리하는 업무로, 정비계획 부서는 이를 위해 정기적인 점검 및 유지보수 일정을 수립하고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차량이나 기계 등의 안전성과 성능을 유지하며, 생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구멍의 안지름이나 홈의 너비 등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측정 보조장비는?

  1. Telescoping Gage
  2. Thickness Gage
  3. Feeler Gage
  4. Pitch Gage
(정답률: 69%)
  • Telescoping Gage는 구멍이나 홈의 안지름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측정 보조장비입니다. 이는 확장 가능한 두 개의 다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구멍이나 홈에 삽입하여 안지름이나 너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elescoping Gage가 정답입니다. Thickness Gage는 두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Feeler Gage는 간격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Pitch Gage는 나사나 나사 간격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Bolt head에 R의 기호가 새겨졌다.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정밀공차 볼트
  2. 내식성 볼트
  3. 알루미늄합금 볼트
  4. 열처리 볼트
(정답률: 81%)
  • Bolt head에 R의 기호가 새겨진 것은 열처리 볼트를 나타낸다. 열처리 볼트는 고온에서 사용되는 환경에서 내구성과 강도를 높이기 위해 열처리 공정을 거친 볼트를 말한다. 이는 내식성이나 알루미늄합금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리벳(RIVET)의 부품번호 AN 430 A 4-5 에서 끝의 숫자 5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RIVET의 직경이 5/32인치
  2. RIVET의 직경이 5/16인치
  3. RIVET의 길이가 5/32인치
  4. RIVET의 길이가 5/16인치
(정답률: 65%)
  • AN 430 A 4-5에서 끝의 숫자 5는 리벳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RIVET의 길이가 5/16인치"입니다. AN 430 A 4-5에서 4는 리벳의 직경을 나타내고, A는 리벳의 재질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압력계기의 작동시험 장비의 명칭은?

  1. 다코웰 시험기
  2. 데드웨이트 시험기
  3. 그롤러 시험기
  4. 제티칼 시험기
(정답률: 75%)
  • 데드웨이트 시험기는 압력계기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로, 정확한 무게를 가지고 있는 무게추를 사용하여 압력을 가하고 이를 압력계기가 측정한 값과 비교하여 정확도를 확인하는 시험기입니다. 따라서 데드웨이트 시험기가 압력계기의 작동시험 장비의 명칭으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자분탐상검사에 관한 설명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결함깊이를 측정하려면 90° 각도의 자력선을 유도한다.
  2. 자장의 방향은 일반적으로 오른손법칙을 따른다.
  3. 탈자방법에는 직류탈자와 교류탈자가 있다.
  4. 건식의 자분을 이용할 때는 시험면을 건조시킨다.
(정답률: 59%)
  • "결함깊이를 측정하려면 90° 각도의 자력선을 유도한다."이 틀린 이유는, 올바른 설명은 "결함깊이를 측정하려면 45° 각도의 자력선을 유도한다."입니다. 45° 각도의 자력선은 결함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사고방지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사고방지를 위해서는 작업장 주위환경을 항상 깨끗이 정리정돈하여 사고의 잠재요인을 없애야 한다.
  2. 작업시에는 반드시 절차에 따른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한다.
  3. 사고원인의 대부분은 불가항력(자연현상)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4. 안전이라 함은 사람과 물건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제거하여 편안하고 온전하게 하는 것이다.
(정답률: 87%)
  • "사고원인의 대부분은 불가항력(자연현상)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이것이 틀린 것입니다. 사고의 대부분은 인적 오류, 기계 오작동, 부적절한 작업환경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사고방지를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최소화하고 예방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기화재 및 유류화재에 사용해서는 안되는 소화기는?

  1. 압축된 물소화기
  2. 거품 소화기
  3. 탄산가스 소화기
  4. 건조화학 분말소화기
(정답률: 88%)
  • 압축된 물소화기는 전기화재나 유류화재에 사용해서는 안되는 소화기입니다. 이는 물이 전기적으로 전도체이기 때문에 전기화재 발생 시 전기적 충격을 일으키고, 유류화재에 사용 시 물과 유류가 혼합되어 불안정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기화재나 유류화재 발생 시에는 다른 소화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귀마개는 무엇으로 세척하는 것이 좋은가?

  1. 비눗물
  2. 알콜
  3. 솔벤트
  4. 화학세제
(정답률: 85%)
  • 귀마개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물건이므로, 세척 시에는 부드러운 소재의 비눗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콜이나 솔벤트, 화학세제 등은 귀마개의 소재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헬리콥터의 지상취급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도색작업
  2. 견인작업
  3. 계류작업
  4. 잭작업
(정답률: 84%)
  • 도색작업은 헬리콥터의 지상취급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견인작업은 헬리콥터를 이동시키는 작업, 계류작업은 헬리콥터를 고정시키는 작업, 잭작업은 헬리콥터를 높이 들어올리는 작업 등 모두 헬리콥터의 지상취급과 관련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작업중에 반드시 접지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연료의 급유 작업
  2. 연료의 배유 작업
  3. 항공기 정비 작업
  4. 항공기 시운전
(정답률: 86%)
  • 항공기 시운전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접지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항공기 시운전은 접지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작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영문의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정비를 할 때는 상사의 자문을 구한다.
  2. 정비 교범절차에 따라 주의를 해야 한다.
  3. 정비 교범절차에 꼭 따를 필요는 없다.
  4. 정비를 할 때는 사람을 주의해야 한다.
(정답률: 89%)
  • 정비 교범절차는 정비를 할 때 필요한 절차와 주의사항을 담고 있기 때문에 정비를 할 때는 이를 따라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 ) 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spoilers
  2. ailerons
  3. leading edge device(slats)
  4. control trim systems
(정답률: 71%)
  • 주어진 이미지는 비행기의 날개 부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spoilers", "leading edge device(slats)", "control trim systems"은 모두 비행기의 고도나 방향 등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들입니다. 하지만 "ailerons"은 비행기의 좌우 방향을 제어하는 장치로, 다른 제어 장치들과는 목적이 다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aileron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최소 측정값이 1/50 mm인 버니어 캘리퍼스에서 다음 그림의 측정값은 얼마인가?

  1. 4.52
  2. 4.70
  3. 4.72
  4. 4.75
(정답률: 78%)
  • 측정값은 가장 가까운 눈금선까지의 값이므로, 4.7 mm와 0.02 mm를 더한 값인 4.72 mm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와전류 검사의 특성을 설명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검사의 자동화가 가능하다.
  2. 비전도성 물체에는 적용할 수 없다.
  3. 형상이 단순한 것이 아니면 적용할 수 없다.
  4. 표면 아래의 깊은 위치에 있는 결함의 검출을 쉽게 할 수 있다.
(정답률: 57%)
  • 표면 아래의 깊은 위치에 있는 결함을 검출하는 것은 X선 검사나 초음파 검사와 같은 다른 검사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렵습니다. 따라서, "표면 아래의 깊은 위치에 있는 결함의 검출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나사산에 기름이나 그리스가 묻어있을 경우 걸리는 조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과소 토큐
  2. 정확한 토큐
  3. 드라이 토큐
  4. 과다 토큐
(정답률: 88%)
  • 정답인 "과다 토큐"는 기름이나 그리스 등이 너무 많이 묻어있어서 나사와 볼트가 제대로 맞물리지 않고 넘치는 현상을 뜻합니다. 따라서 과다한 양의 토큐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복선식 안전 결선 작업에서 고정 작업을 해야할 부품이 4∼6in(10.2∼15.2㎝)의 넓은 간격으로 떨어져 있을 때, 연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부품의 수는 최대 몇 개로 제한되어 있는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84%)
  • 복선식 안전 결선 작업에서 고정 작업을 해야할 부품이 4∼6in(10.2∼15.2㎝)의 넓은 간격으로 떨어져 있을 때, 연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부품의 수는 최대 3개로 제한된다. 이는 안전 결선 작업에서 부품을 고정할 때, 각 부품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4개 이상의 부품을 연속적으로 고정하게 되면, 각 부품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져서 안전 결선 작업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최대 3개의 부품만 연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축전지의 셀(Cell)을 직렬로 연결하면 어떻게 되나?

  1. 전압이 증가한다.
  2. 전압이 감소한다.
  3. 전압이 0 이다.
  4. 전압과 무관하다.
(정답률: 80%)
  • 축전지의 셀을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이 증가합니다. 이는 각 셀의 전압이 더해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5V의 AA 건전지 2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은 3V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교류 발전기의 정격이 115V, 1 KVA, 역율(power factor) 0.866 이라면 무효전력은?

  1. 162Var
  2. 500Var
  3. 712Var
  4. 866Var
(정답률: 45%)
  • 무효전력은 실제 전력과 유효전력의 차이로 발생합니다. 유효전력은 실제로 일을 하는 전력이고, 무효전력은 전기장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전력입니다. 역율이 0.866이므로, 유효전력은 1kVA x 0.866 = 866W 입니다. 따라서, 무효전력은 √(1kVA² - 866W²) = 500Var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캐패시턴스에 의해서 일어나는 저항은?

  1. 유도성 리액턴스
  2. 용량성 리액턴스
  3. 레지스턴스
  4. 임피이던스
(정답률: 57%)
  • 캐패시턴스는 전기적으로 충전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 신호가 캐패시터를 통과할 때, 캐패시터 내부에 전하가 충전되고 방전되면서 전류가 흐릅니다. 이 과정에서 전류의 크기는 전압 변화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용량성 리액턴스라고 합니다. 따라서 캐패시터를 통과하는 전류는 용량성 리액턴스에 의해 제한을 받게 되어 캐패시터를 통과하는 전류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이 캐패시터를 통과하는 전류에 일어나는 저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항공계기의 색표시에서 흰색 호선의 설명중 옳은 것은?

  1. 안전운용 범위에서 초과금지 사이의 경계 및 경고를 나타낸다.
  2. 대기속도계만 사용되고 플랩조작 범위를 나타낸다.
  3. 최대및 최소운용 한계를 나타낸다.
  4. 기화기를 장착한 항공기에만 사용한다.
(정답률: 65%)
  • 흰색 호선은 대기속도계만 사용되고 플랩조작 범위를 나타낸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한 운용 범위에서 플랩을 조작할 수 있는 최대 및 최소 대기속도를 나타내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항공기의 안전이 위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종사는 항상 이 범위 내에서 운용해야 하며, 벗어나는 경우 즉시 대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고도계의 오차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위도상의 오차
  2. 온도오차
  3. 탄성오차
  4. 기계적오차
(정답률: 62%)
  • 위도상의 오차는 고도계의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측정 대상의 위치와 관련된 오차이기 때문에 고도계의 오차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다른 세 가지 오차는 모두 고도계의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장비

41. 항공기용 작동유가 열팽창이 적은 것을 요구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화재 가능성을 최소한 방지하기 위해서
  2. 고고도의 증발을 감소하기 위해서
  3. 유압장치가 고온일 때 과대압력을 방지하기 위해서
  4. 저장탱크 용량을 적게 하려고
(정답률: 81%)
  • 항공기 내부에서는 고온과 고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유가 열팽창이 적은 것이 요구됩니다. 특히 유압장치가 고온일 때는 작동유의 열팽창이 크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열팽창이 적은 작동유를 사용합니다. 이는 과대압력을 방지하여 화재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은 작동유가 B에서 A로 흐를때는 보올을 밀치고 자유롭게 흐르지만 흐름이 반대되면 조금 열려진 통로로 제한된 양이 흐르는 그림의 밸브 명칭은?

  1. 유압휴우즈
  2. 책크밸브
  3. 유압관 분리밸브
  4. 미터링 책밸브
(정답률: 53%)
  • 그림에서 흐름이 A에서 B로 가는 경우에는 보올을 밀치고 자유롭게 흐르지만, B에서 A로 흐를 때는 조금 열려진 통로로 제한된 양이 흐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밸브는 유량을 조절하는 데에 사용되며, 이를 미터링 책밸브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미터링 책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항공기용 TUBE의 계측은 주로 무엇에 의해 하여야 하나?

  1. 내경
  2. 외경
  3. 두께
  4. 외경과 두께
(정답률: 55%)
  • 항공기용 TUBE의 계측은 주로 외경과 두께에 의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는 항공기용 TUBE가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에 대한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두께와 외경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항공기용 TUBE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객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외부로 공기를 내보내는 장치는?

  1. 배출밸브(out flow valve)
  2. 안전밸브(safety valve)
  3. 덤프밸브(dump valve)
  4. 공기조절밸브(air condition valve)
(정답률: 72%)
  • 객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외부로 공기를 내보내는 장치는 배출밸브(out flow valve)입니다. 이는 객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객실내의 공기를 교환하여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안전밸브는 비상시에 사용되는 장치이며, 덤프밸브는 압력을 낮추기 위한 장치입니다. 공기조절밸브는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제트 항공기(Jet aircraft)에 외부전원(400㎐)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비는?

  1. G.T.C(Gas Turbine Compressure)
  2. 텔레스코핑 후루드 라이트(Telescoping Flood Light)
  3. G.P.U(Ground Power Unit)
  4. Hi-Lift Truck(하이-리프트 추럭)
(정답률: 89%)
  • 제트 항공기는 대부분 내부 발전기를 가지고 있지만, 지상에서는 외부전원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장비가 G.P.U(Ground Power Unit)입니다. G.P.U는 발전기를 내장하고 있어 400㎐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항공기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합니다. 따라서 제트 항공기에 외부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G.P.U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발전기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은?

  1. 플레밍의 왼손법칙
  2.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3. 암페어의 법칙
  4. 렌쯔의 법칙
(정답률: 58%)
  • 발전기는 회전하는 자석과 고정된 코일 사이에서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합니다. 이때, 전기를 생산하는 방향은 플레밍의 오른손법칙에 따라 결정됩니다. 즉,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자석의 남극으로, 검지손가락을 자석의 북극으로, 중지손가락을 코일의 방향으로 놓으면, 엄지손가락에서 중지손가락으로 향하는 방향이 전류의 방향이 됩니다. 이렇게 생산된 전기는 외부 회로를 통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선회계가 지시하는 것은?

  1. 선회각가속도
  2. 선회각도
  3. 선회각속도
  4. 선회속도
(정답률: 58%)
  • 선회계는 회전하는 물체의 각도 변화를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선회계가 지시하는 것은 회전하는 물체의 각도 변화 속도인 "선회각속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회전하는 물체의 속도나 가속도를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선회계는 각도 변화를 측정하는 기기이므로 "선회각속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정압공을 보조계통으로 바꿨을 때, 계기지시에 변화하기 쉬운 것은?

  1. 객실 고도계
  2. 고도계
  3. 속도계
  4. 선회계
(정답률: 51%)
  • 정압공을 보조계통으로 바꾸면 공기압이 변화하게 되어 고도계의 계기지시가 변화하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고도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압이 100V인 회로에 저항이 50Ω인 부하를 10시간 동안사용하면 소비된 총 전기에너지는 몇 kWh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76%)
  • 전기에너지는 전력과 사용시간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압이 100V이고 저항이 50Ω인 회로에서 소비되는 전류는 전압을 저항으로 나눈 값인 2A가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전력을 계산하면 100V x 2A = 200W가 됩니다. 10시간 동안 사용하므로 전기에너지는 200W x 10시간 = 2kWh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유압계통에서 레저버내의 stand pipe의 역할은?

  1. vent역할을 한다.
  2. 탱크내에 거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3. 계통내의 압력유동을 감소시킨다.
  4. 비상시 작동유의 예비공급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38%)
  • 레저버는 유압계통에서 유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Stand pipe는 레저버 내부에 위치한 파이프로, 비상시 작동유의 예비공급을 감소시켜 유체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이는 유압계통에서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때, 예비공급을 감소시켜 유체의 흐름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상시 작동유의 예비공급을 감소시킨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항공기 동력에 이용되는 유압의 힘 전달방식은 어느 원리를 이용한 것인가?

  1. 파스칼(Pascal)의 원리
  2. 베르누이(Bernoulli)의 원리
  3. 아보가드로(Avogadro)의 원리
  4. 뉴톤(Newton)의 원리
(정답률: 77%)
  • 항공기 동력에 이용되는 유압의 힘 전달방식은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파스칼의 원리는 압력이 일정한 유체는 그 압력을 받는 모든 부분에 동일하게 작용한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유압 시스템에서 작동 압력을 가한 한 부분에서 발생한 압력이 모든 부분에 전달되어 일관된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조종 장치나 브레이크 등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항공기 보조동력장치(APU)에서 스타터 모터가 기어박스에서 분리되는 시기는?

  1. APU RPM 10%
  2. APU RPM 20%
  3. APU RPM 50%
  4. APU RPM 95%
(정답률: 50%)
  • APU 스타터 모터는 APU RPM이 충분히 높아져서 충분한 회전력이 생긴 후에 분리됩니다. APU RPM 50%는 충분한 회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RPM 범위이기 때문에 스타터 모터가 기어박스에서 분리되는 시기입니다. APU RPM 10%나 20%는 아직 충분한 회전력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이고, APU RPM 95%는 이미 충분한 회전력이 확보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타터 모터가 분리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자이로 스코프(Gyro Scope)를 이용하지 않는 것은?

  1. 인공수평의
  2. 정침의
  3. 경사계
  4. 선회계
(정답률: 39%)
  • 자이로 스코프는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반면, 인공수평의는 수평을 유지하는데 사용되고, 정침의는 지자기 방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선회계는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경사계는 회전과는 관련이 없는 기기로 자이로 스코프를 이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대기 속도계의 속도 측정 원리는?

  1. 전압과 정압의 차이인 동압을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한다.
  2. 전압과 동압을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한다.
  3. 전압을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한다.
  4. 정압을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한다.
(정답률: 81%)
  • 대기 속도계는 기체 유동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유체의 속도는 유체 내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대기 속도계는 유체 내부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여 속도를 계산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전압과 정압의 차이인 동압이다. 이 동압을 측정하여 속도를 계산하므로 "전압과 정압의 차이인 동압을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한다."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승강계란?

  1. 고도의 변화에 따른 동압의 변화를 이용한 것
  2. 고도의 변화에 따른 정압의 차를 이용한 것
  3. 고도의 변화에 따른 밀도의 차를 이용한 것
  4. 고도의 변화에 따른 대기압의 변화를 이용한 것
(정답률: 57%)
  • 승강계란은 고도가 올라갈수록 대기압이 낮아지는 것을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따라서 고도의 변화에 따른 대기압의 변화를 이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기용량식 연료량계를 설명한것 중 틀린 것은?

  1. 연료는 공기보다 유전율이 높다.
  2. 온도나 고도변화에 의한 지시오차가 없다.
  3. 옥탄가등 연료질의 변화에도 지시오차가 없다.
  4. 전기용량식은 연료량을 감지하여 중량으로 나타내기에 적합하다.
(정답률: 56%)
  • 옥탄가는 연료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며, 연소 특성과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옥탄가가 낮은 연료를 사용할 경우 연소 효율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연료량계의 지시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옥탄가등 연료질의 변화에도 지시오차가 없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직류를 교류로 바꾸어 주는 것은?

  1. STATIC INVERTER
  2. RECTIFIER
  3. DIODE
  4. TRANSFORMER
(정답률: 67%)
  • STATIC INVERTER는 직류를 교류로 바꾸는 장치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다양한 전기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전류의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하는 RECTIFIER와는 반대로, 전류의 방향을 바꾸는 것뿐만 아니라 전압을 변환하기도 합니다. DIODE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지만, 전압 변환은 불가능합니다. TRANSFORMER는 전압을 변환할 수 있지만, 전류의 방향을 바꾸는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STATIC INVERTER가 직류를 교류로 바꾸는데 가장 적합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키르히호프의 법칙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전기회로에서 전류, 전압, 저항에 대한 관계를 나타낸다.
  2. 회로망의 임의의 분기점에 유입하는 전류의 총합은 0 이다.
  3. 회로망의 임의의 폐회로에서 각 부분의 전압의 총합
  4. 회로망의 임의의 분기점에서 전압의 총합은 0 이다.
(정답률: 35%)
  • 정답은 "회로망의 임의의 폐회로에서 각 부분의 전압의 총합" 입니다.

    키르히호프의 법칙은 전기회로에서 전류, 전압, 저항에 대한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회로망의 임의의 분기점에 유입하는 전류의 총합은 0이 되는 것이 맞습니다. 이는 전류의 보존 법칙에 따른 결과입니다.

    또한, 회로망의 임의의 폐회로에서 각 부분의 전압의 총합도 0이 되는 것이 맞습니다. 이는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른 결과입니다.

    따라서, 틀린 설명은 "회로망의 임의의 분기점에서 전압의 총합은 0 이다." 입니다.

    이 법칙은 회로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회로를 분석할 때, 이 법칙을 이용하여 회로의 전류와 전압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압식 고도계의 보정방식중 QNH 방식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그 당시의 해면기압을 기압 눈금판에 맞추는 방식
  2. 지정된 임의의 지형면의 기압을 기압 눈금판에 맞추는 방식
  3. 이륙 전 활주로면 상에서 바늘을 0 에 맞추고 이륙하는 방식
  4. 기압눈금을 29.92 에 맞추는 방식
(정답률: 51%)
  • QNH 방식은 비행기가 이륙하는 지점의 해면기압을 기압 눈금판에 맞추는 방식입니다. 이는 비행기가 이륙하는 지점의 해면기압을 기준으로 고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이륙 전에 현재 지점의 해면기압을 알아내어 이를 기압 눈금판에 설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그 당시의 해면기압을 기압 눈금판에 맞추는 방식"이 가장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열전대식 온도계로 온도측정에 사용되고 있는 금속의 구성이 잘못된 것은?

  1. 크로멜 - 알루멜
  2. 동 - 콘스탄탄
  3. 동 - 철
  4. 철 - 콘스탄탄
(정답률: 59%)
  • 열전대식 온도계는 두 금속의 열전기력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두 금속은 서로 다른 열전기력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동 - 철"은 열전기력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동 - 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