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장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3-30)

항공장비정비기능사
(2003-03-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제트기관을 장비하고 최초비행에 성공한 것은 언제인가?

  1. 1924년 8월
  2. 1930년 8월
  3. 1939년 8월
  4. 1941년 8월
(정답률: 66%)
  • 제트기관을 장비한 최초의 비행기는 1939년 8월에 독일의 하인켈 He 178이 성공적으로 비행을 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사실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마하수의 정의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음속이 증가하면 증가한다.
  2. 음속을 비행체 속도로 나눈 값이다.
  3. 비행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증가한다.
  4. 음속과 비행체의 속도에 비례한다.
(정답률: 72%)
  • 마하수는 비행체의 속도를 음속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비행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마하수도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비행체가 음속에 가까워지면 마하수가 1에 가까워지고, 음속을 초과하면 마하수가 1보다 큰 값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행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증가한다."가 가장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압력중심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압력중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력중심(C· P)=C/ℓ로 표시한다.
  2. 보통의 날개에서 받음각이 클 때 압력중심은 앞으로 이동한다.
  3. 압력중심의 이동이 크다는 것은 비행기의 안전성에 좋지 않다.
  4. 압력중심은 양항력의 합성력이 작용하는 점이다.
(정답률: 62%)
  • 압력중심은 양항력의 합성력이 작용하는 점을 나타내는데, 이 합성력은 날개의 길이(ℓ)에 비례하고, 앞쪽부터의 거리(C)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압력중심(C· P)는 C/ℓ로 표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행기의 무게 8,000㎏, 날개면적 50m2, 최대양력계수 1.5일때 실속속도는 몇 m/sec 인가? (단, 공기의 밀도는 0.125 ㎏· sec2/m4이다.)

  1. 32
  2. 41
  3. 54
  4. 62
(정답률: 56%)
  • 실속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V = √(2W/(ρSCL))

    여기서 W는 비행기의 무게, S는 날개면적, C는 최대양력계수, L은 양력입니다.

    따라서, V = √(2 × 8,000 / (0.125 × 50 × 1.5)) = 41 (m/sec)

    따라서 정답은 "4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날개길이 방향의 양력계수 분포가 일률적이고 유도항력이 최소인 날개는?

  1. 앞젖힘 날개
  2. 뒤젖힘 날개
  3. 타원날개
  4. 테이퍼 날개
(정답률: 71%)
  • 타원날개는 날개길이 방향의 양력계수 분포가 일률적이고, 이로 인해 유도항력이 최소화됩니다. 또한, 타원날개는 고속 비행에 적합하며, 안정적인 비행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날개길이 방향의 양력계수 분포가 일률적이고 유도항력이 최소인 날개는 타원날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기에 작용하는 항력이 아닌 것은?

  1. 추력항력
  2. 마찰항력
  3. 유도항력
  4. 조파항력
(정답률: 76%)
  • 추력항력은 비행기의 움직임을 유지시키는 항력이 아니라, 비행기를 가속시키는 힘이기 때문입니다. 비행기의 엔진에서 발생한 추력은 비행기를 앞으로 밀어주는 힘이며, 이는 비행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추력항력은 비행기의 움직임을 유지시키는 항력이 아니라, 비행기의 운동 상태를 변화시키는 힘이라는 점에서 다른 항력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평형상태로 부터 벗어난 뒤에 다시 평형상태로 되돌아 가려는 초기의 경향은?

  1. 가로안정
  2. 세로안정
  3. 정적안정
  4. 동적안정
(정답률: 87%)
  • 정적안정은 시스템이 평형상태에서 벗어나면, 초기에는 시스템이 원래의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시스템 내부의 에너지나 운동량 등이 변화하여 새로운 평형상태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적안정이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초기의 경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마하 트리머(mach trimmer) 또는 피치트림 보상기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현상은?

  1. 버페팅(buffeting)
  2. 드래그 슈트(drag chute)
  3. 피치 업(pitch up)
  4. 턱 언더(tuck under)
(정답률: 67%)
  • 턱 언더(tuck under)는 비행기의 기체가 고속 비행 중에 갑자기 각도를 바꾸면서 기체의 앞부분이 위로 올라가고 뒷부분이 내려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고속 비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현상으로, 비행기의 안정성을 해치고 추락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마하 트리머(mach trimmer) 또는 피치트림 보상기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수정할 수 있어 안전한 비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직렬식 회전날개 헬리콥터의 단점인 것은?

  1. 무거운 물체 운반에 부적합하다.
  2. 가로 안정성이 나쁘다.
  3. 기체의 폭이 작다.
  4. 구조가 간단하다.
(정답률: 78%)
  • 직렬식 회전날개 헬리콥터는 회전하는 날개에 의해 발생하는 반작용력으로 인해 가로 안정성이 나쁘다. 이는 회전하는 날개가 공기를 밀어내면서 헬리콥터의 몸체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헬리콥터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헬리콥터의 무게가 950㎏, 회전 날개의 반지름이 3m 일때의 원판 하중은 몇[kg/m2] 인가? (단, π = 3.14 )

  1. 33.6
  2. 35.2
  3. 37.4
  4. 39.1
(정답률: 60%)
  • 원판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원판 하중 = (헬리콥터의 무게) / (원판 면적)

    원판 면적은 회전 날개의 면적과 같습니다.

    회전 날개의 면적 = π × (반지름)²
    = 3.14 × 3²
    = 28.26 (m²)

    따라서,

    원판 하중 = 950 / 28.26
    = 33.6 (kg/m²)

    따라서 정답은 "33.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비행기가 수평등속비행을 할 때 힘의 평형 관계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단, L = 양력, W = 비행기의 무게, D = 항력)

  1. L = W
  2. L > W
  3. L < W
  4. L = D
(정답률: 75%)
  • 비행기가 수평등속비행을 할 때, 비행기의 상승 또는 하강이 없으므로 상쇄되는 힘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양력(L)과 항력(D)이 서로 상쇄되고, 중력(W)과 상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힘의 평형 관계식은 L = W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조종면을 조작하기위한 조종력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조종면의 폭
  2. 조종면의 평균 시위
  3. 비행기의 속도
  4. 조종면의 표면상태
(정답률: 74%)
  • 조종면의 표면상태는 조종면을 움직이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조종면의 표면이 부드럽고 깨끗하면 조종력이 원활하게 전달되어 비행기를 정확하게 조종할 수 있지만, 표면이 불규칙하거나 오염되어 있으면 조종력이 감소하거나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종면의 표면상태는 비행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공기가 도관을 통하여 흐르고 있다.단면적 0.5m2인 지점 통과시 흐름의 속도가 4 ㎧인 경우, 단면적 1m2인 지점 통과시 흐름의 속도는 얼마가 되겠는가? (단, 압축성의 영향은 무시한다.)

  1. 1 ㎧
  2. 2 ㎧
  3. 8 ㎧
  4. 16 ㎧
(정답률: 68%)
  • 유체의 연속 방정식에 의하면, 유체의 질량은 보존된다. 따라서, 단면적이 작은 지점에서 흐르는 유체의 질량은 단면적이 큰 지점에서 흐르는 유체의 질량과 동일하다.

    즉, 단면적 0.5m2인 지점에서 흐르는 유체의 유량(Q)은 다음과 같다.

    Q = A1 × v1 = 0.5m2 × 4㎧ = 2m3/s

    여기서, A1은 단면적 0.5m2인 지점의 면적, v1은 해당 지점에서의 유체의 속도이다.

    따라서, 단면적 1m2인 지점에서의 유체의 속도(v2)는 다음과 같다.

    v2 = Q / A2 = 2m3/s / 1m2 = 2㎧

    따라서, 정답은 "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공기보다 가벼운 항공기(Lighter-than-air aircraft)에 속하는 것은?

  1. 글라이더
  2. 비행기
  3. 회전날개항공기
  4. 비행선
(정답률: 74%)
  • 비행선은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로 채워진 큰 풍선 모양의 항공기로, 공기 중에서 부유하여 비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기보다 가벼운 항공기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초음속 날개골에서 날개의 앞전을 뾰족하게 한다. 그 이유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충격파를 발생시키기 위해
  2. 양력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3. 충격파의 강도를 약화시키기 위해
  4. 항력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정답률: 76%)
  • 초음속 비행기는 고속으로 비행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공기와 부딪히면서 충격파가 발생합니다. 이때, 날개의 앞전을 뾰족하게 만들면 충격파의 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비행기가 고속으로 비행할 때 발생하는 충격파가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비행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시한성 정비를 영어로 옳게 표시한 항은?

  1. on condition maintenance
  2. condition monitoring maintenance
  3. age sampling maintenance
  4. hard time maintenance
(정답률: 78%)
  • 정답은 "hard time maintenance"입니다.

    시한성 정비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기계나 장비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유지보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hard time"이라는 용어로 표현됩니다. "Hard time"은 일정한 운영 시간이나 비행 시간 등이 지나면 정비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hard time maintenance"는 시한성 정비를 영어로 옳게 표현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항공기 정비에서 창정비와 같은 것은?

  1. A 점검
  2. B 점검
  3. C 점검
  4. D 점검
(정답률: 60%)
  • 창문, 문, 빗물 배수구 등 외부적인 부분을 점검하는 것을 창정비라고 합니다. 이에 비해 D 점검은 항공기의 구조적 안전성과 기능적 안전성을 점검하는 가장 철저한 점검으로,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점검입니다. 따라서 D 점검이 항공기 정비에서 가장 중요한 점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해머(Hammer)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며,타격부위에 변형을 주지 않아야 할 가벼운 작업에 사용되는 공구는?

  1. 탭(tap)
  2. 맬릿(Mallet)
  3. 텅(Tong)
  4. 스패너(Spanner)
(정답률: 84%)
  • 맬릿은 해머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타격부위에 변형을 주지 않는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져 있어서 가벼운 작업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공구는 맬릿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쇠톱을 이용하여 절단작업을 할 때 안전 및 유의사항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톱날이 일감 표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2. 쇠톱을 취급할 때는 톱니에 손이 다치지 않도록한다.
  3. 쇠톱을 보관할 때는 다른 공구와 분리하여 보관한다.
  4. 재료가 잘라질 때는 약간 힘을 주어 톱날의 파손이 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정답률: 76%)
  • 재료가 잘라질 때는 약간 힘을 주어 톱날의 파손이 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이는 안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습니다. 만약 톱날이 파손되면 작업 중에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톱을 사용할 때는 톱날의 상태를 항상 확인하고, 적절한 힘을 주어 안전하게 작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의 항공기용 볼트에 관한 설명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알루미늄 합금볼트
  2. 부식방지용 볼트
  3. 저강도 볼트
  4. 재가공 볼트
(정답률: 84%)
  • 그림의 항공기용 볼트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는 항공기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경량화 재료인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제작된 것입니다. 또한, 항공기가 비행 중에 고도의 습도와 열에 노출되기 때문에 부식방지용으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볼트"가 가장 적당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굴곡작업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작업표시는 유성펜을 사용한다.
  2. 굴곡부에 생기는 신축등 광혹한 조건을 받는곳에는 판의 그레인(Grain)방향에 일치시키는것이 좋다.
  3. 성형점(Mold point)은 접어 구부러진 재료의 안쪽에서 연장한 직선의 교점이다.
  4. 릴리프 홀(Relief Hole)의 위치는 릴리프 홀의 바깥 주위가 적어도 안쪽 굴곡 접선의 교차부분에 접해 있어야 한다.
(정답률: 61%)
  • 작업표시, 그레인 방향, 릴리프 홀의 위치는 모두 굴곡작업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이지만, 성형점은 굴곡작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용어이다. 따라서 성형점은 가장 관계가 먼 것이다. 성형점은 접어 구부러진 재료의 안쪽에서 연장한 직선의 교점으로, 성형 공정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리벳의 규격을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가은 유니버설 머리 리벳을 표시
  2. 나는 표면처리 상태를 표시
  3. 다은 리벳의 지름을 표시 (6/16인치)
  4. 라는 2117 재질을 표시
(정답률: 45%)
  • 가은 유니버설 머리 리벳은 규격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다른 보기들은 리벳의 특징이나 속성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육안검사시 사용되는 보어스코프 중 거꾸로 비추어 뒤쪽을 볼 수 있는 것은?

  1. Direct-Vision Borescope
  2. Right Angle Borescope
  3. Retro Spective Borescope
  4. Foroblique Borescope
(정답률: 71%)
  • 정답은 "Retro Spective Borescope"입니다. 이는 거꾸로 비추어 뒤쪽을 볼 수 있는 보어스코프로, "Retro"는 "뒤로"를 의미하고 "Spective"는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보어스코프는 뒤쪽을 보는 것이 가능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직접적으로 볼 수 있는 보어스코프, 직각으로 볼 수 있는 보어스코프, 경사진 각도로 볼 수 있는 보어스코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자분탐상검사에 대한 설명 내용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미세한 균열검사에는 건식자분이 좋다.
  2. 비자성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3. 탈자는 반드시 교류를 이용한다.
  4. 검사전 시험편 표면의 기름, 도료, 녹을 제거한다.
(정답률: 69%)
  • 자분탐상검사는 검사전 시험편의 표면이 깨끗하고 매끄러워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기름, 도료, 녹 등을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기의 연료급유와 배유작업 및 항공기의 정비작업 중 반드시 하여야 할 사항은?

  1. 청소를 하여야 한다.
  2. 방화책임자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3. 접지(Ground)를 해야 한다.
  4. 공항관제 소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정답률: 91%)
  • 접지(Ground)를 해야 하는 이유는 항공기가 전기적인 충전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연료급유나 배유작업, 정비작업 등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는 항공기에 충전될 수 있으며, 이는 항공기의 전기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기가 접지(Ground)에 연결되어 전기적인 충전을 방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소화기의 용도가 틀리게 연결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물펌프 소화기: A급 화재진화에 사용한다.
  2. 이산화탄소 소화기(CO2소화기): B,C급 화재진화에 사용한다.
  3. 포말 소화기: A급 화재진화에 사용한다.
  4. 분말 소화기: B,C급 화재진화에 사용한다.
(정답률: 70%)
  • 포말 소화기는 A급 화재진화에 사용되는데, 이는 포말 소화제가 물과 반응하여 화재를 진압시키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A급 화재는 일반적으로 고체물질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종이, 나무, 섬유 등이 해당됩니다. 따라서 포말 소화기는 이러한 화재를 진압하는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계기계통의 배관을 식별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색깔로 구분된 테이프를 감아두는데, 이때 붉은색은 어떤 계통의 배관을 나타내는가?

  1. 윤활계통
  2. 압축공기계통
  3. 연료계통
  4. 화재방지계통
(정답률: 65%)
  • 붉은색은 연료계통의 배관을 나타냅니다. 이는 연료가 불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화재 예방을 위해 붉은색으로 구분되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항공기의 세척방법중 솔벤트 세척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건식 세척용 솔벤트는 주로 산소 계통에 사용된다.
  2. 솔벤트세척은 더운 날씨에 주로 사용된다.
  3. 솔벤트세척은 플라스틱 표면이나 고무제품에 주로 사용된다.
  4. 솔벤트세척은 오염이 심하여 알카리 세척법으로는 불가능할 경우 사용된다.
(정답률: 66%)
  • 솔벤트는 오염이 심한 부분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강력한 세척제이지만, 알카리 세척법으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유기물, 기름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알카리 세척법으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오염물질이 많이 쌓인 항공기의 세척에 솔벤트 세척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문장 중 밑줄친 부분의 뜻으로 알맞는 것은?

  1. 조종면
  2. 조종실
  3. 바닥깔개
  4. 조정간
(정답률: 81%)
  • 해당 문장에서 밑줄친 부분인 "조종실"은 비행기에서 조종을 담당하는 공간을 뜻합니다. 다른 보기인 "조종면"은 비행기의 날개 부분을 조종하는 부분을 뜻하며, "바닥깔개"는 비행기 내부의 바닥을 뜻하고, "조정간"은 비행기의 조종 장치를 연결하는 부분을 뜻합니다. 따라서, 해당 문장에서는 비행기의 조종을 담당하는 공간인 "조종실"이 맞는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문장이 뜻하는 것은?

  1. volt
  2. Ampere
  3. ohm
  4. watt
(정답률: 67%)
  • 전기의 단위 중 전류의 단위는 "Ampere" 이기 때문입니다. 그림에서는 전류를 나타내는 기호인 "I"와 함께 "A"라는 단위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mper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측정물의 평면의 상태검사,원통의 진원검사 등에 이용되는 측정기기는?

  1. 버니어 캘리퍼스
  2. 다이얼 게이지
  3. 마이크로 미터
  4. 깊이 게이지
(정답률: 78%)
  • 다이얼 게이지는 평면의 상태검사나 원통의 진원검사 등에 이용되는 측정기기로, 다른 보기들은 각각 길이, 깊이, 두께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초음파 검사의 특징 중 틀린 내용은?

  1. 검사시 소모품이 들어가지 않아 비용이 싸다.
  2. 검사 대상물이 한쪽면만 노출되어도 검사가 가능하다.
  3. 검사시 위해요소가 없다.
  4. 판독이 주관적이다.
(정답률: 63%)
  • 초음파 검사는 검사 대상물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초음파를 이용하는 검사 방법으로, 검사시 소모품이 들어가지 않아 비용이 저렴하고, 검사 대상물이 한쪽면만 노출되어도 검사가 가능하며, 검사시 위해요소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초음파 검사는 판독이 주관적일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검사자의 경험과 기술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판독을 위해서는 검사자의 경험과 기술뿐만 아니라, 다른 검사 방법과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렌치의 개구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며 웜과 래크로 바꿀 수 있는 렌치는?

  1. 박스 렌치
  2. 조합 렌치
  3. 소켓 렌치
  4. 조절 렌치
(정답률: 78%)
  • 조절 렌치는 개구 부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볼트나 너트를 조이거나 풀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웜과 래크로 바꿀 수 있어서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조절 렌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잭 작업 내용으로 틀리는 것은?

  1. 단단하고 평평한 장소에서 최대 허용풍속 24km/h이하에서 잭을 설치
  2. 정해진 위치에 잭 패드를 부착하고 잭을 설치
  3. 잭을 설치 전에 필요한 고정장치와 안전장치를 설치
  4. 잭 Down시 L/G Down Lock를 풀어 놓아야 한다.
(정답률: 74%)
  • 잭을 내릴 때 L/G Down Lock를 풀어 놓아야 하는 이유는, L/G Down Lock가 잠겨 있으면 차량의 랜딩 기어가 잠겨서 잭을 내릴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L/G Down Lock를 풀어 놓아야만 잭을 내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기나 장비 및 부품에 대한 원래의 설계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부품을 추가로 장착시킬 때 실시하는 작업에 해당 되는 것은?

  1. 항공기 소수리
  2. 항공기 개조
  3. 항공기 대수리
  4. 항공기 보수
(정답률: 86%)
  • 항공기 개조는 항공기나 장비 및 부품의 원래 설계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부품을 추가로 장착시키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항공기 개조가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항공기 소수리는 작은 수리를 의미하며, 항공기 대수리는 대규모 수리를 의미합니다. 항공기 보수는 항공기의 유지보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류측정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분류기와 전류계는 어떻게 연결하는가?

  1. 직렬로 연결
  2. 병렬로 연결
  3. 직.병렬로 연결
  4. 연결방법과 무관하다.
(정답률: 57%)
  • 전류계는 전류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일정한 내부 저항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류계를 직렬로 연결하면 분류기와 전류계의 내부 저항이 합쳐져서 전류측정 범위가 줄어들게 됩니다. 반면에 병렬로 연결하면 분류기와 전류계의 내부 저항이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전류측정 범위를 확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류기와 전류계는 병렬로 연결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항공기에 사용되는 발전기 중 가장 좋은 발전기는?

  1. 단상 교류발전기
  2. 삼상 교류발전기
  3. 단상 직류발전기
  4. 삼상 직류발전기
(정답률: 76%)
  • 항공기에서는 삼상 교류발전기가 가장 좋은 발전기로 사용됩니다. 이는 삼상 교류발전기가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삼상 교류발전기는 세 개의 전류가 120도씩 차이를 두고 생성되기 때문에 전류의 불균형이 적어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삼상 교류발전기는 크기가 작고 경량화되어 있어 항공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복권식 직류 발전기는 무엇에 의해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 하는가?

  1. 발전기 회전속도의 변화
  2. 역류 차단기를 통하는 전류를 변화
  3. 계자코일을 통하는 전류를 변화
  4. 아마츄어의 반작용
(정답률: 60%)
  • 복권식 직류 발전기는 계자코일을 통해 전류를 생성합니다. 이때, 계자코일을 통하는 전류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전기 회전속도의 변화나 역류 차단기를 통하는 전류의 변화는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반면에, 계자코일을 통하는 전류의 변화는 발전기 출력전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여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계자코일을 통하는 전류의 변화가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하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아마츄어의 반작용은 발전기의 회전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압이 100V인 회로에 저항이 50Ω인 부하를 사용한다면 전력은 얼마인가?

  1. 100W
  2. 200W
  3. 300W
  4. 400W
(정답률: 80%)
  • 전압(V) = 전류(A) x 저항(Ω) 이므로, 전류는 2A가 된다.
    전력(W) = 전압(V) x 전류(A) 이므로, 전력은 200W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0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3Ω, 5Ω, 6Ω 저항3개를 병열로 접속하고, 120 V 전압을 가할 때 5Ω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값은 얼마인가?

  1. 20 A
  2. 24 A
  3. 30 A
  4. 40 A
(정답률: 66%)
  • 병렬 접속된 저항의 전압은 모두 같으므로, 120 V가 3개의 저항에 분배됩니다. 각 저항의 전압은 다음과 같습니다.

    3Ω: 120 V × (3 / (3 + 5 + 6)) = 36 V
    5Ω: 120 V × (5 / (3 + 5 + 6)) = 60 V
    6Ω: 120 V × (6 / (3 + 5 + 6)) = 72 V

    따라서, 5Ω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전압을 저항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류 = 전압 ÷ 저항 = 60 V ÷ 5Ω = 12 A

    따라서, 정답은 24 A가 아니라 12 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장비

41. 승강계의 눈금 단위는?

  1. mile/hr
  2. inch/hr
  3. ft/min
  4. ℓ b/sec
(정답률: 89%)
  • 승강계는 일정 시간당 상승 또는 하강하는 비율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비율은 일반적으로 분당 피트 (ft/min)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ft/min"이 승강계의 눈금 단위인 이유는 이 비율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단위인 "mile/hr", "inch/hr", "ℓ b/sec"는 승강계와 관련이 없는 다른 물리량을 측정하는 단위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계기들 중에서 비행계기는 어느 것인가?

  1. 산소압력계
  2. 승강계
  3. 연료량 지시계
  4. 거리측정장치
(정답률: 77%)
  • 승강계는 비행기의 고도를 측정하는 계기이기 때문에 비행계기입니다. 산소압력계는 비행기 내부의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계기, 연료량 지시계는 비행기의 연료 양을 측정하는 계기, 거리측정장치는 비행기의 비행 거리를 측정하는 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도상의 북쪽과 자기상의 북쪽과의 차이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편차
  2. 자차
  3. 복각
  4. 반원차
(정답률: 62%)
  • 지도상의 북쪽과 자기상의 북쪽은 서로 다른 방향을 가리키기 때문에 이 둘 사이의 각도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편차"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는 용어들이므로 정답은 "편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속도계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고도에 따른 전류차를 이용한 것이다.
  2. 전압에 정압의 차를 이용한 것이다.
  3. 전압만을 이용한 것이다.
  4. 동압과 정압의 차를 이용한 것이다.
(정답률: 62%)
  • 속도계는 전압에 정압의 차를 이용하여 동작합니다. 이는 속도계 내부에 있는 변속기에서 회전수를 측정하고, 이를 전압으로 변환한 후, 정압 회로를 통해 고정된 전압과 비교하여 차이를 계산하여 속도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정확하고 안정적인 측정이 가능하며, 다양한 속도 범위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압 계통에 사용되는 신세틱(Synthetic) 씰(Seal)은 어느 것으로 세척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가?

  1. 케로신(Kerosine)
  2. 사용중인 작동유
  3. 가솔린(Gasoline)
(정답률: 48%)
  • 유압 계통에 사용되는 신세틱 씰은 사용중인 작동유로 세척하는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이는 신세틱 씰이 작동유와 호환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케로신이나 가솔린은 신세틱 씰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물은 유압 계통 내부에서 부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신세틱 씰을 세척할 때는 사용중인 작동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압호스(Oil pressure Hose)의 규격(Size)은 어느 것을 표시하는가?

  1. 내경
  2. 외경
  3. 벽두께
  4. 내구압력
(정답률: 80%)
  • 유압호스의 규격은 내경을 표시합니다. 이는 호스 내부의 직경을 의미하며, 유체가 흐르는 공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외경과 벽두께는 호스의 전체 크기와 두께를 나타내는데, 내경보다는 호스의 내구성과 유체의 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내구압력은 호스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압력을 나타내는데, 이는 내경과 벽두께에 영향을 받지만, 직접적으로 규격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A.P.U 엔진이 Hung start하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시동기용 축전지 전압이 낮을때.
  2. 시동기의 구동이 약하다.
  3. 연료에 공기가 혼합되어 있다.
  4. 블리이드 밸브가 닫혀 있다.
(정답률: 55%)
  • Hung start는 엔진이 시동되지만 충분한 힘을 얻지 못하여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않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A.P.U 엔진이 Hung start하는 원인으로 "블리이드 밸브가 닫혀 있다."가 틀린 것입니다. 블리이드 밸브는 엔진의 공기 유입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블리이드 밸브가 닫혀 있으면 공기가 충분히 유입되지 않아 엔진이 가동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공기 유입이 막혀 엔진이 과열되어 Hung start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블리이드 밸브가 열려 있지 않다."가 되겠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직류 발전기에서 출력전압을 결정할 수 있는 요소중 틀린 것은?

  1. 전기자 회전속도
  2. 계자권선의 전압세기
  3. 전기자 도선의 길이
  4. 계자권선의 자속밀도
(정답률: 27%)
  • 직류 발전기에서 출력전압을 결정하는 요소는 전기자 회전속도, 전기자 도선의 길이, 계자권선의 자속밀도입니다. 계자권선의 전압세기는 계자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출력전압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계자권선의 전압세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계기의 지시기에 온도 보정장치가 없는 것은?

  1. 고도계
  2. 흡기 압력계
  3. 실린더 온도계
  4. 전류계
(정답률: 50%)
  • 계기의 지시기에 온도 보정장치가 없는 경우, 해당 계기는 온도의 영향을 받아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온도 보정장치가 없는 계기는 온도 변화에 민감한 계기들이 많은데, 전류계는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온도 보정장치가 없어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류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축전지의 셀(cell)을 직렬로 연결하면?

  1. 전압이 증가
  2. 셀저항증가 및 전류증가
  3. 전압이 감소
  4. 셀저항감소 및 전류감소
(정답률: 68%)
  • 축전지의 셀을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이 증가합니다. 이는 각 셀의 전압이 더해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5V의 AA 건전지 2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은 3V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유압의 작동유 온도가 높아질 경우에 미치는 결과는?

  1. 아무런 영향이 없다.
  2. 계통의 작동이 완만해 진다.
  3. 작동유가 팽창한다.
  4. 작동유 압력이 감소한다.
(정답률: 83%)
  • 유압 작동유는 일정한 온도 범위 내에서 작동해야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작동유의 온도가 높아지면 작동유의 부피가 팽창하게 되어 유압 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유압 시스템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작동이 불안정해지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압 시스템에서는 작동유의 온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고고도 비행시 조종실내 승무원이 안락하고 쾌적한 운항을 위해 요구되는 필수요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여압
  2. 온도
  3. 산소량
  4. 음악
(정답률: 87%)
  • 고고도 비행시 조종실내 승무원이 안락하고 쾌적한 운항을 위해 요구되는 필수요건은 여압, 온도, 산소량입니다. 이들은 비행기 안에서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들입니다. 반면 음악은 승무원의 개인적인 취향이나 선택사항으로, 운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음악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현대 항공기에서 공압(Pneumatic Pressure)이 이용 되지 않는 장치는?

  1. 방빙(Anti-iceing)및 제빙(De-icing)
  2. 주 조종면 구동
  3. 유압펌프 구동
  4. 도어(door)의 개폐
(정답률: 34%)
  • 주 조종면 구동은 공압이 아닌 전기 또는 전자적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공압이 이용되지 않는 장치입니다. 반면, 방빙/제빙, 유압펌프 구동, 도어 개폐는 모두 공압을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항공기 공압계통에 APU 압축공기를 공급하려면 APU 회전 RPM은 몇 %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1. 10
  2. 50
  3. 80
  4. 95
(정답률: 48%)
  • APU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APU 회전 RPM이 최소 95%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APU가 충분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RPM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RPM이 낮을 경우 압력이 충분하지 않아 공기를 공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항공기에서 APU 압축공기를 사용하려면 APU를 95% 이상으로 가동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자차수정(Compass Swing)으로 할 수 없는 것은?

  1. 불이차의 수정
  2. 반원차의 수정
  3. 북선오차 수정
  4. 사분원차의 수정
(정답률: 72%)
  • 자차수정(Compass Swing)은 항공기의 나침반 시스템을 보정하는 작업으로, 항법에 필요한 정확한 나침반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됩니다. 따라서, 자차수정으로는 북선오차 수정을 할 수 없습니다. 북선오차는 지자기 북극과 지리학적 북극 사이의 각도 차이로, 나침반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북선오차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보정 작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속도계의 색표식 중에서 FLAP(플랩)을 조작하는 것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백색호선
  2. 황색호선
  3. 녹색호선
  4. 적색방사선
(정답률: 68%)
  • FLAP(플랩)은 비행기의 날개를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비행 특성을 변화시키는 장치입니다. 이 때, FLAP을 조작하면 비행기의 속도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측정하는 속도계의 색표식 중에서 FLAP을 조작하는 것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백색호선입니다. 이는 백색호선이 비행기의 최대 허용 속도를 나타내는데, FLAP을 축소하면 비행기의 최대 허용 속도가 증가하게 되어 백색호선이 상승하게 됩니다. 따라서, FLAP을 조작하는 것과 백색호선의 위치는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화재경보장치 중에서 열이 서서히 증가하는 것도 감지할 수 있는 것은?

  1. 서모커플식(Thermocouple)
  2. 서어미스트식(Thermister)
  3. 실버원식(Silver Win)
  4. 서멀스위치(Thermal Switch)
(정답률: 61%)
  • 서어미스트식(Thermister)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저항이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열이 서서히 증가하는 것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이 서로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유압계통의 밸브(Valve)중 압력조절기에 이상이 있을 때 계통을 높은 압력으로 부터 보호해주는 밸브는?

  1. 첵밸브
  2. 선택밸브
  3. 릴리이프밸브
  4. 감압밸브
(정답률: 72%)
  • 압력조절기에 이상이 생겨 유압계통에서 과도한 압력이 발생할 경우, 릴리이프밸브는 높은 압력을 감지하여 계통에서 압력을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자동으로 열립니다. 따라서 유압계통을 높은 압력으로부터 보호해주는 밸브로서, 정답은 "릴리이프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대형항공기 주 착륙장치에 주로 사용되는 착륙장치 형식은?

  1. 단일식(single fype)
  2. 이중식(dual type)
  3. 보우기식(bogie type)
  4. 삼중식(Triple type)
(정답률: 54%)
  • 보우기식은 대형항공기의 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해 여러 개의 바퀴가 연결된 형태로, 안정적인 착륙을 도와줍니다. 이에 비해 단일식은 바퀴가 하나뿐이므로 안정성이 떨어지고, 이중식은 보우기식보다는 안정성이 높지만 무게 분산 효과가 적습니다. 삼중식은 보우기식과 비슷하지만 바퀴가 더 많아서 더욱 안정적인 착륙을 도와줍니다. 하지만 대형항공기에는 보우기식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유압계통 압력조절기가 킥아우트(kick-out)상태 일때 첵밸브와 바이패스 밸브의 작동상태는?

  1. 바이패스 밸브는 열리고 첵 밸브는 닫히는 상태
  2. 바이패스 밸브는 닫히고 첵 밸브는 열리는 상태
  3. 바이패스 밸브와 첵 밸브 모두가 열리는 상태
  4. 바이패스 밸브와 첵 밸브 모두가 닫히는 상태
(정답률: 68%)
  • 유압계통 압력조절기가 킥아웃 상태가 되면,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시스템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바이패스 밸브가 열려서 압력을 완화시켜야 합니다. 반면 첵 밸브는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킥아웃 상태에서는 닫혀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바이패스 밸브는 열리고 첵 밸브는 닫히는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