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장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4-04)

항공장비정비기능사
(2004-04-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비행기가 수평선과 읨의 각으로 상승비행하고 있다고 하면 힘의 평형식은 진행방향에 대하여 어떤 식으로 나타나는가? (단, T : 추력, W : 비행기의 무게, D : 항력)

  1. D = T sinθ + W
  2. W = T sinθ + D
  3. T = W sinθ + D
  4. sinθ = T D + W
(정답률: 78%)
  • 비행기가 상승비행을 하고 있으므로, 수직 방향으로의 힘의 합력은 0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의 힘의 합력은 추력과 항력이 같아야 합니다. 수평선과 읨의 각으로 상승비행하고 있으므로, 비행기의 무게는 수직 방향으로의 힘의 합력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힘의 평형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습니다.

    T - Dsinθ = Wcosθ

    여기서, 비행기가 수평선과 읨의 각으로 상승비행하고 있으므로, 수직 방향으로의 힘의 합력은 Wsinθ입니다. 따라서, 위의 식을 sinθ로 나누면 다음과 같습니다.

    Tsinθ - D = Wcosθsinθ

    여기서, cosθsinθ = sin2θ 이므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Tsinθ = Wsinθ + Dsinθ

    따라서, T = Wsinθ + D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헬리콥터가 공중에 뜰 수 있다는 것을 처음 밝힌 사람은 누구인가?

  1. 레오나르도다빈치
  2. 케일리
  3. 코르뉘
  4. 시크르스키
(정답률: 88%)
  • 레오나르도다빈치는 15세기 이탈리아의 예술가이자 과학자였습니다. 그는 인간의 날개를 모방하여 비행기를 발명하려는 실험을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공중에 뜰 수 있는 헬리콥터의 아이디어를 제시하였습니다. 따라서 레오나르도다빈치가 헬리콥터가 공중에 뜰 수 있다는 것을 처음 밝힌 사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압축성 유체의 흐름에서 연속 방정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관의 단면적과 유체의 속도는 반비례한다.
  2. 관을 통과하는 유량과 유체의 속도는 반비례한다.
  3. 관의 단면적이 증가하면 유체의 속도는 증가한다.
  4. 관속 유체의 밀도가 감소하면 속도가 감소한다.
(정답률: 66%)
  • 연속 방정식은 유체의 질량 보존 법칙을 나타내는데, 유체의 질량은 유체의 밀도와 유체의 속도, 그리고 관의 단면적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유체의 질량이 보존되어야 하므로, 유체의 속도와 관의 단면적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관의 단면적이 증가하면 유체의 속도는 감소하고, 관의 단면적이 감소하면 유체의 속도는 증가합니다. 따라서, "관의 단면적과 유체의 속도는 반비례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활공기가 고도 1000m에서 20㎞의 수평활공 거리를 활공할 때 양항비는 얼마인가?

  1. 0.2
  2. 2
  3. 20
  4. 50
(정답률: 65%)
  • 양항비는 높이와 수평거리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양항비 = 높이 / 수평거리 입니다. 고도가 1000m이고 수평활공 거리가 20㎞이므로, 양항비는 1000 / 20000 = 0.05 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0" 인 이유는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비행기가 정상선회를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원심력과 구심력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어야 한다.
  2. 원심력과 구심력은 크기가 같고 방향도 같아야 한다.
  3. 원심력과 구심력은 크기가 다르고 방향이 반대이어야 한다.
  4. 원심력과 구심력은 크기가 다르고 방향이 같아야 한다.
(정답률: 78%)
  • 비행기가 정상선회를 하기 위해서는 중심축 주위를 회전할 때 원심력과 구심력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원심력은 회전하는 물체가 중심축에서 멀어질수록 커지는 힘으로, 비행기가 회전할 때 발생합니다. 반면 구심력은 회전하는 물체가 중심축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려는 힘으로, 비행기가 중심축을 따라 직진하려는 힘입니다. 따라서 원심력과 구심력이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어야 비행기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기의 정적가로안정을 가장 좋게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1. 동체를 원형으로 만든다.
  2. 쳐든각 날개를 단다.
  3. 꼬리날개를 작게 한다.
  4. 날개의 모양을 원형으로 한다.
(정답률: 92%)
  • 비행기가 공중에서 안정적으로 비행하기 위해서는 정적가로안정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비행기의 날개가 공기를 잘 붙잡아야 합니다. 쳐든각 날개를 달면 공기가 날개 아래쪽으로 흐르면서 날개 위쪽으로 압력을 만들어내어 비행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쳐든각 날개를 달면 비행기의 정적가로안정을 가장 좋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헬리콥터에서 균형의 의미로서 가장 올바른 설명 내용은?

  1. 직교하는 2개의 축에 대하여 힘의 합이"0" 이 되는것
  2. 직교하는 2개의 축에 대하여 모멘트의 합이 각각 "0"이 되는것
  3.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힘과 모멘트의 합이 각각 "0" 이 되는것
  4.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모든 방향의 힘의 합이 "0" 이 되는것
(정답률: 83%)
  • 헬리콥터는 3차원 공간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힘과 모멘트의 합이 각각 "0"이 되어야 균형 상태에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각 축 방향으로 힘과 모멘트가 상쇄되어서, 헬리콥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힘과 모멘트의 합이 각각 "0" 이 되는것"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크루거 플랩에 대한 설명중 잘못된 것은?

  1. 기구가 복잡하고 작동장치가 크다.
  2. 소형 항공기에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3. 공기역학적으로 슬롯 등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4. 앞전 플랩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55%)
  • 잘못된 것은 "공기역학적으로 슬롯 등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입니다. 크루거 플랩은 공기역학적으로 슬롯과 같은 효과를 갖지 않습니다. 슬롯은 날개 상부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고속 비행시 날개 상부의 고압과 하부의 저압을 연결하여 날개의 양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크루거 플랩은 기체의 흐름을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하며, 기체의 속도를 감소시켜 추진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유체흐름의 천이현상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유체의흐름 속도
  2. 유체의 점성계수
  3. 유체의 온도
  4. 흐름에 놓여있는 물체의 형상
(정답률: 58%)
  • 유체의 온도는 유체의 천이현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유체의 천이현상은 유체의 흐름 속도, 점성계수, 그리고 흐름에 놓여있는 물체의 형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체의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고속 비행기의 날개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뒤젖힘 날개
  2. 삼각날개
  3. 사각날개
  4. 오지날개
(정답률: 84%)
  • 사각날개는 고속 비행기에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공기 저항이 크기 때문입니다. 사각날개는 날개 끝이 직각이기 때문에 공기가 날개 끝에서 만나면 각도가 바뀌어서 공기 저항이 크게 발생합니다. 따라서 고속 비행기에서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뒤젖힘 날개나 삼각날개, 오지날개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천음속 비행시 날개에 이상 진동이 발생하는 현상은?

  1. 시미(shimmy) 현상
  2. 더치롤(dutch roll) 현상
  3. 턱언더(tuck under) 현상
  4. 버페팅(buffeting) 현상
(정답률: 71%)
  • 천음속 비행시 날개 주변의 공기가 불규칙하게 흐르면서 날개에 압력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날개에 이상 진동이 발생하는 현상을 버페팅(buffeting)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안정성을 해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NACA 24120 에 대한 설명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첫자리 숫자 및 셋째자리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4자 계열과 같다.
  2. 마지막 두자리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4자 계열과 다르다.
  3. 평균캠버선의 뒤쪽 반이 곡선이다.
  4. 최대두께가 시위의 10 %이다.
(정답률: 61%)
  • NACA 24120은 4자 계열의 항공기 날개 프로파일 중 하나이며, 평균캠버선의 뒤쪽 반이 곡선인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날개의 양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첫 번째 숫자는 최대 캠버 위치를 나타내고, 마지막 두 자리 숫자는 최대 두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두 번째 보기는 틀린 설명입니다. 네 번째 보기는 최대 두께가 시위의 10%임을 나타내는데, 이는 NACA 24120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가장 올바른 설명은 세 번째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비행기에서 실용상승한계는 상승률이 얼마인 경우인가?

  1. 0 m/s 일 때의 고도
  2. 0.5 m/s 일 때의 고도
  3. 1.0 m/s 일 때의 고도
  4. 1.5 m/s 일 때의 고도
(정답률: 65%)
  • 비행기가 상승하는 속도는 엔진의 힘과 공기의 밀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비행기가 상승하는 속도가 높을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상승하는 데 필요한 엔진의 힘이 감소합니다. 그러나 일정한 엔진의 힘으로는 어느 정도까지나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비행기가 상승하는 속도가 0.5 m/s일 때, 엔진의 힘으로는 더 이상 상승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실용상승한계에 도달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5 m/s 일 때의 고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항공기에서 큰 날개에 부착되는 조종면은 어느 것인가?

  1. 승강키
  2. 방향키
  3. 도움날개
  4. 태브
(정답률: 82%)
  • 도움날개는 항공기의 큰 날개에 부착되는 조종면으로, 항공기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비행 중에 발생하는 힘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승강키는 항공기의 상승과 하강을 조절하는 조종면이고, 방향키는 항공기의 좌우 방향을 조절하는 조종면입니다. 태브는 항공기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조종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주회전날개(main rotor)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반작용 토크를 상쇄하기 위하여 꼬리회전날개(tail rotor)가 필요한 헬리콥터는?

  1. 단일회전날개 헬리콥터
  2. 직렬식 헬리콥터
  3. 동축역회전식 헬리콥터
  4. 병렬식 헬리콥터
(정답률: 69%)
  • 단일회전날개 헬리콥터는 주회전날개와 꼬리회전날개가 서로 수직으로 위치하며, 주회전날개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반작용 토크를 꼬리회전날개가 상쇄시켜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꼬리회전날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기의 중요부품은 일정한 작동시간에 도달하면 항공기에서 장탈하여 오버홀(overhaul)하여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일정한 작동시간을 정한 규정은?

  1. 항공법
  2. 정비규정
  3. 시행규칙
  4. 정비업무규칙
(정답률: 80%)
  • 정비규정은 항공기의 정비와 관련된 규정으로, 항공기의 중요부품들이 일정한 작동시간에 도달하면 오버홀을 해야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비규정이 정답이 되는 것이다. 항공법, 시행규칙, 정비업무규칙은 항공기의 운영과 관련된 규정이지만, 정비규정은 항공기의 정비와 관련된 규정으로 구체적인 작동시간 등을 규정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항공기와 그 부품, 장비의 손상 및 기능불량 등을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작업은?

  1. 경미한 보수
  2. 일반적인 보수
  3. 개조
  4. 수리
(정답률: 92%)
  • 항공기와 그 부품, 장비의 손상 및 기능불량 등을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작업은 "수리"입니다. 이는 손상된 부분을 고쳐서 기능을 복구시키는 것으로, 개조나 일반적인 보수와는 목적과 방법이 다릅니다. 경미한 보수는 작은 고장이나 손상을 수리하는 것이며, 일반적인 보수는 정기적으로 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을 의미합니다. 개조는 기존의 항공기나 부품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외측 마이크로미터의 각부 기능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앤빌과 스핀들은 마이크로미터를 보관할 때 0점 조정을 위해 사용
  2. 클램프와 슬리브 사이에는 측정물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3. 래치스톱은 측정력 이상의 힘이 작용되면 공회전 하도록 되어있다.
  4. 래치노브는 심블의 안쪽둘레에 설치되어 있다.
(정답률: 64%)
  • 외측 마이크로미터의 각부 기능을 설명한 것 중에서 "래치스톱은 측정력 이상의 힘이 작용되면 공회전 하도록 되어있다."가 올바른 것이다. 이는 측정 중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여 측정값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래치스톱이 작동하면 마이크로미터의 스프링이 풀려서 스프링의 힘만큼 회전하게 되어 측정값이 고정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리벳(Rivet)작업에 있어서 리벳(Rivet)직경을 D라고 했을 때, 리벳의 최소 끝 거리는 얼마인가?

  1. 2D
  2. 4D
  3. 12D
  4. 22D
(정답률: 67%)
  • 리벳 작업에서 리벳을 고정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두 개의 판을 리벳으로 고정시키는 것입니다. 이때, 리벳의 최소 끝 거리는 두 개의 판이 충분히 붙어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리벳의 끝이 판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면, 리벳이 판을 고정시키는 힘이 약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리벳의 최소 끝 거리는 D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아야 합니다.

    하지만, 리벳의 끝이 너무 가까이 붙어있다면, 판이 충분히 붙어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벳의 최소 끝 거리는 D의 길이의 2배인 2D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용접하기전에 알루미늄을 미리 가열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팽창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2. 산화막을 태워버리기 위해
  3. 용접면이 용제를 받아들일 준비를 하기위하여
  4. 용접하기전에 가열되는 것을 막기위하여
(정답률: 57%)
  • 알루미늄은 높은 열팽창률을 가지고 있어, 용접 시 온도가 높아지면 급격한 팽창으로 인해 용접면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하기 전에 알루미늄을 미리 가열하여 팽창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AN315D-5R너트의 규격을 식별하는 방법에서 5의 의미는?

  1. 사용 볼트의 재질
  2. 사용 볼트의 지름
  3. 사용 볼트의 길이
  4. 사용 볼트의 나사산
(정답률: 56%)
  • AN315D-5R 너트에서 5는 사용하는 볼트의 지름을 나타냅니다. 이는 너트와 볼트가 함께 사용될 때, 너트의 크기가 볼트의 지름과 일치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5R 너트는 지름이 5인 볼트와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검출하기 쉬운 결함 방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자분탐상검사:자속과 직각방향
  2. 초음파검사:초음파 진행방향과 평행한 방향
  3. 와전류검사:소용돌이 전류흐름을 차단하는 방향
  4. 방사선검사:방사선 진행방향과 평행한 방향
(정답률: 49%)
  • 초음파검사에서 검출하기 쉬운 결함 방향은 "초음파 진행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아니라 "초음파 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입니다. 이유는 초음파는 결함이 있는 부분에서 반사되어 돌아오기 때문에, 결함이 있는 부분과 수직인 방향에서 반사파가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간접 육안검사(Visual Inspection)용 장비가 아닌 것은?

  1. 카메라
  2. 검사용 거울
  3. 확대경
  4. 블랙 라이트
(정답률: 74%)
  • 블랙 라이트는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대상을 보조하는 장비가 아니라, 빛의 파장을 이용하여 물질의 특성을 파악하는 분석용 장비입니다. 따라서 간접 육안검사용 장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항공기 세척제 중 그리이스, 오일, 타르(Tar) 등과 같은 것이 심하게 오염된 부분을 제거하는데 특히 유용한 것은?

  1. 워터 에멀션 세척제(Water emulsion cleaner)
  2. 솔벤트 에멀션 세척제(Solvent emulsion cleaner)
  3. 세척용 컴파운드(Cleaning compound)
  4. 중조(Baking soda)
(정답률: 84%)
  • 솔벤트 에멀션 세척제는 그리이스, 오일, 타르와 같은 오염물질을 용해시키는 솔벤트와 함께 물과 에멀젼을 형성하여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기 세척에서는 이러한 오염물질이 많이 존재하는 부분을 세척할 때 솔벤트 에멀션 세척제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공항 시설물과 각종 장비에는 안전색채가 표시되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녹색의 안전색채 표시는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가?

  1. 검사중인 장비
  2. 응급처치장비
  3. 보일러
  4. 전원스위치
(정답률: 85%)
  • 녹색의 안전색채 표시는 "안전"을 나타내며, 응급처치장비는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응급처치를 위한 장비이기 때문에 녹색의 안전색채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 ) 안에 알맞는 말은?

  1. Turnbuckle
  2. Tension regulator
  3. Pully
  4. Tension meter
(정답률: 59%)
  • 이 그림에서는 긴 철사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데, 이 장치는 긴 철사를 늘리거나 줄이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철사의 긴장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은 "Tension regulat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밑줄친 부분을 의미하는 올바른 단어는?

  1. 수평안정판
  2. 수직안정판
  3. 수직축
  4. 수평축
(정답률: 82%)
  • 이 그림은 수직안정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수직안정판은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 안정적인 구조물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위쪽으로 작용하는 힘이 있을 때, 수직안정판이 이를 받아들여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직안정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최소 측정값이 1/50 mm인 버니어 캘리퍼스에서 다음 그림의 측정값은 얼마인가?

  1. 4.52
  2. 4.70
  3. 4.72
  4. 4.75
(정답률: 80%)
  • 버니어 캘리퍼스의 최소 측정값이 1/50 mm이므로, 가장 가까운 1/50 mm 단위로 측정한 값이 정답이 됩니다. 그림에서 측정한 값은 4.72 mm이므로, 정답은 4.7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비파괴 검사법 중 안전에 가장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는 검사법은?

  1. 와전류 검사
  2. 방사선 투과 검사
  3. 침투탐상 검사
  4. 자분탐상 검사
(정답률: 80%)
  • 방사선 투과 검사는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를 살펴보는 검사법으로, 검사 대상물에 직접적인 접촉이 필요하지 않아 안전에 가장 철저한 관리가 요구됩니다. 방사선은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검사 시에는 안전장치를 철저히 준비하고, 검사자들은 방사선 안전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검사 대상물의 방사선 안전성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나사산에 기름이나 그리스가 묻어있을 경우 볼트의 조임 상태는 어떠한가?

  1. 과소 토큐
  2. 정확한 토큐
  3. 드라이 토큐
  4. 과다 토큐
(정답률: 85%)
  • 나사산에 기름이나 그리스가 묻어있을 경우 볼트의 조임 상태는 "과다 토큐"입니다. 이는 기름이나 그리스로 인해 볼트가 미끄러워져서 정확한 토큐를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과다한 토큐를 적용하여 볼트를 조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항공기가 이륙하여 착륙할 때 까지의 시간으로 정비분야에서 사용하는 시간은?

  1. 운항시간
  2. 비행시간
  3. 실제비행시간
  4. 사용시간
(정답률: 50%)
  • 항공기가 이륙하여 착륙할 때까지의 시간은 실제로 비행하는 시간이 아니라, 항공기가 사용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 시간에는 이륙 전후의 점검, 연료 보충, 기타 유지보수 작업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이 시간을 정비분야에서 사용하는 시간으로 지칭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기 견인 속도가 틀린 것은?

  1. 시속 8km이다.
  2. 보행 속도이다.
  3. 5mph이다.
  4. 시속 10km이다.
(정답률: 82%)
  • 항공기를 견인할 때는 일반적으로 시속 10km 이상의 속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시속 10km이다."가 정답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항공기 견인에는 적합하지 않은 속도나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C급 화재시 사용되는 소화기 중 가장 알맞은 것은?

  1. CO2소화기, CBM 소화기
  2. CBM 소화기, 소화전 소화기
  3. form 소화기, 분말 소화기
  4. 소화전 소화기, 분말 소화기
(정답률: 77%)
  • C급 화재는 전기기기, 전선, 전기판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전기를 차단하고 불꽃을 직접 소화할 수 있는 소화제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CO2 소화기와 CBM 소화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CO2 소화기는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산소를 차단하고 불꽃을 직접 소화합니다. CBM 소화기는 전기기기 내부에 분사되어 전기를 차단하고 불꽃을 직접 소화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소화기가 C급 화재에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기에 급유 또는 배유 시에는 반드시 정전기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3점 접지를 해야한다. 3점 접지와 관계 없는 것은?

  1. 항공기와 사람
  2. 항공기와 연료차
  3. 항공기와 지면
  4. 연료차와 지면
(정답률: 87%)
  • 3점 접지는 항공기와 지면, 연료차와 지면 간의 전기적 차이를 최소화하여 정전기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것입니다. 항공기와 사람은 정전기로 인한 화재 예방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기를 정비하거나 검사할 때 점검창(access panel)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기능을 하는 특수고정 부품은 어느 것인가?

  1. 턴 로크 패스너
  2. 고전단 리벳
  3. 고정 볼트
  4. 조볼트
(정답률: 77%)
  • 턴 로크 패스너는 회전하는 동작으로 점검창을 열고 닫을 수 있으며, 고전단 리벳과는 달리 재사용이 가능하고, 고정 볼트와는 달리 특수한 도구 없이도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조볼트와는 달리 높은 품질의 고정력을 가지고 있어 항공기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 정비 및 검사 시에는 턴 로크 패스너가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과 같이 15㎌의 콘덴서를 3개 병렬 연결했을 때의 합성용량은 몇㎌인가?

  1. 50
  2. 45
  3. 15
  4. 4.5
(정답률: 89%)
  • 콘덴서의 병렬 연결은 용량을 합산하는 것이므로, 15㎌ 콘덴서를 3개 병렬 연결하면 용량은 15+15+15=4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교류의 실효값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같은 열을 발생시키는 직류의 값
  2. 평균 주파수에 의한 값
  3. 최대값의 1/2
  4. 위상차를 무시한 값
(정답률: 42%)
  • 교류의 실효값은 같은 열을 발생시키는 직류의 값입니다. 이는 교류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면서 양의 값과 음의 값이 번갈아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평균화하여 얻은 값이 직류와 같은 열을 발생시키는 값이 됩니다. 따라서 교류의 실효값은 직류와 비교하여 해당 회로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은 회로 차단기의 표시 그림이다. 그림의 표시 방법은 어떤 형의 회로차단기 인가?

  1. 푸시형(Push-breaker)
  2. 푸시풀형(Push-pull breaker)
  3. 스위치형(Switch breaker)
  4. 자동재접속형(Automatic reset breaker)
(정답률: 60%)
  • 이 그림은 푸시풀형 회로차단기를 나타낸 것입니다. 이유는 회로차단기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푸시 버튼이 있으며, 이 버튼을 눌러서 회로를 차단하거나 해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회로차단기의 왼쪽과 오른쪽에는 각각 연결된 전선이 있으며, 이는 푸시 버튼을 눌렀을 때 회로를 차단하거나 해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푸시풀형 회로차단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도체(conductor)내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기전력
  2. 전류
  3. 저항
  4. 전력
(정답률: 84%)
  • 저항은 전류가 흐르는 도체 내에서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2개의 코일과 그 코일이 감겨져 있는 철심으로 구성되어 전압을 올리거나 내려주는 장치는 어느 것인가?

  1. 정류기
  2. 인버어터
  3. 변압기
  4. 변류기
(정답률: 75%)
  • 변압기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2개의 코일과 그 코일이 감겨져 있는 철심으로 구성되어 전압을 올리거나 내려주는 장치입니다. 즉, 입력 전압을 출력 전압으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장비

41. 발전기의 출력쪽과 버스 사이에 장착하여 발전기의 출력 전압이 낮을 때 축전지로 부터 발전기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는?

  1. 역전류 차단기
  2. 보극
  3. 전압 조절기
  4. 정속구동장치
(정답률: 88%)
  • 역전류 차단기는 발전기의 출력 전압이 축전지의 전압보다 낮아지면 축전지로부터 발전기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이는 축전지의 전압이 발전기의 전압보다 높아지면 발전기에서 축전지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 역전류 차단기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서 역전류를 차단하여 발전기와 축전지의 안전한 운전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열전쌍식 온도계에 사용되는 열전쌍의 재료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티타늄 - 구리
  2. 크로멜 - 알루멜
  3. 철 - 콘스탄탄
  4. 구리 - 콘스탄탄
(정답률: 63%)
  • 열전쌍은 두 개의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금속의 열전기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열전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열전쌍의 재료는 열전기적 특성이 다른 두 금속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티타늄과 구리는 열전기적 특성이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열전쌍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티타늄 - 구리"가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반면에 크로멜 - 알루멜, 철 - 콘스탄탄, 구리 - 콘스탄탄은 열전기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열전쌍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항공기의 고도를 구분할 때 해면상으로 부터의 고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진고도
  2. 절대고도
  3. 기압고도
  4. 밀도고도
(정답률: 68%)
  • 해면상으로부터의 고도를 "진고도"라고 부릅니다. 이는 항공기가 비행 중에 기압의 변화나 대기의 밀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고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고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진고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기콤파스 주위의 자성체 및 전기기기의 영향으로 생기는 오차를 보정해 주는 작업은?

  1. 자이로 수정
  2. 콤파스 수정
  3. 자기 수정
  4. 자차 수정
(정답률: 62%)
  • 자기콤파스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하여 방향을 찾는데, 주위의 자성체나 전기기기의 영향으로 인해 정확한 방향을 찾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자기콤파스의 오차를 보정해 주는 작업을 자차 수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차 수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본적인 유압계통 중 핸드펌프에서 선택밸브 까지의 계통은?

  1. 공급계통
  2. 작동계통
  3. 비상계통
  4. 귀환계통
(정답률: 57%)
  • 핸드펌프는 비상 상황에서 사용되는 장치이기 때문에, 선택밸브까지의 계통은 비상계통으로 구성됩니다. 비상계통은 주로 비상 상황에서 사용되는 유압계통으로, 일반적으로 별도의 유압실린더나 모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로 작동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유압저장탱크와 유압배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핸드펌프에서 선택밸브까지의 계통은 비상계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항공기 계통에서 사용되고 있는 작동유 튜브(Tube)의 Flaring 각도에서 표준이 되는 것은?

  1. 15°
  2. 37°
  3. 50°
  4. 74°
(정답률: 61%)
  • 항공기 계통에서 사용되는 작동유 튜브의 Flaring 각도는 37°이다. 이는 AN 표준(미국 국방부 규격)으로 정해진 것으로, 이 각도는 최적의 밀착성과 높은 내구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또한, 이 각도는 다양한 유형의 튜브와 호스에 적용될 수 있어서 표준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윈드 시일드 패널(Windshield panel)의 외측판 안쪽면에 붙어 있는 금속산화피막(Nesa)의 기능에 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윈드 시일드의 방빙(Anti - Icing) 및 서리 제거(Anti - Fog)를 위한 것이다.
  2. 윈드 시일드 패널이 여압 압력에 견디도록 해주는 보강막이다.
  3. 비행중 새등의 충돌로부터 윈드 시일드를 보호해주기 위한 막이다.
  4. 동체와 윈드 시일드 사이의 틈새로 여압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막이다.
(정답률: 56%)
  • 윈드 시일드 패널의 외측판 안쪽면에 붙어 있는 금속산화피막(Nesa)은 윈드 시일드의 방빙(Anti - Icing) 및 서리 제거(Anti - Fog)를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압축공기에 의한 제빙계통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가압진공펌프
  2. 가압 - 진공 릴리이프 밸브
  3. 윈드 시일드
  4. 싸이클 타이머
(정답률: 65%)
  • 윈드 시일드는 압축공기에 의한 제빙계통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윈드 시일드는 차량의 앞 유리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 제빙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이로의 섭동성이란?

  1. 자이로에 외력을 가하지 않는한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는 성질
  2. 자이로에 외력을 가하면 그 힘의 방향으로 자세가 변하는 성질
  3. 자이로에 외력을 가하면 가한 점으로부터 회전방향으로 90도 진행된 점에 작용하는 성질
  4. 자이로에 외력을 가하면 방향, 자세가 변하지 않는 성질
(정답률: 59%)
  • 자이로의 섭동성은 외력을 가하면 그 힘의 방향으로 자세가 변하는 것이 아니라, 가한 점으로부터 회전방향으로 90도 진행된 점에 작용하는 성질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자이로스코프가 회전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중요한 성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축전지에서 발전기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는?

  1. 전압조절기
  2. 역전류 차단기
  3. 정속구동장치
  4. 정류기
(정답률: 79%)
  • 축전지에서 발전기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는 역전류 차단기입니다. 이는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역전류를 차단하여 축전지에 역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역전류는 축전지의 전하를 소모시키고 축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기 때문에 역전류 차단기는 축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객실 고도(Cabin Altitude)란?

  1. 실제 비행하는 고도
  2. 절대고도
  3. 밀도고도
  4. 객실내의 기압에 해당되는 고도
(정답률: 92%)
  • 객실 고도는 비행기 내부의 기압을 나타내는 고도로, 객실 내부의 대기압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객실 고도는 객실 내부의 기압에 해당되는 고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상에서 항공기에 장착된 Generator(제너레이터)가 가동되지 않을 때 항공기 전기계통의 작동을 위해 항공기에 400Hz, 115/200V, AC Power(파워)를 공급하는 장비는?

  1. G.T.C(Gas Turbine Compressor)
  2. G.P.U(Ground Power Unit)
  3. HT-LIFT CAR(하이 리프트 카)
  4. HEATER(히이터)
(정답률: 92%)
  • Generator가 가동되지 않을 때 항공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지상에서 외부 전원이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장비가 G.P.U(Ground Power Unit)입니다. G.P.U는 항공기에 400Hz, 115/200V, AC Power를 공급하여 항공기 전기계통의 작동을 유지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공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보조동력장치(APU)가 자동 정지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APU의 화재 발생시
  2. 배기가스 온도 한계치 초과시
  3. 냉각팬 공기 흡입구가 크게 열릴 때
  4. 밧데리 전압 저하시
(정답률: 63%)
  • APU의 냉각팬은 열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를 흡입합니다. 냉각팬 공기 흡입구가 크게 열리면, 냉각팬이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하여 열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것은 APU가 자동 정지되는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자이로의 편위(drift)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랜덤 편위
  2. 지구의 자전에 의한 편위
  3. 로터의 회전수
  4. 이동에 의한 편위
(정답률: 43%)
  • 자이로의 편위는 자이로스코프의 정확도를 저해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이 중에서 로터의 회전수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로터의 회전수는 자이로스코프의 회전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로터의 회전수가 변화하면 자이로스코프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반면에 랜덤 편위, 지구의 자전에 의한 편위, 이동에 의한 편위는 자이로스코프의 정확도를 저해시키는 다른 요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열팽창 계수가 각각 다른 2개의 금속조각을 서로 맞붙여 놓으면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에 차이가 생기게 되는데, 이 때의 변위량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1. 증기압식 온도계
  2. 전기저항식 온도계
  3. 바이메탈식 온도계
  4. 열전쌍식 온도계
(정답률: 74%)
  • 바이메탈식 온도계는 열팽창 계수가 각각 다른 2개의 금속조각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온도계입니다. 이 온도계는 금속 조각들이 온도 변화에 따라 각각 다른 팽창률을 가지기 때문에, 금속 조각들이 이어져 있는 끝 부분이 휘어지게 됩니다. 이 휘어진 정도를 측정하여 온도를 알아내는 것이 바이메탈식 온도계의 원리입니다. 따라서, 바이메탈식 온도계는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하며, 일상 생활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온도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정압튜브(Static Pressure Source)를 동체 양쪽에 두는 가장 큰 이유는?

  1. 배관에 소요되는 튜브(Tube)재료를 적게 들이기 위하여
  2. 결빙 예방책
  3. 선회시 오차를 적게하기 위하여
  4. 피이토우-튜브(Pitot-Tube)는 장착오차가 없으므로
(정답률: 72%)
  • 정압튜브는 동체 주변의 정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이를 동체 양쪽에 두는 이유는, 선회시에도 정압튜브가 항상 정확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정압튜브를 한쪽에만 두게 되면, 선회시에는 정압튜브가 동체의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압력을 측정하게 되므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압튜브를 동체 양쪽에 두어서 선회시에도 정확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엔진이 작동하지 않을 때 왕복엔진 다기관 압력게이지가 지시하는 값은?

  1. 다기관 압력과 대기압의 차이
  2. 현재의 대기압
  3. 영압(Zero Pressure)
  4. 수정된 차압
(정답률: 49%)
  • 엔진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다기관 압력게이지가 현재의 대기압을 지시합니다. 이는 엔진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엔진 내부에서 압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기관 압력게이지는 주변 대기압을 측정하여 현재의 대기압을 지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항공기의 착륙시에 바퀴의 회전수를 수감하여 제동시에 바퀴의 미끄러짐 현상을 최소화하여 브레이크 제동효율을 높이는 계통은?

  1. 독립브레이크 계통
  2. 비상 브레이크 계통
  3. 안티스키드 계통
  4. 노즈 스티어링 계통
(정답률: 85%)
  • 안티스키드 계통은 바퀴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브레이크 제동시에 바퀴의 미끄러짐을 최소화하여 제동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항공기의 착륙시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공기압 계통에서 공기 실린더 내부에 있는 스택 파이프(Stack pipe)의 기능은?

  1. 항공기관이 작동하지 않을 때 계통에 공기를 공급 한다.
  2. 지상에서 공기를 보급시킬 때 사용된다.
  3. 수분이나 윤활유가 계통으로 섞여 나가지 않도록 한다.
  4. 압력 서어지 현상을 방지한다.
(정답률: 52%)
  • 스택 파이프는 공기 실린더 내부에서 공기가 출입하는 입구와 출구를 분리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공기압 계통에서 수분이나 윤활유와 같은 불순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분이나 윤활유가 계통으로 섞여 나가지 않도록 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유압계통 펌프의 공급관이나 출구쪽에 거품이 생기면 공기가 섞인 작동유를 저장 탱크로 되돌아가게 하는 밸브는?

  1. 릴리이프 밸브
  2. 프라이오리티 밸브
  3. 퍼어지 밸브
  4. 디부우스터 밸브
(정답률: 42%)
  • 퍼어지 밸브는 유압계통에서 공기가 섞인 작동유를 저장 탱크로 되돌아가게 하는 밸브입니다. 이는 유압계통에서 공기가 섞이면 작동유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퍼어지 밸브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바꾸어 공기가 저장 탱크로 퍼지도록 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