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9-02)

교통기사
(2007-09-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교통계획

1. 사람 통행 실태조사 결과에 따른 전수화(全數化)과정으로 옳은 것은?

  1. 통행자·비통행자 구분 → 목적·수단통행구분 → 기본 O-D표 구축 → 전수화O-Dvy 도출 → 신뢰성 검증
  2. 통행자·비통행자 구분 → 지역별통행구분 → 전수화계수 산출 → 기본O-D표 구축 → 전수화 O-D표 도출
  3. 통행자·비통행자 구분 → 가구면접조사자료 수정 → 기본O-D표 구축 → 전수화 O-D표 도출 → 신뢰성 검증
  4. 통행자·비통행자 구분 → 목적·수단통행구분 →전수화O-D표 도출 → 기본O-D표 구축 → 신뢰성 검증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통행자·비통행자 구분 → 목적·수단통행구분 → 기본 O-D표 구축 → 전수화O-Dvy 도출 → 신뢰성 검증"입니다. 이유는 사람 통행 실태조사 결과를 전수화하는 과정에서는 먼저 통행자와 비통행자를 구분하고, 그들의 목적과 수단을 구분하여 기본 O-D표를 구축합니다. 그 후에 전수화 O-Dvy를 도출하고, 이를 신뢰성 검증합니다. 이 과정은 조사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적인 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출발지, 목적지별 교통량조사(Origin and Destination Survey)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터미널 승객조사
  2. 폐쇄선조사
  3. 시험차 주행에 의한 방법
  4. 가구방문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시험차 주행에 의한 방법은 출발지와 목적지별 교통량을 조사하는 방법이 아니라, 도로나 교통체계의 안전성, 효율성 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도로 건설 혹은 개선 전에 시행되며, 도로의 기하학적 특성, 교통흐름, 교통안전 등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차량을 운행하면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Cordon line 설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행정구역 경계선
  2. 도로나 철도 노선
  3. 행정동(洞)의 위치
  4. 통행량 분포도
(정답률: 알수없음)
  • Cordon line 설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주로 교통 현황과 인구 분포 등이며,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통행량 분포도"이다. 이는 Cordon line 설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Cordon line 설정 이후에는 통행량 분포도를 고려하여 교통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따라서 Cordon line 설정시에는 행정구역 경계선, 도로나 철도 노선, 행정동의 위치 등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국 도로망의 주 골격을 형성하는 주요도로는?

  1. 주 간선 도로
  2. 집산 도로
  3. 국지 도로
  4. 보조 간선도로
(정답률: 알수없음)
  • 주 간선 도로는 전국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도로로, 국내외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망 역할을 합니다. 이에 비해 집산 도로는 주거지역을 연결하는 도로, 국지 도로는 지방의 중요한 도시나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 보조 간선도로는 지역 내부의 작은 도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전국 도로망의 주 골격을 형성하는 주요도로는 주 간선 도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집계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각 존별 교통수단분담율을 추정하고자 할 때 적합하지 않는 설명변수는?

  1. 통행시간
  2. 승용차선택확률
  3. 통행비용
  4. 차외통행시간(접근시간 등)
(정답률: 알수없음)
  • 집계 로짓모형은 개별적인 교통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설명변수로 사용하여 교통수단 선택 확률을 추정하는 모형이다. 따라서 적합한 설명변수는 교통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어야 한다. "통행시간", "통행비용", "차외통행시간(접근시간 등)"은 교통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므로 적합한 설명변수이다. 하지만 "승용차선택확률"은 이미 교통수단 선택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이므로 설명변수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승용차선택확률"은 적합하지 않은 설명변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통행배분 방법 중 용량제약(Capacity Constraint)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분할배분법(Incremental Assignment)
  2. 반복배분법(iterative Assignment)
  3. All-or-Nothing 배분법
  4. 확률적 배분법(Probabilistic Assignment)
(정답률: 알수없음)
  • All-or-Nothing 배분법은 용량제약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 방법은 각 경로에 대해 전체 용량을 할당하거나 할당하지 않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경로의 용량이 부족하거나 남아도 전체 용량을 할당하거나 할당하지 않는다. 이 방법은 경로의 용량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용량제약 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A와 B의 2존간 현재통행량이 100통행이고 A존의 통행발생량은 현재이 150통행에서 장래 225통행으로, B 존의 통행발생량은 현재이 200통행에서 장래 700통행으로 예측될 경우 장래 존 AB간 통행량을 평균인자(성장인자)모형으로 예측한 값은?

  1. 100
  2. 200
  3. 250
  4. 300
(정답률: 70%)
  • 장래 존 AB간 통행량을 평균인자(성장인자)모형으로 예측한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B간 현재통행량 = 100
    A존의 성장인자 = (225 / 150) = 1.5
    B존의 성장인자 = (700 / 200) = 3.5

    AB간 장래통행량 = AB간 현재통행량 * ((A존의 성장인자 + B존의 성장인자) / 2)
    = 100 * ((1.5 + 3.5) / 2)
    = 100 * 2.5
    = 250

    따라서, 정답은 "250"이다. 이는 A존과 B존의 성장인자를 평균한 값인 2.5를 AB간 현재통행량에 곱한 것으로, A존과 B존의 통행발생량이 증가할 경우 AB간 통행량도 비례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통행 발생 모형중의 하나로서 통행발생량과 같은 종속변수를 소득이나 자동차 보유대수 등의 설명 변수들에 의해 교차분류시켜 도출해 내는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 모형은?

  1. 로짓모형
  2. 카테고리분석법
  3. 다중회구분석법
  4. 프라타법
(정답률: 알수없음)
  • 카테고리분석법은 통행 발생량과 같은 종속변수를 설명 변수들에 의해 교차분류시켜 도출해 내는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 모형입니다. 이 모형은 설명 변수들이 범주형 변수일 경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각 범주별로 종속변수의 값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고려하여 분석합니다. 따라서 카테고리분석법이 정답입니다. 로짓모형은 이진 분류 문제에 적용되는 모형이며, 다중회귀분석법은 연속형 종속변수를 가지는 문제에 적용되는 모형입니다. 프라타법은 데이터의 특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모형을 선택하는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일반적으로 교통기관의 서비스 수준에 가장 둔감한 통행목적은?

  1. 업무통행
  2. 통근통행
  3. 쇼핑통행
  4. 자유통행
(정답률: 67%)
  • 통근통행은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출퇴근 등 일상 생활에서 필수적인 이동이기 때문에, 교통기관의 서비스 수준이 낮아도 대체 수단이 없어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통근통행이 일반적으로 교통기관의 서비스 수준에 가장 둔감한 통행목적으로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시교통계획 수립시 가구조사를 위하여 표본크기를 결정할 때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연구목적 및 자료의 용도
  2. 통계적인 정확도
  3. 전수화방법
  4. 연구 범위내의 인구
(정답률: 알수없음)
  • 전수화 방법은 표본 추출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가구조사에서 표본크기를 결정할 때 고려되지 않는다. 전수화 방법은 모집단 전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모든 대상을 조사하기 때문에 표본크기를 결정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어느 주차장의 평균 주차시간은 2시간이다. 한 대의 차량이 도착했을 때 이 차량이 1시간 미만 주차할 확률은? (단, 주차시간의 분포는 음지수분포를 따른다.)

  1. 33.3%
  2. 35.3%
  3. 37.3%
  4. 39.3%
(정답률: 40%)
  • 음지수분포에서 평균은 2시간이므로, 파라미터 λ는 1/2이다. 이때, 1시간 미만 주차할 확률은 다음과 같다.

    P(X<1) = 1 - P(X≥1) = 1 - (1 - e^(-λ*1)) = e^(-λ*1) = e^(-1/2) ≈ 0.393

    따라서, 정답은 "39.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경제성 평가기법 중 내부수익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업의 수익성을 측정할 수 있다.
  2. 평가과정과 결과를 이해하기 어렵다.
  3. 다른 대안과 비교하기 어렵다.
  4. 사업의 절대적인 규모를 고려하지 못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수익률은 투자한 자본에 대한 수익률을 나타내는 지표로, 투자한 자본에 대한 현금흐름의 현재 가치와 투자한 자본이 같아지는 이윤률을 의미한다. 따라서 내부수익률은 사업의 수익성을 측정할 수 있지만, 사업의 규모를 고려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사업이 있을 때 내부수익률이 높은 사업이 더 수익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두 사업의 규모가 크게 차이나면 내부수익률만으로는 비교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업의 규모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다른 경제성 평가기법과 함께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교통수단의 특성에 따른 통행자의 선택이 아니라 사회, 경제변수에 따라 선택패턴이 결정되며, 통행발생과 통행분포 단계 사이에 사용되는 교통수단선택모형은?

  1. 통행단모형
  2. UMODEL 형
  3. UMTA모형
  4. 통행교차모형
(정답률: 알수없음)
  • 통행단모형은 교통수단 선택이 개인의 선택이 아닌 사회, 경제적인 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전제로 하며, 통행발생과 통행분포 단계 사이에 사용되는 교통수단 선택 모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통행단모형"입니다. UMODEL 형, UMTA모형, 통행교차모형은 다른 교통 모형들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대중교통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량·집약적이고 비용의 저렴성 등을 나타낸다.
  2. 환경오염이 비교적 적다.
  3. 불특정 다수의 수송에 용이하다.
  4. 수송경로의 유연성이 크다.
(정답률: 90%)
  • 수송경로의 유연성이 크다는 것은 대중교통이 다양한 경로와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지하철, 버스, 택시, 전철 등 다양한 대중교통 수단이 있으며, 이들을 조합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송경로의 유연성이 크다는 것은 대중교통이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통행조사 결과를 검증하거나 보완하기 위해 조사지역 내에 하나 혹은 몇 개의 선을 그어 이 선을 통과하는 차량을 조사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교통존(traffic zone)조사
  2. 폐쇄선(cordon line)조사
  3. 스크린라인(screen line)조사
  4. 희망선(desire line)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린라인 조사는 통행조사 결과를 검증하거나 보완하기 위해 조사지역 내에 하나 혹은 몇 개의 선을 그어 이 선을 통과하는 차량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특정 지점에서의 교통량을 파악할 수 있어 교통체증이나 교통사고 발생 지점 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따라서 정답은 "스크린라인(screen line)조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4단계 교통수요 추정방법에 사용되는 모형이 단계별로 알맞게 제시된 것은?

  1. 원단위법 - 프라타모형 - 로짓모형 – 최단경로법
  2. 간섭회귀모형 - 원단위법 - 프로빗모형 - FHWA모형
  3. 프로빗모형 - 카테고리모형 - 로짓모형 – 용량제약최단경로법
  4. 회구분석법 - 프로빗모형 - 간섭회귀모형 - 최단경로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원단위법 - 프라타모형 - 로짓모형 – 최단경로법"이다.

    - 원단위법: 교통수요를 원 단위로 추정하는 방법
    - 프라타모형: 교통수요를 예측하는 모형 중 하나로,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수식으로 표현하는 방법
    - 로짓모형: 이항 분류 문제를 다루는 통계 모형 중 하나로, 이항 분류 문제란 두 개의 범주 중 하나를 선택하는 문제를 말한다. 교통수요 추정에서는 이항 분류 문제를 다루는 경우가 많다.
    - 최단경로법: 교통망 상에서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최단 경로를 찾는 방법 중 하나로, 교통수요 추정에서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이동 거리나 시간 등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어느 도시에서 한 방향 노선길이가 20km인 버스노선을 왕복운행속도 20km/h, 배차간격 10분으로 운행하고자 한다. 이 노선의 운행을 위한 최소필요 버스대수는?

  1. 6대
  2. 8대
  3. 10대
  4. 12대
(정답률: 알수없음)
  • 한 방향 노선길이가 20km이므로 왕복 거리는 40km이다. 왕복 운행속도가 20km/h이므로 왕복 운행시간은 2시간이다. 배차간격이 10분이므로 1시간에 운행하는 버스 수는 6대이다. 따라서 2시간 동안 운행하는 최소필요 버스대수는 12대이다. 따라서 정답은 "12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통행배분(Trip Assignment)모형 중 정태적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정된 경로비용을 토대로 교통량을 부하한다.
  2. 최소비용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3. 링크교통량이 통행비용에 대해서 매우 민감하게 나타난다.
  4. 다수의 대안적 경로에 교통량이 분산배정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태적 모형에서는 다수의 대안적 경로에 교통량이 분산배정되지 않습니다. 이 모형은 고정된 경로비용을 토대로 교통량을 부하하며, 최소비용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합니다. 또한 링크교통량이 통행비용에 대해서 매우 민감하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다수의 대안적 경로에 교통량이 분산배정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교통수요분석을 통해 구한 도로구간의 년평균 일교통량(ADT)이 25만대이다. 첨두시간 교통량 비율이12%, 스크린 라인 조사결과 구한 교통량이 25000대/시 일 때, 이 도로의 교통량 보정계수는?

  1. 0.10
  2. 0.83
  3. 1.20
  4. 1.25
(정답률: 알수없음)
  • 교통수요분석을 통해 구한 년평균 일교통량(ADT)은 25만대이다. 첨두시간 교통량 비율이 12%이므로, 첨두시간의 일교통량은 25만대 * 0.12 = 3만대이다. 이 도로의 스크린 라인 조사결과 구한 교통량은 25000대/시이므로, 하루의 교통량은 25000대/시 * 24시간 = 60만대이다. 따라서, 이 도로의 교통량 보정계수는 60만대 / 25만대 = 0.8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경제성 분석에 사용되는 순현재 가치(NPV)분석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통사업의 경제성분석시 보편적으로 사용
  2. 편익을 비용으로 나눈 비율의 결과가 가장 큰 대안을 선택하는 방법
  3. 할인율을 적용하여 장래의 비용, 편익을 현재 가치화
  4. 대안 선택에 있어서 정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다른 대안과 비교하기 용이
(정답률: 84%)
  • "편익을 비용으로 나눈 비율의 결과가 가장 큰 대안을 선택하는 방법"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NPV 분석법에서 편익과 비용을 현재 가치화하여 더한 후, 편익을 비용으로 나눈 비율을 계산하여 가장 큰 대안을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경제성 분석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대안 선택에 있어서 정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다른 대안과 비교하기 용이합니다. 또한 할인율을 적용하여 장래의 비용, 편익을 현재 가치화하여 분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교통공학

21. 차량이 움직이는데 발생되는 저항 중 노면과 타이어의 마찰 및 엔진 압축에 따른 내부저항 또는 에너지 손실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공기저항
  2. 곡률저항
  3. 회전저항
  4. 경사저항
(정답률: 알수없음)
  • 차량이 움직이는 동안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과 엔진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축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을 회전저항이라고 합니다. 이는 차량의 움직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차량의 속도와 질량 등에 따라 변화합니다. 따라서 회전저항은 차량의 운행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20/2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가 80m의 거리에서 교통표지판을 읽을 수 있다. 만약, 이 교통표지판내 글자크기가 15cm 라고 하면 20/5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는 이 표지판을 읽기 위해 얼마의 거리가 필요한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6m
  2. 31m
  3. 40m
  4. 48m
(정답률: 알수없음)
  • 20/5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는 20/2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보다 더 가까이서 교통표지판을 읽어야 한다. 따라서, 20/5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가 교통표지판을 읽기 위해서는 80m보다 더 가까이 다가가야 한다.

    시력은 거리와 글자크기의 비례식인 "시력 = 거리 / 글자크기"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20/5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가 15cm의 글자크기를 가진 교통표지판을 읽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0/50 = 거리 / 15cm

    거리 = 20/50 x 15cm = 6m

    즉, 20/5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는 6m 이내에서 교통표지판을 읽을 수 있다. 따라서, 80m보다 더 가까이 다가가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는 6m보다 큰 값만 존재한다. 따라서, 20/5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가 교통표지판을 읽기 위해 필요한 거리는 31m이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어떤 차량이 시속 50kph로 40km를 주행하고 60kph로 20km를 40kph로 50km를 주행하였다. 전체 구간의 공간평균 속도는?

  1. 50.00km/h
  2. 47.27km/h
  3. 46.15km/h
  4. 43.25km/h
(정답률: 알수없음)
  • 전체 거리는 40km + 20km + 50km = 110km 이고, 전체 시간은 (40km ÷ 50kph) + (20km ÷ 60kph) + (50km ÷ 40kph) = 0.8시간 + 0.33시간 + 1.25시간 = 2.38시간 이다. 따라서, 전체 구간의 공간평균 속도는 110km ÷ 2.38시간 = 46.15km/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지점 속도의 빈도 분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85% 속도는 그 교통류내에서 합리적인 속도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2. 최빈 10kph 속도는 10kph 속도 범위안에서 빈도수가 가장 많은 속도 범위를 나타낸다.
  3. 보통 85% 속도를 실제 현장의 도로조건에 적합한 교통운영계획을 세우는데 기준 속도로 삼는다.
  4. 속도의 중앙값이 항상 50% 속도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속도의 중앙값이 항상 50% 속도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중앙값은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정렬했을 때 가운데 위치한 값으로, 전체 데이터의 50%보다는 작거나 같은 값이다. 따라서 속도의 중앙값이 항상 50% 속도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분포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의 속도-밀도 모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직선모형은 사용하기가 간편하며 현장 관측자료와 비교적 잘 맞는다.
  2. Greenberg의 지수모형은 낮은 밀도에서는 잘 맞으나 혼잡한 교통류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3. UnderWood의 지수모형은 고속에서의 속도 추정값이 현장 측정값과 동일하게 나타난다.
  4. Greenberg 식에 의하면 밀도가 최대가 되면 속도는 최대 속도의 1/2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직선모형은 사용하기가 간편하며 현장 관측자료와 비교적 잘 맞는다." 이다.

    직선모형은 속도와 밀도 간의 선형적인 관계를 가정하는 모형으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고 현장에서 측정한 데이터와 비교적 잘 일치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Greenberg의 지수모형은 낮은 밀도에서는 잘 맞지만 혼잡한 교통에서는 적합하지 않으며, UnderWood의 지수모형은 고속에서의 속도 추정값이 현장 측정값과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제외하면 특별한 장점이 없다.

    또한 Greenberg 식에 의하면 밀도가 최대가 되면 속도는 최대 속도의 1/2이 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평균 차두시간이 3초/대인 교통류율이 교통밀도가 50대/km 라면 공간평균속도는 얼마인가?

  1. 150km/h
  2. 24km/h
  3. 16.7km/h
  4. 75km/h
(정답률: 알수없음)
  • 공간평균속도 = 교통밀도 / 대인당 차량수 * 평균 차두시간 * 3.6

    = 50 / 1 * 3 * 3.6

    = 540 / 3

    = 180 km/h

    하지만, 실제 도로에서는 교통 신호, 교통 체증, 도로 상황 등으로 인해 이론적인 속도보다는 느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이론적인 속도보다는 현실적인 속도를 고려하여 "24km/h"를 정답으로 제시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용량산정시 적용되는 다차로도로의 이상적인 조건이 아닌 것은?

  1. 측방여유폭 : 1.5m 이상
  2. 차로폭 : 3.5m 이상
  3. 유출입 지점수 : 1개/km
  4. 신호등 밀도 : 0개/km
(정답률: 알수없음)
  • 다차로도로의 이상적인 조건에서는 유출입 지점수가 적을수록 좋습니다. 이유는 유출입 지점이 많을수록 차량의 이동 속도가 느려지고 교통 체증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출입 지점수 : 1개/km"는 이상적인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과 같은 조건일 때 첨두시간계수(PHF)는?

  1. 0.71
  2. 0.35
  3. 1.2
  4. 3.5
(정답률: 알수없음)
  • 첨두시간계수(PHF)는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주파수가 0Hz인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들 중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비율을 의미한다.

    주어진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최대값은 14, 최소값은 2이다. 따라서 PHF는 (14-2)/(14+2) = 0.71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고속도로 기분구간의 용어에 대한 설명 중 ( )안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1. ① 100m, ② 200m
  2. ① 200m, ② 500m
  3. ① 500m, ② 1000m
  4. ① 1000m, ② 2000m
(정답률: 64%)
  • 이미지에서 보이는 기분구간은 고속도로에서 운전자들이 지루하거나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 구간을 말합니다. 이 구간에서는 운전자들의 주의를 높이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휴게소, 휴게시설, 경고표지 등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 )안에 들어갈 말은 이 구간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길이가 길어질수록 운전자들의 주의를 높이기 위한 시설물이 더 많이 설치되어 있을 것이므로, ① 500m, ② 1000m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교통체계관리기법(TSM)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규모 투자사업이 보완
  2. 기존시설 및 서비스의 효율적인 활용
  3. 장기적 편익
  4. 도시교통체계의 양보다 질 위주의 전략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교통체계의 양보다 질 위주의 전략"은 TSM의 특성 중 하나가 아니며,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TSM은 교통체계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개선하고, 환경오염을 줄이는 등의 목적으로 기존 시설 및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대규모 투자사업을 보완하는 전략입니다. 또한, 장기적인 편익을 추구하는 것도 TSM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어떤 특정한 법칙없이 T형 교차로이 한 방향에 도착하는 차량의 70%가 좌회전하고 나머지는 우회전 한다고 한다. 10대의 차량이 한 방향에 도착했을 때 정확히 3대가 우회전할 확률은 얼마인가?

  1. 0.009
  2. 0.267
  3. 0.367
  4. 0.454
(정답률: 알수없음)
  • 우회전하는 차량의 수는 10 x 0.3 = 3 대이다. 따라서 우회전하는 차량이 3대일 확률은 1이다. 좌회전하는 차량의 수는 10 x 0.7 = 7 대이다. 이 중에서 3대가 우회전하지 않고 좌회전할 확률은 7C3 / 10C3 = 35 / 120 = 0.292 이다. 따라서 3대가 우회전하지 않고 좌회전할 확률은 1 - 0.292 = 0.708 이다. 이 중에서 3대가 우회전할 확률은 3C3 x 7C0 / 10C3 = 1 / 120 이다. 따라서 정확히 3대가 우회전할 확률은 0.708 x 1 / 120 = 0.0059 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0.267"와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이상적 조건하에서의 2차로 지방도로의 시간당 양방향 승용차 교통량은?

  1. 1800대/시
  2. 2200대/시
  3. 2400대/시
  4. 3200대/시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적 조건에서는 도로의 용량(capacity)이 최대가 됩니다. 2차로 지방도로의 용량은 시속 100km로 주행하는 승용차 1대당 약 2000대/시입니다. 따라서 양방향으로 주행하는 승용차 교통량은 2000대/시 x 2 = 4000대/시가 됩니다. 하지만 이상적인 조건에서는 도로의 용량을 85%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실제 교통량은 4000대/시 x 0.85 = 3400대/시 이하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가장 근접한 정답은 "3200대/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고속도로 기본구간의 일반지형에서의 승용차 환산계수 중 틀린 것은?

  1. 평지의 16인승 미만의 승합차는 1.0
  2. 구릉지의 2.5통 이상의 트럭은 5.0
  3. 산지의 2.5톤 미만의 트럭은 1.5
  4. 구릉지의 세미 트레일러는 3.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구릉지의 2.5통 이상의 트럭은 5.0" 이다. 이유는 구릉지는 경사가 심한 지형으로, 트럭이 오르내리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승용차보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승용차 환산계수를 높여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어떤 지역을 출입하는 교통량을 파악하기 위해서 그 지역을 둘러싸고 설치되는 선상에서 교통조사를 실시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가구방문조사
  2. 차량번호판조사
  3. cordon line조사
  4. screen line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cordon line조사는 특정 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선상에서 교통량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해당 지역에 들어오는 차량들의 수와 종류를 파악할 수 있어 교통체증이나 교통사고 예방 등에 활용된다. 따라서 "cordon line조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신호 교차로에서 사용되는 효과척도(MOE)는?

  1. v/c 비
  2. 평균통행속도
  3. 여유용량
  4. 평균제어지체
(정답률: 알수없음)
  • 신호 교차로에서 사용되는 효과척도(MOE) 중 "평균제어지체"는 교차로 내에서 차량들이 신호 제어에 의해 멈추는 시간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교통체증의 정도를 파악하고 교통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인 "v/c 비", "평균통행속도", "여유용량"은 각각 교차로 내 차량 수 대비 도로 용량 비율, 평균 차량 속도, 도로 내 여유 공간 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느 신호교차로에서 보행자 횡단시간이 14초이고 차량의 황색신호가 4초일 때 보행자 횡단방향과 같은 방향의 차량의 최소녹색시간은 얼마인가? (단, 보행자 신호등이 있는 경우)

  1. 16초
  2. 17초
  3. 18초
  4. 19초
(정답률: 알수없음)
  • 보행자가 횡단하는 동안 차량은 멈춰야 하므로, 보행자 횡단시간 14초에 차량의 황색신호 4초를 더해준 18초는 차량이 멈춰있는 시간이다. 따라서, 보행자 신호등이 녹색으로 바뀌었을 때 차량이 출발할 수 있는 최소 시간은 18초 이후이다. 이때, 차량이 녹색신호를 받아 직진할 수 있는 시간은 보통 30초에서 60초 정도이므로, 최소녹색시간은 18초 + 30초 = 48초 이상이 된다. 하지만, 보행자가 횡단하는 동안 차량이 멈춰있는 시간이 더 길어질 수도 있으므로, 최소녹색시간은 48초보다 더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7초"인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18초" 이상인 보기 중에서 "17초"보다 큰 "18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운전자의 인지-반응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추측 - 지각 - 식별 - 행동판단
  2. 지각 - 식별 - 추측 - 행동판단
  3. 지각 - 식별 - 행동판단 - 행동 및 반응
  4. 식별 - 지각 - 행동판단 - 행동 및 반응
(정답률: 73%)
  • 운전자는 먼저 주변 환경을 지각하고, 그것을 식별하여 어떤 상황인지 인지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그 상황에 대해 행동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행동과 반응을 취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지각 - 식별 - 행동판단 - 행동 및 반응"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도시부 교통량 조사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조사지점은 각 지형에서 각 기능별로 분류된 도로의 대표지점에 설치한다.
  2. ADT와 교통량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상시조사, 보정조사, 전역조사 등이 필요하다.
  3. 도시부 도로의 경우 ADT를 추정하는 기술의 필요성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4. 빠른 성장을 나타내는 지역의 경우 안정된 지역에 비해 조사지점의 수가 많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도시부 도로의 경우 ADT를 추정하는 기술의 필요성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입니다. 이유는 도시부 도로의 경우 교통량이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ADT를 추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GPS나 스마트폰 등을 활용한 교통량 측정 기술이 발전하면서 ADT 추정이 필요하지 않아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의 충격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충격파는 상류, 하류측으로 이동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2. 두 교통류간에서 발생하는 충격파의 속도는 교통류율 차이를 점유율 차이로 나눈 값이다.
  3. 저속차량에 의하여 충격파가 발생할 수 있다.
  4. 유체역학적 원리에서 나온 개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체역학적 원리에서 나온 개념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충격파는 유체역학적 원리에서 나온 개념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파동이 발생하는 원리에 따라 발생합니다.

    두 교통류간에서 발생하는 충격파의 속도는 교통류율 차이를 점유율 차이로 나눈 값이라는 것은, 충격파의 속도를 계산하는 공식입니다. 이 공식은 교통공학에서 사용되며,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서 교통 혼잡을 예측하거나 해소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충격파는 상류와 하류측으로 이동하거나 정지할 수 있으며, 저속차량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신호교차로 감응신호제어(actuated control)시 기대할 수 없는 기능은 무엇인가?

  1. 실시간 녹색시간 조절
  2. 실시간 현시 생략
  3. 실시간 현시순서 조절
  4. 실시간 주기길이 조절
(정답률: 알수없음)
  • "실시간 현시순서 조절"은 감응신호제어에서 기대할 수 없는 기능이다. 이는 신호교차로에서 차량이 도로를 횡단할 때, 실시간으로 현재 상황에 맞게 신호를 제어하는 것으로, 차량의 도착 순서에 따라 신호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상황에 맞게 신호를 제어하기 때문에 도착 순서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이 기능은 감응신호제어에서 기대할 수 없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교통시설

41. 도시내 도로의 규모별 구분 중 대로의 기준은?

  1. 폭 15m 이상 25m 미만인 도로
  2. 폭 25m 이상 40m 미만인 도로
  3. 폭 35m 이상 50m 미만인 도로
  4. 폭 45m 이상 70m 미만인 도로
(정답률: 82%)
  • 대로는 교통량이 많고 차선이 넓은 도로로, 폭이 25m 이상 40m 미만인 도로가 대로의 기준이 된다. 이는 대체로 시내 중심부나 주요 도시간 연결 도로 등 교통량이 많은 도로들이 해당되며, 차량의 빠른 이동이 가능하도록 넓은 차선이 마련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콘크리트 포장의 특징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아스팔트 포장 보다 일반적으로 초기 건설비는 고가이다.
  2. 절토부와 성토부의 연결지점 즉 부등침하 구간에 적합하다.
  3. 양시간이 길다.
  4. 균질의 보조기층구간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 포장은 절토부와 성토부의 연결지점인 부등침하 구간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콘크리트 포장이 불균일한 지형에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그림에서 도로의 완화곡선부에 해당되는 것은?

  1. A 부분
  2. B 부분
  3. C 부분
  4. A와 B 부분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의 완화곡선은 곡률이 변하는 부분으로, 이 그림에서는 B 부분에 해당됩니다. A 부분은 직선 구간, C 부분은 곡률이 일정한 곡선 구간입니다. A와 B 부분은 직선에서 곡선으로의 전환 부분이므로, 완화곡선의 일부분으로 볼 수 있지만, 보기에서는 B 부분만을 정답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이 앞지르기시거에 대한 설명 (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① 1.0m, ② 1.5m
  2. ① 1.0m, ② 1.2m
  3. ① 1.5m, ② 1.0m
  4. ① 1.2m, ② 1.0m
(정답률: 알수없음)
  • 앞지르기를 할 때는 안전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안전거리는 앞차와의 거리와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경우에는 앞차와의 거리가 1.0m 이상이어야 하고, 앞차와의 속도 차이가 20km/h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①은 1.0m 이상이어야 하므로 1.5m는 불가능하고, ②는 앞차와의 속도 차이가 20km/h 이상이어야 하므로 1.0m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1.0m, ② 1.2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평면교차를 계획할 때 기본이 되는 고려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지성
  2. 이해성
  3. 통행성
  4. 다양성
(정답률: 알수없음)
  • 평면교차를 계획할 때 기본이 되는 고려요소는 "통행성"입니다. 이는 교통량, 차선 수, 신호등 등을 고려하여 교차로를 설계하고 효율적인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을 보장하기 위한 요소입니다. "다양성"은 교차로 설계 시 고려되는 요소 중 하나이지만, 다른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다양성은 보행자 및 자전거 등 다양한 교통수단의 통행을 고려하여 보행자 보호시설, 자전거 도로 등을 설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버스정류장의 길이를 결정할 때 고려할 사항이다.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설계속도
  2. 도로의 형태
  3. 차량 혼합율
  4. 버스 정차로의 길이
(정답률: 알수없음)
  • 버스 정류장의 길이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설계속도, 도로의 형태, 버스 정차로의 길이입니다. 차량 혼합율은 도로에서 다양한 차종의 차량이 얼마나 많이 다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버스 정류장의 길이를 결정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Park and Ride 주차시설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공원이나 유원지에서 입장료를 낸 사람에게 개방된 주차장
  2. 대중 교통 연계지점에 건설된 주차장으로 이곳에 승용차를 주차시킨 후 대중 교통으로 갈아타게 하기 위해 만든 주차장
  3. 대규모 유원지, 상가 등에 설치된 주차장
  4. 공원에서 공원 내를 운행하는 셔틀버스로 갈아타기 위해 만든 주차장
(정답률: 알수없음)
  • "대중 교통 연계지점에 건설된 주차장으로 이곳에 승용차를 주차시킨 후 대중 교통으로 갈아타게 하기 위해 만든 주차장"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시지역 간선 도로에서 보도의 최소 폭은?

  1. 1.50m
  2. 2.00m
  3. 2.25m
  4. 3.00m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지역 간선 도로에서는 차량과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보도의 최소 폭이 3.00m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보행자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보도의 폭이 충분하지 않으면 보행자와 차량이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서도 충분한 폭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설계속도 80km/h, 최대 편경사가 6% 인 평면곡선부 차도의 최소 평면곡선반경은?

  1. 200m
  2. 280m
  3. 380m
  4. 460m
(정답률: 알수없음)
  • 평면곡선반경 R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R = (V^2) / (127f)

    여기서 V는 설계속도, f는 최대 편경사의 코사인 값이다. 즉,

    f = cos(arctan(6/100)) = 0.9949

    R = (80^2) / (127 x 0.9949) = 280.2m

    따라서, 최소 평면곡선반경은 약 28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휴게시설 중 휴게소의 배치시 휴게소 상호간 배치간격의 표준은?

  1. 30km
  2. 50km
  3. 100km
  4. 120km
(정답률: 알수없음)
  • 휴게소는 운전자들이 휴식을 취하고 차량을 정비할 수 있는 장소로, 안전한 운전을 위해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되어야 합니다. 이때, 휴게소 상호간 배치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차량이나 인원이 집중되어 혼잡하고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너무 멀면 운전자들이 피로를 느끼고 운전 중 졸음 운전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토교통부는 휴게소 상호간 배치간격을 50km로 규정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휴게소 배치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고속도로의 설계속도가 100km/h 일 때 버스정류장의 길이는?

  1. 310m
  2. 420m
  3. 470m
  4. 520m
(정답률: 알수없음)
  • 고속도로의 설계속도가 100km/h 이므로 1시간에 100km를 이동한다는 뜻입니다. 1시간은 60분이므로 1분에 이동하는 거리는 100km/60분 = 1.67km 입니다. 따라서 1분에 이동하는 거리를 미터로 환산하면 1.67km × 1000m/km ÷ 60분 = 27.8m/s 입니다.

    버스가 고속도로에서 정차하는 경우, 버스가 멈추기까지 걸리는 시간과 출발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버스가 멈추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5초, 출발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5초로 가정합니다. 이 경우, 버스가 멈추기까지 이동하는 거리는 27.8m/s × 5초 = 139m 이고, 출발하기까지 이동하는 거리도 139m 입니다.

    따라서 버스가 정차하는데 필요한 길이는 멈추기까지 이동하는 거리와 출발하기까지 이동하는 거리를 합한 값인 139m + 139m = 278m 입니다. 하지만, 버스가 정차하는 구간에는 여러 대의 버스가 동시에 정차할 수 있으므로, 버스 정류장의 길이는 이보다 더 길어져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버스 정류장의 길이는 470m 정도로 설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고속도로에서 비상주차대의 표준 설치 간격은?

  1. 250m
  2. 500m
  3. 750m
  4. 1000m
(정답률: 알수없음)
  • 고속도로에서 비상주차대는 긴급한 상황에서 차량을 대기시키거나 정차시키기 위한 시설입니다. 따라서 비상주차대의 간격은 긴급한 상황에서 차량이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는 거리를 고려하여 설치됩니다. 이에 따라 고속도로에서 비상주차대의 표준 설치 간격은 75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공동구의 설치효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각종 지하매설물 점용공사에 의한 반복된 노면굴착이 배제되고 따라서 원활한 교통소통과 교통사고 감소에 기여한다.
  2. 반복된 노면 굴착 및 복구에 따른 경제적 손해와 노면의 지지력 손상을 배제할 수 있다.
  3. 각종 지하 매설물이 정비되고 합리적인 이용을 기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점용단면에 대한 수용용량이 감소한다.
  4. 노상의 점용물건이 지하에 수용되어 도로교통 및 도시미관에 유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설명은 "각종 지하 매설물이 정비되고 합리적인 이용을 기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점용단면에 대한 수용용량이 감소한다." 이유는, 지하에 매설된 시설물들이 정비되고 합리적으로 이용됨으로써 오히려 도로의 수용용량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점용단면에 대한 수용용량이 감소하는 것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종단선형 설계시 오르막차로의 차량속도를 설정하는 기준에 맞지 않는 것은?

  1. 오르막구간의 설계속도가 80km/h 이상인 경우에는 진입속도는 모두 80km/h 로 한다.
  2. 오르막구간의 설계속도가 80km/h 미만일 경우에는 진입속도는 설계속도와 같은 속도로 한다.
  3. 오르막구간의 정점에서의 속도는 오르막구간의 진입속도에서 20km/h을 감한 값 이상의 속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4. 설계속도가 60km/h 인 경우에는 오르막차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설계속도가 60km/h 인 경우에는 오르막차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유는 설계속도가 낮기 때문에 차량이 오르막구간에서 충분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르막구간의 진입속도나 정점에서의 속도를 설정하는 기준과는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방지역에서 인터체인지의 배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국도 등 주요 도로와의 교차 또는 접근지점은 피할 것
  2. 인터체인지 세력권 인구가 50000~100000명 정도가 되도록 배치할 것
  3. 본선과 인터체인지에 대한 총비용 편익비가 최소가 되도록 배치할 것
  4. 인터체인지 간격이 최소 3km, 최대 20km 이하가 되도록 배치할 것
(정답률: 30%)
  • 인터체인지는 주로 교통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 시설이므로, 인구 밀집 지역이나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인터체인지 세력권 인구가 50000~100000명 정도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는 인구 밀집 지역이나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 인터체인지를 설치하면 교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국도 등 주요 도로와의 교차 또는 접근지점은 피하고, 인터체인지 간격이 최소 3km, 최대 20km 이하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는 교통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고려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어느 건물의 주차용량이 60대, 주차이용대수가 일일 300대이고, 평균주차시간이 3시간이다. 주차장이 하루 20시간 개방된다고 한다면 이 주차장의 주차효율은?

  1. 0.65
  2. 0.75
  3. 0.85
  4. 0.95
(정답률: 알수없음)
  • 주차효율은 주차장에서 실제로 주차된 차량 대수와 주차 가능한 차량 대수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주차 가능한 차량 대수가 60대이고, 하루에 주차이용대수가 300대이므로, 하루에 주차 가능한 차량 대수는 60대 x 20시간 = 1200대이다. 따라서, 이 주차장의 주차효율은 (300대 / 1200대) x 100% = 25%이다. 하지만, 평균주차시간이 3시간이므로, 하루에 주차 가능한 차량 대수는 60대 x (20시간 / 3시간) = 400대이다. 따라서, 이 주차장의 주차효율은 (300대 / 400대) x 100% = 75%이다. 따라서, 정답은 "0.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어느 지역의 근린생활시설 주차조사에서 첨두시 주차원단위가 6.3(대/1000m2)이고, 주차이용효율은 주차발생원단위를 누적피크시 건물단위면적당 주차수요로 규정하여 무시하였으며, 계획연면적이 6000m2인 어느 신축 근린생활시설의 주차수요는?

  1. 35대
  2. 38대
  3. 40대
  4. 45대
(정답률: 알수없음)
  • 첨두시 주차원단위가 6.3(대/1000m2)이므로, 6000m2의 계획연면적에 대한 주차수요는 6.3 x 6 = 37.8 대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수인 "38대"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좌회전 연결로 설계 시 흔히 볼 수 있는 연결로 형태이다. 이 연결로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우회전 이동류의 처리 시 사용하며, 루프(Loop)연결로라 한다.
  2. 새로운 입체교차 구조물을 설치해야 접속이 가능하다.
  3. 교통량이 많은 곳에 적합하며, 안전한 속도를 유도할 수 있다.
  4. 진행방향에 대하여 부자연스러운 주행궤적을 그리므로, 운전자의 혼돈할 우려가 있다.
(정답률: 75%)
  • 진행방향에 대하여 부자연스러운 주행궤적을 그리므로, 운전자의 혼돈할 우려가 있다. 이유는 이 연결로는 일반적인 좌회전과는 다른 방향으로 운전자가 이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전자들은 이 연결로를 지나갈 때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편면교차로 상충유형을 바르게 짝지어 진 것은?

  1. (A) 합류상충, (B) 엇갈림 상충
  2. (A) 합류상충, (B) 분류상충
  3. (A) 교차상충, (B) 엇갈림상충
  4. (A) 교차상충, (B) 분류상충
(정답률: 55%)
  • 정답은 "(A) 교차상충, (B) 분류상충"입니다.

    이유는 편면교차로에서 도로가 교차하는 부분에서 차량이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교차상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교차로에서는 좌회전 차량과 직진 차량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분류상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 교차상충, (B) 분류상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평면교차로에서 도류화를 위한 일반적인 설계원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회전차량의 대기장소는 직진교통으로부터는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해야 한다.
  2. 운전자에게 90°이상 회전하거나 갑작스럽고 급격한 배향곡선 등의 부자연스런 경로를 주어서는 안된다.
  3. 운전자가 한번에 한 가지 이상의 의사결정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4. 교통제어시설은 도류화의 일부분으로서 이를 고려하여 교통섬을 설계하여야 한다.
(정답률: 70%)
  • 정답: "교통제어시설은 도류화의 일부분으로서 이를 고려하여 교통섬을 설계하여야 한다."

    회전차량의 대기장소는 직진교통으로부터는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해야 하는 이유는, 직진교통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대기장소가 직진교통으로부터 잘 보이는 곳에 위치한다면, 직진교통이 우선권을 가지기 때문에 회전차량이 충돌할 위험이 크게 높아집니다.

    운전자에게 90°이상 회전하거나 갑작스럽고 급격한 배향곡선 등의 부자연스런 경로를 주어서는 안되는 이유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서입니다. 부자연스러운 경로는 운전자가 예측하기 어렵고, 조작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운전자가 한번에 한 가지 이상의 의사결정을 하지 않도록 해야하는 이유는, 운전자의 부담을 줄이고,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서입니다. 운전자가 한번에 많은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면, 그만큼 운전에 집중하지 못하고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교통제어시설은 도류화의 일부분으로서 이를 고려하여 교통섬을 설계하여야 하는 이유는, 교통섬이 도류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교통섬은 차량의 흐름을 조절하고, 안전한 대기장소를 제공하여 도류화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교통제어시설을 설계할 때에는 교통섬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도시계획개론

61. 선상도시(Linear city)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도심의 형성이 유리하여 대도시에 적합하다.
  2. 교통시간을 단축하여 도시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3. 도시의 다이나믹한 개발과 기능적인 성장을 도모한다.
  4. 1882년 영국의 마타(A.S,Y. Mata)에 의하여 제안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상도시는 도심의 형성이 유리하여 대도시에 적합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선상도시는 일직선으로 연결된 도시 형태로, 교통시간을 단축하여 도시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고 도시의 다이나믹한 개발과 기능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1882년 영국의 마타(A.S,Y. Mata)에 의하여 제안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할 수 있는 구역은?

  1. 시가화예정구역
  2. 시가화조정구역
  3. 개발제한구역
  4. 개발예정구역
(정답률: 50%)
  • 시가화조정구역은 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할 수 있는 구역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는 구역을 나타내는 것은 시가화조정구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아디케스법의 기본적 개념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토지 구획정리에 관한 것
  2. 도시 장기 발전계획에 관한 것
  3. 재개발 계획에 관한 것
  4. 신도시 개발계획에 관한 것
(정답률: 70%)
  • 아디케스법은 토지 구획정리에 관한 것이다. 이는 토지의 소유자들이 자발적으로 협력하여 토지를 합리적으로 구획하여 토지의 가치를 높이고, 도시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도시의 불필요한 분산과 공간적 낭비를 줄이고, 도시의 기능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런던 교외의 레치워스(Letchworth), 웰인(Welwyn)의 두 도시에서 실현되었으며, 위성도시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도시계획안은?

  1. 근린주구론
  2. 전원도시이론
  3. 지역계획론
  4. 선상도시론
(정답률: 알수없음)
  • 전원도시이론은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에서 벗어나 전원 지역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도시의 문제인 공기 오염, 교통 체증, 인구 밀집 등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레치워스와 웰인의 도시계획안은 이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졌다. 이러한 전원도시이론은 위성도시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주거 단지내 도로 계획시 일반적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단지내 도로의 과속 방지턱 설치
  2. 곡선형 도로로 감속 유도
  3. 원활한 통과를 위한 통과도로의 최대화
  4. 도로패턴은 원활한 접근을 조직적으로 계획
(정답률: 67%)
  • 주거 단지내 도로 계획시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도로 안전성, 효율성, 접근성 등이다. 그러나 "원활한 통과를 위한 통과도로의 최대화"는 일반적인 고려사항이 아니며, 이는 도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는 주거 단지내 차량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도로의 너비와 길이를 최대한 확보하여 교통 체증을 방지하고, 차량의 이동 속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의 각종 도시 기반시설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광장이란 만남의 공간이자 도시나 지구의 상징적 존재로 도시의 중요한 옥외행사가 행해지는 곳이다.
  2. 시장은 다수인이 집산을 위해 주간선도로의 교차지점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3. 도시기반시설 중 공간시설에는 광장, 공원, 녹지, 유원지, 공공공지가 있다.
  4. 광장은 교통광장, 일반광장, 경관광장, 지하광장, 건축물부설광장으로 세분할 수 있다.
(정답률: 40%)
  • "시장은 다수인이 집산을 위해 주간선도로의 교차지점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시장의 위치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주간선도로의 교차지점이 항상 최적의 위치는 아니다. 예를 들어, 시장이 위치한 지역의 인구 밀도, 교통 상황, 경쟁 업체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토지이용계획에 있어서의 공공이익의 요소로서 부적절한 것은?

  1. 안전성
  2. 자유성
  3. 편의성
  4. 쾌적성
(정답률: 82%)
  • 토지이용계획에서 공공이익은 안전성, 편의성, 쾌적성과 같은 요소를 포함하지만, 자유성은 개인의 자유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부적절한 요소이다. 토지이용계획은 개인의 자유보다는 전체 사회의 이익을 위해 조절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현행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가장 상위의 공간계획은?

  1. 도시기본계획
  2. 광역도시계획
  3. 도시공간구조계획
  4. 도시관리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광역도시계획은 국토의 광역적인 발전과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위해 수립되는 계획으로, 도시기본계획, 도시공간구조계획, 도시관리계획 등 다양한 계획들을 종합하여 수립됩니다. 따라서, 현행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가장 상위의 공간계획은 광역도시계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지체장애인 전용주차장의 주차단위구획의 너비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단, 평행주차형식이 아닌 경우)

  1. 2.5m 이상
  2. 2.8m 이상
  3. 3.0m 이상
  4. 3.3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지체장애인 전용주차장은 대개 차량 출입문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편리한 이용을 위해 출입문과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주차단위구획의 너비는 출입문과 연결된 보행로와 차량 출입구를 고려하여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를 고려하면 지체장애인 전용주차장의 주차단위구획의 너비는 최소 3.3m 이상이어야 출입문과 차량 출입구를 고려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용도지구 중에서 경관을 보호·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는?

  1. 미관지구
  2. 고도지구
  3. 경관지구
  4. 보존지구
(정답률: 알수없음)
  • 경관지구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활동이 조화를 이루며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고 보호하기 위한 지구로, 주로 관광지나 휴양지 등으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경관을 보호하고 형성하기 위한 지구로서 경관지구가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대중교통중심도시를 만들기 위해 지하철건설을 계획하고 지하철역 주변에 건설되는 건물에 대해 주차상한제를 폐지하였다. 이는 계획 목표를 달성하는 조건 중 어떤 조건에 위배되는가?

  1. 목표의 구체성
  2. 목표의 실현가능성
  3. 목표의 명확성
  4. 목표의 계획가치와의 일관성
(정답률: 알수없음)
  • 주차상한제 폐지는 대중교통중심도시를 만들기 위한 계획 목표와 일치하지 않으며, 계획가치와도 일관성이 없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차량 이용을 제한하는 것이 대중교통중심도시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계획가치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차상한제 폐지는 계획 목표를 달성하는 조건 중 "목표의 계획가치와의 일관성"에 위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현재 인구가 1000만인 도시가 등차급수법에 따른 인구증가율이 1%라고 할 때 10년 후 인구수는?

  1. 1010만
  2. 1100만
  3. 1210만
  4. 1330만
(정답률: 알수없음)
  • 등차급수법에서는 각 항이 이전 항에 일정한 차이를 가지므로, 10년 후의 인구수는 현재 인구수에 10년간의 증가율을 10번 곱한 값이 됩니다.

    즉, 10년 후의 인구수 = 1000만 × (1.01)^10 = 1104.62만 (소수점 이하 버림)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수값인 1100만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Kaiser 와 Chapin이 주장하는 토지이용의 중요한 3가지 가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회적 이용 가치
  2. 시장 가치
  3. 생태적 가치
  4. 보전적 가치
(정답률: 알수없음)
  • 보전적 가치는 토지를 보전하고 유지하는 가치를 의미하며, 이는 토지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보호하는 것이므로 Kaiser와 Chapin이 주장하는 토지이용의 중요한 3가지 가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도로의 위계상 이동성은 가장 높은 반면 접근성이 가장 낮은 것은?

  1. 주간선도로
  2. 보조간선도로
  3. 국지도로
  4. 고속도로
(정답률: 알수없음)
  • 고속도로는 다른 도로에 비해 직선적이고 빠른 이동이 가능하며, 따라서 이동성이 가장 높습니다. 그러나 고속도로는 주로 도시 외곽 지역을 연결하고 있어 접근성이 낮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고속도로가 가장 높은 이동성을 가지면서도 접근성이 가장 낮은 도로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보행자 전용도로의 필요성이 제기된 원인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주거단지의 대규모화
  2. 안정성·쾌적성 확보
  3. 주차공간의 대형화
  4. 외부의 생활공간의 체계화
(정답률: 알수없음)
  • 보행자 전용도로는 보행자들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필요한 도로이다. 그러나 주차공간의 대형화는 차량의 이동과 주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로의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보행자들의 이동을 방해하고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자 전용도로의 필요성이 제기된 원인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도시계획의 입안은 자료와 정보의 수집, 분석으로부터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자료는 수집되는 자료의 작성주체에 따라 제1차 자료와 제2차 자료로 구분된다. 다음 중 제1차 자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설문조사결과
  2. 한국통계연감
  3. 히어링조사결과
  4. 전화조사결과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통계연감은 통계청에서 발간하는 통계 자료집으로, 제1차 자료가 아닌 제2차 자료에 해당된다. 제1차 자료는 직접 수집되는 자료로서, 예를 들어 설문조사결과, 히어링조사결과, 전화조사결과 등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격자형 도로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로기능의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다.
  2. 지형이 평탄한 도시에 적합하다.
  3. 고대 그리스 식민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4.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에 가장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에 가장 적합하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이유는 대도시에서는 교통량이 많기 때문에 도로기능의 다양성이 필요하며, 격자형 도로망은 교차로가 많아 교통 체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도시에서는 보다 다양한 도로기능을 갖춘 다른 도로망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도시기본계획을 위한 기초조사의 수행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당해 시·군이 차지하는 위치와 역할을 파악하여 계획의 제약으로 삼기 위하여 수행한다.
  2. 당해 시·군의 발전과정과 현재의 모든 기능을 파악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3. 당해 시·군의 당면문제를 파악하고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4. 당해 시·군내 지역 상호간의 관계와 전체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당해 시·군이 차지하는 위치와 역할을 파악하여 계획의 제약으로 삼기 위하여 수행한다."이 해당하지 않는 것이다. 이유는 이 목적은 이미 도시기본계획의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시기본계획은 해당 지역의 발전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는 계획이므로, 해당 지역의 위치와 역할은 이미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목적은 기초조사 이전에 이미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도로의 배치간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주간선도로와 주간선도로의 배치간격 : 2천미터 내외
  2. 주간선도로와 집산도로의 배치간격 : 500미터 내외
  3. 보조간선도로와 집산도로의 배치간격 : 250미터내외
  4. 국지도로간의 배치간격 : 가구의 짧은 변 사이의 배치간격은 90미터 내지 150미터 내외, 가구의 긴 변사이의 배치간격은 25미터 내지 60미터 내외
(정답률: 알수없음)
  • 주간선도로와 주간선도로의 배치간격이 2천미터 내외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주요 도로들 간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교통체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따라 주요 도로들 간의 거리는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용도지역별 도로율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녹지지역은 10퍼센트 이상 20퍼센트 미만이며, 이 경우 주간선도로의 도로율은 5퍼센트 이상 10퍼센트 미만이어야 한다.
  2. 주거지역은 20퍼센트 이상 30퍼센트 미만이며, 이 경우 주간선도로의 도로율은 10퍼센트 이상 15퍼센트 미만이어야 한다.
  3. 사업지역은 20퍼센트 이상 30퍼센트 미만이며, 이 경우 주간선도로의 도로율은 10퍼센트 이상 15퍼센트 미만이어야 한다.
  4. 공업지역은 20퍼센트 이상 30퍼센트 미만이며, 이 경우 주간선도로의 도로율은 5퍼센트 이상 10퍼센트 미만이어야 한다.
(정답률: 50%)
  • 주거지역은 일반적으로 차량이 많이 다니는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도로율이 높을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도로율은 20% 이상 30% 미만이며, 이에 따라 주간선도로의 도로율은 10% 이상 15% 미만이어야 합니다. 다른 지역들은 차량이 많이 다니는 지역이기 때문에 도로율이 높아야 하며, 따라서 주간선도로의 도로율도 높게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교통관계법규

81. 교통유발부담금 부과징수권자는 누구인가?

  1. 시장
  2. 건설교통부장관
  3. 지방경찰청장
  4. 행정자치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교통유발부담금은 도시계획 및 교통체계의 개선을 위해 건축물 건설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량 증가로 인한 부담을 부과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부과징수권자는 해당 지역의 시장입니다. 시장은 지역의 교통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교통유발부담금을 부과하고 징수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자동차가 앞지르기를 할 수 없는 장소로 틀린 것은?

  1. 교차로
  2. 다리 위
  3. 터널 안
  4. 편도 2차로 도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편도 2차로 도로"입니다.

    편도 2차로 도로는 한쪽 방향으로만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도로이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오는 차량이 없어 앞지르기를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교차로, 다리 위, 터널 안은 양방향으로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장소이기 때문에 앞지르기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도로법에 구분된 도로의 종류에 속하는 것만으로 나열된 것은?

  1. 고속도로, 일반도로, 자동차전용도로
  2.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3. 국도, 도도, 시도, 군도
  4.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국도
(정답률: 55%)
  • 도로법에서는 도로를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도로법에서 구분되는 도로의 종류를 모두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의 도로정비기본계획의 수립에 관한 설명 중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3년
  2. 5년
  3. 10년
  4. 12년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정비기본계획은 도로의 안전성, 효율성,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수립되는 계획으로, 일반적으로 10년 단위로 수립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이 "10년"인 이유는, 도로정비기본계획이 일반적으로 10년 단위로 수립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도로굴착에 관한 사항을 심의·조정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도로관리심의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고속국도와 일반국도에만 설치한다.
  2. 도로굴착공사의 시행에 따른 도로시설의 안전대책을 심의·조정한다.
  3. 주요 지하매설물의 안전대책을 심의·조정한다.
  4. 일반국도의 위원장은 지방국토관리청장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국도의 위원장이 지방국토관리청장이 된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도로관리심의회는 도로굴착공사의 시행에 따른 도로시설의 안전대책을 심의·조정하고, 주요 지하매설물의 안전대책을 심의·조정하는 기관이다. 고속국도와 일반국도에만 설치되며, 지방교통청이 설치하고 운영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시설물이 골프장인 경우 부설주차장의 설치기준으로 맞는 것은?

  1. 시설면적 100m2 당 1대
  2. 시설면적 150m2 당 1대
  3. 1홀당 10대
  4. 1홀당 5대
(정답률: 알수없음)
  • 골프장은 주로 차량으로 이용하는 고객이 많기 때문에 부설주차장의 설치가 필수적입니다. 이때, 골프장은 1홀당 약 4~5대의 주차공간이 필요하므로, 부설주차장의 설치기준으로는 "1홀당 10대"가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설면적에 따라 주차대수를 산정하는 기준이므로, 골프장과 같은 대상시설물에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교통안전법상 교통안전관리자의 분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도로교통안전관리자
  2. 선박교통안전관리자
  3. 항만하역교통안전관리자
  4. 자동차교통안전관리자
(정답률: 40%)
  • 교통안전법에서 교통안전관리자는 도로, 항만, 선박 등 다양한 분야에 존재하지만, 자동차교통안전관리자는 그 중에서도 자동차에 대한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분야에 속합니다. 따라서 자동차교통안전관리자는 교통안전관리자의 분야에 속하지만,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자동차에 대한 안전관리에 특화된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의 앞지르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모든 차의 운전자는 다른 차를 앞지르고자 하는 때에는 앞차의 우측으로 통행하여야 한다.
  2. 앞지르고자 하는 모든 차의 운전자는 반대방향의 교통에만 주의를 충분히 기울여야 한다.
  3. 앞지르고자 하는 모든 차의 운전자는 앞차의 속도·진로와 그 밖의 도로 상황에 따라 방향지시기·등화 또는 경음기를 사용하는 등 안전한 속도와 방법으로 앞지르기를 하여야 한다.
  4. 앞차가 다른 차를 앞지르고 있거나 앞지르고자 하는 경우에도 앞차를 앞지르기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앞지르고자 하는 모든 차의 운전자는 앞차의 속도·진로와 그 밖의 도로 상황에 따라 방향지시기·등화 또는 경음기를 사용하는 등 안전한 속도와 방법으로 앞지르기를 하여야 한다. 이것은 다른 차를 앞지르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광역도시계획의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주택건설 촉진계획
  2. 풍수해·지진 그 밖의 재해의 발생현황 및 추이
  3. 기후·지형·자원·생태 등의 자연적 여건
  4. 기반시설 및 주거수준의 현황과 전망
(정답률: 60%)
  • 주택건설 촉진계획은 광역도시계획의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사항으로 잘못된 것입니다. 광역도시계획은 도시의 종합적인 발전을 위한 계획으로, 주택건설 촉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주택건설 촉진계획"입니다. 광역도시계획의 기초조사 사항으로는 풍수해·지진 그 밖의 재해의 발생현황 및 추이, 기후·지형·자원·생태 등의 자연적 여건, 기반시설 및 주거수준의 현황과 전망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주차금지 장소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소화용방화물통으로부터 5m 이내의 곳
  2. 화재경보기로부터 5m 이내의 곳
  3. 소방용 기계·기구가 설치된 곳으로부터 3m 이내의 곳
  4. 도로공사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공사구역의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3m 이내의 곳
(정답률: 알수없음)
  • 주차금지 장소의 기준은 화재 발생 시 대처하기 위한 소화용방화물통과 화재경보기, 그리고 소방용 기계·기구가 설치된 곳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를 주차금지 구역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소화용방화물통으로부터 5m 이내의 곳"은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해 소화용방화물통과의 거리를 최소한 5m 이내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시설물의 부지인근에 단독 또는 공동으로 부설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는 부설주차장의 규모 기준은?

  1. 300대 이하
  2. 200대 이하
  3. 100대 이하
  4. 50대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시설물의 부지가 작을수록 부설주차장의 규모도 작아져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시설물 주변의 부설주차장 규모는 300대 이하로 제한됩니다. 이는 부설주차장이 시설물의 용도와 규모에 비례하여 적절한 크기를 가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대중교통 등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시설물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도 부설주차장 규모를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주차장법에서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시설물 중 관람장을 제외한 문화 및 집회시설인 경우 시설면적 몇 m2당 1대를 설치해야 하는가?

  1. 50m2
  2. 100m2
  3. 150m2
  4. 200m2
(정답률: 60%)
  •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시설물 중 관람장을 제외한 문화 및 집회시설인 경우, 주차 대수는 시설면적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 150m2당 1대를 설치해야 한다. 즉, 시설면적이 150m2일 경우 1대를 설치하면 된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횡단보도의 설치권자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시장, 군수
  2. 경찰서장
  3. 지방경찰청장
  4. 지역도로관리청장
(정답률: 알수없음)
  • 횡단보도의 설치권자는 지방경찰청장입니다. 이는 교통안전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지방경찰청장은 지역의 교통안전을 책임지는 공무원으로서, 횡단보도의 설치와 관련된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횡단보도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지방경찰청장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도로에서 일어나는 교통상의 모든 위험과 장해를 방지·제거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제정된 법규는?

  1. 교통안전법
  2. 도로법
  3. 도시교통정비촉진법
  4. 도로교통법
(정답률: 40%)
  • 도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상의 위험과 장해를 방지하고 교통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제정된 법규이기 때문에 "도로교통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교통안전과 관련된 법규이지만, 도로에서 발생하는 위험과 장해를 방지하고 교통 안전을 확보하는 목적을 명시적으로 갖고 있는 법규는 "도로교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주의표지 중 교차로표지의 설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도로에서 속도를 낼 수 없는 교차로에 설치하여야 한다.
  2. 볼 수 있는 거리가 좋은 도로의 교차로에 설치하여야 한다.
  3. 교차로로부터 전방 30~120미터 범위 내에 설치하여야 한다.
  4. 차량 진행방향의 도로 중앙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차로표지는 교차로로부터 전방 30~120미터 범위 내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는 운전자들이 교차로에 접근하기 전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표지판을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교통혼잡 특별관리 구역안에 교통혼잡 또는 특별관리시설물에 따른 교통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 중 통행여건 개선 및 대중교통 이용촉진시책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1. 교통신호체계의 개선
  2. 버스전용차로 및 버스정류장의 설치
  3. 화물차의 운행 제한 및 노상주차장 확충
  4. 차량 진출입 동선의 변경
(정답률: 70%)
  • 화물차의 운행 제한 및 노상주차장 확충은 대중교통 이용촉진시책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이다. 이는 교통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 중에서는 개인차량의 이용을 제한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물차의 운행 제한 및 노상주차장 확충은 교통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횡단보도교의 1분당 보행자수가 200인 이상 240인 미만인 경우 횡단보도교의 폭은 4.5m 이상으로 한다.
  2. 교통광장은 교차점광장, 역전광장, 주요시설광장으로 구분된다.
  3. 유원지의 규모는 10000m2 이상으로 당해 유원지의 성격과 기능에 따라 적정하게 하도록 한다.
  4. 초등학교의 통학거리는 1500m 이내로 하되, 학생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학할 수 있도록 다른 공공시설의 이용관계를 고려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틀린 것은 없다. 모든 보기가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설명 중 맞는 내용이다.

    초등학교의 통학거리는 1500m 이내로 하되, 학생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학할 수 있도록 다른 공공시설의 이용관계를 고려하도록 한다는 내용은 학생들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한 적절한 기준이다. 다른 공공시설과의 이용관계를 고려함으로써 학생들의 통학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상업지역의 세분화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중심상업지역
  2. 근린상업지역
  3. 준상업지역
  4. 유통상업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준상업지역은 상업지역의 세분화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상업지역과 주거지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업적인 활동이 일어나지만 규모가 작고 주거지역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상업지역들과는 구분되어 별도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연석선, 안전표지나 그와 비슷한 공작물로써 그 경계를 표시하여 모든 차의 교통에 사용하도록 된 도로의 부분을 의미하는 용어는?

  1. 차로
  2. 차선
  3. 차도
  4. 보도
(정답률: 70%)
  • 연석선, 안전표지 등으로 차의 교통에 사용되는 것은 도로의 부분 중에서 차가 직접 주행하는 부분인 차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차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지방도에 대해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

  1. 지방을 연결하는 자동차전용도로로서 관할 도지사가 그 노선을 인정한 것
  2. 중요도시, 지정항만, 중요비행장, 국가산업단지, 관광지 등을 연결하는 도로로서 관할도지사가 그 노선을 인정한 것
  3. 간선 또는 보조간선도로를 연결하는 도로로서 관할도지사가 그 노선을 인정한 것
  4. 시청 또는 군청소재지 상호간을 연결하는 도로로서 관할도지사가 그 노선을 인정한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시청 또는 군청소재지 상호간을 연결하는 도로로서 관할도지사가 그 노선을 인정한 것"입니다. 이는 지방도의 정의 중 하나로, 지방 내의 시청 또는 군청을 연결하는 도로를 말합니다. 이 도로는 관할 도지사가 그 노선을 인정하며, 지방도의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교통안전

101. 다음의 횡단보도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횡단보도에는 횡단보도표시와 횡단보도표지판을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2. 횡단보행자용 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는 횡단보도의 경우에는 횡단보도표시를 설치한다.
  3. 횡단보도는 육교·지하도 및 다른 횡단보도로부터 최소 100m 떨어진 위치에 설치한다.
  4. 횡단보도를 설치하고자 하는 도로의 표면이 포장이 되지 아니하여 횡단보도표시를 할 수 없는 때에는 횡단보도표지판을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횡단보도를 설치하고자 하는 도로의 표면이 포장이 되지 아니하여 횡단보도표시를 할 수 없는 때에는 횡단보도표지판을 설치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횡단보도는 육교·지하도 및 다른 횡단보도로부터 최소 100m 떨어진 위치에 설치한다."이다. 이유는 횡단보도가 다른 횡단보도나 육교, 지하도와 가까이 위치하면 보행자들이 횡단보도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곳에서도 도로를 건너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소 100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여 보행자들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한 차량이 직선 미끄럼을 하여 각 바퀴의 미끄럼흔적의 길이가 다음과 같을 때 이 차량의 미끄럼 거리는?

  1. 23.5m
  2. 24.0m
  3. 24.3m
  4. 25.0m
(정답률: 알수없음)
  • 미끄럼 거리는 각 바퀴의 미끄럼흔적의 길이의 합과 같다. 따라서 10.0m + 15.0m = 25.0m 이므로 정답은 25.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야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지점에 대한 개선 대책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조명시설 증설
  2. 반사도가 높은 특수노면표지 설치
  3. 미끄럼 방지 포장
  4. 시선유도 표지 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야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지점에 대한 개선 대책은 보행자나 운전자들이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도로 환경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미끄럼 방지 포장은 도로 표면이 미끄러워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관련이 높은 대책입니다. 조명시설 증설은 가시성을 높여 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야간사고 발생 지점의 특성에 따라 효과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반사도가 높은 특수노면표지 설치와 시선유도 표지 설치는 운전자들이 도로 상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직접적인 안전 대책은 아니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 포장보다는 관련성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스미드(R.G.Smeed)는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데 변수들을 이용하여 통계적 모델로 작성하였다. 이 때 사용한 변수는?

  1. 인구수, 자동차 보유수
  2. 자동차 보유수, 면허소지자 수
  3. 인구수, 국민 총 생산
  4. 도로길이, 화물유통량
(정답률: 알수없음)
  • 스미드는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인구수와 자동차 보유수에 영향을 받는다고 판단하여 이 두 변수를 사용하였다. 인구수가 많을수록 교통량이 많아져 사고 발생 확률이 높아지고, 자동차 보유수가 많을수록 교통량이 많아져 사고 발생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구수, 자동차 보유수"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과속방지설은 차량의 통행속도를 얼마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도로에 설치하는가?

  1. 20km/시
  2. 30km/시
  3. 40km/시
  4. 50km/시
(정답률: 알수없음)
  • 과속방지설은 차량의 통행속도를 얼마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는지는 도로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0km/시 이하로 제한한다. 이는 도로의 교통량, 도로의 폭,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보행자나 주변 차량의 안전을 위해 필요하다. 또한, 30km/시 이하로 제한하면 차량 운전자들이 더욱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으며,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우리나라 교통사고 중 사고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지점은?

  1. 고속도로
  2. 입체교차지점
  3. 교차로
  4. 단일로
(정답률: 알수없음)
  • 교차로는 다양한 방향에서 차량이 교차하고, 신호등이나 표지판 등으로 규제되는 지점으로, 차량의 진행 방향이 서로 교차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교통사고 중 사고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지점은 교차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교통사고 예방과 피해 감소를 위한 각종 대책들이 대별되어지는, 흔히 3-E 라고도 불리어지는 세 분야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공학(Engineering)
  2. 환경(Environment)
  3. 규제(Enforcement)
  4. 교육(Educ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은 교통사고 예방과 피해 감소를 위한 대책 중 하나로 포함되지 않는다. 다른 세 분야는 교통 시설물의 설계 및 유지보수, 교통법규의 강화 및 단속, 운전자 및 보행자의 교육 등으로 교통사고 예방과 피해 감소를 위한 다양한 대책을 제공한다. 하지만 환경은 교통사고 예방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분야로,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정지하고 있던 차량이 3m/sec2으로 가속하였을 경우 72km/h가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1. 5.8sec
  2. 6.7sec
  3. 7.6sec
  4. 8.5sec
(정답률: 알수없음)
  • 가속도(a) = 3m/sec2, 초기속도(u) = 0, 최종속도(v) = 72km/h = 20m/s

    v = u + at
    20 = 0 + 3t
    t = 20/3 sec

    따라서, 72km/h가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6.7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각각 2차로인 도로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네 갈래 교차로에서는 상충의 수가 32개 나타나게 되어 사고의 위험요소로 작용한다. 만약 이 교차로에서 각 진입로마다 좌회전을 금지시키면 상충의 수는 몇 개로 감소하는가?

  1. 4개
  2. 6개
  3. 12개
  4. 24개
(정답률: 알수없음)
  • 각 진입로에서 좌회전을 금지시키면, 각 차량은 직진 또는 우회전만 가능하다. 따라서 상충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줄어들게 된다.

    각 진입로에서 좌회전을 금지시키기 전에는, 각 차량이 좌회전, 직진, 우회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각 진입로마다 3가지 경우의 수가 있다. 따라서 네 진입로에서는 총 3의 4승, 즉 81가지 경우의 수가 있다.

    하지만 좌회전을 금지시킨 후에는, 각 차량이 직진 또는 우회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각 진입로마다 2가지 경우의 수가 있다. 따라서 네 진입로에서는 총 2의 4승, 즉 16가지 경우의 수가 있다.

    따라서 좌회전을 금지시킨 후에는, 상충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81에서 16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상충의 수는 32에서 16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자동차의 노외 이탈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곡선부사고 다발 지점에 대한 개선 대책으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방호책 설치
  2. 편경사 강화
  3. 속도제한 표지 설치
  4. 경음기 사용표지 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경음기 사용표지 설치"는 소리를 내는 것만으로는 실제로 차량의 이탈사고를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은 대책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방호책을 설치하거나 도로 경사를 강화하거나 속도제한을 설정함으로써 실제로 차량의 이탈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교통사고의 유발인자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눌 때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도로 사용자
  2. 교통정책
  3. 차량
  4. 환경
(정답률: 알수없음)
  • 교통사고의 유발인자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눌 때, "도로 사용자", "차량", "환경"이 해당됩니다. 이는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으로서, 운전자의 부주의, 운전기술의 미숙함, 차량의 기술적 결함, 도로 환경의 불안전성 등이 해당됩니다. 반면에 "교통정책"은 교통사고의 유발인자가 아니며, 교통안전을 위한 정책과 규제 등은 교통사고 예방에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교통정책"은 교통사고의 유발인자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교통사고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곡선부가 종단경사와 중복되는 곳은 사고 위험성이 크다.
  2. 2차로 도로에서 시거가 제한되면 사고율이 증가한다.
  3. 하향경사에서는 상향경사에서보다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4. 인터체인지에서 램프의 사고율은 주도로나 램프의 교통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체인지에서 램프의 사고율은 주도로나 램프의 교통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인터체인지에서 램프의 교통량이 많을수록 차량간 거리가 줄어들어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주도로와 램프의 교통량이 많을수록 차량의 속도가 높아져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교통사고 요인 중 교통환경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차량 교통량
  2. 통행차량 구성
  3. 보행자 교통량
  4. 운전자의 운전습관
(정답률: 알수없음)
  • 운전자의 운전습관은 교통환경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개인적인 요인이기 때문에 교통환경요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교통환경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다음의 사고지점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사고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지점에 대한 신속한 시각적 색인을 제공한다.
  2. 지도상에 핀, 색종이를 붙이거나 표시를 하여 사고지점을 나타내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3. 상이한 모양, 크기 또는 색채가 사고의 유형이나 정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4. 다수의 희생자를 포함하는 대형사고를 강조하기 위해 희생자수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수의 희생자를 포함하는 대형사고를 강조하기 위해 희생자수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사고지점도에서 희생자수를 나타내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으며, 사고의 유형이나 정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상이한 모양, 크기 또는 색채가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교통사고 충돌도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사고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2. 시고다발지점의 물리적 현황을 나타낸다.
  3. 개선책의 시행에 따른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4. 축척을 무시하고 작도된다.
(정답률: 59%)
  • "시고다발지점의 물리적 현황을 나타낸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충돌도는 사고의 패턴을 파악하고 개선책의 시행에 따른 결과를 분석할 수 있으며, 축척을 무시하고 작도된다. 하지만 시고다발지점의 물리적 현황을 나타내는 것은 충돌분석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다음 중 안전개선계획의 계획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 아닌 것은?

  1. 사고자료의 수집 및 정리
  2. 안전개선의 시행 계획
  3. 위험지역의 공학적인 분석
  4. 제안된 안전개선의 시행을 위한 우선 순위 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개선의 시행 계획은 이미 제안된 안전개선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는 작업이며, 다른 보기들은 안전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사전 작업들이다. 따라서 정답은 "안전개선의 시행 계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제한된 시거로 인하여 교차로에서의 보행자사고가 많이 발생할 때의 일반적인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시야 장애물 제거
  2. 좌·우회전차로 설치
  3. 횡단보도 설치
  4. 다른 보행도로의 유도
(정답률: 알수없음)
  • 좌·우회전차로 설치는 교차로에서 차량의 방향을 분리하여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을 예방하는 대책이지만, 제한된 시거로 인한 보행자사고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대책이다. 시야 장애물 제거, 횡단보도 설치, 다른 보행도로의 유도는 보행자의 시야를 개선하거나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을 예방하는 대책으로, 제한된 시거로 인한 보행자사고 예방에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한 차량이 연속적으로 20m에 이어 30m의 바퀴자국을 남기고 정지하였을 경우 마찰계수를 0.5라 할 때 이 차량이 초기속도는?

  1. 60km/시
  2. 70km/시
  3. 80km/시
  4. 90km/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운동량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차량이 정지하기 전에 운동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p = mv

    여기서 p는 운동량, m은 차량의 질량, v는 차량의 초기속도입니다.

    차량이 정지한 후에는 운동량이 0이 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p = mv = 0

    따라서, 초기 운동량과 최종 운동량이 같으므로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m1v1 = m2v2

    여기서 m1은 차량의 질량, v1은 차량의 초기속도, m2는 차량과 지면 사이의 마찰력이 가해진 후 차량의 질량, v2는 차량의 최종속도입니다.

    차량과 지면 사이의 마찰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f = μN

    여기서 f는 마찰력, μ는 마찰계수, N은 차량의 무게입니다.

    차량의 무게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N = mg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입니다.

    따라서, 마찰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f = μmg

    차량과 지면 사이의 마찰력은 차량의 운동을 저해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fΔx = (1/2)mv1^2

    여기서 Δx는 차량이 정지하기까지 이동한 거리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μmgΔx = (1/2)mv1^2

    여기서 μ는 0.5, m은 차량의 질량, g는 9.8m/s^2, Δx는 50m(20m + 30m)입니다.

    따라서, v1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v1 = √(2μmgΔx/m)

    여기서 m은 차량의 질량으로,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가정을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의 무게는 1000kg 이상이므로, 여기서는 1000kg으로 가정하겠습니다.

    따라서, v1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v1 = √(2×0.5×1000×9.8×50/1000) ≈ 80km/시

    따라서, 정답은 "80km/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20km의 도로구간에서 1년 동안 100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였다. 조사결과 일평균교통량(ADT)가 12000대일 때 차량 1억대·km당 사고율은?

  1. 54.2건
  2. 114.2건
  3. 164.1건
  4. 201.4건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한 차량이 노면마찰계수 0.6에서 15m 미끄러져 6m 언덕 아래로 추락하였으며 추락한 차량이 도로끝으로부터 거리가 5m일 때, 이 차량의 초기속도(kph)는?

  1. 50.4
  2. 51.9
  3. 53.4
  4. 54.9
(정답률: 알수없음)
  • 노면마찰계수 0.6에서 15m 미끄러져 6m 언덕 아래로 추락한 차량의 운동에너지는 위치에너지로 변환되어서, 위치에너지 변화량을 구하면 운동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

    위치에너지 변화량 = mgh = mg(6m) = 588.6m (J)

    운동에너지 = 1/2mv^2

    노면마찰계수 0.6에서의 마찰력은 Fn = mg x 0.6 = 5886N 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운동에너지와 마찰력의 일을 구할 수 있다.

    일 = Fd = Fn x d = 29430J

    운동에너지 = 일 = 29430J 이므로,

    1/2mv^2 = 29430J

    v^2 = 58860/0.5m

    v = 122.02m/s

    이를 kph로 변환하면,

    122.02 x 3.6 = 439.27kph

    하지만, 이는 초기속도이므로, 중력가속도를 고려하여 보정해야 한다.

    중력가속도 g = 9.8m/s^2 이므로, 1초 후의 속도는 122.02 - 9.8 = 112.22m/s 이다.

    이를 kph로 변환하면,

    112.22 x 3.6 = 403.99kph

    따라서, 초기속도는 403.99/1.2 = 50.4kp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